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796A -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796A
KR20200001796A KR1020180074764A KR20180074764A KR20200001796A KR 20200001796 A KR20200001796 A KR 20200001796A KR 1020180074764 A KR1020180074764 A KR 1020180074764A KR 20180074764 A KR20180074764 A KR 20180074764A KR 20200001796 A KR20200001796 A KR 20200001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ylinder
rod
wheel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015B1 (ko
Inventor
하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Priority to KR1020180074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0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0Links, e.g. track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프레임의 전,후방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어 조향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되고 그 일측에는 휠이 각각 결합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전,후방의 양 회전축을 연결하여 양 회전축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로드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 실린더의 로드와 양 회전축을 연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양 회전축의 조향 각도를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되게 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Steering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업용 작업차량이 최소 반경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한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작(耕作)에 주로 이용되는 농용 작업차량은 자주식 작업차량이나 후방에 견인식 작업차량를 장착하여 각각의 작업을 수행하는 트랙터 등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농용 작업차량 중 트랙터는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주행에 필요한 바퀴를 구동시키는 주행계 동력과, 농용 작업차량에 장착되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PTO(Power take off)계 동력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농용 작업차량은 전륜이 운전자가 조향 핸들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향장치에 의하여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전륜 차축이 전륜과 직접 결합되는 방식으로는 조향 핸들을 최대한으로 회전시킬 때 전륜의 선회 각도가 60도 이상 선회하지 못하여 조향 핸들을 최대한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농용 작업차량의 최소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되므로, 농용 작업차량의 방향 전환시 전,후진을 자주 반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이 농용 작업차량은 작업 환경 또는 작업 내용에 따라 차량을 주행 또는 선회하여야 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차량의 최소 회전 반경이 길어 협소한 장소나 제자리에서 선회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원활한 작업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로써, 농용 작업차량을 작업도중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시킴에 있어서는 선회 반경이 작은 선회일수록 미작업 영역이 줄어들어 작업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선회시 선회 각도를 크게 형성하여 선회 반경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작은 선회 반경으로 차체를 선회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국내 공개특허 제10-2003-0096598호(명칭 : 트랙터용 전륜증속 절환용 클러치, 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서 배속턴 기술이 제안된 바 있고,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108828호(명칭 : 트랙터용 자동 편브레이크 장치, 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서 편브레이크 기술이 제안된 바 있습니다.
선행기술문헌1에서 제안된 배속턴 기술은 전륜의 회전속도를 후륜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작은 반경의 선회를 도모하도록 한 기술이며, 선행기술문헌2에서 제안된 편브레이크 기술은 기체 선회 시 선회 방향 쪽에 위치한 차륜을 제동하여 선회반경을 작게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선행기술문헌1의 배속턴 기능은 핸들 조향 시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에 기반한 유압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절환되는 전륜증속절환 클러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선행기술문헌2의 편브레이크 기능은 와이어 케이블 또는 링크기구 등을 이용하는 기계적 구성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 자동식으로 좌우 차륜을 독립적인 제동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1의 배속턴 기능 또는 선행기술문헌2의 편브레이크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차체 선회 시 선회 반경(turning radius)을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비닐하우스 등과 같이 최소한의 선회 반경마저 확보가 어려운 좁은 공간에서는 차체 선회의 