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604A -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604A
KR20190074604A KR1020170176084A KR20170176084A KR20190074604A KR 20190074604 A KR20190074604 A KR 20190074604A KR 1020170176084 A KR1020170176084 A KR 1020170176084A KR 20170176084 A KR20170176084 A KR 20170176084A KR 20190074604 A KR20190074604 A KR 20190074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tubes
machine room
tub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4604A/ko
Publication of KR20190074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축기는, 내부에 다수로 구획되어 병렬 배치된 다수의 냉매 유로가 형성되며, 다수회 절곡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방열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튜브; 상기 다수의 튜브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다수의 튜브의 냉매 유로를 연통시키는 헤더;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튜브는 일측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며, 압축기와 응축기를 구비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며, 상기 응축기는, 내부에 냉매 유로가 형성되며, 다수회 절곡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방열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튜브; 상기 다수의 튜브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다수의 튜브의 냉매 유로를 연통시키는 헤더;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튜브는 일측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nd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캐비닛에 형성된 저장공간(12)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12)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도어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대상물을 저장공간에 넣거나 저장공간에서 꺼내기 위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냉장고는 그 형태에 따라 냉동실이 상측에 구비되는 탑프리져 타입과, 냉동실이 하측에 구비되는 바텀프리져 타입과, 냉동실과 냉장실로 좌우로 구비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타입과, 상측은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에 하측은 냉동실을 구비하는 프렌치도어 타입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에는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냉동사이클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냉각시켜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된 냉매를 팽상시키는 팽창밸브와, 냉매를 증발시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단열되며,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가 구비되는 기계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계실에 구비된 냉각팬의 구동에 의해서 외부의 공기가 기계실로 유입되어 기계실을 냉각시킨 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을 순환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압축기가 냉각되어 고열에 의한 소손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응축기가 냉각되어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응축기는 냉매의 효과적인 응축을 위해서, 상기 냉매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응축기를 지나는 공기와 접촉면적이 넓히기 위해서 최대한 표면적이 넓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응축기는 방열 성능을 보다 크게 확보하기 위해서, 공기가 최대한 넓은 면적에 접하면서도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제공될 필요성이 있다.
응축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냉매의 응축 성능을 더욱 높여 전체 적인 냉동사이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응축 성능을 발휘하면서 응축기의 크기를 줄여 기계실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며, 결국 저장공간을 보다 크게 확보하여 냉장고의 기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06680 호에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10)가 구비되고, 본체(10)에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 장치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그리고, 본체(10)에 기계실(23)이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23)에 압축기와 응축기가 구비되고, 기계실 송풍팬(24)의 구동에 의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23) 내부를 순환하여, 압축기와 응축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증발기는, 공기와의 효과적인 접촉을 위해서 다수회 절곡되어, 내부의 냉매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튜브(121)를 포함한다. 그리고, 튜브(121)의 절곡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는 방열핀(150)이 구비되어 상기 튜브(121)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선행문헌에 따른 증발기는, 하나의 튜브(121)를 가지고, 하나의 튜브(121)의 내부에 서로 구획된 다수의 냉매 유로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경우, 상기 튜브(121)의 절곡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은 양측면으로만 개구되므로, 공기가 응축기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만 통과될 수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의 증발기의 특징에 의하면, 공기가 응축기를 다양한 방향에서 통과할 수 없어 방열 성능의 향상에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선행문헌의 증발기와 같이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이 양측면으로 개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증발기의 폭이 좌우로 길어질 경우 공기의 유로가 길어져,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유속이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방열 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자공간의 확보를 위해서 기계실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냉장고 또는, 좌우폭이 넓은 기계실을 가지는 냉장고에 등에 대응하여, 증발기의 좌우폭을 늘리는 것이 제한적이게 된다. 