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598A -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에 대한 치료법 - Google Patents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에 대한 치료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598A
KR20200001598A KR1020197037371A KR20197037371A KR20200001598A KR 20200001598 A KR20200001598 A KR 20200001598A KR 1020197037371 A KR1020197037371 A KR 1020197037371A KR 20197037371 A KR20197037371 A KR 20197037371A KR 20200001598 A KR20200001598 A KR 2020000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psc
administration
disease
sca3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니퍼 후이-춘 호
리안 창
시우-우 라이
웨이-기 옹
Original Assignee
스테미넌트 바이오테라퓨틱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테미넌트 바이오테라퓨틱스 인크. filed Critical 스테미넌트 바이오테라퓨틱스 인크.
Priority to KR1020237007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5710A/ko
Publication of KR2020000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5Fat tissue; Adipocytes; Stromal cells; Connective tiss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85Brain, e.g. brain implants; Spin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SCA의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를 위해, 줄기 세포 치료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제조품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은 SCA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대상체에 단위 투여량으로서 유효량의 줄기 세포를 비경구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투여는 1회 이상의 치료 사이클로 수행되며, 1회 치료 사이클은 각각 2 내지 6주의 3회 단위 투여량을 투약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에 대한 치료법
본 발명은 신경퇴행성 장애에 대한 치료법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을 줄기 세포로 치료하기 위한 치료 요법(therapeutic regimen)에 관한 것이다.
운동 실조증(ataxia)은 소뇌, 뇌간, 및 척수소뇌로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으로 및 유전적으로 이질적인 신경퇴행성 질병의 군이다. 척수소뇌 운동 실조증(SCA)은 진행적, 퇴행적, 및 치명적이다. SCA는 병리학적 변화의 주요 위치(locus)가 소뇌, 뇌간 또는 척수의 핵 또는 뉴런 경로에 존재하는 뉴런 조직의 퇴행을 포함한다. SCA의 태아 상태는 광범위한 뉴런 손실뿐만 아니라, 말기 질병에서 빈약한 호흡 부전에서 비롯된다. 가장 일반적인 SCA 유전 서브타입은 폴리-글루타민(polyQ) 매개 SCA, 즉, SCA1, SCA2, SCA3, SCA6, SCA7 및 SCA17이다.
US 7,067,545호는 척수소뇌 퇴행의 질병을 갖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D-사이클로세린, D-세린 에스테르, D-세린 및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성원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척수소뇌 퇴행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US 9,125,924호는 트레할로오스를 포함하는 수성 제형을 정맥내로 투여함으로써 SCA의 징후 또는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SCA에 대한 효과적인 의학적 치료 또는 잠재적인 치유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SCA의 징후 및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치료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대상체에 단위 투여량(unit dosage)으로서 유효량의 줄기 세포를 비경구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투여는 1회 이상의 치료 사이클로 수행되며, 여기서, 1회 치료 사이클은 각각 2 내지 6주의 투약 간격(dosing interval)에서 3회의 단위 투여량을 투약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polyQ 질병은 척수소뇌 운동 실조증(SCA); 마카도-조셉병(MJD/SCA3); 헌팅턴병(HD); 치상핵적핵담창구시상하핵 위축증(DRPLA); 및 척수 및 연수 근육 위축증, X-연관 1(SMAX1/SBMA)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서, SCA는 SCA1, SCA2, SCA3, SCA6, SCA7 또는 SCA17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는 중간엽 줄기 세포 집단(MSC), 지방 조직-유래 줄기 세포(ADMSC) 집단, 안와 지방-유래 줄기 세포(OFSC) 집단 또는 쿼드-양성 기질 세포(quadri-positive stromal cell; QPSC) 집단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세포는 비경구 투여 또는 국소 치료(예를 들어, 뇌내 또는 두개내 투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위 투여량은 0.5×105 내지 5×1010개 세포/kg 체중의 범위이다.
일 구현예에서, 투여는 1회 이상의 치료 사이클로 수행되며, 여기서, 1회 치료 사이클은 각각 2 내지 6주(즉, 2주, 3주, 4주, 5주 또는 6주. 추가 구현예에서, 간격은 2주임)의 투약 간격에서 3회 단위 투여량을 투약함을 포함한다.
도 1은 SCA3 마우스의 겉모습 및 행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이종 이식 모델에서 QPSC의 면역-내성을 도시한 것이다. 3회 용량의 QPSC를 수용한 후 마우스에서 안전성 시험의 조직병리학적 소견이 도면에 나타나 있다. H&E 염색(400x)에 의해 QPSC-치료된 마우스에서 뇌(도 2a), 심장(도 2b), 신장(도 2c), 간(도 2d), 폐(도 2e), 췌장(도 2f) 또는 비장(도 2g)의 유의미한 병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도 3a 내지 도 3c는 QPSC가 SCA3 마우스의 체중 손실을 중지시킴을 도시한 것이다. 체중은 QPSC 치료 전에 주 1회 및 QPSC 치료 후 2주일에 1회 기록되었다. 동물은 제3 QPSC 주사 후 1개월에 희생되었다. 도 3a는 SCA3 마우스가 QPSC 치료 전 야생형 마우스와 비교하여 감소된 체중을 가짐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 및 도 3c는 QPSC가 SCA3 마우스에서 체중 손실을 방지함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QPSC가 SCA3 마우스의 표현형을 변경시킴을 도시한 것이다. WT 및 SCA3 형질전환 마우스(TG) 둘 모두는 3회 동안 정맥내 QPSC 투여를 수용하였다. 변형된 SHIRPA는 QPSC 치료 전 및 후에 수행되었다. 도 4a는, QPSC가 골반 상승(pelvic elevation)을 갖는 SCA3 마우스의 표현형을 변경시킴을 예시함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 및 도 4c는 QPSC가 그립 강도(grip strength)에서 SCA3 마우스의 표현형을 변경시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3회 용량의 QPSC가 유의미한 운동 기능 저하가 없는 SCA3 마우스의 운동 기능을 개선시킴을 도시한 것이다. WT 및 SCA3 형질전환 마우스(TG) 둘 모두는 3회 동안 정맥내 QPSC 투여를 수용하였다. 변형된 SHIRPA 및 로타로드 실행은 QPSC 치료 전 및 후에 수행되었다. 도 5a 및 도 5b: SCA3 마우스는 QPSC 치료 후 손상된 운동 및 음성 주지성 수행을 가짐. 도 5c: 3회 용량의 QPSC 주입 후 SCA3 마우스(Tg)의 로타로드 실행에 대한 유의미한 개선.
