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944A -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제어기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제어기 및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944A
KR20200002944A KR1020197034269A KR20197034269A KR20200002944A KR 20200002944 A KR20200002944 A KR 20200002944A KR 1020197034269 A KR1020197034269 A KR 1020197034269A KR 20197034269 A KR20197034269 A KR 20197034269A KR 20200002944 A KR20200002944 A KR 20200002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mpartment
meat
frozen
mea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4221B1 (ko
Inventor
친친 궁
후이신 스
즈강 우
즈팡 닝
Original Assignee
허페이 후아링 코.,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허페이 미디어 리프리저레터 씨오.,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페이 후아링 코.,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허페이 미디어 리프리저레터 씨오.,엘티디. filed Critical 허페이 후아링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02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4/06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4/07Thawing subsequent to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3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5Thawing subsequent to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4Controlling heat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6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제어기 및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은,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S1)(101);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이면 단계(S3)(103)를 수행하는 단계(S2)(102);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하는 단계(S3)(102); 강온 과정에서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동결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S5)(105)를 수행하는 단계(S4)(104); 동결 발생 시점으로 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시간이 제1 기설정 시간대에 도달한 후 단계(S6)(106)를 수행하는 단계(S5)(105); 격실을 제어하여 승온 작동하는 단계(S6)(106); 를 포함하고, 단계(S6)(106)를 수행한 후, 단계(S1)(101)를 계속 수행한다. 본 발명의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은 육류 식품을 장기간 신선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제어기 및 냉장고
교차 인용
본 출원은 2017년 05월 09일자로 제출된 특허 명칭이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제어기 및 냉장고"의 제2017103227330호 중국 특허 출원을 인용하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은 인용됨에 따라 본 출원에 전부 병합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지능적 제어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제어기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가 보급됨에 따라, 사람들은 식품을 신선하게 저장하는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냉장고를 이용하여 식품, 특히 육류 식품을 신선하게 저장하는 것에 점점 더 습관되고 있다.
현재 육류의 신선도 유지에 대한 제어 방법은 주요하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식이 있다.
(1) 육류를 냉동고에 직접 넣어서 -18℃에서 냉동하여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수 개월 동안 저장할 수 있지만 해동이 불편하고, 해동 후 육류의 품질과 맛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2) 부드럽게 냉동하여 저장한다. 이때, 격실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5℃ ~ -9℃ 이고, 이러한 조건에서 육류의 저장 시간은 비교적 길지만 여전히 동결됨으로써 해동이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3) 시중에는 0 도에서 신선도를 유지하는 기술 또는 반냉동하여 신선도를 유지하는 기술이 있다. 온도는 2 ~ -3℃ 정도로 제어되지만, 모두 단일 온도 제어 방법이고,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신선도 유지 기간이 너무 짧고,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단단하게 동결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육류 식품을 장기간 신선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하는 제어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냉장고를 제공하고, 본 발명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제어기 및 냉장고는 육류 식품을 장기간 신선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온도가 너무 높아 신선도 유지 기간이 너무 짧아지거나, 온도가 너무 낮아 단단하게 동결될 위험이 있는 결함을 해결할 수 있으며, 해당 분야의 기술 공백을 보완하였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방안을 제공한다.
한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S1);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이면 단계(S3)를 수행하며, 상기 제1 온도 임계값은 상기 육류 식품이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온도 값인 단계(S2);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하는 단계(S3);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동결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S5)를 수행하는 단계(S4); 동결 발생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시간이 제1 기설정 시간대에 도달한 후 단계(S6)를 수행하는 단계(S5); 및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승온 작동하는 단계(S6); 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S6)를 수행한 후, 상기 단계(S1)를 계속 수행하는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계(S2)에서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임계값(t0) 보다 낮다고 판단하면, 상기 단계(S6)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계(S4)에서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단계(S3)를 계속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계(S4)는,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온도 최저점을 나타냈는지를 판단하고, 온도 최저점이 나타나고 온도 최저점을 개시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에서 온도 상승량이 기설정 온도 변화량 이상이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 최저점을 개시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기설정시간대의 길이는 제1 시간 길이 임계값 이하이고;
및 / 또는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의 온도가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에서 변하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지를 판단하고, 온도가 변하지 않고 일정할 온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의 길이는 제2 시간 길이 임계값 이상이다.
