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840B1 - 절삭유 여과시스템 - Google Patents

절삭유 여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840B1
KR102198840B1 KR1020200132147A KR20200132147A KR102198840B1 KR 102198840 B1 KR102198840 B1 KR 102198840B1 KR 1020200132147 A KR1020200132147 A KR 1020200132147A KR 20200132147 A KR20200132147 A KR 20200132147A KR 102198840 B1 KR102198840 B1 KR 102198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main body
cutting oil
compressed ai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티
Priority to KR102020013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절삭유 여과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내부가 급격하게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삭유 여과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유 여과시스템은 본체와, 감압포트와, 가압포트와, 유입포트와, 필터부와, 배출포트와, 댐퍼부와, 제1밸브수단 및 제2밸브수단을 포함한다. 상기본체는 내부에 절삭유를 수용한다. 상기 감압포트는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본체 내부를 감압시킨다. 상기 가압포트는 상기 본체 내부를 가압시키도록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본체 내부가 감압되면 상기 본체 내부로 폐절삭유가 흡입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연결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폐절삭유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포트에 장착된다. 상기 배출포트는 상기 본체 내부가 가압되면 상기 본체 내부의 절삭유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연결된다. 상기 댐퍼부는 상기 가압포트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상기 가압포트에 장착된다. 상기 제1밸브수단은 상기 본체 내부를 감압시 상기 가압포트를 폐쇄시키고, 상기 본체 내부를 가압시 상기 감압포트를 폐쇄시킨다. 상기 제2밸브수단은 상기 본체 내부를 감압시 상기 배출포트를 폐쇄시키고, 상기 본체 내부를 가압시 상기 유입포트를 폐쇄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된 절삭유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본체 내부를 가압시키는 가압포트와 가압포트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가압포트에 장착된 댐퍼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감압포트와 별도로 구비된 가압포트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댐퍼부가 감소시킴으로써, 본체 내부의 압력은 서서히 변동된다. 그래서 본체의 내부 압력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캡이 급격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내구성을 높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삭유 여과시스템{Cutting oil filtering system}
본 출원은 절삭유 여과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내부가 급격하게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삭유 여과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선반, 밀링머신 등의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할 경우, 절삭공구와 공작물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이나 공구의 마모를 저감시키고, 칩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가공부분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공작물의 절삭부위에 절삭유가 공급된다.
이러한 절삭유는 가공중에 발생하는 칩이나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이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물질 등을 제거한 후 순수한 절삭유만 채집하여 재순환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절삭유 여과장치(100)의 경우, 절삭유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본체부(110)와, 폐절삭유의 흡입 및 여과된 절삭유의 배출을 위해 본체부(1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압장치(120)를 포함하며, 본체부(110)는 몸통부(111)와 몸통부(111)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113)로 형성되어 덮개부(113)는 몸통부(111)에 대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절삭유 여과장치(100)를 사용하여 절삭유를 여과할 경우, 폐절삭유를 흡입할 때에는 공압장치(120)의 작동레버(121)와 밸브부재(123)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유체 연결부(122)로 압축공기가 공급하면 압축공기는 화살표 a방향으로 유동하여 본체부(110) 내부가 감압된다. 이 경우, 본체부(110) 내부는 음압이 되어 덮개부(113)는 수축된다. 한편, 여과된 절삭유(f)를 배출할 때에는 공압장치(120)의 작동레버(121)는 폐쇄하고 밸브부재(123)만 개방시킨다. 그리고 유체 연결부(122)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압축공기는 화살표 b방향으로 본체부(110) 내부로 유동하여 본체부(110) 내부를 가압한다. 이 경우, 본체부(110) 내부는 가압이 되어 덮개부(113)는 팽창한다. 절삭유(f)를 여과하고 배출시 본체부(110) 내부는 음압에서 갑작스럽게 가압되므로 덮개부(113)는 급격하게 수축 및 팽창된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절삭유 여과장치는 덮개부(113)가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0813호 (공개일 2020.04.23) 미국등록특허 US 8,268,179 (등록일 2012.09.1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내부가 급격하게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삭유 여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유 여과시스템은 본체와, 감압포트와, 가압포트와, 유입포트와, 필터부와, 배출포트와, 댐퍼부와, 제1밸브수단 및 제2밸브수단을 포함한다. 상기본체는 내부에 절삭유를 수용한다. 상기 감압포트는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본체 내부를 감압시킨다. 상기 가압포트는 상기 본체 내부를 가압시키도록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본체 내부가 감압되면 상기 본체 내부로 폐절삭유가 흡입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연결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폐절삭유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포트에 장착된다. 상기 배출포트는 상기 본체 내부가 가압되면 상기 본체 내부의 절삭유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연결된다. 상기 댐퍼부는 상기 가압포트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상기 가압포트에 장착된다. 상기 제1밸브수단은 상기 본체 내부를 감압시 상기 가압포트를 폐쇄시키고, 상기 본체 내부를 가압시 상기 감압포트를 폐쇄시킨다. 상기 제2밸브수단은 상기 본체 내부를 감압시 상기 배출포트를 폐쇄시키고, 상기 본체 내부를 가압시 상기 유입포트를 폐쇄시킨다.