도 6a 내지 도 6d는, 3회 용량의 QPSC가 유의미한 운동 기능 저하를 갖는 SCA3 마우스의 운동 기능을 개선시킴을 도시한 것이다. 마우스 상의 발자국 분석은 제3 QPSC 주사 후 1개월에 수행되었다. 도 6a 내지 도 6d, 도면은, SCA 마우스가 좌측 앞발(L.F.)(도 6a), 우측 앞발(R.F.)(도 6b), 좌측 뒷발(L.H.)(도 6c) 및 우측 뒷발(R.H.)에서 감소된 발자국-걸음 거리(footprint-Stride distance)를 제시하며, 3회 용량의 QPSC가 손상된 걸음 거리를 구제함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3회 용량의 QPSC가 SCA3 마우스의 보행 균형을 개선시킴을 도시한 것이다. 마우스 상에서의 발자국 분석은 제3 QPSC 주사 후 1개월에 수행되었다. 도 7a 내지 도 7d: 도 7a 및 도 7b는 마우스의 앞발(F) 및 뒷발(H) 각각의 발자국-자세(footprint-Stance)를 도시한 것이며, 도 7c 및 도 7d는 마우스이 좌측(L) 및 우측(R) 발에서 발자국-겹침(footprint-overlap)을 도시한 것이다. 3회 용량의 QPSC는 SCA에 의해 공격받은 손상된 자세 거리를 재확보할 뿐만 아니라, 발자국 겹침을 거의 100% 겹침으로 유지시킨다.
도 8은 IV 주입을 통한 두개내 국소화의 능력을 갖는 QPSC를 도시한 것이다. QPSC는 꼬리 정맥 주사를 통해 야생형 마우스 내에 이식되었으며, 뇌 조직은 정량적 실시간 RT-PCR 분석을 위해 이식 후 7일에 제거되었다. 인간 DNA(인간 β2 마이크로글로불린에 의해 검출됨) 대 마우스 DNA(마우스 18s rRNA에 의해 검출됨)의 비율은 대략 0.8%(번호 1 마우스) 내지 2.8%(번호 4 마우스)이었다.
도 9a 및 도 9b는 SCA 마우스의 소뇌에서 퍼킨제 뉴런-유사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을 갖는 QPSC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QPSC의 3회 전신(IV) 투여 후 1개월, 이식된 세포 중 일부는 SCA 마우스의 소뇌에서 긴 축색 돌기 구조(화살표)를 갖는 퍼킨제 뉴런-유사 세포로 분화됨. 도 9b: 3회 두개내(IC) 주사를 통한 SCA 마우스의 소뇌에서 QPSC로부터의 뉴런 분화가 발견되지 않음.
도 10a 및 도 10b는, QPSC가 강력한 면역조절 및 항-ROS 용량을 지님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a: 인간 T 세포 증식은 CD3/28에 의해 시뮬레이션되며, 이러한 시뮬레이션된 증식은 모든 혼합물 비율에서 Stemchymal과 공동 배양에 의해 억제됨(***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P<0.05], n=3). 도 10b: QPSC의 항-H2O2 능력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비교적 내성적인 세포인 인간 각막 상피 세포(HCE-T)의 항-H2O2 능력에 비해 3배 우수함.
도 11a 및 도 11b는, QPSC가 SCA 마우스에서 산화적 스트레스-관련 운동 기능 저하를 억제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낮은 산화적 스트레스(낮은 ROS 수준)를 갖는 SCA 마우스는 높은 산화적 스트레스(높은 ROS 수준)를 갖는 SCA 마우스보다 더 양호한 로타로드 실행을 도시한다. 도 11b: 운동 기능 성능 저하는 SCA 마우스(Tg-Ctrl)에서 진행하며, 높은 및 낮은 산화적 부담 둘 모두를 갖는, SCA 마우스에서의 전신 QPSC 이식(Tg-QPSC-높은 ROS, Tg-QPSC-낮은 ROS)은 특히 Tg-QPSC-낮은 ROS 그룹에서 Tg-Ctrl과 비교하여 더 양호한 로타로드 실행을 유지한다(*P < 0.05). 야생형 마우스는 정상 대조군(WT-Ctrl)과 비교되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다발성 파라크린 신경 영양 인자 및 조직 성장 인자를 발현시킴을 도시한 것이다. QPSC에서 NT-3, NT-4, NGF, CNTF, BDNF 및 GDNF를 포함하는 신경 영양 인자의 유전자 발현은 내부 대조군 18srRNA 유전자(도 12a)에 대한 정량적 PCR(qPCR)에 의해 검출되었다. 조직 인자, 예를 들어, QPSC에서 EGF, FGF-β 및 VEGF(도 12b) 및 PDGF 및 TGF-β1(도 12c)은 또한, ELISA에 의해 시험되었으며, 세포내 분획과 분비 분획 사이의 그러한 인자의 상이한 농도가 입증되었다.
도 13은 QPSC 파라크린이 MPP-유도 뉴런 손실로부터 성상세포 뉴런을 구제함을 도시한 것이다. 인간 성상세포 세포주, SVG p12는 1.25 mM 1-메틸-4-페닐피리딘(MPP+)으로 처리되고, 동시에 상이한 비율의 QPSC와 공동 배양되었다. 24시간의 치료 후에, SVG p12의 세포 수는 카운팅되었다. 도 13은 SVG p12의 세포 수가 MPP 치료 후에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며, SVG p12 세포가 10배 양의 QPSC와 공동 배양될 때 이러한 현상이 역전됨을 도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QPSC가 SCA3 마우스의 소뇌에서 퍼킨제 뉴런 손실을 구제함을 도시한 것이다. 마우스 소뇌는 희생 후에 수집되었다. 수집된 조직은 추가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위해 고정되고 파라핀-임베딩되었다. 조직 섹션은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 및 면역조직화학(IHC) 염색 타겟화 퍼킨제 세포(항-칼비딘, ab11426, abcam)로 염색되었다. 도 14a. 유의미한 운동 기능 저하를 갖는 SCA3 마우스의 소뇌에서 크기가 더 작고 변형된 퍼킨제 세포는 야생형 마우스와 비교하여 관찰되었다. 도 14b 및 도 14c, 소뇌에서 퍼킨제 세포 수는 SCA3 마우스에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며, 3회 용량의 QPSC는 SCA로부터의 퍼킨제 뉴런 손실을 방지하였다.
