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996A - 냉장고용 제상히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제상히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996A
KR20110006996A KR1020090064665A KR20090064665A KR20110006996A KR 20110006996 A KR20110006996 A KR 20110006996A KR 1020090064665 A KR1020090064665 A KR 1020090064665A KR 20090064665 A KR20090064665 A KR 20090064665A KR 20110006996 A KR20110006996 A KR 20110006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fan
cooling fan
chambe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7443B1 (ko
Inventor
조연우
송계영
안광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4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443B1/ko
Priority to US13/380,192 priority patent/US20120096887A1/en
Priority to PCT/KR2010/004291 priority patent/WO2011007971A2/en
Priority to EP10799982.3A priority patent/EP2454540B1/en
Publication of KR20110006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1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the fans not of the axi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상히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이 냉장고 본체에 구비되는 증발기와, 증발기의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냉각실로 송풍하는 냉각팬과, 증발기의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증발기를 가열하는 증발기제상부와, 증발기제상부로부터 연장되어 냉각팬을 가열하는 냉각팬제상부를 구비한 제상히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증발기 및 냉각팬을 동시에 제상할 수 있다.
냉장고, 냉각실, 냉각팬, 제상히터, 증발기제상부, 냉각팬제상부

Description

냉장고용 제상히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DEFRISTING HEAT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상히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 및 냉각팬을 동시에 제상할 수 있는 냉장고용 제상히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내부에 복수의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각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들과, 상기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통상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와,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된다.
통상, 냉각실의 후벽에는 냉각실의 냉기가 순환할 수 있게 냉기순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냉기순환유로에는 공기 유동을 촉진할 수 있게 냉각팬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기순환유로 중에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냉각될 수 있게 증발기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는 복수의 냉각실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증발기의 표면을 비롯하여 증발기의 주변의 벽 또는 냉각팬 등에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착상)될 수 있다. 수분이 응결된 성에는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공기의 유동 저항을 증가시킨다. 또한 냉각팬의 운동부위가 결빙되어 냉각팬의 구속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증발기의 일 측(예를 들면 하측)에 제상히터를 배치하여 제상작용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어, 제상히터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있는 요소(예를 들면 냉각팬)의 제상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수 있고, 이에 기인하여 전반적으로 제상시간이 길어지게 될 수 있다. 이렇게 제상시간이 길어질 경우 고내에 저장된 식품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고, 전력소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증발기 및 냉각팬을 동시에 제상할 수 있는 냉장고용 제상히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제상히터로 복수의 구성부품을 제상할 수 있는 냉장고용 제상히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에 구비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냉각실로 송풍하는 냉각팬; 그리고 상기 증발기의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를 가열하는 증발기제상부와, 상기 증발기제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냉각팬을 가열하는 냉각팬제상부를 구비한 제상히터;를 포함하는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실은 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제1냉각실 및 제2냉각실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격벽의 내부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1냉각실로 냉기를 송풍하는 제1냉각팬과, 상기 제2냉각실로 냉기를 송풍하는 제2냉각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팬은 흡입구스크롤을 구비한 원심팬으로 구성되고, 상기 냉각팬제상부는 상기 흡입구스크롤의 형상에 대응되게 반원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제2냉각팬제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되는 전열관과, 상기 전열관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열플레이트에는 상기 증발기제상부가 수용될 수 있게 절취된 제상히터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실은 냉장실이고, 제2냉각실은 냉동실로 구성되며,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에는 제빙실이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의 일 측에는 상기 제빙실로 냉기를 송풍하는 제빙팬이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팬은 흡입구스크롤을 구비한 원심팬으로 구성되고, 상기 냉각팬제상부는 상기 제빙팬의 흡입구스크롤의 형상에 대응되게 반원형상으로 절곡되는 제빙팬제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를 가열하는 증발기제상부; 상기 증발기제상부로부터 연장되어 냉각팬을 가열하는 냉각팬제상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제상히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팬은 흡입구의 둘레에 형성되는 전면스크롤을 구비하며, 상기 냉각팬제상부는 상기 전면스크롤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은 제싱실을 향해 송풍하는 제빙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팬제상부는 상기 제빙팬을 가열하는 제빙팬제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제상부와 팬제상부를 동시에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단일의 