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03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033A
KR20180119033A KR1020170052461A KR20170052461A KR20180119033A KR 20180119033 A KR20180119033 A KR 20180119033A KR 1020170052461 A KR1020170052461 A KR 1020170052461A KR 20170052461 A KR20170052461 A KR 20170052461A KR 20180119033 A KR20180119033 A KR 20180119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air
heat exchanger
duct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492B1 (ko
Inventor
차경훈
김소윤
정명진
김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492B1/ko
Priority to US15/947,069 priority patent/US10775094B2/en
Priority to ES18168912T priority patent/ES2859730T3/es
Priority to EP18168912.6A priority patent/EP3396279B1/en
Publication of KR20180119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033A/ko
Priority to US16/988,293 priority patent/US1147382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2Outlet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the fans not of the axia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2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drople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저장실 바디의 내부를 저장실과 공기유로로 구획하고 메인 토출구와 서브 토출구가 형성된 형성된 덕트와; 공기유로를 메인 토출구가 연통되는 제1유로와, 제1유로의 공기가 서브 토출구로 안내되는 제2유로로 구획하는 에어가이드와; 제1유로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저장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유로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저장실 용적을 최대화할 수 있으면서 간단한 구조로 공기를 메인 토출구와 서브 토출구로 분산 토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실이 열교환기에 의해 냉각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품이나 약품, 화장품 등의 피냉각물(이하, 식품이라 칭함)을 차게 하거나 저온에서 보관하여 부패, 변질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포함한다.
냉각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되거나, 열전모듈(TEM: Thermoelectric Modul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냉장고는 저장실의 공기를 냉각장치와 저장실로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송풍팬은 증발기의 주변에 배치되어 저장실의 공기를 증발기 또는 열전모듈로 유동시킨 후 저장실로 송풍할 수 있다.
KR 10-2016-0023105 A (2016년3월10일 공개) R 20-2009-0008159 U (2009년08월14일 공개)
본 발명은 저장실 용적을 최대화할 수 있으면서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간단한 구조로 분산 토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저장실 바디의 내부를 저장실과 공기유로로 구획하고 메인 토출구와 서브 토출구가 형성된 형성된 덕트와; 공기유로를 메인 토출구가 연통되는 제1유로와, 제1유로의 공기가 서브 토출구로 안내되는 제2유로로 구획하는 에어가이드와; 제1유로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저장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유로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열교환기의 수평방향 폭은 상기 제1유로의 수평방향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의 수평방향 폭은 열교환기의 수평방향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열교환기의 측단은 에어가이드를 좌우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는 전후방향으로 열교환기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덕트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좌,우 구획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의 전후방향 폭은 열교환기의 전후방향 폭 보다 클 수 있다.
냉장고는 서브 토출구로 토출된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팬트리를 포함할 수 있다. 팬트리는 저장실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제2유로에서 서브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토출구의 높이는 메인 토출구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서브 토출구는 덕트의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중 일측으로 편심될 수 있다.
댐퍼는 송풍팬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덕트는 하부에 돌출부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송풍팬 및 댐퍼는 돌출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과 댐퍼는 저장실 바디와 돌출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유로는 제1유로의 옆에 위치하는 어퍼유로와; 댐퍼의 위에 위치하고 상기 어퍼유로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로어유로와; 어퍼유로와 로어유로를 연통하는 경사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는 덕트와 저장실 바디 사이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열교환기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청정 유로부를 회피하는 회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는 프론트 열교환기와; 프론트 열교환기 및 저장실 바디 각각과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리어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열교환기는 덕트와 전후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프론트 열교환기에는 회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의 전후방향 폭은 덕트와 프론트 열교환기 사이의 틈과, 프론트 열교환기와 리어 열교환기 사이의 틈과, 리어 열교환기와 저장실 바디 사이의 틈의 합 보다 클 수 있다.
프론트 열교환기는 청정 유로부를 회피하는 회피부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열교환기의 면적은 리어 열교환기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열교환기의 면적과 리어 열교환기의 면적의 합은 덕트의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덕트는 저장실의 공기가 통과하는 청정 유로가 형성된 청정 유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정유로에는 청정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덕트는 덕트 커버와, 단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커버에는 메인 토출공 및 서브 토출공이 형성될 수 있고, 청정 유로와 연통되는 청정 흡입공 및 청정 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단열부재에는 메인 토출공과 연통되는 이너 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청정유로부는 단열부재에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송풍팬은 팬모터와; 팬모터의 외둘레를 둘러싸고 상부에 제1유로를 향하는 토출 가이드가 일체로 돌출된 팬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는 제1유로의 아래에 위치하고 경사질 수 있다.
토출가이드에는 제상수 드레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가이드의 간단한 구성으로 제1유로에서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메인 토출구와 서브 토출구로 분산 토출할 수 있고, 메인 토출구와 서브 토출구로 분산 토출된 공기가 저장실을 입체 냉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 열교환기에 의해 냉매와 공기의 열전달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고, 회피부에 의해 제1유로의 전후방향 폭은 최소화될 수 있으려, 저장실의 냉각 성능을 극대화하면서 저장실 용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댐퍼가 송풍팬 옆에 배치되어 컴팩트화가 가능하고, 저장실 용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팬 하우징에 형성된 토출 가이드에 제상수 드레인 홀이 형성되어 제상수를 드레인하기 위한 별도의 제상수 집수부재가 팬 하우징에 결합되는 경우 보다,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조립공정이 간단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이 개방되었을 때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에서 선반 및 팬트리가 분리되었을 때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덕트와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도시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덕트와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도시된 전방측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덕트와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도시된 후방측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덕트 및 열교환기가 도시된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덕트와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이 개방되었을 때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에서 선반 및 팬트리가 분리되었을 때의 정면도이다.
냉장고는 저장실(S)이 형성된 본체(1)와; 저장실(S)을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는 저장실(S)이 형성된 저장실 바디(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 바디(11)(12)는 전면이 개방될 수 있고, 상판과 하판과 좌측판과 우측판과 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는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는 저장실 바디(11)(12)와 아우터 케이스(13) 사이에 배치된 단열재(14; 도 6 및 도 7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 바디(11)(12)는 본체(2)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본체(1)는 복수개의 저장실 바디(11)(12) 사이에 배치된 단열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적어도 2개의 저장실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적어도 2개의 저장실은 온도차를 갖게 냉각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2개의 저장실 중 어느 하나는 상온의 온도범위를 갖는 냉장실일 수 있고, 적어도 2개의 저장실 중 다른 하나는 영하의 온도범위를 갖는 냉동실일 수 있다.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모두 갖는 것이 가능하고, 본체(1)는 냉장실이 형성된 저장실 바디(11)와, 냉동실이 형성된 저장실 바디(1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어(2)는 냉장고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가 복수개 저장실 바디(11)(12)를 포함할 경우, 도어(2)는 본체(1)에 복수개(2A)(2B)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 도어(2A)(2B) 중 적어도 하나(2A)는 복수개 저장실 바디(11)(12) 중 어느 하나(11)에 형성된 저장실을 여닫을 수 있고, 복수개 도어(2A)(2B) 중 다른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 저장실 바디(11)(12) 중 다른 하나(12)에 형성된 저장실를 여닫을 수 있다.
