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657B1 -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 - Google Patents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657B1
KR102565657B1 KR1020230029237A KR20230029237A KR102565657B1 KR 102565657 B1 KR102565657 B1 KR 102565657B1 KR 1020230029237 A KR1020230029237 A KR 1020230029237A KR 20230029237 A KR20230029237 A KR 20230029237A KR 102565657 B1 KR102565657 B1 KR 102565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ap
wall portion
partition wal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진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진영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230029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a reagent
    • B01L3/52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a reagent with means for closing or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2Handling hazard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5Protection against injuring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보존액이 수용 및 밀폐되어 작업자 안전성이 향상된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검체 용기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용기 캡; 및 상기 캡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밀봉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캡 천장부, 상기 캡 천장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캡 벽체부, 및 상기 캡 벽체부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더욱 돌출된 하나 이상의 차단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홀이 형성된 마개 바닥부, 상기 마개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마개 격벽부, 및 상기 마개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개 격벽부를 둘러싸는 형상의 마개 벽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개 격벽부는, 상단이 부분적으로 하측으로 만입되어 하나 이상의 통로 개구를 갖는 형상이다.

Description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SPECIMEN CONTAINER WITH SEALED PRESERVING SOLUTION}
본 발명은 검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보존액이 수용 및 밀폐되어 작업자 안전성이 향상된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포진 검사(Papanicolaou)를 대체하여 채집된 세포 검체를 보존액에 보관하였다가 보존된 세포의 단층이 균일하게 분산된 세포 검체를 슬라이드 상에 올려놓고 검사하는 액상 세포 검사(liquid based cytology) 기법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액상 세포 검사는 종래의 세포진 검사에 비해 세포의 고정성이 향상되고 불명료한 인자를 최소화하여 검사의 특이성(specificity)과 민감도(sensitivity)이 우수하다.
한편, 환자의 병소 등에서 채취한 세포 조직은 질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검사 장비가 있는 장소로 운반된다. 이 경우 채취된 세포 조직의 이동은 상당히 장시간 동안 보존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보존액(또는 고정액)에 담아 보관한다. 보존액은 인간으로부터 탈락한 세포 조직이 사멸하거나, 분해되거나, 변성되거나, 형태가 변화하지 않도록 채취 당시의 상태를 유지 및 보존시켜 세포 조직의 구조를 관찰하거나, 분석하거나, 표본 제작 등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보존액으로는 통상적으로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이 사용되고 있다.
포름알데히드는 단백질의 응고작용과 중합작용을 가져 보존액의 주요 성분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포르말린(포름알데히드 용액)은 인체에 대한 독성이 매우 강할 뿐 아니라 휘발성이 있어 취급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휘발된 포르말린이 공기에 장시간 놓일 경우 1급 발암물질이 생성될 수 있다. 만일 사람이 기체 상태의 포르말린에 노출될 경우 포름알데히드가 피부나 점막을 통해 침투할 수 있다. 특히 지속적으로 포름알데히드를 흡입할 경우 중추신경계의 장애 내지는 심장 쇠약 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포르말린의 취급에는 고도의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세포의 보존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항상 포르말린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포르말린 취급시 작업자는 방독면을 착용하여 포르말린에 의한 유해성을 최소화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업자의 건강 상태는 유해 요소에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보존액을 밀폐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KR 10-1934819 B1 (특허문헌 2) KR 20-0490307 Y1 (특허문헌 3) KR 10-2056068 B1 (특허문헌 4) KR 10-2436698 B1 (특허문헌 5) KR 20-0490214 Y1 (특허문헌 6) KR 10-2020-0134132 A (특허문헌 7) KR 10-2020-0134133 A (특허문헌 8) KR 10-2020-0134134 A
기재된 선행기술문헌들은 박막 시트를 이용해 보존액을 밀폐하고 있다가, 캡을 회전시켜 구조물을 이용해 박막 시트를 절개하고 보존액이 쏟아져 검체가 보존액에 침지되는 구조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박막 시트를 이용해 보존액을 밀폐하는 구조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검체 용기와 같은 의료 기기는 사용 후 의료 폐기물로서 일괄 처리된다. 종래 기술의 박막 시트는 알루미늄 박 등으로 구성되는데 용기를 구성하는 경질 플라스틱 소재와 알루미늄 소재를 함께 혼합 폐기하여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더 중요한 점은 용기의 캡과 알루미늄 박의 접착 방식의 문제이다. 종래 기술은 캡의 하단에 알루미늄 박을 부착하는데 흔히 접착제를 이용한다. 검체 용기를 생산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 접착제과 접촉하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보존액으로 인해 접착제 성분 또는 알루미늄 성분이 보존액으로 용출되거나, 또는 보존액이 접착제로 침습하고, 심할 경우 침습 투과하여 보존액이 외부로 새어나오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검체를 보존액에 침지시키기 위해 검체 용기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포르말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존액이 밀폐된 구조의 검체 용기를 개발하고 있으나, 포르말린의 밀폐를 위해 박막 시트를 이용할 경우 검체 용기의 제조 과정이 간편하지 않고, 검체 용기의 제조 과정에서 포르말린이 공기 중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수 밖에 없다. 요컨대, 종래 기술에 따를 경우 캡에 포르말린을 주입하고 그 단부에 접착제를 바른 후 박막 시트를 얹어 경화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용기 제조 과정에서 포르말린이 공기 중에 노출되는 시간이 무척 길고, 따라서 검체 작업자에게 유발될 수 있는 안전 상의 문제를 검체 용기의 제조 작업자에게 전가하는 수준의 해결책에 불과하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와 다른 방식으로 보존액이 밀폐된 구조의 검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어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용기 캡; 및 상기 캡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밀봉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캡 천장부, 상기 캡 천장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캡 벽체부, 및 상기 캡 벽체부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더욱 돌출된 하나 이상의 차단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홀이 형성된 마개 바닥부, 상기 마개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마개 격벽부, 및 상기 마개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개 격벽부를 둘러싸는 형상의 마개 벽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개 격벽부는, 상단이 부분적으로 하측으로 만입되어 하나 이상의 통로 개구를 갖는 형상이다.
