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068A - 가전 기기, 모바일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 모바일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068A
KR20180080068A KR1020170024016A KR20170024016A KR20180080068A KR 20180080068 A KR20180080068 A KR 20180080068A KR 1020170024016 A KR1020170024016 A KR 1020170024016A KR 20170024016 A KR20170024016 A KR 20170024016A KR 20180080068 A KR20180080068 A KR 20180080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
user
icon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경
길환희
이문근
조아라
하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858,67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187954A1/en
Publication of KR20180080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0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22
    • H04M1/7258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가전 기기의 사용 또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고,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 과정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상품을 적시에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 모바일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전 상품 구매 시에 수행했던 동작을 반복하지 않고 편리하고 신속하게 상품을 재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가전 기기는, 상품을 즉시 구매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상품 별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주문 정보를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 기기, 모바일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HOME APPLIANCE,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서버와 통신 가능한 가전 기기, 서버를 통해 가전 기기와 통신 가능한 모바일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의 가전 기기가 통신 장치를 구비하여, 인터넷에 접속된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가전 기기가 서버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도 있고, 서버를 통해 다른 외부 서버와 연결되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한편, 냉장고와 같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가전 기기의 경우, 사용자가 가전 기기에 구비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된 여러 서버로부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사용 또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상품에 대한 구매 과정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상품을 적시에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전 상품 구매 시에 수행했던 동작을 반복하지 않고 편리하고 신속하게 상품을 재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가전 기기는, 상품을 즉시 구매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상품 별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주문 정보를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의배송지 정보 및 상기 상품의 구매에 사용되는 결제 수단에 관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의 이전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신호를 상기 주문 정보와 함께 상기 판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한 구매의 확인을 입력 받기 위한 구매 확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매 확인 화면에 표시된 구매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신호를 상기 판매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신호를 상기 주문 정보와 함께 상기 판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한 구매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구매 완료 확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가전 기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하여 상기 판매 서버에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품의 구매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생성된 즉시 구매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품의 구매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품의 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의 구매가 필요함을 알려주는 구매 필요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상품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을 점멸시키거나, 상기 즉시 구매 아이콘의 컬러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즉시 구매 아이콘의 크기를 변경하여 상기 구매 필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가전 기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가전 기기 중 다른 가전 기기에 필요한 상품의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이 구매 예정 목록에 포함되었음을 알려주는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구매 예정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명령 버튼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구매 명령 버튼을 상기 판매 서버 별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매 명령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구매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구매 명령 버튼에 대응되는 판매 서버에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품은 냉장고에 사용되는 필터, 에어컨에 사용되는 필터, 공기 청정기에 사용되는 필터, 냉장고에 저장되는 식품 및 세탁기에 사용되는 세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고에 사용되는 필터, 에어컨에 사용되는 필터 및 공기 청정기에 사용되는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가 완료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또는 상기 필터의 교체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필터의 교체 가이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은, 상품을 즉시 구매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상품 별로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주문 정보를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의 배송지 정보 및 상기 상품의 구매에 사용되는 결제 수단에 관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신호를 상기 주문 정보와 함께 상기 판매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한 구매의 확인을 입력 받기 위한 구매 확인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 확인 화면에 표시된 구매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신호를 상기 판매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신호를 상기 주문 정보와 함께 상기 판매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한 구매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구매 완료 확인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전 기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가전 기기 중 다른 가전 기기에 필요한 상품의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가전 기기, 모바일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에 의하면,가전 기기의 사용 또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고,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 과정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상품을 적시에 편리하게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전 상품 구매 시에 수행했던 동작을 반복하지 않고 편리하고 신속하게 상품을 재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구성을 세분화한 제어 블록도이고, 도 5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즉시 구매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표시되는 온라인 구매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필터의 구매가 완료된 이후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필터 교체 가이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필터 구매를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냉장고에 표시되는 관리 서버 계정 로그인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관리 서버를 통해 냉장고와 연결되는 모바일 기기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16은 모바일 기기에 표시되는 관리 서버 계정 로그인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냉장고를 이용한 상품의 구매 및 상품 구매 이력에 기초한 아이콘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사용자가 즉시 구매 버튼을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즉시 구매 아이콘이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예시에서 즉시 구매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도
26 및 도 27은 도 24의 예시에서 구매 명령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저장된 식품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플로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유통 기한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구매가 필요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서버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가전 기기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서버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세탁기와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세탁기에 필요한 상품을 냉장고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매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관리 서버와 연결된 모바일 기기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38은 모바일 기기에 알림을 출력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 및 도 40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가전 기기와 관련 상품을 구매할 때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을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생성 및 표시하는 실시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즉시 구매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품의 구매 필요 여부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추가적인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10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130),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유저 인터페이스(120) 및 가전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여 가전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가전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가전 기기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마다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계정이 할당될 수 있고, 사용자가 할당된 계정에 접속하면 관리 서버(200)를 통해 가전 기기(100)를 제어하거나, 가전 기기(100)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와 접속되어, 가전 기기(100)와 외부 서버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서버(300)와 접속되어 가전 기기(100)와 판매 서버(300)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가전 기기(100)와 판매 서버(300)가 상호 연결되면, 사용자는 가전 기기(100)를 통해, 판매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가전 기기(100)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피드백,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20)가 가전 기기(100)의 상태나 사용자의 구매 이력과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해당 가전 기기 또는 다른 가전 기기에 필요한 상품, 구체적으로 가전 기기의 사용 또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상품을 판단하고, 유저 인터페이스(120)가 사용자에게 해당 상품의 구매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알려주거나, 해당 상품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내부가 비어 있어 저장실(20)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방된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에 마련되어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체(10)의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미도시)가 충진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수평 격벽(21)과 수직 격벽(22)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0)은 상부 저장실(20a), 하부 제1 저장실(20b)과 하부 제2 저장실(20c)로 구획될 수 있다.
저장실(20)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23)과 식품을 밀폐 보관하는 밀폐 용기(24)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0a)은 상부 제1 도어(30aa)와 상부 제2 도어(30ab)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으며, 하부 제1 저장실(20b)은 하부 제1 도어(30b)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으며, 하부 제2 저장실(20c)은 하부 제2 도어(30c)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도어(3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30)에는 핸들(31)이 마련될 수 있다. 핸들(31)은 상부 제1 도어(30aa)와 상부 제2 도어(30ab)의 사이와 하부 제1 도어(30b)와 하부 제2 도어(30c)의 사이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도어(30)가 폐쇄되었을 때, 핸들(31)이 일체로 마련된 것과 같이 보여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제1 도어(30aa)에는 정수된 물을 제공하는 디스펜서(150)가 마련될 수 있고, 상부 제2 도어(30ab)에는 유저 인터페이스(1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제1도어(30aa)에 유저 인터페이스(120)가 마련되고, 상부 제1 도어(30ab)에 디스펜서(150)가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구성을 세분화한 제어 블록도이고, 도 5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100)는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공기 청정기, 오븐, 마이크로파 오븐, 로봇 청소기, 텔레비전 등의 가전 기기일 수 있다. 다만, 가전 기기(100)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면서 통신 장치를 통해 서버와 접속할 수 있는 가전 기기이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100)가 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가전 기기(100)가 냉장고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가전 기기(100)를 냉장고(100)로 지칭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130)는 미리 정해진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 모듈(131)과 근거리 통신 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31)은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세대 이동통신, 5세대 이동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인터넷망과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2)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00)는 무선 통신 모듈(131)을 통해 관리 서버(200) 및 기타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고, 관리 서버(200)를 매개로 하여 다른 가전 기기 또는 모바일 기기와 신호를 주고 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32)을 통해 다른 가전 기기나 모바일 기기와 직접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30)는 자유 공간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자유 공간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거나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변/복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의 직관적인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2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0a),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120b) 및 디스플레이(120a)과 터치 패널(120b)을 제어/구동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120c)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a)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120c)를 통하여 제어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광학적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20a)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120a)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학적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이면 디스플레이(120a)가 될 수 있다.
