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10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107A
KR20180080107A KR1020170173017A KR20170173017A KR20180080107A KR 20180080107 A KR20180080107 A KR 20180080107A KR 1020170173017 A KR1020170173017 A KR 1020170173017A KR 20170173017 A KR20170173017 A KR 20170173017A KR 20180080107 A KR20180080107 A KR 20180080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frigerator
display
users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엽
한나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861,27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187969A1/en
Publication of KR20180080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냉장고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입력되고,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컨텐츠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를 감지하고,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감지되면 어느 하나의 사용자의 컨텐츠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다른 사용자가 감지되면 다른 컨텐츠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개시된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냉장고는 저장실의 온도 및 냉장고의 동작 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영상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최근 디스플레이는 정보 표시 기능뿐만 아니라, 정보 입력 기능까지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 냉장고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인터넷에 접속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냉장고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인터넷에 접속된 여러 서버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연동하여 메모, 스케줄, 스케치, 할 일(Things to do) 등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냉장고는 디스플레이와 통신 모듈을 통하여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개시된 바의 일 측면은 통신 장치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서로 복수의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연동하여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게 맞춰진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바의 다른 일 측면은 통신 장치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바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입력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컨텐츠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의 컨텐츠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른 사용자가 감지되면 다른 컨텐츠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메모, 상기 메모의 수신인 및 상기 메모의 발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수신인 또는 상기 발신인과 동일한 메모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해야 할 일 및 상기 해야 할 일의 수행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수행자과 동일한 해야 할 일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스케치 및 상기 스케치의 작성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작성자와 동일한 스케치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스케줄, 상기 스케줄의 작성자 및 상기 스케줄의 참가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작성자 또는 상기 참가자와 동일한 스케줄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날씨 정보, 스케줄 정보 및 뉴스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날씨 정보, 상기 스케줄 정보 및 상기 뉴스 정보 중에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음향을 출력하는 오디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음향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다른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제1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영상을 표시하고, 제2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컨텐츠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1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더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와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와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제1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사용자를 나타내는 사용자 이미지, 상기 제2 사용자를 나타내는 사용자 이미지 및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와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1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와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바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서로 복수의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연동하여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게 맞춰진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바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홈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사용자를 추가하는 방법이 표시된다.
도 10, 도 11,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사용자 추가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를 추가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다른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다른 홈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메모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6, 도 17, 도 18 및 도 19은 도 15에 도시된 메모 생성/표시 방법에 따라 메모를 생성하고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메모 표시 스크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할 일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2, 도 23, 도 24 및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할 일 생성/표시 방법에 따라 할 일을 생성하고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도시한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할 일 표시 스크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스케치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8, 도 29, 도 30 및 도 31은 도 27에 도시된 스케치 생성/표시 방법에 따라 스케치를 생성하고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도시한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스케치 표시 스크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스케줄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4, 도 35 및 도 36은 도 33에 도시된 스케줄 생성/표시 방법에 따라 스케줄을 생성하고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도시한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스케줄 표시 스크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쇼핑 목록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9, 도 40, 도 41 및 도 42는 도 38에 도시된 쇼핑 목록 생성/표시 방법에 따라 쇼핑 목록을 생성하고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도시한다.
도 4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식품 목록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및 도 48은 도 43에 도시된 식품 목록 생성/표시 방법에 따라 식품 목록을 생성하고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도시한다.
도 4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모닝브리핑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50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모닝브리핑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51, 도 52, 도 53 및 도 5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모닝브리핑을 설정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도시한다.
도 5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모닝브리핑을 출력하기 위한 모닝브리핑 출력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56 및 도 5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브리핑 표시 스크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전면(前面)이 개방된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며 식품이 냉장 및/또는 냉동 보관되는 저장실(20)과,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재(미도시)가 충진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수평 격벽(21)과 수직 격벽(22)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0)은 상부 저장실(20a)과, 하부 제1 저장실(20b)과, 하부 제2 저장실(20c)로 구획될 수 있다. 저장실(20)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23)과, 식품을 밀폐 보관하는 밀폐 용기(24)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도어(3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저장실(20a)은 상부 제1 도어(30aa)와 상부 제2 도어(30ab)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고, 하부 제1 저장실(20b)은 하부 제1 도어(30b)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으며, 하부 제2 저장실(20c)은 하부 제2 도어(30c)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도어(3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30)에는 핸들(31)이 마련될 수 있다. 핸들(31)은 상부 제1 도어(30aa)와 상부 제2 도어(30ab)의 사이와 하부 제1 도어(30b)와 하부 제2 도어(30c)의 사이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도어(30)가 폐쇄된 경우, 핸들(31)은 일체로 마련될 것과 같이 보여질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touch screen display) (120), 저장부(storage) (130), 통신부(communicator) (140), 디스펜서(dispenser) (150), 냉각부(cooler) (160), 온도 감지부(temperature sensor) (170), 오디오(audio) (180), 카메라(camera) (190) 및 제어부(controller) (11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1)과,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122)과, 디스플레이 패널(121) 및 터치 패널(122)을 구동/제어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1)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을 통하여 제어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광학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1)은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패널(121)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21)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학적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채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122)은 터치 패널(12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122)은 전기적 저항값의 변화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로부터 터치 패널(12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는 터치 패널(122)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22)은 디스플레이 패널(121)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패널(122)은 영상이 표시되는 면 위에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121)에 표시되는 영상이 왜곡되지 않도록 터치 패널(122)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122)은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또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터치 패널(122)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패널(122)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접근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지점의 좌표 또는 접근 지점의 좌표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터치 패널을 채용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21) 및 터치 패널(1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는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검출하도록 터치 패널(122)를 제어하고, 제어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학적 영상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1)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는 터치 패널(122)이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제어부(11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는 제어부(110)가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판단하도록 터치 패널(122)이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21) 및 터치 패널(12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21) 및 터치 패널(12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별도의 칩(chip)으로 마련되거나, 단일의 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터친 입력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어(3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상부 제2 도어(30ab)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제2 도어(30ab)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가 설명되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의 설치 위치가 상부 제2 도어(30ab)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상부 제1 도어(30aa), 하부 제1 도어(30b), 하부 제2 도어(30c) 및 본체(10)의 외상(12) 등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은 사용자가 일정 범위 이내로 접근할 때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웨이크 업(wake up)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가 활성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온(on)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일정 범위 이내에서 벗어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은 오프(off)상태가 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다양한 화면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화면 또는 영상은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된다.
저장부(130)은 프로그램 또는 전원을 저장하고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는 대용량 플래시 메모리 또는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13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는 냉장고(1)에 포함된 구성 및 자원(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과, 이미지를 표시하는 앨범 어플리케이션과, 메모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메모 어플리케이션과, 할 일을 기록하는 투두(To Do) 어플리케이션과, 스케치할 수 있는 스케치 어플리케이션과, 일정을 관리하는 스케줄러 어플리케이션과, 식품의 조리법을 검색하고 표시하는 레시피 어플리케이션과,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과, 온라인으로 구매할 상품을 관리하는 쇼핑 리스트 어플리케이션과,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을 촬영하고 촬영된 식품을 관리하는 뷰 인사이드(view inside) 어플리케이션과, 뉴스, 일정, 날씨 등을 표시하는 모닝브리핑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10)의 저장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부(110)에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제어부(110)의 통신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1)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1)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무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1)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1)은 자유 공간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자유 공간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거나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변/복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물 또는 얼음을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디스펜서(150)를 통하여 도어(30)를 개방하지 않고도 물 또는 얼음을 외부로 직접 취출할 수 있다.
디스펜서(150)는 사용자의 배출 명령을 수신하는 디스펜서 레버(151)와, 물 또는 얼음을 배출하는 디스펜서 노즐(152)와, 디스펜서(15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펜서 표시 패널(15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150)는 도어(30) 또는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50)는 상부 제1 도어(30aa)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제1 도어(30a)에 설치된 디스펜서(150)가 설명되나, 디스펜서(150)가 상부 제1 도어(30a)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펜서(150)는 상부 제2 도어(30ab), 하부 제1 도어(30b), 하부 제2 도어(30c) 및 본체(10)의 외상(12) 등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 공간을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캐비티(150a)가 마련될 수 있으며, 캐비티(150a)에는 디스펜서 노즐(152)과 디스펜서 레버(151)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 레버(151)를 가압하면 디스펜서 노즐(152)로부터 물 또는 얼음이 배출될 수 있다.
냉각부(160)는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부(160)는 냉매의 증발을 이용하여 저장실(20)의 온도를 일정한 범위 이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냉각부(160)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61)와,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액체 상태로 상태 변환시키는 응축기(162)와, 액체 상태의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기(163)와, 감압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 상태로 상태 변환시키는 증발기(164)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160)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기체 상태로 상태 변환하면서 주위 공기의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저장실(20)의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다만, 냉각부(160)가 압축기(161), 응축기(162), 팽창기(163) 및 증발기(164)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냉각부(160)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펠티어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펠티어 효과란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이 접하는 접촉면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어느 하나의 금속에서는 발열 현상이 발생하고, 다른 하나의 금속에서는 흡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냉각부(160)는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저장실(20)의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냉각부(160)는 자기 열효과(magneto-caloric effect)를 이용한 자기 냉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열효과란 특정한 물질(자기 열량 물질)이 자화되면 열을 방출하고, 특정한 물질(자기 열량 물질)이 탈자화되면 열을 흡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냉각부(160)는 자기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저장실(20)의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170)는 저장실(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저장실(2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내부 온도 센서들(inner temperature sensors) (171)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들(171)은 복수의 저장실(20a, 20b, 20c)에 각각 설치되어 복수의 저장실(20a, 20b, 20c) 각각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들(171) 각각은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180)는 제어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81)와, 음향 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182)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90)는 영상을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저(imager) (191)와, 이미저(19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저 컨트롤러(1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저(191)는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광 다이오드는 2차원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미저(191)는 복수의 광 다이오드가 2차원으로 배치된 CCD (Charge-Coupled Device) 영상 센서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영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저 컨트롤러(192)는 이미저(191)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미저(19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미저 컨트롤러(192)는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190)는 저장실(2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실(20)에 저장된 식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90)는 식품의 영상을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112)와, 메모리(112)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와 메모리(112)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저장 데이터, 통신부(140)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 데이터 및/또는 온도 감지부(170)를 통하여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메모리(11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화면 및/또는 영상을 기억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좌표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112)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2)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각종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112)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을 통하여 입력된 터치 입력을 처리하고, 터치 입력의 좌표에 따라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화면 및/또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고, 입력 데이터를 통신부(14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통신 데이터에 의한 영상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 및/또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냉장고(1)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 저장부(130), 통신부(140), 디스펜서(150), 냉각부(160), 온도 감지부(170), 오디오(180) 및 제어부(110)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냉장고(1)의 동작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이한 냉장고가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냉장고(1)는 통신부(140)를 통하여 다양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통신부(140)를 통하여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 (AP)에 접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와이파이(Wi-Fi™, IEEE 802.11), 블루투스(Bluetooth™, IEEE 802.15.1) 또는 지그비(Zigbee, IEEE 802.15.4) 등의 무선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접속 중계기(AP)에 접속할 수 있다.
