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385A - 우선신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우선신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385A
KR20200006385A KR1020180080058A KR20180080058A KR20200006385A KR 20200006385 A KR20200006385 A KR 20200006385A KR 1020180080058 A KR1020180080058 A KR 1020180080058A KR 20180080058 A KR20180080058 A KR 20180080058A KR 20200006385 A KR20200006385 A KR 20200006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affic
emergency vehicle
terminal
priorit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근우
Original Assignee
진우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우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우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6385A/ko
Publication of KR20200006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7Override of traffic control, e.g. by signal transmitted by an emergency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선 신호 관리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과 우선신호 단말이 장착된 차량이 도로상에 구축된 감시 인프라 등을 이용하여 긴급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도난이나 분실 또는 해킹으로 인해 교통 신호등의 통과 우선 신호를 부여 받기 위한 단말이 인가된 긴급 차량이 아닌 일반 차량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우선신호 단말의 비정상적인 사용에 따른 교통 혼잡을 방지하고, 실질적 긴급차량에 대해서만 우선신호를 제공하면서 운영 효율성을 높이며, 향후 자율 주행 전 단계인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선신호 관리 방법{Priority traffic signal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긴급 차량(예; 소방차, 구급차, 경찰차 등)에 대한 우선 신호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차량에 교통신호 제어기와 통신 가능한 비정상적인 우선신호 단말이 설치되면서, 비정상적인 우선신호 단말로 인해 교통 신호등이 통과 우선 신호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우선 신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이 발달하여 차량 수가 증가함에 따라 교통 정체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교통 정체 현상은 환경오염, 소음, 자동차 연비 소모 및 정체로 인한 사회적 손실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소방차나 구급차 또는 경찰차와 같이 긴급 출동이 필요로 하는 긴급 차량의 신속성을 떨어 뜨리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긴급 차량이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하기 위한 첫 번째 조건은 긴급 차량이 사고 장소로 신속하게 이동하는 것이다. 즉, 긴급 차량이 얼마나 신속하게 사고 장소로 이동하느냐는 임무 수행 여부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신고 접수 후 5분 내에 사고 장소로 도착을 목표로 하는 소방차의 경우 정시에 도착하지 못하는 원인 중 40%가 교통 정체 현상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긴급 차량에게 우선 신호를 부여하여 긴급 차량의 정차를 최소화하여 신속성을 높이도록 하는 긴급 차량 우선 신호 제어시스템이 개시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종래의 긴급 차량 우선 신호 제어 기술 시스템은, 긴급 차량내에 교통신호 제어기와 통신 가능한 우선신호 단말을 장착하는 구조로, 이러한 우선신호 단말은 도난 당하거나 또는 복제되면서, 인가된 긴급 차량이 아닌 일반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되면서, 우선신호 제어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인가되지 않은 일반 차량에게 우선신호를 제공함에 따라 다른 일반 차량의 불필요한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우선신호 단말에 대한 검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였지만, 이 또한 도난이나 복제, 그리고 해킹을 통해 검증 절차를 통과할 수 있는 문제점을 있다.
