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684Y1 -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 Google Patents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684Y1
KR200448684Y1 KR2020090009138U KR20090009138U KR200448684Y1 KR 200448684 Y1 KR200448684 Y1 KR 200448684Y1 KR 2020090009138 U KR2020090009138 U KR 2020090009138U KR 20090009138 U KR20090009138 U KR 20090009138U KR 200448684 Y1 KR200448684 Y1 KR 200448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footrest
support
foot
suspen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규
Original Assignee
임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규 filed Critical 임동규
Priority to KR2020090009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684Y1/ko
Priority to CN2009202792620U priority patent/CN201528667U/zh
Priority to US12/620,919 priority patent/US20110011902A1/en
Priority to JP2010001705U priority patent/JP3160559U/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684Y1/ko
Priority to PCT/KR2010/003880 priority patent/WO201100796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포대기로 유아를 가슴에 안은 상태에서 유아의 다리가 밑으로 쳐지지 않게 무릎이 굽혀지도록 받쳐주게 됨으로 유아의 다리가 보호자와 유아용 포대기 사이에서 압박되지 않게 되어 다리 피부가 벗겨지게 되는 등의 상처를 예방할 수 있으면서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건강증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유아의 등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110)와, 상기 등받이부(110)의 하부에는 일체 또는 재봉에 의해 연장시켜주되, 양측이 외측으로 벌어져 유아의 허벅지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연장날개(121)를 갖춘 상태에서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엉덩이 받침부(120)와, 상기 등받이부(110)의 상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머리받침부(130) 및 상기 등받이부(110)의 상단 양측과 엉덩이 받침부(120)의 양측 끝단에 각각 연결시켜 보호자의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하는 멜빵부(140)로 이루어진 유아용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포대기(100)의 멜빵부(140)에 연결고리(15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고리(150)에 고정구(231)로 탈,장착 가능하도록 발받침화(200)가 연결되어지되 상기 발받침화(200)는 유아의 발을 넣게 되는 신발 본체(210)와, 상기 신발 본체(210)에 결착되어지는 연결줄(220)과, 상기 연결줄(220)에 감싸면서 상기 연결고리(150)에 연결되어 발받침화(200)를 멜빵부(140)에 연결시키게 되는 연결띠(230)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유아용 포대기, 발받침화, 신발 본체, 연결줄, 연결띠, 개폐수단, 연결고리, 길이조절구

Description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The baby wrapper for foot support shoes is had}
본 고안은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용 포대기의 멜빵부에 발받침화를 탈,장착 가능하게 연결시키게 됨으로 유아용 포대기에 업혀진 유아의 발을 넣어서 유아의 다리가 밑으로 쳐지지 않도록 받쳐주게 되어 다리에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포대기는 유아를 등에 업거나 가슴에 안고자 할 때 유아를 감싸는 상태로 하여 멜빵을 이용하여 어깨에 멜수 있도록 하므로서, 유아가 편안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유아를 업는 사람도 편안한 상태에서 보행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아용 포대기(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등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20)를 갖추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일체 또는 재봉에 의해 연장시켜 주되, 양측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태로 하여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30)를 갖추며,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머리받침부(40)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상단 양측과 받침부(30)의 양측 끝단에 각각 연결시켜 사용자의 어깨에 멜수 있도록 하는 멜빵부(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는 종래의 유아용 포대기(10)는 유아를 본체부(20)에 상체의 등 부분이 받쳐지는 상태로 하여 받침부(30)에 엉덩이가 얹혀지도록 하되, 유아의 다리는 상기 받침부(30)와 멜빵부(50) 사이로 빠져나오도록 하여 받침부(30)에 얹혀지게 되는 유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유아용 포대기를 사용자의 등 또는 가슴 방향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멜빵부(50)가 어깨에 걸쳐지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서, 유아를 편안한 상태에서 업거나 안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포대기는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얹혀지게 되는 받침부중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날개(31) 부분은 받침부에 유아가 앉혀지는 상태에서 다리가 외부로 빠짐에 따라 허벅지 부분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허벅지 부분에 압박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단순히 곡선형을 갖도록 임의 모양만을 갖고 있어 유아의 체중이 받침부의 연장날개에 걸쳐져 있는 다리의 허벅지 부분으로 가해지게 되어 다리의 