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52U - 내진형, 개량형, 보강형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핀기초, 믹싱기초, 깊은기초, 얕은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및 이의 지지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 - Google Patents

내진형, 개량형, 보강형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핀기초, 믹싱기초, 깊은기초, 얕은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및 이의 지지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52U
KR20200001852U KR2020200001497U KR20200001497U KR20200001852U KR 20200001852 U KR20200001852 U KR 20200001852U KR 2020200001497 U KR2020200001497 U KR 2020200001497U KR 20200001497 U KR20200001497 U KR 20200001497U KR 20200001852 U KR20200001852 U KR 202000018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pipe
base
plate
gro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하익
정용훈
정용진
Original Assignee
정하익
정용진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정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하익, 정용진,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정용훈 filed Critical 정하익
Priority to KR2020200001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852U/ko
Publication of KR20200001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5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2Pile s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a) 기초의 공사, 시공, 설치, 항타, 매입, 관입, 키인; b) 기초에 재하, 상부시공, 건물시공, 하중작용, 건물하중작용 등에 굴절, 굴곡, 절곡, 확장, 휨확장, 절곡확장, 경사확장, 선단확장, 단면확장 등을 하여 면적, 체적, 단면적, 선단면적 등이 증가되어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지진 저항, 진동 저항, 내진성능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등에 기여하는 것으로; 경사 확장형 등의 선, 점선, 파선, 슬롯, 파단선, 절개선, 따기선, 절편선, 절편 등이 형성, 조성, 구비 등이 된 경사 확장형 등의 단관, 콘관, 콘판, 단판, 링관, 링판, 다중관, 다발관, 다판관, 키인관, 절개관, 따기관, 점선관, 절편관, 점증관, 점확관, 점축관, 점증점축관, 경사관, 튜브관, 중공판, 절개판, 따기판, 점선판, 절편판, 도넛판, 점증판, 점확판, 점축판, 점증점축판, 경사판, 테이퍼관, 테이퍼판, 스파이크관, 스파이크판, 다발 구비 관, 돌기 구비 관, 네일 구비 관, 앵커 구비 관, 테이퍼판 구비 관, 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판,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 연결잭 구비 관,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등이 구비된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지열기초, 스크류기초, 우물통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이중 하나에 의하여 지지되는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 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형, 개량형, 보강형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핀기초, 믹싱기초, 깊은기초, 얕은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및 이의 지지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Improved, reinforced pile, pier, footing, caisson, foundation and its supporting building, facility, bridge, structure}
본 고안은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선단지지력 향상, 주면마찰력 향상, 지진 저항, 진동 저항, 내진성능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등을 위한 내진형, 개량형, 보강형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매입파일, 항타파일, 현타파일, 지열파일, 지열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블럭기초, 강재기초, 스크류기초, 우물통기초, 콘크리트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및 이중 하나에 의하여 지지되는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 등에 관한 것이다.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 등의 하부에는 구조물 지지, 지지력 확보 등을 위하여 기초; 이의 하나인 후팅, 파일, 피어, 케이슨; 등이 설치된다. 소형의 구조물이나 지반이 단단한 경우에는 주로 얕은기초가 설치되고, 대형의 구조물이나 지반이 연약한 경우에는 주로 깊은기초가 설치된다. 여기서 기초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위하여 최대의 지지력을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지지력 향상을 위하여 그동안 같은 노력이 진행되어 왔으면 많은 기술, 공법, 장치 등이 개발되었다.
상기 관련 기술개발 사례를 대한민국 특허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1) 공개특허 10-2018-0061606인 피에이치시파일 선단에 관체형 짧은파일, 선단슈 기능의 뾰족한 수직철판을 포함하는 선단확장 및 관입성 향상 파일, 2) 특허 10-0974613인 선단에 외향하여 확장된 확장부가 마련되도록 제작된 헤드 확장형 콘크리트파일, 3) 특허 10-1427338인 파일 본체, 이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관, 이에 삽입된 돌기, 상기 돌기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해주는 확장구가 구비된 파일, 4) 특허 10-1812463인 오거의 회전시 지반을 굴착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에서 일정 각도 틀어진 상태로 결합되는 선단 확장부 구비 강관을 이용한 회전 압입식 파일 시공방법, 5) 특허 10-1756823인 확장판 또는 삽입판이 원판 중심을 기준으로 다등분된 분할플레이트를 이용한 PHC 파일의 선단 확장 기구, 6) 공개특허 10-2016-0095587인 나사산 형태로 형성된 굴착날개와, 외향 돌출된 회전키를 구비한 굴착유닛을 포함하는 기초 파일용 굴착장치, 7) 특허 10-1869705인 샤프트와 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헬리칼 날개와 제1 확장원판, 제2 확장원판이 보강되는 선단확장형 헬리칼 파일, 8) 특허 10-0654964인 상,하향보강측벽부가 연결된 보강관부와 보강판으로 구성된 헤드확장형 파일의 보강부재, 9) 특허 10-1875075인 파일의 선단에 구비되는 정다각형의 선단 확장 보강판, 10) 특허 10-1398910인 이물질 배출공이 형성된 확장부재가 포함되는 선단확장형 파일 등이 있다.
상기에 언급된 기술들도 기초의 지지력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있지만 이에 비하여 지지력의 향상 정도가 더 큰 기술이나,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되는 특수장치가 구비되는 기술이 개발된다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그리고 지지력에 더하여 지진 저항, 진동 저항, 내진성능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등에 기여한다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상기의 제안, 문제점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기초의 삽입, 관입, 삽입, 항타, 하중재하, 하중작용 등에 용이하게 굴절, 확장, 쐐기굴절, 쐐기확장, 수평굴절, 경사확장, 선단확장, 단면확장, 체적확장, 수평확장 등이 되어 단면적, 접지면적 등이 증가되어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선단지지력 향상, 주면마찰력 향상, 지진 저항, 진동 저항, 내진성능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경사진 확장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경사 확장형의 발, 절편 등이 거치된 경사 확장형의 외벽을 가진 경사 확장형의 단관, 연결판 등이 구비된 선단 보강체, 지지체 등이 장착된 기초, 이가 지지하는 시설 등을 고안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a) 기초의 공사, 시공, 설치, 항타, 매입, 관입, 키인(key-in); b) 기초에 재하, 상부시공, 건물시공, 하중작용, 건물하중작용 등에 굴절, 굴곡, 절곡, 확장, 절개, 벌어짐, 휘어짐, 횡확장, 휨확장, 절곡확장, 쐐기확장, 경사확장, 선단확장, 단면확장, 체적확장, 수평확장 등을 하여 면적, 체적, 단면적, 선단면적 등이 증가되어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지진 저항, 진동 저항, 내진성능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등에 기여하는 것으로; 경사 확장형 등의 선, 점선, 파선, 슬롯, 파단선, 절개선, 따기선, 절편선,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내관, 중관, 외관,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등이 형성, 조성, 구비 등이 된 경사 확장형 등의 단관, 콘관, 콘판, 단판, 링관, 링판, 2중관, 3중관, 다중관, 다발관, 다판관, 키인관, 절개관, 따기관, 점선관, 절편관, 점증관, 점확관, 점축관, 점증점축관, 경사관, 튜브관, 중공판, 절개판, 따기판, 점선판, 절편판, 2중판, 다중판, 도넛판, 점증판, 점확판, 점축판, 점증점축판, 경사판, 테이퍼관, 테이퍼판, 불연속관, 불연속판, 스파이크관, 스파이크판, 다발 구비 관, 돌기 구비 관, 네일 구비 관, 앵커 구비 관, 테이퍼판 구비 관, 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판,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 연결잭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등의 선단 보강체, 지지체 등이 구비된 파일(pile), 피어(pier), 기초(foundation), 후팅(footing), 케이슨(caisson), 지열기초, 스크류기초, 우물통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이중 하나에 의하여 지지되는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 등을 고안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서는 a) 연직, 경사, 확장 등의 선, 점선, 파선, 슬롯, 파단선, 절개선, 따기선, 절편선; b) 상기 선 내지 절편선 중 하나에 의한 연직, 경사, 확장 등의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따기부, 선따기부, 절편따기부, 슬롯따기부,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c) 상기 선 내지 슬롯따기편 중 하나가 형성된 연직, 경사, 확장 등의 단관, 콘관, 콘판, 단판, 링관, 링판, 2중관, 3중관, 다중관, 다발관, 다판관, 키인관, 절개관, 따기관, 점선관, 절편관, 점증관, 점확관, 점축관, 점증점축관, 경사관, 튜브관, 중공판, 절개판, 따기판, 점선판, 절편판, 2중판, 다중판, 도넛판, 점증판, 점확판, 점축판, 점증점축판, 경사판, 테이퍼관, 테이퍼판, 불연속관, 불연속판, 스파이크관, 스파이크판; d)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이 구비된 상기 선 내지 스파이크판; e) 상기 선 내지 절편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단관 내지 스파이크판, 핀 내지 복합체 등이 구비된 개량형, 기초, 후팅, 파일, 피어, 케이슨; 이중 하나에 의하여 지지되는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 등이 고안되었다.
상기 구비에 의하여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선단지지력 향상, 주면마찰력 향상, 내진성능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등이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단관 내지 스파이크판, 핀 내지 복합체 등은 기초; 이의 측면, 선단, 하부, 내부, 외부, 일부, 내외부, 다지점, 일지점, 선단전체, 선단일부, 보링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철근, 보강재; 등의 다양한 부위에 거치가 되어 기초의 상기 지지력 향상 ∼ 선단저항 증가 등이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진동, 진동기 등에 더하여 자화, 자화기 등이 조사(照射) 또는 구비되는 복합 진동기로 처리된 재료, 이의 하나인 밀크,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슬러리, 그라우팅재 등이 사용되어 이의 유동성, 분사성, 주입성, 작업성, 워커빌리티 등이 향상되고, 이에 의하여 기초의 제조, 제작, 생산, 공사, 설치 등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a) 확장, 절개, 절곡, 따기, 점증, 점확, 돌기, 절편, 요철, 파단, 벌어짐, 휘어짐, 테이퍼, 불연속, 스파이크 등의 용어; 또는 등의 용어가 포함되는 단어, 물체, 작업, 행위; b) 또는 절개관, 절개판, 절편관, 절편판, 점축관, 점축판, 점확관, 점확판, 요철관, 요철판, 돌기관, 돌기판, 테이퍼관, 테이퍼판, 절개부, 파단부, 확장부, 절개편, 파단편, 확장편, 테이퍼관, 테이퍼판, 불연속관, 불연속판, 스파이크관, 스파이크판; c) 하기의 선 내지 절편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핀 내지 복합체, 선따기 내지 테이퍼형성, 확장 내지 90도로 벌어짐, 원형 내지 벽선따기형, 굴곡 내지 절개내외향확장, 단관 내지 스파이크관,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은 기초, 기초선단, 기초주면 등의 단면적, 횡면적, 수평면적, 접지면적, 저항면적, 마찰면적, 투영면적, 수평길이, 접지길이, 투영길이, 수평체적, 접지체적, 투영체적 등을 증가시키고, 상기 확장 내지 복합체, 기초, 기초선단, 기초주면 등에 흙, 토사, 지반, 암반 등이 채움, 끼임, 키인, 결합, 결속 등이 되기 때문에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선단지지력 향상, 주면마찰력 향상, 내진성능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등에 기여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돌기 형성 3중관의 절편관이 거치된 기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돌기 형성 3중관의 확장형 절편관이 거치된 기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격자 구비 절개관이 거치된 기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돌기 구비 3중관의 확장형 절편관이 확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고안의 절개와 돌기 형성 절편관의 확장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본 고안의 절개와 돌기 형성 3중 절편관의 확장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본 고안의 절개와 돌기 형성 절편관의 쐐기확장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본 고안의 절개와 돌기 형성 절편관의 콘확장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3중 절편관의 확장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핀 및 판 형상의 3중 절편관이 확장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테이퍼판, 테이퍼관 및 이의 확장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관 또는 핀 구비 판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하여 공장에서 기초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는 본 고안에 의하여 현장에서 기초를 공사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는 본 고안에 의한 상재하중, 기초, 이의 선단에 장착된 절편관, 이의 굴절 및 확장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6은 본 고안에 의한 진동기, 진동복합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7은 본 고안에 의한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스트랜드파일을 나타낸 모식도.
도 18은 본 고안에 의한 얕은기초, 이의 철근, 선단 등에 장착된 절편관, 이의 굴절, 확장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9는 본 고안에 의한 얕은기초, 이의 철근, 선단 등에 장착된 절편관, 이의 굴절, 확장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0은 본 고안에 의한 핀기초, 돌기기초, 블럭기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1은 본 고안에 의한 테이퍼판, 테이퍼관 등이 구비된 핀기초, 돌기기초, 블럭기초를 나타내는 모식도.
본 고안의 명칭은 내진형, 개량형, 보강형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핀기초, 믹싱기초, 깊은기초, 얕은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및 이의 지지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로서, 이는 내진형, 개량형, 보강형 중 하나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지열기초, 스크류기초, 우물통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이중 하나에 의하여 지지되는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 중 하나를 나타낸다. 여기서 개량형은 개량형, 개선형, 최신형, 첨단형, 신규형, Pin형, 확장형, 경사형, 경사확장형, 확장경사형, 선단확장형, 하기 횡확장 ∼ 수평확장 등이 된다.
본 고안은 a) 기초(foundation)의 공사, 시공, 설치, 항타, 매입, 관입, 키인(key-in); b) 기초에 재하, 상부시공, 건물시공, 하중작용, 건물하중작용; c) 상기 공사 내지 건물하중작용 중 하나의 전, 중, 후; d) 기초의 측면, 선단, 하부, 내부, 외부, 일부, 내외부, 다지점, 일지점, 선단전체, 선단일부, 보링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중 하나 이상에 굴절, 굴곡, 절곡, 확장, 절개, 벌어짐, 휘어짐, 횡확장, 휨확장, 절곡확장, 쐐기확장, 경사확장, 선단확장, 단면확장, 체적확장, 수평확장 등을 하여 면적, 체적, 단면적, 선단면적 등이 증가되어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선단지지력 향상, 주면마찰력 향상, 지진 저항, 진동 저항, 내진성능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등에 기여하는,
a) 단관, 콘관, 콘판, 단판, 링관, 링판, 2중관, 3중관, 다중관, 다발관, 다판관, 키인관(key-in pipe), 절개관, 따기관, 점선관, 절편관, 점증관, 점확관, 점축관, 점증점축관, 경사관, 튜브관, 중공판, 절개판, 따기판, 점선판, 절편판, 2중판, 다중판, 도넛판, 점증판, 점확판, 점축판, 점증점축판, 경사판, 테이퍼관, 테이퍼판, 불연속관, 불연속판, 스파이크관, 스파이크판, 다발 구비 관(다수개의 발 구비 관), 돌기 구비 관, 네일 구비 관, 앵커 구비 관, 테이퍼판 구비 관, 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판,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 연결잭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b) 또는 선, 점선, 파선, 슬롯, 파단선, 절개선, 따기선, 절편선;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내관, 중관, 외관,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경사진 또는 n개의 상기 선 내지 절편선; 경사진 또는 n-1개의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중 하나 형성의 상기 단과 내지 테이퍼관; 등이 구비된 기초(foundation), 이의 하나인 기초, 파일(pile), 말뚝, 피어(pier), 후팅(footing), 케이슨(caisson), 핀기초, 빔기초, 줄기초, 벽기초, 봉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직접기초, 후팅기초, 전면기초, 정적기초, 동적기초, 진동기초, 내진기초, 독립기초, 단독기초, 연속기초, 군기초, 지반기초, 지중기초, 지하기초, 암반기초, 기계기초, 건물기초, 주택기초, 교량기초, 교각기초, 옹벽기초, 시설기초, 석션기초, 돌기기초, 볼트기초, 앵커기초, 네일기초, 블럭기초, 우물통기초, 구조물기초, 데크로드기초, 스트랜드기초, 핀파일, 봉파일, 돌기파일, 볼트파일, 앵커파일, 네일파일, 매입파일, 항타파일, 현타파일, 강관파일, PHC파일,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스트랜드파일, 지열기초, 에너지기초, 강관기초, 강재기초, 금속기초, 비금속기초, 스크류기초, 인젝션기초, 철근인젝션기초, 공장제조기초, 현장타설기초, 지중주입기초, 지중분사기초, 지중믹싱기초, 지중다짐기초, 지중매입기초, 핀 형성 파일, 핀 형성 기초, 봉 관통 기초, 봉 관통 콘크리트기초, 파일 또는 보강재 매입 기초, 지중관입기초, 지중항타기초, 마이크로파일, 그라우팅파일, 그라우팅기초, 변단면기초, 테이퍼기초, 점축기초, 점확기초, 상부확대하부축소기초, 외주에 스크류 장착 기초, 보강재 매입 그라우팅기초, 핀 형성 보강재 매입 그라우팅기초, 그라우팅공 매입기초, 그라우팅부 매입기초, 지중주입부 매입기초, 매입 후 항타기초, 굴착 또는 그라우팅 후 매입기초, 순환파이프 삽입 에너지기초, 형틀 또는 굴착부에 철근 삽입 및 콘크리트 또는 진동처리 콘크리트 타설 기초, 어스드릴기초, 올케이싱기초, JSP, SGR, LW, SCW, DCM, CCP, CDM, CGS, DJM, JGM, TJG, SIG, RJP, CJG, CIP(cast in place)기초, PRD(percussion rotary drill)기초,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기초 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예를 들면 a) 기초의 공사, 후팅기초의 시공, 파일의 설치, 파일의 항타, 기초의 매입, 피어의 관입, 기초를 암반에 키인(key-in); b) 기초에 재하, 파일의 상부시공, 후팅기초 상부에 건물시공, 케이슨에 하중작용, 피어기초에 건물하중작용; c) 파일 공사의 전, 피어기초의 설치 중, 케이슨 시공 후, 재하 전, 상부시공 중, 하중작용 후; d) 기초의 측면, 파일의 선단, 피어의 하부, 얕은기초의 내부, 케이슨의 외부, 후팅기초의 내외부; 등에 상기 굴절 내지 수평확장 등을 하여 상기 면적 내지 선단면적 등이 증가되어 상기 기초의 선단확장 ∼ 선단저항 증가 등에 기여하는 상기 단과 내지 테이퍼관 등이 구비된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단과 내지 테이퍼관 등은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등의 선단 등에 거치되어 굴절, 굴곡, 확장 등이 되어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등의 선단 확장, 하기 지지력 향상 ∼ 선단저항 증가 등이 되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의 예로는 기초의 선단에 거치된 절개관이 굴절, 굴곡, 확장 등이 되어 상기 기초의 선단이 확장, 이에 의한 상기 기초의 지지력 향상 등이 되는 것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기초,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등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a) 상기 동일한 것은 a1) 기초,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등이 하나의 기초로서 동일한 것, a2)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등이 모두 기초에 해당하는 것, a3)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중 하나는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중 하나인 것, a4)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등에서 기초 대신에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등이 되는 것, 또는 등으로 교체된 것, 또는 사용되는 것, 이의 예로는 건물기초가 건물파일, 건물피어, 건물후팅, 건물케이슨 등인 것, 또는 등이 되는 것; 교량기초가 교량파일, 교량피어, 교량후팅, 교량케이슨 등인 것, 또는 등이 되는 것 등이고, b) 다른 것은 b1)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등이 각자 용어가 다른 것, b2)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등이 각자 다른 용도, 크기, 규격, 시공, 공정 등인 것, 등으로 되는 것, b3) 기초는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등의 전체를 나타냄, 파일은 깊은 기초 중 작은 기초임, 말뚝은 파일의 하나임, 피어는 파일보다 큰 기초임, 후팅은 후팅 기초 또는 얕은 기초임, 케이슨은 피어보다 큰 기초임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기초,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등의 용어는 상호 독자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기초,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중 하나이거나, 또는 상호 교체가 가능하거나, 또는 상호 교체 적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등이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중 하나이거나, 또는 상호 교체의 경우는 a) 얕은기초가 얕은파일, 얕은피어 등, b) 깊은기초가 깊은파일, 깊은피어, 깊은케이슨 등, c) 현타파일이 현타기초, 현타피어 등, d) 강관파일이 강관파일, 강관피어, 강관케이슨 등이 되거나, 등으로 적용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매입파일, 항타파일, 현타파일, 지열파일, 지열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블럭기초, 강재기초, 스크류기초, 우물통기초, 콘크리트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개량형 상기 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 등(100)의 대표적인 조성, 형성, 제조, 제작, 공사, 시공, 설치 등은 아래와 같은 36 단계, 공정, 과정 등으로 된다. 아래의 36 단계, 공정, 과정 등은 본 고안의 기초, 상기 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 기초 내지 RCD기초 등에 대한 상기 조성 내지 설치 등에 대한 하나의 일례가 되는 것이다.
1) 판, 원판, 중공판, 연결판, 절개판, 절편판, 테이퍼판 중 하나(2)를 구비하거나, 또는 강판을 절단하여 일정판, 원판, 중공판, 연결판, 절개판, 절편판, 테이퍼판 중 하나(2)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판(2)에 볼트 구멍(4)을 형성하는 단계;
3) a) a1) 단관(3), 콘관, 2중관, 3중관, 다중관, 다발관, 다판관, 키인관(key-in pipe), 절개관, 따기관, 점선관, 절편관, 점증관, 점확관, 점축관, 점증점축관, 경사관, 튜브관, 중공판, 절개판, 따기판, 점선판, 절편판, 2중판, 다중판, 도넛판, 점증판, 점확판, 점축판, 점증점축판, 경사판, 테이퍼관(3), 테이퍼판(2), 다발 구비 관(다수개의 발 구비 관), 돌기 구비 관, 네일 구비 관, 앵커 구비 관, 테이퍼판 구비 관(1), 판 구비 테이퍼관(1), 테이퍼관 구비 판,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1), 연결잭(5)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3), 연결판(2) 구비 테이퍼관(3),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3) 또는 테이퍼관, 벽(7) 또는 발(9) 또는 외관(3-3) 또는 절편(9)이 확장(30)되는 단관(3), 외관 또는 절편 외관 또는 선따기(8) 외관 또는 절편선(8) 형성 외관이 구비 또는 확장되는 다중관, 발 또는 벽발(9)이 확장되는 다발관, 지반(110)에 키인 또는 키인 확장되는 키인관(3), 지반(110)에 키인되면서 확장(30) 또는 절편(9) 확장(30)되는 확장관, 지반(110)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외관(3-2, 3-3)이 확장(30)되는 다중관, 지반(110)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발(9)이 확장(30) 또는 절편 확장되는 다발관, 지반에 키인되면서 절편(9) 또는 절편벽(7)이 확장되는 절편관(3), 확장형 격자(10) 삽입 절편관(3), 지반(110)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절편(9) 확장(30)에 더하여 상기 격자(10)가 확장(31)되는 관 또는 절편관(3), 상기 격자(10)가 절편(9)의 굴곡부 또는 절편선(8)의 벌어짐 부위로 확장되는 절편관, 상기 절편(9)과 격자(10) 간에 당김선(11)이 구비된 관 또는 절편관, 상기 절편(9)의 확장(30)시 상기 당김선(11)에 의하여 격자(10)의 일측이 당김되면서 타측이 확장되는 관 또는 절편관(3), 연결판(2)이 구비된 상기 관(1), a2) 또는 원형, 통형, 콘형, 핀형, 발형, 편형, 판형, 톱니형, 원통형, 원판형, 중공형, 채움형, 피막형, 벽면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직선형, 연직형, 경사형, 곡선형, 곡면형, 오목형, 볼록형, 돌기형, 절편형, 점증형, 점축형, 점증점축형, 테이퍼형, 불연속형, 스파이크형, 마름모형, 사다리형, 선따기형, 벽절편형, 벽선따기형, 연결판구비형, 연결잭(5) 형성, 볼트 구멍(4) 형성, 경사 또는 각도(α) 1∼89도 중 하나 이상의 상기 관(3), 판(2), 판과 관, 판 구비 관(1), 관 구비 판; a3) 상기 단관 내지(∼) 관 구비 판 중 둘 이상 조합의 복합체;
b) 외관(3-3)과 내관(3-1)으로 구성된 2중관(3), 외관(3-3)과 중관(3-2)과 내관(3-1)으로 구성된 3중관(3); c) 2개 관(내관, 외관)의 길이가 상호 다른 2중관(3), 3개 관(내관, 중관, 외관)의 길이가 상호 다른 3중관(3), 외관(3-3)과 중관(3-2)과 내관(3-1)의 순 또는 역순으로 길이가 긴 2중관 또는 3중관(3); d) 자신의 길이 또는 높이(13)가 d1) 5∼50cm; d2) 기초(100) 길이의 0.1∼10%; d3) 기초(100) 직경의 0.5∼5배; 중 하나인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테이퍼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테이퍼관, 관 내지 테이퍼관; e) 자신의 두께 또는 벽두께(14)가 기초(100) 두께 또는 직경의 0.1∼50%인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f) 일정의 콘, 절개, 절단, 따기, 경사, 점축, 점증, 점선, 파선, 확장, 벌림, 파단선, 테이퍼, 콘형성, 휘어짐, 점선형성, 선단확장, 선단벌림; 이들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시행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g) 상기 절개, 절단, 따기, 점선, 파선, 파단선, 점선형성 중 하나에 의하여 g1)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9); g2) 자신의 벽, 외벽, 외피, 피막, 벽체, 둘레,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장자리 중 하나(7)에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9); 중 하나가 형성되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h) 일정의 점, 선, 면, 점선, 파선, 연직, 곡선, 길이, 삼각, 쐐기, 슬롯 중 하나의; 또는 하나 형태의; 또는 하나 형성의; 상기 콘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시행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i) 또는 i1) 핀(17), 봉, 돌기, 볼트, 네일(17); i2) 상기 핀 내지 스트랜드체(16) 중 둘 이상의 복합체(17, 18);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9); 단관 내지 복합체(3); j) 또는 j-1) 1) 일단(20), 일측(20), 일단(20)에서 일지점(21)까지, 일단(20)에서 타단(22) 방향으로 일지점(21)까지; 2) 또는 벽(7)의 상기 일단 내지 일지점까지; 중 하나가 불연속; 확장 불연속; 경사 불연속; 1∼99% 불연속, 2개 점 또는 공간 이상 불연속; j-2) j-2-1) j-2-1-1) 자신(1, 2, 3) 또는 자신 벽(7)의 선단, 일단,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헤드(20); j-2-1-2) 또는 지중(110)에 삽입, 매입, 시공, 설치, 관입, 항타 중 하나가 되는 부위, 선단, 일단, 하단, 단부, 헤드(20); j-2-2) 상기 선단 내지 헤드; 부위 내지 헤드 중 하나(20)에서 일지점(21)까지; 중 하나가 불연속; 확장 불연속; 경사 불연속; 1∼99% 불연속, 2개 점 또는 공간(8) 이상 불연속; 중 하나인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2, 3); k) 하기 얕은기초(100) 하단 면적의 10∼150%, 하기 깊은기초(100) 하단 면적의 80∼200% 중 하나의 상단 면적을 가진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2, 3); 중 하나를 구비하는 단계;
4)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3)가; 또는 하나에; 또는 하나의 일단(20)으로부터 타단(22) 방향으로 일정 지점(21)까지; a) 상기 3) f) 또는 h)의 콘 내지 복합; b) 일정 선을 따라 점 또는 2개 이상 점을 따는 따기 또는 점따기 또는 점선따기, 일정 선을 따라 슬롯 또는 2개 이상 슬롯을 따는 따기 또는 슬롯따기; c) 상기 a) 콘 내지 b) 슬롯따기 중 하나 시행, 형성; d)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 상기 a) 콘 내지 c) 형성; e) 상기 방향으로, 즉 일단(20)으로부터 타단(22) 방향으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 길이 또는 높이의 1/2, 1/3, 2/3, 1/4, 3/4, 1/5, 2/5, 3/5, 4/5 중 하나 지점(21)까지; 또는 일단(20)으로부터 길이 또는 높이의 1/2, 1/3, 2/3, 1/4, 3/4, 1/5, 2/5, 3/5, 4/5 중 하나 지점(21)까지; 상기 a) 콘 내지 d) 형성; f) 상기 방향의 역방향으로 또는 상기 일정 지점(21)부터 일단(20)까지 상기 a) 콘 내지 e) 형성;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단계;
상기 4)의 실시 예를 들면 a)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3)가 상기 3) f)의 절개 또는 h)의 테이퍼, 콘형성, 점선형성, 선단확장, 선단벌림; b)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3)에 일정 선을 따라 점 또는 2개 이상 점을 따는 따기 또는 점따기 또는 점선따기; c)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일단(20)으로부터 타단(22) 방향으로 일정 지점(21)까지 파단선 형성; d)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3)에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 상기 콘 형상의 테이퍼 형성; e)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일단(20)으로부터 타단(22) 방향으로 일정 지점(21)까지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 길이의 1/2 지점(21)까지 점선 따기 형성; f)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3)가 상기 방향의 역방향으로 또는 상기 일정 지점(21)부터 일단(20)까지 절개, 절단, 따기, 경사, 점축, 점증, 점선, 파선, 확장, 벌림; 등이 해당된다.
상기 길이 또는 높이의 1/2, 1/3, 2/3, 1/4, 3/4, 1/5, 2/5, 3/5, 4/5 중 하나 지점(21)까지는 일단(20)으로부터 길이 또는 높이의 1/2, 1/3, 2/3, 1/4, 3/4, 1/5, 2/5, 3/5, 4/5 중 하나 지점(21)까지, 일지점까지, 일정 지점까지 등을 나타낸다. 상기 방향은 일단(20)으로부터 타단(22) 방향 등이 해당되고, 역방향은 상기 일단(20)으로부터 타단(22)의 역방향; 타단(22) 또는 일정 지점(21)부터 일단(20)까지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판 내지 슬롯따기판의 형성, 조성, 절곡, 굴곡, 확장, 횡확장, 경사확장, 선단확장, 단면확장, 체적확장, 수평확장 등이 되는 부, 길이, 부위, 부분 등은 a) a1) 상기 따기, 점따기, 점선따기, 슬롯따기; a2) 이중 하나의 선, 부, 부위, 점선, 파선, 파단선; 등의 만큼, 길이, 지점까지; b) 상기 일단(20)에서 또는 일단(20)으로부터 길이 또는 높이의 1/2, 1/3, 2/3, 1/4, 3/4, 1/5, 2/5, 3/5, 4/5 중 하나 지점(21)까지; c) 상기 일정 지점(21)부터 일단(20)까지 등이 해당되게 된다.
따라서 a) a1) 상기 따기, 점따기, 점선따기, 슬롯따기; a2) 이중 하나의 선, 부, 부위, 점선, 파선, 파단선; 등의 만큼, 길이, 지점까지; b) 상기 일단(20)에서 또는 일단(20)으로부터 길이 또는 높이의 1/2, 1/3, 2/3, 1/4, 3/4, 1/5, 2/5, 3/5, 4/5 중 하나 지점(21)까지; c) 상기 일정 지점(21)부터 일단(20)까지 1) 등에 상기 판 내지 슬롯따기판 등이 형성되게 되고, 2) 등이 절곡, 굴곡, 확장, 횡확장, 경사확장, 선단확장, 단면확장, 체적확장, 수평확장; 3) 등의 상기 판 내지 슬롯따기판 등이 절곡, 굴곡, 확장, 횡확장, 경사확장, 선단확장, 단면확장, 체적확장, 수평확장; 등이 되게 된다.
상기 일단(20)에서 또는 일단(20)으로부터 길이 또는 높이의 1/2, 1/3, 2/3, 1/4, 3/4, 1/5, 2/5, 3/5, 4/5 중 하나 지점(21)까지는 상기 절개 내지 선단벌림 등이 되어, 상기 판 내지 슬롯따기판 등이 형성, 조성, 절곡, 굴곡, 확장, 횡확장, 경사확장, 선단확장, 단면확장, 체적확장, 수평확장 등이 된다. 이의 반대로 상기 타단(22)에서 또는 타단(22)으로부터 길이 또는 높이의 1/2, 2/3, 1/3, 3/4, 1/4, 4/5, 3/5, 2/5, 1/5 중 하나 지점(21)까지는 비(非) 상기 절개 내지 선단벌림 등이 되어, 상기 판 내지 슬롯따기판 등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판 내지 슬롯따기판 등이 절곡, 굴곡, 확장, 횡확장, 경사확장, 선단확장, 단면확장, 체적확장, 수평확장 등이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단(22)에서 또는 타단(22)으로부터 길이 또는 높이의 1/2, 2/3, 1/3, 3/4, 1/4, 4/5, 3/5, 2/5, 1/5 중 하나 지점(21)까지가 절곡, 굴곡, 확장, 횡확장, 경사확장, 선단확장, 단면확장, 체적확장, 수평확장 등이 되는 상기 일단(20)에서 또는 일단(20)으로부터 길이 또는 높이의 1/2, 1/3, 2/3, 1/4, 3/4, 1/5, 2/5, 3/5, 4/5 중 하나 지점(21)까지를 지지, 지보, 지탱, 버팀 등을 하게 된다.
상기 타단(22)에서 또는 타단(22)으로부터 길이 또는 높이의 1/2, 2/3, 1/3, 3/4, 1/4, 4/5, 3/5, 2/5, 1/5 중 하나 지점(21)까지는 상기 일단(20)에서 또는 일단(20)으로부터 길이 또는 높이의 1/2, 1/3, 2/3, 1/4, 3/4, 1/5, 2/5, 3/5, 4/5 중 하나 지점(21)까지의 반대측으로 비(非) 상기 절개 내지 선단벌림 등이 되지 않는 부, 부위, 부분, 구간, 구간을 나타낸다.
5) 5-1)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3); 5-2) 이중 하나의 선단(22); 5-3) 상기 4)에 기재된 타단(22); 5-4) 상기 절개 내지 선단벌림 중 하나가 되지 않는 비(非) 상기 절개 내지 선단벌림 중 하나 부(部), 부위, 부분, 선단(22); 중 하나(22)에 상기 판(2)을 결합, 용접, 몰딩, 판금, 밀링, 주물, 가공 등을 하는 단계,
상기 절개 내지 선단벌림은 상기 3 f) 등의 절개, 절단, 따기, 경사, 점축, 점증, 점선, 파선, 확장, 벌림, 파단선, 테이퍼, 콘형성, 휘어짐, 점선형성, 선단확장, 선단벌림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비(非) 상기 절개 내지 선단벌림 중 하나 부(部), 부위, 부분, 구간, 선단은 a) 비(非) 상기 절개 내지 선단벌림 중 하나 부(部), 부위, 부분, 구간, 선단; b) 상기 절개 내지 선단벌림 등이 되지 않은 부(部), 부위, 부분, 구간, 선단; c) 비절개부, 비절단부, 비따기부, 비경사부, 비점축부, 비점증부, 비점선부, 비파선부, 비확장부, 비벌림부, 비파단선부, 비테이퍼부, 비점선형성부, 비선단확장부, 비선단벌림부; d) 상기 비절개부 내지 비선단벌림부 중 하나인 상기 타단; 등(22)이 해당된다.
상기 타단은 상기의 '4)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가; 또는 하나에; 또는 하나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 지점까지'에 기재된 타단이 해당된다. 여기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일단은 상기 절개 내지 선단벌림 등이 되고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타단은 상기 절개 내지 선단벌림 등이 되지 않아 상기 판의 결합, 용접, 몰딩, 판금, 밀링, 주물, 일체화 등이 가능하게 된다.
6) 무근의 형틀 내에, 또는 빔(beam),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중 하나 이상이 삽입된 형틀 내에 물질; 이의 하나인 재료, 기초재료, 레미콘, 콘크리트, 진동처리 콘크리트; 등을 타설 또는 타설양생하여 기초를 제조하는 단계;
이는 공장, 실내, 제품공장, 레미콘공장, 콘크리트공장, 콘크리트 2차제품공장 등(80)에서 기초(110)를 제조, 생산, 제작 등을 하는 것으로, 철근 등이 없는 무근(90)의 형틀, 몰드, 거푸집 등(89)의 내에, 또는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조립철근, 배근철근, 철근케이지 등(91)이 삽입, 투입, 매입, 배근, 설치 등이 된 형틀, 몰드, 거푸집 등의 내(89)에 콘크리트(86)를 타설, 투입, 주입 등을 하고, 이의 타설 콘크리트를 양생, 증기양생, 살수양생, 공기양생, 수중양생, 오토클레이브양생, curing, autoclave curing 등을 하여 기초(100)를 제조, 제작, 생산 등을 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a) 기초(100)가 상기 제조; 또는 기성 제품;이 아니거나, b) 기초의 제조가 공장 또는 지상이 아니거나, 현장 또는 지중(110)에서 조성되는 조건에서는 콘크리트(86)가 상기 형틀(89)을 대신하는 a) 지중의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96); b)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하나(91) 투입 상기 보링부 내지 굴착공(96); 등에 타설, 투입, 주입 등이 되어 지중 기초(100)가 조성, 형성, 제조 등이 되게 된다.