상기 차단 돌기부는, 상기 마개 격벽부와 마개 벽체부 사이에 삽입되어, 그 내측면이 상기 마개 격벽부의 외측면에 말착되며, 상기 통로 개구를 밀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캡이 결합되고, 캡의 하부에 마개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캡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캡과 마개가 함께 회전하며 하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캡을 더욱 회전시킬 경우, 상기 마개는 상기 용기 본체와의 간섭으로 인해 회전 및 하방 이동이 저지되는 반면, 상기 캡은 회전 및 하방 이동하며, 상기 캡의 차단 돌기부와 상기 통로 개구의 정렬이 어긋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 바닥부의 홀은, 오직 마개 격벽부와 마개 벽체부의 사이에만 위치하고, 상기 마개 격벽부로 둘러싸이는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마개 격벽부는, 평면상 환(ring) 형상이고, 상기 마개 격벽부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1 높이 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격벽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격벽부의 측면 및 제2 격벽부의 상면이 상기 통로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홀과 제2 격벽부는 방사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존액에 대한 밀봉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손쉬운 방법으로 밀봉 마개를 개방시키고 보존액을 용기 본체 측으로 쏟아지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접착제나 알루미늄 등의 이종 성분을 사용하지 않아 의료 폐기물 처리 상의 이점과 검체 용기의 제조 상의 안전성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체 용기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용기 캡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밀봉 마개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검체 용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들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각각 도 7 내지 도 10의 상태에서 검체 용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각각 도 7 내지 도 10의 상태에서 용기 캡과 밀봉 마개의 배열을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각각 도 7 내지 도 10의 상태에서 용기 캡과 밀봉 마개의 배열을 나타낸 측면 투영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 특허청구범위는 발명의 실체를 이루는 기술내용을 설명하는 사항이 아니라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개시된 기술구성을 토대로 어떠한 범위를 권리로 청구하는지를 나타내는 사항이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기술을 포함하는 추상적 상위개념으로 구성하는 것은 어느 정도 불가피한 것이며, 당업자가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특허청구범위에 속한 기술구성이나 그 결합 및 작용효과를 이해할 수 있다면 그 특허청구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뒷받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어떠한 용어를 특정한 의미로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그 의미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를 지칭함에 있어 '제1 구성요소', '제2 구성요소', '제1-1 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적 수식어는 어느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단순히 구별하여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지칭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제2 구성요소로 바꾸어 지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또, 발명의 설명에서 제1 구성요소로 지칭되는 것은 청구항에서 제2 구성요소로 지칭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거나 수직한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교차하거나 수직한 또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폭, 길이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최인접(most adjacent)'은 복수의 구성요소가 적어도 어느 방향으로 반복 배치된 경우, 그 중 가장 가깝거나(closest) 가장 인접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접(adjacent)한 복수의 구성요소 사이에, 상기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지칭되거나 분류될 수 있는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는 서로 최인접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체 용기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용기 캡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밀봉 마개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단면사시도로서, 제1 방향(X) 및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교차하는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용기 본체(100), 용기 캡(200) 및 밀봉 마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개(300)는 용기 캡(200)의 마개로 기능하여, 용기 캡(200)과 마개(300)는 상호 간의 회전 정도에 따라 함께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상기 밀폐된 내부 공간에는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세포 조직의 보존 또는 고정을 위한 보존액(또는 고정액)이 수용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또는 검체 수용부)는 상부가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의 용기일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본체 바닥부(110) 및 본체 바닥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본체 벽체부(130)를 포함하고, 본체 바닥부(110)에서 본체 벽체부(130)가 둘러싸는 공간에 배치된 제1 스토퍼(170)(또는 스토퍼 바, 또는 스토퍼 돌기, 또는 지지바, 또는 포스트, 또는 돌출부) 및 본체 벽체부(130)의 상부 외주면 상에 배치된 제1 결합부(190)(또는, 제1 나사산, 또는 본체 나사산, 또는 본체 결합 부재, 또는 제1 결합 수단, 또는 제1 결합 구조, 또는 제1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토퍼(170)는 후술할 제2 스토퍼(370)와 함께 용기 본체(100)와 마개(300) 간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제한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또, 제1 결합부(190)는 후술할 제2 결합부(290)와 함께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 간의 가역적인 결합을 형성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본체 바닥부(110)는 대략 원 형상일 수 있다. 본체 바닥부(110)는 용기 본체(100) 내에 수용되는 물체, 예컨대 검사 대상 조직(검체)이나 보존액 등이 수용되는 바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 바닥부(110)는 대략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 바닥부(110)의 평면상 중심은 상대적으로 높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 바닥부(110)의 평면상 중심은 상대적으로 낮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아질 수도 있다.
