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175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175B1
KR102393175B1 KR1020170123624A KR20170123624A KR102393175B1 KR 102393175 B1 KR102393175 B1 KR 102393175B1 KR 1020170123624 A KR1020170123624 A KR 1020170123624A KR 20170123624 A KR20170123624 A KR 20170123624A KR 102393175 B1 KR102393175 B1 KR 102393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bar
display panel
gea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4967A (ko
Inventor
강승규
김철기
나석훈
류제욱
최우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175B1/ko
Priority to US15/805,358 priority patent/US10306787B2/en
Priority to PCT/KR2018/005387 priority patent/WO2019059488A1/en
Publication of KR2019003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51/5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01L27/32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길게 연장된 제1 서포터;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서포터와 마주하는 제2 서포터; 상기 제1 서포터와 상기 제2 서포터 사이에 위치하는 전면부, 그리고 상기 전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를 감싸며 굽어지는 곡면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서포터에서 상기 제2 서포터를 향해 길게 연장되는 제3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서포터는, 상기 제1 서포터와 상기 제2 서포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OLED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굴곡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 편의성 향상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게 연장된 제1 서포터;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서포터와 마주하는 제2 서포터; 상기 제1 서포터와 상기 제2 서포터 사이에 위치하는 전면부, 그리고 상기 전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를 감싸며 굽어지는 곡면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서포터에서 상기 제2 서포터를 향해 길게 연장되는 제3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서포터는, 상기 제1 서포터와 상기 제2 서포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텐션 확보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의 일단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향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향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forward direction or frontward direction) 또는 전면(front side or front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기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rearward direction or backward direction) 또는 후면(rear side or rear surface or back side or back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upper side) 또는 상면(upp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lower side) 또는 하면(low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좌측(left side) 또는 좌면(left surface)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right side) 또는 우면(right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eft and right direction, 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p and down direction, UD)이라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기발광층(OLED,12)은 제1 기판(11) 상에 도포 또는 증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11)은 유리일 수 있고, TFT가 제1 기판(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1) 및 유기발광층(12) 상에 제2 기판(13)이 위치할 수 있다. 스페이서(14) 또는 실런트(14)는 제1 기판(11)과 제2 기판(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봉지재(15)는 제1 기판(11)과 제2 기판(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봉지재(15)에 의해 유기발광층(12)이 밀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판(13)은 유리일 수 있고, 칼라필터가 제2 기판(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편광필터(16)가 제2 기판(13) 상에 위치 또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유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기발광층(112)은 기판(111) 상에 도포 또는 증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1)은 플라스틱일 수 있고, TFT가 기판(1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박막층들(113,114)은 기판(111) 및 유기발광층(112)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박막층들(113,114)은 플라스틱일 수 있다. 박막층들(113,114)은 칼라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필터(115)가 박막층들(113,114) 상에 위치 또는 형성될 수 있다. 