따라서, 기계실의 형상에 대응하여 증발기의 가로폭을 늘려 용량을 확보하기 어렵고, 기계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가 압력 감소없이 원활하게 통과되어 방열성능이 향상되는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 감소가 방지될 수 있는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실 내부의 냉각을 위한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순환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켜 증발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응축기에 있어서, 내부에 다수로 구획되어 병렬 배치된 다수의 냉매 유로가 형성되며, 다수회 절곡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방열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튜브; 상기 다수의 튜브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다수의 튜브의 냉매 유로를 연통시키는 헤더;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튜브는 일측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튜브는, 상기 방열공간의 개구 방향으로 연속하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한쌍의 튜브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일정한 폭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한쌍의 튜브의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이격공간의 폭은, 상기 튜브의 폭에 비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격공간의 폭은, 상기 튜브의 폭의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한쌍의 튜브의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이격공간의 폭은, 10mm 이상에서 20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열공간에는, 일정한 패턴으로 연장되는 방열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튜브는, 제1 튜브; 상기 제1 튜브와 이격된 제2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튜브에 구비된 방열핀과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방열핀은, 일측방에서 보았을 때 겹쳐 보이도록, 패턴이 동일 연장 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튜브는, 제1 튜브; 상기 제1 튜브와 이격된 제2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튜브에 구비된 방열핀과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방열핀은, 일측방에서 보았을 때 겹쳐 보이지 않도록, 패턴의 중심이 편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헤더는, 상기 다수의 튜브의 일단을 연결하며, 상기 응축기로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부가 형성되는 제1 헤더; 상기 다수의 튜브의 다른 일단을 연결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토출되는 냉매 토출부가 형성되는 제2 헤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매 유입부는, 상기 제1 헤더의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튜브 중 2개 이상의 튜브와 연통되어, 유입되는 냉매를 2개 이상의 튜브로 분할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매 토출부는, 상기 제2 헤더의 내부에서 상기 냉매 유입부 보다 적은 수의 튜브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며, 압축기와 응축기를 구비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며, 상기 응축기는, 내부에 냉매 유로가 형성되며, 다수회 절곡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방열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튜브; 상기 다수의 튜브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다수의 튜브의 냉매 유로를 연통시키는 헤더;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튜브는 일측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의 냉각을 위해 상기 기계실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냉각팬;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개구되며, 상기 기계실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개구되며, 상기 기계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와 냉각팬 및 응축기는,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와 냉각팬 및 응축기는,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좌우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의 후방 개구를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응축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흡입구; 상기 제1 흡입구와 인접한 상기 기계실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흡입구는, 상기 방열공간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흡입구는 상기 응축기의 외측단 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응축기의 측면과 후면을 향해서 함께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압축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 상기 제2 흡입구가 형성된 상기 기계실의 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서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응축기는 공기가 통과하는 방열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튜브와, 상기 다수의 튜브의 단부를 연결하는 헤더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다수의 튜브는 일측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를 지나는 공기는, 상기 방열공간을 통과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튜브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증발기와 보다 고르게 접촉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증발기의 방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공간과 상기 다수의 튜브의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서, 공기가 상기 응축기를 향해서 다양한 방향으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를 상기 응축기를 향해서 다수의 방향으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증발기의 방열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튜브의 사이의 이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응축기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다수의 튜브 사이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동일한 부피의 증발기와 비교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다수의 튜브는 상기 방열공간의 개구 방향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각각의 튜브에 형성된 상기 방열공간이 연속되지 않고 각각 짧은 공기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에 발생되는 유로의 저항이 감소하게 되어 공기의 압력 감소가 방지되고, 유속이 증가되어 상기 증발기의 방열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 상기 튜브의 폭을 넓히거나 개수를 늘리더라도, 상기 응축기의 공기의 압력 감소가 방지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응축기의 폭을 늘리면서도 방열성능을 확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의 폭을 늘려, 높이가 낮거나 폭이 넓은 기계실에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하게 된다.
