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378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378A
KR20200007378A KR1020180081420A KR20180081420A KR20200007378A KR 20200007378 A KR20200007378 A KR 20200007378A KR 1020180081420 A KR1020180081420 A KR 1020180081420A KR 20180081420 A KR20180081420 A KR 20180081420A KR 20200007378 A KR20200007378 A KR 20200007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content
electronic device
function
volum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521B1 (ko
Inventor
김희진
남명우
권오채
오영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1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521B1/ko
Priority to EP19835022.5A priority patent/EP3779668A4/en
Priority to PCT/KR2019/008615 priority patent/WO2020013647A1/ko
Priority to CN201980047002.7A priority patent/CN112424744A/zh
Priority to US17/053,519 priority patent/US11169769B2/en
Publication of KR2020000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3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tereophonic sound systems

Abstract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이 개시된다.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은, 음량 조절 UI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컨텐트의 재생 중 여부에 따라서 제1 음량 조절 UI 및 제2 음량 조절 UI 중에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음량 조절 UI 또는 상기 제2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컨텐트가 재생 중이면 상기 제1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고, 상기 컨텐트가 재생 중이지 않으면 상기 제2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 중 하나를 다른 하나와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SOUND VOLUME THEREOF}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음량을 조절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모바일 전자 장치에 관한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컨텐트를 재생하거나, 음성 피드백을 받거나, 알람을 수신하는 등의 다양한 종류의 멀티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를 통하여 재생 중인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예로, 벨소리에 대한 음량 레벨)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설정 화면의 설정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들 중에서 소리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소리 설정이 가능한 화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화면의 소리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들 중에서 컨텐트에 대한 음량 조절자를 터치 드래그하여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벨소리에 대한 음량 조절자를 터치 드래그하여 벨소리에 대한 음량 레벨을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과는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과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면, 컨텐트가 재생 중에는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소리를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예로, 컨텐트가 재생 중에, 벨소리나 알림 소리가 작게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벨소리나 알림 소리를 인지하지 못하고 놓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이 너무 크게 설정되어 있다면, 컨텐트가 재생 중에 발생되는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소리에 사용자가 청각 쇼크(acoustic shock)를 느끼거나 컨텐트의 시청에 집중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재생 중인 컨텐트의 음량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기능에 대한 음량을 결정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사용자가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은, 음량 조절 UI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컨텐트의 재생 중 여부에 따라서 제1 음량 조절 UI 및 제2 음량 조절 UI 중에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음량 조절 UI 또는 상기 제2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컨텐트가 재생 중이면, 상기 제1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고, 상기 컨텐트가 재생 중이지 않으면, 상기 제2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 중 하나를 다른 하나와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음량 조절 UI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컨텐트의 재생 중 여부에 따라서 제1 음량 조절 UI 및 제2 음량 조절 UI 중에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컨텐트가 재생 중이면, 상기 제1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고, 상기 컨텐트가 재생 중이지 않으면, 상기 제2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 중 하나를 다른 하나와 독립적으로 조절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음량 조절 UI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컨텐트의 재생 중 여부에 따라서 제1 음량 조절 UI 및 제2 음량 조절 UI 중에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컨텐트가 재생 중이면, 상기 제1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고, 상기 컨텐트가 재생 중이지 않으면, 상기 제2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 중 하나를 다른 하나와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동작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컨텐트의 재생 중 여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음량 조절 UI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컨텐트가 재생 중에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이 연동되어, 컨텐트의 음량 레벨을 고려한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이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음량을 조절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량 조절 UI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량 조절 UI의 실행을 설정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을 결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의 등가 소리 레벨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에 대한 소리 출력 유형들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등가 소리 레벨 값에 대응하여 이벤트의 종류 별 출력되는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다양한 실시예 따라 컨텐트가 재생 중에 이벤트의 소리가 출력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컨텐트란 비디오(또는, 동영상), 오디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컨텐트에 대한 음량이란, 컨텐트의 재생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또는,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이란, 컨텐트에 대한 음량과는 다른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고유 기능에 대한 음량이 될 수 있다. 예로, 기능에 대한 음량은, 벨소리 음량, 알람 소리 음량, 시스템 소리 음량 및 전자 장치의 진동 세기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음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통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입력은, 예로, 사용자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제스처는, 터치 제스처, 홀드(또는, 롱 프레스) 제스처, 드래그 제스처, 드래그 앤 홀드 제스처, 핀치 줌 인/아웃 제스처, 스와이프 제스처, 탭 제스처, 더블 탭 제스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은 전자 장치의 화면에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직접 닿지 않아도 되는 호버링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전자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11), 프로세서(12) 및 메모리(1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예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는 터치 회로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의 상세한 설명은, 도 11 및 도 12에서 후술할 예정이다.
