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310A - 광 파이버 케이블 - Google Patents

광 파이버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310A
KR20200004310A KR1020197032975A KR20197032975A KR20200004310A KR 20200004310 A KR20200004310 A KR 20200004310A KR 1020197032975 A KR1020197032975 A KR 1020197032975A KR 20197032975 A KR20197032975 A KR 20197032975A KR 20200004310 A KR20200004310 A KR 20200004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ore wire
tape core
cabl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타 츠치야
마사카즈 다카미
쿠우신 랸
겐타로 다케다
요시아키 나가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4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복수 개의 광 파이버 심선이 배열된 테이프 심선과, 상기 테이프 심선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텐션 멤버와, 상기 2개의 텐션 멤버를 연결하는 선분과 병행하는 위치에 상기 테이프 심선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텐션 멤버와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가 케이블 외피로 대략 장방형 형상이 되도록 일체로 피복되며, 2쌍의 떼어냄 노치가 상기 케이블 외피의 길이방향에 형성된 광 파이버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는 상기 2쌍의 떼어냄 노치의 각각을 연결하는 선분을 초과하는 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의 사이에 완충재를 구비하며, 상기 완충재에 의해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의 간격이 대략 소정값으로 보지되며, 상기 완충재는 상기 테이프 심선과 접촉하고 있는 광 파이버 케이블이다.

Description

광 파이버 케이블
본 발명은 광 파이버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7년 5월 8일 출원된 일본 출원 제 2017-092226 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일본 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을 원용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박리 테이프(개재부)를 3매 실장하고 있는 광 파이버 케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9-217195 호 공보
본 개시된 광 파이버 케이블은, 복수 개의 광 파이버 심선이 배열된 테이프 심선과, 상기 테이프 심선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텐션 멤버와, 상기 2개의 텐션 멤버를 연결하는 선분과 병행하는 위치에 상기 테이프 심선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텐션 멤버와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가 케이블 외피로 대략 장방형 형상이 되도록 일체로 피복되고, 2쌍의 떼어냄 노치가 상기 케이블 외피의 길이방향에 형성된 광 파이버 케이블로서,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는 상기 2쌍의 떼어냄 노치의 각각을 연결하는 선분을 초과하는 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의 사이에 완충재를 구비하며, 상기 완충재에 의해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의 간격이 대략 소정값으로 보지되며, 상기 완충재는 상기 테이프 심선과 접촉되어 있는 광 파이버 케이블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광 파이버 케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광 파이버 케이블의 일 예의 전용 분할 공구에 의한 분할 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광 파이버 케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광 파이버 케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광 파이버 케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광 파이버 케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종래의 광 파이버 케이블에 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종래의 광 파이버 케이블의 전용 분할 공구에 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c는 종래의 광 파이버 케이블의 전용 분할 공구에 의한 분할 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종래의 광 파이버 케이블이 소심화(少心化)되고, 광 파이버 심선과 평판형상 개재부가 접하여 배치된 경우에, 전용 분할 공구의 칼날을 노치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종래의 광 파이버 케이블이 소심화되고, 광 파이버 심선과 평판형상 개재부가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간헐 테이프 심선을 폐쇄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간헐 테이프 심선을 배열방향으로 개방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통신 사업자와 각 가정을 직접 광 파이버로 연결하여 고속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FTTH(Fiber To The Home) 서비스가 개시되어, 가입자 집으로의 광 파이버의 인입이나 구내 네트워크 등의 확대로 복수의 가정이나 복수 단말에 분배하는 배선 공사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배선 공사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선용 광 파이버 케이블의 세경화·경량화(소위, 소심화)가 실행되고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종래의 배선용 광 파이버 케이블 및 전용 분할 공구에 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광 파이버 케이블을 도시하고, 도 3b는 전용 분할 공구를 도시하며, 도 3c는 전용 분할 공구에 의해 광 파이버 케이블이 분할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 중, 도면부호 100은 광 파이버 케이블, 도면부호 101은 케이블 외피, 도면부호 102는 텐션 멤버, 도면부호 103은 광 파이버 심선, 도면부호 104는 평판형상 개재부, 도면부호 105는 떼어냄 노치, 도면부호 106은 지지선, 도면부호 107은 지지선 피복, 도면부호 108은 연결부를 나타낸다.
