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695A - 시료 용기 - Google Patents

시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695A
KR20190143695A KR1020180071528A KR20180071528A KR20190143695A KR 20190143695 A KR20190143695 A KR 20190143695A KR 1020180071528 A KR1020180071528 A KR 1020180071528A KR 20180071528 A KR20180071528 A KR 20180071528A KR 20190143695 A KR20190143695 A KR 20190143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ower
sample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광
Original Assignee
유주티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주티엔씨(주) filed Critical 유주티엔씨(주)
Priority to KR1020180071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3695A/ko
Publication of KR2019014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63Non-refrigerated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or storing living parts whilst preserving, e.g. cool boxes, blood bags or "straws" for cryopreservation
    • A01N1/0273Transport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87Laminated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존액에 따로 접촉하지 않고 용기의 조작을 통해 보존액에 시료를 침지할 수 있도록 한 시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용기는 일측이 개구된 통 형태의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고, 일측이 개구된 통 형상의 용기로 형성되고, 측부에 액체의 통과를 위한 통공이 형성되는 제2용기; 상기 제2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료 용기{Sample container}
본 발명은 시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보존액에 따로 접촉하지 않고 용기의 조작을 통해 보존액에 시료를 침지할 수 있도록 한 시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분야에서는 다양한 용기가 사용된다. 이 중 검체용기와 같은 시료용기들은 각종 시료나 검체 샘플을 보관 또는 이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시료 용기에는 피와 같은 체액, 체조직과 같은 세포조직이 보관된다.
이러한 시료 용기는 필요한 경우 용기 내에 보존액을 이용하여 시료를 보관하는 용도로도 이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시료 용기는 사용이 불편하고, 사용자의 안전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 시료용기는 일회용으로 제작된다. 시료용기를 적은 비용으로 제작하기 위해 단순한 구조로 제작을 하게 된다. 때문에, 시료를 보존액에 침지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가 시료를 별도로 시료용기에 투입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보존액으로 사용되는 용액은 포르말린과 같은 휘발성이 강하고, 독성이 강한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고도의 취급주의가 요구되며,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시료용기에 보존액을 투입하여 시료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8330호(등록일 2017.11.0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존액에 따로 접촉하지 않고 용기의 조작을 통해 보존액에 시료를 침지할 수 있도록 한 시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에 의해 보존액을 시료에 투여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상의 편리성이 증대되도록 한 시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료용기는 일측이 개구된 통 형태의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고, 일측이 개구된 통 형상의 용기로 형성되고, 측부에 액체의 통과를 위한 통공이 형성되는 제2용기; 상기 제2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용기는 사용자가 보존액에 따로 접촉하지 않고 용기의 조작을 통해 보존액에 시료를 침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료용기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 보존액을 시료에 투여할 수 있도록 하여 제저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상의 편리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용기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시료용기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2용기의 단면 형태를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4는 제2용기와 탑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탑과 제2용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용기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료용기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료용기는 제1용기(10), 제2용기(30) 및 탑(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용기(10)는 일측이 개구된 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시료 또는 시료와 보존액을 수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제1용기(10)의 개구부(11)에는 제2용기(30)와의 결합을 위한 나선부(12)가 형성된다. 이 제1용기(10)에 제2용기(20)가 끼움결합되는 경우 나선부(12)를 대신하여 끼움결합을 위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내부에 수납되는 시료와 보존액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제1용기(10)와 제2용기(3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어야 하며, 나선부(12)에 의한 나사결합이 견고한 결합에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용기(10)는 시료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와 같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금속 또는 세라믹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제2용기(30)는 제1용기(10)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일측이 개구된 통 형상의 용기로 형성되며, 측부 하단에 액체의 통과를 위한 통공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용기(30)는 탑(70)과 결합된 상태에서 보존액을 수용하며, 탑(70)의 개폐 동작에 따라 수용된 보존액을 제1용기(10)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2용기(30)는 탑(70)이 결합되고, 보존액을 넣기 위한 개구부(31)가 일측에 형성되는 통형태의 용기로 형성된다. 제2용기(30)는 파지부(37)와 수용부(36)로 구분될 수 있다. 수용부(36)와 파지부(37)는 파지부(37)의 외주연이 수용부(36)의 외주연에 비해 큰 둘레를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파지부(37)는 제2용기(30)가 제1용기(10)에 결합될 때 결합깊이를 제한하고, 결합부위를 밀봉하도록 제2용기(30)와 제1용기(10)가 밀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파지부(37)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 또는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파지부(37)의 하단 즉, 파지부(37)와 제1용기(10)의 개구부가 마주보는 면의 둘레에는 돌출부(44)가 형성된다. 돌출부(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37)의 하단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 돌출부(44)는 제1용기(10)와 제2용기(30)의 결합시 제1용기(10)의 개구부 외주연에 밀착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돌출부(44)는 제1용기(10)와 제2용기(30)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수용부(36)의 위주연에는 제1용기(10)의 나선부(12)에 치합되는 제1나선부(33)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나선부(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용기의 기밀성 확보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나선부(33)는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셋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수용부(36)의 측부(34), 특히 측부(34) 하단에는 보존액과 같은 유체의 유통을 위한 통공(39)이 형성된다. 이 통공(39)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형성되거나 하나의 통공이(39) 형성되되 통공(39)의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야 보존액의 유통이 원할해질 수 있다.
