KR20120085122A - 조작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조작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122A
KR20120085122A KR1020110006550A KR20110006550A KR20120085122A KR 20120085122 A KR20120085122 A KR 20120085122A KR 1020110006550 A KR1020110006550 A KR 1020110006550A KR 20110006550 A KR20110006550 A KR 20110006550A KR 20120085122 A KR20120085122 A KR 20120085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refrigerator
function control
selection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6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5122A/ko
Publication of KR20120085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패널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 개의 저장공간을 갖는 냉장고 본체;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도어에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선택영역을 갖는 저장공간 선택수단; 및 상기 저장공간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저장공간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선택영역이 상기 저장공간과 동일하게 배치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작패널을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WITH CONTROL PANEL}
본 발명은 조작패널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기능을 조작 및 제어하기 위한 조작 수단으로서 냉장고 전면에 배치되는 조작패널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육류, 생선, 야채, 과일, 음료 등의 음식물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실, 냉장실, 야채실 등의 저장 공간들이 구비된 냉장고 본체와, 상기 냉장고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 공간들을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는 냉동사이클 장치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냉각공간에는 저장물의 수납을 위해 다수 개의 선반이 장착되어 고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본체에 의해 정해지는 한정된 체적 내에서 보다 많은 저장물을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이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한 공간 활용을 위한 기술의 일부는 저장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예를 들어 냉동사이클 장치 등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또 다른 일부는 주어진 유효 체적 내에서 음식물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종래에는 냉장고 고 내의 공간을 냉동실과 냉장실로 나눈 형태의 것들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보관되는 음식물의 특성에 맞는 전용 공간을 구비하거나, 고내의 온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는 소위 '절환실'을 구비한 냉장고도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냉장고의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는데, 냉동실과 냉장실이 상하로 배치된 형태의 냉장고 외에 양문형 냉장고 또는 소위 프렌치 타입 도어를 갖는 냉장고 등이 혼용되고 있다.
이렇게 냉장고의 기능 및 형태가 다양해 짐에 따라서, 냉장고의 기능 및 그 조작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게 된다. 특히, 각각의 공간의 설정 온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우선 변경하고자 하는 '실'을 선택하고 원하는 온도가 되도록 설정온도를 변경하여야 하지만, '실'의 종류 및 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이를 정확히 선택하는 것이 어렵고 번거롭게 된다. 아울러, 조작 방법을 숙지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다수개의 '실'중에서 원하는 실을 선택하는 것은 여전히 복잡하고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냉장고를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작할 수 있는 조작패널을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 개의 저장공간을 갖는 냉장고 본체;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도어에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선택영역을 갖는 저장공간 선택수단; 및 상기 저장공간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저장공간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선택영역이 상기 저장공간과 동일하게 배치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각각의 저장공간을 선택함에 있어서, 실제로 저장공간이 배치된 형태와 동일하게 배치되는 선택영역을 갖는 저장공간 선택수단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해당 저장공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부에 냉동실, 하부에 냉장실이 배치된 경우라면, 냉동실에 해당되는 선택영역이 상측에 배치되고, 그 하부에 냉장실에 해당되는 선택영역이 배치되도록 하여 나열된 두 개의 선택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통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복수의 저장공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영역은 해당 저장공간의 외형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저장공간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선택영역도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가로 및 세로의 비율도 동일하게 설정하여 선택영역의 외형만으로 어떠한 저장공간에 해당되는 것인지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저장공간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며,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저장공간 선택수단에 의해 특정 저장공간이 선택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공간이 선택된 경우에 휘도를 다르게 하거나 백라이트를 켜서 시작적으로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수단에는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데, 일 예로서 선택된 저장공간의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는 설정온도 또는 실제온도일 수 있으며, 직접 숫자로 표시될 수도 있지만, 온도를 간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문구로서도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냉장고에 물 또는 얼음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수온이나 제공되는 얼음의 형태, 즉 각형 얼음인지 또는 분쇄 얼음인지의 여부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기능제어수단은 저장공간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저장공간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작수단으로서, 상기 선택영역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선택영역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제어수단으로는 