광 파이버 케이블(100)은 자기 지지형의 광 파이버 케이블이며, 케이블 외피(시스라고도 함)(101)의 대략 중앙부에 복수 개의 광 파이버 심선(103)이 꼬이지 않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 광 파이버 심선(103)을 사이에 두도록 플라스틱제의 평판형상 개재부(104)가 배치된다. 그리고, 광 파이버 심선(103)의 양측에는 텐션 멤버(항장력체라고도 함)(102)가 일체로 매설되고, 또한 광 파이버 심선(103)을 취출하기 위한 V자형상의 떼어냄 노치(10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광 파이버 케이블(100)은 지지선(106)을 구비하며, 이 지지선(106)은 예를 들면, 1.2 내지 2.6 ㎜φ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며, 지지선(106)을 피복하는 지지선 피복(107)은 연결부(108)를 거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으로 케이블 외피(101)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광 파이버 케이블(100)은 이 지지선 부분의 유무에 관계없이, 옥내용 또는 드롭용의 광 파이버 케이블로서 사용된다.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용 분할 공구(110)는 베이스 부재(111)에 칼날(112)이 형성되며, 광 파이버 케이블(100)을 베이스 부재(111)의 오목부에 세트하고 사이에 끼웠을 때에, 칼날(112)이 떼어냄 노치(105)에 맞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전용 분할 공구(11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부설된 광 파이버 케이블(100)의 중간부에서의 광 파이버 심선(103)의 취출을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 파이버 케이블(100)의 떼어냄 노치(105)에 전용 분할 공구(110)의 칼날(112)을 삽입함으로써,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되고, 광 파이버 심선(103)을 취출할 수 있다. 전용 분할 공구(110)의 칼날(112)은 광 파이버 케이블(100)을 사이에 끼우고, 폐쇄된 상태에서 대항하는 칼끝끼리가 소정값이 되는 일정한 거리(예를 들면 0.62 ㎜)를 두고 이격되는 길이로 마련되며, 광 파이버 케이블(100)의 케이블 외피(101)에 대한 홈 깊이를 규제하고 있다.
상기에 있어서, 광 파이버 심선(103)과 병행으로 배열되어 있는 평판형상 개재부(104)가 광 파이버 심선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개재부의 존재에 의해 광 파이버 심선(103)은 케이블 외피(101)에 매몰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광 파이버 심선(103)은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0.25 ㎜ 직경의 4심 테이프 심선 2매(8심) 등에 의해 구성되지만, 평판형상 개재부(104)의 사이의 거리를 전용 분할 공구(110)의 칼날(112)이 정확히 닿는 거리(대략 소정값)로 하는 것에 의해, 광 파이버 심선(103)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이, 광 파이버 심선(103)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광 파이버 케이블(100)의 소심화나 광 파이버 심선(103)의 세경화 등에 의해, 실장되는 광 파이버 심선(103)의 단면적의 합이 작아지면, 평판형상 개재부(104)의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멀어지게 할 수 없고, 전용 분할 공구(110)의 칼날(112)이 평판형상 개재부(104)에 닿지 않게 되어, 광 파이버 심선(103)을 취출하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서, 이하의 도 4a 및 도 4b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세경화된 8심의 광 파이버 심선(103)과 평판형상 개재부(104a)가 접하여 배치되며, 떼어냄 노치(105)에 전용 분할 공구(110)의 칼날(112)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b는 동일하게 세경화된 8심의 광 파이버 심선(103)과 평판형상 개재부(104b)가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에 있어서, 광 파이버 심선(103)은 심 수는 동일하지만, 단면적의 합이 도 3a에 있어서의 광 파이버 심선(103)보다 작게 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파이버 심선(103)과 평판형상 개재부(104a)가 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평판형상 개재부(104a)의 사이의 거리가 도 3a에 있어서의 경우보다 좁아지기 때문에, 전용 분할 공구(110)를 이용하여 분할할 때에, 그 칼날(112)이 평판형상 개재부(104a)에 닿지 않게 된다. 