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652A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652A
KR20140043652A KR1020130001837A KR20130001837A KR20140043652A KR 20140043652 A KR20140043652 A KR 20140043652A KR 1020130001837 A KR1020130001837 A KR 1020130001837A KR 20130001837 A KR20130001837 A KR 20130001837A KR 20140043652 A KR20140043652 A KR 20140043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ome appliance
mobile terminal
screen
information re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3932B1 (ko
Inventor
최종미
김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029,091 priority Critical patent/US9385784B2/en
Priority to CN201310439787.7A priority patent/CN103684538B/zh
Publication of KR2014004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단계와, 태깅에 기초하여,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 배치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중 냉장고는, 사용자를 위해, 음식을 저장하고,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처리하며, 에어컨은 실내 온도를 조정하거고,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한편, 다양한 통신 방식이 발달함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하려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단계와, 태깅에 기초하여,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단계와, 태깅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단계와, 태깅에 기초하여,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동작 중인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단계와, 태깅에 기초하여, 저장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에 의해,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송신하거나,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와,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와,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경우, 저장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와,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간단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간단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간단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는, 동작 중인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간단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이동 단말기와 홈 어플라이언스 사이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b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4는 도 1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3e는 도 7 또는 도 8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a 내지 도 22c는 도 14 또는 도 15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은, 홈 어플라이언스(200), 이동 단말기(600), 및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태깅(tagging)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전력 정보 화면인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전력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레시피 화면인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레시피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운전 코스 화면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 화면인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운전 코스 정보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펌 웨어 화면인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펌 웨어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억세스 포인트 장치 리스트 화면인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태깅(tagging)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수시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상태 정보, 동작 히스토리 정보, 제품 정보, 고장 정보, 전력 소비 정보, 저장된 물품 정보, 또는 레시피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상태 정보는, 현재 운전 중인 경우, 운전 기간 정보, 현재 운전 시간 정보, 남은 운전 시간 정보, 현재 운전 종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히스토리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특정 기간 동안의 동작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200a)의 문 개폐 정보, 세탁기(200b)의 운전시, 자주 사용하는 코스 운전 정보, 세탁기(200b)의 운전시, 물 사용량 정보, 에어컨(200c)의 냉방 횟수 정보, 냉방 온도 설정 정보, 내부 청소 횟수 정보, 조리기기(200d)의 운전시, 자주 사용하는 코스 운전 정보, 자주 사용하는 조리 시간 운전 정보, 청소기(200e)의 청소 횟수 정보, 청소 시간대 정보, 청소 코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품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종류 정보(냉장고, 세탁기 등), 제품 제조 일자 정보, 제품 시리얼 번호, 제품에 설치된 펌웨어의 종류/버젼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고장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가 고장난 경우, 고장난 시점에서, 동작이 안되는, 부분에 대한 정보, 고장 시점 정보, 고장시, 운전 중이던 운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소비 정보는, 소비된 전력량 정보, 소비된 전력량에 따른 비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된 물품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가 냉장고(200a)인 경우, 냉장고(200a)내에 저장된 푸드(food) 종류 정보, 저장된 푸드 위치 정보, 푸드 양 정보, 푸드 유통 기한 정보, 푸드 입고 일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레시피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가 냉장고(200a)인 경우, 냉장고 내에 저장된 푸드 종류에 대응하여, 조리 가능한 레시피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조리기기(200d)에서, 조리 가능한 레시피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수신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닫.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하고, 전송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동 단말기(600)를 이용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관리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고장 정보인 경우, 서버(500)로 고장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500)로부터 고장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제품 정보인 경우, 서버(500)로 제품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500)로부터 제품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전력 소비 정보인 경우, 서버(500)로 전력 소비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500)로부터 절전 운전 정보 또는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정보는, 전력 가격 정보, 온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오프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실시간 전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를 위한 전자 기기(electric device)로서, 예를 들어, 냉장고(200a), 세탁기(200b), 에어컨(200c), 조리기기(200d), 청소기(200e) 등이 예시될 수 있다. 그 외, TV 등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 핸드폰,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이 가능하다.
