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863U - 아기띠 - Google Patents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863U
KR20170001863U KR2020170001392U KR20170001392U KR20170001863U KR 20170001863 U KR20170001863 U KR 20170001863U KR 2020170001392 U KR2020170001392 U KR 2020170001392U KR 20170001392 U KR20170001392 U KR 20170001392U KR 20170001863 U KR20170001863 U KR 201700018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fastening means
pair
back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김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환 filed Critical 김경환
Priority to KR2020170001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863U/ko
Publication of KR201700018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8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Abstract

본 고안은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아기띠는 아기를 안을 수 있도록 아기의 등과 엉덩이를 덮어서 감싸주기 위한 등판과, 상기 등판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허리벨트와, 하단 가장자리가 상기 등판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방으로 길게 뻗으며 아기의 신체 앞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업라이트가드와, 일단부가 상기 업라이트가드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좌우 어깨에 걸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어깨끈과, 상기 등판의 상단 좌측부 및 우측부를 상기 좌우 한 쌍의 어깨끈과 일대일로 연결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상단연결부와, 상기 업라이트가드에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링과, 상기 어깨끈의 양 말단 중 상기 등판과 결합된 말단의 반대쪽 말단과 결합되어 연장되며 상기 링을 관통하는 좌우 한 쌍의 연장끈과, 상기 연장끈의 하단과 결합하는 좌우 한 쌍의 제1 체결수단 및 상기 제1 체결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등판에 고정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제2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기띠 {BABY CARRIER}
본 고안은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기를 안거나 뒤로 업는 과정이 용이하고 유아를 보호자의 몸체 밀착시키면서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는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아기를 앞으로 안거나 뒤로 업을 수 있는 아기띠를 나타낸 것이다.
아기띠는 아기의 몸을 감쌀 수 있는 등판(10)과, 등판(10)의 상단 양쪽의 등판 상단부(11) 및 등판(10) 중간 정도 부분의 좌우 양쪽의 등판 중간부(12)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어깨 위에 걸쳐지는 어깨끈(20)과, 등판(1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고정되는 허리벨트(30)로 이루어진다.
등판(10)은 아기의 가랑이가 등판(10) 하단쪽에 걸쳐지면서 아기 엉덩이가 얹혀지고 아기의 어깨 부분까지 감쌀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어깨끈(20)은 아기를 착용자의 배 앞쪽에 안거나 등에 업을 수 있도록 아기가 들어있는 등판(10)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어깨 위에 걸쳐지도록 된 것으로서, 내부에 주로 스펀지가 내장되고 웨빙이라고 하는 끈(21)으로 연장되는데, 좌우 양쪽의 등판 상단부(11)에서부터 연결되어 착용자의 어깨 위에 걸쳐진 후 등판 중간 부분의 좌우측 등판 중간부(12)로 연결된다.
허리벨트(30)는 아기띠 등판(10)의 하단 쪽에 연결되며, 허리벨트(30)를 착용자의 허리에 채워 아기띠 등판에 들어있는 아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 즉, 등판(10)의 하단 쪽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것과 같은 종래의 아기띠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번째로는, 종래의 아기띠는 아기 무게를 지탱하기 위하여 등판(10) 상단 양쪽의 등판 상단부(11)와 등판 중간 부분 좌우 양쪽의 등판 중간부(12) 각각에 연결된 어깨끈(20)이 착용자의 좌우 어깨에 걸쳐져 아기띠의 하중을 지탱하고, 등판의 하단에 연결된 허리벨트(30)를 착용자가 허리에 착용함으로써 허리벨트(30)도 아기띠의 하중을 지탱하게 되어 있는데, 이때 허리벨트(30)는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기의 하중 때문에 밑으로 쳐져서 내려오게 되고, 때로는 착용자의 골반에 걸쳐지거나 허벅지까지도 내려오게 되는데, 이 경우 착용자의 허리에 채워진 허리벨트(30)가 밑으로 처지지 않게 최대한 힘껏 졸라 매는 방법 밖에 없다.
