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559A - 당근잎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근잎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559A
KR20200004559A KR1020180077552A KR20180077552A KR20200004559A KR 20200004559 A KR20200004559 A KR 20200004559A KR 1020180077552 A KR1020180077552 A KR 1020180077552A KR 20180077552 A KR20180077552 A KR 20180077552A KR 20200004559 A KR20200004559 A KR 20200004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alone
weight
feed
parts
fe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159B1 (ko
Inventor
조성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1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02A40/818Alternative feeds for fish, e.g. in aquacul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분 및 당근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종래 전복용 배합사료에 포함되던 해조류를 당근잎으로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복의 성장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당근잎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Feed composition containing carrot leaf}
본 발명은 당근잎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분 및 당근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종래 전복용 배합사료에 포함되던 해조류(미역, 다시마 등)를 당근잎으로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복의 성장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전복 양식장의 경우, 전복 사육 관리의 용이성 때문에 자연산 먹이인 미역이나 다시마 공급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자연산 먹이인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는 전복의 성장에 필요로 하는 영양학적 요구량, 특히 단백질(아미노산) 25~35% 및 지질(지방산) 3~7%의 요구량보다 낮은 함량의 단백질(15% 이하) 및 지질(2% 이하)을 함유하고 있어, 많은 연구 결과에 보고된 바와 같이, 자연산 먹이인 해조류를 전복에 공급하는 것보다 배합사료를 전복에 공급하는 것이 보다 우수한 전복 성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전복 양식을 위해서는 전복용 배합사료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배합사료는 다시마 또는 미역과 같은 해조류를 약 20-25%를 포함하고 있어, 겨울철을 제외한 다른 계절에는 상기 해조류의 이용성이 제한적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6335호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보고된 750종의 해조류 가운데 우점 군락을 형성하는 그룹은 크게 겨울-봄 해조군락(한해성)과 여름-가을 해조군락(온대성)으로 구분되고 있다.
한해성 종들은 10월 말 즉, 수온이 15℃ 이하로 하강하는 시기에 발아하여 11월에 유엽이 형성되고 4월에 최대 성장을 한 후 6월 이후 쇠락하는 종류들로 미역, 다시마, 개다시마, 모자반류, 삼나무말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해중림을 이루기도 한다. 온대성 해조류는 4월 이후 출현하여 여름에 번무하고 10월 이후 쇠락하는 종류로서 도박류, 그물바탕말류, 청각류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비교적 크기가 작다. 곰피, 대황, 감태, 우뭇가사리 등은 다년생 해조류로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도를 포함하는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데 이중 곰피와 감태는 양식 품종으로 개발되었다.
이처럼 대부분의 우점종들은 6월 이후에 쇠락하여 자취를 감추고, 여름철에 생육한다고 하더라도 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전복 먹이로 공급할 수 있는 종은 곰피 등 극히 소수의 종으로 국한된다.
현재 전복 먹이로 공급되고 있는 양식 미역과 다시마는 5월부터 끝녹음이 일어나 크기가 작아지고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대부분 5~6월에 수확하고 있고, 고수온기에 대부분 소실되므로 생 해조류의 공급이 어려운 9~11월에는 전복 먹이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불안정한 미역, 다시마의 공급과 저장상의 문제는 구입가격의 상승과 상당한 노동력을 수반하는 요인으로 작용해 양식 의욕 저감 및 양식원가 비율이 상승하여 수익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며, 특히 다시마의 경우 바닷물 수온이 23~24℃가 넘으면 잎이 녹아내리는 치명적 한계가 있으며, 태풍 등에 의해서 파도가 강해지면 소실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기존의 전복용 배합사료 내 해조류를 완전히 대체하기 위하여, 당근 수확 후 폐기물로 버려지는 당근잎을 새로운 전복용 배합사료 소재로 발굴하여 재활용하면서 해조류 대체원으로 사용함에 따라, 전복용 배합사료의 단가를 낮추면서 전복의 생존율과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2006-0099192 A KR 10-156846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전복용 