한편, 제2용기(30)의 내부에는 탑(70)이 결합되기 위한 제2나선부(35)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용기(30)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탑(70)은 제2용기(30)의 개구부(31)에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통공(39)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이를 위해 탑(70)은 개구부(87)가 제2용기(30)와의 결합방향에 형성되는 통 형태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71)와 결합부(81)로 구분될 수 있으며, 파지부(71)와 결합부(81)의 경계에 돌출부(75)가 형성된다.
돌출부(75)는 제2용기(30)와 탑(70)의 결합시 제2용기(30)와 탑(70) 사이의 틈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나,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생략이 가능하다.
탑(70)의 개구부(87)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시 제2용기(30) 내부로 수납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 결합부(81)의 외주연에는 제2용기(30)의 제2나선부(35)와 치합되는 제3나선부(83)가 형성된다. 탑(70)은 결합부(81)의 제3나선부(83)에 의해 제2용기(30)에 회전하여 결합되며, 이를 통해 제2용기(30)의 내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 제3나선부(83)도 용기의 기밀성 확보를 위해 쌍으로 형성되지만, 제1나선부(33)와 마찬가지로 하나 또는 셋이상의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도면들에서는 제3나선부(83)와 제1나선부(33)의 경사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3나선부(83)는 제1나선부(33)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사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즉, 탑(70)과 제2용기(30)가 결합될 때 잠기는 방향과, 제2용기(30)와 제1용기(10)의 결합시 잠기는 회전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제1나선부(33)와 제3나선부(83)의 경사 방향이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탑(70)과 제2용기(30)의 결합을 푸는 경우 반대로 형성된 나선부(33, 83)에 의해 제2용기(30)와 제1용기(10)의 잠김은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도하지 않은 풀림이 발생되어 수용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합부(81)의 외부면은 제2용기(30)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내면의 둘레와 같은 둘레로 형성된다. 결합부(81)는 하강시 하단(85)이 제2용기(30)의 내면 바닥에 밀착하여 통공(39)을 폐쇄하고, 이를 통해 제2용기(30)와 탑(70)이 캡슐형태의 용기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탑(70)과 제2용기(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용기(10)에 결합된 후, 탑(70)이 회전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통공(39)이 개방되어 보존액이 제1용기(10)의 내부에 투입되게 된다.
한편, 탑(70)의 파지부(71)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 또는 돌기 형태의 패턴(7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탑(70)의 상면에는 홈(76)가 마커(77)가 형성될 수 있다. 홈(76)은 수용된 용액, 시료와 같은 저장물의 종료, 사용처와 같은 정보를 표기하기 위한 홈(7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홈(76)은 탑(70)의 상부 표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 홈(76)에 글씨가 적힌 스티커 또는 색상지가 접착되어 용기의 내용물, 사용여부와 같은 정보가 표시되거나, 사용자의 수기에 의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탑(70)의 상면에는 마커(77)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마커(77)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방향 또는 잠금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화살표 형상, 텍스트, 기호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화살표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된 마커(77)가 도시되어 있으나, 마커(77)가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제2용기의 단면 형태를 도시한 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제2용기와 탑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 (a)는 탑이 하강한 상태를, (b)는 탑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용기(30)는 탑(70)과 함께 보존액을 저장하는 캡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2용기(30)는 도 4의 (b)와 같이 탑(70)의 상승에 따라 통공(39)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된 보존액을 제1용기(10)로 토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2용기(30)의 외부에는 제1용기(10)와의 결합을 위한 제1나선부(33)가 형성되고, 내면에는 탑(70)과의 결합을 위한 제2나선부(35)가 형성된다.
