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956A - 주문 시스템이 구비된 충전기 - Google Patents

주문 시스템이 구비된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956A
KR20200003956A KR1020180076792A KR20180076792A KR20200003956A KR 20200003956 A KR20200003956 A KR 20200003956A KR 1020180076792 A KR1020180076792 A KR 1020180076792A KR 20180076792 A KR20180076792 A KR 20180076792A KR 20200003956 A KR20200003956 A KR 20200003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server
portable terminal
pay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정운경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경, 김시환 filed Critical 정운경
Priority to KR102018007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3956A/ko
Publication of KR20200003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956A/ko
Priority to KR1020210144809A priority patent/KR20210134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bstract

본원발명은, 서버와 연결되는 스마트폰가 연결되는 충전기를 통하여 주문 결재가 이러하는 방법은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가 충전기에 접촉되는 단계, 충전기(130)에서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가 근거리 통신의 방법에 의하여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에 전달되는 단계,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는 서버(100)와 연결되는 단계, 서버(100)는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을 통하여 받은 정보로, 매장(가게)와 테이블 혹은 충전기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서버(100)는 수신 받은 정보에 맞는 매장(가게)의 메뉴(상품)를 웹페이지에 표시하여 주문 및 결재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는 서버가 제공한 주문 결재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의 입력장치(24)를 통하여 주문 혹은 결재가 완성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이 연결된 충전기ㅇ의 작동을 om 하는 단계를 포함하므로서, 스마트폰을 통하여 주문이 가능하고 스마트폰 페이를 사용하 결재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주문 시스템이 구비된 충전기{The charger having an order system}
본 발명은 주문 시스템이 구비된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수십 cm 이내의 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한 통신기능을 가진 근거리 통신칩이 구비된 충전기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 혹은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주문을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결재도 가능하도록 하는 주문 시스템이 구비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우리 일상이 과거와 많이 달라졌다. 점심이나 저녁 때 팀원들끼리 식당에 가면 음식 주문을 한 후 서로 말을 하지 않고 고개를 숙인 채 스마트폰만 들여다 본다. 즉, 스마트폰은 일상을 바꿔놓았다. 학교 앱을 실행해 편리하게 수강신청을 하고 ‘도서관’을 눌러 열람실을 예약하며 식당 메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스마트폰 시대에 스마트폰의 기능을 활용한다면, 식당이나 가게 등에서 주문과 결재를 할 때 상당히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스마트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널리 사용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직접 매장에 방문하지 않고 영화 예약을 하거나 음식을 주문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식당을 방문하여야 하는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주문하고 결재까지 할 수 있다면 훨씬 편리한 여가 생활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스마트폰 결재 페이가 하나의 흐름이 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이 반영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종래 특허 기술중에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535072 호는 “복수의 기능키 버튼들, 복수의 숫자키 버튼들 및 진동벨 작동 버튼으로 이루어진 키패드; 상기 카드리더로부터 카드정보가 입력되고, 결제가 이루어지면, 카드영수증 발급시 진동벨 번호가 함께 발급되도록 하고, 상기 키패드로부터 진동벨 작동요청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숫자키 버튼들을 통해 진동벨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진동벨 번호를 토대로 진동벨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진동벨 작동신호에 대응하여 RF 발진신호를 생성시켜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RF 발진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진동벨 번호 및 이미 발급된 진동벨 번호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는 진동벨 작동기능이 구비된 전자결제 단말기."를 제공하고,
그리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18-0030960호는 “테이블에 설치된 진동벨 디스플레이부와 숫자키패드로 메뉴 번호에 해당하는 번호를 입력하면 주문이 완료되는 주문 시스템과; 주문이 완료된 후 버튼으로 카드결제, NFC결제, 핸드폰 NFC 결제, 기타로 나뉘어진 결제 방식을 선택한 뒤 카운터의 결제 중계시스템을 통해 결제가 완료되는 결제 시스템과; 주문 및 결제 정보가 카운터에서 모두 처리되어 음식이 조리된 후 각 테이블의 진동벨을 통해 고객 호출하는 호출 시스템;을 포함하는 진동벨을 이용한 이동식 결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결재 방식은 진동벨 기능을 제공하지만, 스마트폰 결재 페이를 이용한 주문 결재 방식은 채용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으로는 휴대용 단말기 혹은 스마트폰에 무선충전 기능기 구비되는 것이 하나의 추세이며, 이에 대비하여 주문 결재 시스템과 연결된 충전기의 개발도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식당 등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도 주문 할 수 있고, 스마트폰 결재 페이를 사용하여서도 결재할 수 있는 충전기와 주문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인용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35072, 등록일(2015년07월02일) 인용문헌 2: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8-0030960, 공개일(2018년03월2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식당의 사용자가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충전기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주문 혹은 결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주문 혹은 결재 시스템 기능을 가진 충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은, 서버와 연결되는 스마트폰가 연결되는 충전기를 통하여 주문 결재가 이러하는 방법은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가 충전기에 접촉되는 단계,
충전기(130)에서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가 근거리 통신의 방법에 의하여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에 전달되는 단계,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는 서버(100)와 연결되는 단계,
서버(100)는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을 통하여 받은 정보로, 매장(가게)와 테이블 혹은 충전기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서버(100)는 수신 받은 정보에 맞는 매장(가게)의 메뉴(상품)를 웹페이지에 표시하여 주문 및 결재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는 서버가 제공한 주문 결재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의 입력장치(24)를 통하여 주문 혹은 결재가 완성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이 연결된 충전기ㅇ의 작동을 om 하는 단계,
를 포함하므로서 해결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메뉴나 상품의 결재가 선택되면, 서버(100)의 제어부(101)는 결재가 가능한 별도 서버(150)에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되도록 하고, 휴대용 단말기(20)는 별도 서버(150)를 통하여 결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기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 혹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식당의 사용자는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서버와 연결되어, 상품 주문 및 결재가 가능하고, 상기 연결된 서버는 주문 혹은 결재된 정보를 식당 운영자에게 제공하므로서, 휴대용 단말기 혹은 스마트폰을 통하여 주문이 가능하고 스마트폰 페이를 사용하 결재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도 1내지 도 3은 본원 발명이 실시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내지 도 7은 본원 발명을 구성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내지 도 13은 본원 발명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4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5는 운영자 단말기가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6과 도 17은 진동기를 사용하여 주문과 상품 완성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정보이다.