또한, 상기 단계(S1)는, 복수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고; 상응하게, 상기 단계(S4)는, 복수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동시에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제1 시간에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온도 센서의 판단 결과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S3)는,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초기 목표 온도(T0)의 범위는 -10℃ ~ -1℃ 이다.
또한, 상기 단계(S3)는,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1 목표 온도(T1)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t0 까지 낮아진 후, 계속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2 목표 온도(T2)에 따라 강온 작동하며, T1<T2 이다.
또한, 상기 단계(S3)는, 상기 격실의 댐퍼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t0 까지 낮아진 후, 상기 격실의 댐퍼가 반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계속 강온 작동한다.
또한, 상기 단계(S6)는,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3 목표 온도(T3)에 따라 승온 작동하고, 상기 제3 목표 온도(T3)의 범위는 -1℃ ~ 4℃ 이다.
또한, 상기 격실은, 냉장고의 온도가변실 또는 상기 온도가변실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냉장고의 냉장실 내의 온도가변서랍 또는 상기 온도가변서랍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및 냉장고의 냉동실 내의 온도가변서랍 또는 상기 온도가변서랍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중의 하나 이상이다.
또한, 상기 방법은,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저장 기간이 기설정된 날짜를 초과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온도 획득 모듈;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온도 임계값은 상기 육류 식품을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온도인 제1 판단 모듈; 상기 제1 판단 모듈이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하는 제1 제어 모듈;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모듈; 상기 제2 판단 모듈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다고 판단하면, 동결 발생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모듈; 및 상기 타이머 모듈의 카운트 시간이 제1 기설정 시간대에 도달한 후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승온 작동하는 제2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제어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판단 모듈이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임계값(t0) 보다 낮다고 판단하면,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승온 작동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2 판단 모듈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한다.
또한, 상기 제2 판단 모듈은,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온도 최저점을 나타냈는지를 판단하고, 온도 최저점이 나타나고 온도 최저점을 개시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에서 온도 상승량이 기설정 온도 변화량 이상이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 최저점을 개시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의 길이는 제1 시간 길이 임계값 이하이고;
및 / 또는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의 온도가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에서 변하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지를 판단하고, 온도가 변하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의 길이는 제2 시간 길이 임계값 이상이다.
또한, 상기 온도 획득 모듈은 복수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고; 상응하게, 상기 제2 판단 모듈은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할 때, 복수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동시에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제1 시간에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온도 센서의 판단 결과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할 때,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초기 목표 온도(T0)의 범위는 -10℃ ~ -1℃ 이다.
또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할 때,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1 목표 온도(T1)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t0 까지 낮아진 후, 계속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2 목표 온도(T2)에 따라 강온 작동하며, T1<T2 이다.
또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할 때, 상기 격실의 댐퍼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t0 까지 낮아진 후, 상기 격실의 댐퍼가 반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계속 강온 작동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승온 작동할 때,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3 목표 온도(T3)에 따라 승온 작동하고, 상기 제3 목표 온도(T3)의 범위는 -1℃ ~ 4℃ 이다.
