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247A -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247A
KR20050001247A KR1020030042828A KR20030042828A KR20050001247A KR 20050001247 A KR20050001247 A KR 20050001247A KR 1020030042828 A KR1020030042828 A KR 1020030042828A KR 20030042828 A KR20030042828 A KR 20030042828A KR 20050001247 A KR20050001247 A KR 20050001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communication
outpu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9722B1 (ko
Inventor
김은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2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722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화상통신 신호를 동시 출력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에서 입출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입출력하는 음성처리부; 휴대단말기에서 입출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라우드 레벨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라우드처리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신호와 화상통신 신호를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음성처리부와 라우드처리부와 영상처리부에 접속하고 해당 신호를 입출력하며 휴대단말기 전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와 접속하고 기저대역 입력신호는 고주파 신호로 상향변조하며 고주파 입력신호는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조하여 각각 출력하는 고주파부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로 다운로드된 동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 이어폰을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준비과정; 상기 과정에서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표시부 전체에 동영상을 표시하고 라우드처리부로 동영상 소리를 출력하며 화상통신을 하는지 판단하는 동영상과정;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화상통신하는 경우, 이어폰을 사용하여 통신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를 표시부의 반쪽에 각각 표시하고, 라우드스피커에 화상통신 소리신호를 이어폰에 동영상 소리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동시출력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OUTPUT SIMULTANEOUSLY RECORDED VIDEO SIGNAL WITH COMMUNICATING VIDEO SIGNAL FOR MOBILE PORTABLE PHON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화상통신하는 것으로, 특히, 동영상 신호를 재생 출력하는 상태에서 화상통신 신호를 구분하여 각각 동시 출력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 등록된 것으로, 해당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즉시 통신하는 편리성이 있으며, 초기의 음성(VOICE)급 신호를 이용한 통신방식에서, 문자와 기호를 이용하는 데이터(DATA)급 통신방식으로 발전하고, 현재는 영상(IMAGE)이 더 포함되는 멀티미디어(MULTI-MEDIA)급 통신방식이 차세대(3GPP) 통신방식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신에 이용하는 시간은, 실제 얼마 되지 않으며, 통신을 위한 대기(STANDBY) 상태로 휴대하는 시간이 거의 대부분이므로, 활용도가 매우 낮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 휴대단말기에 다양한 부가서비스 기능을 추가 구비하고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부가서비스는, 일 예로, 메모 기능, 계산기 기능, 전화번호부 관리 기능, 메시지 작성 기능, 대금결재 기능, 리모콘 기능 등과 동영상 신호를 다운로드(DOWNLOAD) 받아 저장하고 재생하는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도, 상기 휴대단말기는 통신을 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대방이 호출하는 경우, 신속하게 응답하고 통신을 진행하여야 한다.
특히, 상기 휴대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중에 하나인 동영상 감상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다운로드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태에서, 피호출에 의한 화상통신이 진행되는 경우, 진행 중인 동영상 재생을 중지하고, 화상통신을 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출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출력장치 기능 구성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출력장치는,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필요한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것으로, 마이크(MICROPHONE)와 스피커(SPEAKER)로 이루어지는 송수화부(10)와; 상기 송수화부(10)와 접속하고 송수신되는 음성급 신호를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전송하는 음성부(20)와;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표시하며, 데이터급 신호를 입력하여 각종 문자와 기호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엘시디(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지는 표시부(30)와; 상기 표시부(30)와 접속하고 영상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영상부(40)와; 상기 음성부(20)와 접속하여 음성급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영상부(40)와 접속하여 영상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부 동작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50)와 접속하고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와 데이터급 신호와 영상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동시에, 고주파 신호로 수신되는 음성급과 데이터급과 영상신호는 상기 제어부에(50) 출력하는 고주파부(60)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출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는 음성급 통신과 데이터급 통신과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급 통신을 선택적으로 하는 것으로, 음성급 통신을 하는 경우는 상기 송수화부(10)를 통하여 음성급 신호가 입출력된다.
일 예로, 음성급 신호가 상기 송수화부(10)에 입력되면 음성부(20)에 인가되어 적정한 레벨로 조정되고, 상기 신호는 제어부(50)에 인가되어 암호화 및 해당 처리를 통하여 고주파부(60)에 인가되며, 상기 고주파부(60)에서는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의 음성급 신호를 해당 고주파 신호로 상향변조하여 무선출력하다.