봉지재(116)에 의해 유기발광층(112)이 밀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쉽게 굽어지거나 롤링될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바(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바(120)는 강성바(120) 또는 서포터(120) 또는 프레임(120)이라 칭할 수 있다. 바(12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제1 바(121)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단변(SS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2 바(122)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2 단변(SS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3 바(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장변(LS1)에 위치할 수 있고, 제4 바(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2 장변(LS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바(121)는 제3 바(123) 및 제4 바(124)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바(122)는 제3 바(123) 및 제4 바(124)와 이격될 수 있다. 제1 바(121) 내지 제4 바(124) 간의 유격은 디스플레이 패널(10,110)에 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바들(121,122,123,124)이 서로 연결되거나 결합되어 있으면 디스플레이 패널(10,110)에 장력을 제공할 수 없고,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평편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제1 바(121)는 홈(H)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바(122)는 홈(H)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바(122)의 홈들(H)에 대한 설명은 제1 바(121)의 홈들(H)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홈(H)은 복수개일 수 있다. 홈(H)은 결합홈(H) 또는 결합부(H)라 칭할 수 있다. 제1 바(121)는 제1 홈(H1), 제2 홈(H2), 그리고 제3 홈(H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홈(H1)은 제1 바(121)의 일단에 인접하여 제1 바(121) 상에 위치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제3 홈(H3)은 제1 바(121)의 타단에 인접하여 제1 바(121) 상에 위치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H2)은 제1 홈(H1)과 제3 홈(H3) 사이에서 제1 바(121) 상에 위치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H1) 내지 제3 홈(H3)은 제1 바(121)의 일면에 위치하거나 형성될 수 있다. 홈들(H)은 각각이 홀(h)을 구비할 수 있다. 홀(h)은 체결공(h)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홈(H2)은 제1 홈(H1)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고, 제3 홈(H3)은 제1 홈(H1) 또는 제2 홈(H2)과 제1 바(121)의 폭 또는 두께 방향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제1 홈(H1)은 제1 월(W1), 제2 월(W2), 그리고 제3 월(W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월(W1)은 제1 바(121)의 폭 또는 두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월(W2)은 제1 월(W1)과 연결되고, 제1 바(12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월(W3)은 제2 월(W2)과 연결되고, 제1 바(121)의 폭 또는 두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월(W3)은 제1 월(W1) 또는 제2 월(W2)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월(W1)은 제1 바(121)의 일단에 가깝고, 제3 월(W3)은 제1 바(121)의 타단에 가까울 수 있다. 즉, 제1 홈(H1)은 제3 월(W3)에 의해 제1 바(121)의 타단을 향해 개방각(theta)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 홈(H3)은 제1 월(W1), 제2 월(W2), 그리고 제3 월(W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월(W1)은 제1 바(121)의 폭 또는 두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월(W2)은 제1 월(W1)과 연결되고, 제1 바(12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월(W3)은 제2 월(W2)과 연결되고, 제1 바(121)의 폭 또는 두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월(W1)은 제2 월(W2) 또는 제3 월(W3)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월(W1)은 제1 바(121)의 일단에 가깝고, 제3 월(W3)은 제1 바(121)의 타단에 가까울 수 있다. 즉, 제3 홈(H3)은 제1 월(W1)에 의해 제1 바(121)의 일단을 향해 개방각(theta)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지그들(J1~J4)은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코너(C1), 제2 코너(C2), 제3 코너(C3), 및/또는 제4 코너(C4)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지그들(J1~J4)은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위치를 마킹하거나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립 후 지그들(J1~J4)은 제거될 수 있다.
마크들(A1~A12)은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후면에 표시 또는 접착될 수 있다. 마크들(A1~A12)은 후술하는 스트럿바들(130)을 장착하기 위한 마킹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립 후 마크들(A1~A12)은 제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트럿바(130)는 제1 바(121)와 제2 바(122)에 장착될 수 있다. 스트럿바(130)는 제1 바(121)에 대하여 피봇 운동을 할 수 있고, 제2 바(122)에 대하여 피봇 운동을 할 수 있다. 스트럿바(130)는 제1 바(121) 및/또는 제2 바(122)에 피봇 연결될 수 있다. 스트럿바(130)는 힌지유닛(130HG)을 구비할 수 있다. 스트럿바(13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스트럿바(130)는 서포트바(130) 또는 프레임(130) 또는 서포터(130)라 칭할 수 있다.
