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804B1 - 상품 구매 시스템, 상품 구매 방법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상품 구매 시스템, 상품 구매 방법 및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804B1
KR102319804B1 KR1020160180851A KR20160180851A KR102319804B1 KR 102319804 B1 KR102319804 B1 KR 102319804B1 KR 1020160180851 A KR1020160180851 A KR 1020160180851A KR 20160180851 A KR20160180851 A KR 20160180851A KR 102319804 B1 KR102319804 B1 KR 102319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ser
refrigerator
purchase request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536A (ko
Inventor
이민수
임경애
유이경
백유림
크리스 오마호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스터카드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스터카드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78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사용자 장치와 냉장고를 포함하는 상품 구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상품의 구매 요청이 입력되고, 상기 냉장고로 상기 상품의 구매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상품의 구매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상품의 구매 요청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매 요청된 상품을 주문하는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품 구매 시스템, 상품 구매 방법 및 냉장고{ITEM PURCHASE SYSTEM, ITEM PURCHASE METHOD AND REFRIGERATOR}
개시된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냉장고는 저장실의 온도 및 냉장고의 동작 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영상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최근 디스플레이는 정보 표시 기능뿐만 아니라, 정보 입력 기능까지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 냉장고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인터넷에 접속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냉장고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인터넷에 접속된 여러 서버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는 인터넷을 통하여 식품의 정보, 식품의 조리법 등 식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냉장고는 디스플레이와 통신 모듈을 통하여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개시된 바의 일 측면은 통신 장치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편리한 온라인 쇼핑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바의 일 측면에 따른 상품 구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상품의 구매 요청이 입력되고, 상기 상품의 구매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상품의 구매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상품의 구매 요청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매 요청된 상품을 주문하는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기; 상기 사용자 장치의 구매 요청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의 구매 요청을 수락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기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구매 요청된 상품을 주문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구매 요청된 상품의 정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구매 요청을 거절하기 위한 구매 요청 거절 버튼, 및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구매 요청을 수락하기 위한 구매 요청 수락 버튼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 영상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구매 요청 수락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구매 요청된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스크린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복수의 스토어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스토어 선택 버튼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스토어로부터 구매 가능한 상품들을 상기 복수의 스토어 별로 분리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스토어에 결재할 대금을 상기 복수의 스토어 별로 분리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냉장고로 상기 상품의 구매 요청을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계정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 상기 냉장고와 계정 연결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의 계정 연결 수락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냉장고의 계정에 상기 사용자 장치의 계정을 등록할 수 있다.
개시된 바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장치와 냉장고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치로 상품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상품의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냉장고로 상기 상품의 구매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 상기 상품의 구매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상품의 구매 요청을 상기 냉장고에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냉장고에 대한 상기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구매 요청된 상품을 주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의 구매 요청을 상기 냉장고에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구매 요청된 상품의 정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구매 요청을 거절하기 위한 구매 요청 거절 버튼, 및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구매 요청을 수락하기 위한 구매 요청 수락 버튼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 영상을 상기 냉장고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구매 방법은 상기 구매 요청 수락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구매 요청된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스크린을 상기 냉장고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구매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메시지를 상기 냉장고에 표시하는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구매 방법은 복수의 스토어로부터 구매 가능한 상품들을 상기 복수의 스토어 별로 분리하여 상기 냉장고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구매 방법은 복수의 스토어에 결재할 대금을 상기 복수의 스토어 별로 분리하여 상기 냉장고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바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품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기; 상기 사용자 장치의 구매 요청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치의 구매 요청을 수락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기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구매 요청된 상품을 주문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구매 요청된 상품의 정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구매 요청을 거절하기 위한 구매 요청 거절 버튼, 및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구매 요청을 수락하기 위한 구매 요청 수락 버튼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 영상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구매 요청 수락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구매 요청된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스크린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메시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개시된 바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편리한 온라인 쇼핑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홈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표시하는 로그인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표시하는 등록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표시하는 메인 쇼핑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표시하는 메인 쇼핑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표시하는 상품 정보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표시하는 구매 예정 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표시하는 대금 결재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가 표시하는 메인 쇼핑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3 및 도 2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가 표시하는 상품 검색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가 표시하는 상품 정보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로부터 냉장고로 구매 요청을 간략히 도시한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와 사용자 장치를 연결시키는 링크 방법을 도시한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와 사용자 장치를 연결시키기 위한 계정 정보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사용자 장치를 연동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구매 요청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구매 요청한 결과를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사용자 장치의 구매 요청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사용자 장치의 구매 요청에 의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사용자 장치를 연동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구매 요청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사용자 장치의 구매 요청을 표시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사용자 장치의 구매 요청에 의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전면(前面)이 개방된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며 식품이 냉장 및/또는 냉동 보관되는 저장실(20)과,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재(미도시)가 충진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수평 격벽(21)과 수직 격벽(22)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0)은 상부 저장실(20a)과, 하부 제1 저장실(20b)과, 하부 제2 저장실(20c)로 구획될 수 있다. 저장실(20)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23)과, 식품을 밀폐 보관하는 밀폐 용기(24)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도어(3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저장실(20a)은 상부 제1 도어(30aa)와 상부 제2 도어(30ab)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고, 하부 제1 저장실(20b)은 하부 제1 도어(30b)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으며, 하부 제2 저장실(20c)은 하부 제2 도어(30c)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도어(3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30)에는 핸들(31)이 마련될 수 있다. 핸들(31)은 상부 제1 도어(30aa)와 상부 제2 도어(30ab)의 사이와 하부 제1 도어(30b)와 하부 제2 도어(30c)의 사이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도어(30)가 폐쇄된 경우, 핸들(31)은 일체로 마련될 것과 같이 보여질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touch screen display) (120), 저장기(storage) (130), 통신기(communicator) (140), 디스펜서(dispenser) (150), 냉각기(cooler) (160), 온도 감지기(temperature sensor) (170), 오디오(audio) (180) 및 제어기(controller) (11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1)과,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122)과, 디스플레이 패널(121) 및 터치 패널(122)을 구동/제어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1)은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을 통하여 제어기(1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광학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1)은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패널(121)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21)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학적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채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122)은 터치 패널(12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122)은 전기적 저항값의 변화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로부터 터치 패널(12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는 터치 패널(122)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22)은 디스플레이 패널(121)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패널(122)은 영상이 표시되는 면 위에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121)에 표시되는 영상이 왜곡되지 않도록 터치 패널(122)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122)은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또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터치 패널(122)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패널(122)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접근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지점의 좌표 또는 접근 지점의 좌표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터치 패널을 채용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21) 및 터치 패널(1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는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검출하도록 터치 패널(122)를 제어하고, 제어기(1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학적 영상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1)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는 터치 패널(122)이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제어기(11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는 제어기(110)가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판단하도록 터치 패널(122)이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기(110)에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21) 및 터치 패널(12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21) 및 터치 패널(12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별도의 칩(chip)으로 마련되거나, 단일의 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터친 입력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어(3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상부 제2 도어(30ab)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제2 도어(30ab)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가 설명되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의 설치 위치가 상부 제2 도어(30ab)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상부 제1 도어(30aa), 하부 제1 도어(30b), 하부 제2 도어(30c) 및 본체(10)의 외상(12) 등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은 사용자가 일정 범위 이내로 접근할 때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웨이크 업(wake up)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가 활성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온(on)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일정 범위 이내에서 벗어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은 오프(off)상태가 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는 다양한 화면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화면 또는 영상은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된다.
저장기(130)은 프로그램 또는 전원을 저장하고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기(130)는 대용량 플래시 메모리 또는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13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기(130)는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기(130)는 냉장고(1)에 포함된 구성 및 자원(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과, 이미지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 어플리케이션과,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과, 일정을 관리하는 스케줄러 어플리케이션과, 메모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메모 어플리케이션과,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기(140)는 제어기(110)의 통신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기(1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1)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1)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무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1)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1)은 자유 공간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자유 공간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거나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변/복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물 또는 얼음을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디스펜서(140)를 통하여 도어(30)를 개방하지 않고도 물 또는 얼음을 외부로 직접 취출할 수 있다.
디스펜서(150)는 사용자의 배출 명령을 수신하는 디스펜서 레버(151)와, 물 또는 얼음을 배출하는 디스펜서 노즐(152)와, 디스펜서(15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펜서 표시 패널(15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150)는 도어(30) 또는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50)는 상부 제1 도어(30aa)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제1 도어(30a)에 설치된 디스펜서(150)가 설명되나, 디스펜서(150)가 상부 제1 도어(30a)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펜서(150)는 상부 제2 도어(30ab), 하부 제1 도어(30b), 하부 제2 도어(30c) 및 본체(10)의 외상(12) 등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 공간을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캐비티(150a)가 마련될 수 있으며, 캐비티(150a)에는 디스펜서 노즐(152)과 디스펜서 레버(151)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 레버(151)를 가압하면 디스펜서 노즐(152)로부터 물 또는 얼음이 배출될 수 있다.