칼날을 길게 하면 닿게 되지만, 공구를 복수 종류 준비할 필요가 있고, 또한 칼날의 삽입에 큰 힘이 필요하여, 칼날이 파손될 우려도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파이버 심선(103)과 평판형상 개재부(104b)가 접하지 않고 배치되는 경우, 평판형상 개재부(104b)의 사이에 일정한 거리(대략 소정값)가 확보되어, 전용 분할 공구(110)의 칼날(112)이 평판형상 개재부(104b)에 닿게 되지만, 광 파이버 심선(103)이 케이블 외피(101)에 매몰되어 버린다. 결과적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전용 분할 공구(110)를 이용하여 광 파이버 심선(103)을 취출하는 작업을 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반하여, 특허문헌 1에는 박리 테이프(개재부)를 3매 실장하고, 광 파이버 심선(테이프 심선을 포함함)이 케이블 외피에 접착이나 매설되는 일이 없이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광 파이버 케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구조에 의하면, 실장된 3매의 박리 테이프(개재부) 중, 중앙의 박리 테이프(개재부)는 적어도 2열의 광 파이버 심선의 열 사이에 배치되며, 노치의 홈 축선과 교차하도록 광 파이버 심선열의 양단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폭을 구비하며, 외측의 박리 테이프(개재부)는 광 파이버 심선열의 최외표면에 접하며, 노치의 홈 축선과 교차하지 않지만 광 파이버 심선열의 최외표면을 완전히 덮는 폭을 구비한다.
그렇지만, 원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 파이버 케이블에 있어서는, 케이블 외피의 절단에 니퍼와 같은 일반적인 공구를 이용하고 있으며, 칼날의 길이가 일정한 전용 분할 공구를 이용하는 것은 상정되어 있지 않는다. 따라서, 외측의 박리 테이프(개재부)의 사이의 거리는 광 파이버 심선의 취출 용이함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전용 분할 공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작업을 하기 어렵다.
그래서, 광 파이버 케이블의 소심화나 광 파이버 심선의 세경화 등에 의해, 실장되는 광 파이버 심선의 단면적의 합이 작아져도 전용 분할 공구의 칼날이 닿을 정도로 평판형상 개재부의 사이의 거리를 대략 규정값으로 보지하며, 또한 광 파이버 심선이 케이블 외피에 매몰되는 일이 없이, 광 파이버 심선의 취출이 용이한 광 파이버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효과]
본 개시에 의하면, 광 파이버 케이블의 소심화나 광 파이버 심선의 세경화 등에 의해 실장되는 광 파이버 심선의 단면적의 합이 작아져도, 평판형상 개재부의 사이의 거리를 대략 규정값으로 보지하며, 또한 광 파이버 심선이 케이블 외피에 매몰되는 일이 없이, 전용 분할 공구에 의한 광 파이버 심선의 취출이 용이한 광 파이버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
최초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열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광 파이버의 발명은 (1) 복수 개의 광 파이버 심선이 배열된 테이프 심선과, 상기 테이프 심선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텐션 멤버와, 상기 2개의 텐션 멤버를 연결하는 선분과 병행하는 위치에 상기 테이프 심선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텐션 멤버와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가 케이블 외피로 대략 장방형 형상이 되도록 일체로 피복되며, 2쌍의 떼어냄 노치가 상기 케이블 외피의 길이방향에 형성된 광 파이버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는 상기 2쌍의 떼어냄 노치의 각각을 연결하는 선분을 초과하는 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의 사이에 완충재를 구비하며, 상기 완충재에 의해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의 간격이 대략 소정값으로 보지되고, 상기 완충재는 상기 테이프 심선과 접촉하고 있는 광 파이버 케이블이다. 광 파이버 케이블의 소심화나 광 파이버 심선의 세경화 등에 의해, 실장되는 광 파이버 심선의 단면적의 합이 작아져도, 평판형상 개재부의 사이의 거리를 대략 소정값으로 보지하며, 또한 광 파이버 심선이 케이블 외피에 매몰되는 일이 없이, 전용 분할 공구에 의한 광 파이버 심선의 취출이 용이하게 된다.