터치 패널(120b)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터치 스크린 제어부(120c)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120b)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터치 스크린 제어부(120c)에 전달한다. 터치 스크린 제어부(120c)는 터치 패널(120b)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패널(120b)은 디스플레이(120a)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패널(120b)은 영상이 표시되는 면 위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되는 영상이 왜곡되지 않도록 터치 패널(120b)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120b)은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또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터치 패널(120b)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패널(120b)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접근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지점의 좌표 또는 접근 지점의 좌표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제어부(120c)는 디스플레이(120a) 및 터치 패널(120b)의 동작을 구동/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제어부(120c)는 제어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학적 영상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20a)를 구동하고,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검출하도록 터치 패널(120b)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터치 스크린 제어부(120c)는 터치 패널(120b)이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터치 스크린 제어부(120c)는 제어부(110)가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판단하도록 터치 패널(120b)이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제어부(120c)는 디스플레이(120a) 및 터치 패널(120b)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120a) 및 터치 패널(120b)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제어부(120c)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에 집적될 수도 있고, 별도의 칩(chip)에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냉장고(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 냉장고 관련 정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냉장고(100)에 포함된 구성 및 자원(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을 관리하는 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사전에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 어플리케이션, 사전에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일정을 관리하는 스케줄러 어플리케이션, 메모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메모 어플리케이션과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구매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대용량 플래시 메모리 또는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에는 데이터 처리나 연산을 위해 일시적으로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냉장고(100)는 물 또는 얼음을 토출하는 디스펜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펜서(150)를 통하여 도어(30)를 개방하지 않고도 물 또는 얼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디스펜서(150)는 사용자로부터 물 또는 얼음의 토출 명령을 수신하는 디스펜서 레버(151), 물 또는 얼음을 토출 하는 디스펜서 노즐(152),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디스펜서 노즐(152)까지 물을 안내하는 유로(153), 배출되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154) 및 디스펜서(15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펜서 표시 패널(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50)는 상부 제1 도어(30aa)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 또는 외상(12)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 공간을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캐비티(150a)가 마련될 수 있으며, 캐비티(150a)에는 디스펜서 노즐(152)과 디스펜서 레버(151)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 레버(151)를 가압하면 디스펜서 노즐(152)로부터 물 또는 얼음이 배출된다.
특히, 디스펜서 노즐(152)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는 경우, 물은 유로(152)를 따라 외부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디스펜서 노즐(152)까지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물은 디스펜서 노즐(152)까지 유동하는 중에 필터(153)에 의하여 정화될 수 있다.
이때, 필터(153)는 수명이 다하면 교체될 수 있도록, 본체(10) 또는 도어(3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00)는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160)는 냉매의 증발을 이용하여 저장실(20)의 온도를 일정한 범위 이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냉각부(160)는 기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61), 압축된 기체 냉매를 액체 냉매로 상태 변환시키는 응축기(162), 액체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기(163), 감압된 액체 냉매를 기체 상태로 상태 변환시키는 증발기(164)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160)는 감압된 액체 냉매가 기체 상태로 상태 변환하면서 주위 공기의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다만, 냉각부(160)의 구성이 압축기(161), 응축기(162), 팽창기(163) 및 증발기(16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냉각부(160)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펠티어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펠티어 효과란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이 접하는 접촉면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어느 하나의 금속에서는 발열 현상이 발생하고, 다른 하나의 금속에서는 흡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냉각부(160)는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저장실(102)에 냉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냉각부(160)는 자기 열효과(magneto-caloric effect)를 이용한 자기 냉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열효과란 특정한 물질(자기 열량 물질)이 자화되면 열을 방출하고, 특정한 물질(자기 열량 물질)이 탈자화되면 열을 흡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냉각부(160)는 자기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디스펜서(150) 및 냉각부(16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20)가 냉장고(100)의 사용 또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유저 인터페이스(120)가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판매 서버(300)에 접속하여 필요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20)가 냉장고(100)의 사용 또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함에 있어, 제어부(11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통신부(13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120)가 냉장고(10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120)가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펜서(150) 또는 냉각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냉장고(100)를 제어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기억된 데이터를 불러오고, 불러온 데이터에 대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연산의 결과를 메모리에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기억된 데이터를 상실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앞서 설명된 저장부(140)으로부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불러오고, 불러온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또한, 휘발성 메모리는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이러한 휘발성 메모리는 S램, D 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필요에 따라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냉장고(100)에 포함된 각종 구성들을 관리하고 초기화시키기 위한 펌웨어(firmware)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는 롬(ROM), 이피롬(EPROM),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를 복수로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펜서(150) 및 냉각부(160)를 제어하는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제1 메모리, 냉장고(100)의 유저 인터페이스(120), 저장부(140) 및 통신부(130)를 제어하는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제2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는 기능적으로 구별되어 설명되었으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가 반드시 위치적으로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칩에 집적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전술한 동작 뿐만 아니라, 냉장고(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냉장고(100)의 동작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어부(110), 저장부(140) 및 통신부(130)가 기능적으로 구별되어 설명되었으나, 제어부(110), 저장부(140) 및 통신부(130)가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 저장부(140) 및 통신부(130)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10), 저장 파트(130) 및 통신 파트(140) 각각이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 저장부(140) 및 통신부(130)가 프로세서나 메모리를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냉장고(100)의 구성요소로 유저 인터페이스(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디스펜서(150) 및 냉각부(160)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0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사용자의 입력을 음성으로 수신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저장실(2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냉장고(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홈 화면(121)을 표시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홈 화면(121)에는 시간 및 날짜를 표시하는 시간/날짜 표시 영역(R1), 냉장고(1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정보 표시 영역(R2) 및 사용자가 저장한 스케줄 정보를 표시하는 스케줄 표시 영역(R3)이 표시될 수 있다.
시간/날짜 표시 영역(R1)에는 현재의 시간 정보와 오늘의 날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날씨 정보가 더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동작 정보 표시 영역(R2)에는 냉장고(1)에 포함된 복수의 저장실(20a, 20b, 20c)의 동작과 관련된 저장실 맵(121a-1)이 표시될 수 있다.
저장실 맵(121a-1)에는 냉장고(100)에 포함된 복수의 저장실(20a, 20b, 20c)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 맵(121a-1)에는 상부 저장실(20a), 하부 제1 저장실(20b) 및 하부 제2 저장실(20c)이 구획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상부 저장실(20a)의 목표 온도, 하부 제1 저장실(20b)의 목표 온도 및 하부 제2 저장실(20c)의 목표 온도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현재 온도가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사용자가 각각의 저장실(20a, 20b, 20c)을 나타내는 영역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각각의 저장실(20a, 20b, 20c)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되는 GUI는 다양한 그래픽 객체(Graphic object)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래픽 객체들은 특정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객체과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객체는 버튼 또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2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당해 예시에서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유저 인터페이스(120)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터치 또는 탭(tab)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동작 정보 표시 영역(R2)에는 타이머 설정 아이콘(121a-2)과 냉장고 설정 아이콘(121a-3)이 더 표시될 수 있다.
타이머 설정 아이콘(121a-2)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타이머의 목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타이머 설정 화면에 표시된 각종 버튼 또는 아이콘 이용하여 알람을 출력할 시각 또는 알람을 출력하기까지의 시간 간격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냉장고(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시각에 알람을 출력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시간 간격이 경과하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냉장고 설정 아이콘(121a-3)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냉장고(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는 동작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동작 설정 화면에 표시된 각종 그래픽 객체들을 이용하여 냉장고(100)에 포함된 복수의 저장실(20a, 20b, 20c) 각각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디스펜서(150)를 통하여 물과 얼음 중에 어느 것이 배출될지를 설정할 수 있다.
스케줄 표시 영역(R3)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스케줄 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와 연동되어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스케줄을 가져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홈 화면(121)에는 냉장고(100)를 통한 온라인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구매 영역(R4)이 표시될 수 있다. 구매 안내 표시 영역(R4)에는 현재 냉장고(100)의 사용 또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상품의 구매를 직관적으로 선택 가능하게 하는 각종 아이콘과 버튼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온라인 구매 영역(R4)에 표시되는 아이콘과 버튼들에 관한 실시예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도면은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되는 홈 화면(121)의 일 예에 불과하며, 냉장고(100)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도 6의 예시 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갖는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의 구성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가 일정 범위 이내로 접근할 때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웨이크 업(wake up)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유저 인터페이스(120)가 활성화되어 온(on)상태가 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일정 범위 이내에서 벗어나면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비활성화되어 오프(off)상태가 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2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면, 홈 화면(121)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오프되기 이전에 표시 중이었던 화면을 다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즉시 구매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표시되는 온라인 구매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냉장고(100)의 사용 또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상품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즉시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즉시 구매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냉장고(100)의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소모품의 교체 시기가 되면, 사용자에게 해당 소모품의 교체 시기가 되었음을 알려줌과 동시에 사용자가 이를 즉시 구매할 수 있도록 즉시 구매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100)는 디스펜서(150)를 구비하여 물 또는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는바, 이 때 외부로 배출되는 물 또는 얼음은 필터(154)를 통해 정화된다. 필터(154)는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에 해당한다.
