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408Y1 -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408Y1
KR200461408Y1 KR2020120003017U KR20120003017U KR200461408Y1 KR 200461408 Y1 KR200461408 Y1 KR 200461408Y1 KR 2020120003017 U KR2020120003017 U KR 2020120003017U KR 20120003017 U KR20120003017 U KR 20120003017U KR 200461408 Y1 KR200461408 Y1 KR 200461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oading
guide bar
support guide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헌욱
Original Assignee
임헌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헌욱 filed Critical 임헌욱
Priority to KR2020120003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4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4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 B60P1/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with cabl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럭 적재함의 전방에 전동 윈치를 장착하고 적재함의 후단에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 가이드바를 장착하여 전동 윈치의 구동력에 의해 적재 대상 화물을 지지 가이드바를 따라 용이하게 상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동원 없이도 간편하게 화물을 상차시킬 수 있고, 적재 대상 화물의 중량 및 크기에 따라 지지 가이드바의 경사 각도 또는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화물에 대한 상차 작업을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Cargo Loading Apparatus for Truck}
본 고안은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럭 적재함의 전방에 전동 윈치를 장착하고 적재함의 후단에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 가이드바를 장착하여 전동 윈치의 구동력에 의해 적재 대상 화물을 지지 가이드바를 따라 용이하게 상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동원 없이도 간편하게 화물을 상차시킬 수 있고, 적재 대상 화물의 중량 및 크기에 따라 지지 가이드바의 경사 각도 또는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화물에 대한 상차 작업을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각종 화물의 운송을 위해 트럭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택배 등 각종 배달 운송의 활성화로 인해 이러한 트럭을 이용한 화물 운송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트럭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이 장착된 차량으로, 트럭의 적재함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차량에 장착된다. 트럭의 적재함에 화물을 상차하는 작업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데, 적재함이 일정 높이를 갖기 때문에, 적재함에 화물을 상차하는 작업은 상당히 힘들고 어려운 작업이다. 특히, 화물의 중량이 무거운 경우에는 그 작업을 수작업으로는 불가능하여 별도의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화물 상차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화물 상차 작업을 좀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차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대부분 그 규모가 크고 무거운 형태의 대형 장치로 구성되어 트럭에 장착하지 못하고 창고 등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대형 창고와 같이 특정 장소에서 화물을 상차하는 경우 이외에 다양한 장소에서 수시로 화물을 상차하는 작업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중량이 무거워 수작업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매번 지게차 등의 장비를 따로 이용하여 상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선행 기술로서, 특허 등록 제10-591789호에는 승강 장치를 이용한 상차 장치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상차 장치 또한 고정식 구조를 갖는 대형 장비로서 트럭의 적재함 등에 장착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시간과 장소에서 화물 상차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럭 적재함의 전방에 전동 윈치를 장착하고 적재함의 후단에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 가이드바를 장착하여 전동 윈치의 구동력에 의해 적재 대상 화물을 지지 가이드바를 따라 용이하게 상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동원 없이도 간편하게 화물을 상차시킬 수 있는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적재 대상 화물의 중량 및 크기에 따라 지지 가이드바의 경사 각도 또는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화물에 대한 상차 작업을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은, 트럭의 적재함 전방 상단에 고정 장착되어 윈치 와이어를 견인 구동하도록 작동하는 전동 윈치; 상기 윈치 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되어 적재 대상 화물을 상기 윈치 와이어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 및 상기 적재 대상 화물이 상기 적재함에 상차되는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후단에 결합되는 지지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가이드바는 일단이 상기 적재함의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전동 윈치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적재 대상 화물이 상기 윈치 와이어와 함께 견인되며 상기 지지 가이드바를 따라 상기 적재함으로 상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지 가이드바는 타단이 지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적재함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가이드바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지지 파이프가 순차적으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가이드바는 다수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지지 가이드바는 상기 적재함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적재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럭의 적재함 전방 상단에는 상기 전동 윈치의 외부 공간을 감싸며 상기 전동 윈치를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트럭 적재함의 전방에 전동 윈치를 장착하고 적재함의 후단에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 가이드바를 장착하여 전동 윈치의 구동력에 의해 적재 대상 화물을 지지 가이드바를 따라 용이하게 상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동원 없이도 간편하게 화물을 상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 대상 화물의 중량 및 크기에 따라 지지 가이드바의 경사 각도 또는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량 및 크기가 다양한 화물에 대한 상차 작업을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의 지지 가이드바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의 지지 가이드바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의 지지 가이드바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의 지지 가이드바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20)는 트럭(10)의 적재함(11)에 화물(30)을 상차하기 위한 장치로서, 트럭(10)에 장착되는 단순한 형태로 구성되며, 전동 윈치(100)와, 고정 수단(200)과, 지지 가이드바(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동 윈치(100)는 회전 드럼에 윈치 와이어(120)가 권취된 형태로 구성되어 구동 모터를 통해 윈치 와이어(120)를 견인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10)의 적재함(11) 전방 상단에 고정 장착된다. 전동 윈치(100)의 장착 위치는 적재함(11) 전방 상단에 고정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트럭 본체 등 차체 프레임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전동 윈치(100)의 외곽 둘레에는 전동 윈치(1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전동 윈치(100)를 감싸는 별도의 보호 케이스(11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보호 케이스(110)는 전동 윈치(100)의 전방면, 측면 및 상면 외곽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전동 윈치(100)에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동 윈치(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동 윈치(100)에 의해 견인 구동되는 윈치 와이어(120)는 끝단에는 별도의 걸림 고리(130)가 결합된다.
