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376B1 - 마스크 팩 - Google Patents

마스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376B1
KR101692376B1 KR1020150055630A KR20150055630A KR101692376B1 KR 101692376 B1 KR101692376 B1 KR 101692376B1 KR 1020150055630 A KR1020150055630 A KR 1020150055630A KR 20150055630 A KR20150055630 A KR 20150055630A KR 101692376 B1 KR101692376 B1 KR 101692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release paper
cosmetic material
skin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737A (ko
Inventor
김회기
Original Assignee
(주)화니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니핀코리아 filed Critical (주)화니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5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3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의 화장료를 이용하는 마스크 팩을 페이스트 상태로 셀룰로오스 부직포 등의 시트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얼굴 등의 피부에 보습 및 영양공급뿐만 아니라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에 의한 충분한 원적외선 효과, 노폐물 제거 및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 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1이형지와, 상기 제1이형지와 일면이 합지되고, 타면에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가 도포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화장료가 도포된 타면에 합지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하되, 상기 화장료는 제1이형지 및 제2이형지의 밖으로 유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 팩{Mask Pack}
본 발명은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물질이 포함된 화장료를 페이스트 상태로 하여 부직포에 도포한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황토, 머드, 화산재 등의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이용하는 다양한 마스크 팩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마스크 팩이 개발되어 왔는데,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 제878,56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황토와 숯가루를 혼합하여 크림 또는 젤 형태로 제형화한 것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 등록특허 제787,105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서는 황토와 바다갯벌 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마사지 황토팩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 2와 같이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주성분으로 이용하는 마스크 팩은 페이스트(paste) 상태의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제형화하여 튜브나 용기에 담겨 제품화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튜브나 용기 내 페이스트 상태의 팩을 얼굴 등 피부에 펴서 바르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이를 떼어낸 후 세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페이스트 상태의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의 화장료를 얼굴 등의 피부에 직접 펴서 바르는 경우, 피부의 노폐물제거, 보습,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얼굴 등의 피부에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를 고르게 도포하여 바르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사용하는 양의 조절이 어려워 마사지 화장료의 낭비를 초래하는 등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팩을 한 후에 잔여물의 처리에도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주성분으로 이용하는 마스크 팩 조성물을 부직포 등의 시트에 적용함으로써 편리성을 도모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05-0067110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에서는, 이러한 천연원료 중 황토를 현탁시킨 겔 형성 물을 부직포 면에 부어 겔화 시킨 황토를 첨가한 겔형 팩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겔(gel)화시킨 화장료는 온도가 높아지면(즉 인체의 온도에서) 겔이 녹으면서 화장료가 피부에 적용되는 것으로, 황토의 유용한 성분을 이용하여 안면 등의 피부에 보습이나 영양을 공급하는 효과는 있으나, 종래의 황토를 페이스트 상태로 하여 직접 안면 등의 피부에 발라서 팩을 할 때의 노폐물의 제거나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또한 온도가 높아지면 겔이 녹기 때문에 보관 중 또는 사용중 황토가 함께 함유된 물과 함께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7-0081813호(이하, "특허문헌 4"라 함)에서는, 묽게 반죽한 황토반죽이 수용된 용기에 원단 2 내지 5초 동안 통과시킨 후에 흡착시킨 후 액체를 짜내고 고온에서 건조시킨 황토 페이스 마스크 팩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황토용액에 부직포를 침지시켜 염색하듯이 부직포에 황토성분을 흡착시킨 후에 건조한 것으로, 사용시 먼저 얼굴 등의 피부에 먼저 화장수를 뿌린 후에 페이스 마스크 팩을 밀착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특허문헌 3과 마찬가지로, 황토의 유용한 성분을 이용하여 안면 등의 피부에 보습이나 영양을 공급하는 효과는 있으나, 종래의 황토를 페이스트 상태로 하여 직접 안면 등의 피부에 발라서 팩을 할 때의 노폐물의 제거나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황토, 머드, 화산재 등의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이용한 화장료를 페이스트 상태로 부직포 등의 시트에 직접 적용하지 못한 이유는 화장료를 페이스트 상태로 부직포 등의 시트에 직접 적용하는 경우 화장료에 포함된 물에 의하여 화장료가 흘러내리기 때문에 보관이나 사용이 곤란하여 제품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878,563호 공보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787105호 