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256A - 숯으로 도트 코팅된 마스크팩 시트 - Google Patents

숯으로 도트 코팅된 마스크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256A
KR20200000256A KR1020180072336A KR20180072336A KR20200000256A KR 20200000256 A KR20200000256 A KR 20200000256A KR 1020180072336 A KR1020180072336 A KR 1020180072336A KR 20180072336 A KR20180072336 A KR 20180072336A KR 20200000256 A KR20200000256 A KR 20200000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sk pack
dots
dot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희
정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펌스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펌스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펌스킨
Priority to KR1020180072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256A/ko
Publication of KR2020000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용 마스크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부직포 시트 및 상기 부직포 시트위에 결합된 다수의 점들(dots)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점들은 숯 분말과 아크릴 수지가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는, 종래 마스크 시트의 숯처리 방법에 비해 숯가루의 이탈 및 손실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직포 시트위에 다수의 점들은 볼록하게 튀어나와서 평면 시트보다 큰 입체 크기를 가지므로 그 안에 포함된 숯 분말에 의해 피지 등 노폐물 및 피부유해 성분들을 더 많이 흡착할 수 있으며, 볼록하게 튀어나온 점들이 피부를 자극하여 피부 마사지 기능도 가질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숯으로 도트 코팅된 마스크팩 시트 {Mask pack sheet dot coated with charcoal powder}
본 발명은 화장용 마스크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부직포 시트 및 상기 부직포 시트위에 결합된 다수의 점들(dots)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점들은 숯 분말과 아크릴이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분야에서 시트(sheet) 타입의 마스크 팩은 손으로 바를 필요없이 얼굴 형태로 제작된 시트를 붙이는 것으로, 보습 및 청정효과 등을 얻을 수 있는 제품이며, 얼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디자인의 시트나 상/하단의 2장으로 나뉜 시트, 눈밑/눈가/입가 등의 특정 부위에 맞춘 시트 등 다양한 형태로 시장에 나와 있다.
이러한 시트 타입의 마스크 팩은 일반적인 화장 유액에 비해서 오랫동안 피부에 작용할 수 있도록 유액을 담지할 수 있는 지지체가 있고, 해당 지지체가 제공하는 폐쇄효과(Occlusive effect)에 의한 피부 효능 성분의 피부침투효과 증진으로 인해 보습효과, 피부미용효과가 탁월한 화장 제품 형태이다.
이러한 화장용 마스크 팩의 시트는 주로 코튼이나 펄프에서 나온 식물 셀룰로오스 섬유나 혹은 합성섬유로 만든 부직포를 화장 유액의 담수체 겸 마스크 모양의 지지체로 사용한다.
즉, 시판 중인 마스크 팩은 대부분 부직포에 피부 노폐물 제거, 주름 제거, 미백 효과 등이 있는 다양한 성분을 함침시켜서 적절한 모양으로 절단하여 포장한 것들이다.
상기 부직포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원료 섬유로는 솜, 비스코스레이온,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가 사용되고 있다. 섬유가 얽혀 있어서 종횡의 방향성이 없으며, 자른 가장자리가 풀리는 일도 없기 때문에 마스크 팩의 기제 중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종래 이러한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 팩은 단순히 부직포에 유액을 첨가하거나, 기능성이 있다고 알려진 여러 영양물질이 포함된 유액에 침지시킨 후, 이를 그대로 사용토록 해왔다.
그러나 부직포만으로 마스크 팩을 구성하는 경우, 마스크 팩에 포함된 수분 및 각종 영양물질이 쉽게 외부로 증발되어 피부에 흡수되지 못할 뿐 아니라, 모공 내 피지, 노폐물 및 피부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효과를 갖지 못하는 단점 역시 있었다.
