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216A -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216A
KR20200004216A KR1020180077357A KR20180077357A KR20200004216A KR 20200004216 A KR20200004216 A KR 20200004216A KR 1020180077357 A KR1020180077357 A KR 1020180077357A KR 20180077357 A KR20180077357 A KR 20180077357A KR 20200004216 A KR20200004216 A KR 20200004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in
cooling
evaporator
cooling fins
f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to KR102018007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4216A/ko
Priority to CN201910150252.5A priority patent/CN110671863A/zh
Priority to US16/450,385 priority patent/US20200011577A1/en
Publication of KR20200004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with respect to movabl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5/00Fins
    • F28F2215/04Assemblies of fins having different features, e.g. with different fin dens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위치되고,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 시켜 상기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는,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제공되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의 열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는 냉각핀;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핀과 열교환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매관; 및 상기 냉각핀의 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제공되고, 지면과 수직하게 제공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냉각핀의 열 중 적어도 두 열은, 상기 지지부와 평행한 제1 냉각핀; 상기 제1 냉각핀에 대해 일 방향으로 경사진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1 냉각핀에 대해 타 방향으로 경사진 제3 냉각핀을 포함하고, 상기 두 열 중 어느 하나의 열에는 상기 제2 냉각핀이 상기 제1 냉각핀의 일측에 제공되고, 다른 하나의 열에는 상기 제2 냉각핀이 상기 제1 냉각핀의 타측에 제공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Evapo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써,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장고의 내부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며, 냉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과정을 거치는 냉동 사이클(Cycle)에 의한 냉매의 열 교환 작용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냉장고에는 증발기가 제공된다. 증발기는 복수의 냉각핀과 냉매관을 포함하고,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증발기 주위의 공기를 열교환 시켜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때, 냉각핀은 일 방향으로 제공되어 있고, 증발기 내부의 공기는 냉각핀의 사이를 유동하면서 냉각된다.
대부분의 냉각핀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냉각핀은 인접하는 냉매관 및 다른 냉각핀에 의해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핀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면적이 제한될 수 있고, 냉기를 공급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 내부에서 열전달이 이뤄지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냉각핀의 개수를 늘려야 하므로, 재료비가 상승하며 증발기 전체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86765호 (2007.02.16.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증발기가 효과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냉각 속도가 향상될 수 있는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는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소형화될 수 있는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위치되고,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 시켜 상기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는,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제공되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의 열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는 냉각핀;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핀과 열교환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매관; 및 상기 냉각핀의 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제공되고, 지면과 수직하게 제공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냉각핀의 열 중 적어도 두 열은, 상기 지지부와 평행한 제1 냉각핀; 상기 제1 냉각핀에 대해 일 방향으로 경사진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1 냉각핀에 대해 타 방향으로 경사진 제3 냉각핀을 포함하고, 상기 두 열 중 어느 하나의 열에는 상기 제2 냉각핀이 상기 제1 냉각핀의 일측에 제공되고, 다른 하나의 열에는 상기 제2 냉각핀이 상기 제1 냉각핀의 타측에 제공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냉각핀과 상기 제3 냉각핀은 상기 제1 냉각핀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2 냉각핀과 상기 제3 냉각핀은 상하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핀은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냉매관은 하나의 상기 냉각핀의 열을 1회 또는 2회 관통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열 중 상측 열의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냉각핀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두 