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784U - 모판 - Google Patents

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784U
KR20200001784U KR2020190000469U KR20190000469U KR20200001784U KR 20200001784 U KR20200001784 U KR 20200001784U KR 2020190000469 U KR2020190000469 U KR 2020190000469U KR 20190000469 U KR20190000469 U KR 20190000469U KR 20200001784 U KR20200001784 U KR 202000017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vertical direction
length
sidewall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일
Original Assignee
이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일 filed Critical 이병일
Priority to KR2020190000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784U/ko
Publication of KR20200001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A01G22/22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모판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부; 바닥판부의 상부에 바닥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측벽; 및 상부 측벽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부 측벽의 상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벽 연장판을 포함하고, 바닥판부는 각각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분리홈부가 배열되어 형성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측벽과, 바닥판의 상부에 분리홈부와 분리홈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분리홈부와 분리홈부를 분리시키는 다수개의 다각형 부재와, 바닥판의 상부에 다수개의 다각형 부재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분리홈부와 분리홈부를 분리시키는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판{Seedbed}
본 고안은 모판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에 배열되어 형성되며 육성된 모들을 포기 별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리홈부를 각각 원뿔형상으로 형성하여 각각에 채워지는 흙이 적절하게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흙의 하중으로 인해 바닥판 중심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판에 관한 것이다.
모판은 볍씨를 파종 육성하여 모를 알맞은 크기로 성장시킨 후 이앙기 등을 이용하여 논바닥에 이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모판은 이앙기에 적용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되며, 평평한 바닥판과 바닥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직교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연장된 측판으로 이루어진다. 모판의 바닥판은 모의 뿌리가 못자리로 일정하게 내리고 수분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일정한 배열로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51038호(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볍씨 파종용 모판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의 장방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평평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직교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연장된 측판으로 이루어지며, 바닥판에는 모의 뿌리가 일정하게 내리고 수분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일정한 배열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모판은 용융된 폐합성수지 65~75 중량%와 분쇄된 왕겨 25~35 중량%가 혼합되어 성형되는 것으로, 바닥판에는 모판으로부터 모판에 육성된 모가 잘 분리되며, 모의 포기를 나눠 논에 이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일정한 배열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모판의 저면부에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강부가 일정한 배열로 형성된다.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모판은 바닥판이 평평하게 형성됨에 따라 흙이 지나치게 많이 채워져 흙의 하중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바닥판 중심부가 하방으로 처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51038호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판에 배열되어 형성되며 육성된 모들을 포기 별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리홈부를 각각 원뿔형상으로 형성하여 각각에 채워지는 흙이 적절하게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흙의 하중으로 인해 바닥판 중심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리홈부와 분리홈부 사이나 분리홈부의 중심에서 이격되도록 보강블럭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모판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볍씨의 발아 시 수직방향으로 분리홈부와 분리홈부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공간부족으로 인해 볍씨의 발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모판은 바닥판부; 상기 바닥판부의 상부에 바닥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측벽; 및 상기 상부 측벽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부 측벽의 상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벽 연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부는 각각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분리홈부가 