또한, 상기의 절삭유 여과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수단은 상기 감압포트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는 제1밸브와, 상기 감압포트에서 유출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는 제2밸브와, 상기 가압포트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는 제3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밸브수단은 상기 유입포트 또는 상기 배출포트의 경로를 안내하는 3웨이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된 절삭유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본체 내부를 가압시키는 가압포트와 가압포트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가압포트에 장착된 댐퍼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감압포트와 별도로 구비된 가압포트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댐퍼부가 감소시킴으로써, 본체 내부의 압력은 서서히 변동된다. 그래서 본체의 내부 압력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캡이 급격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내구성을 높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유 여과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절삭유 여과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절삭유 여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삭유 여과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유 여과시스템은 본체(10)와, 감압포트(15)와, 가압포트(20)와, 유입포트(25)와, 필터부(30)와, 배출포트(35)와, 댐퍼부(40)와, 제1밸브수단(45) 및 제2밸브수단(5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내부에 절삭유를 수용한다. 여기서 본체(10)는 절삭유를 수용할 수 있게 수용부가 형성된 케이스(10a)와, 케이스(10a)의 상단을 덮는 캡(10b)을 구비하며, 캡(10b)은 케이스(10a)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감압포트(15)는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본체(10) 내부를 감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감압포트(15)는 오리피스로 구성되어 오리피스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본체(10) 내부가 감압된다.
가압포트(20)는 본체(10) 내부를 가압시킬 수 있게 압축공기를 본체(10)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가압포트(20)는 본체(10)에 장착되어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압축공기가 화살표 B방향으로 유동하여 본체(10)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한다. 그러면 본체(1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진다.
유입포트(25)는 본체(10) 내부가 감압되면 본체(10) 내부로 폐절삭유가 흡입될 수 있게 폐절삭유 저장탱크(미도시)에서 본체(10)로 연결된다.
필터부(30)는 본체(10) 내부로 흡입되는 폐절삭유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입포트(25)의 일단에 장착된다. 여기서 필터부(30)는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며, 필터부(30)에 의해 여과된 절삭유는 본체(10)에 수용된다.
배출포트(35)는 본체(10) 내부가 가압되면 본체(10) 내부의 절삭유가 저장탱크로 배출될 수 있게 본체(10)에서 유입포트(25)로 연결된다.
댐퍼부(40)는 가압포트(20)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댐퍼부(40)는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며, 가압포트(20)의 일단에 장착된다. 가압포트(20)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공급되더라도 댐퍼부(40)에 의하여 유량이 감소되므로 본체(10) 내부의 압력은 갑자기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제1밸브수단(45)은 폐절삭유를 여과하기 위하여 본체(10) 내부를 감압시에는 가압포트(20)를 폐쇄시키고, 여과된 절삭유(f)를 배출하기 위하여 본체(10) 내부를 가압시에는 감압포트(15)를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제1밸브수단(45)은 제1밸브(46)와, 제2밸브(47) 및 제3밸브(48)를 구비한다. 제1밸브(46)는 감압포트(15)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할 수 있게 감압포트(15)의 일측에 장착된다. 제2밸브(47)는 감압포트(15)에서 유출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할 수 있게 감압포트(15)의 타측에 장착된다. 제3밸브(48)는 가압포트(20)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할 수 있게 가압포트(20)에 장착된다.