셋째, 상기 다수의 튜브의 방열공간에는 방열핀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튜브는, 제1 튜브와, 상기 제1 튜브와 이격된 제2 튜브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튜브에 구비된 방열핀과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방열핀은, 일측방에서 보았을 때 겹처 보이도록, 패턴이 동일 연장 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방열공간을 통과하는 공기는 일렬로 배치된 방열핀에 의해서 압력의 하강이 최소화되고 빠른 유속으로 통과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응축기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제1 튜브에 구비된 방열핀과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방열핀은, 일측방에서 보았을 때 겹쳐 보이지 않도록, 패턴의 중심이 편측된다. 따라서, 상기 방열공간을 통과하는 공기는 제1 튜브의 방열핀에 의해서 나눠진 후 상기 제2 튜브의 방열핀에 의해서 더 나눠져, 난류를 많이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난류의 발생에 의해서 상기 응축기의 사이 사이에 공기가 보다 고르게 공급되어 상기 응축기가 보다 고르게 냉각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상기 헤더에 형성된 냉매 유입부는, 상기 헤더의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튜브 중 2개 이상의 튜브와 연통되어 냉매를 2개 이상의 튜브로 분할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튜브에 형성되는 냉매 유로의 입구가 좁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튜브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에 저항이 발생되어 냉매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증발기로 초기 유입되는 냉매가 강력강하 없이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어, 냉매의 흐름이 원활해 지고 냉각 사이클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여섯째, 상기 헤더에 형성된 냉매 토출부는, 상기 헤더의 내부에서 상기 냉매 유입부 보다 적은 스의 튜브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냉매의 냉각에 의한 상기 냉매 유입부 측과 상기 냉매 토출부 측의 압력 차이가 해소되어 냉매의 흐름이 보다 원활해 지고 냉각 사이클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일곱째, 냉장고의 캐비닛에는 응축기와 압축기가 위치되는 기계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의 후방 개루르 차폐하는 커버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기계실 내부로 외기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는, 상기 응축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흡입구와, 상기 기계실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흡입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를 통해서 상기 응축기를 향하여 여러 방향으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응축기가 공기와 보다 고르게 접촉하여 방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응축기는 방열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튜브는 일측방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이 사이에 이격공간을 더 형성하므로, 여러 방향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방열공간과 이격공간을 통해서 상기 증발기와 보다 고르게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응축기의 방열성능 향상의 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기계실 커버 및 기계실 내부의 구성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 내부를 후측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를 기계실의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기계실 커버 및 기계실 내부의 구성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 내부를 후측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12)을 형성하는 캐비닛(11)과, 상기 저장공간(12)을 개폐하는 도어(13)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12)에는 식품이 냉장 또는 냉동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12)은 복수의 저장실로 구획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저장실은 식품의 보관온도에 따라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공간(12)의 냉각을 위해서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압축기(20), 응축기(100), 팽창밸브(30), 증발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0)와 응축기(100)와 팽창밸브(30)와 증발기(40)는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배관에는 냉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매는, 상기 압축기(20)에서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00)에서 냉각되어 응축 액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30)에서 팽창되어 증발을 일으킬 수 있는 압력까지 감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40)에서 증발되어 저온의 기체 상태가 되어, 상기 증발기(40)를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상기 압축기(20)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40)가 구비되는 별도의 냉기 발생실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냉기 발생실은 상기 저장공간(12)의 후벽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12)과 상기 냉기 발생실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12) 내부의 공기는 상기 냉기 발생실로 이동되어 상기 증발기(40)에 의해서 냉각 된 후, 상기 저장공간(12)으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40)는 상기 냉기 발생실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40)와 상기 응축기(100)를 연결하는 배관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에는 상기 압축기(20)와 응축기(100)가 구비되는 기계실(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기계실(14) 내부의 냉각을 위해서 공기의 흐름을 강제하는 냉각팬(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90)은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14) 내부로 흡입되도록 강제하고, 상기 응축기(100)와 압축기(20)를 지나친 후 상기 기계실(14) 외부로 토출되도록 강제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90)은 상기 기계실(14)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4)은 상기 냉장고(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4)은 상기 저장공간(12)과 격벽으로 구획되어 상기 저장공간(12)과 별도의 단열된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4)과 저장공간(12)을 구획하는 격벽에는 단열재가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20)의 구동에 의한 상기 기계실(14)의 높은 온도가 상기 저장공간(12)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4)은 상기 캐비닛(11)의 후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기계실(14)의 후방 개구를 차폐하는 커버(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6)는 