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189A -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 - Google Patents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189A
KR20200002189A KR1020180075413A KR20180075413A KR20200002189A KR 20200002189 A KR20200002189 A KR 20200002189A KR 1020180075413 A KR1020180075413 A KR 1020180075413A KR 20180075413 A KR20180075413 A KR 20180075413A KR 20200002189 A KR20200002189 A KR 20200002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rgo
aircraft
support equipment
moun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3797B1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5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7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50Handling or transporting aircraft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 외부에 화물장착이 용이한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구성을 포함하므로, 정밀하게 조종가능하여 항공기 외부에 화물을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인력이 없어도 화물의 장착이 가능하므로 항공기의 지상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화물의 종류에 따라 항공기 외부에 부착되는 항공기 가이드가 변경되므로 그게 맞도록 장착트레이를 구비하여 장착트레이의 교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SUPPORTING APPARATUS FOR THE AIRCRAFT MISSION PAYLOAD}
본 발명은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 외부에 화물장착이 용이한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에 관한 것이다.
회전익 항공기는 활주로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활주로가 없는 곳에서도 이착륙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회전익 항공기에 외부화물이 장착 및 탈착 되는 장소는 정비시설이 갖추어진 공항뿐만 아니라, 야지나 험로 같은 공항 외 시설에서 진행되는 경우도 많다. 공항 외 장소에서 항공기의 외부에 화물을 장착 및 탈착을 할 때, 엔진을 끈 상태로 지상정비 인원의 인력으로 모든 과정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물을 인력에 의해 장착 및 탈착 할 경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하중의 화물을 항공기에 장착 및 탈착하는 과정에서 고하중 화물의 추락으로 인한 화물의 손상 및 안전사고가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항공기 화물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98538호 ("항공기용 임무장비 이동장치", 2012.10.31.)에 항공기용 임무장비 이동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은 항공기용 임무장비를 항공기에 장착하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항공기용 임무장비 이동장치를 개시한다. 선행기술문헌은 작업자가 항공기용 임무장비를 적재한 항공기용 임무장비 이동장치를 직접 이동시켜서 임무장비를 장착 및 탈착해야 한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은 항공기용 임무장비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고, 제자리 회전이 불가능하여 임무장비의 장착위치 및 분리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없다. 그러므로 항공기용 임무장비의 장착 및 분리가 어렵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의 수납부의 형상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임무장비의 형상 및 크기가 변화될 경우 장착 및 분리작업을 수행할 수 없어서 호환성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98538호 ("항공기용 임무장비 이동장치", 2012.10.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익 항공기의 외부에 장착되는 화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이용가능하고, 회전익 항공기용 외부화물을 운반 및 정렬하여 외부 화물의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회전익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는, 화물을 운반 및 정렬하여 항공기 외부의 하측에 장착 및 탈착하는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에 있어서, 상기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부(100); 상기 적재부(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제 1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판형상의 정렬부(210), 상기 정렬부(21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회전축(a)과 평행하게 이격된 회전이 가능한 제 2 회전축(b)을 포함하는 승강지지부(230); 일측은 상기 제 1 회전축(a)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회전축(b)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신축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신축부(220)의 신축에 의하여 상기 적재부(10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200);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의 이동 및 제자리선회가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부(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부(300);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는, 상기 승강지지부(230)가 상기 제 2 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만큼 상기 적재부(100)가 상기 제 1 회전축(a)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부(100)가 항상 지면과 평행면을 이루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부(100)는, 상기 승강부(200)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 1 연결링크(d)를 기준축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200)는, 상기 이동부(300)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 2 연결링크(e)를 기준축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승강부(2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200)를 지지하고,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의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 3 회전축(c)을 구비하는 이동지지부(310); 상기 제 3 회전축(c)을 중심선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제 3 회전축(c)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동구동부(320);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구동부(320)는, 무한궤도 또는 스키드스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는, 상기 화물의 장착위치 및 정렬여부의 확인을 위해 상기 적재부(100)에 구비되는 광학정렬가이드;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는, 상기 화물의 종류에 따라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적재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장착트레이;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는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 번째, 다양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회전익 항공기의 외부에 화물을 장착할 수 있다.
