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495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495A
KR20200007495A KR1020180081674A KR20180081674A KR20200007495A KR 20200007495 A KR20200007495 A KR 20200007495A KR 1020180081674 A KR1020180081674 A KR 1020180081674A KR 20180081674 A KR20180081674 A KR 20180081674A KR 20200007495 A KR20200007495 A KR 20200007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frame
main body
pane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619B1 (ko
Inventor
박상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1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619B1/ko
Priority to US16/509,355 priority patent/US10757823B2/en
Priority to CN201910628558.7A priority patent/CN110718147B/zh
Publication of KR20200007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본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제1 연결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본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된 신축부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구동 전력 없이 사용자의 손동작으로만 디스플레이 패널을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크기 및 무게를 줄여서 보관 및 이동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실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는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높은 열을 견딜 수있도록 유리기판을 사용하므로 경량 박형화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유연성이 없는 유리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가 차세대 평판 표시장치로 급부상중이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유리가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활용하여 내구성이 높은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 깨지지 않으면서도 구부릴 수 있는 밴더블(Bendable), 둘둘 말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화면을 인출 및 삽입할 수 있는 슬라이더블(Slidabl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초박형, 경량화 및 소형화와 함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한 슬라이더블(Slidable)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출원은 별도의 구동 전력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이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본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제1 연결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본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된 신축부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축부를 이용하여 별도의 구동 전력 없이 사용자의 손동작으로만 디스플레이 패널을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크기 및 무게를 줄여서 보관 및 이동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변 환경의 상화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을 제공하는 전면 영역의 크기를 직접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삽입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선 Ⅰ-Ⅰ의 개략적인 내부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1b에 도시된 선 Ⅱ-Ⅱ의 개략적인 내부 평면도이다.
도 4는 인출 상태 시 도 2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삽입 상태 시 도 2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2 프레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길이를 비교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a은 도 1a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1b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3b에 도시된 A부분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a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삽입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선 Ⅰ-Ⅰ의 개략적인 내부 평면도이며, 도 3b는 도 1b에 도시된 선 Ⅱ-Ⅱ의 개략적인 내부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2), 본체(3), 제1 연결부(4), 제2 연결부(5) 및 신축부(6)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은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일 수 있으나,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상기 본체(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이 확장되도록 이동되거나,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이 축소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이 확장되는 방향을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이라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이 축소되는 방향을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이라 정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사용자에 의해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을 손으로 잡거나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에 접촉되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을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사용자가 정면에 노출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어디에든 접촉되어서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정면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볼 수 있는 방향 중 가장 크게 영상을 볼 수 있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컨대, 정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영역은 도 1a에 표시된 전면 영역(FA)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은 상기 정면에서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끝단 부분의 디스플레이 패널(2)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신축부(6)에 의해서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도 1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Bending)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은 정면 쪽에서 이동하는 방향과 배면 쪽에서 이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예컨대, 정면 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 또는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할 경우, 배면 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은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정면을 기준으로 확면이 확대되는 방향. 즉, 인출되는 방향을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정의하고, 화면이 축소되는 방향. 