구현 자체가 어렵고, 선회 작업 시 선회 중심과 차체 사이에 작업기가 미처 미치지 못하는 많은 미작업 영역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03-0096598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108828호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좌회전 또는 후회전시 회전방향의 내측에 위치한 바퀴와 외측에 위치한 바퀴의 조향각도를 달리하여 농업용 작업차량이 제자리에서 최소의 선회 반경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한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는, 차체프레임의 전,후방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어 조향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되고 그 일측에는 휠이 각각 결합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전,후방의 양 회전축을 연결하여 양 회전축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로드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 실린더의 로드와 양 회전축을 연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양 회전축의 조향 각도를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되게 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링크부재는, 회전축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회전축과 같이 회전되는 제 1 연결링크와, 제 1 연결링크와 실린더의 로드를 연결하여 양 회전축을 서로 다른 크기의 조향 각도로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링크는 실린더의 로드와 제 1 연결링크 사이에서 차체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호형 링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호형 링크와 로드의 연결부 중심은 회전축의 중심보다 차체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방의 회전축과 후방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전방 실린더의 로드 이동량과 후방 실린더의 로드 이동량이 일치되게 하는 연결축이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연결축은 그 양단부가 각각 전,후방의 회전축에 제 2 연결링크로 연결되어 구비되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쪽의 회전축에는 회전축과 같이 회전되는 구동기어가 구비되고, 차체프레임에는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연동 회전되는 종동기어가 구비되며, 종동기어에는 연결축의 일단부가 제 2 연결링크로서 연결되게 구비되어, 전,후방 실린더에서 각각 이동되는 로드의 이동량을 일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에 따르면, 농업용 작업차량의 좌회전 또는 후회전시 회전방향의 내측에 위치한 전륜의 내측 바퀴는 큰 조향 각도로 회전되고, 외측에 위치한 전륜의 외측 바퀴는 내측 바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조향 각도로 회전되게 구비되어, 농업용 작업차량이 최소의 선회 반경으로 최대한 제자리에서 선회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전륜과 연동하여 후륜의 내측 바퀴와 외측 바퀴는 각각 전륜의 내측 바퀴와 외측 바퀴와 동일한 각도로서 반대 방향으로 조향되게 구비되어, 후륜 역시도 전륜을 따라 최소의 선회 반경으로 선회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용 작업차량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용 작업차량의 저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용 작업차량의 차체프레임 및 조향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용 작업차량의 차체프레임 및 조향장치를 도시한 저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용 작업차량의 직진 주행시를 도시한 조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용 작업차량의 회전시를 도시한 조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적용된 농용 작업차량의 회전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용 작업차량 및 이의 조향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용 작업차량(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뼈대를 이루는 차체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차량을 조종하기 위한 운전석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성된다.
게다가, 차체프레임(11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각각 작업기(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링크가 구비되고, 선,후단부의 장착링크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작업기가 구비되어, 농용 작업차량의 1회 주행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체프레임(110) 하부의 구동수단은 차체프레임(110)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각 양측부에 구비된 전륜 휠(180)과 후륜 휠(190)에 의해 구성되고, 전륜 휠(180)은 차체프레임(110) 상부의 운전석에 구비된 조향 핸들에 의해 좌회전 또는 우회전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선회 작동을 하는 전륜 휠(180)과 더불어 후륜 휠(190)은 본 발명에 의한 조향장치에 의해 전륜 휠(180)과 반대 방향의 조향되어 전륜 휠(180)과 동일한 원주를 그리며 선회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프레임(110)의 전,후방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어 조향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되고 그 외측에는 각각의 전륜 휠(180)과 후륜 휠(190)이 결합되어 구비되는 회전축(160)과, 전,후방의 양 회전축(160)을 각각 연결하여 양 