배합사료 내 해조류를 완전히 대체하기 위하여, 당근 수확 후 폐기물로 버려지는 당근잎을 대체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전복용 배합사료의 단가를 낮추면서 전복의 생존율과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당근잎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분 및 당근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건중량 기준으로, 배합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근잎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중량 기준으로, 배합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근잎 5 내지 30 중량부, 단백질원 4 내지 35 중량부, 탄수화물원 15 내지 30 중량부 및 지질원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백질원은 어분, 육분, 면실박, 갑각류 분말, 카제인 및 대두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탄수화물원은 소맥분, 덱스트린, α-감자전분, α+β 감자전분, 수크로오즈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지질원은 대두유, 어유, 우지 및 오징어간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미네랄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당근잎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은 어분 및 당근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주로 전복용 배합사료에 포함하나 값비싸고 겨울철 이외에는 사용에 제한되는 해조류를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복 성장 및 가식부의 영양소 함량을 향상시켜 보다 용이하게 전복을 양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근을 수확한 후 거름으로 사용하거나 폐기물로 버려지는 당근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폐기하는데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당근잎이 값싸고 연중 이용 가능하여 전복 양식 생산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합사료 내 해조류를 당근잎으로 전량 대체함으로써, 본 발명의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은 사료 공급, 양식 수조의 청소 또는 선별 작업시 야기되는 공기노출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므로, 전복의 누적폐사율을 크게 감소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해수 내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사료 내 건물(dry matter)의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의 공기노출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확인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당근잎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어분 및 당근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종래 전복용 배합사료에 포함되던 해조류(미역, 다시마 등) 성분을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전복의 성장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은 특히 전복 치패를 성장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건중량 기준으로, 배합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근잎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당근잎은 해조류 함량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건중량 기준으로, 배합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근잎 5 내지 30 중량부, 단백질원 4 내지 35 중량부, 탄수화물원 15 내지 30 중량부 및 지질원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 내 당근잎, 단백질원, 탄수화물원 및 지질원의 중량부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영양 성분 과잉 또는 결핍에 의해 전복의 껍데기가 지나치게 발육되어 식품으로서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특히 전복에 영양성분들이 편중되지 않게 공급될 수 있도록 지질원을 0.5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원은 어분, 육분, 면실박, 갑각류 분말, 카제인 및 대두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탄수화물원은 소맥분, 덱스트린, α-감자전분, α+β 감자전분, 수크로오즈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지질원은 대두유, 어유, 우지 및 오징어간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미네랄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타민, 미네랄 및 첨가제의 종류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은 성장 및 질병 예방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비타민 믹스로는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나이아신(niacin), 칼슘-D-판토테네이트(Ca-D-pantothenate), 