제상히터로 증발기 및 냉각팬을 동시에 제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상히터가 증발기제상부 및 팬제상부를 구비하되, 팬제상부가 냉각팬 및 제빙팬을 제상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단일의 제상히터로 복수의 구성부품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별도의 제상히터를 추가로 설치하지 아니하므로 부품 투입수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제상히터 추가에 기인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격벽의 부분절취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증발기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110)와,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 구비되는 증발기(250)와, 상기 증발기(250)의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냉각실로 송풍하는 냉각팬과, 그리고 상기 증발기(25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250)를 가열하는 증발기제상부(271)와, 상기 증발기제상부(27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냉각팬을 가열하는 팬제상부(281)를 구비한 제상히터(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실은 냉동실 및 냉장실을 총칭하는 말이며,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냉동실 및 냉장실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수평으로 배치된 격벽(12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제1냉각실(150) 및 제2냉각실(16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는 상기 냉각실(150,160)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게 도시 않은 냉동사이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가 방열되는 응축기,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 및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되는 증발기(250)를 구비한 소위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후방하부영역에는 기계실(1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장치는 상기 기계실(17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250)는 상기 냉각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냉각실(150)이 냉장실(150)로 형성되고, 제2냉각실(160)이 냉동실(160)로 구성되며, 상기 증발기(250)가 격벽(120)의 내부에 배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실(150)에는 상기 냉장실(15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한 쌍의 냉장실도어(1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55)는 상기 냉장실(150)의 양 측을 회전축으로 각각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60)에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냉동실(160)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55) 중 어느 하나에는 제빙실(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80)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의 하측에는 만들어진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뱅크(미 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50)의 일 측벽에는 상기 제빙실(18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측벽냉기덕트(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벽냉기덕트(190)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냉기덕트(190)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빙실(180)로 냉기가 공급되는 냉기공급유로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빙실(180)을 경유한 냉기가 냉동실(160)로 복귀하는 냉기복귀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120)의 내부에는 증발기(2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동실(160) 또는 냉장실(150)의 냉기(공기)에 비해 낮은 온도를 가지는 증발기(250)를 본체(110)의 후벽에 근접되게 설치하지 아니하므로, 냉장고 본체(110)의 외관의 크기를 증대시키지 아니하면서 냉동실(160) 및/또는 냉장실(150)의 고내 사용 공간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증발기(250)의 냉기가 본체(110)의 후벽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50)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본체(110)의 후벽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동실(160) 및/또는 냉장실(150)의 고내 사용 공간의 크기가 그만큼 증대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250)가 수용될 수 있게 증발기수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수용부(122)는 상향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수용부(122)의 상측에는 상기 증발기수용부(122)의 상부 개구를 차단할 수 있게 증발기커버(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수용부(122)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250)의 상측의 격벽(120)의 두께는 후방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실(150)의 저부면의 과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50)의 냉기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증발기(250)의 하측 벽부를 통해 냉동실(160)로 전달됨으로써 냉동실(160)의 고내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동실(160)의 냉기 공급 주기가 연장될 수 있어 제2냉각팬(220)의 잦은 구동에 기인한 전력 소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250)의 일 측, 보다 구체적으로 증발기(250)의 하측에는 제상히터(2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상히터(270)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격벽(120)의 상면 후방 중앙영역에는 토출구(1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의 냉기를 흡입할 수 있게 제1흡입구(131) 및 제2흡입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131)는 상기 격벽(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흡입구(131)는 상기 증발기커버(125)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13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131)는 상기 격벽(120)의 좌우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실(150)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250)의 양 측영역으로 흡입되어 열교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흡입구(13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131)는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실(150)의 