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560U - 유아용 포대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560U
KR20090012560U KR2020080007441U KR20080007441U KR20090012560U KR 20090012560 U KR20090012560 U KR 20090012560U KR 2020080007441 U KR2020080007441 U KR 2020080007441U KR 20080007441 U KR20080007441 U KR 20080007441U KR 20090012560 U KR20090012560 U KR 200900125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element
infant
backrest
cov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자
Original Assignee
오성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자 filed Critical 오성자
Priority to KR2020080007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560U/ko
Publication of KR200900125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5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05Fastening of press-button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의 머리를 받치는 받침대와 유아의 두부를 감쌀 수 있도록 된 덮개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유아용 소품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소품가방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등받이부(2)와; 연장날개(3)를 갖춘 받침부(4)와; 어깨멜빵(5)과, 허리멜빵(6)을 가지는 통상의 유아용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의 상부에는 머리받침판(7) 및/또는 덮개(8)가 탈부착되도록 고정하며 도트단추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요소(9)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어깨멜빵(5)에 구비된 고리(10)와 상기 덮개(8) 및 머리받침판(7)의 양측단에서 연장형성되며 종단에 도트단추(11)가 구비되어 상기 고리(10)에 체결되도록하는 연장끈(11)으로 이루어진 제2고정요소(12)가 구비되어 제1고정요소(9)와 제2고정요소(12)를 통해 상기 등받이부(2)의 상부에 머리받침판(7) 및 덮개(8)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2)의 일부 면적은 그물망(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물망(13)의 테두리부위와 소품가방(14)에는 지퍼로 이루어지는 제3고정요소가 마련되는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한다.
포대기, 멜빵포대기, 소품가방, 유아용포대기, 유아.

