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039B1 - 가전기기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039B1
KR102113039B1 KR1020130001764A KR20130001764A KR102113039B1 KR 102113039 B1 KR102113039 B1 KR 102113039B1 KR 1020130001764 A KR1020130001764 A KR 1020130001764A KR 20130001764 A KR20130001764 A KR 20130001764A KR 102113039 B1 KR102113039 B1 KR 102113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purchase
button
displayed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8862A (ko
Inventor
김양환
정원희
노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144,009 priority Critical patent/US9842362B2/en
Publication of KR2014003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가전기기,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가정에 설치된 가전기기들을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여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격에서 용이하게 가전기기들을 모니터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가전기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이나 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의 단말 장치와 연계하여 구매 목록 등을 공유함으로써 상품 구매의 효율을 증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외부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냉장고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구매 목록의 생성, 구매 사이트 연결 및 식품 구매를 하나의 냉장고 화면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냉장고의 안정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사용자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HOME APPLIANCE, METHOD FOR SHOPPING GOOD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전기기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안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제품(이하, '가전기기'), 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공기조화기, 가전기기 등,은 특성에 맞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집안 내에 있는 가전기기들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일명 홈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러한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격에서 집안 내에 있는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부재중이어도 가전기기를 온/오프 하거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홈 네트워크를 통한 가전기기의 제어는 가전기기 본연의 기능에 제한된다.
장치 관리는 각종 전자 장치(여기서는, 가전기기)에 대하여 사용자 맞춤형 설정, 원격 관리, 갱신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장치 관리 기술은 제품의 제조 과정, 구입 후 초기 설정, 오류 및 수정 사항에 대한 일괄 갱신, 제품에 대한 원격 관리 등의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이동 통신 분야의 응용 프로그램 및 서비스 분야에 대한 표준화 기술로서 OMA(Open Mobile Alliance; 이하 OMA)에서 제정한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OMA는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의 상호 운용성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모바일 웹, 웹 브라우징, DRM 솔루션, IP 멀티미디어, 장치 관리, 모바일 방송, 모바일 관련 문서 표준화 등에 관하여 다룬다. 특히, OMA에서의 장치 관리를 위한 기술에 대한 표준화는 펌웨어(firmware)의 갱신(update),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신규 서비스, 에러(error)의 수정 등과 같은 과정이 무선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가전기기의 일 예로 냉장고는, 한국공개특허 공보 제2012-011620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냉각 기능 외에 식품관리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관리 기능 중에서 쇼핑이 필요한 경우 쇼핑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는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문헌에 의하면, 단지 쇼핑 리스트 만을 생성할 뿐 가전기기에서 식품을 주문하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가전기기와, 이러한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상품 구매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장치 관리 기술을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지 아니하고 냉장고와 같은 가전기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 가전기기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가전기기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지정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구매 사이트로 정보를 송신하거나 구매 사이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지정 명령에 따른 구매 목록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에서 구매 목록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구매 목록 중에 속하는 상품 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냉장실 추가 버튼 및 냉동실 추가 버튼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냉장실 추가 버튼 또는 상기 냉동실 추가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추가 완료 알림을 위한 메시지가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출력부는, 제1 영역에는 상기 구매 목록을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상기 구매 사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삭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출력부는, 제1 영역에는 상기 구매 목록을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상기 구매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는, 상기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상기 구매 목록에서 선택된 상품의 실제 구매를 위한 정보창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정보창에는 상기 구매 목록에서 선택된 상품명, 상품 개수 및 가격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정보창에 표시된 상품의 주문을 실행하기 위한 주문 버튼이 표시되며, 상기 주문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배송지의 정보 및 배송 시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과, 입력 완료 시 선택하는 확인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확인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결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과, 입력 완료 시 선택하는 확인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외부의 단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구매 목록을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구매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상기 구매 목록을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의 단말 장치로부터 구매 목록을 수신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동기화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연결 가능한 복수의 구매 사이트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구매 사이트들 중 하나의 구매 사이트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구매 사이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는, 구매 가능한 대상 상품들을 상품 카테고리로 나누어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각각의 대상 상품들에 대한 지정 빈도 또는 구매 빈도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관리 명령에 따른 실행 결과를 상기 가전기기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상품은 식품이고, 상기 가전기기는 냉장고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가전기기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은, 구매 사이트 들 중에서 통신 연결 가능한 구매 사이트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통신 연결 가능한 구매 사이트들 중에서 어느 한 구매 사이트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구매 사이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지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정 명령에 따라 구매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선택된 구매 사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구매 목록 내의 대상 상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은, 입출력 가능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가전기기; 및 상기 가전기기와, 외부의 단말 장치의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관리 명령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전기기는,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지정 명령에 따라 구매 목록과 연결 가능한 구매 사이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며, 상기 구매 사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상품의 구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관리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하고, 상기 관리 명령에 따른 실행 결과를 상기 가전기기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 관리 서버는, OMA (Open Mobile Alliance) 장치 관리 표준을 따르는 제어 메시지의 교환에 따라 상기 관리 명령을 상기 