미오-이노시톨, D-바이오틴, 엽산(folic acid), p-아미노 벤조산(p-amino benzoic acid), 비타민 K3, 비타민 A, 비타민 D3, 염화 콜린, 사이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 등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미네랄 믹스로는 NaCl, MgSO4·7H20, NaH2PO4·2H20, KH2PO4, CaH4(PO4)2·H20, 페릭 사이트레이트(ferric citrate), ZnSO4·7H20, 칼슘-락테이트(Calcium lactate), CuCl, AlCl3· 6H20, KIO3, Na2Se2O3, MnSO4·H20, CoCl2·6H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는 점도제로서 알긴산나트륨을 포함한 통상의 사료 첨가제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실시예 >
전복용 배합사료 제조
전복용 배합사료 내에 해조류인 미역을 20% 포함하여 당근잎을 함유하지 않는 사료를 제조하고, 대조군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당근잎을 수거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서, 전복용 배합사료 내 미역 대체원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대조군의 전복용 배합사료에 있어서, 미역을 당근잎으로 각각 25%, 50%, 75% 및 100% 대체한 전복용 배합사료를 제조하였으며, CLB25, CLB50, CLB75 및 CLB100으로 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용 배합사료의 성형은 각각의 사료 원료를 혼합하고(Samwoo Industry Co., Daegu, Korea), 혼합물 100g 당 물 100g을 첨가하여 다시 혼합한 후, 압착하여 1cm×1cm×0.15cm가 되도록 실험 사료를 절단하였다. 그 다음 5%의 염화칼슘 수용액에 1분간 침지하여 알긴산나트륨을 칼슘염으로 치환시켰다. 제조된 실험사료는 농산물 건조기(UDS-4522F, Kyung Dong Navien, Seoul, Korea)를 이용하여 30℃에서 24시간 건조시킨 후, -20℃의 냉동고에 저장하여 사료 공급시마다 소량씩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용 배합사료인 CLB25, CLB50, CLB75, CLB100 및 대조군과 건미역(Undaria)의 영양성분 및 함량을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
(%)
배합사료( % , 건중량기준 )
대조군(Con) CLB25 CLB50 CLB75 CLB100 건미역
어분 25 25 25 25 25 -









카제인 5 5 5 5 5
대두박 4 4 4 4 4
소백분 22 22 22 22 22
미역분말 20 15 10 5 0
당근잎 0 5 10 15 20
알긴산나트륨 20 20 20 20 20
오징어 간유 0.5 0.5 0.5 0.5 0.5
대두유 0.5 0.5 0.5 0.5 0.5
미네랄 프리믹스* 2 2 2 2 2
비타민 프리믹스** 1 1 1 1 1
총합계 100 100 100 100 100
조단백질 31.2 30.7 30.3 29.8 29.4 21.6
조지질 4.4 4.3 4.3 4.2 4.1 3.0
* 미네랄 프리믹스(g/kg mix): NaCl, 10; MgSO4·7H2O, 150; NaH2PO4·2H2O, 250; KH2PO4, 320; CaH4(PO4)2·H2O, 200; Ferric citrate, 25; ZnSO4·7H2O, 4; Ca-lactate, 38.5; CuCl, 0.3; AlCl3·6H2O, 0.15; KIO3, 0.03; Na2Se2O3, 0.01; MnSO4·H2O, 2; CoCl2·6H2O, 0.1.을 포함함.
** 비타민 프리믹스(g/kg mix): 셀룰로오스에 희석된 L-ascorbic acid, 200; α-tocopheryl acetate, 20; thiamin hydrochloride, 5; riboflavin, 8; pyridoxine, 2; niacin, 40; Ca-D-pantothenate, 12; myo-inositol, 200; D-biotin, 0.4; folic acid, 1.5; p-amino benzoic acid, 20; K3, 4; A, 1.5; D3, 0.003; choline chloride, 200; cyanocobalamin, 0.003을 포함함.
전복 양식 실험
실험에 사용된 치패는 실험 사육환경에 적응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위치한 개인 전복양식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총 3개의 3.6톤 콘크리트 raceway(수량: 3.4톤) 수조당 각각 14개의 100L(40cm×50cm×50cm) 가두리 수조를 설치하여 실험구로 설정하였으며, 각 실험구당 전복을 60마리씩 수용하였다. 각각의 실험구에는 은신처용 shelter을 넣어주었으며, raceway 별 환수량은 108L/min이었고, 사육실험 기간동안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하여 주었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전복에 상기 대조군(Con), CLB25, CLB50, CLB75 및 CLB100의 전복용 배합사료를 각각 1일 1회(17:00) 전복 전 체중의 1.5~3.0% 이상 되도록 사료를 충분히 공급하여 항상 사료가 소량씩 남게 하였으며, 남은 사료는 새로운 사료를 공급하기 전에 매일 제거하여 주었다. 실험기간 동안 평균 사육 수온은 18.0~18.6℃(Mean±SD: 18.2±0.10℃)이고, 빛은 자연광 주기를 따랐으며, 전복 양식 실험은 총 16주간 실시하였다.
또한, 전복용 배합사료의 전복 양식 효율을 보다 용이하게 알아보기 위하여, 자연산 먹이인 건미역만을 상기 배합사료와 동일한 조건으로 공급하여 전복 양식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
상기 전복 양식 실험 종료 시 각각의 실험구에서 생존한 전복 30마리를 무작위로 샘플링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각 전복의 각장, 각폭 및 각고는 디지털 캘리퍼스(Mitutoyo사, Kawasaki사,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영양학적 상태 지수의 측정을 위해 전중량에 대한 가식부 무게의 비를 계산하였다.
