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271A -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 Google Patents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271A
KR20200001271A KR1020180074016A KR20180074016A KR20200001271A KR 20200001271 A KR20200001271 A KR 20200001271A KR 1020180074016 A KR1020180074016 A KR 1020180074016A KR 20180074016 A KR20180074016 A KR 20180074016A KR 20200001271 A KR20200001271 A KR 20200001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cover
baby
buckle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217B1 (ko
Inventor
표순규
Original Assignee
(주)쁘띠엘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쁘띠엘린 filed Critical (주)쁘띠엘린
Priority to KR1020180074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2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단이 길게 연장되어 일단에 제1탈착부와 타단에 제1탈착부와 연결되는 제2탈착부가 설치된 벨트부;
벨트부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측에 제1버클부가 형성된 어깨걸이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제1버클부와 체결되는 제2버클부가 고정 형성된 커버부; 및
커버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커버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내측면에 받침홈이 형성된 머리받침부를 포함하되,
제2버클부는 외측면에서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쇠체결홈이 형성된 돌기부로 형성되고,
제1버클부는,
하부면에 홀이 타공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하우징,
상부면에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돌출되어 홀을 통해 들어오는 돌기부와 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서 탄성부재가 위치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고정홈을 포함하는 슬라이딩이동바,
돌출부의 외측을 감싸며 일부가 위치고정홈에 체결되고 상단부의 일부가 구부려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걸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Baby Carrier Having Desorption Able Shoulder Strap}
본 발명은 보호자가 유아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안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아기 띠의 기술분야에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깨 끈이 사용자의 앞측에서 착탈되며 유아를 보다 편하게 안을 수 있도록 하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에 관한 것이다.
유아의 보호자는 두 팔로 유아를 안아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유아를 두 팔로 안거나, 안아 이동하는 행위는 보호자의 팔 및 허리에 무리를 주며, 보호자에 근육을 뭉치게 하거나 결리게 한다. 쉽게 말해, 두 팔로 유아를 안는 방식은 보호자의 어깨 및 허리에 근육통을 일으킨다. 이에, 보호자는 이러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지 못한다.
현재에는 보호자가 유아를 장시간 안을 수 있도록 돕는 아기 띠, 힙시트 및 포대기 등의 유아제품이 나오고 있다.
현재의 아기 띠, 힙시트 및 포대기는 아기를 안았을 때, 팔 및 허리에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무게 힘을 어깨, 허리 등으로 분산시켜 아기를 장시간 안아 돌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현재의 대부분의 아기 띠는 어깨 끈이 아기 띠의 앞면 커버에 고정되어 뒤에서 어느 하나의 버클에 다른 하나의 버클이 탈착되는 구조이다. 즉, 현재의 대부분의 아기 띠는 보호자가 아기를 커버에 앉히고 덮은 후에 등 뒤로 어깨 끈을 연결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아기 띠는 보호자 혼자서, 본체에 아기를 앉힌 후, 어깨 끈을 매고, 어깨 끈을 연결하는데 편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아기 띠는 영아의 아기를 돌보는 보호자가 영아와 밀착시기기 위해 어깨 끈을 짧게 하였을 때, 보호자 혼자서 어깨 끈을 연결하는데 있어 불편하게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6391 (2011년 10월 21일)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보호자 혼자서 아기를 커버부에 앉힌 후, 어깨 끈을 커버부에 쉽게 연결되도록 하며 보호자 혼자서도 편안하고 안전하게 아기를 아기 띠에 앉힐 수 있도록 하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어깨 끈이 커버부에 연결된 후, 결속력을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하여 보호자가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아기를 압박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커버 하단의 양측에 폭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주름부가 형성되어, 본체 중 아기의 폼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인 확장주름부 부분이 자연스럽게 확장되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아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는, 양단이 길게 연장되어 일단에 제1탈착부와 타단에 상기 제1탈착부와 연결되는 제2탈착부가 설치된 벨트부;
상기 벨트부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측에 제1버클부가 형성된 어깨걸이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1버클부와 체결되는 제2버클부가 고정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내측면에 받침홈이 형성된 머리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버클부는 외측면에서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쇠체결홈이 형성된 돌기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버클부는,
