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61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612A
KR20100085612A KR1020090005009A KR20090005009A KR20100085612A KR 20100085612 A KR20100085612 A KR 20100085612A KR 1020090005009 A KR1020090005009 A KR 1020090005009A KR 20090005009 A KR20090005009 A KR 20090005009A KR 20100085612 A KR20100085612 A KR 20100085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guide frame
evaporator
blades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704B1 (ko
Inventor
이윤석
김경윤
채수남
오민규
이장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704B1/ko
Priority to CN2009801565497A priority patent/CN102317712B/zh
Priority to ES09838921.6T priority patent/ES2623465T3/es
Priority to PCT/KR2009/006858 priority patent/WO2010085034A2/en
Priority to EP09838921.6A priority patent/EP2389551B1/en
Priority to US12/634,784 priority patent/US7950247B2/en
Publication of KR2010008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8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magnetic fi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84Endoscope light sourc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작동유체)의 상변화를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되는 음식물들을 저온으로 냉동 또는 냉장 저장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증발기가 구비되는 냉기발생실의 입구에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어 냉기발생실로 유입되는 냉기가 증발기의 상하로 균일하게 배분된다. 따라서, 증발기 전체에서 열교환이 균일하게 일어나고 이로 인해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냉기발생실의 입구에 저온의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고 냉기에 포함된 수분은 가이드프레임을 통과하며 그 표면에 착상되므로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기는 상대적으로 건조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증발기의 제상주기가 길어지고 이로 인해 냉장고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프레임, 블레이드, 에어가이드, 증발기, 드레인팬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매(작동유체)의 상변화를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되는 음식물들을 저온으로 냉동 또는 냉장 저장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공급하여 각종 음식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그 내부에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고, 이러한 본체의 전면에는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냉장고에는 냉매의 순환에 의해 저장실을 냉각할 수 있도록 냉각사이클이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냉각사이클을 구성하기 위해 다수의 전장부품들이 구비되는 기계실이 마련된다.
이러한 냉각사이클은 저온/저압의 가스 냉매를 고온/고압의 가스 냉매로 승온/승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외기에 의해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다른 부분의 직경에 비해 협소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감압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저압상태에서 증발됨에 따라 고내(庫內)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를 기본 부품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압축기 및 응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팬이 설치된다. 상기 기계실의 일측과 타측에는 외부공기의 흡입과 토출을 위한 연통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송풍팬이 회전하게 되면 연통공으로부터 기계실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공기는 응축기와 압축기를 거치면서 토출구를 통해 다시 기계실 외부로 토출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응축기와 압축기는 외부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상하로 형성되고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가 각각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소위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장실 및 냉동실이 상하로 형성되고 냉장실도어가 냉장실의 좌우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서랍식 냉동실도어가 냉동실의 전후로 슬라이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소위 바텀프리저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장고가 대형화됨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이 좌우로 상호 나란하게 형성되고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가 양측단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소위 사이드 바이 사이드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구분된다.
냉장고의 도어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어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도어의 배면에 수납된 음식물을 도어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홈바 또는 디스펜서 등 각종 편의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는 식품의 신속한 냉각을 위하여 급속냉각실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에는 증발기가 구비되는 냉기발생실이 마련되는데, 상기 냉기발생실로 유입되는 냉기는 일반 공기에 비해 비중이 높아 상기 냉기발생실의 바닥면에 집중되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냉기가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집중되어 통과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증발기의 상부에서 열교환이 적게 일어나고 증발기의 냉각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기에 수분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증발기에 성에가 생성되는데, 이러한 경우 증발기의 냉각효율이 저감되어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제상과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냉각과정이 중지되므로 냉장고의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기가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기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과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냉기팬과 증발기가 서로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냉기발생실과;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흡입되는 상기 냉기발생실의 입구에 구비되어 냉기를 상하로 균일하게 배분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냉기가 통과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냉기발생실의 상부로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 개의 블레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 록 그 간격이 점점 작아지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기를 상하로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하여 연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서 이격될수록 점차적으로 연직방향에 대하여 감소되는 경사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 중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 가장 인접되게 위치되는 어느 하나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45°의 경사각을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 중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서 가장 이격되게 위치되는 다른 하나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70°의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의 나머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서 이격될수록 점차적으로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45°에서 70˚ 사이에서 감소되는 경사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에서 흡입되는 냉기를 상기 증발기로 안내하기 위한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냉기의 유입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열을 전달하는 브릿지에 의해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어 냉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는 제상수를 제거하기 위한 드레인팬이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팬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까지 