제1 스트럿바(131)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장변(LS1)에 인접하여 제1 바(121) 및/또는 제2 바(122)에 장착될 수 있고, 제3 바(12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3 스트럿바(133)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2 장변(LS2)에 인접하여 제1 바(121) 및/또는 제2 바(122)에 장착될 수 있고, 제4 바(12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스트럿바(132)는 제1 스트럿바(131)와 제3 스트럿바(133) 사이에서 제1 바(121) 및/또는 제2 바(122)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스트럿바(131)는 제3 스트럿바(133)를 향해 벤딩될 수 있고, 제3 스트럿바(133)는 제1 스트럿바(131)를 향해 벤딩될 수 있다. 제2 스트럿바(132)는 제3 스트럿바(133) 또는 제1 스트럿바(131)를 향해 벤딩될 수 있다. 스트럿바들(130)의 벤딩은 힌지유닛들(130HG)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및 8을 참조하면, 제3 스트럿바(133)는 제1 바(121)에 체결부재(SC)에 의해 장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3 스트럿바(133)는 제1 바(121)에 대하여 피봇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재(SC)는 스크류일 수 있다. 제1 바(121)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제1 바(121)의 전면 및/또는 측면에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AD)는 양면테잎일 수 있다.
제4 바(124)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제4 바(124)의 전면에 접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은 제4 바(124)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바(121)의 전면 및/또는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은 제1 바(121)를 감싸며 라운딩될 수 있다. 제4 코너(C4)를 위주로 설명하였지만, 제1 코너(C1), 제2 코너(C2) 및/또는 제3 코너(C3)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스트럿바(130)는 제1 암(130R), 제2 암(130L), 하우징(134), 제1 기어(130G1), 그리고 제2 기어(130G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130R)은 일단이 제2 바(122)와 피봇 연결될 수 있고, 제2 암(122)은 일단이 제1 바(121)와 피봇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어(130G1)는 제1 암(130R)의 타단에 위치하거나 형성될 수 있고, 제2 기어(130G2)는 제2 암(130L)의 타단에 위치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130G1)와 제2 기어(130G2)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암(130R)은 제2 암(130L)에 대하여 피봇 운동을 할 수 있고, 제2 암(130L)은 제1 암(130R)에 대하여 피봇 운동을 할 수 있다.
제1 기어(130G1) 및/또는 제2 기어(130G2)는 하우징(134) 내측에 설치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제1 기어(130G1) 및/또는 제2 기어(130G2)는 하우징(134)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1 기어(130G1) 및/또는 제2 기어(130G2)는 하우징(134)에 스크류(SC)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34)은 제1 플레이트(134a), 그리고 제2 플레이트(134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4a)와 제2 플레이트(134b)는 서로 대향하며 제1 기어(130G1) 및/또는 제2 기어(130G2)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134a) 및/또는 제2 플레이트(134b)는 타원형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스토퍼(135)는 제1 플레이트(134a)와 제2 플레이트(134b)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135)는 제1 기어(130G1) 및/또는 제2 기어(130G2)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스토퍼(135)는 제1 플레이트(134a) 및/또는 제2 플레이트(134b)에 스크류(SC)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135)의 길이(L)는 제1 기어(130G1) 및 제2 기어(130G2)의 직경(D1,D2)의 합보다 클 수 있다. 스토퍼(135)의 일단 측면은 제1 암(130R)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고, 타단 측면은 제2 암(130L)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스토퍼(135)는 함입부(135R)를 구비할 수 있다. 함입부(135R)는 스토퍼(135)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함입부(135R)는 스토퍼(135)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곡면을 형성하며 함몰될 수 있다.