무선 접속 장치(AP)는 "허브(hub)", "라우터(router)", "스위치(switch)", "게이트웨이(gateway)" 등 다양하게 불릴 수 있으며,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접속 장치(AP)에는 냉장고(1) 뿐만 아니라, 공기 조화기, 세탁기, 전기 오븐, 마이크로파 오븐, 로봇 청소기, 보안 카메라, 전등 및 텔레비전 등 다양한 가전기기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접속 장치(AP)에 접속된 가전기기들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접속 장치(AP)는 무선 접속 장치(AP)에 접속된 가전기기들에 의하여 형성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와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WAN)를 연결할 수 있다.
광역 네트워크(WAN)에는 냉장고(1)에 미리 정해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3)와, 사용자 장치들(2a, 2b: 2)이 접속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는 냉장고(1)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3)는 냉장고(1)의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관리하고, 냉장고(1)의 사용자가 입력한 사진, 동영상, 메모, 일정, 할 일, 스케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는 냉장고(1)의 요청에 따라 식품의 조리법을 검색하고, 조리법을 냉장고(1)에 제공할 수 있으며, 온라인으로 구매할 쇼핑 목록을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는 냉장고(1)로부터 수신된 사진, 동영상, 메모, 일정, 할 일, 스케치, 조리법, 쇼핑 목록 등을 사용자 장치들(2a, 2b: 2)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들(2a, 2b: 2)은 이동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통하여 광역 네트워크(WAN)에 접속하거나, 무선 접속 장치(AP)를 통하여 광역 네트워크(WAN)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들(2a, 2b: 2)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광역 네트워크(WAN)에 접속하고, 냉장고(1) 등 다른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들(2a, 2b: 2)은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이거나, 이동이 곤란한 고정형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들(2a, 2b: 2)은 휴대폰, 셀룰러 폰, 스마트폰,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컴퓨터, 노트북, PC (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데스크탑(desktop) 등 다양하게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장치들(2a, 2b: 2)의 구성 및 동작이 설명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또한,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사용자 장치(2)는 박스 형태의 본체(200)와, 본체(200)의 전면(前面)에 마련된 스크린(201)과, 본체(200)의 전면 또는 측면에 마련된 입력 버튼들(202, 203, 204)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사용자 장치(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사용자 장치(2)에 포함된 각종 구성을 수용하고, 보호할 수 있다.
스크린(201)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 버튼들(202, 203, 204)은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버튼들(202, 203, 204)은 사용자 장치(2)의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버튼(202)과, 사용자 장치(2)가 출력하는 음향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 버튼(203)과, 사용자 장치(2)의 스크린(201)에 표시되는 영상을 홈 스크린으로 변경하기 위한 홈 버튼(2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 저장부(230), 통신부(240), 카메라(250), 오디오(26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는 본체(200)의 스크린(20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21)과,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222)과, 디스플레이 패널(221) 및 터치 패널(222)을 구동/제어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2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21), 터치 패널(222)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223)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패널(121), 터치 패널(122)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과 크기 및 설치 위치에 차이가 있으나, 그 기능은 동일할 수 있다.
저장부(230)은 프로그램 또는 전원을 저장하고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는 대용량 플래시 메모리 또는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23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사용자 장치(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는 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과, 앨범 어플리케이션과, 메모 어플리케이션과, 투두 어플리케이션과, 스케치 어플리케이션과, 스케줄러 어플리케이션과,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과, 쇼핑 리스트 어플리케이션과, 뷰 인사이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10)의 저장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부(210)에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제어부(210)의 통신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40)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에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고, 무선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41) 및 이동 무선 통신 모듈(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2)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41)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무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41)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등의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무선 통신 모듈(242)은 기지국과 데이터를 무선으로 주고 받을 수 있으며, 기지국을 통하여 광역 네트워크(WAN)에 접속하거나 기지국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무선 통신 모듈(242)은 예를 들어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 및/또는 와이브로 에볼류션(Wireless Broadband Evolution) 등의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41)과 이동 무선 통신 모듈(242)은 각각 자유 공간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자유 공간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거나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변/복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50)는 영상을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저(251)와, 이미저(25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저 컨트롤러(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저(251)는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광 다이오드는 2차원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미저 컨트롤러(252)는 이미저(251)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미저(25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미저 컨트롤러(252)는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250)는 본체(201)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 촬영 대상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260)는 제어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61)와, 음향 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210)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2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 장치(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212)와, 메모리(212)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21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와 메모리(212)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1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된 저장 데이터, 통신부(240)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 데이터 및/또는 카메라(250)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212)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 D-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 이피롬, 이이피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는 각종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212)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을 통하여 입력된 터치 입력을 처리하고,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화면 및/또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1)는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데이터를 통신부(24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210)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 및/또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장치(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장치(2)의 동작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 장치(2)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 저장부(230), 통신부(240), 카메라(250), 오디오(260) 및 제어부(210)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고(1)와 사용자 장치(2)의 동작이 설명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홈 스크린을 도시한다.
냉장고(1)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가 활성화되면, 제어부(110)는 흠 스크린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홈 스크린에는 다양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요소들이 표시될 수 있다. GUI 요소들는 제1 홈 스크린(2010)에서 직접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위젯(widget)과, 저장부(1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icon)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홈 스크린(2010)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홈 스크린(2010)에는 온도 설정 GUI 요소(2011)가 표시될 수 있다. 온도 설정 GUI 요소(2011)는 상부 저장실(20a, 도 1 참조)의 온도, 하부 제1 저장실(20b, 도 1 참조)의 온도 및 하부 제2 저장실(20c, 도 1 참조)의 기능(냉장 또는 냉동)을 설정하는 온도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버튼(2011a)과, 상부 저장실(20a, 도 1 참조)의 온도를 표시하는 냉장 온도 영역(2011b)과, 하부 제1 저장실(20b, 도 1 참조)의 온도를 표시하는 냉동 온도 영역(2011c)과, 하부 제2 저장실(20c, 도 1 참조)의 기능(냉장 또는 냉동)을 표시하는 냉장/냉동 설정 영역(201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 스크린(2010)에는 냉장고 설정 GUI 요소(2012)가 표시될 수 있다. 냉장고 설정 GUI 요소(2012)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 디스펜서(150), 냉각부(160), 오디오(180) 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냉장고 설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냉장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냉장고(1)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제1 홈 스크린(2010)에는 스케줄러 GUI 요소(2013)가 표시될 수 있다. 스케줄러 GUI 요소(2013)는 일정을 관리하는 스케줄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버튼(2013a)과, 날짜 및 시간에 따른 사용자들의 스케줄을 표시하는 스케줄 영역(20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 스크린(2010)에는 메모 GUI 요소(2014)가 표시될 수 있다. 메모 GUI 요소(2014)는 메모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버튼(2014a)과, 사용자들에 의하여 입력된 메모를 표시하는 메모 영역(2014b)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메모 영역(2014b)에는 서로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메모를 각각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제1 홈 스크린(2010)에는 투두(To Do) GUI 요소(2015)가 표시될 수 있다. 투두 GUI 요소(2015)는 할 일을 기록하는 투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버튼(2015a)과, 할 일의 수행자를 표시하는 수행자 표시 영역(2015b)과, 사용자들에 의하여 입력된 할 일을 표시하는 할 일 표시 영역(2015c)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할 일 표시 영역(2015c)은 서로 다른 사용자의 할 일을 각각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제1 홈 스크린(2010)에는 스케치 GUI 요소(2016)가 표시될 수 있다. 스케치 GUI 요소(2016)는 스케치할 수 있는 스케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버튼(2016a)과, 스케치의 작성자를 표시하는 작성자 표시 영역(2016b)과, 사용자의 스케치를 표시하는 스케치 표시 영역(2016c)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케치 표시 영역(2016c)은 서로 다른 사용자의 스케치를 각각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제1 홈 스크린(2010)에는 뷰 인사이드 GUI 요소(2017)가 표시될 수 있다. 뷰 인사이드 GUI 요소(2017)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을 촬영하고 표시하는 뷰 인사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제1 홈 스크린(2010)에는 쇼핑 목록 GUI 요소(2018)가 표시될 수 있다. 쇼핑 목록 GUI 요소(2018)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온라인으로 구매할 상품을 관리하는 쇼핑 리스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제1 홈 스크린(2010)에는 모닝브리핑 GUI 요소(2019)가 표시될 수 있다. 모닝브리핑 GUI 요소(2019)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모닝브리핑을 위한 모닝브리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홈 스크린에는 냉장고(1)의 동작과 관련된 주요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GUI 요소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제1 홈 스크린(2010)은 홈 스크린의 일 예에 불과하며, 냉장고(1)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으며, 홈 스크린에 표시되는 GUI 요소 역시 도 8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홈 스크린의 GUI 요소들에 의하여 실행되는 냉장고(1)의 동작들이 설명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사용자를 추가하는 방법이 표시된다. 또한, 도 10, 도 11,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사용자 추가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를 추가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도시한다.