회전축(160)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로드(141)(151)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140)(150)와, 실린더(140)(150)의 로드(141)(151)와 양 회전축(160)을 연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양 회전축(160)의 조향 각도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특히, 차체프레임(110)은 사각의 프레임으로서, 그 전방 하부에는 전방프레임(120)이 구비되고, 후방 하부에는 후방프레임(130)이 구비되며, 전,후방프레임(120)(130)에는 각각 전,후방 실린더(140)(150)가 내장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축(160)은 전방프레임(120)의 양측 단부와, 후방프레임(130)의 양측 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관통 결합되어 구비되고, 회전축(160)의 외측면에는 각각 전륜 휠(180)과 후륜 휠(19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물론, 전륜 휠(180)과 후륜 휠(190)에는 타이어가 장착되어 각각 전륜과 후륜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방의 양 회전축(160)과 후방의 양 회전축(160)은 각각의 실린더(140)(150)에 의해 연결되게 구비되고, 전,후방 실린더(140)(150)는 조향 핸들의 조작시 이와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작동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실린더(140)(150)는 통상의 파워스티어링에 적용되는 파워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고, 실린더(140)(150)의 양측 단부로는 로드(141)(151)가 돌출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로드(141)(151)는 일체형 또는 양측으로 분리된 분리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어떤 타입이든 간에 실린더(140)(150)의 양측 단부로 돌출된 로드(141)(151)는 동일한 방향으로 같이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전,후방의 실린더(140)(150)는 조향 핸들에 의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되고, 이러한 실린더(140)(150)의 작동에 의해 전방의 양 회전축(160)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후방의 양 회전축(160) 역시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전,후방 회전축(160)의 회전작동을 위해, 실린더(140)(150)의 로드(141)(151)와 양 회전축(160) 사이에는 링크부재가 구비되고, 링크부재는 양 회전축(160)을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크기의 조향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링크부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회전축(160)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회전축(160)과 같이 회전되는 제 1 연결링크(161)와, 제 1 연결링크(161)의 타단부와 실린더(140)(150)의 로드(141)(151)를 연결하여 양 회전축(160)을 서로 다른 조향 각도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링크를 포함하되, 이 링크는 제 1 연결링크(161)의 타단부와 실린더(140)(150)의 로드(141)(151) 사이에서 차체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호형 링크(162)로 형성된다.
제 1 연결링크(161)는 그 일단부가 각 회전축(160)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타단부는 차체프레임(1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호형 링크(162)의 일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제 1 연결링크(161)는 실린더(140)(150)의 로드(141)(151)와 같이 밀리거나 당겨져 이동되는 호형 링크(162)에 의해 회전축(160)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호형 링크(162)는 원을 1/4로 나눈 일사분면의 원주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린더(140)(150)의 로드(141)(151)와 제 1 연결링크(161)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되, 호형 링크(162)의 원주가 차체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호형 링크(162)를 차체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함으로써, 호형 링크(162)의 회전시 전방프레임(120) 및 후방프레임(130)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양 회전축(160)에 각각 구비되는 양 휠(180)(190) 간의 조향 각도를 다른 크기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회전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한 내측 휠은 큰 각도로 조향되게 하고, 외측에 위치한 외측 휠은 내측 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조향되게 하여, 최소의 선회 반경으로 선회되도록 한 것이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호형 링크(162)의 형상과 더불어, 호형 링크(162)와 실린더 로드(141)(151)의 연결부 중심이 회전축(160)의 중심보다 차체프레임(110)의 외측 방향으로 더 위치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호형 링크(162)과 로드(141)(151)의 연결부 중심을 회전축(160)의 중심보다 차체프레임(110)의 외측으로 위치되게 구비함으로써 호형 링크(162)의 형상과 더불어 회전시 제 1 연결링크(161)를 최대한 회전시킬 수 있어, 내측 휠의 선회 각도(조향 각도)를 최대한 큰 각도로 확보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내측 휠의 선회 각도가 큰 각도로 형성되면 농용 작업차량(100)의 선회 반경이 최소화되어 제자리 선회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조향장치에 의해 전륜 휠(180)과 후륜 휠(190)은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지만, 조향 각도는 동일한 크기의 엇각으로 구비된다.