공기와 증발 기(250)의 접촉면적(열교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냉장실(150)의 공기의 흡입량은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지는 냉기가 다량으로 냉장실(150)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국부 과냉을 방지하면서 냉장실(150)의 온도 편차를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132)는 상기 격벽(120)의 저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132)는 상기 격벽(120)의 전방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132)는 상기 격벽(120)의 중앙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동실(160)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250)의 중앙영역을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으로 흡입되어 열교환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132)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며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동실(160)의 공기와 증발기(250)의 접촉면적(열교환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고, 냉동실(160)의 공기의 흡입량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냉동실(160)의 공기가 증발기(250)와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서 열교환하게 되므로 더 낮은 온도로 냉각될 수 있어 냉동실(160)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150)의 후방에는 상기 냉장실(15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냉장냉기덕트(15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냉기덕트(152)는 얇은 두께와 긴 길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덕트(152)는 상기 냉장실(15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냉장실(150)의 폭의 절반 이상의 폭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냉기 덕트(152)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냉장실(150)의 실제 사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덕트(152)의 상부, 중앙 및 하부영역에는 냉기를 토출할 수 있게 복수의 냉기토출구(15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장냉기덕트(152)의 하부영역에는 제1냉각팬(210)이 수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덕트(152)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제1냉각팬(210)이 수용될 수 있게 제1냉각팬수용부(157)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냉각팬(210)은 냉기를 축선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210)은 흡입구가 전방으로 향하고 토출구가 상방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수용부(157)의 하부 일 측에는 상기 격벽(120)의 토출구와 연통될 수 있게 덕트흡입구(15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수용부(157)는 상기 제1냉각팬(210)의 냉기 흡입을 위해 주변에 비해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실(180)에 냉기를 송풍하는 제빙팬(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팬(23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축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어 격벽(120)의 내부에 제빙팬(230)이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팬(230)이 냉동실(160) 또는 냉장실(150)로 돌출되지 아니하므로 냉동실(160) 또는 냉장실(150)의 실제 사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빙팬(230)은 흡입구가 하방을 향하고 토출구가 수평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에는 상기 제빙팬(230)이 수용될 수 있게 제빙팬수용부(141)가 마련 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에는 상기 제빙팬(230)에서 토출된 냉기가 유동될 수 있게 냉기유로(142)가 형성되며, 냉기유로(142)의 일 측에는 제빙실(180)을 경유한 냉기가 냉동실(160)로 토출할 수 있게 토출구(1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의 일 측(도면상 좌측)에는 상기 측벽냉기덕트(190)의 각 하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제빙팬(230)이 흡입하여 상기 냉기유로(142)로 토출하고, 냉기유로(142)에 연결된 측벽냉기덕트(190)를 따라 제빙실(180)로 공급된다. 제빙실(180)로 공급된 냉기는 제빙작용을 수행하고, 다시 측벽냉기덕트(190)를 따라 하향 유동하여 격벽(120)을 통과하여 냉동실(160)로 토출된다.
상기 냉동실(160)의 후방영역에는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냉동실(160)로 송풍할 수 있게 제2냉각팬(2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팬(22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소위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팬(220)은 일 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타 측에서 공기의 흡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냉각팬(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각팬(210) 보다 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팬(220)의 주변에는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냉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그릴팬(2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240)은 상기 냉동실(160)의 후방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한다. 즉, 상기 그릴팬(240)은 내부공 간을 냉기가 형성되는 증발기(250)측 공간과 실제 식품이 수납되는 식품저장공간으로 구획한다. 상기 그릴팬(240)은, 상기 격벽(120)의 저부에 연결되는 상판부(241)와, 상기 상판부(241)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팬수용부(24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41)는 상기 격벽(120)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수용부(245)는 상기 상판부(241)의 길이에 비해 축소된 좌우방향 폭을 가지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2냉각팬(220)이 수용된다. 