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383A - 하중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교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하중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교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383A
KR20200003383A KR1020197033347A KR20197033347A KR20200003383A KR 20200003383 A KR20200003383 A KR 20200003383A KR 1020197033347 A KR1020197033347 A KR 1020197033347A KR 20197033347 A KR20197033347 A KR 20197033347A KR 20200003383 A KR20200003383 A KR 20200003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unit
load
unit
land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698B1 (ko
Inventor
톰미 렙피아호
Original Assignee
딜리트 핀란드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딜리트 핀란드 오와이 filed Critical 딜리트 핀란드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200003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27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shifted horizontally in a fore and aft direction, combined or not with a vertical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8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using pivoted arms shifting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in a fore or aft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09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6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fitted with articulated beams for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81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different numbers of container or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9Guiding means for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01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vehi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2003/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tank of the refuse vehicle
    • B65F2003/008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tank of the refuse vehicle inter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차량(103)에 의해 운반되는 적어도 제1 하중 유닛(101) 및 제2 하중 유닛(102)을 교환하는 교환 장치(100)는 랜딩 장치(106)를 포함한다. 랜딩 장치는, 상기 랜딩 장치(106)의 제1 부분(106A)이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지지되고 상기 랜딩 장치(106)의 제2 부분(106B)이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에 지지되도록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 사이에 배치된다. 랜딩 장치(106)는,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상기 제2 단부(102B)와 만난 후에, 상기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를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보다 낮은 높이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하중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교환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차량에 의해 운반되는 하중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하중 유닛이 먼저 차량으로부터 적하되며 그 후 제2 하중 유닛이 차량에 적재되도록 차량에 의해 먼저 운반되는 제1 하중 유닛을 차량 옆의 지면에 원래 위치하는 제2 하중 유닛 등으로 교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트럭과 같은 차량에 의해 스킵(skip) 또는 교환가능한 하중 유닛을 운송하고, 하중 유닛을 차량으로부터 적하 또는 제거하며, 그 후 다른 하중 유닛을 차량에 적재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때때로, 용기와 같은 하중 유닛을 교환하는 목적은 새로운 빈 용기를 예를 들어 건설 현장 또는 다른 현장으로 가져오고 채워진 용기를 가져가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현장에서 공간은 매우 제한되거나 또는 새로운 빈 용기는 채워진 용기가 위치했던 곳과 동일한 장소에 정확히 두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빈 용기를 현장으로 가져오면, 현장에는 일시적이라도 용기를 적하할 여유 공간이 없을 수 있으며, 따라서 빈 용기는 그 밖의 어딘가에 두어져야 하고, 채워진 용기를 날라서 그것을 현장 밖의 다른 장소로 운반하며, 그 후 빈 용기를 다시 선택하여 그것을 현장에 제공하며, 이렇게 한 후에만 현장으로부터 이미 운반되어 온 채워진 용기를 다시 운송을 위해 차량에 적재해야 한다. 이는 특히 도시 지역 또는 다른 인구 밀집 지역 또는 건설 현장의 경우이며, 이 경우 용기의 교환 프로세스에 여유 공간이 없다. 때로는, 제1 트럭이 다른 빈 트럭과 함께 빈 용기를 가져오고, 이 경우 빈 트럭은 먼저 가져갈 채워진 용기를 싣고, 그 후에 제1 트럭은 빈 용기를 남겨두고 빈 상태로 돌아간다.
이는 많은 불필요한 단계 및 불필요한 운전을 유발하여 많은 시간이 걸리거나 또는 많은 트럭을 필요로 하는데, 한 트럭은 현장으로 빈 상태로 오고 다른 트럭은 빈 상태로 돌아가므로 전체 교환 프로세스를 현저히 비효율적으로 만든다. 따라서, 불필요한 단계 및 운전이 회피될 수 있도록 제한된 공간을 갖는 현장에서도 용기 또는 하중 유닛을 교환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에 대한 분명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종래 기술과 관련된 문제점을 완화 및 제거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빈 용기를 먼저 어딘가 다른 장소에 남겨두고, 채워진 용기를 실어서 그것을 그 밖의 어딘가로 운반하고, 다시 빈 용기를 싣고 그것을 목표 현장으로 운반하며, 그 후에 원래의 채워진 용기를 다시 차량에 실어야 하는 필요성 없이 용기의 교환 프로세스가 현장에서 수행될 수 있는 용기 또는 다른 하중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을 이동시킬 어떠한 필요성도 없이 용기가 교체 또는 교환될 수 있으며 현장으로 가져온 새로운 용기는 본질적으로 가져갈 용기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적어도 2개의 하중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8에 따른 적어도 2개의 하중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방법과, 또한 청구항 16에 따른 하중 유닛 및 교환 장치를 포함하는 청구항 17에 다른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의해 운반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하중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교환 장치가 제공된다. 하중 유닛의 교환은 예를 들어 차량으로부터 지면으로의 제1 하중 유닛의 적하 및 동일한 차량으로의 제2 하중 유닛의 적재를 의미한다. 하중 유닛은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교환가능한 플랫폼 또는 용기 등이다. 장치는 유리하게는 차량 또는 하중 유닛에, 특히 하중 유닛의 단부에 장착가능하다.
