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652B1 - 휴대용 정보통신 처리기를 위한 측부가 구부러진 전면 커버 글래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보통신 처리기를 위한 측부가 구부러진 전면 커버 글래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652B1
KR102040652B1 KR1020130038312A KR20130038312A KR102040652B1 KR 102040652 B1 KR102040652 B1 KR 102040652B1 KR 1020130038312 A KR1020130038312 A KR 1020130038312A KR 20130038312 A KR20130038312 A KR 20130038312A KR 102040652 B1 KR102040652 B1 KR 102040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lass
curved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1722A (ko
Inventor
김준혁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8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65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1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통신 기기의 전면에서 측면으로 넘어가는 코너부가 자연스런 곡면으로 구성된 전면 커버 글래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보통신 처리기용 전면 커버 글래스는, 정보통신 기기의 전면 표면에 대응하는 평면부; 그리고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정보통신 기기의 적어도 어느 한 측벽부로 연장되는 곡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보통신 처리기용 전면 커버 글래스는 평탄부에서 측면부로 연장되는 곡면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강화된 강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그립 감도가 향상되고 디자인 완성도가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정보통신 처리기를 위한 측부가 구부러진 전면 커버 글래스 {Front Cover Glass Having Curved Corner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통신 기기의 전면에서 측면으로 넘어가는 코너부가 자연스런 곡면으로 구성된 전면 커버 글래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통신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전면을 덮으며 측면으로 연장되되, 그 코너부가 곡면으로 연결되어 기기 프레임과 사이의 이질감을 줄인 전면 커버 글래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 표시소자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한 때 주류를 이루었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또는 브라운관은 무게와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음극선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현재 많은 종류의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가 개발되고 있다.
평판표시소자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전계 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PDP)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 EL) 등이 있고 이들 대부분이 실용화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들 중 특히, 액정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는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옥내외 광고 표시장치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제어용 스위치들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광의 투과량이 조절되어 화면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 액정표시장치는 최근의 양산기술 확보와 연구개발의 성과로 대형화 및 고해상도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Mobile Display) 산업의 발전으로 중소형에서도 큰 수요량을 보이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박막 평판형 표시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통신 기기들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막 평판형 표시 소자를 구비하여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정보통신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이 휴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정보통신 기기는, 기기의 외관을 결정하는 세트 프레임(SF)과 커버 글래스(CG)를 포함한다. 세트 프레임(SF)과 커버 글래스(CG)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한 내부 공간에는, 사용자가 처리할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가 실장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액정 표시패널(LCP)과 그 하부에 적층된 백 라이트 유닛(BLU)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표시패널(LCP)은 서로 면 부착된 상부 기판(UG)과 하부 기판(DG) 그리고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LC)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기판(UG)의 외측 표면에는 상부 편광필름(UP)가, 하부 기판(DG)의 외측 표면에는 하부 편광필름(DP)이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액정 표시패널(LCP)은 자발광 소자가 아니므로, 그 하부에 백 라이트 유닛(BLU)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 라이트 유닛(BLU)은 액정 표시패널(LCP)의 면과 대향하는 도광판(LG)을 포함한다. 도광판(LG)의 일측면에는 광원(LS)이 배치되며, 광원(LS)에서 출사한 백 라이트는 도광판(LG)에 의해 액정 표시패널(LCP)로 면 발광된다. 도광판(LG)은 상부에는 다수 개의 광학 필름(OP)이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광학 필름(OP)은 도광판(LG)에서 출사되는 백 라이트가 액정 표시패널(LCP)의 전면에 걸쳐 고른 휘도를 갖고 상부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광판(LG)의 하면에는 반사시트(RF)가 부착되어 광원(LS)에서 출사되어 도광판(LG)의 하부로 유출되는 백 라이트를 액정 표시패널(LCP) 쪽으로 반사되도록 한다.
그릇 형상을 갖는 세트 프레임(SF)의 하부에 백 라이트 유닛(BLU)이 실장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BLU)의 상부에는 액정 표시패널(LCP)이 적층된다. 액정 표시패널(LCP)이 백 라이트 유닛(BLU)과 충돌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세트 프레임(SF)이 계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액정 표시패널(LCP)이 백 라이트 유닛(BLU) 상부에서 세트 프레임(SF)의 단부에 걸쳐서 실장될 수 있다.