공보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2005-0067110호 공보 특허문헌 4 : 한국공개특허 제2007-008181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의 화장료를 이용하는 마스크 팩을 페이스트 상태로 셀룰로오스 부직포 등의 시트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얼굴 등의 피부에 보습 및 영양공급뿐만 아니라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에 의한 충분한 원적외선 효과, 노폐물 제거 및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마스크 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은, 제1이형지와, 상기 제1이형지와 일면이 합지되고, 타면에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가 도포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화장료가 도포된 타면에 합지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하되, 상기 화장료는 제1이형지 및 제2이형지의 밖으로 유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의 상기 화장료는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 35 내지 45 중량부와, 분산제 3 내지 6 중량부와, 점증제 0.1 내지 8 중량부 및 정제수 45 내지 5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는 황토분말, 머드분말, 화산재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의 상기 부직포는 셀룰로오스를 용해 후 연속적인 방사에 의하여 제조된 장섬유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의 상기 셀룰로오스는 코튼 린터를 원료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의 상기 셀룰로오스는, N-methylmorpholine-N-Oxide로 용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의 상기 부직포는, 표면을 코로나 방전에 의한 표면 처리 후에 친수화제 의한 친수화 처리를 하여 표면의 친수성 및 접착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의 화장료를 페이스트 상태로 하여 셀룰로오스 부직포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얼굴 등의 피부에 보습 및 영양공급뿐만 아니라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에 의한 충분한 원적외선 효과, 노폐물 제거 및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 팩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장섬유 부직포와 단섬유 부직포의 표면 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사진으로, (a)는 코튼 린터 기반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부직포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b)는 종래의 단섬유 부직포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마스크 팩의 부직포의 종류에 따른 사용 후 시트 상태를 비교한 것으로서 (a)는 코튼 린터 기반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부직포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b) 종래의 단섬유 부직포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 팩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 팩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장섬유 부직포와 단섬유 부직포의 표면 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사진으로, (a)는 코튼 린터 기반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부직포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b)는 종래의 단섬유 부직포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마스크 팩의 부직포의 종류에 따른 사용 후 시트 상태를 비교한 것으로서 (a)는 코튼 린터 기반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부직포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b) 종래의 단섬유 부직포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 팩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셀룰로오스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 팩(이하, "마스크 팩"이라 함.)은, 제1이형지(200)와, 상기 제1이형지(200)와 일면이 합지되고, 타면에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400)가 도포된 부직포(100)와, 상기 부직포(100)의 화장료(400)가 도포된 타면에 제2이형지(300)가 합지된 3중 합지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형지(200)에 일면이 합지된 상기 부직포(100)의 타면에 페이스트 상태로 도포된 상기 화장료(400)는, 상기 제1이형지(200) 및 제2이형지(300)의 합지 과정에서 압입에 의하여 상기 부직포(100)의 공극으로 스며드는 한편 상기 부직포(100)의 양면에 고르게 분포하여 발라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화장료(400)는 페이스트 상태로 도포되어 흐르지 않도록 적절하게 유동성이 제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400)의 유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적 수단을 상기 화장료(400), 부직포(100) 및 이형지(200, 300) 각각의 측면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장료(40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400)는, 마스크 팩으로서의 기능성뿐만 아니라 상기 화장료(400)를 페이스트 상태로 상기 부직포(100)에 적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물리적 특성(예를 들면, 부직포(100)에 대한 발림성, 부착력, 점성, 이형지(200, 300)에 대한 이형성)을 고려하여 그 조성비 및 도포량이 면밀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400)는 분말상(粉末狀)의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 30 내지 45 중량부와, 분산제 3 내지 6 중량부와, 점증제 0.1 내지 8 중량부와, 정제수 45 내지 55 중량부 및 향료나 비타민 등 기타 첨가제를 적정량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는 분말상의 황토, 바다갯벌 머드(이하, "머드"라 함.) 