교환 장치 또는 차량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전통적인 후크 시스템 또는 임의의 다른 가능한 도구, 예를 들어 제1 하중 유닛을 차량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전형적으로는 후방으로 이동 및 적하하도록 배치되는 체인, 스트랩, 벨트 또는 케이블과 이동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하중 유닛은 예를 들어 차량 옆에, 예를 들어 지면 및 차량의 후방측 또는 배후 연장부에 위치하는 제2 하중 유닛의 상부로 이동된다. 제1 하중 유닛을 제2 하중 유닛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이동 장치는 제1 하중 유닛을 해방하며 제1 하중 유닛 아래의 제2 하중 유닛을 파지한다. 파지되면, 이동 장치는, 제1 하중 유닛이 적어도 제2 하중 유닛의 이동의 개시 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하중 유닛의 상부에 머물도록, 그리고 제2 하중 유닛을 차량에 적재하는 동안 제1 하중 유닛이 제2 하중 유닛에 대해 본질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하중 유닛의 상부에서 제2 하중 유닛을 따라 활주하도록, 제2 하중 유닛을 차량 위로 이동시키고 적재한다. 제1 하중 유닛은 유리하게는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가 제2 하중 유닛의 제2 단부와 만나고 그리고/또는 제2 단부를 통과할 때까지 제2 하중 유닛의 상부에서 제2 하중 유닛을 따라 활주한다. 또한, 제1 하중 유닛의 제2 단부는 전형적으로 제1 하중 유닛이 제2 하중 유닛을 따라 활주할 때 지면과 만난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교환 장치는 또한 고정된 및 유리하게는 또한 제어가능한 방식으로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를 지면으로 이동 또는 하강시키는,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와 제2 하중 유닛의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랜딩 장치(landing device)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랜딩 장치의 제1 부분은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에 지지되며, 랜딩 장치의 제2 부분은 제2 하중 유닛의 제2 단부에 지지된다. 예를 들어, 랜딩 장치는 예를 들어 케이블 또는 제동 실린더를 갖는 후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랜딩 장치는 유리하게는 상기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를 제2 하중 유닛의 제2 단부보다 낮은 높이로, 유리하게는 지면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의 하강은 유리하게는, 이동 장치가 제2 하중 유닛을 차량 위로 이동 및 적재할 때, 그리고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가 제2 하중 유닛의 제2 단부와 만났고 유리하게는 이를 통과했거나 또는 통과하고 있는 중에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교환 장치 또는 랜딩 장치는 또한,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가 중력에 의해 지면에 닫지 않고 임의의 손상 또는 위험한 상황을 유발하지 않도록,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의 착지를 감속시키는 제동 부재를 포함한다. 제동 부재는 예를 들어, 브레이크 실린더, 예를 들어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또는 스프링 또는 기계적인 구성, 예를 들어 마찰 브레이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기 또는 유압 모터도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의 지면을 향한 이동을 제동 또는 억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 하중 유닛이 모터 등에 의한 케이블의 권취해제 같은 제어가능한 방식으로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하중 유닛에, 특히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에 케이블, 벨트 또는 체인 등이 부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동 장치는 제어가능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그리고 그러한 방식으로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의 이동 또는 하강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환 장치는 또한, 제1 하중 유닛이 제어불가능한 방식으로 지면에 닫지 않도록, 차량으로의 상기 제2 하중 유닛의 적재 동안 제1 하중 유닛이 제2 하중 유닛의 상부에서 제2 하중 유닛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또는 제2 하중 유닛에 관해 활주할 때 제1 하중 유닛의 활주 속도를 제어하는 제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중 유닛이 제2 하중 유닛을 따라 활주할 때, 교환 장치는 유리하게는 늦어도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가 제2 하중 유닛의 제2 단부와 만나고 이를 통과한 후에 제동 시스템을 제1 유닛으로부터 해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환 장치에서 사용되는 하중 유닛은 유리하게는, 차량에 대한 하중 유닛의 적재 또는 적하 동안 다른 하중 유닛을 수용하고 다른 하중 유닛이 제1 방향으로 또는 하위 하중 유닛에 대해 활주 경로를 따라 활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하중 유닛의 상부 내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한 예를 들어 레일 또는 홈 등과 같은 활주 경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중 유닛은 활주 경로 및 추가적으로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예를 들어 차량으로부터의 제1 하중 유닛의 적하 및/또는 차량으로의 상기 제2 하중 유닛의 적재 동안 제1 하중 유닛이 활주 경로 상에서 활주할 때 제1 하중 유닛의 활주를 정지시키도록 활주 경로와 관련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제1 하중 유닛은 상기 활주 경로를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되는 활주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활주 부재는 잠금 부재에 닫거나 접촉하여 활주를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활주 경로는 활주 부재에 의해 제1 하중 유닛을 안내하여 제2 하중 유닛을 따라 제어가능한 방식으로 활주하는 상태로 유지시키며, 따라서 제1 하중 유닛은 예를 들어 제2 하중 유닛으로부터 떨어질 수 없다.
잠금 부재는, 제1 하중 유닛이 활주 경로 상에서 활주할 때 제1 하중 유닛의 상기 활주 부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1 하중 유닛의 활주 부재를 정지 부재를 향해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 유리하게는 램프, 예를 들어 쐐기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유리하게는, 활주 부재가 잠금 부재와 만날 때, 활주하고 있는 제1 하중 유닛의 대부분(또는 중력 중심, 전형적으로는 기하학적 중심부)이 제2 하중 유닛의 제2 단부를 활주하여 이를 막 통과했거나 또는 적어도 통과하고 있게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지점에서 또는 이 직후에, 제1 하중 유닛의 제2 단부는 중력에 의해 하향으로 기울어질 것이고, 그럴 때 제1 하중 유닛의 제2 단부는 더 이상 제2 하중 유닛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 편향 부재가 이 위치에서 제1 하중 유닛의 활주 부재를 정지 부재를 향해 편향시키면, 제1 하중 유닛의 활주 부재는 중력에 의해 정지 부재에 기댄 상태로 유지되고 따라서 제1 하중 유닛의 더 이상의 활주가 방지된다. 예를 들어 제1 하중 유닛의 제2 단부가 지면에 지지될 때 제1 하중 유닛은 다시 단부까지 활주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유리하게는, 잠금 부재는 잠금 부재의 위치가 제2 하중 유닛에 대해 조정될 수 있는 조정가능한 잠금 부재이다. 잠금 부재의 위치는, 제1 하중 유닛의 중력 중심이 제2 하중 유닛의 제2 단부를 통과할 때 편향 부재가 활주 부재를 편향시키고 특히 정지 부재가 활주 부재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활주 경로를 따라 활주하는 상기 제1 하중 유닛의 치수, 특히 길이, 및 중력 중심(따라서 전형적으로는 기하학적 중심부)에 기초하여 선택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력에 의해 제1 하중 유닛의 제2 단부는 하향으로 기울어지고, 다시 제1 단부 그리고 따라서 또한 활주 부재는 상향으로 그리고 정지 부재를 향해 기울어지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정지 부재는 제1 하중 유닛을 정지시키고 제2 하중 유닛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잠금 부재는 제2 하중 유닛에 대한 제1 하중 유닛의 활주의 정지를 더 보장하기 위해서 활주 경로의 상위 및 하위 부분 모두에 다수의 정지 부재를 포함한다.