냉장고(1)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가 가정에 설치되는 경우, 가족 구성원들 모두가 냉장고(1)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는 여러 사람들(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을 사용자로 등록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사용자들은 모두 동일한 클래스 속하거나, 서로 다른 클래스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주 사용자(main user)와 보조 유저(sub user)로 구분될 수 있다. 주 사용자는 냉장고(1)의 사용자들을 대표할 수 있으며, 냉장고(1)의 대부분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를 서비스 서버(3)에 등록하기 위하여 주 사용자의 계정이 서비스 서버(3)에 등록될 수 있다. 보조 사용자들은 주 사용자와 함께 냉장고(1)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사용자들 각각의 계정은 보조 사용자로써 서비스 서버(3)에 등록될 수 있다.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와 함께, 냉장고(1)가 새로운 사용자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 방법(1000)이 설명된다.
냉장고(1)는 사용자의 추가 여부를 판단한다(101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들(주 사용자 및/또는 보조 사용자)은 새로운 사용자(보조 사용자)를 추가하기 위하여 냉장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홈 스크린(2010)에 표시된 냉장고 설정 GUI 요소(2012)에 대한 터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냉장고 설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스크린에서 사용자 추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추가 메뉴가 선택되면, 냉장고(1)는 사용자의 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를 추가하는 경우, 냉장고(1)는 새로운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102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새로운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정보 스크린(211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스크린(2110)은 사전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USER1, USER2, USER3, USER4)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스크린(2110)은 사전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USER1, USER2, USER3, USER4)의 식별 정보(2111)와, 새로운 사용자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등록 버튼(2112)과, 이전 스크린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뒤로 가기 버튼(2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들(USER1-USER4)의 식별 정보(2111)는 복수의 사용자들(USER1-USER4)을 각각 나타내는 식별 이미지(2111a)와, 복수의 사용자들(USER1-USER4)을 각각 나타내는 식별 문자(명칭, 별칭, 약칭 등)(2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이미지(2111a)와 식별 문자(2111b)는 해당 사용자를 나타내며, 냉장고(1)의 사용자들은 식별 이미지(2111a)와 식별 문자(2111b)을 통하여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로부터 구별할 수 있다.
사용자 등록 버튼(2112)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새로운 사용자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등록 스크린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11 및 도 12에 각각 도시된 제1 및 제2 사용자 등록 스크린(2120, 2130)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등록 스크린(2120)에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문자 및 식별 이미지가 입력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등록 스크린(2120)은 새로운 사용자의 식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식별 문자 입력 영역(2121)과, 새로운 사용자의 식별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식별 이미지 선택 영역(21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식별 문자 입력 영역(2121)에 새로운 사용자를 나타내는 명칭, 별칭, 약칭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식별 이미지 선택 영역(2122)에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2122a)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등록 스크린(2130)은 새로운 사용자와 연락하기 위한 연락처들이 입력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등록 스크린(2130)은 새로운 사용자의 전자 메일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메일 주소 입력 영역(2131)과, 새로운 사용자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전화 번호 입력 영역(213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일 주소 입력 영역(2131)에 입력된 메일 주소는 새로운 사용자를 대표하는 계정 명칭(account id.)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전화 번호 입력 영역(2132)에 입력된 전화 번호는 새로운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예를 들어, 휴대 전화)를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새로운 사용자가 사전에 서비스 서버(3)에 메일 주소와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한 경우, 새로운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2)와 냉장고(1)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 뿐만 아니라 냉장고(1)를 이용하여 새로운 사용자의 메모, 할 일, 스케치, 스케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등록 스크린(2130)을 통하여 입력된 메일 주소 및/또는 전화 번호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사용자가 어린 아이인 경우, 새로운 사용자의 메일 주소 및/또는 전화 번호가 없을 수 있으며, 메일 주소 및/또는 전화 번호가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 냉장고(1)는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서버(3)로 전송한다(1030).
냉장고(1)는 사용자의 식별 이미지, 식별 문자, 메일 주소 및/또는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통신부(1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3)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2)로 사용자 등록을 확인하기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1040).
냉장고(1)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계정의 도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비스 서버(3)는 사용자 장치(2)로 사용자 등록을 확인하기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3)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전화 번호를 기초로 사용자 장치(2)에 문자 메시지(S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문자 메시지는 냉장고(1)를 통하여 사용자 등록이 요청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코드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서버(3)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메일 주소를 기초로 사용자 장치(2)에 전자 메일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메일은 냉장고(1)를 통하여 사용자 등록이 요청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코드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에 수신된 사용자 등록 메시지(문자 메시지 및/또는 전자 메일)를 확인하고, 인증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인증 코드는 사전에 정해진 사용자 계정의 비밀 번호이거나, 서비스 서버(3)에 의하여 임의로 생성되어 사용자 장치(2)와 냉장고(1)에 전송된 일회용 비밀 번호(One Time Password, OTP)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2)는 서비스 서버(3)에 냉장고(1)의 새로운 계정 등록을 승인하는 등록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1050).
인증 코드가 입력되면, 사용자 장치(2)는 인증 코드를 서비스 서버(3)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3)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인증 코드와 사전에 저장된/생성된 인증 코드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인증 코드와 사전에 저장된/생성된 인증 코드가 일치하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다.
인증 코드에 의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장치(2)는 통신부(2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에 냉장고(1)의 새로운 계정 등록을 승인하는 등록 승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사용자 장치(2)에 의한 사용자 인증 동작(1040, 1050)은 선택적인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장고(1)에 메일 주소 및 전화 번호를 입력한 경우 이상의 사용자 인증 동작(1040, 1050)이 수행되나, 사용자가 냉장고(1)에 메일 주소 및 전화 번호를 입력하지 아니한 경우 이상의 사용자 인증 동작(1040, 1050)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등록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3)는 새로운 사용자를 등록한다(1060).
서비스 서버(3)는 냉장고(1)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새로운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3)는 냉장고(1)의 사용자 목록에 새로운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냉장고(1)에 메일 주소 및 전화 번호를 입력하지 아니한 경우 서비스 서버(3)는 냉장고(1)로부터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새로운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3)는 냉장고(1)에 사용자 등록 완료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1070).
서비스 서버(3)로부터 등록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냉장고(1)는 새로운 사용자를 등록한다(108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새로운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사용자 목록에 새로운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새로운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새로운 사용자를 냉장고(1)의 사용자로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새로운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목록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다른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다른 홈 스크린을 도시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복수의 사용자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
나아가, 냉장고(1)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에 대하여 표시되는 홈 스크린과 제2 사용자에 대하여 표시된 홈 스크린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와 함께, 냉장고(1)가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다른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1100)이 설명된다.
냉장고(1)는 사용자를 식별한다(1110).
냉장고(1)는 현재 냉장고(1)를 이용하는 중인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장고(1)에 접근하면, 냉장고(1)는 사용자의 음성, 형상, 움직임 등을 기초로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로부터 냉장고(1)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냉장고(1)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다양한 방법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화자 인식("voice recognition" or "speaker recognition")을 이용하여 냉장고(1)의 현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화자 인식은 개개인의 음성의 특징을 기초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을 의미한다.
냉장고(1)는 사용자 등록 중에 사용자의 음성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스펙트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사용자 등록 중에 오디오(18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고, 사용자 음성의 기준 스펙트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음성의 스펙트럼 정보는 음성의 주파수에 따른 신호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 음성의 기준 스펙트럼 정보를 사용자의 식별 명칭, 식별 이미지, 메일 주소 및/또는 전화 번호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등록된 이후, 냉장고(1)는 오디오(180)를 이용하여 주변으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고, 획득된 음성으로부터 스펙트럼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 스펙트럼 정보와 사전에 저장된 복수의 기준 스펙트럼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추출된 음성 스펙트럼 정보와 매칭되는 기준 스펙트럼 정보가 발견되면 냉장고(1)는 발견된 기준 스펙트럼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를 현재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음성 스펙트럼 정보와 제1 사용자(USER1)의 기준 스펙트럼 정보가 매칭되면 냉장고(1)는 현재 사용자를 제1 사용자(USER1)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냉장고(1)는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을 이용하여 냉장고(1)의 현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안면 인식은 개개인의 얼굴 생김을 기초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안면 인식을 위하여 냉장고(1)는 카메라(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 등록 중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준 특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얼굴의 특징 정보는 얼굴의 눈, 코, 입 등의 위치 및/또는 눈, 코, 입 사이의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 얼굴의 기준 특징 정보를 사용자의 식별 명칭, 식별 이미지, 메일 주소 및/또는 전화 번호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등록된 이후, 냉장고(1)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냉장고(1) 정면에 위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된 얼굴 이미지로부터 얼굴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추출된 얼굴 특징 정보를 사전에 저장된 복수의 기준 특징 정보를 비교하고, 추출된 얼굴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기준 특징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를 현재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냉장고(1)는 지문 인식("fingerprint recognition"), 홍채 인식("iris recognition") 및/또는 정맥 인식("Vein recognition")을 이용하여 냉장고(1)의 현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지문 인식은 개개인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에 형성된 지문의 형상을 기초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이며, 홍채 인식은 개개의 홍채에 형성된 주름의 형상을 기초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이다. 또한, 정맥 인식은 개개인의 손등 또는 손바닥 내에 형성된 정맥의 형성을 기초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이다.
지문 인식, 홍채 인식 및/또는 정맥 인식을 위하여 냉장고(1)는 적외선을 이용한 스캐너(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 등록 중에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 홍채 이미지 및/또는 정맥 이미지를 획득하고, 지문 이미지, 홍채 이미지 및/또는 정맥 이미지로부터 기준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지문, 홍채 및/또는 정맥의 특징 정보는 지문, 홍채 및/또는 정맥의 특징적인 형상의 존부 및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등록된 이후, 냉장고(1)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 홍채 이미지 및/또는 정맥 이미지를 획득하고, 지문, 홍채 및/또는 정맥의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추출된 홍채 및/또는 정맥의 특징 정보를 사전에 저장된 기준 특징 정보를 비교하고, 추출된 홍채 및/또는 정맥의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기준 특징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를 냉장고(1)의 현재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식별된 사용자의 홈 스크린을 표시한다(1120).