연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발기는 냉기가 통과하는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의 길이가 냉기가 통과 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열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 또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과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냉기팬과 증발기가 서로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냉기발생실과;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흡입되는 상기 냉기발생실의 입구에 구비되어 냉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고, 냉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흡입구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그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배치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냉기발생실로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 개의 블레이드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그 간격이 점점 작아지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기를 상하로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하여 연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증발기가 구비되는 냉기발생실의 입구에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어 냉기발생실로 유입되는 냉기가 증발기의 상하로 균일하게 배분된다. 따라서, 증발기 전체에서 열교환이 균일하게 일어나고 이로 인해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냉기발생실의 입구에 저온의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고 냉기에 포함된 수분은 가이드프레임을 통과하며 그 표면에 착상되므로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기는 상대적으로 건조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증발기의 제상주기가 길어지고 이로 인해 냉장고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냉기발생실의 구조를 각각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프레임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의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100)의 내부에는 저장실(102)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실(102)은 아래에서 설명될 증발기(170) 주위에서 생성된 냉기에 의해 저온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수납되는 공간이다. 상기 저장실(102) 내부에는 복수개의 선반(도시되지 않음)이 상하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선반의 하부에는 서랍형 저장실(도시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저장실(102)은 냉장실(110) 및 냉동실(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110) 및 냉동실(120)은 서로 분리되도록 구비되어 별도의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00)에는 기계실(130)이 구비된다. 상기 기계실(130)은 상기 본 체(100)의 상부에 구비되나,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기계실(13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기계실(130)의 수용공간에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일부가 구비된다. 즉, 상기 기계실(130)에는 압축기(132), 응축기(134),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 및 송풍팬(136) 등이 구비된다.
상기 압축기(132)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저온저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로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기(13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응축기(134)로 유입된다.
상기 응축기(134)는 상기 압축기(132)에서 압축된 냉매를 열교환에 의해 상온고압의 액체상태의 냉매로 상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관상의 냉매관이 다수회 반복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응축기(134)는 상기 냉매관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다수회 반복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냉매관의 반복된 절곡에 의해 상기 응축기(134)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 된다. 상기 응축기(134) 주변에는 외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팬(136)이 설치된다.
상기 응축기(134)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팽창밸브로 이동된다. 상기 팽창밸브는 다른 부분의 직경에 비해 협소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응축기(134)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감압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계실(130) 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가리는 커버부재(138)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재(138)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기계실(130)로 들어갈 수 있게 하거 나, 상기 기계실(13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올 수 있게 하는 연통공(13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냉기발생실(150)이 구비된다. 상기 냉기발생실(150)은 냉기를 발생시켜 상기 저장실(102)을 저온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이 설치되는 공간이다. 상기 냉기발생실(150)은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기발생실(150)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상기 저장실(102)과 분리되고 상기 기계실(130)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상기 냉기발생실(150)에는 냉기유입구(152)와 냉기토출구(154)가 마련된다. 상기 냉기유입구(152)는 상기 저장실(102)의 냉기가 상기 냉기발생실(150)로 유입되는 입구이고 상기 냉기토출구(154)는 상기 냉기발생실(150)의 냉기가 상기 저장실(102)로 안내되기 위해 토출되는 출구이다.
상기 본체(100)에는 안내덕트(160)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덕트(160)는 증발기(170)로부터 생성되는 냉기가 상기 저장실(102)로 순환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덕트(160)는 상기 저장실(102) 및 상기 냉기발생실(150)과 각각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덕트(160)는 상기 냉기발생실(150)에서 상기 저장실(102)의 하부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안내덕트(160)에는 냉기유출구(162)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유출구(162)는 상기 저장실(102)을 향하는 상기 안내덕트(160)의 일면을 관통하여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유출구(162)는 상기 안내덕트(160)의 냉기를 상기 저장실(102)로 제공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냉기유출구(162)는 상기 선반과 상기 저장 실(102) 상면, 또는 상기 선반과 선반 사이 공간 중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기발생실(150)에는 증발기(170)와 냉기팬(176)이 서로 수평방향이 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증발기(170)는 액체가 증발하여 기체가 될때 주변에서 열을 흡수하고 주변의 온도를 급격히 낮추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증발기(170)는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저압상태에서 증발됨에 따라 주변의 열을 흡수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170)는 냉기가 통과하는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의 길이(h)가 냉기가 통과하는 방향의 길이(w)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냉기발생실(150)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냉기가 상기 냉기발생실(150)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유입 또는 유출되므로 상기 증발기(170)는 냉기가 통과하는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의 길이(h)가 냉기가 통과하는 방향의 길이(w)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기발생실(150)에는 오리피스(172)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172)는 상기 냉기발생실(150)의 후방에서 상기 증발기(17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172)에는 오리피스홀과 모터지지대(174)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172)의 오리피스홀에는 냉기팬(176)이 구비된다. 상기 냉기팬(176)은 날개가 빙글빙글 돌아가면서 공기를 배출하여 환기시키거나 열을 식히는 기계 장치이다. 