도 18과 도 19는 근거리 통신칩에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방법이다,
도 20내지 도 23은 노래방 혹은 피씨방에서 적용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충전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의 (A)에서처럼 본원 발명의 충전기(130)은 휴대용 단말기 혹은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기로 여기에 진동, 소리 혹은 램프를 통하여 알람기능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통상의 무선 충전기이며, 즉, 근거리 통친칩이 더 구비된 충전기(130)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충전기(130) 상부에 근거리 통신칩 영역(131)이 구비되며, 또한 소리 발생부(13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소리 발생부(132)는 진동벨의 소리가 외부로 잘 나오도록 하는 출구이다. 또는 진동벨의 진동이 더 잘되도록 하는 기능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통신칩 영역 외부에 도면에서는 별도 도시되지 않았지만, 무선 전력 에너지를 전송하는 무선 충전 코일이 구비된다,
한편, 근거리 통신칩 영역(131)에는 근거리 통신칩의 안테나가 설체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의(A)에서는 특정 영역을 지정했지만, 충전기(130) 상부 표면에는 어디든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원 발명의 충전기(130) 상단에 휴대용 단말기(20)를 올려 놓으므로서, 무선충전이 가능하고 주문 및 결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원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20)에는 통상의 스마트폰이 포함된다.
도 1의 (B)는 본원 발명의 충전기가 테이블(5)에 구비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따라서, 테이블(5)에 구비된 충전기(130) 상단에 휴대용 단말기(20)(스마트 폰)를 올려 놓으므로서, 주문 및 결재가 가능하게 된다.
도 2의 도면은 근거리 통신칩이 구비된 충전기의 개요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원 발명에서 근거리 통신 칩은 수십 cm 이내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그리고,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근거리 통신칩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형태의 근거리 통신 수단이 사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NFC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130) 맨 위에는 보호필름(QR 코드 인쇄)(13)가 존재하고, 그 아래에 NFC 안테나(11)가 존재하고, 그리고 그 아래에는 NFC 안테나(11)를 부착하는 접착 층(접착 필름)(12)이 존재한다. 그리고, 가장 아래에는 충전기 부품 등이 구비된 충전기 본체(130a)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NFC 안테나(11)는 근거리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하는 안테나이며, 본원 발명에서는 통상의 NFC 태그용 안테나를 사용하여도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 본체(130a)에는 무선충전기 부품, 알람부, 통신모듈, CPU, 메모리등의 부품이 구비된다.
한편, NFC 안테나(11)를 보호하는 보호필름에는 QR 코드같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코드가 인쇄될 수 있다, 즉 정보가 저장된 코드라면 반드시 QR 코드에 한정된다는 것은 아니다.
이때, 충전기(130)이 테이블에 장착될 때 테이블 당 1개가 장착될 수 있지만, 테이블의 크기에 따라 2개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근거리 통신칩의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특징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주문 혹은 결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충전기(130) 내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칩에는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는 URL 정보, 가맹점(식당이나 커피숍 혹은 판매점) 정보, 및 테이블(5) 위치 정보, 혹은 진동벨 일련 번호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충전기(130)에 스마트폰(혹은 휴대용 단말기)(20)이 근접되거나 접촉되면, 충전기(130) 내에 근거리 통신칩으로부터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는 URL 정보, 가맹점(식당이나 커피숍 혹은 판매점) 정보, 및 테이블(5) 위치 정보, 혹은 진동벨 일련 번호 정보가 전송된다.
상기 정보를 전송받은 스마트폰(20)은 서버(100)와 연결되고, 가맹점 정보와 테이블 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는 아래와 같다.
- 도 3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수신 받은 “URL 정보 문자(코드)(14)”에 의하여 서버와 연결된다.(이때, 휴대 단말기(20)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확인 혹은 동의”와 같은 선택이 입력되어야 할 수도 있다.)