실험사료와 전복 가식부의 일반성분은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에 따라 분석하고, 조단백질은 켈달법(Auto Kjeldahl System, Buchi B-324/435/412, 스위스)에 따라 분석하고, 조지방은 에테르 추출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조회분은 550℃ 회화로에서 4시간 동안 태운 후 정량하였다.
수분은 105℃ 드라이 오븐에서 24시간 건조시킨 후 측정하였다.
또한, 통계분석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및 던칸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서 SAS version 9.3 program(SAS Institute, Cary, NC, 미국)을 이용하여 상기 각 분석 구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1) 전복의 체중 증가, 생존율 및 일일성장율 분석
사료를 달리하여 16주간 양식한 전복에 대하여, 상기 사료에 따른 전복의 생존율, 체중 증가 및 일일성장률을 분석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초기 제충
(Initial weight)
(g/abalone)
최종 체중
(Final weight)
(g/abalone)
생존율
(Survival)
(%)
체중 증가
(Weight gain)
(g/abalone)
일일성장률
(SGR1)
(%/day)
대조군(Con) 6.0±0.00 12.8±0.04a 92.2±1.47a 6.78±0.038a 0.68±0.003a
CLB25 6.0±0.00 12.8±0.08a 91.7±0.96a 6.75±0.081a 0.67±0.006a
CLB50 6.0±0.00 12.8±0.10a 92.8±1.47a 6.78±0.098a 0.68±0.007a
CLB75 6.0±0.00 12.8±0.06a 93.9±1.47a 6.87±0.060a 0.68±0.004a
CLB100 6.0±0.00 12.8±0.04a 93.9±2.00a 6.79±0.045a 0.67±0.003a
건미역 6.0±0.00 12.1±0.09b 86.1±1.11b 6.11±0.087b 0.63±0.006b
* 각 측정치의 윗첨자가 동일한 문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음(p>0.05)
* 일일성장율(SGR, %/day)은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되었다.
[수학식]
성장속도(SGR)=[(ln(Wf)-ln(Wi)) / 급여 일수]×100
(단, ln(Wf): 전복의 최종 평균 무게의 자연 로그값, ln(Wi): 전복의 최초 평균 무게의 자연 로그값)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생존율은 대조군 및 실험용 배합사료(CLB25, CLB50, CLB75, CLB100)를 공급받은 전복 모두 91% 이상으로 나타나서 배합사료 내 미역을 당근잎으로 대체함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건미역 사료만을 공급한 공급구(86.1%)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실험용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의 체중 증가와 일일성장률은 대조군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과 비교할 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모든 배합사료(대조군, CLB25, CLB50, CLB75, CLB100)를 공급받은 전복의 성장과 일일성장율이 건미역 사료만을 사료로 공급한 전복의 경우보다 매우 유의적으로 우수한 성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P<0.05).
(2) 전복의 각장 , 각폭 , 각고의 성장 및 가식부 무게 분석
사료를 달리하여 16주간 양식한 전복에 대하여, 사료에 따른 전복의 각장(Shell length), 각폭(Shell width), 각고(Shell height), 가식부 무게(Soft body weight) 및 가식부 무게/전체 무게(Soft body weight/total weight)를 분석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각장
(mm)
각폭
(mm)
각고
(mm)
가식부 무게
(g)
가식부 무게/전체 무게
대조군
(Con)
51.1±0.42a 34.5±0.29b 12.3±0.10b 8.2±0.10a 0.64±0.005a
CLB25 52.0±0.19a 34.9±0.13ab 12.6±0.05a 8.1±0.07a 0.63±0.004a
CLB50 51.6±0.42a 35.0±0.19ab 12.3±0.05b 8.1±0.13a 0.63±0.010a
CLB75 52.0±0.38a 35.3±0.26a 12.5±0.09ab 8.3±0.10a 0.65±0.009a
CLB100 51.6±0.37a 35.1±0.25ab 12.3±0.09b 8.2±0.09a 0.64±0.005a
건미역 48.4±0.25b 32.8±0.17c 11.3±0.06c 7.7±0.13b 0.63±0.007a