본체 벽체부(130)는 대략 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체 벽체부(130)의 하단은 본체 바닥부(1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본체 벽체부(130)는 본체 바닥부(110)와 함께 오목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전술한 검사 대상 조직이나 보존액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본체 벽체부(130)의 상부는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용기 본체(100)의 입구로 기능할 수 있다.
본체 벽체부(130)의 상측 외주면에는 제1 결합부(19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90)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제1 결합부(190)를 이용해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 간의 가열적인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및 해제는 나사 조임 결합에 의할 수 있다. 나사 조임 결합은 복수의 구성요소 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따라 또는 비례하여, 상기 구성요소 간의 상하 방향 거리가 변화하는 결합일 수 있다. 즉, 미리 설계된 나사산의 경사에 따라 회전과 직선 운동이 종속된다는 점에서 끼움 결합 내지는 억지 끼움 결합과 차이를 갖는다.
본체 바닥부(110) 상에는 제1 스토퍼(17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 바닥부(110) 상에서 본체 벽체부(13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제1 스토퍼(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70)는 본체 벽체부(130)와 맞닿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스토퍼(170)는 제3 방향(Z)으로 연장되고, 본체 벽체부(13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제1 스토퍼(170)는 본체 바닥부(1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약 90°의 각도로 회전 배열 또는 원형 배열되어 4개 제공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70)는 제3 방향(Z)의 소정 높이, 예컨대 그 상단 부근을 이용해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70)는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마개(300)의 제3 방향(Z) 하강 한계 및/또는 회전 한계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70)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술한 본체 바닥부(110), 본체 벽체부(130), 제1 결합부(190) 및 제1 스토퍼(170)는 서로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 캡(200)(또는 보존액 수용부, 또는 용기 마개, 또는 용기 뚜껑)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용기 캡(200)은 용기 본체(100)의 본체 벽체부(130)가 형성하는 상부 개구를 덮어 검체 용기(10)의 내부 공간을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용기 캡(200)은 용기 본체(100)와 함께 내부가 밀폐된 용기로 기능함과 동시에, 후술할 마개(300)와 함께 선택적으로 내부를 밀폐하고 보존액을 수용할 수 있다.
용기 캡(200)은 캡 천장부(210), 캡 천장부(210)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캡 벽체부(230) 및 캡 벽체부(230)로부터 하측으로 더욱 돌출된 차단 돌기부(250)를 포함하고, 캡 천장부(2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 바디부(280) 및 체결 바디부(280)의 내측면 상에 배치된 제2 결합부(290)(또는 제2 나사산, 또는 캡 나사산, 또는 캡 결합 부재, 또는 제2 결합 수단, 또는 제2 결합 구조, 또는 제2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 천장부(210)는 검체 용기(10)의 상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캡 천장부(210)는 대략 원 형상일 수 있다. 또, 캡 벽체부(230)는 대략 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캡 벽체부(230)의 상단은 캡 천장부(2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캡 벽체부(230)는 캡 천장부(210)와 함께 오목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캡 벽체부(230)의 하부는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이 캡 벽체부(230)의 하단은 마개(300)와 결합되며, 캡 천장부(210), 캡 벽체부(230) 및 마개(300) 등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보존액이 밀봉 수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캡 벽체부(230)의 외주면의 폭(예컨대, 외경)은 본체 벽체부(130)의 내주면의 폭(예컨대, 내경) 보다 작고,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캡 벽체부(230)는 용기 본체(10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 바디부(280)는 대략 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체결 바디부(280)는 용기 본체(100)와 결합을 위한 제2 결합부(29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체결 바디부(280)는 캡 천장부(2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평면 시점에서, 체결 바디부(280)는 캡 벽체부(230)를 둘러싸는 형상일 수 있다. 캡 천장부(210)로부터, 체결 바디부(280)가 하측으로 돌출된 길이는, 캡 벽체부(230)가 하측으로 돌출된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체결 바디부(280)의 제3 방향(Z) 길이는 캡 벽체부(230)의 제3 방향(Z)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체결 바디부(280)와 캡 벽체부(230)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00)의 본체 벽체부(130)는 체결 바디부(280)와 캡 벽체부(230) 사이의 수평 이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체결 바디부(280)의 내측면, 즉 내주면에는 제2 결합부(29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90)는 사산을 포함하고, 제1 결합부(190)와 결합이 가능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결합부(290)는 제1 결합부(190)와 상응하는 형상, 즉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통해 본체 벽체부(130)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1 결합부(190)와 체결 바디부(280)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된 제2 결합부(290)가 서로 대향하며 나사 조임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캡 벽체부(230)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 또는 복수의 차단 돌기부(250)(또는 차폐부, 또는 통로 차폐부, 또는 통로 차폐 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 차단 돌기부(250)는 후술할 마개(300)의 마개 격벽부(350)의 제3 통로 개구(350p)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캡 벽체부(230)의 하단면 내지는 하면은 평면상 환 형상이고, 차단 돌기부(250)는 캡 벽체부(23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차단 돌기부(250)는 평면상 대략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차단 돌기부(250)는 캡 천장부(2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약 90°의 각도로 회전 배열 또는 원형 배열되어 4개 제공될 수 있다.