상기 캐비닛(11)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16)를 개방하여 상기 기계실(14) 내부로 접근 가능하며, 상기 기계실(14)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들의 설치작업 또는 정비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에는 상기 기계실(14)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50)와, 상기 기계실(14)을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50)와 토출구(60)는 상기 기계실(14)에 좌우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20)와 응축기(100)는 상기 흡입구(50)와 토출구(60)의 사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50)를 통해서 상기 기계실(14)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100)와 압축기(20)를 지나며 상기 응축기(100)와 압축기(20)를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00) 및 압축기(20)와 열교환되어 고온의 공기가 되고, 상기 토출구(60)를 통해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50)는, 상기 커버(16)에 형성되는 제1 흡입구(51)와, 상기 기계실(14)의 좌우측면 중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 흡입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60)는, 상기 커버(16)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61)와, 상기 기계실(14)의 좌우측면 중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 토출구(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구(51)와 상기 제1 토출구(61)는 상기 커버(16)에 좌우로 이격된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좌우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흡입구(52)와 제2 토출구(62)는, 상기 기계실(16)의 좌우 측면중 서로 다른면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흡입구(52)는 상기 제1 흡입구(51)와 인접한 상기 기계실(14)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토출구(62)는 상기 제1 토출구(61)와 인접한 상기 기계실(14)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0)와 냉각팬(90)과 응축기(100)는, 상기 기계실(14)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기계실(14)을 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압축기(20)는 상기 기계실(14)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00)는 상기 기계실(14)의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팬(90)은 상기 압축기(20)와 응축기(1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각팬(90)은 상기 응축기(100) 측에서 상기 압축기(20) 측으로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50)를 통해서 상기 기계실(14)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100)를 먼저 냉각시킨 후 상기 압축기(20)를 냉각시키고, 상기 토출구(60)를 통해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의 구동시 상기 압축기(20)의 온도가 상기 응축기(100)의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되므로, 상기 응축기(100)를 먼저 냉각시킨 후 압축기(20)를 냉각시킴으로써,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각팬(90)의 배치 위치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흡입구(50)를 통해서 상기 기계실(14)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응축기(100)와 압축기(20)를 순차적으로 지나도록 강제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로들어, 상기 냉각팬(90)은 상기 흡입구(50)와 배출구(60)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압축기(20), 응축기(100), 냉각팬(90) 순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냉각팬(90), 압축기(20), 응축기(100) 순서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흡입구(50)는 상기 응축기(100)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토출구(60)는 상기 압축기(20)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기계실(14)을 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응축기(100)가 상기 기계실(14)의 우측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제1 흡입구(51)는 상기 커버(16)의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흡입구(52)는 상기 기계실(14)의 우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흡입구(51)는 상기 응축기(100)의 우측단 보다 우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흡입구(51)는 상기 응축기(100)가 위치된 영역과, 상기 응축기(20)와 상기 제2 흡입구(52)가 형성된 상기 기계실(14)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흡입구(51)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응축기(100)의 우측면과 후면으로 동시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흡입구(52)는 상기 냉각팬(90)과 응축기(100)와 일렬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흡입구(52)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2 흡입구(52)와 마주보는 상기 응축기(100)의 측면에 수직하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14)을 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압축기(20)는 상기 기계실(14)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토출구(61)는 상기 커버(16)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토출구(62)는 상기 기계실(14)의 좌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토출구(61)는 상기 압축기(20)의 좌측단 보다 좌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토출구(61)는 상기 압축기(20)가 위치된 영역과, 상기 압축기(20)와 상기 제2 토출구(62)가 형성된 상기 기계실(14)의 타측면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14) 내부의 공기가 상기 압축기(20)와 충분히 접촉된 후에 토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토출구(62)는 상기 냉각팬(90)과 압축기(20)와 일렬로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압축기(20)와 충분히 접촉된 후에 토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14)의 하면은 베이스(15)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는 상기 기계실(14)의 하면에 대응하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기계실(14)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0)와 응축기(100) 및 상기 냉각팬(90)은 상기 베이스(15)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20)와 응축기(100) 및 상기 냉각팬(90)는 상기 베이스(15)에 장착된 후, 상기 베이스(15)와 상기 캐비닛(11)의 결합시, 상기 기계실(14)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를 기계실의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측면도이다.