제1 하중 유닛은,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가 정지 부재를 통과할 때, 제2 하중 유닛에 대해 더 활주하고 심지어 제2 하중 유닛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제1 단부 또는 활주 부재를 약간 하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예를 들어 제1 하중 유닛의 제2 단부를 약간 상승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1 하중 유닛의 제2 단부의 상승은, 제2 하중 유닛을 직립 자세로 상승시켜 제1 하중 유닛의 잠금을 해방하는 것처럼, 제1 하중 유닛의 제2 단부를 지면에 대해 가압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잠금 부재는 다양한 위치뿐만 아니라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제2 하중 유닛의 활주의 정지는 더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정지 부재는 상기 제1 하중 유닛의 이동을 정지시킬 때 제1 하중 유닛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충격 흡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충격 흡수 기구는 예를 들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공지된 고무 부재, 스프링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 기구는 유리하게는 제2 하중 유닛 안으로 고정식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제1 유닛이 활주하여 정지 부재에 충돌할 때 전체 잠금 부재는 충격 흡수 기구로 인해 제2 하중 유닛에 대해 이동할 것이고 충격 흡수 부재에 의해 제어될 것이다.
잠금 부재로 인해, 교환 장치는 제1 하중 유닛의 활주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달리 사용되는 제동 시스템 없이도 구현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또한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즉 잠금 부재는 유리하게는 기계적으로 구현되는 편향 부재 및 정지 부재로 인해 항상 활주하는 제1 유닛을 정지시킬 것이다.
또한, 제2 하중 유닛은 제2 하중 유닛의 제2 단부의 끝단 부분에 도입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입 부재는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를 랜딩 장치로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도입 부재는, 제1 하중 유닛이 랜딩 장치와 만나고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하게는 랜딩 장치의 제2 단부(자유 단부)와 만나도록,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 또는 활주 부재를 편향시키는 예를 들어 편향 부재, 유리하게는 램프, 예를 들어 쐐기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가 제2 하중 유닛의 제2 단부 및 랜딩 장치의 제2 단부와 만날 때, 랜딩 장치는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를 본 문헌의 다른 곳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하중 유닛의 제2 단부보다 낮은 높이로 이동시킨다. 도입 부재는 추가로 제1 하중 유닛의 제2 단부가 랜딩 장치에 의해 유리하게는 랜딩 장치의 자유 단부에 의해 포획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공지된 종래 기술에 비해 장점을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매우 제한된 공간에서도 시간 소모적인 용기의 교환 공정을 매우 용이하게 하며, 용기의 운반에 사용되는 차량이 전체 교환 공정 동안 정지한 상태로 머무를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을 이동시킬 필요 없이 그리고 제1 하중 유닛이 교환 공정 후에 본질적으로 제2 하중이 원래 위치하던 곳과 동일한 장소에 남겨지도록, 제1 하중 유닛을 차량으로부터 지면으로 적하할 수 있게 하고 제2 하중 유닛을 지면으로부터 차량으로 적재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의 적용가능성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포함한다"라는 동사는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지 않은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 제한으로서 사용된다. 종속 청구항에서 인용된 특징은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서로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간주되는 신규한 특징은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자체는, 그 구성 및 그 동작 방법 모두에 관하여, 그 추가적인 목적 및 장점과 함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읽을 때 특정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을 첨부의 도면에 따라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j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의해 실행되는 제1 및 제2 하중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예시적인 교환 장치 및 방법의 원리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교환 장치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랜딩 장치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활주 경로를 갖는 예시적인 하중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활주 부재를 갖는 활주 경로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제동 부재를 갖는 예시적인 랜딩 장치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랜딩 장치의 원리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h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 유닛을 안내하기 위한 활주 경로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 유닛의 예를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1j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103)에 의해 운반되는 제1 하중 유닛(101) 및 제2 하중 유닛(102)을 교환하기 위한 예시적인 교환 장치(100) 및 방법의 원리를 도시하며, 도 1a에서 차량(103)은 제1 하중 유닛(101)을 현장으로 가져오고 제2 하중 유닛(102)을 가져간다. 도 1b 내지 도 1d에서, 이동 장치(104)는 제1 하중 유닛(101)을 차량으로부터 제1 방향(105)으로, 따라서 후방으로 그리고 제2 하중 유닛(102)의 상부로 이동 및 적하시킨다. 이동 장치(104)는 전통적인 후크 시스템이지만, 또한 하중 유닛을 이동시키는데 적합한 체인, 스트랩, 벨트 또는 케이블 같은 임의의 다른 도구일 수 있다.
도 1e에서, 이동 장치(104)는 제1 하중 유닛(101)을 해방하며 제1 하중 유닛(101) 아래의 제2 하중 유닛(102)을 파지한다. 또한, 제동 시스템(108)은 제2 하중 유닛(102)이 적재를 위해 파지될 때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101A)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f에서, 이동 장치(104)는, 제2 하중 유닛(102)을 차량(103)에 적재하는 동안 제1 하중 유닛(101)이 제2 하중 유닛에 대해 본질적으로 상기 제1 방향(105)으로 제2 하중 유닛(102)의 상부에서 제2 하중 유닛을 따라 활주하도록 제2 하중 유닛(102)을 차량 위로 이동 및 적재한다. 제동 시스템(108)은 제2 하중 유닛(102)의 상부를 따른 제2 하중 유닛 상에서의 제1 하중 유닛(101)의 활주 속도를 감속 또는 제어한다. 유리하게는 제1 하중 유닛(101)이 활주하는 제2 하중 유닛(102)의 상부 부분 내에 배치되는 활주 경로(109)(도 4에 더 상세하게 도시됨)가 존재한다.