도 2a 내지 도 2e는 이동 단말기와 홈 어플라이언스 사이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이동 단말기(600)와 냉장고(200a)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b는,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c는, 이동 단말기(600)와, 에어컨(200c)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d는, 이동 단말기(600)와, 조리기기(200d)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e는, 이동 단말기(600)와 청소기(200e)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3a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220),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30), 다른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22),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동하는 구동부(245), 및 내부 제어를 위한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가 냉장고인 경우, 구동부(245)는, 냉장실 구동부, 냉동실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세탁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드럼 또는 터브를 구동하는 구동부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에어컨인 경우, 구동부(245)는, 실외기 내의 압축기 구동부, 실외기 팬 구동부, 실내기 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조리기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캐비티 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구동부를 포함할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청소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팬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2)는, 적어도, 근거리 자기장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21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3b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내부 블록도는, 도 3a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내부 블록도와 유사하나, 디스플레이 마이컴(223)을 더 구비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에 표시부(230)가 구비되는 경우, 별도의 표시부(230) 제어를 위한, 디스플레이 마이컴(2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메인 마이컴으로서, 디스플레이 마이컴(223)과는 별도의 회로 기판 상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가, 근거리 자기장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217)을 포함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위해, 통신부(222), 특히 NFC 모듈(217)이 디스플레이 마이컴(223)과 동일한 회로 기판 상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3b와 같이, NFC 모듈(217)의 제어는, 일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마이컴(223)이 담당하며, 그 이후, 제어부(270), 즉 메인 마이컴(270)이 담당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600)는, NFC 메모리(617), NFC 제어부(626)와 안테나(628)를 구비하는 NFC 모듈(21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NFC 메모리(218), NFC 제어부(226)와 안테나(226)를 구비하는 NFC 모듈(225)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600)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 자기장이 제공되며, 자기장 변화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상태 정보 또는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 사이의, 정보 교환은, NFC의 CE(card Emulation) 모드, Reader/Wrtiter 모드, 및 peer to peer 모드 중 Reader/Wrtiter 모드, 또는 peer to peer 모드 기반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NFC 제어부와 안테나를 구비하는, 액티브 형태의 NFC 모듈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태그 형태의 NFC 저장부와 안테나를 구비하는, 패시브 형태의 NFC 모듈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액티브 형태의 NFC 모듈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600)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 자기장이 제공되며, 자기장 변화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태깅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안테나(628)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안테나(228)로부터 제품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제품 정보가 기 설정된 제품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제어부(226)는,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NFC 메모리(218)에 기록(write)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모듈(217) 내의 NFC 메모리(218)에 기록되게 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모듈(217) 내의 NFC 메모리(218)에 소정 정보가 기록된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제어부(226)는, 해당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270)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플래그를, '0'에서 '1'로 변환시켜,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270)로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600)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 자기장이 제공되며, 자기장 변화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 또는 NFC 모듈(217) 내의 NFC 제어부(226)는, 전원 온 상태에서, 수시로 홈 어플라이언스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상태 정보 또는 제품 정보를, NFC 모듈(217) 내의 NFC 메모리(218)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태깅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안테나(628)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안테나(228)로부터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제품 정보가 기 설정된 제품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제어부(226)는, 추가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로부터 NFC 메모리(218)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들이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은, 간단하게,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기록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 내의 NFC 모듈(617) 내의 NFC 메모리(618)에 소정 정보가 기록된 경우, 이동 단말기(600) 내의 NFC 제어부(626)는, 해당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플래그를, '0'에서 '1'로 변환시켜,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로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정보를, 서버(5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버(500)는, 통신 모듈(530), 저장부(540), 및 프로세서(520)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 모듈(530)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530)은,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530)은, 인터넷 모듈 또는 이동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정보인 경우, 저장부(54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진단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인 경우, 저장부(54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위해,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력 소비 정보인 경우, 저장부(540)는, 전력 가격 정보, 온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오프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실시간 전력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서버(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52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정보인 경우, 프로세서(520)는, 저장부(540)에 저장된 고장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진단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인 경우, 프로세서(52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력 소비 정보인 경우, 프로세서(520)는, 저장부(540)에 저장된, 전력 가격 정보, 온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오프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실시간 전력 정보 등을 전력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제조자가 운영하는 서버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관련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무선 통신부(610), A/V(Audio/Video) 입력부(620), 사용자 입력부(630), 센싱부(640), 출력부(650), 메모리(660), 인터페이스부(670), 제어부(680), 및 전원 공급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방송수신 모듈(611), 이동통신 모듈(613), 무선 인터넷 모듈(615), NFC 모듈(617), 및 GPS 모듈(6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6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6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이동 단말기(6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WiF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617)은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617)은, NFC 태그 또는 NFC 모듈이 탑재된 홈 어플라이언스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 해당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해당 홈 어플라이언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6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6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621)와 마이크(6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6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6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640)는 이동 단말기(6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640)는, 감지센서(641), 압력센서(643), 및 모션 센서(6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6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650)는 디스플레이(651), 음향출력 모듈(653), 알람부(655), 및 햅틱 모듈(6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51)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6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6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653)은 무선 통신부(6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6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6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655)는 이동 단말기(6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haptic module)(6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6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660)는 제어부(6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670)는 이동 단말기(6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6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은 제어부(6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6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690)는, 제어부(6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6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6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9 내지 도 13e는 도 7 또는 도 8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디스플레이에 소정 화면을 표시한다(S710). 한편, 도 9의 제910 단계(S910)는 도 7의 제710 단계(S710)에 대응한다.