즉, 상기 냉기팬(176)은 상기 저장실(102)과 상기 냉기발생실(150) 등을 순환하는 냉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냉기팬(176)은 원심팬, 축류팬 또는 크로스 플로우 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지지대(174)에는 팬모터(178)가 설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팬모터(178)는 상기 오리피스(172)에서 상기 증발기(170)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상기 팬모터(178)는 상기 냉기팬(176)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오리피스(172)의 상부 일측에는 가이드부재(18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80)는 상기 냉기팬(176)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냉기토출구(154)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기발생실(150)에는 가이드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은 상기 저장실(102)의 냉기가 흡입되는 상기 냉기발생실(150)의 입구에 구비되어 냉기를 상기 냉기발생실(150)의 상하로 균일하게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은 상기 냉기유입구(152)를 통과하는 냉기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를 통과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은 아래에서 설명될 브릿지(210)에 의해 상기 증발기(170)에 연결되어 냉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은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냉기가 유입될 경우 습기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 착상되도록 한다. 즉, 냉기의 수분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 먼저 착상되어 건조한 냉기가 상기 증발기(170)를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증발기(170)에 성에가 생성되는 것이 지연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은 열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 또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골격은 프 레임바디(202)가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바디(202)는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면이 상기 냉기발생실(15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바디(202)에는 냉기가 통과하는 흡입구(204)가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바디(202)에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206)가 구비된다. 상기 블레이드(206)는 상기 냉기유입구(152)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기를 상기 냉기발생실(15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206)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그 간격이 점점 작아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206)는 상기 흡입구(204)를 다수 개로 구획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을 향하는 냉기를 상기 냉기발생실(150)로 균일하게 배분한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206)는 상기 증발기(170)로 유입되는 냉기를 상하로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하여 연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206)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상단에서 이격될수록 점차적으로 연직방향에 대하여 감소되는 경사각을 가진다.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204)를 제1블레이드(204a)와 제2블레이드(204b)로 구분하면 상기 제1블레이드(204a)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제1경사각(α)를 가지고 상기 제2블레이드(204b)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제2경사각(β)을 가진다. 이때, 상기 제1경사각(α)는 상기 제2경사각(β)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06)의 경사각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상단과의 거리 및 상대위치에 따라서 상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블레이드(206) 중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상단에 가장 인접되게 위치되는 어느 하나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45°의 경사각을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206) 중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상단에서 가장 이격되게 위치되는 다른 하나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70°의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206)의 나머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상단에서 이격될수록 점차적으로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45°에서 70˚ 사이에서 감소되는 경사각을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06)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연장선이 상기 냉기발생실(150)의 상부를 향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냉기발생실(150)로 유입되는 냉기가 상기 증발기(170)에 균일하게 배분된다. 즉, 냉기가 상기 증발기(170)의 하부에 집중되어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는 에어가이드(208)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가이드(208)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102)에서 흡입되는 냉기를 상기 흡입구(204)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가이드(208)는 냉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는 브릿지(210)가 구비된다. 상기 브릿지(21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과 상기 브릿지(210)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210)는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이나 구리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는 제상히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표면에 생성되는 성에를 제거한다.
상기 증발기(170)의 하부에는 제상수를 제거하기 위한 드레인팬(22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220)은 상기 증발기(170)의 하부에서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하단까지 연장된다. 즉,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은 상기 드레인팬(220) 상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220)은 상기 증발기(170)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서 발생되는 제상수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프레임의 작용을 보인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에서 상기 저장실(102)의 냉기는 상기 냉기유입구(152)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을 통과하여 상기 냉기발생실(15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냉기발생실(150)에서 상기 증발기(170)와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냉기는 상기 냉기토출구(154)와 안내덕트(160)를 차례로 거쳐 상기 저장실(102)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마련된 상기 냉기발생실(15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냉기발생실(150)은 상기 본체(10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170)와 상기 냉기팬(176)이 상기 본체(100)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상기 증발기(170)와 상기 냉기팬(176)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에 비하여 상기 냉기발생실(150)의 높이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증발기(170)는 냉기가 통과하는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의 길이가 냉기가 통과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상기 증발기(170)는 냉기가 통과하는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의 길이가 냉기가 통과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구비되는 구조와 비교할 때, 열교환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냉기가 상기 증발기(170)를 통과하는 길이가 짧아져서 냉기의 이동에 따른 유동저항이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발생실(150)로 유입되는 냉기는 그 특성상 바닥에 집중되는데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206)는 상기 프레임바디(202)의 하부에 밀집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상부에 마련된 상기 흡입구(204)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204)에 비해 통로가 크게 형성된다.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204)가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204)에 비해 작게 형성되므로 냉기가 상기 냉기발생실(150)의 하부로 집중되지 않고 상하 균일하게 배분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206)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상단에서 이격될수록 점차적으로 연직방향에 대하여 감소되는 경사각을 가지는데 이로 인해 상기 블레이드(206)를 통과하는 냉기는 상기 냉기발생실(150)의 상부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상기 증발기(170)의 상하로 균일하게 배분된다.