- 서버에는 “URL 정보 문자(코드)(14)”와 함께, 구분 문자(코드)(15), 가맹점 식별 문자(코드)(16) 및 테이블 식별 문자(코드)(17) 정보도 전송된다. 이때, 테이블 식별 문자(코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 도 3의 실시예에서 “??”로 예시된 구분 문자(코드)(15) 뒤의 문자는 서버(10)가 정보로 인식한다. 따라서, 가맹점 식별 문자(코드)(16)와 테이블 식별 문자(코드)(17)는 서버(100)가 정보로 인식한다. 즉, 서버(100)는 000 가맹정의 000 테이블(혹은 000 진동벨)에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20)임을 인식한다는 것이다.
한편, 도 3의 실시예에서는 가맹점 식별 문자(16)와 테이블 식별 문자(17)를 “0000”와 “000”의 형태로 했으나, 미리 정해진 식별 코드로 만들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들어 가맹점 식별 문자(16)가 "KA01"이면 서버(100)가 강남구 제 1번 가맹점으로 인식할 수 있고, 테이블 식별 문자(17)가 “002”이면 서버(100)가 2 번째 테이블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서버는 가맹점 식별 문자(16)와 테이블 식별 문자(17)를 구분하는 문자로 인식할 수 있다. 당연히 진동벨 식별 문자도 별도로 규칙을 지정하여 서버가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원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도 3의 실시예예 도시된 정보를 QR 코드를 통하여서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진동벨(130)의 상단에 구비된, NFC 안테나(11)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은 QR 코드 보호필름(13)으로 한다. 즉, QR 코드 보호필름(13)은 QR 코드가 인쇄된 보호 필름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도 3의 실시예에 설명된 정보를 근거리 통신칩(10)을 통하여 수신 받을 수 있고, 또한 QR 코드로부터 인식될 수도 있다. 물론, QR 코드 이외에 정보를 저장하는 코드를 통하여 인식될 수도 있으므로, QR 코드 이외에 정보를 자장할 수 있는 코드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도 4내지 도 7은 본원 발명을 구성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가맹점 내에서 제 1 테이블(5)의 충전기(130)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1이라 하고, 제 2 테이블(5)의 충전기(130)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2이라 하고, 마찬가지로 제 n 테이블의 충전기(130)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n이라 하면, 상기 단말기는 서버(100)와 각각 연결된다.
이때, 연결되는 방법은 도 3의 실시예에 준하게 된다
물론, 제 1 테이블(5)의 정보 저장 코드(도 3의 실시예의 방법 참조)를 인식한 휴대 단말기를 20-1이라 하고, 제 2 테이블(5)의 정보 저장 코드를 인식한 휴대 단말기를 20-2이라 하고,, 마찬가지로 제 n 테이블의 정보 저장 코드를 인식한 휴대 단말기를 20-n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휴대 단말기(20)는 별도 서버(150)와도 접속가능하며, 이 경우는 최초로 접속된 서버(100)에 의하여, 별도 서버(150)의 URL 정보틀 얻게 되어 접속된다.
이때, 별도 서버(150)는 광고를 제공하거나 결재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도 4의 도면을 설명한 상기 실시예는 충전기(130)이 테이블에 장착한 경우를 예로들었지만, 실제로는 충전기(130)이 테이블에 장착되지 않고 고객에게 직접 나누어 줄 수가 있다,
그럴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 설명이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
즉 "임의의 가맹점 내에서 제 1 충전기(130)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1이라 하고, 제 2 충전기(130)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2이라 하고, 마찬가지로 제 n 충전기(130)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n이라 하면, 상기 단말기는 서버(100)와 각각 연결된다."로 변경될 수가 있다.
도 5는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30)의 연결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고객이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20)는 근거리 통신칩(10) 혹은 근거리 통신칩(10) 상단에 인쇄된 정보를 저장하는 코드(QR 코드)를 통하여 서버(100)에 연결된다. 그러나,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30)는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서버(100)와 연결된다.
이때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30)도 별도 서버(150)와 연결된 수 있다. 또한, 운영자 단말기(30)는 휴대용 단말기(20)와 그 구성이 비슷하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20)에 존재하는 구성 부품이면 운영자 단말기(30)에도 존재하는 구성 부품이다,
한편,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30)는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서버(100)와 연결된다."는 것은 운영자 단말기(30)의 메모리부(22)에 "서버(100)와 연결되기 위한 정보와 서버(100)와 연결된 다음 실행되는 방법에 대한 정보 및 알고리즘"이 저장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은 서버(100)와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유무선 인터넷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1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제공하여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상기 서버(100)의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103),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105),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04), 정보를 제어하고 통제하며 출력하는 것을 관장하는 제어부(101), 및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102)가 구성된다.
그리고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 파일을 의미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20)는 다양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혹은 통신망)을 통하여 송 수신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기기이다.