제1 하중 유닛(101)은, 도 1g의 경우와 같이(랜딩 장치(106)의 일부가 도 1g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랜딩 유닛의 기본적인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유리하게는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를 만나고 및/또는 그를 통과할 때까지 제2 하중 유닛(102)의 상부에서(유리하게는, 중력에 의해, 뿐만 아니라 다른 기구가 구현될 수도 있음) 제2 하중 유닛을 따라 활주한다.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를 만나고 및/또는 그를 통과할 때, 랜딩 장치(106)는 유리하게는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 사이에서 활성화된다(도 6a 내지 도 6c에 더 상세화되어 있음). 일례로서, 랜딩 장치(106)의 제1 부분(106A)(고정된 부분)은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101A)에 고정되며, 따라서 제2 부분(106B)(자유 단부)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제2 하중 유닛(102)이 계속 차량을 향하여 차량으로 이동될 때(105의 반대 방향으로), 랜딩 장치(106)의 자유 단부(106B)는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에 지지되며, 따라서 랜딩 장치(106)는 도 1h 내지 도 1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를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보다 낮은 높이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동 시스템(108)은, 제2 하중 유닛(102)이 차량(103) 위로 적재되는 동안 제1 하중 유닛(101)이 제2 하중 유닛(102)의 상부에서 제2 하중 유닛을 따라 활주할 때, 제1 하중 유닛의 활주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동 시스템(108)은 늦어도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를 만나고 그를 통과한 후에 제1 유닛(101)으로부터 해방된다. 일례에 따르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시스템(108)의 제1 단부(108A)는 제2 하중 유닛(102) 또는 차량(10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동 시스템(108)의 제2 단부(108B)는 제1 유닛(101), 특히 상기 제1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g 및 도 2c에 도시된 예시적인 제동 시스템(108)은 케이블(108)에 의해 구현되며, 케이블의 권취해제는 제어가능한 모터(110)에 의해, 예를 들어 유압 또는 전기 모터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및 특히 케이블의 다른 단부가 차량에 고정될 때, 케이블의 길이를 제어(권취해제 또는 권취)할 필요가 없을 수 있지만, 케이블은 하중 유닛이 예를 들어 전통적인 후크 시스템(104)에 의해 적하될 때 케이블의 고정된 길이에 대해 배치된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의 궤적이 충분하도록 배치되는 소정의 고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제1 단부(101A)는 본질적으로 그것이 하강될 때 지면 또는 차량과 관련하여 더 이상 방향(105)으로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의 착지 또는 하강 프로세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동 시스템(108)은 또한 스프링력에 의해 또는 브레이크 실린더에 의해 유도되는 힘을 통해 제1 하중 유닛의 활주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시스템, 예를 들어 스프링 또는 브레이크 실린더, 예를 들어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동 시스템은, 마찰 브레이크, 또는 로드 또는 바아 같은 세장형 아암 등의 적절한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공지된 다른 제동 시스템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교환 장치(100)를 도시하며, 도 2a 및 도 3a에서 랜딩 장치(106)는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통합되며, 도 2b 및 도 3b에서 랜딩 장치(106)는 제2 하중유닛(102)의 제2 단부(102B)에 통합된다.
도 2a 및 도 3a(본질적으로 도 1a 내지 도 1j에 도시된 장치 및 방법(100)에 대응)의 예에서, 랜딩 장치(106)의 제1 부분(106A)은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일체로 고정되며, 따라서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가 도 1g 내지 도 1h의 경우와 같이 제1 방향(105)으로 제2 하중 유닛의 제2 단부(102B)를 통과할 때 랜딩 장치(106)의 제2 자유 부분(106B)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에 포착 및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도 2b 및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랜딩 장치(106)의 제1 부분(106A)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에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가 제1 방향(105)으로 제2 하중 유닛의 제2 단부(102B)를 통과할 때 랜딩 장치의 제2 자유 부분(106B)은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포착 및 지지되도록 구성된다(도 1g 내지 도 1h에 도시된 상황에 대응).
제1 및 제2 부분(106A, 106B)은 회전 방식으로 서로 결합, 예를 들어 경첩식으로 연결되며, 그래서 랜딩 장치(106)가 활성화되어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를 지면으로 이동 또는 하강시킬 때 제1 및 제2 부분(106A, 106B) 사이의 각도가 벌어진다. 랜딩 장치(106)는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부분(106A, 106B)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또는 제1 및 제2 부분(106A, 106B) 사이의 각도(α)가 벌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의 느린 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제동 부재(107)를 포함한다.
도 2c는 다른 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제동 부재(107)를 갖는 랜딩 장치(106)는 케이블에 의해 구현되며, 케이블의 권취해제 및/또는 재권취는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케이블의 제1 부분(107A)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에 지지 또는 결합되며, 케이블의 제2 부분(107B)은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지지 또는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의 제1 부분(107A)을 지지하기 위해 제2 단부(102B)에, 유리하게는 제2 하중 유닛의 제2 단부의 상위 부분에 지지점(102C)이 제공된다. 케이블(107)의 권취해제 및/또는 재권취는 케이블의 제1 단부(107A)가 결합되는 모터(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107)의 권취해제 및/또는 재권취를 제어함으로써,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101A)의 이동 또는 하강 속도가 관리 및 제어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케이블(107)(또는 기타 등등)은, 제2 하중 유닛(102)의 차량으로의 적재 동안 제1 하중 유닛(101)이 제2 하중 유닛(102)의 상부에서 제2 하중 유닛을 따라 활주할 때 제1 하중 유닛의 활주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동 시스템(108)으로서뿐만 아니라,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와 만나고 이를 통과한 후에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의 착지를 감속하기 위한 제동 부재(107)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107/108)(2개의 상이한 기능을 위한 하나의 동일한 케이블)은 먼저 지지점(102C)을 통해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후에 케이블(107/108)은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와 만나고 이를 통과한 후에 자동으로 제동 부재(107)로서 기능한다.