한편, 냉기는 상기 냉기발생실(150)로 유입될 때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은 상기 브릿지(210)에 의해 상기 증발기(170)에 연결되어 항상 저온을 유지한다. 따라서,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냉기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을 통과할 때 수분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표면에 착상되고 상기 증발기(170)를 통과하는 냉기는 상대적으로 건조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은 수분을 포함한 냉기가 상기 증발기(170)를 통과하기 전에 수분을 제거하여 상기 증발기(170)의 표면에 성에가 생성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 생성된 성에는 제상히터에 의해 제상수로 변화되어 상기 드레인팬(220)으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냉기발생실의 구조를 각각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프레임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프레임의 작용을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02: 저장실
110: 냉장실 120: 냉동실
130: 기계실 132: 압축기
134: 응축기 136: 송풍팬
138: 커버부재 138': 연통공
150: 냉기발생실 152: 냉기유입구
154: 냉기토출구 160: 안내덕트
162: 냉기유출구 170: 증발기
172: 오리피스 174: 모터지지대
176: 냉기팬 178: 팬모터
180: 가이드부재 200: 가이드프레임
202: 프레임바디 204: 흡입구
206: 블레이드 208: 에어가이드
210: 브릿지 220: 드레인팬

Claims (15)

  1.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과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냉기팬과 증발기가 서로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냉기발생실과;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흡입되는 상기 냉기발생실의 입구에 구비되어 냉기를 상하로 균일하게 배분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냉기가 통과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냉기발생실의 상부로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 개의 블레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그 간격이 점점 작아지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기를 상하로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하여 연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서 이격될수록 점차적으로 연직방향에 대하여 감소되는 경사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중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 가장 인접되게 위치되는 어느 하나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45°의 경사각을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 중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서 가장 이격되게 위치되는 다른 하나는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70°의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의 나머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서 이격될수록 점차적으로 연직방향축에 대하여 45°에서 70˚ 사이에서 감소되는 경사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에서 흡입되는 냉기를 상기 증발기로 안내하기 위한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냉기의 유입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열을 전달하는 브릿지에 의해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어 냉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는 제상수를 제거하기 위한 드레인팬이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팬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까지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냉기가 통과하는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의 길이가 냉기가 통과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열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 또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과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냉기팬과 증발기가 서로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냉기발생실과;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흡입되는 상기 냉기발생실의 입구에 구비되어 냉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고, 냉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흡입구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그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배치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냉기발생실로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 개의 블레이드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그 간격이 점점 작아지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기를 상하로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하여 연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90005009A 2009-01-21 2009-01-21 냉장고 KR101520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009A KR101520704B1 (ko) 2009-01-21 2009-01-21 냉장고
CN2009801565497A CN102317712B (zh) 2009-01-21 2009-11-20 冰箱
ES09838921.6T ES2623465T3 (es) 2009-01-21 2009-11-20 Tecnología relacionada con refrigerador
PCT/KR2009/006858 WO2010085034A2 (en) 2009-01-21 2009-11-20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EP09838921.6A EP2389551B1 (en) 2009-01-21 2009-11-20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US12/634,784 US7950247B2 (en) 2009-01-21 2009-12-10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009A KR101520704B1 (ko) 2009-01-21 2009-01-2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612A true KR20100085612A (ko) 2010-07-29