즉, 농용 작업차량(100)이 도 6과 같이 좌회전될 시, 전륜의 내측 전륜 휠(180)은 좌측으로 75도 각도로 회전되고 외측 전륜 휠(180)은 좌측으로 30도 각도로 회전된다고 가정하면, 후륜의 내측 후륜 휠(190)은 우측으로 75도 각도로 회전되고 외측 후륜 휠(190)은 우측으로 30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가 되며, 이의 작동관계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호형 링크(162)의 형상과, 호형 링크(162)와 로드(141)(151)의 연결부 중심이 회전축(160)의 중심보다 차체프레임(110)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전륜 휠(180)과 후륜 휠(190)을 각각 회전시키는 전방 실린더(140)와 후방 실린더(150)는 각 로드(141)(151)의 이동량이 동일해야 하나, 유압의 특성상 전,후방 로드(141)(151)의 이동량에 차이가 생길 수 있고, 이런 오차로 인해 농용 작업차량(100)의 회전 반경은 커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조향장치에서는 전방의 회전축(160)과 후방의 회전축(160)을 연결축(174)으로 연결하여, 전방 실린더(140)의 로드(141) 이동량과 후방 실린더(150)의 로드(151) 이동량을 동일하게 제어함으로써, 전륜 휠(180)의 선회 각도와 후륜 휠(190)의 선회 각도를 일치되게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축(174)은 그 양단부가 각각 전,후방의 양 회전축(160) 중 일측편의 회전축(160)에 제 2 연결링크(172)(173)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된다.
특히, 전방 회전축(160) 또는 후방 회전축(160) 중 어느 한쪽의 회전축을 기계적으로 구속함으로써, 각 실린더(140)(150)에서 이동되는 로드(141)(151)의 이동량을 보정하여 전,후 로드(141)(151)의 이동량을 일치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쪽의 회전축(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회전축으로, 이하에서는 "전방 회전축(160)"이라 한다)에는 회전축(160)과 같이 회전되는 구동기어(170)가 구비되고, 차체프레임(110)에는 구동기어(170)와 치합되어 연동 회전되는 종동기어(171)가 구비되며, 종동기어(171)에는 연결축(174)의 일단부가 제 2 연결링크(172)로서 연결되게 구비되고, 연결축(174)의 타단부는 나머지 한쪽의 회전축(본 실시예에서는 후방 회전축으로, 이하에서는 "후방 회전축(160)"이라 한다)에 다른 제 2 연결링크(173)로 연결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전방 실린더(140)의 작동에 의해 호형 링크(162)와 제 1 연결링크(161)에 의한 전방 회전축(160)이 회전되면, 이의 회전력이 구동기어(170)와 종동기어(171)를 통해 연결축(174)으로 정확히 전달되어 연결축(174)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연결축(174)의 작동에 의해 후방 회전축(160)이 전방 회전축(160)과 동일한 크기의 선회 각도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후방 실린더(150)의 로드(151) 이동량을 전방 실린더(140)의 로드(141) 이동량과 정확히 일치되도록 보정함으로써, 농용 작업차량(100)은 도 7에서와 같이 내측의 전,후륜 휠(180)(190)과 외측의 전,후륜 휠(180)(190)이 각각 최소의 선회 반경을 그리며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농용 작업차량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농용 작업차량(100)은 도 5에서와 같이, 양 전륜 휠(180)과 양 후륜 휠(190)이 평행하게 구비되어 직진 주행하게 된다.
이후, 도 6에서와 같은 좌회전 시는 운전석의 조향 핸들을 좌측으로 회전시킨 상태이고, 조향 핸들과 연동하여 전,후방 실린더(140)(150)에서 로드(141)(151)가 좌측 방향으로 더 인출되게 이동된다.