즉, 우선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긴급 차량에 장착되는 우선신호 단말의 경우에는 항상 도난이나 분실 위험이 존재하고, 특히 비밀 번호 입력을 통한 검증 과정의 경우에는 그 설정된 비밀 번호가 해킹 등에 의해 취약하므로, 교통 신호등의 통과 우선 신호를 부여받기 위한 우선신호 단말이 인가된 긴급 차량이 아닌 일반 차량에 의해 사용될 가능성은 여전히 높고, 이에따라 우선신호 제어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는 물론, 인가되지 않은 일반 차량에게 통과 우선신호가 제공되는 문제를 여전히 해소할 수는 없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44213호(공고일 2014.09.26) 등록특허공보 제10-1749244호(공고일 2017.07.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난이나 분실 또는 해킹으로 인해 교통 신호등의 통과 우선 신호를 부여 받기 위한 단말이 인가된 긴급 차량이 아닌 일반 차량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우선신호 관리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우선신호 단말의 비정상적인 사용에 따른 교통 혼잡을 방지하고, 실질적 긴급차량에 대해서만 우선신호를 제공하면서 운영 효율성을 높이며, 향후 자율 주행 전 단계인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우선신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인 우선신호 관리방법은, (a) 긴급 차량 정보와 이에 장착되는 교통신호등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받기 위한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긴급 차량 정보와 단말 정보가 등록된 이후에, 교통신호등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받기 위한 단말이 장착된 차량이 도로 주행시, 상기 차량과 인접하는 교통신호 제어기가 상기 차량에 장착된 단말을 식별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상기 단말이 식별된 이후에, 교통신호 제어기는 도로상에 구축된 감시 인프라를 통해 감시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긴급차량인지를 분석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분석결과 단말이 장착된 긴급 차량이면, 교통신호 제어기는 상기 긴급 차량에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하도록 교통신호등에 신호등 전환을 위한 트리거신호를 송출하고, 분석결과 긴급차량이 아니면 단말이 장착된 상기 차량에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 등록되는 긴급 차량 정보는, 차량 번호, 차량 종류, 차량 브랜드명, 차량 제조사 중 어느 하나이거나 복수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의 상기 감시 인프라는 도로변에 설치되어 도로의 차량 통행량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이고,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지능형 교통서버에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지능형 교통서버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교통상황 통제실내 관제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영상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에 전송하는 단계; 의 처리과정을 통해 제공받는 것이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의 상기 감시 인프라는 교차로나 횡단보도에 인접 설치되는 단속 카메라이고,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는 상기 단속 카메라를 이미지 촬영모드에서 동영상 촬영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상기 감시 인프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에서 이미지 추출법을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추출된 차량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에 등록 저장된 긴급차량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비교결과로부터 긴급차량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 등록 저장되는 긴급차량에는 식별코드가 부여된 GPS모듈이 탑재되고, 상기 GPS모듈의 식별코드는 관제서버에 등록 저장되며, 상기 관제서버는 등록 저장된 상기 GPS모듈의 식별코드를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는 위치추적기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긴급차량에 탑재된 상기 GPS모듈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로부터 위치 추적된 긴급 차량과 인접된 교통신호등을 긴급 차량 통과 우선신호로 전환시키기 위한 트리거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과 우선신호 단말이 장착된 차량이 도로상에 구축된 감시 인프라 등을 이용하여 긴급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도난이나 분실 또는 해킹으로 인해 교통 신호등의 통과 우선 신호를 부여 받기 위한 단말이 인가된 긴급 차량이 아닌 일반 차량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우선신호 단말의 비정상적인 사용에 따른 교통 혼잡을 방지하고, 실질적 긴급차량에 대해서만 우선신호를 제공하면서 운영 효율성을 높이며, 향후 자율 주행 전 단계인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우선 신호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우선신호 관리 방법을 보인 개략적인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우선 신호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선신호 관리시스템은, 감시 인프라(10), 교통신호 제어기(20), 지능형 교통서버(30), 교통상황 통제실내 관제서버(40)가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기적으로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감시 인프라(10)는 도로변에 설치되어 도로의 차량 통행량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 및/또는 교차로나 횡단보도에 인접 설치되는 단속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감시 인프라(10)를 이루는 상기 감시 