상기 고주파부(60)에서 무선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하향변조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상기 제어부(50)에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5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호화하는 동시에 해당 처리를 통하여 음성부(20)에 인가하고, 상기 음성부(20)는 적정한 레벨로 변환하여 상기 송수화부(10)에 인가하므로 해당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들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이나 화상통신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고주파부(60)에서 멀티미디어 고주파(RF) 신호를 수신하고, 하향변조(DOWN CONVERTING)하여 기저대역(BASE BAND) 신호로 변환된 동영상 또는 화상통신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50)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50)는 기저대역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인가 받고 분석하여 음성급 신호와 영상신호로 분리하며, 상기 음성급 신호는 음성부(20)에 출력하고, 동영상 또는 화상통신에 의한 영상신호는 영상부(40)에 출력한다.
상기 음성부(20)는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레벨 조정 등의 처리를 통하여 적정한 레벨의 음성급 신호가 되도록 하고, 상기 송수화부(10)를 통하여 출력하며, 상기 영상부(4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해당 처리를 통하여 표시부(30)에 출력하므로 동영상 또는 화상통신 신호가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는 음성급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데이터급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하여 동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는 동영상 신호만을 출력하여야 하고, 화상통신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는 영상신호를 출력하여야 하는 것으로, 동영상신호와 화상통신 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음성급 신호 출력 경로로, 착신벨 신호 등이 출력되는 라우드부와 음성신호를 입출력하는 음성부를 구비하고,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태에서 화상통신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입출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입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휴대단말기에서 입출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라우드 레벨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라우드처리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신호와 화상통신 신호를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와 라우드처리부와 영상처리부에 접속하고 해당 신호를 입출력하며 휴대단말기 전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하고 기저대역 입력신호는 고주파 신호로 상향변조하며 고주파 입력신호는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조하여 각각 출력하는 고주파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 다운로드된 동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 이어폰을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준비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표시부 전체에 동영상을 표시하고 라우드처리부로 동영상 소리를 출력하며 화상통신을 하는지 판단하는 동영상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화상통신하는 경우, 이어폰을 사용하여 통신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를 표시부의 반쪽에 각각 표시하고, 라우드스피커에 화상통신 소리신호를 이어폰에 동영상 소리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동시출력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 은 종래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출력장치 기능 구성도,
도2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기능 구성도,
도3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음성처리부 110 : 이어폰 120 : 송수화갑
130 : 음성부 200 : 라우드처리부 210 : 라우드스피커
220 : 라우드부 300 : 영상처리부 310 : 표시부
320 : 영상부 400 : 제어부 500 : 고주파부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는,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에서 입출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적정한 레벨(LEVEL)로 조정하여 입출력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어부(400)와 접속하고 입출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적정 통신레벨로 조정하여 송수신하는 음성부(130); 상기 음성부(130)와 접속하고 통신레벨의 음성급 신호를 귀에 밀착 상태로 듣도록 출력하는 이어폰(110); 상기 음성부(130)와 접속하고 통신레벨의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MICROPHONE)와 상기 음성급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로 형성되는 송수화갑(120)으로 이루어지는 음성처리부(100)와,
상기 휴대단말기(MS)에서 입출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라우드(LOUD) 레벨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제어부(400)와 접속하여 인가되는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며 라우드 레벨(LOUD LEVEL)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라우드부(220); 상기 라우드부(220)와 접속되고 인가되는 라우드 레벨의 음성급 신호를 출력하는 라우드스피커(LOUD SPEAKER)로 이루어지는 라우드처리부(200)와,