한편, 상기 응축기(100)는 다수의 튜브(110)를 갖는 공랭식 응축기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응축기(100)는 내부에 냉매 유로가 형성되는 다수의 튜브(110)와, 상기 다수의 튜브(110)를 연결하는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튜브(110)의 내부에는, 서로 구획되어 병렬 배치된 다수의 냉매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튜브(110)는 상기 기계실 내부의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튜브(110)는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한쌍의 튜브(110)들 사이에는 이격공간(15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튜브(110)는 방열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다수회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다수의 튜브(110)는 'S'자 형태로 연속하여 절곡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튜브(110)는 지그재그 형태로 다수회 절곡되어,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적층된 다수의 변을 가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로들어, 일단에서 후방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하방 및 후방으로 절곡된 후 전방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하방 및 후방으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구조가 반복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튜브(110)의 적층된 변들 사이에는 방열공간(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공간(160)은 상기 적층된 변들의 수에 대응하여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150)와 방열공간(160)이 함께 형성됨으로써, 상기 응축기(100)를 지나는 공기가 상기 응축기(100)를 보다 넓은 면적과 열교환될 수 있으며 보다 고르게 열교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00)를 통과하는 공기에 저항이 감소하게 되어 공기의 압력 감소가 방지되고, 유속이 증가되어 방열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공간(150)이 형성되지 않는 응축기와 비교하였을 때, 동일한 기계실(14)의 공간을 차지할 경우 더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면서 크기를 줄여 상기 기계실(14)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로 인접한 한쌍의 튜브(11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일정한 폭으로 균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튜브(110)에 의해서 다수의 상기 이격공간(150)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이격공간(150)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150)의 폭이 지나치게 넓을 경우, 상기 응축기(100)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방열공간으로 충분히 유입되지 않고 상기 이격공간(150)을 통해서 흩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100)와 충분히 열교환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방열효율이 더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공간(150)이 형성되지 않는 응축기와 비교하여 용량만 감소하고 성능이 더 낮아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이격공간(150)이 폭이 너무 좁을 경우, 상기 응축기(100)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이격공간(150)으로 충분히 유입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공간(150)에 의해서 상기 응축기(100)의 용량만 감소되고 성능이 더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격공간(150)의 폭은 상기 응축기(100)의 방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특정 수준으로 제한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이격공간(150)의 폭은, 상기 튜브(110)의 가로 폭의 0.5배 이상에서 2배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격공간(150)의 폭은, 상기 튜브(110)의 가로 폭의 1.5배 수준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격공간(150)은, 상기 튜브(110)의 가로 폭에 대응하여 다른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튜브(110)의 폭이 5mm 이상 ~ 25mm 미만 일 경우, 상기 이격공간(150)의 폭은 상기 튜브(110)의 0.5배 이상에서 2배 이하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110)의 폭이 25mm 이상일 경우, 상기 이격공간(150)의 폭은 15mm 이상에서 25mm 이하의 수준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공간(160)에는 방열핀(1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열핀(170)은, 상기 튜브(110)의 상측의 변과 하측의 변을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공간(160)의 전후방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튜브(110)의 상측의 변과 하측의 변은, 특정 변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며, 하나의 상기 방열공간(160)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하로 위치된 한쌍의 변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튜브(110)의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변이 상측의 변이 되고, 이의 하방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변이 하측의 변이 될 수 있다.
상기 방열핀(170)는, 상기 상측의 변과 하측의 변에 번갈아 접촉하도록, 다수회 절곡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방열핀(170)은 "V"자 형태의 패턴이 연속되도록,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핀(170)은, 상기 튜브(110)에서 전도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도록 상기 튜브(110)의 폭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더는 내부에 상기 튜브(110)와 연통되는 냉매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튜브(110)들 사이에 냉매가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헤더는, 양단이 차폐되고 내부에 냉매유로가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튜브(110)는 상기 헤더에 연결되어 상기 헤더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헤더는 상기 다수의 튜브(110)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헤더(120)와, 상기 다수의 튜브(110)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2 헤더(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헤더(120)에는, 상기 