KR101520704B1 KR101520704B1 (ko) 2015-05-15

Family

ID=42335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009A KR101520704B1 (ko) 2009-01-21 2009-01-21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50247B2 (ko)
EP (1) EP2389551B1 (ko)
KR (1) KR101520704B1 (ko)
CN (1) CN102317712B (ko)
ES (1) ES2623465T3 (ko)
WO (1) WO20100850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003B1 (ko) * 2009-01-21 2015-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1113211A1 (de) * 2011-09-12 2013-03-14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KR101974360B1 (ko) * 2012-07-06 2019-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3201366A1 (de) * 2013-01-29 2014-07-31 GEA Küba GmbH Wärmetauschereinrichtung
CN104061739A (zh) * 2014-06-03 2014-09-24 飞格乐思(广州)制冷设备有限公司 冷柜内接水盒装置及由其构成的冷柜
CN108730766B (zh) * 2018-04-20 2024-03-08 江苏中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减温减压装置
CN111609654B (zh) * 2019-02-25 2022-03-08 Lg电子株式会社 入口冰箱及冰箱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2899A (en) * 1963-06-19 1964-03-03 Anthony R Costantini Refrigerator air circulating arrangement
US3599442A (en) * 1969-09-22 1971-08-17 Gen Motors Corp Unitary fan evaporator assembly
US3712078A (en) * 1971-11-22 1973-01-23 Krispin Eng Ltd Refrigeration unit
CN2035064U (zh) * 1988-01-22 1989-03-29 李道宏 空气分布装置
US5284023A (en) * 1990-09-28 1994-02-08 The Manitowoc Company, Inc. Reach-in cooler with window
US5086627A (en) * 1990-11-19 1992-02-11 Margaret Platt Borgen Removable cooling unit for display case and method for using same
JP3015632B2 (ja) 1993-06-29 2000-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低温貯蔵庫
US5622059A (en) * 1995-12-07 1997-04-22 Mcclellan; Robert L. Icebox
JPH11118319A (ja) * 1997-08-28 1999-04-30 Samsung Electron Co Ltd 垂直冷気分配羽根を有する冷蔵庫
JPH11281226A (ja) * 1998-03-31 1999-10-15 Sanyo Electric Co Ltd 縦型冷蔵庫
US6094934A (en) * 1998-10-07 2000-08-01 Carrier Corporation Freezer
US6467859B2 (en) * 1999-12-08 2002-10-22 Specialty Equipment Companies, Inc. Environmentally controlled cabinet with sliding door within hinged door
JP4222733B2 (ja) * 2001-01-15 2009-02-12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CN1239872C (zh) * 2001-05-09 2006-02-0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冰箱
US6735976B2 (en) 2002-08-31 2004-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7185509B2 (en) * 2002-08-31 2007-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7234320B2 (en) * 2002-10-18 2007-06-26 Habco Beverage Systems Inc. Modular refrigeration unit and refrigerator
KR100896264B1 (ko) 2003-01-17 200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각장치
US7188490B2 (en) * 2003-01-17 2007-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0523035B1 (ko) * 2003-01-24 2005-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일체형 흡입배관세트와 냉장고
KR100512677B1 (ko) * 2003-02-21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499025B1 (ko) 2003-03-22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7322209B2 (en) 2004-03-30 2008-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050096341A (ko) 2004-03-30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입형 냉장고
KR100684114B1 (ko) 2005-09-02 2007-02-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제상수 제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17712A (zh) 2012-01-11
EP2389551B1 (en) 2017-02-08
WO2010085034A2 (en) 2010-07-29
KR101520704B1 (ko) 2015-05-15
ES2623465T3 (es) 2017-07-11
CN102317712B (zh) 2013-09-11
US7950247B2 (en) 2011-05-31
US20100180619A1 (en) 2010-07-22
WO2010085034A3 (en) 2011-06-30
EP2389551A2 (en) 2011-11-30
EP2389551A4 (en)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003B1 (ko) 냉장고
KR101559787B1 (ko) 냉장고
KR102270628B1 (ko) 냉장고
US10627143B2 (en) Refrigerator
US20110011118A1 (en) Refrigerator
KR20110006997A (ko) 냉장고
KR20170104877A (ko) 냉장고
KR20100085612A (ko) 냉장고
JP6687384B2 (ja) 冷蔵庫
JP2014077615A (ja) 冷蔵庫
KR102572073B1 (ko)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10019076A (ko) 냉장고
KR101696893B1 (ko) 냉장고 및 그 제빙방법
JP6762247B2 (ja) 冷凍冷蔵装置
KR101559786B1 (ko) 냉장고
KR101306508B1 (ko) 냉장고용 증발기 설치구조
KR101611274B1 (ko) 냉장고
KR20110014006A (ko) 냉장고
JP6955348B2 (ja) 冷蔵庫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KR101573535B1 (ko) 냉장고
JP4203662B2 (ja) 冷蔵庫
JP2022070727A (ja) 冷蔵庫
JP2023060414A (ja) 冷蔵庫
KR20200004218A (ko)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