또는 화산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황토, 머드 또는 화산재 등은 미네랄 등의 무기영양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황토는 미세한 다공성 물질로서 흡착성이 우수하고 각종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으며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황토를 피부에 바르면, 원적외선에 의해 세포조직이 활성화되어 혈액순환과 노폐물배출이 촉진되며 황토의 흡착성에 의해 피부 모공 속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이물질이나 노폐물이 흡착·제거되어, 미백, 보습, 해독 등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머드는 원적외선이 다량으로 방사되고 각종 무기물질 및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기미ㆍ죽은깨ㆍ잡티제거, 피부재생 촉진 및 잔주름 예방, 모공축소와 더불어 노폐물제거 등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화산재는 피부에 다량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대사기능을 촉지시키는 기능을 하여 피부에 생겨나는 곰팡이 등을 제거시켜 피부 트러블을 완화하고 피부의 주름을 완화하는 동시에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피부손상을 방지하고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원적외선은 인체의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열을 만드는데, 이러한 열작용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며, 세포조직을 활성화하여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만성피로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는 분말상의 황토, 머드 또는 화산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숯가루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숯은 원적외선 효과뿐만 아니라 다공질 구조로 되어 있어 흡착력이 우수하여 피부의 미세한 모공의 피지까지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의 함유량은 30 내지 4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천연원료가 30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정제수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데, 정제수의 양이 증가하면 전체 화장료(400)의 상태가 묽게 되어 유동성이 증가하게 되고, 유동성 제한을 위해 점증제나 다른 첨가제의 양을 늘리면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천연원료가 가지는 기능이나 효능을 충분하게 활용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천연원료가 45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포함되는 정제수의 양이 줄게 되어 상기 부직포(100)에 대한 상기 화장료(400)의 발림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화장료의 점도가 높아져 상기 이형지(200, 300)의 이형성이 저하되고 사용시 끈적임에 의한 불쾌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황토, 머드 또는 화산재 등은 물에 대한 분산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분산제 3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산제는 서로 잘 혼합되지 않는 액체나 고체를 액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소르베이트80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증제는 상기 화장료(400)가 부직포(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적절한 점도로서 유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잔탄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0.1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 중 황토나 머드와 같이 그 자체로 점성이 큰 경우에는 별도의 점증제가 불필요한 경우도 있으나, 천연원료 자체가 점성이 균일하지 않다는 점에서 0.1 내지 8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첨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점증제가 8 중량부 이상인 경우 상기 화장료(400)의 점도가 높아져, 상기 이형지(200, 300) 제거시 상기 이형지(200, 300)에 상기 화장료(400)가 지나치게 많이 묻어 나오거나 안면 등의 피부에 사용시 끈적임 등의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수나 마스크 팩에 포함하는 정제수의 함량비는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화장료(400)가 페이스트 상태에서 적절하게 유동성이 제한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정제수의 함량비가 중요하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함유되는 정제수의 양이 많으면 페이스트 상태의 상기 화장료(400)가 지나치게 묽어져 쉽게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고, 함유되는 정제수의 양이 적으면 상기 화장료(400)의 상기 부직포(100)에 대한 발림성, 상기 이형지(200, 300)와의 이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사용시 끈적임에 의한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을 얼굴 등의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화장료(400)에 포함된 수분이 서서히 증발하면서(즉, 건조되면서)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의 유용한 성분이 피부에 작용하게 되는 한편 피부의 노폐물 제거 및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게 된다. 즉, 상기 마스크 팩을 피부에 부착한 후 상기 화장료(400)가 완전히 건조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적어도 20분 이상 소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20분 이상의 시간 동안 상기 화장료(400)가 서서히 건조되면서 천연원료의 유용한 성분이 피부에 작용하는 한편 피부의 노폐물 제거 및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 개선의 효과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상기 화장료(400)의 기능적,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상기 정제수의 양은 45 내지 5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100)의 제조]
상기 부직포(100)는 페이스트 상태의 상기 화장료(400)를 부착하는 지지체로서 보관이나 유통 중에 상기 부직포(100) 상에서 상기 화장료(40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부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100) 상에 상기 화장료(400)를 도포할 때의 발림성이나 도포 후의 부착성이 요구된다.