최근 피지 등 노폐물 및 피부유해성분들의 흡착 제거 효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효과까지 있는 숯가루를 마스크팩에 첨가한 기능성 마스크 팩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마스크팩에 숯가루를 첨가하는 방법으로는 부직포의 원료인 단섬유를 생산시 방사전 원액에 일정량의 숯가루를 첨가하여 방사시켜 단섬유를 얻는 방법과 일단 단섬유 또는 부직포 원단을 만든 후 숯가루를 도포하거나 숯가루를 함유하는 액상에 함침시켜 섬유 표면에 숯가루를 일정비율 흡착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의 경우 얻어진 단섬유를 이용해서 부직포 원단을 만드는 공정에서 이루어지는 마찰에 의해 숯을 함유한 단섬유가 부서지는 현상으로 인하여 균일한 숯함유량을 보장할 수 없는 단점 및 이로 인한 2차 오염의 가능성이 있으며, 후자의 방법의 경우 섬유 표면에 흡착된 숯가루가 이탈되어 역시 균일한 함유량을 보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부직포 시트위에 숯가루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한 성분을 도트(dot) 코팅 처리한 경우, 종래 마스크 시트의 숯처리 방법에 비해 숯가루의 이탈 및 손실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면 숯처리 마스크 시트보다 큰 입체 크기를 가지므로 노폐물 및 피부유해 성분들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으며, 볼록하게 튀어나온 점들이 두드릴때 마다 피부를 자극하여 피부 마사지 기능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16780140000 B KR 1020160114777 A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숯을 도트 처리하여 피부 노폐물이나 유해성분 흡수율을 높인 기능성 마스크 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숯을 도트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직포 시트 및 상기 부직포 시트위에 결합된 다수의 점들(dots)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점들은 숯 분말과 아크릴 수지가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점들(dots)은 입체적인 두께를 가지므로 부직포위에 볼록하게 튀어나와서 전체적으로는 엠보싱 또는 요철 형태를 띠게 된다 (도 1 참조). 또한, 마스크팩 시트를 얼굴에 부착시 상기 점들(dots)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피부 지압효과를 줄 수 있으며, 부직포 바깥쪽에서 피부와 간접적으로 접촉하더라도 부직포를 통해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숯 분말은 피지 등 피부 노폐물뿐만 아니라 피부유해성분들을 흡착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부직포에 숯을 함유시키기 위하여, 단섬유의 배열시 숯 분말을 도포 또는 분사하거나, 부직포를 숯 분말을 포함한 용액에 함침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부직포에 도트 코팅을 하면서 도트마다 숯 분말을 함유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숯 첨가 방법의 큰 문제점이었던 최종제품에서 일정한 량의 숯성분 함유량을 보장 못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도트 코팅 방법을 이용하면 숯 함유량을 균일하게 조절 가능하며, 도트 코팅에 사용되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도트의 패턴을 다양하게 연출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 도트 자체의 높이도 조절 가능하고, 도트 자체에 숯과 일정량의 아크릴이 혼합되어 숯가루의 이탈이 없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숯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산 및 그 유도체의 중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합성수지로서, 부직포위에 도트를 형성하고 숯가루를 고착시켜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는 종래 화장용 마스크팩의 지제체로 사용되던 어떤 부직포 시트도 될 수 있으며, 예컨대, 부직포 시트는 코튼이나 펄프에서 나온 식물 셀룰로오스 섬유나 혹은 비스코스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로 만들어 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비스코스레이온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점들은 숯 분말, 아크릴 및 물을 1~2 : 1~2: 3-6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부직포 시트위에 도트(dot) 코팅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트(dot) 코팅은 종래 섬유 코팅 분야에서 알려진 어떠한 도트 코팅 방식도 사용될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트(dot) 모양의 스크린을 이용한 스크린 인쇄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도트 코팅방식으로서 원하는 도트(dot)모양의 원통형 금형물(그라비아로울러)을 이용하고 중합체에 열(100도 이상)을 가해 녹인 후 원단 소재 표면에 접착하여 코팅하는 핫멜트 도트 코팅방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핫멜트 도트 코팅방식을 사용할 경우 중합체가 녹아서 숯 분말의 기공을 막아서 흡착력을 떨어트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아직 중합되지 않은 아크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만든 후 상온에서 도트(dot) 모양의 스크린을 이용한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부직포 원단에 도트 코팅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숯 분말을 함유한 마스크팩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숯 분말과 아크릴 올리고머를 물에 분산시켜 페이스트 형태로 만드는 단계;