도 3a 및 도 3b는 또한 랜딩 장치(106) 및 제동 부재(107)의 더 상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동 부재(107)는 예를 들어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같은 브레이크 실린더 또는 스프링 또는 마찰 브레이크 같은 기계적인 구조물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가 지면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동을 위해 전기 또는 유압 모터도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케이블(107)은, 제1 하중 유닛의 제1 단부(101A)/제1 하중 유닛(101)이 모터(110) 등에 의한 케이블(107)의 권취해제 같은 제어가능한 방식으로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하중 유닛(101), 특히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부착될 수 있다(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동 장치는 제어가능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동 부재(107)의 동작은 제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의 이동 또는 하강 속도는 유리하게는 단계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는 예를 들어 안전하고 제어된 방식으로 지면으로 하강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활주 경로(109)를 갖는 예시적인 하중 유닛(101, 102)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활주 경로(109)는 하중 유닛(101, 102)의 차량(103)에 대한 적재 또는 적하 동안 다른 하중 유닛(101, 102)을 수용하여 다른 하중 유닛이 제1 방향(105)으로 또는 하중 유닛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활주 경로(109)를 따라 그리고 하위 하중 유닛(101)에 대해 활주하는 것을 허용한다. 활주 경로(109)는 예를 들어 레일 또는 홈을 포함하며, 유리하게는 하중 유닛(101)의 상부 부분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활주 경로는 하중 유닛(102)의 저부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활주 경로(109)를 따라 활주하는 하중 유닛(101)은 유리하게는 휠 또는 슬라이드 또는 스키 등과 같은 활주 부재(111)를 포함한다. 활주 부재(111)는 유리하게는 도 5a 내지 도 5b 및 도 6a 내지 도 6c에서 상세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랜딩 장치(106)에 배치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활주 부재(111)는 활주 경로(109)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활주 경로(109)는 활주 부재(111)와 함께 활주 경로(109)를 따라 활주하는 하중 유닛(101)을 활주하는 하중 유닛(101)의 아래에 위치되는 하중 유닛(102)에 대해 잠그거나 고정할 것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4b는 활주 경로(109)의 다른 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활주 경로는 레일 또는 바아(109)에 의해 구현된다. 활주 경로(109)를 따라 활주하는 제1 하중 유닛(101)은 활주 경로(109)를 수용 구조물(116) 내로 수용하기 위한 홈 또는 슬롯을 형성하는 수용 구조물(116)을 포함한다. 수용 구조물(116)은 예를 들어 제1 하중 유닛의 구조물에 대해 배치된 활주 부재(111)와 함께 제1 하중 유닛(101)의 베이스 구조물, 예를 들어 제1 하중 유닛(101)의 저부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제동 부재(107)를 갖는 예시적인 랜딩 장치(106)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활주 부재(111)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예시적인 활주 부재(111)는 2개의 휠을 포함하며, 제1 휠(111A)은 활주 경로(109) 아래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제2 휠(111B)은 활주 경로(109) 위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제동 부재(107)를 갖는 랜딩 장치(106)의 원리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 제1 하중 유닛(101)은 방향(105)으로 활주 경로(109)를 따라 제2 하중 유닛(102)의 상부에서 활주하고 있다. 제동 시스템(108)은 본 문헌의 다른 곳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제1 하중 유닛(101)의 자유로운 활주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선택 사항). 제동 시스템(108)의 제2 단부(108B)는 제1 유닛(101)에 결합되며, 활주 경로(109)를 따른 제1 하중 유닛의 활주 속도는 유리하게는 모터와 같은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제어 장치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공지된 다른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랜딩 장치(106)의 제1 부분(106A)은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고정된다.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 또는 더 상세하게는 활주 부재(111)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 또는 지지점(102D)과 만나고 그리고/또는 이를 통과했을 때, 랜딩 장치(106)의 제2 부분(106B)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 또는 지지점(102D)에서 정지하도록 구성되며 지지점(102D)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점(102D)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그래서 랜딩 장치(106)의 제1 및 제2 부분(106A, 106B) 사이의 각도가 벌어진다. 벌어짐은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부분(106A, 106B) 사이의 제동 부재(107)에 의해 억제된다.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와 만났을 때, 활주 부재(111)는 지지점(102D) 주위로(도 6a 내지 도 6c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동시에, 결합 부재(111D)가 회전하여, 제동 시스템(108)(도 6a 내지 도 6c의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 사용되는 경우 - 을 활주 부재(111)로부터 그리고 이에 의해 제1 하중 유닛(101)으로부터도 해방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제2 하중 유닛(102)이 차량(103)에 적재될 때, 랜딩 장치(106)는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를 지면으로 또는 적어도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 단부(102B)보다 낮은 높이로 이동 또는 하강시킨다. 랜딩 장치의 제1 및 제2 부분(106A, 106B) 사이의 벌어짐 각도가 충분히 증가하거나 또는 랜딩 장치의 제2 단부(106B) 또는 실제로는 활주 부재(111)가 지지점(102D) 주위로 임계 각도를 넘어 회전하면, 제2 단부(106B)는 제2 단부(102B)의 접촉부 또는 제2 하중 유닛(102)의 지지점(102D)으로부터 해방될 것이다. 따라서, 랜딩 장치(106)는,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보다 낮은 높이로 이동된 후에 결합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도 7a 내지 도 7h는 또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 부재와 하중 유닛(101, 102)을 안내하기 위한 활주 경로 구조물(109)의 예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h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하중 유닛(102)은 활주 경로(109) 및 추가적으로는 제1 하중 유닛(101)이 활주 경로(109) 상에서 활주할 때 제1 하중 유닛(101)의 활주를 정지시키기 위한 잠금 부재(112)(특히 도 7c 내지 도 7g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잠금 부재(112)는 유리하게는 제1 하중 유닛(101)이 활주 경로(109) 상에서 활주할 때 제1 하중 유닛(101)의 활주 부재(111)를 정지 부재(114)를 향해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부재(113), 예를 들어 쐐기 램프(113)를 포함한다. 제1 하중 유닛(101)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도 4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활주 부재(111)를 포함한다. 활주 부재(111)는, 활주 부재(111)가 잠금 부재(112)와 만나서 활주를 정지하도록 편향 부재(113)에 의해 편향될 때까지 활주 경로(109)를 따라 활주한다.