그러나 가벼운 바지 등을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해주는 일반적인 허리벨트와는 달리, 아기띠의 허리벨트(30)는 최소 3~4kg에서 최대 20kg이나 되는 아기의 하중이 실려 있기 때문에 허리벨트를 힘껏 졸라매더라도 아기띠에 걸린 하중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밑으로 자꾸 쳐지거나 흘러내리게 됨으로써 착용자가 불편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두번째로는, 아기띠에는 착용자의 좌우 양쪽 어깨에 걸쳐져 있는 어깨끈(20)이 어깨 위에서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해 착용자의 등쪽에서 좌우 양쪽 어깨끈(20)을 서로 연결하는 등버클이 있는데, 아기를 등판(10)으로 앞쪽에 안고 어깨끈(20)을 양 어깨에 걸치고 나서, 등버클을 채우기 위해 양손을 아기에게서 동시에 모두 떼고 등 뒤로 돌려 양손으로 암수로 구성된 등버클을 하나씩 잡고 채워야 하는 위험한 순간이 있게 되어 안전성 측면의 문제점이 있다.
세번째로는, 착용자가 몸을 좌우로 흔들거나 착용자의 몸이 옆으로 기울어졌을 때 아기의 몸도 같이 옆으로 기울어지면서 쏠리게 되는데, 종래의 아기띠와 같은 구조에서는 어깨끈(20)의 연장 끈(21)이 아기 몸에 의해 같이 밀려나게 되는데, 이 경우 착용자의 옆구리에 있던 연장 끈(21)이 착용자의 옆구리 바깥으로 밀려나면서 연장 끈(21)과 착용자의 옆구리 사이가 벌어져서 아기가 빠지거나 이탈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허리벨트가 밑으로 처지지 않아서 착용자의 허리 부담을 현저히 덜어주고, 착용 시 아기에게서 손을 떼는 순간이 발생하지 않아서 안전하며, 아기가 옆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질 때보다 안전하게 아기를 지지해줄 수 있고, 연장끈에 달린 체결수단이 풀어지는 위험한 순간에도 아기를 안전하게 붙잡을 수 있어서 안전하며, 목지지대가 손쉽게 접힐 수 있는 아기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아기띠는 아기를 안을 수 있도록 아기의 등과 엉덩이를 덮어서 감싸주기 위한 등판과, 상기 등판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허리벨트와, 하단 가장자리가 상기 등판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방으로 길게 뻗으며 아기의 신체 앞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업라이트가드와, 일단부가 상기 업라이트가드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좌우 어깨에 걸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어깨끈과, 상기 등판의 상단 좌측부 및 우측부를 상기 좌우 한 쌍의 어깨끈과 일대일로 연결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상단연결부와, 상기 업라이트가드에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링과, 상기 어깨끈의 양 말단 중 상기 등판과 결합된 말단의 반대쪽 말단과 결합되어 연장되며 상기 링을 관통하는 좌우 한 쌍의 연장끈과, 상기 연장끈의 하단과 결합하는 좌우 한 쌍의 제1 체결수단 및 상기 제1 체결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등판에 고정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제2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단연결부의 상단에는 제3 체결수단이 연결되고, 상기 어깨끈에는 제4 체결수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3 체결수단과 상기 제4 체결수단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업라이트가드는 좌측 어깨끈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뻗는 끈 형태의 좌측 업라이트가드와 우측 어깨끈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뻗는 끈 형태의 우측 업라이트가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거나 펼칠 수 있으며, 펼친 상태에서는 하단부가 상기 등판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상방으로 세워져서 아기 머리와 목을 받쳐주게 되는 목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등판에 의해 등과 엉덩이가 감싸진 아기의 상체 전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업라이트가드 중 상기 등판을 바라보는 쪽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은 상기 업라이트가드의 하부의 양 측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체결수단은 상기 등판의 하부의 양 측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아기띠에 의하면 어깨끈의 연장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업라이트가드를 등판 하단부로 연결하여 허리벨트가 밑으로 처지지 않도록 잡아줌으로써 착용자의 허리 부담을 현저히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아기띠는 착용자가 아기를 안을 때 등판으로 아기를 감싸고 나서 양쪽 어깨끈을 걸친 다음 등버클을 채우기 위해 두 손을 동시에 아기에게서 떼야하는 위험한 순간이 발생하는 반면, 본 고안에 따른 아기띠는 등버클을 채우고 양쪽 어깨끈을 걸친 다음 등판으로 아기를 감싼 후에 한쪽 팔 안쪽으로 아기를 감싸고 있는 것과 동시에 손으로는 한쪽 체결수단을 잡고 