상기 휴대단말기(MS)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신호와 화상통신 신호를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제어부(400)와 접속되고 입력되는 동영상 신호와 화상통신 신호를 분석처리하며, 제어신호에 의하여 표시부(310) 전체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표시부(310)의 반쪽을 할당하여 각각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부(320); 상기 영상부(32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310)로이루어지는 영상처리부(300)와,
상기 음성처리부(100)와 라우드처리부(200)와 영상처리부(300)에 접속하고 해당 신호를 입출력하며 휴대단말기(MS) 전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제어하면서, 상기 음성처리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변조(MODULATION)하여 고주파부(500)에 출력하고, 고주파부(500)로부터 입력되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고 분석하여 음성급 신호를 음성처리부(100)와 라우드처리부(200)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며, 화상통신 신호를 영상처리부(300)에 출력하는 동시에 다운로드(DOWNLOAD)된 동영상 신호를 기록저장하고 영상처리부(300)에 출력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와 접속하고 기저대역(BASE BAND) 입력신호는 고주파(RF) 신호로 상향변조(UP-CONVERTING)하며 고주파 입력신호는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조(DOWN-CONVERTING)하여 각각 출력하는 고주파부(50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고주파부(50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문자에 의한 데이터급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영상처리부(300)에 출력하고, 동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처리부(300)에 출력하는 동시에 화상통신 신호를 출력하거나, 출력중인 동영상신호를 일시 정지하고 화상통신 신호를 출력하며, 동영상의 소리신호를 상기 음성처리부(100)와 라우드처리부(200)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동시에 화상통신의 소리신호를 상기 음성처리부(100)와 라우드처리부(200)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동영상 신호를 다운로드(DOWNLOAD) 받아 해당 저장부에 기록저장하였다가 재생을 통하여 감상할 수 있으며, 상대방과 화상통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동영상을 재생하여 감상하면서 상대방과 화상통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400)는 고주파부(500)를 통하여 다운로드된 동영상 신호를 자체적으로 구비되고 할당된 저장영역에 기록하여 저장하며, 상기와 같이 저장된 동영상 신호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 신호의 영상신호 부분을 상기 영상처리부(300)의 영상부(320)에 인가하여 표시부(310) 전체에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음성급 소리 신호는 음성처리부(100)의 이어폰(110) 또는 라우드처리부(200)의 라우드스피커(210) 중에서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음성신호의 출력경로를 선택하는 기준은, 탈부착 방식 이어폰(EARPHONE)(110)을 사용하는지 아닌지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400)가 음성처리부(100)의 이어폰(110)을 감시하여 부착되어 사용하는 경우, 동영상의 음성급 소리 신호를 음성처리부(100)로 출력하므로 이어폰(110)으로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이어폰(110)이 탈착되어 사용되지 않는 경우는 동영상의 음성급 소리 신호를 라우드처리부(200)에 출력하여, 라우드부(220)에 의하여 라우드 레벨로 증폭된 후, 라우드스피커(210)로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동영상 신호를 재생하여 감상하는 도중에 화상통신을 하는 경우, 두 가지의 경우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동영상의 소리 신호를 이어폰(110)으로 듣는 경우와 이어폰(110)을 사용하지 않고 라우드스피커(210)로 듣는 경우가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동영상의 소리신호를 이어폰(110)을 통하여 듣는 중에, 화상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해당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처리부(300)에 출력하므로, 상기 영상부(320)는 표시부(310)의 반쪽에 정지된 동영상을 표시하고, 나머지 반쪽에 화상통신 신호를 표시한다.
상기 동영상과 화상통신의 음성급 소리 신호 경우, 상기 동영상이 정지상태 이므로, 소리신호가 발생하지 않고, 화상통신의 소리 신호는 음성처리부(100)의 이어폰(110)을 통하여 출력된다.
즉, 동영상 재생은 정지되고, 표시부(310)의 반쪽을 통하여 화상통신의 이미지(IMAGE)가 표시되고, 상기 화상통신의 음성급 소리신호는 사용하고 있던 이어폰(110)을 통하여 들으며, 송신되는 음성급 신호는 송수화갑(120)의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부(130)에서 적정 레벨로 조정되고 제어부(400)에 인가되어 변조되며 고주파부(500)에 의하여 상향변조되어 무선송신된다.
다른 실시 예로, 동영상을 재생하여 감상하고, 이어폰(11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해당 제어를 하므로, 영상처리부(300)의 표시부(310)를 통하여 동영상을 표시하고, 음성급 소리신호는 라우드처리부(200)에 출력하므로, 라우드부(220)에서 라우드 레벨로 증폭하고 라우드스피커(210)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라우드스피커(210)를 통하여 동영상 소리 신호를 감상하는 상태에서, 화상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이어폰(110)을 사용하는지 판단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부(310)의 반쪽에 재생 중이던 동영상 신호를 정지상태로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신호의 소리를 재생하던 라우드부(200)를 통하여 화상통신 신호의 소리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며, 음성처리부(100)의 송수화갑(120)에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급 소리 신호를 입력한다.
또한, 상기 라우드스피커(210)를 통하여 동영상 소리 신호를 감상하는 상태에서, 화상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이어폰(110)을 사용하는지 판단하고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 표시부(310)의 반쪽을 이용하여 동영상 신호를 계속 출력하는 동시에 나머지 반쪽을 통하여 화상통신 신호를 표시한다.