복수개 저장실 바디(11)(12)는 냉장실이 형성된 냉장실 바디와, 냉동실이 형성된 냉동실 바디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 도어(2A)(2B)는 냉장실을 여닫는 냉장실 도어(2A)와, 냉동실을 여닫는 냉동실 도어(2B)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야채나 고기 등이 별도로 수용되는 팬트리(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팬트리(3)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팬트리(3)의 내부에는 야채나 고기 등이 별도로 수용되는 팬트리 공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팬트리(3)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팬트리(3)는 저장실(S)에 수용될 수 있다. 팬트리(3)는 냉장실이 형성된 저장실 바디(11) 내에 배치되거나 냉동실이 형성된 저장실 바디(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팬트리(3)는 저장실 바디(11)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팬트리(3)는 도 2에 도시된 서브 토출구(42)로 토출된 공기에 의해 냉각되게 저장실(S)에 배치될 수 있다. 팬트리(3)는 서브 토출구(42)의 전방에 위치되거나 서브 토출구(42)의 옆에 위치될 수 있다. 팬트리(3)는 저장실(S)의 하부에 전방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팬트리(3)가 냉장실이 형성된 저장실 바디(11) 내에 배치될 경우, 팬트리(3)는 후술하는 복수개 선반(18) 중 최하측 선반과 저장실 바디(11)의 하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저장실(S) 및 팬트리(3)로 공기를 토출하는 덕트(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덕트(4)는 저장실 바디(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저장실 바디(11)의 내부에서 위치된 상태에서, 저장실(S)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덕트(4)에는 저장실(S)로 공기를 토출하는 메인 토출구(41)가 형성될 수 있다. 덕트(4)에는 팬트리(3)로 공기를 토출하는 서브 토출구(42)가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토출구(42)는 메인 토출구(41)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덕트(4)는 저장실 바디(11)의 후판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메인 토출구(41)와 서브 토출구(42) 각각은 전후방향(X)으로 개방될 수 있다. ,
반면에, 덕트(4)는 저장실 바디(11)의 좌측판 우측에 배치되거나 저장실 바디(11)의 우측판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메인 토출구(41)와 서브 토출구(42) 각각은 좌우방향(Y)으로 개방될 수 있다.
메인 토출구(41)는 저장실(S)로 공기를 토출하는 저장실 토출구일 있다. 메인 토출구(41)는 저장실(S) 중 팬트리(3) 이외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여 저장실(S) 중 팬트리(3) 이외의 공간을 주로 냉각하는 저장실 토출구일 수 있다. 메인 토출구(41)는 수평 방향으로 팬트리(3)를 향하지 않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토출구(41)는 덕트(4)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메인 토출구(41)는 덕트(4)에 높이차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메인 토출구(41)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최상측 메인 토출구는 저장실 바디(11)의 상판과 하판 중 상판에 더 가까운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메인 토출구(41)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최하측 메인 토출구는 저장실 바디(11)의 상판과 하판 중 상판에 더 가까운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메인 토출구(41)는 최상측 메인 토출구와 최하측 메인 토출구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메인 토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토출구(42)는 팬트리(3)로 공기를 토출하는 팬트리 전용 토출구일 수 있다. 서브 토출구(42)의 높이는 메인 토출구(41)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서브 토출구(42)는 수평 방향으로 팬트리(3)를 향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는 저장실(S)에 배치된 선반(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반(18)는 저장실(S)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선반(18)는 메인 토출구(41) 및 서브 토출구(42)를 막지 않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반(18)는 덕트(4)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덕트(4)에는 선반(18)이 고정되는 선반 고정부(19)가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에는 저장실(S)의 공기가 덕트(4)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43)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43)는 덕트(4)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덕트(4)와 저장실 바디(11)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 흡입구(43)의 높이는 메인 토출구(41)의 높이 및 서브 토출구(42)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공기 흡입구(43)는 선반(18) 및 팬트리(3)에 의해 막히지 않는 높이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는 팬트리(3)의 저면이 저장실 바디(11)의 하판 상면과 이격될 수 있고, 공기 흡입구(43)는 팬트리(3)의 저면과 저장실 바디(11)의 하판 사이를 향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43)는 덕트(4)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43)는 덕트(4)의 하단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덕트(4)의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43)가 형성될 수 있다. 덕트(4)의 하단에는 복수개 공기 흡입구(43)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 공기 흡입구(43)는 덕트(4)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덕트(4)가 저장실 바디(11)의 후판 전방에 배치되고, 서브 토출구(42)가 덕트(4)의 하부에 전후방향(X)으로 개방될 경우, 팬트리(3)는 후술하는 덕트(4)의 하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반면에, 덕트(4)가 저장실 바디(11)의 좌측판 우측이나 우측판 좌측에 배치되고 서브 토출구(42)가 덕트(4)의 하부에 좌우방향(Y)으로 개방될 경우, 팬트리(3)는 덕트(4)의 하부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덕트(4)가 저장실 바디(11)의 후판 전방에 배치되고, 팬트리(3)가 덕트(4)의 하부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덕트와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도시된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덕트와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도시된 전방측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덕트와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도시된 후방측 분해 사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덕트 및 열교환기가 도시된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덕트와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덕트(4)와, 에어가이드(7)와, 열교환기(8) 및 송풍팬(9)을 포함한다.
덕트(4)와, 에어가이드(7)와, 열교환기(8) 및 송풍팬(9)은 저장실(S)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한 후, 저장실(S)로 다시 토출하는 냉기공급부(4)(7)(8)(9)
일 수 있다.
덕트(4)와, 에어가이드(7)와, 열교환기(8) 및 송풍팬(9)는 팬트리(3)가 배치되는 저장실(S)을 갖는 저장실 바디(11)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냉장실에 팬트리(3, 도 1 참조)가 배치되고 냉장실을 형성하는 저장실 바디(11)의 내부에 덕트(4)와, 에어가이드(7)와, 열교환기(8) 및 송풍팬(9)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덕트(4)는 냉장실과 팬트리(3) 각각으로 공기를 분산 토출할 수 있다.
냉장고는 냉동실에 팬트리(3)가 배치되고, 냉동실을 형성하는 저장실 바디(12) 내부에 덕트(4)와, 에어가이드(7)와, 열교환기(8) 및 송풍팬(9)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덕트(4)는 냉동실과 팬트리(3) 각각로 공기를 분산 토출할 수 있다.