냉각기(160)는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기(160)는 냉매의 증발을 이용하여 저장실(20)의 온도를 일정한 범위 이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냉각기(160)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61)와,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액체 상태로 상태 변환시키는 응축기(162)와, 액체 상태의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기(163)와, 감압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 상태로 상태 변환시키는 증발기(164)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기(160)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기체 상태로 상태 변환하면서 주위 공기의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저장실(20)의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다만, 냉각기(160)가 압축기(161), 응축기(162), 팽창기(163) 및 증발기(164)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냉각기(160)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펠티어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펠티어 효과란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이 접하는 접촉면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어느 하나의 금속에서는 발열 현상이 발생하고, 다른 하나의 금속에서는 흡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냉각기(160)는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저장실(20)의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냉각기(160)는 자기 열효과(magneto-caloric effect)를 이용한 자기 냉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열효과란 특정한 물질(자기 열량 물질)이 자화되면 열을 방출하고, 특정한 물질(자기 열량 물질)이 탈자화되면 열을 흡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냉각기(160)는 자기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저장실(20)의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온도 감지기(170)는 저장실(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저장실(2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내부 온도 센서들(inner temperature sensors) (171)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들(171)은 복수의 저장실(20a, 20b, 20c)에 각각 설치되어 복수의 저장실(20a, 20b, 20c) 각각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기(110)로 출력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들(171) 각각은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180)는 제어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81)와, 음향 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기(110)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10)는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112)와, 메모리(112)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데이터, 저장기(130)에 저장된 저장 데이터, 통신기(140)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 데이터 및/또는 온도 감지기(170)를 통하여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메모리(11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화면 및/또는 영상을 기억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좌표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112)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2)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각종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112)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을 통하여 입력된 터치 입력의 좌표를 처리하고, 터치 입력의 좌표에 따라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통신기(1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화면 및/또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와 메모리(112)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제어기(110)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 및/또는 저장기(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냉장고(1)의 동작은 제어기(110)의 제어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냉장고(1)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 저장기(130), 통신기(140), 디스펜서(150), 냉각기(160), 온도 감지기(170), 오디오(180) 및 제어기(110)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고(1)의 동작이 설명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홈 스크린을 도시한다.
냉장고(1)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기(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홈 스크린(500)을 표시하도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홈 스크린(500)에는 시간 및 날짜를 표시하는 시간/날짜 영역(510), 냉장고(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정보 영역(520) 및 저장기(1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런처들(530)이 표시될 수 있다.
시간/날짜 영역(510)에는 현재의 시간 정보와 현재의 날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시간/날짜 영역(510)에는 냉장고(1)가 위치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국가 또는 도시의 명칭)가 표시될 수 있다.
동작 정보 영역(520)에는 냉장고(1)에 포함된 복수의 저장실(20a, 20b, 20c)의 동작과 관련된 저장실 맵(521)이 표시될 수 있다.
저장실 맵(521)에는 냉장고(1)에 포함된 복수 저장실(20a, 20b, 20c)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 맵(521)에는 상부 저장실(20a), 하부 제1 저장실(20b) 및 하부 제2 저장실(20c)이 구획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상부 저장실(20a)의 목표 온도, 하부 제1 저장실(20b)의 목표 온도 및 하부 제2 저장실(20c)의 목표 온도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각각의 저장실(20a, 20b, 20c)을 나타내는 영역을 터치하면, 제어기(110)는 각각의 저장실(20a, 20b, 20c)의 목표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저장실 맵(521) 중에 상부 저장실(20a)을 나타내는 영역을 터치하면, 상부 저장실(20a)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영상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동작 정보 영역(520)에는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타이머 설정 아이콘(522)과, 냉장고 설정 아이콘(52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타이머 설정 아이콘(522)이 터치되면, 제어기(110)는 타이머의 목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 설정 스크린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타이머 설정 영상을 통하여 알람을 출력할 시각을 입력할 수 있으며, 냉장고(1)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시각에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냉장고 설정 아이콘(523)이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되면, 제어기(110)는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는 동작 설정 스크린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동작 설정 스크린을 통하여 냉장고(1)에 포함된 복수의 저장실(20a, 20b, 20c) 각각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디스펜서(150)를 통하여 물과 얼음 중에 어느 것이 배출될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홈 스크린(500)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저장기(130)에 저장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런처(530)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스크린(500)에는 사진을 표시하는 앨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앨범 런처(531), 음식의 조리법을 제공하는 레시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레시피 런처(532),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크린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스크린 설정 런처(533)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홈 스크린(500)에는 냉장고(1)를 통하여 각종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가전기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가전기기 제어 런처(534), 각종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음성 출력 설정 런처(535) 및 온라인 쇼핑을 위한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온라인 쇼핑 런처(536)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홈 스크린(500)에는 냉장고(1)의 동작과 관련된 주요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런처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도면은 홈 스크린(500)의 일 예에 불과하며, 냉장고(1)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으며, 홈 스크린에 표시되는 정보 및 런처 역시 도 5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이한 냉장고가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냉장고(1)는 통신기(140)를 통하여 다양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통신기(140)를 통하여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 (AP)에 접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와이파이(Wi-Fi™, IEEE 802.11), 블루투스(Bluetooth™, IEEE 802.15.1) 또는 지그비(Zigbee, IEEE 802.15.4) 등의 무선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접속 중계기(AP)에 접속할 수 있다.
무선 접속 장치(AP)는 "허브(hub)", "라우터(router)", "스위치(switch)", "게이트웨이(gateway)" 등 다양하게 불릴 수 있으며,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접속 장치(AP)에는 냉장고(1) 뿐만 아니라, 공기 조화기, 세탁기, 전기 오븐, 마이크로파 오븐, 로봇 청소기, 보안 카메라, 전등 및 텔레비전 등 다양한 가전기기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접속 장치(AP)에 접속된 가전기기들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접속 장치(AP)는 무선 접속 장치(AP)에 접속된 가전기기들에 의하여 형성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와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WAN)를 연결할 수 있다.
광역 네트워크(WAN)에는 냉장고(1)에 미리 정해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3a)와, 온라인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서버(3b) 등이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광역 네트워크(WAN)에는 사용자 장치들(2a, 2b)이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들(2a, 2b)은 이동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통하여 광역 네트워크(WAN)에 접속하거나, 무선 접속 장치(AP)를 통하여 광역 네트워크(WAN)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들(2a, 2b)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광역 네트워크(WAN)에 접속하고, 냉장고(1) 등 다른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들(2a, 2b)은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이거나, 이동이 곤란한 고정형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들(2a, 2b)은 휴대폰, 셀룰러 폰, 스마트폰,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컴퓨터, 노트북, PC (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데스크탑(desktop) 등 다양하게 불릴 수 있다.
냉장고(1)는 서비스 서버(3a) 및/또는 쇼핑몰 서버(3b) 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3a) 및/또는 쇼핑몰 서버(3b)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들(2a, 2b) 역시 서비스 서버(3a) 및/또는 쇼핑몰 서버(3b) 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3a) 및/또는 쇼핑몰 서버(3b)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표시하는 로그인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표시하는 등록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표시하는 메인 쇼핑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와 함께, 냉장고(1)를 서비스 서버(3a)에 등록하는 등록 방법(1000)이 설명된다.
냉장고(1)는 서비스 서버(3a)에 접속을 요청한다(1010).
사용자에 의하여 홈 스크린(500, 도 5 참조)에 표시된 온라인 쇼핑 런처(536)가 터치되면, 냉장고(1)는 온라인 쇼핑을 위한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냉장고(1)는 통신기(1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a)에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a)로의 접속 요청과 함께, 냉장고(1)는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 Unique Identifiers, UUID), 명칭(name),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등을 서비스 서버(3a)에 전송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3a)는 응답 신호를 냉장고(1)에 전송한다(1015).
이후, 냉장고(1)는 로그인 스크린(2010)을 표시한다(1020).
서비스 서버(3a)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로그인 스크린(2010)을 표시할 수 있으며, 냉장고(1)는 로그인 스크린(2010)을 통하여 로그인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그인 스크린(2010)을 표시할 수 있다.
로그인 스크린(2010)은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타이틀 영역(2011)과, 냉장고(1)를 서비스 서버(3a)에 등록하기 위한 등록 영역(2012)과, 냉장고(1)를 서비스 서버(3a)에 연결시키기 위한 로그인 영역(2013)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가 서비스 서버(3a)에 등록된 경우 사용자는 로그인 영역(2013)을 터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냉장고(1)에 서비스 서버(3a)에 연결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로그인 정보는 서비스 서버(3a)에 대한 계정 정보(예를 들어, Account ID) 및 서비스 서버(3a)에 대한 인증 정보(예를 들어, Passwo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가 서비스 서버(3a)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등록 영역(2012)을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냉장고(1)를 서비스 서버(3a)에 등록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냉장고(1)는 서비스 서버(3a)에 등록하기 위한 스크린(2020, 2030, 2040)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a)에 등록하기 위하여 냉장고(1)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1030).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사용자 정보 수집 스크린(202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정보 수집 스크린(202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수집 스크린(2020)은 사용자의 성명을 수집하기 위한 성명 수집 영역(2021)과,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의 계정 정보(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또는 Account ID)를 수집하는 계정 정보 수집 영역(2022)과,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예를 들어, password)를 수집하는 인증 정보 수집 영역(2023)과, 사용자의 성명, 계정 정보 및 인증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등록 버튼(2024)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를 서비스 서버(3a)에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 수집 스크린(2020)에 사용자의 성명과, 사용자의 계정 정보와,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정보 등록 버튼(2024)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서비스 서버(3a)에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의 성명, 계정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3a)에 등록하기 위하여 냉장고(1)는 사용자의 주소를 수집한다(1040).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주소를 수집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사용자 주소 수집 스크린(203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주소 수집 스크린(203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주소 수집 스크린(2030)은 사용자의 주소를 수집하기 위한 주소 수집 영역(2031)과, 사용자가 거주하는 도시, 행정 구역 및 국가를 수집하기 위한 행정 구역 수집 영역(2032)과, 사용자의 연락처(예를 들어, 전화번호 또는 휴대 전화번호)를 수집하기 위한 연락처 수집 영역(2033)과, 사용자의 주소, 행정 구역 및 연락처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주소 등록 버튼(2034)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를 서비스 서버(3a)에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주소 수집 스크린(2030)에 사용자의 주소와, 사용자가 거주하는 행정 구역과, 사용자의 연락처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주소 등록 버튼(2034)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서비스 서버(3a)에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의 주소, 행정 구역 및 연락처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주소 및 행정 구역은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입한 상품을 수령하기 위한 배송지로 이용될 수 있다.
이후,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쇼핑을 위한 스토어를 선택받는다(1050).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스토어를 선택받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스토어 선택 스크린(204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토어 선택 스크린(2040)을 표시할 수 있다.