음성급 소리 신호의 경우, 라우드처리부(200)의 라우드스피커(210)로는 화상통신의 소리신호를 출력하고, 음성처리부(100)의 이어폰(110)으로는 동영상의 소리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동영상의 이미지와 소리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동시에, 화상통신의 이미지와 소리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로 다운로드(DOWNLOAD)된 동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 이어폰(110)을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운로드되고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소리 신호를 듣기 위하여 이어폰(110)을 사용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진 준비과정과,
상기 준비과정에서 이어폰(11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표시부(310) 전체에 동영상을 표시하고 라우드처리부(200)로 동영상 소리를 출력하며 화상통신을 하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MS) 표시부(310)의 전체에 동영상 신호를 표시하여 재생하고, 라우드처리부(200)로 동영상 소리신호를 출력하여 재생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동영상 통신을 하는지 판단하고, 아닌 경우는, 상기 과정(S120)으로 궤환하여 동영상과 소리신호 재생을 계속하도록 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진 동영상과정과,
상기 동영상과정에서 판단하여 화상통신하는 경우, 이어폰(110)을 사용하여 통신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40)과,
상기 판단과정(S140)에서 이어폰(110)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를 표시부(310)의 반쪽에 각각 표시하고, 라우드스피커(210)에 화상통신 소리신호를 이어폰(110)에 동영상 소리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표시부(310) 반쪽에 동영상 신호를 표시하고, 나머지 반쪽에는 화상통신 신호를 표시하는 과정(S150); 상기 라우드처리부(200)에 화상통신 소리신호를 출력하고, 음성처리부(100)의 이어폰(10)으로 동영상 소리신호를 출력하는 과정(S160)으로 이루어진 동시출력과정과,
상기 준비과정(S110)에서 이어폰(110)을 사용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310) 전체에 동영상을 표시하고 이어폰(110)으로 동영상 소리를 출력하며 화상통신을 하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표시부(310) 전체에 동영상 신호를 표시하여 재생하고, 이어폰(110)으로 동영상 소리신호를 출력하여 재생하는 과정(S170); 상기 과정(S170)에서 동영상 통신을 하는지 판단하고, 아닌 경우는, 상기 과정(S170)으로 궤환(FEEDBACK)하여 동영상과 소리신호 재생을 계속하도록 하는 과정(S180)으로 이루어진 감상과정과,
상기 감상과정에서 판단(S180)하여 화상통신하는 경우, 표시부(310)의 반쪽에 동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정지하고 나머지 반쪽에 화상통신을 표시하며, 기존 소리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110)으로 화상통신 소리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표시부(310) 반쪽에 동영상 신호를 정지상태로 표시하고, 나머지 반쪽에는 화상통신 신호를 표시하는 과정(S190); 상기 기존의 소리신호를 출력하던 경로의 이어폰(110)으로 화상통신 소리신호를 출력하는 과정(S200)으로 이루어진 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판단과정(S140)에서 이어폰(11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과정으로 진행하여 표시부(310)의 반쪽을 이용하여 화상통신하며(S190), 기존 소리출력 경로인 라우드처리부(200)를 통하여 화상통신 소리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MS)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동영상 감상 및 화상통신을 하는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를 이용하여 다운로드(DOWNLOAD)된 동영상 신호를 재생할 것인지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에서 동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 이어폰(110)을 사용하는지 판단한다(S110).
상기 판단(S110)에서, 일 예로, 동영상 재생 및 감상에 이어폰(110)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는 표시부(310) 전체를 통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표시하여 출력하고, 이어폰(110)으로 동영상의 소리 신호를 출력(S170) 하므로 멀티미디어(MULTIMEDIA)에 의한 동영상을 감상한다.
상기와 같이 운용되는 상태에서, 화상통신을 하는 경우(S180), 상기 휴대단말기는 표시부(310)의 반쪽을 통하여, 감상 중이던 동영상 이미지를 현재 상태에서 정지상태로 표시하고, 표시부(310)의 나머지 반쪽을 통하여 화상통신의 이미지를 표시한다(S190).
상기 화상통신의 소리신호는, 동영상을 감상할 때, 기존 사용하던 이어폰(110)을 통하여 출력하고(S200), 음성급 신호의 입력은 음성처리부(100)의 송수화갑(120)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한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상기 준비과정(S110)에서, 상기 이어폰(110)을 사용하지 않고 재생되는 동영상을 감상하는 경우, 표시부(310) 전체를 통하여 동영상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라우드처리부(200)의 라우드부(220)를 통하여 동영상의 소리신호를 출력(S120)하며, 화상통신을 할 것인지 판단한다(S130).