통공(39)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46)과 측부(34)를 잇는 부분에서 결합부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높이, 바닥(36)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폭 만큼 측부(34)가 생략되어 형성된다.
통공(39)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일부 통공(39)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 통공(39)을 통해 보존액이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혹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통공(39)을 형성하되 넓이와 높이를 크게하여 보존액의 유출과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바닥(36)은 가장자리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융기되어 융기부(41)가 형성된다. 용기부(41)는 보존액이 통공(39)을 통해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과 함께, 탑(70)과 제2용기(30)의 결합시 통공(39)을 밀폐하여 보존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a)와 같이 탑(70)의 하단이 융기부(41)와 측부(34)의 사이에 형성되는 안착부(45)에 강제끼움 결합됨으로써 탑(70)과 제2용기(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을 밀폐하게 된다.
한편, 융기부(41)의 가장자리 둘레(42) 즉,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는 탑과 제2용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는 탑(70)의 하단(85a)이 안착부(42)에 끼워지기 전의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통공(39)을 통해 보존액을 배출하며,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탑(70)이 이 통공(39)을 폐쇄하여 독성물질인 보존액이 제1용기(10)에 배출되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해, 탑(70)은 회전에 의해 제2용기(30)를 따라 하강하거나 상승하면서 통공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탑(70)에 의한 밀폐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안착부(42)의 폭은 탑(70)의 하단(85a)의 폭 보다 좁게 만들어지며, 융기부(41)의 가장자리는 곡면 처리에 의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탑(70)의 최초 결합시에는 (b)에서와 같이 회전에 의해 하단(85b)가 안착부(42) 즉, 측부(34)와 융기부(41)의 가장자리 사이에 압입된다. 이때, 탑(70)의 하단(85b)는 측부(34)와 융기부(41)에 의해 뭉개지게 되어 형태가 변하게 되나, 압입에 의해 틈을 밀폐하게 된다.
이후, 탑(70)이 상승하는 경우 탑(70)의 하단(85c)은 (c)에서와 같이 측부(34)와 융기부(41)에 의해 뭉개지게 되어 형태변형이 유지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별도의 실링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보존액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용기(10)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회용을 제조되는 시료 용기에 복잡하고 값비싼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존액의 누액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용착부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료용기는 보존액이 먼저 수용되어 준비된다. 그리고 시료가 제1용기(10)에 수용된 후, 간단한 조작에 의해 먼저 수용된 보존액이 시료에 공급되어 시료를 보존하게 된다. 이때, 보존액은 시료가 담기는 제1용기(10)와는 다른 공간인 탑(70)과 제2용기(30)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에 수용되어 보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용기(30)에는 보존액의 방출을 위한 통공(39)이 복수로 마련된다. 이러한 통공(39)은 제2용기(30)와 탑(70)이 결합되는 경우 탑(70)의 하단부(85)가 제2용기(30)의 바닥부(38)와 접촉하고, 이를 통해, 탑(70)의 측부(86)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보존액을 제1용기(10)로 방출하고자 하는 경우 탑(70)을 회전시켜 통공(39)을 개방함으로써, 수용부 내부의 보존액이 제1용기(10)로 방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존액의 방출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용기(10)와 제2용기(30), 제2용기(30)와 탑(70)은 회전에 의해 잠기거나 풀리게 된다. 이때, 제1용기(10)와 제2용기(30)의 잠김 및 풀림을 위한 회전방향과 제2용기(30)와 탑(70)의 잠김 및 풀림을 위한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여 제1용기와 제2용기(30)의 결합을 풀거나 잠글때, 제2용기(30)와 탑(70)의 결합이 풀리거나 잠기는 것, 또는 이의 반대 상황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본원 발명에서는 이러한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더 마련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착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용착부(50)는 탑(70)과 제2용기(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통공(39)에 의해 노출되는 탑(70)의 측부(86)와 제2용기(30)의 바닥부(38)가 접촉하는 접점에 마련된다.