통증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때 유아들은 의사전달이 가능하지 못해 아픔을 정확히 호소하지 못한 상태에서 업혀다니게 되었던 것이고, 포대기에 감싸인 상태에서 업혀 보행을 하게 되면 보행시 가해지는 흔들림에 의해 허벅지 부분이 연장날개에 쓸려 허물이 벗겨지게 되는 등의 아픔이 있음은 물론 다리에 압박이 가해지게 되여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유아용 포대기로 유아를 가슴에 안은 상태에서 유아의 다리가 밑으로 쳐지지 않게 무릎이 굽혀지도록 받쳐주게 됨으로 유아의 다리가 보호자와 유아용 포대기 사이에서 압박되지 않게 되어 다리 피부가 벗겨지게 되는 등의 상처를 예방할 수 있으면서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건강증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아용 포대기의 멜빵부에 연결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구로 고정되어 유아의 다리를 넣어 무릎이 굽혀지게 다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발받침화가 탈,장착 가능하게 형성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발받침화는 후면부에 유아의 다리를 발받침화 내부로 용이하게 넣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지퍼나 벨크로 테이프 등의 개폐수단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유아용 포대기의 멜빵부에 고정구로 탈,장착 가능하도록 발받침화를 연결시켜 유아의 발을 발받침화에 넣어서 유아용 포대기로 유아를 안게 됨으로 유아의 무릎이 굽혀진 상태에서 다리가 밑으로 쳐지지 않게 되어 유아의 다리에 압박이 가해지지 않아 신체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이루어 유아의 건강 을 해치지 않게 되며 그로 인해 보호자가 안심하고 유아를 안고 다닐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받침화가 적용된 유아용 포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발받침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받침화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받침화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발받침화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유아용 포대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유아의 등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110)와, 상기 등받이부(110)의 하부에는 일체 또는 재봉에 의해 연장시켜주되, 양측이 외측으로 벌어져 유아의 허벅지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연장날개(121)를 갖춘 상태에서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엉덩이 받침부(120)와, 상기 등받이부(110)의 상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머리받침부(130) 및 상기 등받이부(110)의 상단 양측과 엉덩이 받침부(120)의 양측 끝단에 각각 연결시켜 보호자의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하는 멜빵부(140)로 이루어진 유아용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포대기(100)의 멜빵부(140)의 어깨측 상단부에 연결고리(15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고리(150)에 고정구(231)로 탈,장착 가능하도록 발받침화(200)가 연결되어진다.
상기 발받침화(200)는 유아의 발을 넣게 되는 신발 본체(210)와, 상기 신발 본체(210)에 결착되어지는 연결줄(220)과, 상기 연결줄(220)에 감싸면서 상기 연결고리(150)에 연결되어 발받침화(200)를 멜빵부(140)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띠(230)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신발 본체(210)는 상부 양측에 연결편(211)이 형성되어지며, 후면부에 길이방향으로 유아의 발을 신발 본체(210) 내부로 용이하게 넣을 수 있도록 개폐수단(212)이 형성되어진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줄(220)의 일측 끝단은 연결편(211)에 결착되고, 연결줄(220)의 타측 끝단은 연결띠(23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띠(230)의 타측 끝단은 상기 연결고리(15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212)은 지퍼나 벨크로 테이프, 단추 등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신발 본체(210)의 내부 바닥면에는 신발 본체(210)에 넣어지는 유아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유아의 발을 보호할 수 있도록 쿠션 패드(240)가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신발 본체(210)는 유아의 무릎까지 덮을 수 있도록 하거나 발목까지 덮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줄(220)의 양쪽 끝단에는 상기 연결편(211)에 연결될 수 있도록 결착구(221)가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연결줄(220)의 외면에는 유아의 다리가 닿아서 상처를 주지 않도록 천 또는 쿠션 재질의 덮개(250)가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연결띠(230)의 끝단에는 상기 연결고리(150)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고 정구(231)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띠(230)의 외측면에는 상기 신발 본체(2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띠(23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는 길이조절구(232)가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연결띠(230)의 후면부에는 보호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쿠션 패드(241)가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100)는 유아를 등받이부(110)에 상체의 등 부분이 받쳐지는 상태로 하여 엉덩이 받침부(120)에 유아의 엉덩이가 얹혀지도록 하되, 유아의 다리는 상기 엉덩이 받침부(120)와 멜빵부(140) 사이로 빠져나오도록 하여 등받이부(110)에 얹혀지게 되는 유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100)를 보호자의 가슴 방향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멜빵부(140)가 어깨에 걸쳐지도록 하여 유아를 업게 된다.