상기 형틀(89)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형틀의 형태, 모양, 외형 등이 기초의 형태, 모양, 외형 등을 이루지만, 상기 보링부 내지 굴착공 등(96)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링부 내지 굴착공 등의 형태, 모양, 외형 등이 기초의 형태, 모양, 외형 등을 이루게 된다. 상기 형틀(89)의 경우에는 콘크리트(86)의 양생 후에 해체, 제거, 탈착 등이 수반되지만 상기 보링부 내지 굴착공 등(96)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형틀의 해체, 제거, 탈착 등이 필요 없게 된다.
여기서 콘크리트(86)는 원료를 저장하는 저장고(82), 원료를 배합기 등에 투입하는 호퍼(83), 원료를 배합하는 배합기(84), 배합된 콘크리트를 가압하는 펌프(87),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호스, 파이프 등의 공급라인(88) 등을 통하여 상기 형틀(89), 보링부 내지 굴착공(96) 등에 타설, 양생 등이 되어 기초(100)의 구성을 이룬다. 상기 저장고, 호퍼, 배합기, 펌프, 공급라인, 콘크리트(86) 등에는 a) 진동, 진동기(81), b) 또는 진동, 일반 진동기 등(81)에 더하여 자화, 자화기 중 하나 이상이 발생 또는 구비되는 진동, 진동기(81); x) 등을 조사, 발사, 방사, 가함, 발생; y) 등의 거치, 장착, 부착, 설치, 구비; 등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상기 배합기 중에서 날개 배합기의 경우에는 배합기 내부에 날개, 배합날개(85), 진동기(81) 등이 존치되게 된다.
본 고안에서 진동, 진동기, 일반 진동기, 자화, 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가진기, 진동자화기, 가진자화기 등(81)은 원료, 재료, 밀크, 몰탈, 레미콘, 슬러리, 콘크리트, 그라우팅재 등의 재료에 진동, 자기장 등을 가하여 상기 재료의 유동성, 배합성, 작업성, 워커빌리티, 부착성, 침투성, 강도, 강성,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7) 상기 판과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결합체(1),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3)에 결합 또는 용접된 판(2)을 a) 기초(100); b) 이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단부, 헤드, 내부, 내측, 측면, 외부, 내외부, 다지점, 일지점, 중공, 빔(91),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91); c)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하나(91)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다지점, 일지점, 헤드; 중 하나에 연결, 부착, 장착, 접촉, 존치, 거치, 삽입, 결합, 용접, 맞대기 중 하나를 하는 단계;
8) 상기 7)의 맞대기 조건에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판(2)과; 기초 또는 이의 선단에; 형성된 구멍(4)에 볼트(6)를 삽입, 투입, 매입, 관입, 조입 등을 하는 단계;
9) 상기 기초 또는 이의 선단에 볼트 구멍(4)이 없는 조건에서 볼트 구멍(4)이 형성된 연결구(105)를 상기 기초, 이의 선단, 철근(91), 보호대(108), 선단 보호대(108) 중 하나에 장착, 정착, 부착, 용접, 결합. 체결 등을 하는 단계;
여기서 보호대(108), 선단 보호대(108) 등은 기초; 이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단부; 일단에서 1∼15 cm 타단 또는 상부 방향; 등에 거치되어 기초, 이의 파손, 훼손, 파단, 탈락, 모서리탈락 등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대, 판, 시트, 매트, 고무, 철판, 금속판, 수지판, 고무판, PVC, 플라스틱, 단관, 원통, 튜브, 파이프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보호대는 캡, 뚜껑, 용기, 그릇, 용기, 그릇;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상기 캡 내지 그릇; 원띠 또는 중앙 중공의 원띠와 상기 원띠의 둘레에 외벽이 형성된 물체, 상기 캡 내지 그릇; 등도 해당된다. 상기 보호대는 기초의 선단에 씌움, 용접, 박음, 연결, 결합, 볼트연결, 리벳팅 등이 되어 거치된다.
10) 상기 연결구(105)가 장착 또는 용접된 기초가 사용되는 조건에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판(2)과; 기초 또는 이의 선단에 장착된 연결구(105)에; 형성된 구멍에 볼트(6)를 삽입하는 단계;
11) 상기 8) 또는 10)의 삽입 볼트(6)를 조임 또는 너트조임하는 단계;
본 고안에서는 상기 판(2)의 구멍(4)과 기초(100); 이의 연결판(105); 이중 하나의 구멍(4); 등에 볼트(6)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방식 이외에 상기 판(2)에 형성된 연결잭(5)을 기초(100), 이의 연결판(105); 이중 하나의 구멍(4)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방식 등도 가능하다.
12) 상기 연결 내지 맞대기, 조임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3); 상기 판(2) 구비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3); 중 하나가 상기 기초(100) 또는 상기 연결판(105) 구비 기초(100)에 장착되는 단계;
13) 대상 또는 지반(110)에 일정 장비((2)에 장착된 보링기, 천공기, 굴착기, 롯드(93), 비트(94), 케이싱(95) 중 하나를 압입, 매입, 근입, 관입 중 하나를 하는 단계;
여기서 a) 장비((2)는 장비, 공사장비, 보링장비, 천공장비, 굴착장비; b) 롯드(93)는 장비, 보링기, 천공기, 굴착기 등(93)에 장착되어 지중 속으로 압입, 매입, 근입, 관입 등이 되는 관, 롯드, rod, 중공관, 슬러리 주입관, 선단에 비트가 장착된 롯드; c) 비트(94)는 장비, 보링기, 천공기, 굴착기, 롯드; 이중 하나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다지점, 일지점; 등에 장착되어 지중 속으로 압입, 매입, 근입, 관입 등이 되면서 지반, 암반, 지중 등을 보링, 천공, 굴착 등을 하는 것, 비트, bit, 롯드의 하단에 구비된 비트; d) 케이싱(95)은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 등의 공벽, 외벽, 내벽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 등의 내부에 상입되는 관, 튜브, 파이프, 중공관, 케이싱, 케이싱관; 등이 해당된다.
14) 상기 보링기, 천공기, 굴착기(93), 롯드(94), 비트(95), 케이싱(96), 압입, 삽입, 매입, 관입 중 하나에 의하여 대상, 지반, 암반 중 하나(110)를 보링, 천공, 굴착, 프리보링, 슬러리보링, 벤토나이트슬러리보링, 진동처리 슬러리보링, 보링공벽 유지를 위한 슬러리보링 중 하나를 하는 단계;
여기서 프리보링은 프리보링, pre boring, 기초 또는 파일을 지중에 삽입하기 전에 먼저 보링하고 이의 보링공에 기초 또는 파일을 삽입하기 위한 보링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슬러리보링, 벤토나이트슬러리보링, 진동처리 슬러리보링, 보링공벽 유지를 위한 슬러리보링 등은 보링공 굴착시 보링공벽의 유지, 보호, 무너짐방지 등을 위하여 슬러리, 벤토나이트슬러리, 진동처리 슬러리, slurry, bentonite slurry, vibration treated slurry 등을 투입하면서 보링하는 것이 해당된다.
15) 상기 보링, 천공, 굴착 중 하나 시에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중 하나(96) 내부에 슬러리, 벤토나이트슬러리, 진동처리 슬러리 중 하나를 주입하거나 또는 무주입하는 단계;
16) 상기 보링 또는 천공 후에 보링기, 천공기, 굴착기((2), 롯드(93), 비트(94), 케이싱(95) 중 하나 이상을 인발하는 단계;
17) 상기 보링, 천공, 굴착, 인발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대상, 지반, 암반 중 하나(110)에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 중 하나(96)를 형성하는 단계;
18)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1, 3) 장착 기초(100)를 크레인 등의 장비(82)로 들어올리는 단계;
19)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장착 기초의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가 하향으로 향하도록 기초를 대상, 지반, 암반(11),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96) 중 하나에 삽입, 투입, 낙하, 항타 중 하나를 하는 단계;
상기 항타(97)는 a) 항타(97), b) 이를 하는 항타기, 항타장비((2), 해머(98), 드롭해머, 낙하해머(98); c) 항타장비((2) 등에 구비된 해머, 드롭해머, 낙하해머(98), d) 상기 장비, 해머 등에 의한 항타(97) 등이 해당된다.
20) 상기 삽입, 투입, 낙하 중 하나가 된 기초를 항타, 압입, 누름, 무항타, 선단항타, 근입항타, 키인(key-in)항타, 지반내 키인항타 중 하나를 하는 단계;
21) 상기 삽입, 투입, 낙하, 항타 중 하나가 된 기초의 길이가 부족한 조건에서 상기 기초의 상단에 다른 기초를 체결 또는 용접하는 단계;
22) 상기 체결 시 잭, 볼트, 리벳, 플랜지, 체결구, 볼트너트, 체결수단 중 하나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또는 볼트 구멍(4)이 형성된 체결구(105)에 의하여 상기 두 개의 기초를 체결하는 단계;
23) 상기 체결구를 제조하고자 하는 조건에서 길이 5∼50cm의 빔, 판, H빔, I빔, 단관, 원판, 원통, 튜브, 중공판, 파이프 중 하나의 양단에 볼트 구멍 형성 판 또는 중공판을 정착하여 상기 체결구의 1종을 제조하는 단계
24) 상기 21) 조건에서 상기 체결 또는 용접된 기초(100)를 상기 대상 내지 굴착공 중 하나(96, 110)에 삽입, 투입, 낙하, 항타 중 하나를 하는 단계;
25) 상기 기초가 목적하는 깊이까지 도달할 때까지 상기 삽입, 투입, 낙하, 항타, 체결, 용접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을 반복하는 단계;
26) 상기 a) 기초(100)의 제조가 공장 또는 지상이 아님; b) 기초가 현장 또는 지중(110)에서 조성됨, 기성 제품임, 상기 6)의 제조 품이 아님; 중 하나인 조건에서 상기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 중 하나(96)에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중 하나(91)를 삽입하는 단계;
27) 상기 26)의 삽입 전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1, 3)를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91); 이중 하나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다지점, 일지점, 헤드; 중 하나에 부착하거나, 또는 상기 보링부 내지 굴착공 중 하나(96) 바닥에 투입 또는 거치하는 단계;
28) 상기 26), 27) 등의 삽입, 투입, 거치 중 하나 후에 상기 보링부 내지 굴착공 중 하나(96) 내부에 물질; 이의 하나인 재료, 기초재료, 레미콘, 콘크리트, 진동처리 콘크리트; 중 하나(86)를 타설, 양생하여 현장에서 또는 지중(110)에 기초(100)를 조성하는 단계;
상기 26), 27), 28) 등은 공장(80) 제조 기초가 아니고 현장(110) 타설 기초를 나타내는 것이다.
29) a) 상기 보링, 천공, 굴착, 인발, 삽입, 투입, 낙하, 항타, 체결, 용접, 삽입, 타설, 양생, 조성; b) 이중 하나의 전, 중, 후;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슬러리를 배출 또는 펌핑하는 단계;
상기 보링, 천공, 굴착 등에 사용된 슬러리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배출 또는 펌핑되어아 하는바, 상기 단계는 a) 상기 보링, 천공, 굴착, 인발, 삽입, 투입, 낙하, 항타, 체결, 용접, 삽입, 타설, 양생, 조성; b) 이중 하나의 전, 중, 후;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슬러리를 배출 또는 펌핑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30) a) 상기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96); b) 이중 하나의 하부, 저부, 하부지반(110), 하부암반(110); c) 또는 상기 배출 또는 펌핑에 의하여도 비배출된 상기 슬러리의 잔존물인 슬라임(99); d) 이의 슬라임 구간(99); e) 상기 슬라임 또는 구간 중 하나(99)의 이하, 하부, 저부, 하부 지반(110), 하부 암반(110); 중 하나 이상에 a1) 상기 기초(100); 단관 내지 복합체(1, 3); a2)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 구비 기초(100); a3) 기초의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3); 중 하나가 매입 또는 키인(key-in)되는 단계;
31) 상기 삽입, 투입, 낙하, 항타, 매입, 키인, 부착, 존치, 타설, 양생, 조성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대상, 지반, 암반(110),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96) 중 하나에 상기 기초,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1, 3) 장착 기초(100)가 거치되는 단계;
32) 상기 슬라임 이하 내지 하부암반 중 하나에 상기 삽입 내지 키인 중 하나가 되어 a) 상기 기초(100), 단관 내지 복합체(1, 3); b) 상기 기초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중 하나가 슬라임(99); 이의 중간, 구간, 상부; 중 하나에 거치되는 것이 방지되는 단계;
여기서 슬라임은 a) 슬라임, slime, 슬러리; b) 슬러리의 잔존물, 잔류물, 미펌핑물, 미배출물; 등으로서 액상, 슬러리상 등의 약한 물질인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a) 상기 기초(100), 단관 내지 복합체(1, 3); b) 상기 기초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등이 슬라임(99); 이의 중간, 구간, 상부; 등에 거치되면 상기 기초 내지 하단 등이 침하, 변형, 이동, 유동, 슬라이딩, 지지력 감소, 선단지지력이 저감 등이 되므로 상기 기초 내지 하단 등이 슬라임(99); 이의 중간, 구간, 상부; 등에 거치되지 않고, 이들의 하부 지반, 암반 등에 삽입, 투입, 관입, 항타, 키인 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3) 상기 30) 또는 31)의 삽입 내지 키인 중 하나에 의하여 a) 상기 기초(100); 단관 내지 복합체(1, 3); 기초에 구비된 단관 내지 복합체(1, 3); b) 상기 기초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중 하나가 x) 상기 지반, 암반(110); y) 슬라임(99) 하부 지반, 암반; 중 하나에 근입, 고정, 정착 중 하나가 되는 단계;
34) a) 상기 삽입, 투입, 낙하, 항타, 거치, 타설, 매입, 키인, 조성, 근입, 고정, 정착; b) 또는 자중, 건물, 시설, 구조물, 상부시설, 지지시설 중 하나(120)의 하중, 중량, 무게, 재하, 작용(120); 중 하나 시에 또는 하나 이상에 의하여;
x)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3); 이중 하나의 내관(3-1), 중관(3-2), 외관(3-3); 중 하나 이상의 x1)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9); x2) 상기 콘 내지 복합 중 하나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9); x3) 절개(8)와 절개(8) 사이의 절개편(9), 선따기와 선따기 사이의 선따기편, 점따기와 점따기 사이의 점따기편, 슬롯따기(8)와 슬롯따기(8) 사이의 슬롯따기편(9); x4) 또는 x41)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16); x42) 상기 핀 내지 스트랜드체 중 둘 이상의 복합체(17, 18); 이의 복합체의 하나인 핀 부착 봉,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용접 네일,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용접 네일 체결 앵커, 핀이 부착된 봉이 장착된 돌기가 거치된 볼트가 용접된 네일이 체결된 앵커가 합체된 스트랜드체; 중 하나 이상 형성의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9); 중 하나가
대상, 지반, 암반, 지반속, 암반속(110),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96); 상기 보링부 내지 굴착공 중 하나 하부의 대상, 지반, 암반, 지반속, 암반속(110); 중 하나에서 굴곡; 또는 외향으로 굴곡;되어 확장(30, 31), 콘확장, 쐐기확장, 경사확장, 수평확장, 외향확장, 선단확장, 단면확장, 체적확장, 굴곡확장, 횡방향확장, 테이퍼확장, 내향확장, 외향확장, 내외향확장, 절개내향확장, 절개외향확장, 절개내외향확장(30, 31);
y) 또는 상기 확장(30, 31)에 의하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이중 하나의 내관, 중관, 외관; 중 하나 이상이 확장, 절곡, 벌어짐, 휘어짐, 휨확장, 콘확장, 쐐기확장, 경사확장, 수평확장, 외향확장, 선단확장, 단면확장, 체적확장, 굴곡확장, 횡방향확장, 테이퍼확장, 내향확장, 외향확장, 내외향확장, 절개내향확장, 절개외향확장, 절개내외향확장(30, 31); 중 하나가 되는 단계;
35) 상기 확장(30, 31)에 의하여 a)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b) 기초 선단인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c)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가 부착된 기초의 선단; d)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가 부착되어 기초의 선단이 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단면적 또는 지지면적이 확대되는 단계;
36) 상기 확장 또는 확대에 의하여 상기 기초(100);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1, 3) 구비 기초(100);의 지지력 또는 선단지지력(121)이 향상되는 단계;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매입파일, 항타파일, 현타파일, 지열파일, 지열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블럭기초, 강재기초, 스크류기초, 우물통기초, 콘크리트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개량형 상기 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 등은 상기 1) 단계 내지 36) 단계 등으로 또는 등에 의하여 공사, 설치, 시공, 건설, 발주, 계획, 설계, 감리, 감독, 시행, 이용, 사용, 적용, 활용 중 하나가 되는 a) 기초(100); b) 이의 하나인 b1) 파일, 말뚝, 피어, 후팅, 기초, 케이슨; b2) 또는 b21) 핀, 빔, 줄, 봉, 벽, H, I, 강(鋼), 철강, 철근, 철근망, H빔, I빔, 벽체, 얕은, 깊은, 직접, 후팅, 전면, 정적, 동적, 진동, 내진, 독립, 단독, 군(群), 군집, 그룹, 연속, 연결, 일단, 다단, 임시, 영구, 목재, 말뚝, 기둥, 수지, 금속, 비금속, 기초, 지반, 암반, 지중, 지하, 보강, 개량, 지지, 지보, 버팀, 차수, 방수, 지수, 항타, 석션, 다짐, 매입, 압입, 연직, 수평, 경사, 사면, 옹벽, 매끈, 돌기, 강관, 철골, PHC, PVC, FRP, 육상, 해상, 지중, 수중, 건물, 주택, 시설, 철탑, 교량, 교각, 교대, 옹벽, 댐, 제방, 로드, 구조물, 데크로드, 우물통, 물막이, 흙막이, 터파기, 가시설, 시멘트, 고분자, 플라스틱, 합성수지, 볼트, 앵카, 나선, 쐐기, 테이퍼, 헬리칼, 스크류, 마이크로, 공장제조, 현장타설, 드릴, JSP, SGR, LW, SCW, DCM, CCP, CDM, CGS, DJM, JGM, TJG, SIG, RJP, CJG, CIP(cast in place), PRD(percussion rotary drill), PRD(percussion rotary drill)기초,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드릴천공콘크리트타설, 프리보링매입, 레미콘,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시멘트콘크리트, 리모델링, 지진저항, 부력방지, 지중주입, 지중분사, 지중믹싱, 지중다짐, 지중매입, 지중관입, 지중항타, 핀형성, 봉관통, 철근삽입, 파일삽입, 강관삽입, 보강재삽입, 그라우팅, 그라우팅공에 삽입, 그라우팅부에 삽입, 잭 또는 피스톤으로 압입되는 압입, 사전보링공에 매입되는 매입, 형틀콘크리트타설, 지중콘크리트타설, 보링공콘크리트타설, 철근 매입 형틀에 콘크리트타설, 철근 매입 지중에 콘크리트타설, 철근 매입 보링공에 콘크리트타설; 중 하나의 기초,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a)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b)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c) 또는 빔(beam), H, I, H빔, I빔, 강, 금속, 비금속, 목재, 수지, 관, 강관, 철근, 철골, PHC, PVC, 시멘트, 고분자, 플라스틱, 합성수지, 샤프트, 철근망, 철근케이지, 콘크리트, 그라우팅, 지중주입재, 그라우팅재, 지중그라우팅재, 철근콘크리트, 군(群), 독립, 단독, 그룹, 일단, 다단, 벽, 벽체, 말뚝, 기둥, 기초, 지반, 암반, 사면, 지중, 지하, 보강, 개량, 항타, 다짐, 매입, 압입, 연직, 수평, 경사, 사면, 옹벽, 앵카, 네일링, 볼트, 지지, 지보, 버팀, 차수, 방수, 지수, 매끈, 돌기, 돌기 형성, 육상, 해상, 지중, 수중, 건물, 시설, 철탑, 교량, 교각, 교대, 후팅, 구조물, 물막이, 흙막이, 터파기, 볼트, 나선, 쐐기, 테이퍼, 헬리칼, 스크류, 마이크로, 직경 30cm 이하의 마이크로, 공장제조, 현장타설, 드릴, 드릴천공, 지중드릴, 지중드릴천공, 드릴 후 삽입, 드릴천공 후 삽입, 항타, 매입, 관입, 삽입, 지중 또는 보공에 삽입 또는 항타, 철근 매입, 콘크리트타설, 프리보링매입, 리모델링, 그라우팅, 그라우팅부 또는 그리우팅주입부에 삽입되는, 잭 또는 피스톤으로 압입되는 압입, 사전보링공 또는 그라우팅주입공에 매입되는 매입, 상기 또는 하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하나 매입, JSP, SGR, LW, SCW, DCM, CCP, CDM, CGS, DJM, JGM, TJG, SIG, RJP, CJG, CIP(cast in place), PRD(percussion rotary drill),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등의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기초 내지 케이슨; d) 상기 빔 내지 철근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매입된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기초 내지 케이슨; e) 상기 또는 하기 관, 판, 핀 내지 복합체, 편 내지 슬롯따기편, 단관 내지 복합체, 테이퍼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테이퍼관, 관 내지 테이퍼관 등이 구비된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기초 내지 케이슨; 등이 해당된다.
상기의 c)의 예로서 파일에 대한 예를 들면 H파일, I파일, 빔파일, 강파일, 독립파일, 그룹파일, 일단파일, 다단파일, 목재파일, 말뚝파일, 기둥파일, 수지파일, 금속파일, 비금속파일, 기초파일, 지반파일, 암반파일, 지중파일, 지하파일, 보강파일, 개량파일, 항타파일, 다짐파일, 매입파일, 압입파일, 연직파일, 수평파일, 경사파일, 사면파일, 옹벽파일, 지지파일, 지보파일, 버팀파일, 매끈파일, 돌기파일, 강관파일, 철골파일, PHC파일, PVC파일, 육상파일, 해상파일, 지중파일, 수중파일, 건물파일, 시설파일, 철탑파일, 교량파일, 교각파일, 교대파일, 구조물파일, 물막이파일, 흙막이파일, 터파기파일, 시멘트파일, 고분자파일, 플라스틱파일, 합성수지파일, 볼트파일, 나선파일, 쐐기파일, 테이퍼파일, 헬리칼파일, 스크류파일, 마이크로파일, 공장제조파일, 현장타설파일, 어스드릴기초, 올케이싱기초, JSP, SGR, LW, SCW, DCM, CCP, CDM, CGS, DJM, JGM, TJG, SIG, RJP, CJG, CIP(cast in place)파일, PRD(percussion rotary drill)파일, RCD(reverse circulation drill)파일, 드릴파일, 드릴천공콘크리트타설파일, 프리보링매입파일, 콘크리트파일, 철근콘크리트파일, 리모델링파일, 그라우팅파일, 그라우팅공에 삽입, 그라우팅부에 삽입되는 파일, 잭 또는 피스톤으로 압입되는 압입파일, 사전보링공에 매입되는 매입파일 등이 해당된다.
상기에 열거된 기초, 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 기초 내지 RCD기초 등에 대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기초는 기초, 基礎, foundation,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기초 내지 케이슨; 2) 줄기초는 줄, 줄모양, 줄형태 등의 기초; 벽기초는 벽, 지중벽, 지하벽, 슬러리월, 벽줄모양, 벽줄형태 등의 기초; 3) 동적기초, 진동기초, 내진기초 등은 a) 동적, 진동, 내진, 지진; 이중 하나의 하중 등에 이용되는 기초, b) 시공시 동적, 진동, 항타 등을 하면서 또는 가하면서 지중 등에 삽입되는 기초; 4) 석션기초는 석션기초, suction기초, 기초를 지중에 삽입하고 기초의 상부 등에 있는 구멍에 진공 또는 석션압을 가하여 기초를 지중에 더 삽입 등을 시키는 기초; 5) 스크류기초는 봉, 대, 기둥, 샤프트 등의 외면이 나선, 스크류, 헬리칼 등이 형성 되거나, 또는 외주에 나선, 스크류, 헬리칼 등이 형성된 기초; 6) 얕은기초는 얕은기초, 후팅, 줄기초, 직접기초, 후팅기초, 전면기초, 독립기초, 단독기초, footing, footing foundation, shallow foundation; 7) 깊은기초는 깊은기초,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파일기초, 말뚝기초, 피어기초, 케이슨기초, deep foundation; 8) 지중주입기초는 지중, 지반, 지하, 암반, 굴착부, 굴착공,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등에 물질, 모래, 자갈, 골재, 쇄석, 석회, 석고, 수지, 시멘트, 슬래그, 부산물, 몰탈, 밀크, 약액, 현탁액, 레미콘, 페이스트, 콘크리트, 섬유, 보강재, 철근, 철근망, 철근케이지; 이중 둘 이상 재료; 등을 주입, 인젝션, 그라우팅 등을 하여 형성, 양생 등이 된 기초, 주입기초, 인젝션기초, 그라우팅기초;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9) 지중분사기초는 a)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등에 상기 물질 내지 재료 등을 분사, 주입, 제팅, 인젝션, 그라우팅 등을 하여 형성된 기초, 분사기초; b) 상기 분사, 주입, 제팅, 인젝션, 그라우팅 등이 된 부, 부위, 구간, 깊이, 보링공 등에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기초, 파일, 피어 등이 매입된 기초; 10) 지중믹싱기초는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등에 상기 물질 내지 재료 등을 믹싱하여 형성된 기초, 지중믹싱기초, DCM(deep cement mixing), SCW(soil cement wall); 10) 지중다짐기초는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등에 상기 물질 내지 재료 등을 다짐하여 형성된 기초, SCP(sand compaction pile), GCP(gravel compaction pile),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VCCP(vibrated 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12) 지중매입기초, 핀 형성 파일, 핀 형성 기초, 봉 관통 기초, 봉 관통 콘크리트기초, 파일 또는 보강재 매입 기초, 지중관입기초, 지중항타기초 등은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등에 매입, 관입, 삽입, 항타 등이 된 기초;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등에 빔, 철근, 철봉, 강관, 파일, 보강재 등이 매입, 관입, 삽입, 항타 등이 된 기초; 13) 마이크로파일, 그라우팅파일, 그라우팅기초, 보강재 매입 그라우팅기초, 핀 형성 보강재 매입 그라우팅기초, 그라우팅공 매입기초, 그라우팅부 매입기초, 지중주입부 매입기초, 그라우팅 후 매입기초 등은 a) 그라우팅, 지중그라우팅, 건물그라우팅, 균열부그라우팅; 상기 그라우팅 중 하나의 전, 중, 후; 또는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재, 지중주입부, 그라우팅주입공, 그라우팅주입부; 등에 매입되는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b) 상기 그라우팅공 내지 그라우팅주입부의 기초, 상기 그라우팅공 내지 그라우팅주입부로 된 기초; c) 상기 그라우팅 내지 그라우팅주입부 등에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주입재, 그라우팅재, 철근케이지, 물체, 기초, 파일, 피어, 소구경파일, 마이크로파일;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등이 주입 또는 매입되는 기초; d) 그라우팅과 기초 또는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등이 조합된 기초; 그라우팅재 또는 그라우팅부와 기초 또는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등이 조합된 기초; e) 그라우팅공 또는 그라우팅부에 기초 또는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등이 주입 또는 매입된 기초; f) 기초, 이의 주변, 외주, 외면, 외부, 내부, 보링공, 매입공, 항타공, 주변지반 등에 그라우팅이 된 또는 그라우팅재가 주입된 기초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a) 그라우팅재는 밀크,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페이스트, 시멘트밀크, 시멘트몰탈, 그라우팅재, 진동처리 그라우팅재 등이 해당되고, b) 그라우팅은 b1) 그라우팅, grouting, 그라우팅 작업하는 것, b) 그라우팅재를 지중, 지반, 암반, 굴착부, 보링공 등에 주입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 핀 형성 보강재 매입 그라우팅기초 등에서 핀은 핀,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핀 형성 보강재는 핀 등이 형성, 조성, 부착, 장착, 구비, 거치, 용접, 접합, 결합, 연결, 나사연결 등이 된 보강재이다. 본 고안에서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재, 지중주입부, 그라우팅주입공, 그라우팅주입부 등은 a)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재, 지중주입부, 그라우팅주입공, 그라우팅주입부, injection hole, grouting hole, 그라우팅재주입공, 그라우팅재주입부, 그라우팅재분사공, 그라우팅재분사부; b) 지중에 형성된 그라우팅용 공(孔), 부(部), 보링공, 굴착부, 지중보링공, 지중굴착부, 건물보링공, 건물굴착부; c) 주입재 또는 그라우팅재가 주입 또는 채움된 공, 부, 보링공, 굴착부, 지중보링공, 지중굴착부, 건물보링공, 건물굴착부; 등이 해당된다.
14) 그리고 어스드릴기초는 어스드릴기초, earth drill 기초, 어스드릴로 천공하면서 조성하는 기초, 드릴로 어스(지반)를 천공하면서 조성하는 기초, 회전버켓(bucket)을 이용하여 안정액으로 공벽을 유지하면서 굴착하고 이의 굴착부에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기초; 15) 올케이싱기초는 올케이싱기초, all casing 기초, 요동식 올케이싱기초, 전선회식 올케이싱기초, 돗바늘 올케이싱기초, 해머 그랩 등으로 토사를 배출하면서 케이싱을 압입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이의 굴착부에 철근망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기초;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16) CIP(cast in place)기초는 CIP기초, 현장타설기초, 현장시공기초; 17) PRD(percussion rotary drill)기초는 PRD기초, 드릴 천공하여 조성하는 기초, 로타리드릴 천공하여 조성하는 기초, 퍼커슨로타리드릴 천공하여 조성하는 기초; 18)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기초는 RCD기초, 역순환 굴착기초, RCD장비를 이용해 정수압으로 공벽을 보호하며 드릴로드(93) 끝부분에 장착된 드릴비트(94, drill bit)를 회전시켜 지반 천공을 한 후에 사전 조립된 철근망(91)을 삽입하고 콘크리트(86)를 타설하여 조성된 현장타설 콘크리트기초; 등이 해당된다. RCD는 일반 로터리식굴착의 물 순환과는 반대로 드릴 막대관(drill rod pipe)으로 순환수와 굴착토를 함께 흡입하여 지상으로 배출하고, 배출된 순환수는 침전지를 거쳐 다시 굴착공으로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CIP기초, PRD기초, RCD기초 등은 CIP장비, PRD장비, RCD장비, 오거장비 등을 사용하여 지반, 지중, 지하 등을 굴착한 후, 또는 지반 등에 케이싱을 삽입하면서 그 내부를 상기 장비 등으로 굴착한 후 이의 굴착부, 굴착공, 보링공 등에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등을 삽입하고, 여기에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등과 콘크리트 등이 일체로 되는 기초 등도 해당된다. 상기 케이싱은 굴착부, 굴착공, 보링공 등의 전체 깊이, 부분 깊이, 일부 깊이, 지표에서 암반까지의 깊이, 지표에서 풍화암까지의 깊이, 지표에서 굴착 공벽이 무너지지 않는 정도까지의 깊이 등에 삽입, 압입, 설치 등이 된다.
그리고 19) PHC, PHC파일 등은 고강도콘크리트말뚝,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restressed high-strength concrete pile; 20) PVC는 polyvinyl chloride; 21) FRP는 섬유강화플라스틱, fiber-reinforced plastic; 22) 볼트, 나선, 쐐기, 테이퍼, 헬리칼, 스크류 등의 기초는 a) 볼트, 나선, 쐐기, 테이퍼, 헬리칼, 스크류 등의 기초; b) 또는 b1) 봉, 대, 롯드, 기둥, 샤프트; b2) 이중 하나의 또는 이중 하나의 길이를 따라 전체, 부분, 일부, 선단, 하단, 하부, 중간, 다지점, 일지점, 일구간, 다구간, 2개 구간, 3개 구간, 다수 구간, 일단에서 일지점까지; 등에 날개, 볼트, 나선, 쐐기, 테이퍼, 헬리칼, 스크류 등이 구비된 기초 등이 해당된다. 23) 그리고 매입은 지반, 암반, 굴착부, 보링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등에 매입된 기초, 파일, 24) 현타는 a) 현장에서 타설되는 기초, 현장에서 타설되어 형성되는 기초, 현장에서 콘크리트 등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기초, 파일, b) 현장, 이의 지반, 암반, 굴착부, 보링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등에 빔, 철근, 강관, 철근망, 보강재, 콘크리트 등이 투입되어 형성되는 기초, 파일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25) 상기 후팅 또는 후팅 기초는 후팅, 후팅기초, 줄기초, 얕은기초, 직접기초, 전면기초, 독립기초, 단독기초 등이 해당된다. 26) 매입기초 지반, 지중, 지하, 보링공, 보링홀, 굴착부, 천공부 등에 매입, 근입, 압입, 투입, 항타 등이 된, 또는 등이 되어 설치된 파일, 27) 항타기초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등에 항타, 해머링, 해머항타, 드롭항타 등이 된, 또는 등이 되어 설치된 파일, 28) 현타기초 현타파일, 현장타설파일, 현장에서 레미콘, 콘크리트 등이 타설 또는 투입되어 형성된 파일, 현장에서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등에 레미콘, 콘크리트 등이 타설 또는 투입되어 형성된 파일, 현장에서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등에 빔, 철근, 강관, 철골, 철근망, 철근케이지 등이 투입되고 레미콘, 콘크리트 등이 타설되어 형성된 파일, 29) 마이크로기초 마이크로파일, 소구경파일,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등에 파일이나 마이크로파일이 삽입되고 그라우팅이 된 파일,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등에 그라우팅 후 그 내부에 빔, 철근, 강관, 강봉, 철골, 철근망, 철근케이지, 파일, 마이크로파일 등이 삽입된 파일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30)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스트랜드파일, 지열기초, 에너지기초 등은 a) 지열, 에너지, 지열에너지 등의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b) 자신의 몸체, 구체 또는 내부의 중공부 등에 지열파이프(160), 충진재 중 하나 이상이 삽입 또는 거치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c) 자신의 몸체, 구체 또는 내부의 중공부 등에 U자형 지열파이프(160), 충진재 중 하나 이상이 삽입 또는 거치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d) 수, 물, 액체, 냉수, 온수, 난방수, 냉방수 등(181)이 순환되는 지열파이프, 순환파이프, 물순환파이프 등(160)이 자신의 몸체, 구체 또는 내부의 중공부 등에 내장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e) 수, 물, 액체, 냉수, 온수, 난방수, 냉방수 등(181)이 한쪽으로 유입되고 다른 한쪽으로 유출되는 U자형 지열파이프, 순환파이프, 물순환파이프 등(160)이 자신의 몸체, 구체 또는 내부의 중공부 등에 내장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등이 해당된다. 상기의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스트랜드파일 등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열파이프 또는 물순환파이프(160)는 펌프, 히터펌프 등(162)에 연결되고, 이의 펌프에는 냉난방시설 등(163)이 연결되어 건물, 시설 등의 냉난방에 이용되게 된다.
그리고 31) 핀기초, 봉기초, 돌기기초, 볼트기초, 네일기초, 앵커기초, 스트랜드기초, 핀파일, 봉파일, 돌기파일, 볼트파일, 네일파일, 앵커파일, 스트랜드파일 등(100)은 a)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블럭기초, 콘크리트기초; 하기 단관 내지 복합체; b) 상기 기초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홀, 구멍, 통공, 공동, 중공, 주변, 외부, 외면, 외측, 외향, 외벽, 피막, 피복, 외주, 선단, 하단, 상단, 일단, 타단, 상부, 하부, 중간, 가두리, 가장자리; 등에 1)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이중 둘 이상 복합체; 이의 복합체의 하나인 핀 부착 봉,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용접 네일,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용접 네일 체결 앵커, 핀이 부착된 봉이 장착된 돌기가 거치된 볼트가 용접된 네일이 체결된 앵커가 합체된 스트랜드체; 2) 상기 선 내지 절편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핀 내지 복합체; x) 등이 구비, 거치, 설치, 위치, 장착, 정착, 부착, 용접, 끼움, 관통, 통과, 삽입, 매입, 투입, 접합, 결합, 연결, 돌출, 외부로 돌출; y) 등이 1, 2, 3, 4, n, 1개, 2개, 3개, 4개, n개, 다(多), 다수, 다수개, 직교, 수직, 연직, 수평, 경사 등으로 구비, 거치, 설치, 위치, 장착, 정착, 부착, 용접, 끼움, 접합, 결합, 연결, 삽입, 매입, 투입, 돌출, 관통, 통과, 관통설치, 통과설치 등이 된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등이다. 이의 예로는 봉 또는 핀이 돌출된 기초, 하단에 핀이 구비된 파일, 하부 선단에 핀이 정착된 기초, 봉 또는 핀이 돌출된 파일, 돌기가 돌출된 피어, 외주에 돌기가 돌출된 후팅, 부분적으로 외부에 돌기가 돌출된 케이슨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16, 17, 18)은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100), 단관 내지 복합체(1, 2, 3) 등의 외주, 외벽, 외면, 둘레 등에 거치되어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등의 지지력, 주변마찰력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은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등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 연직, 수직, 경사, 수평, 확장, 외부확장 등으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핀기초 내지 스트랜드파일 등은 a)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이 사용되는 기초, 파일, 후팅, 피어, 케이슨; b)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이 기초, 파일, 후틱, 피어, 케이슨, 블럭기초, 강재기초, 얕은기초, 후팅기초, 깊은기초, 콘크기트기초; 이중 하나(100)의 홀, 구멍, 내부, 외부, 외면, 외벽(160), 둘레(160), 가두리(160), 가장자리(160); 등에 구비, 거치, 연결, 통과, 관통, 삽입, 매입, 투입 등이 된 기초, 파일, 후팅, 피어, 케이슨; 등도 해당된다.