설정온도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표시수단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직관적인 설정온도 조작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기능제어수단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저장공간 선택수단에 의하여 임의의 저장공간이 선택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능제어수단은 저장공간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비활성화되어, 오조작을 방지하고 지나치게 많은 조작수단이 나열되어 혼동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활성화된 기능제어수단은 비활성화된 기능제어수단에 비해서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활성화된 조작수단에 우선적으로 접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가령, 활성화된 기능제어수단은 그렇지 않은 수단에 비해서 보다 높은 휘도를 갖도록 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 등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에는 비활성화된 기능제어수단은 표시되지 않고 활성화된 기능제어수단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에 근접센서를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저장공간 선택수단 및 기능제어수단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복수 개의 저장공간을 갖는 냉장고 본체;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도어에 배치되며, 터치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에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선택영역을 갖는 저장공간 선택수단; 및 상기 저장공간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저장공간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선택영역이 상기 저장공간과 동일하게 배치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상기 냉장고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으로서의 저장공간 선택수단 및 기능제어수단이 터치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구현되도록 한 것으로서, 저장공간 선택수단을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냉장고가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저장공간과 동일하게 배치되도록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저장공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영역은 상기 터치패널 상에 배치되는 다각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선택영역의 경계를 표시하는 구획선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들 선택영역들이 냉장고의 전면부를 축소한 형태가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획선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작동되지 않은 경우에도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획선은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창에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각각의 선택영역 내에서 각 선택영역에 해당되는 저장공간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영역에 표시되는 저장공간의 상태에는 적어도 해당 저장공간의 온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제어수단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선택영역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온도 입력수단이 선택영역의 내부에 배치되면, 선택영역 내에서 설정온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조작과정에서 손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제어수단은 상기 선택영역의 내부에서 스윕 제스쳐가 감지되면, 그에 따라서 선택영역에 해당되는 저장공간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스윕 제스쳐란 사용자가 손가락을 선택영역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제어수단이 설정온도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설정온도 입력수단은 상기 선택영역의 내부에서 상향으로의 스윕 제스쳐가 감지되면 설정온도를 상향 조정하고, 하향으로의 스윕 제스쳐가 감지되면 설정온도를 하향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 사용자가 선택영역을 태핑(tapping)하면 설정할 수 있는 온도범위가 출력되고, 이들 범위 중 하나를 태핑하여 설정온도를 변경하도록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근접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근접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휘도가 증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복수 개의 선택영역이 냉장고의 저장공간과 동일하게 배치되는 저장공간 선택수단을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의도한 저장공간을 혼동없이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어, 냉장고의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수단이 구비된 냉장고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 조작패널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작패널을 이용하여 절환실의 온도를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작패널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작패널을 이용하여 냉장실의 온도를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수단이 구비된 냉장고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 중 조작패널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상기 조작패널을 이용하여 방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조작패널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상기 도 12에 도시된 조작패널을 이용하여 냉장실의 설정온도를 조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작수단을 갖는 냉장고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수단을 갖는 냉장고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00)는 내부에 복수 개의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제일 상측에 위치하는 냉장실,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냉장실, 냉동실 또는 소정 온도 대역을 갖는 저장공간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절환실 및 상기 절환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절환실 및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12, 114), 절환실 도어(116) 및 냉동실 도어(118)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절환실 및 냉동실은 드로워(drawer) 형태를 가지므로, 엄밀히 말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112, 114)와는 다른 형태를 갖지만 편의상 도어로 지칭한다. 물론, 상기 절환실 및 냉동실에도 냉장실 도어와 동일한 형태의 도어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112)에는 각각 식수 및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 디스펜서(120, 130)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펜서의 측면에 조작패널(140)이 구비된다.