즉, 삽입되는 방향을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이라 정의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 또는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후술할 커버에 가려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노출된 일부가 상기 커버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정면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크기가 커짐으로써 사용자는 크기가 커지기 전보다 더 넓은 범위의 영상을 보거나 확대된 영상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은 상부(21) 및 하부(22)가 본체(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21)는 도 1b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상측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22)는 도 1b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하측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상부(21) 및 하부(22)는 상기 본체(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체(3)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본체(3)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본체(3)는 일측(3a) 및 타측(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3)의 일측(3a)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이 본체(3)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일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위치하는 쪽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3)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일 수 있다. 상기 본체(3)의 타측(3b)은 도 1a에서 전면 영역(FA)을 기준으로 본체의 일측(3a)과 반대되는 쪽일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타측(3b)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벤딩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3)는 수납홈(31), 상부 프레임(32), 하부 프레임(33), 측면 프레임(34) 및 가이드 롤(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인출 상태 시 도 2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5는 삽입 상태 시 도 2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2 프레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길이를 비교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홈(31)은 제1 연결부(4), 제2 연결부(5), 신축부(6) 및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부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수납홈(31)은 상기 상부 프레임(32), 상기 하부 프레임(33), 상기 측면 프레임(34) 및 상기 가이드 롤(35)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수납홈(31)을 가리도록 정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부가 배치되고, 배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와 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패널(2)은 본체(3)에 의해 벤딩됨에 따라 정면, 배면 및 본체의 타측(2b) 쪽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수납홈(31)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구동, 통신 및 세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배터리는 상기 정면, 상기 배면 및 상기 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 및 배터리는 디스플레이 패널(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배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32)은 도 1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측에 위치한 프레임이다. 상기 상부 프레임(32)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상부(2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32)은 전체적으로 긴 타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상부 프레임(32)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상부(21)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21)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32)에 음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상부(21)는 상기 가이드 홈(3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21)에 삽입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상기 가이드 홈(321)을 따라 사용자 또는 신축부(6)가 발생시키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21)은 전체적으로 눕혀진 'U'자 형태로 상부 프레임(32)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홈(321)의 일측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상기 본체(3)의 일측(3a)으로부터 소정 거리 인출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21)의 타측은 디스플레이 패널(2)이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2b)이 상부 프레임(32)에 지지되어 더 이상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외부와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21)은 디스플레이 패널(2)을 벤딩하기 위해 곡선부(32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부(321a)는 본체의 타측(3b) 쪽에 위치되도록 상부 프레임(3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선부(321a)는 반원형태로, 곡률 반경은 원통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롤(35)의 반지름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곡선부(321a)는 가이드 롤(35)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곡선부(321a)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은 상기 가이드 롤(35)을 감싸는 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곡선부(321a)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이 상기 곡선부(321a)를 제외한 곳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과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곡선부(321a)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카톡 등의 문자, 날씨, 시간 등과 같은 간단한 정보를 표시하는 측면 영역(SA, 도 1a에 도시됨) 일 수 있다. 상기 곡선부(321a)를 제외한 곳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상기 간단한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시하거나, TV, 영화와 같은 대화면 영상을 보는 전면 영역(FA, 도 1a에 도시됨)일 수 있다. 상기 측면 영역(SA)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인출 상태 또는 삽입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인출 상태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이 측면 영역(SA)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되므로, 삽입 상태에서 후술할 배면 영역(BA, 7a에 도시됨) 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이 측면 영역(SA)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패널(2)이 삽입 상태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이 측면 영역(SA)에서 멀어지도록 이동되므로, 인출 상태에서 측면 영역(SA) 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이 배면 영역(BA)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측면 영역(SA) 쪽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이 상기 간단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간단한 정보에 대한 영상 출력 신호를 상기 측면 영역(SA)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곡선부(321a)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인출 상태 또는 삽입 상태에 상관 없이 항상 간단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간단한 정보를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전면 영역(FA), 측면 영역(SA) 및 배면 영역(B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전면 영역(FA), 측면 영역(SA) 및 배면 영역(BA)은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전면 영역(FA)은 TV, 영화 등의 영상을 출력하고, 측면 영역(SA)은 문자, 날씨, 시간 등의 간단한 정보를 출력하며, 배면 영역(BA)은 앱 등의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전면 영역(FA), 측면 영역(SA) 및 배면 영역(BA)은 적어도 2개 영역 이상이 동일한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33)은 본 디스플레이 장치(1)의 하측에 위치한 프레임이다. 