프로세서(12)는 메모리(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전자 장치(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거나,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1)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의 상세한 설명은 도 11에서 후술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로, 프로세서(12)는 음량 조절 UI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컨텐트의 재생 중 여부에 따라서 제1 음량 조절 UI 및 제2 음량 조절 UI 중에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컨텐트가 재생 중이면, 프로세서(12)는 제1 음량 조절 UI를 통한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전자 장치(1)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할 수 있다. 반면에, 컨텐트가 재생 중이지 않으면, 프로세서(12)는 제2 음량 조절 UI를 통한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 중 하나를 다른 하나와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메모리(13)는 전자 장치(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의 상세한 설명은 도 11에서 후술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로, 메모리(13)는 프로세서(12)가, 음량 조절 UI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컨텐트의 재생 중 여부에 따라서 제1 음량 조절 UI 및 제2 음량 조절 UI 중에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하고, 컨텐트가 재생 중이면 제1 음량 조절 UI를 통한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고, 컨텐트가 재생 중이지 않으면 상기 제2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 중 하나를 다른 하나와 독립적으로 조절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트의 재생 중 여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음량 조절 UI가 자동으로 제공되어,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컨텐트가 재생 중에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이 연동되어 조절될 수 있음으로, 컨텐트의 음량 레벨에 맞추어 적절한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트가 재생 중에 발생되는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소리(예로, 벨소리 또는 알림 소리 등)를 사용자가 놓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컨텐트가 재생 중에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소리가 갑자기 높은 음량으로 출력되는 것이 제한되어 사용자의 청각 쇼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메모리(13)는 프로세서(12)가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을 조절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조절된 음량 레벨로 출력되는 컨텐트의 출력 음량 값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컨텐트의 출력 음량 값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조절된 음량 레벨로 출력되는 컨텐트의 등가 소리 레벨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 시간 동안 출력되는 컨텐트의 실제 출력 음량 값을 이용하여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이 조절되어, 사용자가 컨텐트 재생 중에 자연스럽게 기능에 대한 소리를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컨텐트가 높은 음량으로 출력 중에도 기능에 대한 소리를 인지할 수 있고, 컨텐트가 낮은 음량으로 출력 중에는 사용자의 청각 쇼크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자가기능에 대한 소리를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로, 메모리(13)는 프로세서(12)가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전자 장치(1)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소리 출력 유형에 기반하여,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기능에 대한 소리 출력 유형은, 컨텐트의 소리를 일시 정지시키고 기능에 대한 소리를 출력하는 유형, 컨텐트의 소리를 감소시키고 기능에 대한 소리를 출력하는 유형, 컨텐트의 소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능에 대한 소리를 출력하는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메모리(13)는 프로세서(12)가 제1 음량 조절 UI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제1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컨텐트에 대한 음량 조절자는 조작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표시하고, 기능에 대한 음량 조절자는 조작이 불가하도록 비활성화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량 조절자를 조절하는 경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과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이 연동하여 조절될 수 있음을 사전에 인지하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로, 메모리(13)는 프로세서(12)가 제2 음량 조절 UI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제2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컨텐트에 대한 음량 조절자 및 기능에 대한 음량 조절자 각각을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량 조절자를 조절하는 경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과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이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음을 사전에 인지하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로, 메모리(13)는, 프로세서(12)가 제1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음량 조절자를 이동시키는 사용자의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그래픽 및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 그래픽을 함께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메모리(13)는, 프로세서(12)가 제2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음량 조절자를 이동시키는 사용자의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제2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상기 음량 조절자에 대응되는 음량 레벨 그래픽을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가 음량을 조절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서, 전자 장치(1)의 프로세서(12)는 소리의 설정이 가능한 화면(211)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1)의 설정 화면(미도시)의 설정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들(예로, 연결 설정, 소리 설정, 진동 설정, 알림 설정, 디스플레이 설정, 배경화면 설정, 유용한 기능 설정 등) 중에서 소리 설정 항목을 선택하면, 프로세서(12)는 소리 설정이 가능한 화면(211)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화면(211)은 소리를 설정할 수 항목들(예로, 소리 모드 설정, 음량 설정, 진동 세기 설정, 벨소리 종류 설정, 통화 연결음(예로, 필링 기능) 설정, 진동 패턴 설정, 알림 소리 설정 등)로 구성된 소리 설정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에서, 사용자는 음량의 조절이 가능한 UI를 표시하기 위하여, 소리 설정 리스트 중에서 음량 설정 항목(212)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201)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201)에 따른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는 음량의 설정이 가능한 화면(212)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는 컨텐트 재생 중 여부에 따라서 제1 음량 조절 UI(220) 및 제2 음량 조절 UI(230) 중에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 전자 장치(1)는 후술할 도 4의 음량 연동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제1 음량 조절 UI(22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하고, 도 4의 음량 연동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제2 음량 조절 UI(23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음량 연동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예는, 도 4에서 상세히 후술될 예정이다.