가전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전기기는 냉장고이고, 상기 대상 상품은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가전기기는, 가전기기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지정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구매 사이트로 정보를 송신하거나 구매 사이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지정 명령에 따른 구매 목록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상기 구매 목록에 포함된 전체 상품의 수와, 장보기 버튼과, 냉장실 추가 버튼, 냉동실 추가 버튼 및 상기 구매 목록을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의 단말 장치로부터 구매 목록을 수신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동기화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구매 목록 중에 속하는 상품 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상기 냉장실 추가 버튼 및 냉동실 추가 버튼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냉장실 추가 버튼 또는 상기 냉동실 추가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추가 완료 알림을 위한 메시지가 표시되고, 상기 구매 목록에 저장된 식품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장보기 버튼은 활성화되고, 상기 냉장실 추가 버튼 및 상기 냉동실 추가 버튼은 비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가정에 설치된 가전기기들을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여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격에서 용이하게 가전기기들을 모니터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가전기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이나 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의 단말 장치와 연계하여 구매 목록 등을 공유함으로써 상품 구매의 효율을 증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외부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냉장고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구매 목록의 생성, 구매 사이트 연결 및 식품 구매를 하나의 냉장고 화면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냉장고의 안정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사용자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3은 상품 구매를 위해 가전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메인 화면의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표시된 버튼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서의 상품 선택 후의 동작에 따른 팝업 표시 창의 예시도;
도 7은 가전기기와 외부의 단말 장치 사이의 동기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
도 8은 카테고리 또는 빈도를 이용한 상품 선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
도 9는 구매 목록 및 구매 사이트가 동시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
도 10은 구매 목록 내의 상품을 구매 사이트를 통해 검색한 결과를 표시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
도 11a 내지 도 11f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하여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구매 목록이 비어있는 경우, 구매 사이트에 연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3a 내지 도 13d는 외부의 단말 장치와 동기화하여 구매 목록을 송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구매 목록 내의 상품을 냉장고에 추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5a 내지 도 15d는 구매 목록 내의 상품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6a 내지 도 16d는 구매 사이트를 통해 구매 목록 내의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7a 내지 도 17g는 구매 사이트를 통한 상품의 구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8은 외부의 단말 장치가 가전기기 관리 서버를 통해 가전기기에 관리 명령을 전달하고 명령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및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가전기기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을 보인 흐름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10)은 가전기기(100)와,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10)은 단말 장치(300), 관리 포털(400), 및 연산 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전기기(100)는 입출력 가능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할 수 있다.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가전기기(100)와, 외부의 단말 장치(300)의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관리 명령에 따라 가전기기(100)를 관리한다. 여기서, 가전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지정 명령에 따라 구매 목록을 생성하고, 구매 목록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또, 가전기기는 구매 목록과 함께 연결 가능한 구매 사이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구매 사이트를 이용하여 대상 상품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가전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지정 명령에 따라 생성된 구매 목록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가전기기(100)는 관리의 대상으로서, 냉장고, 세탁기, 공기조화기, 조리기기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가전기기로 한정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통신기기 등의 다른 기기들로 확장될 수 있다. 가전기기(100)는 가전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즉 가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가전 모듈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능형 가전기기(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는 장치이다. 특히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가전기기(100)에 관리 명령의 수행을 요청하고, 관리 명령의 수행 결과를 가전기기(10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한다.
관리 포털(400)은 가전기기(100)의 사용자의 가입 및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관리 포털(400)은 가전기기 사용자를 관리하는 기능, 가전기기의 제품 인증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관리 포털(400)은 가전기기(100)의 제조사, 또는 가전기기의 판매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장치, 서버, 또는 서비스 시스템일 수 있다.
연산 장치(500)는 관리 포털(400)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이다. 연산 장치(500)는,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네트워크 기능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또, 연산 장치(500)는 가전기기(100)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300)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가 제공하는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단말 장치(300)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가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모듈을 통하여 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DM 클라이언트(Device Management Client)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기기이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300)는 휴대폰, 셀룰러폰(Cellular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tablet device), 컴퓨터(computer)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전기기(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가전기기(100)는 메모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와 관리 명령 수행을 위한 제어 메시지, 관리 명령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관리 명령 수행의 결과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다. 통신부(120)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무선 통신 모듈은 근거리 내에 있는 장치와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reless LAN (Bluetooth, 802.11n 등등 프로토콜)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모듈일 수 있다.
입력부(110)와 출력부(140)는 가전 모듈과 같은 가전기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와 연결되는 통로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입력부 및 출력부는 관리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 및 상태 정보가 송수신되도록 동작한다.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 관리 명령에 따라, 가전기기는 그 본연의 기능, 예를 들어 세탁 기능, 조리 기능, 청소 기능 또는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제어부(130)는 미리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고, 출력부(140)를 통해 그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3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 메모리(150)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50)에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s) 및 관리 플랫폼(Management Platform)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에는 통신부과 함께 동작하는 모듈, 입력부 및 출력부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통신부(120)를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토리지(network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 따위에 의하여 제공되는 저장 기능에 의한 저장 영역 형태일 수 있다.