압축기에도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헤더(130)에는 상기 응축기(100)를 통과하면 냉각된 냉매가 토출되는 냉매 토출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튜브(110)가 4개로 구비되는 응축기(100)를 예로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튜브(110)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다수의 튜브(110)는, 제1 튜브(111)와, 제2 튜브(112), 제3 튜브(113), 제4 튜브(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튜브(112)는 상기 제1 튜브(111)로 부터 일측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튜브(113)는 상기 제2 튜브(112)로 부터 일측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튜브(114)는 상기 제3 튜브(113)로 부터 일측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튜브(110)의 일단은 상기 응축기(100)의 상부에서 상기 기계실(14)의 후방 개구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튜브(110)의 일단은 상기 제1 헤더(1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헤더(120)의 내부의 냉매 유로는 구획되어, 제1 통로(121)와 제2 통로(12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로(121)와 제2 통로(122)는 상기 제2 튜브(112)와 제3 튜브(113)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가 구획되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튜브(111)와 제2 튜브(112)의 일단은 상기 제1 통로(121)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튜브(113)와 제4 튜브(114)는 상기 제2 통로(122)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냉매 유입부(125)는 상기 제1 통로(121)가 형성되는 상기 제1 헤더(1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튜브(110)의 타단은 상기 응축기(100)의 하부에서 상기 기계실(14)의 후방 개구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튜브(110)의 타단은 상기 제2 헤더(1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헤더(130)의 내부의 냉매 유로는 구획되어, 제3 통로(131)와 제4 통로(13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통로(131)와 제4 통로(132)는 상기 제3튜브(113)와 제4 튜브(114)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가 구획되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튜브(111)와 제2 튜브(112)와 제3 튜브(113)의 타단은 상기 제3 통로(131)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튜브(114)는 상기 제4 통로(132)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토출부(135)는 상기 제4 통로(132)가 형성되는 상기 제2 헤더(13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 유입부(125)를 통해서 상기 증발기(40)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제1 통로(121)를 통해서 상기 제1 튜브(111)와 제2 튜브(112)로 분할되어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튜브(111)와 제2 튜브(112)를 통과한 후 상기 제3 통로(131)를 통해서 상기 제3 튜브(113)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튜브(113)를 통과한 후 상기 제2 통로(122)를 통해서 상기 제4 튜브(114)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튜브(114)를 통과한 후 상기 제4 통로(132)를 통해서 상기 냉매 토출부(135)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브(110) 내부의 냉매 유로는, 상기 냉매 유입부(125)의 내부 유로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일반적으로, 응축기는 높은 열교환 효율을 위해서, 다수의 튜브에 의해서 좁고 긴 냉매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응축기의 내부의 냉매 유로가 좁고 길게 형성됨에 따라, 응축기 내부 즉, 튜브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는 압력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응축기(100)에서는, 상기 냉매 유입부(125) 측에서는 냉매가 분할되어 두개의 튜브(110)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 초기의 냉매 유로 입구가 넓어져 압력강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100)를 통과하는 냉매는, 상기 냉매 유입부(125) 측에서 높은 압력을 가지며, 상기 응축기(10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상기 냉매 토출부(135) 측에서는 비교적 낮은 압력을 가질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 유입부(125)측 압력과 상기 냉매 토출부(135)측 압력의 차이로 냉매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응축기(100)에서는, 상기 냉매 유입부(125) 측에서는 냉매가 두개의 튜브(110)로 분할되나, 상기 냉매 토출부(135) 측에서는 하나의 튜브(110)를 통해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 유입부(125)측 압력과 상기 냉매 토출부(135)측 압력의 차이가 해소되어 냉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결국 냉각 사이클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냉매 유입부(125) 측에서 냉매가 두개의 튜브(110)로 분할된 후에 다시 합쳐지고, 상기 냉매 토출부(135) 측에서 하나의 튜브(110)를 통해서 토출되므로, 초기 압력 감소를 방지하고 냉매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핀(170)은, 각각의 튜브(110)의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응축기(100)를 좌우측 중 일측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다수의 튜브(110)에 형성된 각각의 방열핀(170)은, 일렬로 배치되어 서로 겹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방열핀(170)은, 상기 제1 튜브(111)에 형성되는 제1 방열핀(171), 제2 튜브(112)에 형성되는 제2 방열핀(172), 상기 제3 튜브(113)에 형성되는 제3 방열핀(173), 상기 제4 튜브(114)에 형성되는 제4 방열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튜브(114)를 냉각을 위한 공기가 유입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방열핀(171)과 제2 방열핀(172) 및 제3 방열핀(173)은, 상기 제4 방열핀(174)과 겹쳐져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열핀(170)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응축기(100)의 일측방에서 타측방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일렬로 배치된 상기 방열핀(170)에 의해서 압력의 하강이 최소화되고 빠른 유속으로 상기 응축기(100)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빠른 유속에 의해서 상기 응축기(100)의 방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측면도이다.