그러므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20)에는 중앙처리장치의 역할을 하는 CPU(21)(중앙처리장치),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3),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2),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24)가 구성된다. 그리고, 유무선 통신 시스템 모듈과 스피커 진동 혹은 키 버튼 등의 기능이 다양하게 도 부과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도 6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과 서버와 연결될 때, 1 개의 서버를 제시했지만, 실제로는 1 개 이상의 별도 서버(15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즉, 광고를 제공하는 서버 혹은 소식이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혹은 결재가 가능한 서버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서버의 구비는 통상의 서버 연결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6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20)의 구성은 운영자 단말기(운영자 스마트폰)(30)의 구성에 적용된다. 그리고, 도 6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20)가 연결되는 서버(100)는 운영자 단말기(운영자 스마트폰)(30)가 연결되는 서버(100)에 적용된다.
도 7은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20)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21)(CPU)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롬(22a)은 표시장치의 수행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22b)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22c)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통신모듈(25)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입출력부(26)는 각종 입력장치 및 숫자키와 메뉴키와 선택키를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며, 여기에는 스피카와 센서 등도 포함된다.
중앙처리장치(21)의 출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3a)가 있으며,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3)가 있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는 입력장치 구동부(24a)를 통해서 입력장치(24)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었으나, 중앙처리 장치, 입력장치(24) 그리고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7의 실시예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20)의 구성은 운영자 단말기(30)의 구성에 적용된다, 그리고 운영자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 스마트폰 혹은 컴퓨터일 수 있다.
- 실시예 -
본원 발명의 충전기(130)는 주문 혹은 결제가 실시되면 작동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행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충전기(130)에 휴대용 단말기(20)가 올려 놓여지면, 상기 충전기(130)에 장착된 초 근거리 통신 수단인 NFC 태그를 통하여, URL 정보, 가맹점 정보, 무선충전기가 장착된 테이블 정보(혹은 무선충전기의 정보, 여기서 무선충전기의 정보는 00 가맹점의 00번째 무선충전기임을 알 수 있은 정보)가 휴대용 단말기(20)에 전송된다.
2) 상기 정보를 전송받은 휴대용 단말기(20)의 중앙처리장치(21)는 통신모듈(25)과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버(1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서버(100)는 상기 무선충전기(10) 내의 초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부터 수신받은 URL의 주소로 연결 가능한 서버(100)이다.
3) 서버(100)의 제어부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주문 혹은 결제가 가능한 정보(다양한 콘텐츠)를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2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표시되는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혹은 동영상이다.
4) 상기 서버(100)의 웹 페이지와 연결된 상기 휴대 단말기(20)의 중앙처리장치(21)는, 디스플레이(23)를 통하여 서버(100)의 웹 페이지 내용을 표시한다.
5) 상기 서버(100)의 제어부(10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된 무선충전기(10) 위치한 가맹점의 운영자 단말기(30)(혹은 충전기 제어장치(35))와 서버(100)를 연결되도록 한다.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된 충전기(130) 위치한 가맹점의 운영자 단말기(30)(혹은 충전기 제어장치(35))는 가맹점의 회원 코드 혹은 아이디로 식별된다.
즉, 상기 충전기(10)가 위치한 식별 코드가 "kang01"인 가맹점의 아이디 혹은 회원 코드가 "abcde01"이라면, "abcde01"로 가입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단말기가 운영자 단말기(30)가 된다.
6) 상기 서버(100)의 제어부(101)는 서버의 웹페이지를 통하여 주문 혹은 결제가 이루어지면, 운영자 단말기(30)(혹은 충전기 제어장치(35))에 충전기(130)를 "ON" 하라는 명령 신호를 보낸다.
이때, 서버(100)는 운영자 단말기(30)(혹은 충전기 제어장치(35))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되어 있는 충전기(130)를 "ON" 하도록 하는 명령 신호를 보낸다. 휴대용 단말기(20)로 부터 충전기(130)의 식별 코드(테이블 식별 코드)를 전송 받았기 때문이다.
-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을 통한 확인
1 단계 : 서버와 연결된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23)에 주문 혹은 결제 정가 표시된다.
2 단계 : 주문 혹은 결제가 상기 디스플레이(23) 위에 입력장치를 통하여 진행되고, "주문 혹은 결제 진행"을 서버(100)의 제어부가 확인한다,
3 단계 : "주문 혹은 결제 진행"을 확인한 서버의 제어부(101)는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이 충전하고자 하는 충전기가 "on"되도록 제어 신호를 보내게 된다.
- 충전기 제어 장치
충전기 제어 장치는 서버(100)를 통하여 "on" 혹은 "off" 신호를 받으면, 그에 맞게 충전기(130)가 "on" 혹은 "off" 되도록 신호를 보내는 통상의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 제어 장치(35)는 충전기(130)와 R/F 신호를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7) 운영자 단말기(30)(혹은 충전기 제어장치(35))의 중앙처리장치는 서버(100)로 부터 전송받은 식별 코드를 가진 충전기(130)에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ON" 하는 신호를 보낸다.
8) 운영자 단말기(30)(혹은 충전기 제어장치(35))로부터 "ON" 신호를 받은 무선충전기(10)는 무선충전 전력 에너지를 무선충전 송신 안테나(14)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여, 충전기(130)는 무선충전을 시작한다.