종래의 시트형 팩에서 주로 이용되는 단섬유 부직포는 보통 2.5~3.8㎝ 이하의 길이를 가지는 단섬유(short staple)를 방사하여 시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평량(단위 면적당 무게)이 일정하지 않고, 표면이 평탄하지 않으며 보풀이 형성되어 있다(도 2의 (a)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와 같이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400)를 단섬유 부직포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발림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부직포(100) 상에 도포되는 화장료(400)를 부착하는 부착력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충분한 리프팅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400)를 도포하여 사용하더라도 발림성 및 화장료(400)에 대한 부착력이 양호하고, 나아가 사용시 충분한 리프팅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부직포로서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장섬유 부직포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실크 등의 천연 장섬유를 방사시켜 웹(섬유를 거듭해 맞춘 상태)을 형성하거나, 또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등의 고분자 원료나 셀룰로오스를 액체로 변화시켜 연속적으로 방사 제조되는 스펀본드(Spun Bond)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스펀본드 방법에 의한 부직포는 압출기에서 방사된 필라멘트가 연신된 후에 적층하여 웹을 형성하는 것으로, 섬유 길이가 길기 때문에 실용상의 강도를 가지며, 통기성이 우수하고, 유제(油劑) 처리 등을 행하지 않고 섬유가 그대로 시트화 되기 때문에 섬유 특유의 발수성(撥水性) 등의 성질을 살릴 수 있다.
한편, 셀룰로오스는 식물의 세포벽의 구성하는 주요 물질로서 자연에 풍부하고 독성이 없으며 재생이 가능하고, 3개의 수산기를 가지고 있어 친수성이 높으며, 생분해 특성과 개질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천연 고분자로 알려져 있다.
다만, 셀룰로오스는 수산기에 의한 수소결합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그 자체는 열가소성이 전혀 없으나, 셀룰로오스 수산기를 봉쇄하고 유도체화함으로써 열가소성을 부여한 후 용융 방사하거나, 셀룰로오스를 특수용제에 용융시켜 방사함으로써 장섬유 부직포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 있다.
한편, 이러한 셀룰로오스의 원료로는 주로 목재펄프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목재펄프의 셀룰로오스 함량이 40 내지 60% 정도로 낮고 분자량이 작아 고품질의 재생섬유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또한 목재는 펄프를 얻을 수 있게 되기까지의 생육기간이 매우 길고 근본적으로 환경을 파괴하는 문제점 있다.
한편, 코튼(cotton)은 방적용으로 사용되는 린트와 종자 주변에 붙어있는 면 린터(linter)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코튼으로부터 방적용 린터를 사용하는 경우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코튼은 1년생 작물로 생육기간이 짧아 자연환경의 훼손없이 안정적으로 원료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α-셀룰로오스 함량이 95% 이상으로 목재펄프에 비하여 순도가 높으며 분자량이 크므로 고강력 재생 셀룰로오스의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직포는 이러한 코튼 린터를 이용한 장섬유 부직포로서, 상기 코튼 린터를 깨끗하게 세척한 후에 증해(蒸解) 및 여과를 거쳐 불순물이 제거한 정제된 코튼 린터를 인체에 무해한 amine-oxide 계열의 용매로 NMMO(N-methylmorpholine-N-Oxide)로 용해 후 방사에 의하여 코튼 린터 기반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와 코튼 린터 기반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부직포는, 방사되는 필라멘트를 단일 연속공정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단섬유 부직포에 비해 평량의 편차가 크지 않고, 표면이 평탄하며, 보풀이 형성되지 않다(도 2의 (b) 참조).