제1 함입부(135R1)는 제1 기어(130G1)와 마주할 수 있고, 제2 함입부(135R2)는 제2 기어(130G2)와 마주할 수 있다. 제1 함입부(135R1)는 제1 암(130R)의 제1 기어(130G1)가 회전하면 제1 기어(130G1)의 외주면과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함입부(135R2)는 제2 암(130L)의 제2 기어(130G2)가 회전하면 제2 기어(130G2)의 외주면과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암과(130R) 제2 암(130L)의 움직임은 제한될 수 있다. 스토퍼(135)는 제1 암(130R)과 제2 암(130L)이 수평을 이루는 상태에서, 제1 암(130R)이 시계방향으로 움직이고, 제2 암(130L)이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토퍼(135)는 제1 암(130R)과 제2 암(130L)이 수평을 이루는 상태에서, 제1 암(130R)이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고, 제2 암(130L)이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제1 암(130R)과 제2 암(130L)이 수평을 이루는 상태에서 하우징(134)의 제1 플레이트(130a)에 체결부재(SC)가 장착되면서 제1 기어(130G1, 도 11 참조) 및/또는 제2 기어(130G2, 도 11 참조)를 하우징(13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스트럿바(130)는 제1 바(121)가 제2 바(122)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은 평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및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후방에 강성바들(120)이 위치할 수 있고, 강성바들(120) 사이에 또는 후방에 스트럿바들(130)이 장착될 수 있다. 강성바들(120) 및/또는 스트럿바들(130)의 후방에 백커버(140)가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은 접착부재(AD)에 의해 강성바들(120)에 고정될 수 있다. 강성바들(120)은 각각이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4변에 인접하여 접착부재(AD)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강성바(121)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단변(SS1)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강성바(122)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2 단변(SS2)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강성바(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장변(LS1)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4 강성바(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2 장변(LS2)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강성바(123) 및/또는 제4 강성바(124)는 생략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고정은 접착부재(AD)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AD)는 양면테잎 또는 본드일 수 있다.
스트럿바(130)는 제1 강성바(121)에서 제2 강성바(122)를 가로지르며 위치할 수 있다. 스트럿바(13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스트럿바(130)는 제1 강성바(121)와 제2 강성바(122)의 거리 균형을 위해 적어도 2개일 수 있다. 제1 스트럿바(131)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장변(LS1)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일단이 제1 강성바(121)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강성바(122)에 피봇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트럿바(133)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2 장변(LS2)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일단이 제1 강성바(121)에 피봇연결되고, 타단이 제2 강성바(122)에 피봇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트럿바(132)는 제1 스트럿바(131)와 제3 스트럿바(133) 사이에 위치하고, 일단이 제1 강성바(121)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강성바(122)에 피봇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트럿바(131) 내지 제3 스트럿바(133)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에 동일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백커버(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과 대향하거나 마주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면적과 거의 동일할 수 있다. 백커버(140)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백커버(140)는 모듈커버(140) 또는 리어커버(140)라 칭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3 강성바(123)는 제2 강성바(122)로부터 일정거리(G) 이격될 수 있다. 갭(G)이 제3 강성바(123)와 제2 강성바(1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갭(G)은 제1 스트럿바(121, 도 13참조)의 제1 암(131R)의 움직임에 따라 크기가 변할 수 있다. 갭(G)은, 제1 스트럿바(121)가 제1 강성바(121, 도 13참조) 및 제2 강성바(122)를 서로 멀어지게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편평도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격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코너(C2)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제1 코너(C1), 제3 코너(C3) 및/또는 제4 코너(C4)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7 내지 19를 참조하면, 백커버(140)가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백커버(140)는 백플레이트(140H), 사이드커버(140S), 그리고 사이드월(140V)을 포함할 수 있다. 백플레이트(140H)는 백커버(140)의 수평면 또는 수평판을 형성할 수 있고, 사이드커버(140S) 및/또는 사이드월(140V)은 백커버(140)의 수직면 또는 수직판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은 평면부(10F,110F, flat surface part), 곡면부(10R,110R, round surface part), 그리고 측면부(10S,110S, side surface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10F,110F)는 전면부(10F,110F, front surface part) 또는 프런트파트(10F,110F) 또는 제1 파트(10F,110F)라 칭할 수 있다. 곡면부(10R,110R)는 커브드파트(10R,110R) 또는 제2 파트(10R,110R)라 칭할 수 있다. 측면부(10S,110S)는 사이드파트(10S,110S) 또는 제3파트(10S,110S)라 칭할 수 있다.
평면부(10F,110F)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곡면부(10R,110R)는 평면부(10F,110F)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곡면부(10R,110R)는 일정한 곡률을 지닐 수 있다. 측면부(10S,110S)는 곡면부(10R,110R)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측면부(10S,110S)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평면부(10F,110F)와 측면부(10S,110S)는 평편(flat)할 수 있다.