(2)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의 간격이 상기 테이프 심선 및 상기 완충재에 의해 대략 소정값으로 보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심선 자체도 간격 보지 부재로서 이용하고, 완충재를 이용하는 양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광 파이버 케이블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3) 상기 테이프 심선의 단심과 상기 케이블 외피가 접촉하는 각도가 180° 이하가 되도록 상기 완충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외피와의 접촉각이 작기 때문에, 테이프 심선의 단심은 케이블 외피에 매몰되기 어려워져, 테이프 심선을 손끝으로 집어 인장할 때에, 테이프 수지가 벗겨져 단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테이프 심선을 케이블 외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4)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의 간격이 상기 완충재만에 의해 대략 소정값으로 보지되고, 또한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테이프 심선과 비접촉인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재를 테이프 심선에 대해서 2개의 텐션 멤버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종방향)에 직교하는 위치에, 횡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의 간격을 대략 소정값으로 보지할 수 있다.
(5) 상기 테이프 심선이 인접하는 광 파이버 심선끼리를 연결부와 비연결부에 의해 간헐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간헐 테이프 심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심선을 케이블 외피로부터 취출한 후에 광 파이버 심선을 단심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광 파이버 케이블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금회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의미가 아니고,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제 1 실시형태)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광 파이버 케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광 파이버 케이블(10)은 예를 들면 단면이 대략 장방형 형상의 본체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 파이버 케이블(10)은 옥외용의 광 파이버 케이블과 같이, 본체부(20)와, 지지선 피복(17)으로 주위가 덮인 지지선(16)을 연결부(18)로 연결한 자기 지지형의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체부(20)는 중심에 테이프 심선(13)을 구비하고, 그 양측에 2개로 한쌍의 텐션 멤버(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케이블 외피(11)로 일체적으로 피복되어 있다.
테이프 심선(13)은 예를 들면 4개의 광 파이버 심선을 병렬로 배치하고, 전체 길이에 걸쳐서 공통 피복으로 테이프형상으로 일체화한 것이다.
광 파이버 심선은 예를 들면, 표준 외경 125 ㎛의 유리 파이버에 피복 외경이 250 ㎛ 전후의 피복을 실시한 광 파이버 소선이라 하는 것의 외측에 추가로 착색 피복을 실시한 것이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피복 외경이 165 ㎛, 200 ㎛ 정도의 세경 파이버라도 좋다. 또한, 광 파이버의 심 수는 2심, 8심 등 임의의 심 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테이프 심선을 대신하여, 도 5a 및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간헐 테이프 심선이어도 좋다. 도 5a는 간헐 테이프 심선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5b는 간헐 테이프 심선을 배열방향으로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 간헐 테이프 심선(5)은 4개의 광 파이버 심선(1 내지 4)이 평행 일렬로 배열되고, 인접하는 광 파이버 심선끼리를 연결부(6a)와 비연결부(6b)에 의해 간헐적으로 연결하여 형성된 것이다. 또한, 연결부(6a)와 비연결부(6b)를 1심마다 마련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2심마다 마련하여도 좋다.
또는, 피복을 각 광 파이버 심선의 형상을 따르도록 움푹하게 한 테이프 심선이어도 좋다. 이 구조의 경우, 피복을 공구로 바싹 당기면, 그 응력에 의해 심선 간에 균열이 생기므로, 용이하게 광 파이버 심선마다 분할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심선이 아닌, 단심의 광 파이버 심선을 복수 정렬한 것이어도 좋다.