특히,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68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전력 정보 보기 입력이 있는 경우, 전력 정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정보 화면은,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직접, 전력 제공 회사 서버에 접속하여, 전력 정보를 보고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화면일 수도 있다.
도 10a는 이동 단말기(600)에 전력 정보 화면(6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전력 정보 화면(610) 내에, 피크 타임 정보, 그리고 해당 피크 타임에서의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그 밖에, 전력 정보 화면(610)는, 오프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실시간 전력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러이언스와의 태깅(tagging)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72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전송한다(S730). 한편, 도 9의 제920 단계(S920)는 도 7의 제720 단계(S720), 및 도 8의 제820 단계(S820)에 대응하며, 도 9의 제930 단계(S930)는 도 7의 제730 단계(S730), 및 도 8의 제830 단계(S830)에 대응한다.
도 10b는, 이동 단말기(600)를 세탁기(200b)에 가까이 가져가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가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가능한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 내의 NFC 모듈(617)은, 세탁기(200b)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그 역으로, 세탁기(200b)의 NFC 모듈(217)이 이동 단말기(600)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로 기록(write) 또는 송신한다.
이러한 기록 또는 송신 단계 이전에,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기록된 제품 정보를 독출 또는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기 등록된 세탁기인지, 즉, NFC 통신이 가능한 세탁기인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로 기록(write) 또는 송신한다.
즉,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완료된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로 기록(write) 또는 송신할 수 있다.
도 10c는, 도 10b의 태깅에 의해, 이동 단말기(600)에서, 세탁기(200b)로, 세탁기(200b)에 대한 전력 정보(Spow)가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세탁기(200b)는,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간편하게, 전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다음,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수신되는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해당 동작을 실행한다(S840).한편, 도 9의 제940 단계(S940)는 도 8의 제840 단계(S840)에 대응한다.
도 10d는, 도 10c에서 수신한, 전력 정보(Spow)에 기초하여, 세탁기(200b)가 절전 구동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피크 타임인 13:00 부터 15:00 기간을 피해서, 세탁기(200b)가 구동한다던지, 전체 세탁 구간 중 전력 소비가 적은,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등의 일부가, 피크 타임에 일부 중첩되도록하고, 전력 소비가 많은, 타수 행정, 또는 건조 행정은 피크 타임과 절대 중복하지 않도록, 세탁기(200b)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a 내지 도 10d는, 이동 단말기(600)에 전력 정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가 태깅하는 경우, 전력 정보(Spow)가 세탁기(200b)로 전송되고, 세탁기(200b)가 수신되는 전력 정보(Spow)에 대응하여, 절전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도 10a 내지 도 10d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의 도 11a 내지 도 11e는, 이동 단말기(600)에 레시피 관련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조리기기(200d)가 태깅하는 경우, 레시피 정보(Sreci)가 조리기기(200d)로 전송되고, 조리기기(200d)가 수신되는 레시피 정보(Sreci)에 대응하여, 해당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1a는, 조리기기(200d)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조리기기(200d)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1110)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1b는, 조리기기(200d)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중 레시피 관련 화면(1120)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애플 타르트'에 관련한 레시피 화면을 예시한다.