제어부(110)는 필터(154)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필터(154)의 교체를 인식하여 미리 설정된 교체 주기에 기초하여 다음 교체 시기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필터(154)의 교체 여부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필터(154)의 교체 시기를 관리 서버(200)에서 관리하고, 필터(154)의 교체 시기가 되면 관리 서버(200)가 냉장고(100)에 필터 교체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154)의 교체 시기가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0a)가 필터의 즉시 구매 아이콘(121b)을 점멸시킴으로써 필터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필터의 즉시 구매 아이콘(121b)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크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는바, 알림 출력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시 구매 아이콘(121b)은 필터의 교체 시기 도래 유무와 상관없이 온라인 구매 영역(R4)에 표시되어 있다가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되었을 때 점멸, 색상/크기 변경 등의 방식으로 필터 교체 알림을 출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즉시 구매 아이콘(121b)은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되지 않고,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을 때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되어 필터 교체 알림을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필터 구매 아이콘(121b)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필터 구매 아이콘(121b)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1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를 즉시 구매할 수 있는 필터 온라인 구매 화면(S1)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즉시 구매 아이콘(121b) 선택에 의해 필터 구매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해당 필터에 대한 주문 정보와 함께 주문 신호를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는 해당 필터를 판매하는 판매 서버(300)에 접속하고, 냉장고(100)와 해당 필터를 판매하는 판매 서버(300)를 연동시킨다. 즉, 냉장고(100)는 관리 서버(200)를 통해 해당 필터를 판매하는 사이트에 자동으로 접속된다.
디스플레이(120a)는 필터를 판매하는 판매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필터 온라인 구매 화면(S1)을 표시한다. 필터 온라인 구매 화면(S1)은 필터 판매 사이트의 초기 화면이 아니라, 필터의 종류가 선택되고 사용자의 배송지 정보 및 결제 정보가 입력된 이후의 화면일 수 있다.
즉, 온라인 구매 화면(S1)에는 해당 냉장고(100)에 사용되는 필터의 종류와 가격이 표시되고,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배송지 정보도 함께 표시된다. 또한, 미리 등록한 결제 정보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고 주문 버튼(S11)을 선택함으로써 필터의 구매를 확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문 버튼(S11)을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판매 서버(300)에 구매 신호를 전송하여 구매를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된 필터 구매 아이콘(121b)의 선택만으로, 필터 판매 사이트에 직접 접속하여 필요한 필터의 종류를 검색 및 선택하고, 배송지 정보, 결제 정보 등 필터 구매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필터의 구매가 완료된 이후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필터 교체 가이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냉장고(100)는 필터(154)의 구매가 완료된 이후에는 사용자에게 필터(154)의 교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54)의 구매가 완료된 이후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또는 필터(154)의 교체가 확인될 때까지 필터의 교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할 수 있다.
필터(154)의 교체 확인은, 제어부(110)가 필터(154)의 교체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용자가 필터(154)가 교체되었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필터(154)의 구매가 완료된 이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구매 아이콘(121b)이 필터의 교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필터 교체 가이드 아이콘(121b-1)으로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필터 교체 가이드 아이콘(121b-1)을 선택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의 교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G1)이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될 수 있다.
필터의 교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G1)은 이미지와 텍스트를 포함할 수도있고, 동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음성 정보가 스피커를 통해 함께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미리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거나 필터(154)의 교체가 확인되면, 필터 교체 가이드 아이콘(121b-1)은 다시 필터 구매 이전의 형태인 필터의 즉시 구매 아이콘(121b)으로 복귀할 수 있다.
또는, 필터의 즉시 구매 아이콘(121b)이 홈 화면(121)의 온라인 구매 영역(R4)에서 삭제되거나, 비활성화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의 즉시 구매 아이콘(121b)을 흑백 처리하여 비활성화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 경우, 필터(154)의 다음 교체 시기가 되면 삭제되었던 필터 즉시 구매 아이콘(121b)이 다시 생성되어 홈 화면(121)에 표시되거나, 비활성화되었던 필터의 즉시 구매 아이콘(121b)이 다시 활성화되거나, 흑백 처리 되었던 필터의 즉시 구매 아이콘(121b)이 다시 컬러 처리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필터 구매를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예시에서는 필터(154)의 교체 시기가 되면, 필터의 즉시 구매 아이콘(121b)을 새롭게 표시하거나 이미 표시된 필터의 즉시 구매 아이콘(121b)에 변화를 주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였다.
다른 예시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화면(121) 위에 필터 교체 알림을 위한 팝업창(122)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팝업창(122)을 터치하거나 탭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냉장고에 맞는 필터를 확인하기 위한 필터 확인 화면(F1)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터 확인 화면(F1)에 표시된 즉시 구매 버튼(F11)을 선택하면 냉장고(100)는 해당 필터의 판매 사이트에 자동으로 접속되고, 디스플레이(120a)는 필터를 즉시 구매할 수 있는 필터 온라인 구매 화면(S1)을 표시한다(도 9 참조).
사용자가 필터 확인 화면(F1)에 표시된 필터 교체 가이드 버튼(F12)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120a)는 필터의 교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G1)을 표시할 수 있다(도 11 참조).
이 경우에도, 필터(154)의 구매가 완료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또는 필터(154)의 교체가 확인될 때까지 홈 화면(121)에 필터 교체 가이드 아이콘(121b-1)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필터 교체 가이드 아이콘(121b-1)을 선택하면 필터의 교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G1)이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냉장고에 표시되는 관리 서버 계정 로그인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관리 서버를 통해 냉장고와 연결되는 모바일 기기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며, 도 16은 모바일 기기에 표시되는 관리 서버 계정 로그인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냉장고(100)의 소모품에 관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온라인 구매 시마다 입력하지 않아도 상품의 구매가 가능하도록, 관리 서버(200)가 가전 기기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의 사용자 별로 관리 서버(200)의 계정을 할당 받을 수 있고,할당된 계정은 아이디(ID) 또는 사용자 이름(User Name)과 비밀번호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된 로그인 화면(L)에서 미리 설정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관리 서버의 계정에 로그인하고, 관리 서버(200)와 접속될 수 있다.
냉장고(100)가 관리 서버(200)와 접속되면, 냉장고(100)가 관리 서버(200)를 통해 다른 외부 기기나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외부 기기나 외부 서버와 신호를 주고 받음에 있어 관리 서버(200)가 저장 및 관리하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직접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400)와 냉장고(100)는 관리 서버(2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400)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PDA, 태블릿 PC 등 디스플레이 및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외부 기기 및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면서 휴대가 가능한 전자 기기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400)에 냉장고(100) 등의 가전 기기를 관리할 수 있는 가전 기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고, 가전기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420)에 로그인 화면(L)이 표시될 수 있다. 가전 기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400)의 디스플레이(420)에 표시된 로그인 화면(L)에서 미리 설정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관리 서버의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냉장고(100) 별로 부여된 고유의 식별자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400)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의 계정에 로그인한 경우에도 냉장고(100)와 관리 서버(200)가 접속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의 계정에 로그인할 때 사용된 기기가 가전 기기(100)인지, 모바일 기기(400)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관리 서버의 계정에 로그인이 되기만 하면 냉장고(100)가 온라인 구매를 수행할 때 관리 서버의 계정에 등록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관리 서버의 계정에는 사용자가 사용 중인 가전 기기에 관한 정보, 사용자에 관한 정보 등이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가 냉장고(100)에서 필터를 최초 주문할 때에는 필터 판매 사이트에 로그인하고 구매에 필요한 정보(배송지 정보, 결제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그 이후에는, 로그인이나 추가 정보의 입력 없이 최초 구매 시에 사용된 정보를 이용하여 필터를 구매할 수 있다.