polyQ 질병의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줄기 세포 치료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제조품이 제공된다. polyQ 질병은 개개 단백질에서 긴 polyQ 관을 인코딩하는 확장된 시토신-아데닌-구아닌(CAG) 반복에 의해 야기된 신경퇴행성 장애의 그룹이다. PolyQ 질병은 관련되지 않은 유전자의 번역된 영역에서 CAG 트리뉴클레오타이드 반복의 병리학적 확장에 의해 특징된다. 번역된 polyQ는 특정 뉴런 서브집단의 기능장애 및 퇴행을 초래하는 퇴행된 뉴런에서 군집화된다(aggregate). 본 발명은 놀랍게도, polyQ 질병에서 퇴행성 및/또는 손상된 뉴런의 기능의 복원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공하는, 줄기 세포로의 치료 요법을 발견하였다.
달리 주지하지 않는 한, 기술 용어는 일반적인 사용법에 따라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문맥이 달리 명백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단수뿐만 아니라 복수 둘 모두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및 "또는"는 접속사(conjunctive) 또는 이접적 접속사(disjunctive)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두 용어 모두는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및/또는"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 "치료하다" 또는 "치료하는"은 질병 또는 질환 또는 장애, 증상, 부작용 또는 결과, 또는 이와 관련된 표현형의 완전한 또는 부분 완화 또는 감소를 지칭한다. 요망되는 치료 효과는 질병의 발병 또는 재발의 예방, 증상의 완화, 질병의 임의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병리학적 결과의 감소, 질병 진행 속도의 감소, 및 질병 상태의 완화 경감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질병의 발달 지연"은 질병의 발달을 방해, 저해, 늦춤, 지체, 안정화, 억제, 및/또는 연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연은 질병력 및/또는 치료되는 개체에 따라, 다양한 시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의 상황에서 제제, 예를 들어, 약제학적 제형, 세포, 또는 조성물의 "유효량"은 요망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투여량/양에서 및 시간 동안 효과적인 양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제, 예를 들어, 약제학적 제형 또는 세포의 "치료학적 유효량"은 질병,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및/또는 치료의 약동학 또는 약력학적 결과를 위한 것과 같은 요망되는 치료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투여량에서 및 시간 동안 효과적인 양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제1 용량(first dose)"은 연속 또는 후속 용량의 투여 이전에 제공된 용량의 시기(timing)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용어는 반드시, 대상체가 결코 세포 치료법의 용량을 수용하기 전이 아닌 것, 또는 심지어 대상체가 동일한 세포의 용량을 수용하기 전이 아닌 것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후속 용량(subsequent dose)"은 그 사이에 대상체에 투여되는 임의의 개재 용량(intervening dose) 없이 이전, 예를 들어, 제1 용량 후 동일한 대상체에 투여되는 용량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대상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 또는 다른 동물이고, 통상적으로, 인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투여 전에 질병 또는 질환을 타겟으로 하는 치료제로 치료되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제학적 제형"은 여기에 함유된 활성 성분의 생물학적 활성이 효과적이게 하는 형태를 갖고 제형이 투여되는 대상체에 대해 허용 가능하지 않게 독성인 추가적인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제제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대상체에 대해 비독성인, 활성 성분이 아닌, 약제학적 제형의 구성성분을 지칭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완충제, 부형제, 안정화제, 또는 보존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에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대상체에 단위 투여량으로서 유효량의 줄기 세포를 비경구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러한 투여는 1회 이상의 치료 사이클로 수행되며, 1회 치료 사이클은 각각 2 내지 6주의 투약 간격으로 3회 단위 투여량을 투약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polyQ 질병은 척수소뇌 운동 실조증(SCA); 마카도-조셉병(MJD/SCA3); 헌팅턴병(HD); 치상핵적핵담창구시상하핵 위축증(DRPLA); 및 척수 및 연수 근육 위축증, X-연관 1(SMAX1/SBMA)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SCA는 폴리글루타민(polyQ)-매개 SCA이며, 바람직하게, SCA는 SCA1, SCA2, SCA3, SCA6, SCA7 또는 SCA17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SCA는 SCA3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는 중간엽 줄기 세포 집단(MSC), 지방 조직-유래 줄기 세포(ADMSC) 집단, 안와 지방-유래 줄기 세포(OFSC) 집단 또는 쿼드-양성 기질 세포(QPSC) 집단이다. 일 구현예에서, QPSC는 미국특허출원 제14/615,737호에 기술된 것이며, 이는 적어도 70% 세포 동질성을 가지고, CD45가 아닌, CD273, CD46, CD55 및 CXCR4의 세포 마커를 발현시키며, 여기서, CD273은 70% 이상의 세기로 강력하게 발현된다. 일 구현예에서, ADSC는 US 20120288480호에 기술된 그러한 OFSC이며, 이는 적어도 CD90, CD 105, CD29, CD44, CD49b, CD49e, CD58 및 HLA-ABC를 발현시키고, CD133, CD31, CD106, CD146, CD45, CD14, CD117을 발현시키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줄기 세포는 QPSC 집단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세포는 비경구 투여 또는 국소 치료(예를 들어, 뇌내 또는 두개내 투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주입은 근육내, 정맥내, 동맥내 또는 피하 투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비경구 투여는 정맥내 주사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위 투여량은 0.5×105 내지 5×1010개 세포/kg 체중의 범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위 투여량은 0.5×105 내지 5×109, 0.5×105 내지 5×108, 0.5×105 내지 5×107, 0.5×105 내지 5×106, 1.0×105 내지 5×1010, 1.0×105 내지 5×109, 1.0×105 내지 5×108, 1.0×105 내지 5×107 또는 1.0×105 내지 5×106개 세포/kg 체중 세포/kg 체중의 범위이다.
