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182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182B1
KR100692182B1 KR1020050030138A KR20050030138A KR100692182B1 KR 100692182 B1 KR100692182 B1 KR 100692182B1 KR 1020050030138 A KR1020050030138 A KR 1020050030138A KR 20050030138 A KR20050030138 A KR 20050030138A KR 100692182 B1 KR100692182 B1 KR 100692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ound
media data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047A (ko
Inventor
안종길
Original Assignee
유니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챌(주) filed Critical 유니챌(주)
Priority to KR1020050030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182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방송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아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 문자 및 음성이 착신되었을 경우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을 유지하면서 착신된 문자 호를 LCD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착신된 음성 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에도 상영의 중단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래의 문자 및 음성 호를 정상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이 시간과 공간의 제한없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착신된 문자 및 음성 호의 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폰, 영상 처리부, 사운드 처리부, 미디어, 문자 호, 음성 호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Systerm for additional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통신망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신된 음성 호 착신 통보 및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신된 문자 호 착신 통보 및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삭제
*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기지국
120 : 기지국 제어기 130 : 교환국
140 : SMS 150 : 인터넷 망
210 : LCD 표시부 220 : 영상 처리부
230 : 제어부 231 : 입출력 제어부
232 : 공통 제어부 233 : 회선 제어부
240 : 키패드 250 :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
260 : 사운드 처리부 261 : 사운드 합성부
262 : 제 1 음량 조절부 263 : 제 2 음량 조절부
270 : 스피커 280: 마이크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방송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아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 문자 및 음성이 착신 되었을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을 유지하면서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이를 사용자가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송 통신서비스의 발전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술진보로 인하여 이동 통신망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는 기술의 발전과 수요의 다양화에 따라 망과 서비스, 단말기의 구분이 점차 사라져서 산업의 구조는 물론, 제도적으로도 통합되어가고 있으며,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수요를 하나의 단말기로 통합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영역 안에서 언제, 어디서나 즉시 상대방과 연결하여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이동 통신 서비스영역을 형성하는 기지국(110); 상기 기지국(110)에 접속하여 접속된 링크를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기지국 제어기(120);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호 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SWITCHING)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이동통신 시스템 전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이동 교환국(130)으로 이루어진 이동 통신망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상영, MP3(MPEG AUDIO LAYER 3) 플레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TING) 방송 수신이 가능한 복합 기능의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멀티 미디어 상영, MP3 플레이 또는, DMB 방송 수신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 이외의 기능으로 이동 통신망 시스템으로부터 음성 착신 호 및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S)를 받거나, 또는 전자 우편 등의 무선 데이터 호를 인터넷 망(150)을 통하여 서로 교환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기존의 사용 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을 중단하고 문자 및 음성 착신 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에도 착신되는 문자 및 음성 호를 통보하여 처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LCD 표시부, 키패드, 스피커, 마이크를 구비하여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편집 및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사운드 처리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 처리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외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DMB 방송 프로그램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편집하고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사운드 처리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에 의해서 출력 중인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와 착신된 음성 호의 음량이 합성되는 사운드 합성부와;
상기 사운드 합성부에서 출력 중인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의 음량이 조절되는 제 1 음량 조절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된 음성 호의 음량이 조절되는 제 2 음량 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에 의해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 중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의 음량이 조절되는 제 1 음량 조절부가 착신된 음성 호의 음량이 조절되는 제 2 음량 조절부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음량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에 의해 영상 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 문자 호가 착신되어 영상 미디어 데이터의 상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영 중인 영상 미디어 데이터에 비하여 문자의 위치와 크기가 작은 영역으로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LCD 표시부, 키패드, 스피커, 마이크,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 상기 사운드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제어하는 공통 제어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문자,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등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영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출력 중 음성 호를 착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벨모드인지 램프 및 진동모드인지판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램프 및 진동모드인 경우 상기 음성 호 알림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벨모드인 경우 사운드 합성부에서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가 출력 중인지를 확인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사운드 합성부에서 출력 중인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와 착신된 음성 호를 합성하여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림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림 설정이 메시지 알림인 경우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미디어 데이터가 상영 중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상영 중인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알림 설정에 설정되어 있는 음성 호의 메시지를 합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합성된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알림 설정에 설정되어 있는 음성 호의 메시지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호 착신을 응답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호 착신 응답 후 합성된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와 합성된 음성이 출력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음성 호의 메시지를 통보하는 단계 후에 음성 호 착신응답이 일정시간 내에 없을 경우에는 착신 호 알림을 제거하고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영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출력 중 문자 호를 착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벨모드인지 램프 및 진동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램프 및 진동모드인 경우 문자 호 알림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벨모드인 경우 사운드 합성부에서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가 출력 중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사운드 합성부에서 출력 중인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와 착신된 문자 호의 알림 설정 사운드를 합성하여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림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림 설정이 메시지 알림인 경우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미디어 데이터가 상영 중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상영 중인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문자 호를 합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합성된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문자 호를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호 착신 확인 후 합성된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합성된 문자가 상영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특징에 의하면, 상기 문자 호를 통보하는 단계 후 문자 호 착신확인이 일정시간 내에 없을 경우에는 착신 호 알림을 제거하고, 영상 미디어 데이터를 상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LCD 표시부(210)와, 키패드(240)와 스피커(270), 마이크(280) 등의 입, 출력장치로 이루어지고, 영상 처리부(220), 제어부(230),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250), 사운드 처리부(260)로 구성되며, 상기 사운드 처리부(260)는 사운드 합성부(261)와 제 1 음량 조절부(262)와 제 2 음량 조절부(263)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LCD 표시부(2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문자, 그림, 영상 미디어 데이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상태 등을 표시한다.
