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359A -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359A
KR20200002359A KR1020180075776A KR20180075776A KR20200002359A KR 20200002359 A KR20200002359 A KR 20200002359A KR 1020180075776 A KR1020180075776 A KR 1020180075776A KR 20180075776 A KR20180075776 A KR 20180075776A KR 20200002359 A KR20200002359 A KR 20200002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elt conveyor
pressure
load stat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5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359A/ko
Publication of KR2020000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2Guides for slid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의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무부하 상태 및 부하 상태를 감지하는 부하 감지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무부하 상태 및 부하 상태에 따른 공기부상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압력 송신기, 및 모니터링된 압력으로부터 이상을 감지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하는 운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AUTO PRESSURE CONTROLLING APPARATUS AND AIR SUPPORTED BELT CONVEY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10)에 압력 스위치(20)가 설치되어 있고, 무부하 기준 압력이 설정된 상황에서, 측정된 압력이 무부하 기준 압력 이하 값일 경우 제어 시스템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를 정지시켰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의 압력이 부하 기준 필요 압력에 도달 하였을 경우 압력에 대한 값이 설비 현장에만 디스플레이되고, 멀리 떨어진 운전실에서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압력에 대한 벨트 컨베이어의 동작 조건은 만족하지만, 벨트의 압력이 필요 압력 이하여서 벨트의 손상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19357호
본 발명은 벨트 모터의 전류에 의해 무부하 및 부하인 경우를 판단하고, 압력 송신기를 설치하여, 실시간 압력 정보를 받아 무부하 운전 또는 부하 운전시 압력 기준을 정리하여 벨트와 트로프(Trough) 간의 마찰 발생 시 사전에 벨트를 정지하여 벨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의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무부하 상태 및 부하 상태를 감지하는 부하 감지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무부하 상태 및 부하 상태에 따른 공기부상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압력 송신기, 및 모니터링된 압력으로부터 이상을 감지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하는 운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하 감지부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벨트 모터의 전류를 감지하는 모터 전류 감지부,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스케일을 감지하는 벨트 스케일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 감지부는 상기 벨트 모터의 전류와 벨트 스케일에 의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무부하 상태 및 부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전류 감지부는, 벨트 모터의 전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전류 정보를 상기 운전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 스케일 감지부는, 벨트 내 석탄의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스케일 정보를 상기 운전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송신기는 공기부상의 압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압력 정보를 상기 운전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 제어부는 무부하 상태 또는 부하 상태에 따른 압력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 제어부는 수집된 압력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의 최초 무부하 및 부하 운전시 벨트 안정화를 위해 벨트 컨베이어의 이상 유무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자동 정지함으로써 벨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기부상 컨베이어 벨트의 운전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부상 컨베이어 벨트의 운전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BC(Air Supported Belt Conveyor)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로 덕트(Duct)에 의해 벨트(Belt) 트로프(Trough)로 유입된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벨트를 부상시켜 구동하는 벨트(Belt) 컨베이어이다.
이러한, ASBC의 초기 가동 시에는 무부하로 운전이 되며, 관련 벨트(Belt)가 그룹 운전이 완료되면, 부두 CSU(Ship Unloader)에 의해 부하 운전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부하 및 무부하 운전 시 벨트 모터의 전류와, 부두 구간의 벨트 스케일 정보를 받아 자동으로 운전되도록 하는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를 제시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부상 컨베이어 벨트의 운전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는 벨트 컨베이어(50)의 무부하 상태 및 부하 상태를 감지하는 부하 감지부(110), 벨트 컨베이어(50)의 무부하 상태 및 부하 상태에 따른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압력 송신기(120) 및 모니터링된 압력으로부터 이상을 감지하여 벨트 컨베이어(5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하는 운전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하 감지부(110)는 벨트 컨베이어(50)를 구동하는 벨트 모터의 전류를 감지하는 모터 전류 감지부(112) 및 벨트 컨베이어(50)의 벨트 스케일을 감지하는 벨트 스케일 감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 감지부(110)는 벨트 모터의 전류와 벨트 스케일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50)의 무부하 상태 및 부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전류 감지부(112)는 벨트 모터의 전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전류 정보를 운전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벨트 스케일 감지부(114)는 벨트 내 석탄의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스케일 정보를 운전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압력 송신기(120)는 벨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부상의 압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압력 정보를 운전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운전 제어부(130)는 벨트의 무부하 상태 또는 부하 상태에 따른 압력 모니터링을 통해 벨트 컨베이어(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 제어부(130)는 무부하 상태 기준으로 설정된 벨트 모터의 전류 기준값과 벨트 스케일 기준값에 부하 감지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비교하여 벨트의 무부하 상태 또는 부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운전 제어부(130)는 수집된 압력 정보를 무부하 상태 및 부하 상태에 따라 설정된 기준 압력과 비교하여 벨트 컨베이어(50)의 이상, 특히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50)의 벨트와 트로프(trough) 간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부하 상태의 기준 압력을 약 612 mmH2O로 설정한 경우, 운전 제어부(130)는 무부하 상태에서 수집된 압력 정보가 약 612mmH2O 이하이면 벨트와 트로프 간의 마찰 발생으로 판단하여 벨트 컨베이어(5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부하 상태의 기준 압력을 약 1070 mmH2O로 설정한 경우, 운전 제어부(130)는 부하 상태에서 수집된 압력 정보가 약 1070 mmH2O 이하일 경우 벨트와 트로프 간의 마찰 발생으로 판단하여 벨트 컨베이어(5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의 최초 무부하 및 부하 운전시 벨트 안정화를 위해 벨트 컨베이어의 이상 유무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자동 정지함으로써 벨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50: 벨트 컨베이어
110: 부하 감지부
112: 모터 전류 감지부
114: 벨트 스케일 감지부
120: 압력 송신기
130: 운전 제어부

