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813U - 절삭유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절삭유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813U
KR20200000813U KR2020180004695U KR20180004695U KR20200000813U KR 20200000813 U KR20200000813 U KR 20200000813U KR 2020180004695 U KR2020180004695 U KR 2020180004695U KR 20180004695 U KR20180004695 U KR 20180004695U KR 20200000813 U KR20200000813 U KR 202000008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oil
valve device
coolant
po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우
Original Assignee
정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우 filed Critical 정윤우
Priority to KR2020180004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813U/ko
Publication of KR202000008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 가공에 이용된 폐절삭유를 흡입해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여과처리하는 절삭유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는, 내부에 절삭유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에 구비되어 절삭유의 유동 경로를 조절하는 밸브장치와, 밸브장치의 제1 포트부에 연결되는 호스부와, 밸브장치의 제2 포트부에 연결되며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여 흡입된 폐절삭유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부와, 밸브장치의 제3 포트부에 연결되며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여 여과처리된 절삭유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이용되는 배출부와, 본체부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장치는 조작레버의 조작에 따라 제1 포트부와 제2 포트부가 연통하는 상태와 제1 포트부와 제3 포트부가 연통하는 상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호스부는 폐절삭유의 유입 경로 및 여과처리된 절삭유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절삭유 여과장치{Filtering Device for cutting oil}
본 고안은 공작물을 기계 가공하는데 이용된 절삭유를 여과해 재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절삭유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면서 다양한 공작기계의 폐절삭유를 용이하게 여과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삭유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밀링, 선반, 머시닝 센터 등의 공작기계를 이용해 공작물을 기계가공하는 경우, 절삭 공구와 공작물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열에 인해 공작물이 원하는 치수 및 형상으로 가공되지 않거나 절삭 공구가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삭 부위에는 절삭유(cutting oil)가 공급되면서 가공이 수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절삭 부위에 공급된 절삭유는 공작기계의 하부에 배치된 용기 등으로 낙하하여 모이게 되는데, 절삭 부위에 공급되어 사용된 폐절삭유에는 공작물로부터 절삭된 칩(chip) 등이 함께 포함되어 있어 다른 절삭 가공에 다시 이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폐절삭유는 작업자가 삽이나 넉가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해 용기로부터 절삭유를 퍼서 폐기통에 버리는 방식으로 주로 처리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재래식 처리 방식은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한번 사용한 절삭유를 모두 폐기해 버리게 되어 비용 면에서도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폐절삭유를 여과해 재사용하는 방안을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알려진 절삭유 여과장치는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비용이 높아 질 뿐만 아니라, 공작 기계에 고정되어 장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 편의성도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73303호 (등록일: 2014.12.10.)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가공에 이용된 폐절삭유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해 절삭유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삭유 여과장치로 보다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면서 다양한 공작기계로부터 폐절삭유를 쉽게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삭유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 가공에 이용된 폐절삭유를 흡입해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여과처리하는 절삭유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는, 내부에 절삭유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에 구비되어 절삭유의 유동 경로를 조절하는 밸브장치와, 밸브장치의 제1 포트부에 연결되는 호스부와, 밸브장치의 제2 포트부에 연결되며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여 흡입된 폐절삭유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부와, 밸브장치의 제3 포트부에 연결되며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여 여과처리된 절삭유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이용되는 배출부와, 본체부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장치는 조작레버의 조작에 따라 제1 포트부와 제2 포트부가 연통하는 상태와 제1 포트부와 제3 포트부가 연통하는 상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호스부는 폐절삭유의 유입 경로 및 여과처리된 절삭유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장치에 연결되는 호스부, 여과부, 배출부 중 하나 이상은 커플러 결합 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장치는 황동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부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메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부는 스테인리스 강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유 여과장치를 지지해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운반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는 폐절삭유를 흡입해 여과부를 통해 폐절삭유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폐절삭유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폐절삭유를 용이하게 처리하고 절삭유 사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는 본체부에 여과부, 배출부, 호스부가 연결되는 밸브장치와 본체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압장치가 구비된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는 