Description

유아용 포대기{A wadded baby wrapper}
본 고안은 유아를 업거나 안고서 보행 및/또는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머리를 받치는 받침대와 유아의 두부를 감쌀 수 있도록 된 덮개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유아용 소품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소품가방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된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아용 포대기는 유아를 감싸는 천의 양단에 묶음끈이 연결된 기본적인 구조로서 끈의 길이가 길면 유아를 감싸면서 묶으므로 안전하고 묶음 역시 편하지만 긴 끈은 땅에 질질 끌리므로 쉬이 더러워져 비위생적이고 밟히므로 넘어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주위 사람들의 도움없이 혼자만의 힘과 요령으로 유아를 업거나 앞으로 안아 매기가 어려웠다. 특히 핵가족 시대에 이르는 요즘은 도와줄 사람이 없으므로 어머니 혼자서 유아를 업거나 안다가 유아가 낙상하여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유아용 포대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자에 제안된 것이 조끼형태의 포대기이다. 상기의 조끼형태의 포대기는 등받이의 양측에 어깨벨트가 고정되고 하부에 엉덩이받침이 형성되며, 등받이의 상측에는 머리받침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경험이 없는 보호자도 손쉽게 아기를 업거나 안을 수 있고,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머리받침은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포대기들은 유아의 머리를 받치는 받침대만 결합되어 있어, 유아의 두부를 감쌀 수 있도록 된 덮개는 이용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설사 상기 머리받침 대신에 등받이에 덮개가 결합된 경우에는 유아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기능은 사용을 하지 못하는 등 선택의 제한이 있어, 그 기능이 제한되어 있는 문제점 있고, 유아용 소품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소품가방을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문제점 또한 있으며, 설사 등받이에 소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주머니가 부설된 경우에는 보관주머니로 인하여 통풍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보관주머니가 불필요할 때 선택적으로 제거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의 머리를 받치는 받침대와 유아의 두부를 감쌀 수 있도록 된 덮개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유아용 소품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소품가방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을 할 수 있으며, 통풍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유아에서 발생되는 체온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된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유아용 손잡이는 유 아의 등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하부에는 양측이 외측으로 벌어져 허벅지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하는 연장날개를 갖춘 상태에서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 양측과 등받이부의 측부를 연결하는 어깨멜빵과, 받침부의 양측 끝단을 연결시켜 사용자의 허리에 멜 수 있도록 된 허리멜빵을 가지는 유아용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는 머리받침판 및/또는 덮개가 탈부착되도록 고정하며 도트단추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요소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어깨멜빵에 구비된 고리와 상기 덮개 및 머리받침판의 양측단에서 연장형성되며 종단에 도트단추가 구비되어 상기 고리에 체결되도록하는 연장끈으로 이루어진 제2고정요소가 구비되어 제1고정요소와 제2고정요소를 통해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머리받침판 및 덮개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의 일부 면적은 그물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물망의 테두리부위와 소품가방에는 지퍼로 이루어지는 제3고정요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유아용 포대기는 유아의 머리를 받치는 받침대와 유아의 두부를 감쌀 수 있도록 된 덮개를 선택적으로 등받이부의 상부에 교체하여 고정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을 할 수 있으며, 유아용 소품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소품가방을 등받이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물망을 통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유아에서 발산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포대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포대기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유아용 포대기(1)는 유아의 등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2)와; 상기 등받이부(2)의 하부에는 양측이 외측으로 벌어져 허벅지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하는 연장날개(3)를 갖춘 상태에서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4)와; 상기 등받이부(2)의 상단 양측과 등받이부(2)의 측부를 연결하는 어깨멜빵(5)과, 받침부(4)의 양측 끝단을 연결시켜 사용자의 허리에 멜 수 있도록 된 허리멜빵(6)을 가지는 유아용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의 상부에는 머리받침판(7) 및/또는 덮개(8)가 탈부착되도록 고정하며 도트단추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요소(9)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어깨멜빵(5)에 구비된 고리(10)와 상기 덮개(8) 및 머리받침판(7)의 양측단에서 연장형성되며 종단에 도트단추(11)가 구비되어 상기 고리(10)에 체결되도록하는 연장끈(11)으로 이루어진 제2고정요소(12)가 구비되어 제1고정요소(9)와 제2고정요소(12)를 통해 상기 등받이부(2)의 상부에 머리받침판(7) 및 덮개(8)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2)의 일부 면적은 그물망(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물망(13)의 테두리부위와 소품가방(14)에는 지퍼로 이루어지는 제3고정요소(15)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제1고정요소(9)는 등받이부(2)의 상부와 덮개(8) 및 머리받침판(7) 에 구비된 암도투단추(16)와 숫도트단추(17)로 이루어져 있어, 각각 도트체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3고정요소(15)는 상기 그물망(13)의 테두리에 구비된 제1지퍼이빨(18)과 상기 소품가방(14)에 마련되며 상기 제1지퍼이빨(18)과 대응하여 지퍼체결되는 제2지퍼이빨(19)을 가지며 지퍼체(20)로 상기 제1지퍼이빨(18)과 제2지퍼이빨(19)을 지퍼결합되도록 하여 소품가방(14)이 등받이부(2)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3고정요소(15) 이외에 도트단추(21)들을 등받이부(2)와 소품가방(14)에 부설하여 도트체결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퍼로 결합됨은 물론 도트단추 또한 동시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제3고정요소(15)는 소품가방(14)과 등받이부(2)와의 결합시에 상부가 개방되도록 되어 그물망(13)을 통해 방출되는 유아의 체온열이 상기 개방되는 부위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유아용 포대기(1)는 유아를 안거나 업어서 이동을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유아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판(7)과 유아의 두부를 감쌀 수 있도록 된 덮개(8)를 선택하여 등받이부(2)의 상부에 교체하여 고정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을 할 수 있으며, 유아용 소품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소품가방(14)을 등받이부(2)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유아의 머리를 받치거나 유아의 머리를 덮어서 보호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머리받침판(7)이나 덮개(8)는 상기한 제1 및 제2고정요소(9)(12)에 의해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소품가방(14)을 제3고정요소(15)를 통해 등받이부(2)에 고정하여 간편하게 유아의 소품을 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소품가방(14)의 불필요시에는 제3고정요소(15)를 해제하여 소품가방(14)을 등받이부(2)에서 이탈시켜 간편하게 유아를 업거나 안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그물망(13)을 통해 유아의 체온열을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되어 있어 유아의 건강을 챙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그물망(13)이 등받이부(2)에 결합되는 소품가방(14)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더라도 등받이부(2)와 소풍가방(14)의 결합된 상부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어, 유아의 체온열이 그물망(13)과 개방된 상기 등받이부(2)와 소풍가방(14)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포대기는 등받이부에 머리받침과 덮개를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소품가방을 등받이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있고, 통풍이 용이하도록 등받이부의 일부가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임을 부언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포대기를 보인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동 결합 사시 예시도,
도 3은 동 측면 예시도,
도 4는 일 부 확대 단면 예시도,
도 5는 또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 예시도,
[도면 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대기, 2 : 등받이부,
3 : 연장날개, 4 : 받침부,
5 : 어깨멜빵, 6 : 허리멜빵,
7 : 머리받침판, 8 : 덮개,
9 : 제1고정요소, 10 : 고리,
11 : 연장끈, 12 : 제2고정요소,
13 : 그물망, 14 : 소품가방,
15 : 제3고정요소, 16 : 암도투단추,
17 : 숫도트단추, 18 : 제1지퍼이빨,
19 : 제2지퍼이빨, 20 : 지퍼체,
21 : 도트단추.