상기 하부 프레임(33)은 상부 프레임(3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프레임(33)은 상기 측면 프레임(34)의 길이만큼 상부 프레임(3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33)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하부(2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33)은 상기 상부 프레임(32)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상부(21) 및 하부(22)를 편평한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33)은 상기 상부 프레임(32)의 가이드 홈(321)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패널(2)의 하부(22)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33)의 가이드 홈은 곡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33)의 가이드 홈 및 곡선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32)의 가이드 홈(321) 및 곡선부(321a)와 대칭된 형태로 상기 하부 프레임(33)에 형성되는 차이만 있을 뿐 기능과 효과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가이드 홈(321)이 갖는 곡선부(321a)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2)을 벤딩된 형태로 접을 수 있어서 컴팩트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부 프레임(32) 및 하부 프레임(33) 각각이 갖는 가이드 홈에 디스플레이 패널(2)의 상부(21) 및 하부(22)가 삽입됨으로써, 상부 프레임(32) 및 하부 프레임(33)이 디스플레이 패널(2)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을 터치하여도 디스플레이 패널(2)이 구부러지는 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34)은 본체의 일측(3a)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측면 프레임(34)은 상부 프레임(32)과 하부 프레임(33)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면 프레임(34)은 상부 프레임(32) 및 하부 프레임(33) 각각에 접착 결합, 억지끼워맞춤 결합, 볼트 결합 등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34)은 길이가 긴 막대 형태로써, 단면이 부채꼴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본체(3)에 삽입된 상태일 경우, 측면 프레임(34)은 후술할 제1 패널 프레임과 접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롤(35)은 본체(3)의 타측(3b)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가이드 롤(35)은 상부 프레임(32)과 하부 프레임(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35)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롤(35)은 곡선부(321a)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벤딩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내면은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롤(35)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벤딩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의 벤딩 부분이 수납홈(31) 쪽으로 함몰되거나 편평한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35)은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가이드 롤(35)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35)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가이드 롤(35)이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에 함께 회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의 벤딩 부분의 형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디스플레이 패널(2) 간에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사용 수명을 더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본체(3)가 상기 상부 프레임(32), 상기 하부 프레임(33), 상기 측면 프레임(34) 및 상기 가이드 롤(35)이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가이드 롤(35)이 회전하지 않는다면 상기 상부 프레임(32), 상기 하부 프레임(33), 상기 측면 프레임(34) 및 상기 가이드 롤(35)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3)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 롤(35)을 제외한 상기 상부 프레임(32), 상기 하부 프레임(33), 상기 측면 프레임(34)이 일체로 형성되고 가이드 롤(35)만 별도로 제작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32), 상기 하부 프레임(33), 상기 측면 프레임(34) 및 상기 가이드 롤(35)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2)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연결부(4)는 본체(3)와 디스플레이 패널(2)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1 연결부(4)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부 프레임(32)에 가까운 본체(3)의 일측(3a)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부 프레임(32)에 가까운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32)에 가까운 본체(3)의 일측(3a)은 수납홈(31)의 상측 모서리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4)의 일측은 후술할 제1 고정부(7)에 의해 본체(3)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연결부(4)의 타측은 후술할 제2 프레임(11)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7)는 후술할 커버(12)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 연결부(4)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4)는 메탈(Metal)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연결부(5)는 상기 제1 연결부(4)와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3)와 디스플레이 패널(2)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2 연결부(5)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하부 프레임(33)에 가까운 본체(3)의 일측(3a)에 고정되고, 타측이 하부 프레임(33)에 가까운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33)에 가까운 본체(3)의 일측(3a)은 수납홈(31)의 하측 모서리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5)의 일측은 후술할 제2 고정부(8)에 의해 본체(3)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연결부(5)의 타측은 후술할 제2 프레임(11)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8)는 후술할 커버(12)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2 연결부(5)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5)는 상기 제1 연결부(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5)는 상기 신축부(6)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결부(4)와 대칭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6)는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예에 따른 신축부(6)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탄성 복원력에 따라 수축되어서 상기 제1 연결부(4)와 상기 제2 연결부(5)가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4)와 상기 제2 연결부(5)를 잡아당길 수 있다.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축된 신축부(6)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상부(21)와 하부(22) 사이의 길이(L1, 도 6에 도시됨)보다 짧은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6)는 상기 제1 연결부(4) 및 상기 제2 연결부(5) 각각의 길이의 절반 위치에서 상기 제1 연결부(4)와 상기 제2 연결부(5)를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잡아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신축부(6)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결부(4)와 상기 제2 연결부(5)는 상하, 좌우가 모두 대칭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하는 상부 프레임(32)과 하부 프레임(33)이 배치된 방향을 의미하고, 좌우는 본체의 일측(3a)과 타측(3b)이 배치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신축부(6)는 상기 제1 연결부(4) 및 상기 제2 연결부(5) 각각의 길이의 절반이 아닌 다른 위치에서 수축되어서 상기 제1 연결부(4)와 상기 제2 연결부(5)를 잡아당길 수도 있다.