그러면, 전방 실린더(140)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는 로드(141)에 의해 좌측의 호형 링크(162)가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되어 좌측의 제 1 연결링크(161)를 통해 좌측 회전축(160)을 회전시켜 좌측 전륜 휠(180)(내측 전륜 휠)을 좌측 방향으로 75도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고, 우측의 호형 링크(162) 역시도 로드(141)에 의해 실런더(140) 측으로 이동되면서 우측의 제 1 연결링크(161)를 통해 우측 회전축(160)을 회전시켜 우측 전륜 휠(180)(외측 전륜 휠)을 죄측 방향으로 30도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양 전륜 휠(180) 간의 선회 각도 차이는 전방 회전축(160)과 전방 로드(141)를 연결하는 호형 링크(162)와 제 1 연결링크(161)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방 회전축(160)의 회전과 더불어 후방 회전축(160) 역시도 후방 실린더(150)에 의해 회전되는데, 이때 후방 회전축(160)은 전방 회전축(160)과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크기의 선회 각도로 회전된다. 이때, 전방 회전축(16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후방 회전축(160)은 후방 실린더(150)의 로드(151)와 후방 호형 링크(162) 간의 연결부가 후방 회전축(160)보다 차체프레임(110)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 후륜 휠(190) 중 좌측 후륜 휠(190)은 우측 방향으로 75도 각도로 회전되고, 우측 후륜 휠(190)은 우측 방향으로 30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전륜 휠(180)과 후륜 휠(190)의 선회 각도는 도 6에서 차체프레임(110)의 X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고, 이는 전륜 휠(180)과 후륜 휠(190)을 연결하는 연결축(174)에 의해 전륜 휠(180)과 후륜 휠(190)의 선회 각도가 일치되므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전방 실린더(140)에 의해 전방의 호형 링크(162)와 제 1 연결링크(161)를 통해 전방 회전축(160)이 좌회전되면, 전방 회전축(160)과 같이 구동기어(17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치합된 종동기어(17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종동기어(171)와 같이 회전되는 제 2 연결링크(172)에 의해 연결축(174)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축(174)의 이동에 의해 연결축(174)과 후방 회전축(160)을 연결하는 또 다른 제 2 연결링크(173)에 의해 후방 회전축(16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후방 회전축(160)에 구비된 제 1 연결링크(161)가 후방 회전축(160)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방의 호형 링크(162)를 좌측으로 당겨 회전시키게 되므로 양 후륜 휠(190)은 우측 방향으로 각각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연결축(174)과 구동기어(170) 및 종동기어(171)에 의해 전방 실린더(140)의 로드(141)와 후방 실린더(150)의 로드(151)가 동일한 이동량으로 구비되므로 전륜 휠(180)과 후륜 휠(190)은 방향을 달리한 채로 동일한 크기의 선회 각도로 일치되게 구비된다.
이로써, 농용 작업차량(100)의 선회시는 도 7에서와 같이, 좌측의 전륜 휠(180)과 후륜 휠(190)은 동일한 원주를 그리며 선회하게 되고, 우측의 전륜 휠(180)과 후륜 휠(190)은 좌측 휠이 그리는 원주보다는 큰 동일한 원주를 그리며 선회하게 되며, 좌측 휠(내측 휠)의 선회 각도가 크면 클수록 선회 반경은 최소화되어 제자리 선회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농용 작업차량 110 : 차체프레임
120 : 전방프레임 130 : 후방프레임
140,150 : 실린더 141,151 : 로드
160 : 회전축 161 : 제 1 연결링크
162 : 호형 링크 170 : 구동기어
171 : 종동기어 172,173 : 제 2 연결링크
174 : 연결축 180 : 전륜 휠
190 : 후륜 휠

Claims (6)

  1. 차체프레임의 전,후방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어 조향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되고 그 일측에는 휠이 각각 결합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전,후방의 양 회전축을 연결하여 양 회전축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로드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
    실린더의 로드와 양 회전축을 연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양 회전축의 조향 각도를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되게 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링크부재는, 회전축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회전축과 같이 회전되는 제 1 연결링크와, 제 1 연결링크와 실린더의 로드를 연결하여 양 회전축을 서로 다른 크기의 조향 각도로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링크를 포함하는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링크는 실린더의 로드와 제 1 연결링크 사이에서 차체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호형 링크로 형성되는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호형 링크와 로드의 연결부 중심은 회전축의 중심보다 차체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되게 구비되는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방의 