일 구현예에서, 투여는 1회 이상의 치료 사이클로 수행되며, 여기서, 1회 치료 사이클은 각각 2 내지 6주(즉, 2주, 3주 4주, 5주 또는 6주. 추가 구현예에서, 간격은 2주임)의 투약 간격으로 3회 단위 투여량을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치료 사이클의 수는 운동 실조증(SARA)의 평가용 스케일 및 등급에 따라 결정된다[Subramony SH., SARA--a new clinical scale for the assessment and rating of ataxia. Nat Clin Pract Neurol. 2007; 3(3):136-7; Kim BR, Lim JH, Lee S, Park S, Koh SE, Lee IS, Jung H, Lee J. Usefulness of the Scale for the Assessment and Rating of Ataxia (SARA) in Ataxic Stroke Patients. Ann Rehabil Med. 2011; 35: 772-780; 및 Tan S, Niu HX, Zhao L,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hinese version of the Scale for Assessment and Rating of Ataxia. Chin Med J. 2013; 126(11):2045-8]. SARA는 손상 수준에 대한 소뇌 운동 실조증(척수소뇌, 프리드라이히 및 산발 운동 실조증)의 반-정량적 평가를 기초로 한 임상 스케일이다. SARA는 8-항목 성능 기반 스케일로서, 0(운동 실조증 없음) 내지 40(가장 심각한 운동 실조증)의 전체 스코어를 산출한다. 스코어는 보행, 자세, 앉기, 언어 장애, 손가락 추적, 코-손가락 시험, 손바닥 빨리 뒤집기 및 발뒤꿈치-정강이 슬라이드의 환자 활동(patient performance)을 기초로 한 것이다. 제1 치료 사이클 후에, 제2 및 후속 치료 사이클은, 대상체가 1개월 동안 5보다 높은 전체 SARA 스코어를 유지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줄기 세포의 단위 투여량은 2 내지 6주의 간격으로 투여된다. 2 내지 6주의 간격은 줄기 세포의 단위 투여량이 2, 3, 4, 5 또는 6주에 1회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 구현예에서, 투약 간격은 2주일에 1회이다. 일 구현예에서, 2주일에 1회 투약은 줄기 세포의 단위 투여량이 2주에 1회, 즉, 14일 기간 동안 1회, 바람직하게, 2주 마다 동일한 날에 투여된다. 2주일에 1회 투약 요법에서, 단위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약 14일마다 투여된다.
줄기 세포 치료법의 문맥에서, 단위 투여량의 투여는 단일 조성물 및/또는 단일 연속 투여로서, 예를 들어, 단일 주사 또는 연속 주입으로서 제공된 양 또는 수의 세포의 투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세포는 병용 치료의 일부로서, 예를 들어, 다른 치료 개입과 동시에 또는 이와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줄기 세포는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치료제와, 또는 다른 치료 개입과 관련하여, 동시에 또는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동시-투여된다. 일부 문맥에서, 추가적인 치료제는 다른 치료법은 추가적인 치료제 또는 다른 치료법이 세포 집단의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충분히 가까운 시간에 세포와 동시-투여되거나, 그 반대로도 동시-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줄기 세포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치료제 이전에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줄기 세포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치료제 후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줄기 세포는 약제 조성물 또는 제형, 예를 들어, 제공된 용량 또는 이의 분율로 투여하기 위한 수의 세포를 포함하는 단위 용량 형태로서 제형화된다. 약제 조성물 및 제형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선택적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치료제를 포함한다.
담체의 선택은 일부, 특정 줄기 세포에 의해 및/또는 투여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적합한 제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약제 조성물은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용체에 대해 비독성이고, 완충제, 예를 들어,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및 다른 유기산; 아스코르브산 및 메티오닌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보존제(예를 들어, 옥타데실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메토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페놀, 부틸 또는 벤질 알코올; 알킬 파라벤, 예를 들어,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 카테콜; 레소르시놀; 사이클로헥사놀; 3-펜타놀; 및 m-크레솔); 저분자량 폴리펩타이드; 단백질, 예를 들어,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글로불린; 친수성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미노산, 예를 들어,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히스티딘, 아르기닌, 또는 라이신; 단당류, 이당류, 및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또는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다른 탄수화물; 킬레이트제, 예를 들어, EDTA; 당, 예를 들어, 수크로오스, 만니톨, 트레할로오스 또는 소르비톨; 염-형성 반대 이온, 예를 들어, 나트륨; 금속 착물(예를 들어, Zn-단백질 복합물);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포함한다.
완충제는, 일부 양태에서, 조성물에 포함된다. 적합한 완충제는 예를 들어, 시트르산, 나트륨 시트레이트, 인산, 칼륨 포스페이트, 및 다양한 다른 산 및 염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둘 이상의 완충제들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투여 가능한 약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제형은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제형 또는 조성물은 또한, 줄기 세포로 치료되는 특정 적응증(indication), 질병, 또는 질환을 위해 유용한 하나 초과의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약제 조성물은 일부 구현예에서, 질병 또는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양, 예를 들어,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줄기 세포를 함유한다. 치료 효능은 일부 구현예에서, 치료되는 대상체의 주기적 평가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요망되는 투여량은 세포의 단일 일시 투여(single bolus administration)에 의해, 세포의 다중 일시 투여에 의해, 또는 세포의 연속 주입 투여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줄기 세포 및 조성물은 표준 투여 기술, 제형, 및/또는 장치를 이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줄기 세포의 투여는 자가(autologous) 또는 이종(heterologous)일 수 있다.
멸균 주사 가능한 용액은 용매 중, 예를 들어, 적합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 예를 들어, 멸균수, 생리 식염수, 글루코오스, 덱스트로오스, 등과의 혼합 중에 세포의 도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은 요망되는 투여 경로 및 제제에 따라, 보조 물질, 예를 들어, 습윤제, 분산제, 또는 에멀젼화제(예를 들어, 메틸셀룰로오스), pH 완충제, 겔화 또는 점도 증진 첨가제, 보존제, 착향제, 및/또는 칼라를 함유할 수 있다. 표준 텍스트는 일부 양태에서, 적합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 참고될 수 있다.