열 중 하측 열의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냉각핀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형태로 제공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상기 하측 열을 지나면서 상기 증발기의 양측 가장자리로 퍼진 후, 상기 상측 열을 지나면서 상기 증발기의 중앙 방향으로 모여 토출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열과 상기 하측 열의 사이에 하나의 열이 제공되고, 상기 상측 열과 상기 하측 열 사이의 중간 열은 복수 개의 상기 제1 냉각핀으로 제공되는 제공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상기 하측 열을 지나면서 상기 증발기의 양측 가장자리로 퍼진 후, 상기 중간 열을 지나면서 지면과 수직하게 이동하고, 상기 상측 열을 지나면서 상기 증발기의 중앙 방향으로 모여 토출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냉각핀과 상기 제3 냉각핀은 상기 증발기를 정면 또는 배면으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냉장고의 내부에 제공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로서, 내부에 냉매가 제공되고, 반복 절곡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냉매관; 상기 냉매관의 절곡되지 않은 측에 기 설정된 간격을 따라 복수개 제공되는 냉각핀; 및 상기 냉매관을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은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냉각핀은 제2 냉각핀, 제3 냉각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핀은 상기 냉매관에 대해 일 방향으로 기울어져, 공기의 유동을 일 방향으로 유도하고, 상기 제3 냉각핀은 상기 냉매관에 대해 타 방향으로 기울어져, 공기의 유동을 타 방향으로 유도하며, 상기 냉각핀은 복수 개의 열로 제공되고, 상기 증발기로 유입된 공기는 상류 측에 배치된 열에 제공된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에 의해 상기 증발기의 양측 가장자리로 퍼진 후, 하류 측에 배치된 열에 제공된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에 의해 상기 증발기의 중앙 방향으로 모여 토출되는 증발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핀의 열의 상기 제2 냉각핀과 상기 제3 냉각핀의 사이에 상기 지지부와 평행한 제1 냉각핀이 제공되는 증발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핀은 2개의 열로 제공되고, 상기 증발기로 유입된 공기의 상류 측에 배치된 열은 중앙에 상기 제1 냉각핀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냉각핀의 양측에 각각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냉각핀과 인접하도록 경사진 복수의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이 제공되고, 하류 측에 배치된 열은 중앙에 상기 제1 냉각핀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냉각핀의 양측에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냉각핀과 인접하도록 경사진 복수의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이 제공되는 증발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핀은 3개의 열로 제공되고, 상기 증발기로 유입된 공기의 상류 측에 배치된 열은 중앙에 상기 제1 냉각핀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냉각핀의 양측에 각각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냉각핀과 인접하도록 경사진 복수의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이 제공되고, 중간 열은 복수의 상기 제1 냉각핀으로 제공되며, 하류 측에 배치된 열은 중앙에 상기 제1 냉각핀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냉각핀의 양측에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냉각핀과 인접하도록 경사진 복수의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이 제공되는 증발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는 증발기가 효과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각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형화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제공되는 증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제공되는 증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는 양문형 냉장고(Side by Side, SBS)가 도시되어 있고, 냉장실과 냉동실 중 냉동실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F)이 구비되는 본체(10), 본체(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 본체(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냉동실(F)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냉동실(F)에는 다수의 선반(12)과 다수의 수납박스(13)가 제공될 수 있으며, 냉동실 도어(11)의 배면에는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바스켓(14)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식품 저장 수단(12, 13, 14)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식품을 냉장고 내부의 공간에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냉동실(F)의 후방에는 차단벽(20)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어 냉기생성실(30)을 구획할 수 있다. 냉기생성실(30)의 내부에는 냉매와 냉장고 내부의 공기를 열교환시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31)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31)의 상측에는 증발기(31)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F) 내부로 강제대류 시키기 위한 송풍팬(40)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차단벽(20)에는 증발기(31)에서 생성된 냉기가 통과될 수 있는 냉기 토출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냉기의 원활한 토출을 위하여 냉기 토출구(21)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단벽(20)의 하측에는 냉동실(F)을 순환한 냉기가 다시 증발기(31)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기 흡입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냉기 흡입구(22)의 후방에는 냉기가 원활하게 냉기 생성실(30)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팬(41)이 제공될 수 있다.