스토어 선택 스크린(2040)은 제1 스토어(STORE #1)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스토어 선택 영역(2041)과, 제2 스토어(STORE #2)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스토어 선택 영역(2042)과,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어(STORE #1, STORE #2)를 등록하기 위한 스토어 등록 버튼(2043)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를 서비스 서버(3a)에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스토어 선택 스크린(2040)을 통하여 제1 스토어(STORE #1) 및 제2 스토어(STORE #2) 중에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하여 스토어 등록 버튼(2043)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사용자의 쇼핑을 위한 스토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냉장고(1)는 사용자의 계정 등록 정보를 서비스 서버(3a)로 전송한다(1060).
냉장고(1)는 통신기(1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a)에 사용자의 계정 등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계정 등록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명과, 사용자의 계정 정보와, 사용자의 인증 정보와, 사용자의 주소와, 사용자가 거주하는 행정 구역과, 사용자의 연락처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스토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계정 등록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3a)는 사용자의 계정 등록 정보를 저장한다(1070). 서비스 서버(3a)는 응답 신호를 냉장고(1)에 전송한다(1075).
서비스 서버(3a)는 사용자의 계정 등록 정보를 서비스 서버(3a)의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계정 등록 정보를 저장한 이후 냉장고(1)에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서비스 서버(3a)에 로그인을 요청한다(1080).
등록 이후 서비스 서버(3a)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로그인 스크린(2010)을 표시할 수 있으며, 냉장고(1)는 로그인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그인 스크린(2010)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로그인 영역(2013)을 터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냉장고(1)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서비스 서버(3a)에 연결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서비스 서버(3a)에 로그인 요청과 함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서비스 서버(3a)로 전송할 수 있다.
냉장고(1)의 로그인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3a)는 응답 신호를 냉장고(1)에 전송한다(1085).
서비스 서버(3a)는 사전에 저장된 사용자의 계정 등록 정보와 냉장고(1)로부터 수신된 로그인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사용자의 계정 등록 정보와 로그인 정보가 일치하면 서비스 서버(3a)는 냉장고(1)의 로그인을 허용하는 취지의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계정 등록 정보와 로그인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서비스 서버(3a)는 냉장고(1)의 로그인을 허용하지 않는 취지의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로그인이 허용되면 냉장고(1)는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한다(109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온라인 쇼핑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메인 쇼핑 스크린(205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 쇼핑 스크린(2050)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쇼핑 스크린(2050)은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타이틀 영역(2051)과,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상품 검색 영역(2052)과,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어(STORE #1, STORE #2)를 표시하는 스토어 영역(2053, 2054)과,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지원 정보 영역(20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검색 영역(2052)에는 사용자로부터 상품 검색을 위한 검색어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의 명칭, 상품의 카테고리 또는 상품의 관련어 등이 입력될 수 있다. 상품 검색 영역(2052)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냉장고(1)는 입력된 검색어를 서비스 서버(3a) (또는 쇼핑몰 서버(3b))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3a) (또는 쇼핑몰 서버(3b))로부터 검색어와 관련된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품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스토어 영역(2053, 2054)에는 스토어 선택 스크린(2040)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어(STORE #1, STORE #2)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토어 영역(2053)에는 제1 스토어(STORE #1)가 표시되고, 제2 스토어 영역(2054)에는 제2 스토어(STORE #2)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스토어(STORE #1, STORE #2) 각각에서 상품을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토어(STORE #1, STORE #2)에서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스토어 선택 버튼(2053a, 2054a)을 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토어 선택 버튼(2053a)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제1 스토어(STORE #1)가 판매하는 상품을 표시하고, 제2 스토어 선택 버튼(2054a)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제2 스토어(STORE #2)가 판매하는 상품을 표시할 수 있다.
지원 정보 영역(2055)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원 정보 영역(2055)은 사용자가 최근 구입한 상품의 정보, 사용자가 최근 구매를 예정한 상품의 정보, 스토어(STORE #1, STORE #2)에서 제공하는 상품의 할인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등록 이후 최초 로그인 시에는 지원 정보 영역(2055)에 아무런 정보도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서비스 서버(3a)에 등록하기 위하여 서비스 서버(3a)에 사용자의 계정 등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계정 등록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할 스토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표시하는 메인 쇼핑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표시하는 상품 정보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표시하는 구매 예정 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1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표시하는 대금 결재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및 도 18과 함께, 냉장고(1)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1100)이 설명된다.
냉장고(1)는 서비스 서버(3a)에 로그인을 요청한다(1110).
냉장고(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온라인 쇼핑을 위한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통신기(1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a)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로그인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서비스 서버(3a)에 연결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로그인 요청과 함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서비스 서버(3a)로 전송할 수 있다.
냉장고(1)의 로그인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3a)는 응답 신호를 냉장고(1)에 전송한다(1115).
서비스 서버(3a)는 사전에 저장된 사용자의 계정 등록 정보와 냉장고(1)로부터 수신된 로그인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냉장고(1)의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
로그인이 허용되면 냉장고(1)는 메인 쇼핑 스크린(2110)을 표시한다(112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온라인 쇼핑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메인 쇼핑 스크린(211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 쇼핑 스크린(2110)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쇼핑 스크린(2110)은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타이틀 영역(2111)과,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상품 검색 영역(2112)과,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어(STORE #1, STORE #2)를 표시하는 스토어 영역(2113, 2114)과, 구매된 상품의 배송 정보를 표시하는 배송 정보 영역(2115)과, 최근 구매된 상품을 표시하는 최근 구매 상품 영역(2116)과, 구매 예정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예정 목록 버튼(2118)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틀 영역(2111), 상품 검색 영역(2112) 및 스토어 영역(2113, 2114)은 도 12에 도시된 타이틀 영역(2051), 상품 검색 영역(2052) 및 스토어 영역(2053, 2054)과 동일할 수 있다.
배송 정보 영역(2115)은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매한 상품의 배송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 정보 영역(2115)은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의 배송 기한, 배송 상태, 배송 예정일/예정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배송 정보 영역(2115)을 통하여 구매한 상품의 배송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최근 구매 상품 영역(2116)에는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최근 구매한 상품들의 상품 정보(2117)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구매 상품 영역(2116)에는 상품 이미지(2117a)와, 상품의 명칭(2117b)과, 상품의 가격(2117c)과, 상품의 재구매를 위한 재구매 버튼(2117d)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최근 구매 상품 영역(2116)의 재구매 버튼(2117d)을 통하여 최근 구매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손쉽게 재구매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 버튼(2118)에는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매 예정한 상품들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예정 목록 버튼(2118)에는 구매 예정된 상품의 개수와 구매 예정된 상품의 대가의 총합이 표시될 수 있다.
구매 예정된 상품은 상품 구매를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하였으나 아직 대가를 결재하지 아니한 상품을 나타낼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은 구매 예정된 상품의 목록을 나타낼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품을 검색한다(1130).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상품 검색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인 쇼핑 스크린(2110)의 상품 검색 영역(2112)에 상품 검색을 위한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상품 검색 영역(2112)에 검색어 입력에 응답하여 냉장고(1)는 검색어와 관련된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상품 검색을 위하여 메인 쇼핑 스크린(2110)의 스토어 영역(2113, 2114)의 스토어 선택 버튼(2113a, 2114a)을 터치할 수 있다. 스토어 영역(2113, 2114)의 스토어 선택 버튼(2113a, 2114a) 터치에 응답하여 냉장고(1)는 각각의 스토어(STORE #1, STORE #2)가 판매하는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품 검색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냉장고(1)는 쇼핑몰 서버(3b)에 상품 정보를 요청한다(1140).
냉장고(1)는 통신기(140)를 통하여 쇼핑몰 서버(3b)에 상품 정보 요청과 함께, 상품 정보 요청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품 검색 영역(2112)에 검색어를 입력할 경우, 냉장고(1)는 쇼핑몰 서버(3b)에 사용자의 검색어와 관련된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토어 선택 버튼(2113a, 2114a)을 터치한 경우, 냉장고(1)는 쇼핑몰 서버(3b)에 선택된 스토어(STORE #1, STORE #2)가 판매하는 중인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상품 정보 요청은 쇼핑몰 서버(3b)로 직접 전송되거나, 서비스 서버(3a)를 거쳐 쇼핑몰 서버(3b)로 전송될 수 있다.
냉장고(1)의 상품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쇼핑몰 서버(3b)는 상품 정보를 냉장고(1)에 전송한다(1150).
쇼핑몰 서버(3b)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검색어와 관련된 상품들의 상품 정보 또는 스토어(STORE #1, STORE #2)가 판매하는 중인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품 정보는 예를 들어 상품의 이미지, 상품의 명칭, 상품의 가격, 상품의 재고 수량, 상품의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통신기(140)를 통하여 쇼핑몰 서버(3b)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쇼핑몰 서버(3b)로부터 상품 정보를 직접 수신하거나, 서비스 서버(3a)를 거쳐 쇼핑몰 서버(3b)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품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냉장고(1)는 상품 정보를 표시한다(1160).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쇼핑몰 서버(3b)로부터 수신된 상품 정보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15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품 정보 스크린(2120)을 표시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스크린(2120)은 상품 검색을 나타내는 타이틀 영역(2121)과, 상품의 추가 검색을 위한 상품 검색 영역(2122)과, 스토어(STORE #1, STORE #2)의 선택을 위한 스토어 선택 영역(2123, 2124)과, 상품의 표시 방법(카테고리에 다른 상품 표시 또는 선호 상품을 표시)을 변경하기 위한 표시 변경 영역(2125)과,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상품 정보 영역(2126)과, 구매 예정된 상품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구매 예정 목록 버튼(2127)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어 선택 영역(2123, 2124)은 제1 스토어(STORE #1)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스토어 선택 영역(2123)과, 제2 스토어(STORE #2)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스토어 선택 영역(212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1 스토어(STORE #1) 선택에 응답하여 상품 정보 영역(2126)에는 세1 스토어(STORE #1)의 상품 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제2 스토어(STORE #2) 선택에 응답하여 상품 정보 영역(2126)에는 제2 스토어(STORE #2)의 상품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 변경 영역(2125)은 상품의 카테고리에 따라 상품을 표시하기 위한 카테고리 선택 버튼(2125a)과, 사용자의 선호 여부에 따라 상품을 표시하기 위한 선호 상품 선택 버튼(2125b)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 선택 버튼(2125a)의 터치에 응답하여 상품 정보 영역(2126)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들의 상품 정보(2128)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빵을 선택한 경우, 상품 정보 영역(2126)에는 빵의 상품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선호 상품 선택 버튼(2125b)의 터치에 응답하여 상품 정보 영역(2126)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선호 상품들의 상품 정보(2129)가 표시될 수 있다.