복수의 사용자들은 각각 그들의 홈 스크린을 설정할 수 있으며, 냉장고(1)는 사용자를 식별한 이후 식별된 사용자의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는 홈 스크린을 앞서 설명된 도 8에 도시된 제1 홈 스크린(20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냉장고(1)는 현재 사용자가 제1 사용자(USER1)으로 판단되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도 8에 도시된 제1 홈 스크린(20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USER2)는 홈 스크린을 도 14에 도시된 제2 홈 스크린(20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냉장고(1)는 현재 사용자가 제2 사용자(USER2)으로 판단되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제2 홈 스크린(2020)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홈 스크린(2020)은 온도 설정 GUI 요소(2021), 냉장고 설정 GUI 요소(2022), 스케줄러 GUI 요소(2023), 메모 GUI 요소(2024), 투두 GUI 요소(2025), 스케치 GUI 요소(2026), 뷰 인사이드 GUI 요소(2027), 쇼핑 목록 GUI 요소(2028), 및 모닝브리핑 GUI 요소(2029)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제2 홈 스크린(2020)의 GUI 요소들(2021-2029)의 배치는 제1 홈 스크린(2010)의 GUI 요소들(2011-2019)와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냉장고(1)는 제1 사용자(USER1)에 대하여 제1 홈 스크린(2010)을 표시하고, 제1 사용자(USER1)와 다른 제2 사용자(USER2)에 대하여 제1 홈 스크린(2010)와 다른 제2 홈 스크린(202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현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다른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메모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도 16, 도 17, 도 18 및 도 19은 도 15에 도시된 메모 생성/표시 방법에 따라 메모를 생성하고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들의 일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들은 냉장고(1)의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모를 입력할 수 있으며, 냉장고(1)는 사용자들이 입력한 메모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및 도 19와 함께, 냉장고(1)가 메모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메모 생성/표시 방법(1200)이 설명된다.
냉장고(1)는 메모의 추가 여부를 판단한다(121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메모의 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메모를 추가하기 위하여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홈 스크린(2010, 2020)에 표시된 메모 GUI 요소(2014, 2024)에 대한 터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메모 GUI 요소(2014, 2024)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메모의 추가를 판단할 수 있다.
메모를 추가하는 경우,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메모를 입력받고(1220), 사용자로부터 메모의 수신인과 발신인을 입력받는다(123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메모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메모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가 메모를 생성하고, 제4 사용자(USER4)에게 전달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모 표시 스크린(2210)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 표시 스크린(2210)에는 사용자들에 의하여 입력된 제1 및 제2 메모(2211, 2212)이 표시될 수 있다. 메모들(2211, 2212)은 각각 메모의 내용(2211a), 메모의 수신인(2211b) 및 메모의 발신인(2211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 표시 스크린(2210)에는 메모를 추가하기 위한 메모 추가 버튼(2213)과 사전에 입력된 메모들을 편집하기 위한 메모 편집 버튼(2214)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메모를 추가하기 위하여 메모 추가 버튼(2213)을 터치할 수 있으며, 기존의 메모를 편집하기 위하여 메모 편집 버튼(2214)을 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모 표시 스크린(2210)에 표시된 메모들(2211, 2212)을 터치하여 각각의 메모를 편집할 수 있다.
메모 추가 버튼(2213)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모 생성 스크린(2220)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메모 생성 스크린(2220)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메모가 표시되는 메모 표시 영역(2221)과, 메모를 생성하기 위한 도구를 선택하기 위한 도구 선택 영역(2222)과, 도구 선택 영역(2222)에서 선택된 도구를 표시하는 도구 표시 영역(2223)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 표시 영역(2221)에는 사용자가 도구 선택 영역(2222)에서 선택한 도구를 이용하여 입력한 메모(2221a)가 표시될 수 있다.
도구 선택 영역(2222)에는 사용자가 메모를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도구들(2222a-2222g)이 표시될 수 있다. 도구들(2222a-2222g)은 수신인/발신인 입력 도구(2222a), 문자 입력 도구(2222b), 음향 입력 도구(2222c), 그리기 도구(2222d), 스티커 입력 도구(2222e), 사진 입력 도구(2222f) 및 삭제 도구(2222g)를 포함할 수 있다.
도구 표시 영역(2223)에는 도구 선택 영역(2222)에서 선택된 도구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 도구(2222b)가 선택되면 도구 표시 영역(2223)에 문자, 숫자 및/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음향 입력 도구(2222c)가 선택되면 도구 표시 영역(2223)에 녹음 개시를 위한 녹음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그리기 도구(2222d)가 선택되면 도구 표시 영역(2223)에 펜, 붓, 스프레이 등의 다양한 그리기 도구가 표시될 수 있으며, 스티커 입력 도구(2222e)가 선택되면 도구 표시 영역(2223)에 입력 가능한 스티커들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수신인/발신인 입력 도구(2222a)가 선택되면 도구 표시 영역(2223)에 메모의 수신인을 선택하기 위한 수신인 선택 영역(2223a)과 메모의 발신인을 선택하기 위한 발신인 선택 영역(2223b)이 표시될 수 있다. 수신인 선택 영역(2223a)과 발신인 선택 영역(2223b)에는 각각 복수의 사용자들(USER1-USER5)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복수의 사용자들(USER1-USER5) 중에 메모의 수신인과 메모의 발신인을 선택할 수 있다.
메모가 추가되면 냉장고(1)는 추가된 메모를 표시한다(1240).
사용자가 메모 생성 스크린(2220)을 통하여 메모를 추가하면,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추가된 메모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모 표시 스크린(2230)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 표시 스크린(2230)에는 기존의 제1 및 제2 메모(2231, 2232)와 함께, 사용자로부터 새롭게 입력된 제3 메모(2233)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냉장고(1)는 메모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3)로 전송하고(1250), 서비스 서버(3)는 수신된 메모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한다(1260).
냉장고(1)로부터 메모 데이터가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3)는 수신된 메모 데이터를 저장하고, 메모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서버(3)는 메모 데이터를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메모 데이터를 메모의 발신인과 수신인에게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가 제4 사용자(USER4)에게 메모를 전달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3)는 제1 사용자(USER1)의 사용자 장치(2)와 제4 사용자(USER4)의 사용자 장치(2)로 메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는 수신된 메모 데이터에 의한 메모를 표시한다(1270).
사용자 장치(2)는 통신부(2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로부터 메모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부(230)에 수신된 메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메모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모 표시 스크린(2240)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 표시 스크린(2240)에는 기존의 제1 및 제2 메모(2241, 2242)에 추가로 서비스 서버(3)로부터 수신된 제3 메모(2243)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장치(2)는 메모의 수신인 또는 발신인이 사용자 장치(2)의 사용자인 메모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의 사용자가 제4 사용자(USER4)인 경우, 사용자 장치(2)는 메모의 수신인 또는 발신인이 제4 사용자(USER4)인 메모 즉 제3 메모(2243)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메모 표시 스크린(2240)에는 메모를 추가하기 위한 메모 추가 버튼(2244)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메모를 추가하기 위하여 메모 추가 버튼(2244)을 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메모를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으며, 생성된 메모를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메모는 메모의 내용 뿐만 아니라 수신인 및 발신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메모 표시 스크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화자 인식, 안면 인식,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정맥 인식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사용자에 따라 다른 홈 스크린(2010, 20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따라 다른 메모 표시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메모의 수신인 또는 발신인이 식별된 사용자인 메모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사용자가 제4 사용자(USER4)인 경우, 냉장고(1)는 메모의 수신인 또는 발신인이 제4 사용자(USER4)인 메모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제4 사용자(USER4)를 수신인(또는 발신인)으로 하는 제3 메모(2253)를 포함하는 메모 표시 스크린(225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현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다른 메모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할 일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도 22, 도 23, 도 24 및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할 일 생성/표시 방법에 따라 할 일을 생성하고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도시한다.
사용자들은 냉장고(1)의 투두(To D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할 일을 입력할 수 있으며, 냉장고(1)는 사용자들이 입력한 할 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1, 도 22, 도 23, 도 24 및 도 25와 함께, 냉장고(1)가 할 일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할 일 생성/표시 방법(1300)이 설명된다.
냉장고(1)는 할 일의 추가 여부를 판단한다(131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할 일의 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할 일을 추가하기 위하여 투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홈 스크린(2010, 2020)에 표시된 투두 GUI 요소(2015, 2025)에 대한 터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투두 GUI 요소(2015, 2025)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할 일의 추가를 판단할 수 있다.
할 일을 추가하는 경우,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할 일의 수행자를 선택받고(1320), 새로운 할 일의 내용을 입력받는다(133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할 일을 입력받을 수 있다.
냉장고(1)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할 일 표시 스크린(2310)을 표시할 수 있다. 할 일 표시 스크린(2310)에는 모든 사용자들(USER1-USER5)에 대한 할 일 목록들(2311-2315)이 표시될 수 있다. 할 일 표시 스크린(2310)에는 제1 사용자(USER1)에 대한 제1 할 일 목록(2311)과, 제2 사용자(USER2)에 대한 제2 할 일 목록(2312)과, 제3 사용자(USER3)에 대한 제3 할 일 목록(2313)과, 제4 사용자(USER4)에 대한 제4 할 일 목록(2314)과, 제5 사용자(USER5)에 대한 제5 할 일 목록(2315)이 표시될 수 있다.
할 일 목록 각각은 할 일의 수행자 및 할 일의 내용을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할 일 목록(2311)은 제1 사용자(USER1)의 할 일임을 나타내는 수행자 표시자(indicator) (2311a)와, 제1 사용자(USER1)의 할 일의 내용(231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할 일 표시 스크린(2310)에는 새로운 할 일의 목록을 추가하기 위한 할 일 추가 버튼(2316)과 사전에 입력된 할 일의 목록들(2311-2315)을 편집하기 위한 할 일 편집 버튼(2317)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할 일의 목록을 추가하기 위하여 할 일 추가 버튼(2316)을 터치할 수 있으며, 기존의 할 일의 목록들(2311-2315)을 편집하기 위하여 할 일 편집 버튼(2317)을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할 일 목록들(2311-2315)을 터치하여 각각의 사용자들(USER1-USER5)의 할 일을 추가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의 할 일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사용자(USER1)의 할 일이 표시된 제1 할 일 목록(2311)을 터치할 수 있다.