상기 신축부(6)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사용자의 손 동작에 의해 인출 방향(OD)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본체(3)로부터 인출되면 신장하고, 탄성 복원력에 따라 수축되면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본체(3)에 삽입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을 삽입 방향(ID)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신축부(6)의 신축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6)의 신축 방향은 상하 방향이고,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 방향은 좌우 방향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디스플레이 장치(1)가 인출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의 손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이동되면,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이 측면 프레임(34)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가 좌우 방향으로 팽팽해져서 신축부(6)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예컨대, 신축부(6)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4)가 팽팽해짐에 따라 상측이 D1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연결부(5)가 팽팽해짐에 따라 하측이 D2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서 신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출 상태 시에는 사용자의 손 동작에 의해 상기 신축부(6)에 연결된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의 이격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 방향은 측면 프레임(34)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좌우 방향은 상부 프레임(32)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반대로, 신장된 신축부(6)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면, 신축부(6)를 기준으로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 각각이 접혀짐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이 측면 프레임(34)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되어서 본 디스플레이 장치(1)가 삽입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 상태 시에는 상기 신축부(6)가 상기 신축부(6)에 연결된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의 이격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삽입 상태 시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 각각이 접힌다는 것은, 신축부(6)에 연결된 'V'자 부분의 각도가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인출 상태 시에는 반대로 상기 'V'자 부분의 각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신축부(6)를 이용하여 별도의 구동 전력 없이 사용자의 손 동작으로만 디스플레이 패널(2)을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크기 및 무게를 줄여서 보관 및 이동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신축부(6)는 밴드 또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을 갖는 재질이면 다른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신축부(6)는 도 3a를 참조로 제1 관통공(61) 및 제2 관통공(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공(61)은 신축부(6)에 제1 연결부(4)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신축부(6)의 상측 쪽에서 신축부(6)를 형성하는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관통공(61)의 관통 방향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관통공(61)은 상기 제1 연결부(4)와 상기 신축부(6) 간에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공(61)은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연결부(4)와 상기 신축부(6) 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V'자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관통공(62)은 신축부(6)에 제2 연결부(5)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신축부(6)의 하측 쪽에서 신축부(6)를 형성하는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관통공(62)의 관통 방향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관통공(62)은 상기 제2 연결부(5)와 상기 신축부(6) 간에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공(62)은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연결부(5)와 상기 신축부(6) 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역 'V'자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신축부(6)의 수명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관통공(61) 및 상기 제2 관통공(62)을 형성하는 몸체에는 강화 플라스틱, 메탈 등 마찰에 강한 재질이 코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 관통공(61, 62) 이외에도 상기 신축부(6)의 양 끝단에 'ㄱ' 형상의 돌출부 또는 'V' 컷 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연결부(4) 및 제2 연결부(5)를 상기 신축부(6)의 양 끝단에 걸어 연결시킬 수도 있다.
다시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고정부(7), 제2 고정부(8) 및 제3 연결부(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상기 신축부(6) 또는 제2 패널 프레임(11)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 및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을 도시하였다.
제1 고정부(7)는 제1 연결부(4)의 일측을 본체(3)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제1 고정부(7)는 제1 연결부(4)의 일측을 본체(3)가 갖는 커버(12)에 결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7)는 상부 프레임(32)과 측면 프레임(34)이 결합되는 부근 즉, 수납홈(31)의 모서리 쪽에 제1 연결부(4)의 일측을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연결부(4)의 일측은 상기 제1 고정부(7)에 의해 커버(12)의 모서리 쪽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고정부(7)는 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연결부(4)의 일측을 커버(12)에 결합시킬 수 있으면 다른 고정수단일 수도 있다.
제2 고정부(8)는 제2 연결부(5)의 일측을 본체(3)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제2 고정부(8)는 제2 연결부(5)의 일측을 본체(3)가 갖는 커버(12)에 결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8)는 하부 프레임(33)과 측면 프레임(34)이 결합되는 부근 즉, 수납홈(31)의 모서리 쪽에 제2 연결부(5)의 일측을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연결부(5)의 일측은 상기 제2 고정부(8)에 의해 커버(12)의 모서리 쪽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8)는 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연결부(5)의 일측을 커버(12)에 결합시킬 수 있으면 다른 고정수단일 수도 있다.
제2 고정부(8)는 제1 고정부(7)와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연결부(5)의 일측을 본체(3)에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고정부(8)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4)의 일측과 제2 연결부(5)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3 연결부(9)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 방향 즉,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 또는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본체(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연결부(9)는 상기 측면 프레임(34)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는 신축부(6)를 기준으로 상하, 좌우 방향으로 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가 대칭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신축부(6)는 상기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 각각에 대해 동일한 탄성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상기 신축부(6)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상부(21)와 하부(22) 각각에 동일한 힘을 작용하여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상부(21)와 하부(22)를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이 구겨지는 등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연결부(9)는 제1 연결부(4)의 일측과 제2 연결부(5)의 일측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제3 연결부(9)는 접착결합 등의 방법으로 제1 연결부(4)의 일측과 제2 연결부(5)의 일측을 연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연결부(4) 및 제2 연결부(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3 연결부(9)가 제1 연결부(4)의 일측과 제2 연결부(5)의 일측을 연결함으로써, 제1 연결부(4), 제2 연결부(5) 및 제3 연결부(9)는 하나의 줄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연결부(9)는 제1 연결부(4) 및 제2 연결부(5)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를 연결할 수 있으면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나의 줄로 구비된 제1 연결부(4), 제2 연결부(5) 및 제3 연결부(9)를 제1 고정부(7) 및 제2 고정부(8)에 걸치는 것만으로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를 본체(3)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제1 고정부(7) 및 제2 고정부(8)가 개별적으로 제1 연결부(4)의 일측 및 제2 연결부(5)의 일측을 본체(3)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비해 