운영 체제(예를 들어, LINUX, UNIX, OS X, WINDOWS, Chrome, Symbian, WinCE, Windows Mobile, iOS, Android, Bada, VxWorks, pSOS 또는 기타 임베디드 운영 체제)는 메모리 관리, 전력 관리 등과 같이 시스템 작업(tasks)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드라이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펌웨어 갱신(firmware update) 과정을 통하여 변경될 수 있다. 펌웨어 갱신 과정은 단말 장치(300)로부터 가전기기 관리 서버 내의 DM 서버(DM Server)를 통해 DM 클라이언트로 전송된 관리 명령에 의하여 수행된다. 펌웨어 갱신을 위한 관리 명령은 업그레이드 기능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일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운영 체제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가전기기의 고유 기능에 대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가전기기(또는, 그 내에 구비된 가전 모듈)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가 세탁 기능의 하드웨어가 탑재된 세탁기 등인 경우, 입력부를 통하여 세탁 드럼 제어 유닛, 세탁수 공급 유닛, 센서 유닛, 세제 조절 유닛, 진동 조절 유닛 또는 수평 조절 유닛과 같은 세탁기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상태 수집 신호가 입력된다. 이 경우, 세탁기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 신호 등은 의류의 재질, 옷감 등과 같은 세탁 대상물의 정보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의 방법, 순서, 시간, 회수 등을 지정하는 세탁 코스에 따른 세탁 방법 등을 지시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다.
다른 예로, 가전기기가 저장 기능의 하드웨어가 탑재된 냉장고 등인 경우, 입력부를 통하여 냉각 유닛, 온도 제어 유닛, 센서 유닛 또는 전력 제어 유닛과 같은 냉장고의 구성들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상태 수집 신호가 입력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냉장고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 신호 등은 저장 모드, 숙성모드 또는 보관 모드에 따른 저장 방법 등을 지시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다.
응용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 갱신 과정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갱신 과정은 단말 장치(300)로부터 DM 서버를 통해 DM 클라이언트로 전송된 관리 명령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갱신을 위한 관리 명령은 업그레이드 기능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일 수 있다.
관리 플랫폼은 운영 체제상에서 실행되는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DM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M 클라이언트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 내의 DM 서버와 가전기기의 관리를 위한 관리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DM 클라이언트가 수행하는 관리 기능들은 가전기기(100)에 탑재된 가전 모듈에 대한 관리 기능으로서, 예컨대, 모니터링, 진단, 업그레이드, 원격 제어 등을 포함한다.
관리 플랫폼은 DM 데몬(DM Daemon)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M 데몬은 가전기기 내의 통지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통지 메시지를 DM 클라이언트를 위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DM 데몬은 DM 클라이언트의 예외 사항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관리 플랫폼은 서비스 에이전트(Service Agent)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에이전트는 DM 클라이언트가 관리 명령에 따라 가전기기 내의 하드웨어를 제어하거나 또는 제어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제어부(130)는 가전기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3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출력부(140), 메모리(150), 및 하드웨어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가전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제어부(130)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관리 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API 서버(210), 연결 서버(220), DL 서버(230), DM 서버(240), 및 통신 서버(250) 중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PI 서버(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Server) (210)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의 외부의 단말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장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API 모듈(210)은 장치 관리 서비스에 접근하고자 하는 단말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허가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한 인증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가전기기(100)의 원격 진단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가전기기(100)의 모니터링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가전기기(100)의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및 가전기기(100)의 가전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서버(220)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 외부의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관리 명령 요청 메시지를 가전기기(100)에 전달하고, 가전기기(100)로부터 관리 명령 요청 메시지에 따른 관리 명령을 수행한 결과를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로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L 서버(Download Server) (230)는 가전기기(100)에게 다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운로드 서버(230)는 OMA 다운로드 표준에 따라 다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듈일 수 있다.
DM 서버(Device Management Server) (240)는 가전기기(100) 내의 장치 관리에 관한 기능을 수행하는 DM 클라이언트와의 제어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관리 명령의 수행을 요청하고 관리 명령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M 서버(240)는 OMA DM 표준에 따라 관리 명령을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지 서버(Notification Server) (250)는 가전기기(100)에 장치 관리를 위한 통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지 서버(250)는 가전기기(100) 및 DM 서버(240) 사이의 메시지를 푸쉬(push) 방식으로 교환할 수 있다.
도 2에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가 다섯 개의 서버로 이루어져 있으나, 하나의 장치 내에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전기기 관리 서버는 통신부, 저장부, 제어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는 가전기기(100) 및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저장부는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이 임시 저장될 수도 있다. 특히, 저장부에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관리 명령에 대한 수행 요청을 가전기기에 전달하고, 가전기기(100)로부터 관리 명령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모듈들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모듈, 연결 모듈, 다운로드 모듈, 장치 관리 모듈, 및 통지(Notification)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통신부 및 저장부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모듈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8을 참조하여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가전기기 관리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8은 단말 장치가 가전기기 관리 서버를 통하여 가전기기에 관리 명령을 전달하고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로 관리 명령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요청 신호를 수신한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요청 신호에 포함된 관리 명령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의 결과에 따라 관리 명령을 지시할 방법을 결정한다.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결정된 지시 방법에 따라 가전기기(100)로 관리 명령을 수행할 것을 지시한다. 또한,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관리 명령의 수행 결과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를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
먼저,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단말 장치(300)가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명령을 요청할 수 있는 정당한 장치인지를 검사한다(S10).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300)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로 로그인(login)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1).