삭제
상기 키패드(240)는 사용자가 명령어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270)는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를 음향으로 표현한다.
상기 마이크(280)은 사용자의 음성이나 소리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25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음성, 문자, 영상, 음향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DMB 방송 프로그램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편집하고 재생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입력 및 출력 장치로서, 상기 LCD 표시부(210), 상기 키패드(240), 상기 스피커(270), 상기 마이크(280),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250), 상기 사운드 처리부(260), 상기 영상 처리부(220)등을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부(231)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제어하는 공통 제어부(232)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음성, 문자,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등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부(233)로 구성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260)는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250)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외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DMB 방송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 음성 호가 착신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착신알림 모드가 벨모드 설정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230)에 의해 상기 사운드 합성부(230)에서 출력 중인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와 착신 호의 음량이 합성되고, 상기 제어부(230)에 의해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의 음량이 조절되는 제 1 음량 조절부(262)가, 착신된 음성 호의 음량이 조절되는 제 2 음량 조절부(263)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음량으로 조절되어 나타낸다.
상기 영상 처리부(220)는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250)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외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DMB 방송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 문자 호가 착신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알림 설정이 메시지 알림인 경우 상기 제어부(230)에 의해 착신된 문자를 영상 처리부(220)에서 영상 미디어데이터의 상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영 중인 영상 미디어 데이터에 비하여 문자의 위치와 크기가 작은 영역으로 합성되어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의 음성 호 착신에 대한 통보 및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의 음자 호 착신에 대한 통보 및 처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외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DMB 방송의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를 상영하는 단계(S1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출력 중 음성 호를 착신하는 단계와;(S1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벨모드인지 램프 및 진동모드인지판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램프 및 진동모드인 경우 상기 음성 호 알림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S12)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벨모드인 경우 사운드 합성부에서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가 출력 중인지를 확인 단계(S13)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사운드 합성부에서 출력 중인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와 착신된 음성 호를 합성하여 처리하는 단계(S14)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림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S15)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림 설정이 메시지 알림인 경우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미디어 데이터가 상영 중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16)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상영 중인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알림 설정에 설정되어 있는 음성 호의 메시지를 합성하는 단계(S17)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합성된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알림 설정에 설정되어 있는 음성 호의 메시지를 통보하는 단계(S18)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호 착신을 응답하는 단계(S19); 및
상기 음성 호 착신 응답 후 합성된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와 합성된 음성이 출력되는 단계(S2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된 음성 호에 대한 응답이 일정시간 내에 없을 경우 착신 호 알림을 제거하고 상영 중인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21)를 더 포함하고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상세한 동작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외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DMB 방송의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250)에 의해 LCD 표시부(210) 및 스피커(270)로 출력(S10)중 음성 호가 착신(S11)되었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230)에 의해 착신 알림모드가 벨모드인지 램프 및 진동모드인지를 판단 후 착신 알림모드가 램프 및 진동모드인 경우 알림 설정을 확인(S12)하고, 벨모드인 경우 제어부(230)에 의해 사운드 처리부(260)에서 제 1 음량 조절부(262)와 제 2 음량 조절부(263)의 음량 조절로 출력 중인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S13)를 음성 통화음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음량으로 스피커(270)로 보내어져 나타낸다(S14).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알림 설정이 메시지 알림(S15)인 경우 제어부(230)에 의해 영상 처리부(220)에서 착신된 문자를 영상 미디어 데이터의 상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영 중인 영상 미디어 데이터(S16)보다 문자의 위치와 크기가 작은 영역으로 LCD 표시부(210)에 보내어져 나타낸다(S17).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인 벨모드 및 램프 및 진동모드와 독립된 알림 설정으로써 제어부(230)에 의해 음성 호 착신 알림을 나타낸다(S18).