액정 표시패널(LCP)의 상부에는 커버 글래스(CG)가 덮는 구조로 세트 프레임(SF)과 결합된다. 커버 글래스(CG)를 통해 액정 표시패널(LCP)이 구현하는 시각적 정보를 사용자가 관측하여야 하므로, 커버 글래스(CG)는 투명도가 높은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기를 떨어뜨리거나, 일상적인 외부의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강화 유리나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글래스(CG)는 일정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투명한 기판이다. 한편, 세트 프레임(SF)은 정보통신 기기의 측면부와 배면부를 차지하는 그릇 형상을 갖는다. 커버 글래스(CG)가 액정 표시패널(LCP)과 직접 부딪히거나 마찰하여 서로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세트 프레임(SF)이 계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글래스(CG)는 접착 필름(TP)을 이용하여 세트 프레임(SF)의 단부에 걸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액정 표시패널(LCP)은 화상 정보를 표현하는 표시 영역(AA)과, 표시 영역(AA)의 주변을 둘러싸는 비 표시 영역(NA)으로 나뉜다. 표시 영역(AA)에는 액정 셀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백 라이트 유닛(BLU)의 일부인 도광판(LG)의 대부분 영역이 표시 영역(AA)에 대응한다. 커버 글래스(CG)는 액정 표시패널(LCP)의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을 모두 포함하고, 비 표시 영역(NA) 외부로 더 연장되어 세트 프레임(SF)의 단턱부에 걸쳐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세트 프레임(SF)과 접착되는 커버 글래스(CG)의 일부는 비 표시 영역(NA)에서 외부로 더 연장된 영역에 해당된다.
커버 글래스(CG)에서 표시 영역(AA)을 제외한 테두리 영역은 아무런 정보도 표시하지 않는다. 이 부분이 투명한 상태로 남아 있다면, 하부에 배치된 접착 필름(TP) 및 액정 표시패널(LCP)의 비 표시 영역 그리고 백 라이트 유닛(BLU)의 광원(LS) 등이 그대로 보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보여서는 안 되는 부분이 보이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커버 글래스(CG)에서, 비 표시 영역(NA)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에 해당하는 내측 표면에는 검은색을 도포하여 잉크 프린팅(IP)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정보통신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는 커버 글래스(CG) 가장자리와 세트 프레임(SF)이 연결되는 부위가 존재한다. 그리고 세트 프레임(SF)은 커버 글래스(CG)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어야 한다. 이는, 커버 글래스(CG)가 구부러짐(휨)에 의해 파손이 생길 때, 주로 파손의 시작점이 가장자리 혹은 모서리 부분에서 시작하는데, 이러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결부위에서 차이(Gap)가 발생하는 데, 사용자가 제품을 손으로 다룰 때 (기기를 작동하거나 손에 쥐고 있을 때) 이 연결부위의 차이로 인해 그립(Grip) 감도가 나빠진다.
즉, 커버 글래스(CG)가 6면체인(상부면, 하부면 및 네 개의 측면들) 얇은 판 형상을 갖는다. 얇은 판형의 커버 글래스(CG)의 손상을 최대한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네 개의 측면들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세트 프레임(SF)과 마주하면서 감싸진 구조를 갖는다. 이때, 네 개의 측면들과 세트 프레임(SF) 사이의 연결 부위에서 갭(Gap)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강도가 강화되고, 휨에 의한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정보통신 처리기용 전면 커버 글래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정보통신 기기의 전면의 평탄부에서 측면의 평탄부로 연장되는 곡면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보강된 강성을 갖고 디자인 완성도가 높은 정보통신 처리기용 전면 커버 글래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보통신 처리기용 전면 커버 글래스는, 정보통신 기기의 전면 표면에 대응하는 평면부; 그리고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정보통신 기기의 적어도 어느 한 측벽부로 연장되는 곡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평면부는 일정 두께로 서로 평행한 외측 평면 및 내측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일정 두께로 서로 평행한 외측 곡면 및 내측 곡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외측 곡면과 상기 내측 곡면을 연결하는 끝 단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면부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개구 영역; 그리고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개구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과,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는 비 개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 개구 영역에 형성된 블랙 잉크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정보처리 기기와 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정보통신 기기의 상기 어느 한 측벽부의 일정 길이 연장된 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면부는 일정 두께로 서로 평행한 외측 평면 및 내측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일정 두께로 서로 평행한 외측 곡면 및 내측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일정 두께로 서로 평행한 외측 측면 및 내측 측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외측 측면과 상기 내측 측면을 연결하는 끝 단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면부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개구 영역; 