또한, 상기 격실은, 냉장고의 온도가변실 또는 상기 온도가변실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냉장고의 냉장실 내의 온도가변서랍 또는 상기 온도가변서랍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및 냉장고의 냉동실 내의 온도가변서랍 또는 상기 온도가변서랍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중의 하나 이상이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저장 기간이 기설정된 일 수를 초과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한다.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어기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방안으로 부터, 본 발명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은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육류 식품의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예를 들어, 상온 육류) 이상이면, 격실을 제어하여 저온 작동시켜 육류 식품을 강온시키는 동시에, 육류 식품을 강온하는 과정에서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검출되면, 동결 발생 시점으로 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일정 시간 지난 후 격실의 설정 온도를 높이고 냉각량을 감소시켜 육류가 장기간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육류가 너무 단단하게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온/승온 변환 빈도를 최대한 감소시킴으로써 육류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냉각량의 감소로 인해 육류가 서서히 승온되면, 육류 식품의 온도를 t0 이하로 제어하여 상기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이 항상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 에 놓이도록 하고, 이후 이를 반복적으로 순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육류 식품을 장기간 신선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온도가 너무 높아 신선도 유지 기간이 너무 짧아지거나, 온도가 너무 낮아 단단하게 동결될 위험이 있는 결함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며, 즉, 육류의 신선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의 지속 기간을 연장하고, 예를 들어, 신선하고 쉽게 절단될 수 있는 기간은 15일 이상 까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고, 도면에 따라 창조적 노력 없이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상온 육류를 격실에 넣은 후 온도 변화 곡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의 제1 선택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의 제2 선택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의 제3 선택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의 제4 선택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의 제5 선택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의 제6 선택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의 제7 선택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의 제8 선택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다른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정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창조적 노력 없이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1):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를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격실은 냉장고의 온도가변실, 냉장고의 냉장실 내의 온도가변서랍 또는 냉장고의 냉동실 내의 온도가변서랍일 수 있다. 물론, 냉장고의 공간을 보다 합리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냉장고의 온도가변실, 냉장실 내의 온도가변서랍 및 냉동실 내의 온도가변서랍은 각각 복수의 온도가변영역으로 격리될 수 있다. 이렇게 격리된 각각의 온도가변영역은 하나의 격실로 볼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격실은 다양한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격실 내의 온도 환경이 조정될 수만 있으면(예를 들어, -10℃ ~ 8℃의 온도 환경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면) 된다.
냉장고의 온도가변실, 냉장실 내의 온도가변서랍 또는 냉동실 내의 온도가변서랍이 복수의 온도가변영역으로 격리될 경우, 각각의 영역에 순환공기 구조(복수의 개별 댐퍼 또는 하나의 댐퍼로 구동하는 댐퍼 설계 적용)를 별도로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각 영역의 크기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한 미세 조정 리테이너 구조를 원활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영역의 온도 검출 및 냉각 제어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상기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은 닭고기, 돼지고기, 오리고기, 소고기, 생선 등과 같은 육류 식품일 수 있다.
단계(102):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이면 단계(103)를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제1 온도 임계값은 상기 육류 식품이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온도 값이다. 예를 들어, 상기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이 항상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에 놓이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온도 임계값(t0)의 범위는 -6 ≤t0 ≤0 이다.
단계(103):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예를 들어, 상온 육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하여 상기 육류 식품을 강온시킨다.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할 때, 필요에 따라 상기 격실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로 설정할 수 있으며, 즉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8℃를 목표 온도로 강온 작동할 수 있다. 물론,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냉동 또는 상변될 수 있도록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할 때 설정된 목표 온도는 너무 높아서는 안되며, 적어도 0도 이하의 온도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10℃ ~ -1℃ 이어야 한다.
단계(104):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동결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105)를 수행한다.
단계(105): 동결 발생 시점으로 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시간이 제1 기설정 시간대에 도달한 후 단계(106)를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 제1 기설정 시간대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몇 시간이고, 예를 들어 2 ~ 6 시간이다. 제1 기설정 시간대의 길이는 육류가 과도하게 동결되지 않도록 너무 길어서는 안된다. 물론, 제1 기설정 시간대의 길이가 너무 짧아서도 안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빈번한 승온/강온 전환이 발생한다.
단계(106):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승온 작동한다.
상기 단계(106)를 수행한 후, 상기 단계(101)를 계속 수행한다.