그에 따라 사용자가 착신된 음성 호에 대해 응답(S19)을 한 후 사운드 미디어를 음성 통화음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음량으로 청취하면서 음성통화를 하게 된다(S20).
한편, 사용자가 일정 시간 내에 착신된 음성 호에 대해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착신 호 알림이 사라지고 통화 요청에 의한 부재중 통화 메시지를 표시하며, 사용자는 계속해서 사운드 미디어를 듣게 된다(S21).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의 문자 호 착신에 대한 통보 및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의 문자 호 착신에 대한 통보 및 처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외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DMB 방송의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3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출력 중 문자 호를 착신하는 단계(S31)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벨모드인지 램프 및 진동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램프 및 진동모드인 경우 문자 호 알림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S32)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벨모드인 경우 사운드 합성부에서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가 출력중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33)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사운드 합성부에서 출력 중인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와 착신된 문자 호의 알림 설정 사운드를 합성하여 통보하는 단계(S34)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림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S35)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림 설정이 메시지 알림인 경우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미디어 데이터가 상영 중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36)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상영 중인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문자 호를 합성하는 단계(S37)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합성된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문자 호를 통보하는 단계(S38); 및
상기 문자 호 착신 확인 후 합성된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합성된 문자가 출력되는 단계(S39)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된 문자 호에 대한 확인이 일정시간 내에 없을 경우 착신 호 알림을 제거하고 상영 중인 영상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S40).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상세한 동작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외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DMB 방송의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S30) 중 문자 호가 착신(S31)되었을 경우 제어부(230)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착신 알림모드가 벨모드인지 램프 및 진동모드인지를 판단 후 착신 알림모드가 램프 및 진동모드인 경우 알림 설정을 확인하고(S32), 벨모드인 경우 제어부(230)에 의해 사운드 조절부의 제 1 음량 조절부(262)와 제 2 음량 조절부(263)의 음량 조절로 출력중인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S33)가 음성 통화음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음량으로 스피커(270)로 보내어져 나타낸다(S34).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알림 설정이 메시지 알림(S35)인 경우 제어부(230)에 의해 영상 처리부(220)에서 착신된 문자를 영상 미디어 데이터의 상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영 중인 영상 미디어 데이터(S36)에 비하여 문자의 위치와 크기가 작은 영역으로 합성(S37)하여 LCD 표시부(210)에 보내어져 나타낸다(S38).
그에 따라 사용자가 착신된 문자 호에 대해 영상 미디어 데이터의 상영에 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영 중인 영상 미디어 데이터에 비하여 문자의 위치와 크기를 적은 영역으로 내용을 확인한다(S39).
한편, 사용자가 일정시간 내에 착신된 문자 호에 대해 확인이 없을 경우에는 착신 호 알림이 사라지고 사용자는 계속해서 영상 미디어를 상영한다(S40).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에도 상영의 중단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래의 문자 및 음성 호를 정상적으로 처리함으로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영의 기능을 시간과 공간적 제한 없이 만족하면서 동시에 착신된 문자 및 음성 호의 처리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LCD 표시부, 키패드, 스피커, 마이크를 구비하여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외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DMB 방송 프로그램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편집 및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과;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에 의해서 출력 중인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와 착신된 음성 호의 음량이 합성되는 사운드 합성부와, 상기 사운드 합성부에서 출력중인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의 음량이 조절되는 제 1 음량 조절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된 음성 호의 음량이 조절되는 제 2 음량 조절부로 이루어져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사운드 처리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처리 및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에 의한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할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운드 미디어의 음량이 조절되는 상기 제 1 음량 조절부가 착신된 음성 호의 음량이 조절되는 상기 제 2 음량 조절부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음량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에 의해 영상 미디어 데이터 상영 중 문자 호가 착신되어 영상 미디어 데이터의 상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영 중인 영상 미디어 데이터에 비하여 문자의 위치와 크기가 작은 영역으로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LCD 표시부, 키패드, 스피커, 마이크,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 상기 사운드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제어하는 공통 제어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문자,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등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7.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영하는 단계(S1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 중 음성 호를 착신하는 단계(S11)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벨모드인지 램프 및 진동모드인지판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램프 및 진동모드인 경우 상기 음성 호 알림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S12)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벨모드인 경우 사운드 합성부에서 사운드 미디어가 출력중인지를 확인 단계(S13)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사운드 합성부에서 출력 중인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와 착신된 음성 호를 합성하여 처리하는 단계(S14)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림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S15)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림 설정이 메시지 알림인 경우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미디어 데이터가 상영 중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16)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상영 중인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알림 설정에 설정되어 있는 음성 호의 메시지를 합성하는 단계(S17)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합성된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알림 설정에 설정되어 있는 음성 호의 메시지를 통보하는 단계(S18)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호 착신을 응답하는 단계(S19); 및
    상기 음성 호 착신 응답 후 합성된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와 합성된 음성이 출력되는 단계(S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처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S18)단계에서 음성 호의 메시지를 통보하여 음성 호 착신응답이 일정시간 내에 없을 경우에는, 착신 호 알림을 제거하고,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처리 방법.