더 상세하게는, 잠금 부재(112)의 위치는, 제1 하중 유닛(101)의 무게 중심이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를 통과하고, 따라서 제1 단부(101A) 및 따라서 또한 활주 부재(111)가 상향으로 및 정지 부재(114)를 향해 스킵(skip)될 때 편향 부재(113)가 활주 부재(111)를 편향시키도록 유리하게는 방향(119)으로 제2 하중 유닛(102)에 대해 조정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활주 경로(109)의 상위 및 하위 부분 양자 모두에 다수의 정지 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중 유닛(101)은, 본 문헌의 다른 곳에서, 특히 도 7c 내지 도 7g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단부(101A) 및 따라서 또한 활주 부재(111)를 이동시킴으로써 활주 부재(111)가 정지 부재(114)를 통과할 때 방향(119)으로 제2 하중 유닛(102)에 대해 더 활주할 수 있다.
정지 부재(114)는 또한 상기 제1 하중 유닛의 이동을 정지시킬 때 제1 하중 유닛(101)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충격 흡수 기구(1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중 유닛(102)은 도 7h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의 끝단 부분에 도입 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입 부재(115)는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를 랜딩 장치(106)로 도입시킨다. 이를 위해, 도입 부재(115)는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 또는 제1 하중 유닛(101)의 활주 부재(111)가 랜딩 장치(106)와 더 잘 만나도록 이를 편향시키는 예를 들어 편향 부재(117)를 포함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 유닛(101, 102)의 예를 도시하며, 도 8a에서 하나의 하중 유닛(10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b에서, 제1 하중 유닛(101)은 유리하게는 활주 경로(109)를 통해 제2 하중 유닛(102)의 상부 상에 적층 또는 적재된다. 도 8c는 적층된 하중 유닛(101, 102)의 정면도를 도시하며, 랜딩 장치의 제동 부재(107)도 도시된다.
본 발명을 전술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의 여러 장점이 증명되었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 사상 및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 내의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 명백하다. 예를 들어, 케이블이 제동 부재(107) 및 시스템(108)의 일례로서 증명되었지만, 예를 들어 벨트, 스트랩 또는 체인 등의 다른 유형의 적절한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오직 2개의 하중 유닛이 나타나지만, 이는 예일 뿐이며 2개 초과의 하중 유닛이 서로의 상부에 적재되고 운반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하중 유닛은 측벽 및/또는 단부 벽을 갖지만, 측벽 및/또는 단부 벽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하중 유닛은 단부(101A, 101B, 102A, 102B)만을 갖고 실제 벽은 없는 플랫폼으로서도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종속 청구항에서 인용되는 특징은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서로 자유롭게 조합가능하다.

Claims (22)

  1. 차량(103)에 의해 운반되는 적어도 제1 하중 유닛(101) 및 제2 하중 유닛(102)을 교환하기 위한 교환 장치(100)이며, 제1 및 제2 하중 유닛은 모두 제1 및 제2 단부(101A, 101B, 102A, 102B)를 갖고,
    상기 교환 장치는,
    - 랜딩 장치(106)의 제1 부분(106A)이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지지되고 상기 랜딩 장치(106)의 제2 부분(106B)이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에 지지되도록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랜딩 장치(106)를 포함하고,
    - 상기 랜딩 장치(106)는, 상기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상기 제2 단부(102B)와 만난 후에 상기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를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보다 낮은 높이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교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장치(100) 또는 상기 랜딩 장치(106)는 상기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의 착지를 감속시키는 제동 부재(107)를 포함하는 교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장치(106)는 하중 유닛(101, 102)의 단부(101A, 101B, 102A, 102B)에 결합된 제1 부분(106A) 및 상기 랜딩 장치(106)의 상기 제1 부분(106A)에 결합된, 예를 들어 경첩식으로 연결된 제2 부분(106B)을 포함하며, 상기 랜딩 장치(106)는 상기 랜딩 장치(106)의 상기 제1 부분(106A)과 제2 부분(106B) 사이에 배치되는 제동 부재(107)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 부재(107)는 상기 랜딩 장치(106)의 제1 부분(106A)과 제2 부분(106B)이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교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107)는 스프링 또는 브레이크 실린더, 예를 들어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또는 권취해제가 제어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동 부재의 제1 단부는 상기 랜딩 장치(106)의 제1 부분(106A)에 결합되고 상기 제동 부재(107)의 제2 단부는 상기 랜딩 장치(106)의 제2 부분(106B)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동 부재(107)는 마찰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교환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랜딩 장치(106)의 제1 부분(106A)은,
    -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고정되고, 따라서 랜딩 장치(106)의 제2 부분(106B)은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상기 제2 단부(102B)와 만나고 제2 단부(102B)를 통과한 후에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 제2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에 고정되고, 따라서 랜딩 장치(106)의 제2 부분(106B)은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상기 제2 단부(102B)와 만나고 제2 단부(102B)를 통과한 후에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교환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장치(106)는, 상기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보다 낮은 높이로 이동한 후에 결합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교환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장치는, 상기 제2 하중 유닛(102)이 차량(103)에 적재되는 동안, 제1 하중 유닛(101)이 상부에서 제2 하중 유닛(102)을 따라 활주할 때, 제1 하중 유닛(101)의 활주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동 