두 번째, 본 발명의 승강부가 승강하기 전에는 높이가 낮아 회전익의 회전에 대한 영향을 덜 받으므로 회전익 항공기에 접근이 용이하여 화물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세 번째, 인력을 이용하면 회전익 항공기의 엔진구동이 멈췄을 때에만 화물의 장착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을 이용하면 회전익 항공기의 엔진을 구동할 때에도 화물의 장착이 가능하므로, 화물 장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네 번째, 화물의 종류에 따라 교체가 가능한 장착트레이가 적재부에 구비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외부화물을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의 항공기용 임무장비 이동장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승강부 구동 전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승강부 구동 전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승강부 구동 후 사시도.
도 5 은 본 발명의 승강부 구동 후 사시도.
도 6 는 본 발명의 승강부 구동 후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승강부 구동 전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이동부가 평지를 지날 때의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이동부가 험로를 지날 때의 정면도.
본 발명은 크게 상기 적재부(100), 상기 승강부(200), 이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의 전체구성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승강부(200) 구동 전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승강부(200) 구동 전 측면도,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승강부(200) 구동 후 사시도 및 도 6 는 본 발명의 승강부(200) 구동 후 측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승강부(200)의 구동 전 모습은 상기 적재부(100)가 회전하지 않고, 상기 승강부(200)가 승강되기 전 형태를 말한다. 상기 승강부(200)의 구동 후 모습은 상기 적재부(100)가 회전하고 상기 승강부(200)가 승강한 형태를 말한다. 상기 승강부(200)의 구동 전 형태는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의 높이가 낮으므로, 본 발명의 승강부가 승강하기 전에는 높이가 낮아 회전익의 회전에 대한 영향을 덜 받으므로 회전익 항공기에 접근이 용이하여 화물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적재부(100)는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적재부(100)는 상기 승강부(200)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 1 연결링크(d)를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적재부(100)의 세밀한 조정이 가능하므로, 상기 항공기용 화물을 적재할 때 정확하게 상기 항공기용 화물을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다. 상기 적재부(100)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200)는 상기 적재부(100)를 상승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승강부(200)는 정렬부(210), 승강지지부(230), 신축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210)는 상기 적재부(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제 1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지지부(230)는 상기 정렬부(2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회전축(a)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회전이 가능한 제 2 회전축(b)을 포함한다. 상기 신축부(220)의 일측은 상기 제 1 회전축(a)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회전축(b)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신축부(22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승강부(200)는 제 2 연결링크(e)를 기준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200)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의 이동 및 제자리선회가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부(20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300)는 이동지지부(310), 이동구동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도 8 및 도 9를 더 포함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는 상기 적재부(100), 상기 승강부(200) 및 상기 이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는 상기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회전익 항공기 외부화물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의 세부구성
이하에서 상기 적재부(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적재부(100)는 상기 승강부(200)의 구동에 관계없이, 항상 지면과 나란하게 유지된다. 도 5는 상기 정렬부(210)는 상기 제 1 회전축(a)을 중심으로 ㉠의 각도만큼 회전되어 있고, 상기 제 2 회전축(b)을 기준으로 상기 신축부(220)가 ㉡의 각도만큼 회전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신축부(220)가 상기 제 2 회전축(b)을 중심으로 ㉡만큼 회전각도만큼 회전되고, 상기 정렬부(210)가 상기 제 1 회전축(a)을 중심으로 ㉠의 각도만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과 ㉡의 각도는 비슷하거나 똑같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2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정렬부(21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적재부(100)는 저절로 회전하게 된다. 즉, ㉠의 회전각도만큼 ㉡이 회전하므로, 각도가 보상되어 상기 적재부(100)가 항상 지면과 평행면을 이룰 수 있다.