할 일 추가 버튼(2316) 또는 할 일 목록들(2311-2315)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할 일 추가 스크린(2320)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할 일 추가 스크린(2320)은 할 일을 수행할 사용자를 표시하는 수행자 표시 영역(2321)과, 할 일의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할 일 입력 영역(2322)과, 이미 입력된 할 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할 일 표시 영역(2323)과, 할 일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232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보드(2324)를 이용하여 할 일 입력 영역(2322)에 새로운 할 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할 일들은 할 일 표시 영역(2323)에 표시될 수 있다.
할 일이 추가되면,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추가된 할 일을 표시한다(1340).
사용자가 할 일 추가 스크린(2320)을 통하여 할 일을 추가하면,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추가된 할 일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할 일 표시 스크린(2330)을 표시할 수 있다. 할 일 표시 스크린(2330)은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할 일 목록(2331, 2332, 2333, 2334, 2335)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1 할 일 목록(2331)에는 새롭게 입력된 할 일의 내용(2331b)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냉장고(1)는 할 일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3)로 전송하고(1350), 서비스 서버(3)는 수신된 할 일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한다(1360).
냉장고(1)로부터 할 일 데이터가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3)는 수신된 할 일 데이터를 저장하고, 할 일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서버(3)는 할 일 데이터를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할 일 데이터를 할 일의 수행자에게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 일의 수행자가 제1 사용자(USER1)인 경우, 서비스 서버(3)는 제1 사용자(USER1)의 사용자 장치(2)로 할 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는 수신된 할 일 데이터에 의한 할 일을 표시한다(1370).
사용자 장치(2)는 통신부(2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로부터 할 일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부(230)에 수신된 할 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할 일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할 일 표시 스크린(2340)을 표시할 수 있다. 할 일 표시 스크린(2340)에는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사용자(USER1-USER5) 각각의 할 일을 나타내는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할 일 목록(2341, 2342, 2343, 2344, 2345)이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제1 할 일 목록(2341)은 서비스 서버(3)로부터 수신된 할 일의 내용(2341b)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장치(2)는 할 일의 수행자가 사용자 장치(2)의 사용자인 할 일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의 사용자가 제1 사용자(USER1)인 경우, 사용자 장치(2)는 할 일의 수행자가 제1 사용자(USER1)인 제1 할 일 목록(2341)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할 일 표시 스크린(2340)에는 할 일을 추가하기 위한 할 일 추가 버튼(2346)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할 일을 추가하기 위하여 할 일 추가 버튼(2346)을 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할 일을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으며, 생성된 할 일은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할 일은 할 일의 내용 뿐만 아니라 수행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할 일 표시 스크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화자 인식, 안면 인식,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정맥 인식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사용자에 따라 다른 홈 스크린(2010, 20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따라 다른 할 일 표시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할 일의 수행자가 식별된 사용자인 할 일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사용자가 제1 사용자(USER1)인 경우, 냉장고(1)는 할 일의 수행자가 제1 사용자(USER1)은 할 일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할 일 표시 스크린(2350)을 표시할 수 있으며, 할 일 표시 스크린(2350)에는 제1 사용자(USER1)를 수행자로 하는 제1 할 일 목록(2351)이 표시될 수 있다. 할 일 표시 스크린(2350)을 도 24에 도시된 할 일 표시 스크린(2330, 도 24 참조)와 비교하면, 도 24의 할 일 표시 스크린(2330, 도 24 참조)은 모든 사용자들(USER1-USER5)의 할 일 목록들(2331-2335, 도 24 참조)을 모두 표시하는 반면, 도 26의 할 일 표시 스크린(2350)은 제1 사용자(USER1)의 할 일(2351b)을 포함하는 제1 할 일 목록(2351)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현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다른 할일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스케치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도 28, 도 29, 도 30 및 도 31은 도 27에 도시된 스케치 생성/표시 방법에 따라 스케치를 생성하고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도시한다.
사용자들은 냉장고(1)의 스케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케치를 입력할 수 있으며, 냉장고(1)는 사용자들이 입력한 스케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1도 28, 도 29, 도 30 및 도 31와 함께, 냉장고(1)가 스케치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스케치 생성/표시 방법(1400)이 설명된다.
냉장고(1)는 스케치의 추가 여부를 판단한다(141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스케치의 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스케치를 추가하기 위하여 스케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홈 스크린(2010, 2020)에 표시된 스케치 GUI 요소(2016, 2026)에 대한 터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스케치 GUI 요소(2016, 2026)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스케치의 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스케치를 추가하는 경우,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스케치를 입력받고(1420), 새로운 스케치의 작성자를 입력받는다(143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스케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냉장고(1)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치 표시 스크린(2410)을 표시할 수 있다. 스케치 표시 스크린(2410)에는 사용자들에 의하여 입력된 스케치들(도 28의 제1 스케치(2411))이 표시될 수 있다. 스케치들 각각은 스케치된 이미지(2411a)와 스케치의 작성자(241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케치 표시 스크린(2410)에는 스케치를 추가하기 위한 스케치 추가 버튼(2412)과 사전에 입력된 스케치들을 편집하기 위한 스케치 편집 버튼(241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스케치를 추가하기 위하여 스케치 추가 버튼(2412)을 터치할 수 있으며, 기존의 스케치를 편집하기 위하여 스케치 편집 버튼(2413)을 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표시된 스케치를 터치하여 각각의 스케치를 편집할 수 있다.
스케치 추가 버튼(2412)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치 생성 스크린(2420)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스케치 생성 스크린(2420)은 스케치를 생성하기 이한 도구를 선택하는 도구 선택 영역(2421)과,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스케치가 표시되는 스케치 표시 영역(2422)과, 도구 선택 영역(2421)에서 선택된 도구를 표시하는 도구 표시 영역(24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구 선택 영역(2421)에는 사용자가 스케치를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도구들(2421a-2421g)이 표시될 수 있다. 도구들(2421a-2421g)은 작성자 입력 도구(2421a), 그리기 도구(2421b), 문자 입력 도구(2421c), 스티커 입력 도구(2421d), 사진 입력 도구(2421e), 동영상 입력 도구(2421f), 삭제 도구(2421g)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치 표시 영역(2422)에는 사용자가 도구 선택 영역(2421)에서 선택한 도구를 이용하여 입력한 스케치(2422a)가 표시될 수 있다.
도구 표시 영역(2423)에는 도구 선택 영역(2421)에서 선택된 도구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기 도구(2421b)가 선택되면 도구 표시 영역(2423)에 펜, 붓, 스프레이 등의 다양한 그리기 도구가 표시될 수 있으며, 문자 입력 도구(2421c)가 선택되면 도구 표시 영역(2423)에 문자, 숫자 및/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가 표시될 수 있다. 스티커 입력 도구(2421d)가 선택되면 도구 표시 영역(2423)에 입력 가능한 스티커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진 입력 도구(2421e)가 선택되면 도구 표시 영역(2423)에 다양한 사진들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작성자 입력 도구(2421a)가 선택되면 도구 표시 영역(2423)에 스케치의 작성자를 선택하기 위한 작성자 선택 영역(2423a)이 표시될 수 있다. 작성자 선택 영역(2423a)에는 복수의 사용자들(USER1-USER5)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복수의 사용자들(USER1-USER5) 중에 스케치의 작성자를 선택할 수 있다.
스케치가 추가되면 냉장고(1)는 추가된 스케치를 표시한다(1440).
사용자가 스케치 생성 스크린(2420)을 통하여 스케치를 추가하면,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추가된 스케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치 표시 스크린(2430)을 표시할 수 있다. 스케치 표시 스크린(2430)에는 기존의 제1 스케치(2431)와 함께, 사용자로부터 새롭게 입력된 제2 스케치(2432)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냉장고(1)는 스케치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3)로 전송하고(1450), 서비스 서버(3)는 수신된 스케치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한다(1460).
냉장고(1)로부터 스케치 데이터가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3)는 수신된 스케치 데이터를 저장하고, 스케치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서버(3)는 스케치 데이터를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스케치 데이터를 스케치의 작성자에게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치의 작성자가 제3 사용자(USER3)인 경우, 서비스 서버(3)는 제3 사용자(USER3)의 사용자 장치(2)로 스케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는 수신된 스케치 데이터에 의한 스케치를 표시한다(1470).
사용자 장치(2)는 통신부(2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로부터 스케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부(230)에 수신된 스케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스케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치 표시 스크린(2440)을 표시할 수 있다. 스케치 표시 스크린(2440)에는 기존의 제1 스케치(2441)에 추가로 서비스 서버(3)로부터 수신된 제2 스케치(2442)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장치(2)는 스케치의 작성자가 사용자 장치(2)의 사용자인 스케치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의 사용자가 제3 사용자(USER3)인 경우, 사용자 장치(2)는 스케치의 작성자가 제3 사용자(USER3)인 스케치 즉 제2 스케치(2442)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케치 표시 스크린(2440)에는 스케치를 추가하기 위한 스케치 추가 버튼(244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스케치를 추가하기 위하여 스케치 추가 버튼(2443)을 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스케치를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으며, 생성된 스케치를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케치는 스케치된 이미지 뿐만 아니라 작성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스케치 표시 스크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화자 인식, 안면 인식,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정맥 인식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사용자에 따라 다른 홈 스크린(2010, 20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따라 다른 스케치 표시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스케치의 작성자가 식별된 사용자인 스케치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사용자가 제3 사용자(USER3)인 경우, 냉장고(1)는 스케치의 작성자가 제3 사용자(USER3)인 스케치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제3 사용자(USER3)를 작성자로 하는 제2 스케치(2452)를 스케치 표시 스크린(245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현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다른 스케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스케줄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도 34, 도 35 및 도 36은 도 33에 도시된 스케줄 생성/표시 방법에 따라 스케줄을 생성하고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도시한다.