상기 과정(S130)에서 판단하여 통신을 하는 경우, 이어폰(110)을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고(S140), 상기 판단(S140)에서 이어폰(110)을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표시부(310)의 반쪽에 감상중인 동영상 이미지(IMAGE)를 표시하고, 나머지 반쪽의 표시부(310)에 화상통신용 이미지를 표시한다(S150).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감상중인 동영상의 소리신호는 이어폰(110)으로 출력하고, 화상통신의 수신된 소리신호는 라우드처리부(200)의 라우드부(220)와 라우드스피커(210)를 통하여 출력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판단과정(S140)에서 이어폰(11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표시부(310)의 반쪽을 이용하여 감상이 중지된 상태의 동영상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310)의 나머지 반쪽을 통하여 화상통신 이미지를 표시한다(S190).
상기 동영상을 감상하던 중에 사용하던 기존 소리출력 경로인 라우드처리부(200)를 통하여, 화상통신에서 수신되는 음성급 소리신호를 출력하고, 송신되는 음성급 신호는 음성처리부(100)의 송수화갑(120)에 구비되는 마이크(MICROPHONE)를 통하여 입력한다.
상기 표시부(310)의 반쪽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동영상과 화상통신 이미지는, 가로 또는 세로로 나누어진 표시부(110)에 최적상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 예로, 정지 또는 재생되는 동영상 이미지 신호는 반쪽 표시부에 일그러진 상태로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이미지의 표준표시 규격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 중에서 선택하여 표시하고, 나머지 반쪽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통신 이미지 신호는 표준 표시규격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화상통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이어폰(11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감상 중이던 동영상을 일시 중지시키고, 화상통신을 하며, 이어폰(110)을 사용하는 경우는 동영상 신호를 출력시켜 감상하는 동시에 화상통신 신호를 각각 출력시켜 화상통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 출력하여 감상하면서 화상통신을 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감상하면서 화상통신을 하므로, 휴대단말기를 활용도를 제고하는 동시에 휴대단말기 자원을 효율적으로 절약하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Claims (17)

  1. 휴대단말기에서 입출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입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입출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라우드 레벨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라우드처리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신호와 화상통신 신호를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와 라우드처리부와 영상처리부에 접속하고 해당 신호를 입출력하며 휴대단말기 전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하고 기저대역 입력신호는 고주파 신호로 상향변조하며 고주파 입력신호는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조하여 각각 출력하는 고주파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처리부는,
    상기 제어부와 접속하고 입출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적정 통신레벨로 조정하여 송수신하는 음성부와,
    상기 음성부와 접속하고 통신레벨의 음성급 신호를 귀에 밀착 상태로 듣도록 출력하는 이어폰과,
    상기 음성부와 접속하고 통신레벨의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와 출력하는 스피커로 형성되는 송수화갑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처리부는,
    상기 제어부와 접속하고 인가되는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며 라우드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라우드부와,
    상기 라우드부와 접속되고 인가되는 라우드 레벨의 음성급 신호를 출력하는 라우드스피커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고 입력되는 동영상 신호와 화상통신 신호를 분석처리하며, 제어신호에 의하여 표시부 전체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표시부의 반쪽을 할당하여 각각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부와,
    상기 영상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제어하면서,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고주파부에 출력하고,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복조하고 분석하여 음성급 신호를 음성처리부와 라우드처리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며, 화상통신 신호를 영상처리부에 출력하는 동시에 다운로드된 동영상 신호를 기록저장하고 영상처리부에 출력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문자에 의한 데이터급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영상처리부에 출력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처리부에 출력하는 동시에 화상통신 신호를 출력하거나, 출력중인 동영상신호를 일시 정지하고 화상통신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의 소리신호를 상기 음성처리부와 라우드처리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동시에 화상통신의 소리신호를 상기 음성처리부와 라우드처리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9. 휴대단말기로 다운로드된 동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 이어폰을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준비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표시부 전체에 동영상을 표시하고 라우드처리부로 동영상 소리를 출력하며 화상통신을 하는지 판단하는 동영상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화상통신하는 경우, 이어폰을 사용하여 통신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를 표시부의 반쪽에 각각 표시하고, 라우드스피커에 화상통신 소리신호를 이어폰에 동영상 소리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동시출력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과정에서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전체에 동영상을 표시하고 이어폰으로 동영상 소리를 출력하며 화상통신을 하는지 판단하는 감상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화상통신하는 경우, 표시부의 반쪽에 동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정지하고 나머지 반쪽에 화상통신을 표시하며 이어폰으로 화상통신 소리를 출력하는 통신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과정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운로드되고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소리 신호를 듣기 위하여 이어폰을 사용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과정은,