그리고 32) 블럭기초, 콘크리트기초 등(100)은 a) 블럭기초, 콘크리트기초, 콘크리트블럭기초, 철근콘크리트기초, 4각기초, 다각기초, 육면체기초, 자유형기초, 자유형상기초, 임의형상기초, 마름모형기초, 다이아몬드형기초, 후팅기초, 얕은블럭기초, 얕은콘크리트기초, b)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이 구비, 거치, 연결, 접합, 관통, 삽입, 투입, 매입, 장착, 정착 등이 된 블럭기초, 콘크리트기초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의 기초, 핀기초, 돌기기초, 블럭기초, 얕은기초, 후팅기초, 콘크리트기초 등(100)에는 도 19와 같이 a) 블럭, 블럭헤드, 헤드블럭,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이 구비된 블럭(141), b) 상기 블럭에 형성된 홀, 구멍, 천공홀(142), c) 상기 블럭, 홀, 구멍, 천공홀 중 하나 이상에 부착 또는 관통되는 상기 핀 내지 복합체(140), d) 상기 블럭헤드의 상부에 거치된 브라켓, 안착대(143), e)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의 캡, 마개, 덮개, 마감재(144) 또는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을 상기 블럭헤드, 홀, 구멍, 천공홀, 홀입구 등에 정착하는 캡, 앵카, 볼트, 너트, 마개, 정착대(144) 등으로 구성된 기초, 핀기초, 돌기기초, 블럭기초, 콘크리트기초 등도 해당된다. 상기 브라켓 또는 안착대의 상부에 건물, 구조물, 이의 벽, 기둥 등(145)이 거치되게 되어, 상기 핀기초, 돌기기초 등은 건물, 구조물, 이의 벽, 기둥 등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 안착대 등(143)에는 홀, 구멍 등(146)이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상기 브라켓, 안착대 등과 상기 블럭헤드, 벽, 기둥 등과의 연결을 위한 볼트, 나사, 앵카 등이 연결, 삽입, 고정 등이 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기초, 핀기초, 돌기기초, 블럭기초, 얕은기초, 후팅기초, 콘크리트기초;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블럭, 홀, 구멍, 캡, 마개, 덮개, 마감재, 브라켓, 안착대, 앵카, 볼트, 너트, 정착대; 등에는 도 20과 같이 본 고안의 상기 또는 하기 단관 내지 복합체, 핀 내지 복합체 등(1)이 구비, 거치, 연결 등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기초,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상기 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 기초 내지 RCD기초 등(100)에는 a) JSP(jumbo special pile), SGR(space grouting rocket), LW(labiles wasserglass), SCW(soil cement wall, soil cement mixing wall), DCM(deep cement mixing), CCP(chemical chuning pile), CDM(cement deep mixing), CGS(compaction grouting system), DJM(dry jet mixing), JGM(jet grouting method), TJG(twin jet grouting), SIG(super injection grout), RJP(rodin jet pile), CIP(cast in place), PRD(percussion rotary drill),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CJG(column jet grouting) 등이 포함되거나, b) 상기 JSP 내지 CJG, 그라우팅, 지반개량, 지반보강, 그라우팅파일, 지반개량파일, 지반보강파일 등에 의한, 등이 사용되는, 등이 해당하는, 등에 의하여 형성된 등의 기초,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상기 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 기초 내지 RCD기초 등이 포함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JSP 내지 CJG 등은 a) 상기 JSP 내지 CJG; b) 상기 JSP 내지 CJG 등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등(100)이 해당, 포함 등이 된다.
본 고안에서 기초,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등(100)은 a) 기초,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b) 또는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탄소, 섬유, 화이버, 슬래그,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콘크리트, 시멘트콘크리트, 보강콘크리트; 하기 단관 내지 복합체, 핀 내지 복합체; 하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 구비 하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기초,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또는 등이 함유, 포함, 투입, 구비, 거치, 설치 등이 된 기초,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보강재는 탄소, 섬유, 매트, 시트, 화이버, fiber, 보강재, 슬래그, 탄소섬유, 나노섬유, 탄소시트, 나노시트;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등이 해당되고, 탄소는 탄소, 탄소재, 탄소봉, 탄소근, 탄소망, 나노탄소, 탄소섬유, 탄소시트, carbon 등이 해당되고, 빔은 빔, H빔, I빔, beam, 강관빔, 기둥빔, 보강빔, 기초빔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1) 기초는 기초, foundation, 건물기초, 시설기초, 구조물기초,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2) 파일은 파일. pile, 말뚝, 파일기초, 나무파일, 시멘트파일, 콘크리트파일, 철근콘크리트파일, 현장콘크리트파일, steel pile, PHC파일, Frankey파일, pedestal파일, Raymond파일; 3) 피어는 a) 피어, pier, 피어기초, Chicago피어, Gow피어, Benoto피어, 어스드릴피어, PRD피어, RCD피어, b) 파일보다 직경, 길이 등이 크거나 길면서 케이슨보다는 직경, 길이 등이 작거나 짧은 기초; 4) 후팅은 후팅, footing, footing foundation, 후팅기초, 얕은기초, 독립후팅기초, 캔틸레버후팅기초, 연속후팅기초, 줄후팅기초; 5) 케이슨은 a) 케이슨, 케이슨기초, caisson, open caisson, pneumatic caisson, box caisson, b) 파일 및 피어보다 직경, 길이 등이 크거나 긴 기초;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진동처리는 a) 진동, 진동기 등에 더하여 자화, 자화기 등이 조사(照射) 또는 구비되는 복합 진동기로 처리; b) 상기 진동기를 재료에 삽입하여 재료에 상기 진동, 자기장 등을 가함; c) 재료가 상기 진동기를 통과, 흐름, 거침; 등이 되는 것으로, 진동처리된 재료는 유동성, 분사성, 주입성, 작업성, 워커빌리티 등이 향상되고, 이에 의하여 재료, 기초 등의 작업, 제조, 제작, 생산, 공사, 설치 등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a) 재료는 a1) 밀크,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페이스트, 시멘트밀크, 시멘트몰탈, 그라우팅재, 슬러리, 벤토나이트슬러리, a2) 진동처리된 상기 몰탈 내지 벤토나이트슬러리, a3) 진동기 또는 하기 진동기로 진동처리된 상기 몰탈 내지 벤토나이트슬러리 등이 포함된다. b) 그리고 콘크리트에는 밀크,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페이스트, 시멘트밀크, 시멘트몰탈 등이 포함된다. c) 그리고 재료는 c1)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굴착, 보링, 그라우팅, 지중굴착, 지중보링, 지중그라우팅; c2) 이중 하나의 공, 홀, 부, 구멍, 형틀, 거푸집, 공사, 시공, 작업, 설치; 등에 이용, 사용, 함유, 혼합, 주입, 투입, 타설 등이 된다.
본 고안에서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관, 판, 연결판, 단관 내지 테이퍼관, 빔, 봉, 철근, 철망, 철골, 탄소, 섬유, H빔, I빔, 재료, 진동기 등은 실시예 1 내지 19 등에 기재된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관, 판, 연결판, 단관 내지 테이퍼관, 빔, 봉, 철근, 철망, 철골, 탄소, 섬유, H빔, I빔, 재료, 진동기 등이 고르게 해당, 함유, 포함, 속함 등이 된다. 이는 a) 실시예 1에 기재된 기초에는 실시예 15 등에 기재된 기초 등이 포함되고, b) 실시예 7에 기재된 단관에는 실시예 12 등에 기재된 빔, 봉, 철근, 철망, 철골, 탄소, 섬유, H빔, I빔 등이 포함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 단관 내지 테이퍼관은 하기의 단관 내지 테이퍼관, 단관 내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단관 내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단관 내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등이 해당된다.
이하, 청구항을 토대로 본 고안의 내용, 또는 본 고안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지열기초, 스크류기초, 우물통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이중 하나에 의하여 지지되는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 등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청구항 1에 의하면 자신의 철근 또는 보강재에 절편관, 또는 판 구비 관이 장착된 얕은기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도 18, 19 및 이의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본 고안의 시설은 청구항 2에 의하면 자신의 철근 또는 보강재에 절편관, 또는 판 구비 관이 장착된 얕은기초가 지지하는 시설로서, a) 상기 판, 관, 절편관의 관 중 하나 이상은 절개되고, b)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판, 관 중 하나 이상에 절편이 형성되고, c) 상기 판, 관 중 하나 이상은 점증, 점확, 경사, 테이퍼 중 하나가 되고, d) 상기 시설은 댐, 탑, 철탑, 벽, 제방, 시설, 건물, 주택, 교량, 육교, 교각, 교대, 도로, 옹벽, 항만, 아파트, 구조물, 시설물, 데크로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청구항 3에 의하면 진동처리된 재료, 밀크,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페이스트, 시멘트밀크, 시멘트몰탈, 그라우팅재, 슬러리, 벤토나이트슬러리 중 하나가 이용되는 기초로서, 1) 상기 진동처리는 진동기에 의하고, 2) 상기 진동기는 a) 전원부(131), 컨버터(132), 인버터(133), 스위칭부(134), 검출부(135), 제어부(13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137)의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가 삽입된 케이스(138)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10∼150dB 진동의 전, 중, 후 중 하나 이상에 자기장, 자속밀도가 1,000∼20,000 가우스인 자기장, 자속밀도가 0.1∼2 테슬라인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는 진동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복합기(81)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자기장의 전, 중, 후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진동 또는 10∼150dB 진동을 발생하는 자화기, 진동자화기, 진동자화복합기(81) 중 하나이고, 3) 상기 케이스(138)는 하기 1, 2, 3, 4, 5 중 하나이고, 상기 1은 봉, 통, 블럭, 원통, 튜브, 파이프,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중공형, 중공통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진 케이스(case)이고, 상기 2는 자신의 내부에 상기 모터, 또는 상기 전원부 내지 제어부의 전체 또는 부분이 구비된 케이스이고, 상기 3은 자신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이고, 상기 4는 자신을 거치거나 또는 접촉되는 상기 재료 내지 벤토나이트슬러리 중 하나 이상을 진동, 자화, 진동자화, 자화진동 중 하나를 하는 케이스이고, 상기 5는 상기 진동 내지 자화진동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재료 내지 벤토나이트슬러리 중 하나의 유동성, 이동성, 타설성, 주입성, 침투성, 작업성 중 하나 이상을 향상시키는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기는 도 16을 참조하면 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청구항 4에 의하면, a) 얕은기초의 철근 또는 보강재에 절편관, 또는 판 구비 관이 장착되고, b) 상기 판, 관, 절편관의 관 중 하나 이상은 절개되고, c)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판, 관 중 하나 이상에 절편이 형성되고, d) 상기 판, 관 중 하나 이상은 점증, 점확, 경사, 테이퍼 중 하나가 되고, e) 상기 얕은기초의 하부에 믹싱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변단면기초, 돌기구비기초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f) 상기 얕은기초, 믹싱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변단면기초는 상기 또는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고, g) 상기 물질 내지 재료 중 하나는 진동처리되고, h) 상기 진동처리는 진동기에 의하고, i) 상기 진동기, 케이스는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고안의 기초는 청구항 5에 의하면 절개된 외관, 내관으로 구성된 관이 구비된 판 또는 확장형 판이 구비된 기초로서, 상기 외관의 길이가 상기 내관의 길이보다 길거나, 또는 상기 내관의 길이가 상기 외관의 길이보다 길거나, 또는 상기 외관과 내관의 길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청구항 6에 의하면 a) 핀이 구비되고, b) 상기 핀에 돌기가 구비되고, c) 상기 돌기에 네일이 구비되고, d) 상기 돌기, 네일이 구비된 핀이 관에 거치되고, e) 상기 관이 판에 구비되고, f)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이 절개되고, g)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에 절편이 형성되고, h)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은 점증, 점확, 경사, 테이퍼 중 하나가 되고, i) 상기 관 구비 판이 파일, 피어, 케이슨, 깊은기초, 믹싱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돌기구비기초, 얕은기초, 직접기초, 후팅기초, 전면기초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j) 상기 파일 내지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가 지반 또는 지중에 설치되고, k) 상기 파일 내지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의 상부에 상기 얕은기초 내지 전면기초 중 하나가 설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청구항 7에 의하면 블럭헤드, 이에 형성된 홀, 이의 홀에 관통되는 봉, 상기 블럭헤드의 상부에 거치된 안착대로 구성된 블럭기초로서, a) 상기 블럭헤드에 하기 1, 2, 3 중 하나가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결합에 더하여 상기 블럭헤드의 하부에 관 구비 판이 장착되고, b) 상기 1은 핀, 2핀, 3핀, 4핀, 2발핀, 3발핀, 4발핀, 경사 핀, 돌기 구비 핀 중 하나이고, c) 상기 2는 자신의 외면에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중 하나 이상이 용접된 핀이고, d) 상기 3은 핀, 이의 측면에 봉, 이 봉의 측면에 돌기, 이 돌기의 측면에 볼트, 이 볼트의 측면에 네일, 이 네일의 측면에 앵커, 이 앵커의 측면에 스트랜드체가 구비된 복합체이고, e)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이 절개되고, f)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에 절편이 형성되고, g)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은 점증, 점확, 경사, 테이퍼 중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럭기초는 도 20, 21을 참조하면 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청구항 8에 의하면 지반, 암반, 지중, 지하, 보강, 개량, 지지, 차수, 항타, 매입, 연직, 경사, 육상, 해상, 건물, 주택, 시설, 교량, 구조물, 공장제조, 현장타설 중 하나의 기초로서, 1) 상기 기초는 기초; 상기 지반 내지 구조물 중 하나의 기초;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중 둘 이상의 복합기초; 중 하나이고, 2) 상기 줄기초 내지 RCD기초는 상기 또는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고, 3) 상기 복합기초는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초이고, 4) 상기 복합기초에는 파일과 피어, 얕은기초와 파일, 얕은기초와 깊은기초, 얕은기초와 스크류기초, 얕은기초와 지중믹싱기초, 얕은기초와 마이크로파일, 지중기초와 건물기초, 지하기초와 주택기초, 지중기초와 얕은기초, 지하기초와 얕은기초, 돌기기초와 볼트기초, 핀파일와 봉파일, 돌기파일과 볼트파일, 지중주입기초와 지중분사기초, 지중믹싱기초와 지중다짐기초, JSP와 SGR, SCW와 DCM, CIP기초와 PR기초 등이 포함된다.
1) 상기 기초, 기초 내지 RCD기초 중 하나의 조성에는 자화, 진동, 자화진동 중 하나로 처리된 a) 몰탈, 재료, 레미콘, 콘크리트, 슬러리, 벤토나이트슬러리, 주입재, 믹싱재, 다짐재, 그라우팅재, 지중주입재, 지중믹싱재, 지중다짐재, 지중그라우팅재; b) 또는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중 하나가 투입된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중 하나가 사용되고, 2) 상기 처리에 의하여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중 하나의 유동성, 배합성, 압송성, 이송성, 분사성, 침투성, 주입성, 작업성, 워커빌리티, 부착성, 침투성, 강도, 강성, 내구성 중 하나 이상이 향상되고. 3)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중 하나는 상기 기초, 기초 내지 RCD기초 중 하나의 재료로 사용되고, 4) 상기 슬러리, 벤토나이트슬러리 중 하나는 상기 기초, 기초 내지 RCD기초 중 하나의 설치를 위한 보링, 천공, 굴착 중 하나 시에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중 하나(96) 내부의 주입에 사용되고, 5) 상기 주입재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중 하나는 상기 기초, 기초 내지 RCD기초 중 하나의 설치를 위한 지중주입, 지중믹싱, 지중다짐, 그라우팅 중 하나에 사용된다. .
1) 상기 자화는 진동기에 의한 자화, 가진기에 의한 자화, 자화진동기에 의한 자화, 자화가진기에 의한 자화, 자화진동기에 의한 자화, 자화가진기에 의한 자화 중 하나이고, 2) 상기 진동은 자기장기에 의한 진동, 진동자화기에 의한 진동, 가진자화기에 의한 진동, 자기장진동기에 의한 진동, 자기장가진기에 의한 진동 중 하나이고, 3) 상기 자화진동은 자화진동, 자화 후 진동, 자기장 후 가진, 진동기에 의한 자화진동, 가진기에 의한 자화진동, 자기장기에 의한 자화진동, 진동자화기에 의한 자화진동, 가진자화기에 의한 자화진동, 자기장진동기에 의한 자화진동, 자기장가진기에 의한 자화진동, 상기 자화와 진동에 의하여 자화진동 중 하나이고, 4)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중 하나는 진동기, 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가진기, 진동자화기, 가진자화기, 복합진동기, 진동자화복합기, 자화진동복합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저장고, 호퍼, 배합기, 펌프, 공급라인, 배출기, 분사기, 주입기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에 의하여 제공된다.
1) 상기 자화기는 진동기에 의한 자화, 가진기에 의한 자화, 자화진동기에 의한 자화, 자화가진기에 의한 자화, 자화진동기에 의한 자화, 자화가진기에 의한 자화 중 하나를 하는 장치이고, 2) 상기 진동기는 a) 진동, 진동기 중 하나에 더하여 자화, 자화기 중 하나 이상이 발생 또는 구비되는 것, b) 또는 자기장기에 의한 진동, 진동자화기에 의한 진동, 가진자화기에 의한 진동, 자기장진동기에 의한 진동, 자기장가진기에 의한 진동 중 하나를 하는 장치이다. 3) 상기 자화진동기는 자화진동, 자화 후 진동, 자기장 후 가진, 진동기에 의한 자화진동, 가진기에 의한 자화진동, 자기장기에 의한 자화진동, 진동자화기에 의한 자화진동, 가진자화기에 의한 자화진동, 자기장진동기에 의한 자화진동, 자기장가진기에 의한 자화진동, 상기 자화와 진동에 의하여 자화진동 중 하나를 하는 장치이다. 4) 상기 복합진동기는 진동, 진동기 중 하나에 더하여 자화, 자화기 중 하나가 조사(照射) 또는 구비되는 장치이다. 5) 상기 진동자화복합기는 10∼150dB 진동에 더하여 1,000∼20,000gauss 자기장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장치이다. 6) 상기 자화진동복합기는 진동에 자기장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7) 상기 자화진동복합기에서 진동은 모터의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가 삽입된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다. 8) 상기 모터는 a)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b) 상기 전원을 DC로 변환시키는 컨버터, c) 상기 DC를 AC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d)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를 스위칭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흐름방향을 조정하는 스위칭부, e) 상기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AC, DC 중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f) 상기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중 하나의 통전패턴을 제어하는,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크기, 지속, 통전, 차단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이다. 9) 상기 진동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복합기 중 하나에는 a) 상기 전원부(131), 컨버터(132), 인버터(133), 스위칭부(134), 검출부(135), 제어부(13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137)의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b)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가 삽입된 케이스(138)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10∼150dB 진동의 전, 중, 후 중 하나 이상에 자기장, 자기투자율(μ)×자계강도(H)의 자속밀도(B)를 가지는 자기장, 자속밀도(B)가 1,000∼20,000 가우스 또는 0.1∼2 테슬라인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는 진동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복합기 중 하나가 포함된다. 10) 상기 자화기, 진동자화기, 진동자화복합기 중 하나에는 a) 상기 자기장의 전, 중, 후; b) 상기 자기장 발생 위치의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진동 또는 10∼150dB 진동을 발생하는 자화기, 진동자화기, 진동자화복합기 중 하나가 포함된다.
본 고안의 기초(基礎, foundation), 이의 하나인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지열기초, 스크류기초, 우물통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등(100)은 실시예 1에 의하면 a) 4개 방법에 의하여 절개부(9) 및 볼트구멍(4)이 형성된 테이퍼판(2)이 형성되고, a1) 상기 4개 방법 중 첫째 방법은 테이퍼판(2)이 구비되고, 상기 판에 절개선(8)이 표시되고, 상기 절개선을 따라 상기 판을 절개하고,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판에 2개 이상의 절개부(9)가 형성되고, 상기 판에 볼트구멍 형성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볼트구멍 형성을 위하여 드릴이 준비되고, 상기 드릴에 의하여 상기 판에 볼트구멍(4)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에 의하여 절개부(9) 및 상기 형성에 의하여 볼트구멍(4)이 형성된 상기 테이퍼판(2)이 형성되는 것이고,
a2) 상기 4개 방법 중 둘째 방법은 테이퍼판을 주조하기 위한 몰드가 구비되고, 상기 판에 절개부 및 볼트구멍이 형성되도록 상기 몰드에 절개부 및 볼트구멍의 형성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고, 금속 용융물이 구비되고, 상기 용융물을 상기 몰드에 붓고, 상기 몰드에 부어진 용융물을 응고시키고, 상기 응고에 의하여 절개부(9) 및 볼트구멍(4)이 형성된 상기 테이퍼판(2)이 형성되는 것이고,
a3) 상기 4개 방법 중 셋째 방법은 금속을 가열시키고, 상기 가열된 금속을 단조에 의하여 테이퍼판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 시에 상기 판에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조에 의하여 절개부(9) 및 볼트구멍(4)이 형성된 상기 테이퍼판(2)이 형성되는 것이고,
a4) 상기 4개 방법 중 넷째 방법은 절개부(9) 및 볼트구멍(4)이 형성된 상기 테이퍼판(2)에 돌기관(3)이 구비되고, 상기 돌기관에는 절개의 돌기관이 포함되고, 상기 돌기관의 절개 시에는 상기 관에 절개선이 표시되고, 상기 절개선을 따라 상기 관을 절개하고,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관에 2개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 및 형성에 의하여 절개부 및 볼트구멍이 형성된 상기 테이퍼판이 형성되는 것이고,
b) 상기 절개부(9), 판(2), 관(3) 중 하나 이상에 핀(16),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16), 핀 부착 봉(17), 핀 부착 봉 장착 돌기(17),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용접 네일,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용접 네일 체결 앵커, 핀이 부착된 봉이 장착된 돌기가 거치된 볼트가 용접된 네일이 체결된 앵커가 합체된 스트랜드체(17) 중 하나(16, 17, 18)가 구비되고,
c) 상기 절개부(9) 및 볼트구멍(4)이 형성된 상기 판(2)이 자신(100) 선단에 결합되고, d) 상기 자신(100)이 지반(110)에 관입되고, e) 상기 관입 시에 상기 절개부, 판, 관, 핀 내지 스트랜드체(9, 2, 3, 16, 17, 18) 중 하나 이상이 절개, 확장, 벌어짐, 휘어짐, 휨확장 중 하나(30)가 되는 기초(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핀 내지 복합체는 상기 또는 하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16, 17, 18)가 해당되고, 이의 핀 내지 복합체 등에 의하여 상기 관, 벽, 기초 등이 지반 내(110)에 단단하게 고정, 안착 등이 되는 효과가 생기고, 상기 지지력 향상 내지 선단저항 증가 등이 향상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빔 내지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상기 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 등에서 포함은 함유, 포함, 혼합, 혼입, 구비, 구성, 거치, 설치, 내재, 존치, 위치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의 기초(基礎, foundation)(100)는 실시예 2에 의하면 a) 절개관이 구비된 돌기판이 구비되고, b) 상기 절개관, 돌기판 중 하나에 핀(pin), 스트랜드체(strand body), 핀 구비 스트랜드체, 스트랜드체 구비 핀, 핀과 스트랜드체의 복합체 중 하나가 구비되고, c) 상기 판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고, d) 상기 판이 자신 선단에 결합 또는 볼트 결합되고, e) 상기 자신이 지반에 삽입되고, f) 상기 삽입 시에 상기 판, 관,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절개, 확장, 벌어짐, 휘어짐, 휨확장 중 하나가 되는 기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100)는 실시예 3에 의하면 a) 판이 구비된 관이 절개되고, b) 상기 절개가 되어 형성된 절개부에 핀(pin), 스트랜드체(strand body), 핀 구비 스트랜드체, 스트랜드체 구비 핀, 핀과 스트랜드체의 복합체 중 하나가 구비되고, c) 상기 판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고, d) 상기 판이 자신의 선단에 결합 또는 볼트 결합되고, e) 상기 자신이 지반에 투입되고, f) 상기 투입 시에 상기 관, 판, 핀 내지 복합체, 절개부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지반에 안착, 키인(key-in), 절개, 확장, 절개 후 확장 중 하나가 되는 기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4에 의하면 a) 확장판에 볼트 구멍 형성; b)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핀 부착 봉 중 하나가 장착된 상기 확장판이 자신의 선단에 결합 또는 볼트 결합; c) 상기 자신이 지반에 삽입; 이 되는 기초에 있어서, 상기 삽입 시에 상기 확장판, 핀 내지 스트랜드체 중 하나 이상이 절개, 확장, 벌어짐, 휘어짐, 휨확장 중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5에 의하면 a) 테이퍼관을 구입하고, b) 상기 관을 절개하고, c)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관에 절편이 형성되고, d) 상기 관과 볼트 구멍 형성 판을 연결하고, e)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에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핀 부착 봉 중 하나가 구비되고, f) 상기 관이 구비된 판과 자신인 하기 기초를 연결 또는 볼트 연결하고, g) 자신을 지반에 삽입 시에 상기 절편,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절개, 절곡, 벌어짐, 휘어짐, 휨확장 중 하나가 되는 기초에 있어서,
상기 절개 내지 휨확장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자신 또는 하기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선단지지력 향상, 주면마찰력 향상, 지진 저항, 진동 저항, 내진성능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6에 의하면 a) 하기 기준을 만족하는 관이 구비된 판이 거치되어, b) 자신이 지반에 삽입 시에 상기 관이 절개, 절곡, 벌어짐, 휘어짐, 휨확장 중 하나가 되고, c) 상기 절개 내지 휨확장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관의 투영면적이 증가되고, d) 상기 증가에 의하여 상기 자신 또는 하기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선단지지력 향상, 주면마찰력 향상, 지진 저항, 진동 저항, 내진성능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기초로서,
상기 기준은 상기 관이 일단에서 일지점까지 2개 공간 이상 불연속이고, 테이퍼되고,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핀 부착 봉 중 하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7에 의하면 a) 일단이 타단에 비하여 단면적이 큼; b) 상기 일단에서 일정 지점까지 절개선 형성; c) 상기 형성에 의하여 상기 일단에서 일정 지점까지 절편 형성; d) 상기 일단이 기초가 투입되는 보링공 하부의 지반에 삽입됨; e) 상기 삽입 시에 상기 일단이 굴절, 굴곡, 절곡, 확장, 절개, 벌어짐, 휘어짐, 횡확장, 휨확장; f) 상기 굴절 내지 휨확장 중 하나에 의하여 단면적 증가; g) 상기 굴절 내지 휨확장, 증가 중 하나에 의하여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선단지지력 향상, 주면마찰력 향상, 지진 저항, 진동 저항, 내진성능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중 하나 이상이 되면서, 하기 기준을 만족하는 관이 구비된 판이 자신의 선단에 구비된 기초로서,
상기 기준은 a) 상단 면적이 상기 기초 중 얕은기초 하단 면적의 10∼150%, 상기 기초 중 깊은기초 하단 면적의 80∼200%; b) 경사가 1∼89도; c) 직경이 상기 기초 직경에 대하여 70∼130 %, 0.7∼1.3 배, -70 ∼ +70 mm; d) 높이가 상기 %의 0.7∼1.3배; e) 두께가 상기 배의 10∼30%;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일단(20)이 타단(22)에 비하여 상기 가로 내지 면적 중 하나가 큰 것은 하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지반, 암반 등에 박히어 굴절, 확장 등이 되기 위해서는 지반, 암반 등에 박히는 부위인 하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일단이 기초에 장착되는 타단에 비하여 상기 가로 내지 면적 등이 큰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기초 내지 그라우팅기초 등은 a)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기초 내지 그라우팅기초; b)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기초 내지 그라우팅기초 중 하나의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얕은기초, 깊은기초; 등이 해당된다.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기초 내지 그라우팅기초 중에서 기초의 용어가 없는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등은 a)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b) 또는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중 하나 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관, 판,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테이퍼관 ∼(내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등(1, 2, 3)은 상기 테이퍼관, 테이퍼판, 불연속관, 불연속판, 스파이크관, 스파이크판, 다발 구비 관, 돌기 구비 관, 네일 구비 관, 앵커 구비 관, 테이퍼판 구비 관, 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판,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 연결잭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관(3), 판(2), 판(2)과 관(3), 판(2) 구비 관(3, 1), 관(3) 구비 판(2, 1) 에서 a) 상기 관(3)은 테이퍼관, 연결잭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판 구비 관; b) 상기 판(2)은 테이퍼판, 테이퍼관 구비 판,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c) 상기 판(2)과 관(3, 1)은 테이퍼판과 테이퍼관, 판 구비 관; d) 상기 판(2) 구비 관(3, 1)은 테이퍼판 구비 관, 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d) 상기 관(3) 구비 판(2, 1)은 테이퍼관 구비 판, 관 구비 구비 테이퍼판,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 등이 해당된다.
아래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직경, 높이, 두께 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1)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직경(15)은 a)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직경; b) 경사진 또는 각도를 가진 또는 테이퍼형의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평균직경, 중간직경; c) 내관, 중관, 외관의 각각 직경; d) 내관 및 외관 2개의 평균직경; e) 내관 및 중관 및 외관 3개의 평균 직경; f) 판과 관에서 판 직경 또는 평균직경과 관 직경 또는 평균직경의 평균직경; g) 판 구비 관에서 판 직경 또는 평균직경과 관 직경 또는 평균직경의 평균직경; h) 관 구비 판에서 관 직경 또는 평균직경과 판 직경 또는 평균직경의 평균직경; i) 또한 기초; 이가 삽입되는 보링공; 이의 보링공을 굴착하는 비트; 상기 보링공의 공벽을 보호하는 케이싱; 중 하나 직경의 70∼130%;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70∼130%의 범위를 설정한 것은 70% 이하는 너무 작고, 130% 이상은 너무 크기 때문에 70∼130%의 적정치를 설정한 것이다.
2)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높이(13)는 상기 1) a) 내지 h)에서 직경 용어 대신에 높이 용어로 변경된 상기 a) 내지 h); 이에 더하여 i) 상기 1) %의 (70∼130%의) 0.7∼1.3배 = 70∼130%의 0.7∼1.3배 = 70%×(0.7∼1.3)∼130%×(0.7∼1.3) = (49∼91)∼(91∼169)% = 49∼169% = 이는 높이가 상기 2-2) 기초 내지 케이싱 중 하나 직경의 49∼169%;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0.7∼1.3배의 범위를 설정한 것은 0.7배 이하는 너무 작고, 1.3배 이상은 너무 크기 때문에 0.7∼1.3배의 적정치를 설정한 것이다.
3)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두께(14)는 상기 1) a) 내지 h)에서 직경 용어 대신에 높이 용어로 변경된 상기 a) 내지 h); 이에 더하여 i) 상기 배의 10∼30% = 0.7∼1.3배의 10∼30% = 0.7×(0.1∼0.3)∼1.3(0.1∼0.3)배 = (0.07∼0.21)∼(0.13∼0.39)배 = 0.07∼0.39배 = 이는 두께가 상기 2-2) 기초 내지 케이싱 중 하나 직경의 49∼169%의 0.07∼0.39배 = (3.43∼19.11)∼(11.83∼65.91)% = 이는 두께가 상기 2-2) 기초 내지 케이싱 중 하나 직경의 3.43∼65.91%;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10∼30%의 범위를 설정한 것은 10% 이하는 너무 작고, 30% 이상은 너무 크기 때문에 10∼30%의 적정치를 설정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테이퍼관, 테이퍼판, 테이퍼형, 테이퍼판 구비 관, 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판,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 연결잭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등; 2) 이중 하나에서 테이퍼, 테이퍼 용어, 테이퍼 단어; 3) 본 고안의 또는 본 고안에 기재된 경사, 경사진; 등은 a) 테이퍼, taper, 경사, 경사짐, 점증, 점축, 콘, 콘 형상, 1∼89도 경사짐; b) 또는 형상, 형태, 모양, 외관 등이 테이퍼, taper, 경사, 경사짐, 점증, 점축, 콘, 콘 형상, 1∼89도 경사짐; c) 또는 형상, 형태, 모양, 외관 등이 c1) 상기 선 내지 절편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핀 내지 복합체, c2) 또는 경사진 또는 테이퍼된 상기 선 내지 절편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임; d) 길이 또는 일정 방향으로 테이퍼, taper, 경사, 경사짐, 점증, 점축, 콘, 콘 형상, 1∼89도 경사짐; e) 서로 상대하는 양측면이 대칭적으로 경사진; 선단 또는 일정 지점부터 지름이 점차 작아지거나 커지는; f) 상기 a) 내지 e) 중 하나를 하는; 하게 하는; g) 명사인 경사, 경사짐; 형용사인 경사진, 동사인 경사지게 하는; g) 상기 a) 내지 f) 중 하나의 관, 판, 형; 등도 해당된다. 따라서 테이퍼관, 테이퍼판 등은 a) 상기 선 내지 절편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핀 내지 복합체, b) 또는 경사진 또는 테이퍼된 상기 선 내지 절편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핀 내지 복합체 등이 형성된 또는 등으로 구성된 관, 판 등도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관, 판,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등은 원형, 통형, 콘형, 핀형, 발형, 편형, 판형, 톱니형, 원통형, 원판형, 중공형, 채움형, 피막형, 벽면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직선형, 연직형, 경사형, 곡선형, 곡면형, 오목형, 볼록형, 돌기형, 절편형, 점증형, 점축형, 점증점축형, 테이퍼형, 불연속형, 스파이크형, 마름모형, 사다리형, 선따기형, 벽절편형, 벽선따기형, 연결판 구비형, 연결잭 형성, 볼트 구멍 형성, 경사 또는 각도 1∼89도; 등도 가능하다. 1) 상기 원형 내지 벽선따기형 등은 a) 상기 관, 판,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테이퍼관 ∼(내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b) 이중 하나의 형상, 형태, 모양, 면, 선, 표면, 내부, 내면, 외부, 외면, 공간, 벽, 외벽, 피막, 길이, 직경, 높이, 두께, 가로, 세로; 등이 원, 통, 원통, 원판, 중공, 채움, 피막, 벽면, 삼각, 사각, 다각, 직선, 곡선, 오목, 볼록, 절편, 선따기, 벽절편, 벽선따기 등인 또는 등이 된 것이고, 2) 연결판 구비형, 연결잭 형성, 볼트 구멍 형성 등은 기초와의 연결을 위하여 a) 상기 관, 판,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테이퍼관 ∼(내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b) 이중 하나의 선단, 일단, 일측, 관통 등에 연결판, 연결잭, 볼트 구멍 등이 구비, 형성, 조성 등이 된 것이고, 3) 경사 또는 각도 1∼89도는 a) 상기 관, 판,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테이퍼관 ∼(내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b) 이중 하나의 형상, 형태, 모양, 면, 선, 표면, 내부, 내면, 외부, 외면, 공간, 벽, 외벽, 피막, 길이, 직경, 높이, 두께, 가로, 세로; 등의 경사 또는 각도가 1∼89도인 것이다.