시스템(108)을 포함하는 교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동 시스템(108)의 제1 단부(108A)는 제2 하중 유닛(102) 또는 차량(103)에 결합되며, 제동 시스템(108)의 제2 단부(108B)는 제1 유닛(101), 특히 상기 제1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결합되는 교환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제동 시스템(108)은 스프링력에 의해 또는 브레이크 실린더에 의해 유발되는 힘을 통해 활주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또는 브레이크 실린더, 예를 들어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동 시스템은 고정된 길이를 갖는 케이블 또는 제어가능한 모터에 의해 권취해제가 제어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동 시스템은 마찰 브레이크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동 시스템(108)은 로드 또는 바아 같은 세장형 아암인 교환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랜딩 장치(106)는 늦어도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상기 제2 단부(102B)와 만나고 제2 단부(102B)를 통과한 후에 제동 시스템(108)을 제1 유닛(101)으로부터 해방하도록 구성되는 교환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107)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의 제1 부분(107A)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에 지지 또는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의 제2 부분(107B)은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지지 또는 결합되는 교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제동 부재(107)는, 케이블의 권취해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의 착지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가능한 모터를 포함하는 교환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07)은 또한 상기 제2 하중 유닛(102)이 차량에 적재되는 동안 제1 하중 유닛(101)이 상부에서 제2 하중 유닛(102)을 따라 활주할 때 제1 하중 유닛의 활주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동 시스템(108)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며,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상기 제2 단부(102B)와 만나고 제2 단부(102B)를 통과한 후에 상기 케이블은 또한 상기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의 착지를 감속시키기 위한 상기 제동 부재(107)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교환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중 유닛(101, 102)은 차량에 대한 하중 유닛(101, 102)의 적재 또는 적하 동안 다른 하중 유닛(101, 102)을 수용하여 상기 다른 하중 유닛이 활주 경로(109)를 따라 활주하는 것을 허용하는 상기 활주 경로(109)를 포함하는 교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제2 하중 유닛(102)은 활주 경로(109) 및 활주 경로(109)와 관련되어 배치되는 잠금 부재(112)를 포함하고, 제1 하중 유닛은 상기 활주 경로(109)를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되는 활주 부재(111)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부재(112)는 제1 하중 유닛(101)이 활주 경로(109) 상에서 활주할 때 제1 하중 유닛의 상기 활주 부재(111)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1 하중 유닛(101)의 활주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교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112)는 제1 하중 유닛(101)이 활주 경로(109) 상에서 활주할 때 제1 하중 유닛(101)의 활주 부재(111)를 정지 부재(114)를 향해 편향시키기 위한 쐐기 램프(113)를 포함하는 교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정지 부재(114)는 상기 제1 하중 유닛(101)의 이동을 정지시킬 때 제1 하중 유닛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충격 흡수 기구(118)를 포함하는 교환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하중 유닛(101, 102)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의 끝단 부분에 도입 부재(115)[쐐기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도입 부재(115)는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상기 제2 단부(102B)와 만난 후에 상기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를 랜딩 장치(106)에 도입시켜 상기 제1 하중 유닛(101)의 상기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보다 낮은 높이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교한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장치는 추가로,
    - 이동 장치(104)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장치는,
    o 제1 하중 유닛(101)을 차량으로부터 제1 방향(105)으로 그리고 차량 옆에 위치되는 제2 하중 유닛(102)의 상부로 이동 및 적하하고,
    o 제1 하중 유닛(101)을 해방하며,
    o 상기 제1 하중 유닛(101)이 제2 하중 유닛(102)의 이동의 개시 시에 여전히 제2 하중 유닛(102)의 상부에 있도록, 그리고 상기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와 만날 때까지 차량(103)으로의 상기 제2 하중 유닛(102)의 적재 동안 상기 제1 하중 유닛(101)이 상부에서 제2 하중 유닛(102)을 따라 상기 제1 방향(105)으로 활주하도록, 제1 하중 유닛(101) 아래의 제2 하중 유닛(102)을 파지하고 상기 제2 하중 유닛(102)을 차량으로 이동 및 적재하도록 배치되는 교환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교환 장치(100)에 의해 교환되는 하중 유닛(101, 102)이며, 하중 유닛은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교환 장치를 포함하는 하중 유닛.
  21. 차량에 의해 운반되는 적어도 제1 하중 유닛 및 제2 하중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교환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22. 차량(103)에 의해 운반되는 적어도 제1 하중 유닛(101) 및 제2 하중 유닛(102)을 교환하는 방법이며, 제1 및 제2 하중 유닛(101, 102)은 모두 제1 및 제2 단부(101A, 101B, 102A, 102B)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 랜딩 장치(106)의 제1 부분(106A)을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에 그리고 상기 랜딩 장치(106)의 제2 부분(106B)을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에 지지하는 단계와,
    -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가 제2 하중 유닛(102)의 상기 제2 단부(102B)와 만난 후에 상기 제1 하중 유닛(101)의 제1 단부(101A)를 제2 하중 유닛(102)의 제2 단부(102B)보다 낮은 높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환 방법.