백커버(14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측면부(10S,110S)의 일부가 커버될 수 있다. 사이드월(140V)은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측면부(10S,110S)의 일단 또는 엣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측면부(10S,110S)의 일단 또는 엣지를 커버할 수 있다. 사이드월(140V)은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측면부(10S,110S)의 엣지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전면과 마주하거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사이드커버(140S)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장변(LS1) 또는 제2 장변(LS2)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곡면부(10R,110R) 및/또는 측면부(10S,110S)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단변(SS1) 또는 제2 단변(SS2)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이드 커버(140S)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단변(SS1) 또는 제2 단변(SS2)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곡면부(10R,110R) 및/또는 측면부(10S,110S)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장변(LS1) 또는 제2 장변(LS2)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를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좌우벤딩으로, 후자의 경우를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상하벤딩으로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좌우벤딩에 있어서, 제2 강성바(122)는 수평파트(122H), 그리고 수직파트(122V)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파트(122V)는 백커버(140)의 백플레이트(140H)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수평파트(122H)는 수직파트(122V)에서 굽어지며 연장될 수 있다. 수직파트(122V)와 수평파트(122H)의 외면은 커브드 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제2 강성바(122)의 수평파트(122H) 및/또는 수직파트(122V)에 접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은 접착부재(AD)에 의해 제2 강성바(122)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곡면부(10R,110R)가 형성될 수 있다. 백커버(140)의 사이드월(140V)은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측면부(10S,110S)가 제2 강성바(122)의 수직파트(122V)로부터 떨어져 화살표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상하벤딩에 있어서, 제2 강성바(122)는 제3 강성바(123)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모든 엣지와 모든 코너(C1,C2,C3,C4)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백커버(140)는 강성바(124)에 체결부재(f)에 의해서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백커버(140)의 백플레이트(140H)는 체결홀(h)을 구비할 수 있다. 제4 강성바(124)는 후면에 백플레이트(140H)의 체결홀(h)에 대응하는 체결홀(h: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재(f)는 체결홀들(h)을 관통하면서 백커버(140)를 제4 강성바(124)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커플러(200)는 강성바(120) 및/또는 백커버(140)에 장착될 수 있다. 커플러(200)는 홀더(220), 그리고 인서트(insert,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210)는 베이스(211), 넥(212), 그리고 헤드(213)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211)는 플레이트일 수 있고 백커버(140)에 고정될 수 있다. 넥(212)은 베이스(211) 상면으로부터 헤드(213)로 연장될 수 있다. 헤드(213)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지닐 수 있다. 슬릿(215)은 헤드(213)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215)에 의해 헤드(213)는 제1 파트(213a)와 제2 파트(213b)로 나누어질 수 있다. 헤드(213)의 직경은 넥(212)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헤드(213)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일 수 있다.
홀더(220)는 베이스(221), 그리고 핑거(222)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221)는 플레이트일 수 있고 강성바(120)에 고정될 수 있다. 핑거(222)는 베이스(221)에 고정되거나 베이스(2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핑거(222)는 제1 파트(222a), 그리고 제2 파트(22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파트(222a)는 제2 파트(222b)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핑거(222)는 탄성을 지닐 수 있고, 제1 파트(222a)는 탄성에 의해 제2 파트(222b)로부터 멀어지고 가까워질 수 있다. 핑거(222)는 전체적으로 C형상의 단면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서트(210)의 헤드(213)가 홀더(220)의 핑거(222)에 삽입되면서 백커버(140)가 강성바(120)에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백커버(140)는 강성바(124)에 접착부재(AD)에 의해서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제4 강성바(124)의 후면에 접착될 수 있다. 백플레이트(140H)의 전면은 접착부재(AD)에 접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백커버(140)는 제4 강성바(124)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백커버(140)가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백커버(140)는 백플레이트(140H), 사이드커버(140S), 그리고 사이드월(140V)을 포함할 수 있다. 백플레이트(140H)는 백커버(140)의 수평면 또는 수평판을 형성할 수 있고, 사이드커버(140S) 및/또는 사이드월(140V)은 백커버(140)의 수직면 또는 수직판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은 평면부(10F,110F), 곡면부(10R,110R), 측면부(10S,110S), 그리고 컬링부(10C,110C)를 포함할 수 있다. 컬링부(10C,110C)는 리어파트(10C,110C) 또는 제4 파트(10C,110C)라 칭할 수 있다.