다음, 도 11c는, 이동 단말기(600)에 레시피 관련 화면(11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조리기기(200d)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1d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조리기기(200d)의 NFC 모듈(217)로, '애플 타르트'에 관련한 레시피 정보(Sreci)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레시피 정보는,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코스 정보, 조리법 종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e는, 도 11d에서 수신한, '애플 타르트'에 관련한 레시피 정보(Sreci)에 기초하여, 조리기기(200d)가 애플 타르트'에 관련한 조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설정 없이, 바로 조리 시작 버튼을 누르거나, 조리 시작 버튼의 동작 없이도, 간편하게, 원하는 음식('애플 타르트')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의 도 12a 내지 도 12e는, 이동 단말기(600)에 세탁 코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가 태깅하는 경우, 세탁 코스 정보(Scos)가 세탁기(200b)로 전송되고, 세탁기(200b)가 수신되는 세탁 코스 정보(Scos)에 대응하여, 해당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2a는,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1210)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1210)이, 펌웨어 항목, 세탁코스 항목(1215)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 중 세탁코스 항목(1215)이 선택되는 경우, 도 12b와 같이,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중 세탁 코스 화면(1220)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세탁 행정 60분, 헹굼 행정 20분, 탈수 행정 10분으로 구성되는 '코스 a'에 관련한 세탁 코스 화면(1220)을 예시한다.
다음, 도 12c는, 이동 단말기(600)에 세탁 코스 화면(12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세탁기(200b)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2d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세탁기(200b)의 NFC 모듈(217)로, '코스 a'에 관련한 세탁 코스 정보(Scos)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코스 a'에 관련한 세탁 코스 정보(Scos)는, 세탁 행정 60분, 헹굼 행정 20분, 탈수 행정 10분 등에 대한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e는, 도 12d에서 수신한, '코스 a'에 관련한 세탁 코스 정보(Scos)에 기초하여, 세탁기(200b)가 '코스 a'에 관련한 세탁 코스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설정 없이, 바로 시작 버튼을 누르거나, 시작 버튼의 동작 없이도, 간편하게, 원하는 세탁 코스(코스 a')에 대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의 도 13a 내지 도 13e는, 이동 단말기(600)에 세탁 코스 리스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가 태깅하는 경우, 세탁 코스 리스트 정보(Scol)가 세탁기(200b)로 전송되고, 세탁기(200b)가 수신되는 세탁 코스 리스트 정보(Scol)에 대응하여, 세탁 코스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3a는,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1310)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1310)이, 펌웨어 항목, 세탁코스 항목(1315)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 중 세탁코스 항목(1315)이 선택되는 경우, 도 13b와 같이,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중 세탁 코스 리스트 화면(1320)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세탁 코스 리스트 화면(1320)은, new 코스 a 항목, new 코스 b 항목, new 코스 c 항목 등, 제조자 등이 새롭게 업데이트한 세탁 코스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세탁 코스 리스트 화면(1320) 내의 다운 항목(1325)가 선택되는 경우, 도 13c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서버(500)에 접속하여, 세탁 코스 리스트 화면(1320)에 대응하는 세탁 코스 리스트(Scol)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음, 도 13d는, 이동 단말기(600)에 세탁 코스 리스트 화면(1320)이 표시되고, 서버(500)로부터 세탁 코스 리스트(Scol)가 다운로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세탁기(200b)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3e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세탁기(200b)의 NFC 모듈(217)로, 세탁 코스 리스트(Scol)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코스 리스트(Scol)는, 복수의 새로운 세탁 코스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200b)는, 수신되는 세탁 코스 리스트(Scol)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고, 기존이 세탁 코스 리스트를 수신한 세탁 코스 리스트(Scol)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하게, 세탁기(200b)의 세탁 코스 리스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a 내지 도 13e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펌 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0a 내지 도 13e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억세스 포인트 장치 리스트 화면인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600)와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WiFi 등의 통신 모듈을 구비한 경우, 수신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장치에 간단하게 무선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f 내지 도 13g는 도 10a 내지 도 13e에서 기술한, 다양한 정보가, 이동 단말기(600)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되는 것을 종합하여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3f은,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 사이의 내부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1301). 여기서, NFC 애플리케이션은, NFC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항목들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간편 무선 접속 항목, 세탁 코스 다운 로드 항목, 세탁 코스 설정 항목, 조리 데이터 설정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다양한 NFC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코스 설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도 12b와 같이 세탁 코스 화면(1220)이 표시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세탁 코스 다운 로드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도 13b와 같이, 세탁 코스 리스트 화면(1320)이 표시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조리 데이터 설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도 11b와 같이, 레시피 관련 화면(1120)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NFC 전송 항목(미도시)이 선택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가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할 수 있다. 즉, NFC 태깅이 수행될 수 있다(S1304).