상기 팬수용부(245)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제2냉각팬(220)에서 토출된 냉기가 냉동실(160)로 토출될 수 있게 냉기토출구(246)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240)의 상판부(241)는 상기 증발기(250)측에서 발생된 제상수를 수집하여 배출될 수 있게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수용부(245)에는 상기 상판부(241)로부터 낙하된 제상수가 배출될 수 있게 드레인(drain)부(24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247)에는 배수관(249)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249)은 기계실(170)로 인출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증발기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8의 증발기 및 제상히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250)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는 전열관(251)과, 상기 전열관(251)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열플레이트(25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관(251)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직관부(253)와, 상기 직관부(253)를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는 복수의 곡선형의 연결관부(254)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직관부(253)는 상기 격벽(120)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전열플레이트(255)는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전열플레이트(255)에는 상기 직관부(253)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공(256)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전열플레이트(255)는 상기 직관부(25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pitch)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열플레이트(255)의 피치는 상류측에 배치된 전열플레이트(255)의 피치(P1)가 하류측에 배치된 전열플레이트(255)의 피치(P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성에의 착상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상류측이 성에에 의해 공기 유동저항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직관부(253)는 동일 평면상에 일열(단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250)는 상하 복수 열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250)의 하측에는 상기 제상히터(2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상히터(270)는, 보호관(pipe)(270a)과, 상기 보호관(270a)의 내부에 배치되어 발열하는 열선(270b)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관(270a)의 내부에는 상기 열선(270b)의 절연을 위한 절연물질(270c)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보호관(270a)은 열전달이 용이하고 소성 변형이 용이한 알루미늄(Al)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상히터(270)는, 상기 증발기(250)를 가열하는 증발기제상부(271)와, 상기 냉각팬을 제상하는 냉각팬제상부(2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제상부(271)는 상기 증발기(250)의 하측에 상기 증발기(250)의 전열관(251)과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제 상부(271)는, 직선구간부(272a)와 곡선구간부(272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선구간부(272a)는 상기 전열관(251)의 직관부(253)와 거의 동일한 길이 및 간격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증발기제상부(271)는 긴 길이를 가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상히터(270)는 단위길이당 발열량이 상대적으로 작고 표면온도가 비교적 낮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냉각팬(220) 및 제빙팬(230)은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원심)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팬(220) 및 제빙팬(230) 각각은, 흡입구(233) 및 토출구(234)를 구비한 케이싱(231)과, 상기 케이싱(2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팬(237)과, 상기 팬(237)을 회전시키는 모터(239)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237)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231)의 일 측에는 흡입구(2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팬(237)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231)의 일 측에는 토출구(2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냉각팬(220) 및 제빙팬(230)의 각 흡입구(233)의 둘레(테두리)에는 반원단면형상을 가지고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스크롤(23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제상부(281)는, 상기 증발기제상부(271)의 일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빙팬(230) 및 상기 제2냉각팬(220)을 각각 가열하는 제빙팬제상부(283) 및 제2냉각팬제상부(28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팬제상부(283) 및 제2냉각팬제상부(285)는 상기 제빙팬(230) 및 상기 제2냉각팬(220)의 각 케이싱(231)의 흡입구(233)에 형성된 스크롤(235)에 각각 접촉될 수 있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빙팬제상부(283) 및 제2냉각팬제상부(285)는 각각 제빙팬(230) 및 제2냉각팬(220)의 스크롤(235)들의 크기에 각각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반원 형상으로 각각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냉장실(150)에 냉기를 공급하고자 할 때는, 제1냉각팬(210)이 회전된다. 제1냉각팬(210)이 회전되면 제1흡입구(131)를 통해 냉장실(150)의 공기가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2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제1냉각팬(210)에 의해 냉장냉기덕트(152)로 유입된다. 냉장냉기덕트(152)로 유입된 냉기는 각 냉기토출구(153)를 통해 냉장실(150)로 공급된다.
냉동실(160)에 냉기를 공급하고자 할 때는, 제2냉각팬(220)이 회전된다. 제2냉각팬(220)이 회전되면 냉동실(160)의 공기가 제2흡입구(132)를 통해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2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제2냉각팬(220)에 의해 흡입되어 그릴팬(240)을 통과해 냉동실(160)로 토출된다.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에 냉기를 동시에 공급하고자 할 때는, 제1냉각팬(210) 및 제2냉각팬(220)이 동시에 회전된다. 이에 의해, 냉장실(150)의 공기는 제1흡입구(131)를 통해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되고, 냉동실(160)의 공기는 제2흡입구(132)를 통해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된 냉장실(150)의 공기는 증발기수용부(122)의 상부영역을 따라 유동되고,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된 냉장실(150)의 공기는 증발기수용부(122)의 하부영역을 따라 유동된다. 증발기(2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 중 일부는 제1냉각팬(210)에 의해 냉장냉기덕트(152)로 유입되어 냉장실(150)로 토출되고, 다른 일부는 제2냉각 팬(220)에 의해 흡입되어 냉동실(160)로 토출된다.
제싱실(230)에 냉기를 공급하고자 할 때는 제빙팬(230)이 회전되고, 제빙팬(230)이 회전되면 증발기(2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제빙팬(230)에 의해 흡입되어 측벽냉기덕트(190)로 토출된다. 측벽냉기덕트(190)를 따라 상향 유동된 냉기는 제빙실(180)을 냉각시키고 다시 측벽냉기덕트(190)를 따라 하향 유동되어 냉동실(160)로 토출된다.