9) 일정 시간이 지나면, 운영자 단말기(30)(혹은 충전기 제어장치(35))는 무선 충전을 "OFF" 하라는 신호를 충전기(130)에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23)에 필요한 정보를 또 다기 표시하도록 한 다음, 상기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충전기가 무선충전을 다시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 서버에서 무선충전기를 직접 제어하는 방법
충전기(130) 내부에 WiFi 모듈이 구비되도록 하고, 무선 충전기(10)에 내장된 WiFi 모듈에 구비된 코드를 서버(100)가 직접 인식할 수 있도록 서버(100)가 구성될 수 있다.
서버(100)에서 충전기(130)의 WiFi 모듈을 직접 인식하여, 서버가 무선충전기의 "on"과 "off"을 직접 제어하게 되면, 상기 단계에서, 서버(100)는 운영자 단말기(30)(혹은 충전기 제어장치(35))를 통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서버는, 충전기(130)가 존재하는 내부 Wifi 망을 통하여, 충전기(130)를 직접 제어한다.
도 8과 도 9는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는 가맹점 정보 데이터 베이스, 주문 정보 데이터 베이스,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결재 정보 데이터 베이스가 존재한다.
가맹정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가맹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가맹점에 대한 정보는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메뉴나 상품, 가맹점 위치, 가맹점 내에 존재하는 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 정보는 제 1 테이블, 제 2 테이블처럼 가맹점 내에 존재하는 테이블의 수와 각각의 테이블에 부여된 코드의 정보이다.
한편, 본원 발명의 충전기(130)이 테이블(5)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테이블 정보 대신 충전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 정보는 제 1 충전기, 제 2 충전기처럼 가맹점 내에 존재하는 충전기의 수와 각각의 충전기에 부여된 코드의 정보이다.
주문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가맹점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주문이 발생될 경우 주문 기록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가맹점을 운영하는 운영자로서, 주방에 있는 사람, 카운터에 있는 사람 및 가맹점 주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가맹점을 운영하는 운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가 운영자 단말기(30)이다.
결재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가맹점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결재가 발생될 경우 결재 기록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도 9는 가맹점 데이터 베이스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9에서처럼 가맹점 데이터 베이스에는, 가맹점 명칭, 가맹점 아이다(회원 번호), 가맹점이 위치하는 위치 정보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가맹점이 취급하는 물품이나 매출 동향등 가맹점의 특징도 저장된다, 또한, 상기 가맹점에서 취급하는 상품이나 메뉴에 대한 정보도 저당된다.
아울러, 상기 가맹점 내의 테이블에서 주문 혹은 결재가 일어난 내역에 대한 정보도 저장된다. 또한, 충전기가 테이블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의 충전기로 주문 결재가 주문 혹은 결재가 일어난 내역에 대한 정보도 저장된다.
이때, 테이블에서 주문 혹은 결재가 일어났다는 것은 테이블에 장착된 충전기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에서 주문 결재가 일어난 것이고, 마찬가지로, 충전기가 테이블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도 충전기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에서 주문 결재가 일어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원 발명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근거리 충전기(130)에 휴대용 단말기를 올려 놓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3)에는 가맹점 정보(50), 서버 유알엘 정보(51), 및 확인(52) 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확인(52)을 선택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서버(100)에 연결되게 된다, 이?,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확인(52) 선택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1은 주문 가능한 메뉴가 표시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서버(100)와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20)의 디스플레이(23)에 주문 가능한 메뉴가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메뉴(90)의 실시예의 도면인 것이다. 즉, 해당 가맹점에서 제공되는 음식의 종류와 가격 등에 대한 정보(93)가 휴대용 단말기(20)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음식의 이름이 표시된 부분(도면에서 C로 표시)을 디스플레이 상에서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하게 되면, 선택한 음식이 주문된 것으로 할 수 있지만, 주문 혹은 선택 가능한 박스(93a) 내에서 주문이 표시된 부분을 선택하므로서 상기 음식을 주문할 수가 있다. 선택 회수에 따라, 각 음식의 주문량이 정해지고 가격이 정해지게 된다. 그리고, 주문 박스(94)에는 주문량(94a)와 가격(94b)가 표시가 된다. 가격이 표시되는 원리는 주문한 음식의 가격과 주문 량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다.
이때. 94c에 표시된 “주문” 및 “결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주문 혹은 결재의 실행을 하게 된다.
도 12은 결재를 실시하는 휴대용 단말기(20)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1의 실시예에의 단계에서 결제를 선택하면, 도 12의 실시에에서처럼 결재 가능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주문 선택하게 되면 가맹점의 서버(컴퓨터 혹은 휴대 단말기)에 주문 정보가 전달되고, 결제를 선택하게 되면 주문 정보가 전달됨과 동시에 통상의 결제 시스템과 연결되어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통상의 결제 시스템이라는 것은 다양하게 상용화되어 있는 스마트폰 결재 페이 시스템과 연결된다는 것이다.