카메라는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와 인접된 것들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거리에 관계없이 상기 감시 카메라들에 의해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능형 교통서버(30)에서 수집하고, 상기 지능형 교통서버(30)에 의해 수집된 영상 정보는 교통상황 통제실내 관제서버(40)에 전송된 이후에, 상기 관제서버(40)에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에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는 교차로나 횡단보도에 인접된 도로변에 설치되면서 노변장치(RSE)에 의한 차량 검지로부터 교통량을 분석하여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의 교통신호등(50)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자체 내장된 RTC(real time clock)를 사용하여 기준시간을 정하는 방식을 채용하면서, 제공되는 기준시간에 따라 정해진 시간대에 필요한 주기, 현시율, 연동값 등을 이용하여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의 교통신호등(50)을 제어하는 것이지만, 상기 감시 인프라(10)에 의한 실시간 감시 정보를 통해 도로상에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받기 위한 단말(101)이 장착된 차량(100)을 긴급 차량으로 판단시, 상기 긴급 차량(100)의 주행 경로 전방에 위치하는 교차로나 횡단보도의 교통신호등(50)을 긴급 차량의 통과 우선신호로 점등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는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기본적인 신호등 제어 기능 이외에, 차량(100)에 장착된 단말(101)을 식별하고, 상기 단말(101)이 식별되었을 때 상기 지능형 교통서버(30) 또는 상기 관제서버(4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정보로부터 차량(100)이 긴급차량 또는 일반차량인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100)이 긴급차량이면 교통신호등(50)에 통과 우선신호 점등을 위한 트리거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차량(100)이 긴급하지 않은 일반 차량인 경우에는 교통신호등(50)에 통과 우선신호 점등을 위한 트리거신호를 송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는 차량(100)에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받기 위한 단말(101)이 장착된 경우 이를 정상으로 인식하지만, 긴급하지 않은 차량(100)에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받기 위한 단말(101)이 장착된 경우에는 이를 비정상으로 인식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비정상적인 상태는 도난이나 분실 또는 해킹으로 인해 교통신호등의 통과 우선 신호를 부여 받기 위한 단말(101)이 일반 차량(100)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는 상기 지능형 교통서버(30) 또는 상기 관제서버(40)를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받을 때, 상기 영상정보에서 이미지 추출법을 이용하여 차량(100)을 추출한 후 그 추출된 차량 이미지가 기저장된 긴급차량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받기 위한 단말(101)이 장착된 차량(100)이 긴급차량 또는 일반차량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관제서버(40)는 긴급 차량(100)에 단말(101)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긴급 차량 정보와 이에 장착되는 상기 단말 정보를 등록 저장한 후 이를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에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긴급차량의 정보로는 차량 번호, 차량 종류(예; 승용, 승합, SUV, RV 등), 차량 브랜드명(예; 스타렉스, 봉고, 소나타 등), 차량 제조사(예; 현대, 기아, 르노삼성, GM 등) 중 어느 하나이거나 복수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긴급 차량 정보에 등록시 부여 받는 고유번호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긴급차량의 정보에는 상기 긴급차량에 장착되는 식별코드가 부여된 GPS모듈(102)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에는 상기 GPS모듈(102)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위치추적기(21)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추적기(21)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40)에서 제공하는 상기 긴급차량에 탑재된 상기 GPS모듈(102)의 위치를 추적하고, 이에 따라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는 위치 추적된 긴급 차량과 인접된 교통신호등(50)을 긴급 차량 통과 우선신호로 전환시키기 위한 트리거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선신호 관리방법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우선 (a)단계로서 긴급 차량 정보와 이에 장착되는 교통신호등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받기 위한 단말(101)의 정보를 관제서버(40)에 등록하여둔다.
다음의 (b)단계로서, 상기와 같이 긴급 차량 정보와 단말 정보가 등록된 이후에, 교통신호등(50)에 대하여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받기 위한 단말(101)이 장착된 차량(100)이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상기 차량(100)과 인접하는 교통신호 제어기(20)는 상기 차량(100)에 장착된 단말(101)을 식별 즉, 상기 단말(101)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101)에 대한 고유번호를 추출하는 것이다.
다음의 (c)단계로서, 상기 단말(101)에 대한 고유번호가 추출된 이후에,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는 상기 단말(101)에 대한 고유번호를 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40)에 통보하고, 이에 따라 상기 관세서버(40)는 등록 저장된 상기 단말(101)의 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차량 등록 정보를 검색한 후 이를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로 전송처리한다.