사용자들은 냉장고(1)의 스케줄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케줄을 입력할 수 있으며, 냉장고(1)는 사용자들이 입력한 스케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3, 도 34, 도 35 및 도 36과 함께, 냉장고(1)가 스케줄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스케줄 생성/표시 방법(1500)이 설명된다.
냉장고(1)는 스케줄의 추가 여부를 판단한다(151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스케줄의 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스케줄을 추가하기 위하여 스케줄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홈 스크린(2010, 2020)에 표시된 스케줄러 GUI 요소(2013, 2023)에 대한 터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스케줄러 GUI 요소(2013, 2023)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스케줄의 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스케줄을 추가하는 경우,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스케줄을 입력받고(1520), 사용자로부터 스케줄의 참가자를 입력받는다(153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스케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한 사용자를 스케줄의 참가자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가 스케줄을 생성하고, 제2 사용자(USER2)를 참가자로 지정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줄 표시 스크린(2510)을 표시할 수 있다. 스케줄 표시 스크린(2510)은 사용자들의 월간 스케줄이 표시되는 월간 스케줄 표시 영역(2511)과, 사용자들의 주간 스케줄이 표시되는 주간 스케줄 표시 영역(2512)을 포함할 수 있다. 월간 스케줄 표시 영역(2511)에는 현재 날짜가 속하는 달의 사용자의 스케줄이 날짜 별로 표시되며, 주간 스케줄 표시 영역(2512)에는 현재 날짜가 속하는 주의 사용자의 스케줄이 시간 별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스케줄 표시 스크린(2510)에는 스케줄을 추가하기 위한 스케줄 추가 버튼(251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스케줄을 추가하기 위한 스케줄 추가 버튼(2513)을 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케줄 표시 스크린(2510)에 표시된 스케줄들을 터치하여 각각의 스케줄을 편집할 수 있다.
스케줄 추가 버튼(2513)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줄 생성 스크린(2520)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스케줄 생성 스크린(2520)은 스케줄의 작성자를 선택하는 작성자 선택 영역(2521)과, 스케줄의 타이틀을 입력하기 위한 타이틀 입력 영역(2522)과, 스케줄의 날짜 및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날짜/시간 입력 영역(2523)과, 스케줄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위치 입력 영역(2524)과, 스케줄의 간단한 설명을 입력하기 위한 노트 입력 영역(2525)과, 스케줄의 참가자를 선택하기 위한 참가자 선택 영역(252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성자 선택 영역(2521)에서 스케줄의 작성자를 선택하고, 타이틀 입력 영역(2522), 날짜/시간 입력 영역(2523), 위치 입력 영역(2524) 및 노트 입력 영역(2525)에 스케줄의 타이틀, 날짜/시간, 위치 및 노트를 각각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참가자 선택 영역(2526)에서 스케줄의 참가자를 선택할 수 있다. 참가자 선택 영역(2526)에는 복수의 사용자들(USER1-USER5)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참가자 선택 영역(2526)에 표시된 복수의 사용자들(USER1-USER5) 중에 스케줄의 참가자를 선택할 수 있다.
스케줄이 추가되면 냉장고(1)는 추가된 스케줄을 표시한다(1540).
사용자가 스케줄 생성 스크린(2520)을 통하여 스케줄을 추가하면,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추가된 스케줄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냉장고(1)는 스케줄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3)로 전송하고(1550), 서비스 서버(3)는 수신된 스케줄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한다(1560).
냉장고(1)로부터 스케줄 데이터가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3)는 수신된 스케줄 데이터를 저장하고, 스케줄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서버(3)는 스케줄 데이터를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스케줄 데이터를 스케줄의 작성자와 참가자에게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의 스케줄에 제3 사용자(USER3)가 참가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3)는 제1 사용자(USER1)의 사용자 장치(2)와 제3 사용자(USER3)의 사용자 장치(2)로 스케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는 수신된 스케줄 데이터에 의한 스케줄을 표시한다(1570).
사용자 장치(2)는 통신부(2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로부터 스케줄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부(230)에 수신된 스케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스케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줄 표시 스크린(2530)을 표시할 수 있다. 스케줄 표시 스크린(2530)은 사용자들의 월간 스케줄이 표시되는 월간 스케줄 표시 영역(2531)과, 사용자들의 일간 스케줄이 표시되는 일간 스케줄 표시 영역(253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장치(2)는 스케줄의 작성자 또는 참가자가 사용자 장치(2)의 사용자인 스케줄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의 사용자가 제3 사용자(USER3)인 경우, 사용자 장치(2)는 스케줄의 작성자 또는 참가자가 제3 사용자(USER3)인 스케줄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 표시 스크린(2530)에는 스케줄을 추가하기 위한 스케줄 추가 버튼(253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스케줄을 추가하기 위하여 스케줄 추가 버튼(2533)을 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스케줄을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으며, 생성된 스케줄을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케줄은 스케줄의 내용 뿐만 아니라 작성자 및 참가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스케줄 표시 스크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화자 인식, 안면 인식,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정맥 인식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사용자에 따라 다른 홈 스크린(2010, 20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따라 다른 스케줄 표시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스케줄의 작성자 또는 참가자가 식별된 사용자인 스케줄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사용자가 제3 사용자(USER3)인 경우, 냉장고(1)는 스케줄의 작성자 또는 참가자가 제3 사용자(USER3)인 스케줄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스케줄 표시 스크린(2540)의 월간 스케줄 표시 영역(2541)과 주간 스케줄 표시 영역(2542)에 제3 사용자(USER3)를 작성자 또는 참가자로 하는 스케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현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다른 스케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쇼핑 목록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도 39, 도 40, 도 41 및 도 42는 도 38에 도시된 쇼핑 목록 생성/표시 방법에 따라 쇼핑 목록을 생성하고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도시한다.
사용자들은 냉장고(1)의 쇼핑 리스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쇼핑 목록을 입력할 수 있으며, 냉장고(1)는 사용자들이 입력한 쇼핑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8, 도 39, 도 40, 도 41 및 도 42와 함께, 냉장고(1)가 쇼핑 목록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쇼핑 목록 생성/표시 방법(1600)이 설명된다.
냉장고(1)는 쇼핑 목록의 추가 여부를 판단한다(161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쇼핑 목록의 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쇼핑 목록을 추가하기 위하여 쇼핑 리스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홈 스크린(2010, 2020)에 표시된 쇼핑 목록 GUI 요소(2018, 2028)에 대한 터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쇼핑 목록 GUI 요소(2018, 2028)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쇼핑 목록의 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쇼핑 목록을 추가하는 경우,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쇼핑 목록을 입력받는다(162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쇼핑 목록을 입력받을 수 있다.
냉장고(1)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쇼핑 목록 표시 스크린(2610)을 표시할 수 있다. 쇼핑 목록 표시 스크린(2610)에는 사용자들에 의하여 입력된 제1 쇼핑 목록들(2611)이 표시될 수 있다. 쇼핑 목록(2611)에는 사용자가 쇼핑할 항목(상품) (2611a)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쇼핑 목록 표시 스크린(2610)에는 쇼핑 목록을 추가하기 위한 쇼핑 목록 추가 버튼(2612)과, 사전에 입력된 쇼핑 목록들을 편집하기 위한 쇼핑 목록 편집 버튼(261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쇼핑 목록을 추가하기 위하여 쇼핑 목록 추가 버튼(2612)을 터치할 수 있으며, 기존의 쇼핑 목록을 편집하기 위하여 쇼핑 목록 편집 버튼(2613)을 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쇼핑 목록 표시 스크린(2610)에 표시된 쇼핑 목록(2611)를 터치하여 각각의 쇼핑 목록을 편집할 수 있다.
쇼핑 목록 추가 버튼(2612)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쇼핑 목록 생성 스크린(2620)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쇼핑 목록 생성 스크린(2620)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 중인 쇼핑 항목(상품)이 표시되는 쇼핑 항목 입력 영역(2621)과,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쇼핑 항목(상품)이 표시되는 쇼핑 항목 표시 영역(26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쇼핑 항목 입력 영역(2621)에 쇼핑할 항목(상품)을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쇼핑 항목(상품)은 쇼핑 목록에 추가되고 쇼핑 항목 표시 영역(2622)에 표시될 수 있다.
쇼핑 목록의 추가는 쇼핑 목록 생성 스크린(2620)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직접 생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레시피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쇼핑 목록이 추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레시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조리법을 검색할 수 있으며, 조리법에는 조리 방법 뿐만 아니라 식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레시피 어플리케이션의 조리법에 포함된 식재료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재료를 포함하는 쇼핑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쇼핑 목록이 추가되면 냉장고(1)는 추가된 쇼핑 목록을 표시한다(1630).
사용자가 쇼핑 목록 생성 스크린(2620)을 통하여 쇼핑 목록을 추가하면,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추가된 쇼핑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쇼핑 목록 표시 스크린(2630)을 표시할 수 있다. 쇼핑 목록 표시 스크린(2630)에는 기존의 제1 쇼핑 목록(2631)와 함께, 사용자로부터 새롭게 입력된 제2 쇼핑 목록(2632)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냉장고(1)는 쇼핑 목록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3)로 전송하고(1640), 서비스 서버(3)는 수신된 쇼핑 목록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한다(1650).
냉장고(1)로부터 쇼핑 목록 데이터가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3)는 수신된 쇼핑 목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쇼핑 목록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는 수신된 쇼핑 목록 데이터에 의한 쇼핑 목록을 표시한다(1660).
사용자 장치(2)는 통신부(2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로부터 쇼핑 목록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부(230)에 수신된 쇼핑 목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쇼핑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쇼핑 목록 표시 스크린(2640)을 표시할 수 있다. 쇼핑 목록 표시 스크린(2240)에는 기존의 제1 쇼핑 목록(2641)에 추가로 서비스 서버(3)로부터 수신된 제2 쇼핑 목록(2642)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쇼핑 목록 표시 스크린(2640)에는 쇼핑 목록을 추가하기 위한 쇼핑 목록 추가 버튼(264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쇼핑 목록을 추가하기 위하여 쇼핑 목록 추가 버튼(2643)을 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쇼핑 목록을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으며, 생성된 쇼핑 목록을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식품 목록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및 도 48은 도 43에 도시된 식품 목록 생성/표시 방법에 따라 식품 목록을 생성하고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도시한다.