하부면에 홀이 타공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하우징,
상부면에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을 통해 들어오는 상기 돌기부와 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위치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고정홈을 포함하는 슬라이딩이동바,
상기 돌출부의 외측을 감싸며 일부가 상기 위치고정홈에 체결되고 상단부의 일부가 구부려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걸쇠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검쇠부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단부에 중력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외측으로 벌어지고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되며 상기 걸쇠체결홈에 착탈되는 돌기걸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받침부의 양측에는 제1상단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깨걸이부에는 상기 제1상단탈착부와 착탈되는 제2상단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받침부의 외측면에 하단에는 제1버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외측면 상단에는 상기 제1버튼부와 탈착되는 제2버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절개부가 형성된 외측커버, 상기 절개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중간커버 및 상기 외측커버의 양단부를 결합되도록 하는 내측커버를 포함하는 확장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는 아기를 돌보는 보호자 혼자서, 아기 띠에 아기를 앉힌 후 어깨 끈을 쉽게 착탈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는 본체에 연결된 어깨 띠가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여, 보호자가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도, 아기에게 압박을 주지 않고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는 확장주름부를 통해, 아기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넓게 감싸며, 아기의 사타구니에 압박을 가하지 않고, 아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외측전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버클부 및 제2버클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구조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머리받침대 그리고 머리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머리받침대의 주름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단지 충실 및 완전하게 하여,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나타내는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다. 이러한 도면상에서 표시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부재, 요소 및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1)는 보호자가 아기를 커버부(20)에 앉힌 후, 어깨걸이부(21)를 커버부(20)의 전면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 혼자서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1)는 커버부(20)에 어깨걸이부(21)가 연결된 후에도 어깨걸이부(21)가 결속력을 유지하면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가 아기를 안거나 업은 상태에서도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 하단의 양측에 폭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주름부(23)가 형성되어, 본체 중 아기의 허벅지와 밀착되어 자연스럽게 확장되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아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1)는 복수 개의 탈착부가 형성된 벨트부(10), 제1버클부(211) 및 제2버클부(212)가 형성된 커버부(20) 및 받침홈(31)이 형성된 머리받침부(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외측전개도이다.
벨트부(10)는 보호자 즉,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싸며 고정되며 상방으로 커버부(20)가 형성된 부재이다.
벨트부(10)는 일단의 외측에 형성된 제1탈착부(110)와 타단의 내측에 형성되어 제1탈착부(110)와 연결되는 제2탈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탈착부(110)와 제2탈착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상호 간 쉽게 탈 부착될 수 있는 벨크로가 될 수 있다.
또한, 벨트부(10)는 벨트부(10)의 외측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에 제1벨트버클부(111)가 연결된 제1웨빙 끈(webbing strap)과 타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에 제1벨트버클부(111)와 착탈되는 제2벨트버클부(122)가 연결된 제2웨빙 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웨빙 끈과 제2웨빙 끈은 길이조절수단과 연결되어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다양한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
커버부(20)는 보호자 품에 아기를 앉힌 후, 벨트부(10)로부터 아기를 덮는 부재가 된다. 커버부(20)는 벨트부(10)의 상측면에 벨트부(10)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일례로, 벨트부(10)를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벨트부(10)에 연결 형성된다.