이와 같이 유아용 포대기(100)에 유아를 앉힌 다음 본 고안에 따른 발받침화(200)의 신발 본체(210) 내에 유아의 발을 넣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신발 본체(210)에 지퍼나 벨크로 테이프 등의 개폐수단(2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신발 본체(210)에 유아의 발을 넣고 빼낼 때 상기 개폐수단(212)을 열어서 신발 본체(210)를 벌어지게 하여 보호자가 유아의 발을 간편하게 상기 신발 본체(210)로 넣고 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신발 본체(210) 내에 유아의 다리가 들어가게 되면 상기 개폐수단(212)을 닫아서 유아의 다리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신발 본체(210)에 유아의 다리가 들어가게 되면 상기 신발 본체(210)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편(211)에 상기 결착구(221)를 결착시켜 연결줄(220)의 양쪽 끝을 신발 본체(210)에 고정시키며, 상기 연결줄(220)에 감싸면서 연결되어지는 연결띠(230)에 형성된 고정구(231)를 상기 멜빵부(140)에 형성된 연결고리(150)에 걸어서 상기 연결띠(230)를 멜빵부(140)에 고정시켜 상기 발받침화(200)를 유아용 포대기(100)의 멜빵부(140)에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발받침화(200)를 멜빵부(140)의 연결고리(150)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게 됨으로 상기 발받침화(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멜빵부(140)로부터 발받침화(200)를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신발 본체(210) 내에 큐션 패드(240)가 형성되어지게 됨으로 상기 신발 본체(210)에 들어가는 유아의 발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최대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줄(220)의 외면에 형성된 덮개(250) 또는 상기 연결띠(230)에 형성된 쿠션 패드(241)에 의해 유아는 물론 보호자의 신체에 상처를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띠(230)에 길이조절구(2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길이조절구(232)에 의해 연결띠(230)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유아의 다리 길이 등의 신체 조건에 최대한 맞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100)로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상기 발받침화(200)에 유아의 다리를 넣게 되고 상기 발받침화(200)를 멜빵부(140)에 연결시키게 되면 상기 발받침화(200)가 유아의 다리를 받쳐주게 됨과 아울러 유아의 무릎을 굽혀주게 되어 유아용 포대기(100)와 보호자 사이에서 유아의 다리가 압박을 받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유아용 포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받침화가 적용된 유아용 포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발받침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받침화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받침화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발받침화가 장착된 상태에서 유아용 포대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아용 포대기 110 : 등받이부
120 : 엉덩이 받침부 121 : 연장날개
130 : 머리받침부 140 : 멜빵부
150 : 연결고리 200 : 발받침화
210 : 신발 본체 211 : 연결편
212 : 개폐수단 220 : 연결줄
221 : 결착구 230 : 연결띠
231 : 고정구 232 : 길이조절구
240,241 : 쿠션 패드 250 : 덮개

Claims (9)

  1. 삭제
  2. 유아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110)의 상단 양측과 엉덩이를 받쳐주는 엉덩이 받침부(120)의 양측 끝단에 각각 연결시켜 유아 보호자의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하는 멜빵부(140)가 포함된 유아용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멜빵부(140)의 어깨측 상단부에 연결고리(15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고리(150)에 고정구(231)로 탈, 장착이 가능하도록 발받침화(200)가 연결띠(230) 및 연결줄(22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발받침화(200)는 유아의 발을 넣게 되는 신발 본체(210)와 상기 신발 본체(210)의 상부 양측에 연결편(211)과 유아의 발을 상기 신발본체(210) 내부로 용이하게 넣을 수 있는 개폐수단(212)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줄(220)의 일측 끝단은 상기 연결편(211)에 결착되고, 상기 연결줄(220)의 타측 끝단은 상기 연결띠(23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띠(230)의 타측 끝단은 상기 연결고리(150)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띠(230)에는 유아를 앉힌 상태에서 유아의 발이 밑으로 쳐지지 않도록 신발 