또는, 냉장고(100)에서 필터를 최초 주문할 때에도 필터 판매 사이트에 로그인하거나 구매에 필요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관리 서버의 계정에 배송지 정보, 결제 정보 등 필터 구매에 필요한 정보를 미리 등록하면, 관리 서버(200)는 냉장고(100)로부터 필터 구매 신호가 최초로 전송되는 경우에도 미리 등록된 정보를 필터 판매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입력을 생략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 판매 서버의 운영 주체와 관리 서버의 운영 주체가 동일한 경우, 필터 판매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필터 판매 서버의 운영 주체와 관리 서버의 운영 주체가 다른 경우라도, 두 서버의 운영 주체 간 계약에 따라 관리 서버의 계정에 대한 로그인과 필터 판매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이 연동되는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예시에서는 냉장고(100)의 소모품으로 필터(154)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냉장고(100)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154)가 아니더라도 냉장고(100)의 유지/보수를 위해 교체가 필요한 부품이면 전술한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필터(154)와 같이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이 아니더라도, 고장/파손 등의 사유로 인해 교체가 필요한 부품이 경우에도 전술한 예시가 적용되어 사용자의 즉시 구매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즉시 구매 아이콘을 이용한 상품의 즉시 구매는 냉장고(100)의 부품이 아닌 다른 상품들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예시를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21은 냉장고를 이용한 상품의 구매 및 상품 구매 이력에 기초한 아이콘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예시를 참조하면, 홈 화면(121)의 온라인 구매 영역(R4)에는 즉시 구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선택 받기 위한 퀵 쇼핑 아이콘(121c)이 표시될 수 있다. 즉시 구매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하여 편리하고 신속한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동작들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퀵 쇼핑 아이콘(121c)을 선택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0a)에 판매 업체 리스트(Ls)가 표시된다. 판매 업체 리스트(Ls)에 포함된 판매 업체들은 관리 서버(200)의 운영 주체 또는 냉장고(100)의 제조/판매 주체와 판매 업체 사이의 계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판매 업체 리스트(Ls)에 포함된 판매 업체 중 하나를 선택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판매 업체의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화면(L2)이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사이트에 로그인하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선택 화면(S)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구매를 완료하면, 제어부(11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의 즉시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한다.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고, 추가적으로 해당 상품의 판매 업체에 대한 정보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한 상품이 사과인 경우에는 도 21의 예시와 같이 즉시 구매 아이콘(121d)에 사과의 이미지를 포함하여 해당 상품이 사과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1의 예시에서는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을 하나만 표시하였으나,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의 종류에 따라 둘 이상의 즉시 구매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은 상품의 구매 회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품을 1회만 구매하더라도 제어부(110)가 해당 상품에 대한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을 생성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횟수(N회) 이상 구매한 경우에만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품 구매 횟수는 가전 기기(100) 별로 카운트될 수도 있고, 관리 서버(200)의 계정 별로 카운트될 수도 있으며,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 할당된 계정 별로 카운트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가전 기기(100)를 통해 구매한 경우만 카운트할 수도 있고, 해당 가전 기기(100)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관리 서버(200)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0)와 연결된 모바일 기기(400) 등에서 구매한 경우까지 카운트할 수도 있으며, 가전 기기(100)나 모바일 기기(400)에서의 구매 여부와 상관없이 해당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구매한 경우를 모두 카운트할 수도 있다.
또는, 홈 화면(121)의 온라인 구매 영역(R4)의 크기를 고려하여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의 생성 및 표시를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온라인 구매 영역(R3)의 크기가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을 M개 표시할 수 있는 정도인 경우, 1회 구매 또는 N회 이상 구매된 상품이 M개인 경우까지는 해당 상품에 대한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M개를 초과하는 경우부터는 구매 회수가 가장 적은 상품에 대한 즉시 구매 아이콘부터 삭제하거나, 마지막 구매가 가장 오래 전에 이루어진 상품에 대한 즉시 구매 아이콘부터 삭제할 수 있다.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의 생성에 사용되는 상품 구매 이력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도 있고,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구매 상품에 관한 정보, 배송 정보 및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즉시 구매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즉시 구매 버튼을 선택하면 선택된 즉시 구매 버튼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정보를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200)가 구매 상품에 관한 정보, 배송 정보 및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즉시 구매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즉시 구매 버튼을 선택하면 선택된 즉시 구매 버튼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정보를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서버(3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판매 서버(300)와의 계약 관계에 따라 즉시 구매 정보를 판매 서버(300)에서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가 즉시 구매 버튼을 선택하면 판매 서버(300)가 저장된 즉시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을 스스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2 및 도 23은 사용자가 즉시 구매 버튼을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된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을 선택하면,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121d)에 대응되는 상품의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 자동으로 접속되고, 해당 상품이 자동으로 구매 예정 목록에 추가되고, 배송 정보 및 결제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즉,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서의 로그인, 상품의 검색 및 선택, 배송 정보 및 결제 정보의 입력이 생략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121d)에 대응되는 상품을 구매 완료하기 이전 단계의 구매 확인 화면(S2)이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될 수 있다.
구매 확인 화면(S2)에는 구매될 상품에 대한 정보, 배송 정보, 결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구매 버튼(S21)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가 완료된다. 사용자가 상품 상세 버튼(S22)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한 이후에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예시에 따라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이 생성되어 표시되면, 사용자는 단 두 번의 터치만으로 원하는 상품의 구매를 완료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사용자가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을 선택하면,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121d)에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구매가 완료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예시와 같이, 사용자의 최종 구매 확인을 받는 경우에는 즉시 구매 아이콘(121d) 선택 시에 냉장고(100)로부터 판매 서버(300)로 전송되는 신호는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신호에 해당한다.
후술할 예시와 같이, 사용자의 최종 구매 확인을 별도로 받지 않고,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의 선택만으로 바로 구매를 완료하는 경우에 냉장고(100)로부터 판매 서버(300)로 전송되는 신호는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 신호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121d)에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구매가 완료된 이후의 구매 완료 확인 화면(S3)이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될 수 있다.
구매 완료 확인 화면(S3)에는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 배송 정보, 결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해당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상품 상세 버튼(S32)과 구매를 취소하기 위한 구매 취소 버튼(S31)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즉시 구매 아이콘(121d)에 대응되는 주문 정보가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매 취소 버튼(S31)을 선택함으로써 구매를 취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매 취소 버튼(S31)이 선택되지 않으면,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가 확정된다.
다만,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화면은 냉장고(100)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에 불과하고, 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은 필요한 정보만 나타낼 수 있으면 그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구매 확인 화면(S2)에서 상품 상세 버튼(S22)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고, 구매 완료 확인 화면(S3)에서 구매 취소 버튼(S31)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4는 즉시 구매 아이콘이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도 25는 도 24의 예시에서 즉시 구매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6 및 도 27은 도 24의 예시에서 구매 명령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도 21의 예시에서는 즉시 구매 아이콘이 홈 화면(121)의 일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시 구매 아이콘을 위젯(Widget) 형태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20a)는 즉시 구매 위젯 화면(123)을 표시할 수 있다. 즉시 구매 위젯 화면(123)에는 판매자 리스트(123-1)와 즉시 구매 상품 리스트(123-2)가 표시될 수 있다.
판매자 리스트(123-1)는 온라인 판매 사이트를 운영하는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는 판매자 선택 아이콘(123a, 123b, 123c)을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 리스트(123-1)에 포함되는 판매자는 냉장고(100)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부품의 판매자나 냉장고(100)에 보관되는 식품의 판매자 뿐만 아니라 냉장고(100)에 보관되지 않는 식품, 냉장고(100)와 관련이 없는 각종 생활 용품의 판매자도 포함할 수 있고, 식품이나 생활 용품이 아니더라도 온라인 상에서 구매 가능한 상품의 판매자이면 판매자 리스트(123-1)에 포함될 수 있다. 판매자 리스트(123-1)에 포함되는 판매자는 냉장고(100)의 제조/판매 주체 또는 관리 서버(200)의 운영 주체와 판매자 사이의 계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판매자 리스트(123-1)에 포함된 판매자 선택 아이콘(123a, 123b, 123c)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판매자의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 접속되고, 해당 사이트의 화면을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할 수 있다.