냉장고의 일 예는 복수개의 저장실 바디(11)(12)의 각각 내부에 덕트(4)와, 에어가이드(7)와, 열교환기(8) 및 송풍팬(9)이 함께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장고의 다른 예는 복수개의 저장실 바디(11)(12)의 어느 하나에만 덕트(4)와, 에어가이드(7)와, 열교환기(8) 및 송풍팬(9)가 함께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냉장실에 팬트리(3)가 배치되고, 덕트(4)와, 에어가이드(7), 열교환기(8) 및 송풍팬(9)이 냉장실이 형성된 저장실 바디(11)에 배치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한편, 냉장고는 복수개의 저장실 바디(11)(12) 중 냉동실이 형성된 저장실 바디(12)에 냉동실 덕트와, 냉동실 증발기와, 냉동실팬이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장고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열교환기(8) 및 냉동실 증발기로 분배할 수 있는 냉매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냉매조절밸브와 열교환기(8)의 사이에는 열교환기(8)를 향해 유동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나 캐필러리 튜브 등의 제1팽창기구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냉매조절밸브와 냉동실 증발기 사이에는 냉동실 증발기를 향해 유동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나 캐필러리 튜브 등의 제2팽창기구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덕트(4)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덕트(4)는 저장실 바디(11)의 내부를 저장실(S)과 공기유로(P)로 구획할 수 있다. 덕트(4)에는 메인 토출구(41)와 서브 토출구(42)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토출구(41)는 저장실(S)를 향하게 형성될 수 있고, 공기유로(P)의 공기는 메인 토출구(41)를 통과해 저장실(S)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유로(P)의 공기 중 후술하는 제1유로(P1)의 공기는 제1유로(P1)에서 메인 토출구(41)를 통해 저장실(S)로 토출될 수 있다.
서브 토출구(42)는 팬트리(3)를 향하게 형성될 수 있고, 공기유로(P)의 공기는 서브 토출구(42)를 통해 팬트리(3)로 토출될 수 있다. 제1유로(P1)의 공기 중 일부는 제1유로(P1)에서 후술하는 제2유로(P2)로 유동되어 제2유로(P2)에 안내되어 서브 토출구(42)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덕트(4)에는 저장실(S)의 공기가 통과하는 청정 유로(P3)가 공기유로(P)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덕트(4)에는 청정 유로(P3)가 형성된 청정 유로부(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정 유로부(61)는 청정 유로(P3)와 공기유로(P)를 구획할 수 있다. 청정 유로부(61)는 덕트(4)의 일부일 수 있다. 그리고, 청정유로(P3)와 공기유로(P)는 직접 연통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저장실(S)의 공기 중 청정 유로(P3)로 흡입된 공기는 청정 유로(P3)에서 공기유로(P)로 유동되지 않고, 청정 유로(P3)를 통과한 후 청정 토출구(52)를 통해 저장실(S)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실(S)의 공기 중 공기유로(P)로 흡입된 공기는 공기유로(P)에서 청정유로(P3)로 유입되지 않고, 공기유로(P)를 통과한 후 메인 토출구(41)과 서브 토출구(42)를 통해 저장실(S) 및 팬트리(3)으로 분산 토출될 수 있다.
청정유로(P3)에는 청정유닛(66)이 배치될 수 있다.
청정유닛(66)은 정정유로(P3)에 배치된 필터유닛(67)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유닛(67)는 공기 중의 세균을 살균/제균할 수 있는 살균/제균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청정유닛(66)은 저장실(S)의 공기를 청정유로(P3)로 흡입시켜 필터유닛(67)으로 유동시키고, 필터유닛(67)을 통과한 공기를 청정유닛(P3)을 통해 저장실(S)로 송풍하는 청정팬(68)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유닛(67)과 청정팬(68)은 덕트(4)에 장착될 수 있고, 특히, 청정유로부(61)에 장착될 수 있다.
덕트(4)는 하부에 돌출부(44)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44)와 저장실 바디(11)의 사이에는 송풍팬(9) 및 후술하는 댐퍼(10)가 수용되는 공간(P4)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4)의 배면과 저장실 바디(11)의 사이에는 송풍팬(9) 및 댐퍼(1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P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P4)는 송풍팬(9)의 용적 및 댐퍼(10)의 용적의 합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공간(P4)의 전후방향 폭(L1)은 송풍팬(9)의 전후방향 폭(L2) 및 댐퍼(10)의 전후방향 폭 각각 보다 클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저장실(S)의 공기는 공기흡입구(43)을 통해 저장실 바디(11)와 돌출부(44)의 사이로 유동될 수 있고, 이러한 공기는 송풍팬(9)으로 흡입되어 송풍팬(9)의 상측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돌출부(44)는 수평면 및 수직면 각각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44A)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4)는 경사부(44A)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부(4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덕트(4)는 열교환기(8)를 가리는 어퍼수직부(45A)과, 어퍼수직부(45A)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부(44A)와, 경사부(44A)의 하단에 형성된 수직부(44B)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수직부(45A)와 수직부(44B)는 경사부(44A)에 의해 단차를 갖을 수 있다.
경사부(44A)는 송풍팬(9)에서 상측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제1유로(P1)으로 안내할 수 있다.
덕트(4)는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덕트(4)가 박스 형상일 경우, 덕트(4)는 프론트 커버(45)와, 프론트 커버(45)의 좌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좌측 커버(46)와, 프론트 커버(45)의 우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우측 커버(47)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45)는 어퍼수직부(45A)와 경사부(44A)와 수직부(44B)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커버(46)와 우측 커버(47)는 좌우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좌측 커버(46)과 우측 커버(47) 사이에는 열교환기(8)가 수용되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유로(P)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커버(46)와 우측 커버(47)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좌측 커버(46)와 우측 커버(47) 중 에어가이드(7)와 더 근접한 커버는, 에어가이드(7)의 상단(71)과 상하방향(Z)으로 이격되는 어퍼 가이드(48)와, 어퍼 가이드(48)와 직교하고 에어가이드(7)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사이드 가이드(49)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7)의 상단(71)은 어퍼 가이드(48)의 아래에 어퍼 가이드(48)의 하면과 상하방향(Z)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1유로(P1)의 에어는 에어가이드(7)의 상단(71)과 어퍼 가이드(48)의 하면 사이의 틈을 통해 제2유로(P2)로 진입될 수 있다.
좌측 커버(46)와 우측 커버(47) 중 에어가이드(7)와 더 근접한 커버는 어퍼 가이드(48)와 직교한 수직 가이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가이드(50)는 좌측 커버(46)와 우측 커버(47) 중 에어가이드(7)와 더 먼 커버 및 에어가이드(7) 각각과 평행할 수 있다.
제1유로(P1)의 공기는 제1유로(P1)에서 에어가이드(7)의 상단(71)과 어퍼 가이드(48)의 사이를 통과하여 제2유로(P2)로 진입될 수 있고, 제2유로(P2)로 진입된 공기는 에어가이드(7)의 양 측면(7A)(7B) 중 열교환기(3)를 향하는 면(7A)의 반대면(7B)과 사이드 가이드(49)를 통과하여 하측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덕트(4)는 에어가이드(7)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에어가이드(7)와 함게 제1유로(P1)를 형성하는 이너가이드(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가이드(58)는 적어도 일부가 에어가이드(7)와 나란할 수 있다.