b) 배합되어진 페이스트를 원하는 도트(dot) 모양의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부직포위에 도트 코팅하는 단계;
c) 코팅되어진 도트를 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동시에 도트를 부직포 원단에 고착시키는 단계; 및
d) 도트 코팅된 부직포를 마스크 시트의 형태로 절단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아크릴 올리고머는 아직 완전히 중합되지 않은 올리고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b) 단계의 스크린 인쇄방식은 고온의 핫멜트 코팅 방식이 아닌 상온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c)단계의 도트에서 수분이 제거되면서 아크릴 올리고머사이의 가교반응이 진행되어 중합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점들은 부직포 시트위에 볼록하게 튀어나와서 피부유해 성분들을 더 많이 흡수할 뿐만 아니라, 볼록하게 튀어나온 점들이 피부를 자극하여 피부 마사지 기능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험예 1에서는, 종래 숯 처리 방법에 의한 마스크 시트(비교예 1, 2)와 본 발명에 따라 숯을 도트 코팅처리한 마스크 시트(실시예 1)의 피부유해성분(시험물질: 요오드)의 흡착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시험결과, 도 3b에서 보여지듯이, 본 발명에 따라 숯을 도트 코팅처리한 마스크 시트(실시예 1)가 종래 숯 처리 방법에 의한 마스크 시트(비교예 1, 2)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피부유해 성분 흡착력을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도트 코팅처리 방법이 종래 숯처리 방법에 비해 숯가루의 이탈을 방지하여 숯 함유량을 균일하게 조절 가능하고, 다수의 점들이 볼록하게 튀어나와서 평면 시트보다 큰 입체 크기를 가지므로 그 안에 포함된 숯 분말에 의해 피부유해 성분들을 더 많이 흡착하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험예 2에서는 본 발명의 도트로 인해 피부밀착력이 저하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종래 숯 처리 방법에 의한 마스크 시트(비교예 1, 2)와 본 발명에 따라 숯을 도트 코팅처리한 마스크 시트(실시예 1)의 피부 밀착력을 비교평가하였다. 시험결과, 도 4b에서 보여지듯이, 본 발명에 따라 숯을 도트 코팅처리한 마스크 시트(실시예 1)가 종래 평면시트에 숯을 처리한 마스크 시트(비교예 1)에 비해 피부 밀착력에 큰 차이가 없었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피지의 흡착, 피부 보습 및 영양공급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마스크 팩용 유액(에센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액이란 피부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는, 부직포 시트위에 다수의 점들은 볼록하게 튀어나와서 평면 시트보다 큰 입체 크기를 가지므로 그 안에 포함된 숯 분말에 의해 피부유해 성분들을 더 많이 흡수할 뿐만 아니라, 볼록하게 튀어나온 점들이 두드릴때 마다 피부를 자극하여 피부 마사지 기능도 가질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라 숯 도트처리된 마스크팩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100은 부직포, 200은 도트를 나타낸다.
도 2a는 종래 평면 숯처리된 마스크팩 시트(오른쪽)와 본발명에 따라 숯 도트처리된 마스크팩 시트(왼쪽)의 비교사진이다. 도 2b는 본발명에 따라 숯 도트처리된 마스크팩 시트의 확대 사진이고, 도 2c는 종래 평면 숯처리된 마스크팩 시트의 확대 사진이다.
도 3는 종래 마스크팩 시트(비교예1, 2)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실시예1)의 유해성분 흡착력을 비교 평가한 사진이다. 도 3a는 비교평가전 사진이고, 도 3b는 비교평가후 사진이다.
도 4은 종래 마스크팩 시트(비교예1)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실시예1)의 피부 밀착력을 비교 평가한 사진이다. 도 4a는 비교평가전 사진이고, 도 4b는 비교평가후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부직포는 비스코스레이온 원단을 사용하였고, 도트(dot) 코팅 성분(100kg 기준)으로는 물 70kg, 아크릴 올리고머(동림유화, SYNPRO DDC) 15kg, 숯 분말 15kg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숯 분말과 아크릴을 일정량 비율로 물에 분산시켜 일정한 점도를 갖는 페이스트 형태로 만든다. 다음, 배합되어진 페이스트를 원하는 도트(dot) 모양의 스크린과 Rotary Screen Printng 머신을 이용하여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부직포 위에 도트 코팅한다. 이후, 코팅되어진 도트를 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동시에 도트를 부직포 원단에 고착시킨다. 마직막으로, 도트 코팅된 부직포를 마스크 시트형태로 절단한다.