차단 돌기부(250)가 복수개로 구비된 경우, 서로 최인접한 차단 돌기부(250)의 사이에는 제2 통로 개구(250p)(또는 이격 공간, 또는 이격부, 또는 통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돌기부(250)가 4개로 제공되는 경우 제2 통로 개구(250p) 또한 4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단 돌기부(250)가 오직 한 개로 구비된 경우, 평면상 원호(우호) 형상인 차단 돌기부(250)의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 사이에 의해 제2 통로 개구가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통로 개구는 1개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차단 돌기부(250) 및 차단 돌기부(250)가 형성하거나 정의하는 제2 통로 개구(250p)는 후술할 마개(300)의 마개 격벽부(350) 및 그 제3 통로 개구(350p)와의 정렬 상태에 따라 보존액이 흐르는 경로 또는 통로를 제공하거나, 밀봉할 수 있다. 즉, 용기 캡(200)과 마개(300) 간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따라 그 내부 공간을 밀폐하거나, 또는 개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 돌기부(250) 및 제2 통로 개구(250p)는 제3 통로 개구(350p)를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 및 크기를 가져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단 돌기부(250)의 수평 길이(L250)는 마개(300)의 제3 통로 개구(350p)의 길이(L350p)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돌기부(250)의 길이(L250)의 하한은 약 45° 이상, 또는 약 50° 이상, 또는 약 60° 이상, 또는 약 70°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차단 돌기부(250), 제2 통로 개구(250p), 제3 통로 개구(350p) 등의 구성요소의 길이는, 이들이 원형 배열되고 원 또는 원호의 형상을 갖는 경우, 그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중심각으로 설명될 수 있다. 구성요소가 원 또는 원호의 형상을 갖는 경우, 그 원주 방향으로의 실제 길이는 원 또는 원호의 중심각과 비례하기 때문이다. 즉, 원형 배열되거나 원호 형상의 구성요소의 길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중심각으로 표현되어 원주 방향으로의 길이로 이해될 수 있다.
차단 돌기부(250)의 길이(L250)의 상한은 차단 돌기부(250)의 개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차단 돌기부(250)의 길이(L250)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차단 돌기부(250)가 1개로 구비될 경우 약 340°일 수 있다. 또는 차단 돌기부(250)가 2개로 구비될 경우 약 160°일 수 있다. 또는 차단 돌기부(250)가 3개로 구비될 경우 약 100°일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된 겻과 같이 차단 돌기부(250)가 4개로 구비될 경우 약 80°, 또는 약 75°일 수 있다.
한편, 제2 통로 개구(250p)의 수평 길이(L250p)의 하한은 약 15° 이상, 또는 약 18° 이상, 또는 약 2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로 개구(250p)의 길이(L250p)는 차단 돌기부(250)의 길이(L250)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통로 개구(250p)의 길이(L250p)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약 30° 이하, 또는 약 25° 이하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제2 통로 개구(250p)의 길이는 제3 통로 개구(350p)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약 ±10% 범위 내, 또는 약 ±5%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3 통로 개구(350p)의 길이(L350p)는 제2 통로 개구(250p)의 길이(L250p) 보다 클 수도 있다.
전술한 캡 천장부(210), 캡 벽체부(230), 체결 바디부(280), 제2 결합부(290) 및 차단 돌기부(250)는 서로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개(300)(또는 밀봉 캡, 또는 보존액 밀봉 수단, 또는 보존액 마개 수단)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마개(300)는 용기 캡(200)의 캡 벽체부(230)가 형성하는 하부 개구를 덮어 보존액이 수용되는 공간을 밀봉하거나,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개(300)는 마개 바닥부(310), 마개 바닥부(3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마개 벽체부(330) 및 마개 바닥부(3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마개 격벽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 바닥부(310)는 대략 원 형상일 수 있다. 마개 바닥부(310)는 캡 천장부(210)와 제3 방향(Z)으로 이격 대향할 수 있다. 마개 바닥부(310)는 홀(310h)을 가질 수 있다. 홀(310h)은 평면상 대략 원호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홀(310h)의 원주 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는 차단 돌기부(250)의 길이(L250) 보다 작을 수 있다. 홀(310h)은 용기 캡(200) 및 마개(30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수용된 보존액이 흘러내려 용기 본체(100)에 유입되는 유체 경로로 기능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홀(310h)은 마개 바닥부(3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약 90°의 각도로 회전 배열 또는 원형 배열되어 4개 제공될 수 있다.