완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패널 프레임(10) 및 제2 패널 프레임(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 프레임(1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21)와 하부(22) 사이에 배치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2a)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1 패널 프레임(10)은 단면이 화살촉 형태로 구비된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 프레임(10)은 메탈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패널 프레임(1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2a)에서 상부(21) 및 하부(22)에 걸쳐서 디스플레이 패널(2)에 밀착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본체(2)로부터 인출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2)의 편평함(flatness)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패널 프레임(10)은 삽입 부재 (101) 및 돌출 부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부재(101)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본체(2)에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삽입 부재(101)는 단면이 사각인 막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부재(101)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삽입 부재(101)는 접착 결합, 압착 결합 등의 다양한 결합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상부(21)와 하부(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부재(101)는 상기 본체(2)에 형성된 삽입홈(3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6)은 상부 프레임(32)에 음각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 홈(321)에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 부재(101)는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디스플레이 패널(2)과 함께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삽입홈(3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부재(101)가 삽입홈(36)에 삽입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도 본체(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32)에서 측면 프레임(34)이 결합되는 위치의 바로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홈(36)에 삽입 부재(101)가 삽입되면 측면 프레임(34)은 상기 삽입 부재(101)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 프레임(34)은 상기 삽입 부재(101)를 지지함으로써, 삽입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이 수납홈(31) 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의 편평함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홈(36)은 디스플레이 패널(2)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삽입 부재(101)를 삽입시키기 위해 가이드 홈(321)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부재(102)는 상기 삽입홈(36)에 삽입된 삽입 부재(101)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본체(2)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돌출 부재(102)는 상기 삽입홈(36)에 삽입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의 삽입 부재(101)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돌출 부재(102)는 삽입 부재(101)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점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돌출 부재(102)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돌출 부재(102)는 삽입 부재(101)에 대해 수직한 면이 삽입 상태 시 본체(2)에 지지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 부재(102)의 수직한 면은 삽입홈(36)의 위에 위치된 상부 프레임(32)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패널 프레임(10)이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본체(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전면 영역(FA)의 디스플레이 패널(2)의 크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둘째,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돌출 부재(102)로 인해 삽입 부재(101)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외부에 노출된 삽입 부재(101) 또는 돌출 부재(102)를 잡고 인출 상태 또는 삽입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셋째,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패널 프레임(10)이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사용 수명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2 패널 프레임(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널 프레임(11)은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를 디스플레이 패널(2)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제2 패널 프레임(11)은 제1 연결부(4)의 타측 및 제2 연결부(5)의 타측 각각에 접착 결합, 압착 결합, 볼트 결합 등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패널 프레임(11)은 다이캐스팅 등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제1 연결부(4) 및 제2 연결부(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패널 프레임(11)은 메탈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패널 프레임(11)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널 프레임(11)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21)와 하부(22) 사이에 배치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L2)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21)와 하부(22) 사이의 길이(L1)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패널 프레임(11)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21)와 하부(22) 사이에서 가운데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2b)에서 제2 패널 프레임(11)이 배치된 곳을 제외한 상부(21)와 하부(22)는 각각 상부 프레임(32)의 가이드 홈(321)과 하부 프레임(33)의 가이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패널 프레임(11)은 양측 끝단이 각각 상부 프레임(32) 및 하부 프레임(33)에 접촉됨으로써, 인출 상태 또는 삽입 상태 전환 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에 따라 상부 프레임(32) 및 하부 프레임(33)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 쪽은 상부 프레임(32) 및 하부 프레임(33) 각각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된 디스플레이 패널(2)과 수납홈(31)에 수납된 제2 패널 프레임(11)이 각각 상부 프레임(32) 및 하부 프레임(33)에 지지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 이동 시 상부 프레임(32) 및 하부 프레임(33)에 의해 이중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제2 패널 프레임(11)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2b)에 상하 방향으로 밀착 결합됨에 따라, 제2 패널 프레임(11)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2b)을 편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패널 프레임(11)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비표시 영역 즉,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배면 쪽에 결합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보다 더 수납홈(3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패널 프레임(11)에 타측이 결합되는 제1, 2 연결부(4, 5)는 본체(3)가 갖는 커버(12)로부터 전면 영역(FA) 쪽으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으며, 제1, 2 연결부(4, 5)에 연결된 신축부(6) 또한 상기 커버(12)로부터 전면 영역(FA) 쪽으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신축부(6)가 커버(12)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인출 상태 또는 삽입 상태로 전환 시 신축부(6)와 커버(12) 간의 마찰 발생을 줄여서 신축부(6)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인출 상태 또는 삽입 상태 전환 시 신축부(6)와 커버(12) 간의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부(6)가 측면 프레임(34)과 제2 패널 프레임(11)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삽입 상태 시 신축부(6)를 수납홈(31)에서 가장자리 쪽에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삽입 상태 시 신축부(6)가 가장자리 쪽에 위치됨에 따라 수납홈(31)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본 디스플레이 장치(1)를 더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출 상태 시 본체(2)로부터 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크기를 더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더 큰 대화면을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신축부(6)를 측면 프레임(34)과 제2 패널 프레임(11) 사이에 배치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 시 신축부(6)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디스플레이 패널(2)을 원활하게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a은 도 1a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1b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도 3b에 도시된 A부분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도이다.