* 각 측정치의 윗첨자가 동일한 문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음(P>0.05)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각장, 각폭, 각고, 가식부 무게 및 전체 무게에 대한 가식부 무게의 비율에 있어서는, CLB75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이 다른 모든 사료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각폭을 제외한 다른 측정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건미역 사료만을 공급받은 경우보다 모두 유의적으로 우수한 성장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대조군을 포함한 CLB25, CLB50, CLB75 및 CLB100의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은 각장, 각폭, 각고 및 가식부 무게 모두에서 자연산 먹이인 건미역을 공급받은 전복보다 유의적으로 모두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배합사료 내 미역을 당근잎으로 25%(CLB25)와 50%(CLB50) 대체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당근잎으로 75%(CLB75) 및 100%(CLB100) 대체율 증가에 따른 전복의 우수한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대조군 사료에서 미역을 당근잎으로 대체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이 우수하게 성장한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전복의 성장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전복 가식부의 성분 분석
사료를 달리하여 16주간 양식한 전복에 대하여, 상기 사료에 따른 전복 가식부의 성분을 분석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분
(Moisture)
조단백질
(Crude protein)
조지질
(Crude lipid)
회분
(Ash)
대조군
(Con)
75.2±0.01a 19.2±0.06a 1.3±0.06a 2.1±0.01a
CLB25 75.5±0.05a 19.5±0.18a 1.2±0.13a 2.1±0.03a
CLB50 75.4±0.06a 19.6±0.14a 1.3±0.03a 2.1±0.03a
CLB75 75.3±0.09a 19.7±0.13a 1.2±0.03a 2.1±0.01a
CLB100 75.5±0.11a 19.4±0.14a 1.1±0.03a 2.1±0.02a
건미역 75.5±0.06a 19.5±0.07a 1.2±0.05a 2.1±0.04a
* 각 측정치의 윗첨자가 동일한 문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음(p>0.05)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전복용 배합사료 내 미역을 당근잎으로 대체함에 따라 조단백질의 함량을 제외하고는 수분, 조지질 및 회분의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배합사료의 수중 안정성 평가
해수 내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사료 내 건물(dry matter) 함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사료의 수중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관련하여 도 1은 해수 내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사료 내 건물(dry matter)의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2시간 및 24시간 경과 후에는 CLB25 사료 내 건물의 함량이 다른 사료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고, 48시간 경과 후에는 CLB75 사료 내 건물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역을 당근잎으로 대체한 본 발명에 따른 배합사료, 특히 CLB75 사료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건물의 함량이 다른 사료들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사료 내 성분들간의 결착력이 매우 좋아 수중안정성이 우수하고, 이로 인하여 수질오염을 줄여 양식장 환경오염의 저감을 통한 환경친화적 양식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복의 섭취율이 좋아 전복의 성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에 미역 사료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건물의 함량이 다른 사료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미역의 결착력이 저하되어 사료의 수중안정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전복의 사료 섭취량이 저하되며, 허실 사료량의 증가로 사육수질의 악화를 초래하여 성장이 저하될 수 있다.
(5) 전복의 공기노출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 평가
사료를 달리하여 16주간 양식한 전복들을 24시간 동안 상온의 공기에 노출시킨 후 다시 해수에 수용하였을 때, 전복의 누적 폐사율을 조사함으로써, 공기노출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평가하였다.