배열되어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측벽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분리홈부와 분리홈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분리홈부와 분리홈부를 분리시키는 다수개의 다각형 부재와,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상기 다수개의 다각형 부재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분리홈부와 분리홈부를 분리시키는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모판은 바닥판에 배열되어 형성되며 육성된 모들을 포기별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리홈부를 각각 원뿔형상으로 형성하여 각각에 채워지는 흙이 적절하게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흙의 하중으로 인해 바닥판 중심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분리홈부와 분리홈부 사이나 분리홈부의 중심에서 이격되도록 보강블럭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모판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볍씨의 발아 시 수직방향으로 분리홈부와 분리홈부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공간부족으로 인해 볍씨의 발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판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판의 길이방향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판의 폭방향의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모판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고안이 모판은 바닥판부(110), 상부 측벽(120) 및 측벽 연장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판부(110)는 본 고안의 모판의 하중을 전반적으로 지지하며, 상부 측벽(120)은 바닥판부(110)의 상부에 바닥판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Z)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측벽 연장판(130)은 상부 측벽(120)과 수평방향(X,Y)으로 이격되도록 상부 측벽(120)의 상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모판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바닥판부(110)는 바닥판(111), 하부 측벽(112), 다수개의 다각형 부재(113), 다수개의 연결부재(114) 및 다수개의 보강블럭(115,1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판(111)은 다수개의 분리홈부(111a)가 배열되어 형성되며, 다수개의 분리홈부(111a)는 각각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바닥판(111)은 다수개의 분리홈부(111a)가 격자모양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각각 분리홈부(111a)는 수직방향(Z)으로 자른 전단면이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방향(X,Y)으로 자른 전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분리홈부(111a)는 각각 원뿔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내측에는 볍씨와 흙 등의 충진이 용이하고 볍씨와 흙 등의 충진되어 볍씨가 발아함에 따라 내측으로 뿌리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측벽(112)은 바닥판(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Z)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하부 측벽(112)은 바닥판(111)의 표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면 각각의 변에 대응되도록 바닥판(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Z)으로 돌출되도록 바닥판(11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분리홈부(111a)로 형성된 바닥판(111)을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충돌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다수개의 다각형 부재(113)는 상부 측벽(120)을 바라보도록 바닥판(111)의 상부에 분리홈부(111a)와 분리홈부(111a)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분리홈부(111a)와 분리홈부(111a)를 사이를 분리시키며, 상부의 표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다수개의 다각형 부재(113)의 실시예는 각각 도 2에서와 같이 상부의 표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분리홈부(111a)와 분리홈부(111a)를 사이를 분리시켜 모들을 이앙 작업할 때 포기별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다수개의 연결부재(114)는 상부 측벽(120)을 바라보도록 측벽 연장판(130)의 상부에 다수개의 다각형 부재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분리홈부(111a)와 분리홈부(111a)를 분리시킨다. 다수개의 연결부재(114)는 사각 기둥형으로 형성되어 분리홈부(111a)와 분리홈부(111a)를 분리시키며, 다수개의 다각형 부재(113)와 함께 분리홈부(111a)와 분리홈부(111a)를 사이를 분리시켜 모들을 이앙 작업할 때 포기별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다수개의 연결부재(114)와 다수개의 다각형 부재(113)는 각각에 하나 이상의 배수공(도시않음)이 형성된다.