항미생물 보존제, 항산화제, 킬레이트제, 및 완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안정성 및 멸균성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미생물의 작용의 예방은 다양한 항박테리아제 및 항진균제, 예를 들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및 소르브산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주사 가능한 약제학적 형태의 지연 흡수는 흡수를 지연시키는 제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젤라틴의 사용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실시예
I. 동물 모델 시험
물질 및 방법
동물 및 실험 디자인
유의미한 운동 기능 저하가 없는 마우스
MJD84.2(B6;CBA-Tg(ATXN3*)84.2Cce/IbezJ) 마우스는 척수소뇌 운동 실조증 타입 3(MJD/SCA3)으로서도 알려진, 인간 마카도-조셉병에 대한 질병 모델로서 확립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 20 내지 34주령 범위의 MJD84.2 동물을 연구하였다. 변형된-SHIRPA, 발자국 분석을 포함하는 행동 분석, 및 로타로드 시험을 이러한 동물에 대해 수행하였다. 2주 간격으로 3가지 시험 물품 주사를 21주령, 23주령 및 25주령의 마우스에서 수행하였다. 연구 디자인은 하기와 같이 개략된다.
Figure pct00001
유의미한 운동 기능 저하를 갖는 마우스
총 13마리의 SCA3 Tg/0 마우스(B6;CBA-Tg(ATXN3*)84.2Cce/IbezJ) 및 8마리의 C57BL/6 0/0 야생형 마우스는 JAX 실험실로부터 기원한 것이었다. 동물을 4가지 실험 그룹으로 무작위로 등록시켰다: (1) SCA3+세포; (2) SCA3+PBS; (3) Wt+세포; (4) Wt +PBS. SCA3 Tg/0 마우스에서 유의미한 질병 표현이 결정된 후에 2주 간격의 3가지 시험 물품 주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디자인은 하기와 같이 개략된다.
Figure pct00002
중간엽 줄기 세포
본 연구에서 QPSC는 인간 ADMSC(Stemchymal®), Steminent Biotherapeutics Inc.(SBI)에 의해 제작된 세포 산물이다. ADMSC를 세포외 배양 확대시키고, PIC/S Good Manufactory Practice 가이드라인에 따라 확립된 세포 설비에서 SBI의 표준 작업 절차에 따라 품질 관리하였다. 간단하게, 지방 조직을 건강한 공여체로부터 수확하고, 저온(0 내지 5℃)에서 SBI의 가공 설비로 즉시 옮겼다. ADMSC를 단리시키고, 정제하고, 배양 확대 동안 SBI의 독점 배양 배지에서 유지시켰다. 12회의 계대배양된 ADMSC는 고도로 발현된 CD273, CD46, CD55 및 CXCR4를 갖는 QPSC이었고, 이후에, 냉동보존 백에서 패킹되었고, 생성물(Stemchymal®)은 품질 보증 및 냉동보존을 위해 송부되었다. Stemchymal®에 대한 품질 관리는 인-프로세스 관리(in-process control) 및 제품-출시 시험(product-release test)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생존력, 멸균성, 마이코플라스마 시험, 내독소 평가, MSC 표현형(CD 73, CD 90, 및 CD 105에 대해 포지티브, CD 34, CD 45, CD11b, CD 19 및 HLA-DR에 대해 네가티브), 및 3-계통 분화 능력(골생성, 연골생성 및 지방생성 분화)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세포 투약
유의미한 운동 기능 저하가 없는 마우스를 이용한 연구를 위하여:
2.5×107개 세포/kg 체중의 Stemchymal®을 해동시키고, 준비하고, 1 ml 인슐린 시린지(29 1/2G) 내에 로딩하였다. 세포를 해동 1시간 내에 서서히(15 내지 20초 기간) 주사하였다.
유의미한 운동 기능 저하를 갖는 마우스를 이용한 연구를 위하여:
마우스를 4개의 그룹으로 무작위적으로 분배하였다: (1) SCA3+세포, (2) SCA3+PBS, (3) Wt+세포, (4) Wt+PBS. 2.5×107개 세포/kg 체중의 Stemchymal®을 그룹 1 및 그룹 3의 각 마우스에 정맥내로 주입하였다. 총 125 ㎕의 세포 현탁액(냉동용액(Biolife) 중 1:1) 또는 PBS(Gibco)를 각 마우스에 투여하였다.
두 연구 모두에 대하여, 동물을 4시간 동안 모니터링하고, 주사 후에 매일 관찰하였다. 세포 투약을 2주마다 1회 수행하고, 총 3회 수행하였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마우스를 마지막 시험 물품 주사 후 1개월에 희생시켰다. 마우스의 체중 및 낙하 지연시간(latency to fall)을 전체 연구 동안 기록하였다. 마우스 발자국을 또한 시험 물품 주사 후 보행 수행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우스 조직(피질, 소뇌, 심장, 신장, 간, 비장, 폐 및 꼬리)를 미래 병리조직학적 분석 및 생물-분류 연구를 위해 수집하였다.
통계학
데이터는 평균+SEM로서 제시된다. 로타로드 및 발자국 시험의 결과를 p < 0.05의 유의성 임계값과 함께 스튜던트 t-테스트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운동 협응 및 균형 검정
운동 협응 및 균형을 로타로드 장비(MK-670, Muromachi Kikai Co., Ltd., Japan)에서 평가하였다. 마우스를 5분의 시간에 걸쳐 40 rpm까지 가속화되는 일정 속도(4 rpm)에서의 로타로드 상에 배치하였다. 낙하하거나 완전 수동 회전(full passive rotation)(완전 회전을 위해 봉(rod)에 달라붙음)을 완료하기 위한 지연시간(latency)을 기록하였다. 마우스를 각 시험 동안 3회 시험을 수행하였고, 시험 사이에 15분 휴지하였다. 각 시험으로부터 각 마우스에 대한 평균 지연시간을 계산하였다. 시험 결과를 t-테스트를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SHIRPA 시험
변형된 SHIRPA 시험을 20, 24 및 28주령의 마우스에서 수행하였다. SHIRPA 프로토콜을 RIKEN BRC의 변형된 SHIRA 프로토콜로부터 변형하였다. 시험 항목 및 산정 기준은 하기 표에 나열되어 있다.
Figure pct00003
마우스를 이의 행동에 따라 산정하였다. 연구 그룹에서 전체 마우스 수를 100%로서 계산하였다. 결과를 특정 산정 수준과 함께 마우스 수의 백분율로서 나타내었다.