평면부(10F,110F)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곡면부(10R,110R)는 평면부(10F,110F)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곡면부(10R,110R)는 일정한 곡률을 지닐 수 있다. 측면부(10S,110S)는 곡면부(10R,110R)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측면부(10S,110S)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컬링부(10C,110C)는 측면부(10S,110S)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평면부(10F,110F)와 측면부(10S,110S)는 평편(flat)할 수 있다.
백커버(14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측면부(10S,110S)의 일부가 커버될 수 있다. 사이드월(140V)은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측면부(10S,110S)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커버(140S)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장변(LS1) 또는 제2 장변(LS2)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곡면부(10R,110R) 및/또는 측면부(10S,110S) 및/또는 컬링부(10C,110C)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단변(SS1) 또는 제2 단변(SS2)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이드 커버(140S)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단변(SS1) 또는 제2 단변(SS2)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곡면부(10R,110R) 및/또는 측면부(10S,110S) 및/또는 컬링부(10C,110C)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장변(LS1) 또는 제2 장변(LS2)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를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좌우벤딩으로, 후자의 경우를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상하벤딩으로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좌우벤딩에 있어서, 제2 강성바(122)는 수평파트(122H), 그리고 수직파트(122V)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파트(122V)는 백커버(140)의 백플레이트(140H)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수평파트(122H)는 수직파트(122V)에서 굽어지며 연장될 수 있다. 수직파트(122V)와 수평파트(122H)의 외면은 커브드 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제2 강성바(122)의 수평파트(122H) 및/또는 수직파트(122V)의 외면에 접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은 접착부재(AD)에 의해 제2 강성바(122)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컬링부(10C,110C)는 제2 강성바(122)의 수직부(122V)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컬링부(10C,110C)는 백커버(140)의 백플레이트(140H)와 제2 강성바(122)의 수직파트(122V) 사이에 위치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고정은 보다 견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상하벤딩에 있어서, 제2 강성바(122)는 제3 강성바(123)가 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백커버(140)가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백커버(140)는 백플레이트(140H), 사이드커버(140S), 그리고 사이드월(140V)을 포함할 수 있다. 백플레이트(140H)는 백커버(140)의 수평면 또는 수평판을 형성할 수 있고, 사이드커버(140S) 및/또는 사이드월(140V)은 백커버(140)의 수직면 또는 수직판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은 평면부(10F,110F), 곡면부(10R,110R), 측면부(10S,110S), 그리고 컬링부(10C,110C)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10F,110F)는 전면부(10F,110F)라 칭할 수 있다. 평면부(10F,110F)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곡면부(10R,110R)는 평면부(10F,110F)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곡면부(10R,110R)는 일정한 곡률을 지닐 수 있다. 측면부(10S,110S)는 곡면부(10R,110R)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측면부(10S,110S)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컬링부(10C,110C)는 측면부(10S,110S)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평면부(10F,110F)와 측면부(10S,110S)는 평편(flat)할 수 있다.