예로, 전자 장치(1)는 컨텐트가 재생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컨텐트가 재생 중인지 여부는, 사용자의 입력(201)이 수행되기 전에 미리 판단되어 식별된 상태일 수도 있다. 판단 결과, 컨텐트가 재생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202), 전자 장치(1)는 도 2의 (b-1)과 같은 제1 음량 조절 UI(22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의 (b-1)에서, 제1 음량 조절 UI(220)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또는, 미디어에 대한 음량) 및 전자 장치(1)의 기능들에 대한 음량들(예로, 벨소리에 대한 음량, 알림 소리에 대한 음량, 시스템 소리에 대한 음량)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할 수 있는 음량 조절자(2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 전자 장치(1)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조절자(221)는 조작 가능하도록 활성화하고, 기능들에 대한 음량 조절자들(222,223,224)은 조작이 불가하도록 비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1 음량 조절 UI(220)을 통하여 음량 조절자(221)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204)을 수행하면, 사용자 입력(204)에 따른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이 연동하여 함께 조절된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 2의 (c-1)과 같이, 제1 음량 조절 UI(220)에 포함된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그래픽(226)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 그래픽들(227,228,229)을 함께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음량 조절자(221)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204)에 따른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는 복수 개의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들 중에서 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과 연동하여 함께 조절할 수 있다. 기 지정된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은, 컨텐트에 대한 음량과 연동되도록 미리 디폴트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의도적으로 지정된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컨텐트의 재생이 종료되거나 일시 정지되면, 전자 장치(1)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의 레벨 간의 연동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후술할 도 2의 (b-2)와 같이, 전자 장치(1)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조절자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 조절자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1)는 기능에 대한 음량으로서 전자 장치(1)의 내부의 진동자(예로, 모터)에 의한 진동 세기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음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의 (b-1)에서, 제1 음량 조절 UI(220)를 통한 사용자 입력(240)에 따른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진동 세기에 대한 음량 레벨(또는, 진동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할 수 있다.
도 2의 (a)에서, 사용자의 입력(201)에 따라, 전자 장치(1)가 컨텐트가 재생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컨텐트가 재생 중이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203), 전자 장치(1)는 도 2의 (b-2)와 같은 제2 음량 조절 UI(23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컨텐트가 재생 중이지 않은 것은, 컨텐트의 재생이 종료된 상태이거나, 컨텐트가 일시 정지된 상태이거나, 또는 컨텐트의 볼륨이 뮤트(mute)된 상태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b-2)에서, 제2 음량 조절 UI(230)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음량 조절자(331) 및 전자 장치(1)의 기능들에 대한 음량들을 조절할 수 있는 음량 조절자들(332,333,3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조절자(331)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 조절자들(332,333,334) 각각을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2 음량 조절 UI(230)을 통하여 음량 조절자(331)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205)을 수행하면, 사용자 입력(205)에 따른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 중 하나를 다른 하나와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는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은 유지하고,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만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이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 2의 (c-2)과 같이, 제1 음량 조절 UI(230)에 포함된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그래픽(336)만 변경하여 표시하고,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 그래픽들(337,338,339)을 변경 없이 기존 상태를 유지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량 조절 UI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전술한, 도 2의 (b-1)에서,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들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할 수 있는 제1 음량 조절 UI(220)는 도 3의 (a)의 음량 조절 UI(310) 또는 도 3의 (b)의 음량 조절 UI(320)와 같이 다양한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들이 연동된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전자 장치(1)는 통합된 하나의 음량 조절자(311,321)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통합된 음량 조절자(311,321)의 형태는 하나의 음량만 조절하여도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들이 함께 조절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a)에서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들이 연동된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전자 장치(1)는 음량 조절 UI(310)의 제목으로서 음량들의 통합 명칭인 '소리(sound)'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3의 (b)와 같이,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들이 연동된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전자 장치(1)는 음량 조절 UI(310)의 제목으로서 통합된 음량들의 제목인 '컨텐트&벨소리&알림&시스템'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량 조절 UI의 실행을 설정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의 (a)와 같이, 전자 장치(1)의 프로세서(12)는 소리의 설정이 가능한 화면(211)에, 컨텐트(또는, 미디어)에 대한 음량 레벨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예로, 알림 소리에 대한 음량 레벨)의 연동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음량 연동 항목(411)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음량 연동 항목(411)에는 음량의 연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온(on)/오프(off) 스위치(412) 또는 체크박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음량의 연동이 온(on)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량 설정 항목(212)을 선택하면, 전자 장치(1)는 전술한 도 2의 (b-1), 도 3의 (a) 또는 도 3의 (b)와 같이, 컨텐트에 대한 음량 및 기능들에 대한 음량들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할 수 있는 음량 조절 UI(220,310,32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4의 (b)와 같이, 