로그인 요청 메시지는 단말 장치(300) 또는 단말 장치(300)에서 수행되는 장치 관리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의 인증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외부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으로 하여금 가전기기(100)에 대한 관리 명령을 수행하도록 형성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허용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장치가 인터페이스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는 응용 프로그램, 장치 또는 사용자를 인증한다. 로그인 요청 메시지는 가전기기(100)가 인터페이스를 이용 가능함을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인증 메시지 일 수 있다.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로그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검사하고, 로그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정보에 대한 검사 결과를 전송한다. 단말 장치(300) 또는 단말 장치(300)에서 수행되는 장치관리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로 관리 명령을 요청할 수 있도록 허락되어 있음이 확인되는 경우, 단말 장치(300)로 로그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12).
로그인 응답 메시지는 이후 단말 장치(300)가 관리 명령의 수행을 요청하기 위해 필요한 접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정보는 실시간 성격의 관리 명령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관리 서버(200)의 접속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정보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의 IP 주소 또는 TCP 포트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 장치(300)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로 관리 명령을 요청하고,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관리 명령의 종류를 판단하고, 관리 명령의 종류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가전기기(100)로 관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초기화를 요청한다(S20). 물론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관리 명령의 종류에 관계없이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300)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관리 명령의 수행을 요청한다(S21). 이후, 관리 서버(200)는 요청된 관리 명령의 종류를 판단한다(S22).
관리 명령의 종류는 관리 서버(200) 및 가전기기(100) 사이에서 관리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방법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명령의 제1 형태는 OMA DM 표준을 따르는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관리 명령의 수행 요청 및 수행 결과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지시한다. OMA DM 표준을 따르는 송수신 방법은 관리 명령을 위한 복수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하여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 및 가전기기(100) 사이의 연결이 수립 및 해제가 반복되므로, 제1 형태는 관리 명령을 수행함에 있어 비-실시간(non-realtime) 성격을 나타내는 관리 명령에 해당할 수 있다.
관리 명령의 제2 형태는 연결 지향적인 세션을 통한 릴레이 방식, 즉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 및 가전기기(100) 사이에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연결을 통하여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 관리 명령의 수행 요청 및 수행 결과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지시한다. 제2 형태는 실시간(realtime) 성격을 나타내는 관리 명령에 해당할 수 있다.
관리 명령이 실시간 성격을 가지는지 여부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 또는 가전기기(100)가 관리 명령을 수신한 이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관리 명령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또,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관리 명령의 수행을 요청하기 위해 이용되는 API의 형태를 기초로 관리 명령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관리 명령의 요청을 위하여 수립되는 단말 장치(300)와의 연결의 특성을 기초로 관리 명령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관리 명령의 종류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가전기기(100)에 관리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초기 과정을 수행한다(S23).
그런 다음,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가전기기(100)에 대하여 관리 명령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고, 수행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관리 명령에 따른 관리 과정을 수행한다(S30). 관리 과정(S30)에서의 장치 관리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관리 명령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가전기기 관리 서버(200)는, 필요한 경우에 관리 과정의 수행 결과를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S40).
이하, 도 2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에 따른 가전기기, 가전기기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및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입력부(110)는 가전기기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지정 명령을 입력받는다. 통신부(120)는 구매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 즉 구매 사이트 운영 서버(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지정 명령에 따른 구매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출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도 3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가전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변화를 통하여 상품 구매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화면들은 하나의 예시를 보인 것이다. 도 3 내지 도 17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전기기는 냉장고이고, 대상 상품은 식품일 수 있다.
도 3은 상품 구매를 위해 가전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메인 화면의 예시도이다.
디스플레이에는 구매 목록에 포함된 전체 상품의 수가 표시될 수 있고, 전체 상품을 한번에 선택할 수 있도록 전체 선택 체크 박스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는 구매 목록이 표시될 수 있고, 상품의 수가 일정 수 이상이면 스크롤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는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들이 표시될 수 있고, 상품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구매 목록은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한 지정 명령에 의해서 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선택된 상품의 목록으로서, 실제 구매될 상품의 목록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는 전체 선택 체크 박스와 함께 구매 목록 내에 포함된 식품 수가 15개임을 표시한다. 기본적으로, 메인 화면에는 '장보기', '냉장실에 추가', '냉동실에 추가', 및 '삭제'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구매 목록에는 식품명과 함께, 아이콘이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 구매 목록 내의 식품들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체크 박스가 표시된다.
또, 메인 화면의 일부에는 식품 추가 영역이 형성된다. 식품 추가, 즉 구매 상품에 대한 지정 명령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 키패드 입력, 및 음성 입력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식품 추가 영역에는 지정 명령을 위한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키패드 입력 버튼을 탭하면, 디스플레이는 키패드 화면으로 이동하여 식품명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음성 입력 버튼을 탭하면, 디스플레이는 음성 인식 팝업으로 이동한다.
한편, 통신부(120)는, 외부의 단말 장치와 연결되고, 단말 장치에 구매 목록을 전송하거나, 또는 단말 장치로부터 미리 생성된 구매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단말 장치가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 동기화'라는 버튼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표시된 버튼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버튼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프로그래밍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식품 아이템이 없거나, 구매 목록(쇼핑 리스트)에 저장된 식품이 없는 경우에는, 장보기 버튼만 활성화되고, 나머지 버튼들은 비활성화된다. 반면, 도 4b를 참조하면, 선택된 식품 아이템이 있는 경우에는 동작 가능한 버튼들은 모두 활성화된다.