냉장고(100)에서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한 이력이 있는 경우, 로그인, 배송 정보 입력, 결제 정보 입력 등의 절차는 다시 필요하지 않다.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면, 배송 정보와 결제 정보 등이 자동으로 입력되고 구매 확인 버튼만 선택하면 구매가 완료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한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다른 상품을 주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미 생성된 주문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즉시 구매 상품 리스트(123-2)는 앞서 도 21의 예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즉시 구매 아이콘(123d, 123e, 123f)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마트에서 구매한 사과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123d), B마트에서 구매한 김치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123e) 및 A마트에서 구매한 계란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123f)이 즉시 구매 상품 리스트(123-2)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즉시 구매 아이콘(123d, 123e, 123f)은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와 해당 상품의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어 사용자의 선택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즉시 구매 아이콘(123d, 123e, 123f)은 해당 상품의 구매 횟수에 기초하여 생성 및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품의 종류에 따라 즉시 구매 아이콘의 생성 여부가 결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과, 김치, 계란과 같이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함에 있어서 더 고려해야 할 하위 선택 사항이 없거나, 하위 선택 사항이 있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구매 횟수에 따라 즉시 거래 아이콘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치킨, 피자, 중국 음식 등과 같은 배달 음식의 경우 주문 시에 선택해야 할 다양한 메뉴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함에 있어 하위 선택 사항(구체적인 메뉴)을 고려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개별 상품에 대한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생성하기 보다는 판매자 리스트(123-1)에서 판매자를 선택하고 구체적인 메뉴는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냉장고(100)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동일한 메뉴만을 주문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메뉴에 대한 주문 회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이 되면, 해당 메뉴에 대한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품의 종류에 관계 없이 구매 횟수에 따라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생성 및 표시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즉시 구매 아이콘을 사용자가 직접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시 구매 상품 리스트(123-2)에는 상품 추가 아이콘(123g, 123h)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품 추가 아이콘(123g, 123h)을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구매 이력이 없거나 구매 횟수가 기준값에 못 미치는 상품에 대해서도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즉시 구매 아이콘(123d, 123e, 123f)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주문 신호가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판매자의 판매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전송된 주문 신호에 따라 해당 상품이 구매 예정 목록에 포함된다. 상품이 구매 예정 목록에 포함되는 것은 장바구니에 저장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주문 확인 팝업(124)이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될 수 있다. 주문 정보는 판매자 정보와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 확인 팝업(124)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사라질 수 있다. 또는, 주문 확인 팝업(124)에 확인 버튼(미도시)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표시하면 주문 확인 팝업(124)을 사라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즉시 구매 아이콘(123d, 123e, 123f)의 선택만으로는 주문 신호가 판매 서버에 전송되지 않고, 즉시 구매 아이콘의 선택에 따른 구매 예정 목록을 저장부(140)에 저장한 후에 구매 명령 버튼(123j, 123k)이 선택되었을 때 판매 서버에 주문 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24를 참조하면, 즉시 구매 상품 리스트(123-2)는 구매 예정 목록에 추가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명령 버튼(123j, 123k)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매 명령 버튼(123j, 123k)는 판매자 별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마트에 대한 구매 명령 버튼(123j)과 B 마트에 대한 구매 명령 버튼(123k)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 명령 버튼(123j, 123k)을 선택하면, 선택된 구매 명령 버튼에 대응되는 판매자의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 자동으로 접속되고,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 예정 목록을 보여주는 구매 확인 화면(S4)이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된다.
그 동안 사용자가 즉시 구매 아이콘(123d, 123e, 123f)을 선택하여 추가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구매 예정 목록에 포함되어 있고, 구매 예정 목록을 보여주는 구매 확인 화면(S4)은 각 상품에 대한 정보와 배송지 정보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구매 예정 목록에 포함된 상품 중 일부만 선택하고, 선택상품 주문 버튼(S41)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상품에 대한 구매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전체상품 주문 버튼(S42)을 선택함으로써 전체 상품에 대한 구매를 완료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해당 판매자의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 배송 정보 입력, 결제 정보 입력 등의 절차가 생략되고, 사용자는 주문 버튼(S41, S42)의 선택만으로 상품에 대한 구매를 완료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판매자 별 구매 명령 버튼(123j, 123k)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판매자의 판매 서버(300)에 자동으로 접속되고 구매 예정 목록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신호가 판매 서버(300)에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에 대한 구매가 완료된 이후의 구매 완료 확인 화면(S5)이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될 수 있다.
구매 완료 확인 화면(S5)에는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 배송 정보, 결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구매를 취소하기 위한 구매 취소 버튼(S51)도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매 예정 목록에 포함된 상품이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매 취소 버튼(S51)을 선택함으로써 주문을 취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매 취소 버튼(S51)이 선택되지 않으면,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가 확정된다.
전술한 도 24 내지 도 27의 예시에 따르면, 사용자가 즉시 구매 아이콘(123d, 123e, 123f)을 선택하여 원하는 상품을 구매 예정 목록에 추가한 이후에, 판매자 별 구매 명령 버튼(123j, 123k)을 선택하여 구매 예정 목록에 추가된 상품의 구매를 완료함으로써, 동일한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을 한 번에 구매하고 한 번에 배송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구매가 필요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냉장고(100)가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가 냉장고(100)에 저장된 식품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특정 식품의 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20a)를 통해 해당 식품의 구매가 필요함을 알려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8 내지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저장된 식품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플로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본체(10)의 내부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저장실(20)에 저장된 식품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가 저장실(20)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내부 보기(View Inside) 어플리케이션이라 하기로 한다. 저장실(20)의 상태를 사용자의 시선에서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는 도어(3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내부 보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카메라는 저장실(20) 내부를 촬영하고,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0a)는 내부 보기 화면(126)을 표시한다. 사용자에 의해 내부 영상 버튼(126a)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120a)는 촬영된 내부 영상(I)을 표시한다. 일 예로, 도 28의 화면이 내부 보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의 초기 화면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내부 영상(I)에 나타난 식품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식품의 선택은 내부 영상(I)에 나타난 식품 중 선택하고자 하는 식품을 터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식품이 선택되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식품과 관련하여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아이콘(125c, 126d, 126e)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푸드 리스트 아이콘(126c)이 선택되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식품 정보 입력 화면(126-1)이 표시될 수 있다.
식품 정보 입력 화면(126-1)에는 선택된 식품의 명칭을 입력하기 위한 도구(126f), 냉장고(100) 반입 날짜를 입력하기 위한 도구(126g), 유통기한 만료일을 입력하기 위한 도구(126h), 선택된 식품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도구(126i)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식품 정보 입력 화면(126-1)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 버튼(126k)을 선택하면, 선택된 식품 정보와 입력된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되고 초기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취소 버튼(126j)이 선택되면, 식품의 선택이 취소되고 초기 화면으로 복귀하여 내부 영상(I)에서 다른 식품을 선택할 수 있다.
내부 보기 화면(126)에서 사용자가 식품 정보 버튼(126b)을 선택하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냉장고(100)에 저장된 식품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식품 정보 화면(126-2)이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될 수 있다.
식품 정보 화면(126-2)에는 현재 냉장고(100)에 저장된 식품들을 나타내는 저장 식품 리스트(126m)가 표시될 수 있다. 저장 식품 리스트(126m)에는 저장된 식품의 명칭, 저장 위치 및 유통기한 만료일까지의 잔여일(이하, 유통기한 잔여일이라 함)이 표시될 수 있다. 저장 식품 리스트(126m)에 표시되는 정보는 도 30의 예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유통기한 잔여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일보다 적은 경우에는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알려주기 위한 별도의 아이콘을 더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저장 식품 리스트(126m)에 포함된 식품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식품에 대한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식품 정보 화면(126-2)의 일 영역에는 식품 정보를 추가하기 위한 추가 버튼(126m-1)과 식품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버튼(126m-2)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추가 버튼(126m-1)을 선택하면, 전술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정보 입력 화면(126-1)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식품 정보 입력 화면(126-1)을 이용하여 냉장고(100)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일 예로, 내부 영상(I)에 나타나지 않은 식품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추가 버튼(126m-1)을 선택하여 해당 식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 식품 리스트(126m)에 추가할 수 있다.