NFC 태깅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은, 제품 종류, 제품 상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 특히, 이동 단말기의 NFC 모듈(617)로 전송한다(S1305).
이에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제품 정보 등이, 기 등록된 제품 정보인 경우, 인증을 수행하고, 이동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NFC 전송 항목(미도시)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로 전송한다(S1306). 즉,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관련 정보를 기록한다.
이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은, 기록 플래그를 '0'에서 '1'로 변경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기록 플래그를 체크한다(S1309).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체크하여, 기록 플래그를 '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기록 플래그가 '1'인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read)한다(S1310).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독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독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세탁 코스를 설정하거나, 세탁 코스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거나, 조리 데이터 설정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음, 도 13g는,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 사이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시,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S1320). 제1320 단계(S1320)는, 도 13f의 제1301(S1301) 단계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NFC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는, NFC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항목들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간편 무선 접속 항목, 세탁 코스 다운 로드 항목, 세탁 코스 설정 항목, 조리 데이터 설정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음,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다양한 NFC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325), 태깅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S1325).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태깅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로부터, 제품 종류, 제품 상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데이터 전송 중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1335).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통해, NFC 통신이 가능한 제품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340), 해당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지원 불가 제품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1342).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지원 불가 제품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오디오 출력부에, 해당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해당하는 경우, NFC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345), 해당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 불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1347). 한편, 해당하는 경우, 선택된 NFC 항목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에 기록한다(S1350). 이때, CRC 데이터를 선택된 NFC 항목과 관련된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CRC 회신 데이터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기록 성공 여부를 CRC 회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S1355). 기록 실패인 경우, 기록 실패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1357).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성공인 경우, 기록 성공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1360).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원하는 데이터를 기록(write)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16a 내지 도 22c는 도 14 또는 도 15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원이 온 상태인 지를 판단한다(S150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NFC 모듈에 저장한다(S1501).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20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동작 상태 정보, 동작 히스토리 정보, 제품 정보, 고장 정보, 전력 소비 정보, 저장된 물품 정보, 또는 레시피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200b)가 세탁 운전 중인 경우, 세탁기(200b) 내의 NFC 모듈에, 세탁기 운전 시간 정보, 세탁기 운전 코스 정보, 세탁기 고장 여부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동작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NFC 모듈(217)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동작 초기에는, 제1 주기 간격으로, NFC 모듈(217)에 저장되다가, 그 이후, 제1 주기 보다 빠른 제2 주기 간격으로 NFC 모듈(217)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소정 화면을 표시한다(S1420). 여기서, 소정 화면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웹 화면, 애플리케이션 화면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도 16a는 이동 단말기(600)에 모니터링 화면(162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모니터링 화면(1620)은,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모니터링 항목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러이언스와의 태깅(tagging)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44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한다(S1445).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된 정보를 표시한다(S1450).
여기서, 도 15의 제1540 단계(S1540)는 도 14의 제1440 단계(S1440)에 대응하며, 도 15의 제1545 단계(S1545)는 도 14의 제1445 단계(S1445)에 대응한다.