그리고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개구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과, 상기 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대응하는 비 개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 개구 영역에 형성된 블랙 잉크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면부 및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정보처리 기기와 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보통신 처리기용 전면 커버 글래스는 휴대용 정보통신 기기의 전면의 평탄부에서 측면부로 연장되는 곡면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 글래스에 구부러지는 응력 혹은 휨 응력이 가해질 때, 모서리부에서 구조적으로 강화된 강도를 제공함으로써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할 때의 그립 감도가 향상되고 디자인 완성도가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막 평판형 표시 소자를 구비하여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정보통신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박막 평판형 표시 소자를 구비하여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정보통신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글래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글래스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글래스의 내측 표면을 바라본 모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글래스의 외측 표면을 바라본 모양을 나타내는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기기 측벽부 하단까지 측면부가 연장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박막 평판형 표시 소자를 구비하여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정보통신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개인이 휴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정보통신 기기는, 기기의 외관을 결정하는 세트 프레임(SF)과 커버 글래스(CG)를 포함한다. 세트 프레임(SF)과 커버 글래스(CG)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한 내부 공간에는, 사용자가 처리할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가 실장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액정 표시패널(LCP)과 그 하부에 적층된 백 라이트 유닛(BLU)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표시패널(LCP)은 서로 면 부착된 상부 기판(UG)과 하부 기판(DG) 그리고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LC)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기판(UG)의 외측 표면에는 상부 편광필름(UP)이, 하부 기판(DG)의 외측 표면에는 하부 편광필름(DP)이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액정 표시패널(LCP)은 자발광 소자가 아니므로, 그 하부에 백 라이트 유닛(BLU)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 라이트 유닛(BLU)은 액정 표시패널(LCP)의 면과 대향하는 도광판(LG)을 포함한다. 도광판(LG)의 일측면에는 광원(LS)이 배치되며, 광원(LS)에서 출사한 백 라이트는 도광판(LG)에 의해 액정 표시패널(LCP)로 면 발광된다. 도광판(LG)은 상부에는 다수 개의 광학 필름(OP)이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광학 필름(OP)은 도광판(LG)에서 출사되는 백 라이트가 액정 표시패널(LCP)의 전면에 걸쳐 고른 휘도를 갖고 상부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광판(LG)의 하면에는 반사시트(RF)가 부착되어 광원(LS)에서 출사되어 도광판(LG)의 하부로 유출되는 백 라이트를 액정 표시패널(LCP) 쪽으로 반사되도록 한다.
세트 프레임(SF)은 장방형의 바닥부(BT)와 바닥부(BT)를 구성하는 네 개의 변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된 네 개의 측벽부(SW)를 포함하여, 그릇 형상을 갖는다. 그릇 형상을 갖는 세트 프레임(SF)의 바닥부(BT)에 백 라이트 유닛(BLU)이 실장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BLU)의 상부에는 액정 표시패널(LCP)이 적층된다. 액정 표시패널(LCP)이 백 라이트 유닛(BLU)과 충돌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세트 프레임(SF)의 측벽부(SW)는 계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액정 표시패널(LCP)이 백 라이트 유닛(BLU) 상부에서 이 계단부에 걸치도록 실장될 수 있다.
액정 표시패널(LCP)의 상부에는 커버 글래스(CG)가 덮는 구조로 세트 프레임(SF)과 결합된다. 커버 글래스(CG)를 통해 액정 표시패널(LCP)이 구현하는 시각적 정보를 사용자가 관측하여야 하므로, 커버 글래스(CG)는 투명도가 높은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기를 떨어뜨리거나, 일상적인 외부의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강화 유리나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글래스(CG)는 기기의 평탄한 전면부를 덮는 평면부(PS)와 기기의 전면부에서 측면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곡면부(C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 글래스(CG)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투명한 강화 유리 혹은 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글래스(CG)의 끝 단면(ES)은, 곡면부(CS)가 끝나는 지점으로서, 기기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구부러지며, 기기의 측면에서 세트 프레임(SF)과 체결된다. 또한, 커버 글래스(CG)의 곡면부(CS)는 이 모양과 대응하는 곡면 형상을 갖는 세트 프레임(SF)의 측벽 체결부(SWC)와 면 접촉하도록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커버 글래스(CG)의 곡면부(CS)를 이루는 내측 표면은, 접착 필름(TP)을 매개로 하여, 세트 프레임(SF)의 측벽 체결부(SWC)와 체결할 수 있다.