반대편 손으로 다른 한쪽 체결수단을 잡아서 두 체결수단을 체결할 수 있어서 아기에게서 손을 떼는 순간이 발생하지 않아서 종래 아기띠보다 안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아기띠는 업라이트가드에 링을 달고 어깨끈의 연장끈을 링(133)에 통과시켜 어깨끈이 전체적으로 둥근 띠 모양이 되도록 하여, 착용자가 어깨끈을 쉽게 착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아기의 무게로 인해 팽팽해진 연장끈이 링에 걸려 있음으로 인하여 아기가 아기띠 안에서 한쪽으로 쏠릴 때 팽팽해진 연장끈과 링이 일종의 가드레일처럼 아기를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여 아기가 옆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질 때 보다 안전하게 아기를 지지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아기띠는 등판의 좌우 상단부를 상단연결부와 체결수단을 이용해 어깨끈과 연결시킴으로써 어깨끈의 연장끈에 달려 있는 체결수단이 풀어지는 위험한 순간에도 등판 안에 있는 아기를 안전하게 지켜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목지지대가 구비되어 아기의 목과 머리를 받쳐줄 수 있고, 목지지대를 접을 수 있어서 편리성이 높으며, 업라이트가드에 분리패드를 달거나 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여름에는 분리패드를 시원한 소재로 만들어 착용자의 배와 아기의 상체가 서로 맞닿아서 덥고 땀이 차기 쉽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겨울에는 분리패드를 따뜻한 소재로 만들어서 아기의 가슴과 배를 따뜻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아기띠를 나타낸 사시도.
도 1c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아기띠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아기띠의 착용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아기띠의 등판을 올리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아기띠의 제1 체결수단과 제2 체결수단의 체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아기띠의 제3 체결수단과 제4 체결수단의 체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아기띠의 목지지부를 접은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아기띠의 목지지부를 펼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아기띠의 등버클을 채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아기띠의 분리패드를 결합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아기띠의 분리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아기띠의 체결수단 및 링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기를 안을 수 있도록 아기의 등쪽을 덮어서 감싸주기 위한 등판(110)과, 하단 가장자리가 등판(110)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방으로 길게 뻗으며 아기의 신체 앞쪽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업라이트가드(120), 일단부가 업라이트가드(1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좌우 어깨에 걸칠 수 있는 한 쌍의 어깨끈(130)과, 하단부가 등판(110)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아기 머리와 목을 받쳐주기 위한 목지지부(111)와, 등판(110)의 상단 좌측부 및 우측부를 좌측 및 우측 어깨끈(130)과 일대일로 연결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상단연결부(210)와,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어깨끈(130)의 양 말단 중 업라이트가드(120)와 결합된 말단의 반대쪽 말단과 결합되어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길게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연장끈(131)과, 연장끈(131)의 하단과 결합하되 연장끈(131)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좌우 한 쌍의 제1 체결수단(135)과, 제1 체결수단(135)과 암수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좌우 한 쌍의 제2 체결수단(136)과, 연장끈(131)의 하단이 제1 및 제2 체결수단(135,136)을 거쳐 등판(110)의 중간 부분에 고정되도록 제2 체결수단(136)을 등판(110)의 중간 부분과 고정 결합시키는 좌우 한 쌍의 고정부(1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업라이트가드(120)는 좌우 한 쌍이 구비되는데, 한 쌍의 업라이트가드(120)는 좌측 어깨끈과 연결되는 상하 방향으로 긴 끈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좌측 업라이트가드(120)와 우측 어깨끈과 연결되는 상하 방향으로 긴 끈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우측 업라이트가드(120)이다. 업라이트가드(120)는 좌우측 어깨끈(130)의 하부가 등판 하단부(117) 또는 허리벨트(150)와 일체로 연결되게 하여 등판 하단부(117)나 허리벨트(160)가 처지지 않도록 해준다.