즉, 코튼 린터 기반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부직포는 단섬유 부직포와 달리 평량의 편차가 크지 않고, 표면이 평탄하며, 보풀이 없기 때문에,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400)를 장섬유 부직포에 도포하는 경우에도 발림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부직포(100) 상에 도포되는 화장료(400)를 부착하는 부착력도 좋다.
또한, 코튼 린터 기반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부직포는, 피부에 부착하는 경우, 셀룰로오스 특유의 흡습성이 좋을 뿐만이 아니라, 평량의 편차가 작기 때문에 건조시 균일한 수축에 의하여 균일한 리프팅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제 코튼 린터 기반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부직포와 기존의 단섬유 부직포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을 제조하여 사용한 경우, 도 3의 (a)에서와 같이 코튼 린터 기반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경우에는 피부에 부착하여 서서히 건조된 후에 건조된 마스크 팩의 표면이 매끄럽게 나타나지만, 도 3의 (b)에서와 같이 기존의 단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경우에는 피부에 부착하여 서서히 건조된 후에 건조된 마스크 팩의 표면(특히, 턱 부분)에 잔주름이 많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을 피부에 부착하면 마스크 팩의 화장료가 서서히 건조되면서 피부를 수축시켜 리프팅으로 하게 되는데, 이때 기존의 단섬유 부직포에 상기 화장료(400)를 도포한 경우에는 잔주름이 형성되면서 충분한 리프팅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코튼 린터 기반의 셀룰로오스 장섬유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균일하면서도 충분한 리프팅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100)는 상기 화장료(400)가 도포되는 면을 친수화 처리함으로써, 상기 화장료(400)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직포(100)의 친수화 처리는 희석한 친수화제 용액을 사용하여, 침지법, 분무법, 코팅법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친수화 처리에 앞서,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하는 것도 친수화 정도를 향상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직포(100)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으로 조사하면 친수성이 올라가고, 더욱 접착력이 향상되게 된다.
[이형지(200, 300)]
상기 제1이형지(200) 및 제2이형지(300)은 상기 화장료(400)가 도포된 부직포(100)의 양 측면에 합지함으로써, 상기 부직포(100) 상에 도포된 화장료(400)를 보호하는 동시에 상기 부직포(100)에 도포하여 부착된 상기 화장료(40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후술하는 제조과정에서와 같이, 상기 제1이형지(200)에 상기 부직포(100)를 합지한 후 상기 부직포(100) 상에 상기 화장료(400)를 도포한 후에 상기 제2이형지(300)를 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형지의 합지과정에서 상기 부직포(100) 상에 도포된 상기 화장료(400)가 상기 부직포(100)의 공극을 통해 스며들게 됨과 동시에 상기 화장료(400)의 점성에 의하여 상기 제1이형지(200) 및 제2이형지(300)가 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합지된 상기 제1이형지(200) 및 제2이형지(300)는 사용자가 마스크 팩을 사용하기 위하여 제거되는데, 이때 제거되는 상기 제1이형지(200) 및 제2이형지(300)(특히, 제2이형지(300))에 붙어서 떨어져 나오는 상기 화장료(400)의 양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이형지(200) 및 제2이형지(300)는 표면장력이 작은 비극성고분자,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등이 바람직하며, 특히 적어도 상기 제2이형지(300)는 투명도가 높은 폴리에틸렌으로 함으로써 상기 부직포(100) 상에 도포된 상기 화장료(40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은 조성물의 성분과 함량을 페이스트 상태로 치밀하게 설계함으로써 적절하게 유동성이 제어된 화장료(400)와, 상기 화장료(400)에 대한 발림성 및 부착력을 개선한 부직포(100)와, 상기 부직포(100)에 도포된 화장료(400)에 부착하여 상기 화장료(400)의 유동성을 제한하는 제1이형지(200) 및 제2이형지(300)에 의하여, 상기 부직포(100)에 도포된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400)가 보관이나 운반 및 사용 중에도 흘러내리지 않는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의 