마개 벽체부(330)는 대략 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마개 벽체부(330)의 하단은 마개 바닥부(3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마개 벽체부(330)는 용기 캡(200)의 캡 벽체부(230)와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 벽체부(330)는 캡 벽체부(230)와 억지 끼움 결합되되, 마개 벽체부(330) 내에 캡 벽체부(230)가 삽입되고, 마개 벽체부(330)의 내측면이 캡 벽체부(230)의 외측면과 밀착되며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개 벽체부(330)의 내경은 캡 벽체부(230)의 외경 보다 클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 끼움 결합 가능한 정도의 적절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마개 벽체부(330)와 캡 벽체부(230)가 형성하는 끼움 결합은, 전술한 나사 조임 결합과 달리, 마개(300)와 용기 캡(200) 간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와 마개(300)와 용기 캡(200) 간의 제3 방향(Z)(상하 방향)의 거리가 서로 독립적이고 자유로울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마개(300)와 용기 캡(200)은 그 상대적인 회전과 직선 운동이 상호 종속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캡 벽체부(230)의 외측면 및 마개 벽체부(330)의 내측면에는 상호 끼움 상태 및 그에 따른 제3 방향(Z)으로의 초기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홈과 돌기와 같은 끼움 결합 보조 구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이 결합되고, 용기 캡(200)과 마개(300)가 결합되는 경우, 마개(300)는 용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마개(300)의 마개 벽체부(330)의 외경은 용기 본체(100)의 본체 벽체부(130)의 내경 보다 작고, 마개 벽체부(330)의 외주면은 본체 벽체부(130)의 내측면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 마개 벽체부(330)의 외주면에는 제2 스토퍼(37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토퍼(370)는 전술한 용기 본체(100)의 제1 스토퍼(170)와의 간섭을 야기하고, 이를 통해 용기 본체(100)에 대한 마개(300)의 회전 정도 및 마개(300)의 제3 방향(Z) 하강의 정도를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면은 제2 스토퍼(370)가 마개 벽체부(33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 형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제1 스토퍼를 홈 형태로 형성하고 제2 스토퍼를 돌기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또 다른 형태로 마개(300)와 용기 본체(100) 간의 물리적 간섭을 야기하는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370)는 마개 벽체부(330)의 하단에 형성되되, 일 방향으로 갈수록 제3 방향(Z)으로의 깊이가 커지며 스토퍼면(370s)이 노출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그리고 마개(300)의 마개 바닥부(310)가 하측을 향하게 배치하고 마개(3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제1 스토퍼(170)(즉, 스토퍼 돌기)가 제2 스토퍼(370)(즉, 스토퍼 홈)에 삽입되며, 제2 스토퍼(370)의 깊이 변화를 따라 제1 스토퍼(170)가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정도로 회전한 후에, 제1 스토퍼(170)의 측면이 제2 스토퍼(370)의 스토퍼면(370s)과 밀착되며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개 격벽부(350)는 대략 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마개 격벽부(350)는 마개 바닥부(3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되, 평면상 마개 벽체부(330)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개 벽체부(330)의 내측면과 마개 격벽부(350)의 외측면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 대향할 수 있다.
용기 캡(200)과 마개(300)가 결합될 경우, 용기 캡(200)의 캡 벽체부(230) 및 차단 돌기부(250)는 마개(300)의 마개 벽체부(330)와 마개 격벽부(35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용기 캡(200)과 마개(300)는 용기 캡(200)의 캡 벽체부(230)의 외측면이 마개 벽체부(330)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억지 끼움 결합일 수 있다. 나아가, 캡 벽체부(230) 내에 마개 격벽부(350)가 삽입되고, 캡 벽체부(230)의 내측면이 마개 격벽부(350)의 외측면과 밀착되며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캡 벽체부(230)의 내경은 마개 격벽부(350)의 외경 보다 클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 끼움 결합 가능한 정도의 적절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 전술한 마개 바닥부(310)의 홀(310h)은 오직 마개 격벽부(350)와 마개 벽체부(330)의 사이 공간에만 위치하고, 마개 격벽부(350)에 의해 둘러싸이는 마개 격벽부(350)의 내측 공간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마개 격벽부(350)에 의해 둘러싸이는 마개 바닥부(310) 공간은 유체가 통과하는 공간을 전혀 갖지 않을 수 있다. 마개 격벽부(350)의 제3 방향(Z)으로의 최대 돌출 길이는 마개 벽체부(330)의 제3 방향(Z)으로의 돌출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마개 격벽부(350)의 최상단의 높이는 마개 벽체부(330)의 최상단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개 격벽부(350)는 대략 환 기둥 형상을 가지되, 그 상면이 높낮이를 갖는 형상, 즉 평면상 대략 환 형상의 마개 격벽부(350)의 상면은 부분적으로 제3 방향(Z) 하측으로 만입되거나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만입된 부분은 제3 통로 개구(350p)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개 격벽부(350)의 형상은 완전한 환 기둥의 형상부 상측으로 돌기가 더 돌출된 형상으로 이해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 격벽부(351)와 제2 격벽부(352)가 상호 교번적으로 원형 배열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 격벽부(350)는 제1 높이(H1)를 갖는 제1 격벽부(351)(또는 제1 부분) 및 제1 높이(H1) 보다 작은 제2 높이(H2)를 갖는 제2 격벽부(352)(또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벽부(351)와 제2 격벽부(352)는 상호 교번적으로 원형 배열되되,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제1 격벽부(351) 및 제2 격벽부(352)는 각각 마개 바닥부(3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약 90°의 각도로 회전 배열 또는 원형 배열되어 4개씩 제공될 수 있다.