즉, 덕트(4)는 이너가이드(58)와 에어가이드(7) 사이에 열교환기(8)가 배치되는 제1유로(P1)이 형성될 수 있고, 좌측 커버(46)와 우측 커버(47) 중 에어가이드(7)와 더 가까운 커버(47)와 에어가이드(7) 사이에 제2유로(P2)가 형성될 수 있다.
덕트(4)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덕트(4)가 복수개 부재를 포함할 경우, 덕트(4)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커버(5)와, 단열부재(6)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커버(5)는 도어(2)를 열었을 때, 외부에서 덕트 커버(5)의 전면이 보이는 아우터 덕트일 수 있다.
덕트 커버(5)는 프론트 커버(45)와, 좌측 커버(46)와, 우측 커버(47)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커버(5)에는 메인 토출구(41) 및 서브 토출공(42)이 형성될 수 있다. 덕트 커버(5)에는 청정 유로(P3)와 연통되는 청정 흡입공(51) 및 청정 토출공(5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열부재(6)는 덕트 커버(5)에 의해 가려지는 이너 덕트일 수 있다. 단열부재(6)는 덕트 커버(5)가 결빙되지 않게 덕트 커버(5)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청정유로부(61)는 단열부재(6)에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단열부재(6)에는 메인 토출구(41)과 연통되는 이너 토출공(6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P1)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는 단열부재(6)의 이너 토출공(62)과 덕트 커버(5)의 메인 토출구(41)을 통과하여 저장실(S)로 토출될 수 있다.
단열부재(6)에는 덕트 커버(5)의 청정 토출공(52)와 연통되고 청정유로(P3)의 공기가 통과하는 이너 청정 토출공(63)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에어가이드(7)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가이드(7)는 공기유로(P)를 메인 토출구(41)가 연통되는 제1유로(P1)와, 제1유로(P1)의 공기가 서브 토출구(42)로 안내되는 제2유로(P2)로 구획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7)는 덕트(4)의 내부를 제1유로(P1)와 제2유로(P2)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덕트(4)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저장실 바디(11)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에어가이드(7)는 도 2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4)에 상하방향(Z)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유로(P1)와 제2유로(P1)를 좌,우 구획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7)는 덕트(4)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커버(5)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단열부재(6)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가이드(7)의 전후방향 폭(T1)은 열교환기의 전후방향 폭(T2)(T3) 보다 클 수 있다.
냉장고가 단수개 열교환기를 포함할 경우, 에어가이드(7)의 전후방향 폭(T1)은 단수개 에어가이드의 전후방향 폭 보다 클 수 있다.
냉장고가 복수개 열교환기(8A)(8B)를 포함할 경우, 에어가이드(7)의 전후방향 폭(T1)은 복수개 열교환기(8A)(8B) 각각의 폭의 합 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에어가이드(7)의 전후방향 폭(T1)은 복수개 열교환기(8A)(8B) 사이의 틈과 복수개 열교환기(8A)(8B) 각각의 폭의 합 보다 클 수 있다.
에어가이드(7)의 전후방향 폭(T1)은 덕트(4)와 프론트 열교환기(8A) 사이의 틈(G1)과, 프론트 열교환기(8A)와 리어 열교환기(8B) 사이의 틈(G2)과, 리어 열교환기(8B)와 저장실 바디(11) 사이의 틈(G3)의 합(G1+G2+G3) 보다 클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에어가이드(7)의 상단(71)은 덕트(4)의 상단과 하단 중 상단에 더 근접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7)의 상단(71)은 좌측 커버(46)와, 우측 커버(47) 각각과 이격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7)의 하단(72)은 덕트(4)의 상단과 하단 중 하단에 더 근접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7)는 하단(72)은 후술하는 댐퍼(10)의 상단 위에 연장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7)의 하단(72)은 댐퍼(1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하, 열교환기(8)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교환기(8)는 저장실 바디(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저장실(S)을 냉각할 수 있다.
열교환기(8)는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이거나 열전모듈(TEM: Thermoelectric Module)일 수 있다.
열교환기(8)가 증발기일 경우, 냉장고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미도시) 및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나 캐필러리 튜브 등의 팽창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8)가 증발기일 경우, 열교환기(8)는 팽창기구와 팽창기구 연결튜브로 연결될 수 있고, 압축기와 압축기 연결튜브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8)는 후술하는 공기유로 특히, 제1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기구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제1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열을 흡열하면서 증발될 수 있다. 열교환기(8)에서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로 흡입되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될 수 있다.
열교환기(8)가 열전모듈일 경우, 열교환기는 저온부인 냉각판와 고온부인 방열판을 포함할 수 있고, 열전모듈의 냉각판은 공기유로 특히, 제1유로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방열판은 본체(1) 중 공기유로의 이외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판에 의해 냉각될 수 있고, 냉각판으로 전달된 열은 방열판을 통해 외부로 방열될 수 있다.
이하, 열교환기(8)는 증발기인 것으로 설명하나, 증발기에 한정되지 않고, 열전모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열교환기(8)가 증발기로 구성될 경우, 열교환기(8)는 냉매튜브에 핀에 부착된 핀튜브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한 쌍의 전열판이 상호 접합되고 한 쌍의 전열판 사이에 냉매유로가 형성된 롤본드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롤본드 열교환기는 핀튜브 열교환기 보다 두께가 얇을 수 있고, 냉장고는 롤본드 열교환기를 포함할 경우, 공기유로(P)의 두께(즉, 전후방향 폭)를 얇게 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저장실(S)의 용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8)는 제1유로(P1)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8)는 제2유로(P2)에 배치되지 않고, 제1유로(P1)에만 배치될 수 있다.
제1유로(P1)는 열교환기(8)가 수용되는 열교환기 수용부일 수 있고, 송풍팬(9)에서 제1유로(P1)로 유동된 공기는 제1유로(P1)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8)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8)의 측단(81)은 에어가이드(7)를 좌우방향(Y)으로 향할 수 있다. 열교환기(8)의 측단(81)은 에어가이드(7)의 일면(7A)을 향할 수 있다. 열교환기(8)는 좌측단과 우측단 중 어느 하나의 측단(81)이 에어가이드(7)를 좌우방향(Y)으로 향할 수 있고, 좌측단과 우측단 중 다른 하나의 측단이 이너가이드(76)를 향할 수 있다.
열교환기(8)의 수평방향 폭(W1)은 제1유로(P1)의 수평방향 폭(W2) 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P2)의 수평방향 폭(W3)은 열교환기(8)의 수평방향의 폭(W1) 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기(8)의 수평방향 폭(W1)은 열교환기(8)의 수평방향 폭 중 그 폭이 최대인 부분의 폭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유로(P1)의 수평방향 폭(W2)는 제1유로(P1)의 수평방향 폭(W2) 중 최대인 부분의 폭일 수 있다. 제2유로(P2)의 수평방향 폭(W3)는 제2유로(P2)의 수평방향 폭(W3) 중 최대인 부분의 폭일 수 있다.