다수개의 보강블럭(115,116)은 각각 바닥판(111)의 하부에 분리홈부(111a)와 분리홈부(111a) 사이나 분리홈부(111a)의 중심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다수개의 보강블럭(115,116) 중 바닥판(111)의 하부에 분리홈부(111a)와 분리홈부(111a)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블럭(115)은 바닥판(111)의 일측이나 타측을 기준으로 바닥판(111)의 일측이나 타측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며, 분리홈부(111a)의 중심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보강블럭(116)은 바닥판(111)의 일측이나 타측을 기준으로 바닥판(111)의 일측이나 타측과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다수개의 보강블럭(115,116) 중 바닥판(111)의 하부에 분리홈부(111a)와 분리홈부(111a)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블럭(115)은 도 2에서와 같이 바닥판(111)의 일측이나 타측을 기준 즉, 수평방향(X,Y)을 기준으로 바닥판(111)의 일측이나 타측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며, 분리홈부(111a)의 중심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보강블럭(116)은 바닥판(111)의 일측이나 타측을 기준으로 바닥판(111)의 일측이나 타측을 기준 즉, 수평방향(X,Y)을 기준으로 수평방향(X,Y)과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수개의 보강블럭(115,116)은 바닥판(111)의 하부에 분리홈부(111a)와 분리홈부(111a) 사이나 분리홈부(111a)의 중심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다수개의 모판을 수직방향(Z)으로 적층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볍씨의 발아 시 수직방향(Z)으로 분리홈부(111a)와 분리홈부(111a)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공간부족으로 인해 볍씨의 발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닥판부(110)는 다수개의 분리홈부(111a)의 각각 수직방향(Z)의 깊이가 하부 측벽(112)의 수직방향(Z)의 길이(L2)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다수개의 분리홈부(111a)의 각각 수직방향(Z)의 길이(L1)는 하부 측벽(112)의 수직방향(Z)의 길이(L2)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부 측벽(112)에 의해 분리홈부(111a)가 수평방향(X,Y)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바닥판(111)의 분리홈부(111a)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측벽(112)의 수직방향(Z)의 길이(L2)는 상부 측벽(120)의 수직방향(Z)의 길이(L4)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다수개의 보강블럭(115,116)의 각각 수직방향(Z)의 길이(L3)는 하부 측벽(112)의 수직방향(Z)의 길이(L2)와 같게 형성되어 본 고안의 모판을 이송하거나 수직방향(Z)으로 적층하여 배치 시 바닥판(111)을 지지하여 모판의 중심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측벽(120)은 도 1,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바닥판부(110)의 상부에 바닥판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Z)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부 측벽(120)은 바닥판부(110)의 바닥판(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Z)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바닥판(111)의 표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면 각각의 변에 대응되도록 바닥판(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Z)으로 돌출되도록 바닥판(11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분리홈부(111a)로 형성된 바닥판(111)을 감싸지도록 형성된다.
측벽 연장판(13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수평 연장부재(131), 수직 연장부재(132), 다수개의 지지 연장부재(133) 및 다수개의 스톱퍼 부재(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 연장부재(131)는 상부 측벽(120)의 상부에서 수평방향(X,Y)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수평 연장부재(131)는 상부 측벽(120)의 수직방향(Z)으로 절단한 전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면 각각의 상부에서 수평방향(X,Y)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수직 연장부재(132)는 수평 연장부재(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Z)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부 측벽(120)과 수평방향(X,Y)으로 이격되며 일측이나 타측에 오목형 홈부(132a)가 각각 형성된다. 오목형 홈부(132a)는 수직방향(Z)의 상부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고안의 모판을 수작업이나 공지된 모판 이송기계(도시 않음)를 이용해 이동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수개의 지지 연장부재(133)는 각각 수직 연장부재(132)와 상부 측벽(120)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수직 연장부재(132)와 상부 측벽(120)을 지지하며, 다수개의 스톱퍼 부재(134)는 각각 다수개의 지지 연장부재(133) 사이에 위치되도록 수직 연장부재(132)와 상부 측벽(120)에 각각 연결되게 형성되어 수직 연장부재(132)를 지지한다.
수직 연장부재(132)나 지지 연장부재(133)의 각각의 수직방향(Z)의 길이(L6,L7)는 각각 상부 측벽(120)의 상부를 기준으로 상부 측벽(120)의 수직방향(Z)의 길이(L4)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본 고안의 모판의 파지 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스톱퍼 부재(134)의 수직방향(Z)의 길이(L5)는 상부 측벽(120)의 상부를 기준으로 상부 측벽(120)의 수직방향(Z)의 길이(L4)와 같도록 형성되어 본 고안의 모판의 적층 배치 시 스톱퍼 부재(134)에 의해 수직방향(Z)으로 하부에 위치한 모판에 상부 측벽(120)과 바닥판부(110)만 삽입되어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볍씨가 발아 시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판은 바닥판에 배열되어 형성되며 육성된 모들을 포기별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리홈부를 각각 원뿔형상으로 형성하여 각각에 채워지는 흙이 적절하게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흙의 하중으로 인해 바닥판 중심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리홈부와 분리홈부 사이나 분리홈부의 중심에서 이격되도록 보강블럭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모판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볍씨의 발아 시 수직방향으로 분리홈부와 분리홈부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공간부족으로 인해 볍씨의 발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모판은 벼나 채소 등을 재배시 사용되는 농기계 제조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110: 바닥판부 111: 바닥판