상기 단계(105) 및 단계(106)를 결합하면, 동결 발생 시점으로 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일정 시간 지난 후 격실의 설정 온도를 높이고 냉각량을 감소시켜 육류가 장기간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에 놓이도록 하여 육류가 너무 단단하게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온/승온 전환 빈도를 최대한 감소시킴으로써 육류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냉각량의 감소로 인해 육류가 서서히 승온되면 육류의 온도를 t0 이하로 제어하여 상기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이 항상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에 놓이도록 하고, 이후 이를 반복적으로 순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상온 육류를 격실에 넣은 후 온도 변화 곡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은, 육류 식품을 장기간 신선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해당 분야의 기술 공백을 보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육류의 유효 기간을 15일까지 연장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육류가 반냉동되고 쉽게 절단될 수 있으며 신선도 유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2에서 15일 후 온도 변화 곡선(도 2에서 급강하는 끝 부분)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어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 아니고, 냉동 저장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사용하여 육류 식품을 15일 동안 반냉동하여 신선도를 유지한 후에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일반적으로, 식품이 부식되어 변질되지 않도록 심도 냉동하여 신선도를 유지할 것을 제안드린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격실 내에는 적어도 2 개의 온도 검출 장치가 필요하고, 온도 검출 장치는 일반적인 온도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온도를 검출할 수 있는 기타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하나의 온도 검출 장치는 격실 내의 육류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다른 하나의 온도 검출 장치는 격실의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액체 음료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액체 음료가 항상 반냉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음으로써, 차가운 반냉동 찬음료에 대한 일부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전술한 기술방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은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육류 식품의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예를 들어, 상온 육류) 이상이면, 격실을 제어하여 저온 작동시켜 육류 식품을 강온 시키는 동시에, 육류 식품을 강온시키는 과정에서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검출되면, 동결 발생 시점으로 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일정 시간 지난 후 격실의 설정 온도를 높이고 냉각량을 감소시켜 육류가 장기간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에 놓이도록 하여 육류가 너무 단단하게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강온/승온 변환 빈도를 최대한 감소시켜 육류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냉각량의 감소로 인해 육류가 서서히 승온되면, 육류의 온도를 t0 이하로 제어하여 상기 격실 내의 육류가 항상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에 놓이도록 하고, 이후 이를 반복적으로 순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육류 식품을 장기간 신선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음으로써,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온도가 너무 높아 신선도 유지 기간이 너무 짧아지거나, 온도가 너무 낮아 단단하게 동결될 위험이 있는 결함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며, 즉, 육류의 신선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의 지속 기간을 연장하고, 예를 들어, 신선하고 쉽게 절단될 수 있는 기간은 15일 이상 까지 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102)에서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임계값(t0) 보다 낮다고 판단하면, 상기 단계(106)를 직접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육류 식품의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예를 들어, 상온 육류) 이상이면, 격실을 제어하여 저온 작동시켜 육류 식품을 강온 시키고; 육류 식품의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 보다 낮으면(예를 들어, 냉동 육류), 격실을 제어하여 고온 해동하여 육류 식품이 지속적으로 동결되지 않도록 한다. 육류 식품의 고온 해동 시, 육류 식품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야 하고, 육류 식품의 온도가 다시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이 되면, 격실을 다시 제어하여 저온 작동시켜 육류 식품을 강온 시킴으로써 상기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이 항상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에 놓이도록 한다. 육류를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기에 상기 격실을 승온 작동시킬 경우, 상기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온도가 너무 빠르게 승온되어 반냉동 상태를 직접 뛰어 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온 작동의 목표 온도는 너무 높아서는 안되며, 바람직하게는, 승온 작동 시의 목표 온도의 범위는 -1 ~ 4℃ 이고, 예를 들어 목표 온도는 3℃ 일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104)에서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단계(103)를 계속 수행한다.
본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단계(104)에서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육류 식품의 강온 정도가 충분하지 못함을 의미하고, 이 경우, 단계(103)를 계속 진행하여 상기 육류에 대해 계속 강온처리 하여야 한다.
도 3 및 도 4의 두가지 선택적인 실시예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104)에서,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할 때, 다음 두 가지 판단 방법 중 어는 하나의 판단 방법을 사용하여 판단하거나 또는 두 가지 판단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방법 1 :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온도 최저점을 나타냈는지를 판단하고, 온도 최저점이 나타나고 온도 최저점을 개시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에서 온도 상승량이 기설정 온도 변화량(기설정 온도 변화량의 범위는 1 ~ 2℃) 이상이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 최저점을 개시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의 길이는 제1 시간 길이 임계값 이하이다. 예를 들어, 제1 시간 길이 임계값의 범위는 5 ~ 10 분이다.
여기서 언급된 온도 최저점은 동결 과정에서 육류 식품의 온도가 상승하기 전의 온도 최저점을 의미한다. 냉동 과정에서 육류 식품은 갑자기 온도가 약간 더 높은 점이 나타난 후 계속 낮아짐으로써 온도가 약간 더 높은 점 이전의 온도점은 여기에서 설명된 온도 최저점이고, 이는 하나의 극점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방법 2 :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의 온도가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에서 변하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지를 판단하고, 온도가 변하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경우,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의 길이는 제2 시간 길이 임계값 이상이다. 예를 들어, 제2 시간 길이 임계값의 범위는 0.5 ~ 2 시간이다.