본 고안에서 1) 테이퍼관, 판 또는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연결잭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등은 도 2, 도 4 (b), 도 5 (d); 2) 테이퍼판, 직선형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등은 도 11 (a); 3) 테이퍼판, 곡선형 테이퍼판, 곡면형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등은 도 11 (b); 4) 테이퍼판 구비 관,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은 도 11 (c); 5) 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판,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등은 도 11 (d); 6) 판 구비 관, 연결판 구비 관, 판 또는 연결판 구비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은 도 1 ∼ 7; 등에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관, 판, 단관 내지 복합체(1, 2, 3); 이의 벽, 외벽, 외피, 벽면, 벽체, 피막, 피복, 둘레,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장자리 등의 경사 또는 각도(α) 1∼89도는 경사 또는 각도(α)가 최소 1도에서 최대 89도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경사 또는 각도(α)가 완경사 또는 저각도인 1도 ∼ 급경사 또는 고각도인 89도의 범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관, 판,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공사, 설치 등의 편리성을 고려할때 경사 또는 각도(α)는 45∼89도 보다는 1∼45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선, 점선, 파선, 슬롯, 파단선, 절개선, 따기선, 절편선;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내관, 중관, 외관,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경사진 또는 n개의 상기 선 내지 절편선; 경사진 또는 n-1개의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등은 a) 자신, 몸체, 본체, 벽, 외벽, 벽면, 벽체, 둘레,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장자리, 일단에서 일지점까지; b) 상기 관, 판,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자신, 몸체, 본체, 벽, 외벽, 벽면, 벽체, 둘레,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장자리, 일단에서 일지점까지; 등에 형성, 조성, 따기, 긋기 등이 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8에 의하면 자신의 관입 시에 확장, 절곡, 벌어짐, 휘어짐, 휨확장 중 하나가 되면서 하기 기준을 만족하는 테이퍼관이 거치된 판이 자신의 선단에 구비된 기초에 있어서,
상기 기준은 a) 상단 면적이 상기 기초 중 얕은기초 하단 면적의 10∼150%, 상기 기초 중 깊은기초 하단 면적의 80∼200%; b) 경사가 1∼89도; c) 직경이 상기 기초 직경에 대하여 70∼130 %, 0.7∼1.3 배, -70 ∼ +70 mm; d) 높이가 상기 %의 0.7∼1.3배; e) 두께가 상기 배의 10∼30%;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확폭형, 확장형 등은 a) 확폭형, 확장형, 경사형, 경사확장형, 확장경사형, 선단확장형; b) b1) 제조, 생산, 제작, 초기, 사용 전(前), 하기 공사 내지 건물하중작용 중 하나의 전(前); b2) 이중 하나 당시; 등에 b21) 확장, 확폭; b22) 일단(20)이 타단(22)보다 확장, 확폭; b23) 일단(20)에서 타단(22)으로 향하여 확장, 확폭; b24) 일단(20)에서 일지점(21)까지 확장, 확폭; b25) 길이 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직경, 단면적 등이 확장, 확폭; b26) 자신, 기초; 이중 하나의 벽, 외벽, 벽면, 피막, 외피, 둘레,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두리, 가장자리; 등보다 외부로 확장, 확폭 등이 되는 또는 직경, 단면적 등이 확장, 확폭; b27) 상기 관, 판, 단관 내지 복합체(1, 2, 3), 선 내지 절편선(8), 편 내지 슬롯따기편(9); 이중 하나의 직경, 단면적; 등이 상기 확장, 확폭; 등이 해당, 또는 등이 되는 것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도 2, 도 4 (b), 도 11 (d)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확폭, 확폭형 등은 하기 확장이 용이하게 되기 위한 하나의 전제 조건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관, 판,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확폭이 되면 이의 공사, 항타 등의 시에 지반, 암반 등(110)에 박히면서 굴절, 확장, 굴적확장 등(30)이 용이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서 관, 판,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테이퍼관 내지 복합체 등은 a) 테이퍼관, 테이퍼판, 불연속관, 불연속판, 스파이크관, 스파이크판, 다발 구비 관, 돌기 구비 관, 네일 구비 관, 앵커 구비 관, 테이퍼판 구비 관, 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판,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 연결잭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b) 이중 둘 이상 복합체(즉, 상기 테이퍼관 ∼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중 둘 이상 복합체); c) 또는 상단 면적이 하기 얕은기초 하단 면적의 10∼150%, 하기 깊은기초 하단 면적의 80∼200% 중 하나인 상기 테이퍼관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확장 등(30)은 상기 공사 내지 후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관, 판,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단관 내비 복합체(1, 2, 3), 선 내지 절편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이중 하나의 면, 표면,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헤드, 다지점, 일지점, 직경, 단면적; 등이 상기 확장 내지 절개내외향확장 등(30)이 되는 것이다. 이의 예로는 도 1, 도 3, 도 4 (a), 도 6, 도 11 (c)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 내지 절개내외향확장 등(30)에 의하여 상기 관, 판, 단관 내지 복합체; 이중 하나의 일단, 일측, 일단에서 일지점까지; 등의 직경, 면적, 체적, 단면적, 선단면적 등이 증가하게 되어, 기초의 지지력(121) 향상, 선단지지력(121)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등에 기여하게 된다.
상기 상기 관, 판,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등의 직경의 실시 예를 들면 상기 관, 판,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등의 직경(15)이 기초 직경의 70∼130 %, 0.7∼1.3 배, -70 ∼ +70 mm 등으로서, 상기 기초 직경이 1m = 1000mm인 경우 상기 관, 판,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등의 직경(15)은 1000mm × 70∼130 %, 1000mm × 0.7∼1.3 배, 1000mm -70 ∼ +70 mm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9에 의하면 1) a) 일단에서 타단으로 향하여 일정 지점까지 발 형성; b) 상기 타단으로 향하는 상기 발을 집게로 집어 외향으로 젖혀 확장; c)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의 표면에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핀 부착 봉 중 하나 거치; d) 상기 발이 기초의 설치 시에 추가 확장; e) 상기 확장에 의하여 투영면적 증가: 중 하나 이상이 되거나,
2) 또는 상기 확장에 의하여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선단지지력 향상, 주면마찰력 향상, 지진 저항, 진동 저항, 내진성능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중 하나 이상이 되게 하면서 하기 기준을 만족하는 단관이 거치된 판이 자신의 선단에 구비된 기초로서,
상기 기준은 a) 상단 면적이 상기 기초 중 얕은기초 하단 면적의 10∼150%, 상기 기초 중 깊은기초 하단 면적의 80∼200%; b) 경사가 1∼89도; c) 직경이 상기 기초 직경에 대하여 70∼130 %, 0.7∼1.3 배, -70 ∼ +70 mm; d) 높이가 상기 %의 0.7∼1.3배; e) 두께가 상기 배의 10∼30%;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10에 의하면 지반 속에서 자신의 외향으로 벌어짐 되면서 하기 기준을 만족하는 관이 거치되 판이 자신의 선단에 구비된 기초로서, 1) 상기 기준은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핀 부착 봉 중 하나가 거치되면서 하기 기준'을 만족하는 것이고, 2) 상기 기준'은 a) 상단 면적이 상기 기초 중 얕은기초 하단 면적의 10∼150%, 상기 기초 중 깊은기초 하단 면적의 80∼200%; b) 경사가 1∼89도; c) 직경이 상기 기초 직경에 대하여 70∼130 %, 0.7∼1.3 배, -70 ∼ +70 mm; d) 높이가 상기 %의 0.7∼1.3배; e) 두께가 상기 배의 10∼30%;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11에 의하면 1) 자신의 일단에서 일정 지점까지 다수 절개되고, 2) 상기 절개에 의하여 절개편이 형성되고, 3) 상기 절개편이 기초의 관입 시에 굴곡되고, 4) 상기 일단의 반대인 타단에서 자신의 전체 길이 - (마이너스) 1/2 지점, 1/3 지점, 2/3 지점, 1/4 지점, 3/4 지점, 1/5 지점, 2/5 지점, 3/5 지점, 4/5 지점, 1/n 지점 중 하나 까지가 상기 굴곡된 상기 절개편을 지지하고, 5) 상기 굴곡에 의하여 상기 기초 선단의 단면적이 증가되고, 6) 상기 증가에 의하여 상기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선단지지력 향상, 주면마찰력 향상, 지진 저항, 진동 저항, 내진성능 향상, 이동 방지, 유동방지, 변동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중 하나 이상이 되게 하면서, 하기 기준을 만족하는 단관, 도넛판, 테이퍼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중 하나가 구비된 또는 선단에 구비된 기초로서,
상기 기준은 a) 경사가 1∼89도; b) 직경이 상기 기초 직경의 70∼130%; c) 높이가 상기 %의 0.7∼1.3배; d) 두께가 상기 배의 10∼30%; e)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핀 부착 봉 중 하나 구비; f) 일단에서 일지점까지 2개 공간 이상 불연속; g) 상단 면적이 상기 기초 중 얕은기초 하단 면적의 10∼150%, 상기 기초 중 깊은기초 하단 면적의 80∼200%;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12에 의하면 하기 기준을 만족하는 몰탈, 약액, 현탁액, 슬리러, 페이스트, 콘크리트, 타설재, 주입재, 그라우팅재 중 하나의 재료가 사용 또는 함유되면서 하기 기준'을 만족하는 기초로서, 1) 상기 기준은 상기 재료가 10∼150dB 진동에 더하여 1,000∼20,000gauss 자기장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자화복합기를 거치면서 진동 처리가 된 것이고, 2) 상기 기준'은 자신의 지지력향상, 선단지지력향상, 마찰력향상, 내진성능향상, 이동방지, 유동방지, 거동방지, 변형방지, 침하방지 중 하나를 위하여 자신의 선단에 단관, 단판, 링관, 링판, 튜브관, 중공판, 절개관, 절편판, 도넛판, 테이퍼관, 테이퍼판, 불연속관, 불연속판, 스파이크관, 스파이크판, 테이퍼판 구비 관, 판 구비 테이퍼관, 지반에 키인되면서 확장되는 확장관; 돌기 구비 상기 관; 핀이 부착된 봉이 장착된 돌기가 거치된 볼트가 용접된 네일이 체결된 앵커가 합체된 스트랜드체가 구비된 상기 관; 중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화진동기 내지 진동자화복합기 등(81)은 a) 상기 기(器, 機) 내지 콤프레셔; 이중 하나의 면, 전, 후, 좌, 우, 표면, 내부, 내면, 내측, 내주, 외부, 외면, 외측, 외주, 주변, 외곽 등에 구비, 거치, 장착, 부착 등이 가능하고, b) 이 경우 상기 기(器, 機) 내지 콤프레셔 등은 진동, 자기장 등이 발생, 방사 등이 되는 기능을 가지거나, c) 통과 물질이 상기 자화진동기 내지 진동자화복합기, 기(器, 機) 내지 콤프레셔 등을 통하여 진동, 자기장 등으로 처리되게 된다. 상기 구비 예로는 상기 자화진동기 내지 진동자화복합기 등이 상기 기(器, 機) 내지 콤프레셔 등의 내부에 삽입, 거치대로 삽입, 내면에 부착 등이 해당된다. 상기 기(器, 機)는 제조기, 공급기, 믹싱기, 타설기, 분사기, 분수기, 포설기, 포장기, 양생기, 복합기, 일정 물체 등의 기, 일정 장치 등의 기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13에 의하면 a)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b) 상기 전원을 DC로 변환시키는 컨버터, c) 상기 DC를 AC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d)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를 스위칭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흐름방향을 조정하는 스위칭부, e) 상기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AC, DC 중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f) 상기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중 하나의 통전패턴을 제어하는,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크기, 지속, 통전, 차단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의 1)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가 삽입된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2)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진동복합기를 거치면서 3) 진동, 자기장 처리가 된 재료, 몰탈, 약액, 현탁액, 슬리러, 페이스트, 콘크리트, 타설재, 주입재, 그라우팅재 중 하나가 이용 또는 함유되면서 하기 기준을 만족하는 기초로서,
상기 기준은 자신의 지지력향상, 선단지지력향상, 마찰력향상, 내진성능향상, 이동방지, 유동방지, 거동방지, 변형방지, 침하방지 중 하나를 위하여 자신의 선단에 단관, 단판, 링관, 링판, 튜브관, 중공판, 절개관, 절편판, 도넛판, 테이퍼관, 테이퍼판, 불연속관, 불연속판, 스파이크관, 스파이크판, 테이퍼판 구비 관, 판 구비 테이퍼관, 지반에 키인되면서 확장되는 확장관; 돌기 구비 상기 관; 핀이 부착된 봉이 장착된 돌기가 거치된 볼트가 용접된 네일이 체결된 앵커가 합체된 스트랜드체가 구비된 상기 관; 중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14에 의하면 a) 슈(shoe), 선단슈; b) 또는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핀 부착 봉 중 하나가 구비된 슈, 선단슈; 중 하나가 자신의 선단에 구비된 기초로서, 상기 슈 또는 선단슈는 1) 지중 삽입 전에 일단이 1차 확장 또는 이에 의하여 상기 일단의 단면적 1차 증가에 더하여, 2) a) 지반에 삽입시 자중에 의한 상기 일단의 2차 확장; 이에 의한 상기 일단의 단면적 2차 증가; b) 상기 삽입시 삽입 압력에 의한 상기 일단의 3차 확장; 이에 의한 상기 일단의 단면적 3차 증가; c) 상기 삽입시 항타에 의한 상기 일단의 4차 확장; 이에 의한 상기 일단의 단면적 4차 증가; d) 자신의 상부에 적재하중에 의한 상기 일단의 5차 확장; 이에 의한 상기 일단의 단면적 5차 증가;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15에 의하면 a) 몰탈, 약액, 현탁액, 슬러리, 페이스트, 콘크리트, 타설재, 주입재, 그라우팅재 중 하나의 재료가 이용 또는 함유되면서, b) 자신의 선단에 슈(shoe), 선단슈, 핀 구비 슈, 돌기 구비 슈, 핀 부착 봉이 구비된 슈 중 하나가 구비된 기초로서,
1) 상기 슈 또는 선단슈는 a) 지중 삽입 전에 일단이 1차 확장 또는 이에 의하여 상기 일단의 단면적 1차 증가에 더하여, b) b1) 지반에 삽입시 자중에 의한 상기 일단의 2차 확장; 이에 의한 상기 일단의 단면적 2차 증가; b2) 상기 삽입시 삽입 압력에 의한 상기 일단의 3차 확장; 이에 의한 상기 일단의 단면적 3차 증가; b3) 상기 삽입시 항타에 의한 상기 일단의 4차 확장; 이에 의한 상기 일단의 단면적 4차 증가; b4) 자신의 상부에 적재하중에 의한 상기 일단의 5차 확장; 이에 의한 상기 일단의 단면적 5차 증가; 중 하나 이상이 되고
2) 상기 재료는 상기 전원부 내지 제어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가 삽입된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진동복합기를 거치면서 진동, 자기장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16에 의하면 자신의 선단에 슈(shoe), 선단슈, 핀 구비 슈, 돌기 구비 슈, 핀 부착 봉이 구비된 슈 중 하나가 구비된 기초로서,
상기 슈 또는 선단슈는 1) 지중에 삽입 전에는 일단의 단면적이 굴착부의 단면적보다 작고, 지중에 삽입 후 확장 전에는 굴착부 측벽의 연직투영선에서 내측으로 존치되나, a) 지반에 삽입시 자중에 의한 상기 일단의 1차 확장; 이에 의한 상기 일단의 단면적 1차 증가; b) 상기 삽입시 삽입 압력에 의한 상기 일단의 2차 확장; 이에 의한 상기 일단의 단면적 2차 증가; c) 상기 삽입시 항타에 의한 상기 일단의 3차 확장; 이에 의한 상기 일단의 단면적 3차 증가; d) 자신의 상부에 적재하중에 의한 상기 일단의 4차 확장; 이에 의한 상기 일단의 단면적 4차 증가;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일단의 단면적이 상기 굴착부의 단면적보다 커짐; 상기 커짐이 3∼70% 커짐; 상기 굴착부 측벽의 연직투영선에서 외측까지 존치; 상기 외측이 상기 굴착부 측벽의 연직투영선의 외측으로 상기 굴착부 직경의 3∼70% 거리까지; 중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상기 3∼70%의 범위로 설정한 것은 3% 이하이면 확장의 정도가 미약하고, 70% 이상이면 확장의 정도가 너무 크기 때문에 이의 사이를 범위로 설정한 것이다. 2) '상기 커짐이 3∼70% 커짐'의 예를 들면 굴착부의 직경이 30cm인 경우 상기 슈, 단관 등의 일단의 직경이 굴착부의 직경보다 30×0.03∼0.7 = 0.9∼21cm 큰 것 등이 해당된다. 3) 그리고 '상기 외측이 상기 굴착부 측벽의 연직투영선의 외측으로 상기 굴착부 직경의 3∼70% 거리까지'의 예로는 굴착부의 직경이 30cm인 경우 상기 외측이 상기 굴착부 측벽의 연직투영선의 외측으로 상기 굴착부 직경의 30×0.03∼0.7 = 0.9∼21cm 거리까지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17에 의하면 a) 몰탈, 약액, 현탁액, 슬러리, 페이스트, 콘크리트, 타설재, 주입재, 그라우팅재 중 하나의 재료가 이용 또는 함유되면서, b) 자신의 선단에 슈(shoe), 선단슈, 핀 구비 슈, 돌기 구비 슈, 핀 부착 봉이 구비된 슈 중 하나가 구비된 기초로서,
1) 상기 슈 또는 선단슈는 1) 지중에 삽입 전에는 일단의 단면적이 굴착부의 단면적보다 작고, 지중에 삽입 후 확장 전에는 굴착부 측벽의 연직투영선에서 내측으로 존치되나, 상기 a) 1차 확장 내지 d) 4차 증가;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일단의 단면적이 상기 굴착부의 단면적보다 커짐; 상기 커짐이 3∼70% 커짐; 상기 굴착부 측벽의 연직투영선에서 외측까지 존치; 상기 외측이 상기 굴착부 측벽의 연직투영선의 외측으로 상기 굴착부 직경의 3∼70% 거리까지; 중 하나가 되고,
2) 상기 재료는 상기 전원부 내지 제어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가 삽입된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진동복합기를 거치면서 진동, 자기장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초는 실시예 18에 의하면 자신의 지지력향상, 선단지지력향상, 마찰력향상, 내진성능향상, 이동방지, 유동방지, 거동방지, 변형방지, 침하방지 중 하나를 위하여 하기 기준을 만족하는 단관, 단판, 링관, 링판, 튜브관, 중공판, 절개관, 절편판, 도넛판, 테이퍼관, 테이퍼판, 불연속관, 불연속판, 스파이크관, 스파이크판, 테이퍼판 구비 관, 판 구비 테이퍼관, 지반에 키인되면서 확장되는 확장관; 돌기 구비 상기 관; 핀이 부착된 봉이 장착된 돌기가 거치된 볼트가 용접된 네일이 체결된 앵커가 합체된 스트랜드체가 구비된 상기 관; 중 하나가 자신의 선단에 구비되면서 하기 기준'을 만족하는 기초로서,
1) 상기 기준은 a) 상단 면적이 상기 기초 중 얕은기초 하단 면적의 10∼150%, 상기 기초 중 깊은기초 하단 면적의 80∼200%; b) 경사가 1∼89도; c) 직경이 상기 기초 직경에 대하여 70∼130 %, 0.7∼1.3 배, -70 ∼ +70 mm; d) 높이가 상기 %의 0.7∼1.3배; e) 두께가 상기 배의 10∼30%; 중 하나 이상이고,
2) 상기 기준'은 자신에 이용되는 재료에 a) 미생물, 나노물, 박테리아, 바실러스, 세레우스, 서브릴리스, 파스테우리, CaMgFeCOO제, 제올라이트, 아타풀자이트, 지오폴리머; b) 우레아제(urease) 반응을 하여 탄산이온을 생성하고 이의 탄산이온과 칼슘이온을 결합시켜 탄산화물을 조성하는 미생물; c) 음극성을 가지는 자신의 주위에 칼슘이온 등의 양이온을 흡착시키고, 이의 양이온과 탄산이온 또는 우레아제(urease)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탄산이온을 결합시켜 탄산화물을 조성하는 미생물; d) 일정의 Ca, Mg, Fe, COO 또는 카르복실기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되는 CaMgFeCOO제; e) 일정의 실리카와 알루미나 재료에 알칼리 활성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규산화칼륨, 규산화나트륨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된 지오폴리머;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기(81)는 a) 진동기, 진동을 가하는 것, 진동을 발생하는 것, 상기에 기재된 진동기; b) 또는 진동, 진동기 등에 더하여 자화, 자화기 중 하나 이상이 발생 또는 구비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기(81)는 a) 저장고(82), 호퍼(83), 배합기(84), 펌프(87), 공급라인(88), 공사장비((2), 롯드(93), 토출기, 배출기, 분사기, 콘크리트(86); b) 이중 하나의 내부, 내면, 외부, 외면, 날개(85), 회전날개, 배합날개; 등에 구비, 거치, 설치, 존치, 배치, 장착, 부착 등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스파이크관, 단과 내지 테이퍼관, 핀 내지 복합체, 상기 판 구비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은 상기 a) 기초 내지 케이슨, b) 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 c) 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 d) 기초 내지 RCD기초, e)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f) 상기 a) 기초 내지 e) RCD기초 중 하나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헤드, 내외부,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g) 상기 보링부 내지 굴착공 등에 삽입되는 상기 a) 기초 내지 f) 철근케이지; 등에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정착, 연계, 연결, 접속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a) 기초 내지 g) 철근케이지 등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스파이크관, 단과 내지 테이퍼관, 핀 내지 복합체;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 구비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정착, 연계, 연결, 접속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본 고안의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 파일 내지 마이크로파일, 기초 내지 RCD기초 등은 홀 형성, 유공, 중공, 비중공, 내부 중공, 내부 비중공, 구멍 형성, 무공, 외피 유공, 외주 홀 형성, 외주 구멍 형성, 외피 홀 형성, 외피 구멍 형성, 외피 무공, 양단 오픈, 일단 오픈 및 타단 닫힘, 양단 닫힘 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 파일 내지 마이크로파일, 기초 내지 RCD기초; 이중 하나의 홀, 구멍, 100개 홀, 300개 구멍, 선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외피 홀, 외피 구멍, 양단 오픈, 일단 오픈; 등에는 몰탈, 레미콘, 시멘트풀, 그라우팅재 등의 주입, 유출, 분사, 분출 등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이에 의하여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등과 그라우팅체로 구성된 복합기초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이의 예로는 마이크로파일 내부에 압력으로 주입된 그라우팅재가 상기 마이크로파일 주변에 형성된 30개의 홀 또는 선단 오픈부 등을 통하여 지중으로 분사되어 마이크로파일 그라우팅체의 복합기초가 형성되는 것, 강관파일 내부에 압력으로 주입된 시멘트풀이 상기 강관파일 외주에 형성된 80개의 구멍 또는 선단 오픈부 등을 통하여 지반으로 분사되어 강관파일 그라우팅체의 복합기초가 형성되는 것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a) 기초, 후팅, 파일, 피어, 케이슨; b) 상기 또는 하기 단관 내지 복합체, 기초 내지 RCD기초, 기초 내지 복합체; c) 상기 a) 기초 내지 b) 복합체 중 하나의 선단, 단부, 하단, 하부, 내부, 내면, 외부, 외주, 외면, 외측, 둘레; 등에는 핀(pin), 봉, 돌기, 볼트, 앵카, 네일(nail), 스트랜드체; 이중 둘 이상 복합체; 또는 경사, 연직, 수평 등의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의 구비에 의하여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등의 지지력 향상, 침하 감소, 내진성능향상 등의 효과를 가진다. 상기의 적용 예로는 기초 하부에 10개의 못, 파일 하부 선단의 둘레에 100개의 핀, 후팅의 하부에 100개의 철근, 피어의 하단에 60개의 네일 등의 구비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핀기초, 빔기초, 줄기초, 벽기초, 봉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직접기초, 후팅기초, 전면기초, 정적기초, 동적기초, 진동기초, 내진기초, 독립기초, 단독기초, 연속기초, 군기초, 지반기초, 지중기초, 지하기초, 암반기초, 기계기초, 건물기초, 주택기초, 교량기초, 교각기초, 옹벽기초, 시설기초, 석션기초, 돌기기초, 볼트기초, 앵커기초, 네일기초, 블럭기초, 우물통기초, 구조물기초, 데크로드기초, 스트랜드기초, 핀파일, 봉파일, 돌기파일, 볼트파일, 앵커파일, 네일파일, 매입파일, 항타파일, 현타파일, 강관파일, PHC파일,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스트랜드파일, 지열기초, 에너지기초, 강관기초, 강재기초, 금속기초, 비금속기초, 스크류기초, 콘크리트기초, 철근콘크리트기초, 공장제조기초, 현장타설기초, 지중주입기초, 지중분사기초, 지중믹싱기초, 지중다짐기초, 지중매입기초, 지중관입기초, 지중항타기초, 마이크로파일, 그라우팅파일, 그라우팅기초, 어스드릴기초, 올케이싱기초 등은 핀, 빔, 줄, 벽, 봉, 얕은, 깊은, 직접, 후팅, 전면, 정적, 동적, 진동, 내진, 독립, 단독, 연속, 군, 지반, 지중, 지하, 암반, 기계, 건물, 주택, 교량, 교각, 옹벽, 시설, 석션, 돌기, 볼트, 앵커, 네일, 블럭, 우물통, 구조물, 데크로드, 스트랜드, 핀, 봉, 돌기, 볼트, 앵커, 네일, 매입, 항타, 현타, 강관, PHC, 지열, 에너지, 스트랜드, 지열, 에너지, 강관, 강재, 금속, 비금속, 스크류,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공장제조, 현장타설, 지중주입, 지중분사, 지중믹싱, 지중다짐, 지중매입, 지중관입, 지중항타, 마이크로, 그라우팅, 그라우팅, 어스드릴, 올케이싱 등의, 또는 등이 1개 이상 장착된, 또는 등으로 시공된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변단면기초(도 15 c, e, g; 도 17 d 참조), 테이퍼기초(도 15 g 참조), 점축기초(도 15 g 참조), 점확기초(도 15 g 참조), 상부확대하부축소기초(도 15 c, e; 도 17 d 참조) 등은 길이 방향, 상하 방향, 지반에 관입 후 상하 방향 등으로 단면, 횡단면, 단면적, 직경, 두께, 굵기 등이 변함, 다름, 확대, 축소, 체인지, 테이퍼, 점증, 점확, 상부확대하부축소 등이 되는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테이퍼는 테이퍼, 콘, 삿갓, 점증, 점확; 점축은 점점 축소, 점확은 점점 확대; 상부확대하부축소는 지반에 기초가 관입 후 지면에서 지중으로 일정지점까지의 상부는 확대 단면을 가지고 상기 일정지점 이하의 하부는 상기 확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축소 단면을 가짐; 등이 해당된다.
상기 부호 1, 2, 3을 설명하면 a) 부호 1은 판, 관, 콘, 팁, tip, 슈, shoe, 콘슈, cone shoe, 선단팁, 선단슈,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판과 관의 결합체 또는 복합체, 판 구비 관의 결합체 또는 복합체,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상기 판과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결합체 또는 복합체; b) 부호 2는 판, 板, 틀, 널판, 보드, 틀판, 격자, 원판, 각판, 다각판, 격자판, 연결판, 중공판, 요철판, 점증판, 점확판, 점축판, 경사판, 절개판, 절편판, 테이퍼판, plate, 일정의 두께를 가진 판, 관에 구비되는 판, 관이 구비되는 판, 관을 지지하는 판, 기초 또는 이의 선단 보호대 등에 장착되는 판, 기초 또는 이의 선단 보호대 등에 장착되어 기초에 관을 연결시키는 판; c) 부호 3은 관, 管, 슈, 팁, 콘, 단관, 내관, 중관, 외관, 벽관, 중공관, 요철관, 점증관, 점확관, 점축관, 경사관, 절개관, 절편관, 테이퍼관, shoe, 콘슈, cone shoe, 선단슈, 절편관, 2중관, 3중관, pipe, 판에 구비되는 관, 판이 구비되는 관, 상호 이격된 외관(外官)과 내관(內官)으로 구성된 2중관, 상호 이격된 외관(外官)과 중관(中官)과 내관(內官)으로 구성된 3중관, 각각 절개된 외관과 내관으로 구성된 2중관, 각각 절개된 외관과 중관과 내관으로 구성된 3중관, 지반이나 암반 등에 삽입되는 관,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부호 1, 2, 3; 또는 부호 1 기구(器具), 2 기구, 3 기구; 또는 부호 1인 판 구비 관의 결합체 또는 복합체, 2인 테이퍼판, 3인 절편관; 등은 기초; 이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헤드,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 상기 빔 내지 굴착공 중 하나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헤드; 등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반대로 기술하면 본 고안의 기초; 이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헤드,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 상기 빔 내지 굴착공 중 하나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헤드; 등에는 본 고안의 부호 1, 2, 3; 또는 부호 1 기구, 2 기구, 3 기구; 또는 부호 1인 판 구비 관의 결합체, 2인 테이퍼판, 3인 절편관; 등이 구비되게 된다. 여기서 부호 1, 2, 3; 이중 하나의 면, 표면, 외면; 등에는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의 구비, 설치, 장착, 부착, 정착, 형성 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등에 있어서 판과 관의 결합은 판, 판의 홀, 판의 링홀, 판의 일측, 판의 일단, 판의 평면, 판의 오목부, 판의 볼트구멍 등과 또는 등에 관, 관의 홀, 관의 일단, 관의 선단, 관의 일측, 관의 외벽, 관의 벽체, 관의 두께, 관의 피막, 관의 볼트구멍, 관의 선단 홀, 관의 축방향 일측, 관의 축방향 선단 등을 상호 연계, 연결, 결합, 접착, 붙임, 체결, 끼움, 조임, 용접, 볼팅, 잭연결, 나사조임, 나사끼움, 볼트연결 등에 의한다. 그리고 주물, 주조, 단조, 압출, 압착, 압연, 프레스 등에 의하여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등을 처음부터 각각 일체로 제조, 제작, 생산 등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판, 관, 절개부, 절개판, 따기부, 따기판,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등과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의 결합은 상기 판 또는 관, 판 또는 관의 홀, 판 또는 관의 링홀, 판 또는 관의 일측, 판 또는 관의 일단, 판 또는 관의 평면, 판 또는 관의 오목부, 판 또는 관의 볼트구멍 등과 또는 등에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또는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홀, 일단, 선단, 일측, 외벽, 벽체, 두께, 피막, 볼트구멍, 선단 홀, 축방향 일측, 축방향 선단; 등을 상호 연계, 연결, 결합, 접착, 붙임, 체결, 끼움, 조임, 용접, 볼팅, 잭연결, 나사조임, 나사끼움, 볼트연결 등에 의한다. 그리고 주물, 주조, 단조, 압출, 압착, 압연, 프레스 등에 의하여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이 결합된 판, 관 등을 처음부터 각각 일체로 제조, 제작, 생산 등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판,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등(1, 2, 3)에서 판(板, 2)의 폭, 두께, 크기, 직경, 내경, 외경, 외주, 원주, 길이, 가로, 세로, 외벽, 벽체, 피막, 체적, 벽두께, 단면적, 내부중공크기 등은 관(管, 3)의 상기 폭 내지 내부중공크기 등과 동일, 같음, 유사; 또는 등보다 큼, 작음, 50∼90% 작음, 50∼300% 큼;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의 반대로 상기 판,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등에서 관(管, 3)의 폭, 두께, 크기, 직경, 내경, 외경, 외주, 원주, 길이, 가로, 세로, 외벽, 벽체, 피막, 체적, 벽두께, 단면적, 내부중공크기 등은 판(板, 2)의 상기 폭 내지 내부중공크기 등과 동일, 같음, 유사; 또는 등보다 큼, 작음, 50∼90% 작음, 50∼300% 큼; 등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도 1 (a), 도 2 (a),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등에서 판(板, 2)의 외경과 관(管, 3)의 외경이 동일하고, 도 1 (b), 도 2 (b), 도 11 (c), d), (f), 도 12 (c), d), (f) 등에서 판(板, 2)의 외경이 관(管, 3)의 외경보다 큰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는 단관, 콘관, 콘판, 단판, 링관, 링판, 2중관, 3중관, 다중관, 다발관, 다판관, 키인관, 절편관, 내관, 중관, 외관,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단관은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가 해당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벽 또는 발 또는 외관 또는 절편이 구비 또는 확장되는 단관은 벽 또는 발 또는 외관 또는 절편이 구비 또는 확장되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단관은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거나,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에 속하게 된다. 그리고 다발관은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거나,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에 속하게 된다.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스파이크관 등은 1) 내부는 중공, 원통, 속빈, 빈공간 등이고, 2) 그리고 a) 벽, 외벽, 벽체, 외부, 외피, 외곽, 주면, 외면, 피막, 둘레,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두리벽, 가장자리, 가장자리벽 등은 통형, 일체형, 막힘형, 원통형, 폐쇄형, 터진형, 오픈형, 개방형, 부분형, 절개형, 절편형, 쐐기형 등이거나, 또는 발, 2발, 3발, 다발, 편, 절편, 격자, 날개, 칼날, 뽀족, 쐐기, 다편, 못, 봉, 철근, 철봉, 네일, 나선, 송곳, 가시, 갈퀴, 닭발, 오리발, 스크류, 절편체, 절편발, 절개체, 절개발, 스파이크 등으로 구성되거나, 등이 형성, 조성, 장착, 구비, 거치, 용접, 볼팅, 접합, 결합, 연계, 나사연결 등이 되고, b) 상기 벽 내지 가장자리벽 등의 선단 또는 하단은 칼날, 뽀족, 쐐기, 못, 송곳, 스파이크 등이거나, 또는 상기 칼날 내지 스파이크 등이 형성, 조성, 장착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벽 내지 가장자리벽 등을 구성하는 또는 등에 구비된 상기 발 내지 스파이트 등은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스파이크관, 벽 내지 가장자리벽 등에 또는 등에서 절개, 절편, 파단, 휨, 압착, 휨절개, 용접, 접착, 접합, 확장 용접, 확장 접합, 절개 확장, 절편 확장 등이 되게 된다.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스파이크관 등은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이중 하나의 선단, 하부, 하단, 말단, 단부; 상기 기초 내지 단부 중 하나의 내부, 내면, 내측, 내주, 외부, 외면, 외주, 외측, 둘레; 등에 형성, 조성, 장착, 구비, 거치, 용접, 볼팅, 접합, 결합, 연계, 나사연결 등이 된다. 이의 예로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스파이크관 등이 기초 선단의 상기 내부 내지 둘레 등에 거치되고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스파이크관 등의 벽, 발, 다발, 절개벽, 절개발, 용접발, 상기 발 내지 스파이크 등이 상기 기초 선단의 외부로 확장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이는 도 11, 13, 14, 16, 17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단관, 콘관, 콘판, 단판, 링관, 링판, 2중관, 3중관, 다중관, 다발관, 다판관, 키인관, 절편관, 내관, 중관, 외관 등에서 관은 관, 管, 단관, 통관, 관로, 밴드, 튜브, 파이프, band, tube, pipe, 중공관, 원통관, 날개관, 칼날관, 뽀족관, 쐐기관, 다편관, 못관, 송곳관, 스파이크관 등이 해당된다.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관 내지 스파이크관 등은 지반, 암반 등에 용이하게 매입, 관입, 진입, 압입, 키인 등이 되고, 이에 의하여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선단지지력 향상, 주면마찰력 향상, 지진 저항, 진동 저항, 내진성능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등을 하게 한다.
상기 2중관의 경우는 상기 중관과 내관이 동일한 것으로 외관과 중관, 외관과 내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관은 외관, outer pipe, 내관 및 외관 중 외관, 내관 및 중관 및 외관 중 외관 등이 해당되고, 2중관의 경우는 내관(inner pipe) 외측의 외관(outer pipe), 3중관의 경우는 내관 외측의 중관(middle pipe), 외관(outer pipe), 4중관의 경우는 내관 외측의 1중관, 2중관, 외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2중관, 3중관, 다중관 등은 확장, 굴곡, 굴절, 절곡, 휘어짐 등의 시에 확장, 굴곡, 굴절, 절곡, 휘어짐 등이 되는 부위가 1중 또는 한겹이 아닌 2중, 3중, 다중, 2겹, 3겹, 다겹 등으로 되어 확장, 굴곡, 굴절, 절곡, 휘어짐 등이 되는 부위의 압력, 강도, 저항력, 지지력 등을 향상시키게 한다.
a) 상기 다발관은 다발관, 절편관, 2개 이상의 발이 구비된 관, 2개 이상의 발로 구성된 관, 벽 또는 벽체가 2개 이상의 발로 된 관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절편관은 절편관, 다발관, 2개 이상의 절편이 구비된 관, 2개 이상의 절편으로 구성된 관, 벽 또는 벽체 또는 벽외피가 2개 이상의 절편으로 된 관 등이 해당된다. c) 상기 키인관은 키인관, key-in관, 박히는 관, 기초의 선단에 장착된 키인관, 지반이나 암반 등에 키인(key-in)되는 또는 박히는 관, 지반이나 암반 등에 키인(key-in)되기 용이한 구조 또는 형태의 관, 기초의 선단에 장착되어 기초의 시공시 하부 지반이나 암반 등에 키인(key-in)되는 또는 박히는 관, 기초의 하단 등에 장착되어 기초의 설치시 기초 하부의 지반이나 암반 등에 키인(key-in)되어 또는 박히어 기초의 지지력향상, 이동방지, 유동방지, 침하방지 등을 위한 관 등이 해당된다. d) 상기 돌기형, 스파이크형, 스파이크관, 스파이크판 등은 상기 핀 내지 복합체, 편 내지 슬롯따기편 등의 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등이 구비, 거치, 부착, 장착, 용접, 볼팅 등이 된 경우, 관, 판 등이 해당된다. e) 상기 외관 또는 절편 외관 또는 선따기 외관 또는 절편선 형성 외관이 구비 또는 확장되는 다중관은 기초의 시공, 공사, 관입, 삽입, 항타, 하중재하 등에 의하여 외관 또는 절편 외관 또는 선따기 외관 또는 절편선 형성 외관이 구비 또는 확장되는 다중관, 2중관, 3중관 등이다.