이와 같은 커버부(20)는 벨트부(10)와 연결되어 확장주름부(23)가 형성된 하단커버부(20)와 하단커버부(2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에 머리받침부(30)가 연결되는 상단커버부(20)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확장주름부(2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단커버부(20)의 양측에는 어깨걸이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깨걸이부(21)는 사용자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하는 어깨 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어깨걸이부(21)는 커버부(20)의 일측에 사용자의 오른쪽 어깨에 걸리는 제1어깨걸이부와 커버부(20)의 타측에 사용자의 왼쪽 어깨에 제2어깨걸이부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어깨걸이부와 제2어깨걸이부의 외측면에는 웨빙 끈이 형성되고, 웨빙 끈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버클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어깨걸이부(21)의 외측면에는 제1버클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의 외측면 즉, 앞면에는 제1버클부(211)와 체결되는 제2버클부(212)가 고정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버클부(212)는 평면이 원형 돌기로 형성되고, 제1버클부(211)는 원형 돌기를 수용하는 홈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1버클부(211)는 제2버클부(212)와 체결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머리받침부(30)는 내측면에 단 턱진 받침홈(31)이 형성된다. 이러한 머리받침부(30)의 내부에는 솜이나 스펀지 등의 완충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머리받침부(30)는 커버부(20)와 수평 한 방향으로 고정되었을 때, 커버부(20)에 앉은 아기의 머리를 뒤 부분을 받치고, 커버부(20)와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되었을 때, 커버부(20)에 앉은 아기의 턱을 받칠 수 있다. 이와 같은 머리받침부(30)에 대한 설명은 도 8을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하도록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구조 및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연결관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커버부(20)의 외측면에서 고정 형성된 제2버클부(212)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쇠체결홈(2121)이 형성된 돌기부(2122)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부(2122)는 종단면이 'Ω'과 같이 형성되고, 횡단면이 '○'형상 즉, 원 형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2122)는 내부에 제1버클부(211)와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M2) 또는 자석과 연결되는 철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제1버클부(211)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11), 슬라이딩이동바(2112) 및 돌기걸쇠부(2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111)은 제1버클부(211)의 케이스가 되며, 하부면에 홀(21111)이 타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21111)은 제2버클부(212)의 돌기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횡단면이 '○'형상 즉, 원 형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11)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S) 즉,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S)는 하우징(2111)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이동바(2112)는 하우징(2111)의 탄성부재(S)와 연결되어, 하우징(2111)의 내부에서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 된 후, 타 방향 즉,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이동바의 홀(21111)과 중첩되는 상부면에는 돌출부(21121)가 형성된다. 돌출부(21121)의 내부에는 제1버클부(211)에 형성된 자석 또는 철재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철재(M1) 또는 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돌출부(21121)는 홀을 통해 들어오는 돌기부(2122)와 접하며 자기장이 형성되면 돌기부(2122)에 붙었다가 자기장이 제거되면 돌기부(2122)에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이동바(2112)는 상부면에 돌출부(21121)로부터 탄성부재(S)가 위치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위치고정홈(21122)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홈(21122)에는 돌기걸쇠부(2113)의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
돌기걸쇠부(2113)는 제1버클부(211)가 제2버클부(212)의 돌기부(2122)와 착탈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체가 된다.
돌기걸쇠부(2113)는 돌출부(21121)의 외측을 감싸며 위치고정홈(21122)에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돌기걸쇠부(2113)는 횡단면이 'U'가 되는 구동걸쇠의 하단부에 횡단면이 '└┘'가 되는 위치고정결합치(21132)가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걸쇠부(2113)는 구동걸쇠(21131)가 돌출부의 외측을 감싸고, 위치고정결합치(21132)가 위치고정홈(21122)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위치고정결합치(21132)의 하단부 너비 방향의 양측면에는 치합돌기가 형성되고, 위치고정결합치(21132)가 접하는 위치고정홈(21122)의 양측에는 치합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치합돌기와 수용홈의 결합을 통해, 위치고정결합치(21132)가 위치고정홈(21122)에 결합되어 돌기걸쇠부(2113)는 슬라이딩이동바(2112)에 고정될 수 있다.
돌기걸쇠부(2113)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돌기걸쇠부(2113)의 구동걸쇠(21131)는 상단부가 구부러진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돌기걸쇠부(2113)는 상단부를 접하는 중력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외측으로 벌어지고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걸쇠부(2113)는 상단부에 가해지는 힘의 여부에 따라, 상단부가 외측 및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며 구동걸쇠(21131)가 걸쇠체결홈(2121)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결합관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도 4 및 도 5는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결합관계 및 제1버클부의 작동에 대해 보다 명확히 나타나 질 수 있도록, 제1버클부가 뒤집힌 상태에서, 제2버클부가 제1버클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버클부 및 제2버클부의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사시도 및 제1버클부 및 제2버클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버클부(211)는 돌기걸쇠부(2113)를 통해 슬라이딩이동바(2112)의 슬라이딩이동에 따라 돌기부(2122)와 착탈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이동바(2112)의 돌출부(21121)를 하우징의 홀과 중첩되는 상태에서 제2버클부(212)는 홀(21111)을 관통하며 제1버클부(2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버클부(211)와 제2버클부(212)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버클부(211)에 형성된 자석 또는 철재와 제2버클부(212)에 철재 또는 자석 간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더욱이, 제1버클부(211)의 돌기걸쇠부(2113)는 제2버클부(212)의 걸쇠체결홈(2121)에 체결되며 제1버클부(211)와 제2버클부(212) 간 결합력은 높아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제1버클부(211)와 제2버클부(212)의 결합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버클부(211)의 홀을 통해 제2버클부의 돌기부(2122)가 진입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걸쇠부(2113)의 상단부는 제2버클부(212)의 일단을 통해 힘이 전달되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돌기부(2122)는 돌기걸쇠부(2113)를 벌리며 걸쇠체결홈(2121)에 구동걸쇠(21131)가 결합될 때까지 제1버클부(211)로 진입할 수 있다. 걸쇠체결홈(2121)에 구동걸쇠(21131)가 체결되면, 슬라이딩이동바(2112)에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제1버클부(211)와 제2버클부(212)는 체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이동바(2112)의 일측에 힘이 가해지면, 슬라이딩이동바(2112)가 타방향으로 이동하며 돌출부(21121)는 하우징의 홀(21111)과 중첩되는 상태를 벗어나게 된다.