여과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예컨대, 절삭 가공시 발생하는 칩의 크기에 따라 그에 맞는 크기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여과부를 장착함) 다양한 장비 및 공정조건에서 여과장치의 이용이 가능하며, 운반부를 통해 절삭유 여과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이용할 수 있어 다양한 기계장치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는 본체부의 덮개부를 분리해 여과부 내에 모인 칩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여과부의 반복 사용이 가능해 사용성 및 비용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의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의 내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의 평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에서 상호 연결되는 부재의 연결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의 운반부의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이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 및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10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100)는 공작물의 기계 가공에 이용된 폐절삭유를 여과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100)는 절삭유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본체부(200), 폐절삭유 및 여과처리된 절삭유의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장치(300), 밸브장치(300)에 연결되어 폐절삭유 및 여과처리된 절삭유의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호스부(400), 본체부(200) 내에 장착되어 흡입된 폐절삭유를 여과처리하는 여과부(500), 여과 처리된 절삭유를 배출하는 배출부(600), 폐절삭유의 흡입 및 여과된 절삭유의 배출을 위해 본체부(2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압장치(7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200)는 절삭유 여과장치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절삭유가 저장될 수 있는 빈 공간부가 구비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갖는 드럼통 형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200)는 측면 및 바닥면을 형성하는 몸통부(210)와 몸통부(210)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220)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부(220)는 몸통부(210)에 대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220)와 몸통부(210)의 결합부위에는 밀봉 구조(미도시)가 구비되어 본체부(200)의 내외부가 유체기밀식으로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200)는 폐절삭유의 흡입 및 여과 처리된 절삭유의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압장치(700)를 통해 내부 압력이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압력의 변동에도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체부(200)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의 드럼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유 여과장치(100)에는 폐절삭유 및 여과처리된 절삭유의 유동 경로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밸브장치(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덮개부(220) 상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장치(300)는 후술하는 호스부(400)를 통해 유입된 폐절삭유가 본체부(200) 내부의 여과부(500)로 이동하거나 여과부(500)에서 여과처리되어 본체부(200) 내에 저장된 절삭유가 배출부(6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체의 유동 경로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밸브장치(300)는 복수의 포트부[예컨대, 제1 포트부(310), 제2 포트부(320) 및 제3 포트부(330)]를 구비해 후술하는 호스부(400), 여과부(500), 배출부(600)가 서로 다른 포트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장치(300)의 제1 포트부(310)에는 호스부(400)가 연결되고, 제2 포트부(320)에는 여과부(500)가 유체 연결되고, 제3 포트부(400)에는 배출부(600)가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장치(300)는 조작레버(340)를 통해 내부의 유동 경로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밸브장치(300)는 조작레버(34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호스부(400)와 연결되는 제1 포트부(310)와 여과부(500)와 연결되는 제2 포트부(320)가 연통되어 폐절삭유가 외부로부터 본체부(20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고, 조작레버(340)를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호스부(400)와 연결되는 제1 포트부(310)와 배출부(600)와 연결되는 제3 포트부(330)가 연통되어 본체부(20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여과처리된 절삭유가 본체부(200)로부터 외추로 배출될 수 있는 유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장치(300)는 3방향 밸브와 같은 다양한 방향전환 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밸브장치(300)의 내부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통상의 방향전환 밸브는 일반적으로 PVC 재질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나, PVC 재질은 유류를 포함하는 비수용성 절삭유에는 취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100)에서는 수용성 절삭유를 취급하는 산업 현장과 비수용성 절삭유를 취급하는 산업 현장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황동 재질로 밸브장치(300)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장치(300)의 제1 포트부(310)에는 호스부(400)가 연결될 수 있다. 호스부(400)는 절삭 가공에 이용된 폐절삭유를 절삭유 여과장치(100)의 본체부(200) 내로 이동시키고 여과처리되어 본체부(2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절삭유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절삭유의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100)의 경우에는 호스부(400)를 통해 유동되는 폐절삭유에 절삭 가공시 발생된 날카로운 칩(chip) 등의 이물질이 함께 포함되어 유동하게 되므로 상당한 강성을 가지며, 나아가 각종 기계 장치가 복잡하게 설치된 산업 형상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상당한 가요성(flexibl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호스부(400)는 상당한 강성을 갖는 가요성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유 여과장치(100)의 본체부(200) 내부에는 여과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과부(500)는 전술한 밸브장치(200)의 일측 포트부[예컨대, 제2 포트부(320)]에 연결되어 호스부(400)를 통해 유입된 폐절삭유로부터 칩(chip) 등의 이물질을 제거해 절삭유를 재사용할 수 있는 