제조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부직포 공급부(S1)에서 공급되는 부직포(100)와 제1 이형지 공급부(S2)에서 공급되는 제1이형지(200)가 한 쌍의 합지롤러(R1, R2)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부직포(100)의 일면에 제1이형지(200)가 합지되는데, 이때 상기 부직포(100) 쪽의 합지롤러(R1)가 화장료공급부(S4) 내의 화장료(400)를 묻혀 상기 부직포(100)에 도포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합지롤러(R1, R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화장료(400)가 상기 부직포(100)로 스며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이형지(200)와 합지된 상기 부직포(100) 상의 도포된 상기 화장료(400) 위로 제2이형지 공급부(S3)에서 공급된 제2이형지(300)가 공급되면서 한 쌍의 합지롤러(R3, R4)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부직포(100)의 화장료가 도포된 면에 상기 제2이형지(300)가 합지됨과 동시에 재차 가압에 의해 상기 부직포(100)에 도포된 상기 화장료(400)가 상기 부직포(100) 내의 공극을 채우면서 상기 부직포에 고르게 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이형지(200), 부직포(100) 및 제2이형지(300) 3중 합지로 된 마스크 팩은 포밍부(F)에서 사람의 얼굴 형상 등으로 재단된 후에 포장된다.
100 부직포 200 제1이형지
300 제2이형지 400 화장료
S1 부직포 공급부 S2 제1이형지 공급부
S3 제2이형지 공급부 S4 화장료공급부
F 포밍부 R1, R2, R3, R4 합지롤러

Claims (6)

  1. 제1이형지와, 상기 제1이형지와 일면이 합지되고, 타면에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가 도포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화장료가 도포된 타면에 합지되는 제2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료는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 35 내지 45 중량부와, 분산제 3 내지 6 중량부와, 점증제 0.1 내지 8 중량부 및 정제수 45 내지 5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는 황토분말, 머드분말, 화산재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화장료는 제1이형지 및 제2이형지의 밖으로 유동되지 않으며,
    상기 부직포는, α-셀룰로오스 함량이 95% 이상인 코튼 린터를 원료로 한 셀룰로오스를, N-methylmorpholine-N-Oxide로 용해 후 연속적인 방사에 의하여 제조된 셀룰로오스 장섬유 부직포이고,
    상기 부직포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에 의한 표면 처리 후에 친수화제 의한 친수화 처리를 하여 표면의 친수성 및 접착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 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55630A 2015-04-21 2015-04-21 마스크 팩 KR101692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30A KR101692376B1 (ko) 2015-04-21 2015-04-21 마스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30A KR101692376B1 (ko) 2015-04-21 2015-04-21 마스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737A KR20160024737A (ko) 2016-03-07
KR101692376B1 true KR101692376B1 (ko) 2017-01-03

Family

ID=5554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630A KR101692376B1 (ko) 2015-04-21 2015-04-21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3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088B1 (ko) 2018-01-23 2019-04-26 (주)미테솔인터내셔날 폴딩 마스크팩 제조를 위한 펀칭 머신
KR101973087B1 (ko) 2018-01-23 2019-08-16 (주)미테솔인터내셔날 폴딩 마스크팩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200016634A (ko) 2018-08-07 2020-02-17 상하이 볼링 만 코스메틱 씨오., 엘티디 안면 마스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2792B1 (ko) 2018-12-03 2020-05-20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이액 혼합 마스크 팩
KR20200069648A (ko) 2018-12-07 2020-06-17 (주)미테솔인터내셔날 폴딩 마스크팩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410B1 (ko) * 2020-01-20 2020-03-09 김기환 마스크팩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8604A (ja) * 2005-04-08 2006-10-26 Kuraray Co Ltd スキンケア用シート