액정 표시패널(LCP)은 화상 정보를 표현하는 표시 영역(AA)과, 표시 영역(AA)의 주변을 둘러싸는 비 표시 영역(NA)으로 나뉜다. 표시 영역(AA)에는 액정 셀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백 라이트 유닛(BLU)의 일부인 도광판(LG)의 대부분 영역이 표시 영역(AA)에 대응한다.
커버 글래스(CG)는 액정 표시패널(LCP)의 표시 영역(AA)에 상응하는 개구 영역(OA)과 개구 영역을 둘러싸는 비 개구 영역(NOA)을 포함한다. 비 개구 영역은(NOA)은 액정 표시패널(LCP)의 비 표시 영역을 모두 포함하며, 비 표시 영역(NA) 외부로 더 연장되어, 세트 프레임(SF)의 측벽을 타고 넘어, 기기의 측면까지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즉, 세트 프레임(SF)과 접착되는 커버 글래스(CG)의 곡면부(CS)도 비 개구 영역(NOA)에 포함된다.
커버 글래스(CG)의 비 개구 영역(NOA)은, 액정 표시패널(LCP)의 비 표시 영역(NA) 및 세트 프레임(SF)의 측벽부(SW)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으로, 아무런 정보도 표시하지 않는다. 이 부분이 투명한 상태로 남아 있다면, 하부에 배치된 접착 필름(TP) 및 액정 표시패널(LCP)의 비 표시 영역 그리고 백 라이트 유닛(BLU)의 광원(LS) 등, 시각적 정보를 관측하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구성 요소들이 그대로 보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보여서는 안 되는 부분이 보이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커버 글래스(CG)의 비 개구 영역(NOA)에 해당하는 내측 표면에는 검은색을 도포하여 잉크 프린팅(IP)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글래스(CG)의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글래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글래스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글래스의 내측 표면을 바라본 모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글래스의 외측 표면을 바라본 모양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글래스(CG)는, 기기의 전면 표면에 대응하는 평면부(PS), 기기의 네 측벽 표면에 대응하는 네 개의 측면부(SS), 그리고 평면부(PS)와 측면부(SS)를 연결하는 곡면부(CS)를 포함한다. 커버 글래스(CG)는 평면부(PS), 곡면부(CS), 측면부(SS)에 걸쳐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부(SS)의 끝 부분에는 커버 글래스(CG)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끝 단면부(ES)를 더 포함한다.
커버 글래스(CG)의 평면부(PS)는 일정 두께로 서로 평행한 외측 평면(110)과 내측 평면(210)으로 구성된다. 곡면부(CS) 역시 일정 두께로 서로 평행한 외측 곡면(120)과 내측 곡면(2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측면부(SS)도 일정 두께로 서로 평행한 외측 측면(130)과 내측 측면(230)으로 구성되며, 외측 측면(130)과 내측 측면(230)은 각각에 수직으로 만나는 끝 단면부(ES)를 통해 연결된다.
커버 글래스(CG)는 외측면(100), 외측면(100)에서 내측 방향으로 일정 두께만큼 오프셋(Offset)된 내측면(200), 그리고 외측면(100)과 내측면(200)을 연결하는 끝 단면부(ES)를 포함한다. 외측면(100)은 외측 평면(110), 외측 평면(110)에서 연장되는 외측 곡면(120) 및 외측 곡면(120)에서 기기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외측 측면(130)을 포함한다. 또한, 내측면(200)은 내측 평면(210), 내측 평면(210)에서 연장되는 내측 곡면(220) 및 내측 곡면(220)에서 기기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내측 측면(230)을 포함한다.