제1 격벽부(351)가 복수개로 구비된 경우, 서로 최인접한 제1 격벽부(351)의 사이에는 제3 통로 개구(350p)(또는 이격 공간, 또는 이격부, 또는 통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격벽부(351)가 4개로 제공되는 경우 제3 통로 개구(350p) 및 제2 격벽부(352) 또한 4개씩 정의될 수 있다. 서로 최인접한 2개의 제1 격벽부(351)의 측면 및 하나의 제2 격벽부(352)의 상면이 둘러싸는 대략 'ㄷ'자 형상의 공간이 제3 통로 개구(350p)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격벽부(351)는 오직 한 개로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평면상 원호(우호) 형상인 제1 격벽부(351)의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의 사이에 의해 제3 통로 개구가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격벽부(352) 및 제3 통로 개구는 1개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후술할 바와 같이 제3 통로 개구(350p)와 홀(310h)은 소정의 관계로 정렬된 상태을 가지며, 제3 통로 개구(350p)(즉, 제2 격벽부(352))와 홀(310h)의 개수는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통로 개구(350p)의 길이(L350p)(또는 제2 격벽부(352)의 길이)는 차단 돌기부(250)의 길이(L250)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통로 개구(350p)의 길이(L350p)의 상한은 약 70° 미만, 또는 약 60° 이하/미만, 또는 약 50° 이하/미만, 또는 약 45° 이하/미만, 또는 약 40° 이하/미만, 또는 약 35° 이하/미만일 수 있다. 제3 통로 개구(350p)의 길이(L350p)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원활한 보존액의 흐름을 위해 약 15° 이상, 또는 약 18° 이상, 또는 약 20°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제1 격벽부(351)의 길이(L351)의 하한은 약 45° 이상, 또는 약 50° 이상, 또는 약 60° 이상, 또는 약 70° 이상일 수 있다. 제1 격벽부(351)의 길이(L351)의 상한은 제1 격벽부(351)와 제2 격벽부(352)의 개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격벽부(351)의 길이(L351)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제1 격벽부(351)가 1개로 구비될 경우 약 340°일 수 있다. 또는 제1 격벽부(351)가 2개로 구비될 경우 약 160°일 수 있다. 또는 제1 격벽부(351)가 3개로 구비될 경우 약 100°일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격벽부(351)가 4개로 구비될 경우 약 80°, 또는 약 75°일 수 있다. 한편, 마개(300)의 제3 통로 개구(350p)의 개수는 용기 캡(200)의 제2 통로 개구(250p)의 개수 보다 많거나,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격벽부(351)와 제2 격벽부(352)의 제1 높이(H1)와 제2 높이(H2)의 차이, 다시 말해서 제3 통로 개구(350p)의 제3 방향(Z) 길이는 차단 돌기부(250)의 제3 방향(Z)으로의 돌출 길이(H250)와 소정의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제1 높이(H1)와 제2 높이(H2)의 차이는 차단 돌기부(250)의 돌출 길이(H250) 보다 작거나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또, 평면 시점에서, 제2 격벽부(352)(또는 제3 통로 개구(350p))는 홀(310h)과 방사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일 수 있다. 즉, 평면 시점에서, 마개 바닥부(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격벽부(352)(또는 제3 통로 개구(350p))를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은 홀(310h)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날 수 있다.
마개 바닥부(310)에 형성된 홀(310h)들 중 최인접한 홀(310h)들 간의 이격 거리는 용기 캡(200)의 차단 돌기부(250)의 길이(L2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만일 본 실시예와 달리 마개 격벽부(350)가 제3 통로 개구를 가지되, 상대적으로 작은 제2 높이(H2)의 제2 격벽부 없이, 오직 서로 이격된 제1 격벽부만으로 이루어지고 제1 격벽부 사이의 공간이 제3 통로 개구로 정의될 경우, 다시 말해서 제3 통로 개구의 하단이 마개 바닥부(310)에 의해 정의될 경우 제1 격벽부와 차단 돌기부(250) 간의 정렬에도 불구하고 차단 돌기부(250)와 마개 바닥부(310)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으로 인해 액상의 보존액을 온전히 밀폐할 수 없다. 또, 후술할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보존액 수용 공간을 밀봉하기 위해 결합되는 용기 캡(200)의 최하단, 예컨대 차단 돌기부(250)의 하단과 마개(300)의 마개 바닥부(310)는 소정 거리(D) 이격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2 격벽부(352)가 생략될 경우 상기 이격에 의해 보존액을 온전히 밀폐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제2 격벽부는 상기 이격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의 사용 및 구성요소 간의 배열 및 배치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검체 용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용기 본체(100)에 검체(미도시)를 투입하기 위해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을 분해하되, 용기 캡(200)과 마개(300)가 결합된 초기 상태(제1 상태(1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이 제1 결합부(190) 및 제2 결합부(29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된 제2 상태(10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1 결합부(190) 및 제2 결합부(290)에 의한 결합이 도 8에 비해 더 진행되고, 제1 스토퍼(170) 및 제2 스토퍼(370)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는 시점(제3 상태(10c))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1 결합부(190) 및 제2 결합부(290)에 의한 결합이 도 9에 비해 더 진행되어 보존액 수용 공간이 개방된 제4 상태(10d)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11 내지 도 14는 각각 도 7 내지 도 10의 제1 상태(10a) 내지 제4 상태(10d)에서 검체 용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각각 도 7 내지 도 10의 상태에서 용기 캡과 밀봉 마개의 배열을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각각 도 7 내지 도 10의 상태에서 용기 캡과 밀봉 마개의 배열을 나타낸 측면 투영도들이다.
도 7 내지 도 18에서, 용기 본체(10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용기 캡(200) 및/또는 마개(300)만이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19 내지 도 22에서, 마개(3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용기 캡(200)이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우선 도 7 등을 더 참조하면, 제1 상태(10a)에서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의 제1 결합부(190) 및 제2 결합부(290)는 상호 결합을 형성하지 않고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200)은 분해될 수 있다. 제1 상태(10a)에서 채취된 검체는 용기 본체(100) 내부에 투입될 수 있다.