전자 장치(1)가 컨텐트를 재생하는 동안에 알림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는 알림 메시지 표시 UI(예로, 패널, 팝업창 등)(421) 상에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예로, 알림 소리에 대한 음량 레벨)의 연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422) 또는 체크박스(미도시)를 포함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1)는 전자 장치(1)는 컨텐트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컨텐트 음량 조절 UI(예로, 패널, 팝업창 등)(423)에,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의 연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424) 또는 체크박스(미도시)를 포함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424) 또는 체크박스(미도시)는 알림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자동으로 컨텐트 음량 조절 UI(423)에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스위치(424) 또는 체크박스(미도시)는 알림 메시지의 수신 여부와 상관 없이 컨텐트 음량 조절 UI(423)가 표시될 때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스위치(424) 또는 체크박스(미도시)는 알림 메시지가 수신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컨텐트 음량 조절 UI(423)의 실행 시에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전술한 도 2의 (b-1) 및 (c-1)의 제1 음량 조절 UI(220)는 도 4의 음량의 연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음량 연동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이 활성화되었을 경우에만 표시될 수 있다. 예로, 음량 연동 항목(411)의 스위치(412), 알림 메시지 표시 UI(421)의 스위치(422) 또는 컨텐트 음량 조절 UI(423)의 스위치(424)가 온(on)된 상태에서, 전술한 도 2의 (a)에서 음량 설정 항목(212)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201)이 수행되면, 도 2에서, 전자 장치(1)는 컨텐트의 재생 중 여부에 따라 제1 음량 조절 UI(220) 및 제2 음량 조절 UI(230) 중에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음량 연동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조작하는 사용자의 명시적인 연동 허락 동작이 선행되는 경우에, 전자 장치(1)는 컨텐트의 재생 중 여부에 따라 가 제1 음량 조절 UI(220) 및 제2 음량 조절 UI(230) 중에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음량 연동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이고, 컨텐트가 재생 중이면, 전자 장치(1)는 도 2의 제1 음량 조절 UI(22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하고, 음량 연동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이고, 컨텐트가 재생 중이지 않으면, 전자 장치(1)는 도 2의 제2 음량 조절 UI(23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컨텐트의 재생 여부와 무관하게, 음량 연동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전자 장치(1)는 도 2의 제1 음량 조절 UI(22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하고, 음량 연동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전자 장치(1)는 도 2의 제2 음량 조절 UI(23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음량 연동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과 무관하게, 컨텐트가 재생 중이면, 전자 장치(1)는 도 2의 제1 음량 조절 UI(22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하고, 컨텐트가 재생 중이지 않으면, 전자 장치(1)는 도 2의 제2 음량 조절 UI(23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들에 대한 음량 레벨을 결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서, 전자 장치(1)의 프로세서(12)는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컨텐트의 출력 음량 값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먼저, 전자 장치(1)는 N 시간(예로, 1초 내지 10초 사이의 값) 동안 출력 중인 컨텐트의 출력 음량 값으로부터, 컨텐트의 등가 소리 레벨(equivalent sound level) 값인 Leq를 계산할 수 있다(501).
도 6은, 컨텐트의 등가 소리 레벨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컨텐트의 출력 음량 값(또는, 출력 음량의 세기, 출력 음량의 진폭)이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트의 출력 음량 값으로부터, N 시간(예로, 5sec)(601) 동안의 등가 소리 레벨 값인 Leq(602)가 계산될 수 있다. 등가 음압 레벨은, N 시간(601) 동안의 출력 음량 값의 평균 값, N 시간(601) 동안의 출력 음량 값을 적분한 값의 평균 값 또는 N 시간(601) 동안의 파워 평균 값이 될 수 있다. 또는, 평균 음압 레벨은, 전술한 평균 값에 웨이트(weight)가 반영된 값일 수도 있다.
다시 도 5에서, 등가 음압 레벨 값이 계산되면(501), 전자 장치(1)는 전자 장치(1)의 기능에 대한 이벤트(예로, 알림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502). 예로, 전자 장치(1)는 전화가 수신되거나,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또는 알람 시간에 도달함에 따라 발생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기능에 대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는 이벤트 감지 전의 N 시간 동안에 출력 중이던 컨텐트의 출력 음량 값으로 계산된 등가 소리 레벨 값을 획득할 수 있다(503). 또는, 기능에 대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는 N 시간 동안에 출력 중이던 컨텐트의 출력 음량 값을 획득하고, 이로부터 등가 소리 레벨 값을 계산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기능에 대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는 감지된 기능에 대한 이벤트의 소리 출력 유형(이하, 기능에 대한 소리 출력 유형)을 획득할 수 있다(503). 기능에 대한 소리 출력 유형은, 예로, 컨텐트 소리 일시 정지 유형, 컨텐트 소리 감소 유형, 컨텐트 소리 혼합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전자 장치(1)의 기능에 대한 소리 출력 유형들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의 710에서, 컨텐트 소리 일시 정지 유형은, 기능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컨텐트의 소리를 일시 정지하고, 일시 정지된 기간 동안에 기능에 대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컨텐트 소리 일시 정지 유형에 따라 출력되는 전자 장치(1)의 기능에 대한 소리는, 예로, 벨소리, 알림 소리, 알람 소리 또는 타이머 소리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720에서, 컨텐트 소리 감소 유형은, 기능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컨텐트의 소리를 감소시키고, 소리가 감소된 기간 동안에 이벤트에 대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컨텐트 소리 감소 유형에 따라 출력되는 전자 장치(1)의 기능에 대한 소리는, 예로, 메시지 또는 이메일 수신 시 발생되는 소리, 달력 이벤트 발생 시 발생되는 소리, TTS(text-to-speech) 소리, 빅스비 보이스 피드백 소리 또는 삼성 헬스 가이드 소리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730에서, 컨텐트 음량 혼합 유형은, 기능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컨텐트의 음량의 감소 없이 이벤트에 대한 음량을 출력할 수 있다. 컨텐트 소리 혼합 유형에 따라 출력되는 전자 장치(1)의 기능에 대한 소리는, 예로, 시스템 소리(예로, 카메라 셔터음 등)가 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전자 장치(1)의 기능에 대한 소리 출력 유형을 일 예에 불과하고, 컨텐트의 소리 및 기능에 대한 소리가 함께 출력되는 다양한 소리 출력 유형들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1)가 기능에 대한 음량으로서 진동 음량을 포함하는 경우, 전술한 기능에 대한 소리 출력 유형들을 진동이 발생되는 상황에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로, 전자 장치(1)는 컨텐트의 소리를 일시 정지하고, 일시 정지된 기간 동안에 전자 장치(1)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는 컨텐트의 소리를 감소시키고, 소리가 감소된 기간 동안에 전자 장치(1)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는 컨텐트의 음량의 감소 없이 전자 장치(1)를 진동시킬 수 있다.