도 7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커버(12) 및 버튼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2)는 수납홈(31)을 가리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커버(12)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배면 쪽에 위치되도록 본체(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는 상기 본체(3)의 상부 프레임(32), 하부 프레임(33) 및 측면 프레임(34)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3)에 결합되어서 수납홈(31)을 가릴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12)는 상기 본체(3)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일체성, 심미감 등을 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12)는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12)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면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철 등의 다양한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12)는 도 4, 도 5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31)의 크기보다 좌우 방향으로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12)와 상기 가이드 롤(35) 사이에 이격 공간(DS)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격 공간(DS)은 상기 커버(12)와 가이드 롤(35)의 회전축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2)이 가이드 롤(35)을 기준으로 벤딩된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일부는 정면 쪽에 위치되고, 일부는 측면 쪽에 위치되고, 나머지는 배면 쪽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 공간(DS)에는 벤딩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나머지 부분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 공간(DS)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수납홈(3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홈(31)을 가릴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DS)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DS)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영역은 배면 영역(BA, 도 7a에 도시됨)일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전면 영역(FA), 측면 영역(SA) 및 배면 영역(B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전면 영역(FA), 측면 영역(SA) 및 배면 영역(BA)이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전면 영역(FA)은 TV, 영화 등의 영상을 출력하고, 측면 영역(SA)은 문자, 날씨, 시간 등의 간단한 정보 또는 영상을 출력하며, 배면 영역(BA)은 앱 등의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2)의 크기가 작을수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배면 영역(BA)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으며 상기 배면 영역(BA)은 전면 영역(FA)과 동일한 영상을 출력하거나 또는 다른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각 영역에서 출력되는 서로 다른 영상들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각 영역으로 서로 다른 영상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르게 출력되는 영상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정보 습득에 대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측면 영역(SA)은 인출 상태 또는 삽입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에서 위치되는 영역이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측면 영역(SA)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삽입 상태 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측면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출 상태 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2 측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위치는 상기 제2 측면 위치보다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인출 상태일 경우, 삽입 상태의 측면 영역(SA)이 전면 영역(FA)으로 전환됨으로써, 사용자가 와이드한 화면을 볼 수 있으므로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이 삽입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전면 영역(FA)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인출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전면 영역(FA)이 더 커지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와이드한 화면을 볼 수 있으므로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양의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1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고정부(7)와 제2 고정부(8) 외에 추가적으로 버튼부(1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3)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13)는 삽입 상태에서 인출 상태로 전환 시 본체(3)로부터 인출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본체(3)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버튼부(13)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을 인출 상태로 이동시킨 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로부터 손을 떼어도 디스플레이 패널(2)을 인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버튼부(13)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 및 제2 패널 프레임(11)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을 인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버튼부(13)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에서 측면 프레임(34)보다 가이드 롤(35)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인출되면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이 상기 가이드 롤(35)에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상기 버튼부(13)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 및 제2 패널 프레임(11)이 버튼부(13)의 상측을 지나 상기 가이드 롤(35)에 가까워지면, 수납홈(31) 쪽으로 돌출되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 및 제2 패널 프레임(11)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을 인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버튼부(13)는 자동으로 수납홈(31) 쪽으로 돌출되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 및 제2 패널 프레임(11)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버튼부(13)를 누르는 손 동작에 의해 수동으로 수납홈(31) 쪽으로 돌출되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 및 제2 패널 프레임(11)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버튼부(13)는 상부 프레임(32)과 하부 프레임(33) 사이에서 가운데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본 디스플레이 장치(1)를 손에 파지할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13)는 상기 제2 패널 프레임(11)의 가운데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버튼부(13)를 누름으로써, 본 디스플레이 장치(1)를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버튼부(13)를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 및 제2 패널 프레임(11)에 대한 지지가 해제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삽입홈(36)에 삽입됨에 따라 삽입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가 두 손을 이용하여 한 손은 본체(3)를 잡고 다른 한 손은 버튼부(13)를 눌러서 삽입 상태를 구현할 수 있지만, 두 손이 아닌 한 손으로 본체(3)를 잡은 상태에서 잡은 손의 손가락으로 버튼부(13)를 누름으로써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상기 버튼부(13)는 지지부재(131) 및 버튼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1)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13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1)는 사용자가 버튼부재(132)를 누르면 커버(12)에서 수납홈(31) 쪽으로 일부가 