상품 정보 영역(2126)에는 예를 들어 상품의 이미지(2128a, 2129a)와, 상품의 명칭(2128b, 2129b)과, 상품의 가격(2128c, 2129c)과, 상품의 구매를 위한 구매 예정 버튼(2128d, 2129d)이 표시될 수 있다.
구매 예정 버튼(2128d, 2129d)이 터치되면 상품은 구매 예정 목록에 추가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은 상품 구매를 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었으나 상품의 대가가 결재되지 않은 상품들의 목록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아래에서 설명할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140)을 통하여 구매 예정 목록에 포함된 상품들을 확인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 버튼(2127)에는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매 예정한 상품들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예정 목록 버튼(2127)에는 구매 예정된 상품의 개수와 구매 예정된 상품의 가격의 총합이 표시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 버튼(2127)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구매 예정 버튼(2128d, 2129d)에 의하여 추가된 구매 예정 상품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품 정보 스크린(2120)을 통하여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구매 예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구매를 위한 상품이 선택되면 냉장고(1)는 선택된 상품을 주문한다(1170).
상품 주문을 위하여 사용자는 구매할 상품을 확인하고, 상품의 대가를 지불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사용자가 구매 예정 상품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품의 대가를 지불하기 위한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140)을 표시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140)은 스토어(STORE #1, STORE #2) 별로 구매 예정 상품들의 구매 정보(2143, 2146)를 표시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140)은 제1 스토어(STORE #1)에서 구매 예정된 상품의 개수와 상품 가격의 총합이 표시된 제1 총 구매 정보 영역(2141)와, 제1 스토어(STORE #1)에서 구매 예정된 상품들의 구매 정보(2143)를 표시하는 제1 구매 정보 영역(2142)과, 제2 스토어(STORE #2)에서 구매 예정된 상품의 개수와 상품 가격의 총합이 표시된 제2 총 구매 정보 영역(2144)와, 제2 스토어(STORE #2)에서 구매 예정된 상품들의 구매 정보(2146)을 표시하는 제2 구매 정보 영역(214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140)은 상품의 대가를 결재하기 위한 대금 결재 진행 버튼(214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140)을 통하여 구매 예정된 상품들의 구매 정보(2143, 2146)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140)을 통하여 구매 예정 상품의 수량을 변경하거나, 구매를 취소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140)을 통하여 구매를 위한 상품들이 확인되면, 사용자는 대금 결재 진행 버튼(2147)을 터치할 수 있다.
이후, 냉장고(1)는 상품들의 대금 결재를 위한 대금 결재 스크린(2150)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대금 결재 스크린(2150)은 스토어(STORE #1, STORE #2) 별로 대금 결재를 위한 결재 대금을 표시할 수 있다.
대금 결재 스크린(2150)은 제1 스토어(STORE #1)에 지불할 결재 대금(2151)과, 제2 스토어(STORE #2)에 지불할 결재 대금(2152)와, 모든 스토어(STORE #1, STORE #2)에 지불할 총 결재 대금(2153)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대금 결재 스크린(2150)은 대금 결재를 위한 대금 결재 버튼(215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스토어(STORE #1)에 대금 결재를 선택하거나, 제2 스토어(STORE #2)에 대금 결재를 선택하거나, 모든 스토어(STORE #1, STORE #2)에 대금 결재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제1 스토어(STORE #1)과 제2 스토어(STORE #1)에 선택적으로 결재 대금을 지불하거나, 제1 스토어(STORE #1)과 제2 스토어(STORE #1) 모두에 결재 대금을 지불할 수 있다.
이후, 냉장고(1)는 서비스 서버(3a) 및/또는 쇼핑몰 서버(3b)에 상품의 주문 정보를 전송한다(1180).
냉장고(1)는 통신기(1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a) 및/또는 쇼핑몰 서버(3b)에 상품의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품의 주문 정보는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140)를 통하여 확정된 구매 상품에 관한 정보와, 대금 결재 스크린(2150)을 통하여 확정된 결재 대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3a)는 대금 결재를 완료하고, 쇼핑몰 서버(3b)의 스토어(STORE #1, STORE #2)는 상품을 사용자에게 배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냉장고(1)를 통하여 복수의 스토어(STORE #1, STORE #2)로부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특히, 상품의 대금 결재에 관하여, 사용자는 각각의 스토어(STORE #1, STORE #2)에 상품의 대금을 각각 결재하거나, 모든 스토어(STORE #1, STORE #2)에 상품의 대금을 일괄 결재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들과 연동하여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들은 독자적으로 사용자에게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장치들의 구성 및 동작이 설명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또한, 도 2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사용자 장치(2)는 박스 형태의 본체(200)와, 본체(200)의 전면(前面)에 마련된 스크린(201)과, 본체(200)의 전면 또는 측면에 마련된 입력 버튼들(202, 203, 204)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사용자 장치(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사용자 장치(2)에 포함된 각종 구성을 보호할 수 있다.
스크린(201)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 버튼들(202, 203, 204)은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버튼들(202, 203, 204)은 사용자 장치(2)의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버튼(202)과, 사용자 장치(2)가 출력하는 음향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 버튼(203)과, 사용자 장치(2)의 스크린(201)에 표시되는 영상을 홈 스크린으로 변경하기 위한 홈 버튼(2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 저장기(230), 통신기(240), 카메라(250), 오디오(260) 및 제어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는 본체(200)의 스크린(20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21)과,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222)과, 디스플레이 패널(221) 및 터치 패널(222)을 구동/제어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2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21), 터치 패널(222)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223)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패널(121), 터치 패널(122)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23)과 크기 및 설치 위치에 차이가 있으나, 그 기능은 동일할 수 있다.
저장기(230)은 프로그램 또는 전원을 저장하고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기(230)는 대용량 플래시 메모리 또는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23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기(230)는 사용자 장치(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기(230)는 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과, 영상 표시 어플리케이션과,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과, 스케줄러 어플리케이션과, 메모 어플리케이션과,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기(240)는 제어기(210)의 통신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기(240)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에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고, 무선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41) 및 이동 무선 통신 모듈(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2)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41)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무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41)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등의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무선 통신 모듈(242)은 기지국과 데이터를 무선으로 주고 받을 수 있으며, 기지국을 통하여 광역 네트워크(WAN)에 접속하거나 기지국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무선 통신 모듈(242)은 예를 들어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 및/또는 와이브로 에볼류션(Wireless Broadband Evolution) 등의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41)과 이동 무선 통신 모듈(242)은 각각 자유 공간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자유 공간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거나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변/복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50)는 영상을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저(imager) (251)와, 이미저(25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저 컨트롤러(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저(251)는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광 다이오드는 2차원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미저(251)는 복수의 광 다이오드가 2차원으로 배치된 CCD (Charge-Coupled Device) 영상 센서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영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저 컨트롤러(252)는 이미저(251)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미저(251)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미저 컨트롤러(252)는 영상 데이터를 제어기(2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카메라(250)는 촬영 대상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제어기(210)로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260)는 제어기(210)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61)와, 음향 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기(210)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2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10)는 사용자 장치(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212)와, 메모리(212)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211)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데이터, 저장기(230)에 저장된 저장 데이터, 통신기(240)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 데이터 및/또는 카메라(250)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212)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 D-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 이피롬, 이이피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는 각종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212)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와 메모리(212)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제어기(210)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 및/또는 저장기(2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장치(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장치(2)의 동작은 제어기(210)의 제어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 장치(2)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 저장기(230), 통신기(240), 카메라(250), 오디오(260) 및 제어기(210)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장치(2)의 동작이 설명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가 표시하는 메인 쇼핑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3 및 도 2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가 표시하는 상품 검색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2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가 표시하는 상품 정보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1, 도 22, 도 23, 도 24 및 도 25와 함께, 사용자 장치(2)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1200)이 설명된다.
사용자 장치(2)는 서비스 서버(3a)에 로그인을 요청한다(1210).
사용자 장치(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온라인 쇼핑을 위한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통신기(2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a)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는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획득하고, 로그인 정보를 서비스 서버(3a)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의 로그인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3a)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장치(2)에 전송한다(1215).
서비스 서버(3a)는 사전에 저장된 사용자의 계정 등록 정보와 사용자 장치(2)로부터 수신된 로그인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사용자 장치(2)의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
로그인이 허용되면 사용자 장치(2)는 메인 쇼핑 스크린(2210)을 표시한다(1220).
사용자 장치(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온라인 쇼핑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메인 쇼핑 스크린(221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 쇼핑 스크린(2210)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쇼핑 스크린(2210)은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타이틀 영역(2211)과,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상품 검색 영역(2212)과,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어(STORE #1, STORE #2)를 표시하는 스토어 영역(2213, 2214)과, 스토어(STORE #1, STORE #2) 별로 구매 예정된 상품들의 정보(예를 들어, 상품들의 개수 및 가격 등)를 표시하는 구매 예정 정보 영역(2215)과, 구매된 상품의 배송 정보를 표시하는 배송 정보 영역(2216)과, 구매 예정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예정 목록 버튼(2217)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틀 영역(2211), 상품 검색 영역(2212), 스토어 영역(2213, 2214), 배송 정보 영역(2216) 및 구매 예정 목록 버튼(2217)은 도 14에 도시된 타이틀 영역(2111), 상품 검색 영역(2112), 스토어 영역(2113, 2114), 배송 정보 영역(2115) 및 구매 예정 목록 버튼(2118)과 동일할 수 있다.
