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243U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243U
KR20200002243U KR2020190001398U KR20190001398U KR20200002243U KR 20200002243 U KR20200002243 U KR 20200002243U KR 2020190001398 U KR2020190001398 U KR 2020190001398U KR 20190001398 U KR20190001398 U KR 20190001398U KR 20200002243 U KR20200002243 U KR 202000022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groove
beverage
contai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민
Original Assignee
(주)오리온제주용암수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리온제주용암수,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오리온제주용암수
Priority to KR2020190001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243U/ko
Priority to PCT/KR2020/004435 priority patent/WO2020204587A1/ko
Publication of KR20200002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2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4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2Gripping means formed in the walls, e.g. roughening, cavities,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측으로 개구되는 병목부와 외측면에서 상하로 형성되는 제 1 그루브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외측면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그루브가 구비되어, 수직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되어 용기의 변형이 방지됨으로써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그립감이 향상되고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기{Beverage Container}
본 실시예들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되어 용기의 변형이 방지됨으로써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그립감이 향상되고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사용자가 섭취하는 물이나 음료수 등의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음료의 수용 용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진다.
특히, 이러한 음료용기는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휴대가능한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보편적이므로,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고 그립감이 상승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다량의 음료용기가 축적되어 운반될 때, 음료용기가 음료의 무게 등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큰 하중을 받게 되므로 음료용기가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에 의해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수직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되어 용기의 변형이 방지됨으로써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그립감이 향상되고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을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음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측으로 개구되는 병목부와 외측면에서 상하로 형성되는 제 1 그루브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외측면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그루브가 구비되는 음료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수직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되어 용기의 변형이 방지됨으로써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그립감이 향상되고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음료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음료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음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부(210)에는 상측으로 개구되는 병목부(110)와 외측면에서 상하로 형성되는 제 1 그루브(120)가 구비되고, 하부(230)에는 외측면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그루브(130)가 구비되는 음료용기(100)가 제공될 수 있다.
음료용기(10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음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기둥 등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음료용기(100)는 제 1 그루브(120)가 형성된 상부(210)와 제 2 그루브(130)가 형성된 하부(230)를 포함하는데, 상부(210)와 하부(230)는 음료용기(100)를 정확히 절반으로 구분하여 각각 상측과 하측 부분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며 후술할 바와 같이 상부(210)는 음료용기(100) 전체 높이에서 중단 이하까지를 지칭할 수 있다.
상부(210)에 구비되는 병목부(110)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음료가 공급되거나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병목부(110)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병마개(미도시)가 병목부(110)에 결합되며 수용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상부(210)에는 외측면에서 상하로 형성되는 제 1 그루브(120)가 구비되고, 하부(230)에는 외측면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그루브(130)가 구비된다.
제 1 그루브(120)와 제 2 그루브(130)는 각각 서로 이격되며 복수개 구비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제 1 그루브(120)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제 2 그루브(130)는 상하로 이격되며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부(210)의 외측면에 상하로 형성되는 제 1 그루브(120)가 구비됨으로써, 음료용기(100)의 수직방향의 하중에 대한 저향력이 증가되며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다량의 음료용기(100)가 축적되어 운반되는 경우에, 특히 음료용기(100)에 음료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하중에 의해 음료용기(100)가 찌그러지는 등 변형되어 불량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며 운반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제 1 그루브(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데, 상측으로는 병목부(110)의 하측에서부터 형성되고, 하측으로는 음료용기(100)의 중단(A-A') 이하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그루브(120)가 구비되는 상부(210)는 제 2 그루브(130)가 구비되는 하부(230)보다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데, 음료용기(100)의 전체높이에서 제 1 그루브(120)가 차지하는 비율이 커짐으로써 수직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더욱 상승될 수 있다.
한편, 상부(210)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병목부(110)와 연결되는 테이퍼부(111)가 형성되는데, 따라서 테이퍼부(111)에는 제 1 그루브(120)가 구비되게 되며, 제 1 그루브(120)는 테이퍼부(111)에서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구비되게 된다.
이러한 테이퍼부(111)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록하게 형성된 테이퍼부(111)에 의해 음료용기(100)의 수직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더욱 상승될 수 있다.
이어서, 하부(230)의 외측면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그루브(130)가 형성됨으로써, 음료용기(100)가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고 그립감이 상승되게 된다.
제 2 그루브(130)는 제 1 그루브(120)와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되는데, 다시 말해 하부(230)에서 가장 상측에 구비되는 제 2 그루브(130)는 제 1 그루브(120)의 하측끝단과 상하로 이격된다.
제 1 그루브(120)와 제 2 그루브(130) 상하로 이격됨으로써 상부(210)와 하부(230)의 사이에는 중부(220)가 구비되는데, 제 1 그루브(120)가 음료용기(100)의 중단(A-A') 이하까지 형성됨으로써 중부(220)는 음료용기(100)의 중단(A-A')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중부(2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이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게 형성되어 라벨이 부착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음각이나 양각이 형성되며 제품명을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음료용기 110: 병목부
111: 테이퍼부 120: 제 1 그루브
130: 제 2 그루브 210: 상부
220: 중부 230: 하부

Claims (6)

  1. 음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측으로 개구되는 병목부와 외측면에서 상하로 형성되는 제 1 그루브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외측면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그루브가 구비되는 음료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루브는 서로 이격되며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루브는 서로 이격되며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루브는 상기 병목부의 하측에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루브는 상기 음료용기의 중단 이하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루브는 상기 제 1 그루브와 상하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KR2020190001398U 2019-04-05 2019-04-05 음료용기 KR20200002243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98U KR20200002243U (ko) 2019-04-05 2019-04-05 음료용기
PCT/KR2020/004435 WO2020204587A1 (ko) 2019-04-05 2020-03-31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98U KR20200002243U (ko) 2019-04-05 2019-04-05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43U true KR20200002243U (ko) 2020-10-14

Family

ID=72666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398U KR20200002243U (ko) 2019-04-05 2019-04-05 음료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02243U (ko)
WO (1) WO20202045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3698B2 (ja) * 1999-12-27 2007-08-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薄肉のブロー成形ボトル
JP4898572B2 (ja) * 2007-06-27 2012-03-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
JP5422829B2 (ja) * 2012-06-29 2014-02-19 東洋ガラス株式会社 シュリンクラベル付きガラスびん
JP6111714B2 (ja) * 2013-02-07 2017-04-12 東洋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製ボトル
JP6848189B2 (ja) * 2016-03-03 2021-03-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ボトル、充填体、及び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587A1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3402B2 (en) Stackable low depth tray
US20090166314A1 (en) Plastic bottle
TWI615326B (zh) 樹脂製容器
US20100155359A1 (en) Hot-fill container
JP5221502B2 (ja) 飲料用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飲料製品
WO2014087866A1 (ja) 樹脂製容器
US20100230318A1 (en) Multiple Cap Size Bottle Crate
JP6537770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6532644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US20070221606A1 (en) Liquid Container
KR20200002243U (ko) 음료용기
CN104583086A (zh) 液体容器
US20150266617A1 (en) Nestable beverage containers and methods thereof
JP6043621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AU2014371034B2 (en) Bottle container
JP6084476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および物品
JP5470013B2 (ja) ボトル
JP6353947B2 (ja) 樹脂製容器
CN103328342A (zh) 容器,特别是用于饮料的容器
US20150183553A1 (en) Set of Containers with Distinct Caps
US20150068944A1 (en) Container
JP6666315B2 (ja) ボトル容器
JP3117225U (ja) 脱着式ボトル
JP6060595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
JP7370300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