발자국 분석
마우스 발자국을 마지막 세포 투약 후 대략 1개월에 분석하였다. 2015년에 출판된 논문(1)을 참조하여, 마우스 발을 잉크(앞발: 적색, 뒷발: 녹색)에 담그고, 이에 따라, 마우스는 마우스가 복도를 따라 목표 박스(goal box)까지 걷거나 뛸 때 발자국의 흔적을 남기게 한다. 마우스를 터널 앞에서 한 장의 페이퍼(50 cm 길이, 10 cm 폭) 상에 놓았다. 보폭, 흔들림, 자세 길이, 및 앞뒤발 겹침의 측정은 보행의 징후를 제공한다(하기 도면 참조). 모든 마우스를 희생 전에 3회 실행(run)을 제공하였다.
MTT 검정
CD3 + T 세포 단리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를 Histopaque-1077(Sigma-Aldrich) 밀도 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건강한 공여체로부터의 헤파린처리된 전혈로부터 단리하였다. CD3+ T 림프구를 이후에, 제조업체 설명서에 따라 항-인간 CD3 항체 컨쥬게이션된 자성 입자(BD Biosciences)를 사용하여 PBMC로부터의 양성 선택(positive selection)에 의해 정제하였다.
T 세포 증식 검정
정제된 인간 CD3+ T 세포(1×105개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서 플레이트-결합된 항-CD3(2 ㎍/㎖) 및 항-CD28(2 ㎍/㎖) 모노클로날 항체(BD Biosciences)로 자극시키고, 10% 우태아혈청(FBS), 2 mM 1-글루타민, 100 U/ml 페니실린,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 및 25 mM HEPES를 함유한 RPMI-1640 배지(Gibco)에서 상이한 수의 ADMSC와 동시-배양하였다. 48시간 후에, 5-브로모-2-데옥시우리딘(BrdU)을 각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T 세포 증식의 측정을 위해 다른 1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T 세포 내에 도입된 BrdU의 양을 제조업체 설명서에 따라 Cell Proliferation ELISA, BrdU 키트(Roch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면역조직화학(IHC)
QPSC의 신경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QPSC를 C57BL/6J SCA2 형질전환 마우스의 꼬리 정맥을 통해(IV hMSC-Tg 그룹) 또는 대후두공을 통해 소뇌의 위치내로(IC hMSC-Tg 그룹) 주사하였다. IHC에 의해 뮤린 뇌 조직에서의 인간 세포를 입증하기 위하여 인간 베타2 마이크로글로불린(Abcam, code: ab15976)과 반응한 특정 항체를 선택하였다. 뮤린 섹션(4 ㎛)을 절단하고, 현미경 슬라이드 상에 마운팅하였다. 자일렌, 100% 에탄올, 95% 에탄올 및 80% 에탄올 중에서 5분 간격으로 2회 세정함으로써 섹션을 탈수시켰다. 파라핀제거 후에, 섹션을 퍼옥시다아제 비활성화를 위해 3% H2O2로 처리하고, 항원 회수를 위해 10 mM 시트레이트 완충제(0.05% Tween20)로 처리하고, 1% 차단 용액(문헌[Chang et al. Journal of Biomedical Science 2011, 18:54 http://www.jbiomedsci.com/content/18/1/54 Page 3 of 9 PBS]에서 1% BSA 및 0.1% Triton X-100)으로 차단하였다. 섹션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차단 용액 중에 희석된(1:400) 특정 항-인간 b2 마이크로글로불린 폴리클로날 항체(Abcam)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PBS로의 광범위한 세척 후에, 섹션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차단 용액 중에 희석된(1:1000) 2차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1차 항체를 EnVision Detection System(DAKO)을 이용하여 검출하고, 디아미노벤지딘(DAB; DAKO)으로 시각화하였다. 본 발명자는 수성 헤마톡실린(SigmaAldrich)으로 대조염색하였다. 직접 비교를 위해, 본 발명자는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슬라이드를 단일 배치에서 처리하였다.
안전성 시험
동물
C57BL/6 마우스를 Insulin Syringe 1/2cc 30G x 3/8" Needle(Terumo, 또는 BD Bioscience)을 이용하여 꼬리에서 정맥내 주사를 통해 3회 용량의 QPSC를 수용하였다. 주사 전에, 동물의 꼬리 정맥을 팽창시키기 위해 15 내지 20분 동안 케이지 아래에 배치된 열 패드에 의해 동물을 가온시켰다. 부검 전에, 모든 동물을 우레탄(2 g/kg의 체중, Sigma-Aldrich)으로 마취시키고, 이후에, 턱밑 정맥으로부터 또는 심장 천자(cardiac puncture)를 통해 채혈하였다.
혈액 샘플 수집
혈액학 분석을 위해, 전혈 샘플을 EDTA 함유 혈액 수집 튜브(BD Bioscience, Cat No. 365974)에 수집하였다. 혈액 화학 분석을 위해, 전혈 샘플을 혈청 분리기를 함유한 혈액 수집 튜브(BD Bioscience, Cat No. 365967)에서 수집하였다. 실온에서 20분 동안 혈청 튜브를 정치시킨 후에, 혈청을 5분 동안 4℃, 6000 rpm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전체 부검 및 조직 수집
혈액 샘플링 후에, 동물 장기를 수집하였다. 이들 각각을 2 부분으로 나누었다: (1) -80℃ 냉동고에서 장기의 절반을 저장하고, 이후에, 옮기고 생물학적 분배 분석을 위해 액체 질소 용기에 저장함: (2) 나머지 절반을 고정시키고(5% 파라포름알데하이드, Sigma-Aldrich),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위해 파라핀을 임베딩하였다.
정량적 PCR
QPSC 또는 뮤린 조직으로부터의 전체 RNA를 제조업체 설명서에 따라 Total RNA Miniprep Purification Kit(GMbiolab Cat#TR01)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이후에, 2-단계 MMLV RT-PCR 키트(GMbiolab Cat#RP012-M)를 cDNA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선택된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분석을 위한 정량적 PCR을 The Fast SYBR® Green Master Mix(Thermo Cat#4385612)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ELISA
QPSC의 EGF, FGF-b, VEGF, PDGF 및 TGF-b1의 세포내 및 분비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세포 용해물 및 컨디셔닝된 배지의 샘플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QPSC를 냉동-해동 방법을 이용하여 용해시키고, 세포 용해물의 상청액을 초원심분리 후에 수집하였다. 그리고, 컨디셔닝된 배지 수집을 위해, 배지를 3일 QPSC 배양 후에 수집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성장 인자의 농도를 제조업체 설명서에 따라 ELISA(R&D systems)에 의해 결정하였다.