도 16a는, 이동 단말기(600)를 세탁기(200b)에 가까이 가져가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가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가능한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 내의 NFC 모듈(617)은, 세탁기(200b)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그 역으로, 세탁기(200b)의 NFC 모듈(217)이 이동 단말기(600)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세탁기(200b) 내의 NFC 모듈(617) 내의 메모리(218)로부터 제품 정보를 독출(read) 또는 수신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600)는, 독출 또는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기 등록된 세탁기인지, 즉, NFC 통신이 가능한 세탁기인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완료된 경우,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저장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독출(read)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는,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메모리(618)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NFC 제어부(626)은, 메모리(618)에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제어부(228)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플래그를, '0'에서 '1'로 변환시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제어부(228)로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는,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완료된 경우,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저장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 중,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만을 독출(read)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a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에 모니터링 화면(1620)이 표시된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세탁기(200b)의 동작 상태 정보(Sstp)를 독출(read)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도 16b는, 도 16a의 태깅에 의해, 세탁기(200b)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세탁기(200b)의 동작 상태 정보(Sstp)가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이동 단말기(600)는 간편하게,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세탁기(200b)로 부터 간단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c는, 세탁기(200b)의 동작 상태 정보(Sstp)가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현재 탈수 중을 나타내는 정보(1630), 남은 시간 정보(1635), 총 진행 시간 정보(1637)가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의 도 17a 내지 도 17d는, 이동 단말기(600)에 NFC 진단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가 태깅하는 경우, 세탁기(200b)의 고장 정보(Sdia)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고, 이동 단말기(600)가 세탁기(200b)의 고장 정보(Sdia)를 이용하여, 서버(500)에 접속하여, 고장 진단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7a는,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세탁기(200b) 관련 NFC 진단 화면(17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세탁기(200b)에 가까이 가져가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7b와 같이, 세탁기(200b)의 고장 정보(Sdia)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고, 이동 단말기(600)가 세탁기(200b)의 고장 정보(Sdia)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서버(500)로부터 고장 진단 결과 정보(Sres)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7c는, 도 17b의 세탁기 고장 결과 정보(Sres)에 기초한 고장 결과 정보(1730)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세탁기 고장 결과 정보(1730)로서, '물 배출구가 얼었습니다'라는 문구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세탁기 고장 원인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세탁기 고장 결과 정보(1730) 외에, AS 신청 항목(1735)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17c에서 AS 신청 항목(1735)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도 17d와 같이, AS 신청 화면(1740)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고장 결과 정보 외에, 바로 AS 신청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의 도 18a 내지 도 18c는, 이동 단말기(600)에 모니터링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냉장고(200a)가 태깅하는 경우,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 정보(Sst)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고, 이동 단말기(600)가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 정보(Sst)를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8a는, 냉장고(200a)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냉장고(200a) 관련 모니터링 화면(18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냉장고(200a)에 가까이 가져가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8b와 같이,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 정보(Sst)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도 18c와 같이,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 정보(Sst)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8c는,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 정보 화면(1830)을 예시한다. 여기서,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 정보 화면(1830)은, 냉동실 온도 정보, 냉장실 온도 정보, 특급 냉동 운전 정보, 스마트 절전 운전 정보, 문 개폐 횟수 정보, 전력 사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 정보 화면(1830)을 통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의 도 19a 내지 도 19c는, 이동 단말기(600)에 푸드 매니지 먼트와 관련한 매직 스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냉장고(200a)가 태깅하는 경우, 냉장고(200a) 내에 저장된 음식물 저장 정보(Sfood)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고, 이동 단말기(600)가 냉장고(200a) 내에 저장된 음식물 저장 정보(Sfood)를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9a는, 냉장고(200a)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냉장고(200a) 관련 매직 스페이스 화면(19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냉장고(200a)에 가까이 가져가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9b와 같이, 냉장고(200a) 내에 저장된 음식물 저장 정보(Sfood)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의 냉장고(200a) 내에 저장된 음식물 저장 정보(Sfood)는, 냉장고(200a)내에 저장된 푸드(food) 종류 정보, 저장된 푸드 위치 정보, 푸드 양 정보, 푸드 유통 기한 정보, 푸드 입고 일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도 19c와 같이, 냉장고(200a) 내에 저장된 음식물 저장 정보(Sfood)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9c는, 냉장고(200a)의 매직 스페이스 화면(1930)을 예시한다. 