제2밸브수단(50)은 본체(10) 내부의 감압시에는 배출포트(35)를 폐쇄시키고, 본체(10) 내부의 가압시에는 유입포트(25)를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제2밸브수단(50)은 유입포트(25) 또는 배출포트(35)의 경로를 안내하는 3웨이 밸브를 구비한다. 여기서 3웨이 밸브는 유입포트(25)와 배출포트(35)의 연결부위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절삭유 여과시스템을 사용하여 폐절삭유를 여과처리 할 경우, 먼저, 폐절삭유 저장탱크에 저장된 폐절삭유가 본체(10)로 흡입되도록 제2밸브수단(50)을 조작하여 유입포트(25)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제1밸브수단(45)의 제1밸브(46)와 제2밸브(47)를 조작하여 감압포트(15)를 개방시키고 제3밸브(48)를 조작하여 가압포트(20)를 폐쇄시켜 압축공기를 감압포트(15)로 공급한다.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압축공기가 화살표 A방향으로 유동하여 본체(10) 내부를 감압시킨다. 본체(10) 내부가 감압되면 폐절삭유가 유입포트(25)를 거쳐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부(30)로 유입된다. 이때, 필터부(30)로 유입된 폐절삭유는 필터부(30)에 의해 폐절삭유에 함유된 절삭 칩 등의 이물질은 필터부(30) 내부에 걸러지게 되고, 여과된 절삭유(f)는 필터부(30) 외부로 배출되어 본체(10) 내부로 수용되어 진다.
폐절삭유의 여과가 완료되면, 여과된 절삭유(f)를 기계장치의 저장탱크로 재공급하기 위하여 제2밸브수단(50)을 조작하여 배출포트(35)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제1밸브수단(45)의 제1밸브(46)와 제2밸브(47)를 조작하여 감압포트(15)를 폐쇄시키고 제3밸브(48)를 조작하여 가압포트(20)를 개방시킨다. 감압포트(15)와 유입포트(25)가 차단되면 압축공기를 가압포트(20)로 공급한다.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압축공기가 화살표 B방향으로 유동하여 본체(10) 내부로 주입되어 본체(10) 내부를 가압시킨다. 본체(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가압되면 본체(10) 내부에 형성된 압력에 의해 본체(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여과된 절삭유가 배출포트(35)를 거쳐 저장탱크로 배출되어 진다. 이때, 가압포트(20)의 일단에 장착된 댐퍼부(40)에 의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이 감소되므로 본체(10) 내부의 압력은 서서히 변동되어 진다. 이 경우, 본체(10)의 내부 압력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캡(10b)이 급격하게 평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절삭유 여과장치(100)를 사용하여 폐절삭유를 여과할 경우, 폐절삭유를 흡입할 때에는 본체부(110) 내부가 감압되고, 여과된 절삭유를 배출할 때에는 본체부(110) 내부가 가압된다. 이 경우, 절삭유를 여과하고 배출시 본체부(110) 내부는 음압에서 갑작스럽게 가압되므로 덮개부(113)는 급격하게 수축 및 팽창된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절삭유 여과장치(100)는 덮개부(113)가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0 : 본체 10a : 케이스
10b : 캡 15 : 감압포트
20 : 가압포트 25 : 유입포트
30 : 필터부 35 : 배출포트
40 : 댐퍼부 45 : 제1밸브수단
46 : 제1밸브 47 : 제2밸브
48 : 제3밸브 50 : 제2밸브수단
100 : 절삭유 여과장치 110 : 본체부
111 : 몸통부 113 : 덮개부
120 : 공압장치 121 : 작동레버
122 : 유체 연결부 123 : 밸브부재

Claims (2)

  1. 내부에 절삭유를 수용하는 본체와,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본체 내부를 감압시키는 감압포트와,
    상기 본체 내부를 가압시키도록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가압포트와,
    상기 본체 내부가 감압되면 상기 본체 내부로 폐절삭유가 흡입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연결된 유입포트와,
    상기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폐절삭유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포트에 장착된 필터부와,
    상기 본체 내부가 가압되면 상기 본체 내부의 절삭유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연결된 배출포트와,
    상기 가압포트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상기 가압포트에 장착된 댐퍼부와,
    상기 본체 내부를 감압시 상기 가압포트를 폐쇄시키고, 상기 본체 내부를 가압시 상기 감압포트를 폐쇄시키는 제1밸브수단과,
    상기 본체 내부를 감압시 상기 배출포트를 폐쇄시키고, 상기 본체 내부를 가압시 상기 유입포트를 폐쇄시키는 제2밸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여과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수단은 상기 감압포트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는 제1밸브와, 상기 감압포트에서 유출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는 제2밸브와, 상기 가압포트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는 제3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2밸브수단은 상기 유입포트 또는 상기 배출포트의 경로를 안내하는 3웨이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여과시스템.