KR100864414B1 (ko) * 2007-04-27 2008-10-22 금산고려홍삼 주식회사 홍삼 및 한방재 추출물이 함유된 미용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4960B2 (ja) * 1997-03-04 2002-05-27 王子製紙株式会社 水解性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46840A (ko) * 2004-11-12 2006-05-18 김상은 화장료 조성물
KR20050067110A (ko) 2005-05-09 2005-06-30 방계룡 솔잎 정유와 황토를 첨가한 겔형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81813A (ko) 2006-02-14 2007-08-20 오한선 황토페이스마스크팩 및 그 황토페이스마스크팩용황토시트지와 그 제조방법
KR100787105B1 (ko) 2006-12-15 2007-12-21 호형철 미용마사지황토팩 및 그 제조방법
KR100878563B1 (ko) 2007-06-04 2009-01-19 변산 황토 함유 미용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8604A (ja) * 2005-04-08 2006-10-26 Kuraray Co Ltd スキンケア用シート
KR100864414B1 (ko) * 2007-04-27 2008-10-22 금산고려홍삼 주식회사 홍삼 및 한방재 추출물이 함유된 미용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088B1 (ko) 2018-01-23 2019-04-26 (주)미테솔인터내셔날 폴딩 마스크팩 제조를 위한 펀칭 머신
KR101973087B1 (ko) 2018-01-23 2019-08-16 (주)미테솔인터내셔날 폴딩 마스크팩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200016634A (ko) 2018-08-07 2020-02-17 상하이 볼링 만 코스메틱 씨오., 엘티디 안면 마스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2792B1 (ko) 2018-12-03 2020-05-20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이액 혼합 마스크 팩
KR20200069648A (ko) 2018-12-07 2020-06-17 (주)미테솔인터내셔날 폴딩 마스크팩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737A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376B1 (ko) 마스크 팩
CN1096848C (zh) 剥离式面膜
KR101692377B1 (ko)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CN1119141C (zh) 用于薄纸产品的抗病毒、无水且柔和的皮肤洗剂
CA1308663C (fr) Materiau en feuille pour realiser un traitement cutane ou capillair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articles realises en ce materiau
CN103800206B (zh) 发热型美容面膜
JP7410922B2 (ja) ナノフィブリルセルロースを含む医療用多層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10638A (ja) 液体で含浸するための媒体及び該媒体を含むキット
JP2019532910A (ja) バイオセルロースシート、バイオセルロースシート製品、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CN1717211A (zh) 含皮肤护理添加剂的纤维、非织造织物、多孔膜及泡沫塑料的制备方法
CN105246455A (zh) 美容套具
CN1323573A (zh) 具有含油成分层的薄片
EP2532326B1 (de) Wundauflage, enthalted vliesstoff und salbengrundlage, zur unterdrucktherapie
CN111658574A (zh) 一种含活性精华的干片式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782470B1 (ko)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미용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40019799A (ko) 나노셀룰로스 요소를 포함하는 제조 물품
KR101799841B1 (ko) 소프트젤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96776A (ko) 2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시이트형하이드로겔 팩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1032B1 (ko) 시트형 미용 팩
JP2021532283A (ja) バイオセルロース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131059B2 (en) Nanocellulose composite sheet for use as dermatological treatment or medical device
KR20090110996A (ko) 마스크 팩
JP2019183336A (ja) 機能性シート
JP2019181850A (ja) 機能性シートおよび機能性シート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