제2유로(P2)는 전후방향(X)으로 열교환기(8)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유로(P2)의 수평방향 폭이 열교환기(8)의 수평방향 폭(W1) 보다 작을 경우, 열교환기(8)는 덕트(4)와 저장실 바디(11)의 사이에 최대 면적을 갖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8)의 좌우방향 폭(W1)은 제1유로(P1)의 좌우방향 폭(W1) 보다 작을 수 있고, 제2유로(P2)의 좌우방향 폭(W3) 보다 클 수 있고, 열교환기(8)는 덕트(4)와 저장실 바디(11)의 사이에 최대 면적을 갖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8)는 단수개가 덕트(4)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8A)(8B)가 덕트(4)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장고는 복수개의 열교환기(8A)(8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열교환기(8A)(8B)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청정 유로부(61)을 회피하는 회피부(82)가 형성될 수 있다.
청정 유로부(61)는 외둘레가 직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일 수 있고, 회피부(82)는 청정 유로부(61)와 같은 다각형일 수 있다.
청정 유로부(61)는 상하방향(Z)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고, 회피부(82)는 상하방향(Z)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일 수 있다.
회피부(82)의 개구된 면적은 청정 유로부(61)의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는 복수개의 열교환기(8A)(8B)를 포함할 경우, 냉장고는 프론트 열교환기(8A) 및 리어 열교환기(8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열교환기(8A)는 덕트(4)와 전후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리어 열교환기(8B)는 프론트 열교환기(8A) 및 저장실 바디(11) 각각과 전후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프론트 열교환기(8A)와 리어 열교환기(8B)의 각각에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가 연결될 수 있다.
냉장고는 프론트 열교환기(8A)와 리어 열교환기(8B)에 연결되는 냉매튜브가 프론트 열교환기(8A)와 리어 열교환기(8B)를 직렬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프론트 열교환기(8A)와 리어 열교환기(8B)를 병렬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냉장고가 복수개의 열교환기를 포함할 경우, 냉장고는 프론트 열교환기(8A)와 리어 열교환기(8B)의 사이에 배치된 센터 열교환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열교환기는 프론트 열교환기(8A)와 리어 열교환기(8B) 각각과 이격될 수 있다. 센터 열교환기는 프론트 열교환기(8A)와 리어 열교환기(8B) 사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센터 열교환기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냉장고는 전후방향(X)으로 이격되는 열교환기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열교환기의 개수는 최소 2개 최대 5개일 수 있다.
복수개 열교환기(8A)(8B) 중 적어도 하나는 청정 유로부(61)을 회피하는 회피부(8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 열교환기(8A)(8B) 면적의 합은 덕트(4)의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프론트 열교환기(8A)는 청정 유로부(61)를 회피하는 회피부(82)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열교환기(8A)는 청정 유로부(61)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열교환부(83)와, 청정 유로부(61)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열교환부(84)와, 좌측 열교환부(83)의 하단과 우측 열교환부(84)의 하단을 잇는 하측 열교환부(85)을 포함할 수 있다.
회피부(82)는 좌측 열교환부(83)과 우측 열교환부(8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하측 열교환부(85)의 일부는 회피부(82)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좌측 열교환부(83)와 우측 열교환부(84)는 회피부(82)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좌측 열교환부(83)와 우측 열교환부(84)의 이격거리는 청정 유로부(61)의 좌우방향 폭 보다 길 수 있다.
프론트 열교환기(8A)는 청정 유로부(61)의 좌측과 하측과 우측을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열교환기(8A)의 면적은 리어 열교환기(8B)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열교환기(8A)의 면적과 리어 열교환기(8B)의 면적의 합은 덕트(4)의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복수개의 열교환기(8A)(8B)는 청정 유로부(61)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최대한 넓은 열전달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와 같이, 전후방항(X)으로 덕트(4)와 더 가까운 열교환기(8A)에 회피부(82)가 형성되고, 전후방항(X)으로 덕트(4)와 상대적으로 더 먼 열교환기(8B)에는 회피부(82)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는 복수개의 열교환기(8A)(8B) 모두에 회피부(82)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회피부(82)가 복수개의 열교환기(8A)(8B) 중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복수개의 열교환기(8A)(8B) 중 일부에만 회피부(82)가 형성될 경우, 청정 유로부(61)의 면적의 합과 프론트 열교환기(8A)의 면적의 합은 리어 열교환부(8B)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청정 유로부(61)와 프론트 열교환기(8A) 사이에는 틈이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틈은 리어 열교환기(8B)의 전면을 향할 수 있다.
즉, 리어 열교환기(8B)는 전후방항(X)으로 프론트 열교환기(8A)를 마주보는 제1영역과, 전후방항(X)으로 청정 유로부(61)를 마주보는 제2영역과, 전후방항(X)으로 청정 유로부(61)와 프론트 열교환기(8A) 사이의 틈을 마주보는 제3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영역은 제1영역과 제2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냉장고는 상기와 같은 회피부(82)에 의해 청정 유로(P3)가 형성된 냉장고의 경우에도 덕트(4)의 수평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저장실(S)의 용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하, 송풍팬(9)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팬(9)은 저장실(S)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유로(P1)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팬(9)은 팬모터(91)와; 팬하우징(93)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9)는 팬모터(91)가 장착되는 팬모터 브라켓(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93)은 팬모터(91)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고, 상부에 열교환기(8)를 향하는 토출가이드(92)가 돌출될 수 있다.
팬하우징(93)는 저장실 바디(11)를 향하는 면에 공기흡입공(93A)이 형성될 수 있고, 상면에 공기토출공(93B)이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93)의 공기흡입공(93A)은 팬하우징(93)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고, 공기는 팬하우징(93)의 후면을 통과해 팬하우징(93)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팬하우징(93)의 상면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92)는 열교환기(8)의 아래에 열교환기(8)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그 상면은 열교환기(8)를 향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92)는 수평면 및 수직면에 각각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92)는 상측으로 갈수록 저장실 바디(11)와 근접한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토출가이드(92)는 돌출부(44)의 경사부(44A)와 전후방항(X)으로 이격될 수 있고, 팬모터(91)에서 송풍된 공기는 경사부(44A)와 토출가이드(92) 사이를 경사방향으로 통과한 후 상측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92)는 돌출부(44)의 경사부(44A)와 함께 공기를 안내할 수 있고, 토출가이드(92)와 경사부(44A)의 사이에는 송풍팬(9)에서 상측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후방 상측의 경사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9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이 상하방향(Z)으로 제1유로(P1)를 향할 수 있고, 그 하면이 저장실 바디(11)와 돌출부(44) 사이의 공간(P4)를 향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92)의 상단(92A)은 저장실 바디(11)의 내면(11A)에 접촉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92)의 하단(92B)은 돌출부(44)와 상하방향(Z) 및 전후방향(X) 각각 이격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92)의 하단(92B)은 경사부(44A)와 상하방향(Z)으로 일치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92)의 하단(92B)는 경사부(44A)의 하면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는 제1유로(P1)의 아래에 위치하는 토출가이드(92)로 낙하될 수 있고,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토출가이드(92)로 낙하되지 않고 팬모터(91)로 직접 낙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92)에는 제상수 드레인 홀(95)이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제상수는 토출가이드(92)의 상면으로 낙하될 수 있고, 토출가이드(92)의 상면을 따라 흐르면서 제상수 드레인홀(95)를 유입할 수 있고, 제상수 드레인 홀(95)로 유딥된 제상수는 팬모터(91)로 유동되지 않고, 제상수 드레인 홀(95)을 통과할 수 있고, 이러한 제상수는 저장실 바디(11)와 돌출부(44) 사이의 공간(P4)을 통해 저장실 바디(11)의 하판을 향해 낙하될 수 있다.