여과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부(500)는 본체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장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과부(500) 내부로 유입된 폐절삭유로부터 칩(chip)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메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부(5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여과부(500)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의 크기는 폐절삭유에 포함되는 칩(chip)의 크기를 고려해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100)가 사용되는 기계 장치 및 작업 환경에 따라 그에 맞는 크기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여과부(500)를 선택해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기계장치 및 작업환경에서 본 고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여과부(500)는 폐절삭유에 포함된 칩(chip) 등의 이물질에 의해 찢기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등의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유 여과장치(100)의 본체부(200) 내부에는 배출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부(600)는 전술한 밸브장치(200)의 일측 포트부[예컨대, 제3 포트부(330)]에 연결되어 여과처리되어 본체부(20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절삭유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배출부(600)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의 관통 구멍을 통해 본체부(200)에 저장되어 있는 여과처리된 절삭유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부(600)는 본체부(200)에 저장된 절삭유가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가 본체부(200)의 바닥면 근방까지 위치하도록 하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유 여과장치(100)에는 공압장치(700)가 구비될 수 있다. 공압장치(700)는 폐절삭유가 본체부(200) 내부로 유입되거나 여과처리된 절삭유가 본체부(20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본체부(2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공압장치(700)는 본체부(200)의 덮개부(220)에 장착될 수 있으며, 공압장치(700)에 구비된 작동레버(710)를 조작함에 따라 본체부(2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공압장치(700)의 일측에는 유체 연결부(720)가 구비되어 유체 공급원(미도시)로부터 가압된 유체가 본체부(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공압장치(700)에 구비된 밸브부재(730)를 작동시키면, 유체 연결부(720)를 통해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가압된 유체가 본체부(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압장치(700)는 진공펌프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공압장치(700)의 세부적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100)는 폐절삭유의 흡입 및 여과처리된 절삭유의 배출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본체부(200) 내부와 외부 사이에 큰 압력 차이가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폐절삭유 및 여과처리된 절삭유는 빠른 유속으로 밸브장치를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의 유동 과정에서 밸브장치(300)에 연결되는 부분[특히, 호스부(400), 여과부(500), 배출부(600)가 밸브장치(300)에 연결되는 부분]에 큰 하중이 가해져 연결된 부품들이 분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주위의 작업자가 상해를 입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100)는 유체가 유동하는 주요 연결부위에 커플러(coupler) 결합 방식을 도입해 연결되는 부재가 고압의 유동 환경하에서도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는 커플러 결합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커플러 결합 구조는 밸브장치(300)의 제1 포트부(310)에 호스부(400)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결합구조는 밸브장치(300)의 제2 포트부(320)에 여과부(500)가 연결되는 부분, 밸브장치(300)의 제3 포트부(3300에 배출부(600)가 연결되는 부분 등 복수의 부재가 결합되는 다양한 부분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밸브장치(300)의 제1 포트부(310)의 끝단에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수용부에 호스부(40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통상의 밸브장치와 달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삭유 여과장치(100)는 유체 유동 부재의 연결부에 커플러(312)가 구비되어 있어 커플러(312)를 통해 유체 유동 부재 사이의 안정적인 체결을 보장해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호스부(400)를 밸브장치(300)의 제1 포트부(310)에 형성된 수용부에 호스부(400)를 압입해 끼워 넣은 상태에서 커플러(312)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켜 고정하게 되면 커플러(312)의 회전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패킹이 압착되어 호스부(400)가 밸브장치(300)의 제1 포트부(3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유 여과장치(100)는 절삭유 여과장치(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운반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100)에 이용될 수 있는 운방부(800)의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부(800)는 지지부(810), 바퀴부(820), 손잡이부(8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810)는 절삭유 여과장치(100)를 상부에 거치한 상태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절삭유 여과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높은 강성을 갖는 철재 프레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지지부(810)의 구체적인 형상 및 재질은 절삭유 여과장치(100)의 하중 및 형상을 고려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지지부(810)의 하부에는 상부에 절삭유 여과장치(100)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퀴부(82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반부(800)의 바퀴부(820)는 3개의 바퀴[전방에 위치하는 2개의 전방 바퀴(822) 및 후방에 위치하는 하나의 후방 바퀴(824)]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종 전선이 바닥에 산재해 있는 작업 현장에서의 이동을 고려할 때 운반부(800)의 바퀴부는 전방 바퀴(822)가 후방 바퀴(824)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며, 일측 바퀴[예컨대, 후방 바퀴(824)]는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바퀴부(82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 환경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해도 무방하다.