구매 예정 정보 영역(2215)은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매 예정한 상품들에 관한 정보를 스토어(STORE #1, STORE #2) 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예정 정보 영역(2215)에는 사용자가 제1 스토어(STORE #1)에서 구매 예정한 상품들의 개수 및 대가를 나타내는 제1 스토어 구매 예정 정보(2215a)와, 사용자가 제2 스토어(STORE #2)에서 구매 예정한 상품들의 개수 및 대가를 나타내는 제2 스토어 구매 예정 정보(2215b)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품을 검색한다(1230).
사용자 장치(2)는 사용자로부터 상품 검색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인 쇼핑 스크린(2210)의 상품 검색 영역(2212)에 상품 검색을 위한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쇼핑 스크린(2210)의 상품 검색 영역(2212)을 터치하면 사용자 장치(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품 검색 스크린(2230)을 표시할 수 있다.
상품 검색 스크린(2230)은 상품 검색을 나타내는 타이틀 영역(2231)과, 입력된 검색어를 표시하는 검색어 영역(2232)과, 입력된 검색어를 자동으로 완성하기 위한 검색어 자동 완성 영역(2233)과,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2234)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어 영역(2232)은 키패드(2234)를 통하여 입력된 검색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검색어 자동 완성 영역(2233)은 사용자가 쉽게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검색어 영역(2232)에 표시된 검색어와 관련된 상품의 명칭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검색어 영역(2232)에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바코드 입력 버튼(2232a)이 표시될 수 있다. 상품의 외관 또는 상품의 포장 등에 표시된 바코드를 이용하여 상품을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바코드 입력 버튼(2232a)을 터치할 수 있다.
바코드 입력 버튼(2232a)이 터치되면, 사용자 장치(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코드 입력 스크린(2240)을 표시할 수 있다.
바코드 입력 스크린(2240)은 바코드 입력을 나타내는 타이틀 영역(2241)과, 카메라(250)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는 바코드 표시 영역(224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의 카메라(250)를 이용하여 상품의 외관 또는 상품의 포장에 표시된 바코드를 촬영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2)는 바코드 표시 영역(2242)에 카메라(250)에 의하여 촬영된 바코드의 영상(2242a)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는 바코드의 영상(2242a)으로부터 상품의 명칭, 제조 회사 등의 상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검색어 입력 또는 바코드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치(2)는 검색어 또는 바코드와 관련된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상품 검색을 위하여 메인 쇼핑 스크린(2210)의 스토어 영역(2213, 2214)을 터치할 수 있다. 스토어 영역(2213, 2214)의 터치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치(2)는 각각의 스토어(STORE #1, STORE #2)가 판매하는 중인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품 검색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치(2)는 쇼핑몰 서버(3b)에 상품 정보를 요청한다(1240).
사용자 장치(2)는 통신기(240)를 통하여 쇼핑몰 서버(3b)에 상품 정보 요청과 함께, 상품 정보 요청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의 상품 정보 요청은 쇼핑몰 서버(3b)로 직접 전송되거나, 서비스 서버(3a)를 거쳐 쇼핑몰 서버(3b)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의 상품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쇼핑몰 서버(3b)는 상품 정보를 사용자 장치(2)에 전송한다(1250).
쇼핑몰 서버(3b)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검색어와 관련된 상품들의 상품 정보 또는 스토어(STORE #1, STORE #2)가 판매하는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는 쇼핑몰 서버(3b)로부터 상품 정보를 직접 수신하거나, 서비스 서버(3a)를 거쳐 쇼핑몰 서버(3b)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품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치(2)는 상품 정보를 표시한다(1260).
사용자 장치(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쇼핑몰 서버(3b)로부터 수신된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품 정보 스크린(2220)을 표시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스크린(2220)은 상품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타이틀 영역(2221)과, 스토어(STORE #1, STORE #2)의 선택을 위한 스토어 선택 영역(2223, 2224)과, 상품의 표시 방법(카테고리에 따른 상품 표시 또는 선호 상품을 표시)을 변경하기 위한 표시 변경 영역(2225)과,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상품 정보 영역(2226)과, 구매 예정된 상품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구매 예정 목록 버튼(2227)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어 선택 영역(2223, 2224), 표시 변경 영역(2225) 및 구매 예정 목록 버튼(2227)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스토어 선택 영역(2123, 2124), 표시 변경 영역(2125) 및 구매 예정 목록 버튼(2127)과 동일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영역(2226)에는 상품들의 상품 정보(2228)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 영역(2226)에는 상품의 이미지(2228a)와, 상품의 명칭(2228b)과, 상품의 가격(2228c)과, 상품의 구매를 위한 구매 예정 버튼(2228d)과, 상품의 구매 요청을 위한 구매 요청 버튼(2228e)이 표시될 수 있다.
구매 예정 버튼(2228d)이 터치되면 상품은 구매 예정 목록에 추가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은 상품 구매를 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었으나 상품의 대가가 결재되지 않은 상품들의 목록을 나타낸다.
구매 요청 버튼(2228e)이 터치되면 해당 상품의 구매 요청이 냉장고(1)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를 이용하여 상품을 선택하고, 냉장고(1)를 이용하여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2)를 이용하여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품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가 구매 요청한 상품을 냉장고(1)를 이용하여 주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2)를 이용하여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품을 냉장고(1)를 이용하여 주문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는 구매 요청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예를 들어, 냉장고의 사용자)에게 상품의 주문을 요청하거나, 사용자는 또한 서로 다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와 냉장고)에서 상품의 선택과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상품의 구매 요청은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된다.
사용자는 상품 정보 스크린(2220)을 통하여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구매를 예정하거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구매를 위한 상품이 선택되면 사용자 장치(2)는 선택된 상품을 주문하고(1270), 서비스 서버(3a)와 쇼핑몰 서버(3b)에 상품의 주문 정보를 전송한다(1280). 사용자 장치(2)의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3a)는 대금 결재를 완료하고, 쇼핑몰 서버(3b)의 스토어(STORE #1, STORE #2)는 상품을 사용자에게 배달할 수 있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로부터 냉장고로 구매 요청을 간략히 도시한다.
앞서 간략히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2)는 냉장고(1)에 상품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를 이용하여 상품을 선택하고, 냉장고(1)를 이용하여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는 상품 정보 스크린(2220)에 표시된 상품 정보 영역(2226)의 구매 요청 버튼(2228e)을 통하여 냉장고(1)에 상품 구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의 상품 구매 요청은 예를 들어 구매 요청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의 상품 구매 요청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3a)를 거쳐 냉장고(1)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의 상품 구매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사용자 장치(2)의 상품 구매 요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냉장고(1)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2)의 상품 구매 요청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구매 요청된 상품을 냉장고(1)를 통하여 주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장치(2)와 냉장고(1) 사이의 연동 동작이 자세하게 설명된다.
우선, 사용자 장치(2)와 냉장고(1) 사이의 연동 동작을 위하여 사용자 장치(2)와 냉장고(1)를 연결시키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와 사용자 장치를 연동시키는 링크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도 2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와 사용자 장치를 연결시키는 링크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27 및 도 28과 함께, 사용자 장치(2)와 냉장고(1)를 연동시키는 링크 방법(1300)이 설명된다.
냉장고(1)는 사용자의 계정 정보 스크린(2310)을 표시한다(1310).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메인 쇼핑 스크린(2110, 도 14 참조)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쇼핑 스크린(2110)에 사용자 계정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냉장고(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계정 정보 스크린(231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정 정보 스크린(2310)을 표시할 수 있다.
계정 정보 스크린(2310)은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 영역(2311)과, 선택된 스토어(STORE #1, STORE #2)를 편집하기 위한 스토어 편집 영역(2312)과, 결재 수단을 편집하기 위한 결재 수단 편집 영역(2313)과, 배송 목적지를 편집하기 위한 배송지 편집 영역(2314)과, 냉장고(1)와 연동되는 사용자 장치(2)의 목록을 편집하기 위한 링크 편집 영역(2315)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 영역(2311)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칭, 별칭, 이메일 주소, 연락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 영역(2311)에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식별 정보 편집 버튼(2311a)이 표시될 수 있다.
스토어 편집 영역(2312)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스토어(STORE #1, STORE #2)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토어 편집 영역(2312)에는 선택된 스토어(STORE #1, STORE #2)를 편집하기 위한 스토어 편집 버튼(2312a, 2312b)과, 온라인 쇼핑을 위한 스토어를 추가하기 위한 스토어 추가 버튼(2312c)이 표시될 수 있다.
결재 수단 편집 영역(2313)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결재 수단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신용 카드의 카드 번호 또는 결재 계좌의 계좌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결재 수단 편집 영역(2313)에는 선택된 결재 수단을 편집하기 위한 결재 수단 편집 버튼(2313a)과, 상품 대금 결재를 위한 결재 수단을 추가하기 위한 결재 수단 추가 버튼(2313b)이 표시될 수 있다.
배송지 편집 영역(2314)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배송 목적지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배송 목적지의 주소)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배송지 편집 영역(2314)에는 선택된 배송 목적지를 편집하기 위한 배송지 편집 버튼(2314a)과, 배송 목적지를 추가하기 위한 배송지 추가 버튼(2313b)이 표시될 수 있다.
링크 편집 영역(2315)은 냉장고(1)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사용자 장치(2)의 계정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링크 편집 영역(2315)에는 냉장고(1)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사용자 장치(2)의 계정을 추가하기 위한 링크 계정 추가 버튼(2315a)이 표시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장치(2)의 계정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1320).