한편, 상기 방열핀(170)은, 각각의 튜브(110)에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되 패턴의 위치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응축기(100)를 좌우측 중 일측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다수의 튜브(110)에 형성된 각각의 방열핀(170)은,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게 배치되어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방열핀(170)은, 상기 제1 튜브(111)에 형성되는 제1 방열핀(171), 제2 튜브(112)에 형성되는 제2 방열핀(172), 상기 제3 튜브(113)에 형성되는 제3 방열핀(173), 상기 제4 튜브(114)에 형성되는 제4 방열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튜브(114)에 형성된 상기 제4 방열핀(174)은, 제3 튜브(113)에 형성된 상기 제3 방열핀(173) 보다 절반의 패턴만큼 그 위치가 편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4 튜브(114)를 측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3 방열핀(173)은, 상기 제4 방열핀(174)과 교차되게 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방열핀(171)과 상기 제3 방열핀(173)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방열핀(172)과 상기 제4 방열핀(174)은 겹치도록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모든 튜브의 방열핀(170)은 모두 겹치지 않게 그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열핀(170)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응축기(100)의 일측방에서 타측방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교차된 상기 방열핀(170)에 의해서 난류를 많이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난류에 의해서 상기 응축기(100)의 사이 사이에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응축기(100)가 보다 고르게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냉기의 생성을 위해서 상기 압축기(20)의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압축기(20)와 상기 응축기(100)의 냉각을 위해서 상기 냉각팬(90)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90)이 구동되면, 상기 기계실(14) 내부의 공기의 유동이 강제되어, 상기 흡입구(50)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14)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제1 흡입구(51)를 통해서 상기 응축기(100)의 후면과 측면을 향하여 함께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흡입구(52)를 통해서 상기 응축기(100)의 측면을 향하여 수직하게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4)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100)의 방열공간(150)을 통과하며, 상기 방열핀(170) 및 상기 튜브(110)와 열교환될 수 있다. 더하여, 공기의 일부는, 상기 응축기(100)의 이격공간(150)을 통과하며, 상기 방열핀(170) 및 상기 튜브(110)와 보다 효율적으로 열교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00)와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냉각팬(90)를 지나 상기 압축기(20)를 향하여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20)를 지나면서 상기 압축기(20)의 표면과 열교환하여 상기 압축기(20)를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20)를 지난 공기는, 상기 토출구(60)를 통해서 다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1 토출구(61)를 통해서 상기 기계실(14)의 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되는 공기의 나머지는 상기 제2 토출구(62)를 통해서 상기 기계실(14)의 측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 방향이 서로 다른 상기 제1 토출구(61)와 상기 제2 토출구(62)에 의해서, 토출되는 공기가 분선되어 상기 압축기(20)를 지나칠때의 저항이 감소될 수 있으며,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저항에 의한 소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으며, 공기의 원활한 흐름에 의해서 상기 기계실(14) 내부의 냉각 효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축기(100)에 상기 이격공간(150)이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응축기(100)의 방열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이격공간(150)이 형성되지 않는 동일판 부피의 응축기와 비교하여 더 높은 방열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150)에 의해서, 상기 응축기(100)의 좌우폭을 보다 크게 늘리더라도, 상기 응축기(1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 감소가 크게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세히, 상기 이격공간(150)이 형성되지 않는 동일판 부피의 응축기의 경우, 응축기의 좌우폭이 늘어나게 되면, 방열공간이 좌우로 길어짐에 따라 상기 방열공간의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 및 유속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응축기의 방열성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음에 따라, 응축기의 가로방향 길이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응축기(100)는, 상기 튜브(100)를 추가하거나 상기 튜브의 폭을 늘려 상기 응축기의 좌우폭을 늘리더라도, 공기가 상기 이격공간(150)을 통해서 상기 응축기(100)의 후면으로도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응축기(1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격공간(150)에 의해서 상기 방열공간(160)의 가로방향으로 연속되지 않고 구간별로 개방되므로, 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1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고 저항이 감소되어 공기의 압력 및 유속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격공간(150)에 의해서 방열 성능을 확보하면서 상기 응축기(100)의 가로 방향 길이를 늘려 용량을 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14)의 높이가 낮을 경우, 상기 응축기(100)의 가로 방향 길이를 늘려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14)의 높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응축기(100)의 용량을 늘릴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15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응축기(100)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상기 응축기(100)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9)

  1.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켜 증발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응축기에 있어서,
    내부에 다수로 구획되어 병렬 배치된 다수의 냉매 유로가 형성되며, 다수회 절곡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방열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튜브;