  9.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영하는 단계(S3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및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 출력 중 문자 호를 착신하는 단계(S31)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벨모드인지 램프 및 진동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램프 및 진동모드인 경우 문자 호 알림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S32)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림모드가 벨모드인 경우 사운드 합성부에서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가 출력 중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33)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사운드 합성부에서 출력중인 사운드 미디어 데이터와 착신된 문자 호의 알림 설정 사운드를 합성하여 통보하는 단계(S34)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림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S35)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림 설정이 메시지 알림인 경우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미디어가 상영 중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36)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상영 중인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문자 호를 합성하는 단계(S37)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합성된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문자 호를 통보하는 단계(S38); 및
    상기 문자 호 착신 확인 후 합성된 영상 미디어 데이터와 합성된 문자가 상영되는 단계(S3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처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S38)단계에서 문자 호를 통보하여 문자 호 착신확인이 일정시간 내에 없을 경우에는, 착신 호 알림을 제거하고, 영상 미디어 데이터를 상영하는 단계(S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처리 방법.
KR1020050030138A 2005-04-12 2005-04-12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0692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138A KR100692182B1 (ko) 2005-04-12 2005-04-12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138A KR100692182B1 (ko) 2005-04-12 2005-04-12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047A KR20060108047A (ko) 2006-10-17
KR100692182B1 true KR100692182B1 (ko) 2007-03-09

Family

ID=3762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138A KR100692182B1 (ko) 2005-04-12 2005-04-12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1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647A1 (ko) * 2018-07-13 2020-0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US11579836B2 (en) 2020-02-19 202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443A (ko) * 1993-06-25 1995-01-04 배순훈 무선전화통화시 텔레비젼의 음성뮤트회로
KR20010048820A (ko) * 1999-11-29 2001-06-15 윤종용 티브이시청중에 통화하는 티브이폰 및 그 방법
KR20050001247A (ko) * 2003-06-27 200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및방법
KR20050010550A (ko) * 2003-07-21 2005-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단말에서 음성통화시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50067865A (ko)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통화와 함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이 가능한 이동 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443A (ko) * 1993-06-25 1995-01-04 배순훈 무선전화통화시 텔레비젼의 음성뮤트회로
KR20010048820A (ko) * 1999-11-29 2001-06-15 윤종용 티브이시청중에 통화하는 티브이폰 및 그 방법
KR20050001247A (ko) * 2003-06-27 200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및방법
KR20050010550A (ko) * 2003-07-21 2005-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단말에서 음성통화시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50067865A (ko)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통화와 함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이 가능한 이동 통신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647A1 (ko) * 2018-07-13 2020-0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US11169769B2 (en) 2018-07-13 2021-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volume adjustmen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1579836B2 (en) 2020-02-19 202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047A (ko) 200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919B1 (ko) 휴대단말장치
US7697947B2 (en) Method of combining audio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5494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 on-screen imag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upon connection of earphone
US8285260B2 (en) Mobile terminal and multimedia mess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0700247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output volume of audio signal to prevent acoustic shock in mobile terminal
EP1532813B1 (en) Ancillary information transmission while user is on hold during a telecommunications device teleconference
KR1006921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080037984A (ko) 통신 연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00559805C (zh) 便携式通信终端与用于该终端的消息输出方法
KR1005730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40165553A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voice outputs and voice processing method for voice switching-based concurrent service provision
KR20030041359A (ko) 이동단말기로의 멀티미디어 통화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30037091A (ko)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050067865A (ko) 통화와 함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이 가능한 이동 통신단말기
KR100698643B1 (ko) 이종(異種)음 동시 출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이종음 동시 출력방법
JPH10190780A (ja) 呼出報知装置
JP4503365B2 (ja) 携帯電話機
KR100604522B1 (ko) 단문 메세지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3378B1 (ko) Vod 동영상 콘텐츠를 벨소리 및 대기화면으로 설정하는이동통신단말기,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10075457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동영상표시방법
US2001005598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7004550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및 그 휴대용단말기
KR10134979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EP1835643A1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first and second digital broadcast data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0762661B1 (ko) 휴대 단말기를 통한 학습기능 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