항공기의 외부에 장착되는 상기 화물의 종류에 따라 항공기 외부에 부착되는 가이드가 바뀌므로 상기 적재부(100)의 상부에 장착트레이가 상기 화물의 종류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100)는 모든 종류의 화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상을 대표하여 도면에 평판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로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 실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물의 장착위치 및 정렬여부의 확인을 위하여 상기 적재부(100)에 광학정렬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학정렬가이드는 레이저나 광원 등 다양하게 이용이 가능하고, 센서류를 이용하여 상기 화물의 장착위치 및 정렬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다면, 상기 센서류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카메라를 연결하여 상기 화물의 장착위치 및 정렬여부를 확인 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를 광학정렬가이드로 사용해도 무난하다. 즉, 상기 화물의 장착위치 및 정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면, 센서류, 레이저, 카메라 등 다양한 장치들을 이용하여 상기 광학정렬가이드를 구성할 수 있다. 정리해서 말하자면, 상기 적재부(100)는 상기 광학정렬가이드 또는 상기 장착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실시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승강부(2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200)는 상기 정렬부(210), 상기 승강지지부(230), 상기 신축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210)는 판형상으로 상기 적재부(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도면상에서는 상기 정렬부(210)가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정렬부(210)는 필요에 따라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경실시 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210)의 끝단에 상기 제 1 회전축(a)이 구비되고, 상기 정렬부(210)는 상기 제 1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 1 회전축(a)과 상기 제 2 회전축(b)은 지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지지부(230)는 상기 정렬부(2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회전축(a)과 평행하게 이격된 상기 제 2 회전축(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회전축(a), 상기 제 2 회전축(b) 및 상기 제 3 회전축(c)은 지면에 평행하지만, 상기 제 3 회전축(c)는 상기 제 1 회전축(a), 상기 제 2 회전축(b)과 수직방향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지지부(230)는 상기 이동부(300)와 상기 승강부(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상기 제 2 연결링크(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링크(e)는 상기 이동부(300)와 수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승강지지부(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상기 신축부(220)와 함께 상기 제 2 연결링크(e)를 기준으로 회전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승강지지부(230)를 원형으로 구성하면, 상기 승강지지부(230)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신축부(220)만 제 3 연결링크(f) 또는 상기 제 2 연결링크(e)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지지부(230)가 상기 신축부(200)와 함께 회전하는 것은 상기 승강지지부(230)의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회전축도 마찬가지로 상기 승강지지부(230)의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220)의 일측은 상기 제 1 회전축(a)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회전축(b)에 연결되어 상기 신축부(22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회전축(a)를 기준으로 상기 정렬부(210)가 회전하며, 상기 제 2 회전축(b)을 기준으로 상기 신축부(220)가 회전한다. 상기 제 1 회전축(a)과 상기 제 2 회전축(b)은 서로 반대로 회전하며 상기 적재부(100)를 상승시키며, 이때 부족한 높이를 신축부(220)가 신축하면서 길이의 보상을 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부(220)의 신축으로 인하여 상기 적재부(100)를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연결링크(d)와 상기 제 2 연결링크(e)는 서로 반대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부(100)를 지면에 수평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신축부(220)가 신축하며 상기 회전하는 상기 적재부(100)를 수평이동 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또한, 상기 신축부(220)의 신축으로 인하여 상기 적재부(100)를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신축부(220)와 상기 적재부(100)가 동시에 동작할 때에는 지면에 수평방향으로의 이동도 가능하다. 다시 말하자면, 회전이 가능한 구성요소들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신축부(220)의 신축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구성요소들은 지면에 수평방향 및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신축부(220)가 상기 제 2 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각도는 무한하다. 하지만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가 안정적으로 무게중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신축부(220)는 0도에서 90도 사이로 회전한 상태로 상기 적재부(100)가 승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부(220)가 상기 제 2 회전축(b)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도를 가진 상태로 상기 신축부(220)가 신축하면, 상기 적재부(100)가 승강하게 된다. 상기 제 1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정렬부(210)와 상기 제 2 회전축(b)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신축부(220)가 각각의 축들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개별로 구동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구동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화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상기 화물을 장착 및 탈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정렬부(210)의 회전과 상기 신축부(220)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렬부(210)와 상기 신축부(220)는 회전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어야 하므로, 상기 정렬부(210)와 상기 신축부(220)에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를 이용하면 안정적으로 상기 화물을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200)와 상기 적재부(100)는 상기 제 2 연결링크(e)를 기준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200)의 상측에 상기 적재부(100)가 위치하므로, 상기 적재부(100)는 상기 신축부(220)가 상기 제 2 연결링크(e)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정렬부(210)와 함께 저절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적재부(100)에 상기 화물이 적재된 상태로 상기 승강부(200)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2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축이 상기 이동부(300)의 면적위에 존재하지 않을 때, 즉 상기 승강부(200)가 도 6에 도시된 회전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의 무게중심이 심하게 변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의 무게중심이 불안정하여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가 넘어질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회전각도까지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가 상기 적재부(100)에 상기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도 6에 도시된 회전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려면,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가 넘어지지 않도록 무게중심을 유지해주는 무게중심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상기 무게중심부를 더 구비하면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장비가 넘어져서 생길 수 있는 상기 화물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신축부(220)는 제 1 신축부(221)와 제 2 신축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상기 제 1 신축부(221)와 상기 제 2 신축부(222)가 각관의 형태로 일렬로 구성되어, 상기 신축부(220)의 길이를 신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신축부(220)의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다면 원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부(220)는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실시 