도 5는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구매 목록 내에 포함된 식품들 중 하나 이상의 식품을 선택하면, 즉 식품명에 해당하는 체크 박스를 체크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 가능한 버튼들, 예를 들어 '장보기', '냉장실에 추가', '냉동실에 추가', '삭제' 버튼들이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구매 목록 내에 포함된 식품들 중 2개의 식품을 선택한 다음, '냉장실에 추가' 버튼을 탭하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는 '2개의 식품이 냉장실에 추가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 창이 팝업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구매 목록 내에 포함된 식품들 중 2개의 식품을 선택한 다음, '냉동실에 추가' 버튼을 탭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는 '2개의 식품이 냉동실에 추가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 창이 팝업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여 구매 목록 내의 상품을 냉장고에 추가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도 14a와 같이 표시된 구매 목록 내의 식품들 중 하나 이상의 식품을 선택한 후, 도 14b와 같이 '냉장실에 추가' 버튼을 탭하면,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는 '2개의 식품이 냉장실에 추가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 창이 팝업될 수 있다.
도 7은 가전기기와 외부의 단말 장치 사이의 동기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디스플레이에는 '스마트폰 동기화'라는 버튼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그 버튼을 탭하면, 디스플레이는 안내 메시지 창을 팝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창에는 '스마트폰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불러오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외부의 단말 장치와 동기화하여 구매 목록을 송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a와 같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스마트폰 동기화' 버튼을 사용자가 탭하면, 출력부(140)는 도 13b와 같이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팝업한다.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송하기'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는 '냉장고와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동기화 중입니다'라는 메시지 창을 팝업하고 냉장고에서 생성된 구매 목록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구매 목록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디스플레이에는 확인 메시지를 도 13d와 같이 표시된다.
메모리(150)에는 구매 가능한 대상 상품들을 상품 카테고리로 나누어 저장될 수 있다. 또, 메모리(150)는 각각의 대상 상품들에 대한 지정 빈도 또는 구매 빈도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카테고리 또는 빈도를 이용한 상품 선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메인 화면에 표시된 '식품 목록 보기'를 사용자가 탭하면, 디스플레이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선택 가능한 식품들의 목록이 표시된다. 즉, 사용자의 간단한 터치 입력에 따라 식품에 대한 지정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화면은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제1 영역에는 상기 구매 목록을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상기 구매 사이트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구매 목록 및 구매 사이트가 동시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제1 영역에는 구매 목록이 표시되는데, 구매 목록 내에 포함된 식품의 총수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아이콘 또는 이미지와 함께 식품명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는 구매 목록(쇼핑 리스트)를 편집할 수 있는 버튼을 더 표시할 수 있다. 구매 목록이 비어있는 경우에 제1 영역에는 '구매 목록이 비어있습니다.'등의 안내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쇼핑 리스트 편집' 버튼은 활성화될 수 있다. 제2 영역에는 구매 사이트, 즉 연결가능한 쇼핑 사이트(프레시 몰 홈) 화면이 표시된다. 또, 디스플레이는 표시된 구매 사이트에 따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나의 버튼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는 '이전', '프레시몰 홈', '상품검색', '카테고리', '장바구니', '마이 페이지' 등 구매 사이트와 관련된 버튼들이 표시될 수 있다. 초기에 '이전' 버튼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제2 영역에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구매 목록 내의 상품을 구매 사이트를 통해 검색한 결과를 표시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구매 목록 내의 식품명이나 아이콘 등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구매 사이트가 표시된 영역, 즉 제2 영역에는 선택된 식품에 대한 검색 결과가 표시된다. 상기 검색 결과는 일 예로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포함한다.
도 16a 내지 도 16d를 참조하면, 구매 사이트를 통해 구매 목록 내의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구매 사이트가 표시된 제2 영역은, 제1 영역에 표시된 구매 목록 내에 표시된 식품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6a와 같이 구매 목록 및 구매 사이트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식품명이나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에 검색 결과가 표시된다. 식품 검색 결과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 중 하나의 결과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에는 식품 상세 정보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이전' 버튼이 탭되면, 제2 영역에는 도 16b와 같이 검색 결과 화면이 표시된다. 일 예로 식품 상세 정보 화면에는, 상품명칭, 실제 가격, 할인 가격, 저장 요구 위치 등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f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하여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일련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a는 냉장고 관리 메인(초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메인 화면에는 각종 관리 메뉴와 함께 일명 스마트쇼핑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버튼을 누르면, 출력부(140)는 도 11b와 같이 메인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식품 추가 영역 중 하나, 예를 들어 '식품 목록 표시' 버튼을 탭하면, 디스플레이에는 도 11c와 같이 식품 추가 화면이 표시된다. 즉, 디스플레이 메인 화면에 표시된 '식품 목록 보기'를 사용자가 탭하면, 디스플레이에는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선택 가능한 식품들의 목록이 표시된다. 즉, 사용자의 간단한 터치 입력에 따라 식품에 대한 지정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카테고리를 선택한 다음, 카테고리 내의 식품들 중 하나 이상의 식품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식품들을 선택한 후, '추가'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식품들이 포함되어 도 11f와 같은 구매 목록이 생성된다. 또는, 제어부(130)는, 특정 식품의 보관량이 기준량 이하가 되면, 해당 식품을 구매 목록에 추가한다. 이 때, 보관량은, 무게 또는 개수일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구매 목록이 비어있는 경우, 구매 사이트에 연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a와 같이 냉장고 관리 메인(초기) 화면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가 '스마트' 버튼을 누르면, 출력부(140)는 도 12b와 같이 메인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식품 추가 동작을 하지 아니하고, 하단에 구비된 '장보기' 버튼을 탭하면,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부(140)는 구매 목록과 구매 사이트를 동시에 표시하는 구매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쇼핑 리스트 편집' 버튼을 탭하면, 디스플레이에는 다시 구매 목록을 생성할 수 있는 메인 화면을 도 12b와 같이 표시된다.