즉,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20) 내에 스마트폰 결재 페이에 회원 가입이 되어 있고, 어플리케이션 등의 방법으로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결재 페이 시스템과 연결되어 결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결재 진행을 하게 되면, 다양한 결재 수단이 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휴대용 단말기(20) 사용자는 다양한 결제 수단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결재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이미지(90a)가 표시(광고가 표시되는 위치는 경우에 따라서 다를 수가 있다.)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당연히 가맹점의 단말기를 사용하였을 때와 운영자 단말기(30)를 사용하였을 때 표시되는 광고 내용이 다를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면, 운영자 단말기(30)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정해진 방법대로 주문창과 결재창이 표시된다. 각각의 테이블 별로(혹은 각각의 충전기 별로) 주문 정보와 결재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결재 진행은 본원 발명의 서버(100)에서 진행할 수도 있고, 결재가 진행가능한 별도 서버(150)에서 진행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20)가 자체적으로 실행 가능한 결재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하여 주문 혹은 결재가 발생되면, 서버(100)는 운영자 단말기(30)에 주문창(85) 혹은 결재창(80)의 형태로 주문 정보와 결재 정보를 전송한다,
주문한 상품이나 음식이 완성되면, 운영자 단말기(30)를 통하여 음식 완성을 서버(100)에 전송하면, 상기 서버(100)는 음식을 주문한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된 화면 표시정보에 음식이 완성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음식을 주문한 표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에는 주문한 음식의 완성이 표시된다.
즉, 0011 번 매장 21번 테이블의 충전기와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20)에서 음식 주문과 결재를 하면, 0011 매장에 21 번 테이블의 충전기와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는 음식 완성이 표시된다.
이때, 주문 혹은 결재 음식 완성에 대한 전송은 상기 서버(100)를 통하지 않고 매장 내에 21반 테이블(50)에 별도 구비된 충전기를 통하여 알림 실행을 할 수 있다,
도 13은 본원 발명의 충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충전기에는 통신부(137), CPU(135), 메모리부(136), 근거리 통신 모듈(138), 근거리 통신 안테나(139a 및 충전부(138)가 구비된다.
운영자 단말기(30)의 제어로 작동하는 와이파이나 불루트스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충전기의 통신부(137)에 코드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CPU(135)는 상기 코드 정보를 메모리부(136)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130)에 휴대용 단말기(20)가 근접되어 위치하게 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139a)에 전자기장이 감지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139a)에 감지된 전자기장 신호를 근거리 통신 모듈(139)이 CPU(135)에 전송하면, 상기 CPU(135)는 메모리부(136)에 저장된 코드 정보를 상기 충전기(130)에 근접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2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CPU(135)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139a)와 근거리 통신 모듈(139)를 통하여 상기 코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코드 정보는 도 3의 실시에 설명된 코드 정보이다.
한편, 본원 발명의 충전부(138)는 통상의 무선 충전기를 구성하는 부품이다. 즉,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통상의 각종 부품과 무선 전력 에너지를 전송하는 안테나이다. 무선충전이 가능한 통상의 일반적인 구성 부품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충전기(130)에는 알람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주문된 음식이 완성되면 운영자 단말기(30)는 알람부를 동작시키는 신로를 진동벨에 전송하면, 진동벨은 통신부(137)를 통하여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수신 받게 되면, 상기 진동벨의 CPU는 알람부을 작동시킨다. 알람부는 진동 발생 혹은 램프의 동작이다.
도 14는 주문 결재 시스템이 구비된 충전기의 작동 체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에 근거한 작동 체계도는 다음과 같다.
1)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가 충전기에 접촉된다.
2) 충전기(130)에서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가 근거리 통신의 방법에 의하여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에 전달된다,
3)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는 서버(100)와 연결된다,
4) 서버(100)는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을 통하여 받은 정보로, 매장(가게)와 테이블 혹은 충전기 정보를 확인한다.
5) 서버(100)는 수신 받은 정보에 맞는 매장(가게)의 메뉴(상품)를 웹페이지에 표시하여 주문 및 결재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는 서버가 제공한 주문 결재 화면을 표시한다,
6) 상기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의 입력장치(24)를 통하여 주문 혹은 결재가 완성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이 연결된 충전기가 위치한 매장의 운영자 단말기”에 주문 결재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100)는 충전기(130)의 동작을 "on" 한다.
7) 주문 음식이 완성되면, 운영자 단말기는 충전기(130)에 알람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중앙처리장치(21)는 결재 목차(96a)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여기서 결재 목차(96a)는 결재가 가능한 스마트폰 페이의 항목을 목차로서 나타낸 것이다, 예를들어, 스마트폰 결재 수단인 애플 페이, 알리바바 페이, 삼성 페이 등의 결재 항목이 목차로서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재 항목 중에서 하나가 입력장치(24)를 통하여 선택되면, 통상의 스마트폰 페이 방법을 통하여 결재가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주문 혹은 결재가 완료되면, 서버의 제어부(101)는 데이터 베이스(104)의 정해진 부분에 상기 주문 혹은 결재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의 제어부(101)는 상기 주문 혹은 결재가 일어난 매장(가게)의 운영자 단말기(30)에 상기 주문 혹은 결재 정보를 전송한다.