편집 버튼(126m-2)이 선택되면, 사용자는 저장 식품 리스트(126m)를 편집할 수 있다. 저장 식품 리스트(126m)의 편집에는 정보의 수정과 삭제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냉장고(100)에서 반출된 식품을 저장 식품 리스트(126m)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식품 리스트(126m)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식품에 대응되는 영역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함으로써 해당 식품을 바로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냉장고(100)에 보관 중인 식품들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도 있고, 관리 서버(2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32는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유통 기한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내부 보기 화면(126)의 일 영역에는 유통기한 태그 리스트(126n)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유통기한 태그 리스트(126a)에 포함된 유통기한 태그 중 하나를 드래그(Drag)하여 내부 영상(I)에 나타난 식품 위에 드롭(Drop)하면, 해당 유통기한 태그에 대응되는 일 수가 해당 식품의 유통기한 잔여일로 저장된다.
식품 별로 유통기한 태그가 드롭된 내부 영상은 저장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가 드롭된 유통기한 태그를 삭제하면 제어부(110)는 유통기한 태그가 삭제된 식품이 냉장고(100)에서 반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3은 구매가 필요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냉장고(100)에 저장된 식품 중 유통기한이 만료되거나, 유통기한 만료일이 다가오거나, 냉장고(100)로부터 반출이 확인된 식품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20a)는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유도하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화면(121)의 온라인 구매 영역(R4)에 복수의 상품에 대한 즉시 구매 아이콘들(121e-1, 121e-2, 121e-3, 121e-4)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20a)는 구매가 필요한 상품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121e-1)을 점멸하는 방식으로 구매를 유도하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구매가 필요한 상품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121e-1)의 색상이나 크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알림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각적인 알림의 출력 외에도, 냉장고(100)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청각적인 알림을 함께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식품의 구매가 필요한지 여부는 냉장고(100)의 제어부(140)에서 판단할 수도 있고, 관리 서버(200)에서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 또는 관리 서버(200)는 저장된 식품 정보에 기초하여, 유통기한이 만료되었거나, 유통기한 만료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일 이내에 도래하는 식품이 있는 경우, 해당 식품에 대한 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저장 식품 리스트(126m)에서 식품을 삭제하거나, 내부 영상(I)의 식품 위에 드롭된 유통기한 태그를 삭제하여, 냉장고(100)로부터의 반출이 확인 식품이 있는 경우에도, 해당 식품에 대한 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33의 예시에서는 구매가 필요한 식품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121e-1)이 홈 화면(121)에 이미 표시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냉장고(100)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예시에 따라 즉시 구매 위젯 화면(123)에 표시된 경우에도 구매가 필요한 상품에 대한 알림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식품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이 미리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해 즉시 구매 아이콘(121a-1)이 선택된 이후의 동작은 전술한 예시에서와 같다.
한편, 냉장고(100)는 다른 가전기기가 필요로 하는 부품의 구매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4는 서버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가전 기기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냉장고(100)의 무선 통신 모듈(131)이 와이파이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에, 냉장고(100)는 중계기(AP)를 통해 관리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다른 가전 기기(510, 520, 530, 540, 550)들 역시 중계기(AP)를 통해 관리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고, 냉장고(100)과 복수의 다른 가전 기기(510, 520, 530, 540, 550)들은 관리 서버(2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가전 기기들(510, 520, 530, 540, 550)은 세탁기(510), 에어컨(520), TV(530), 전자레인지(540), 공기 청정기(5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가전 기기들은 디스플레이가 없거나, 매우 작거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지 않는 등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을 입력 받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상황일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00)가 복수의 가전 기기 사이에서 허브 역할을 수행하여 다른 가전 기기들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이와 관련한 사용자의 입력도 수신할 수 있다.
도 35는 서버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세탁기와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36은 세탁기에 필요한 상품을 냉장고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매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세탁기(510)는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여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513), 세탁기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정보 또는 세탁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514),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512) 및 저장부(514)에 저장되거나 통신부(513)를 통해 외부로부터 획득된 정보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512)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세탁기(510)를 제어하는 제어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30) 및 저장부(260)를 포함한다.
세탁기(510)에 필요한 상품, 예를 들어 세제, 교체 시기가 도래한 소모품, 고장/파손된 부품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511)는 통신부(513)를 제어하여 관리 서버(200)에 해당 상품의 구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511)는 해당 상품의 필요 여부를 스스로 판단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510)가 자동으로 세제를 투입하는 경우, 자동 투입 세제의 부족 여부를 판단하여 관리 서버(200)에 구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소모품의 교체 시기가 도래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관리 서버(200)에 구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부품의 고장/파손 여부를 판단하여 관리 서버(200)에 구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세탁기(510)에 마련된 입력 장치를 조작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 명령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탁기(510)를 이용한 세탁을 수행하려고 할 때 세제의 구매가 필요함을 판단할 수 있고, 이 때 세제 구매 버튼(512a)을 가압 또는 터치하여 세제 구매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의 통신부(230)는 세탁기(510)로부터 세제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210)는 다시 통신부(230)를 제어하여 냉장고(100)에 세제 구매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세탁기(510)와 동일한 관리 서버의 계정에 등록된 냉장고(100)에 세제 구매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240)에 계정 별로 등록된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세탁기(510)로부터 세제 구매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세탁기(510)와 동일한 계정에 등록된 냉장고(100)를 검색하여 검색된 냉장고(100)에 세제 구매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로부터 세탁기의 세제 구매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냉장고(100)는 홈 화면(121)에 세탁기 세제의 구입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121p)을 표시할 수 있다. 팝업(121p)에는 구매 버튼(121p-1)과 거부 버튼(121p-2)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팝업(121p)에 구매 버튼(121p-1)과 거부 버튼(121p-2)이 표시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팝업(121p)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구매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팝업(121p)에 표시된 구매 버튼(121p-1)을 선택하면, 세제 판매 사이트에 자동으로 접속되고, 로그인, 세제의 검색 및 선택, 배송 정보 및 결제 정보의 입력 절차가 생략되어 세제를 바로 구매할 수 있는 주문 확인 화면이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될 수 있다.
앞서, 필터, 식품, 생활 용품 등의 상품 구매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냉장고(100)를 통한 최초 구매 시에는 해당 사이트에 로그인할 수 있고, 상품의 선택, 배송 정보/결제 정보 입력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최초 1회 로그인 이후에는 구매 정보가 저장되어 사용자가 동일한 정보를 반복적으로 입력할 필요 없이 간단한 절차로 세제를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세제 구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로부터 세제 구매 명령이 입력되면, 주문 확인 없이 바로 세제의 구매가 완료되고 구매 확인 화면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세제 판매 사이트 운영자와의 계약에 따라 최초 구매 시에도 해당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은 생략되고 관리 서버의 계정을 이용하여 사용자(주문자)를 식별하고, 판매 서버가 관리 서버의 계정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결제 정보나 배송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세탁기(510)에 사용되는 전용 세제가 있는 경우, 세탁기(510)가 전용 세제에 관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거나, 관리 서버(200)가 해당 세제에 관한 정보를 스스로 파악하고, 세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매 서버(300)에 전송할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5 및 도 36의 예시에서는 세탁기(510)의 세제를 냉장고(100)를 통해 구매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세탁기(510) 외에 다른 가전 기기의 사용 또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상품도 동일한 방식으로 냉장고(100)를 통해 구매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550)나 에어컨(520)에 사용되는 필터의 구매를 냉장고(100)에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의 구매 필요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사용자가 공기 청정기(550)나 에어컨(520)에 마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필터 구매 명령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 청정기(550)가 에어컨(520)이 스스로 필터 교체 시기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며, 관리 서버(200)가 공기 청정기(550)가 에어컨(520)의 필터 교체 시기를 판단하여 판매 서버(300)에 주문 정보를 전송하고 냉장고(100)에 구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예시에 따르면, 가전 기기에 자체적인 디스플레이 구비 여부와 상관없이 적절한 시기에 편리한 상품 구매가 가능하게 된다.