백커버(14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측면부(10S,110S)의 일부가 커버될 수 있다. 사이드월(140V)은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측면부(10S,110S)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커버(140S)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장변(LS1) 또는 제2 장변(LS2)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곡면부(10R,110R) 및/또는 측면부(10S,110S) 및/또는 컬링부(10C,110C)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단변(SS1) 또는 제2 단변(SS2)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이드 커버(140S)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단변(SS1) 또는 제2 단변(SS2)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곡면부(10R,110R) 및/또는 측면부(10S,110S) 및/또는 컬링부(10C,110C)는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제1 장변(LS1) 또는 제2 장변(LS2)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를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좌우벤딩으로, 후자의 경우를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상하벤딩으로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좌우벤딩에 있어서, 제2 강성바(122)는 수평파트(122H), 그리고 수직파트(122V)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파트(122V)는 백커버(140)의 백플레이트(140H)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수평파트(122H)는 수직파트(122V)에서 굽어지며 연장될 수 있다. 수직파트(122V)와 수평파트(122H)의 외면은 커브드 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제2 강성바(122)의 수평파트(122H) 및/또는 수직파트(122V)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제2 강성바(122)의 수직파트(122V)와 백커버(140)의 백플레이트(140H) 사이에 위치하고, 제2 강성바(122)의 수직파트(122V)에 접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은 접착부재(AD)에 의해 제2 강성바(122)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컬링부(10C,110C)는 제2 강성바(122)의 수직부(122V)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컬링부(10C,110C)는 접착부재(AD)와 함께 백커버(140)의 백플레이트(140H)와 제2 강성바(122) 사이에 위치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고정은 보다 견고할 수 있다. 컬링부(10C,110C)는 블랙머티어리얼(black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컬링부(10C,110C)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10)의 상하벤딩에 있어서, 제2 강성바(122)는 제3 강성바(123)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길게 연장된 제1 서포터;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서포터와 마주하는 제2 서포터; 상기 제1 서포터와 상기 제2 서포터 사이에 위치하는 전면부, 그리고 상기 전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를 감싸며 굽어지는 곡면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서포터에서 상기 제2 서포터를 향해 길게 연장되는 제3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서포터는, 상기 제1 서포터와 상기 제2 서포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곡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서포트 또는 상기 제2 서포트에 고정되는 측면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3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서포터에서 상기 제2 서포터를 향해 길게 연장되는 제4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에 인접하고, 상기 제4 서포터는, 상기 제3 서포터와 대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변에 인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3 서포터는 상기 제1 서포터 및 상기 제2 서포터 중 적어도 하나와 이격되고, 상기 제4 서포터는 상기 제1 서포터 및 상기 제2 서포터 중 적어도 하나와 이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의하면, 일측이 상기 제1 서포터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서포터에 연결되는 스트럿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트럿바는: 상기 제1 서포터와 피봇 연결되는 제1 암; 상기 제2 서포터와 피봇 연결되는 제2 암; 그리고,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을 연결하는 힌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제1 암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기어; 상기 제2 암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그리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의 직경의 합 보다 큰 길이를 지니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서포터 내지 제3 서포터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에 고정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에 고정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커버하는 백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사이드월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에 감기는 컬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에 고정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컬링부는 상기 백커버와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컬링부는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에 고정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제1 서포터;
    상기 제1 서포터와 마주하는 제2 서포터;
    상기 제1 서포터와 상기 제2 서포터 사이에 위치하는 전면부, 그리고 상기 전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를 감싸며 굽어지는 곡면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그리고,
    상기 제1 서포터와 상기 제2 서포터를 연결하는 제3 서포터;
    상기 제3 서포터와 마주하는 제4 서포터;
    상기 제1 및 제2 서포터를 피봇 가능하게 연결하는 스트럿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포터와 상기 제3 서포터 사이에 형성된 제1 갭과, 상기 제2 서포터와 상기 제4 서포터 사이에 형성된 제2 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갭과 상기 제2 갭은 상기 스트럿바의 피봇 위치에 맞춰 크기가 조절되고,
    상기 스트럿 바의 피봇 위치는 상기 스트럿바가 연장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스트럿 바가 연장되지 않는 제2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갭 및 상기 제2 갭의 크기는 상기 스트럿 바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스트럿 바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더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곡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에 고정되는 측면부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서포터와 상기 제4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에 인접하고,
    상기 제4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변에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바는:
    상기 제1 서포터와 피봇 연결되는 제1 암;