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승강부(200) 구동 전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이동부(300)가 평지를 지날 때 정면도 및 도 9 는 본 발명의 이동부(300)가 험로를 지날 때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은 상기 이동구동부(320)가 제 3 회전축(c)에 나란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상기 이동부(3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이동지지부(310) 및 상기 이동구동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지지부(310)는 상기 승강부(2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200)를 지지하고,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의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상기 제 3 회전축(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구동부(320)는 상기 제 3 회전축(c)을 중심선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제 3 회전축(c)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를 이동시키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지지부(310)는 상기 제 1 이동지지부(311)와 상기 제 2 이동지지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이동지지부(311)는 상기 제 3 회전축(c)에 수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동지지부(311)은 도면에 삼각형 형상으로 도시되어 꼭지점은 둥근형상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 이동지지부(311)는 필요에 따라, 반원,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동지지부(31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제 3 회전축(c)은 상기 이동구동부(320)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 2 이동지지부(312)는 상기 승강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도면상에는 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2 이동지지부(312)는 사각형의 가운데가 비어있는 형상,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동부(320)는 상기 이동지지부(310)에 구비된 상기 제 3 회전축(c)을 기준으로 힌지연결되므로 상기 제 3 회전축(c)을 기준으로 양쪽의 상기 이동구동부(320)는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구동부(320)는 힌지연결이 아니라 상기 이동지지부(310)에 고정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차이는 발명자의 필요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가 험로를 이동할 때에는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이동구동부(320)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이동구동부(320)는 회전익 항공기의 특성상 험로나, 야지 등 공항 외 시설에서 상기 화물을 장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험로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험로를 이동하는 상기 이동구동부(320)는 비스듬하게 각도를 가지고 움직이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구동부(320)는 지면과 수직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차이는 상기 이동구동부(320)의 체결방법에 따라서 충분히 바뀔 수 있다.
상기 이동구동부(320)는 상기 제 3 회전축(c)과 나란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는 상기 이동구동부회전축(g)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도 가능하다.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는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상기 이동구동부회전축(g)을 도시하였다. 하지만, 꼭 도면에 도시된 상기 이동구동부회전축(g)을 기준으로만 회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위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가 회전한다면, 상기 이동구동부회전축(g)은 지면에 수직으로 또 다른 위치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구동부(320)은 상기 이동지지부(310)와 연결하기 위하여 이동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구동부(320)은 무한궤도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로써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스키드스티어, 바퀴 등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이동구동부회전축(g)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려면 무한궤도, 스키드스티어 또는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구동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력을 이용하면 회전익 항공기의 엔진구동이 멈췄을 때에만 화물의 장착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을 이용하면 회전익 항공기의 엔진을 구동할 때에도 화물의 장착이 가능하므로, 화물 장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에게 신호를 받아 상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의 조종이 가능한 제어부의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는 상기 화물을 장착 및 탈착할 때,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가 조종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정밀하게 구동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사람의 조종 없이도 상기 제어부가 자동으로 상기 화물을 장착 및 탈착할 수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의 상기 제 1 연결링크(d), 상기 제 2 연결링크(e) 및 상기 제 3 연결링크(f)를 포함하는 구성들은 상기 연결링크들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링크들은 축의 역할을 하는 기둥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축(a), 상기 제 2 회전축(b) 및 상기 제 3 회전축(c)를 포함하는 구성들은 상기 축들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축들 또한, 기둥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들과 상기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여 독립적으로 회전 및 신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작동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를 정밀하게 정렬하여 상기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 종래의 항공기용 임무장비 이동장치
100 : 적재부
200 : 승강부
210 : 정렬부
220 : 신축부
221 : 제 1 신축부 222 : 제 2 신축부
230 : 승강지지부
300 : 이동부
310 : 이동지지부
311 : 제 1 이동지지부 312 : 제 2 이동지지부
320 : 이동구동부
a : 제 1 회전축 b : 제 2 회전축
c : 제 3 회전축 d : 제 1 연결링크
e : 제 2 연결링크 f : 제 3 연결링크
g : 이동구동부회전축

Claims (8)

  1. 화물을 운반 및 정렬하여 항공기 외부의 하측에 장착 및 탈착하는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에 있어서,
    상기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판형상의 정렬부, 상기 정렬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회전축과 평행하게 이격된 회전이 가능한 제 2 회전축을 포함하는 승강지지부;
    일측은 상기 제 1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신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신축부의 신축에 의하여 상기 적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의 이동 및 제자리선회가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는,
    상기 승강지지부가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만큼 상기 적재부가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부가 항상 지면과 평행면을 이루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승강부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 1 연결링크를 기준축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이동부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 2 연결링크를 기준축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고,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의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 3 회전축을 구비하는 이동지지부;
    상기 제 3 회전축을 중심선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제 3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동구동부;
    를 포함하는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동부는,
    무한궤도 또는 스키드스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는,
    상기 화물의 장착위치 및 정렬여부의 확인을 위해 상기 적재부에 구비되는 광학정렬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는,
    상기 화물의 종류에 따라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장착트레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화물 장착 지원장비.