이때, 제1버클부(211)와 제2버클부(212) 간 형성된 자기력이 깨지고, 걸쇠체결홈(2121)과 돌기걸쇠부(2113) 간 치합이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버클부(211)를 아래로 또는 제2버클부(212)를 위로 하여 당길 경우, 제1버클부(211)와 제2버클부(212)는 결합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제1버클부(211)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버클부(212)에 체결된 상태 일 때, 사용자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이동바(2112)에 압력을 가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들어 올릴 경우, 제2버클부(212)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버클부(211)는 제2버클부(212)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이동바(2112)에 길이방향과 평행한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제2버클부(21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제1버클부(211)는 제2버클부(212)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이동바(2112)에 길이방향과 평행함 힘이 가해져, 일 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는 제2버클부(212)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제1버클부(211)는 돌기걸쇠부(2113)가 횡단면이 원 형상인 돌기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쇠체결홈(2121)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움직이더라도 제1버클부(211)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버클부(211)는 제2버클부(212)에 고정되며 일단이 고정된 어깨걸이부(21)의 움직임에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버클부(211)는 어깨걸이부(21)의 일단이 커버부(20)에 연결된 상태에 회전 가능하게 하여, 보호자가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아기를 압박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머리받침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의 도 1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머리받침대 그리고 머리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머리받침부(30)는 머리받침부(30)의 양측에 형성된 제1상단탈착부(310)가 어깨걸이부(21)에 형성된 제2상단탈착부(210)와 연결되어 커버부(20)와 수평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상단탈착부(310)와 제2상단탈착부(210)는 웨빙 끈에 연결되고,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웨빙 끈이 조절되며 상호 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반면, 머리받침부(30)는 외측면에 형성된 제1버튼부(320)가 커버부(20)의 외측면 상단에 형성된 제2버튼부(220)와 연결되어, 커버부(20)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머리받침부(30)는 제1상단탈착부와 제1버튼부(320)를 통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머리받침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일면에 형성된 받침홈(31)을 포함하고 있어, 도 8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받침부(30)가 펼쳐졌을 때, 받침홈(31)을 이용해 아기의 뒷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혔을 때,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의 턱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다.
특히, 머리받침부(3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혔을 때, 머리받침부(30)의 받침홈(31)이 커버부(20)에서 소정 각도 이상 일례로 70도 이상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혀, 아기가 자연스럽게 전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주름확장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1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머리받침대의 주름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주름확장부(23)는 아기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넓게 감싸며, 아기의 사타구니에 압박을 가하지 않고, 아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주름확장부(23)는 절개부가 형성된 외측커버, 절개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중간커버 및 외측커버의 양 단부를 결합되도록 결합된 내측커버를 포함한다.