사용자는 냉장고(1)가 사용자 장치(2)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사용자 장치(2)의 계정 연결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28에 도시된 링크 계정 추가 버튼(2315a)을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냉장고(1)는 사용자 장치(2)의 계정 연결 요청의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3a)에 전송한다(1330)
사용자가 도 28에 도시된 링크 계정 추가 버튼(2315a)을 터치하면, 냉장고(1)는 추가될 사용자 장치(2)의 연결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의 전화 번호) 또는 추가될 사용자의 연결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링크 계정 추가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링크 계정 추가 스크린을 통하여 추가될 사용자 장치(2)의 연결 정보 또는 추가될 사용자의 연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냉장고(1)는 통신기(1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a)로 사용자 장치(2) 또는 추가 사용자의 계정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계정 연결 요청과 함께 사용자 장치(2)의 연결 정보 또는 사용자의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계정 연결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3a)는 사용자 장치(2) 또는 사용자에게 계정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1340).
냉장고(1)의 계정 연결 요청을 수신한 서비스 서버(3a)는 계정 연결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2)의 연결 정보 또는 사용자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2) 또는 사용자에게 계정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3a)는 사용자 장치(2)의 연결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2)에 문자 메시지(S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문자 메시지는 냉장고(1)의 사용자로부터 계정 연결이 요청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와, 냉장고(1)와 연동하여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링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서버(3a)는 사용자의 연결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이메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메일은 냉장고(1)의 사용자로부터 계정 연결이 요청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와, 냉장고(1)와 연동하여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링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계정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치(2)는 냉장고(1)의 계정 연결 요청을 수락한다(1350).
서비스 서버(3a)의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확인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를 통하여 냉장고(1)의 계정 연결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에 포함된 링크 주소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2)에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냉장고(1)의 계정 연결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계정 연결 요청이 수락되면 사용자 장치(2)는 서비스 서버(3a)로 계정 연결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1360).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냉장고(1)의 계정 연결 요청을 수락되면, 사용자 장치(2)는 통신기(2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a)로 계정 연결 수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계정 연결 수락 메시지는 계정 연결을 요청한 냉장고(1)의 식별 정보와, 사용자 장치(2)의 식별 정보와, 계정 연결 요청을 수락한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의 계정 연결 수락 메시지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3a)는 냉장고(1)의 계정에 사용자 장치(2)의 계정을 연결한다(1370).
서비스 서버(3a)는 예를 들어 냉장고(1)와 연결된 계정들을 나타내는 연결 계정 목록에 사용자 장치(2)의 계정 정보 또는 사용자 장치(2)의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3a)는 냉장고(1)로 계정 연결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1380).
서비스 서버(3a)의 계정 연결 완료 메시지에 응답하여 냉장고(1)는 사용자 장치(2)의 계정을 연결한다(1390).
냉장고(1)는 예를 들어 냉장고(1)와 연결된 계정들을 나타내는 연결 계정 목록에 사용자 장치(2)의 계정 정보 또는 사용자 장치(2)의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냉장고(1)는 사용자 장치(2)에 계정 연결을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2)의 응답에 따라 냉장고(1)는 사용자 장치(2)의 계정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연결된 사용자 장치(2)와 연동하여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사용자 장치를 연동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구매 요청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구매 요청한 결과를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사용자 장치의 구매 요청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3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사용자 장치의 구매 요청에 의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및 도 33과 함께, 사용자 장치(2)와 냉장고(1)의 연동에 의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1400)이 설명된다.
사용자 장치(2)는 서비스 서버(3a)에 로그인을 요청한다(1410). 사용자 장치(2)의 로그인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3a)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장치(2)에 전송한다(1415). 또한, 사용자 장치(2)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품을 검색하고 상품 정보를 표시한다(1420).
동작 1410, 동작 1415 및 동작 1420에 의한 사용자 장치(2)의 동작은 도 21에 도시된 동작 1210, 동작 1215, 동작 1220, 동작 1230, 동작 1240, 동작 1250 및 동작 1260에 의한 사용자 장치(2)의 동작과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는 사용자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한다(1440).
사용자 장치(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품 정보 스크린(2410)을 표시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스크린(2410)은 상품 검색을 나타내는 타이틀 영역(2411)과, 스토어(STORE #1)의 선택을 위한 스토어 선택 영역(2412)과,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상품 정보 영역(24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영역(2413)에는 상품들의 상품 정보(2414)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 영역(2413)에는 상품의 이미지(2414a)와, 상품의 명칭(2414b)과, 상품의 가격(2414c)과, 상품의 구매 요청을 위한 구매 요청 버튼(2414d)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구매 요청 버튼(2414d)을 터치할 수 있다. 구매 요청 버튼(2414d)이 터치되면, 구매 요청 버튼(2414d)과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사용자 장치(2)에 입력될 수 있다.
구매 요청을 이용하면 사용자(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예를 들어, 냉장고의 사용자)에게 상품의 주문을 요청하거나, 사용자는 또한 서로 다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와 냉장고)에서 상품의 선택과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구매 요청된 상품들에 관한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 쇼핑 스크린(2430)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쇼핑 스크린(2430)은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타이틀 영역(2431)과,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상품 검색 영역(2432)과,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어(STORE #1)를 표시하는 스토어 영역(2433)과, 스토어 별로 구매 요청된 상품들의 정보(예를 들어, 상품들의 개수 및 가격 등)를 표시하는 구매 요청 정보 영역(2434)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틀 영역(2431), 상품 검색 영역(2432), 스토어 영역(2433)은 도 22에 도시된 타이틀 영역(2211), 상품 검색 영역(2212), 스토어 영역(2213, 2214)과 동일할 수 있다.
구매 요청 정보 영역(2434)에는 상품 구매를 요청한 상품들의 대가의 총합(2434a)이 표시되며, 냉장고(1)로 전송한 상품 구매 요청 정보(2435)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요청 정보 영역(2434)에는 구매 요청한 상품들의 상품 이미지(2435a)와, 구매 요청한 상품들의 상품 명칭(2435b)과, 구매 요청한 상품들의 상품 가격(2435c)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의 사용자는 구매 요청 정보 영역(2434)을 통하여 냉장고(1)에 구매 요청한 상품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매 요청의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치(2)는 서비스 서버(3a)로 상품 구매 요청을 전송한다(1440).
사용자 장치(2)는 통신기(2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a)로 상품 구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품 구매 요청은 예를 들어 상품 구매 메시지와, 구매 요청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구매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3a)는 냉장고(1)로 상품 구매 요청을 전송한다(1450).
상품 구매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냉장고(1)는 상품 구매 요청을 표시한다(1460).
냉장고(1)는 통신기(1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a)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사용자 장치(2)의 상품 구매 요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 쇼핑 스크린(2420)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쇼핑 스크린(2420)은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타이틀 영역(2421)과,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상품 검색 영역(2422)과,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어(STORE #1)를 표시하는 스토어 영역(2423)과, 구매 요청된 상품을 표시하는 구매 요청 상품 영역(2424)과, 구매 예정된 상품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매 예정 목록 버튼(2425)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틀 영역(2421), 상품 검색 영역(2422) 및 스토어 영역(2423)은 도 14에 도시된 타이틀 영역(2111), 상품 검색 영역(2112) 및 스토어 영역(2113, 2114)과 동일할 수 있다.
구매 요청 상품 영역(2424)에는 상품 구매 요청의 개수가 표시되며, 사용자 장치(2)로부터 수신된 상품 구매 요청 정보(2426)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요청 상품 영역(2426)에는 상품 구매를 요청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2426a)과, 구매 요청된 상품들의 상품 이미지(2426b)와, 구매 요청된 상품들의 상품 명칭(2426c)과, 구매 요청된 상품들의 상품 가격(2426d)과, 구매 요청을 거절하는 구매 거절 버튼(2426e)과, 구매 요청을 수락하는 구매 수락 버튼(2426f)이 표시될 수 있다.
냉장고(1)의 사용자는 사용자 식별 정보(2426a)를 통하여 상품 구매를 요청한 사용자(USER 1)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 정보(2426a)가 터치되면 냉장고(1)는 상품 구매를 요청한 사용자(USER 1)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냉장고(1)의 사용자는 상품 구매를 요청한 사용자(USER 1)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사용자는 상품 이미지(2426b), 상품의 명칭(2426c) 및 상품의 가격(2426d)을 통하여 구매 요청된 상품을 확인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사용자는 구매 요청된 상품을 확인한 이후 구매 요청을 거절하거나 수락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사용자는 구매 거절 버튼(2426e)을 통하여 구매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구매 거절 버튼(2426e)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구매 거절된 구매 요청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구매 거절 버튼(2426e)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서비스 서버(3a)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2)로 구매 거절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사용자는 구매 수락 버튼(2426f)을 통하여 구매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구매 수락 버튼(2426f)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구매 수락된 상품을 구매 예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매 요청된 상품이 구매 예정된 상품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구매 수락 버튼(2426f)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서비스 서버(3a)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2)로 구매 수락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 버튼(2425)에는 냉장고(1)의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매 예정한 상품들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예정 목록 버튼(2425)에는 구매 예정된 상품의 개수와 구매 예정된 상품의 가격의 총합이 표시될 수 있다. 구매 수락 버튼(2426f)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구매 예정 목록 버튼(2425)에 표시되는 구매 예정된 상품의 개수와 구매 예정된 상품의 대가의 총합을 갱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냉장고(1)는 구매 예정 목록 버튼(2425)에 표시되는 구매 예정된 상품의 개수와 대가에 구매 요청이 수락된 상품의 개수와 대가를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구매 요청이 수락되면 냉장고(1)는 구매 요청이 수락된 상품을 주문한다(1470).