상기 두가지 방법은 실제로 육류가 강온 과정에서 과냉 및 과냉이 아닌 두가지 상태에서의 동결점을 판단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의 강온 종료점은 온도의 상변 돌연 승온점(상기 방법 1) 또는 상변 안정구간(상기 방법 2) 이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면,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상기 단계(10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1a): 복수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를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상응하게,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104)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4a): 복수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동시에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제1 시간에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온도 센서의 판단 결과를 기준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육류 냉동 현상이 즉시로 정확하게 발견될 수 있도록, 복수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어느 한 온도 센서가 제1 시간에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다고 판단하면, 해당 온도 센서의 판단 결과를 기준으로, 즉시 후속 승온과정을 수행하여 육류가 동결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전반적인 제어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온도 센서는 항상 온도를 비교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모두 특정값(예를 들어, -10℃) 보다 낮을 경우 격실 내에 냉동 육류가 많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이때 단계(106)를 강제로 수행하여 승온 작동하도록 제어해야 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계(103)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3a):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초기 목표 온도(T0)의 범위는 -10℃ ~ -1℃ 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상기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강온 작동하여 상기 격실 내의 육류가 신속하게 냉동 상태로 낮아져 신선한 성분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도록 한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선택적인 실시예의 구현 방식과 달리,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단계(103)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3b):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1 목표 온도(T1)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t0 까지 낮아진 후, 상기 격실을 계속 제어하여 제2 목표 온도(T2)에 따라 강온 작동하며, T1<T2 이다.
이와 같이, 상기 선택적인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 강온 과정은 2 단계로 나뉘어지고, 목표 온도 설정값의 제어를 통해 강온 초기에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작동하여 냉각량이 크도록 함으로써 육류가 신속하게 t0 레벨에 도달하도록 한 후, 설정 온도를 높여 식품이 과냉 또는 동결과정에 천천히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저온에서의 저장 기간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두가지 선택적인 실시예의 구현 방식과 달리,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단계(103)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3c): 상기 격실의 댐퍼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t0 까지 낮아진 후, 상기 격실의 댐퍼가 반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계속 강온 작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두가지 선택적인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 강온 과정은 2 단계로 나뉘어지고, 댐퍼의 완전 개방 및 반 개방 제어를 통해 강온 초기의 냉각량을 크게 하여 식품이 신속하게 t0 레벨에 도달하도록 한 후, 댐퍼가 반 개방되어 냉각량이 감소되어, 식품이 천천히 과냉 또는 동결 과정으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저온에서의 저장 시간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단계(106)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6a):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3 목표 온도(T3)에 따라 승온 작동하고, 상기 제3 목표 온도(T3)의 범위는 -1℃ ~ 4℃ 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상기 제3 목표 온도(T3)에 따라 승온 작동하여, 상기 격실 내의 육류가 너무 빠르고 높게 승온되어 반냉동 상태를 직접 뛰어 넘지 않도록 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단계(107) 및 단계(108)를 더 포함한다.
단계107: 상기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저장 시간이 미리 정해진 일 수를 초과 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초과할 경우 단계(108)를 수행한다.
단계(108):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본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때에 식품을 꺼내 식용할 수 있도록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저장 기간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해당 격실을 열 경우 표시등이 점등되거나 깜박이는 등과 같은 알림 신호가 있거나 해당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직접 표시한다. 또한, 알림 기능은 휴대폰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림 정보가 휴대폰 소프트웨어로 푸시되고, 사용자는 휴대폰 소프트웨어를 통해 알림 정보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의 상기 복수의 선택적인 실시예는 임의로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동일한 발명의 구상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제어기를 제공한다. 도 11를 참조하면, 제어기는, 온도 획득 모듈(21), 제1 판단 모듈(22), 제1 제어 모듈(23), 제2 판단 모듈(24), 타이머 모듈(25) 및 제2 제어 모듈(26)을 포함한다.