도 15a 내지 도 15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구매 목록 내의 상품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도 15a와 같이 표시된 구매 목록 내의 식품들 중 하나 이상의 식품을 선택한 후, 도 15b와 같이 '삭제' 버튼을 탭하면,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는 '2개의 식품을 삭제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 창이 팝업될 수 있다. 이때, 도 1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삭제하기 원하면 '2개의 식품이 삭제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됨과 함께 구매 목록에서 2개의 식품이 삭제된다.
도 17a 내지 도 17g를 참조하면, 구매 사이트를 통한 상품의 구매 동작을 설명한다. 구매 사이트가 표시된 제2 영역은, 제1 영역에 표시된 구매 목록 내에 표시된 식품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7a와 같이 구매 목록 및 구매 사이트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식품명이나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에 검색 결과가 표시된다. 식품 검색 결과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 중 하나의 식품을 '담기'하면, 제2 영역에는 장바구니 담기 확인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7c에서 '장바구니'를 선택하면, 도 17d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실제 식품 구매를 위한 정보창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정보창에는 상기 구매 목록에서 선택된 식품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정보창에는 구매 사이트 정보와, 구매 목록에서 선택된 식품명, 개수, 해당 식품의 가격 정보, 할인 가격 정보, 전체 식품의 가격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정보창에서는 표시된 리스트에서 식품을 삭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체크박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창에는 선택된 식품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버튼과 주문을 실행하기 위한 주문버튼(또는 구매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정보창 이외의 영역에 삭제버튼과 주문버튼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d에서 주문버튼을 선택하면 도 17e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배송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입력창에는 배송지 주소, 연락처, 배송일자 및 시간 등을 입력하기 위한 세부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창에는 주문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버튼과, 입력 완료 시 선택하는 확인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7e에서 확인버튼을 선택하면 도 17f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결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입력창에는, 신용카드 선택창, 카드번호 입력창, 보안번호 입력창, 만료일 정보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입력창에는 주문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버튼과, 입력 완룟 시 선택하기 위한 확인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7e에서 확인버튼을 선택하면 도 17g와 같이 주문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주문이 완료되었습니다. SMART MART에서는 0월 0월 12시~14시 사이에 배송예정입니다"와 같이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는, 배송일자 및 시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은,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지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S300)와, 상기 지정 명령에 따라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S400)와, 연결 가능한 구매 사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구매 목록 내의 대상 상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S30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 키패드 입력, 및 음성 입력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1a와 같은 가전기기 관리 화면에서 '스마트' 버튼을 누르면, 출력부(140)는 도 11b와 같이 메인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식품 추가 영역 중 하나, 예를 들어 '식품 목록 표시' 버튼을 탭하면, 디스플레이에는 도 11c와 같이 식품 추가 화면이 표시된다. 즉, 디스플레이 메인 화면에 표시된 '식품 목록 보기'를 사용자가 탭하면, 디스플레이에는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선택 가능한 식품들의 목록이 표시된다. 즉, 사용자의 간단한 터치 입력에 따라 식품에 대한 지정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S200).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카테고리를 선택한 다음, 카테고리 내의 식품들 중 하나 이상의 식품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식품들을 선택한 후(S300), '추가'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식품들이 포함되어 도 11f와 같은 구매 목록이 생성된다(S400).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는 이렇게 생성된 구매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S420).
도 19를 참조하면, 상품 구매 방법은, 외부의 단말 장치에 상기 구매 목록을 전송하는 단계(S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전기기는 단말 장치와 연결되고(S910), 구매 목록을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S920, S930). 또, 상품 구매 방법은, 외부의 단말 장치로부터 미리 생성된 구매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전기기는 단말 장치와 연결되고(S810), 구매 목록을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820).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는 '스마트폰 동기화'라는 버튼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그 버튼을 탭하면, 디스플레이는 안내 메시지 창을 팝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창에는 '스마트폰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불러오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3a와 같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스마트폰 동기화' 버튼을 사용자가 탭하면, 출력부는 도 13b와 같이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팝업한다.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송하기' 버튼을 누르면(S920), 디스플레이는 '냉장고와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동기화 중입니다'라는 메시지 창을 팝업하고 냉장고에서 생성된 구매 목록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S930). 구매 목록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디스플레이에는 확인 메시지를 도 13d와 같이 표시된다.