-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정보의 실시간 변경 -
본원 발명에서는 근거리 통신 모듈(139)이 근거리 통신 안테나(139a)를 통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그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첫 번째 방법
제 1 단계 : 스마트폰이 충전기에 접촉하면, 충전기(130)의 CPU 혹은 운영자 단말기(30)의 중앙처리장치가 실시간으로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번호 혹은 코드를 생성한다,
제 2 단계 : 충전기의 CPU는 도 3의 정보에 새롭게 생성된 번호 혹은 코드가 포함된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한다, (운영자 단말기가 번호 혹은 코드를 생성하면 운영자 단말기는 생성된 번호 혹은 코드를 통신망을 통하여 진동벨에 전송한다,)
제 3 단계 : 충전기의 CPU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 받은 스마트폰은 서버와 연결되고, 서버의 제어부(101)도 “충전기(130)의 CPU 혹은 운영자 단말기(30)의 중앙처리장치가 실시간으로 번호 혹은 코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과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번호 혹은 코드를 생성한다.
제 4 단계 :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 받은 정보에 포함된 새롭게 생성된 번호 혹은 코드”와 “서버의 제어부가 새롭게 생성한 번호 혹은 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과 연결되도록 한다.
만일 상기 두 개의 번호 혹은 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서버의 제어부는 스마트폰과의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새롭게 생성된 번호 혹은 코드를 URL 주소에 포함되도록 하여, 매번 새롭게 주소가 생성되도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아래와 같은 단계에 의하여 수행된다.
제 1 단계 : 스마트폰이 충전기에 접촉된다,
제 2 단계 : 충전기 운영자 단말기에 스마트폰 접촉 사실을 전송하고 운영자 단말기는 서버에 전송한다.
제 3 단계 : 서버는 새로운 URL 주소를 생성한다.
제 4 단계 : 충전기는 새로운 URL 주소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한다,
제 5 단계 : 새로운 URL 주소로 스마트폰은 서버에 연결된다.
-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
본원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은 휴대용 단말기로 주문 혹은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주문을 실시한 다음 결제를 할 때에는 상기 결제 항목(96)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어 진행되며, 이때 상기 결제 항목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회원 가입이 된 결제 항목이 된다,
즉, 본원 발명을 통하여 주문이 되고 결제을 결정하게 될 때까지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은 휴대용 단말기로 진행이 되지만, 다음 단계로 결제가 진행되어 상기 결제 항목(96)이 선택될 때에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회원 가입을 한 결제 항목(96)이 선택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결제가 진행되면 결제가 진행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특정할 수 있다. 이때 특정한다는 것은 결제가 진행되는 휴대용 단말기(20)에 대한 정보가 확인된다는 것이다.
또한, 결제가 진행되면 서버의 제어부(101)은 결제 완성을 의미하는 바코드나 QR 코드를 서버의 인터넷 페이지에 표시하고, 그렇게 되면 상기 서버의 인터넷 페이지에 접속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23)에도 표시되게 된다.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가입된 문자 어플리케에션을 통하여도 휴대용 단말기(20)를 특정하여 상기 가입된 문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정보(결제 완성을 의미하는 바코드나 QR 코드 포함)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선택된 결제 항목(96)을 통하여서도 정보(결제 완성을 의미하는 바코드나 QR 코드 포함)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제 완성 정보(결제 완성을 의미하는 바코드나 QR 코드 포함)는 운영자의 휴대용 단말기 혹은 운영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 서버에서 제공되는 인터넷 페이지 -
1) 서버에서 제공되는 인터넷 페이지는 상기 서버와 접속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된다.
2) 서버에서 제공되는 인터넷 페이지는 매장(가게)별로 구별될 수 있다,
3) 서버에서 제공되는 인터넷 페이지는 매장(가게)가 프렌차이즈라면 프렌차이즈별로 구별할 수 있다. 이때 매장(가게) 별로 특징이 존재하면, 프렌차이즈 별로 구별하지만 매장(가게)의 특징이 추가되어, 매장(가게) 별로 구분할 수 있다.
4) 자동차, 기차 혹은 비행기에 적용되면, 서버에서 제공되는 인터넷 페이지는 자동차, 기차 혹은 비행기 별로 구별할 수 있다. 인터넷 페이지에 자동차, 기차 혹은 비행기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 출발지, 현재 위치, 목적지, 도착 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5) 노래방에 적용되면, 서버에서 제공되는 인터넷 페이지는 노래 정도가 포함될 수 있다.
6) 서버에서 제공되는 인터넷 페이지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존재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의 입력창을 통하여 문자가 입력되면, 서버(100)는 상기 입력된 문자를 운영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고, 운용자 단말기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하여 상기 입력된 문자 내용이 표시된다.
- 알고리즘을 생성할 때 사용되는 입력값에 시간이 포함되는 경우 -
구성에 타이머(시계)가 추가 될 수 있다. 제어부에 타이머(시계)가 연경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머(시계)를 통한 시각정보가 제어부에 전달된다,
이?, 타이머(시계)에는 전원이 존재하므로 근거리 통신칩(10)에도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전원 장치가 존재하는 타이머(시계)가 근거리 통신칩(10)에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20)과 접속(무선 연결)될 때 휴대용 단말기(20)로부터 얻어지는 전원이 사용되지 않고, 상기 전원 장치의 전원이 사용될 수 있다.