또, 제1 상태(10a)에서 용기 캡(200)과 마개(300)는 결합, 즉 끼움 결합이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캡(200)의 캡 벽체부(230) 및 차단 돌기부(2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개(300)의 마개 벽체부(330)의 내측면 및 마개 격벽부(350)의 외측면과 밀착되며 그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용기 캡(200)의 최하단, 예컨대 차단 돌기부(250)의 최하단은 마개 벽체부(330)와 마개 격벽부(350) 사이에 삽입되되, 그 기저면, 예컨대 마개 바닥부(310)의 상면과 맞닿지 않고 소정의 거리(D) 만큼 제3 방향(Z)으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D)는 제1 높이(H1)와 제2 높이(H2)의 차이(즉, 제3 통로 개구(350p)의 제3 방향(Z) 길이) 및/또는 차단 돌기부(250)의 제3 방향(Z) 돌출 길이(H250) 보다 작을 수 있다. 소정의 거리(D)와 제3 통로 개구(350p) 및 차단 돌기부(250)의 제3 방향(Z) 길이가 상기 관계에 있을 때 후술할 제3 상태(10c)에서 제4 상태(10d)로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태(10a)에서 차단 돌기부(250)는 제3 통로 개구(350p)와 방사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정렬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차단 돌기부(250)의 내측면은, 제1 격벽부(351)의 외측면의 수평 방향 가장자리 일부 및 제2 격벽부(352)의 외측면의 상부 일부와 맞닿아 차단 돌기부(250)가 제3 통로 개구(350p)를 밀폐할 수 있다. 또, 캡 벽체부(230)의 내측면 하단 일부는 제1 격벽부(351)의 외측면의 상단 일부와 맞닿은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마개 격벽부(350)의 제3 통로 개구(350p)와 용기 캡(200)의 차단 돌기부(250)의 정렬을 이용해, 마개(300)와 용기 캡(200)이 함께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보존액(미도시)을 밀봉 수용한 상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제1 상태(10a)에서 차단 돌기부(2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홀(310h)과 제3 방향(Z)으로 중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 등을 더 참조하면, 제1 상태(10a)에서 검체를 용기 본체(100)에 투입한 후, 용기 캡(200)과 용기 본체(1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 조임 결합할 수 있다. 즉, 제2 상태(10b)는 제1 스토퍼(170)와 제2 스토퍼(370)에 의한 회전 및 하강 제한이 일어나기 전에, 제1 결합부(190)와 제2 결합부(290) 간에 적어도 부분적인 결합이 형성된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90)와 제2 결합부(290)를 이용하여 제1 상태(10a)에서 제2 상태(10b)로의 결합이 진행되는 동안,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상호 결합된 용기 캡(200) 및 마개(300)는 함께 수평면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함께 제3 방향(Z)으로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를 더 참조하면, 제2 상태(10b)에서 용기 캡(200)과 용기 본체(100) 간의 나사 조임 결합이 더욱 진행되며 어느 순간 제3 상태(10c)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상태(10c)는 제1 결합부(190)와 제2 결합부(290) 간에 적어도 부분적인 결합된 상태에서, 동시에 제1 스토퍼(170)와 제2 스토퍼(370)에 의해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마개(300)의 회전 및 하강이 제한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상태(10b)에서 제3 상태(10c)로 변화하는 동안에는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용기 캡(200) 및 마개(300)는 함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3 방향(Z)으로 하강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상태(10a)에서 제3 상태(10c)까지, 용기 캡(200)과 마개(300)는 상호 간의 결합 상태가 변화하지 않고, 상호 간의 회전 정도 및 제3 방향(Z) 위치 등 상대적인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상태(10b)에서 제3 상태(10c)로 변화하는 동안, 용기 본체(100)의 본체 벽체부(13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의 제1 스토퍼(170)는 마개(300)의 마개 벽체부(330)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 형상의 제2 스토퍼(370)에 삽입되고, 어느 순간(즉, 제3 상태(10c)) 제1 스토퍼(170)의 측면이 제2 스토퍼(370)의 스토퍼면(370s)과 물리적으로 간섭하며 마개(300)의 추가적인 회전 및 제3 방향(Z) 하강이 제한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0 등을 더 참조하면, 제3 상태(10c)에서 용기 캡(200)과 용기 본체(100) 간의 나사 조임 결합이 더욱 진행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3 상태(10c)에서 용기 본체(100)의 제1 스토퍼(170)와 마개(300)의 제2 스토퍼(370)의 간섭이 야기되며, 제3 상태(10c) 이후에 마개(300)의 추가적인 회전 및 하강은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용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용기 캡(200)은 계속해서 수평면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3 방향(Z)으로 추가적인 하강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상태(10c)에서 제4 상태(10d)에 이르는 동안, 용기 캡(200)과 마개(300) 간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가 변화하고, 상대적인 제3 방향(Z) 거리가 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상태(10c)에서 마개(300)의 위치가 고정된 이후 용기 캡(200)은 더 회전하며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상태(10c)에서 제4 상태(10d)까지 용기 캡(200)이 제3 방향(Z)으로 추가 하강 이동하는 거리는 전술한 소정의 이격 거리(D)와 대략 상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제1 상태(10a) 내지 제3 상태(10c)에서와 달리, 차단 돌기부(250)와 제3 통로 개구(350p) 간의 정렬이 틀어지며, 차단 제3 통로 개구(350p)의 적어도 일부는 차단 돌기부(250)에 의해 차폐 내지는 차단되지 않고 개방될 수 있다. 즉, 용기 캡(200)의 차단 돌기부(250)가 이격되어 형성된 제2 통로 개구(250p)와 마개(300)의 마개 격벽부(350)의 제3 통로 개구(350p)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 방향으로 정렬되거나 중첩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통로 개구(250p)와 제3 통로 개구(350p)가 연결되어 형성된 상기 개방된 틈을 통해 보존액이 흘러나오고, 마개 바닥부(310)의 홀(310h)을 통해 용기 본체(100) 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 상태(10d)에서, 차단 돌기부(250)의 하단은 마개(300)의 마개 바닥부(310)의 상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을 수 있다. 또, 차단 돌기부(2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개(300)의 홀(310h)과 제3 방향(Z)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중첩하거나, 차단 돌기부(250)는 홀(310h)과 제3 방향(Z)으로 완전히 비중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검체 용기