돌출되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 및 제2 패널 프레임(11)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1)는 상기 제2 패널 프레임(11) 및 본체의 타측(2b)이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버튼부(13)가 갖는 탄성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수납홈(31) 쪽으로 일부가 돌출되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 및 제2 패널 프레임(11)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인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1)는 사용자가 버튼부재(132)를 누르면 돌출된 일부가 수납홈(31)에서 커버(12) 쪽으로 이동되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 및 제2 패널 프레임(11)에 대한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삽입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131)는 상기 버튼부재(132)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버튼부재(132)에 의해 이동되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 및 제2 패널 프레임(11)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버튼부재(132)는 커버(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재(132)는 상기 커버(1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커버(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재(131)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버튼부재(132)는 지지부재(131)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131)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버튼부재(132)의 내부에는 지지부재(131)를 버튼부재(132)의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지지부재(131)를 수납홈(31)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재(132)는 일부가 상기 커버(12)로부터 수납홈(31)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돌출된 버튼부재(132)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배면에 배치된 버튼부재(132)를 직접 보지 않고서도 버튼부재(132)를 눌러서 디스플레이 패널(2)을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버튼부(13)가 상부 프레임(32) 또는 하부 프레임(33)에 구비되어서 제2 패널 프레임(11)의 상측 또는 하측 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구현될 경우, 커버(12)에서 버튼부(13)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좌우 방향으로 커버(12)의 크기를 더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삽입 상태 시 디스플레이 패널(2)의 배면 영역(BA)의 크기를 더 넓힐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배면 영역(BA)을 통해서도 TV, 영화 등의 대화면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인출 상태로 전환되면, 작아진 커버(12)로 인해 수납홈(31)의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데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코부는 일측이 커버(12)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에 연결되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에 따라 접어지거나 펼쳐져서 커버(12)가 가리지 못하는 수납홈(31)의 내부를 가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2 : 디스플레이 패널 3 : 본체
4 : 제1 연결부 5 : 제2 연결부
6 : 신축부 7 : 제1 고정부
8 : 제2 고정부 9 : 제3 연결부
10 : 제1 패널 프레임 11 : 제2 패널 프레임
12 : 커버 13 : 버튼부

Claims (19)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된 신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는 탄성 복원력에 따라 수축되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이격 거리를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 상기 신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가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외부와 연통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패널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패널 프레임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된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제1 패널 프레임과 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프레임은,
    상기 삽입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부재;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삽입 부재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삽입 부재로부터 돌출된 돌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된 가이드 롤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벤딩되어서 상기 가이드 롤의 일부를 감싸도록 곡선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곡선부를 제외한 곳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2 패널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된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측면 프레임과 상기 제2 패널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을 상기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을 상기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과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연결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상기 제1 연결부가 관통되는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은 서로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탄성력을 갖는 밴드이거나 압축 스프링인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이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면 신장하고, 탄성 복원력에 따라 수축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이 상기 본체에 삽입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동시키며,
    상기 신축부의 신축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 방향과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을 가리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버튼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81674A 2018-07-13 2018-07-13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8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674A KR102588619B1 (ko) 2018-07-13 2018-07-13 디스플레이 장치
US16/509,355 US10757823B2 (en) 2018-07-13 2019-07-11 Display apparatus
CN201910628558.7A CN110718147B (zh) 2018-07-13 2019-07-12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674A KR102588619B1 (ko) 2018-07-13 2018-07-1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495A true KR20200007495A (ko) 2020-01-22
KR102588619B1 KR102588619B1 (ko) 2023-10-11

Family

ID=6913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674A KR102588619B1 (ko) 2018-07-13 2018-07-1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57823B2 (ko)
KR (1) KR102588619B1 (ko)
CN (1) CN11071814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9960A1 (ko) 2020-01-20 2021-07-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활물질의 퇴화 진단 방법
WO2021157757A1 (ko) * 2020-02-05 2021-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54795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46030S (ko) * 2019-04-10 2021-11-08