제상수 드레인 홀(95)은 토출가이드(92)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92)에는 복수개의 제상수 드레인 홀(9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토출가이드(92)의 상면으로 낙하될 수 있고, 토출가이드(92)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는 제상수 드레인 홀(95)을 통해 저장실 바디(11)와 돌출부(44) 사이의 공간(P4)으로 낙하될 수 있다.
즉, 토출가이드(92)는 팬모터(91)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는 에어 가이드일 수 있고, 제상수를 제상수 드레인 홀(95)로 안내할 수 있는 제상수 가이드일 수 있다.
냉장고는 팬 하우징(93) 자체가 제상수 집수부재로 기능할 수 있고, 별도의 제상수 집수부재를 팬 하우징(93)에 결합하는 경우 보다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조립 공정이 단순할 수 있다.
냉장고는 제2유로(P2)에서 서브 토출구(42)로 토출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댐퍼(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송풍팬(9)와 댐퍼(10) 및 제2유로(P2)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댐퍼(10)는 제2유로(P2)의 하단과 서브 토출구(42)를 연통시킬 수 있다.
댐퍼(10)는 댐퍼 케이스(10A)와, 댐퍼 케이스(10A)에 설치된 댐퍼 모듈(10B)을 포함할 수 있다. 댐퍼(10)에는 제2유로(P2)에서 유동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10C)와, 입구(10C)로 유입된 공기를 팬트리(3)를 향해 토출하는 출구(10D)가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케이스(10A)에는 입구(10C) 및 출구(10D)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10C)는 댐퍼 케이스(10A)의 상면에 상하방향(Z)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출구(10D)는 댐퍼 케이스(10A)의 전면에 전후방향(X)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케이스(10A)의 내부에는 입구(10C) 및 출구(10D)와 연통되는 댐퍼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댐퍼 모듈(10B)는 댐퍼 케이스(10A)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댐퍼 모듈(10B)는 댐퍼 케이스(10A)의 댐퍼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셔터와, 셔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0)의 밀폐모드시, 댐퍼 모듈(10B)의 모터는 셔터를 회전시켜 댐퍼 통로가 셔터에 의해 막히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댐퍼(10)의 개방모드시, 댐퍼 모듈(10B)의 모터는 셔터를 역회전시켜 셔터가 댐퍼 통로를 막지 않게 할 수 있다.
보조 토출구(42)의 위치 및 댐퍼(10)의 위치는 팬트리(3)의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데, 보조 토출구(42) 및 댐퍼(10) 각각은 저장실(S)의 용적을 최대화할 수 있으면서 최대한 팬트리(3)의 중앙과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9)의 수평방향 최대 폭은 열교환기(8)의 수평방향 최대 폭 보다 짧을 수 있고, 송풍팬(9)는 공기를 열교환기(8)로 고르게 송풍할 수 있도록 덕트(4)의 수직 중심축(V)에 위치될 수 있다.
송풍팬(9)의 좌측과 송풍팬(9)의 우측은 열교환기(8)가 위치되지 않는 공간일 수 있고, 댐퍼(10)는 송풍팬(9)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9)의 좌측에 위치되거나 송풍팬(9)의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토출구(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4)의 수직 중심축(V)을 기준으로 좌,우 중 일측으로 편심될 수 있다.
송풍팬(9) 및 댐퍼(10)는 돌출부(44)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9)는 댐퍼(10)는 돌출부(44)와 저장실 바디(11)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서브 토출구(42) 및 댐퍼(10)가 저장실 바디(11)의 측판에 너무 가까울 경우, 댐퍼(10)를 통과한 공기는 팬트리(3)의 좌우 중 일측으로 과도하게 집중될 수 있다.
서브 토출구(42) 및 댐퍼(10)는 댐퍼(10)가 송풍팬(9)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이면서 덕트(4)의 수직 중심축(V)과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댐퍼(10)는 송풍팬(9)의 옆에 송풍팬(9)과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2유로(P2)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제2유로(P2)는 열교환기(8)가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저장실 바디(11)의 좌측판과 우측판 중 어느 하나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유로(P2)는 전체적으로 저장실 바디(11)의 좌측판과 우측판 중 어느 하나에 최대한 근접하되 댐퍼(10)와 근접한 일부 영역만 송풍팬(9)과 근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2유로(P2)는 어퍼유로(P21)와, 로어유로(P22) 및 경사유로(P2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유로(P21)은 제1유로(P1)의 옆에 위치될 수 있다.
로어유로(P22)는 댐퍼(10)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유로(P22)는 어퍼유로(P21)와 상하방향(Z)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로어유로(P22)는 그 전체가 어퍼유로(P21)과 상하방향(Z)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로어유로(P22)는 일부영역이 어퍼유로(P21)과 상하방향(Z)으로 오버랩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도 로어유로(P22)는 어퍼유로(P21)와 상하방향(Z)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의 면적이 어퍼유로(P21)와 상하방향(Z)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의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유로(P23)는 어퍼유로(P21)와 로어유로(P22)를 연통할 수 있다. 경사유로(P23)의 상단은 어퍼유로(P21)의 하단과 통할 수 있고, 경사유로(P23)의 하단은 로어유로(P22)의 상단과 통할 수 있다.
제1유로(P1)의 공기 중 일부는 제1유로(P1)의 상부에서 어퍼 유로(P21)로 진입될 수 있고, 어퍼 유로(P21)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어퍼 유로(P21)를 통과한 공기는 경사유로(P23)을 따라 안내되면서 그 유동방향이 경사방향으로 꺽일 수 있다.
경사유로(P23)를 통과한 공기는 로어유로(P22)를 따라 안내되면서 그 유동방향이 수직방향으로 다시 꺽일 수 있고, 최종적으로 로어유로(P22)에서 댐퍼(1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냉장고는 제1유로(P1)의 상부로 송풍된 공기를 전방방향으로 기류 전환하는 어퍼 가이드(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어퍼 가이드(100)에 대해 설명한다.