뉴런 세포 공동 배양 시험
인간 성상세포 세포주, SVG p12를 1250 uM 1-메틸-4-페닐피리딘(MPP+)으로 처리하고, 상이한 비율의 QPSC(SVG p12: QPSC=1:0.1 내지 1:10)로 공동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SVG p12의 세포 수를 카운팅하였다.
실시예 1 QPSC는 SCA3의 표현형을 변화시킴
QPSC는 SCA3 마우스의 표현형을 변화시켰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CA3 마우스는 야생형 마우스와 비교하여 약간 더 넓은 아래 부분(base)을 나타내며, QPSC 치료 후에, SCA3 마우스의 겉모습은 야생형 마우스와 유사하게 보였다. 유사한 개선 결과는 다양한 기능성 시험, 예를 들어, 변형된 SHIRPA(도 4, 도 5), 발자국(도 6, 도 7) 및 로타로드 실행 분석(도 5c)에서 관찰되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치료에 의한 체중 손실의 중지 및 장기 조직의 부작용 없음
QPSC는 또한, 질병의 진행 동안 SCA3의 체중 손실을 중지시켰다(도 3). 그럼에도 불구하고, 3회 용량의 QPSC는 SCA3 개체에서 완전한 혈액 총수(표 1) 또는 혈액 생화학(표 2)의 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표 1 및 표 2는 1주 간격으로 3회 용량 동안 3회 용량의 QPSC와 염수 간에 25 내지 30주령의 야생형 마우스로부터 완전 혈액 총수/생화학 프로파일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조직병리학적 분석은 3회 용량의 QPSC 주사 후에 다양한 중요한 장기 조직에서 정상적인 소견을 나타내었다(도 2).
표 1
Figure pct00004
표 2
Figure pct00005
실시예 3 본 발명의 치료를 이용한 마우스에서의 면역조절 및 항-ROS 용량 및 다수의 신경영양 인자 및 성장 인자를 발현시키는 발현
시험관내 연구에서는, QPSC가 면역조절 및 항-ROS 용량(도 10)을 지닐 뿐만 아니라 다수의 신경영양 인자 및 성장 인자를 발현시키는 능력을 가짐을(도 12)을 나타내었다. 생체내 연구에서는 QPSC 치료 후 산화적 스트레스 하에서 SCA 마우스에서의 로타로드 실행의 개선을 나타내었다(도 11). 또한, QPSC는 시험관내(도 13) 및 생체내(도 14) 둘 모두에서 뉴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혈액 뇌 장벽(BBB)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세포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질의가 제안되었지만, QPSC의 정맥내 주입을 통한 두개내 국소화의 능력이 나타났다(도 8 및 도 9).
이에 따라, 정맥내 주입을 통해, QPSC가 소뇌로 BBB를 진행시키고, ROS의 손상 및 면역 과잉반응으로부터 SCA 개체에서 뉴런 세포를 보호한다고 결론을 내는 것이 합리적이다. QPSC는 또한, 뉴런 세포의 수를 유지시키기 위해, 이에 따라, 글루타민 척수소뇌 운동 실조증, 마카도-조셉병, 헌팅턴병, DRPLA, 및 SMAX1/SBMA와 같은 poly-Q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해 다수의 신경영양 및 성장 인자를 분비하였다.
II. 인간 임상 시험
인간 임상 시험은 무작위화, 이중-맹검, 플라시보-제어 연구 디자인에 의해 글루타민-매개 질병(예를 들어, 글루타민 척수소뇌 운동 실조증, 마카도-조셉병, 헌팅턴병, DRPLA, 및 SMAX1/SBMA)의 치료를 위한 Stemchymal® 주입의 치료 효능 및 안전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적합한 대상체는 정맥내 주입을 통해 Stemchymal®을 수용할 것이다.
글루타민 척수소뇌 운동 실조증에 대한 일 예에서, 시험을 받는 대상체는 유전형으로 척수소뇌 운동 실조증 타입 2 또는 척수소뇌 운동 실조증 타입 3임을 확인하였다. 대상체의 기준선 SARA 스코어는 5 내지 15의 범위에 있다.
2.5×107개 세포/kg 체중의 Stemchymal®을 해동시키고, 준비하고, 시린지 내에 로딩하였다. 세포를 해동 1시간 내에 서서히 주사하였다. Stemchymal®을 각 대상체에 정맥내로 주입하고, 세포 투약을 2주마다 1회의 간격으로 3회 수행하였다. 1회 이상의 치료 사이클 후에, 대상체의 SARA 스코어는 감소하였으며, SCA2 또는 SCA3 상태는 개선되었다.

Claims (16)

  1. 대상체에서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대상체에 단위 투여량(unit dosage)으로서 유효량의 줄기 세포를 비경구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투여는 1회 이상의 치료 사이클로 수행되며, 1회의 치료 사이클은 각각 2 내지 6주의 투약 간격으로 3회의 단위 투여량을 투약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polyQ 질병이 polyQ 매개 척수소뇌 운동 실조증(SCA), 마카도-조셉병(MJD/SCA3), 헌팅턴병(HD), 치상핵적핵담창구시상하핵 위축증(DRPLA) 또는 척수 및 연수 근육 위축증, X-연관 1(SMAX1/SBMA)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SCA가 SCA1, SCA2, SCA3, SCA6, SCA7 또는 SCA17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SCA가 SCA2, SCA3 또는 SCA6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SCA가 SCA3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중간엽 줄기 세포가 중간엽 줄기 세포(MSC) 집단, 지방 조직-유래 줄기 세포(ADMSC) 집단, 안와 지방-유래 줄기 세포(OFSC) 집단 또는 쿼드-양성 기질 세포(quadri-positive stromal cell; QPSC) 집단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QPSC 집단이 적어도 70% 세포 동질성을 가지고, CD273, CD46, CD55 및 CXCR4의 세포 마커를 발현시키지만, CD45의 세포 마커를 발현시키지 않으며, CD273은 70% 이상의 강도로 강력하게 발현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ADSC가 적어도 CD90, CD105, CD29, CD44, CD49b, CD49e, CD58을 발현시키는 OFSC 집단, 및 CD133, CD31, CD106, CD146, CD45, CD14, CD117을 발현시키지 않는 HLA-ABC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비경구 투여가 근육내, 정맥내, 동맥내, 또는 피하 투여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비경구 투여가 정맥내 투여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국소 투여가 뇌내 또는 두개내 투여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국소 투여가 두개내 투여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단위 투여량이 0.5×105 내지 5×1010개의 세포/kg 체중의 범위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제1 치료 사이클 후에, 대상체가 1개월 동안 5보다 높은 총 SARA 스코어를 유지하는 경우에, 후속 치료 사이클이 수행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투약 간격이 2주일에 1회인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줄기 세포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치료제와 함께 또는 다른 치료학적 개재와 함께, 동시에 또는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동시-투여될 수 있는 방법.