상기 점증관, 점확관, 점축관, 점증점축관, 경사관, 점증판, 점확판, 점축판, 점증점축판, 경사판, 테이퍼관, 테이퍼판, 점증형, 점축형, 점증점축형 등에서 점증, 점확, 점축, 경사, 테이퍼, 점증점축 등은 a) 점증, 점확, 점축, 경사, 테이퍼, 점증 및 점축, 점증 후 점축, 점축 후 점증, 점증 경사, 점증 테이퍼, 점축 경사, 점축 테이퍼;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점증 내지 점축 테이퍼; b) 점점 증가, 점점 확장, 점점 축소, 점차 경사, 점차 테이퍼, 점점 증가 및 점점 축소, 점점 증가 후 점점 축소, 점점 축소 후 점점 증가, 점점 증가하는 경사, 점점 증가하는 테이퍼, 점점 축소하는 경사, 점점 축소하는 테이퍼; c) 일정의 면, 벽, 길이, 높이, 두께, 외경, 직경, 면적, 체적, 단면적, 선단면적, 평면적, 저항면적, 마찰면적, 투영면적 등이 상기 점증 내지 점축 테이퍼; d) 일정의 축, 변, 면, 벽, 길이, 높이, 두께, 중심축, 중앙축, 축방향, 길이방향, 긴 방향에 대한 중심축 또는 중앙축 등에 대하여, 또는 등의 방향으로 상기 면 내지 투영면적 등이 상기 점증 내지 점축 테이퍼; e) 관, 판, 물체; 이중 하나의 벽, 벽면, 외벽, 벽체, 외면, 가두리, 가장자리; 중 하나의 일단, 일측, 일단에서 일지점까지,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지점까지 등이; 또는 등의 상기 면 내지 투영면적 등이; 상기 점증 내지 점축 테이퍼;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점증점축은 상기 관 내지 가장자리 등의 일단에서 일지점까지는 직경 또는 단면적이 점점 확장, 확대, 확폭 등이 된 후에 상기 일지점에서 다른 일지점 또는 타단까지는 직경 또는 단면적이 점점 축소되는 것 등도 해당된다.
상기 절개관, 따기관, 점선관, 절편관, 점증관, 점확관, 점축관, 점증점축관, 경사관, 튜브관, 요철관, 돌기관, 요철판, 돌기판, 중공판, 절개판, 따기판, 점선판, 절편판, 2중판, 다중판, 도넛판, 점증판, 점확판, 점축판, 점증점축판, 경사판, 테이퍼관, 테이퍼판, 불연속관, 불연속판, 스파이크관, 스파이크판 등은 관, 판, 튜브관, 두께판 등의 전체, 부분, 일부, 일측, 일점, 다점, 일지점, 다지점, 전체의 1/2, 전체의 1/3, 전체의 1/4, 중간에서 일측, 중간에서 선단 등이 또는 등에 절개, 따기, 점선, 절편, 점증, 점확, 점축, 점증점축, 경사, 튜브, 요철, 돌기, 중공, 테이퍼, 불연속, 스파이크 중 하나가 되거나, 하나가 형성되거나, 하나가 구비 등이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형성, 구비 등은 1개 이상, 1개소 이상, 1지점 이상 등으로 형성, 구비 등이 되게 된다. 이의 예로는 3개소 절개 형성의 절개관, 4지점 따기 형성의 따기판, 6개 요철의 구비의 요철관, 3개 불연속 형성의 불연속판, 3개소 불연속 형성의 불연속관, 7개 스파이크 구비의 스파이크 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다발 구비 관, 돌기 구비 관, 네일 구비 관, 앵커 구비 관, 테이퍼판 구비 관, 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판,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 연결잭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등은 a) 상기 다발 구비 관 ∼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등의 자체; b) 선, 점선, 파선, 슬롯, 파단선, 절개선, 따기선, 절편선,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내관, 중관, 외관,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등이 형성, 조성, 구비 등이 된 상기 다발 구비 관 ∼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c) 관, 판, 단관, 테이퍼관, 테이퍼판 등에 상기 선 ∼ 슬롯따기편 등이 형성, 조성, 구비 등이 된 상기 다발 구비 관 ∼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d) 절개, 절편 등이 된 관, 판, 단관, 테이퍼관, 테이퍼판 등에 상기 선 ∼ 슬롯따기편 등이 형성, 조성, 구비 등이 된 상기 다발 구비 관 ∼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e) 상기 선 ∼ 슬롯따기편 등이 형성, 조성, 구비 등이 된 확장형, 경사형, 경사확장형, 확장경사형, 선단확장형 등의 상기 다발 구비 관 ∼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f) 관, 판, 단관, 테이퍼관, 테이퍼판 등이 절개, 절편 등이 되어 상기 관 내지 테이퍼판 등에 상기 선 ∼ 슬롯따기편 등이 형성, 조성, 구비 등이 된 상기 다발 구비 관 ∼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g) 관, 판, 단관, 테이퍼관, 테이퍼판 등이 절개, 절편 등이 되어 상기 관 내지 테이퍼판 등에 상기 선 ∼ 슬롯따기편 등이 형성, 조성, 구비 등이 되고, 이에 더하여 상기 관 내지 테이퍼판, 이중 하나의 선단, 단부, 하부, 측면, 외부 등에 다발, 돌기, 나선, 갈퀴, 상기 또는 하기 핀 내지 복합체 등(16, 17, 18)이 장착, 부착, 형성, 조성 등이 된 상기 다발 구비 관 ∼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의 예를 들면 a) 앵커 구비 관의 경우 기초 항타시 절개되어 슬롯따기편이 확장되고 하부에 앵커(16, 17, 18)가 구비된 관, 확장관; b) 다발 구비 관의 경우 기초 시공 후 건물 공사 중 건물 하중에 의하여 파단선이 절개되어 확장되고 하부에 10개 발인 다발(16, 17, 18)이 구비된 관, 확장관; c) 돌기 구비 관의 경우 기초 항타, 기초 상부 건물하중 등에 의하여 절편선이 절개되어 확장되고 하부에 10개 돌기(16, 17, 18)가 구비된 관, 확장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둘 이상 조합의 복합체, 상기 단관 내지 관 구비 판 중 둘 이상 조합의 복합체 등은 단관, 콘관, 콘판, 단판, 링관, 링판, 2중관, 3중관, 다중관, 다발관, 다판관, 키인관(key-in pipe), 절개관, 따기관, 점선관, 절편관, 점증관, 점확관, 점축관, 점증점축관, 경사관, 튜브관, 중공판, 절개판, 따기판, 점선판, 절편판, 2중판, 다중판, 도넛판, 점증판, 점확판, 점축판, 점증점축판, 경사판, 테이퍼관, 다발 구비 관, 돌기 구비 관, 네일 구비 관, 앵커 구비 관, 테이퍼판 구비 관, 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판,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 연결잭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벽 또는 발 또는 외관 또는 절편이 구비 또는 확장되는 단관, 외관 또는 절편 외관 또는 선따기 외관 또는 절편선 형성 외관이 구비 또는 확장되는 다중관, 발 또는 벽발이 구비 또는 확장되는 다발관, 지반에 키인 또는 키인 확장되는 키인관, 지반에 키인되면서 확장 또는 절편 확장되는 확장관, 지반에 키인되면서 외관이 확장되는 다중관, 지반에 키인되면서 발이 확장 또는 절편 확장되는 다발관, 지반에 키인되면서 절편 또는 절편벽이 확장되는 절편관, 확장형 격자 삽입 절편관, 지반에 키인되면서 절편 확장에 더하여 상기 격자가 확장되는 절편관, 상기 격자가 절편의 굴곡부 또는 절편선의 벌어짐 부위로 확장되는 절편관 중 둘 이상의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복합체(1)는 상기 단관 내지 테이퍼관; 관 내지(∼) 관 구비 판; 단관 내지(∼) 관 구비 판; 단관 내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중 둘 이상 조합, 결합, 연계, 연결, 복합,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장착 등이 해당되는 데, 이의 예로는 1) 단관과 콘관, 콘관 형상의 단관, 단관 측면에 콘관, 단관 상부 또는 하부에 콘관, 단관과 콘관의 결합체, 단관과 콘관 복합체, 단관과 콘관 조합체; 2) 키인관의 단관, 지반에 키인되는 키인관 형태의 단관; 3) 점증관의 단관, 점증관 형식의 단관, 길이 방향을 따라 점증되는 점증관 형식의 단관; 4) 점증판의 테이퍼판, 점증판 형식의 테이퍼판, 두께 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점증되는 점증판 형식의 테이퍼판; 5) 불연속판의 테이퍼판, 불연속판 형식의 테이퍼판, 선단 또는 몸체를 여러 개소 절개하여 불연속 지점 또는 공간이 형성된 불연속판 형식의 테이퍼판; 6) 내관과 외관에 2개 이상의 발이 형성된 다발관 형식의 단관 또는 2중관; 7) 내관과 외관에 2개 이상의 발이 형성된 다발관 형식이면서 외형이 콘모양을 가진 콘관 형식의 단관 또는 2중관; 8) 점확판 형식의 테이퍼판이 선단에 구비된 점증관 형식의 테이퍼관; 9) 절편판 형식의 테이퍼판이 선단에 연결된 따기관 형식의 테이퍼관; 10) 불연속 지점 또는 공간이 형성되는 불연속판 형태의 점확판 형식의 테이퍼판이 선단에 구비된 불연속 지점 또는 공간이 형성되는 불연속판 형태의 점증관 형식의 테이퍼관; 11) 불연속 지점 또는 공간이 형성되는 불연속판 형태의 절편판 형식의 테이퍼판이 선단에 연결된 불연속 지점 또는 공간이 형성되는 불연속판 형태의 따기관 형식의 테이퍼관; 12) 외벽에 절편이 형성된 절편관 형식이면서 외형이 콘모양을 가진 콘관 형식의 단관; 13) 일부에 절편이 형성된 절편판 형식이면서 외형이 콘모양을 가진 콘판 형식의 테이퍼판; 14) 불연속 지점 또는 공간이 형성되는 불연속관 형태에 더하여 외벽에 절편이 형성된 절편관 형식이면서 외형이 콘모양을 가진 콘관 형식의 단관; 등이 해당되고,
또한 15) 불연속 지점 또는 공간이 형성되는 불연속판 형태에 더하여 일부에 절편이 형성된 절편판 형식이면서 외형이 콘모양을 가진 콘판 형식의 테이퍼판; 16) 불연속 지점 또는 공간이 형성되는 불연속판 형태에 더하여 일부에 절편이 형성된 절편판 형식이면서 외형이 콘모양을 가진 콘판 형식의 테이퍼판이 일단에 구비된 불연속 지점 또는 공간이 형성되는 불연속관 형태에 더하여 외벽에 절편이 형성된 절편관 형식이면서 외형이 콘모양을 가진 콘관 형식의 단관; 17) 테이퍼관 구비 판이 거치된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18) a) 불연속 지점 또는 공간이 형성되는 불연속관 형태에 더하여 일부에 절편이 형성된 절편관 형식이면서 외형이 콘모양을 가진 콘관 형식의 테이퍼관이 구비된 b) 불연속 지점 또는 공간이 형성되는 불연속판 형태에 더하여 일부에 절편이 형성된 절편판 형식이면서 외형이 콘모양을 가진 콘판 형식의 판이 거치, 설치, 장착, 부착, 연결, 연계, 조합, 결합 등이 된 것으로 c) 불연속 지점 또는 공간이 형성되는 불연속판 형태에 더하여 일부에 절편이 형성된 절편판 형식이면서 외형이 콘모양을 가진 콘판 형식의 테이퍼판이 구비된 d) 불연속 지점 또는 공간이 형성되는 불연속관 형태에 더하여 일부에 절편이 형성된 절편관 형식이면서 외형이 콘모양을 가진 콘관 형식의 테이퍼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복합체는 상기에 기재된 16개의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단관 내지 테이퍼관; 단관 내지(∼) 관 구비 판; 단관 내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등을 어떤 형태로든 자유롭게 2 이상 또는 2개 이상 조합, 결합, 연계, 연결, 복합,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장착 등이 되면 된다.
본 고안의; 또는 상기 또는 하기의; 단관 내지 복합체 등(1, 2, 3)에 대하여 하기 a) 내지 k)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은 a) a1) 길이, 높이, 두께 등이 5∼50cm인 단관(3), 외형이 콘 또는 중공콘 형상의 콘관, 내관(3-1)과 외관(3-2, 3-3)으로 된 2중관, 내관(3-1)과 중관(3-2)과 외관(3-3)으로 구성된 3중관, 2중관 이상의 다중관, 발이 달린 또는 외벽이 2개 이상의 발로 구성된 다발관, 지반 등에 삽입되는 키인관(key-in pipe), 절편이 달린 또는 외벽이 2개 이상의 절편으로 된 절편관, 외형 등이 길이 방향을 따라 점점 증가되는 점증관, 외형 등이 길이 등의 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관, 외형 등이 길이 등의 방향을 따라 경사진 테이퍼관(3), 외형 등이 길이 또는 두께 등의 방향을 따라 경사진 테이퍼판(2), 다발 구비 관, 돌기 구비 관, 네일 구비 관, 앵커 구비 관, 테이퍼판 구비 관(1), 판 구비 테이퍼관(1), 테이퍼관 구비 판,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1), 연결잭(5)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3), 연결판(2) 구비 테이퍼관(3), 볼트구멍(4) 형성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3) 또는 테이퍼관, 벽(7) 또는 발(9) 또는 외관(3-3) 또는 절편(9)이 확장(30)되는 단관(3), 외관 또는 절편 외관 또는 선따기(8) 외관 또는 절편선(8) 형성 외관이 구비 또는 확장되는 다중관, 발 또는 벽발(9, 발이 형성된 벽)이 일지점(21)에서 일단(20)까지 확장되는 다발관, 지반(110)에 키인 또는 키인되면서 확장되는 키인관(3), 지반(110)에 키인되면서 확장(30) 또는 절편(9) 확장(30)되는 (절편이 확장되는) 확장관, 지반(110)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외관(3-2, 3-3)이 일지점에서 일단까지 확장(30)되는 다중관, 지반(110)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발(9)이 확장(30) 또는 절편 확장되는 다발관, 지반에 키인되면서 절편(9) 또는 절편벽(7)이 (절편이 형성된 벽이) 확장되는 절편관(3), 내부에 확장형 격자(10) 삽입 절편관(3), 지반(110)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절편(9) 확장(30)에 더하여 상기 격자(10)가 확장(31)되는 관 또는 절편관(3), 상기 격자(10)가 절편(9)의 굴곡부 또는 절편선(8)의 벌어짐 부위로 확장되는 절편관, 상기 절편(9)과 격자(10) 간에 당김선(11)이 구비된 관 또는 절편관, 상기 절편(9)의 확장(30)시 상기 당김선(11)에 의하여 격자(10)의 일측이 당김되면서 타측이 확장되는 관 또는 절편관(3), 연결판(2)이 구비된 상기 관(1), a2) 또는 원형, 통형, 콘형, 핀형, 발형, 편형, 판형, 톱니형, 원통형, 원판형, 몸체의 속이 빈 중공형, 몸체가 채워진 채움형, 외벽이 피막인 피막형, 벽면이 있는 벽면형, 형상 등이 삼각형, 형상 등이 사각형, 형상 등이 다각형, 벽 또는 길이 등이 직선형, 벽 또는 길이 등이 연직형, 벽 또는 길이 등이 경사형, 벽 또는 길이 등이 곡선형, 벽 또는 길이 등이 곡면형, 벽 또는 길이 등이 오목형, 벽 또는 길이 등이 볼록형, 절편이 있는 또는 벽이 절편으로 구성된 절편형, 벽 또는 외형이 선따기된 선따기형, 벽이 2개 이상의 절편으로 구성된 벽절편형, 벽에 2개 이상의 선이 따기된 벽선따기형, 연결판이 구비된 연결판구비형, 연결잭(5) 형성, 볼트 구멍(4) 형성, 경사 또는 각도(α) 1∼89도 중 하나 이상의 상기 관(3), 판(2), 판과 관, 판 구비 관(1), 관 구비 판; a3) 상기 단관 내지 관 구비 판 중 둘 이상 조합의 복합체;
b) 외관(3-3)과 내관(3-1)으로 구성된 2중관(3), 외관(3-3)과 중관(3-2)과 내관(3-1)으로 구성된 3중관(3);
c) 2개 관(내관, 외관)의 길이가 상호 다른 2중관(3), 3개 관(내관, 중관, 외관)의 길이가 상호 다른 3중관(3), 외관(3-3)과 중관(3-2)과 내관(3-1)의 순 또는 역순으로 길이가 긴 2중관 또는 3중관(3); 여기서 내관, 중관, 외관 등의 길이가 다른 것은 도 1, 2 등에 도시되어 있다.
d) 자신의 길이 또는 높이(13)가 d1) 5∼50cm; d2) 기초(100) 길이의 0.1∼10%; d3) 기초(100) 직경의 0.5∼5배; 중 하나인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e) 자신의 두께 또는 벽두께(14)가 기초(100) 두께 또는 직경의 0.1∼50%인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여기서 두께는 테이퍼관의 두께, 테이퍼관의 벽두께, 테이퍼판의 두께, 테이퍼판의 높이두께,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의 두께, 벽두께, 높이두께, 상하두께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벽두께는 벽, 외벽, 외피, 피막, 벽체, 벽면, 편벽, 둘레, 절편벽, 둘레벽, 가두리,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두리벽, 가장자리벽 등의 두께,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벽, 외벽, 외피, 피막, 벽체, 벽면, 편벽, 둘레, 절편벽,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두리벽, 가장자리벽 등의 두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는 상기 단관, 콘관 ∼ 판 구비 관, 상기 둘 이상 조합의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f) 일정의 콘, 절개, 절단, 따기, 경사, 점축, 점증, 점선, 파선, 확장, 벌림, 파단선, 테이퍼, 콘형성, 휘어짐, 점선형성, 선단확장, 선단벌림; 이들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시행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g) 상기 절개, 절단, 따기, 점선, 파선, 파단선, 점선형성 중 하나에 의하여 g1)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g2) 자신의 벽, 외벽, 외피, 피막, 벽체, 둘레,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장자리 중 하나에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중 하나가 형성되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이의 실시 예를 들면 1) 콘의 또는 콘 형상의 단관, 벽이 절개된 절개 2중관, 벽이 따기된 따기 3중관, 경사의 다발관, 점축 절편관, 점증 단관, 확장의 단관, 벌림의 단관, 테이퍼 단관, 2) 콘 형상이 시행된 단관, 절개가 시행된 2중관, 따기된 단관, 경사된 다발관, 점축이 시행된 키인관, 점증된 절편관, 벽에 점선이 시행된 단관, 가두리에 파선이 시행된 단관, 일단의 확장이 시행된 단관, 일단의 벌림이 시행된 콘관, 벽에 파단선이 시행된 경사관, 테이퍼가 시행된 테이퍼관, 점선형성이 시행된 단관, 선단확장된 단관, 선단벌림이 시행된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이들 복합은 콘, 절개, 절단, 따기, 경사, 점축, 점증, 점선, 파선, 확장, 벌림, 파단선, 테이퍼, 콘형성, 휘어짐, 점선형성, 선단확장, 선단벌림 중 둘 이상 복합으로, 이의 실시 예를 들면 1) 콘 형상으로 제조되면서 벽면이 3개의 절편으로 절개된 단관, 2) 몸체가 점선으로 따기되면서 몸체가 경사진 단관, 3) 전체 길이 중 일단에서 일지점까지는 점축되고 일지점에서 타단까지는 점증되는 단관, 4) 벽체 또는 몸체에 총 6개의 점선 및 파선이 형성되어 5개의 절편이 구비되는 단관, 5) 일단이 벌림되어 확장된 단관, 벽체 또는 몸체에 파단선이 따기되면서 테이퍼 형을 이루는 관, 6) 벽체 또는 몸체에 점선형성이 되고 선단확장이 되는 2중관, 7) 벽체 또는 몸체가 일정 선을 따라 선따기되면서 선단벌림이 되는 키인관 등이 해당된다.
g) 상기 절개, 절단, 따기, 점선, 파선, 파단선, 점선형성 중 하나에 의하여 g1)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9); g2) 자신의 벽, 외벽, 외피, 피막, 벽체, 둘레,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장자리 중 하나(7)에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9); 중 하나가 형성되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이는 상기 2, 3, 4, 5, 6, n 개 등의 절개, 절단, 따기, 점선, 파선, 파단선, 점선형성 중 하나에 의하여 g1) 1, 2, 3, 4, 5, n-1 개 등의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9); g2) 자신의 벽, 외벽, 외피, 피막, 벽체, 둘레,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장자리 중 하나에 1, 2, 3, 4, 5, n-1 개 등의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9); 중 하나가 형성되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h) 일정의 점, 선, 면, 점선, 파선, 연직, 곡선, 길이, 삼각, 쐐기, 슬롯 중 하나의; 또는 하나 형태의; 또는 하나 형성의; 상기 콘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시행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이의 실시 예를 들면, 1) 점의 따기, 선 절개, 면 따기, 점선 절개, 파선 따기, 연직 점선형성, 곡선 파단선, 길이 확장, 삼각 콘, 쐐기 절단, 슬롯 절개; 2) 삼각 콘, 파선 절개, 파선으로 절개, 길이 절단, 선 따기, 곡선 경사, 길이 점축, 길이 방향으로 점축, 선 점증, 선을 따라 점증, 길이 점선, 길이를 따라 점선, 곡선 파선, 곡선 형으로 파선, 쐐기 확장, 쐐기 형상으로 확장, 슬롯 벌림, 슬롯을 벌림, 곡선 파단선, 곡선 모양의 파단선, 연직 테이퍼, 연직으로 테이퍼, 삼각 점선형성, 삼각 형상의 점선형성, 길이 선단확장, 길이 방향으로 선단확장, 곡선 선단벌림, 곡선 형상으로 선단벌림; 3) 연직, 곡선, 삼각, 쐐기 등의 콘 형태를 가진 단관; 4) 점, 선, 면, 점선, 파선, 연직, 곡선, 길이, 삼각, 쐐기, 슬롯 중 하나의 점축, 점증, 점선, 파선, 확장, 벌림, 파단선, 테이퍼, 콘형성, 휘어짐, 점선형성, 선단확장, 선단벌림 등의 단관; 5) 점, 선, 면, 점선, 파선, 연직, 곡선, 길이, 삼각, 쐐기, 슬롯 중 하나 형태의 절개, 절단, 따기 등이 시행된 단관; 6) 점, 선, 점선, 파선, 쐐기, 슬롯 중 하나 형성의 절개, 절단, 따기, 파단선, 테이퍼, 점선형성 등의 또는 등이 시행된 단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콘 내지 복합은 콘, 절개, 절단, 따기, 경사, 점축, 점증, 점선, 파선, 확장, 벌림, 파단선, 테이퍼, 콘형성, 휘어짐, 점선형성, 선단확장, 선단벌림; 이들 복합을 나타낸다.
i) 또는 i1)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17); i2) 상기 핀 내지 스트랜드체(16) 중 둘 이상의 복합체(17, 18); 이의 복합체의 하나인 상기 핀 부착 봉 ∼ 핀이 부착된 봉이 장착된 돌기가 거치된 볼트가 용접된 네일이 체결된 앵커가 합체된 스트랜드체;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9); 단관 내지 복합체(3);
k) 상기 또는 하기 얕은기초 하단 면적의 10∼150%, 상기 또는 하기 깊은기초 하단 면적의 80∼200% 중 하나의 상단 면적을 가진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a) 내지 k)까지는 본 고안의; 또는 상기 또는 하기의; 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복합체 등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상기 관 내지 복합 체, 단관 내지 복합체, 슈, 선단슈 등(1, 2, 3)은 기초(100); 이의 선단, 일단, 하단, 단부, 내부, 내면, 내측, 외부, 외주, 외측, 외면, 둘레, 측면, 내외부, 헤드, 선단 내부, 선단 외부, 선단 외주, 선단 둘레 등의 또는 등에 구비되는 a) 슈, shoe, 키, key, 물체, 몸체, 선단슈, 선단체, 전단키, 저항키, 저항슈, 저항체, 보강체, 지지체, 장착체, 판,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상기 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복합체; b) 경사형, 확장형, 절개형, 절편형, 점확형, 점축형, 테이퍼형, 경사확장형, 확장경사형, 경사확장절개형, 확장경사절편형 등의 상기 슈 내지 복합체; 등이 된다.
상기 기초, 관, 판, 단관 내지 복합체, 이중 하나의 상기 면 내지 가장자리 등에는 상기 핀 내지 복합체, 판 내지 슬롯따기편, 선 내지 절편선 등이 구비, 거치, 존치, 정착, 장착, 부착 등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콘 내지 슬롯따기는 a)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 상기 콘 내지 슬롯따기; b) 1개소, 2개소, 2개소 이상, 1개 선, 2개 선, 2개 선 이상, 1개 줄, 2개 줄, 2개 줄 이상 등으로 상기 콘 내지 슬롯따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절개, 따기 등은 절개, 점절개, 선절개, 면절개, 점선절개, 연직절개, 길이절개, 삼각절개, 쐐기절개, 슬롯절개, 선따기, 점따기, 점선따기, 슬롯따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선 내지 절편선 등(8)은 a) 선, 점선, 파선, 슬롯, 파단선, 절개선, 따기선, 절편선; b) b1)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b2) 이중 하나의 벽, 외벽, 벽면, 벽체, 가두리, 가장자리; b3) 상기 중 하나의 일단, 일단에서 일지점까지; 등에 형성된 상기 선 내지 절편선; c)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n-1개의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등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기 선 내지 절편선; d)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이 형성된 상기 선 내지 절편선; e) 끌, 칼, 날, 침, 톱, 바늘, 니들, 불꽃, 망치, 펀쳐, 해머, 카타, 타카, 선반, 드릴, 가위, 로라, 몰딩, 몰드, 형틀, 주물, 용접, 판금, 밀링, 가공, 펀칭기, 천공기, 전기톱, 용접기, 회전드릴 등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선 내지 절편선; 등이 해당된다.
상기 a) 선은 선, 점선, 파선, 슬롯, 파단선, 절개선, 따기선, 절편선; b) 점선은 점선, dotted line, 點線, 점이 연속한 선; c) 파선은 파선, broken line, 破線, 짧은 선을 좁은 간격으로 배열한 선; d) 슬롯은 슬롯, slot, 홀, 구멍, 삼각홀, 사각홀, 천공홀, 가느다란 구멍, 가느다란 긴 구멍; e) 파단선은 파단선, break line, 破斷線, 짧은 선을 좁은 간격으로 배열한 선; f) 절개선은 절개선, 절개된 선,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의 외벽 등을 절개한 선; g) 따기선은 선, 점선, 파선, 슬롯, 파단선, 절개선, 따기선, 절편선, 파선의 따기선, 파선으로 따기한 선, 상기 끌 내지 회전드릴 등으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의 외벽 등을 따기한 또는 절개한 선; h) 절편선은 절편선, 절편을 형성하는 선, 절편이 형성되도록 그은 선, 상기 선 내지 따기선 등에 의하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의 외벽 등에 절편이 형성되도록 그은 선; 등이 해당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끌 내지 회전드릴 등은 1) 본 고안의 a) 핀 내지 복합체, 불연속, 불연속부, 불연속 부위, 선 내지 절편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단관 내지 복합체, 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스파이크관,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b) 이중 하나의 조성, 형성, 제조, 제작, 생산, 공사, 설치, 시공; 등에 이용, 사용, 적용, 활용, 구비, 거치 등이 되는 것이 가능하고, 2) 또한 상기 끌 내지 회전드릴 등에 의하여 상기 1) a) 핀 내지 케이슨 등의 조성, 형성, 제조, 제작, 생산, 공사, 설치, 시공 등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등(9)은 a)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내관, 중관, 외관,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b)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상기 핀 내지 스트랜드체 중 둘 이상의 복합체; 이의 복합체의 하나인 상기 핀 부착 봉 ∼ 핀이 부착된 봉이 장착된 돌기가 거치된 볼트가 용접된 네일이 체결된 앵커가 합체된 스트랜드체; c)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 구비 또는 형성의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d)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 모양의 또는 형태의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e) 상기 기초, 관, 판, 단관 내지 복합체; 이중 하나의 면, 표면, 내부, 내면, 외부, 외면, 벽, 외벽, 외피, 벽면, 벽체, 피막, 피복, 둘레,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장자리 등을 이루는 또는 등에 형성된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f) 상기 선 내지 절편선, n개의 선 내지 절편선 등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n-1개의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g) 2개의 또는 좌우의 상기 선 내지 절편선 등에 의하여 상기 2개 또는 좌우의 중간에 존재하는 1개의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h) 2개 선 또는 좌우 선에 의하여 상기 2개 선 또는 좌우 선의 중간에 존재하는 1개의 절편; i) 상기 끌 내지 회전드릴 등에 의하여 형성, 절개, 따기 등이 된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등이 해당된다. 이의 하나 예로 상기 편은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내관, 중관, 외관,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중 어느 하나도 해당되거나, 가능하다.
상기 a) 편,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등은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내관, 중관, 외관,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b) 발은 발, 봉, 1발, 2발, 3발, 4발, n발, 다리, 철근, 철봉, 네일, 발편, 편발, 발인 편, 편인 발, 발 형상의 편, 편 형상의 발, 발 형상, 다리 형상, 동물이나 사람이나 책상 등의 발 또는 발 형상; c) 측편, 벽편 등은 c1) 측편, 벽편, c2)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측, 벽, 벽면, 벽체, 외벽, 피막, 가두리, 가장자리 c21) 등의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c22) 등에 형성된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d) 선따기편은 선따기편, 선따기된 편, 따기선에 의한 편, 2개 또는 좌우 따기선의 중간에 존재하는 1개의 편, 상기 선 내지 절편선 등에 의하여 따기된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e) 슬롯따기편은 슬롯따기편, 슬롯 형상으로 따기된 편, 절개선 또는 슬롯따기선에 의하여 형성된 편, 슬롯 형상으로 절개하여 따기된 편, 절개선 또는 슬롯따기선에 의하여 형성된 편 또는 슬롯따기편, 2개의 또는 좌우의 절개선 또는 슬롯따기선에 의하여 형성된 중간의 1개 편 또는 슬롯따기편; 등이 해당된다.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16, 17, 18)은 a)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b)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내관, 중관, 외관,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c)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 이상 구비의 상기 핀 내지 복합체; d)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중 하나 구비 또는 형성의 상기 핀 내지 복합체; e)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중 하나 모양의 또는 형태의 상기 핀 내지 복합체; f)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중 하나에 형성된 상기 핀 내지 복합체; g) 상기 기초, 관, 판, 단관 내지 복합체, 빔 내지 철근케이지, 부호 1, 2,3; 상기 기초 내지 3 중 하나의 면, 표면, 내부, 내면, 외부, 외면, 벽, 외벽, 외피, 벽면, 벽체, 피막, 피복, 둘레, 일단, 선단,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측면,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장자리; 등을 이루는 또는 구성하는, 또는 등에 구비, 거치, 형성, 장착, 부착, 용접 등이 된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은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복합체 중 어느 하나가 가능하다.
상기 '상기 핀 내지 스트랜드체(16) 중 둘 이상의 복합체(17, 18)'는 1)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중(16) 둘 이상이 구비된 복합체(17, 18)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핀 구비 돌기, 핀 구비 네일, 핀 구비 앵커, 네일 구비 핀, 돌기 구비 앵커 등(17)이 가능하다. 2) 그리고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쌍 구비, 2회 구비, 더블 구비 등(18)이 되는 것도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핀 구비 핀, 봉 구비 봉, 돌기 구비 돌기 등(18)이 가능하다. 3) 그리고 상기 핀 내지 스트랜트체 중 둘 이상이 구비된 복합체는 상기 핀 내지 스트랜트체 중 하나의 단일체에 비하여 복합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등의 정도를 더욱 크게 향상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핀 내지 복합체, 핀∼스트랜드체 등에는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상기 핀 내지 스트랜드체 중 둘 이상의 복합체; 이의 복합체의 하나인 핀 부착 봉,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용접 네일,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용접 네일 체결 앵커, 핀이 부착된 봉이 장착된 돌기가 거치된 볼트가 용접된 네일이 체결된 앵커가 합체된 스트랜드체; 등이 포함된다.
상기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상기 핀 내지 스트랜드체 중 둘 이상의 복합체 등에서 상기 a) 핀은 핀, 봉핀, pin, 단핀, 장핀, 송곳핀, 뽀족핀, 머리핀, 삼각핀, 사각핀, 다각핀, 2핀, 3핀, 4핀, 2발핀, 3발핀, 4발핀, 돌기핀, 네일핀, 머리핀 형상의 핀, 핀 형상의 물체, 상기 봉 내지 스트랜드체, 핀형 또는 핀형상의 상기 봉 내지 스트랜드체; b) 봉은 봉, 대, 장봉, 단봉, 기둥, 막대, 롯드, rod, 중공봉, 봉 형상의 물체,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봉형 또는 봉형상의 핀 내지 복합체; c) 돌기는 돌기, 요철, 돌출물, 돌기침, 돌기봉, 돌기대, 돌기 형상의 물체,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돌기형 또는 돌기형상의 상기 핀 내지 복합체; d) 볼트는 볼트, bolt, 볼트와 너트, T볼트, 락볼트, 소일볼트, 앵카볼트, 나사볼트, 나사 형성 볼트, 너트 구비 볼트, 너트가 채워진 또는 채워지는 볼트, 볼트 형상의 물체,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볼트형 또는 볼트형상의 상기 핀 내지 복합체; e) 네일은 봉, 판, 네일, 손톱, nail, 철근, 철망, 보강재, 손톱 형상의 물체,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네일형 또는 네일형상의 상기 핀 내지 복합체; f) 앵커는 닻, 앵커, anchor, 보강재, 닻 형상의 물체,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앵커형 또는 앵커형상의 상기 핀 내지 복합체; g) 스트랜드체는 g1) 스트랜드, 스트랜드체, strand body, strand rod, 스트랜드실, 스트랜드줄, 스트랜드선, 스트랜드핀, 스트랜드봉, 스트랜드철선, 스트랜드철사, 스트랜드돌기, 스트랜드볼트, 스트랜드네일, 스트랜드앵커, 스트랜드 형상의 물체,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스트랜드형 또는 스트랜드 형상의 핀 내지 복합체; g2) 또는 2개 이상, 2줄 이상, 2가닥 이상 등의 실, 줄, 선, 핀, 봉, 철선, 철사, 돌기, 볼트, 네일, 앵커 등이 합체, 결합, 연계, 꼬임, 꼬아짐, 꽈배기됨, 꼬아 합쳐진, 동아줄처럼 꼬아짐, 새끼줄처럼 꼬아짐 등이 된 실, 줄, 선, 핀, 봉, 철선, 철사,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상기 strand body 내지 스트랜드앵커;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h) 복합체는 상기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중 둘 이상이 조합, 결합, 합성, 연계, 부착, 장착, 용접, 거치, 구비, 묶음, 체결, 합체 등이 된 것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핀 부착 봉,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용접 네일,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용접 네일 체결 앵커, 핀이 부착된 봉이 장착된 돌기가 거치된 볼트가 용접된 네일이 체결된 앵커가 합체된 스트랜드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16, 17, 18)은 a)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9), 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 기초 내지 RCD기초, 단관 내지 복합체(3); b) 상기 편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내부, 내면, 내측, 외부, 외면, 외측; 등에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정착, 부착, 용접 등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9); 단관 내지 복합체(3) 등이 굴절, 굴곡, 절곡, 확장, 횡확장, 수평확장 등이 되는 면, 표면, 내면, 외면 등에 상기 핀 내지 복합체(16, 17, 18) 등이 구비되어 상기 면, 표면, 내면, 외면 등의 마찰력, 저항력 등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등의 정도를 더욱 크게 향상하는 기능을 한다. 본 고안의 지지력향상, 선단지지력향상, 마찰력향상, 내진성능향상, 이동방지, 유동방지, 거동방지, 변형방지, 침하방지 등에서 향상은 향상, 증가, 배가, 증진 등이 해당되고, 방지는 방지, 저감, 억제, 감소, 감축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a) 부호 16은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중 하나(16)가 해당되고, b) 부호 17은 상기 핀 내지 스트랜드체 중 둘 이상이 구비된 복합체 중에서 상호 다른 것을 구비하는 것으로 핀 구비 앵커, 봉 구비 돌기, 핀 구비 네일, 돌기 구비 앵커, 돌기 구비 앵커가 장착된 네일, 돌기 구비 앵커가 장착된 네일이 부착된 핀 등(17)이 해당되고, c) 부호 18은 상기 핀 내지 스트랜드체 중 둘 이상이 구비되는 복합체에서 상호 동일한 것을 구비하는 쌍 구비, 2회 구비, 더블 구비 등으로 핀 구비 핀, 봉 구비 봉, 돌기 구비 돌기, 돌기 2개 구비 돌기 등(18)이 해당된다.