사용자들은 냉장고(1)의 뷰 인사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저장실(20)에 저장된 식품을 추가할 수 있으며, 냉장고(1)는 저장실(20)에 저장된 식품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3,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및 도 48과 함께, 냉장고(1)가 식품 목록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식품 목록 생성/표시 방법(1700)이 설명된다.
냉장고(1)는 식품의 추가 저장 여부를 판단한다(1710).
냉장고(1)는 저장실(20)에 저장된 식품을 관리하기 위하여 저장실(20)에 새로운 식품이 추가로 저장되었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다양한 방법으로 새로운 식품의 추가 저장을 감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어(30)가 열린 후 닫히면 저장실(20)에 새로운 식품이 추가로 저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에 의하여 홈 스크린(2010, 2020)의 뷰 인사이드 GUI 요소(2017, 2027)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새로운 식품의 추가 저장을 판단할 수 있다. 뷰 인사이드 GUI 요소(2017, 2027)의 터치가 입력되면, 냉장고(1)는 뷰 인사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뷰 인사이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저장실(20)에 저장된 식품들을 촬영할 수 있으며, 식품들의 이미지를 기초로 식품을 관리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저장실(20)의 내부를 촬영하고(1720), 촬영된 저장실 이미지를 표시한다(1730).
도어(30)가 열린 후 닫히면 냉장고(1)는 뷰 인사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뷰 인사이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냉장고(1)는 저장실(20)의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저장실(20)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카메라(190)를 이용하여 저장실(2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90)는 복수의 저장실(20a, 20b, 20c) 각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저장실(20a, 20b, 20c) 각각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용량이 큰 상부 저장실(20a)에는 복수의 카메라(19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카메라(190)가 상부 저장실(20a) 전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카메라(190)를 이용하여 촬영한 저장실(20) 내부의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저장실(20)에는 각종 식품들이 저장되므로, 저장실(20) 내부의 이미지는 저장실(20)에 저장된 각종 식품들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0)의 내부 이미지를 포함하는 식품 관리 스크린(2710)을 표시할 수 있다.
식품 관리 스크린(2710)은 저장실(20)의 내부 이미지 표시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선택 영역(2711)과, 저장실(20)의 내부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영역(2712)과, 저장실(20)의 내부 이미지가 촬영된 시각을 표시하는 촬영 시각 표시 영역(2713)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선택 영역(2711)에는 저장실(20)의 내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표시 탭(2711a)과 저장실(20)에 저장된 식품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목록 표시 탭(2711b)이 표시될 수 있다.
이미지 표시 탭(2711a)이 선택되면, 식품 관리 스크린(2710)의 이미지 표시 영역(2712)에는 저장실(20)에 저장된 식품들(2712a, 2712b, 2712c, 2712d, 2712e)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표시 영역(2712)에는 제1 식품(2712a), 제2 식품(2712b), 제3 식품(2712c), 제4 식품(2712d) 및 제5 식품(2712e)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식품을 선택받는다(1740).
사용자는 식품 관리 스크린(2710)에 표시된 식품들(2712a, 2712b, 2712c, 2712d, 2712e)의 이미지를 확인하고, 표시된 식품들(2712a, 2712b, 2712c, 2712d, 2712e) 중에 저장실(20)에 추가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식품 관리 스크린(2710)에 표시된 식품들(2712a, 2712b, 2712c, 2712d, 2712e)의 이미지 중에 제1 식품(2712a)의 이미지를 터치할 수 있다.
제1 식품(2712a)의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품 추가 스크린(2720)을 표시할 수 있다.
식품 추가 스크린(2720)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식품이 표시되는 식품이미지 표시 영역(2721)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식품을 식품 목록에 추가하기 위한 식품 목록 추가 버튼(2722)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식품을 쇼핑 목록에 추가하기 위한 쇼핑 목록 추가 버튼(2723)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식품에 관한 메모를 생성하기 위한 메모 추가 버튼(2724)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식품(2712a)의 이미지를 터치하면, 냉장고(1)는 식품 이미지 표시 영역(2721)에 제1 식품(2712a)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식품 목록 추가 버튼(2722)을 터치하면, 냉장고(1)는 제1 식품(2712a)을 식품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쇼핑 목록 추가 버튼(2723)을 터치하면, 냉장고(1)는 제1 식품(2712a)을 쇼핑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메모 추가 버튼(2724)을 터치하면, 냉장고(1)는 제1 식품(2712a)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메모를 생성할 수 있다.
식품이 추가되면 냉장고(1)는 식품 목록을 표시한다(1750).
식품 추가 스크린(2720)에 의하여 식품이 식품 목록에 추가되면, 냉장고(1)는 추가된 식품을 포함하는 식품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식품 추가 스크린(2720)의 목록 표시 탭(2711b)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품 관리 스크린(2730)을 표시할 수 있다.
식품 관리 스크린(2730)은 저장실(20)에 저장된 식품 목록 표시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선택 영역(2731)과, 저장실(20)에 저장된 식품의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 표시 영역(273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선택 영역(2731)에는 저장실(20)의 내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표시 탭(2731a)과 저장실(20)에 저장된 식품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목록 표시 탭(2731b)이 표시될 수 있다.
목록 표시 탭(2731b)이 선택되면, 식품 관리 스크린(2730)의 목록 표시 영역(2732)에는 저장실(20)에 저장된 식품들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록 표시 영역(2732)에는 저장실(20)에 저장된 제1 식품의 이미지(2732a)와, 저장실(20)에 저장된 제1 식품의 명칭(2732b)가 표시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식품 관리 스크린(2710, 2730)을 통하여 식품을 관리하기 위한 식품의 이미지와 식품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냉장고(1)의 식품 관리 스크린(2710, 2730)을 이용하여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을 관리할 수 있다.
이후, 냉장고(1)는 식품 이미지와 식품 목록을 서비스 서버(3)로 전송하고(1760), 서비스 서버(3)는 수신된 식품 이미지와 식품 목록을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한다(1770).
냉장고(1)로부터 식품 이미지와 식품 목록이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3)는 수신된 식품 이미지와 식품 목록을 저장하고, 식품 이미지와 식품 목록을 사용자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는 수신된 식품 이미지를 표시한다(1780).
서비스 서버(3)로부터 식품 이미지가 수신되면, 사용자 장치(2)는 냉장고(1)의 내부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는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내부 이미지를 포함하는 식품 관리 스크린(2740)을 표시할 수 있다.
식품 관리 스크린(2740)은 냉장고(1)의 내부 이미지 표시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선택 영역(2741)과, 냉장고(1)의 내부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영역(2742)과, 냉장고(1)의 내부 이미지가 촬영된 시각을 표시하는 촬영 시각 표시 영역(2743)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선택 영역(2741)에는 냉장고(1)의 내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표시 탭(2741a)과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목록 표시 탭(2741b)이 표시될 수 있다.
이미지 표시 탭(2741a)이 선택되면, 식품 관리 스크린(2740)의 이미지 표시 영역(2742)에는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들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는 수신된 식품 목록을 표시한다(1790).
서비스 서버(3)로부터 식품 목록이 수신되면, 사용자 장치(2)는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이 목록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는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 목록을 포함하는 식품 관리 스크린(2750)을 표시할 수 있다.
식품 관리 스크린(2750)은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 목록 표시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선택 영역(2751)과,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의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 표시 영역(275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선택 영역(2751)에는 냉장고(1)의 내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표시 탭(2751a)과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목록 표시 탭(2751b)이 표시될 수 있다.
목록 표시 탭(2751b)이 선택되면, 식품 관리 스크린(2750)의 목록 표시 영역(2752)에는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들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식품 관리 스크린(2750)에는 식품을 추가하기 위한 식품 추가 버튼(275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식품을 추가하기 이하여 식품 추가 버튼(2753)을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는 식품 관리 스크린(2740, 2750)을 통하여 식품을 관리하기 위한 식품의 이미지와 식품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의 식품 관리 스크린(2740, 2750)을 이용하여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모닝브리핑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50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모닝브리핑 표시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51, 도 52, 도 53 및 도 5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모닝브리핑을 설정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도시한다. 또한, 도 5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모닝브리핑을 출력하기 위한 모닝브리핑 출력 스크린을 도시한다.
냉장고(1)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날씨, 스케줄 및/또는 뉴스를 포함하는 모닝브리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9, 도 50, 도 51, 도 52, 도 53, 도 54 및 도 55와 함께, 냉장고(1)가 사용자에게 모닝브리핑을 제공하는 모닝브리핑 방법(1800)이 설명된다.
냉장고(1)는 모닝브리핑을 제공할지를 판단한다(1810).
냉장고(1)는 사용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된 브리핑 조건이 만족되면 모닝브리핑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사용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된 시간에 모닝브리핑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닝브리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브리핑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홈 스크린(2010, 2020)에 표시된 모닝브리핑 GUI 요소(2019, 2029)에 대한 터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모닝브리핑 GUI 요소(2019, 2029)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닝브리핑 스크린(2810)을 표시할 수 있다.
모닝브리핑 스크린(2810)은 날짜와 시간을 표시하는 날짜/시간 표시 영역(2811)과,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브리핑 컨텐츠를 표시하는 브리핑 영역(2812, 2813, 2814)과, 음성 브리핑을 시작하기 위한 음성 브리핑 시작 버튼(2815)과, 브리핑 컨텐츠를 설정하기 위한 브리핑 설정 버튼(2816)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리핑 영역(2812, 2813, 2814)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브리핑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핑 영역(2812, 2813, 2814)에는 날씨 컨텐츠(2812), 스케줄 컨텐츠(2813) 및 뉴스 컨텐츠(2814)가 표시될 수 있다.