KR1020197037371A 2017-05-26 2017-05-26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에 대한 치료법 KR20200001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7526A KR20230035710A (ko) 2017-05-26 2017-05-26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에 대한 치료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7/034831 WO2018217216A2 (en) 2017-05-26 2017-05-26 A therapy for polyglutamine (polyq) diseas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526A Division KR20230035710A (ko) 2017-05-26 2017-05-26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에 대한 치료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598A true KR20200001598A (ko) 2020-01-06

Family

ID=643967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371A KR20200001598A (ko) 2017-05-26 2017-05-26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에 대한 치료법
KR1020237007526A KR20230035710A (ko) 2017-05-26 2017-05-26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에 대한 치료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526A KR20230035710A (ko) 2017-05-26 2017-05-26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에 대한 치료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547730B2 (ko)
EP (1) EP3630133A4 (ko)
JP (2) JP7406251B2 (ko)
KR (2) KR20200001598A (ko)
CN (1) CN110799200A (ko)
WO (1) WO20182172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598A (ko) 2017-05-26 2020-01-06 스테미넌트 바이오테라퓨틱스 인크.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에 대한 치료법
KR20210089517A (ko) * 2020-01-08 2021-07-16 코아스템(주)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계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6374A2 (en) * 2006-09-21 2008-03-27 Medistem Laboratories, Inc.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s in non-conditioned recipients
WO2009136283A2 (en) * 2008-05-08 2009-11-12 Coretherapix Slu Multipotent adult stem cell population
CA2743255C (en) * 2008-12-03 2014-02-18 Andrew Pecora Infarct area perfusion-improv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vascular injury repair
US20120288480A1 (en) * 2011-02-22 2012-11-15 Taipei Medical University Cell population comprising orbital fat-derived stem cells (ofscs) and their isolation and applications
EP2872619B1 (en) * 2012-07-11 2018-02-14 Imstem Biotechnology Inc. Mesenchymal-like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methods and uses thereof
US20150216908A1 (en) * 2014-02-06 2015-08-06 Steminent Biotherapeutics Inc. Quadri-positive stromal cell (qpsc) population for superior cell protection and immunomodulation
RU2741839C2 (ru) * 2016-03-09 2021-01-29 Авита Интернэшнл Лтд. Стволовые клетки, экспрессирующие мезенхимальные и нейрональные маркеры, их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KR20200001598A (ko) 2017-05-26 2020-01-06 스테미넌트 바이오테라퓨틱스 인크. 폴리글루타민(polyq) 질병에 대한 치료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710A (ko) 2023-03-14
US20210260127A1 (en) 2021-08-26
CN110799200A (zh) 2020-02-14
JP2020521815A (ja) 2020-07-27
EP3630133A4 (en) 2021-01-20
JP7462974B2 (ja) 2024-04-08
US20230101357A1 (en) 2023-03-30
JP7406251B2 (ja) 2023-12-27
WO2018217216A2 (en) 2018-11-29
JP2022119897A (ja) 2022-08-17
EP3630133A2 (en) 2020-04-08
US11547730B2 (en)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2207B2 (ja) 脳疾患及び状態の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Lee et al. Allo-transplant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attenuates hepatic injury through IL1Ra dependent macrophage switch in a mouse model of liver disease
JP7462974B2 (ja) ポリグルタミン病の治療
Shin et al. The therapeutic effect of human adult stem cells derived from adipose tissue in endotoxemic rat model
Mitkari et al.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stromal cells produce efficient localization in the brain and enhanced angiogenesis after intra-arterial delivery in rats with cerebral ischemia, but this is not translated to behavioral recovery
Kim et al. Restoration of angiogenic capacity of diabetes-insulted mesenchymal stem cells by oxytocin
Wang et al. CXCR4+ CD45− BMMNC subpopulation is superior to unfractionated BMMNCs for protection after ischemic stroke in mice
Liu et al. Study on therapeutic action of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combined with vitamin E against acute kidney injury in rats
Chen et al. Tamoxifen promotes white matter recovery and cognitive functions in male mice after chronic hypoperfusion
Pisano et al. Potential role of stem cells in disease prevention based on a murine model of experimental necrotizing enterocolitis
KR102330083B1 (ko) 포유류 탯줄 유래 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US8765119B2 (en) Treat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with isolated aldehyde dehydrogenase-positive umbilical cord blood cells
KR20160109019A (ko)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정맥혈관 투여를 통한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I717521B (zh) 用於多麩醯胺酸(polyq)疾病之治療
KR20070113088A (ko) 운동신경원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치료방법
JP2024073609A (ja) ポリグルタミン病の治療
WO2022014681A1 (ja) 運動ニューロン疾患(mnd)の治療に有効な多能性幹細胞
WO2016001839A1 (en) Management of liver disease using pooled mesenchymal stromal cells
EP3501525A1 (en) Life extension agent
TWI640310B (zh) Z-亞丁基苯酞於活化自體免疫系統之應用
US10130683B1 (en) Combination therapy of stem cell mobilizing agents and stem cell transplantation
TWI652057B (zh) 白藜蘆醇之應用
JP2023510512A (ja) 神経変性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間葉系幹細胞を含む組成物
EP3976069A1 (en) Fibroblast therapy for treatment of duchenne muscular dystrophy
KR20130023797A (ko) 자연살해세포 억제제 및 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