관련하여 도 2는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의 공기노출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확인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구체적으로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이 상온의 공기에 노출되고, 다시 해수에 수용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누적 폐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미역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들이 다른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누적 폐사율을 나타내었고, 대조군(Con)의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들도 CLB25, CLB50, CLB75 및 CLB100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누적 폐사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배합사료인 CLB25, CLB50, CLB75 및 CLB100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들은 누적 폐사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미역을 당근잎으로 대체함으로써 전복의 공기노출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조성의 사료에 대한 전복의 성장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사료에 따른 전복의 생존율, 체중 증가 및 일일성장률을 살펴본 결과, 본 발명의 CLB25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은 대조군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과 비교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LB50, CLB75 및 CLB100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은 대조군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보다 성장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CLB75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이 가장 우수한 성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사료에 따른 전복의 각장, 각폭, 각고의 성장 및 가식부의 무게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대조군을 포함한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은 자연산 먹이인 건미역을 공급받은 전복보다 모두 유의적으로 우수한 성장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료에 따른 전복 가식부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실험용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은 가식부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질 및 회분의 함량 모두에서 미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기존의 전복용 배합사료 내에 포함되었던 해조류 성분을 본 발명에 따라 당근잎으로 전량 대체하여도 전복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우수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전복의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어분 및 당근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건중량 기준으로, 배합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근잎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건중량 기준으로, 배합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근잎 5 내지 30 중량부, 단백질원 4 내지 35 중량부, 탄수화물원 15 내지 30 중량부 및 지질원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원은 어분, 육분, 면실박, 갑각류 분말, 카제인 및 대두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탄수화물원은 소맥분, 덱스트린, α-감자전분, α+β 감자전분, 수크로오즈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지질원은 대두유, 어유, 우지 및 오징어간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미네랄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20180077552A 2018-07-04 2018-07-04 당근잎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2089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552A KR102089159B1 (ko) 2018-07-04 2018-07-04 당근잎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552A KR102089159B1 (ko) 2018-07-04 2018-07-04 당근잎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559A true KR20200004559A (ko) 2020-01-14
KR102089159B1 KR102089159B1 (ko) 2020-03-13

Family

ID=6915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552A KR102089159B1 (ko) 2018-07-04 2018-07-04 당근잎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1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2735B2 (ja) * 1989-11-18 1997-07-23 株式会社ホーネンコーポレーション エスカルゴ用飼料
KR20020003430A (ko) * 2000-07-01 2002-01-12 이여준 전복 양식용 사료
KR20060099192A (ko) 2005-03-10 2006-09-19 (주)바이오뉴트리젠 항산화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체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가축사료첨가제조성물
KR101568466B1 (ko) 2013-06-05 2015-11-11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민물뱀장어 친어 양식용 사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2735B2 (ja) * 1989-11-18 1997-07-23 株式会社ホーネンコーポレーション エスカルゴ用飼料
KR20020003430A (ko) * 2000-07-01 2002-01-12 이여준 전복 양식용 사료
KR20060099192A (ko) 2005-03-10 2006-09-19 (주)바이오뉴트리젠 항산화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체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가축사료첨가제조성물
KR101568466B1 (ko) 2013-06-05 2015-11-11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민물뱀장어 친어 양식용 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159B1 (ko)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nandez et al. Nutrition of the sea urchin Paracentrotus lividus (Echinodermata: Echinoidea) fed different artificial food
KR100282253B1 (ko)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Santos et al. Can artificial diets be a feasible alternative for the gonadal growth and maturation of the sea urchin Paracentrotus lividus (Lamarck, 1816)?
Olaniyi et al. Replacement value of duck weed (lemna minor) in nile tilapia (Oreoochromis niloticus) DIET
KR100480527B1 (ko) 털게 축양용 사료 조성물
Okpanachi et al. Growth and haematological response of growing rabbits to diets containing graded levels of sun dried bovine rumen content
KR20200004562A (ko) 감귤껍질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0498808B1 (ko) 민어 양식용 배합 사료
KR101644774B1 (ko)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KR101644775B1 (ko) 성어용 넙치 사료 조성물
Keoboualapheth et al. Growth performance of indigenous pigs fed with Stylosanthes guianensis CIAT 184 as replacement for rice bran
KR102078924B1 (ko)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Adeyemi et al. Growth response of growing pigs to diets containing graded levels of cassava plant meal
KR101765796B1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170027650A (ko)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KR102089159B1 (ko) 당근잎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050031319A (ko)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100595967B1 (ko) 조피볼락(우럭) 양식용 사료 조성물
Orire et al. Effects of Crude Protein Levels and Binders on Feed Buoyancy.
Staton et al. Dietary energy sources for the American alligator, Alligator mississippiensis (Daudin)
KR101877925B1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Bassey et al. Effects of different inclusion levels of moringa oleifera leaf meal (MLM) on the fecundity and gonadosomatic index (GSI) of the African Catfish Heterobranchus longifilis
KR20160053190A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Saade et al. The Effect of Corn Starch Substitution with Sargassum sp. Starch in Diet on Grow-Out of Cultivated Rabbitfish,(Siganus guttatus) in Floating Net Cages
Seenappa et al. Effects of feeding levels on food utilization and growth of catla f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