온도 획득 모듈(21)은,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제1 판단 모듈(22)은,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온도 임계값은 상기 육류 식품을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온도이며;
제1 제어 모듈(23)은, 상기 제1 판단 모듈이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하고;
제2 판단 모듈(24)은,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타이머 모듈(25)은, 상기 제2 판단 모듈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다고 판단하면, 동결 발생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트하며;
제2 제어 모듈(26)은, 상기 타이머 모듈의 카운트 시간이 제1 기설정 시간대에 도달한 후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승온 작동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제어 모듈(26)은, 상기 제1 판단 모듈이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임계값(t0) 보다 낮다고 판단하면,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승온 작동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어 모듈(23)은, 상기 제2 판단 모듈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판단 모듈은 구체적으로,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온도 최저점을 나타냈는지를 판단하고, 온도 최저점이 나타나고 온도 최저점을 개시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에서 온도 상승량이 기설정 온도 변화량 이상이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 최저점을 개시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의 길이는 제1 시간 길이 임계값 이하이고;
및 / 또는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의 온도가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에서 변하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지를 판단하고, 온도가 변하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의 길이는 제2 시간 길이 임계값 이상이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복수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고;
상응하게, 상기 제2 판단 모듈은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할 때, 구체적으로, 복수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동시에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제1 시간에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온도 센서의 판단 결과를 기준으로 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할 때, 구체적으로,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초기 목표 온도(T0)의 범위는 -10℃ ~ -1℃ 이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할 때, 구체적으로,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1 목표 온도(T1)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t0 까지 낮아진 후, 계속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2 목표 온도(T2)에 따라 강온 작동하며, T1<T2 이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할 때, 구체적으로, 상기 격실의 댐퍼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t0 까지 낮아진 후, 상기 격실의 댐퍼가 반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계속 강온 작동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승온 작동할 때, 구체적으로,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3 목표 온도(T3)에 따라 승온 작동하고, 상기 제3 목표 온도(T3)의 범위는 -1℃ ~ 4℃ 이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격실은, 냉장고의 온도가변실 또는 상기 온도가변실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냉장고의 냉장실 내의 온도가변서랍 또는 상기 온도가변서랍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및 냉장고의 냉동실 내의 온도가변서랍 또는 상기 온도가변서랍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중의 하나 이상이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는,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저장 기간이 기설정된 일 수를 초과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알림 모듈(27)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여기서 그 기술적 원리 및 기술적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일한 발명의 구상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 도 13을 참조하면, 냉장고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어기를 포함함으로써, 육류 식품을 장기간 신선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해당 분야의 기술 공백을 보완하였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에 대해 보정 또는 일부 기술특징을 동등하게 대체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및 대체는 해당 기술방안의 기본적인 기술 사상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Claims (23)

  1.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S1);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이면 단계(S3)를 수행하며, 상기 제1 온도 임계값은 상기 육류 식품이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온도 값인 단계(S2);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하는 단계(S3);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동결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S5)를 수행하는 단계(S4);
    동결 발생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시간이 제1 기설정 시간대에 도달한 후 단계(S6)를 수행하는 단계(S5); 및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승온 작동하는 단계(S6); 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S6)를 수행한 후, 상기 단계(S1)를 계속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에서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임계값(t0) 보다 낮다고 판단하면, 상기 단계(S6)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에서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단계(S3)를 계속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는,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온도 최저점을 나타냈는지를 판단하고, 온도 최저점이 나타나고 온도 최저점을 개시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에서 온도 상승량이 기설정 온도 변화량 이상이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 최저점을 개시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의 길이는 제1 시간 길이 임계값 이하이고;
    및 / 또는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의 온도가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에서 변하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지를 판단하고, 온도가 변하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의 길이는 제2 시간 길이 임계값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는, 복수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고;