상기 핀 내지 복합체(16, 17, 18), 선 내지 절편선(8), 편 내지 슬롯따기편(9), 단관 내지 복합체(1, 2, 3) 등은 하나의 돌출물, 또는 돌출된, 뾰족한, 날카로운 등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지반, 암반 등에 박히어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핀 내지 복합체(16, 17, 18), 편 내지 슬롯따기편(9), 단관 내지 복합체(3) 등은 단독으로 또는 상호 조합되어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등을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기초, 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복합체, 선 내지 절편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핀 내지 복합체 등은 a) 1, 2, 3, 4, n, 1개, 2개, 3개, 4개, n개, 다(多), 다수, 다수개, 2 이상, 2개 이상; b) 일단 및 타단이 모두 닫힌 또는 결합된, 일단 및 타단이 모두 열린 또는 오픈된, 일단은 오픈되고 타단은 닫힌 또는 결합된 등의 2, 3, 4, n, 2개, 3개, 4개, n개, 다(多), 다수, 다수개, 2 이상, 2개 이상; 등이 되거나, 등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서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에 대하여 살펴보면 2핀, 다핀, 2개 봉, 15개 돌기, 15개 볼트, 일단 및 타단이 모두 닫힌 또는 결합된 2개의 핀, 일단 및 타단이 모두 열린 또는 오픈된 4개의 핀, 일단은 오픈되고 타단은 닫힌 또는 결합된 2개의 핀 등이 해당된다.
부호 7, 8, 9를 설명하면 부호 7은 a) 벽, 몸, 막, 몸체, 본체, 벽체, 벽면, 외벽, 피막, 벽막, 외피, 원통, 둘레,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장자리; b) 관, 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상기 벽 내지 가장자리 등이 해당된다.
부호 8은 a) 절개, 절단, 따기, 긋기, 커팅, 펀칭, 파단, V커팅, 침펀칭, 송곳펀칭, 니들펀칭, 선펀칭, 점선펀칭, 파선펀칭, 파단펀칭, 슬롯펀칭, 절편펀칭, V컷펀칭, 선긋기, 점긋기, 점선긋기, 파선긋기, 선따기, 점선따기, 파선따기, 슬롯따기 등이 된 선, 부, 부위, 슬롯, 라인, 점선, 파선, 파단선; b) 상기 선 내지 절편선; c) 상기의 예로서 절개선, 따기선, 긋기선, 커팅선, 펀칭선, 파단선, 절개부, 따기부, 긋기부, 커팅부, 펀칭부, 파단부, 긋기부위, 펀칭부, 파단점선, 침펀칭부, V커팅선, 송곳펀칭부위, 니들펀칭부, 선긋기부, 점긋기부위, 점선긋기라인, 파선긋기슬롯, 절개슬롯, 따기슬롯, 커팅슬롯, 선따기부위, 슬롯따기부, 슬롯따기선 등이 해당된다.
부호 9는 a)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b) 몸, 벽, 몸체, 본체, 벽체, 벽면, 외벽, 외피, 피막, 원통, 원주, 둘레,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장자리 등의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c) 상기 절개 내지 슬롯따기, 선 내지 파단선, 절개선 내지 슬롯따기선 등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d) 상기 2, 3, 4, 5, 6, n 개 등의 절개 내지 슬롯따기, 선 내지 파단선, 절개선 내지 슬롯따기선 등에 의하여 형성되는 1, 2, 3, 4, 5, n-1 개 등의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e) 상기 절개 내지 슬롯따기 등이 된 선, 부, 부위, 슬롯, 라인, 점선, 파선, 파단선 등의 만큼, 길이, 지점까지(21) 등 형성된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f) 상기 절개선 내지 슬롯따기선 등이 형성되는 만큼, 길이, 지점까지(21) 등 형성된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절개, 절단, 따기, 긋기, 커팅, 펀칭, 파단,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선 내지 절편선, 절개선 내지 슬롯따기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핀 내지 복합체 등은 상기 벽 내지 가장자리; 또는 관, 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상기 벽 내지 가장자리; 등에 형성, 조성 등이 된다.
상기 절개 내지 슬롯따기편, 선 내지 절편선, 절개선 내지 슬롯따기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핀 내지 복합체 등의 1) 방향 또는 형성 방향은 a) 관, 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b) 이중 하나의 길이, 높이, 두께 등에 대하여 종, 횡, 연직, 수직, 대각, 수평, 경사, 자유, 임의 등의 방향이 가능하나, 이중에서 종, 연직, 수직 등의 방향이 우선되고, 2) 형성 개수는 1개, 2개, n개, 다수개, 2개 이상 등이 되나, 1개 이상의 절편이 형성되기 위하여 2개 이상이 우선되고, 3) 형성 크기, 길이 등은 a) 관, 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b) 이중 하나의 길이, 높이, 두께 등에 대하여 x) 전체, 부분, 일부, 다지점, 일지점, 일정 지점, 일단에서 일지점, 일단에서 일정 지점; y) 전체 크기 또는 길이의 1/2, 1/3, 2/3, 1/4, 3/4, 1/5, 2/5, 3/5, 4/5, 1/n 등의 크기, 길이 등이 가능하다.
상기 3)에 더하여 추가 예를 들면 3-1)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중 하나의 형성 크기는 관, 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전체의 1/5 등이 가능하다. 이는 관, 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1/5 크기, 즉 6줄로 절단된 것으로 이는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등의 개수가 5개가 되는, 또는 5개로 절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3-2) 상기 절개 내지 파단 중 하나의 길이는 a) 관, 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b) 이중 하나의 원주, 길이, 높이, 두께; 중 하나의 일단에서 2/3지점까지 등이 가능하다. 이는 일단에서 2/3지점까지는 상기 절개 내지 파단 등이 되고, 상기 일단의 타단에서 1/3지점까지는 상기 절개 내지 파단 등이 되는 않는 초기의 상태가 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a) 기초의 공사, 시공, 설치, 항타, 매입, 관입, 관입, 압입기 또는 피스톤에 의한 관입, 해머에 의한 항타, 보링공에 관입 후 보링공 내부에 슬러리 주입; b) 기초에 재하, 상부시공, 건물시공, 하중작용, 건물하중작용; c) 상기 공사 내지 건물하중작용 중 하나의 전, 중, 후; 중 하나 이상에, 또는 하나 시에, 또는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등이 일단에서 2/3지점까지는 절곡, 절곡확장, 절곡외향확장 등이 되고, 나머지 타단에서 1/3지점까지는 절곡, 절곡확장, 절곡외향확장 등이 되지 않고 초기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절곡, 절곡확장, 절곡외향확장 등이 되지 않는 타단에서 1/3지점까지는 절곡, 절곡확장, 절곡외향확장 등이 되는 일단에서 2/3지점까지를 지지, 지탱, 지보, 버팀 등이 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일단에서 2/3지점까지 절곡, 절곡확장, 절곡외향확장 등이 된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등이 기초의 지지력, 선단지지력, 이동방지, 유동방지, 변동방지, 침하방지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3-3) 상기 절개 내지 파단 중 하나의 길이,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중 하나의 형성 크기가 조합되는 것으로 관, 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원주를 따라 원주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2/3지점까지를 6줄로 또는 1/5 간격으로 절개 내지 파단 등을 하여 6개의 절개선, 따기선, 또는 5개의 절편 등이 형성되는 것, 이에 의하여 5개의 절편이 형성된 관, 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을 얻는 것, 또는 a) 기초의 공사, 시공, 설치, 항타, 매입, 관입, 관입, 압입기 또는 피스톤에 의한 관입, 해머에 의한 항타, 보링공에 관입 후 보링공 내부에 슬러리 주입; b) 기초에 재하, 상부시공, 건물시공, 하중작용, 건물하중작용; c) 상기 공사 내지 건물하중작용 중 하나의 전, 중, 후; 중 하나 이상에, 또는 하나 시에, 또는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5개의 절편이 일단에서 2/3지점까지 굴곡, 확장 등이 되어 단면적이 증가되어 지지력 등을 향상시키고, 상기 일단의 타단에서 1/3지점까지는 굴곡, 확장 등이 되지 않는 초기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일단에서 2/3지점까지 굴곡, 확장 등이 된 절편을 지지, 지보, 지탬, 버팀 등을 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상기 벽 내지 가장자리 등에 조성되는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중 하나의 개수는 상기 벽 내지 가장자리 등에 형성되는 절개, 절단, 따기, 긋기, 커팅, 펀칭, 파단 중 하나 개수보다 1개가 작은 특징을 가지며, 이의 추가 설명은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부호 8과 부호 9의 관계를 보면 부호 9의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등의 개수는 부호 8에 의한 선, 부, 부위, 슬롯, 라인, 점선, 파선, 파단선 등의 개수보다 1 개가 작은 개수가 되는 특징이 있다. 이의 예를 들면 1) 부호 7의 벽 내지 가장자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에 형성된 부호 8의 절개선이 14개이면 부호 7의 벽 내지 가장자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에 조성된 부호 9의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등이 13개가 되고, 2) 부호 8의 따기선이 부호 7의 벽 내지 가장자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에 7개 형성되면 부호 9의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등이 부호 7의 벽 내지 가장자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에 6개가 조성되고, 3) 부호 7의 벽 내지 가장자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에 형성된 부호 8의 커팅부가 8개이면 부호 9의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등이 부호 7의 벽 내지 가장자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에 7개가 조성된다.
상기 절개, 절단, 따기 등은 절개, 절단, 따기, 긋기, 커팅, 펀칭, 파단, V커팅, 침펀칭, 송곳펀칭, 니들펀칭, 선펀칭, 점선펀칭, 파선펀칭, 파단펀칭, 슬롯펀칭, 절편펀칭, V컷펀칭, 선따기, 점선따기, 파선따기, 슬롯따기, 선긋기, 점긋기, 점선긋기, 파선긋기 등이 해당된다.
부호 20, 21은 확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설명하면 부호 20은 a) 기초의 공사, 시공, 설치, 항타, 매입, 관입, 관입, 압입기 또는 피스톤에 의한 관입, 해머에 의한 항타, 보링공에 관입 후 보링공 내부에 슬러리 주입; b) 기초에 재하, 상부시공, 건물시공, 하중작용, 건물하중작용; c) 상기 공사 내지 건물하중작용 중 하나의 전, 중, 후; 중 하나 이상에, 또는 하나 시에, 또는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3)의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등(9)이 확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부호 21은 관, 절편관,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3)에 삽입, 내재, 내장 등이 된 격자(10), 확장형 격자(10) 등이 확장되는, 또는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등(9)의 확장 부위로 돌출되면서 확장되는,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따기, 선따기, 점선따기, 파선따기, 슬롯따기 등(8)이 상기 공사 내지 후 등의 시에 또는 등에 의하여 벌어진 또는 넓어진 부위로 돌출되면서 확장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에서 확장은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3)의 외부, 외향(162), 자신의 측벽 또는 내부에서 외부로(162), 자신의 내부에서 굴절 벽을 지나 외부 방향, 기초의 외부로, 기초 측벽의 외부로 등(162)으로 확장되는 것;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3)의 내부, 내향, 내부 중공부(161), 자신 측벽에서 내부로(161), 자신의 측벽에서 내부 방향, 기초의 내부로, 기초 측벽의 내부로 등으로 확장되는 것; 등(161)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확장은 a) 확장, 절곡, 벌어짐, 휘어짐; b) 상기 또는 하기 확장 내지 수평확장, 확장 내지 절개내외향확장; c) 또는 기초, 후팅, 파일, 피어, 케이슨; 이중 하나의 벽, 막, 피막, 외벽, 둘레, 두께, 가장자리; 상기 또는 하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외부(162), 외면, 외측, 외주, 외향(162), 내부(161), 내면, 내측, 내주, 내향, 내외측, 내부 중공부(161) 등으로 확장, 절곡, 벌어짐, 휘어짐; d) 또는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벽 내지 가장자리,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둘레, 직경, 두께, 투영면, 투영선, 투영둘레, 투영외주, 평면투영선, 평면투영둘레, 평면투영외주 등의 바깥, 내측, 내향, 외측, 외향 등으로 확장, 절곡, 벌어짐, 휘어짐;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내부, 내면, 내측, 내주, 내향 등(161)으로 확장, 절곡, 벌어짐, 휘어짐 등이 된 것을 확장이라고 한 것은 일정의 두께를 가진 중공 원통 형상의 기초, 파일 등에서 기초, 파일 등의 선단에 거치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내측으로 휘어짐되게 되면 일정의 두께를 가진 중공 원통 형상의 기초, 파일 등의 선단 단면적이 상기 일정의 두께에 비하여 확장, 확대, 증가 등이 되어 기초, 파일 등의 지지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기초의 선단지지력 산정에는 기초의 외벽 두께에 의한 단면적 등이 이용되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기초의 외벽 두께에 의한 단면적에 더하여 상기 확장에 의한 내향 단면적, 외향 단면적, 내외향 단면적 등이 추가로 이용되어 기초의 선단지지력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 절개확장, 파단확장, 내향확장, 외향확장, 내외향확장, 절개내향확장, 절개외향확장, 절개내외향확장 등은 a) 절개확장, 파단확장, 내향확장, 외향확장, 내외향확장, 절개내향확장, 절개외향확장, 절개내외향확장; b) 절개 후 확장, 절개 후 일단 확장, 절개 후 선단 확장, 절개 후 반쪽 확장, 절개 후 중간에서 일단까지 확장, 절개 후 중간에서 선단까지 확장, 파단 후 확장, 파단 후 일단 확장, 파단 후 선단 확장, 파단 후 반쪽 확장, 파단 후 중간에서 일단까지 확장, 파단 후 중간에서 선단까지 확장, 내측으로 확장, 외측으로 확장, 내외측으로 확장, 절개되어 내측으로 확장, 절개되어 외측으로 확장, 절개되어 내외측으로 확장;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내향(161)은 내향, 內向, 내측 방향, 내부 중공부 등이고, 외향(162)은 외향 外向, 외측 방향, 외부 바깥 등이 해당다. 그리고 내향, 외향은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기초 내지 케이슨; 중공형 또는 중공 원통형 또는 일정 두께를 가진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기초 내지 케이슨; 등의 벽, 피막, 두께, 측벽, 외벽, 둘레, 가두리, 가장자리 등에서 내향, 외향, 내부 중공부, 외부 바깥 등이 해당된다.
상기 확장 %, 확장 비율, 1∼30% 확장, 70∼99% 확장 등은 확장 전후의 직경비, 길이비, 가로비, 세로비, 면적비, 단면적비, 불연속비, 투영면적비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a) 1∼30% 확장은 확장 전후의 상기 직경비 내지 투영면적비 등이 1∼30%, 1∼30% 증가 등이 해당되고, b) 70∼99% 확장은 확장 전후의 상기 직경비 내지 투영면적비 등이 70∼99%, 70∼99% 증가 등이 해당되고, c) 1∼30% 확장과 70∼99% 확장이 합산된 100% 확장은 최대확장, 완전한 수평확장, 90도로 굴절되는 확장, 90도로 굴절되어 완전한 수평확장, 최대로 가능한 확장, 연직에서 완전히 수평으로 되는 확장, 이중 하나의 확장에 의한 확장 전후의 직경비 100% 증가, 면적비 100% 증가 등이 해당된다.
상기 격자(10)는 상기 확장형 격자(10) 삽입 절편관(3), 지반(110)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절편(9) 확장(30)에 더하여 상기 격자(10)가 확장(31)되는 관 또는 절편관(3), 상기 격자(10)가 절편(9)의 굴곡부 또는 절편선(8)의 벌어짐 부위로 확장되는 절편관, 상기 절편(9)과 격자(10) 간에 당김선(11)이 구비된 관 또는 절편관, 상기 절편(9)의 확장(30)시 상기 당김선(11)에 의하여 격자(10)의 일측이 당김되면서 타측이 확장되는 관 또는 절편관(3) 등에 인용, 기재, 사용, 이용 등이 되어 있다.
여기서 격자(10)는 일단, 일측, 다지점, 일지점 등이 힌지(12), 스프링, 피스톤, 당김선(11) 등에 거치되거나, 스프링, 피스톤 등의 압력으로 구속되어 있으며, 절편 등(9)이 굴곡, 절곡, 확장(30); 이중 하나에 의하여 절편선(8)이 벌어짐; 등이 되면 a) 스프링 압력, 스프링 반발력, 피스톤 압력, 당김선(11)의 담김력 등에 의하여 관(3)의 외부 또는 외향으로 돌출, 확장(31), b) 절편(9)의 굴곡부 등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 확장(31), c) 절편선, 따기선, 점따기선 등(8)의 벌어진 또는 넓어진 사이를 삐집고 나오면서 관(3) 또는 절편선(8)의 외부로 돌출, 확장(31) 등이 되어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3), 따기선(8), 슬롯따기선(8) 등의 외부로 확장(31)된 저항체, 지지체, 돌출체, 확장체 등이 되어 기초(100)의 지지력, 선단지지력, 이동방지, 유동방지, 침하방지 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격자(10)가 적용되는 관;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실시 예를 다시 설명하면 1) 일정 지점에 힌지(hinge)가 설치되어(도 3 참조) 이의 힌지(12)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등으로 회전, 이동, 유동 등을 하는 1개 이상 개수의 격자(10) 또는 확장형 격자(10)가 내부에 삽입된 관 또는 절편관(3), 2) 지반(110)에 키인, 삽입 등이 되면서 절편(9), 절편벽(7) 등이 굴곡 또는 확장(30)에 더하여 상기 격자(11)가 확장, 외향 확장, 펼쳐짐 확장 등(21)이 되는 관 또는 절편관, 3) 상기 격자(10)가 절편(9)의 굴곡부 또는 절편선(8)의 벌어짐 부위로 확장(31)되는 관 또는 절편관, 4) 상기 절편(9)과 격자(10) 간에 당김선(11)이 구비, 연결, 연계, 장착 등이 된 관 또는 절편관, 5) 상기 절편(9)의 확장(30)시 상기 당김선(11)을 당겨 격자의 일측이 당김되면서 격자의 일지점에 구비된 힌지(12)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격자(10)의 타측이 확장(31)되는 관 또는 절편관, 6) 상기 격자(10)의 타측이 절편(9) 또는 절편선(8)에 거치, 접촉 등이 되어 절편(9)이 굴곡되거나 절편선(8)이 벌어지게 되면 상기 격자(10)의 타측이 바로 절편의 굴곡부 또는 절편선의 벌어짐 부위로 비집고 나오면서 외부, 외향 확장되는 관 또는 절편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확장, 굴곡 등은 a) 확장, 굴곡, 돌출, 벌어짐, 편확장, 발확장, 절개확장, 따기확장, 점선확장, 파선확장, 파단확장, 절곡확장, 선단확장, 절편확장, 슬롯확장, 직경확장, 면적확장, 찢어짐확장, 테이퍼확장, 내향확장, 외향확장, 내외향확장, 절개내향확장, 절개외향확장, 절개내외향확장; b) 초기, 처음, 확장 전, 굴곡 전, 초기직경, 초기면적, 초기위치 등에 대하여 또는 비하여 확장, 굴곡, 돌출; c) 0.1∼90도 확장, 굴곡, 돌출; d) 외향(162), 내향(161), 횡방향, 수평방향, 경사방향 등으로 확장, 굴곡, 돌출; e) 외향, 내향, 횡방향, 수평방향, 경사방향 등으로 0.1∼90도 확장, 굴곡, 돌출; f)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이중 하나의 벽, 외벽, 외피, 피막, 벽체, 둘레, 원통벽, 가두리, 둘레벽, 가두리벽; 상기 단관 내지 가두리벽 중 하나의 수직선, 연직선, 투영선, 일직선; 등의 외향, 내향, 외부, 바깥 등으로 확장, 굴곡, 돌출; g)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박힌 지반, 암반 등의 방향, 횡방향, 수평방향 등으로 확장, 굴곡, 돌출; h) 초기의 수직, 연직 등에서 외향, 내향, 횡방향, 수평방향, 경사방향 등으로 0.1∼90도 확장, 굴곡, 돌출; i) 초기부터 확장, 굴곡; j) 초기에는 수직, 연직 등이나 하중, 항타 등의 작용 후 확장, 굴곡, 경사확장, 경사굴곡, 절곡확장, 선단확장, 절곡굴곡; k)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벽, 외벽, 외피, 피막, 벽체, 둘레, 중공벽, 원통벽, 가두리, 테두리, 둘레벽, 가장자리, 가두리벽, 테두리벽, 가장자리벽 등이 상기와 같이 확장, 굴곡, 돌출; 등이 해당된다.
상기 굴곡은 휨, 굴곡, 절곡, 굴절, 돌출, 벤딩, 휘어짐, 접혀짐, bending, 확장굴곡, 돌출굴곡, 1∼90도 굴곡, 굴곡되어 평면적이 확장, 수직의 벽이 수평으로 굴곡, 수직의 벽이 수평으로 굴곡되어 평면적이 확장, 수직의 벽 또는 원통벽 또는 가두리벽이 외향으로 1∼90도 굴곡, 상기 시공 내지 작용 등에 의하여 절편선, 절편 등이 굴곡 등이 해당된다. 상기 면적은 면적, 단면적, 평면적, 횡단면적, 종단면적, 저항면적, 마찰면적, 투영면적, 절개면적, 확장면적, 선단면적, 절곡면적 등이 해당되고, 상기 직경은 직경, 내경, 외경, 단면직경, 선단직경, 단면적직경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관,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은 관, 튜브, 파이프, tube, pipe, 튜브관, 파이프관,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삽입 절편관(3)은 대상, 지중, 지반, 암반, 굴착부, 보링공; 이중 하나의 하부, 저부; 등이 삽입, 관입, 근입, 매입, 키인 등이 되는 것으로 외벽이 2개 이상의 절편이 형성된 관 또는 절편관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지반(110)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절편(9) 확장(30)에 더하여 상기 격자(10)가 확장(31)되는 절편관(3)은 대상, 지중, 지반, 암반, 굴착부, 보링공; 이중 하나의 하부, 저부; 등(110)에 삽입, 관입, 근입, 매입, 키인 등이 되면서 절편(9)이 절곡 등이 되어 시행되는 확장(30)에 더하여 격자(10)가 상기 절곡부, 확장부 등의 외부로 비집고 나오면서 확장(31)되는 또는 상기 절편에 이어진 당김선 등을 당겨 상기 격자(10)가 확장(31)되는 절편관(3) 등이 해당된다.
a) 상기 확장형 격자 삽입 절편관은 a1) 확장형 격자가 내부에 삽입된 절편관, a2) 기초의 삽입, 항타, 재하 등에 의하여 벌어지는 절개선 등으로 비집고 나오면서 확장되는 확장형 격자가 내부에 삽입된 것으로 외벽이 상기 절개선 등에 의하여 절편으로 편절된 절편관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절편과 격자 간에 당김선이 구비된 절편관은 b1) 상기 절편과 격자 간에 당김선이 구비된 절편관, b2) 상기 절편과 격자 간에 당김선이 구비되어 상기 절편이 굴절 또는 확장되면서 상기 당김선을 당기는 절편관 등이 해당된다. c) 상기 절편의 확장시 상기 당김선에 의하여 격자의 일측이 당김되면서 타측이 확장되는 절편관은 상기 절편의 확장시 상기 절편의 확장에 의하여 외부로 당겨지는 당김선에 의하여 격자의 일측이 당김되면서 타측이 절편의 확장부로 돌출되면서 외부로 확장되는 절편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격자는 격자, 봉격자, 틀격자, 사각격자, 길이격자, 직선격자, 1개 격자, 다수개 격자, 2개 이상 격자, lattice, 일지점에 힌지가 구비된 격자,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일측은 하향하고 타측은 상향하는 격자, 상기 일측이 당김선을 통하여 절편에 거치되어 기초의 항타, 재하 등에 의하여 상기 절편이 굴절, 확장 등이 되면서 상기 당김선을 당겨 일측은 하향하고 반대의 타측은 상향하여 상기 절편의 굴절부, 확장부 외부로 비집고 나가 확장하는 격자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연결잭(5)은 a) 잭(5), 숫잭, 연결잭(5), 끼움잭, 시거잭, 원터치 연결잭, 홀 또는 플러그에 삽입되는 잭, b) 기초(100), 연결구(105), 연결판(105), 체결구(105), 선단 보호대(108), 핀 내지 복합체(16, 17, 18), 단관 내지 결합체(1) 등에 형성된 홀, 홈, 구멍, 잭홈, 암잭, 잭홀, 잭구멍 등에 삽입되는 잭, c) 상기 삽입되어 기초 등에 연결되는 잭, 숫잭, 연결잭, 시거잭; d)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1)와 기초(100), 연결구(105), 연결판(105), 체결구(105), 선단 보호대(108) 등을 연결시켜주는 상기 잭; e) 홀, 구멍, 소켓 등에 끼움되는 잭, f) 기초 등에 형성된 홀, 구멍, 소켓 등에 끼움되는 잭, g) 끼움되어 상호 간을 연결 또는 체결시키는 잭; h) 상기 관, 판, 단관 내지 복합체, 연결구, 체결구, 보호대 등에 구비된 잭이 기초에 형성된 홀, 구멍, 소켓 등에 끼움되어 상호 간을 연결 또는 체결시키는 잭;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연결판(105)은 a) 판, 연결판, 연결구, 체결구, 결합판,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판; b)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이중 하나의 선단, 일단, 상단; 중 하나에 구비되는 판; c)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와 기초를 연결하여 주는 판; d)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와 기초의 사이에 끼움되어 상호 연결하여 주는 판; e)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에 부착되어 기초와 연결하여 주는 판;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연결판 또는 연결잭이 구비된 상기 관 또는 스파이크관 등에서 연결판은 1)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이중 하나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헤드 등에 구비된 a) 판, 원판, 각판, 다각판, 연결판, 중공판, b) 볼트 구멍 형성 판, 연결판, 중공판, 2)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이중 하나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헤드 등과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파일 내지 케이슨, 빔 내지 철근케이지, 철근 내지 보링공; 이중 하나의 선단, 일단, 일측,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헤드 등과의 연결을 위한 a) 판, 원판, 각판, 다각판, 연결판, 중공판, b) 볼트 구멍 형성 판, 연결판, 중공판 등이 해당된다.
상기 벽, 외벽, 벽체, 벽면, 외피, 피막 등은 a) 벽, 외벽, 벽체, 벽면, 외피, 피막, 둘레, 가두리, 둘레벽벽, 가장자리벽; b)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기초 내지 RCD기초 등의 상기 벽 내지 가장자리벽; c) 상기 선 내지 절편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핀 내지 복합체 등이 형성된 상기 벽 내지 가장자리벽; 등이 해당된다.
상기 콘, 콘관, 콘판, 콘형, 콘형성, 콘형상, 콘확장, 콘벌어짐, 중공콘형; 이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서 콘, 콘 용어, 콘 단어; 등은 a) 콘, 콘관, 콘판, 콘형, 콘형성, 콘형상, 콘확장, 콘벌어짐, 중공콘형, 원추, 원뿔, 고깔, 호퍼, 깔대기, 중공콘, 콘모양, cone, conical, hopper, cone shape, conical shape, 콘형상, 삼각플라스크, 삼각플라스크 형상; b) 윗 부분은 넓고 아랫 부분은 좁은 또는 폐합된 원뿔 모양; c) 일단이 뽀족한 또는 폐합된 통, 관, 원통, 원추, 튜브, 파이프; d) 외주가 경사지면서 일단이 뽀족한 또는 폐합된 통, 관, 원통, 원추, 파이프; e) 길이 또는 높이 방향으로 콘형상을 이루는 물체; c) 또는 벽, 벽면, 외벽, 외관, 외형, 가두리, 가장자리 등이 콘 형상을 이루는 물체; f) 일정의 관, 통, 튜브, 파이프, 벽, 벽면, 외벽, 외관, 외형, 가두리, 가장자리; 이중 하나의 일단, 선단, 일측; 등에 상기 콘 내지 물체 등이 구비된 물체; g) 또는 속채움, 중공형, 비중공형, 내부 중공형 등의 상기 콘 내지 물체; h) 콘 형상의 콘관, 콘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콘 내지 중공콘형, 콘 내지 물체, 단관 내지 복합체 등에는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의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정착, 부착, 끼움 등이 가능하다.
1) 상기 굴착, 보링, 천공 등은 a) 굴착, 굴진, 착정, 보링, 천공; b) 대상, 지반, 암반 등의 굴착, 굴진, 착정, 보링, 천공; 등이 해당된다. 2) 상기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굴진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진공, 굴착공 등은 a)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 b) 대상, 지반, 암반, 지중, 지하 등의 상기 보링부 내지 굴착공; 등이 해당된다. 3) 상기 재하, 상부시공, 건물시공, 하중작용, 건물하중작용 등(120)은 기초, 이의 상부 등에 작용하는 또는 가해지는 하중, 무게, 재하, 상부시공, 건물시공, 하중작용, 건물하중작용 등이 해당된다. 4) 상기 지지력, 선단지지력 등(121)은 a) 기초, 지반, 암반, 기초 하부 지반, 기초 하부 암반, 기초 관입 지반, 기초 관입 암반 등의 지지력, 선단지지력; b) 기초, 이의 상부 등에 작용하는 상기 하중 내지 건물하중작용 등에 대한 지지력, 선단지지력; 등이 해당된다. 5) 상기 지반, 암반, 지중, 지하, 대상 등(110)은 a) 지반, 암반, 지중, 지하, 대상, 대상지; b) 굴착부, 보링공, 천공부 등(96) 하부의 지반, 암반, 지중, 지하; c) 굴착부, 보링공, 천공부 등에 있는 슬라임(99) 하부의 지반, 암반, 지중, 지하; 등이 해당된다.
상기 폭, 규격, 수치, 직경, 길이, 높이, 두께, 가로, 세로, 대각, 직경, 중공, 공간, 면적, 표면적, 단면적, 접지면적, 지반이나 암반에 닿는 또는 박히는 면적 등은 a) 상기 규격 내지 면적; b) 공칭의 상기 규격 내지 면적, 이의 하나로 공칭직경; c) 원형 또는 원통으로 하여 환산된 공칭 또는 환산의 상기 규격 내지 면적; 이의 예로 다각형인 단관이 원형 단관으로 하여 환산된 공칭직경, 환산직경; d) 원형 또는 원통으로 환산하였을 경우에 대한 공칭 또는 환산의 상기 규격 내지 면적; 이의 예로 사각통인 단관이 원통 단관으로 환산하였을 경우에 대한 공칭직경, 환산직경; e) 경사진 물체, 몸체, 관, 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인 경우 경사진 평균, 경사진 중간의 평균, 경사진 중간에 대한 평균, 경사진 상하의 평균, 경사진 상단과 하단의 평균 등의 상기 규격 내지 면적; 이의 예로 경사진 단관 중앙의 평균직경; 경사진 단관의 상단 면적과 하단 면적의 평균면적;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는 a) 재료, 기초재료, 굴착재, 보링재, 그라우팅재 등으로는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슬러리, 벤토나이트슬러리, 주입재, 믹싱재, 다짐재, 그라우팅재, 지중주입재, 지중믹싱재, 지중다짐재, 지중그라우팅재, 상기 빔 내지 보강재, 상기 빔 내지 보강재 중 하나가 투입된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b) 기초에는 상기 빔 내지 보강재,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c) 지반, 암반, 보링공 등의 굴착 시에는 슬러리, 벤토나이트슬러리; d) 지중주입, 지중믹싱, 지중다짐, 그라우팅 등에는 주입재, 믹싱재, 다짐재, 그라우팅재, 지중주입재, 지중믹싱재, 지중다짐재, 지중그라우팅재; 등이 사용된다.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는 1)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2) 진동기 또는 상기 진동기로 처리된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3) 진동기로 처리되어 진동, 가진, 자화처리 등이 된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4) 진동, 가진, 자화처리 등이 되어 유동성, 압송성, 이송성, 분사성, 침투성, 주입성, 작업성, 워커빌리티 등이 향상된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5) 저장고, 호퍼, 배합기, 펌프, 공급라인, 배출기, 분사기, 주입기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6) 진동기 또는 상기 진동기 등이 구비, 거치, 삽입, 투입, 장착 등이 된 저장고, 호퍼, 배합기, 펌프, 공급라인, 배출기, 분사기, 주입기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또는 진동, 가진, 자화처리 등이 되는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등에는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기초 내지 마이크로기초 등이 포함 또는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기초 내지 마이크로기초 등은 빔, 봉, 철근, 철망, 철골, 탄소, 섬유, H빔, I빔, 철근케이지, 그라우팅재, 지중주입재, 지중분사재, 고화재, 바인더, 슬래그, 화이버, 보강재; 상기 핀∼스트랜드체 중 하나가 장착된 상기 빔 내지 보강재; 등으로 조성, 형성, 구성, 구비, 포함, 함유, 내재, 존치 등이 되게 된다. 이의 예로는 빔 기초, 봉 파일, 철근 포함 기초, 철망 내재 기초, 철골 거치 기초, 탄소 함유 파일, 섬유 함유 콘크리트 파일, H빔의 파일, I빔의 기초, 철근케이지가 내부에 포함된 기초, 그라우팅재로 된 기초, 고화재에 의하여 지반이 고화된 기초, 바인더에 의하여 지반이 바인딩된 파일, 슬래그 함유 파일, 화이버가 함유된 레미콘 기초, 보강재가 포함된 파일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기초 내지 RCD기초, 기초 내지 마이크로기초 등은 댐, 탑, 벽, 제방, 시설, 건물, 주택, 교량, 육교, 도로, 옹벽, 항만, 아파트, 구조물, 시설물 등의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기초 내지 RCD기초, 기초 내지 마이크로기초 등이 된다.
본 고안의 또는 본 고안에서 a) 물체, 장치, 기구,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격자;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복합체, 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 기초 내지 RCD기초; 상기 중 하나의 벽, 외벽, 벽체, 편 내지 슬롯따기편; 등은 철, 강, 강재, 금속, 비금속, 철근, 철골, 스텐, 스테인레스스틸, 목재, 석재, 흙, 토사, 황토, 백토, 마사토, 화강토, 모래, 해사, 쇄사, 자갈, 골재, 쇄석, 광물, 광석, 광미, 역청, 석회, 석고, 회(灰), 소각회, 애쉬(ash),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슬래그, 슬러지, 부산물, 미생물, 나노물, 시멘트, 몰탈, 밀크, 레미콘, 시멘트몰탈, 시멘트밀크, 아스팔트,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PVC, FRP, SUS, 보강재, 화이버, 섬유보강재, 수지, 섬유, 직포, 부직포, 탄소섬유, 나노섬유, 폴리머, 지오폴리머, 합성수지, 플라스틱, 인공합성수지, 고분자합성수지; 이중 둘 이상 복합재; 등으로 또는 등의 재질로 구성되거나; b) 상기 물체 내지 슬롯따기편 등의 재질 또는 재료가 상기 철 내지 복합재 등이거나; c) 상기 물체 내지 슬롯따기편 등에는 상기 철 내지 복합재 등이 구비, 구성, 거치, 설치, 매입, 투입, 관입, 주입, 함유, 포함, 혼합, 혼입 등이 되거나; d) 상기 물체 내지 슬롯따기편 등은 상기 a), b), c) 중 하나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미생물은 미생물, 바실러스, 세레우스, 서브틸리스, 파스테우리, 호기미생물, 혐기미생물, 박테리아, 바이오제, 셀, 세포, Cell, 미생물 Cell, 박테리아 Cell, 바실러스 Cell, 세레우스 Cell, 서브틸리스 Cell, 파스테우리 Cell; aeromonas encheleia, aeromonas media,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bacillus tequilensis, bacillus atrophaeus, bacillus amyloliquefaciens, comamonas thiooxidans, klebsiella pneumoniae, lysinibacillus fusiformis, lysinibacillus sphaericus, ppeudochrobactrum saccharolyticum, raoultella ornithinolytica 등이 해당된다. 상기 Cell은 셀, 세포, Cell, 미생물 Cell, 박테리아 Cell, 바실러스 Cell, 세레우스 Cell, 서브틸리스 Cell, 파스테우리 Cell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는 자화, 磁化, 자성, 磁性, 물질 자화, 물체 자화, 물질이 자화, 물질을 자화, 물체가 자화, 물체를 자화, 자성을 가짐, 자화가 발생, 자화가 생성, 진동자화, 가진자화, 진동 후 자화, 가진 후 자화, 진동기에 의한 자화, 가진기에 의한 자화, 자화기에 의한 자화, 자화진동기에 의한 자화, 자화가진기에 의한 자화, 자화진동기에 의한 자화, 자화가진기에 의한 자화, 자화하는, 자화되는, 물질이 자화하는, 물질이 자화되는, 물체를 자화하는, 물체가 자화되는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은 진동, 振動, vibration, 가진, 加振, excitation, 물질 진동, 물체 진동, 자체 진동, 타체 진동, 진동이 발생, 진동이 생성, 자화진동, 자기장가진, 자화 후 진동, 자기장 후 가진, 진동기에 의한 진동, 가진기에 의한 진동, 자기장기에 의한 진동, 진동자화기에 의한 진동, 가진자화기에 의한 진동, 자기장진동기에 의한 진동, 자기장가진기에 의한 진동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가 발생, 가진 또는 진동이 발생 등에 있어서 발생은 a) 발생, 생성, 형성, 조사, 발사, 방사, 시행, 수행, 실시, 진행, 거행, 됨, 함, 시킴; b) 일정의 물질, 물체 등이 자화됨; 등을 자화함; 등을 자화시킴; c) 일정의 물질, 물체 등이 진동됨; 등을 진동함; 등을 진동시킴; 등이 해당된다.