이때, 상기 관제서버(40)에는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와 인접되는 도로상에 구축된 감시 인프라(10)인 감시 카메라를 통해 차량(100)에 대한 영상정보가 지능형 교통서버(30)를 통해 수신되고 있으므로, 상기 영상정보는 물론 등록 저장된 차량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로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는 상기 관제서버(4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정보에서 이미지 추출법을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추출하는 한편, 추출된 상기 차량정보를 등록 저장된 긴급 차량 정보와 비교하여, 단말(101)이 식별된 차량(100)이 긴급차량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관제서버(40)에는 긴급차량의 정보로서 차량 번호, 차량 종류(예; 승용, 승합, SUV, RV 등), 차량 브랜드명(예; 스타렉스, 봉고, 소나타 등), 차량 제조사(예; 현대, 기아, 르노삼성, GM 등) 중 어느 하나이거나 복수 또는 이들 모두가 등록 저장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긴급차량 정보에 매칭되는 단말(101)의 정보로서 고유번호가 등록 저장되어 있는 바,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는 상기 감시 인프라(1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정보에서 이미지 추출법을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상기 등록 저장된 긴급차량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100)이 긴급차량인지 아니면 일반차량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감시 인프라(10)는 교차로나 횡단보도에 인접 설치되는 단속 카메라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는 상기 단속 카메라를 이미지 촬영모드에서 동영상 촬영모드로 전환시켜,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인접하는 차량 정보를 이미지 추출법을 통해 추출할 수 있고, 이를 등록저장된 차량정보와 비교하면서, 단말(101)이 장착된 차량(100)이 긴급차량인지 아니면 일반차량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의 (d)단계로서, 단말(101)이 장착된 차량(100)이 긴급차량인 경우,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는 교통신호등(50)에 신호등 전환을 위한 트리거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교통신호등(50)은 긴급차량 통과 우선신호로서 직진 신호 또는 직진과 좌회전의 동시 신호로 전환시키면서, 교차로나 횡단보도에서 긴급차량은 정차하지 않고 우선적인 통과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상기 단말(101)이 장착된 차량(100)이 등록 저장된 긴급차량이 아닌 경우,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는 상기 차량(100)에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하지 않는다.
즉, 상기 관세서버(40)에 상기 단말(101)의 정보가 등록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101)이 도난이나 분실 또는 해킹 등에 의해 긴급차량이 아닌 일반차량에 장착된 경우,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는 상기 단말(101)의 고유번호를 식별한다 하더라도 차량(100)은 상기 단말(60)과 매칭되는 긴급차량이 아니므로, 교통신호등(50)을 긴급차량 통과 우선신호로 전환시키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단말(101)의 부정 사용에 따른 문제를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제서버(40)에 등록되는 긴급 차량에는 식별코드가 부여된 GPS모듈(102)이 탑재되고, 상기 GPS모듈(102)의 식별코드는 상기 관제서버(40)에 등록 저장될 수 있으므로, 상기 관제서버(40)는 등록 저장된 상기 GPS모듈(102)의 식별코드를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에 제공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20)는 위치추적기(21)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40)에서 제공하는 상기 긴급차량에 탑재된 상기 GPS모듈(102)의 위치를 추적한 후 그 위치 추적된 긴급 차량과 인접된 교통신호등(50)을 긴급 차량 통과 우선신호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선신호 관리방법은 해킹 등에 취약한 인증절차의 과정없이 차량(100)에 장착된 단말(101)이 식별되었을 때, 도로상에 설치되는 감시 인프라(10) 또는 긴급차량의 GPS모듈(102)에 대한 위치 추적을 통해, 상기 단말(101)이 장착된 차량이 긴급차량인지 또는 일반차량인지를 판단함으로써, 도난이나 분실 또는 해킹 등에 의해 비정상적인 사용상태인 단말(101)을 장착하여둔 일반적인 차량(100)이 교차로나 횡단보도를 통과할 때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우선신호 관리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감시 인프라 20; 교통신호 제어기
21; 위치추적기 30; 지능형 교통서버
40; 관제서버 50; 교통신호등
100; 차량 101; 단말
102; GPS모듈

Claims (6)

  1. (a) 긴급 차량 정보와 이에 장착되는 교통신호등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받기 위한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긴급 차량 정보와 단말 정보가 등록된 이후에, 교통신호등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받기 위한 단말이 장착된 차량이 도로 주행시, 상기 차량과 인접하는 교통신호 제어기가 상기 차량에 장착된 단말을 식별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상기 단말이 식별된 이후에, 교통신호 제어기는 도로상에 구축된 감시 인프라를 통해 감시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긴급차량인지를 분석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분석결과 단말이 장착된 긴급 차량이면, 교통신호 제어기는 상기 긴급 차량에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하도록 교통신호등에 신호등 전환을 위한 트리거신호를 송출하고, 분석결과 긴급차량이 아니면 단말이 장착된 상기 차량에 통과 우선신호를 부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신호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등록되는 긴급 차량 정보는, 차량 번호, 차량 종류, 차량 브랜드명, 차량 제조사 중 어느 하나이거나 복수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신호 관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의 상기 감시 인프라는 도로변에 설치되어 도로의 차량 통행량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이고,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지능형 교통서버에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지능형 교통서버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교통상황 통제실내 관제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영상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에 전송하는 단계; 의 처리 과정을 통해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신호 관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의 상기 감시 인프라는 교차로나 횡단보도에 인접 설치되는 단속 카메라이고,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는 상기 단속 카메라를 이미지 촬영모드에서 동영상 촬영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신호 관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감시 인프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에서 이미지 추출법을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추출된 차량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에 등록 저장된 긴급차량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비교결과로부터 긴급차량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신호 관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등록 저장되는 긴급차량에는 식별코드가 부여된 GPS모듈이 탑재되고, 상기 GPS모듈의 식별코드는 관제서버에 등록 저장되며,
    상기 관제서버는 등록 저장된 상기 GPS모듈의 식별코드를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교통신호 제어기는 위치추적기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긴급차량에 탑재된 상기 GPS모듈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로부터 위치 추적된 긴급 차량과 인접된 교통신호등을 긴급 차량 통과 우선신호로 전환시키기 위한 트리거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신호 관리방법.