본체(2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띠(2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구(232)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줄(220)의 외면에는 유아의 다리가 닿아서 상처를 주지 않도록 천 또는 쿠션 재질의 덮개(2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띠(230)의 후면부에는 보호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쿠션 패드(241)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KR2020090009138U 2009-07-14 2009-07-14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KR200448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138U KR200448684Y1 (ko) 2009-07-14 2009-07-14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CN2009202792620U CN201528667U (zh) 2009-07-14 2009-11-17 具备垫脚靴的幼儿用褓
US12/620,919 US20110011902A1 (en) 2009-07-14 2009-11-18 Baby sling with foot support shoes
JP2010001705U JP3160559U (ja) 2009-07-14 2010-03-16 足支え靴が備わった幼児用抱っこ紐
PCT/KR2010/003880 WO2011007962A2 (ko) 2009-07-14 2010-06-16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138U KR200448684Y1 (ko) 2009-07-14 2009-07-14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684Y1 true KR200448684Y1 (ko) 2010-05-07

Family

ID=4252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138U KR200448684Y1 (ko) 2009-07-14 2009-07-14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8684Y1 (ko)
CN (1) CN20152866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609Y1 (ko) * 2011-02-16 2012-07-25 임동규 아기띠용 발받침화 및 이를 구비한 아기띠
EP3708034A1 (de) * 2019-03-12 2020-09-16 Eckmayr, Ernst Sitzscha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2538A (zh) * 2014-05-04 2014-07-23 曹石鼓 婴幼儿下肢支撑件以及可支撑婴幼儿下肢的穿戴式婴幼儿携带装置
US10264894B2 (en) * 2017-02-10 2019-04-23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102Y1 (ko) * 2001-04-27 2001-10-12 강승구 방한부재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
KR200335689Y1 (ko) * 2003-07-04 2003-12-11 이준홍 아기 포대기
KR20080002221U (ko) * 2006-12-22 2008-06-26 이상도 안전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102Y1 (ko) * 2001-04-27 2001-10-12 강승구 방한부재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
KR200335689Y1 (ko) * 2003-07-04 2003-12-11 이준홍 아기 포대기
KR20080002221U (ko) * 2006-12-22 2008-06-26 이상도 안전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609Y1 (ko) * 2011-02-16 2012-07-25 임동규 아기띠용 발받침화 및 이를 구비한 아기띠
EP3708034A1 (de) * 2019-03-12 2020-09-16 Eckmayr, Ernst Sitzscha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528667U (zh) 201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651Y1 (ko) 유아용 힙시트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JP5444575B1 (ja) 人体吊上げ用ハーネス
JP3160559U (ja) 足支え靴が備わった幼児用抱っこ紐
KR200448684Y1 (ko)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CN202335647U (zh) 一种学步带
KR200312695Y1 (ko) 조끼형 아기포대기
CN111631881A (zh) 一种移位机的人体承托装置及移位机
JPH08103458A (ja) 身体装着用バンド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RU11998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носки ребенка
JP3145902U (ja) 乳幼児用キャリア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KR200475857Y1 (ko) 의료용 지지대
KR20090012560U (ko) 유아용 포대기
KR20160046224A (ko) 유아용 캐리어
KR200430691Y1 (ko) 유아용 포대기
KR200167674Y1 (ko) 유아용 포대기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JP3079903U (ja) 抱っこ用と背負い用に変更し得る子守帯
KR200487262Y1 (ko) 유아용 포대기
CN211379653U (zh) 一种婴儿襁褓保暖被
CN208910642U (zh) 用于约束下肢的组合固定带
KR101764566B1 (ko) 아기띠
KR200291529Y1 (ko) 아기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