여기서, 매직 스페이스 화면(1930)은, 냉장고의 도어가 열린 경우를 모형화한 화면으로서, 냉장고 고내에 저장되는 푸드의 종류 정보, 저장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그 외, 푸드 유통 기한 정보, 푸드 입고 일자 정보 등을 더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냉장고(200a) 내에 저장된 음식물 저장 정보(Sfood)를 나타내는 매직 스페이스 화면(1930)을 통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냉장고(200a) 내에 저장된 음식물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의 도 20a 내지 도 20c는, 이동 단말기(600)에 레시피 관련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냉장고(200a)가 태깅하는 경우, 냉장고(200a) 내에 저장된 음식물 저장에 기초한 레시피 정보(Sreci)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고, 이동 단말기(600)가 서버(500)에 레시피 정보(Sreci)를 전송하여, 서버(500)로부터, 해당 레시피와 관련된 컨텐츠(Svod)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0a는, 냉장고(200a)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냉장고(200a) 관련 레시피 관련 화면(20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냉장고(200a)에 가까이 가져가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20b와 같이, 냉장고(200a) 내에 저장된 음식물 정보를 기초로한 레시피 정보(Sreci)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도 20c와 같이, 수신한 레시피 정보(Sreci)를 서버(500)로 전송하고, 서버(500)로부터 해당 레시피와 관련된 컨텐츠(Svod)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되는 컨텐츠(Svod)는 동영상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컨텐츠(Svod)를 재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냉장고(200a) 내에 저장된 음식물 정보를 기초로 음식물 조리시, 간편하게, 해당 레시피에 대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되어, 부엌에서, 조리하면서, 레시피를 바로 참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의 도 21a 내지 도 21c는, 이동 단말기(600)에 모니터링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청소기(200e)가 태깅하는 경우, 청소기(200e)의 동작 상태 정보(Sst)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고, 이동 단말기(600)가 청소기(200e)의 동작 상태 정보(Sst)를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1a는, 청소기(200e)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청소기(200e) 관련 모니터링 화면(21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청소기(200e)에 가까이 가져가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21b와 같이, 청소기(200e)의 동작 상태 정보(Sst)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도 21c와 같이, 청소기(200e)의 동작 상태 정보(Sst)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1c는, 청소기(200e)의 동작 상태 정보 화면(2130)을 예시한다. 여기서, 청소기(200e)의 동작 상태 정보 화면(2130)은, 청소기의 이동 경로 정보, 청소기의 순찰 중지 항목, 충전 항목, 청소 항목, 순찰 항목 등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청소기(200e)의 동작 상태 정보 화면(2130)을 통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청소기(200e)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의 도 22a 내지 도 22c는, 이동 단말기(600)에 모니터링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에어컨(200c)가 태깅하는 경우, 에어컨(200c)의 동작 상태 정보(Sst)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고, 이동 단말기(600)가 에어컨(200c)의 동작 상태 정보(Sst)를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2a는, 에어컨(200c)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에어컨(200c) 관련 모니터링 화면(22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에어컨(200c)에 가까이 가져가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22b와 같이, 에어컨(200c)의 동작 상태 정보(Sst)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도 22c와 같이, 에어컨(200c)의 동작 상태 정보(Sst)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2c는, 에어컨(200c)의 동작 상태 정보 화면(2230)을 예시한다. 여기서, 에어컨(200c)의 동작 상태 정보 화면(2230)은, 실내 온도 정보, 목표 온도 정보, 운전 시간 정보, 스마트 절전 운전 정보, 로봇 청소 횟수 정보, 전력 사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에어컨(200c)의 동작 상태 정보 화면(2230)을 통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에어컨(200c)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2d 내지 도 22e는 도 16a 내지 도 22c에서 기술한, 다양한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200)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것을 종합하여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22d은,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 사이의 내부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상태를 파악한다(S2201). 즉, 상태 정보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가 고장인 지, 홈 어플라이언스의 모니터링을 위한 상태가 어떤지 여부 등을 파악하고, 해당 정보를 산출한다.
다음,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산출된 상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기록한다(S2202). 그리고 기록 결과를 수신한다(S2203).
다음,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2206). 여기서, NFC 애플리케이션은, NFC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항목들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NFC 진단 항목, 모니터링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다양한 NFC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진단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도 17b와 같이 NFC 진단 화면(1720)이 표시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모니터링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도 16b 등과 같이, 모니터링 화면(1620)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NFC 전송 항목(미도시)이 선택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가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할 수 있다. 즉, NFC 태깅이 수행될 수 있다(S2204).
NFC 태깅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은, 제품 종류, 제품 상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 특히, 이동 단말기의 NFC 모듈(617)로 전송한다(S2208).
이에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제품 정보 등이, 기 등록된 제품 정보인 경우, 인증을 수행하고,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의 메모리(218)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read)한다(S2209).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디스플레이에, 독출된 정보를 표시한다(S2211).