KR1020197033347A 2017-04-11 2017-08-16 하중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교환 방법 및 장치 KR102380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75337 2017-04-11
FI20175337A FI127476B (en) 2017-04-11 2017-04-11 Procedure and arrangement for replacing replaceable load units
PCT/FI2017/050577 WO2017182719A2 (en) 2017-04-11 2017-08-16 Interchanging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terchanging load uni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383A true KR20200003383A (ko) 2020-01-09
KR102380698B1 KR102380698B1 (ko) 2022-03-29

Family

ID=6011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347A KR102380698B1 (ko) 2017-04-11 2017-08-16 하중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교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312286B2 (ko)
EP (1) EP3609739B1 (ko)
JP (1) JP6929440B2 (ko)
KR (1) KR102380698B1 (ko)
CN (1) CN110709280B (ko)
CA (1) CA3059834A1 (ko)
FI (1) FI127476B (ko)
PL (1) PL3609739T3 (ko)
RU (1) RU2748932C2 (ko)
SA (1) SA519410283B1 (ko)
SG (1) SG11201909425XA (ko)
WO (1) WO20171827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7894B (en) * 2018-05-17 2019-05-15 Delete Finland Oy Platform unit system for combining and separating platform unit platform units
FI127897B (en) * 2018-05-17 2019-05-15 Delete Finland Oy Platform unit system with brake system
FI127896B (fi) * 2018-05-17 2019-05-15 Delete Finland Oy Lavayksikköjärjestelmä, jossa on ohjausväline lavayksikön ohjaamiseksi sitä yhdistettäessä tai erotettaessa
FI128747B (en) * 2019-05-15 2020-11-30 Delete Finland Oy Pallet unit system for connecting and separating pallet units of a pallet unit system
FI129662B (en) 2019-08-12 2022-06-15 Delete Finland Oy Pallet unit system for connecting and separating pallet units in a pallet uni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5373A1 (de) * 2003-05-27 2005-01-05 Herwig, Thomas B.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vereinfachten Wechseln von Schuttmulden nach DIN 30720 und DIN 30735 sowie ähnlich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5148A (en) * 1940-09-20 1942-12-15 George R Dempster Transporting and dumping device
US3404793A (en) * 1966-06-07 1968-10-08 Albert A. Pinkert Load carrier
DE1814242C3 (de) 1968-12-12 1974-05-09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 bzw. Aufladen von mehreren auf einer Fahrzeugladefläche übereinander gestapelter Hohlkörper, insbesondere Pontons
FI61151C (fi) 1979-11-12 1982-06-10 Urpo Hannonen Foerfarande foer transportering av flyttbart flak och flyttbart flak
DE3731599A1 (de) * 1987-09-19 1989-04-06 Gutehoffnungshuette Ma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echsel von mulden bei wechselmuldenkippern
US5085448A (en) 1990-06-13 1992-02-04 Shubin Don B Stackable containers
RU2020088C1 (ru) * 1991-06-04 1994-09-30 Валентин Михайлович Таран Перегрузчик
DE19526605C2 (de) * 1995-07-21 1998-07-16 Juergen Boehlkau Vorrichtung zum Laden eines ersten Behälters auf ein Kraftfahrzeug und zum Entladen eines zweiten leeren Behälters von diesem Kraftfahrzeug
EP0880443A2 (de) * 1996-02-23 1998-12-02 Mühlbauer, Rainer Nutzfahrzeug, transportgerätesystem kompatibel zu bekannten transportsystemen
JP3148740B2 (ja) * 1999-05-21 2001-03-26 シンコー株式会社 コンテナ専用車、コンテナおよびその積降ろし方法
JP4106405B2 (ja) * 2002-03-05 2008-06-25 博人 齋藤 コンテナ積重方法、及びコンテナ積重用補助具
EP1413477B1 (de) 2002-10-25 2009-09-16 Thomas Herwi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Wechseln von Schüttgut-Mulden
DE10311359A1 (de) * 2003-03-14 2004-10-07 Manfred Schaich Containerhandhabungsvorrichtung für ein Containertransportfahrzeug
EP2111349A4 (en) * 2007-02-02 2010-05-12 William Chester Cline LOADING AND UNLOAD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CA2590853A1 (en) 2007-06-07 2008-12-07 Rino Beaulieu Truck transportable carrier and method of loading the same onto a truck for transport
FR2919544B1 (fr) 2007-08-03 2009-10-30 Christophe Gaussin Vehicule automoteur propre de transport lourd, notamment portuaire
RU72916U1 (ru) * 2007-12-26 2008-05-10 Сергей Петрович Семенищев Передвижной газозаправщик контейнерного типа
JP5380159B2 (ja) 2009-05-28 2014-01-08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荷役車両
DE102014107144B3 (de) 2014-05-21 2015-06-25 Peter B. Ellebracht Hebemittel für stapelbare Absetzcontainer
JP6543089B2 (ja) * 2015-05-22 2019-07-10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荷役車両
CN204675178U (zh) 2015-05-27 2015-09-30 河南凯达汽车有限公司 双开门可视垃圾车厢
US10322874B1 (en) * 2016-04-13 2019-06-18 Mark D. Curley Dumpster handling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5373A1 (de) * 2003-05-27 2005-01-05 Herwig, Thomas B.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vereinfachten Wechseln von Schuttmulden nach DIN 30720 und DIN 30735 sowie ähnlich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698B1 (ko) 2022-03-29
RU2019136155A (ru) 2021-05-11
US20210114829A1 (en) 2021-04-22
EP3609739A2 (en) 2020-02-19
EP3609739A4 (en) 2020-12-23
RU2019136155A3 (ko) 2021-05-11
JP6929440B2 (ja) 2021-09-01
FI127476B (en) 2018-06-29
SA519410283B1 (ar) 2022-05-11
RU2748932C2 (ru) 2021-06-01
CN110709280B (zh) 2022-06-17
JP2020516542A (ja) 2020-06-11
WO2017182719A2 (en) 2017-10-26
US11312286B2 (en) 2022-04-26
SG11201909425XA (en) 2019-11-28
PL3609739T3 (pl) 2023-07-17
EP3609739B1 (en) 2023-03-15
WO2017182719A3 (en) 2018-01-04
CA3059834A1 (en) 2017-10-26
CN110709280A (zh)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698B1 (ko) 하중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교환 방법 및 장치
US5350270A (en) Pickface conveyor
JP2023153998A (ja) 保管システムのためのサービス車両
CA2942429A1 (en) Trailer-train trailer with carrying frame for a material transport cart
US9446905B2 (en) Feed device and method
US5476180A (en) Cart return device
US3110466A (en) Apparatus for conveying or handling vehicles and the like
KR102296058B1 (ko)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US20070071586A1 (en) System for loading, handl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US8747048B2 (en) System for loading, handl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CA2230610C (en) Truck deck with ground level loading/unloading position
CN111807268B (zh) 一种叉车
US3578182A (en) Lumber cart having cradle with variable height
JP2017057063A (ja) 設備機器
JP2008174340A (ja) 手動走行式リフター
GB2317872A (en) Vehicle battery changeover apparatus
CA1122481A (en) Device for attachment of load carrier on railway wagon
RU2149775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еревозк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грузов, например для эвакуации автомобилей
FI127897B (en) Platform unit system with brake system
BE1014601A3 (nl) Inrichting voor het laden en/of lossen van een lading op/vanaf een voertuig.
SU111073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грузки и разгрузки контейнеров и поддонов из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RU1782803C (ru)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24520122A (ja) ウェブ材料加工機のためのリール支持組立体及びホットホイルスタンピング機
JP2022093762A (ja) 荷物の搬入方法及び車
KR200461408Y1 (ko)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