비교예 1,2
실시예 1과 같은 부직포 및 숯 분말을 사용하였으나, 숯 처리 방법을 종래 방법에 따라 부직포의 원료인 단섬유를 생산시 방사전 원액에 일정량의 숯가루를 첨가하여 방사시켜 단섬유를 얻는 방법(비교예 1)과 일단 단섬유를 방사 후 숯가루를 첨가하여 부직포를 만드는 방법(비교예 2)으로 숯가루가 포함된 마스크 시트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유해성분 흡착력 평가
비이커에 물 300mL에 유해성분 시험물질로서 요오드 용액 20mL을 희석하여 원액을 만들었다. 원액이 들어 있는 비이커에 실시예 1과 비교예 1,2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 시트를 담근후 24시간후에 마스크 시트를 제거한 후 비이커의 원액에 들어있는 요오드가 마스크 시트에 흡착되어 투명하게 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a는 요오드 용액 흡착전 사진이고, 도 3b는 요오드 용액 흡착후 사진이다. 도면에서 보여지듯이, 종래 숯 처리 방법에 의한 마스크 시트(비교예 1, 2)에 비해 본 발명에 따라 도트 처리된 마스크 시트(실시예 1)가 피부유해성분(시험물질: 요오드)를 더 많이 흡착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피부 밀착력 평가
도트 처리에 의해 부직포 시트의 피부 밀착력이 줄어드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 시트에 화장유액(에센스) 20mL을 첨가한 후 풍선의 표면위에 부착하고 하루동안 밀착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시험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a는 밀착력 평가전 사진이고, 도4b는 밀착력 평가후 사진이다. 도면에서 보여지듯이, 본 발명에 따라 숯을 도트 코팅처리한 마스크 시트(실시예 1)가 종래 평면시트에 숯을 처리한 마스크 시트(비교예 1)에 비해 피부 밀착력에 큰 차이가 없었다.
100: 부직포 시트
200: 점(dot)

Claims (6)

  1. 부직포 시트 및 상기 부직포 시트위에 결합된 다수의 점들(dots)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점들은 숯 분말과 아크릴 수지가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는 비스코스레이온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점들은 숯 분말, 아크릴 및 물을 1~2 : 1~2: 3-6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시트위에 도트(dot) 코팅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코팅 처리는 도트(dot) 모양의 스크린을 이용한 스크린 인쇄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점들은 부직포 시트위에 볼록하게 튀어나와서 피부유해 성분들을 더 많이 흡수할 뿐만 아니라, 볼록하게 튀어나온 점들이 피부를 자극하여 피부 마사지 기능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6.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숯 분말을 함유한 마스크팩 시트의 제조방법:
    a) 숯 분말과 아크릴 올리고머를 물에 분산시켜 페이스트 형태로 만드는 단계;
    b) 배합되어진 페이스트를 원하는 도트(dot) 모양의 스크린을 이용하여 부직포위에 도트 코팅하는 단계;
    c) 코팅되어진 도트를 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동시에 도트를 부직포 원단에 고착시키는 단계; 및
    d) 도트 코팅된 부직포를 마스크 시트의 형태로 절단하는 단계.
KR1020180072336A 2018-06-22 2018-06-22 숯으로 도트 코팅된 마스크팩 시트 KR20200000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336A KR20200000256A (ko) 2018-06-22 2018-06-22 숯으로 도트 코팅된 마스크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336A KR20200000256A (ko) 2018-06-22 2018-06-22 숯으로 도트 코팅된 마스크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256A true KR20200000256A (ko) 2020-01-02

Family

ID=6915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336A KR20200000256A (ko) 2018-06-22 2018-06-22 숯으로 도트 코팅된 마스크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2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62237B (zh) 创伤覆盖材料和创伤覆盖材料成套器具
CN102600019A (zh) 一种医用水凝胶敷料及其制备方法
CN102858292A (zh) 压迫敷料
KR101692376B1 (ko) 마스크 팩
CN107142612A (zh) 一种带按摩粒的立式面膜水刺无纺布
KR20170043867A (ko)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미용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00256A (ko) 숯으로 도트 코팅된 마스크팩 시트
KR102105084B1 (ko) 무기물이 증착된 미용소재 시트
KR20190080467A (ko) 미용 마스크팩
US11666487B2 (en) Breathable adhesive bandages
KR20140143973A (ko) 색상을 갖는 천연섬유 마스크팩
CN105560071B (zh) 海藻面膜及其生产制作方法
KR102320569B1 (ko) 빛을 흡수하여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근적외선 방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030791B1 (ko) 기능성 복합포 제조방법
KR101955289B1 (ko) 글리터입자가 고착된 마스크팩용 시트의 제조방법
JP5778406B2 (ja) 押花絵の製造方法
KR102239521B1 (ko) 복합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EP2694001A1 (de) Wasserdichte, schnelltrocknende und wasserdampfdurchlässige gewebepflaster
RU2806337C2 (ru) Воздухопроницаемые лейкопластырные повязки
US20180008029A1 (en) Sheet-type beauty pack
TWI267387B (en) The novel preparation of two-layer burn wound dressings
RU117295U1 (ru) Материал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каневого чехла для грязевых аппликаторов
KR102012483B1 (ko) 기능성 마스크팩 연속형 가공형 함침장치
JP6856221B2 (ja) 創傷治癒促進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23594B1 (ko) 마스크 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519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224

Effective date: 2020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