한편, 손잡이부(83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운반부(800)에 힘을 가하는데 이용되는 부분으로, 성인 남성의 키에 맞추어 손잡이부(83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부(810)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 수직 연장부(840)를 통해 지지부(810)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수직 연장부(840)의 길이 조절을 통해 사용자에 따라 손잡이부(830)의 높이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사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여과장치(100)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폐절삭유를 흡입해 여과처리한 다음 여과처리된 절삭유를 재공급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먼저, 여과 처리를 위해 폐절삭유를 흡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절삭유 여과장치(100)를 여과처리할 폐절삭유가 위치하는 부근으로 이동시킨 다음, 폐절삭유에 호스부(400)의 끝단을 담그고 밸브장치(300)의 조작레버(340)를 밸브장치(300)의 제1 포트부(310)와 제2 포트부(320)가 연통되는 위치로 작동시킨 후, 공압장치(700)를 작동시켜 본체부(200) 내부를 감압하게 되면, 폐절삭유가 호스부(400), 밸브장치(300)의 제1 포트(310) 및 제2 포트(320)를 거쳐 본체부(200) 내부에 위치하는 여과부(500)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여과부(500)로 유입된 폐절삭유는 여과부(500)에 형성된 메쉬 구조에 의해 폐절삭유에 함유되어 있는 절삭 칩(chip) 등의 이물질은 여과부(500) 내부에 걸러서 저장되고 여과된 절삭유만 여과부(500) 외부로 유출되어 본체부(200) 내에 저장되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여과된 절삭유를 기계 장치로 재공급하는 경우에는, 절삭유 여과장치(100)를 여과된 절삭유를 재공급할 장치 근처로 위치시킨 다음 호스부(400)의 끝단을 절삭유가 공급될 부위에 위치시키고 밸브장치(300)의 조작레버(340)를 밸브장치(300)의 제1 포트부(310)와 제3 포트부(330)가 연통되는 위치로 작동시킨 후, 공압장치(700)를 작동시켜 본체부(200) 내부에 압력을 상승시키면, 본체부(200) 내부에 형성된 압력에 의해 본체부(200)에 저장되어 있는 여과된 절삭유가 배출부(600), 밸브장치(300)의 제3 포트(330) 및 제1 포트(310)를 거쳐 호스부(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에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절삭유 여과장치
200: 본체부
210: 몸통부
220: 덮개부
300: 밸브장치
310: 제1 포트부
320: 제2 포트부
330: 제3 포브투
340: 조작레버
400: 호스부
500: 여과부
600: 배출부
700: 공압장치
710: 작동레버
720: 유체 연결부
730: 밸브부재

Claims (6)

  1. 절삭 가공에 이용된 폐절삭유를 흡입해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여과처리하는 절삭유 여과장치(100)이며,
    내부에 절삭유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되어 절삭유의 유동 경로를 조절하는 밸브장치(300)와,
    상기 밸브장치(300)의 제1 포트부(310)에 연결되는 호스부(400)와,
    상기 밸브장치(300)의 제2 포트부(320)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200) 내부에 위치하여 흡입된 폐절삭유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부(500)와,
    상기 밸브장치(300)의 제3 포트부(330)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200) 내부에 위치하여 여과처리된 절삭유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이용되는 배출부(600)와,
    상기 본체부(2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압장치(70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장치(300)는 조작레버(340)의 조작에 따라 제1 포트부(310)와 제2 포트부(320)가 연통하는 상태와, 제1 포트부(310)와 제3 포트부(330)가 연통하는 상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스부(400)는 폐절삭유의 유입 경로 및 여과처리된 절삭유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절삭유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300)에 연결되는 호스부(400), 여과부(500), 배출부(600) 중 하나 이상은 커플러 결합 구조를 통해 결합되는,
    절삭유 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300)는 황동 재질로 형성되는,
    절삭유 여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500)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메쉬 구조로 형성되는,
    절삭유 여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120)는 스테인리스 강 소재로 형성되는,
    절삭유 여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절삭유 여과장치를 지지해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운반부(800)가 더 구비되는,
    절삭유 여과장치.