    상응하게, 상기 단계(S4)는, 복수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동시에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제1 시간에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온도 센서의 판단 결과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는,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초기 목표 온도(T0)의 범위는 -10℃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는,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1 목표 온도(T1)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t0 까지 낮아진 후, 계속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2 목표 온도(T2)에 따라 강온 작동하며, T1<T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는, 상기 격실의 댐퍼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t0 까지 낮아진 후, 상기 격실의 댐퍼가 반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계속 강온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6)는,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3 목표 온도(T3)에 따라 승온 작동하고, 상기 제3 목표 온도(T3)의 범위는 -1℃ ~ 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은, 냉장고의 온도가변실 또는 상기 온도가변실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냉장고의 냉장실 내의 온도가변서랍 또는 상기 온도가변서랍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및 냉장고의 냉동실 내의 온도가변서랍 또는 상기 온도가변서랍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저장 기간이 기설정된 날짜를 초과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12.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온도 획득 모듈;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온도 임계값은 상기 육류 식품을 반냉동되고 절단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온도인 제1 판단 모듈;
    상기 제1 판단 모듈이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t0)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하는 제1 제어 모듈;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모듈;
    상기 제2 판단 모듈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다고 판단하면, 동결 발생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모듈; 및
    상기 타이머 모듈의 카운트 시간이 제1 기설정 시간대에 도달한 후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승온 작동하는 제2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판단 모듈이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임계값(t0) 보다 낮다고 판단하면,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승온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2 판단 모듈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단 모듈은,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온도 최저점을 나타냈는지를 판단하고, 온도 최저점이 나타나고 온도 최저점을 개시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에서 온도 상승량이 기설정 온도 변화량 이상이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 최저점을 개시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의 길이는 제1 시간 길이 임계값 이하이고;
    및 / 또는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의 온도가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에서 변하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지를 판단하고, 온도가 변하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연속적인 기설정 시간대의 길이는 제2 시간 길이 임계값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획득 모듈은 복수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고;
    상응하게, 상기 제2 판단 모듈은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할 때, 복수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동시에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제1 시간에 강온 과정에서 상기 육류 식품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온도 센서의 판단 결과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7.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할 때,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초기 목표 온도(T0)의 범위는 -10℃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8.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할 때,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1 목표 온도(T1)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t0 까지 낮아진 후, 계속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2 목표 온도(T2)에 따라 강온 작동하며, T1<T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9.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강온 작동할 때, 상기 격실의 댐퍼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강온 작동하고, 상기 육류 식품의 현재 온도가 t0 까지 낮아진 후, 상기 격실의 댐퍼가 반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초기 목표 온도(T0)에 따라 계속 강온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0.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승온 작동할 때, 상기 격실을 제어하여 제3 목표 온도(T3)에 따라 승온 작동하고, 상기 제3 목표 온도(T3)의 범위는 -1℃ ~ 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1.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은, 냉장고의 온도가변실 또는 상기 온도가변실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냉장고의 냉장실 내의 온도가변서랍 또는 상기 온도가변서랍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및 냉장고의 냉동실 내의 온도가변서랍 또는 상기 온도가변서랍에 의해 격리된 온도가변영역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2.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장고의 격실 내의 육류 식품의 저장 기간이 기설정된 일 수를 초과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3. 제1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97034269A 2017-05-09 2017-06-30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제어기 및 냉장고 KR102304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322733.0A CN108870855B (zh) 2017-05-09 2017-05-09 肉类微冻保鲜控制方法、控制器及冰箱
CN201710322733.0 2017-05-09
PCT/CN2017/091137 WO2018205386A1 (zh) 2017-05-09 2017-06-30 肉类微冻保鲜控制方法、控制器及冰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944A true KR20200002944A (ko) 2020-01-08