    상기 제2 서포터와 피봇 연결되는 제2 암; 그리고,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을 연결하는 힌지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제1 암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기어;
    상기 제2 암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그리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의 직경의 합 보다 큰 길이를 지니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서포터 내지 제3 서포터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에 고정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에 고정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커버하는 백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사이드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에 감기는 컬링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에 고정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컬링부는 상기 백커버와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부는 상기 제1 서포터 또는 상기 제2 서포터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70123624A 2017-09-25 2017-09-2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93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624A KR102393175B1 (ko) 2017-09-25 2017-09-2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5/805,358 US10306787B2 (en) 2017-09-25 2017-11-07 Display device
PCT/KR2018/005387 WO2019059488A1 (en) 2017-09-25 2018-05-10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624A KR102393175B1 (ko) 2017-09-25 2017-09-2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967A KR20190034967A (ko) 2019-04-03
KR102393175B1 true KR102393175B1 (ko) 2022-05-02

Family

ID=6580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624A KR102393175B1 (ko) 2017-09-25 2017-09-2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06787B2 (ko)
KR (1) KR102393175B1 (ko)
WO (1) WO2019059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619B1 (ko) * 2018-07-13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2547B1 (ko) * 2021-08-31 2023-11-14 김여일 다단 접이식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및 그 이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00280B1 (en) * 2004-10-05 2011-12-28 Creator Technology B.V. Rollable display device
US9711752B2 (en) 2011-12-1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9433293B2 (en) * 2012-10-04 2016-09-06 Milestone Av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mount for flat panel display
JP2014115321A (ja) * 2012-12-06 2014-06-2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表示装置
KR20140101166A (ko) 2013-02-08 2014-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643056B (zh) 2013-07-22 2018-12-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
KR20150018339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JP6607666B2 (ja) * 2013-10-10 2019-11-20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曲面型表示装置のウインドウ部材、曲面型表示装置のウインドウ部材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備えた曲面型表示装置
KR20150081225A (ko) * 2014-01-03 201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WO2015102438A1 (en) * 2014-01-03 2015-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15160099A1 (en) * 2014-04-15 2015-10-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9516771B2 (en) * 2014-06-18 2016-12-0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lm part which covers a display module
KR102293647B1 (ko) * 2014-06-18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5621B1 (ko) 2014-11-24 2021-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39290B1 (ko) * 2014-12-16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78758B1 (ko) * 2015-06-19 2022-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02702B1 (ko) 2015-07-31 2021-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더블 디스플레이
KR102562895B1 (ko) * 2015-12-15 2023-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429119B1 (ko) * 2015-12-30 2022-08-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4387B1 (ko) * 2016-04-29 2022-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2731B1 (ko) * 2016-06-09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237598B1 (ko) * 2016-08-31 202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06787B2 (en) 2019-05-28
WO2019059488A1 (en) 2019-03-28
US20190098779A1 (en) 2019-03-28
KR20190034967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830B1 (ko) 표시장치
US8610842B2 (en) Display apparatus
JP6552536B2 (ja) 表示装置
KR1026052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191315B2 (en) Display apparatus
US20180011368A1 (en) Display apparatus
US9033533B2 (en) Display apparatus
US8876358B2 (en) Display apparatus
US9442585B2 (en) Display device
US20200152895A1 (en) Display pane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471097B2 (en) Display device
KR102369969B1 (ko) 일체형 표시 모듈 및 초박형 표시장치
JP2020148942A (ja) 画像表示装置
KR20160047651A (ko) 롤러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3885241A (zh) 显示装置
US10788863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05511181A (zh) 窄边框平板显示器
KR102040652B1 (ko) 휴대용 정보통신 처리기를 위한 측부가 구부러진 전면 커버 글래스
KR10239317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5093628A (zh) 一种拼接显示屏及其拼装方法
KR2021006233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170269295A1 (en) Apparatus for compensating displayed image and display assembly
KR1022936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16878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7363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