도 2는 상기 조작패널(140)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작패널(14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선택영역을 구비하는데, 디스펜서 영역(150), 냉장실 영역(160), 절환실 영역(170) 및 냉동실 영역(180)이 그것이다. 여기서, 상기 냉장실 영역, 절환실 영역 및 냉동실 영역은 상기 냉장실, 절환실 및 냉동실이 배치된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110)에 냉장실, 절환실 및 냉동실의 순서로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게, 상기 조작패널에도 냉장실 영역(160), 절환실 영역(170) 및 냉동실 영역(170)의 순서로 각 선택영역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기능을 변경하고자 하는 저장공간에 해당되는 선택영역을 인지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영역에는 각 영역에 대응되는 저장공간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152, 162, 172, 182)가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디스펜서 영역(150)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152)에는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디스펜서(130)를 통해서 공급될 수 있는 얼음의 종류를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디스펜서(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직육면체 형태의 각 얼음이나 잘게 분쇄된 분쇄 얼음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분쇄 얼음이 제공되도록 설정되어 있음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2)를 통해서 표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영역(160), 절환실 영역(170) 및 냉동실 영역(180)에 각각 배치되는 제2 내지 제4디스플레이(162, 172, 182)에는 각각의 저장공간의 실제 온도가 표시된다. 물론, 실제 온도가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설정 온도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172)의 하부에는 상기 절환실이 운전될 수 있는 3개의 운전모드에 각각 대응되는 LED(174)가 배치되어 있으며, 좌측으로부터 냉장실, 야채실 및 냉동실로 운전되는 경우에 각각 점등되는 LED가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에는 터치패널(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태핑(tapping)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패널이 이를 감지하여 해당 영역과 관련된 저장공간의 기능을 변경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서 취출되는 얼음의 형태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서 영역(150)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152)를 태핑하는 것을 통해서 각 얼음 또는 분쇄 얼음이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서 뿐만 아니라, 기능을 변경하기 위한 기능제어수단으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패널(140)을 이용하여 냉장고의 기능을 조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조작패널(140)은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동안에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된다.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서는 현재 상태만을 표시하고 휘도도 활성화 상태에 비해서 낮게 조절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지나치게 높은 휘도로 인해서,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 한다.
비활성화된 조작패널은 사용자의 태핑 또는 사용자의 접근을 통해서 활성화될 수 있다. 즉, 별도의 근접 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통해 자동으로 조작패널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 사용자가 상기 조작패널을 탭핑하는 경우에 조작패널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던, 활성화된 조작패널은 비활성화된 경우에 비해서 높은 휘도를 갖게 되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조작패널이 준비상태에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표시는 반드시 휘도의 차이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사전에 결정된 소리를 내거나, 별도의 LED를 추가하고 상기 LED의 점등을 통해서 활성화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디스펜서로부터 취출되는 얼음의 종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조작패널을 활성화한 후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2)를 태핑하게 된다. 이때, 태핑이 반복될 때마다 분쇄 얼음 또는 각 얼음이 취출되도록 제어된다. 만일,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설정온도를 바꾸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태핑한 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손가락을 스윕(sweep)하는 것에 의해 설정온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외에, 디스플레이부를 태핑할 때마다 소정 온도 대역이 교호적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절환실의 온도 대역도 동일한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도 4 참조). 즉,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172)를 태핑할 때마다, 절환실의 상태는 냉장실, 야채실 및 냉동실로 변경된다. 여기서, 조작패널의 활성화가 각 선택영역 별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즉, 비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장실 영역(160)을 태핑하면 나머지 영역들은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냉장실 영역만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오조작을 방지하고 보다 직관적으로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작패널의 각 영역의 배치는 반드시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으며, 상기 냉장실, 절환실 및 냉동실의 순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이 아닌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 영역(150'), 냉장실 영역(160'), 절환실 영역(170') 및 냉동실 영역(180')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여도, 상기 본체에서의 저장공간의 배치순서와 동일하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각 선택영역과 저장공간의 대응관계를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펜서 영역(150')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데, 디스플레이부(152')는 필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것이고, 디스플레이부(154')는 얼음의 취출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152')의 하단에 배치되는 알람부(156')는 필터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 필터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상기 냉장실 영역(160')에는 온도표시부(162') 및 추가설정부(164')가 구비되는데 이들은 모두 터치패널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로서 구현되어, 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기능제어수단으로서도 동작한다.
상기 절환실 영역(170')에는 세 개의 디스플레이부(172', 174', 176')가 배치되는데, 이들은 각각 절환실의 운전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아울러, 상기 냉동실 영역(180')에는 온도표시부(182')가 구비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되는데,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능을 변경하고자 하는 저장공간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기능제어수단을 태핑 또는 스윕하는 것을 통해서 의도한 대로 냉장고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냉장실의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널을 갖는 냉장고의 제2 실시예(20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냉장실, 절환실 및 냉동실을 구비하는 본체(21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210)의 전면에는 각각 냉장실 도어(212, 214), 절환실 도어(216) 및 냉동실 도어(218)가 설치된다. 아울러, 냉장실 도어(212)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220) 및 조작패널(240)이 구비되어 있다.
