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691Y1 - 유아용 포대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691Y1
KR200430691Y1 KR2020060022735U KR20060022735U KR200430691Y1 KR 200430691 Y1 KR200430691 Y1 KR 200430691Y1 KR 2020060022735 U KR2020060022735 U KR 2020060022735U KR 20060022735 U KR20060022735 U KR 20060022735U KR 200430691 Y1 KR200430691 Y1 KR 200430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thigh
main body
side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태섭
오성자
Original Assignee
현태섭
오성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태섭, 오성자 filed Critical 현태섭
Priority to KR2020060022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6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6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대기내에 감싸지는 유아의 다리인 허벅지 부분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상기 허벅지가 쓸리거나 눌리는 현상이 없는 상태에서 취급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유아의 등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일체 또는 재봉에 의해 연장시켜 주되, 양측이 외측으로 벌어져 허벅지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연장날개를 갖춘 상태에서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머리받침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양측과 받침부의 양측 끝단에 각각 연결시켜 사용자의 어깨에 멜수 있도록 하는 멜빵부로 이루어지는 유아용 포대기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받침부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날개의 상단부 내측으로 허벅지 부분을 감싸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허벅지삽입부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포대기{Wadded baby wrapper for infant}
도 1 은 종래 유아용 포대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유아용 포대기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유아용 포대기 20:본체부
30:받침부 31:연장날개
40:머리받침부 50:멜빵부
60:허벅지삽입부 70:쿠션요소
본 고안은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대기내에 감싸지는 유아의 다리인 허벅지 부분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상기 허벅지가 쓸리거나 눌리는 현상이 없는 상태에서 취급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포대기는 유아를 등에 업거나 가슴에 안고자 할 때 유아를 감싸는 상태로 하여 멜빵을 이용하여 어깨에 멜수 있도록 하므로서, 유아가 편 안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유아를 업는 사람도 편안한 상태에서 보행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유아용 포대기(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등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20)를 갖추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일체 또는 재봉에 의해 연장시켜 주되, 양측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태로 하여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30)를 갖추며,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머리받침부(40)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상단 양측과 받침부(30)의 양측 끝단에 각각 연결시켜 사용자의 어깨에 멜수 있도록 하는 멜빵부(5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는 종래의 유아용 포대기(10)는 유아를 본체부(20)에 상체의 등 부분이 받쳐지는 상태로 하여 받침부(30)에 엉덩이가 얹혀지도록 하되, 유아의 다리는 상기 받침부(30)와 멜빵부(50) 사이로 빠져나오도록 하여 받침부(30)에 얹혀지게 되는 유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유아용 포대기를 사용자의 등 또는 가슴 방향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멜빵부(50)가 어깨에 걸쳐지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서, 유아를 편안한 상태에서 업거나 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포대기는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얹혀지게 되는 받침부중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날개(31) 부분은 받침부에 유아가 앉혀지는 상태에서 다리가 외부로 빠짐에 따라 허벅지 부분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허벅지 부분에 압박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단순히 곡선형을 갖도록 임의 모양만을 갖고 있어 유아의 체중이 받침부의 연장날개에 걸쳐져 있는 다리의 허벅지 부분으로 가해지게 되어 다리의 통증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때 유아들은 의사전달이 가능하지 못해 아픔을 정확히 호소하지 못한 상태에서 업혀다니게 되었던 것이고, 포대기에 감싸인 상태에서 업혀 보행을 하게 되면 보행시 가해지는 흔들림에 의해 허벅지 부분이 연장날개에 쓸려 허물이 벗겨지게 되는 등의 아픔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의 다리인 허벅지 부분이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연장날개 부분에 허벅지 부분이 삽입되어 다리가 필요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허벅지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위의 외주연에 쿠션요소를 갖추어 상기 쿠션요소에 의해 체중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박감을 최소화시켜 압박감에 의한 통증을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해 발가락까지 혈액순환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허벅지 부분이 연장날개의 외주연으로부터 쓸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허물이 벗겨지는 현상이 없는 상태에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아의 등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일체 또는 재봉에 의해 연장시켜 주되, 양측이 외측으로 벌어져 허벅지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연장날개를 갖춘 상태에서 유아 의 엉덩이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머리받침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양측과 받침부의 양측 끝단에 각각 연결시켜 사용자의 어깨에 멜수 있도록 하는 멜빵부로 이루어지는 유아용 포대기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받침부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날개의 상단부 내측으로 허벅지 부분을 감싸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허벅지삽입부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허벅지삽입부의 