고정 수단(200)은 적재 대상 화물(30)을 윈치 와이어(120)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윈치 와이어(120)의 끝단 걸림 고리(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적재 대상 화물(3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고정 수단(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대상 화물(30)을 감싸며 묶을 수 있는 고정 밴드 또는 고정 와이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적재 대상 화물(30)을 가압 고정하는 바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적재 대상 화물(30)의 형태에 따라 적재 대상 화물(30)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재 대상 화물(30)이 고정 수단(200)에 의해 윈치 와이어(120)의 끝단에 고정 결합되면, 이 상태에서 윈치 와이어(120)를 전동 윈치(100)에 의해 견인 구동함에 따라 적재 대상 화물(30)이 윈치 와이어(120)와 함께 트럭(10)의 적재함(11)으로 견인되며 상차된다.
지지 가이드바(300)는 적재 대상 화물(30)이 전동 윈치(100)에 의해 트럭(10)의 적재함(11)으로 견인 상차되는 과정에서 적재 대상 화물(30)을 지지함과 동시에 적재 대상 화물(30)의 상차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적재함(11)의 후단에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 가이드바(300)는 트럭(10)의 적재함(11) 후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으나, 분실 위험 방지 및 사용 편의성을 위해 트럭(10)의 적재함(11) 후단에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 가이드바(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적재함(11)의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데, 이때, 지지 가이드바(300)의 타단이 지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지 가이드바(300)의 타단이 지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구성되기 위해서는 지지 가이드바(300)의 일단이 적재함(11)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별도의 회동 샤프트(310)가 적재함(11) 후단에 폭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지지 가이드바(300)는 이러한 회동 샤프트(310)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 샤프트(3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화물(30)을 상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 가이드바(300)를 회동 전개하여 타단이 지면에 접촉 지지되는 형태로 적재함(11)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시키고, 화물(30)의 상차 작업이 완료되면, 지지 가이드바(300)를 회동 접철하여 적재함(11) 상면에 안착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20)는 적재함(11)의 전방 상단에 전동 윈치(100)가 장착되고, 적재함(11)의 후단에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 가이드바(300)가 장착됨으로써, 윈치 와이어(120)에 적재 대상 화물(30)을 고정시켜 견인 구동하게 되면, 적재 대상 화물(30)이 윈치 와이어(120)와 함께 견인 구동되며 지지 가이드바(300)를 따라 원활하게 적재함(11)으로 상차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의 지지 가이드바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의 지지 가이드바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가이드바(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지지 파이프(301)가 순차적으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지 가이드바(3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에 위치한 지지 파이프(301)는 일단이 회동 샤프트(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러한 최상단 지지 파이프(301)의 타단에는 다른 지지 파이프(301)가 최상단 지지 파이프(301)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후 순차적으로 지지 파이프(301)가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지지 파이프(30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으로 갈수록 하향 단턱지는 형태로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화물이 지지 가이드바(300)를 따라 상차 이동하는 과정에서 더욱 원활하게 상차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가이드바(300)의 경사 각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적재 대상 화물(30)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경우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파이프(301)를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지지 가이드바(300)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여 지지 가이드바(300)의 경사 각도(α1)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으며, 적재 대상 화물(30)의 상대적으로 무거운 경우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파이프(301)를 인출하는 방식으로 지지 가이드바(300)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하여 지지 가이드바(300)의 경사 각도(α2)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가이드바(300)의 길이 조절을 통해 적재 대상 화물(30)의 종류에 따라 지지 가이드바(300)의 경사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적재 대상 화물(30)을 더욱 용이하게 적재함(11)에 상차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다수개의 지지 파이프(301)를 삽입 및 인출하는 방식을 통해 지지 가이드바(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화물(30)을 상차하는 동안에만 지지 파이프(301)를 인출하여 화물(30)을 지지 가이드하도록 사용하고, 상차 과정이 완료되면, 지지 파이프(301)를 삽입하여 그 길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적재함(11)에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적재함(11)의 