냉장고의 하측에는 냉각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50), 응축기(미도시), 감압장치(미도시) 등이 배치되는 기계실(60)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증발기(31)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기 토출구(21)를 통과하여 냉동실(F) 내부로 토출될 수 있고, 냉기는 냉동실(F)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품을 냉각시킨 후 냉기 흡입구(22)를 통해 다시 증발기(31)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말하는 냉장고의 냉각장치(이하, 냉각장치)란 냉장고 내부의 공간을 냉각시키기 위해 기능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 넓은 개념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냉각장치는, 냉각사이클, 송풍팬(40), 흡입팬(41), 냉기 생성실(30), 냉기 토출구(21), 냉기 흡입구(22), 기계실(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제공되는 증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200)는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 시켜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복수의 냉각핀(210) 및 냉매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증발기(200)는 냉장고의 저장실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증발기(200)는 냉동실의 배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00)는 송풍팬의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의 작동에 따라, 증발기(200)를 거치는 공기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냉각핀(210)은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냉각핀(210)은 냉매관(220)의 크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홀(미표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냉각핀(210)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의 열(row)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냉각핀(210)은 냉매관(220)과 접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냉매관(220)은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냉각핀(210)과 열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관(220)은 복수의 냉각핀(210)의 홀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냉매관(220)은 일측이 절곡된 형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냉매관(220)은 냉각핀(210)의 하나의 열을 모두 관통한 뒤 냉각핀(210)의 열의 외측에서 구부러지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냉매관(220)은 반복 절곡되어 복수의 냉각핀(210)의 열을 모두 관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매관(220)이 하나의 냉각핀(210)의 열을 1회 또는 2회 지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냉매관(220)과 냉각핀(210)의 연결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냉매관(220)은 하나의 냉각핀(210)의 열을 1회 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발기(200)에 제공된 냉매는 냉매관(220)을 통과하면서 냉매관(220)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냉매관(220) 내부의 냉매는 냉각핀(210)을 통해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한편, 증발기(200)는 외측 영역에 지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30)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냉각핀(210)의 열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냉매관(220)이 관통될 수 있도록 냉매관(220)에 대응하는 홀(미표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30)는 냉각핀(210)의 각 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냉매관(220)의 일부 구간은 지지부(230)의 외측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냉각핀(210)은 지지부(230)와의 상대 각도에 따라 제1 냉각핀(211),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30)는 지면과 수직하게 제공될 수 있고, 제1 냉각핀(211)은 지지부(230)와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냉각핀(211)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2 냉각핀(212)은 냉매관(2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기울어져 공기의 유동을 일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고, 제3 냉각핀(213)은 냉매관(220)에 대해 타 방향으로 기울어져 공기의 유동을 타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냉각핀(210)의 복수 개의 열 중 적어도 두 열은 제1 냉각핀(211),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핀(210)의 복수 개의 열 중 적어도 두 열은 중앙에 제1 냉각핀(2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냉각핀(211)에 대해 일 방향으로 경사진 제2 냉각핀(212)과, 제1 냉각핀(211)에 대해 타 방향으로 경사진 제3 냉각핀(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두 열 중 어느 하나의 열에는 제2 냉각핀(212)이 제1 냉각핀(211)의 일측에 제공되고 제3 냉각핀(213)이 제1 냉각핀(211)의 타측에 제공되며, 다른 하나의 열에는 제2 냉각핀(212)이 제1 냉각핀(211)의 타측에 제공되고 제3 냉각핀(213)이 제1 냉각핀(211)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은 중앙에 제공되는 제1 냉각핀(211)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은 증발기(200)를 정면 또는 배면으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열의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은 상측으로 갈수록 제1 냉각핀(211)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측 열의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은 하측으로 갈수록 제1 냉각핀(211)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각 열에 제공되는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은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공될 수 있고, 각각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송풍팬의 작동에 따라 증발기(2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하측 열 및 상측 열의 복수 개의 냉각핀(210)을 차례로 거친 뒤 증발기(20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공기는 냉각핀(210)의 설정 면적과 접촉하며 대류에 의해 냉각 될 수 있다. 