어퍼 가이드(100)는 복수개의 메인 토출구(41)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메인 토출구로 공기를 안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가이드(100)는 후판과 상판 사이가 굽은 형상인 유로 가이드(10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가이드(100)는 청정 유로부(61)와 접촉되어 청정 흡입공(51)으로 흡입된 공기를 청정 유로(P3)로 안내하는 한 쌍의 리브(104)(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풍팬(9)의 구동시, 저장실(S)의 공기는 공기 흡입구(43)을 흡입되어 덕트(4)의 하부와 저장실 바디(11)의 사이의 공간(P4)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는 팬 하우징(93)의 공기흡입공(93A)를 통과하여 팬 하우징(93)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공기토출공(93B)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공기토출공(93B)으로 토출된 공기는 토출가이드(92)와 경사부(44B)의 사이를 통과하여 제1유로(P1)로 유입될 수 있고, 제1유로(P1)를 통과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8A)(8B)와 열교환될 수 있다.
냉장고가 복수개 열교환기(8A)(8B)를 포함할 경우, 제1유로(P1)의 공기는 프론트 열교환기(8A)와 덕트(4) 사이의 틈(G1)과, 프론트 열교환기(8A)와 리어 열교환기(8B) 사의의 틈(G2)와, 리어 열교환기(8B)와 저장실 바디(11) 사이의 틈(G3)를 통과하면서 복수개 열교환기(8A)(8B)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는 제1유로(P1)를 따라 제1유로(P1)의 상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송풍팬(9)의 구동시, 댐퍼(10)는 개방모드일 수 있고, 이 경우, 제1유로(P1)의 상부로 송풍된 공기 중 일부는 제2유로(P2)로 진입되어 제2유로(P2)를 따라 안내될 수 있고, 제2유로(P2)로 유동되지 않는 공기는 메인 토출구(41)을 통해 저장실(11)로 토출될 수 있다.
제2유로(P2)로 진입되어 제2유로(P2)에 안내된 공기는 제2유로(P2)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안내된 후 댐퍼(10)로 유입될 수 있고, 댐퍼(10)를 통과한 후 서브 토출구(4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서브 토출구(42)로 토출된 공기는 팬트리(3)로 송풍될 수 있고, 이러한 공기는 팬트리(3)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냉장고가 청정유로부(61) 및 청정유닛(66)을 더 포함하고, 청정유닛(66)의 청정팬(68)이 구동되면, 저장실(S)의 공기는 청정 흡입공(51)을 통해 청정유로(P3)로 흡입될 수 있고, 청정유로(P3)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유닛(67)을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세균을 살균/제균될 수 있다.
이렇게 살균/제균된 공기는 청정유로(P3)를 통과한 후 청정 토출공(52)을 통해 저장실(S)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냉장실이 형성된 저장실 바디(11, 이하, 냉장실 바디라 칭함) 및 냉동실이 형성된 저장실 바디(12, 이하, 냉동실 바디라 칭함) 각각에 팬트리(3), 덕트(4), 에어가이드(7), 열교환기(8), 송풍팬(9)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냉장고는 냉장실 바디(11)에 배치된 열교환기(8)와 냉동실 바디(12)에 배치된 열교환기(8)로 냉매를 분배하는 냉매조절밸브와, 냉장실 바디(11)에 배치된 열교환기(8)와 냉매조절밸브 사이에 배치된 전자팽창밸브나 캐필러리 튜브 등의 제1팽창기구와,
냉동실 바디(12)에 배치된 열교환기(8)와 냉매조절밸브 사이에 배치된 전자팽창밸브나 캐필러리 튜브 등의 제2팽창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 덕트 7: 에어가이드
8: 열교환기 9: 송풍팬
11: 저장실 바디 41: 메인 토출구
42: 서브 토출구 P: 공기유로
P1: 제1유로 P2: 제2유로
S: 저장실

Claims (20)

  1. 저장실 바디의 내부를 저장실과 공기유로로 구획하고 메인 토출구와 서브 토출구가 형성된 형성된 덕트와;
    상기 공기유로를 상기 메인 토출구가 연통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의 공기가 상기 서브 토출구로 안내되는 제2유로로 구획하는 에어가이드와;
    상기 제1유로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유로로 송풍하는 송풍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수평방향 폭은 상기 제1유로의 수평방향 폭 보다 작고,
    상기 제2유로의 수평방향 폭은 상기 열교환기의 수평방향의 폭 보다 작은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측단은 상기 에어가이드를 좌우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제2유로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열교환기와 오버랩되지 않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덕트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좌,우 구획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후방향 폭 보다 긴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토출구로 토출된 공기에 의해 냉각되게 상기 저장실에 배치된 팬트리와;
    상기 제2유로에서 서브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토출구는 상기 덕트의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중 일측으로 편심된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송풍팬의 옆에 배치된 냉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하부에 돌출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송풍팬 및 댐퍼는 상기 돌출부에 배치된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는 제1유로의 옆에 위치하는 어퍼유로와;
    상기 댐퍼의 위에 위치하고 상기 어퍼유로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로어유로와;
    상기 어퍼유로와 로어유로를 연통하는 경사유로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덕트와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프론트 열교환기와;
    상기 프론트 열교환기 및 저장실 바디 각각과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리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덕트와 프론트 열교환기 사이의 틈과, 프론트 열교환기와 리어 열교환기 사이의 틈과, 리어 열교환기와 저장실 바디 사이의 틈의 합 보다 큰 냉장고.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저장실의 공기가 통과하는 청정 유로가 형성된 청정 유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정유로에는 청정 유닛이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열교환기는 상기 청정 유로부를 회피하는 회피부가 형성된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메인 토출공 및 서브 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청정 유로와 연통되는 청정 흡입공 및 청정 토출공이 형성된 덕트 커버와,
    상기 메인 토출공과 연통되는 이너 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청정유로부가 후방으로 돌출된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열교환기의 면적은 상기 리어 열교환기의 면적 보다 작고, 상기 프론트 열교환기의 면적과 상기 리어 열교환기의 면적의 합은 덕트의 면적 보다 큰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의 외둘레를 둘러싸고 상부에 공기를 상기 제1유로로 토출안내하는 토출 가이드가 일체로 돌출된 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이드에는 제상수 드레인 홀이 형성된 냉장고.
  16. 저장실 바디의 내부를 저장실과 공기유로로 구획하고 메인 토출구와 서브 토출구가 형성된 형성된 덕트와;
    상기 서브 토출구로 토출된 공기에 의해 냉각되게 상기 저장실에 배치된 팬트리와;
    상기 공기유로를 상기 메인 토출구가 연통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의 공기가 상기 서브 토출구로 안내되는 제2유로로 구획하는 에어가이드와;
    상기 제1유로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유로로 송풍하는 송풍팬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토출구는 상기 덕트의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중 일측으로 편심되고,
    상기 서브 토출구의 높이는 상기 메인 토출구의 높이 보다 낮은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에서 서브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조절하고 상기 송풍팬의 옆에 배치된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는 제1유로의 옆에 위치하는 어퍼유로와;
    상기 댐퍼의 위에 위치하고 상기 어퍼유로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로어유로와;
    상기 어퍼유로와 로어유로를 연통하는 경사유로를 포함하는 냉장고.