한편, 냉장실(150), 냉동실(160) 및/또는 제빙실(180)에 냉기를 공급하는 과정이 반복되면, 증발기(250)의 표면에는 공기 중의 수분이 착상된다. 증발기(250)의 착상량이 설정된 정도가 되면 제상운전이 실시된다. 제상운전시에는 각 냉각팬(제1냉각팬(210), 제2냉각팬(220) 및 제빙팬(230))의 운전은 정지되고, 상기 제상히터(270)에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제상히터(270)에 전원이 인가되면 증발기제상부(271) 및 냉각팬제상부(281)는 각각 발열하면서 증발기(250) 및 각 냉각팬, 보다 구체적으로 제빙팬(230) 및 제2냉각팬(220)의 제상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성에가 녹으면서 발생된 제상수는 증발기수용부(122)의 저부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고, 그릴팬(240)의 상판부(241)에서 수집되어 팬수용부(245)를 하향 유동된다. 팬수용부(245)로 이동된 제상수는 드레인부 및 배수관을 통해 기계실로 배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의 본체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상히터의 정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그에 대한 상 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310)와, 상기 냉장고 본체(310)에 구비되는 증발기(350a,350b)와, 상기 증발기(350a,350b)의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냉각실로 송풍하는 냉각팬; 그리고 상기 증발기(350a,350b)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350a,350b)를 가열하는 증발기제상부(361)와, 상기 증발기제상부(36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냉각팬을 가열하는 냉각팬제상부(371)를 구비한 제상히터(360a,36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31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격벽(120)을 사이에 두고 제1냉각실(330) 및 제2냉각실(3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냉각실(330)은 냉동실(330)로 구성되고, 제2냉각실(340)은 냉장실(340)로 구성되고, 상기 증발기는 제1냉각실 및 제2냉각실에 각각 설치되는 제1증발기(350a) 및 제2증발기(350b)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동실(160)의 후방영역에는 냉동실(330)의 공기가 순환할 수 있게 순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의 내부에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게 제1증발기(350a)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증발기(350a)의 일 측에는 공기의 유동을 촉진시킬 수 있게 냉동실팬(355a)이 구비될 수 있다. 냉동실팬(355a)은 제1증발기(350a)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냉동실팬(355a)의 상측에는 냉동냉기덕트(3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냉기덕트(333)에는 복수의 냉기토출구(3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350a)의 하측영역에는 상기 냉동실(330)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게 공기흡입구(3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340)의 후방영역에는 냉동실(330)의 공기가 순환할 수 있게 순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의 내부에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게 제2증발기(350b)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증발기(350b)의 일 측에는 공기의 유동을 촉진시킬 수 있게 냉장실팬(355b)이 구비될 수 있다. 냉장실팬(355b)은 제2증발기(350b)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냉장실팬(355b)의 상측에는 냉장냉기덕트(3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덕트(343)에는 복수의 냉기토출구(3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350b)의 하측영역에는 상기 냉장실(340)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게 공기흡입구(34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증발기(350a) 및 제2증발기(350b)의 배후에는 제상히터(360a) 및 제2제상히터(360b)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상히터(360a) 및 제2제상히터(360b)는 제1증발기(350a) 및 제2증발기(350b), 그리고 냉동실팬(355a) 및 냉장실팬(355b)의 형상, 크기 및 위치에 따라 달리 구성될 수 있지만 그 구성은 상호 유사하므로, 이하 제2제상히터(360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1제상히터(360a)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제상히터(360a)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증발기(350a)를 제상시키는 증발기제상부(361)와, 상기 냉동실팬(355a)을 제상하는 냉각팬제상부(37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제상부(361)는 상기 제1증발기(350a)의 전열관과 거의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제상부(371)는 상기 증발기제상부(361)의 끝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냉동실팬(355a)의 스크롤에 접촉될 수 있게 상기 스크롤의 형상에 대응되게 반원형상 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상운전이 실시되면 상기 냉동실팬(355a)의 운전이 정지되고, 제상히터(360a)에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제1제상히터(360a)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증발기제상부(361) 및 냉각팬제상부(371)가 동시에 발열되면서, 제1증발기(350a) 및 냉동실팬(355a)의 제상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격벽의 부분절취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증발기영역의 평면도,
도 8은 도 2의 증발기영역의 확대도,
도 9는 도 8의 증발기 및 제상히터의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의 본체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제상히터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냉장고 본체 120 : 격벽
122 : 증발기수용부 125 : 증발기커버
131 : 제1흡입구 132 : 제2흡입구
150 : 제1냉각실, 냉장실 152 : 냉장냉기덕트
155 : 냉장실도어 160 : 제2냉각실,냉동실
165 : 냉동실도어 170 : 기계실
180 : 제빙실 190 : 측벽냉기덕트
210 : 제1냉각팬 220 : 제2냉각팬
230 : 제빙팬 240 : 그릴팬
241 : 상판부 245 : 팬수용부
247 : 드레인부 250 : 증발기