KR1020180080058A 2018-07-10 2018-07-10 우선신호 관리 방법 KR20200006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58A KR20200006385A (ko) 2018-07-10 2018-07-10 우선신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58A KR20200006385A (ko) 2018-07-10 2018-07-10 우선신호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385A true KR20200006385A (ko) 2020-01-20

Family

ID=6936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058A KR20200006385A (ko) 2018-07-10 2018-07-10 우선신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63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023A (ko) * 2020-12-24 2022-07-01 박경진 차량 단속 시스템
KR102517813B1 (ko) * 2022-05-16 2023-04-04 렉스젠(주) 골목길 교차로 신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213B1 (ko) 2014-05-13 2014-09-26 (주)크리웨이브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49244B1 (ko) 2015-11-23 2017-07-03 (주)크리웨이브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어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213B1 (ko) 2014-05-13 2014-09-26 (주)크리웨이브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49244B1 (ko) 2015-11-23 2017-07-03 (주)크리웨이브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어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023A (ko) * 2020-12-24 2022-07-01 박경진 차량 단속 시스템
KR102517813B1 (ko) * 2022-05-16 2023-04-04 렉스젠(주) 골목길 교차로 신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49508B1 (ko) * 2022-05-16 2023-06-30 렉스젠(주) 골목길 교차로 신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3012B1 (en) Vehicle monitoring and control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S8885929B2 (en) Abnormal behavior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utomatic classification of multiple features
CN107608388B (zh) 自主警车
CN101313345B (zh) 检测道路交通违章的系统和方法
CN105894810B (zh) 用于监视在停车场上行驶的车辆的方法和设备
US10685247B2 (en) Infrastructure-device status-verification system for automated vehicles
KR20200009840A (ko) 긴급 차량과 교통 신호등 연계 시스템
US94431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wanted vehicle
CN102332209A (zh) 一种汽车违章视频监测方法
CN113724416A (zh) 基于车路协同系统的车载视频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749244B1 (ko)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626377B1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0719298B1 (ko) 신호위반차량, 속도위반차량, 주차위반차량 및 수배차량 검출 방법 및 그 시스템
IL256942B (en) A multi-channel system for traffic enforcement in complex scenarios
US20230211805A1 (en) Concept For Supporting a Motor Vehicle Being Guided in at Least Partially Automated Manner
KR101329797B1 (ko) 긴급차량을 이용한 위법차량 단속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법차량 단속방법
CN114999141B (zh) 电瓶车停放管理方法、装置、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KR20200006385A (ko) 우선신호 관리 방법
CN109671270A (zh) 行车事故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KR101394201B1 (ko) 버스장착 무선cctv 촬영단속시스템
KR100867336B1 (ko) 주정차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102526194B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불법 끼어들기 차량 감지시스템
KR100785759B1 (ko) 차량 탑재형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및 방법
CN108062805B (zh) 一种车载数据处理方法和服务器
JP2018526747A (ja) 駐車場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