KR1020180075413A 2018-06-29 2018-06-29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 KR102103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413A KR102103797B1 (ko) 2018-06-29 2018-06-29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413A KR102103797B1 (ko) 2018-06-29 2018-06-29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89A true KR20200002189A (ko) 2020-01-08
KR102103797B1 KR102103797B1 (ko) 2020-04-24

Family

ID=6915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413A KR102103797B1 (ko) 2018-06-29 2018-06-29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072A (ko) * 2020-12-16 2022-06-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비행체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972A (ko) * 2004-05-03 2007-03-27 저비스비웹컴퍼니 수송기구 자동 적재 시스템 및 방법
KR101031872B1 (ko) * 2010-08-02 2011-05-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항공기 외장물 장착 장치
KR101198538B1 (ko) 2009-12-24 2012-11-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용 임무장비 이동장치
KR20140067250A (ko) *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세웅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KR101707202B1 (ko) * 2014-11-27 2017-02-15 주식회사 케이엠텍 자동 이송대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972A (ko) * 2004-05-03 2007-03-27 저비스비웹컴퍼니 수송기구 자동 적재 시스템 및 방법
KR101198538B1 (ko) 2009-12-24 2012-11-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용 임무장비 이동장치
KR101031872B1 (ko) * 2010-08-02 2011-05-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항공기 외장물 장착 장치
KR20140067250A (ko) *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세웅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KR101707202B1 (ko) * 2014-11-27 2017-02-15 주식회사 케이엠텍 자동 이송대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072A (ko) * 2020-12-16 2022-06-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비행체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797B1 (ko)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982B1 (ko) 항공기용 임무장비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장치
US20220041416A1 (en) Robotic under-surface loader
US9527709B2 (en) Overturning equipment for hoppers
KR100299323B1 (ko) 활주부로지지되는헬리콥터용수송대
US20110147328A1 (en) Lifting device for replacing dynamic or static components of helicopter-type aircraft
JP2022002998A (ja) 自走クレーン
JP2004300688A (ja) 自走式プレキャスト床版架設機
CN102627085A (zh) 用于风轮机部件的运输设备及其使用方法
KR20160125749A (ko)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EP1516846A2 (en) Lifting device for lifting persons along the shaft of a wind generator.
CN215476898U (zh) 一种无人机运输箱
KR20200002189A (ko)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
US8162575B2 (en) Transport and assembly vehicle for a component module
JP2016056622A (ja) ケーブル検査装置
US10202262B2 (en) Method of operating a crane, and crane
US9701235B2 (en) Method of mounting a wind turbine
CN105780686A (zh) 一种车辆定位装置
ATE209274T1 (de) Hebevorrichtung zum handhaben eines gleiselements
CN210819447U (zh) 用于狭窄空间内设备空中对接安装装置
CN104326374A (zh) 一种起重装置
JP6418570B2 (ja) 移動ロボットおよび画像撮影システム
CN107108189B (zh) 用于升降负载、被固定以在叉上运输的紧凑设备
ES2268149T3 (es) Un metodo para el funcionamiento de una grua de paso intermedio en la manipulacion de contenedores de carga.
RU2737921C9 (ru) Мобильная антенная установка
CA29023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 of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