    상기 다수의 튜브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다수의 튜브의 냉매 유로를 연통시키는 헤더;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튜브는 일측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튜브는, 상기 방열공간의 개구 방향으로 연속하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한쌍의 튜브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일정한 폭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한쌍의 튜브의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이격공간의 폭은, 상기 튜브의 폭에 비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의 폭은, 상기 튜브의 폭의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한쌍의 튜브의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이격공간의 폭은, 10mm 이상에서 20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공간에는,
    일정한 패턴으로 연장되는 방열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튜브는,
    제1 튜브;
    상기 제1 튜브와 이격된 제2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튜브에 구비된 방열핀과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방열핀은, 일측방에서 보았을 때 겹쳐 보이도록, 패턴이 동일 연장 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튜브는,
    제1 튜브;
    상기 제1 튜브와 이격된 제2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튜브에 구비된 방열핀과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방열핀은, 일측방에서 보았을 때 겹쳐 보이지 않도록, 패턴의 중심이 편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다수의 튜브의 일단을 연결하며, 상기 응축기로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부가 형성되는 제1 헤더;
    상기 다수의 튜브의 다른 일단을 연결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토출되는 냉매 토출부가 형성되는 제2 헤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유입부는,
    상기 제1 헤더의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튜브 중 2개 이상의 튜브와 연통되어, 유입되는 냉매를 2개 이상의 튜브로 분할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토출부는, 상기 제2 헤더의 내부에서 상기 냉매 유입부 보다 적은 수의 튜브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3.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며, 압축기와 응축기를 구비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며,
    상기 응축기는,
    내부에 냉매 유로가 형성되며, 다수회 절곡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방열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튜브;
    상기 다수의 튜브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다수의 튜브의 냉매 유로를 연통시키는 헤더;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튜브는 일측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의 냉각을 위해 상기 기계실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냉각팬;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개구되며, 상기 기계실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개구되며, 상기 기계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와 냉각팬 및 응축기는,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와 냉각팬 및 응축기는,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좌우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후방 개구를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응축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흡입구;
    상기 제1 흡입구와 인접한 상기 기계실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구는, 상기 방열공간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구는 상기 응축기의 외측단 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응축기의 측면과 후면을 향해서 함께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압축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
    상기 제2 흡입구가 형성된 상기 기계실의 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70176084A 2017-12-20 2017-12-20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90074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084A KR20190074604A (ko) 2017-12-20 2017-12-20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084A KR20190074604A (ko) 2017-12-20 2017-12-20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604A true KR20190074604A (ko) 2019-06-28

Family

ID=6706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084A KR20190074604A (ko) 2017-12-20 2017-12-20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46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3265A (zh) * 2019-12-31 2021-07-16 龙大昌精密工业有限公司 蒸发器的稳流增压装置
KR20220162341A (ko) 2021-06-01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3265A (zh) * 2019-12-31 2021-07-16 龙大昌精密工业有限公司 蒸发器的稳流增压装置
KR20220162341A (ko) 2021-06-01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470B1 (ko) 냉장고
KR101649624B1 (ko) 냉장고
JP5903552B2 (ja) 冷蔵庫
US10808983B2 (en) Refrigerator
KR20110006997A (ko) 냉장고
KR20110006996A (ko) 냉장고용 제상히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80119033A (ko) 냉장고
KR20140113076A (ko) 냉장고
EP3462111B1 (en) Heat dissipation assembly and refrigeration device
KR20160097653A (ko) 냉장고
JP5847198B2 (ja) 冷蔵庫
KR20190074604A (ko)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20230251005A1 (en) Refrigerator
JP5773958B2 (ja) 冷凍冷蔵庫
JP2016003831A (ja) 冷蔵庫
JP2014020736A (ja) 冷蔵庫
KR20110087917A (ko) 냉장고
US11852387B2 (en) Refrigerator
CN217876645U (zh) 制冷器具及其抽屉组件
WO2023068023A1 (ja) 冷蔵庫
CN219063863U (zh) 底部制冷的制冷设备
KR20120029254A (ko) 냉장고
KR20110056943A (ko) 냉장고
KR20200004218A (ko)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200004216A (ko)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