다시 도 5에서, 등가 소리 레벨 값 및 이벤트의 소리 출력 유형이 획득되면(503), 전자 장치(1)는 등가 소리 레벨 값에 대응되는 기능에 대한 이벤트의 음량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504).
도 8은, 전자 장치(1)의 등가 소리 레벨 값에 대응하여 이벤트의 종류 별 출력되는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의 810은, 컨텐트의 등가 소리 레벨 값을 나타내고, 도 8의 820은 등가 소리 레벨 값에 대응되는 이벤트 종류 별 출력 음향 레벨을 나타낸다.
예로, 도 8의 830에서, 컨텐트의 등가 소리 레벨 값이 75dB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최대 레벨인 15레벨을 기준으로 문자, 이메일의 음향 레벨, 벨소리 음향 레벨, TTS 음향 레벨, 시스템 음향 레벨은 각각 7레벨, 6레벨, 9레벨 및 6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의 840에서, 컨텐트의 등가 소리 레벨 값이 45dB 이상 60dB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최대 레벨인 15레벨을 기준으로 문자, 이메일의 음향 레벨, 벨소리 음향 레벨, TTS 음향 레벨, 시스템 음향 레벨은 각각 5레벨, 4레벨, 7레벨 및 4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도 5에서, 등가 소리 레벨 값에 대응되는 이벤트의 출력 음향 레벨이 결정되면(504), 전자 장치(1)는 도 5의 동작 503에서 획득한 이벤트의 소리 출력 유형 및 결정된 음향 레벨에 기반하여, 이벤트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이벤트의 소리 출력 유형은, 동작 504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컨텐트가 재생 중에 이벤트의 소리가 출력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에서, 컨텐트를 재생 중에 기능에 대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는 컨텐트의 등가 음압 레벨에 기반하여, 이벤트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하여 컨텐트를 청취하는 동안에, 본 개시에 따라 전자 장치(1)는 알림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운동용 헤드셋을 이용하여 컨텐트를 청취하는 동안에, 본 개시에 따라 전자 장치(1)는 운동 음성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이 경우, 사용자는 컨텐트의 음량 레벨을 최대 레벨인 15레벨을 기준으로 10레벨로 설정한 상태일 수 있다. 도 9에서, 그래프(910)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컨텐트의 음량의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자 장치(1)에 기능에 대한 이벤트가 감지될 수 있다. 도 9에서, 제1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1)는 제1 이벤트가 감지되기 전의 일정 시간 t1(901) 동안에 출력된 컨텐트의 등가 음압 레벨을 계산하고, 계산된 등가 음압 레벨에 기반하여, 제1 이벤트의 음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는 일정 시간 t2(902) 동안에, 결정된 음량 레벨에 대응하는 소리의 크기(예로, 25dB)로 제1 이벤트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9에서, 제2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1)는 제2 이벤트가 수신되기 전의 일정 시간 t3(903) 동안에 출력된 컨텐트의 등가 음압 레벨을 계산하고, 계산된 등가 음압 레벨에 기반하여, 제2 이벤트의 음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는 일정 시간 t4(904) 동안 결정된 음량 레벨에 대응하는 소리의 크기(예로, 75dB)로 제1 이벤트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1)의 흐름도이다.
먼저, 전자 장치(1)는 음량 조절 UI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1001).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1001-Yes), 전자 장치(1)는 컨텐트가 재생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002).
컨텐트가 재생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1002-Yes), 전자 장치(1)는 제1 음량 조절 UI를 표시할 수 있다(1003). 이 경우, 전자 장치(1)는 제1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컨텐트에 대한 음량 조절자는 조작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표시하고, 기능에 대한 음량 조절자는 조작이 불가하도록 비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음량 조절 UI가 표시되는 동안에, 전자 장치(1)는 사용자의 제2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1004). 제2 입력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1004-Yes), 전자 장치(1)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할 수 있다(1005).