업라이트가드(120)의 상하 중간에서 조금 아래쪽 부분에는 연장끈(131)이 관통할 수 있도록 기다란 사각형 또는 타원형의 구멍이 형성된 링(133)이 매달려있으며, 연장끈(131)은 링(133)을 통과하고, 링(133)을 통과한 연장끈(131)의 하단에는 연장끈(131)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체결수단(135)이 달렸으며, 제1 체결수단(135)과 암수로 대응되는 제2 체결수단(136)은 웨빙끈인 고정부(115)에 의해 봉제 등의 방법으로 등판(110)의 측단부에 달리게 된다.
본 고안에서의 등판(110)의 하단과의 결합부위로부터 등판(110)의 상하 중간부에서 약간 아래쪽에 결합된 고정부(115)까지 끈 형태로 이어지는 구조를 정리하면, 등판(110)의 등판 하단부(117)와 연결된 업라이트가드(120)와 어깨끈(131)을 거쳐 연장끈(131)으로 연장되고, 연장끈(131)이 업라이트가드(120)의 중간 조금 아래쪽에 달린 링(133)을 통과한 뒤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체결수단(135,136)을 거쳐 고정부(115)에 연결된다.
상기한 것과 같은 등판(110)의 하단과의 결합부위로부터 등판(110)의 상하 중간부에서 약간 아래쪽에 결합된 고정부(115)까지 끈 형태로 이어지는 구조는, 도 2b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한번만 교차되도록 꼬인 돼지꼬리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아기띠의 끈 연결 구조는 도 1c에 도시된 허리벨트 위의 화살표를 통해 알 수 있는 종래 아기띠의 첫번째 문제점인 아기띠의 허리벨트가 아기의 하중으로 인해 밑으로 쳐져서 착용자의 골반에 걸쳐지면서 착용자의 허리에 많은 하중이 걸리게 되는 문제와 허리벨트가 착용자의 허벅지까지 흘러내려 착용자의 걸음걸이까지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해준다. 이는 본 고안의 경우 허리벨트(150)와 결합되어 있는 등판 하단부(117)를 업라이트가드(120)와 연결시켜 허리벨트(150)가 밑으로 쳐지지 않게 잡아주는 원리에 의한 것이다.
또한, 종래 아기띠는 착용자가 아기를 안을 때 허리벨트(150)를 착용한 후 아기를 안고 등판(10)으로 아기 상체를 덮고 나서 어깨끈(130)을 메고 나서는 도 10에 도시된 좌우 어깨끈(130)을 연결하여 어깨끈(130)들이 서로 벌어지지 않게 붙들어주는 등버클(230)을 체결하는 순간 양손 모두를 뒤로 돌려야 함에 따라 아기에서 두 손을 다 떼는 위험한 순간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고안에 따른 아기띠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기를 안기 전에 등버클(230)을 미리 채우고 어깨끈(130)을 착용자의 어깨에 걸치고 나서, 아기를 안고 등판(110)으로 아기 상체를 덮은 후 한쪽 팔 안쪽으로 아기를 안으면서 손으로는 제2 체결수단(136)을 잡고 있고 반대편 손으로 제1 체결수단(135)을 잡고 제1 체결수단(135)과 제2 체결수단(136)을 체결할 수 있고, 반대쪽 제1 체결수단(135)과 제2 체결수단(136)도 같은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아기띠의 착용 과정에서는 어깨끈(130)을 멜 때 아기에게서 손을 떼는 순간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서 안전성이 확보된다.