111a: 분리홈부 112: 하부 측벽
113: 다각형 부재 114: 연결부재
115,116: 보강블럭 120: 상부 측벽
130: 측벽 연장판 131: 수평 연장부재
132: 수직 연장부재 133: 지지 연장부재
134: 스톱퍼 부재

Claims (4)

  1. 바닥판부;
    상기 바닥판부의 상부에 바닥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측벽; 및
    상기 상부 측벽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부 측벽의 상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벽 연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부는 각각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분리홈부가 배열되어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측벽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분리홈부와 분리홈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분리홈부와 분리홈부를 분리시키는 다수개의 다각형 부재와,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상기 다수개의 다각형 부재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분리홈부와 분리홈부를 분리시키는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모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는 상기 분리홈부의 수직방향의 길이가 하부 측벽의 수직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측벽의 수직방향의 길이는 상부 측벽의 수직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모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하부에 분리홈부와 분리홈부 사이나 분리홈부의 중심에서 이격되도록 다수개의 보강블럭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보강블럭 중 바닥판의 하부에 분리홈부와 분리홈부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블럭은 바닥판의 일측이나 타측을 기준으로 바닥판의 일측이나 타측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며, 분리홈부의 중심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보강블럭은 바닥판의 일측이나 타측을 기준으로 바닥판의 일측이나 타측과 교차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보강블럭의 수직방향의 길이는 상기 하부 측벽의 수직방향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는 모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연장판은 상부 측벽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재;
    상기 수평 연장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부 측벽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며 일측이나 타측에 오목형 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수직 연장부재;
    상기 수직 연장부재와 상부 측벽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수직 연장부재와 상부 측벽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 연장부재; 및
    상기 다수개의 지지 연장부재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 연장부재와 상부 측벽에 각각 연결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스톱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재나 상기 지지 연장부재의 각각의 수직방향의 길이는 상부 측벽의 수직방향의 길이보다 작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톱퍼 부재의 수직방향의 길이는 상부 측벽의 수직방향의 길이와 같도록 형성되는 모판.
KR2020190000469U 2019-01-30 2019-01-30 모판 KR202000017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69U KR20200001784U (ko) 2019-01-30 2019-01-30 모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69U KR20200001784U (ko) 2019-01-30 2019-01-30 모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84U true KR20200001784U (ko) 2020-08-07

Family

ID=7203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69U KR20200001784U (ko) 2019-01-30 2019-01-30 모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784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038B1 (ko) 2010-10-19 2013-04-25 유한회사 희진 볍씨 파종용 모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038B1 (ko) 2010-10-19 2013-04-25 유한회사 희진 볍씨 파종용 모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8947B2 (en) Modular planting system for roof applications
US3949523A (en) Cell structure for the raising of seedlings
US6385903B1 (en) Plug tray
KR100864274B1 (ko) 육묘상자
KR20200001784U (ko) 모판
JP4975086B2 (ja) 木製栽培容器
CN213095110U (zh) 一种遗传育种用苗木培育装置
KR101698112B1 (ko) 격자형 셀이 형성된 육묘 상자 및 블록매트형 상토를 포함하는 육묘 장치
KR200489067Y1 (ko) 새싹땅콩재배용 모판
KR20100042615A (ko) 육묘용 용기
KR100841897B1 (ko) 육묘용 상자
JP4188513B2 (ja) 育苗ポット用容器
KR20090011460U (ko) 육묘용 용기
CN107125049A (zh) 催芽炼苗框
JPH0678635A (ja) 育苗ポットシート
KR102214012B1 (ko) 무순 재배 용기
JP3328233B2 (ja) 植物栽培用トレー
KR200461604Y1 (ko) 육묘상자
JP6473861B1 (ja) プランター
CN211152888U (zh) 一种园林绿化用生态架
KR20220160410A (ko) 드문모 심기용 육묘판
KR200306727Y1 (ko) 상토 분리용 시트지를 갖는 종묘상자
JPH0627B2 (ja) 園芸用装置
JPH0739388U (ja) 植物栽培装置
US20030014916A1 (en) Propagation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