다양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1)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을 조정하고, 일정 시간 동안 조절된 음량 레벨로 출력되는 컨텐트의 출력 음량 값에 따라 전자 장치(1)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컨텐트의 출력 음량 값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조절된 음량 레벨로 출력되는 컨텐트의 등가 소리 레벨 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1)는 전자 장치(1)의 기능에 대한 소리 출력 유형에 기반하여,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전자 장치(1)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할 수 있다. 기능에 대한 소리 출력 유형은, 컨텐트의 소리를 일시 정지시키고 기능에 대한 소리를 출력하는 유형, 컨텐트의 소리를 감소시키고 기능에 대한 소리를 출력하는 유형, 컨텐트의 소리를 유지하면서 기능에 대한 소리를 출력하는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전자 장치(1)는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그래픽 및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 그래픽을 함께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002에서, 컨텐트가 재생 중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1002-No), 전자 장치(10)는 제2 음량 조절 UI를 표시할 수 있다(1006). 이 경우, 전자 장치(1)는 제2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컨텐트에 대한 음량 조절자 및 기능에 대한 음량 조절자 각각을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2 음량 조절 UI가 표시되는 동안에, 전자 장치(1)는 사용자의 제2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1007). 제2 입력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1007-Yes), 전자 장치(1)는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중 하나를 다른 하나와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1)는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제2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음량 조절자에 대응되는 음량 레벨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2000) 내의 전자 장치(2001)의 블럭도이다. 전자 장치(2001)는 도 1의 전자 장치(1)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2000)에서 전자 장치(2001)는 제 1 네트워크(20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20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4) 또는 서버(20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1)는 서버(2008)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1)는 프로세서(2020), 메모리(2030), 입력 장치(2050), 음향 출력 장치(2055), 표시 장치(2060), 오디오 모듈(2070), 센서 모듈(2076), 인터페이스(2077), 햅틱 모듈(2079), 카메라 모듈(2080), 전력 관리 모듈(2088), 배터리(2089), 통신 모듈(2090), 가입자 식별 모듈(2096), 또는 안테나 모듈(20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2060) 또는 카메라 모듈(20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20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20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0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0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2020)에 연결된 전자 장치(20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20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2076) 또는 통신 모듈(20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20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20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20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20)는 메인 프로세서(20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20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2023)은 메인 프로세서(20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2023)는 메인 프로세서(20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20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20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20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20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2021)와 함께, 전자 장치(20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2060), 센서 모듈(2076), 또는 통신 모듈(20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20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2080) 또는 통신 모듈(20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030)는, 전자 장치(20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020) 또는 센서모듈(20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0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30)는, 휘발성 메모리(20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20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2040)은 메모리(20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2042), 미들 웨어(2044) 또는 어플리케이션(20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50)는, 전자 장치(20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0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20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20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20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20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2060)는 전자 장치(20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20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20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0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2070)은, 입력 장치(20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2055), 또는 전자 장치(20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2076)은 전자 장치(20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0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77)는 전자 장치(20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20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20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20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20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20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20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0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088)은 전자 장치(20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2089)는 전자 장치(20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20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090)은 전자 장치(20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02), 전자 장치(2004), 또는 서버(13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2090)은 프로세서(20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090)은 무선 통신 모듈(20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20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20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20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092)은 가입자 식별 모듈(20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2098) 또는 제 2 네트워크(20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20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20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 11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20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20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2099)에 연결된 서버(2008)를 통해서 전자 장치(2001)와 외부의 전자 장치(20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2, 2004) 각각은 전자 장치(20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2002, 2004, 또는 20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20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20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1의 표시 장치(2060)의 블록도(2100)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2060)는 디스플레이(21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21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2130)는 인터페이스 모듈(2131), 메모리(21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2135), 또는 맵핑 모듈(21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2130)은,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2131)을 통해 전자 장치 1101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2020)(예: 메인 프로세서(20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20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20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2130)는 터치 회로(2150) 또는 센서 모듈(20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1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 또한, DDI(21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21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21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21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2137)은 