Claims (2)

  1. 유아의 등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2)와; 상기 등받이부(2)의 하부에는 양측이 외측으로 벌어져 허벅지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하는 연장날개(3)를 갖춘 상태에서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4)와; 상기 등받이부(2)의 상단 양측과 등받이부(2)의 측부를 연결하는 어깨멜빵(5)과, 받침부(4)의 양측 끝단을 연결시켜 사용자의 허리에 멜 수 있도록 된 허리멜빵(6)을 가지는 유아용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의 상부에는 머리받침판(7) 및/또는 덮개(8)가 탈부착되도록 고정하며 도트단추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요소(9)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어깨멜빵(5)에 구비된 고리(10)와 상기 덮개(8) 및 머리받침판(7)의 양측단에서 연장형성되며 종단에 도트단추(11)가 구비되어 상기 고리(10)에 체결되도록하는 연장끈(11)으로 이루어진 제2고정요소(12)가 구비되어 제1고정요소(9)와 제2고정요소(12)를 통해 상기 등받이부(2)의 상부에 머리받침판(7) 및 덮개(8)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2)의 일부 면적은 그물망(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물망(13)의 테두리부위와 소품가방(14)에는 지퍼로 이루어지는 제3고정요소(15)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3고정요소(15)는 상기 그물망(13)의 테두리에 구비된 제1지퍼이빨(18)과 상기 소품가방(14)에 마련되며 상기 제1지퍼이빨(18)과 대응하여 지퍼체결되는 제2지퍼이빨(19)을 가지며 지퍼체(20)로 상기 제1지퍼이빨(18)과 제2지퍼이빨(19)을 지퍼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KR2020080007441U 2008-06-04 2008-06-04 유아용 포대기 KR200900125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441U KR20090012560U (ko) 2008-06-04 2008-06-04 유아용 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441U KR20090012560U (ko) 2008-06-04 2008-06-04 유아용 포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560U true KR20090012560U (ko) 2009-12-09

Family

ID=4929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441U KR20090012560U (ko) 2008-06-04 2008-06-04 유아용 포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56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349B1 (ko) * 2014-01-08 2014-09-05 주식회사 써밋트시스템 인체 근육에 밀착되어 착용하는 다용도 거치대
EP2873350A1 (de) * 2013-11-15 2015-05-20 Lewon Schaarschmidt Kleinkind- und Babytrage und Verlängerungselement zur Verwendung als Bestandteil einer Kleinkind- und Babytrage
US9877596B2 (en) 2014-03-28 2018-01-30 Lewon Schaarschmidt Small child and baby carri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73350A1 (de) * 2013-11-15 2015-05-20 Lewon Schaarschmidt Kleinkind- und Babytrage und Verlängerungselement zur Verwendung als Bestandteil einer Kleinkind- und Babytrage
US9565951B2 (en) 2013-11-15 2017-02-14 Lewon Schaarschmidt Small child and baby carrier and extension element for the use as a part of a small child and baby carrier
KR101436349B1 (ko) * 2014-01-08 2014-09-05 주식회사 써밋트시스템 인체 근육에 밀착되어 착용하는 다용도 거치대
US9877596B2 (en) 2014-03-28 2018-01-30 Lewon Schaarschmidt Small child and baby carr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00402T3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KR200450651Y1 (ko) 유아용 힙시트
US20110062195A1 (en) Child carrier with removable liner
KR101829876B1 (ko) 유아용 캐리어
US20050022284A1 (en) Garment for preventing a baby from rolling over
JP2010524605A5 (ko)
JP2001137082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US10004278B2 (en) Baby handling device
KR20110018064A (ko)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KR200476693Y1 (ko) 유아용 아기띠
US20120074182A1 (en) Mother's helper baby sling
JP2010517666A (ja) 幼児用キャリーハーネス
KR101922307B1 (ko) 영아용 속싸개
KR101453460B1 (ko)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KR20090012560U (ko) 유아용 포대기
KR101853353B1 (ko) 휴대용 기저귀 교환대 겸용 아기띠
KR200448684Y1 (ko)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KR20100007076U (ko) 유아용 포대기
KR20100044985A (ko) 아기띠
KR200473837Y1 (ko) 허리 보호용 아기 포대기
KR200345164Y1 (ko) 조끼형 아기 포대기
JP3925923B2 (ja) 乳幼児用スリング
WO2006103771A1 (ja) 介護具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