텐션 멤버(12)는 테이프 심선(13)의 양측에, 이 테이프 심선(1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대략 평행하게 각각 배치되어 있다. 텐션 멤버(12)에는 인장이나 압축에 대한 내력을 구비하는 선재로서, 예를 들면 강선이나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등이 이용된다. 2개의 텐션 멤버(12)를 나란하게 한 경우, 광 파이버 케이블(10)은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종방향이라고도 함)으로는 굽혀지기 어려워지고,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횡방향)으로 굽혀지기 쉬워진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심선(13)의 주위에는 평판형상 개재부(14)나 완충재(19)가 마련되어 있다.
평판형상 개재부(14)는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서 병행하는 위치에 나란하도록 2매 배치되며, 테이프 심선(13)을 사이에 두고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평판형상 개재부(14)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제의 부재이며, 케이블 외피(11)의 압출 성형시나 광 파이버 케이블(10)의 해체시에 그 내부의 테이프 심선(13)을 보호한다.
완충재(19)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제의 섬유형상의 부재이며,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서 병행하는 위치에 2개 배치되며, 테이프 심선(13)을 사이에 두고 있으며, 테이프 심선(13)과 접촉하고 있다. 또한, 완충재(19)의 부재로서는,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수지제의 얀(yarn)을 이용하여도 좋지만, 수지제가 아니어도 좋다.
이 완충재(19)의 폭을 조정하여, 완충재(19)를 2개, 테이프 심선(13)과 나란하게 평판형상 개재부(14)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평판형상 개재부(14)의 간격을 전용 분할 공구의 칼날이 정확히 닿는 거리(대략 소정값)로 하고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재(19)는 테이프 심선(13)의 단심과 케이블 외피(11)가 접촉하는 각도가 180° 이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 외피(11)와의 접촉각이 작기 때문에, 테이프 심선(13)의 단심은 케이블 외피(11)에 매몰되기 어려워져, 테이프 심선(13)을 손끝으로 집어 인장하기 시작할 때에, 테이프 수지가 벗겨져 단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테이프 심선(13)을 케이블 외피(11)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케이블 외피(11)는 본체부(20)의 피복을 구성하고,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수지를 압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성형되며, 테이프 심선(13)이나 텐션 멤버(12), 평판형상 개재부(14) 등을 덮는다. 대략 장방형 형상의 본체부(20)에는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종방향)으로 약 6 ㎜ 정도의 폭을 구비한 장측면이 마련되며,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횡방향)으로 약 3 ㎜ 정도의 폭을 구비한 단측면이 마련된다.
본체부(20)의 장측면에는 외피 인열용의 2쌍의 떼어냄 노치(15)가 마련되어 있다. 떼어냄 노치(15)는 단면 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V자의 이등분선 상에 위치하는 선단이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횡방향)으로 대치하고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광 파이버 케이블의 일 예의 전용 분할 공구에 의한 분할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광 파이버 케이블(10)의 본체부(20)는 떼어냄 노치(15)에 전용 분할 공구(110)의 칼날(112)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되며, 테이프 심선(13)을 취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광 파이버 케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 2 실시형태와 도 1a에서 설명한 제 1 실시형태는 테이프 심선(13)의 심 수는 동일하지만, 완충재(19)의 위치, 크기 및 개수가 상이하다. 상세하게는, 도 2a에 도시한 광 파이버 케이블(10)에서는 완충재(19)가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서 병행하는 위치에 1개 배치되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14)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접하는 2매의 테이프 심선(13)의 사이에 끼워져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1개의 완충재(19)는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횡방향)에 대해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개의 완충재(19)에 상당하는 정도의 두께를 구비한다.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테이프 심선(13)의 단심과 케이블 외피(11)가 접촉하는 각도가 180° 이하가 되도록 완충재(19)가 배치되어 있어, 테이프 심선(13)의 단심이 케이블 외피(11)에 매몰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2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광 파이버 케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 3 실시형태와 도 1a에서 설명한 제 1 실시형태는 테이프 심선(13)의 심 수는 동일하지만, 완충재(19)의 위치, 크기 및 개수가 상이하다. 