5 : 테이블 11 : 접착 층(필름)
12 : NFC 안테나 13 : 보호필름(QR 코드 인쇄)
14 : URL 정보 문자(코드) 15 : 구분 문자(코드)
16 ; 가맹점 식별 문자(코드) 17 : 테이블 식별 문자(코드)
20 : 휴대용 단말기 21 : 중앙처리장치
22 : 메모리부 23 : 디스플레이부
24 : 입력장치 25 : 통신 모듈
30 : 운영자 단말기 60 : 메뉴창
70 : 결재창 74 : 정보 입력창
100 : 서버
150 : 별도 서버 101 : 제어부
102 : 통신부 103 : 입력부
104 : 데이터 베이스 105 : 출력부
130 : 충전기 130a : 충전기 본체

Claims (2)

  1. 서버와 연결되는 스마트폰가 연결되는 충전기를 통하여 주문 결재가 이러하는 방법은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가 충전기에 접촉되는 단계,
    충전기(130)에서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가 근거리 통신의 방법에 의하여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에 전달되는 단계,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는 서버(100)와 연결되는 단계,
    서버(100)는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을 통하여 받은 정보로, 매장(가게)와 테이블 혹은 충전기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서버(100)는 수신 받은 정보에 맞는 매장(가게)의 메뉴(상품)를 웹페이지에 표시하여 주문 및 결재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는 서버가 제공한 주문 결재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의 입력장치(24)를 통하여 주문 혹은 결재가 완성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휴대용 단말기)(20)이 연결된 충전기ㅇ의 작동을 om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문 시스템이 구비된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메뉴나 상품의 결재가 선택되면, 서버(100)의 제어부(101)는 결재가 가능한 별도 서버(150)에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되도록 하고, 휴대용 단말기(20)는 별도 서버(150)를 통하여 결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이 구비된 충전기.


KR1020180076792A 2018-07-03 2018-07-03 주문 시스템이 구비된 충전기 KR20200003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792A KR20200003956A (ko) 2018-07-03 2018-07-03 주문 시스템이 구비된 충전기
KR1020210144809A KR20210134541A (ko) 2018-07-03 2021-10-27 무선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792A KR20200003956A (ko) 2018-07-03 2018-07-03 주문 시스템이 구비된 충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809A Division KR20210134541A (ko) 2018-07-03 2021-10-27 무선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956A true KR20200003956A (ko) 2020-01-13

Family

ID=691531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792A KR20200003956A (ko) 2018-07-03 2018-07-03 주문 시스템이 구비된 충전기
KR1020210144809A KR20210134541A (ko) 2018-07-03 2021-10-27 무선충전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809A KR20210134541A (ko) 2018-07-03 2021-10-27 무선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039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9066U1 (ru) * 2021-09-06 2022-01-3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ск Инжиниринг" (Ооо "Кск Инжиниринг") Сто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072B1 (ko) 2015-01-08 2015-07-09 광우정보통신 주식회사 진동벨 작동기능이 구비된 전자결제 단말기
KR20180030960A (ko) 2016-09-17 2018-03-27 최서영 진동벨을 이용한 이동식 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072B1 (ko) 2015-01-08 2015-07-09 광우정보통신 주식회사 진동벨 작동기능이 구비된 전자결제 단말기
KR20180030960A (ko) 2016-09-17 2018-03-27 최서영 진동벨을 이용한 이동식 결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9066U1 (ru) * 2021-09-06 2022-01-3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ск Инжиниринг" (Ооо "Кск Инжиниринг") Сто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541A (ko)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3951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facilitating in-store or near-store ordering and payment of goods and services through a single-tap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KR101653377B1 (ko) 모바일 주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048528A (ja) 購入支援システム
KR101535072B1 (ko) 진동벨 작동기능이 구비된 전자결제 단말기
KR20210134541A (ko) 무선충전기
JP2006235685A (ja) 買い物支援システム、買い物支援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70048293A (ko) 원격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2341646B1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JP2008009642A (ja) 情報処理装置
KR20200003508A (ko) 실시간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시스탬
JP6518826B2 (ja) 決済制御システム、仲介サーバ及び決済制御方法
KR20200005043A (ko) 노래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20190128307A (ko) 주문 시스템이 구비된 진동벨
KR20210026352A (ko) 숙박 업소에서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JP7161155B2 (ja) 注文決済システム
KR20200086648A (ko) 실시간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시스탬
KR20210094448A (ko) 숙박 업소를 제어하는 표시장치를 통해서 제공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210094447A (ko) 숙박 업소를 제어하는 표시장치를 통해서 제공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170104792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20210079257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20170104793A (ko) Nfc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20200013745A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20190027107A (ko) 서버 내에서의 주문 결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80101852A (ko) 서버 내에서의 주문 결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80101855A (ko) 서버 내에서의 주문 결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