    휴대단말기 표시부의 전체에 동영상 신호를 표시하여 재생하고, 라우드처리부로 동영상 소리신호를 출력하여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동영상 통신을 하는지 판단하고, 아닌 경우는, 상기 과정으로 궤환하여 동영상과 소리신호 재생을 계속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출력과정은,
    상기 표시부 반쪽에 동영상 신호를 표시하고, 나머지 반쪽에는 화상통신 신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라우드처리부에 화상통신 소리신호를 출력하고, 이어폰으로 동영상 소리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상과정은,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전체에 동영상 신호를 표시하여 재생하고, 이어폰으로 동영상 소리신호를 출력하여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동영상 통신을 하는지 판단하고, 아닌 경우는, 상기 과정으로 궤환하여 동영상과 소리신호 재생을 계속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방법.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과정은,
    상기 표시부 반쪽에 동영상 신호를 정지상태로 표시하고, 나머지 반쪽에는 화상통신 신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기존 소리신호 출력경로로 화상통신 소리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방법.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과정에서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과정으로 진행하여 표시부의 반쪽을 이용하여 화상통신하며 기존 소리출력 경로인 라우드처리부를 통하여 화상통신 소리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방법.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출력과정에서 표시부의 반쪽에 표시되는 화상통신 신호는 표준 표시규격으로 표시되고, 나머지 반쪽에 표시되는 동영상 신호는 일그러지거나 표준표시규격 중에서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방법.
KR1020030042828A 2003-06-27 2003-06-27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및방법 KR100989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828A KR100989722B1 (ko) 2003-06-27 2003-06-27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828A KR100989722B1 (ko) 2003-06-27 2003-06-27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247A true KR20050001247A (ko) 2005-01-06
KR100989722B1 KR100989722B1 (ko) 2010-10-26

Family

ID=3721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828A KR100989722B1 (ko) 2003-06-27 2003-06-27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7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182B1 (ko) * 2005-04-12 2007-03-09 유니챌(주)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0799670B1 (ko) * 2006-06-30 200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을 이용한 방송수신 중 화면분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3409B2 (ja) * 1995-09-19 2004-12-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
JPH11146370A (ja) 1997-11-07 1999-05-28 Kyocera Corp 携帯形テレビ電話装置
KR100350247B1 (ko) * 1999-11-25 2002-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20028437A (ko) * 2000-10-10 2002-04-17 윤종용 화상전화기의 영상표시 텔레비젼 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182B1 (ko) * 2005-04-12 2007-03-09 유니챌(주)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0799670B1 (ko) * 2006-06-30 200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을 이용한 방송수신 중 화면분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722B1 (ko) 201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7834B2 (ja) 音出力装置、および、音出力制御プログラム
US7675877B2 (en) Digital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broadcast reception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broadcast
US20020013143A1 (en) Data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phone
JP2008167373A (ja) 情報呈示装置
JP200414689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音声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293542B2 (ja) 記録媒体再生機能付無線装置
KR100989722B1 (ko) 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화상통신 신호 동시 출력장치 및방법
JPH1094070A (ja) 複合移動通信端末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009124271A (ja) オーディオ装置およびこのオーディオ装置に用いられる外部アダプタ
KR100469847B1 (ko) 다기능 오디오폰
KR100752294B1 (ko) 이동 단말기에서 배경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440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실시간 송, 수신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JPH10190780A (ja) 呼出報知装置
WO2017064924A1 (ja) 無線装置
JPH08265893A (ja) マイクロホン感度調整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通信機
KR20070105667A (ko) 휴대 단말기의 배경음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JPH11285069A (ja) 携帯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話装置
KR100689459B1 (ko) 외부 음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fm트랜스미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0166224B1 (ko) 텔레비전의 무선헤드폰을 이용한 전화통화장치
KR20040024368A (ko) 화상전화 기능을 갖는 tv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1308975A (ja) 携帯用通信装置
KR1006782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엠피쓰리 재생 방법
KR20040076910A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KR20030003646A (ko) 다기능 음성신호 제어장치
KR19990014640A (ko) 무선전화 착신 감지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