즉, 증발기(200)를 통과하는 공기는 하측 열의 냉각핀(210)을 거치면서 증발기(200)의 양측 가장자리로 퍼진 후, 다시 상측 열의 냉각핀(210) 들을 거치면서 증발기(200)의 중앙 방향으로 모여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200)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1 냉각핀(211)을 기준으로 각각 다른 방향으로 경사진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열 전달량이 증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증발기(200)에 제공되는 냉각핀들은 모두 제1 냉각핀(211)과 같이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이었으며, 그에 의해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냉각핀이 가질 수 있는 길이가 인접한 냉매관들 사이의 거리 또는 인접한 냉각핀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냉각핀(212)과 제3 냉각핀(213)을 제1 냉각핀(211)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냉각핀이 가질 수 있는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냉각핀 각각의 면적을 종래 기술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대류에 의한 열전달이 이뤄지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열전달량 또한 증가하게 되는 바, 증발기(20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00)를 통과하는 공기가 증발기(200)의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내측으로 모아지는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냉각핀(210)과 접촉되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200)의 열 전달 시간이 상승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증발기(200)를 통과하는 공기가 최종적으로 증발기(200)의 중앙으로 모아지는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냉기가 상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증발기(200)는 냉각핀(210)과 인접하도록 히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240)는 증발기(200) 내부에서 생성될 수 있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각핀(210)의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히터(240)는 설정 길이를 갖는 선형 히터로 제공될 수 있고, 냉각핀(210)의 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히터(240)는 가장 하측에 제공된 냉각핀(210)의 열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히터(240)는 지지부(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외부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에 전선(미표기)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2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우선, 증발기(200)의 상측에는 팬이 제공될 수 있다. 팬의 작동에 따라, 증발기(200) 주위의 공기는 증발기(2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증발기(200)는 내부에 냉매가 제공되는 냉매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관(220)은 반복 절곡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냉매관(220)의 절곡되지 않은 측에는 기 설정된 간격을 따라 복수의 냉각핀(21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냉매관(220)은 냉각핀(210)의 각 열의 외측에서 절곡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냉각핀(210)은 상하 방향으로 2개의 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각 열의 중앙에는 지면과 수직하게 제공되는 제1 냉각핀(211)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냉각핀(211)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배열을 갖도록 제1 냉각핀(21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 열의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제1 냉각핀(211)과 인접하도록 경사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측 열의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제1 냉각핀(211)과 인접하도록 경사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200)로 유입된 공기는 상류 측에 배치된 열에 제공된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에 의해 증발기(200)의 양측 가장자리로 퍼진 후, 하류 측에 배치된 열에 제공된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에 의해 증발기(200)의 중앙 방향으로 모여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와 냉매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증발기(200)의 열 전달량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다시 내측으로 모아지는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냉각핀(210)과 접촉되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200)의 열 전달 시간이 상승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양측에 제1 냉각핀(211)에 대해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을 각각 제공함으로써 종래보다 냉각핀(210)의 개수가 줄어도 효율적인 냉각 효과를 가질 수 있으므로, 재료비가 줄어드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체적인 크기가 줄어드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냉각핀의 배열에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일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제공되는 증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200')의 냉각핀(210')은 냉장고의 높이 방향을 따라 3개의 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측 열 및 하측 열의 중앙에는 지면과 수직하도록 복수 개의 제1 냉각핀(211')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냉각핀(211')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제1 냉각핀(21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냉각핀(211')의 일측에 제2 냉각핀(212')이 제공되면, 제1 냉각핀(211')의 타측에 제3 냉각핀(213')이 제공되며, 제1 냉각핀(211')의 일측에 제3 냉각핀(212')이 제공되면, 제1 냉각핀(211')의 타측에 제2 냉각핀(213')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열의 제1 냉각핀(211')의 일측에 제2 냉각핀(212')이 제공되면, 하측 열의 제1 냉각핀(211')의 일측에 제3 냉각핀(213')이 제공되고, 상측 열의 제1 냉각핀(211')의 일측에 제3 냉각핀(213')이 제공되면, 하측 열의 제1 냉각핀(211')의 일측에 제2 냉각핀(212')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열의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은 상측으로 갈수록 제1 냉각핀(211')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측 열의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은 