  18. 저장실 바디의 내부를 저장실과 공기유로로 구획하고 메인 토출구와 서브 토출구가 형성된 형성되고 상기 저장실의 공기가 통과하는 청정 유로가 형성된 청정 유로부가 돌출된 덕트와;
    상기 공기유로를 상기 메인 토출구가 연통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의 공기가 상기 서브 토출구로 안내되는 제2유로로 구획하는 에어가이드와;
    상기 제1유로에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 열교환기와;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유로로 송풍하는 송풍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청정 유로부를 회피하는 회피부가 형성된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열교환기는
    상기 회피부가 형성된 프론트 열교환기와;
    상기 프론트 열교환기 및 저장실 바디 각각과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리어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열교환기의 면적은 상기 리어 열교환기의 면적 보다 작은 냉장고.
  20. 저장실 바디의 내부를 저장실과 공기유로로 구획하고 메인 토출구와 서브 토출구가 형성된 형성된 덕트와;
    상기 공기유로를 상기 메인 토출구가 연통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의 공기가 상기 서브 토출구로 안내되는 제2유로로 구획하는 에어가이드와;
    상기 제1유로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유로로 송풍하는 송풍팬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의 외둘레를 둘러싸고 상부에 공기를 상기 제1유로로 토출 안내하는 토출 가이드가 일체로 돌출된 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제1유로의 아래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토출가이드에는 제상수 드레인 홀이 형성된 냉장고.
KR1020170052461A 2017-04-24 2017-04-24 냉장고 KR102321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461A KR102321492B1 (ko) 2017-04-24 2017-04-24 냉장고
US15/947,069 US10775094B2 (en) 2017-04-24 2018-04-06 Refrigerator
ES18168912T ES2859730T3 (es) 2017-04-24 2018-04-24 Refrigerador
EP18168912.6A EP3396279B1 (en) 2017-04-24 2018-04-24 Refrigerator
US16/988,293 US11473828B2 (en) 2017-04-24 2020-08-07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461A KR102321492B1 (ko) 2017-04-24 2017-04-24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033A true KR20180119033A (ko) 2018-11-01
KR102321492B1 KR102321492B1 (ko) 2021-11-04

Family

ID=6206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461A KR102321492B1 (ko) 2017-04-24 2017-04-24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775094B2 (ko)
EP (1) EP3396279B1 (ko)
KR (1) KR102321492B1 (ko)
ES (1) ES2859730T3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045A (ko) *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87046A (ko) *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87047A (ko) *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1615A (ko) * 2019-05-10 2022-01-28 칭다오 하이얼 리프리저레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냉장고용 모듈화 범용 송풍 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301A (ko) * 2016-12-22 201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덕트 어셈블리 및 멀티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 그리고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09341186B (zh) * 2018-11-28 2019-11-0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独立制冰系统的冰箱
US11692756B2 (en) * 2019-12-09 2023-07-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220007292A (ko) * 2020-07-10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892226B2 (en) * 2021-12-10 2024-02-06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ion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EP4206579A1 (en) * 2021-12-28 2023-07-05 Arç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n evaporator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010A (en) * 1993-02-23 1995-10-24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or
KR20080079109A (ko) * 2007-02-26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008159U (ko) 2008-02-11 2009-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83912A (ko) * 2010-01-15 2011-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86413A (ko) * 2010-01-22 201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1002648A1 (de) * 2011-01-13 2012-07-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Kühlraum und Verdampfereinrichtung
US20130015753A1 (en) * 2010-12-29 2013-01-17 Mina Son Refrigerator
KR101578003B1 (ko) * 2009-01-21 2015-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23105A (ko)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183Y1 (ko) 1994-01-26 1998-06-15 김광호 김치실용 냉기순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EP1586837A1 (en) 2004-04-16 2005-10-1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efrigerator apparatus with freezer compartment and simplified defrosting device
JP4221402B2 (ja) 2005-09-09 2009-02-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IT1391479B1 (it) 2008-07-15 2011-12-23 Indesit Co Spa Apparecchio di refrigerazione di uso domestico, in particolare del tipo no-frost
KR20120006699A (ko) 2010-07-13 2012-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5847626B2 (ja) * 2012-03-26 2016-01-27 ハイアールアジア株式会社 冷蔵庫及びその運転方法
WO2016036005A1 (en) 2014-09-02 2016-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1700501B1 (ko) 2015-03-25 2017-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010A (en) * 1993-02-23 1995-10-24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or
KR20080079109A (ko) * 2007-02-26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008159U (ko) 2008-02-11 2009-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578003B1 (ko) * 2009-01-21 2015-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83912A (ko) * 2010-01-15 2011-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86413A (ko) * 2010-01-22 201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30015753A1 (en) * 2010-12-29 2013-01-17 Mina Son Refrigerator
DE102011002648A1 (de) * 2011-01-13 2012-07-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Kühlraum und Verdampfereinrichtung
KR20160023105A (ko)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045A (ko) *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87046A (ko) *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87047A (ko) *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1615A (ko) * 2019-05-10 2022-01-28 칭다오 하이얼 리프리저레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냉장고용 모듈화 범용 송풍 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6279A1 (en) 2018-10-31
US11473828B2 (en) 2022-10-18
ES2859730T3 (es) 2021-10-04
KR102321492B1 (ko) 2021-11-04
US10775094B2 (en) 2020-09-15
EP3396279B1 (en) 2021-01-20
US20180306484A1 (en) 2018-10-25
US20200363118A1 (en)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9033A (ko) 냉장고
KR101578002B1 (ko) 냉장고
KR101821289B1 (ko) 냉장고
RU2741527C1 (ru) Холодильник
US7950245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JPH08511088A (ja) 冷蔵庫の冷気ダクト
KR101565387B1 (ko) 냉장고
KR20190020386A (ko) 냉장고
KR101090061B1 (ko) 냉장고
RU2422737C1 (ru) Холодильник
EP3926263B1 (en) Refrigerator having return air inlets formed in two side walls of refrigerator body
KR20180129472A (ko) 냉장고
KR20200095887A (ko) 냉장고
KR20180046575A (ko) 냉장고
KR101635647B1 (ko) 냉장고
CN111609627A (zh) 具有u型冷凝器的冰箱
KR100820812B1 (ko) 냉장고
KR101645731B1 (ko) 냉장고
EP3926266B1 (en) Refrigerator having blower transversely disposed besides and downstream of evaporator
KR102646411B1 (ko) 냉장고
KR20020003767A (ko) 냉장고
KR20210081010A (ko) 냉장고
KR100382480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RU2773123C2 (ru) Холодильник
US20100180625A1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