Claims (9)

  1.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의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무부하 상태 및 부하 상태를 감지하는 부하 감지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무부하 상태 및 부하 상태에 따른 공기부상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압력 송신기; 및
    모니터링된 압력으로부터 이상을 감지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하는 운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감지부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벨트 모터의 전류를 감지하는 모터 전류 감지부,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스케일을 감지하는 벨트 스케일 감지부를 포함하는,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감지부는 상기 벨트 모터의 전류와 벨트 스케일에 의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무부하 상태 및 부하 상태를 감지하는,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전류 감지부는, 벨트 모터의 전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전류 정보를 상기 운전 제어부에 제공하는,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스케일 감지부는, 벨트 내 석탄의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스케일 정보를 상기 운전 제어부에 제공하는,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송신기는 공기부상의 압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압력 정보를 상기 운전 제어부에 제공하는,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부는 무부하 상태 또는 부하 상태에 따른 압력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를 구동하는,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부는 수집된 압력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이상을 감지하는,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를 포함하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

KR1020180075776A 2018-06-29 2018-06-29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 KR20200002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76A KR20200002359A (ko) 2018-06-29 2018-06-29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76A KR20200002359A (ko) 2018-06-29 2018-06-29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59A true KR20200002359A (ko) 2020-01-08

Family

ID=6915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776A KR20200002359A (ko) 2018-06-29 2018-06-29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3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357A (ko) 2021-04-14 2022-10-21 카츠유키 모리 가창자, 취주자 또는 발화자의 호흡 공기중의 비말 및 에어로졸을, 국소 배기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강제적 및 개인별로 흡인 및 포집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357B1 (ko) 2001-03-15 2006-09-05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벨트 컨베이어 및 그의 부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357B1 (ko) 2001-03-15 2006-09-05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벨트 컨베이어 및 그의 부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357A (ko) 2021-04-14 2022-10-21 카츠유키 모리 가창자, 취주자 또는 발화자의 호흡 공기중의 비말 및 에어로졸을, 국소 배기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강제적 및 개인별로 흡인 및 포집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4789B2 (en) Conveyor belt monitoring
EP1464919B1 (en) Chain wear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7427767B2 (en) Apparatus for identifying the condition of a conveyor belt
US11332313B2 (en) Conveyor belt monitoring system
US10508001B2 (en) Elevator system
CN101316781A (zh) 电梯的控制装置
CN104590962A (zh) 带滑轮槽诊断装置的电梯
US98686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stall condition in an elevator
KR20200002359A (ko) 자동 압력제어 운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부상 벨트 컨베이어
EP3693319A1 (en) Escalator with a sensor for detecting sheave misalignment
CN104828661A (zh) 基于下强迫开关位置识别的电梯控制方法和系统
CN110072792B (zh) 电梯控制系统
JP2007099494A (ja) エレベータ調速機の動作試験装置
JPH10258976A (ja)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ロープ異常検知装置
CN106660765B (zh) 检测链条中的磨损链节的方法及升降装置
JP513703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20193551A (ja) 開閉体装置の故障予知検知方法及び故障予知検知装置、開閉体装置並びに開閉体制御方法
AU2012203066B2 (en) Conveyor Belt Monitoring
JP5045080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装置
JP2008044700A (ja) ウインチ回路の異常検出装置および異常検出方法
KR19990009337A (ko)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KR102612483B1 (ko) 에스컬레이터의 베이스 기판 거리 변화를 통한 구동체인 길이 변화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145583B1 (ko) 건설용 리프트 브레이크 체크 시스템 및 그 체크 방법
GB2125555A (en) Sensing hydraulic systems
KR20220025973A (ko)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구동 속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