하측으로 갈수록 제1 냉각핀(211')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각 열에 제공되는 제2 냉각핀(212') 및 제3 냉각핀(213')은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공될 수 있고, 각각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중간 열은 모두 제1 냉각핀(211')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의 작동에 따라 증발기(2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하측 열을 거치면서 증발기(200')의 양측 가장자리로 퍼지고, 중간 열을 거치면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측 열을 거치면서 내측으로 증발기(200')의 중앙으로 모여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200')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핀(210')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감됨으로써 열 전달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200': 증발기
210, 210': 냉각핀 220: 냉매관
230: 지지부 240: 히터

Claims (13)

  1. 내측에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위치되고,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 시켜 상기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는,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제공되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의 열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는 냉각핀;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핀과 열교환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매관; 및
    상기 냉각핀의 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제공되고, 지면과 수직하게 제공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냉각핀의 열 중 적어도 두 열은,
    상기 지지부와 평행한 제1 냉각핀;
    상기 제1 냉각핀에 대해 일 방향으로 경사진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1 냉각핀에 대해 타 방향으로 경사진 제3 냉각핀을 포함하고,
    상기 두 열 중 어느 하나의 열에는 상기 제2 냉각핀이 상기 제1 냉각핀의 일측에 제공되고, 다른 하나의 열에는 상기 제2 냉각핀이 상기 제1 냉각핀의 타측에 제공되는 냉장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핀과 상기 제3 냉각핀은 상기 제1 냉각핀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냉장고.
  3. 제1 항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2 냉각핀과 상기 제3 냉각핀은 상하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는 냉장고.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은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냉매관은 하나의 상기 냉각핀의 열을 1회 또는 2회 관통하는 냉장고.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열 중 상측 열의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냉각핀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두 열 중 하측 열의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냉각핀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형태로 제공되는 냉장고.
  6. 제5 항에 있어서,
    공기는 상기 하측 열을 지나면서 상기 증발기의 양측 가장자리로 퍼진 후, 상기 상측 열을 지나면서 상기 증발기의 중앙 방향으로 모여 토출되는 냉장고.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열과 상기 하측 열의 사이에 하나의 열이 제공되고, 상기 상측 열과 상기 하측 열 사이의 중간 열은 복수 개의 상기 제1 냉각핀으로 제공되는 제공되는 냉장고.
  8. 제7 항에 있어서,
    공기는 상기 하측 열을 지나면서 상기 증발기의 양측 가장자리로 퍼진 후, 상기 중간 열을 지나면서 지면과 수직하게 이동하고, 상기 상측 열을 지나면서 상기 증발기의 중앙 방향으로 모여 토출되는 냉장고.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핀과 상기 제3 냉각핀은 상기 증발기를 정면 또는 배면으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0. 냉장고의 내부에 제공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로서,
    내부에 냉매가 제공되고, 반복 절곡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냉매관;
    상기 냉매관의 절곡되지 않은 측에 기 설정된 간격을 따라 복수개 제공되는 냉각핀; 및
    상기 냉매관을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은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냉각핀은 제2 냉각핀, 제3 냉각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핀은 상기 냉매관에 대해 일 방향으로 기울어져, 공기의 유동을 일 방향으로 유도하고,
    상기 제3 냉각핀은 상기 냉매관에 대해 타 방향으로 기울어져, 공기의 유동을 타 방향으로 유도하며,
    상기 냉각핀은 복수 개의 열로 제공되고,
    상기 증발기로 유입된 공기는 상류 측에 배치된 열에 제공된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에 의해 상기 증발기의 양측 가장자리로 퍼진 후,
    하류 측에 배치된 열에 제공된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에 의해 상기 증발기의 중앙 방향으로 모여 토출되는 증발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의 열의 상기 제2 냉각핀과 상기 제3 냉각핀의 사이에 상기 지지부와 평행한 제1 냉각핀이 제공되는 증발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은 2개의 열로 제공되고,
    상기 증발기로 유입된 공기의 상류 측에 배치된 열은 중앙에 상기 제1 냉각핀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냉각핀의 양측에 각각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냉각핀과 인접하도록 경사진 복수의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이 제공되고,
    하류 측에 배치된 열은 중앙에 상기 제1 냉각핀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냉각핀의 양측에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냉각핀과 인접하도록 경사진 복수의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이 제공되는 증발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은 3개의 열로 제공되고,
    상기 증발기로 유입된 공기의 상류 측에 배치된 열은 중앙에 상기 제1 냉각핀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냉각핀의 양측에 각각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냉각핀과 인접하도록 경사진 복수의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이 제공되고,
    중간 열은 복수의 상기 제1 냉각핀으로 제공되며,
    하류 측에 배치된 열은 중앙에 상기 제1 냉각핀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냉각핀의 양측에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냉각핀과 인접하도록 경사진 복수의 상기 제2 냉각핀 및 상기 제3 냉각핀이 제공되는 증발기.