도 37은 관리 서버와 연결된 모바일 기기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38은 모바일 기기에 알림을 출력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9 및 도 40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가전 기기와 관련 상품을 구매할 때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당해 예시에서는 모바일 기기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앞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200)에는 모바일 기기(400)도 연결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400)는 제어부(410), 입출력 인터페이스(420), 통신부(430) 및 저장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는 냉장고(100) 이외에 다른 가전 기기들을 서브 가전 그룹(500)이라 칭한다.
냉장고(100)의 사용 또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상품의 구매가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필터(154)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모바일 기기(400)에 냉장고 필터의 구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400)에는 가전기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관리 서버(200)가 모바일 기기(400)에 구매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400)의 디스플레이(420a)에 구매 알림 아이콘(421)이 표시될 수 있다. 구매 알림 아이콘(421)은 화면 상단의 작업 표시줄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420a)가 냉장고 필터의 구매가 필요함을 알리는 팝업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공기 청정기(550)의 필터 교체가 필요한 경우, 모바일 기기(400)에 구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바일 기기(400)의 디스플레이(420a)에 구매 알림 아이콘(421)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가전기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면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20a)에 홈 화면(421)이 표시될 수 있다.
홈 화면(421)의 일 영역에 공기 청정기의 필터 교체가 필요함을 알려주는 정보(421a)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온라인 구매 버튼(421b)을 선택하면, 공기 청정기의 필터를 판매하는 사이트에 자동으로 접속된다.
로그인, 필터의 검색 및 선택, 배송 정보 및 결제 정보의 입력 절차가 생략되어 필터를 바로 구매할 수 있는 구매 확인 화면(422)이 디스플레이(420a)에 표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400)를 통한 최초 구매 시에는 해당 사이트에 로그인할 수 있고, 상품의 선택, 배송 정보/결제 정보 입력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최초 1회 로그인 이후에는 주문 정보가 저장되어 사용자가 동일한 정보를 반복적으로 입력할 필요 없이 간단한 절차로 공기 청정기의 필터를 구매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 확인 화면(422)의 구매 버튼(422a)을 선택하면 자동 입력된 주문 정보에 따라 공기 청정기의 필터에 대한 구매가 완료된다. 해당 사이트에서 다른 상품도 함께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매 예정 버튼(422b)을 선택하여 필터를 구매 예정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온라인 구매 버튼(421b)을 선택하면, 주문 확인 없이 바로 공기 청정기 필터의 구매가 완료되고 구매 완료 확인 화면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터 판매 사이트 운영자와의 계약에 따라 최초 구매 시에도 해당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은 생략되고 관리 서버의 계정을 이용하여 사용자(주문자)를 식별하고, 판매 서버가 관리 서버의 계정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결제 정보나 배송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공기 청정기(550)가 필터에 관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거나, 관리 서버(200)가 해당 필터에 관한 정보를 스스로 파악하고, 필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매 서버(300)에 전송할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필터의 최초 구매 시에도 필터의 검색 및 선택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이하,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전술한 가전 기기(100) 및 관리 서버(200)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내용들은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1을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생성 및 표시하는 실시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당해 예시는 전술한 도 17 내지 도 21의 예시와 대응된다.
도 41을 참조하면, 상품 구매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N회, N은 1 이상의 정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610). 상품 구매 횟수는 가전 기기(100) 별로 카운트될 수도 있고, 관리 서버(200)의 계정 별로 카운트될 수도 있으며,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 할당된 계정 별로 카운트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가전 기기(100)를 통해 구매한 경우만 카운트할 수도 있고, 해당 가전 기기(100)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관리 서버(200)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0)와 연결된 모바일 기기(400) 등에서 구매한 경우까지 카운트할 수도 있으며, 가전 기기(100)나 모바일 기기(400)에서의 구매 여부와 상관없이 해당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구매한 경우를 모두 카운트할 수도 있다.
동일한 상품에 대한 구매 횟수가 N회 이상인 경우(610의 예), 해당 상품에 대한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한다(611).
사용자에 의해 즉시 구매 아이콘이 선택되면(612의 예) 미리 저장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신호 또는 구매 신호를 판매 서버에 전송하고(613),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 접속한다(614). 사용자의 선택은 즉시 구매 아이콘(121d)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주문 정보는 해당 상품의 최초 구매 시에 입력된 것일 수 있다. 미리 저장된 주문 정보는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 배송지 정보 및 결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의 디스플레이(120a)는 미리 저장된 주문 정보에 따른 구매 확인 화면 또는 구매 완료 확인 화면을 표시한다(615). 구매 확인 화면(S2)은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121d)에 대응되는 상품을 구매 완료하기 이전 단계의 화면일 수 있으며, 판매 서버(300)에 전송된 신호가 주문 신호인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구매 확인 화면(S2)에는 구매될 상품에 대한 정보, 배송지 정보, 결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바로 구매 버튼(S21)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가 완료된다.
판매 서버(300)에 전송된 신호가 구매 신호인 경우에는 구매 완료 확인 화면(S3)이 표시될 수 있다. 구매 완료 확인 화면(S3)은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121d)에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구매가 완료된 이후의 화면일 수 있으며, 구매 완료 확인 화면(S3)에는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 배송 정보, 결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 확인 화면(S2)에서 구매 버튼(S21)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가 완료되고, 구매 완료 확인 화면(S3)에서 구매 취소 버튼(S31)이 선택되지 않으면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가 확정된다.
상품의 구매 횟수를 판단하고, 미리 저장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신호 또는 구매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는 냉장고(100)의 제어부(110)일 수 있다.
또는, 냉장고(100)와 연결된 관리 서버(200)의 제어부(210)가 상품의 구매 횟수를 판단하고, 미리 저장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신호 또는 구매 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즉시 구매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당해 예시는 전술한 도 24 내지 도 27의 예시와 대응된다.
즉시 구매 아이콘 및 구매 명령 버튼을 표시한다(620). 즉시 구매 아이콘과구매 명령 버튼은 가전 기기(100)의 디스플레이(120a)이 표시된 홈 화면(121) 상에 표시될 수도 있고, 즉시 구매 위젯 화면(123)에 표시될 수도 있다.
즉시 구매 아이콘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상품 별로 생성되어 복수 개 표시될 수 있다. 구매 명령 버튼은 판매자 별로 생성되어 복수 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즉시 구매 아이콘이 선택되면(621),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이 구매 예정 목록에 추가되고, 구매 예정 목록 추가 확인을 위한 팝업이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된다(622).
즉시 구매 아이콘의 선택 시에,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주문 신호가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판매자의 판매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즉시 구매 아이콘의 선택만으로는 주문 신호가 판매 서버에 전송되지 않고, 즉시 구매 아이콘의 선택에 따른 구매 예정 목록이 저장부(140)에 저장된 후에 구매 명령 버튼(123j, 123k)이 선택되었을 때 판매 서버에 주문 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해 구매 명령 버튼이 선택되면(623의 예), 선택된 구매 명령 버튼에 대응되는 판매 사이트에 접속한다(624).
디스플레이(120a)는 구매 예정 목록에 포함된 상품들에 대한 주문 확인 화면 또는 구매 확인 화면을 표시한다(625).
구매 명령이 선택되었을 때, 판매 서버에 주문 신호가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고, 구매 신호가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주문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는 주문 확인 화면을 표시하고, 구매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는 구매 확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 동안 사용자가 즉시 구매 아이콘(123d, 123e, 123f)을 선택하여 추가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구매 예정 목록에 포함되어 있고, 구매 예정 목록을 보여주는 주문 확인 화면(S4)은 각 상품에 대한 정보와 배송지 정보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구매 예정 목록에 포함된 상품 중 일부만 선택하고, 선택상품 주문 버튼(S41)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상품에 대한 구매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전체상품 주문 버튼(S42)을 선택함으로써 전체 상품에 대한 구매를 완료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해당 판매자의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 배송 정보 입력, 결제 정보 입력 등의 절차가 생략되고, 사용자는 주문 버튼(S41, S42)의 선택만으로 상품에 대한 구매를 완료할 수 있다.
구매 확인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에 대한 구매가 완료된 이후의 구매 확인 화면(S5)이 디스플레이(120a)에 표시될 수 있다.
구매 확인 화면(S5)에는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 배송 정보, 결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구매를 취소하기 위한 구매 취소 버튼(S51)도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매 취소 버튼(S51)이 선택되지 않으면,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가 확정된다.