KR2020180004695U 2018-10-15 2018-10-15 절삭유 여과장치 KR202000008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95U KR20200000813U (ko) 2018-10-15 2018-10-15 절삭유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95U KR20200000813U (ko) 2018-10-15 2018-10-15 절삭유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13U true KR20200000813U (ko) 2020-04-23

Family

ID=7045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695U KR20200000813U (ko) 2018-10-15 2018-10-15 절삭유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81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840B1 (ko) 2020-10-13 2021-01-05 주식회사 엠에스티 절삭유 여과시스템
CN117283002A (zh) * 2023-10-30 2023-12-26 湖北毅兴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高刚性走心车床的底座布局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303B1 (ko) 2013-10-02 2014-12-16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기어펌프와 임펠러펌프가 일체화구조로 이루어지는 절삭유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303B1 (ko) 2013-10-02 2014-12-16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기어펌프와 임펠러펌프가 일체화구조로 이루어지는 절삭유 정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840B1 (ko) 2020-10-13 2021-01-05 주식회사 엠에스티 절삭유 여과시스템
CN117283002A (zh) * 2023-10-30 2023-12-26 湖北毅兴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高刚性走心车床的底座布局结构
CN117283002B (zh) * 2023-10-30 2024-05-07 湖北毅兴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高刚性走心车床的底座布局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0813U (ko) 절삭유 여과장치
CN101795814B (zh) 机床装置、机床和用于制造机床装置的方法
CN111300272B (zh) 集尘去飞边作业用装置
KR101604923B1 (ko) 공기노즐을 이용한 동시 흡배기 방식의 절삭유 흡입청소기와 공작기계의 연결기구
JP2009095941A (ja) 加工廃液処理装置
CN103987488B (zh) 板上冷却剂控制和回收系统
WO2023122121A1 (en) Backflow diversion devices for liquid jet cutting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5357228B2 (ja) ミスト除去装置
JP3780112B2 (ja) 脱油式切粉クリーナ
JP5240877B2 (ja) 濾過方法、濾過機及び当該濾過機が搭載されたチップコンベヤ装置
JP2012091311A (ja) チップコンベヤ装置
KR20140080800A (ko) 칩 팬 청소 장치가 구비된 공작기계
JP2020506072A (ja) 切粉を除去するための装置
JP2012236268A (ja) 切り粉回収装置
JP5266006B2 (ja) 加工廃液処理装置の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4694856B2 (ja) 切削屑除去装置
KR102049757B1 (ko) 오일 미스트 집진기의 애프터필터 조립체
JP2014034069A (ja) 加工装置の排気ダクト
CN214769653U (zh) 用于管加工的机床
DE202013001988U1 (de) Handwerkzeugmaschine mit einer Staubbox
JP2018065238A (ja) ワーク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工作機械
KR102071360B1 (ko) 필터 청소기능을 구비한 쿨런트 공급장치
KR102261430B1 (ko) 집진설비 더스트 처리 필터용 탈진 구조 및 상기 집진설비 더스트 처리 필터용 탈진 구조를 제조하기 위한 탈진 구조 제조 장치
JP3196002U (ja) チップ収容箱及びチップ収容台車
KR101534408B1 (ko) 절삭유 정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