이미지 처리 모듈(20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21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2060)는 터치 회로(2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2150)는 터치 센서(21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21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15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2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2153)는 디스플레이(21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153)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20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21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21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130), 또는 디스플레이(2110)의 일부로, 또는 표시 장치(20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20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2060)는 센서 모듈(20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20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2110) 또는 DDI(2130)) 또는 터치 회로(2150)의 일부에 임베디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20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20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21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 장치(20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20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21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2151) 또는 센서 모듈(2076)은 디스플레이(21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 전자 장치(20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2036) 또는 외장 메모리(20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0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 전자 장치(20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0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 전자 장치 101: 디스플레이부
102: 프로세서 103: 메모리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에 있어서,
    음량 조절 UI(User interface)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컨텐트의 재생 중 여부에 따라서 제1 음량 조절 UI 및 제2 음량 조절 UI 중에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음량 조절 UI 또는 상기 제2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컨텐트가 재생 중이면, 상기 제1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고,
    상기 컨텐트가 재생 중이지 않으면, 상기 제2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 중 하나를 다른 하나와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량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을 조절하는 동작; 및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조절된 음량 레벨로 출력되는 컨텐트의 출력 음량 값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조절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량 조절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의 출력 음량 값은,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조절된 음량 레벨로 출력되는 컨텐트의 등가 소리 레벨 값
    을 포함하는 음량 조절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소리 출력 유형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량 조절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에 대한 소리 출력 유형은,
    상기 컨텐트의 소리를 일시 정지시키고 상기 기능에 대한 소리를 출력하는 유형, 상기 컨텐트의 소리를 감소시키고 상기 기능에 대한 소리를 출력하는 유형 및 상기 컨텐트의 소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능에 대한 소리를 출력하는 유형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음량 조절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량 조절 UI 및 제2 음량 조절 UI 중에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음량 조절 UI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1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컨텐트에 대한 음량 조절자는 조작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표시하고, 기능에 대한 음량 조절자는 조작이 불가하도록 비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량 조절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량 조절 UI 및 제2 음량 조절 UI 중에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음량 조절 UI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2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컨텐트에 대한 음량 조절자 및 기능에 대한 음량 조절자 각각을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량 조절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신호가,
    상기 제1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음량 조절자를 이동시키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2 입력 신호인 경우,
    상기 음량 조절 방법은,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그래픽 및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 그래픽을 함께 변경하여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량 조절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신호가,
    상기 제2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음량 조절자를 이동시키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2 입력 신호인 경우,
    상기 음량 조절 방법은,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상기 음량 조절자에 대응되는 음량 레벨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량 조절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은,
    벨소리에 대한 음량 레벨, 알림 소리에 대한 음량 레벨, 알람 소리에 대한 음량 레벨, 시스템 소리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전자 장치의 진동 세기 레벨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음량 조절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음량 조절 UI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컨텐트의 재생 중 여부에 따라서 제1 음량 조절 UI 및 제2 음량 조절 UI 중에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컨텐트가 재생 중이면, 상기 제1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고,
    상기 컨텐트가 재생 중이지 않으면, 상기 제2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 중 하나를 다른 하나와 독립적으로 조절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를 포함하는 음량 조절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는 경우,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을 조절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조절된 음량 레벨로 출력되는 컨텐트의 출력 음량 값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의 출력 음량 값은,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조절된 음량 레벨로 출력되는 컨텐트의 등가 소리 레벨 값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소리 출력 유형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에 대한 소리 출력 유형은,
    상기 컨텐트의 소리를 일시 정지시키고 상기 기능에 대한 소리를 출력하는 유형, 상기 컨텐트의 소리를 감소시키고 상기 기능에 대한 소리를 출력하는 유형 및 상기 컨텐트의 소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능에 대한 소리를 출력하는 유형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음량 조절 UI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1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컨텐트에 대한 음량 조절자는 조작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표시하고, 기능에 대한 음량 조절자는 조작이 불가하도록 비활성화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음량 조절 UI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2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컨텐트에 대한 음량 조절자 및 기능에 대한 음량 조절자 각각을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음량 조절자를 이동시키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그래픽 및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 그래픽을 함께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음량 조절자를 이동시키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음량 조절 UI에 포함된 상기 음량 조절자에 대응되는 음량 레벨 그래픽을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음량 조절 UI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컨텐트의 재생 중 여부에 따라서 제1 음량 조절 UI 및 제2 음량 조절 UI 중에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컨텐트가 재생 중이면, 상기 제1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을 연동하여 함께 조절하고,
    상기 컨텐트가 재생 중이지 않으면, 상기 제2 음량 조절 UI를 통한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음량 레벨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한 음량 레벨 중 하나를 다른 하나와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동작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80081420A 2018-07-13 2018-07-1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KR102580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420A KR102580521B1 (ko) 2018-07-13 2018-07-1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EP19835022.5A EP3779668A4 (en) 2018-07-13 2019-07-12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VOLUME ADJUSTMENT METHOD