특히, 링(133)을 웨빙끈 등을 이용해 업라이트가드(120) 위에 매달고 연장끈(131)을 링(133)에 통과시킨 다음 통과된 부분에 제1 체결수단(135)을 달아 놓은 것은 아기띠의 어깨끈(130)이 둥근 띠의 모양을 형성하도록 하여 착용자의 어깨에 그대로 걸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아기가 아기띠 안에 안겨 있을 때 착용자의 상체가 옆으로 기울어지거나 쏠리는 경우 아기도 옆으로 같이 쏠리게 되는데, 이때 아기의 무게로 인해 팽팽해진 연장끈(131)이 링(133)에 걸려 있게 함으로써 아기가 아기띠 안에서 한쪽으로 쏠릴 때 팽팽해진 연장끈(131)과 링(133)이 일종의 가드레일처럼 아기를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만일 링(133)이 없다면 연장끈(131)과 제1 체결수단(135)이 이리저리 움직여서 착용자가 제1 체결수단(135)을 손으로 잡는 것이 불편해지므로, 링(133)은 제1 체결수단(135)이 거의 일정한 위치에 있도록 하여 착용자가 붙잡기 쉽게 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등판(110) 상단부(113)의 좌우를 어깨끈(130)과 연결하여 등판(110)을 지지하기 위한 좌우 상단연결부(210)가 구비되며, 상단연결부(210)는 웨빙끈과 결합되어 연장되고 웨빙끈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3 체결수단(137)이 달려 있다.
상단연결부(210)에 달려 있는 제3 체결수단(137)을 어깨끈(130) 위에 달려 있는 제4 체결수단(138)과 체결시키면 등판 상단부(113)가 어깨끈(130)에 연결되어 등판 상단부(113)가 내려가지 않도록 지지된다. 만일 연장끈(131)에 달린 제1 체결수단(135)과 제2 체결수단(136)이 분리되는 위험한 순간이 혹시 발생하더라도 상단연결부(210)와 결합된 제3 체결수단(137)이 어깨끈(130)과 결합된 제4 체결수단(138)에 채워져 있는 한, 아기는 아기띠 안에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가 있기 때문에 이중의 안전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좌우 상단연결부(210) 사이에는 아기의 머리와 목을 받쳐주기 위한 목지지부(111)가 결합되며,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목지지부(111)를 상단연결부(2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용 띠(211), 고정용 스트립(213) 및 제1 숫스냅단추(215), 암스냅단추(216), 제2 숫스냅단추(217)가 구비된다.
목지지부(111)의 양옆에 달린 고정용 띠(211)를 양 말단부가 상단연결부(210)에 결합된 고정용 스트립(213) 밑으로 통과시킨 다음 고정용 띠의 끝부분에 부착된 제1 숫스냅단추(215)를 목지지부(111)에 부착된 암스냅단추(216)에 채우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목지지부(111)의 측단부가 상단연결부(210)와 결합되어 목지지부(111)가 수직하게 세워짐으로써 아기의 머리와 목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목지지부(111)의 사용이 불필요할 때에는 고정용 띠(211)에 있는 제1 숫스냅단추(215)를 암스냅단추(216)에서 분리한 다음, 암스냅단추(216)를 밑에 있는 제2 숫스냅단추(217)에 채우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목지지부(111)가 바깥쪽으로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 하단부(117)와 연결된 어깨끈(130)의 연장 부분인 좌우 양쪽 업라이트가드(120)에 분리패드(160)를 별도로 달 수 있는데, 분리패드(160)는 아기띠(100)의 업라이트가드(120)라는 독특한 구조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분리패드(160)는 여름에는 시원한 소재로 만든 것으로서 아기와 착용자 사이에서 아기의 신체 앞면에 접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착용자의 복부와 아기의 상체가 닿아서 덥고 땀이 차기 쉽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며, 겨울에는 따뜻한 소재로 만들어서 아기의 배와 가슴을 따뜻하게 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분리패드(16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단과 하단 좌우 양쪽에 달려있는 분리패드용 스냅단추(161)가 달린 끈 등을 업라이트가드(120)에 감아서 달아주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등판 111: 목지지부
113: 등판 상단부 115: 고정부
117: 등판 하단부 120: 업라이트가드
130: 어깨끈 131: 연장끈
133: 링 135: 제1 체결수단
136: 제2 체결수단 137: 제3 체결수단
138: 제4 체결수단 150: 허리벨트
160: 분리패드 161: 분리패드용 스냅단추
210: 상단연결부 211: 고정용 띠
213: 고정용 스트립 215: 제1 숫스냅단추
216: 암스냅단추 217: 제2 숫스냅단추
230: 등버클

Claims (6)

  1. 아기를 안을 수 있도록 아기의 등과 엉덩이를 덮어서 감싸주기 위한 등판;
    상기 등판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허리벨트;
    하단 가장자리가 상기 등판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방으로 길게 뻗으며 아기의 신체 앞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업라이트가드;
    일단부가 상기 업라이트가드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좌우 어깨에 걸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어깨끈;
    상기 등판의 상단 좌측부 및 우측부를 상기 좌우 한 쌍의 어깨끈과 일대일로 연결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상단연결부;
    상기 업라이트가드에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링;