상세하게는, 도 2b에 도시한 광 파이버 케이블(10)에서는 완충재(19)가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서 병행하는 위치에 1개 배치되고,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14)의 대향하는 면의 한쪽에 접해서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테이프 심선(13)은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종방향)으로 2매 나란하게 배치되며, 완충재(19)와 상기 완충재(19)가 접하고 있는 평판형상 개재부(14)는 상이한 평판형상 개재부(14)에 끼워져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1개의 완충재(19)는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횡방향)에 대해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개의 완충재(19)와 1매의 테이프 심선(13)에 상당하는 정도의 두께를 구비한다.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테이프 심선(13)의 단심과 케이블 외피(11)가 접촉하는 각도가 180° 이하가 되도록 완충재(19)가 배치되어 있어, 테이프 심선(13)의 단심이 케이블 외피(11)에 매몰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2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광 파이버 케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 4 실시형태와 도 1a에서 설명한 제 1 실시형태는 테이프 심선(13)의 심 수는 동일하지만, 완충재(19)의 위치 및 개수가 상이하다. 상세하게는, 도 2c에 도시한 광 파이버 케이블(10)에서는 완충재(19)가 테이프 심선(13)에 대해서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종방향)의 양측 및 동일한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위치에 2개씩 합계 4개 배치되며, 각각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14)의 대향하는 면에 일부, 또는 편면의 전부가 접해서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테이프 심선(13)은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서 병행하는 위치에 2매 나란하게 배치되며, 4개의 완충재(19)에 둘러싸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4개의 완충재(19) 중,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서 병행하는 위치에 마련된 2개의 완충재(19)는 횡방향에 대해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개의 완충재(19)에 상당하는 정도의 두께를 구비한다.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완충재(19)를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서 병행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동시에, 테이프 심선(13)에 대해서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종방향)에 직교하는 위치에도 배치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 심선(13)이 케이블 외피(11)에 일절 접촉하지 않아, 테이프 심선(13)을 취출할 때에, 테이프 심선(13)을 덮는 테이프 수지가 벗겨져 단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전하게 테이프 심선(13)을 케이블 외피(11)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2d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광 파이버 케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 5 실시형태와 도 1a에서 설명한 제 1 실시형태는 테이프 심선(13)의 심 수는 동일하지만, 완충재(19)의 위치 및 크기가 상이하다. 상세하게는, 도 2d에 도시한 광 파이버 케이블(10)에서는, 완충재(19)가 테이프 심선(13)에 대해서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종방향)에 직교하는 위치에 2개 배치되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14)의 대향하는 면에 일부가 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테이프 심선(13)은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서 병행하는 위치에 2매 나란하게 배치되며, 2개의 완충재(19)에 끼워져 마련되어 있다.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14) 중 적어도 하나는 테이프 심선(13)과 비접촉이며, 동일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 외피(11)는 테이프 심선(13)과 평판형상 개재부(14)와 완충재(19)로 둘러싸인 영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완충재(19)를 테이프 심선(13)에 대해서 2개의 텐션 멤버(12)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위치에 횡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개의 완충재(19)와 2매의 테이프 심선(13)에 상당하는 정도의 간격을 보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광 파이버 케이블의 소심화나 광 파이버 심선의 세경화 등에 의해, 실장되는 광 파이버 심선의 단면적의 합이 작아져도, 전용 분할 공구의 칼날이 닿을 정도로 평판형상 개재부의 사이의 거리를 대략 소정값으로 보지하고, 또한 광 파이버 심선이 케이블 외피에 매몰되는 일이 없이, 광 파이버 심선의 취출이 용이한 광 파이버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내지 4, 103: 광 파이버 심선 5: 간헐 테이프 심선
10, 100: 광 파이버 케이블 11, 101: 케이블 외피
12, 102: 텐션 멤버 13: 테이프 심선
14, 104: 평판형상 개재부 15, 105: 떼어냄 노치
16, 106: 지지선 17, 107: 지지선 피복
18, 108: 연결부 19: 완충재
20: 본체부 110: 전용 분할 공구
111: 베이스 부재 112: 칼날

Claims (5)

  1. 복수 개의 광 파이버 심선이 배열된 테이프 심선과, 상기 테이프 심선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텐션 멤버와, 상기 2개의 텐션 멤버를 연결하는 선분과 병행하는 위치에 상기 테이프 심선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텐션 멤버와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가 케이블 외피로 대략 장방형 형상이 되도록 일체로 피복되며, 2쌍의 떼어냄 노치가 상기 케이블 외피의 길이방향에 형성된 광 파이버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는 상기 2쌍의 떼어냄 노치의 각각을 연결하는 선분을 초과하는 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의 사이에 완충재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재에 의해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의 간격이 대략 소정값으로 보지되며, 상기 완충재는 상기 테이프 심선과 접촉하고 있는