일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최소화된 지지 가이드바(300)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보관홈(1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지 가이드바(300)를 더욱 용이하게 적재함(11)에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지지 가이드바(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1)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지지 가이드바(300)는 회동 샤프트(310)를 따라 적재함(11)의 폭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적재 대상 화물(30)이 전동 윈치(100)에 의해 견인 구동되는 과정에서 적재 대상 화물(3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 가이드할 수 있으며, 특히, 지지 가이드바(300)가 적재함(11)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적재 대상 화물(30)의 크기에 따라 지지 가이드바(300)의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적재 대상 화물(30)을 용이하게 적재함(11)에 상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는 적재 대상 화물(30)의 중량 및 크기에 따라 지지 가이드바(300)의 경사 각도 또는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상차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트럭 11: 적재함
30: 화물 100: 전동 윈치
120: 윈치 와이어 130: 걸림 고리
200: 고정 수단 300: 지지 가이드바
301: 지지 파이프 310: 회동 파이프

Claims (5)

  1. 트럭의 적재함 전방 상단에 고정 장착되어 윈치 와이어를 견인 구동하도록 작동하는 전동 윈치;
    상기 윈치 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되어 적재 대상 화물을 상기 윈치 와이어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 및
    상기 적재 대상 화물을 지지하며 상기 적재 대상 화물이 상기 적재함에 상차되는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후단에 결합되는 지지 가이드바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가이드바는 일단이 상기 적재함의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전동 윈치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적재 대상 화물이 상기 윈치 와이어와 함께 견인되며 상기 지지 가이드바를 따라 상기 적재함으로 상차되며,
    상기 지지 가이드바는 다수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지지 가이드바는 상기 적재함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적재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가이드바는 타단이 지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적재함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가이드바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지지 파이프가 순차적으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럭의 적재함 전방 상단에는 상기 전동 윈치의 외부 공간을 감싸며 상기 전동 윈치를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
KR2020120003017U 2012-04-13 2012-04-13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 KR200461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017U KR200461408Y1 (ko) 2012-04-13 2012-04-13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017U KR200461408Y1 (ko) 2012-04-13 2012-04-13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408Y1 true KR200461408Y1 (ko) 2012-07-10

Family

ID=4713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017U KR200461408Y1 (ko) 2012-04-13 2012-04-13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40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1134U (ko) * 1986-01-24 1987-07-31
KR200154765Y1 (ko) * 1997-04-16 1999-08-16 주용준 세이프티로더의 자동리어스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1134U (ko) * 1986-01-24 1987-07-31
KR200154765Y1 (ko) * 1997-04-16 1999-08-16 주용준 세이프티로더의 자동리어스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4395B1 (en) Pipe deployment trailer
AU2020202276A1 (en) Pipe deployment trailer
CN104837761A (zh) 用于将油布放置到装载物上的系统和方法
KR102131782B1 (ko)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
CN113544079A (zh) 起重机及其线缆卷筒
JP2011057335A (ja) パワーアシスト装置及びパワーアシストシステム
CN111807268B (zh) 一种叉车
JP2016060593A (ja) パレット切り出し装置並びに段積みパレットの取り出し方法
US20170274810A1 (en) Vehicle Mounted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KR200461408Y1 (ko) 트럭용 화물 상차 장치
KR20200053956A (ko) 복합 중첩 적재 승강 대차
US11472581B2 (en) Wrapping machine
CN110871829B (zh) 用于卷盘的推车
ES2647158T3 (es) Dispositivo de bobinado y elevación combinado
KR101316654B1 (ko) 슬리팅 권취기의 권취롤 언로드 장치
US10472102B2 (en) Locking device for a wheeled load
JP6902417B2 (ja) シート掛け補助装置
FR2911581A1 (fr) Dispositif de banderolage de colis
CN111807267B (zh) 一种使用叉车转运重心不明物料箱的方法
JP4001337B2 (ja) オーダピッキングリフトの安全ガード
IT201800002676A1 (it) Macchina avvolgitrice
CN109230578B (zh) 一种货物堆垛机器人
KR20160103793A (ko)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US11753272B2 (en) Mobile reel carrier
JP4554396B2 (ja) タンク保管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