모닝브리핑 스크린(2810)의 음성 브리핑 시작 버튼(2815)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음성 브리핑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브리핑 중에 냉장고(1)는 브리핑 영역(2812, 2813, 2814)에 표시된 브리핑 컨텐츠 중에 문자 및/또는 숫자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성 브리핑 중에 냉장고(1)는 브리핑 컨텐츠를 읽어 줄 수 있다. 또한, 음성 브리핑 시작 버튼(2815)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아래에서 설명할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닝브리핑 스크린(2860)을 표시할 수 있다.
모닝브리핑 스크린(2810)의 브리핑 설정 버튼(2816)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모닝브리핑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브리핑 설정 스크린(2820)을 표시할 수 있다.
브리핑 설정 스크린(2820)은 자동 브리핑을 설정하기 위한 자동 브리핑 설정 영역(2821)과, 브리핑을 시작하는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브리핑 시작 설정 영역(2822)과, 브리핑되는 컨텐츠를 설정하기 위한 브리핑 컨텐츠 설정 영역(2823)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브리핑 설정 영역(2821)에는 자동 브리핑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자동 브리핑 활성화 버튼(2821a)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동 브리핑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하여 자동 브리핑 활성화 버튼(2821a)을 터치할 수 있다.
자동 브리핑이 활성화된 경우, 냉장고(1)는 브리핑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모닝브리핑을 제공할 수 있다.
자동 브리핑 활성화 버튼(2821a)에 의하여 자동 브리핑이 활성화되면 냉장고(1)는 브리핑 시작 시의 음성 브리핑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음성 브리핑 활성화 스크린(283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브리핑 활성화 스크린(2830)에는 음성 브리핑을 활성화하기 위한 음성 브리핑 활성화 버튼(2831)과, 음성 브리핑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음성 브리핑 비활성화 버튼(2832)이 표시될 수 있다. 음성 브리핑이 활성화되면 냉장고(1)는 모닝브리핑 개시 시에 자동으로 음성 브리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브리핑이 비활성화되면 냉장고(1)는 모닝브리핑 개시 시에 음성 브리핑을 보류하고 모닝브리핑 스크린만을 표시할 수 잇다.
브리핑 시작 설정 영역(2822)에는 모닝브리핑의 시작 시간을 설정/표시하기 위한 시작 시간 설정 영역(2822a)과, 모닝브리핑의 주간 반복을 설정/표시하기 이한 주간 반복 설정 영역(2822b)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시작 시간 설정 영역(2822a)을 터치하고, 모닝브리핑을 시작하기 위한 시각(예를 들어, 오전 6시)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주간 반복 설정 영역(2822b)을 터치하고, 모닝브리핑의 주간 반복(예를 들어, 매일 반복 또는 월/화/수/목/금 반복)을 입력할 수 있다.
브리핑 컨텐츠 설정 영역(2823)에는 모닝브리핑에 의하여 브리핑될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들(2823a)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브리핑될 컨텐츠를 설정하기 위하여 브리핑 컨텐츠 설정 영역(2823)을 터치할 수 있다.
브리핑 컨텐츠 설정 영역(2823)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브리핑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선택 스크린(284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선택 스크린(2840)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컨텐츠들(2841, 2842, 2843)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선택 스크린(2840)은 날씨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날씨 컨텐츠 체크 박스(2841)와, 스케줄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스케줄 컨텐츠 체크 박스(2842)와, 뉴스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뉴스 컨텐츠 체크 박스(284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선택 스크린(2840)에 표시된 복수의 체크 박스(2841, 2842, 2843) 중에 적어도 하는 체크할 수 있다.
컨텐츠 선택 스크린(2840)을 통하여 브리핑 컨텐츠가 선택되면, 냉장고(1)는 모닝브리핑 스크린(2810)에 선택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모닝브리핑의 제공이 판단되면(1810의 예), 냉장고(1)는 사용자에게 모닝브리핑을 제공한다(1820).
브리핑 설정 스크린(2820)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브리핑 조건(예를 들어, 브리핑 시작 시각)이 만족되면,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모닝브리핑을 위한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브리핑 활성화 스크린(2830)의 음성 브리핑 비활성화 버튼(2832)에 의하여 음성 브리핑이 비활성화된 경우, 냉장고(1)는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닝브리핑 개시 스크린(2850)을 표시할 수 있다.
모닝브리핑 개시 스크린(2850)에는 음성 브리핑을 시작하기 위한 음성 브리핑 시작 버튼(2851)과, 음성 브리핑을 거르기 위한 음성 브리핑 스킵 버튼(285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리핑 시작 버튼(2851)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모닝브리핑을 위한 컨텐츠를 표시하고, 오디오(180)을 통하여 브리핑 컨텐츠에 의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닝브리핑 스크린(2860)을 표시할 수 있다. 모닝브리핑 스크린(2860)은 날짜/시간 표시 영역(2861)과, 브리핑 영역(2862, 2863, 286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브리핑 영역(2862, 2863, 2864)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오디오(180)을 통하여 음향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모닝브리핑 스크린(2860)에는 오디오(180)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버튼(2865)과, 음향을 통하여 브리핑 컨텐츠의 출력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일시 정지 버튼(2867)과, 음향을 통하여 브리핑 컨텐츠의 출력을 재개하기 위한 브리핑 재개 버튼(2866)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볼륨 조절 버튼(2865)을 이용하여 음성 브리핑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일시 정지 버튼(2867)을 이용하여 음성 브리핑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으며, 브리핑 재개 버튼(2866)을 이용하여 음성 브리핑을 재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모닝브리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6 및 도 5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브리핑 표시 스크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화자 인식, 안면 인식,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정맥 인식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사용자에 따라 다른 홈 스크린(2010, 20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따라 다른 모닝브리핑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식별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모닝브리핑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사용자가 제2 사용자(USER2)인 경우, 냉장고(1)는 제2 사용자(USER2)가 선택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모닝브리핑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USER2)가 컨텐츠 선택 스크린(2840, 도 53 참조)을 통하여 날씨 컨텐츠와 스케줄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냉장고(1)는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닝브리핑 스크린(2870)을 표시할 수 있다. 모닝브리핑 스크린(2870)에는 날짜/시간(2871)과, 날씨 컨텐츠(2872)와, 스케줄 컨텐츠(2873)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오디오(180)를 통하여 날씨 컨텐츠(2872)와 스케줄 컨텐츠(2873)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식별된 사용자가 제3 사용자(USER3)인 경우, 냉장고(1)는 제3 사용자(USER3)가 선택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모닝브리핑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사용자(USER3)가 날씨 컨텐츠와 뉴스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냉장고(1)는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닝브리핑 스크린(2880)을 표시할 수 있다. 모닝브리핑 스크린(2880)에는 날짜/시간(2881)과, 날씨 컨텐츠(2882)와, 뉴스 컨텐츠(2884)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오디오(180)를 통하여 날씨 컨텐츠(2882)와 뉴스 컨텐츠(2884)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현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다른 컨텐츠를 갖는 모닝브리핑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게시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게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냉장고 2, 2a, 2b: 사용자 장치
3: 서비스 서버

Claims (20)

  1.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입력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컨텐츠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의 컨텐츠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른 사용자가 감지되면 다른 컨텐츠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메모, 상기 메모의 수신인 및 상기 메모의 발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수신인 또는 상기 발신인과 동일한 메모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해야 할 일 및 상기 해야 할 일의 수행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수행자과 동일한 해야 할 일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스케치 및 상기 스케치의 작성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작성자와 동일한 스케치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스케줄, 상기 스케줄의 작성자 및 상기 스케줄의 참가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작성자 또는 상기 참가자와 동일한 스케줄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날씨 정보, 스케줄 정보 및 뉴스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날씨 정보, 상기 스케줄 정보 및 상기 뉴스 정보 중에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음향을 출력하는 오디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음향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를 제어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각각 전송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다른 컨텐츠를 전송하는 냉장고.
  11. 제1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영상을 표시하고, 제2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컨텐츠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1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더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와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냉장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냉장고.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와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냉장고.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냉장고.
  16. 제1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사용자를 나타내는 사용자 이미지, 상기 제2 사용자를 나타내는 사용자 이미지 및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와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1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와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사용자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0170173017A 2017-01-03 2017-12-15 냉장고 KR20180080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61,271 US20180187969A1 (en) 2017-01-03 2018-01-0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1787P 2017-01-03 2017-01-03
US62/441,787 2017-0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107A true KR20180080107A (ko) 2018-07-11

Family

ID=6291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017A KR20180080107A (ko) 2017-01-03 2017-12-1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01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99A1 (ko) * 2018-07-13 2020-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WO2020080753A1 (ko) * 2018-10-18 2020-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2220427A1 (ko) * 2021-04-12 2022-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1531455B2 (en) 2018-10-18 202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99A1 (ko) * 2018-07-13 2020-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200007590A (ko) * 2018-07-13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WO2020080753A1 (ko) * 2018-10-18 2020-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531455B2 (en) 2018-10-18 202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WO2022220427A1 (ko) * 2021-04-12 2022-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87969A1 (en) Refrigerator
KR20180080107A (ko) 냉장고
KR102319804B1 (ko) 상품 구매 시스템, 상품 구매 방법 및 냉장고
US94078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n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camera
CN108021305B (zh) 应用关联启动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RU2562058C2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его способ работы и холодильник
CN104330996B (zh) 遥控方法及装置
KR20170076992A (ko) 냉장고
CN107703872A (zh) 家电设备的终端控制方法、装置及终端
WO2017143759A1 (zh) 提醒烹饪状态的方法及装置
WO2015062462A1 (en) Matching and broadcasting people-to-search
US20180139393A1 (en) Photo shooting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CN105306718A (zh) 事件提示方法及装置
US20130315439A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image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603497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mart home power supply
US202001342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objects in refrigerator
CN110418207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00404137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74226A (ko) 단말 및 콘텐츠 공유 방법
CN113260971A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WO2023125157A1 (zh) 消息发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11582179B2 (en) Information search method, terminal, network device, and system
CN103905837A (zh) 图像处理方法、装置及终端
KR102256290B1 (ko) 통신 그룹 생성 방법 및 장치
JP6495371B2 (ja) 冷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