커버 글래스(CG)는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개구 영역(OA)과 개구 영역(OA)을 둘러싸는 비 개구 영역(NOA)을 포함한다. 비 개구 영역(NOA)에는 정보처리 기기에서 표시 장치를 제외한 기타 장치들을 실장하거나 배치할 수 있는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 영역(OA)은 시각적 정보를 잘 나타낼 수 있도록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글래스(CG)의 비 개구 영역(NOA)에 해당하는 내측 평면(210) 중에서 액정 표시패널(LCP)의 비 표시 영역(NA)에 대응되는 영역과 내측 곡면(220) 전체 영역에 걸쳐서 잉크 프린팅(IP)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 글래스(CG)의 내측 곡면(220)과 내측 측면(230)은 세트 프레임(SF)의 측벽 체결부(SWC)와 서로 면 접착으로 합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트 프레임(SF)의 측벽 체결부(SWC)의 외측 표면의 형상은 적어도 커버 글래스(CG)의 내측 곡면(220)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글래스(CG)의 측면부(SS)는 곡면부(CS)의 끝에서 기기의 측면을 따라 일정 거리 연장된 부분이다. 필요에 따라서, 측면부(SS)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커버 글래스(CG)는 평면부(PS)와 곡면부(CS)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측면부(SS)는 기기의 측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면부(SS)는 곡면부(CS)의 끝에서 시작해서 기기의 측면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측면부(SS)는 곡면부(CS)의 끝 지점에서 기기의 바닥면에 이르기까지의 길이 중에서 설계자가 설계 의도 및 디자인 완성도에 맞추어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기기의 측면의 상부 1/3 정도까지 측면부(SS)가 연장된 경우를 도시 하였다. 도 7에서는 측면부(SS)가 측벽의 2/3까지 연장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기기 측벽부 하단까지 측면부가 연장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서 세트 프레임(SF)의 측벽부(SW)와 바닥부(BT)가 만나는 형상이 둥글게 모따기 되어 하부 곡면부(BS)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글래스(CG)의 측면부(SS)는 세트 프레임(SF)의 하부 곡면부가 시작되는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커버 글래스(CG)를 세트 프레임(SF)과 체결하기 위해서, 커버 글래스(CG)의 곡면부(CS), 혹은 커버 글래스(CG)의 곡면부(CS)와 측면부(SS)는 세트 프레임(SF)의 측벽 체결부(SWC)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커버 글래스(CG)가 평면부(PS)와 곡면부(CS)로 이루어진 경우, 세트 프레임(SF)의 측벽 체결부(SWC)는, 곡면부(CS)의 내측 곡면(220)과 면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곡면부(CS)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커버 글래스(CG)가 평면부(PS), 곡면부(CS) 및 측면부(SS)로 이루어진 경우, 세트 프레임(SF)의 측벽 체결부(SWC)는, 곡면부(CS)의 내측 곡면(220) 및 측면부(SS)의 내측 측면(230)과 면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곡면부(CS)에서 측면부(SS)에 이르는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글래스(CG)는 적어도 곡면부(CS)가 세트 프레임(SF)의 측벽 체결부(SWC)와 면 결합하여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요즘, 기기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비 개구 영역(NOA)의 폭을 좁혀 협 베젤(Narrow Bezel) 디자인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에도, 커버 글래스(CG)와 세트 프레임(SF)은 측벽 체결부(SWC)의 곡면 형상에 의해 체결되므로, 측벽부(SW)의 폭을 줄이더라도, 체결 면적이 줄어들지 않는다. 즉, 커버 글래스(CG)와 세트 프레임(SF) 사이의 체결력이 약화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체결 강성을 더 확보하고자 한다면, 도 7에서와 같이, 커버 글래스(CG)는 곡면부(CS)에서 측벽부(SW)를 따라 연장된 측면부(SS)를 더 포함하고, 측벽 체결부(SWC)도 곡면부(CS)와 측면부(SS)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글래스(CG)는 협 베젤 디자인에 적용해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글래스(CG)가 평면부(PS)와 평면부(PS)에서 연장되어 기기의 측면으로 구부러진 곡면부(CS)를 더 포함함으로써, 기기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커버 글래스(CG)의 내측면 방향으로 가해지는 스트레스나 휨력에 대해서 더욱 강한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더욱 강하여 견고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기의 전면부에서 측면부에 이르기까지 전 영역을 이음새 없이 커버 글래스(CG)가 덮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사용감이 더욱 우수하며, 디자인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SF: 세트 프레임 CG: 커버 글래스
LCP: 액정 표시패널 BLU: 백 라이트 유닛
UG: 상부 기판 DG: 하부 기판
LC: 액정층 OP: 광학 필름
UP: 상부 편광필름 DP: 하부 편광필름
LG: 도광판 LS: 광원
RF: 반사판 BT: 바닥부
SW: 측벽부 SWC: 측벽 체결부
PS: 평면부 CS: 곡면부
ES: 끝 단면 SS: 측면부
AA: 표시 영역 NA:비 표시 영역
OA: 개구 영역 NOA: 비 개구 영역
100: 외측면 110: 외측 평면
120: 외측 곡면 130: 외측 측면
200: 내측면 210: 내측 평면
220: 내측 곡면 230: 내측 측면

Claims (14)

  1. 정보통신 기기의 전면 표면에 대응하는 평면부; 그리고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정보통신 기기의 적어도 어느 한 측벽부로 연장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개구 영역; 그리고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개구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과,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는 비 개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비 개구 영역에 형성된 블랙 잉크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글래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일정 두께로 서로 평행한 외측 평면 및 내측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일정 두께로 서로 평행한 외측 곡면 및 내측 곡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외측 곡면과 상기 내측 곡면을 연결하는 끝 단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글래스.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정보통신 기기와 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글래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정보통신 기기의 상기 어느 한 측벽부의 일정 길이 연장된 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글래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일정 두께로 서로 평행한 외측 평면 및 내측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일정 두께로 서로 평행한 외측 곡면 및 내측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일정 두께로 서로 평행한 외측 측면 및 내측 측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외측 측면과 상기 내측 측면을 연결하는 끝 단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글래스.