상품 주문을 위하여 사용자는 구매할 상품을 확인하고, 상품의 대가를 지불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가 구매를 예정한 구매 예정 상품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품의 대가를 지불하기 위한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구매 요청에 의한 상품 구매를 위하여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440)을 표시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440)은 구매 요청에 의한 구매 예정 상품들의 구매 정보(2443)를 표시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440)은 스토어(STORE #1)에서 구매 예정된 상품의 개수와 상품 가격의 총합이 표시된 총 구매 정보 영역(2441)과, 스토어(STORE #1)에서 구매 예정된 상품들의 구매 정보(2443)이 표시된 구매 정보 영역(244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 예정된 상품들의 구매 정보(2443)는 구매 예정된 상품의 상품 이미지(2443a)와, 구매 예정된 상품의 상품 명칭(2443b)과, 구매 예정된 상품의 상품 가격(2443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440)은 상품의 대가를 결재하기 위한 대금 결재 진행 버튼(2444)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사용자는 구매 요청에 의하여 구매 예정된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440)을 통하여 상품들의 구매 정보(2443)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440)을 통하여 구매 예정 상품의 수량을 변경하거나, 구매를 취소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440)을 통하여 구매를 위한 상품들이 확인되면, 사용자는 대금 결재 진행 버튼(2444)을 터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냉장고(1)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대금 결재 스크린을 통하여 구매 요청된 상품들의 대금을 결재할 수 있다.
이후, 냉장고(1)는 서비스 서버(3a)와 쇼핑몰 서버(3b)에 상품의 주문 정보를 전송한다(1480).
냉장고(1)는 통신기(1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a)와 쇼핑몰 서버(3b)에 상품의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품의 주문 정보는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440)를 통하여 확정된 구매 상품에 관한 정보와, 대금 결재 스크린을 통하여 확정된 결재 대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3a)는 대금 결재를 완료하고, 쇼핑몰 서버(3b)의 스토어(STORE #1)는 상품을 사용자에게 배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를 이용하여 냉장고(1)에 상품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으며, 냉장고(1)의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로부터 구매 요청된 상품을 냉장고(1)를 이용하여 구매할 수 있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사용자 장치를 연동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구매 요청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사용자 장치의 구매 요청을 표시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3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가 사용자 장치의 구매 요청에 의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4, 도 35, 도 36 및 도 37과 함께, 사용자 장치(2)와 냉장고(1)의 연동에 의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1500)이 설명된다.
제1 사용자 장치(2a)는 제1 사용자(user 1)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서비스 서버(3a)로 상품 구매 요청을 전송한다(1510).
제1 사용자 장치(2a)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2a)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품 정보 스크린(2510)을 표시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스크린(2510)은 타이틀 영역(2511)과, 스토어 선택 영역(2512)과, 상품 정보 영역(25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품 정보 영역(2513)에는 상품의 이미지(2514a)와, 상품의 명칭(2514b)과, 상품의 가격(2514c)과, 구매 요청 버튼(2514d)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2514)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사용자(user 1)는 제2 상품(Product #2)의 구매 요청 버튼(2514d)을 터치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장치(2a)는 서비스 서버(3a)로 제2 상품(Product #2)의 구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a)는 냉장고(1)로 제1 사용자 장치(2a)의 상품 구매 요청을 전송한다(1520).
제2 사용자 장치(2b)는 제2 사용자(user 2)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서비스 서버(3a)로 상품 구매 요청을 전송한다(1530).
제2 사용자 장치(2b)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장치(2b)는 제1 사용자 장치(2a)와 동일하게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품 정보 스크린(2510)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사용자(user 2)는 제2 상품(Product #2)의 구매 요청 버튼(2514d)을 터치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장치(2b)는 서비스 서버(3a)로 제2 상품(Product #2)의 구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a)는 냉장고(1)로 제2 사용자 장치(2b)의 상품 구매 요청을 전송한다(1540).
상품 구매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냉장고(1)는 상품 구매 요청을 표시한다(1550).
냉장고(1)는 통신기(1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a)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2a, 2b)의 상품 구매 요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 쇼핑 스크린(2520)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쇼핑 스크린(2520)은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타이틀 영역(2521)과,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상품 검색 영역(2522)과,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어(STORE #1)를 표시하는 스토어 영역(2523)과, 구매 요청된 상품을 표시하는 구매 요청 상품 영역(2524)과, 구매 예정된 상품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매 예정 목록 버튼(2525)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틀 영역(2521), 상품 검색 영역(2522), 스토어 영역(2523) 및 구매 예정 목록 버튼(2525)은 도 32에 도시된 타이틀 영역(2421), 상품 검색 영역(2422), 스토어 영역(2423) 및 구매 예정 목록 버튼(2425)과 동일할 수 있다.
구매 요청 상품 영역(2524)에는 상품 구매 요청의 개수가 표시되며,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2a, 2b)로부터 수신된 상품 구매 요청 정보(2526, 2527)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요청 상품 영역(2424)에는 제1 사용자 장치(2a)로부터 수신된 제2 상품(Product #2)의 제1 상품 구매 요청 정보(2526)과, 제2 사용자 장치(2b)로부터 수신된 제2 상품(Product #2)의 제2 상품 구매 요청 정보(2524)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상품(Product #2)의 제1 상품 구매 요청 정보(2526)은 제2 상품(Product #2)을 구매 요청한 제1 사용자(user 1)의 사용자 식별 정보(2526a)와, 제2 상품(Product #2)의 상품 이미지(2526b)와, 제2 상품(Product #2)의 상품 명칭(2526c)과, 제2 상품(Product #2)의 상품 가격(2526d)과, 제2 상품(Product #2)의 구매 요청에 대한 구매 거절 버튼(2526e)과, 제2 상품(Product #2)의 구매 요청에 대한 구매 수락 버튼(2526f)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품(Product #2)의 제2 상품 구매 요청 정보(2527)은 제2 상품(Product #2)을 구매 요청한 제2 사용자(user 2)의 사용자 식별 정보(2527a)와, 제2 상품(Product #2)의 상품 이미지(2527b)와, 제2 상품(Product #2)의 상품 명칭(2527c)과, 제2 상품(Product #2)의 상품 가격(2527d)과, 제2 상품(Product #2)의 구매 요청에 대한 구매 거절 버튼(2527e)과, 제2 상품(Product #2)의 구매 요청에 대한 구매 수락 버튼(2527f)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냉장고(1)는 제1 사용자 장치(2a)로부터 수신된 구매 요청과 제2 사용자 장치(2b)로부터 수신된 구매 요청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제1 사용자 장치(2a)로부터 구매 요청된 상품(Product #2)와 제2 사용자 장치(2b)로부터 구매 요청된 상품(Product #2)가 동일한 경우에도 냉장고(1)는 제1 사용자 장치(2a)로부터 구매 요청된 제2 상품(Product #2)과 제2 사용자 장치(2b)로부터 구매 요청된 제2 상품(Product #2)을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사용자는 각각의 구매 거절 버튼(2526e, 2527e)을 통하여 구매 요청을 거절하거나, 각각의 구매 수락 버튼(2526f, 2527f)을 통하여 구매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각각의 구매 수락 버튼(2526f, 2527f)이 터치되면 냉장고(1)는 제1 사용자 장치(2a)의 제2 상품(Product #2)과 제2 사용자 장치(2b)의 제2 상품(Product #2)을 구매 예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구매 요청이 수락되면 냉장고(1)는 구매 요청이 수락된 상품을 주문한다(1560).
상품 주문을 위하여 사용자는 구매할 상품을 확인하고, 상품의 대가를 지불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가 구매를 예정한 구매 예정 상품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품의 대가를 지불하기 위한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는 구매 요청에 의한 상품 구매를 위하여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530)을 표시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530)은 구매 요청에 의한 구매 예정 상품들의 구매 정보(2533, 2534)를 표시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530)은 스토어(STORE #1)에서 구매 예정된 상품의 개수와 상품 가격의 총합이 표시된 총 구매 정보 영역(2531)과, 스토어(STORE #1)에서 구매 예정된 상품들의 구매 정보(2533, 2534)가 표시된 구매 정보 영역(253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 예정된 상품들의 구매 정보(2533, 2534)는 제1 사용자 장치(2a)로부터의 제2 상품(Product #2)의 구매 정보(2533)과, 제2 사용자 장치(2b)로부터의 제2 상품(Product #2)의 구매 정보(25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2a)로부터의 제2 상품(Product #2)의 구매 정보(2533)는 제2 상품(Product #2)의 상품 이미지(2533a)과, 제2 상품(Product #2)의 상품 명칭(2533b)과, 제2 상품(Product #2)의 상품 가격(253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장치(2b)로부터의 제2 상품(Product #2)의 구매 정보(2534)는 제2 상품(Product #2)의 상품 이미지(2534a)과, 제2 상품(Product #2)의 상품 명칭(2534b)과, 제2 상품(Product #2)의 상품 가격(253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냉장고(1)는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530)에 제1 사용자 장치(2a)로부터 구매 요청된 상품의 구매 정보(2533)와 제2 사용자 장치(2b)로부터 수신된 구매 요청된 상품의 구매 정보(2534)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제1 사용자 장치(2a)로부터 구매 요청된 상품(Product #2)와 제2 사용자 장치(2b)로부터 구매 요청된 상품(Product #2)가 동일한 경우에도 냉장고(1)는 제1 사용자 장치(2a)로부터 구매 요청된 제2 상품(Product #2)의 구매 정보(2533)과 제2 사용자 장치(2b)로부터 구매 요청된 제2 상품(Product #2)의 구매 정보(2534)를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530)은 상품의 대가를 결재하기 위한 대금 결재 진행 버튼(2535)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사용자는 구매 요청에 의하여 구매 예정된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530)을 통하여 상품들의 구매 정보(2533, 2534)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530)을 통하여 구매 예정 상품의 수량을 변경하거나, 구매를 취소할 수 있다.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530)을 통하여 구매를 위한 상품들이 확인되면, 사용자는 대금 결재 진행 버튼(2535)을 터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냉장고(1)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대금 결재 스크린을 통하여 구매 요청된 상품들의 대금을 결재할 수 있다.