100: 용기 본체
110: 본체 바닥부
130: 본체 벽체부
200: 용기 캡
210: 캡 천장부
230: 캡 벽체부
300: 밀봉 마개
310: 마개 바닥부
330: 마개 벽체부

Claims (5)

  1.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용기 캡; 및 상기 캡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밀봉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캡 천장부, 상기 캡 천장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캡 벽체부, 및 상기 캡 벽체부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더욱 돌출된 하나 이상의 차단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홀이 형성된 마개 바닥부, 상기 마개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마개 격벽부, 및 상기 마개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개 격벽부를 둘러싸는 형상의 마개 벽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 격벽부는, 상단이 부분적으로 하측으로 만입되어 하나 이상의 통로 개구를 갖는 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캡이 결합되고, 캡의 하부에 마개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캡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캡과 마개가 함께 회전하며 하방 이동하고,
    상기 캡을 더욱 회전시킬 경우, 상기 마개는 상기 용기 본체와의 간섭으로 인해 회전 및 하방 이동이 저지되는 반면, 상기 캡은 회전 및 하방 이동하며, 상기 캡의 차단 돌기부와 상기 통로 개구의 정렬이 어긋나게 구성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돌기부는, 상기 마개 격벽부와 마개 벽체부 사이에 삽입되어, 그 내측면이 상기 마개 격벽부의 외측면에 말착되며, 상기 통로 개구를 밀폐 가능하게 구성된 용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바닥부의 홀은,
    오직 마개 격벽부와 마개 벽체부의 사이에만 위치하고,
    상기 마개 격벽부로 둘러싸이는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격벽부는, 평면상 환(ring) 형상이고,
    상기 마개 격벽부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1 높이 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격벽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격벽부의 측면 및 제2 격벽부의 상면이 상기 통로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홀과 제2 격벽부는 방사 방향으로 정렬된 용기.
KR1020230029237A 2023-03-06 2023-03-06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 KR102565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237A KR102565657B1 (ko) 2023-03-06 2023-03-06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237A KR102565657B1 (ko) 2023-03-06 2023-03-06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657B1 true KR102565657B1 (ko) 2023-08-10

Family

ID=8756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237A KR102565657B1 (ko) 2023-03-06 2023-03-06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241B1 (ko) * 2024-02-05 2024-03-07 황거하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745B1 (ko) * 2016-11-16 2017-05-29 김종민 조직 보존을 위한 검체용기
KR20180113078A (ko) * 2017-04-05 2018-10-15 김종옥 조직 보존 용기
KR20190143695A (ko) * 2018-06-21 2019-12-31 유주티엔씨(주) 시료 용기
KR102069602B1 (ko) * 2018-10-15 2020-01-23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조직검체 운반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745B1 (ko) * 2016-11-16 2017-05-29 김종민 조직 보존을 위한 검체용기
KR20180113078A (ko) * 2017-04-05 2018-10-15 김종옥 조직 보존 용기
KR20190143695A (ko) * 2018-06-21 2019-12-31 유주티엔씨(주) 시료 용기
KR102069602B1 (ko) * 2018-10-15 2020-01-23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조직검체 운반용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 10-1934819 B1 (특허문헌 2) KR 20-0490307 Y1 (특허문헌 3) KR 10-2056068 B1 (특허문헌 4) KR 10-2436698 B1 (특허문헌 5) KR 20-0490214 Y1 (특허문헌 6) KR 10-2020-0134132 A (특허문헌 7) KR 10-2020-0134133 A (특허문헌 8) KR 10-2020-0134134 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241B1 (ko) * 2024-02-05 2024-03-07 황거하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052B1 (ko) 검체 보관 용기
KR102565657B1 (ko)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
RU24859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медикамента в инфузионный сосуд
JP6069318B2 (ja) 医療用ポート、体外血液処理用の血液ホース並びに医療処理装置
EP3020482B1 (en) Mechanical separator for a biological fluid
WO2014069150A1 (ja) 薬剤容器収容装置、薬剤容器収容システム、及び薬剤の吸引方法
CA2109606A1 (en) A sealing cap with a one way valve
KR102380025B1 (ko)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KR102671153B1 (ko) 검체 용기
KR20180113078A (ko) 조직 보존 용기
KR102087734B1 (ko) 검체 보관 용기
KR200490214Y1 (ko) 절개 유닛을 포함하는 세포학적 진단용 필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용기
KR101934819B1 (ko) 검체 용기
JP2006343206A (ja) 体液検査用ロータ
KR102056068B1 (ko) 조직 보존 용기
KR102664054B1 (ko) 검체 용기
KR102436698B1 (ko) 검체 용기
US20210362161A1 (en) A reagent preparation device
JP2016218086A (ja) 生体液のための機械式分離器
KR20240082946A (ko) 검체 용기
KR20240082944A (ko) 검체 용기
KR102645241B1 (ko)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KR102510301B1 (ko) 조직 보존 용기
BR112021004530A2 (pt) cartucho e dispositivos de manipulação e de teste
KR102404001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유체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