다음, 도 22e는,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 사이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시,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S2220). 제2220 단계(S2220)는, 도 22d의 제2206(S2206) 단계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NFC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는, NFC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항목들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NFC 진단 항목, 모니터링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음,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다양한 NFC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2225), 태깅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S2225).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태깅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로부터, 제품 종류, 제품 상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데이터 전송 중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2235).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통해, NFC 통신이 가능한 제품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240), 해당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지원 불가 제품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2242).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지원 불가 제품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오디오 출력부에, 해당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해당하는 경우, NFC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245), 해당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 불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2247). 한편, 해당하는 경우, 선택된 NFC 항목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로부터 독출한다(S2250). 이때, CRC 데이터를 선택된 NFC 항목과 관련된 정보와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CRC 데이터의 체크를 통해, 독출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55). 독출 실패인 경우, 독출 실패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2257).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성공인 경우, 독출 성공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2260).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원하는 데이터를 독출(read)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세탁기(200b)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태깅에 의해, 세탁기(200b)에 사용되는 세제 종류 또는 유연제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에어컨(200c)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태깅에 의해, 에어컨(200c)에 대한, 달력을 이용한, 예약 운전 설정 등을 결정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조리기기(200d)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태깅에 의해, 조리기기(200d) 통한, 음식 조리시에 필요한, 음식물에 대한 쇼핑 리스트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2)

  1.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단계; 및
    상기 태깅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이,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전력 정보 화면인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전력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이, 레시피 관련 화면인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는, 레시피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이,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운전 코스 화면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 화면인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운전 코스 정보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이,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펌 웨어 화면인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펌 웨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이, 억세스 포인트 장치 리스트 화면인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7.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단계;
    상기 태깅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계는,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전력 정보인 경우,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절전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계는,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운전 코스 정보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운전 코스 정보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를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계는,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펌 웨어 정보인 경우, 상기 펌 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펌 웨어를 설치하는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계는,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12.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단계;
    상기 태깅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동작 상태 정보, 동작 히스토리 정보, 제품 정보, 고장 정보, 전력 소비 정보, 저장된 물품 정보, 또는 레시피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고장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고장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고장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레시피 정보를 수신하며,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6. 동작 중인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단계; 및
    상기 태깅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정보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동작 상태 정보, 동작 히스토리 정보, 제품 정보, 고장 정보, 전력 소비 정보, 저장된 물품 정보, 또는 레시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18.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에 의해,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송신하거나,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 및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구동부;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 및
    상기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은,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정보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동작 상태 정보, 동작 히스토리 정보, 제품 정보, 고장 정보, 전력 소비 정보, 저장된 물품 정보, 또는 레시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0130001837A 2012-09-24 2013-01-07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033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29,091 US9385784B2 (en) 2012-09-24 2013-09-17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310439787.7A CN103684538B (zh) 2012-09-24 2013-09-24 移动终端、家用电器及其运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6031 2012-09-24
KR1020120106031 2012-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652A true KR20140043652A (ko) 2014-04-10
KR102033932B1 KR102033932B1 (ko) 2019-10-18

Family

ID=5065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837A KR102033932B1 (ko) 2012-09-24 2013-01-07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9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4014A (zh) * 2014-05-20 2014-07-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的控制方法、控制系统及相关设备
KR20160043380A (ko) * 2014-10-13 2016-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전자장치와 게이트웨이,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WO2017008194A1 (zh) * 2015-07-10 2017-01-19 吴鹏 空调的监控方法及系统
US9943206B2 (en) 2015-06-26 201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832A (ko) * 2000-09-11 2002-03-16 니시무로 타이죠 세탁 시스템
KR20100122027A (ko) * 2009-05-11 201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92912A (ko) * 2011-02-14 2012-08-22 ㈜아레스찬 Nfc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펌웨어 제공 방법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펌웨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832A (ko) * 2000-09-11 2002-03-16 니시무로 타이죠 세탁 시스템
KR20100122027A (ko) * 2009-05-11 201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92912A (ko) * 2011-02-14 2012-08-22 ㈜아레스찬 Nfc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펌웨어 제공 방법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펌웨어 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4014A (zh) * 2014-05-20 2014-07-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的控制方法、控制系统及相关设备
KR20160043380A (ko) * 2014-10-13 2016-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전자장치와 게이트웨이,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US9943206B2 (en) 2015-06-26 201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WO2017008194A1 (zh) * 2015-07-10 2017-01-19 吴鹏 空调的监控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932B1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962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US9385784B2 (en)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773408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924961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631435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US20140087661A1 (en) Home appliance using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13039B1 (ko) 가전기기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KR102342117B1 (ko)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KR20150042569A (ko)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33932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89795A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048362B1 (ko) 이동 단말기,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69036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US9860621B2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69031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CN108021319A (zh) 试用智能设备的方法和装置
KR102077563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85995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31695A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571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18195A (ko)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53553A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53554A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