이후, 냉장고(1)는 서비스 서버(3a)와 쇼핑몰 서버(3b)에 상품의 주문 정보를 전송한다(1570).
냉장고(1)는 통신기(1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a)와 쇼핑몰 서버(3b)에 상품의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품의 주문 정보는 구매 예정 목록 스크린(2530)를 통하여 확정된 구매 상품에 관한 정보와, 대금 결재 스크린을 통하여 확정된 결재 대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주문 정보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3a)는 대금 결재를 완료하고, 쇼핑몰 서버(3b)의 스토어(STORE #1)는 상품을 사용자에게 배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user 1, user 2)는 각각 사용자 장치(2a, 2b)를 이용하여 냉장고(1)에 상품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 장치(2a, 2b)로부터 수신된 구매 요청을 별도로 표시하고, 사용자 장치(2a, 2b)로부터 수신된 구매 요청을 별도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게시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게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냉장고 2, 2a, 2b: 사용자 장치
3a, 3b: 서버

Claims (20)

  1.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1 상품에 대한 제1 구매 요청을 전송하는 제1 사용자 장치;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2 상품에 대한 제2 구매 요청을 전송하는 제2 사용자 장치; 및
    통신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1 구매 요청 및 상기 제2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2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1 구매 요청 및 상기 제2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2 구매 요청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되,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상기 제1 구매 요청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상기 제2 구매 요청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주문하되, 상기 선택은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구매 요청을 거절하기 위한 구매 요청 거절 버튼과 구매 요청을 수락하기 위한 구매 요청 수락 버튼 중 어느 하나를 통한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상품 구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요청 수락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상품 및 상기 제2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주문하기 위한 주문 스크린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상품 구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상품 구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복수의 스토어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스토어 선택 버튼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상품 구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스토어로부터 구매 가능한 상품들을 상기 복수의 스토어 별로 분리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상품 구매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스토어에 결재할 대금을 상기 복수의 스토어 별로 분리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상품 구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1 구매 요청 및 상기 제2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2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냉장고로 상기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1 구매 요청 및 상기 제2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2 구매 요청을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상품 구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계정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로 상기 냉장고와 계정 연결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의 계정 연결 수락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냉장고의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는 상품 구매 시스템.
  11. 사용자 장치와 냉장고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1 상품에 대한 제1 구매 요청 및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2 상품에 대한 제2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1 구매 요청 및 상기 제2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2 구매 요청을 상기 냉장고에 표시하되,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상기 제1 구매 요청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상기 제2 구매 요청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과정; 및
    상기 냉장고의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주문하되, 상기 선택은 상기 구매 요청을 거절하기 위한 구매 요청 거절 버튼과 구매 요청을 수락하기 위한 구매 요청 수락 버튼 중 어느 하나를 통한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품 구매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요청 수락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상품 및 상기 제2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주문하기 위한 주문 스크린을 상기 냉장고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상품 구매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냉장고에 표시하는 더 포함하는 상품 구매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스토어로부터 구매 가능한 상품들을 상기 복수의 스토어 별로 분리하여 상기 냉장고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상품 구매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스토어에 결재할 대금을 상기 복수의 스토어 별로 분리하여 상기 냉장고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상품 구매 방법.
  17. 통신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기를 통하여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1 상품에 대한 제1 구매 요청 및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2 상품에 대한 제2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1 구매 요청 및 상기 제2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2 구매 요청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되,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상기 제1 구매 요청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상기 제2 구매 요청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고,
    냉장고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주문하되, 상기 선택은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구매 요청을 거절하기 위한 구매 요청 거절 버튼과 구매 요청을 수락하기 위한 구매 요청 수락 버튼 중 어느 하나를 통한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냉장고.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요청 수락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상품 및 상기 제2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주문하기 위한 주문 스크린을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냉장고.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냉장고.
KR1020160180851A 2015-12-29 2016-12-28 상품 구매 시스템, 상품 구매 방법 및 냉장고 KR102319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72286P 2015-12-29 2015-12-29
US62/272,286 2015-12-29
US15/391,181 2016-12-27
US15/391,181 US10891681B2 (en) 2015-12-29 2016-12-27 Item purchase, item purchase method and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536A KR20170078536A (ko) 2017-07-07
KR102319804B1 true KR102319804B1 (ko) 2021-11-02

Family

ID=5762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851A KR102319804B1 (ko) 2015-12-29 2016-12-28 상품 구매 시스템, 상품 구매 방법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91681B2 (ko)
EP (1) EP3188112A1 (ko)
KR (1) KR102319804B1 (ko)
CN (1) CN1069346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5708B2 (en) 2012-06-11 2016-11-15 Acorns Grow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onic interactive gaming-based investments
US11761701B2 (en) * 2016-01-25 2023-09-19 Sun Kyong Lee Refrigerator inventory device
CN117217862A (zh) * 2017-08-14 2023-12-12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系统及智能设备
KR102473583B1 (ko) * 2017-08-30 2022-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N107682881B (zh) * 2017-09-14 2020-10-27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无线中继器的参数配置方法、装置、中继器及存储介质
JP7211899B2 (ja) * 2018-07-03 2023-01-2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CN110012273A (zh) * 2019-05-08 2019-07-12 北京云迹科技有限公司 一种货柜监控的方法、系统和视频获取的方法
WO2021014209A1 (en) * 2019-07-21 2021-01-28 Trax Technology Solutions Pte Ltd. Electronic visual displays in retail stores
US10859993B1 (en) 2020-01-29 2020-12-08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smart appliance operation
CN113251739A (zh) * 2021-04-20 2021-08-13 华人运通(上海)云计算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冰箱的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6977B1 (en) * 1999-07-27 2005-04-05 The Foxboro Company Shared shopping basket management system
US7716086B2 (en) * 2001-08-31 2010-05-11 Gateway, Inc. Electronic retail order communication
US20030120574A1 (en) * 2001-11-15 2003-06-26 Foliof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investment advice marketplace
US20030208380A1 (en) * 2002-05-06 2003-11-06 Honeycutt Sarah L.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omprehensive health care
US20120203661A1 (en) * 2011-02-04 2012-08-09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E-commerce systems and methods
US20130254002A1 (en) * 2012-03-26 2013-09-26 Giftya Llc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and fulfilling offers associated with a recipient payment and delivery account
CN201368632Y (zh) * 2009-03-06 2009-12-23 闪联信息技术工程中心有限公司 一种网络冰箱
US9383134B2 (en) * 2009-06-03 2016-07-05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 dispensing system of a refrigerated appliance
US9779434B2 (en) * 2009-07-20 2017-10-03 Wenxuan Tonnison Online e-commerce and networking system with user-participated advertisements, joint online purchasing and dynamic user interactions
RU2555639C2 (ru) * 2009-12-02 2015-07-10 Нестек С.А.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с функциональной возможностью виртуальной покупки
CA2784321C (en) * 2009-12-13 2018-01-16 AisleBuye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urchasing products from a retail establishment using a mobile device
KR20120116207A (ko) * 2011-04-12 2012-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130214935A1 (en) * 2011-08-22 2013-08-22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KR101923435B1 (ko) * 2011-08-22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US20130191243A1 (en) * 2012-01-06 2013-07-25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13039B1 (ko) * 2012-09-20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CN102984039B (zh) * 2012-11-06 2016-03-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智能网关、智能家居系统及家电设备的智能控制方法
KR102002420B1 (ko) * 2013-01-18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기기를 이용하는 스마트 홈 시스템
US20140351080A1 (en) * 2013-05-24 2014-11-27 Retry Llc System and method for joint shopping cart
KR102202660B1 (ko) * 2013-09-23 202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745359A (zh) * 2013-12-25 2014-04-23 澳柯玛股份有限公司 一种普通冰箱的食物智能存储管理方法
US20160253691A1 (en) * 2015-02-26 2016-09-01 Edward Dante, Iii Method of Generating and Delivering Digital Product Coupons through Reverse Micro Coupon Auctions by Execut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Stored On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05094090A (zh) * 2015-07-03 2015-11-25 上海宏梭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智能冰箱及智能橱柜系统
CN105184627A (zh) * 2015-08-19 2015-12-23 杭州纳帕科技有限公司 一种一键购买小屏套件及其使用方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1147호(2013.03.05.)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8862호(2014.03.31.) 1부.*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08/0201239호(2008.08.21.) 1부.*
미국 등록특허공보 US6,876,977호(2005.04.05.)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536A (ko) 2017-07-07
US10891681B2 (en) 2021-01-12
US20170186074A1 (en) 2017-06-29
EP3188112A1 (en) 2017-07-05
CN106934681A (zh)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804B1 (ko) 상품 구매 시스템, 상품 구매 방법 및 냉장고
US20170186079A1 (en) Refrigerator
EP3139118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80187954A1 (en) Home appliance,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80187969A1 (en) Refrigerator
US9449208B2 (en) Compartmentalized smart refrigerator with automated item management
US20140304126A1 (en) Refrigerator and mobile terminal for food management
US9640174B2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1741513A (zh) 一种物联网设备的配网方法及相关设备
US1047510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4823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20140191855A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80080068A (ko) 가전 기기, 모바일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CN104050761A (zh) 一种适用于电子商务的智能存储箱
US1113422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53248A (ko) 조회 및 물품 주문 기능을 갖는 냉장고 보관 재료 관리용 디바이스 및 물품 주문 방법과 서비스
KR20170058581A (ko) 모바일 메신저로 조회 및 물품 주문 기능을 갖는 냉장고 보관 재료 관리용 디바이스 및 물품 주문 방법과 서비스
KR20180080107A (ko) 냉장고
TWM505017U (zh) 適地性訊息提供系統
US20160239901A1 (en) Food inventory and purchasing tool
US11620625B2 (en) Micromarket security system and method
KR20220100408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595649B1 (ko) 인공지능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하는 물품 구매 방법
US20230206204A1 (en) Micromarket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20200219047A1 (en) Methods of coordinating consumer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