이때, 중간커버와 내측커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커버의 절개부가 벌어져 확장됨에 따라 함께 양측으로 벌어져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확장주름부(23)의 외측커버에 절개부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되고, 중간커버는 외측커버 중 절개부(2311) 각각의 양 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각 절개부(2311)가 확장됨에 따라 중간커버와 내측커버는 함께 폭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확장주름부(23)는 아기의 허벅지의 길이에 따라 확장되어 아기를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10: 벨트부 110: 제1탈착부
111: 제1벨트버클부 120: 제2탈착부
122: 제2벨트버클부 20: 커버부
21: 어깨걸이부 210: 제2상단탈착부
211: 제1버클부 2111: 하우징
21111: 홀 2112: 슬라이딩이동바
21121: 돌출부 2122: 돌기부
21122: 위치고정홈 2113: 돌기걸쇠부
212: 제2버클부 2121: 걸쇠체결홈
220: 제2버튼부 23: 확장주름부
2311: 절개부 30: 머리받침부
31: 받침홈 310: 제1상단탈착부
320: 제1버튼부

Claims (5)

  1. 양단이 길게 연장되어 일단에 제1탈착부와 타단에 상기 제1탈착부와 연결되는 제2탈착부가 설치된 벨트부;
    상기 벨트부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측에 제1버클부가 형성된 어깨걸이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1버클부와 체결되는 제2버클부가 고정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내측면에 받침홈이 형성된 머리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버클부는 외측면에서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쇠체결홈이 형성된 돌기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버클부는,
    하부면에 홀이 타공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하우징,
    상부면에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을 통해 들어오는 상기 돌기부와 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위치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고정홈을 포함하는 슬라이딩이동바,
    상기 돌출부의 외측을 감싸며 일부가 상기 위치고정홈에 체결되고 상단부의 일부가 구부려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걸쇠부를 포함하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검쇠부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단부에 중력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외측으로 벌어지고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되며 상기 걸쇠체결홈에 착탈되는 돌기걸쇠부를 포함하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부의 양측에는 제1상단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깨걸이부에는 상기 제1상단탈착부와 착탈되는 제2상단탈착부가 형성되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부의 외측면에 하단에는 제1버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외측면 상단에는 상기 제1버튼부와 탈착되는 제2버튼부가 형성되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절개부가 형성된 외측커버, 상기 절개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중간커버 및 상기 외측커버의 양단부를 결합되도록 하는 내측커버를 포함하는 확장주름부를 포함하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KR1020180074016A 2018-06-27 2018-06-27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KR10207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016A KR102072217B1 (ko) 2018-06-27 2018-06-27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016A KR102072217B1 (ko) 2018-06-27 2018-06-27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71A true KR20200001271A (ko) 2020-01-06
KR102072217B1 KR102072217B1 (ko) 2020-01-31

Family

ID=6915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016A KR102072217B1 (ko) 2018-06-27 2018-06-27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2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120B1 (ko) 2020-09-17 2021-09-01 채병식 절첩식 힙시트 구조
CN115670180A (zh) * 2021-07-21 2023-02-03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幼儿背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391Y1 (ko) 2009-05-27 2011-10-28 정영호 휴대용 아기 띠
US20110298227A1 (en) * 2009-01-23 2011-12-08 Fidlock Gmbh Closure Device for Connecting Two Parts
KR20170001863U (ko) * 2017-03-24 2017-05-29 김경환 아기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8227A1 (en) * 2009-01-23 2011-12-08 Fidlock Gmbh Closure Device for Connecting Two Parts
KR200456391Y1 (ko) 2009-05-27 2011-10-28 정영호 휴대용 아기 띠
KR20170001863U (ko) * 2017-03-24 2017-05-29 김경환 아기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120B1 (ko) 2020-09-17 2021-09-01 채병식 절첩식 힙시트 구조
CN115670180A (zh) * 2021-07-21 2023-02-03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幼儿背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217B1 (ko) 202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6162B1 (en) Adjustable child carriers
JP3210531U (ja) ヒップシートキャリアセット
JP3856625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TWI452983B (zh) 幼兒背負裝置
JP4874613B2 (ja) ベビースリング
US6186381B1 (en) Child carrier
JP2002105713A (ja) ベビーキャリアー
JP2014176493A (ja) 子守帯
KR102072217B1 (ko)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WO2005009177A1 (ja) 肩ベルト及びその肩ベルトを備えた子守帯
WO2004093608A1 (ja) 育児器具の座席
JP2005131146A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320194Y1 (ko) 아기 포대기
JP4938497B2 (ja) 敷材およびスリング
JP3145902U (ja) 乳幼児用キャリア
JPH0737531Y2 (ja) 抱き具の機能を併有するリュックサック
JP2003010010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JP3127392U (ja) ベビーキャリア
JP2000070079A (ja) 子守帯
JPH09135752A (ja) 乳幼児保持具
JP6945912B1 (ja) 保育補助具
JP2007089883A (ja) ベビースリング
JPH09299198A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KR20210097783A (ko) 베이비 캐리어
JP3117154U (ja) ベビーキャリ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