도 8은 상기 조작패널(240)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조작패널(240)은 전체가 터치패널을 구비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로서 구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저장공간 선택영역(250), 상태 표시영역(260) 및 추가기능 설정영역(270)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영역은 물리적으로 구획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영역마다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 선택영역(250)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를 축소한 형태의 도형이 표시되는데, 상기 도형의 윤곽선 및 영역 간의 경계선은 조작패널의 작동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표시되는 것이므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인쇄된 형태로서 구비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소모전력을 줄일 수 있지만, 상기 윤곽선과 경계선이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공간 선택영역(250)은 구체적으로, 디스펜서 영역(262), 냉장실 영역(264), 절환실 영역(266) 및 냉동실 영역(268)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영역은 실제 저장공간의 외형과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쉽게 상기 각각의 영역과 저장공간과의 대응관계를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영역은 사용자의 태핑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영역은 그렇지 않은 영역에 비해서 높은 휘도를 가져서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영역(260)은 상기 저장공간 선택영역(250)에 의해 선택된 저장공간의 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된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수단으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는 디스펜서 영역(262)이 선택되어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상태 표시영역(260)에서는 상기 디스펜서(220)를 통해 취출되는 얼음의 형태(도 8에서는 분쇄 얼음)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상태 표시영역(260)을 태핑하면 취출되는 얼음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추가기능 설정영역(270)은 선택된 저장공간과 관련된 세부적인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제어수단이 구비된 영역으로서, 도 8에서는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필터의 잔류 수명 및 상태를 최상단에 표시하고 있고, 그 하부에는 각각 조명의 점등 여부 및 얼음의 취출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표시영역 및 추가기능 설정영역에 배치되는 정보 또는 기능제어수단은 상기 저장공간 선택영역에서 선택된 저장공간에 따라서 다르게 표시된다. 이에 대해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상기 조작패널이 비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휘도를 최저 수준으로 낮춘 상태에서 각 저장영역의 상태에 대한 정보만이 요약되어 표시되고, 상기 상태 표시영역 및 추가기능 설정영역에는 아무런 정보나 기능제어수단이 표시되지 않는다.
그 후, 상술한 근접센서 또는 사용자의 태핑이 있는 경우에는 조작패널을 활성화하고, 휘도를 변경하여 조작패널이 활성화된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 이렇게 조작패널이 활성화되더라도, 사용자가 특정 영역을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 9에 도시된 상태와 동일한 정보가 표시된다. 다만, 휘도만은 도 9 보다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저장공간 선택영역만이 인지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선택영역 중 기능을 변경하고자 하는 저장공간에 해당되는 선택영역을 선택하게 되고, 이러한 선택이 있는 경우에 상기 상태 표시영역 및 추가기능 설정영역에 비로소 해당되는 저장공간의 상태 및 추가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제어수단이 표시된다. 따라서, 모든 기능제어수단 및 표시부가 조작패널에 나열된 경우에 비해서, 사용자로 하여금 의도한 기능을 보다 손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절환실의 운전모드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활성화 상태에서, 절환실 영역(266)을 태핑하면, 조작패널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및 기능제어수단을 표시하게 된다. 도 11에서는, 사용자가 상태 표시영역을 태핑하거나 추가기능 설정수단에 표시된 기능제어수단 중 어느 하나를 태핑하는 것에 의해 절환실의 운전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저장공간 선택영역과 표시영역은 반드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영역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즉, 이러한 저장공간 선택영역과 표시영역이 동일 영역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2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조작패널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조작패널(340)은 디스펜서 영역(350), 냉장실 영역(360), 절환실 영역(370) 및 냉동실 영역(380)을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영역 내에는 제1 내지 제4 표시부(352, 362, 372, 382)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표시부는 기능제어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패널(340)의 하부에 추가기능 설정수단(390)이 배치된다.
상기 도 12에 도시된 변형예는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전 영역이 휘도가 낮은 상태에 있게 되고, 사용자의 접근 또는 태핑에 의해 활성화된다(도 13). 그리고, 각각의 영역을 선택하기 전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해당되는 저장공간의 상태가 표시된다.