이 용착부(50)는 측부(86)와 바닥부(38)를 태그 용접(또는 융착)한 것으로, 사용자 일정한 힘 이상으로 탑(70)과 제2용기(30)를 회전시키는 경우 파단되어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이 용착부(50)는 접점의 일부만을 융착하여 마련된다. 도 6에는 통공(39)에 의해 노출되는 측부(86) 중 하나에만 용착부(5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 통공(39)에 의해 노출되는 측부(86)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통공(39)에 노출되는 측부(86)에 복수의 용착부(50)가 마련될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용착부(50)는 융착외에 접착제와 같은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마련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융착에 의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려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제1용기 11 : 개구부
12 : 나선부 30 : 제2용기
33 : 제1나선부 34 : 측부
35 : 제2나선부 36 : 수용부
37 : 파지부 39 : 통공
70 : 탑 71 : 파지부
75 : 돌출부 81 : 결합부
83 : 제3나선부 87 : 개구부

Claims (7)

  1. 일측이
    개구된 통 형태의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고, 일측이 개구된 통 형상의 용기로 형성되고, 측부에 액체의 통과를 위한 통공이 형성되는 제2용기; 및
    상기 제2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의 바닥면은 용기 내부로 융기되는 융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는
    상기 융기부와 상기 측부 사이에 상기 탑의 하단이 강제 끼움 결합되는 안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의 가장자리는 곡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는 상기 제1용기와 회전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와 상기 탑은
    상기 탑이 상기 통공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탑과 상기 제1용기의 바닥이 접촉하는 측면에 용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용기.
KR1020180071528A 2018-06-21 2018-06-21 시료 용기 KR20190143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528A KR20190143695A (ko) 2018-06-21 2018-06-21 시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528A KR20190143695A (ko) 2018-06-21 2018-06-21 시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695A true KR20190143695A (ko) 2019-12-31

Family

ID=6905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528A KR20190143695A (ko) 2018-06-21 2018-06-21 시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369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5822A (zh) * 2021-09-13 2021-12-14 冯水土 一种肿瘤组织标本的保存装置
KR102565657B1 (ko) * 2023-03-06 2023-08-10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
NL2032492B1 (en) * 2022-07-14 2024-01-25 Daklapack Europe B V Specimen collection device for home sampling and transport.
KR102664054B1 (ko) * 2023-03-06 2024-05-08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검체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5822A (zh) * 2021-09-13 2021-12-14 冯水土 一种肿瘤组织标本的保存装置
NL2032492B1 (en) * 2022-07-14 2024-01-25 Daklapack Europe B V Specimen collection device for home sampling and transport.
KR102565657B1 (ko) * 2023-03-06 2023-08-10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
KR102664054B1 (ko) * 2023-03-06 2024-05-08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검체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3695A (ko) 시료 용기
RU2604125C2 (ru) Контейнер в сборе и связанный с ним способ
ES2427158T3 (es) Conjunto de recipiente y tapa penetrable sensible a la presión para el mismo
RU2176976C2 (ru) Емкость с колпачком и запорный колпачок (варианты)
ES2794602T3 (es) Tapa perforable
EP2295022B1 (en) Discharge container with filter
JP2021167817A (ja) 容器のための有鍵キャップ及びそれに関連するデバイスとシステム
EA018432B1 (ru) Колпачок (варианты) и контейнер (варианты)
US20050234422A1 (en) Medicine bottle for injection
US20110049169A1 (en) Vented closure for container
JP4596415B2 (ja) 注出栓
KR20010075324A (ko) 수납 용기와 용기의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즉시사용 가능한 세트
US20030105448A1 (en) Infusion vessel
KR102597772B1 (ko) 조직검체 운반용기
US20230226537A1 (en) Biopsy container assembly
US6902076B2 (en) Bottle and bottle closure assembly
JP4424538B2 (ja) 薄肉容器
JP5116279B2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KR102168864B1 (ko) 기체주입장치
KR100916540B1 (ko) 액체용 소분용기
KR102645241B1 (ko)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KR20200037983A (ko) 스포이드 용기
KR20220110508A (ko) 생체 시료를 위한 용기 및 그 보존 방법
KR20100010095U (ko) 안전마개가 부착된 주사기형 약품용기
KR101934186B1 (ko) 시료 보관 및 이송이 가능한 시료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