KR1020200132147A 2020-10-13 2020-10-13 절삭유 여과시스템 KR102198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147A KR102198840B1 (ko) 2020-10-13 2020-10-13 절삭유 여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147A KR102198840B1 (ko) 2020-10-13 2020-10-13 절삭유 여과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840B1 true KR102198840B1 (ko) 2021-01-05

Family

ID=7414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147A KR102198840B1 (ko) 2020-10-13 2020-10-13 절삭유 여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8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4175B2 (ja) * 1989-01-11 1997-12-24 株式会社ナガセインテグレックス 液体式オートバランサー
US8268179B2 (en) 2009-09-15 2012-09-18 Exair Corporation Liquid vacuuming and filtering device and method
KR101593085B1 (ko) * 2015-12-17 2016-02-11 송현엘앤씨 주식회사 절삭유 이물질 제거장치
CN208342375U (zh) * 2018-06-06 2019-01-08 宁波五一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切削液过滤装置
KR20200000813U (ko) 2018-10-15 2020-04-23 정윤우 절삭유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4175B2 (ja) * 1989-01-11 1997-12-24 株式会社ナガセインテグレックス 液体式オートバランサー
US8268179B2 (en) 2009-09-15 2012-09-18 Exair Corporation Liquid vacuuming and filtering device and method
KR101593085B1 (ko) * 2015-12-17 2016-02-11 송현엘앤씨 주식회사 절삭유 이물질 제거장치
CN208342375U (zh) * 2018-06-06 2019-01-08 宁波五一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切削液过滤装置
KR20200000813U (ko) 2018-10-15 2020-04-23 정윤우 절삭유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1687C2 (ru) Редуктор давления
JP2007098482A (ja) 工作機械の安全装置及びこの安全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KR102198840B1 (ko) 절삭유 여과시스템
KR100805248B1 (ko) 절삭유 여과장치
US20110253810A1 (en) Pistol for integrated administering a liquid and a compressing air flow
KR101454812B1 (ko) 응축수 배출밸브
TWI752660B (zh) 高壓流體吐出裝置
KR101814910B1 (ko) 진공 배관을 이용한 절삭유 수집장치
JP7359616B2 (ja) 工作機械
KR200414693Y1 (ko) 유압기계용 에어 브리더
JP4377990B2 (ja) 高圧クーラントバルブ
KR101536208B1 (ko) 건드릴 가공에서의 칩 막힘 방지용 절삭유 공급장치 및 그 공급방법
KR101587128B1 (ko) 공기 압축장치의 응축수 배출 시스템
TWI589341B (zh) filter
TWI380863B (zh) A perforating device with an oiling device
KR200289950Y1 (ko) 체크밸브가 구비된 증압기
KR102546551B1 (ko) 절삭유 쿨런트 장치
JP4560375B2 (ja) 廃油回収装置
KR102032636B1 (ko) 저장조용 부착광 제거장치
KR20130003225U (ko) 고속열차의 멤브레인펌프용 성능시험장치
JP2969322B2 (ja) 切削液供給装置
JP2007210069A (ja) 工作機械の加工ヘッドおよび工作機械
JPH08309592A (ja) プレス装置
JPS5933573Y2 (ja) 溜り油回収装置
KR100899657B1 (ko) 역삼투압 폐수처리 배압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