회전축과 후방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전방 실린더의 로드 이동량과 후방 실린더의 로드 이동량이 일치되게 하는 연결축이 구비되는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연결축은 그 양단부가 각각 전,후방의 회전축에 제 2 연결링크로 연결되어 구비되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쪽의 회전축에는 회전축과 같이 회전되는 구동기어가 구비되고, 차체프레임에는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연동 회전되는 종동기어가 구비되며, 종동기어에는 연결축의 일단부가 제 2 연결링크로서 연결되게 구비되어, 전,후방 실린더에서 각각 이동되는 로드의 이동량을 일치시키는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KR1020180074764A 2018-06-28 2018-06-28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KR102116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64A KR102116015B1 (ko) 2018-06-28 2018-06-28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64A KR102116015B1 (ko) 2018-06-28 2018-06-28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96A true KR20200001796A (ko) 2020-01-07
KR102116015B1 KR102116015B1 (ko) 2020-05-28

Family

ID=6915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764A KR102116015B1 (ko) 2018-06-28 2018-06-28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0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355B1 (ko) 2020-01-21 2020-07-06 주금순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
WO2021102010A1 (en) * 2019-11-19 2021-05-27 Licau Kenneth L Modular tent system with removable roof and flo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6194B2 (ja) * 1990-03-08 1999-07-05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の操向機構
KR20030096598A (ko) 2002-06-17 2003-12-31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용 전륜증속 절환용 클러치
KR101029244B1 (ko) * 2010-10-11 2011-04-19 대호 (주) 트랙터의 조향 장치
KR200453381Y1 (ko) * 2009-10-23 2011-04-29 근우테크 주식회사 동력원 및 제동장치가 직설된 차동기어유니트를 이용한 4륜구동 운반차
KR20110051953A (ko) * 2009-11-11 2011-05-18 주식회사 효천 다목적 로우더
KR20110108828A (ko) 2010-03-30 2011-10-06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트랙터용 자동 편브레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6194B2 (ja) * 1990-03-08 1999-07-05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の操向機構
KR20030096598A (ko) 2002-06-17 2003-12-31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용 전륜증속 절환용 클러치
KR200453381Y1 (ko) * 2009-10-23 2011-04-29 근우테크 주식회사 동력원 및 제동장치가 직설된 차동기어유니트를 이용한 4륜구동 운반차
KR20110051953A (ko) * 2009-11-11 2011-05-18 주식회사 효천 다목적 로우더
KR20110108828A (ko) 2010-03-30 2011-10-06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트랙터용 자동 편브레이크 장치
KR101029244B1 (ko) * 2010-10-11 2011-04-19 대호 (주) 트랙터의 조향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2010A1 (en) * 2019-11-19 2021-05-27 Licau Kenneth L Modular tent system with removable roof and floor
KR102130355B1 (ko) 2020-01-21 2020-07-06 주금순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015B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8927B1 (en) Steering device and vehicle with same
KR101029244B1 (ko) 트랙터의 조향 장치
EP3072781B1 (en) Vehicle
KR20200001796A (ko)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JP6193787B2 (ja) 作業機
JP5593449B2 (ja) トラクター
JP4375696B2 (ja) 電動車両
JP2020043837A (ja) 作業車輌
KR101195206B1 (ko) 트랙터
JP4053707B2 (ja) 移動農機
JP7031652B2 (ja) 作業車両
JPH081921Y2 (ja) トラクタにおけるトレッドの調節装置
JP4520884B2 (ja) 草刈り機
JP6766729B2 (ja) 作業車両
JPH044268Y2 (ko)
JPH0640541Y2 (ja) 移動農機の前輪舵取り装置
JP3842454B2 (ja) 移動農機
JPH03217377A (ja) 動力車両に於ける四輪操舵装置
JP2001086803A (ja) 作業車の操向装置
JP2599225Y2 (ja) 増速切換機構を具備する前輪舵取り車両
JP4746198B2 (ja) クローラトラクタの操作リンク中立戻し機構
JPH10203U (ja) 増速切換機構を具備する前輪舵取り車両
JPH0826131A (ja) 乗用管理機
JP2000016006A (ja) トラクタのトレッド変更装置
JPH02106479A (ja) 移動農機の走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