251 : 전열관 255 : 전열플레이트
270 : 제상히터 271 : 증발기제상부
281 : 냉각팬제상부 283 : 제빙팬제상부
285 : 제2냉각팬제상부

Claims (10)

  1.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에 구비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냉각실로 송풍하는 냉각팬; 그리고
    상기 증발기의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를 가열하는 증발기제상부와, 상기 증발기제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냉각팬을 가열하는 냉각팬제상부를 구비한 제상히터;를 포함하는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은 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제1냉각실 및 제2냉각실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격벽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1냉각실로 냉기를 송풍하는 제1냉각팬과, 상기 제2냉각실로 냉기를 송풍하는 제2냉각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각팬은 흡입구스크롤을 구비한 원심팬으로 구성되고, 상기 냉각팬제상부는 상기 흡입구스크롤의 형상에 대응되게 반원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제2냉각팬제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되는 전열관과, 상기 전열관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열플레이트에는 상기 증발기제상부가 수용될 수 있게 절취된 제상히터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실은 냉장실이고, 제2냉각실은 냉동실로 구성되며,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에는 제빙실이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의 일 측에는 상기 제빙실로 냉기를 송풍하는 제빙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팬은 흡입구스크롤을 구비한 원심팬으로 구성되고, 상기 냉각팬제 상부는 상기 제빙팬의 흡입구스크롤의 형상에 대응되게 반원형상으로 절곡되는 제빙팬제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히터를 구비한 냉장고.
  8. 증발기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를 가열하는 증발기제상부;
    상기 증발기제상부로부터 연장되어 냉각팬을 가열하는 냉각팬제상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제상히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흡입구의 둘레에 형성되는 전면스크롤을 구비하며, 상기 냉각팬제상부는 상기 전면스크롤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상히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제싱실을 향해 송풍하는 제빙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팬제상부는 상기 제빙팬을 가열하는 제빙팬제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상히터.
KR1020090064665A 2009-07-15 2009-07-15 냉장고용 제상히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37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665A KR101637443B1 (ko) 2009-07-15 2009-07-15 냉장고용 제상히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13/380,192 US20120096887A1 (en) 2009-07-15 2010-07-01 Defrosting heater for refregerator and refregerator having the same
PCT/KR2010/004291 WO2011007971A2 (en) 2009-07-15 2010-07-01 Defrosting heat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10799982.3A EP2454540B1 (en) 2009-07-15 2010-07-01 Refrigerator with a defrosting 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665A KR101637443B1 (ko) 2009-07-15 2009-07-15 냉장고용 제상히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96A true KR20110006996A (ko) 2011-01-21
KR101637443B1 KR101637443B1 (ko) 2016-07-07

Family

ID=4344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665A KR101637443B1 (ko) 2009-07-15 2009-07-15 냉장고용 제상히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96887A1 (ko)
EP (1) EP2454540B1 (ko)
KR (1) KR101637443B1 (ko)
WO (1) WO2011007971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620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35622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35621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35617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4121702A4 (en) * 2020-03-17 2024-03-20 Lg Electronics Inc FRID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0145B2 (en) * 2009-06-01 2015-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DE102011006265A1 (de) * 2011-03-28 2012-10-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EP2789939A4 (en) * 2011-12-09 2015-07-15 Panasonic Corp FRIDGE
EP2976582B1 (en) * 2013-03-19 2017-10-25 Maersk Container Industry A/S Increased cargospace in a container
JP6361020B2 (ja) * 2013-12-20 2018-07-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US20160370087A1 (en) * 2015-06-16 2016-12-22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ooled-air circula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93237B1 (ko) * 2015-11-11 202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N105333672B (zh) * 2015-11-25 2018-05-2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抽屉式冰箱
US10612832B2 (en) * 2015-12-17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defrost operation control
CH711098B1 (de) * 2016-09-21 2020-08-14 V-Zug Ag Kühlgerät mit asymmetrisch ausgestalteter Kaltseite.