    광 파이버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의 간격이 상기 테이프 심선 및 상기 완충재에 의해 대략 소정값으로 보지되어 있는
    광 파이버 케이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심선의 단심과 상기 케이블 외피가 접촉하는 각도가 180° 이하가 되도록 상기 완충재가 배치되어 있는
    광 파이버 케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의 간격이 상기 완충재만에 의해 대략 소정값으로 보지되며, 또한 상기 2매의 평판형상 개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테이프 심선과 비접촉인
    광 파이버 케이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심선이 인접하는 광 파이버 심선끼리를 연결부와 비연결부에 의해 간헐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간헐 테이프 심선인
    광 파이버 케이블.
KR1020197032975A 2017-05-08 2018-05-07 광 파이버 케이블 KR202000043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2226 2017-05-08
JP2017092226 2017-05-08
PCT/JP2018/017628 WO2018207733A1 (ja) 2017-05-08 2018-05-07 光ファイバケーブ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310A true KR20200004310A (ko) 2020-01-13

Family

ID=6410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975A KR20200004310A (ko) 2017-05-08 2018-05-07 광 파이버 케이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96558B2 (ko)
KR (1) KR20200004310A (ko)
WO (1) WO2018207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9108B2 (ja) * 2019-06-17 2023-05-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986301B1 (ja) * 2021-01-18 2021-12-22 株式会社マイセック 皮むき工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7195A (ja) 2008-03-13 2009-09-24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2179A (ja) 2004-09-06 2006-03-16 Fujikura Ltd 平型光ファイバコード
JP4300230B2 (ja) 2006-09-14 2009-07-22 住電ハイ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光ケーブル分割工具
JP4224092B2 (ja) * 2006-09-14 2009-02-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その分岐方法
US20090034918A1 (en) 2007-07-31 2009-02-05 William Eric Caldwell Fiber optic cables having coupling and methods therefor
JP5789630B2 (ja) * 2013-04-01 2015-10-0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7195A (ja) 2008-03-13 2009-09-24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207733A1 (ja) 2020-05-14
JP6996558B2 (ja) 2022-01-17
WO2018207733A1 (ja)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7215B2 (en) Fiber optic cables with easy access features
EP1910879B1 (en) Fiber optic cables and assemblies for fiber to the subscriber applications
US5611017A (en) Fiber optic ribbon cable with pre-installed locations for subsequent connectorization
US9052459B2 (en) Cable assembly and method
US7406232B2 (en) Non-round fiber optic cable having improved major axis crush resistance
US5574817A (en) Fiber optic ribbon cabl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12220858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20040247265A1 (en) Branching method for an optical fiber cable
KR20200004310A (ko) 광 파이버 케이블
JP2014137480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EP2265985B1 (en) Optical fiber cable
JP608262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4665535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515751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20230400653A1 (en) Optical fiber ribbon
JP6413593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9470865B1 (en) Pre-terminated fiber cable
JP4888409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520692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9217195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AU2014209679B2 (en) Cable assembly and method
JP491105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1118382A (ja) 光ドロップケーブル
JP2010271560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7034080A (ja) 単心分離型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