PCT/KR2019/008615 WO2020013647A1 (ko) 2018-07-13 2019-07-12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CN201980047002.7A CN112424744A (zh) 2018-07-13 2019-07-12 电子设备和电子设备的音量调节方法
US17/053,519 US11169769B2 (en) 2018-07-13 2019-07-12 Electronic device and volume adjustmen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420A KR102580521B1 (ko) 2018-07-13 2018-07-1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378A true KR20200007378A (ko) 2020-01-22
KR102580521B1 KR102580521B1 (ko) 2023-09-21

Family

ID=6914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420A KR102580521B1 (ko) 2018-07-13 2018-07-1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69769B2 (ko)
EP (1) EP3779668A4 (ko)
KR (1) KR102580521B1 (ko)
CN (1) CN112424744A (ko)
WO (1) WO20200136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606A1 (en) * 2020-07-28 2022-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3183B2 (en) * 2020-11-09 2022-12-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udio assistance during trick play operations
US20220222033A1 (en) * 2021-01-11 2022-07-14 Rovi Guides, Inc. Customized volume control in small screen media player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8198A (ja) * 2001-08-21 2003-02-28 Canon Inc 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44851A (ko) * 2004-06-23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더 조절 화면 제어 방법
KR101462021B1 (ko) * 2013-05-23 2014-11-18 하수호 음원 재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20140369525A1 (en) * 2013-06-17 2014-12-18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Volume adjusting method, volume adjus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6095379A (zh) * 2016-05-31 2016-11-0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音量调节方法及装置
KR20170124933A (ko) * 2016-05-03 2017-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6367A2 (en) 2002-10-15 2004-04-29 Wildseed, Ltd. A mobile digital communication/computing device having a context sensitive audio system
US8290603B1 (en) * 2004-06-05 2012-10-16 Sonos, Inc. User interfaces for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groupings in a multi-zone media system
KR100692182B1 (ko) 2005-04-12 2007-03-09 유니챌(주)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US20090143054A1 (en) 2006-08-28 2009-06-04 Peter Drescher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adjustment of ring volume based on perceived volume of digital audio playback
US8306235B2 (en) 2007-07-17 2012-11-06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sound sensor to adjust the audio output for a device
KR101581256B1 (ko) 2009-07-09 2016-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연결 기기의 음량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20103928A (ko) 2011-03-11 2012-09-20 이주원 '주변 소음의 측정값' 과 '사용자가 입력한 볼륨 범위' 를 고려한 자동 음량 조절 방법
US8971546B2 (en) * 2011-10-14 2015-03-03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control audio playback devices
US20130241918A1 (en) 2012-03-13 201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entralized application notifications
US8995687B2 (en) * 2012-08-01 2015-03-31 Sonos, Inc. Volume interactions for connected playback devices
CN104243671B (zh) * 2013-06-17 2018-07-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音量调节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9438194B2 (en) 2014-05-29 2016-09-06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apting a user volume input range on an electronic device
KR101580300B1 (ko) 2014-12-29 2015-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76357A (ko)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이의 스피커 장치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모드 전환 방법 및 음향 시스템
US9898245B1 (en) * 2016-01-15 2018-02-20 Sonos, Inc. System limits based on known triggers
CA2924443A1 (en) * 2016-02-11 2017-08-11 Stephanie England Audio transmitter and receiver
US9826306B2 (en) * 2016-02-22 2017-11-21 Sonos, Inc. Default playback device designation
TWI635482B (zh) * 2017-03-20 2018-09-11 李宗盛 Instant editing multi-track electronic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US10475449B2 (en) * 2017-08-07 2019-11-12 Sonos, Inc. Wake-word detection suppression
US10048930B1 (en) * 2017-09-08 2018-08-14 Sonos, Inc. Dynamic computation of system response volume
US10482868B2 (en) * 2017-09-28 2019-11-19 Sonos, Inc. Multi-channel acoustic echo cancellation
US10917687B2 (en) * 2017-12-13 2021-02-09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caption information based on volume setting adjustments
US10623844B2 (en) * 2018-03-29 2020-04-14 Sonos, Inc. Headphone interaction with media playback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8198A (ja) * 2001-08-21 2003-02-28 Canon Inc 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44851A (ko) * 2004-06-23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더 조절 화면 제어 방법
KR101462021B1 (ko) * 2013-05-23 2014-11-18 하수호 음원 재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20140369525A1 (en) * 2013-06-17 2014-12-18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Volume adjusting method, volume adjus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124933A (ko) * 2016-05-03 2017-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N106095379A (zh) * 2016-05-31 2016-11-0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音量调节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606A1 (en) * 2020-07-28 2022-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thereof
US11900015B2 (en) 2020-07-28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79668A4 (en) 2021-06-16
KR102580521B1 (ko) 2023-09-21
US20210240434A1 (en) 2021-08-05
WO2020013647A1 (ko) 2020-01-16
CN112424744A (zh) 2021-02-26
US11169769B2 (en) 2021-11-09
EP3779668A1 (en)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894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US1140572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by application through earphones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CN111295871B (zh) 根据外部附件的连接控制麦克风的设备和方法
US11169769B2 (en) Electronic device and volume adjustmen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2489505B1 (ko) 장치 정보 또는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 값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53096A (ko) 프리뷰를 제공하는 방법 및 프리뷰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US202303433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high speed screen of electronic device
KR102508286B1 (ko) 가상 현실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101659A (ko)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되는 콘텐트의 저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26817B1 (ko) 콘텐츠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9010182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
KR102511720B1 (ko) 360 비디오에서 화자의 음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107901A (ko)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527080B1 (ko)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6306B1 (ko) 스피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68678B1 (ko)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29770B1 (ko) 푸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62204B1 (ko)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2393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539578B1 (ko)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매핑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101687A (ko) 오디오 출력 전환 방법 및 장치
KR20190108364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40422B1 (ko) 컨텐츠 캐스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0487400Y1 (ko) 스마트 단말 출력 제어 기능을 갖는 보조배터리 및 스마트 단말 출력 제어시스템
KR10262941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