도 19를 다시 참조하면, 상품 구매 방법은, 구매 가능한 대상 상품들을 카테고리로 나누어 저장하는 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품 구매 방법은, 각각의 대상 상품들에 따른 지정 빈도 또는 구매 빈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구매 가능한 대상 상품들을 상품 카테고리로 나누어 저장될 수 있다(S100). 또, 메모리는 각각의 대상 상품들에 대한 지정 빈도 또는 구매 빈도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카테고리 또는 빈도를 이용한 상품 선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메인 화면에 표시된 '식품 목록 보기'를 사용자가 탭하면, 디스플레이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선택 가능한 식품들의 목록이 표시된다. 즉, 사용자의 간단한 터치 입력에 따라 식품에 대한 지정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S200).
도 20을 참조하면, 상품 구매 방법은, 구매 목록으로부터 대상 상품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는 단계(S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구매 목록 내의 상품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도 15a와 같이 표시된 구매 목록 내의 식품들 중 하나 이상의 식품을 선택한 후, 도 15b와 같이 '삭제' 버튼을 탭하면,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는 '2개의 식품을 삭제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 창이 팝업될 수 있다. 이때, 도 1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삭제하기 원하면 '2개의 식품이 삭제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됨과 함께 구매 목록에서 2개의 식품이 삭제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품 구매 방법은, 가전기기의 일 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S620)와, 제1 영역에는 상기 구매 목록을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상기 구매 사이트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S6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품 구매 방법은,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매 사이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연결 가능한 복수의 구매 사이트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구매 사이트들 중 하나의 구매 사이트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구매 사이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은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S620). 출력부는, 제1 영역에는 상기 구매 목록을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상기 구매 사이트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구매 목록 및 구매 사이트가 동시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제1 영역에는 구매 목록이 표시되는데, 구매 목록 내에 포함된 식품의 총수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아이콘 또는 이미지와 함께 식품명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는 구매 목록(쇼핑 리스트)를 편집할 수 있는 버튼을 더 표시할 수 있다. 구매 목록이 비어있는 경우에 제1 영역에는 '구매 목록이 비어있습니다.'등의 안내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쇼핑 리스트 편집' 버튼은 활성화될 수 있다. 사용자가 '쇼핑 리스트 편집' 버튼을 탭하면, 디스플레이에는 다시 구매 목록을 생성할 수 있는 메인 화면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구매 목록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S460). 제2 영역에는 구매 사이트, 즉 연결가능한 쇼핑 사이트(프레시 몰 홈) 화면이 표시된다. 또, 디스플레이는 표시된 구매 사이트에 따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나의 버튼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는 '이전', '프레시몰 홈', '상품검색', '카테고리', '장바구니', '마이 페이지' 등 구매 사이트와 관련된 버튼들이 표시될 수 있다. 초기에 '이전' 버튼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출력부는 제2 영역에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구매 목록 내의 상품을 구매 사이트를 통해 검색한 결과를 표시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구매 목록 내의 식품명이나 아이콘 등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구매 사이트가 표시된 영역, 즉 제2 영역에는 선택된 식품에 대한 검색 결과가 표시된다(S710).
도 16a 내지 도 16d를 참조하면, 구매 사이트를 통해 구매 목록 내의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구매 사이트가 표시된 제2 영역은, 제1 영역에 표시된 구매 목록 내에 표시된 식품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6a와 같이 구매 목록 및 구매 사이트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식품명이나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에 검색 결과가 표시된다. 식품 검색 결과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 중 하나의 결과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에는 식품 상세 정보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이전' 버튼이 탭되면, 제2 영역에는 도 16b와 같이 검색 결과 화면이 표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가전기기,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및 이의 관리 시스템은, 가정에 설치된 가전기기들을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여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격에서 용이하게 가전기기들을 모니터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가전기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이나 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의 단말 장치와 연계하여 구매 목록 등을 공유함으로써 상품 구매의 효율을 증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외부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냉장고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구매 목록의 생성, 구매 사이트 연결 및 식품 구매를 하나의 냉장고 화면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냉장고의 안정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사용자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10: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20: 구매 사이트 운영 서버
100: 가전기기 200: 가전기기 관리 서버
300: 단말 장치

Claims (26)

  1. 가전기기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지정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구매 사이트로 정보를 송신하거나 구매 사이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지정 명령에 따른 구매 목록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상기 구매 목록에 포함된 전체 상품의 수와, 장보기 버튼과, 냉장실 추가 버튼, 냉동실 추가 버튼 및 상기 구매 목록을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의 단말 장치로부터 구매 목록을 수신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동기화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구매 목록 중에 속하는 상품 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상기 냉장실 추가 버튼 및 냉동실 추가 버튼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냉장실 추가 버튼 또는 상기 냉동실 추가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추가 완료 알림을 위한 메시지가 표시되고,
    상기 구매 목록에 저장된 식품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장보기 버튼은 활성화되고, 상기 냉장실 추가 버튼 및 상기 냉동실 추가 버튼은 비활성화되는 가전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출력부는,
    제1 영역에는 상기 구매 목록을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상기 구매 사이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출력부는,
    제1 영역에는 상기 구매 목록을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상기 구매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는, 상기 하나 이상의 대상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상기 구매 목록에서 선택된 상품의 실제 구매를 위한 정보창이 표시되는 가전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창에는 상기 구매 목록에서 선택된 상품명, 상품 개수 및 가격 정보가 표시되는 가전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정보창에 표시된 상품의 주문을 실행하기 위한 주문 버튼이 표시되며,