외주연에 감싸져 재봉되는 마감재의 내부에는 쿠션요소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되어 있는 유아용 포대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 설명의 편의상 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 부호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인 유아용 포대기(10)는 유아의 등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일체 또는 재봉에 의해 연장시켜 주되, 양측이 외측으로 벌어져 허벅지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연장날개(31)를 갖춘 상태에서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30)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머리받침부(40)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 양측과 받침부(30)의 양측 끝단에 각각 연결시켜 사용자의 어깨에 멜수 있도록 하는 멜빵부(5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유아용 포대기(10)는 유아를 본체부(20)에 상체의 등 부분이 받쳐지는 상태로 하여 받침부(30)에 엉덩이가 얹혀지도록 하되, 유아의 다리는 상기 받침부(30)와 멜빵부(50) 사이로 빠져나오도록 하여 받침부(30)에 얹혀지게 되는 유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유아용 포대기를 사용자의 등 또는 가슴 방향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멜빵부(50)가 어깨에 걸쳐지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서, 유아를 편안한 상태에서 업거나 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유아용 포대기(10)의 구성과 사용상태는 종래와 동일한 것이며, 다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받침부(3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날개(31)의 상단부 내측으로 허벅지 부분을 감싸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허벅지와 유사한 형상 모양을 갖는 허벅지삽입부(60)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허벅지삽입부(60)의 외주연에 감싸져 재봉되는 마감재(32)의 내부에는 쿠션요소(70)를 내삽시켜 주므로서, 상기 쿠션요소의 쿠션력에 의해 허벅지삽입부의 외주연에 접하게 되는 허벅지가 체중에 의해 눌림에 따라 가해지는 압박감을 최소화시켜 주므로서, 압박감에 의한 통증이 없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해 다리의 하부인 발가락에까지 혈액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쿠션요소에 의해 허벅지 부분의 압박감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허벅지 부분의 피부가 쓸려 벗겨지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받침부에 유아의 엉덩이가 받쳐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의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리를 걸쳐줄 수 있도록 하는 연장날개에 허벅지 부분이 끼워지는 상태로 걸쳐질 수 있도록 허벅지 형상과 유사하도록 허벅지삽입부를 형성시켜 상기 허벅지삽입부에 허벅지 부분이 감싸지는 상태로 삽입 걸쳐지도록 하여 연장날개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다리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이로인해 허벅지 부분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최소화시켜 주므로서, 유아가 다리의 통증이 없는 상태에서 업히도록 하여 장시간 포대기를 이용하여 업히더라도 체중에 의해 허벅지 부분이 연장날개의 외주연에 눌리는 압박감이 없어 편안한 상태에서 업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또한 상기와 같이 연장날개의 외주연에 허벅지가 눌리는 압박감이 줄어들어 압박감에 의한 통증이 없으며, 상기 압박감이 줄어 들므로서, 혈액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허벅지 부분이 위치하게 되는 허벅지삽입부의 테두리 부분에는 쿠션요소가 내삽된 마감재를 재봉시켜 주고 있어 상기 쿠션요소에 의해 압박감을 줄여 줌은 물론, 허벅지가 쓸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허물이 벗겨지는 일이 없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유아의 등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일체 또는 재봉에 의해 연장시켜 주되, 양측이 외측으로 벌어져 허벅지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연장날개를 갖춘 상태에서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머리받침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양측과 받침부의 양측 끝단에 각각 연결시켜 사용자의 어깨에 멜수 있도록 하는 멜빵부로 이루어지는 유아용 포대기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받침부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날개의 상단부 내측으로 허벅지 부분을 감싸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허벅지삽입부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삽입부의 외주연에 감싸져 재봉되는 마감재의 내부에는 쿠션요소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KR2020060022735U 2006-08-24 2006-08-24 유아용 포대기 KR200430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735U KR200430691Y1 (ko) 2006-08-24 2006-08-24 유아용 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735U KR200430691Y1 (ko) 2006-08-24 2006-08-24 유아용 포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691Y1 true KR200430691Y1 (ko) 2006-11-13

Family

ID=4177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735U KR200430691Y1 (ko) 2006-08-24 2006-08-24 유아용 포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6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5348B2 (en) Orthotic liner
CN111110481B (zh) 用于移乘器的安全绑带、身体防护结构以及移乘器
JP3160559U (ja) 足支え靴が備わった幼児用抱っこ紐
KR200448684Y1 (ko)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CN108289745B (zh) 假肢筒保持设备以及包括假肢筒和假肢筒保持设备的系统
KR200430691Y1 (ko) 유아용 포대기
KR101737588B1 (ko) 자세 교정용 침구류 패키지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CN109996523B (zh) 移乘协助、起立协助等辅助工具
JPWO2014073025A1 (ja) 抱きかかえ補助具
JP6682211B2 (ja) 上肢サポート用クッション
KR20160046224A (ko) 유아용 캐리어
JP2007244426A (ja) 介護補助具
CN211460993U (zh) 模拟子宫体位器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JP3079903U (ja) 抱っこ用と背負い用に変更し得る子守帯
CN209916302U (zh) 颈椎康复器械
CN216754845U (zh) 一种电动移位机用的臀托
KR200167674Y1 (ko) 유아용 포대기
CN209750614U (zh) 利于手臂休息的颈椎康复器械
JP3782439B1 (ja) 脚枕
KR200487262Y1 (ko) 유아용 포대기
CN210612305U (zh) 用于健身康复牵引床的腰腿套
CN209965928U (zh) 一种多用枕头
CN208910642U (zh) 用于约束下肢的组合固定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