JP1654803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802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801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800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432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9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6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8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CN111953820A (zh) * 2019-05-17 2020-11-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21132748A1 (ko) * 2019-12-24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37327A1 (ko) * 2019-12-31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1223409A (zh) * 2020-03-24 2020-06-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11417276B (zh) * 2020-03-31 2021-10-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和电子设备
KR20220002775A (ko) * 2020-06-30 2022-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220147104A1 (en) * 2020-11-12 2022-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ller
CN112711301A (zh) * 2020-12-30 2021-04-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电子设备
CN114863811B (zh) * 2022-04-22 2023-02-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343A (ko) * 2015-11-27 201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1886B1 (en) * 1998-08-24 2001-02-20 Vutec Corp. Video projection screen assembly
JP2005249828A (ja) * 2004-03-01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JP4984335B2 (ja) * 2010-03-11 2012-07-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227644B1 (ko) * 2010-08-10 2013-01-3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DE102012101210A1 (de) * 2012-02-15 2013-08-22 Maxim Stührenberg Anzeigevorrichtung mit einem Gehäuse und mit einer flexiblen elektronisch ansteuerbaren Anzeigeeinrichtung
KR102210047B1 (ko) * 2014-03-05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203746358U (zh) * 2014-03-10 2014-07-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TWI543129B (zh) * 2014-07-22 2016-07-21 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捲軸式顯示裝置
KR102243655B1 (ko) * 2014-09-02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52032B1 (ko) * 2014-09-04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794872B1 (ko) * 2014-09-28 2017-11-09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초과 펼쳐짐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KR102300024B1 (ko) * 2014-10-23 2021-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4461127B (zh) * 2014-11-12 2017-08-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其工作方法
KR102339290B1 (ko) * 2014-12-16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52544B1 (ko) * 2015-01-12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139287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90738B1 (ko) * 2015-05-29 2022-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6982B1 (ko) 2015-05-29 2021-10-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
KR102384576B1 (ko) * 2015-06-15 2022-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78758B1 (ko) * 2015-06-19 2022-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19684B1 (ko) * 2015-06-22 2021-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72173B1 (ko) * 2015-07-07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415655B1 (ko) * 2015-07-07 202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3761293B1 (en) * 2015-07-07 2023-01-0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359550B1 (ko) * 2015-08-26 202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43912B1 (ko) 2015-10-05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9625B1 (ko) * 2015-10-13 202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88461B1 (ko) * 2015-11-24 2023-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173855B1 (en) * 2015-11-27 2020-12-09 LG Electronics Inc. Rollable display device
EP3627279B1 (en) * 2015-11-27 2023-05-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448804B1 (ko) * 2015-12-10 2022-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48891B1 (ko) 2016-01-04 2018-04-16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KR102470945B1 (ko) * 2016-06-15 2022-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547146B1 (ko) * 2016-07-07 2023-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509B1 (ko) * 2016-09-0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91365B1 (ko) * 2016-09-12 2023-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627801B1 (ko) * 2016-10-10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628222B1 (ko) * 2016-10-17 2024-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CN107424518B (zh) * 2017-05-31 2019-07-26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102468134B1 (ko) * 2017-06-27 2022-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KR102393175B1 (ko) * 2017-09-25 2022-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31910B1 (ko) * 2018-06-01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343A (ko) * 2015-11-27 201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9960A1 (ko) 2020-01-20 2021-07-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활물질의 퇴화 진단 방법
WO2021157757A1 (ko) * 2020-02-05 2021-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147171B2 (en) 2020-02-05 2021-10-12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619B1 (ko) 2023-10-11
US10757823B2 (en) 2020-08-25
CN110718147A (zh) 2020-01-21
US20200022271A1 (en) 2020-01-16
CN110718147B (zh)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74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806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567540B2 (en) Foldable device
US11977418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having expandable display area
US20230185338A1 (en) Foldable device
EP3576385B1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N111223402B (zh) 可折叠显示装置
US9250733B2 (en) Hinge device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2700715B (zh) 柔性显示装置
JP2013243588A (ja) 電子機器
WO2023025153A1 (zh) 显示模组及电子设备
US20180176352A1 (en) Mobile terminal
JP5232287B2 (ja) 電子機器
KR10176994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JP2014093309A (ja) 電子機器および電気接続装置
US20240023261A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20160041295A (ko) 이동단말기
KR20240022432A (ko)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090128948A (ko) 확장 가능한 키패드용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