    상기 주문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배송지의 정보 및 배송 시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과, 입력 완료 시 선택하는 확인 버튼이 표시되는 가전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결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과, 입력 완료 시 선택하는 확인 버튼이 표시되는 가전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외부의 단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구매 목록을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구매 목록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연결 가능한 복수의 구매 사이트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구매 사이트들 중 하나의 구매 사이트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구매 사이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구매 가능한 대상 상품들을 상품 카테고리로 나누어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각의 대상 상품들에 대한 지정 빈도 또는 구매 빈도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4. 제 1 항 내지 제 9 항, 제11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가전기기 관리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관리 명령에 따른 실행 결과를 상기 가전기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상품은 식품이고,
    상기 가전기기는 냉장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30001764A 2012-09-20 2013-01-07 가전기기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KR102113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44,009 US9842362B2 (en) 2012-09-20 2013-12-30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shopping for good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4728 2012-09-20
KR1020120104728 2012-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862A KR20140038862A (ko) 2014-03-31
KR102113039B1 true KR102113039B1 (ko) 2020-06-02

Family

ID=5064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764A KR102113039B1 (ko) 2012-09-20 2013-01-07 가전기기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42362B2 (ko)
KR (1) KR1021130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7853B2 (en) * 2013-10-17 2016-10-11 Lg Electronics Inc. Server for managing home applian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D752631S1 (en) * 2014-01-03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360617B2 (en) * 2015-04-24 2019-07-23 Walmart Apollo, Llc Automated shopping apparatus and method in response to consumption
KR101714014B1 (ko) * 2015-06-15 2017-03-08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US10027866B2 (en) 2015-08-05 2018-07-1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s having internal content camera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105550918A (zh) * 2015-12-07 2016-05-04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使用洗衣机一键下单的方法及洗衣机
CN105405044B (zh) * 2015-12-07 2021-06-01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使用洗衣机快速购物的方法及洗衣机
KR20170068336A (ko) * 2015-12-09 2017-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9742581B2 (en) 2015-12-18 2017-08-22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network with messaging
US10891681B2 (en) * 2015-12-29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tem purchase, item purchase method and refrigerator
MX2018008789A (es) 2016-01-19 2019-03-28 Walmart Apollo Llc Sistema de pedido de articulos consumibles.
US11761701B2 (en) * 2016-01-25 2023-09-19 Sun Kyong Lee Refrigerator inventory device
US20170265706A1 (en) * 2016-03-21 2017-09-21 The Dial Corporation Cleaning an item
KR102434867B1 (ko) * 2016-08-31 2022-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11016634B2 (en) * 2016-09-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storage system having a display
KR20180048089A (ko) 2016-11-02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95649B1 (ko) * 2016-11-11 2023-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하는 물품 구매 방법
CN106642954A (zh) * 2016-12-27 2017-05-10 佛山市小鲜互联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净化产品推荐冰箱
KR102412202B1 (ko) * 2017-01-03 202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정보 표시 방법
KR102572483B1 (ko) * 2018-05-25 202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4137B1 (ko) * 2018-08-03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125A (ko) * 2000-08-11 2002-02-20 구자홍 인터넷 냉장고를 이용한 식품 구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167729B1 (ko) * 2005-06-23 2012-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냉장고
KR20070078939A (ko) * 2006-01-31 2007-08-03 박성미 주방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관리 방법
KR20080064053A (ko) * 2007-01-03 2008-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기능을 지닌 냉장고
US20100306080A1 (en) * 2008-10-08 2010-12-02 Trandal David S Methods and systems for receipt management and price comparison
US20130191243A1 (en) * 2012-01-06 2013-07-25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862A (ko) 2014-03-31
US9842362B2 (en) 2017-12-12
US20140195383A1 (en)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039B1 (ko) 가전기기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KR102010295B1 (ko)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이의 푸시 서비스 방법
US11882431B2 (en) Network system of home appliance and network setup method of the same
KR101783615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 구매 관리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는 냉장고
CN103348761B (zh) 具有有限用户接口的设备的激活
US9137297B2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KR101276861B1 (ko)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845290B1 (ko) 장치 관리 명령을 통한 펌웨어 갱신 방법 및 장치
US20160147207A1 (en) Home appliance, mobile device and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US20140087660A1 (en)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7087015B (zh) 具有用于配置建筑物设备的承包商可访问屏幕的移动设备
JP2004522369A (ja) 家庭用機器を用いた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サービス方法
AU2015326466A1 (en) Universal remote control
CN104471958A (zh) 通信方法以及通信装置
JP6216051B2 (ja) ハードウェアデバイスのためのソフトウエア配信アーキテクチャ
US108122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ing off configuration of a building device from a contractor to a customer
KR20210096238A (ko)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가전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US112375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ing off the configuration of a building device from a contractor to a customer using a hang tag or the like
JP2013255613A (ja) 電気機器システム
KR20140043652A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23599A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조리기기의 레시피 자동셋팅 방법
EP3182653B1 (en) Appliance network with messaging
US2022002155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ing of at least one smart home appliance and network system
KR101923435B1 (ko)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10094068A (ko) 2개 이상의 스마트 가전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