KR1020180077357A 2018-07-03 2018-07-03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200004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357A KR20200004216A (ko) 2018-07-03 2018-07-03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201910150252.5A CN110671863A (zh) 2018-07-03 2019-02-28 蒸发器和具有蒸发器的冰箱
US16/450,385 US20200011577A1 (en) 2018-07-03 2019-06-24 Evapo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357A KR20200004216A (ko) 2018-07-03 2018-07-03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216A true KR20200004216A (ko) 2020-01-13

Family

ID=6906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357A KR20200004216A (ko) 2018-07-03 2018-07-03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11577A1 (ko)
KR (1) KR20200004216A (ko)
CN (1) CN1106718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765B1 (ko) 2003-07-16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증발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02880A (en) * 1927-03-25 1933-03-28 Modine Mfg Co Radiator
US1969985A (en) * 1931-06-06 1934-08-14 Warden King Ltd Radiator
JP3292077B2 (ja) * 1997-01-30 2002-06-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US7028764B2 (en) * 2002-03-01 2006-04-18 Ti Group Automotives Systems, Llc Refrigeration evaporator
JP5531703B2 (ja) * 2010-03-25 2014-06-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6316458B2 (ja) * 2015-01-05 2018-04-2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1685795B1 (ko) * 2015-04-02 2016-12-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열교환 유닛
CN105091466B (zh) * 2015-08-27 2019-05-31 合肥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05758068A (zh) * 2016-04-19 2016-07-13 合肥太通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六层垒密降噪除霜翅片蒸发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765B1 (ko) 2003-07-16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증발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11577A1 (en) 2020-01-09
CN110671863A (zh)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8999B1 (en) Refrigeration cycle of refrigerator
US8739855B2 (en) Microchannel heat exchanger
US20110011118A1 (en) Refrigerator
EP2869000B1 (en) Refrigeration cycle of refrigerator
KR100338913B1 (ko) 냉장고
US20120291998A1 (en) Microchannel hybrid evaporator
CN110411070B (zh) 蒸发单元和具有蒸发单元的冰箱
KR102264024B1 (ko) 냉장고
JP5847198B2 (ja) 冷蔵庫
KR20100085612A (ko) 냉장고
KR100490722B1 (ko) 냉장고의 응축기
US7073347B2 (en) Evaporator for a refrigeration system
US20230251005A1 (en) Refrigerator
KR20210001150A (ko)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16003831A (ja) 冷蔵庫
KR20190074604A (ko)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200004216A (ko)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JP2011127794A (ja) 熱交換器
US20180142957A1 (en) Hybrid heat exchanger
KR20200004218A (ko)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10087917A (ko) 냉장고
JP6762247B2 (ja) 冷凍冷蔵装置
WO2023068023A1 (ja) 冷蔵庫
CN215951883U (zh) 冷藏冷冻装置
CN111886461A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