당해 예시에서도 마찬가지로, 미리 저장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신호 또는 구매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는 냉장고(100)의 제어부(110)이거나, 관리 서버(200)의 제어부(210)일 수 있다.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품의 구매 필요 여부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당해 예시는 전술한 도 7 내지 9 및 도 28 내지 33의 예시와 대응된다.
도 43을 참조하면, 상품 구매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630). 예를 들어, 냉장고의 필터와 같이 가전 기기(100)의 사용 또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부품의 교체 시기 또는 고장/파손 여부에 기초하여 구매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유통기한 만료일이나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반출 여부에 기초하여 구매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품의 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631의 예), 상품 구매 필요 알림을 출력한다(632). 예를 들어, 구매가 필요한 상품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을 점멸하거나, 색상이나 크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시각적인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해당 상품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20a)의 홈 화면(121)에 팝업창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청각적인 알림을 함께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구매가 필요한 상품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을 선택하면(633의 예), 해당 상품의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 접속하고(634),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주문 신호 또는 구매 신호를 전송한다(635).
로그인, 상품의 검색 및 선택, 배송 정보 및 결제 정보 등의 입력 절차가 생략되어 해당 상품을 바로 구매할 수 있는 주문 확인 화면 또는 주문 확인 없이 바로 상품의 구매가 완료된 이후에 구매 확인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636).
한편, 가전 기기(100)가 서버(200)를 통해 연결된 다른 가전 기기(500)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 필요 알림을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구매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상품의 판매 사이트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신호 또는 구매 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에어컨이나 공기 청정기의 필터 교체가 필요한 경우,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 구매 필요 알림을 출력하고 냉장고를 통해 필터를 구매할 수 있다. 또는, 세탁기의 세제 구매가 필요한 경우에도,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에 구매 필요 알림을 출력하고, 냉장고를 통해 세제를 구매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전 기기(1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다른 가전 기기의 상품 구매 요청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품의 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품 구매 필요 알림의 출력 및 상품의 구매가 모바일 기기(400)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품 구매 필요 여부의 판단은 각각의 가전 기기(100, 500)에서 수행하거나, 관리 서버(2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 없이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개시된 발명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될 수 없다.
100: 가전 기기
110: 제어부
120: 유저 인터페이스
130: 통신부
140: 저장부
200: 관리 서버
400: 모바일 기기

Claims (31)

  1. 상품을 즉시 구매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상품 별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주문 정보를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판매하는 판매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의배송지 정보 및 상기 상품의 구매에 사용되는 결제 수단에 관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가전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의 이전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가전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가전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신호를 상기 주문 정보와 함께 상기 판매 서버에 전송하는 가전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한 구매의 확인을 입력 받기 위한 구매 확인 화면을 표시하는 가전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매 확인 화면에 표시된 구매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신호를 상기 판매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가전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신호를 상기 주문 정보와 함께 상기 판매 서버에 전송하는 가전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한 구매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구매 완료 확인 화면을 표시하는 가전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가전 기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하여 상기판매 서버에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가전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품의 구매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생성된 즉시 구매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가전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품의 구매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생성하는 가전 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품의 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상품의 구매가 필요함을 알려주는 구매 필요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가전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상품에 대응되는 즉시 구매 아이콘을 점멸시키거나, 상기 즉시 구매 아이콘의 컬러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즉시 구매 아이콘의 크기를 변경하여 상기 구매 필요 알림을 출력하는 가전 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가전 기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가전 기기 중 다른 가전 기기에 필요한 상품의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가전 기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이 구매 예정 목록에 포함되었음을 알려주는 팝업창을 표시하는 가전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구매 예정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명령 버튼을 더 표시하는 가전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구매 명령 버튼을 상기 판매 서버 별로 표시하는 가전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매 명령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구매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가전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구매 명령 버튼에 대응되는 판매 서버에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가전 기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냉장고에 사용되는 필터, 에어컨에 사용되는 필터, 공기 청정기에 사용되는 필터, 냉장고에 저장되는 식품 및 세탁기에 사용되는 세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고에 사용되는 필터, 에어컨에 사용되는 필터 및 공기 청정기에 사용되는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가 완료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또는 상기 필터의 교체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필터의 교체 가이드 화면을 제공하는 가전 기기.
  23. 상품을 즉시 구매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을 상품 별로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주문 정보를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판매하는 판매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의배송지 정보 및 상기 상품의 구매에 사용되는 결제 수단에 관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판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신호를 상기 주문 정보와 함께 상기 판매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한 구매의 확인을 입력 받기 위한 구매 확인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확인 화면에 표시된 구매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신호를 상기 판매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즉시 구매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신호를 상기 주문 정보와 함께 상기 판매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한 구매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구매 완료 확인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
  31. 제21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전 기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가전 기기 중 다른 가전 기기에 필요한 상품의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방법.
KR1020170024016A 2017-01-03 2017-02-23 가전 기기, 모바일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80080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58,676 US20180187954A1 (en) 2017-01-03 2017-12-29 Home appliance,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1790P 2017-01-03 2017-01-03
US62/441,790 2017-0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068A true KR20180080068A (ko) 2018-07-11

Family

ID=6291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016A KR20180080068A (ko) 2017-01-03 2017-02-23 가전 기기, 모바일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006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7661A1 (ko) * 2020-01-03 2021-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0462B1 (ko) * 2020-12-16 2021-07-22 주식회사 한컴로보틱스 사용자에게 맞춤형 복합 정보를 제공하는 홈 로봇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13245A (ko) * 2021-02-05 2022-08-12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판매 정보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36055A (ko) * 2021-03-31 2022-10-07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판매 정보 처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36062A (ko) * 2021-03-30 2022-10-07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판매 정보 처리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548979B1 (ko) * 2022-12-06 2023-06-28 황찬식 가전제품 및 부품 통합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87345B1 (ko) * 2023-05-09 2023-10-13 양영희 물품 수납 정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7661A1 (ko) * 2020-01-03 2021-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0462B1 (ko) * 2020-12-16 2021-07-22 주식회사 한컴로보틱스 사용자에게 맞춤형 복합 정보를 제공하는 홈 로봇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13245A (ko) * 2021-02-05 2022-08-12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판매 정보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36062A (ko) * 2021-03-30 2022-10-07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판매 정보 처리 방법 및 전자 장치
US11875395B2 (en) 2021-03-30 2024-01-16 Coupang Corp. Item sale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240038938A (ko) * 2021-03-30 2024-03-26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판매 정보 처리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20136055A (ko) * 2021-03-31 2022-10-07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판매 정보 처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548979B1 (ko) * 2022-12-06 2023-06-28 황찬식 가전제품 및 부품 통합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87345B1 (ko) * 2023-05-09 2023-10-13 양영희 물품 수납 정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87954A1 (en) Home appliance,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80080068A (ko) 가전 기기, 모바일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EP3139118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76992A (ko) 냉장고
US11015859B2 (en) Refrigerator
US20210081885A1 (en) Food display system integrating retailer services with consumer engagement
US10055117B2 (en) Refrigerator including a terminal to provide content related to the refrigerator
KR102319804B1 (ko) 상품 구매 시스템, 상품 구매 방법 및 냉장고
CN110363609B (zh) 网络系统
US9043033B2 (en)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4823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20160232877A1 (en) Food container, method of managing food container, and refrigerator
KR20140139736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50339A (ko) 스토어 및 창고 시스템에서 아이템 수집을 개선하기 위해 전자 선반 라벨을 사용하는 방법
US11215392B2 (en) Refrigerator
KR20170058581A (ko) 모바일 메신저로 조회 및 물품 주문 기능을 갖는 냉장고 보관 재료 관리용 디바이스 및 물품 주문 방법과 서비스
KR20170053248A (ko) 조회 및 물품 주문 기능을 갖는 냉장고 보관 재료 관리용 디바이스 및 물품 주문 방법과 서비스
KR100605214B1 (ko) 냉장고의 생활정보 제공장치
KR20180124193A (ko) 식품 관리를 위한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관리 시스템
KR20130010980A (ko)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230036482A (ko) 음식 보관고를 이용한 음식 배달 방법
KR20190121948A (ko) 인공지능형 냉장고 시스템
KR20110089998A (ko) 판매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판매 정보 표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