US10386109B2 (en) * 2016-09-29 2019-08-2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041717B2 (en) 2016-10-27 2018-08-0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ir tower improvement for a refrigerator
KR102289289B1 (ko) 2017-03-10 2021-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20765B1 (ko) * 2017-05-26 2021-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20101299A (ja) * 2018-12-20 2020-07-02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CN110567214A (zh) * 2019-09-12 2019-12-1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KR20230032486A (ko) * 2021-08-31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83692B2 (en) * 2021-08-31 2023-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994335B2 (en) * 2021-12-29 2024-05-28 True Manufacturing Co., Inc. Self-contained reach-in refrigerator
KR20230101193A (ko) *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5536A (en) * 1990-12-31 1993-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frost assembly
EP1783445A1 (en) * 2004-08-04 2007-05-09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Cooling storage
US20090113920A1 (en) * 2007-11-05 2009-05-07 Jun Hoe Bae Apparatus for storing foo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3074A (en) * 1952-08-04 1954-03-23 Joe W Dailey Cooling unit for refrigerator systems
US2767558A (en) * 1955-03-30 1956-10-23 Whirlpool Seeger Corp Air blast refrigerated cabinet
JPS589911B2 (ja) * 1978-11-29 1983-02-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凍機用蒸発器
JPS61276632A (ja) * 1985-05-31 1986-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器除霜用ヒ−タの取付装置
JPH0654614B2 (ja) * 1990-08-22 1994-07-20 日立電線株式会社 電線製造装置
US5347820A (en) * 1993-08-10 1994-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unting arrangement for a refrigerator deodorizer
JP3575818B2 (ja) * 1994-02-02 2004-10-13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の霜取り制御装置
DE19645182A1 (de) * 1996-11-02 1998-05-07 Aeg Hausgerae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tauen von Kühl- bzw. Gefriergeräten
SE9702402D0 (sv) * 1997-06-24 1997-06-24 Electrolux Ab Absorption refrigerator
JP2000041800A (ja) * 1998-07-30 2000-02-15 Noritaka Shibat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自動霜取り装置
DE202005002486U1 (de) * 2005-02-16 2006-06-22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KR20070062847A (ko) * 2005-12-13 2007-06-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제상 장치 및 제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5536A (en) * 1990-12-31 1993-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frost assembly
EP1783445A1 (en) * 2004-08-04 2007-05-09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Cooling storage
US20090113920A1 (en) * 2007-11-05 2009-05-07 Jun Hoe Bae Apparatus for storing fo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620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35622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35621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35617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686521B2 (en) 2016-09-29 2023-06-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4121702A4 (en) * 2020-03-17 2024-03-20 Lg Electronics Inc F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54540A2 (en) 2012-05-23
EP2454540B1 (en) 2020-09-02
US20120096887A1 (en) 2012-04-26
EP2454540A4 (en) 2017-06-28
WO2011007971A2 (en) 2011-01-20
KR101637443B1 (ko) 2016-07-07
WO2011007971A3 (en)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6996A (ko) 냉장고용 제상히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31904B1 (ko) 냉장고
JP4808980B2 (ja) 冷蔵室ドア製氷室の冷気ガイド構造
KR101649624B1 (ko) 냉장고
EP3239629A1 (en) Ice-making device
JP6687384B2 (ja) 冷蔵庫
KR102492165B1 (ko) 냉장고
WO2013135149A1 (zh) 冰箱
KR101565387B1 (ko) 냉장고
EP2389551B1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KR100584271B1 (ko)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102532244B1 (ko) 냉장고
KR20110116437A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구조
KR100584273B1 (ko) 도어 제빙실의 냉기 유로 구조
JP2014048031A (ja) 冷蔵庫
KR101659011B1 (ko) 냉장고
JP6762247B2 (ja) 冷凍冷蔵装置
KR101132554B1 (ko) 냉장고
KR100388708B1 (ko) 제상히터를 갖춘 냉장고
KR20120029255A (ko) 냉장고
TWI658245B (zh) refrigerator
KR20000019916A (ko) 냉장고
WO2020175821A1 (ko) 냉장고
KR20120072775A (ko) 냉기토출구를 가지는 냉장고
KR2004006630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