    상기 어깨끈의 양 말단 중 상기 업라이트가드와 결합된 말단의 반대쪽 말단과 결합되어 연장되며, 상기 링을 관통하는 좌우 한 쌍의 연장끈;
    상기 연장끈의 하단과 결합하는 좌우 한 쌍의 제1 체결수단; 및
    상기 제1 체결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등판에 고정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제2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연결부의 상단에는 제3 체결수단이 연결되고, 상기 어깨끈에는 제4 체결수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3 체결수단과 상기 제4 체결수단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라이트가드는 좌측 어깨끈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뻗는 끈 형태의 좌측 업라이트가드와 우측 어깨끈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뻗는 끈 형태의 우측 업라이트가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거나 펼칠 수 있으며, 펼친 상태에서는 하단부가 상기 등판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상방으로 세워져서 아기 머리와 목을 받쳐주게 되는 목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에 의해 등과 엉덩이가 감싸진 아기의 상체 전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업라이트가드 중 상기 등판을 바라보는 쪽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상기 업라이트가드의 하부의 양 측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체결수단은 상기 등판의 하부의 양 측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KR2020170001392U 2017-03-24 2017-03-24 아기띠 KR201700018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392U KR20170001863U (ko) 2017-03-24 2017-03-24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392U KR20170001863U (ko) 2017-03-24 2017-03-24 아기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246 Division 2015-11-19 2015-11-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283A Division KR101764566B1 (ko) 2017-06-26 2017-06-26 아기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63U true KR20170001863U (ko) 2017-05-29

Family

ID=5902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392U KR20170001863U (ko) 2017-03-24 2017-03-24 아기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86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271A (ko) * 2018-06-27 2020-01-06 (주)쁘띠엘린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US11870106B2 (en) 2016-02-17 2024-01-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yer and layer system, as well as bipolar plate, fuel cell and electrolys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0106B2 (en) 2016-02-17 2024-01-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yer and layer system, as well as bipolar plate, fuel cell and electrolyser
KR20200001271A (ko) * 2018-06-27 2020-01-06 (주)쁘띠엘린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0353B2 (en) Child carrier and methods of use
KR101473505B1 (ko) 운반 장치
US6836902B2 (en) Infant walking trainer and carrier garment
US4009808A (en) Baby pack
JP5456798B2 (ja) 安全ハーネス
US8523028B1 (en) Body worn child carrier
US20120199619A1 (en) Easy wrap carrier with lumbar support
JP2001137082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CN102469869A (zh) 儿童载具
JP5444575B1 (ja) 人体吊上げ用ハーネス
WO2021091943A1 (en) Lift vest with webbing to reduce or eliminate vertical sliding
KR20170001863U (ko) 아기띠
TWM574912U (zh) Suspension aid
KR101764566B1 (ko) 아기띠
CN111631881A (zh) 一种移位机的人体承托装置及移位机
KR200448684Y1 (ko)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KR101196108B1 (ko) 유아용 운반구
KR20100044985A (ko) 아기띠
KR20150004498U (ko)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KR20090131101A (ko) 아기 띠
KR20090010149U (ko) 하방 받침 기능을 가지는 아기띠
WO2017203259A1 (en) Garment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KR20090007123U (ko) 양손이 편리한 유아용포대기
WO2017086759A1 (ko) 아기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