만일, 사용자가 냉장실의 설정온도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 영역(360)을 태핑하게 되고, 이러한 태핑에 의해 냉장실 영역(360)이 선택된 경우에는 선택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다시 비활성화된다. 아울러, 상기 제2 디스플레이(362)의 상부 영역(362a) 및 하부 영역(362b)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사항들(여기에서는 선택가능한 설정온도)이 나열된다. 이렇게 나열된 선택사항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의 설정온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선택사항의 선택은 복수 개의 선택사항 중 하나를 태핑하거나 손가락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스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7)

  1. 복수 개의 저장공간을 갖는 냉장고 본체;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도어에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선택영역을 갖는 저장공간 선택수단; 및
    상기 저장공간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저장공간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선택영역이 상기 저장공간과 동일하게 배치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선택된 저장공간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며,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저장공간 선택수단에 의해 특정 저장공간이 선택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선택된 저장공간의 온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의 상하로 배치되는 설정온도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제어수단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저장공간 선택수단에 의하여 임의의 저장공간이 선택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활성화된 기능제어수단은 비활성화된 기능제어수단에 비해서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근접센서를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저장공간 선택수단 및 기능제어수단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복수 개의 저장공간을 갖는 냉장고 본체;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도어에 배치되며, 터치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에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선택영역을 갖는 저장공간 선택수단; 및
    상기 저장공간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저장공간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선택영역이 상기 저장공간과 동일하게 배치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영역은 상기 터치패널 상에 배치되는 다각형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선택영역의 경계를 표시하는 구획선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선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작동되지 않은 경우에도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각각의 선택영역 내에서 각 선택영역에 해당되는 저장공간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영역에 표시되는 저장공간의 상태에는 적어도 해당 저장공간의 온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제어수단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선택영역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제어수단은 상기 선택영역의 내부에서 스윕 제스쳐가 감지되면, 그에 따라서 선택영역에 해당되는 저장공간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제어수단은 설정온도 입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온도 입력수단은 상기 선택영역의 내부에서 상향으로의 스윕 제스쳐가 감지되면 설정온도를 상향 조정하고, 하향으로의 스윕 제스쳐가 감지되면 설정온도를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8항에 있어서,
    근접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근접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휘도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0006550A 2011-01-21 2011-01-21 조작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KR20120085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550A KR20120085122A (ko) 2011-01-21 2011-01-21 조작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550A KR20120085122A (ko) 2011-01-21 2011-01-21 조작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122A true KR20120085122A (ko) 2012-07-31

Family

ID=4671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550A KR20120085122A (ko) 2011-01-21 2011-01-21 조작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512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8985A (ko) * 2013-08-12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2719982A3 (en) * 2012-10-10 2016-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813048A (zh) * 2018-12-25 2019-05-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智能冰箱及其控制方法
WO2020013599A1 (ko) * 2018-07-13 2020-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19982A3 (en) * 2012-10-10 2016-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18985A (ko) * 2013-08-12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0013599A1 (ko) * 2018-07-13 2020-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09813048A (zh) * 2018-12-25 2019-05-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智能冰箱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2214B2 (en) Sensor system for refrigerator
JP7157211B2 (ja) 冷蔵庫
US9901886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50068233A1 (en) Refrige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20085122A (ko) 조작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KR20150016428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6296675B2 (ja) 冷蔵庫
KR20090107367A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TWI471514B (zh) 冰箱
WO2009099441A1 (en) Refrige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08931A (ko)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JP2008275276A (ja) 冷蔵庫
JP4780199B2 (ja) 冷蔵庫
CN106382783B (zh) 冷藏冷冻装置及其储物间室照明控制方法
CN113330261B (zh) 具有安装在门上的流体分配器的冰箱
KR20080061121A (ko) 대기전력 선택기능이 구비된 냉장고
US11421932B2 (en) Displ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5749598B2 (ja) 冷却庫
KR101992725B1 (ko) 멀티-룸 냉장고 및 멀티-룸 냉장고의 식별자 표시 방법
KR100568172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3460A (ko) 고내용 팬 모터 구동 제어방법
KR101174037B1 (ko)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CN109387011A (zh) 冰箱
KR20120008732A (ko)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20150144584A (ko) 고내용 팬 모터 구동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