상기에서 하기 얕은기초 하단 면적의 10∼150%, 하기 깊은기초 하단 면적의 80∼200% 중 하나의 상단 면적을 가진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에서 10%, 80% 이하에서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에 의한 기초의 선단지지력의 향상에 미약하고, 그리고 150%, 300% 이상에서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크게 되어 경제성 작업성, 시공성, 적용성 등이 미약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서 구비, 거치, 장착, 삽입, 함유, 포함, 이용, 사용, 조성, 형성 등은 a) 구비, 구성, 마련, 거치, 설치, 위치, 존치, 정착, 장착, 부착, 접착, 점착, 밀착, 압착, 처리, 처치 이용, 사용, 적용, 활용, 응용, 병용, 해당, 함유, 포함, 혼합, 배합, 매입, 투입, 삽입, 연계, 연결, 체결, 병합, 합체, 끼움, 내재, 내장, 외장, 조임, 밴딩, 묶음, 끼움, 조립, 조합, 연합, 관련, 관계, 형성, 조성, 완성, 제공, 묶음, 묶임, 용접, 볼팅, 탑재, 탑승, 매담, 달림, 매달림, 끈연결, 잭연결, 나사연결, 플랜지연결; b) 또는 전체, 부분, 일부, 일부분, 전체의 50%, 전체의 1∼99%, 전체 중 둘 이상 등이 상기 구비 내지 플랜지연결; c) 또는 자신, 자체, 자체로, 자신물질, 자신재료, 자신으로, 자체적으로, 타인, 타체, 타물질, 타재료, 물질, 물체, 장치, 장비, 시설, 설비, 자신 1∼99%, 타체 1∼99%, 자신 1∼99%와 타체 1∼99% 등에 또는 등으로 상기 구비 내지 플랜지연결; d) 상기 자신 내지 설비 중 하나의 전, 중, 후, 좌, 우, 면, 전단, 후단, 측면, 표면, 내면, 내측, 내부, 내주, 외면, 외측, 외부, 외주, 외곽, 중공, 통공, 개구, 공간, 통로, 유로, 관로, 홀, 구멍, 입구, 출구, 유입구, 유출구, 이음부, 연결부, 절취부, 절단부, 중공부, 연결호스, 연결튜브, 연결파이프 등에 상기 구비 내지 플랜지연결; e) 또는 1개, 2개, n개, 단수, 복수, 다수개, 1개 이상, 둘 이상 등으로 상기 구비 내지 플랜지연결; 등이 해당된다.
상기 구비의 일예로 a, b, c, d, e 중 하나 이상 구비 x, y, z의 경우에, 여기서 구비는 a, b, c, d, e, a와 b, a와 c, a와 d, a와 e, b와 c, b와 d, b와 e, c와 d, c와 e, d와 e, a와 b와 c, a와 b와 d, a와 b와 e, b와 c와 d, b와 c와 e, c와 d와 e, a와 b와 c와 d, a와 b와 c와 e, b와 c와 d와 e, a와 b와 c와 d와 e, a 1개, b 3개, 6개 c, 3개 d, e 2개, a 3개와 b 2개, c 1개와 d 2개와 e 3개, a 2개와 b 1개와 c 3개와 d 3개, a 1개와 b 2개와 c 3개와 d 4개와 e 6개 등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a 구비 x, a와 e 구비 y, a와 b와 c와 e를 구비한 z, a 3개 구비 x, a 3개와 b 2개를 구비한 y, a 1개와 b 2개와 c 3개와 d 4개와 e 6개가 구비된 z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이들 복합,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은 이들 복합, 이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열거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기재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항목 중 둘 이상 복합 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의 예를 들면 a, b, c, d, e, f, 이들 복합의 경우 '이들 복합'은 a, b, c, d, e, f 중 둘 이상 복합 등을 나타낸다. 본 고안에서 a 내지 b는 a 내지 b, a∼b, 상기 또는 하기 a 내지 b, 상기 또는 하기 a∼b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 등은 ∼ 등, ∼ 등등, ∼ 중 하나, ∼ 중 하나 이상, ∼ 중 하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서 단관, 콘관, 콘판, 단판, 링관, 링판, 2중관, 3중관, 다중관, 다발관 등은 a) 단관, 콘관, 콘판, 단판, 링관, 링판, 2중관, 3중관, 다중관, 다발관 등; b) 단관, 콘관, 콘판, 단판, 링관, 링판, 2중관, 3중관, 다중관, 다발관 중 하나; c) 단관, 콘관, 콘판, 단판, 링관, 링판, 2중관, 3중관, 다중관, 다발관 중 하나 이상; c) 단관, 콘관, 콘판, 단판, 링관, 링판, 2중관, 3중관, 다중관, 다발관 중 하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원형, 통형, 콘형, 핀형, 발형, 편형, 판형 등은 a) 원형, 통형, 콘형, 핀형, 발형, 편형, 판형 등; b) 원형, 통형, 콘형, 핀형, 발형, 편형, 판형 중 하나; c) 원형, 통형, 콘형, 핀형, 발형, 편형, 판형 중 하나 이상; c) 원형, 통형, 콘형, 핀형, 발형, 편형, 판형 중 하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 내지 등은 ∼, 내지, ∼부터 ∼까지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a ∼ d, a 내지 d 등은 a ∼ d, a 내지 d, a부터 d까지, 즉 a, b, c, d 등이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 a) 함유, 포함, 주입, 투입, 매입, 혼합, 복합, 배합, 구성, 구비, b) 또는 함유물, 포함물, 투입물, 첨가물, 주입물, 매입물, 혼합물, 배합물, 복합물 등에서 함유, 포함, 첨가, 투입, 주입, 매입, 혼합, 배합, 복합 등의 정도는 a) 일정의 %, 중량부, 체적부, 중량%, 체적%, 배, 배수, b) 0.001, 0.01, 1, 5, 10, 20, 25, 50, 75, 80, 90, 1∼99, 100, 10^(-10)∼10^(10), 10의 -10승 내지 10의 10승 등의 %, 중량부, 체적부, 중량%, 체적%, 배, 배수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0.01배 포함, 5% 함유, 10중량부 포함, 20체적부 주입, 25중량% 투입, 50체적% 혼입, 1∼99% 투입, 1∼99배 투입 등이 해당된다.
이하 그림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기초, 이의 하나인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지열기초, 스크류기초, 우물통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등에 대하여 추가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상기 기초 내지 마이크로파일 등은 아래 그림에 대한 설명, 기재, 서술, 언급 등의 내용도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돌기 형성 3중관의 절편관이 거치된 기초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이는 돌기,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16, 17, 18)이 형성된 상기 선 내지 절편선(8), 편 내지 슬롯따기편(9) 등이 조성된 벽, 외벽, 가두리벽 등(7)으로 구성된 3중관(3, 3-1, 3-2, 3-3)의 절편관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1, 3)이 거치된 기초(100) 등을 보여준다.
여기서 절편관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1, 3)의 선단, 측면, 상부 등에는 판, 연결판, 구멍형성 판, 테이퍼판 등(2)이 장착되고, 이의 판(2) 또는 이에 형성된 구멍(4), 연결잭(5) 등을 통하여 절편관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1, 3)이 기초(100), 이의 구멍(4), 보호대(108), 보호대 구멍 등에 연결, 용접, 볼트(6) 연결 등이 되게 된다. 여기서 3중관은 외관(外官), 이의 내부에 중관(中官), 이의 중관 내부에 내관(內官)의 3개 관(管)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2중관의 경우에는 외관(外官), 이의 내부에 내관(內官) 등의 2개 관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 내지 절편선(8), 편 내지 슬롯따기편(9), 이중 하나 구비 벽, 벽체, 외벽(7), 또는 3중관(3-1, 3-2, 3-3), 절편관(1, 3), 단관 내지 복합체(1, 3) 등은 기초(100), 이의 삽입(97), 관입, 낙하, 항타(98), 자중, 하중(120), 상재하중(120) 등에 의하여 지중내(110)에서 굴절(30), 확장(30) 등이 되어 면적, 체적, 단면적, 평면적, 저항면적, 마찰면적, 투영면적, 선단면적 등이 증가하여 지지력, 선단지지력 등(121)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 선 내지 절편선(8), 편 내지 슬롯따기편(9) 등은 3중관(3-1, 3-2, 3-3), 절편관(1, 3), 단관 내지 복합체(1, 3), 이중 하나의 벽, 벽체, 외벽(7) 등의 일단(20), 일단(20)에서 일지점(21)까지, 일단(20)에서 타단(22) 방향으로 일지점(21)까지 등에 형성되게 된다.
도 1(a)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를 보여주고, 도 1(b)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와 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초를 보여주고, 이의 기초의 선단, 하단, 일단 등에는 보호대, 구멍형성 보호대, 볼트구멍 형성 보호대 등(108)의 장착이 가능하다. 도 1(c)는 관입(97), 매입, 항타(98), 재하(120) 등이 되면서 상기 선 내지 절편선(8), 편 내지 슬롯따기편(9), 벽 내지 외벽(7), 3중관(3-1, 3-2, 3-3), 절편관(1, 3), 단관 내지 복합체(1, 3) 등이 굴절, 굴곡, 확장 등(30)이 되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들의 내용도 본 고안에 포함된다. 도 1(a)에서 판의 외경과 관 또는 3중관 중 외관의 외경은 동일하고, 도 1(b)에서 판의 외경은 관 또는 3중관 중 외관의 외경보다 큰 것을 보여준다.
상기 굴절, 굴곡, 확장(30)이 되면 상기 선 내지 절편선(8), 편 내지 슬롯따기편(9), 벽 내지 외벽(7), 3중관(3-1, 3-2, 3-3), 절편관(1, 3), 단관 내지 복합체(1, 3), 핀 내지 복합체 등(16, 17, 18) 등이 대상, 지중, 지반, 암반 등(110)에 견고하게 박히어 고정되게 되고 지지력 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돌기 형성 3중관의 확장형, 경사형 절편관이 거치된 기초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이는 돌기,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이 형성된 3중관의 확장형, 경사형, 경사확장형 등의 절편관,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1)이 거치된 기초 등을 보여준다. 도 2(a)에서 판의 외경과 관 또는 3중관 중 외관의 외경은 동일하고, 도 2(b)에서 판의 외경은 관 또는 3중관 중 외관의 외경보다 큰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선 내지 절편선(8), 편 내지 슬롯따기편(9), 3중관(3-1, 3-2, 3-3), 절편관(1, 3), 단관 내지 복합체(1, 3), 이중 하나의 벽, 벽체, 외벽(7) 등은 길이방향으로 연직선에서 외향으로 일정의 경사각도(α) 만큼 기울어져 일단(20), 일단(20)에서 일지점(21)까지, 일단(20)에서 타단(22) 방향으로 일지점(21)까지 등이 확장, 콘확장, 경사확장, 테이퍼확장, 내향확장, 외향확장, 내외향확장, 절개내향확장, 절개외향확장, 절개내외향확장 등이 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확장형은 연직형에 비하여 지중내(110)에서 용이하게 추가 굴절, 확장 등(30)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확장, 콘확장, 경사확장, 테이퍼확장, 내향확장, 외향확장, 내외향확장, 절개내향확장, 절개외향확장, 절개내외향확장 등이 된 또는 등으로 제조된 상기 선 내지 절편선(8), 편 내지 슬롯따기편(9), 3중관(3-1, 3-2, 3-3), 절편관(1, 3), 단관 내지 복합체(1, 3), 이중 하나의 벽, 벽체, 외벽(7) 등은 기초(110)가 관입(97), 매입, 항타(98), 재하(120) 등이 되면서 추가적으로 굴절, 확장 등(30)이 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격자 구비 절개관이 거치된 기초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이는 확장형 격자(10) 삽입 절편관(3)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3), 지반(110)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절편(9) 확장(30)에 더하여 상기 격자(10)가 확장(31)되는 절편관(3)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3), 상기 격자(10)가 절편(9)의 굴곡부 또는 절편선(8)의 벌어짐 부위로 확장되는 절편관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3), 상기 절편(9)과 격자(10) 간에 당김선(11)이 구비된 절편관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3), 상기 절편(9)의 확장(30)시 상기 당김선(11)에 의하여 격자(10)의 일측이 당김되면서 타측이 확장(31)되는 절편관(3)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3) 등을 보여준다.
이는 격자(10)의 확장(31)에 더하여 상기 선 내지 절편선(8), 편 내지 슬롯따기편(9), 3중관(3-1, 3-2, 3-3), 절편관(1, 3), 단관 내지 복합체(1, 3), 이중 하나의 벽, 벽체, 외벽(7) 등이 확장(30)되는 2중 확장 개념이 적용된 것으로 기초 지지력(121)의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돌기 구비 3중관의 확장형 절편관이 확장, 지중내에서 추가 확장 등을 하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이는 돌기,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이 구비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3중관의 확장형 절편관 등이 기초의 시공 중, 후, 재하 등에 지중내에서 추가 확장 등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고안의 절개와 돌기 형성 절편관의 확장, 지중내 확장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이는 a) 상기 절개, 절개 내지 선단벌림(8), 콘 내지 슬롯따기(8), 콘 내지 복합(8); b) 이중 하나에 의한 선 내지 절편선(8); 등에 의한 x)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3중관의 확장형 절편관, 돌기 형성 절편관(1, 3); y) 이중 하나의 편 내지 슬롯따기편(9) 등이 기초의 시공 중, 후, 재하 등에 지중내(110)에서 확장(30)되는 것 등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고안의 절개와 돌기 형성 3중 절편관의 확장, 지중내 확장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이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이중 하나의 벽, 절편; 등에 핀 내지 복합체 등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 내지 선단벌림(8) 등에 의하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이중 하나의 벽 등에 절편이 형성된 내관, 중관, 외관의 3중관으로 된 절편관과 이의 절편관이 기초의 시공 중, 후, 재하 등에 지중내(110)에서 확장(30)되는 것 등을 보여준다.
본 고안의 절개, 파단, 따기, 절곡, 확장, 휘어짐, 휨확장, 절곡확장 등은 도 1 내지 11 등에 도시되어 있다. 이중에서 도 6, 7, 8 등에는 절곡과 휘어짐이 동시에 도시되어 있어 이들을 시각적으로 비교하여 볼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절개와 돌기 형성 절편관의 쐐기확장, 지중내 쐐기확장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이는 기초의 시공, 설치, 관입, 항타; 이중 하나의 중, 후, 또는 기초에 재하, 하중 재하, 건물 축조 등에 절편관이 포함되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1)이 지중내(110)에서 쐐기, 쐐기형, 쐐기식, 쐐기 박힘, 쐐기형 박힘, 쐐기식 박힘 등으로 확장(30)되는 것 등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고안의 절개와 돌기 형성 절편관의 콘확장, 지중내 콘확장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이는 a) 상기 절개 내지 선단벌림(8), 이에 의한 상기 선 내지 절편선(8), 편 내지 슬롯따기편(9) 등이 형성되고, b)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9), 이중 하나 이상이 형성된 벽(7), 이의 벽이 구비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3) 등에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16, 17, 18)이 형성되고, c) 기초(100)의 시공, 설치, 관입, 항타; 이중 하나의 중, 후, 또는 기초에 재하, 하중 재하, 건물 축조(120) 등에 상기 기초의 선단에 구비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이중 하나의 벽, 이중 하나에 형성된 상기 선 내지 절편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등이 콘, 고깔, 깔대기 등의 형상으로 확장(30), d) 이의 확장부에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16, 17, 18) 등이 존치, e) 이의 존치에 의하여 상기 기초가 지중에 단단히 박힘, 고정, 지지력(121) 향상 등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3중 절편관의 확장, 지중내 확장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이는 내관, 중관, 외관의 3중 관으로 된 절편관이 선단에 구비된 기초(100)의 시공, 설치, 관입, 항타; 이중 하나의 중, 후, 또는 기초에 재하, 하중 재하, 건물 축조(120) 등에 상기 절편관 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1)이 지중내에서 삽입되면서 확장된 평면, 투영도, 평면도, 투영면적 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기초의 선단 등에 구비된 본 고안의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1)이 지중내에서 삽입되면서 확장되어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져 단면적이 증가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핀 및 판 형상의 3중 절편관의 확장, 지중내 확장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이는 핀, 핀편, 편핀, 돌기핀, 네일핀 등 형상의 또는 형상을 가진 외관과 절편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중관, 내관으로 구성된 3중관의 관, 절편관,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1)이 기초의 항타, 재하 등에 의하여 지중내에서 확장된 것을 보여준다.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테이퍼판, 테이퍼관 및 이의 확장, 지중내 확장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이는 테이퍼판, 테이퍼관, 테이퍼형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및 이가 기초의 항타, 재하 등에 의하여 지중내에서 확장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1 (a)는 외형 직선 및 내부 중공형 테이퍼판(2); (b)는 외형 곡선 및 내부 비중공형 및 부분 절개형(8) 테이퍼판(2); (c)는 테이퍼판이 구비된 관; (d)는 따기형 테이퍼판이 구비된 테이퍼관; (e)는 선단에 외형 곡선 및 내부 중공형 테이퍼판이 구비된 기초(100); (f)는 외형 곡선 및 내부 중공형 테이퍼판이 구비 테이퍼관이 선단에 거치된 기초(100) 등을 보여준다. 상기 기초의 삽입, 항타, 재하 등에 의하여 상기 테이퍼관(3), 이의 벽(7), 이에 형성된 또는 이를 구성하는 편, 절편(9); 등의 굴절, 확장, 굴절확장, 확장굴절(30) 등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관 또는 핀 구비 판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서는 절개관, 절편관, 따기관, 테이퍼관 등이 구비된 판, 상기 핀 내지 복합체 등이 구비된 판, 절개관 및 핀 구비 판, 핀이 장착된 절개관 구비 판 등이 가능하다. 상기 관 또는 판은 볼트, 용접 등에 의하여 기초의 선단 등에 장착되고, 기초는 지반, 지중, 보링공, 그라우팅공 등에 관입, 항타 등이 되어 시공된다. 여기서 관 또는 판은 기초, 기초 외벽 등의 내부(161), 내향(161), 중공부(161), 외부(162), 외향(162) 등으로 확장, 돌출, 절개 등이 가능하다. 여기서 관 또는 판의 단면은 기초의 외벽 단면에 더하여 선단지지력의 산정 또는 증가에 기여하게 된다. 도 12 (a)는 외벽(160) 수직 및 내부 중공형 원판(2); (b)는 외벽(160) 수직 및 내부 비중공형 및 부분 절개형(8) 원판(2); (c)는 원판이 구비된 절개관; (d)는 따기형 원판이 구비된 절개관; (e)는 선단에 외면 수직 및 내부 중공형의 핀 또는 스트랜드체 구비 원판이 구비된 기초(100); (f)는 외면 수직 및 내부 중공형의 원판이 구비된 테이퍼관이 선단에 거치된 기초(100) 등을 보여준다. 상기 기초의 삽입, 항타, 재하 등에 의하여 상기 테이퍼관(3), 이의 벽(7), 이에 형성된 또는 이를 구성하는 편, 절편(9); 등의 굴절, 확장, 굴절확장, 확장굴절(30) 등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하여 공장에서 기초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이는 공장, 실내, 제품공장, 레미콘공장, 콘크리트공장, 콘크리트 2차제품공장 등(80)에서 기초(110)를 제조, 생산, 제작 등을 하는 것이다. 이의 과정은 원료를 저장하는 저장고(82), 원료를 배합기 등에 투입하는 호퍼(83), 원료를 배합하는 배합기(84), 배합된 콘크리트를 가압하는 펌프(87),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호스, 파이프 등의 공급라인(88) 등을 통하여 상기 형틀(89), 현장의 경우에는 보링부 내지 굴착공(96) 등에 타설, 양생 등이 되어 기초(100)가 제조된다. 상기 저장고, 호퍼, 배합기, 이의 날개, 배합날개(85), 기타 펌프, 공급라인, 콘크리트(86) 등에는 상기 진동기(81) 등이 구비되어 배합물의 유동성, 이동성, 침투성, 주입성, 작업성 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4는 본 고안에 의하여 현장에서 기초를 공사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이는 공사 장비((2), 이의 하나인 장착된 보링기, 천공기, 굴착기, 이중 하나((2)에 장착되는 롯드(93), 비트(94) 등을 통하여 지반 등을 굴착, 이에 의하여 보링공(96) 형성, 이의 보링공의 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싱(95) 설치, 상기 보링공(96)에 공장 제조 기초(100) 삽입, 항타하여 기초 형성, 또는 철근(91) 삽입 후 콘크리트(86)를 타설하여 현타기초(100) 형성 등의 장면을 보여준다.
여기서 그림 a)는 지중 굴착, 보링공, 지중주입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형성; 보링공(96) 저부에 존재하는 슬러리의 잔류물인 슬라임(99); b)는 굴착부, 보링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등에 기초, 파일 등 삽입; c)는 굴착부, 보링공 등에 철근 삽입 후 콘크리트 타설, 이때 상기 철근, 굴착부, 보링공 등의 하부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1) 거치 가능; d)는 굴착부, 보링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등에 삽입된 기초, 파일 등 항타; e)는 굴착부, 보링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등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장착된 빔, 강관, 철관, 빔기초, 강관기초 등 삽입,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굴절, 확장; f)는 굴착부, 보링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등에 삽입된 철근,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된 기초, 항타 또는 건물하중 등에 의하여 상기 철근에 부착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굴절, 확장; 등을 보여준다. 이에 의하여 기초의 선단에 굴절, 확장 등이 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거치되어 해당 기초가 선단 확장, 지지력 향상 등이 되게 된다.
상기 기초, 파일 등을 2개 이상 연결할 경우에는 연결구, 연결판, 체결구 등(105)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고, 이의 연결구, 연결판, 체결구 등에는 길이 5∼50cm의 빔, 판, H빔, I빔, 단관, 원판, 원통, 튜브, 중공판, 파이프 중 하나(106)의 양단에 연결판, 중공판, 잭 또는 볼트 구멍 형성 판 등(107)이 정착된 연결구, 연결판, 체결구 등(105)이 있다. 이의 연결구, 연결판, 체결구 등의 양단에 있는 판(107)에는 잭, 구멍 등이 형성되고, 이의 잭을 기초(100)의 구멍에 삽입하거나, 또는 이의 구멍과 기초의 구멍에 볼트(6)를 삽입하여 상호 연결한다.
도 15는 본 고안에 의한 상재하중, 기초, 이의 선단에 장착된 절편관, 이의 굴절 및 확장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이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1)이 선단 등에 구비된 기초, 이의 삽입, 항타, 재하, 하중 등에 의하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이중 하나의 벽,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등이 확장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의하여 기초의 선단에 굴절, 확장 등이 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거치되어 해당 기초가 선단 확장, 지지력 향상 등이 되게 된다.
여기서 그림 a)는 지중 굴착부, 보링공, 지중주입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96); 보링공(96) 저부에 존재하는 슬러리의 잔류물인 슬라임(99); 등의 저부에 존치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1)을 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상부에 빔, 철근, 철골, 강관, 강봉, 콘크리트 등이 투입되면 상기 굴착부 내지 그라우팅공 등의 형상을 가진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등이 조성된다. 따라서 이의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등의 하부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거치되게 되고, 상기 기초 내지 케이슨 등의 공사, 항타, 재하, 하중 재하 등에 의하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이중 하나의 벽, 절편 등이 절곡, 확장 등이 되게 된다. 상기 슬라임은 상기 굴착부 내지 그라우팅공 등의 내부에 철근, 철골, 강관, 강봉, 콘크리트, 그라우팅재 등이 투입되면서 외부로 전량, 일부, 부분 등이 배출되는 특징이 있다.
b)는 b1)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거치된 스크류기초, 스크류파일; b2) 이중 하나가 지중에 삽입, 항타, b3) 이중 하나와 하중 재하 등에 의하여 지중 내에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이중 하나의 벽, 절편 등이 굴절, 확장, b4) 이에 의하여 단면적 증가, b5) 이에 의하여 스크류 기초 또는 파일의 지지력 향상 등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d)는 지반 굴착부, 보링공, 지중주입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96) 등에 빔, 철근, 철골, 강관, 강봉,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등이 삽입되어 기초가 조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지중주입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등에는 상기 빔 내지 케이슨 등이 삽입, 항타 등이 되어 그라우팅과 상기 빔 내지 케이슨 등으로 구성된 그라우팅기초 등의 조성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지중에 롯드, 비트 구비 롯드 등을 지중에 관입, 인발 등을 하면서 그라우팅재를 지중에 주입, 분사 등을 하고, 상기 주입부, 분사부 등에 상기 빔 내지 케이슨 등을 삽입, 항타 등을 하여 그라우팅기초 등이 조성된다.
f)는 지반 굴착부, 보링공, 지중주입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96) 등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1)이 거치된 빔, 철근, 철골, 강관, 강봉,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등이 삽입되어 기초가 조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상기 빔 내지 케이슨 등의 공사, 설치, 삽입, 항타 및 상기 빔 내지 케이슨 등에 재하, 하중재하, 건물축조 등에 의하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이중 하나의 벽; 이의 절편; 등이 굴절, 절곡, 확장 등이 되어 면적이 증가되어 지지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보여준다.
h)는 h1) 지반 굴착부, 보링공, 지중주입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등의 저부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1) 중 하나 거치 후 철근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조성되는 기초, h2) 상기 굴착부 내지 그라우팅공 등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 거치 철근이 투입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조성되는 기초, h3) 기초의 공사, 설치, 삽입, 항타, 기초에 재하, 하중재하, 건물축조 등에 의하여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이중 하나의 벽; 이의 절편; 등이 굴절, 절곡, 확장 등이 되어 면적이 증가되어 지지성능이 향상되는 기초 등을 보여준다.
그리고 c), e), g)는 변단면기초(도 15 c, e, g), 테이퍼기초(도 15 g), 점축기초(도 15 g), 점확기초(도 15 g), 상부확대하부축소기초(도 15 c, e) 등을 보여준다.
도 16은 본 고안에 의한 진동기, 진동복합기(81)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진동기(81)의 하나 예로는 a) 상기 전원부(131), 컨버터(132), 인버터(133), 스위칭부(134), 검출부(135), 제어부(13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137)의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가 삽입된 케이스(138)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10∼150dB 진동의 전, 중, 후; 상기 진동 발생 위치의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기장, 자기투자율(μ)×자계강도(H)의 자속밀도(B)를 가지는 자기장, 자속밀도(B)가 1,000∼20,000 가우스 또는 0.1∼2 테슬라인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는 진동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복합기(81); b) 상기 자기장의 전, 중, 후; 상기 자기장 발생 위치의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진동 또는 10∼150dB 진동을 발생하는 자화기, 진동자화기, 진동자화복합기(81); 등이 해당된다.
상기 케이스(138)는 a) 봉, 통, 블럭, 원통, 튜브, 파이프,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중공형, 중공통 등의 형상을 가진 케이스(case), b) 이의 내부에는 모터, 상기 전원부 내지 제어부 등의 전체 또는 부분 등이 구비, c) 내부에 구비된 상기 모터의 회전체 등이 회전함으로 상기 모터, 회전체 등의 자신, 상기 케이스 등이 진동을 하게 되고, d) 이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는 하나의 진동기, 자화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등이 되고, e) 상기 케이스가 삽입되는 물질, 상기 케이스를 거치거나 접촉되는 물질 등은 진동, 자기장, 진동자화, 자화진동 등을 하게 또는 받게 된다. 이에 의하여 물질은 유동성, 이동성, 타설성, 주입성, 침투성, 작업성 등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 진동기, 케이스, 자화기, 진동복합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등(81)은 상기 원료, 재료, 주입재, 슬러리, 그라우팅재, 지중주입재, 파일구성물, 콘크리트 등(86); 원료를 저장하는 저장고(82); 원료를 배합기 등에 투입하는 호퍼(83); 원료를 배합하는 배합기(84); 배합된 재료를 가압하는 펌프(87); 재료를 공급하는 호스, 파이프 등의 공급라인(88); 상기 배합기의 배합날개(85); 상기 저장고 내지 공급라인 등에 연결된 호스, 파이프, 연결수단; 등에, 또는 등의 면, 표면, 내부, 내면, 외부, 외주 등에 구비, 거치, 위치, 존치, 삽입, 투입, 매입, 관입 등이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원료 내지 콘크리트 등은 진동, 자기장 등으로 처리되어, 이들의 유동성, 이동성, 주입성, 침투성, 타설성, 분사성, 작업성 등이 향상된다.
도 17은 본 고안에 의한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스트랜드파일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건물, 가옥 등의 냉난방수(161)가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스트랜드파일 등의 내부에 설치된 지열파이프(160)를 통하여 순환하면서 냉난방수와 지중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건물, 가옥 등을 냉방, 난방 등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스트랜드파일 등의 선단에 굴절, 확장 등이 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거치되어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스트랜드파일 등이 선단 확장, 지지력 향상 등이 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기초는 기존 기초에 비하여 지열교환, 지열에너지교환, 냉난방수와 지열 교환, 냉난방수와 지열에너지 교환, 상기 열교환 등 이외에 해당 파일의 선단 확장, 지지력 향상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여기서 그림 d)는 변단면기초, 상부확대하부축소기초 등이 해당된다.
도 18, 19는 본 고안에 의한 얕은기초, 이의 철근, 선단, 측면, 내부, 외부, 내외부, 하부, 보강재 등에 장착된 절편관, 이의 굴절, 확장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 상기 a) 기초 내지 케이슨(100), b) 기초 내지 RCD기초(100); c)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d) 이중 하나의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보링공, 굴착공,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선단, 측면, 하부, 하단, 내부, 외부, 내외부, 다지점, 일지점, 보강재; 등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스파이크관, 단과 내지 테이퍼관 등(1)이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정착, 연계, 연결, 접속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여기서 도 18 (a)는 기존 기초를 보여주고, 도 18 (b)는 기초, 파일, 피어, 얕은기초, 후팅기초, 깊은기초 등에 본 고안에 의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스파이크관, 단과 내지 테이퍼관 등(1)이 구비된 것을 보여준다.