KR102304221B1 KR102304221B1 (ko) 2021-09-23

Family

ID=6410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269A KR102304221B1 (ko) 2017-05-09 2017-06-30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제어기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56610A1 (ko)
EP (1) EP3623734A4 (ko)
JP (1) JP7115690B2 (ko)
KR (1) KR102304221B1 (ko)
CN (1) CN108870855B (ko)
WO (1) WO2018205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0856B (zh) * 2017-05-09 2020-07-03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肉类不冻保鲜控制方法、控制器及冰箱
CN110411116A (zh) * 2019-08-30 2019-11-05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保鲜装置及其方法
CN110906657A (zh) * 2019-10-10 2020-03-24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过冷却不冻结储存的控制方法和冰箱
CN110906652A (zh) * 2019-10-10 2020-03-24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食品不冻结功能的存储方法、冰箱
JP7349327B2 (ja) * 2019-11-11 2023-09-2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11520970B (zh) * 2020-05-13 2021-05-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不冻结保存方法、控制系统及冰箱
CN113932552A (zh) * 2020-07-13 2022-01-14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保鲜控制方法及冰箱
CN114485042B (zh) * 2022-02-25 2022-12-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的控制方法及冰箱
CN114909868B (zh) * 2022-04-27 2024-03-12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肉块的保鲜方法和冰箱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330A (ko) * 1995-04-06 1996-11-21 배순훈 냉장고의 냉장실 과냉방지방법
JP2001004260A (ja) * 1999-06-25 2001-01-12 Matsushita Refrig Co Ltd 過冷却制御冷蔵庫
KR100650746B1 (ko) * 2005-12-20 2006-11-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 냉장고의 냉각 제어 방법
KR20070043170A (ko) * 2005-10-20 200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9030934A (ja) * 2007-07-30 200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KR20090028362A (ko) * 2007-09-14 2009-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방법 및 과냉각 장치
JP4948562B2 (ja) * 2009-05-11 2012-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3276A (ja) * 1990-06-11 1992-02-13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の急冷制御装置
JP4610373B2 (ja) * 2005-02-28 2011-01-12 三洋電機株式会社 急速冷却庫
JP2007113818A (ja) * 2005-10-19 2007-05-10 Funai Electric Co Ltd 物品保存庫及び冷蔵庫
WO2007094549A1 (en) * 2006-02-15 2007-08-2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supercooling,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3903066B1 (ja) * 2006-03-31 2007-04-1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WO2008129718A1 (ja) * 2007-04-17 2008-10-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冷蔵庫および冷凍保存方法
KR101330329B1 (ko) * 2007-09-21 201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상태의 확인 방법 및 과냉각 장치
CN102706069B (zh) * 2012-06-14 2014-12-10 海信容声(扬州)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及其变温室的控制方法
US9890984B2 (en) * 2012-06-28 2018-02-13 Supercooler, Inc. Supercooling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175375A (zh) * 2013-03-19 2013-06-26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的冷冻保鲜储存方法
JP6168980B2 (ja) * 2013-12-18 2017-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GB2525011B (en) * 2014-04-09 2016-06-08 MELLOW Inc Cooking system
JP5847235B2 (ja) * 2014-05-20 2016-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330A (ko) * 1995-04-06 1996-11-21 배순훈 냉장고의 냉장실 과냉방지방법
JP2001004260A (ja) * 1999-06-25 2001-01-12 Matsushita Refrig Co Ltd 過冷却制御冷蔵庫
KR20070043170A (ko) * 2005-10-20 200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50746B1 (ko) * 2005-12-20 2006-11-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 냉장고의 냉각 제어 방법
JP2009030934A (ja) * 2007-07-30 200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KR20090028362A (ko) * 2007-09-14 2009-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방법 및 과냉각 장치
JP4948562B2 (ja) * 2009-05-11 2012-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70855A (zh) 2018-11-23
JP7115690B2 (ja) 2022-08-09
WO2018205386A1 (zh) 2018-11-15
KR102304221B1 (ko) 2021-09-23
EP3623734A1 (en) 2020-03-18
JP2020519840A (ja) 2020-07-02
US20210156610A1 (en) 2021-05-27
EP3623734A4 (en) 2021-01-27
CN108870855B (zh)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222B1 (ko) 육류의 과냉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제어기 및 냉장고
KR20200002944A (ko) 육류의 반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제어기 및 냉장고
KR102304223B1 (ko) 육류의 비냉동 신선도 유지 제어 방법, 제어기 및 냉장고
CN107631548B (zh) 温度控制实现不冻长鲜方法、制冷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07788327B (zh) 多阶段控制实现不冻长鲜方法、制冷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3227685B (zh) 冰箱
JP2019138616A (ja) 貯蔵装置および冷蔵庫
JP2023029368A (ja) 冷蔵庫、システム
KR20230092964A (ko) 냉장고 제어 방법, 장치, 냉장고 제어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EP3726167A1 (en) Control process for controlling the icing of the evaporator in a blast chiller
EP2546589A1 (en) temperature control in a refrigerated transport container
CN111397295A (zh) 食品不冻结保鲜控制方法、制冷设备及存储介质
CN116499193A (zh) 冰箱
CN110906648A (zh) 一种过冷却不冻结储存的控制方法和冰箱
KR20030080144A (ko)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CN110906649A (zh) 一种过冷却不冻结储存的控制方法和冰箱
KR20040022318A (ko)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JP2015096773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