  8. 삭제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 및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정보통신 기기와 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글래스.
  11. 액정 표시패널;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하측에서 상기 액정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세트 프레임; 및
    상기 세트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액정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커버 글래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전면 표면에 대응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에서 정보통신 기기의 적어도 어느 한 측벽부로 연장되는 곡면부;
    상기 평면부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개구 영역; 및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개구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과,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는 비 개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비 개구 영역에 형성된 블랙 잉크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프레임은 상기 커버 글래스와 결합하는 측벽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 체결부와 상기 곡면부 사이에 상기 블랙 잉크 패턴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체결부와 상기 블랙 잉크 패턴 사이에 배치된 접착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 글래스와 상기 세트 프레임은 상기 접착 필름을 통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기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체결부는 단면이 계단 형상의 계단부를 가지고,
    상기 액정 표시패널은 상기 계단부에 걸치도록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기기.
KR1020130038312A 2013-04-08 2013-04-08 휴대용 정보통신 처리기를 위한 측부가 구부러진 전면 커버 글래스 KR102040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312A KR102040652B1 (ko) 2013-04-08 2013-04-08 휴대용 정보통신 처리기를 위한 측부가 구부러진 전면 커버 글래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312A KR102040652B1 (ko) 2013-04-08 2013-04-08 휴대용 정보통신 처리기를 위한 측부가 구부러진 전면 커버 글래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722A KR20140121722A (ko) 2014-10-16
KR102040652B1 true KR102040652B1 (ko) 2019-11-27

Family

ID=5199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312A KR102040652B1 (ko) 2013-04-08 2013-04-08 휴대용 정보통신 처리기를 위한 측부가 구부러진 전면 커버 글래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2023A (zh) * 2015-05-29 2017-01-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面板及具有所述显示屏面板的移动终端
CN106292024A (zh) * 2015-06-09 2017-01-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液晶显示屏模组和移动设备
JP6638390B2 (ja) * 2015-12-28 2020-01-2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パッケージ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509025B1 (ko) * 2016-07-29 2023-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일체형 백커버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JP7021903B2 (ja) * 2017-10-31 2022-02-17 株式会社オカムラ 調光パネルおよび該調光パネルを連接した連接パネル装置
KR20200057392A (ko) * 2018-11-16 2020-05-26 (주)대호테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덮는 투명 커버, 투명 커버의 제조 방법 및 투명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N109445158A (zh) * 2018-12-25 2019-03-0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电子设备
KR102635565B1 (ko) * 2019-04-22 2024-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윈도우 부재 제조 방법, 및 상기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757B1 (ko) * 2007-03-16 201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360206B1 (ko) * 2007-03-16 2014-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하우징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46508B1 (ko) * 2009-09-18 201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101609888B1 (ko) * 2010-04-22 2016-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722A (ko)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652B1 (ko) 휴대용 정보통신 처리기를 위한 측부가 구부러진 전면 커버 글래스
US845658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442316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ght-transmitting cover having a lens portion
JP5288526B2 (ja) フラット表示装置
CN203117600U (zh) 显示装置
US9304344B2 (en) Display device
US20140293574A1 (en) Display apparatus
KR102301094B1 (ko) 표시 장치
CN203054391U (zh) 显示装置
US9626053B2 (en)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and joint touch control display
JP2013242525A (ja) 曲面ディスプレイ装置
US9959824B2 (en) Narrow bezel flat panel display
US9261721B2 (en) Display apparatus
KR101633125B1 (ko) 표시장치
US20130021573A1 (en) User terminal and display panel thereof
JP2007065855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20140117999A (ko) 평판 표시 장치
US935446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improved light leakage characteristics
KR102595455B1 (ko) 액정표시장치
US868128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5006847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469764B1 (ko) 백라이트 유닛,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80103274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32848A1 (en) Illumina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20170070524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