도 18,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초 하부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거치되고, 기초 상부에는 건물, 구조물, 건물 기둥, 구조물 기둥, 구조물 내력벽, 구조물 내력기둥, 구조물 지지기둥 등이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건물, 구조물, 건물보(빔), 슬라브 등은 상기 기둥에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건물, 구조물은 건물, 구조물, 이를 지지하는 기둥, 이의 기둥 하부에 기초, 이의 기초 선단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의 순으로 거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확장되어 기초의 선단면적 증가, 지지력 증가 등이 되어 상기 기둥, 건물, 구조물 등을 지지하는 지지력, 저항력 등이 증가하게 된다. 도 20은 본 고안에 의한 핀기초, 돌기기초, 블럭기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1은 본 고안에 의한 테이퍼판, 테이퍼관 등(1)이 구비된 핀기초, 돌기기초, 블럭기초를 나타내는 모식도인데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테이퍼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복합체, 단관 내지 테이퍼관, 관 내지 테이퍼관 등은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이중 하나의 측면, 선단, 하부, 내부, 외부, 일부, 내외부, 다지점, 일지점, 선단전체, 선단일부, 보링부, 굴착부, 철근, 보강재, 그라우팅부; 등에 거치, 구비, 연결, 체결, 접속, 매입, 투입, 또는 끈, 줄, 연선, 철사, 나사, 볼트 등에 의하여 체결, 연결 등이 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얕은기초, 깊은기초; 이중 하나의 측면, 선단, 하부, 내부, 외부, 일부, 내외부, 다지점, 일지점, 선단전체, 선단일부, 보링부, 굴착부, 철근, 보강재, 그라우팅부; 등에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굴절 또는 확장 등이 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거치되어 해당 기초의 선단 확장, 지지력 향상 등이 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초는 기존 기초에 비하여 자신, 이의 측면, 선단, 하부 등에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등이 거치되어 기초의 지지력 향상, 선단 확장, 선단지지력 향상, 주면마찰력 향상, 이동 방지, 유동 방지, 변형 방지, 침하 방지, 슬라이딩 방지, 저항 증가, 하중저항 증가, 기초마찰 증가, 선단저항 증가 등이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1 : 판 구비 관 2: 판 3 : 관
4 : 구멍, 볼트 구멍 5 : 잭, 연결잭, 결합잭,
6 : 볼트, 나사, 나사볼트 7 : 관의 벽 8 : 절개,
9 : 편, 절편, 절개편 13 : 판, 관 등의 길이 또는 높이
14 : 판, 관 등의 두께 15 : 판, 관 등의 폭, 직경
20 : 판, 관 등의 일단 21 : 판, 관 등의 일지점
21 : 판, 관 등의 타단 30 : 지중내 굴절, 확장
31 : 관 내부에 거치된 격자의 확장 100 : 기초
101 : 얕은기초 102 : 깊은기초
106 : 기초 둘레에서 내향 107 : 기초 둘레에서 외향
110 : 지반 120 : 하중 121 : 지지력, 선단지지력

Claims (8)

  1. 자신의 철근 또는 보강재에 절편관, 또는 판 구비 관이 장착된 얕은기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2. 자신의 철근 또는 보강재에 절편관, 또는 판 구비 관이 장착된 얕은기초가 지지하는 시설로서,
    상기 판, 관, 절편관의 관 중 하나 이상은 절개되고,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판, 관 중 하나 이상에 절편이 형성되고,
    상기 판, 관 중 하나 이상은 점증, 점확, 경사, 테이퍼 중 하나가 되고,
    상기 시설은 댐, 탑, 철탑, 벽, 제방, 시설, 건물, 주택, 교량, 육교, 교각, 교대, 도로, 옹벽, 항만, 아파트, 구조물, 시설물, 데크로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3. 진동처리된 재료, 밀크,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페이스트, 시멘트밀크, 시멘트몰탈, 그라우팅재, 슬러리, 벤토나이트슬러리 중 하나가 이용되는 기초로서,
    상기 진동처리는 진동기에 의하고,
    상기 진동기는 a)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제어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가 삽입된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10∼150dB 진동의 전, 중, 후 중 하나 이상에
    자기장, 자속밀도가 1,000∼20,000 가우스인 자기장, 자속밀도가 0.1∼2 테슬라인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는 진동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자기장의 전, 중, 후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진동 또는 10∼150dB 진동을 발생하는 자화기, 진동자화기, 진동자화복합기 중 하나이고,
    상기 케이스는 하기 1, 2, 3, 4, 5 중 하나이고,
    상기 1은 봉, 통, 블럭, 원통, 튜브, 파이프,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중공형, 중공통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진 케이스이고,
    상기 2는 자신의 내부에 상기 모터, 또는 상기 전원부 내지 제어부의 전체 또는 부분이 구비된 케이스이고,
    상기 3은 자신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이고,
    상기 4는 자신을 거치거나 또는 접촉되는 상기 재료 내지 벤토나이트슬러리 중 하나 이상을 진동, 자화, 진동자화, 자화진동 중 하나를 하는 케이스이고,
    상기 5는 상기 진동 내지 자화진동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재료 내지 벤토나이트슬러리 중 하나의 유동성, 이동성, 타설성, 주입성, 침투성, 작업성 중 하나 이상을 향상시키는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4. 얕은기초의 철근 또는 보강재에 절편관, 또는 판 구비 관이 장착되고,
    상기 판, 관, 절편관의 관 중 하나 이상은 절개되고,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판, 관 중 하나 이상에 절편이 형성되고,
    상기 판, 관 중 하나 이상은 점증, 점확, 경사, 테이퍼 중 하나가 되고,
    상기 얕은기초의 하부에 믹싱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변단면기초, 돌기구비기초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얕은기초는 얕은기초, 줄기초, 직접기초, 후팅기초, 전면기초, 독립기초, 단독기초 중 하나이고,
    상기 믹싱기초는 지중, 지반, 지하, 암반, 굴착부, 굴착공,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물질, 모래, 자갈, 골재, 쇄석, 석회, 석고, 수지, 시멘트, 슬래그, 부산물, 몰탈, 밀크, 약액, 현탁액, 레미콘, 페이스트, 콘크리트, 섬유, 보강재, 철근, 철근망, 철근케이지; 이중 둘 이상 재료; 중 하나가 믹싱되어 형성된 기초, 믹싱기초, 지중믹싱기초, DCM(deep cement mixing), SCW(soil cement wall) 중 하나이고,
    상기 스크류기초는 봉, 대, 기둥, 샤프트 중 하나의 외면에 나선, 스크류, 헬리칼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되거나, 또는 자신의 외주에 나선, 스크류, 헬리칼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된 기초이고,
    상기 그라우팅기초는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상기 물질 내지 재료 중 하나를 주입, 인젝션, 그라우팅 중 하나를 하여 형성된 기초, 주입기초, 인젝션기초, 그라우팅기초 중 하나이고,
    상기 마이크로파일은 a) 그라우팅; b) 이의 전, 중, 후; c) 또는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재, 지중주입부, 그라우팅주입공, 그라우팅주입부; 중 하나에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소구경파일,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가 매입되는 기초이고,
    상기 변단면기초는 길이 방향, 상하 방향, 지반에 관입 후 상하 방향 중 하나로 단면, 횡단면, 단면적, 직경, 두께, 굵기 중 하나가 변함, 다름, 확대, 축소, 테이퍼, 점증, 점확, 상부확대하부축소 중 하나가 되는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변단면기초, 테이퍼기초, 점축기초, 점확기초, 상부확대하부축소기초 중 하나이고,
    상기 물질 내지 재료 중 하나는 진동처리되고,
    상기 진동처리는 진동기에 의하고,
    상기 진동기는 a)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제어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가 삽입된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10∼150dB 진동의 전, 중, 후 중 하나 이상에
    자기장, 자속밀도가 1,000∼20,000 가우스인 자기장, 자속밀도가 0.1∼2 테슬라인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는 진동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자기장의 전, 중, 후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진동 또는 10∼150dB 진동을 발생하는 자화기, 진동자화기, 진동자화복합기 중 하나이고,
    상기 케이스는 하기 1, 2, 3, 4, 5 중 하나이고,
    상기 1은 봉, 통, 블럭, 원통, 튜브, 파이프,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중공형, 중공통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진 케이스이고,
    상기 2는 자신의 내부에 상기 모터, 또는 상기 전원부 내지 제어부의 전체 또는 부분이 구비된 케이스이고,
    상기 3은 자신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이고,
    상기 4는 자신을 거치거나 또는 접촉되는 상기 물질 내지 재료 중 하나 이상을 진동, 자화, 진동자화, 자화진동 중 하나를 하는 케이스이고,
    상기 5는 상기 진동 내지 자화진동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물질 내지 재료 중 하나의 유동성, 이동성, 타설성, 주입성, 침투성, 작업성 중 하나 이상을 향상시키는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5. 절개된 외관, 내관으로 구성된 관이 구비된 판 또는 확장형 판이 구비된 기초로서,
    상기 외관의 길이가 상기 내관의 길이보다 길거나,
    또는 상기 내관의 길이가 상기 외관의 길이보다 길거나,
    또는 상기 외관과 내관의 길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6. 핀이 구비되고,
    상기 핀에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에 네일이 구비되고,
    상기 돌기, 네일이 구비된 핀이 관에 거치되고,
    상기 관이 판에 구비되고,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이 절개되고,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에 절편이 형성되고,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은 점증, 점확, 경사, 테이퍼 중 하나가 되고,
    상기 관 구비 판이 파일, 피어, 케이슨, 깊은기초, 믹싱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돌기구비기초, 얕은기초, 직접기초, 후팅기초, 전면기초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상기 파일 내지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가 지반 또는 지중에 설치되고,
    상기 파일 내지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의 상부에 상기 얕은기초 내지 전면기초 중 하나가 설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7. 블럭헤드, 이에 형성된 홀, 이의 홀에 관통되는 봉, 상기 블럭헤드의 상부에 거치된 안착대로 구성된 블럭기초로서,
    상기 블럭헤드에 하기 1, 2, 3 중 하나가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결합에 더하여 상기 블럭헤드의 하부에 관 구비 판이 장착되고,
    상기 1은 핀, 2핀, 3핀, 4핀, 2발핀, 3발핀, 4발핀, 경사 핀, 돌기 구비 핀 중 하나이고,
    상기 2는 자신의 외면에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중 하나 이상이 용접된 핀이고,
    상기 3은 핀, 이의 측면에 봉, 이 봉의 측면에 돌기, 이 돌기의 측면에 볼트, 이 볼트의 측면에 네일, 이 네일의 측면에 앵커, 이 앵커의 측면에 스트랜드체가 구비된 복합체이고,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이 절개되고,
    상기 절개에 의하여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에 절편이 형성되고,
    상기 관, 판 중 하나 이상은 점증, 점확, 경사, 테이퍼 중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8. 지반, 암반, 지중, 지하, 보강, 개량, 지지, 차수, 항타, 매입, 연직, 경사, 육상, 해상, 건물, 주택, 시설, 교량, 구조물, 공장제조, 현장타설 중 하나의 기초로서,
    상기 기초는 기초, 파일(pile), 말뚝, 피어(pier), 후팅(footing), 케이슨(caisson), 핀기초, 빔기초, 줄기초, 벽기초, 봉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직접기초, 후팅기초, 전면기초, 정적기초, 동적기초, 진동기초, 내진기초, 독립기초, 단독기초, 연속기초, 군기초, 지반기초, 지중기초, 지하기초, 암반기초, 기계기초, 건물기초, 주택기초, 교량기초, 교각기초, 옹벽기초, 시설기초, 석션기초, 돌기기초, 볼트기초, 앵커기초, 네일기초, 블럭기초, 우물통기초, 구조물기초, 데크로드기초, 스트랜드기초, 핀파일, 봉파일, 돌기파일, 볼트파일, 앵커파일, 네일파일, 매입파일, 항타파일, 현타파일, 강관파일, PHC파일,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스트랜드파일, 지열기초, 에너지기초, 강관기초, 강재기초, 금속기초, 비금속기초, 스크류기초, 인젝션기초, 철근인젝션기초, 공장제조기초, 현장타설기초, 지중주입기초, 지중분사기초, 지중믹싱기초, 지중다짐기초, 지중매입기초, 핀 형성 파일, 핀 형성 기초, 봉 관통 기초, 봉 관통 콘크리트기초, 파일 또는 보강재 매입 기초, 지중관입기초, 지중항타기초, 마이크로파일, 그라우팅파일, 그라우팅기초, 변단면기초, 테이퍼기초, 점축기초, 점확기초, 상부확대하부축소기초, 외주에 스크류 장착 기초, 보강재 매입 그라우팅기초, 핀 형성 보강재 매입 그라우팅기초, 그라우팅공 매입기초, 그라우팅부 매입기초, 지중주입부 매입기초, 매입 후 항타기초, 굴착 또는 그라우팅 후 매입기초, 순환파이프 삽입 에너지기초, 형틀 또는 굴착부에 철근 삽입 및 콘크리트 또는 진동처리 콘크리트 타설 기초, 어스드릴기초, 올케이싱기초, JSP, SGR, LW, SCW, DCM, CCP, CDM, CGS, DJM, JGM, TJG, SIG, RJP, CJG, CIP(cast in place)기초, PRD(percussion rotary drill)기초,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기초 중 하나 이상이고,
    1) 상기 기초는 기초; 상기 지반 내지 구조물 중 하나의 기초;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중 둘 이상의 복합기초; 중 하나이고,
    2) 상기 줄기초는 줄기초, 줄모양기초, 줄형태기초 중 하나이고,
    3) 상기 벽기초는 벽기초, 지중벽기초, 지하벽기초, 슬러리월기초, 벽줄모양기초, 벽줄형태기초 중 하나이고,
    4) 상기 동적기초, 진동기초, 내진기초 중 하나는 a) 동적, 진동, 내진, 지진; 이중 하나의 하중 중 하나에 이용되는 기초; b) 시공시 동적, 진동, 항타 중 하나를 하면서 또는 가하면서 지중 등에 삽입되는 기초; 중 하나이고,
    5) 상기 석션기초는 석션기초, 기초를 지중에 삽입하고 기초의 상부에 있는 구멍에 진공 또는 석션압을 가하여 기초를 지중에 더 삽입시키는 기초 중 하나이고,
    6) 상기 스크류기초는 봉, 대, 기둥, 샤프트 중 하나의 외면이 나선, 스크류, 헬리칼 중 하나가 형성 되거나, 또는 외주에 나선, 스크류, 헬리칼 중 하나가 형성된 기초이고,
    7) 상기 얕은기초는 얕은기초, 후팅, 줄기초, 직접기초, 후팅기초, 전면기초, 독립기초, 단독기초 중 하나이고,
    8) 상기 깊은기초는 깊은기초, 파일, 말뚝, 피어, 후팅, 케이슨, 파일기초, 말뚝기초, 피어기초, 케이슨기초 중 하나이고,
    9) 상기 지중주입기초는 지중, 지반, 지하, 암반, 굴착부, 굴착공,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물질, 모래, 자갈, 골재, 쇄석, 석회, 석고, 수지, 시멘트, 슬래그, 부산물, 몰탈, 밀크, 약액, 현탁액, 레미콘, 페이스트, 콘크리트, 섬유, 보강재, 철근, 철근망, 철근케이지; 이중 둘 이상 재료; 중 하나를 주입, 인젝션, 그라우팅 중 하나를 하여 형성된 기초, 주입기초, 인젝션기초, 그라우팅기초 중 하나이고,
    10) 상기 지중분사기초는 a)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상기 물질 내지 재료 중 하나를 분사, 주입, 제팅, 인젝션, 그라우팅 중 하나를 하여 형성된 기초, 분사기초; b) 상기 분사, 주입, 제팅, 인젝션, 그라우팅 중 하나가 된 부, 부위, 구간, 깊이, 보링공 중 하나에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철근케이지, 기초, 파일, 피어 중 하나가 매입된 기초; 중 하나이고,
    11) 상기 지중믹싱기초는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상기 물질 내지 재료 중 하나를 믹싱하여 형성된 기초, 지중믹싱기초, DCM(deep cement mixing), SCW(soil cement wall) 중 하나이고,
    12) 상기 지중다짐기초는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상기 물질 내지 재료 중 하나를 다짐하여 형성된 기초, SCP(sand compaction pile), GCP(gravel compaction pile),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VCCP(vibrated 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중 하나이고,
    12) 상기 지중매입기초, 핀 형성 파일, 핀 형성 기초, 봉 관통 기초, 봉 관통 콘크리트기초, 파일 또는 보강재 매입 기초, 지중관입기초, 지중항타기초 중 하나는 a)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매입, 관입, 삽입, 항타 중 하나가 된 기초; b) 상기 지중 내지 그라우팅부 중 하나에 빔, 철근, 철봉, 강관, 파일, 보강재 중 하나가 매입, 관입, 삽입, 항타 중 하나가 된 기초; 중 하나이고,
    13) 상기 마이크로파일, 그라우팅파일, 그라우팅기초, 보강재 매입 그라우팅기초, 핀 형성 보강재 매입 그라우팅기초, 그라우팅공 매입기초, 그라우팅부 매입기초, 지중주입부 매입기초, 그라우팅 후 매입기초 중 하나는 a) 그라우팅, 지중그라우팅, 건물그라우팅, 균열부그라우팅; 상기 그라우팅 중 하나의 전, 중, 후; 또는 그라우팅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재, 지중주입부, 그라우팅주입공, 그라우팅주입부; 중 하나에 매입되는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b) 상기 그라우팅공 내지 그라우팅주입부의 기초, 상기 그라우팅공 내지 그라우팅주입부로 된 기초; c) 상기 그라우팅 내지 그라우팅주입부 중 하나에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주입재, 그라우팅재, 철근케이지, 물체, 기초, 파일, 피어, 소구경파일, 마이크로파일;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하나가 주입 또는 매입되는 기초; d) 그라우팅과 기초 또는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둘 이상이 조합된 기초; 그라우팅재 또는 그라우팅부와 기초 또는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둘 이상이 조합된 기초; e) 그라우팅공 또는 그라우팅부에 기초 또는 상기 빔 내지 철근케이지 중 하나가 주입 또는 매입된 기초; f) 또는 기초, 이의 주변, 외주, 외면, 외부, 내부, 보링공, 매입공, 항타공, 주변지반 중 하나에 그라우팅이 된 또는 그라우팅재가 주입된 기초; 중 하나이고,
    14) 상기 어스드릴기초는 어스드릴기초, 어스드릴로 천공하면서 조성하는 기초, 드릴로 어스(지반)를 천공하면서 조성하는 기초, 회전버켓(bucket)을 이용하여 안정액으로 공벽을 유지하면서 굴착하고 이의 굴착부에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기초 중 하나이고,
    15) 상기 올케이싱기초는 올케이싱기초, 요동식 올케이싱기초, 전선회식 올케이싱기초, 돗바늘 올케이싱기초, 해머 그랩 등으로 토사를 배출하면서 케이싱을 압입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이의 굴착부에 철근망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기초 중 하나이고,
    16) 상기 CIP(cast in place)기초는 CIP기초, 현장타설기초, 현장시공기초 중 하나이고,
    17) 상기 PRD(percussion rotary drill)기초는 PRD기초, 드릴 천공하여 조성하는 기초, 로타리드릴 천공하여 조성하는 기초, 퍼커슨로타리드릴 천공하여 조성하는 기초 중 하나이고,
    18) 상기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기초는 RCD기초, 역순환 굴착기초, RCD장비를 이용해 정수압으로 공벽을 보호하며 드릴로드 끝부분에 장착된 드릴비트(drill bit)를 회전시켜 지반 천공을 한 후에 사전 조립된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조성된 현장타설 콘크리트기초 중 하나이고,
    19) 상기 PHC 또는 PHC파일은 고강도콘크리트말뚝,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restressed high-strength concrete pile 중 하나이고,
    22) 상기 볼트, 나선, 쐐기, 테이퍼, 헬리칼, 스크류 중 하나의 기초는 a) 볼트, 나선, 쐐기, 테이퍼, 헬리칼, 스크류 중 하나의 기초; b) 또는 b1) 봉, 대, 롯드, 기둥, 샤프트; b2) 이중 하나의 또는 이중 하나의 길이를 따라 전체, 부분, 일부, 선단, 하단, 하부, 중간, 다지점, 일지점, 일구간, 다구간, 2개 구간, 3개 구간, 다수 구간, 일단에서 일지점까지; 등에 날개, 볼트, 나선, 쐐기, 테이퍼, 헬리칼, 스크류 등이 구비된 기초; 중 하나이고,
    23) 상기 매입기초는 지반, 암반, 굴착부, 보링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중 하나에 매입된 기초이고,
    24) 상기 현타기초는 a) 현장에서 타설되는 기초, 현장에서 타설되어 형성되는 기초, 현장에서 콘크리트 등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기초, 파일; b) 현장, 이의 지반, 암반, 굴착부, 보링공, 그라우팅부, 그라우팅공 중 하나에 빔, 철근, 강관, 철근망, 보강재, 콘크리트 등이 투입되어 형성되는 기초, 파일; 중 하나이고,
    25) 상기 후팅 또는 후팅기초는 후팅, 후팅기초, 줄기초, 얕은기초, 직접기초, 전면기초, 독립기초, 단독기초 중 하나이고,
    26) 상기 매입기초는 지반, 지중, 지하, 보링공, 보링홀, 굴착부, 천공부 중 하나에 매입, 근입, 압입, 투입 중 하나가 기초이고,
    27) 상기 항타기초는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등에 항타, 해머링, 해머항타, 드롭항타 중 하나가 된 기초이고,
    28) 상기 현타기초, 현타파일, 현장타설파일 중 하나는 현장에서 레미콘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 또는 투입되어 형성된 파일, 현장에서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중 하나에 레미콘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 또는 투입되어 형성된 파일, 현장에서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중 하나에 빔, 철근, 강관, 철골, 철근망, 철근케이지 중 하나가 투입되고 레미콘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된 파일 중 하나이고,
    29) 상기 마이크로기초, 마이크로파일, 소구경파일 중 하나는 a)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중 하나에 파일이나 마이크로파일이 삽입되고 그라우팅이 된 파일, b) 상기 지반 내지 천공부 중 하나에 그라우팅 후 그 내부에 빔, 철근, 강관, 강봉, 철골, 철근망, 철근케이지, 파일,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가 삽입된 파일 중 하나이고,
    30) 상기 지열파일, 에너지파일, 스트랜드파일, 지열기초, 에너지기초 중 하나는 a) 지열, 에너지, 지열에너지 중 하나의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b) 자신의 몸체, 구체, 내부의 중공부 중 하나에 지열파이프, 충진재 중 하나 이상이 삽입 또는 거치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c) 자신의 몸체, 구체, 내부의 중공부 중 히나에 U자형 지열파이프, 충진재 중 하나 이상이 삽입 또는 거치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d) 또는 수, 물, 액체, 냉수, 온수, 난방수, 냉방수 중 하나가 순환되는 지열파이프, 순환파이프, 물순환파이프 중 하나가 자신의 몸체, 구체, 내부의 중공부 중 하나에 내장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e) 상기 수 내지 냉방수 중 하나가 한쪽으로 유입되고 다른 한쪽으로 유출되는 U자형 지열파이프, 순환파이프, 물순환파이프 중 하나가 자신의 몸체, 구체, 내부의 중공부 중 하나에 내장된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보링공, 그라우팅공, 그라우팅기초; 중 하나이고,
    31) 상기 핀기초, 봉기초, 돌기기초, 볼트기초, 네일기초, 앵커기초, 스트랜드기초, 핀파일, 봉파일, 돌기파일, 볼트파일, 네일파일, 앵커파일, 스트랜드파일 중 하나는 a)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블럭기초, 콘크리트기초; 하기 단관 내지 복합체; b) 상기 기초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홀, 구멍, 통공, 공동, 중공, 주변, 외부, 외면, 외측, 외향, 외벽, 피막, 피복, 외주, 선단, 하단, 상단, 일단, 타단, 상부, 하부, 중간, 가두리, 가장자리; 중 하나 이상에 1)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이중 둘 이상 복합체; 이의 복합체의 하나인 핀 부착 봉,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용접 네일, 핀 부착 봉 장착 돌기 거치 볼트 용접 네일 체결 앵커, 핀이 부착된 봉이 장착된 돌기가 거치된 볼트가 용접된 네일이 체결된 앵커가 합체된 스트랜드체; 2) 상기 선 내지 절편선, 편 내지 슬롯따기편, 핀 내지 복합체; x) 중 하나가 구비, 거치, 설치, 위치, 장착, 정착, 부착, 용접, 끼움, 관통, 통과, 삽입, 매입, 투입, 접합, 결합, 연결, 돌출, 외부로 돌출; y) 중 하나가 1, 2, 3, 4, n, 1개, 2개, 3개, 4개, n개, 다(多), 다수, 다수개, 직교, 수직, 연직, 수평, 경사 중 하나로 구비, 거치, 설치, 위치, 장착, 정착, 부착, 용접, 끼움, 접합, 결합, 연결, 삽입, 매입, 투입, 돌출, 관통, 통과, 관통설치, 통과설치 등이 된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중 하나이고,
    상기 31)에 기재된 기초의 예에는 봉 또는 핀이 돌출된 기초, 하단에 핀이 구비된 파일, 하부 선단에 핀이 정착된 기초, 봉 또는 핀이 돌출된 파일, 돌기가 돌출된 피어, 외주에 돌기가 돌출된 후팅, 부분적으로 외부에 돌기가 돌출된 케이슨 중 하나가 포함되고,
    32) 상기 블럭기초 또는 콘크리트기초는 a) 블럭기초, 콘크리트기초, 콘크리트블럭기초, 철근콘크리트기초, 4각기초, 다각기초, 육면체기초, 자유형기초, 자유형상기초, 임의형상기초, 마름모형기초, 다이아몬드형기초, 후팅기초, 얕은블럭기초, 얕은콘크리트기초, b)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가 구비된 블럭기초, 콘크리트기초 중 하나이고,
    33) 상기 기초, 핀기초, 돌기기초, 블럭기초, 얕은기초, 후팅기초, 콘크리트기초 중 하나에는 a) 블럭, 블럭헤드, 헤드블럭,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가 구비된 블럭; b) 상기 블럭에 형성된 홀, 구멍, 천공홀; c) 상기 블럭, 홀, 구멍, 천공홀 중 하나 이상에 부착 또는 관통되는 상기 핀 내지 복합체; d) 상기 블럭헤드의 상부에 거치된 브라켓, 안착대; e)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캡, 마개, 덮개, 마감재 또는 상기 핀 내지 복합체 중 하나를 상기 블럭헤드, 홀, 구멍, 천공홀, 홀입구 중 하나에 정착하는 캡, 앵카, 볼트, 너트, 마개, 정착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기초, 핀기초, 돌기기초, 블럭기초, 얕은기초, 후팅기초, 콘크리트기초 중 하나가 포함되고,
    34) 상기 복합기초는 상기 기초 내지 RCD기초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초이고,
    35) 상기 복합기초에는 파일과 피어, 얕은기초와 파일, 얕은기초와 깊은기초, 얕은기초와 스크류기초, 얕은기초와 지중믹싱기초, 얕은기초와 마이크로파일, 지중기초와 건물기초, 지하기초와 주택기초, 지중기초와 얕은기초, 지하기초와 얕은기초, 돌기기초와 볼트기초, 핀파일와 봉파일, 돌기파일과 볼트파일, 지중주입기초와 지중분사기초, 지중믹싱기초와 지중다짐기초, JSP와 SGR, SCW와 DCM, CIP기초와 PR기초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36) 상기 JSP는 jumbo special pile 또는 이의 기초이고,
    37) 상기 SGR은 space grouting rocket 또는 이의 기초이고,
    38) 상기 LW는 labiles wasserglass 또는 이의 기초이고,
    39) 상기 SCW는 soil cement wall, soil cement mixing wall, 이의 기초 중 하나이고,
    40) 상기 DCM은 deep cement mixing 또는 이의 기초이고,
    41) 상기 CCP는 chemical chuning pile 또는 이의 기초이고,
    42) 상기 CDM은 cement deep mixing 또는 이의 기초이고,
    43) 상기 CGS는 compaction grouting system 또는 이의 기초이고,
    44) 상기 DJM은 dry jet mixing 또는 이의 기초이고,
    45) 상기 JGM은 jet grouting method 또는 이의 기초이고,
    46) 상기 TJG은 twin jet grouting 또는 이의 기초이고,
    47) 상기 SIG는 super injection grout 또는 이의 기초이고,
    48) 상기 RJP는 rodin jet pile 또는 이의 기초이고,
    49) 상기 CIP는 cast in place 또는 이의 기초이고,
    50) 상기 PRD는 percussion rotary drill 또는 이의 기초이고,
    51) 상기 RCD는 reverse circulation drill 또는 이의 기초이고,
    52) 상기 CJG는 column jet grouting 또는 이의 기초이고,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는 하기 a, b, c, d, e, f, g, h, i, j, k 중 하나이고,
    상기 a는 하기 a1, a2, a3 중 하나이고,
    상기 a1은 하기 a11, a12, a13, a14 중 하나이고,
    상기 a11은 단관, 콘관, 2중관, 3중관, 다중관, 다발관, 다판관, 키인관(key-in pipe), 절개관, 따기관, 점선관, 절편관, 점증관, 점확관, 점축관, 점증점축관, 경사관, 튜브관, 중공판, 절개판, 따기판, 점선판, 절편판, 2중판, 다중판, 도넛판, 점증판, 점확판, 점축판, 점증점축판, 경사판, 테이퍼관, 테이퍼판 중 하나이고,
    상기 a12는 다발 구비 관 또는 다수개의 발 구비 관, 돌기 구비 관, 네일 구비 관, 앵커 구비 관, 테이퍼판 구비 관, 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판, 테이퍼판 구비 테이퍼관, 테이퍼관 구비 테이퍼판, 연결잭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연결판 구비 테이퍼관,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중 하나이고,
    상기 a13은 벽 또는 발 또는 외관 또는 절편이 확장되는 단관, 외관 또는 절편 외관 또는 선따기 외관 또는 절편선 형성 외관이 구비 또는 확장되는 다중관, 발 또는 벽발이 확장되는 다발관, 지반에 키인 또는 키인 확장되는 키인관, 지반에 키인되면서 확장 또는 절편 확장되는 확장관, 지반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외관이 확장되는 다중관, 지반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발이 확장 또는 절편 확장되는 다발관, 지반에 키인되면서 절편 또는 절편벽이 확장되는 절편관, 확장형 격자 삽입 절편관, 지반에 키인 또는 삽입되면서 절편 확장에 더하여 상기 격자가 확장되는 관 또는 절편관, 상기 격자가 절편의 굴곡부 또는 절편선의 벌어짐 부위로 확장되는 절편관 중 하나이고,
    상기 a14는 상기 절편과 격자 간에 당김선이 구비된 관 또는 절편관, 상기 절편의 확장시 상기 당김선에 의하여 격자의 일측이 당김되면서 타측이 확장되는 관 또는 절편관, 연결판이 구비된 상기 관 중 하나이고,
    상기 a2는 원형, 통형, 콘형, 핀형, 발형, 편형, 판형, 톱니형, 원통형, 원판형, 중공형, 채움형, 피막형, 벽면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직선형, 연직형, 경사형, 곡선형, 곡면형, 오목형, 볼록형, 돌기형, 절편형, 점증형, 점축형, 점증점축형, 테이퍼형, 불연속형, 스파이크형, 마름모형, 사다리형, 선따기형, 벽절편형, 벽선따기형, 연결판구비형, 연결잭 형성, 볼트 구멍 형성, 경사 또는 각도(α) 1∼89도 중 하나 이상의 상기 관, 판, 판과 관, 판 구비 관, 관 구비 판 중 하나이고,
    상기 a3은 상기 a11의 단관 내지 테이퍼판; a12의 다발 구비 관 ∼ 볼트구멍 형성 테이퍼판 구비 관 또는 테이퍼관; a13의 벽 또는 발 또는 외관 또는 절편이 확장되는 단관 ∼ 상기 격자가 절편의 굴곡부 또는 절편선의 벌어짐 부위로 확장되는 절편관; a14의 상기 절편과 격자 간에 당김선이 구비된 관 또는 절편관 ∼ 연결판이 구비된 상기 관; a2의 관 ∼ 관 구비 판; 중 둘 이상 조합의 복합체이고,
    상기 b는 외관과 내관으로 구성된 2중관, 외관과 중관과 내관으로 구성된 3중관 중 하나이고,
    상기 c는 2개 관(내관, 외관)의 길이가 상호 다른 2중관, 3개 관(내관, 중관, 외관)의 길이가 상호 다른 3중관, 외관과 중관과 내관의 순 또는 역순으로 길이가 긴 2중관 또는 3중관 중 하나이고,
    상기 d는 자신의 길이 또는 높이가 d1) 5∼50cm; d2) 기초 길이의 0.1∼10%; d3) 기초 직경의 0.5∼5배; 중 하나인 상기 a11의 단관 ∼ a2의 관 구비 판, a3의 복합체 중 하나이고,
    상기 e는 자신의 두께 또는 벽두께가 기초 두께 또는 직경의 0.1∼50%인 상기 a11의 단관 ∼ a3의 복합체 중 하나이고,
    상기 f는 일정의 콘, 절개, 절단, 따기, 경사, 점축, 점증, 점선, 파선, 확장, 벌림, 파단선, 테이퍼, 콘형성, 휘어짐, 점선형성, 선단확장, 선단벌림;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시행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고,
    상기 g는 상기 절개, 절단, 따기, 점선, 파선, 파단선, 점선형성 중 하나에 의하여 g1) 편, 발, 콘, 조각, 측편, 벽편, 절편, 절개편, 따기편, 선따기편, 슬롯따기편; g2) 자신의 벽, 외벽, 외피, 피막, 벽체, 둘레, 가두리, 둘레벽, 연직벽, 경사벽, 절개벽, 절편벽, 테이퍼벽, 가장자리 중 하나에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중 하나가 형성되는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고,
    상기 h는 일정의 점, 선, 면, 점선, 파선, 연직, 곡선, 길이, 삼각, 쐐기, 슬롯 중 하나의; 또는 하나 형태의; 또는 하나 형성의; 상기 콘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시행된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고,
    상기 i는 i1) 핀, 봉, 돌기, 볼트, 네일, 앵커, 스트랜드체; i2) 상기 핀 내지 스트랜드체 중 둘 이상의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상기 편 내지 슬롯따기편;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고,
    상기 j는 하기 j1 또는 j2가 불연속; 확장 불연속; 경사 불연속; 1∼99% 불연속, 2개 점 또는 공간 이상 불연속; 중 하나인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고,
    상기 j1은 1) 일단, 일측, 일단에서 일지점까지,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일지점까지; 2) 또는 벽의 상기 일단 내지 일지점까지; 중 하나이고,
    상기 j2는 j21) j211) 자신 또는 자신 벽의 선단, 일단, 하단, 단부, 내부, 외부, 외주, 둘레, 측면, 내외부, 헤드; j212) 또는 지중에 삽입, 매입, 시공, 설치, 관입, 항타 중 하나가 되는 부위, 선단, 일단, 하단, 단부, 헤드; j22) 상기 선단 내지 헤드; 부위 내지 헤드 중 하나에서 일지점까지; 중 하나이고,
    상기 k는 상기 기초에 포함되는 얕은기초 하단 면적의 10∼150%, 상기 기초에 포함되는 깊은기초 하단 면적의 80∼200% 중 하나의 상단 면적을 가진 상기 단관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고,
    상기 기초, 기초 내지 RCD기초 중 하나의 조성에는 자화, 진동, 자화진동 중 하나로 처리된 a) 몰탈, 재료, 레미콘, 콘크리트, 슬러리, 벤토나이트슬러리, 주입재, 믹싱재, 다짐재, 그라우팅재, 지중주입재, 지중믹싱재, 지중다짐재, 지중그라우팅재; b) 또는 빔, 봉, H빔, I빔, 철근, 철봉, 철망, 철골, 강관, 강봉, 철근망, 보강재 중 하나가 투입된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중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처리에 의하여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중 하나의 유동성, 배합성, 압송성, 이송성, 분사성, 침투성, 주입성, 작업성, 워커빌리티, 부착성, 침투성, 강도, 강성, 내구성 중 하나 이상이 향상되고.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중 하나는 상기 기초, 기초 내지 RCD기초 중 하나의 재료로 사용되고,
    상기 슬러리, 벤토나이트슬러리 중 하나는 상기 기초, 기초 내지 RCD기초 중 하나의 설치를 위한 보링, 천공, 굴착 중 하나 시에 보링부, 천공부, 굴착부 중 하나 내부의 주입에 사용되고,
    상기 주입재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중 하나는 상기 기초, 기초 내지 RCD기초 중 하나의 설치를 위한 지중주입, 지중믹싱, 지중다짐, 그라우팅 중 하나에 사용되고.
    상기 자화는 진동기에 의한 자화, 가진기에 의한 자화, 자화진동기에 의한 자화, 자화가진기에 의한 자화, 자화진동기에 의한 자화, 자화가진기에 의한 자화 중 하나이고,
    상기 진동은 자기장기에 의한 진동, 진동자화기에 의한 진동, 가진자화기에 의한 진동, 자기장진동기에 의한 진동, 자기장가진기에 의한 진동 중 하나이고,
    상기 자화진동은 자화진동, 자화 후 진동, 자기장 후 가진, 진동기에 의한 자화진동, 가진기에 의한 자화진동, 자기장기에 의한 자화진동, 진동자화기에 의한 자화진동, 가진자화기에 의한 자화진동, 자기장진동기에 의한 자화진동, 자기장가진기에 의한 자화진동, 상기 자화와 진동에 의하여 자화진동 중 하나이고,
    상기 몰탈 내지 지중그라우팅재 중 하나는 진동기, 자화기, 자화진동기, 자화가진기, 진동자화기, 가진자화기, 복합진동기, 진동자화복합기, 자화진동복합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저장고, 호퍼, 배합기, 펌프, 공급라인, 배출기, 분사기, 주입기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에 의하여 제공되고,
    상기 자화기는 진동기에 의한 자화, 가진기에 의한 자화, 자화진동기에 의한 자화, 자화가진기에 의한 자화, 자화진동기에 의한 자화, 자화가진기에 의한 자화 중 하나를 하는 장치이고,
    상기 진동기는 a) 진동, 진동기 중 하나에 더하여 자화, 자화기 중 하나 이상이 발생 또는 구비되는 것, b) 또는 자기장기에 의한 진동, 진동자화기에 의한 진동, 가진자화기에 의한 진동, 자기장진동기에 의한 진동, 자기장가진기에 의한 진동 중 하나를 하는 장치이고,
    상기 자화진동기는 자화진동, 자화 후 진동, 자기장 후 가진, 진동기에 의한 자화진동, 가진기에 의한 자화진동, 자기장기에 의한 자화진동, 진동자화기에 의한 자화진동, 가진자화기에 의한 자화진동, 자기장진동기에 의한 자화진동, 자기장가진기에 의한 자화진동, 상기 자화와 진동에 의하여 자화진동 중 하나를 하는 장치이고,
    상기 복합진동기는 진동, 진동기 중 하나에 더하여 자화, 자화기 중 하나가 조사(照射) 또는 구비되는 장치이고,
    상기 진동자화복합기는 10∼150dB 진동에 더하여 1,000∼20,000gauss 자기장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장치이고,
    상기 자화진동복합기는 진동에 자기장을 발생하는 장치이고,
    상기 자화진동복합기에서 진동은 모터의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가 삽입된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이고,
    상기 모터는 a)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b) 상기 전원을 DC로 변환시키는 컨버터, c) 상기 DC를 AC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d)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를 스위칭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흐름방향을 조정하는 스위칭부, e) 상기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AC, DC 중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f) 상기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중 하나의 통전패턴을 제어하는,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크기, 지속, 통전, 차단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이고,
    상기 진동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복합기 중 하나에는 a) 상기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제어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b)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가 삽입된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10∼150dB 진동의 전, 중, 후 중 하나 이상에
    자기장, 자기투자율(μ)×자계강도(H)의 자속밀도(B)를 가지는 자기장, 자속밀도(B)가 1,000∼20,000 가우스 또는 0.1∼2 테슬라인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는 진동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복합기 중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자화기, 진동자화기, 진동자화복합기 중 하나에는 a) 상기 자기장의 전, 중, 후; b) 상기 자기장 발생 위치의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진동 또는 10∼150dB 진동을 발생하는 자화기, 진동자화기, 진동자화복합기 중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KR2020200001497U 2020-05-04 2020-05-04 내진형, 개량형, 보강형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핀기초, 믹싱기초, 깊은기초, 얕은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및 이의 지지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 KR202000018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97U KR20200001852U (ko) 2020-05-04 2020-05-04 내진형, 개량형, 보강형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핀기초, 믹싱기초, 깊은기초, 얕은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및 이의 지지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97U KR20200001852U (ko) 2020-05-04 2020-05-04 내진형, 개량형, 보강형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핀기초, 믹싱기초, 깊은기초, 얕은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및 이의 지지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570 Division 2019-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52U true KR20200001852U (ko) 2020-08-20

Family

ID=7223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497U KR20200001852U (ko) 2020-05-04 2020-05-04 내진형, 개량형, 보강형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핀기초, 믹싱기초, 깊은기초, 얕은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및 이의 지지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85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8731A (zh) * 2020-11-18 2021-02-26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污泥处理一体机设备基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8731A (zh) * 2020-11-18 2021-02-26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污泥处理一体机设备基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2067B1 (ko) 토질처리 및 복수장비의 연속설치방법과 그 장치
JP5932124B1 (ja) 鋼管杭の施工方法
JP2010031647A (ja) 杭の中掘工法、基礎杭構造
KR100762991B1 (ko) 고강도 몰탈을 충진하는 기성말뚝 매입공법
CN102444142A (zh) 一种群桩改柱扩建地下室及其施工工法
KR20200001850U (ko) 개량형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핀기초, 지중기초, 깊은기초, 얕은기초, 내진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KR20220156510A (ko) 파일, 피어, 기초, 케이슨, 믹싱기초, 현타기초, 확장기초, 스크류기초, phc파일, 마이크로파일, 그라우팅기초 및 이의 조성 장비, 드론
KR20200001852U (ko) 내진형, 개량형, 보강형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핀기초, 믹싱기초, 깊은기초, 얕은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및 이의 지지 건물, 시설, 교량, 구조물
KR20200001851U (ko) 개량형, 내진형, 보강형의 기초, 파일, 피어, 후팅, 케이슨, 핀기초, 지중기초, 깊은기초, 얕은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마이크로파일
EP1600560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a pile
JP2003119775A (ja) 基礎杭構造
US10648146B1 (en) Precast concrete screw cylinder system and method for soil stabilization and erosion control
JP4029191B2 (ja) 沈下抑制構造体、沈下抑制構造体の施工方法
JP4074198B2 (ja) 既設杭の撤去方法
RU72986U1 (ru) Свая
KR20180114620A (ko) 주입공법, 그라우팅, 보강재 이용 현장타설기초, 현장타설파일, rgf, rgp 및 이의 공사
CN208472721U (zh) 一种在松散体地层中采用手风钻施工的锚杆
JPH0470422A (ja) オープンケーソン工法
JP2530980B2 (ja) 骨材による基礎地盤改良方法
CN1111702A (zh) 建造方法及其实施
US20220282443A1 (en) Method for forming a pile wall in ground and a corresponding pile wall
CN220620078U (zh) 一种多支盘复合桩
CN216948247U (zh) 一种带异形螺旋锚的钢管土钉
AU723991B2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in-ground columns
JP2006037413A (ja) 線路下の地盤改良方法および地盤改良用ロ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