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602B1 - 조직검체 운반용기 - Google Patents

조직검체 운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602B1
KR102069602B1 KR1020180122711A KR20180122711A KR102069602B1 KR 102069602 B1 KR102069602 B1 KR 102069602B1 KR 1020180122711 A KR1020180122711 A KR 1020180122711A KR 20180122711 A KR20180122711 A KR 20180122711A KR 102069602 B1 KR102069602 B1 KR 102069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body portion
tissue samp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180122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1Preventing contamination, ta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72Integrated pierc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87Laminated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여러 조직검체들을 한꺼번에 수용 및 운반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여 빠르고 효과적인 샘플채취 및 회수가 가능하고, 보관 및 운반시에 조직검체를 검체보존액에 의해 항시적으로 침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검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서 검사결과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는 조직검체 운반용기(10)가 개시된다. 조직검체 운반용기(10)의 외통(20) 내부에는 조직검체(M)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1 격벽(25)에 의해 다중으로 분할하여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서 제1 격벽(25)의 위쪽에는 쐐기(36)를 구비한 속캡(30)이 배치되며, 속캡(30)이 외통(20)의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손잡이부(42)와 스커트부(44)를 구비한 뚜껑(40)이 외통(20)의 개방된 상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고, 내부에 검체보존액(L)이 충전되어 있는 내통(50)이 뒤집어진 상태로 그 하부가 뚜껑(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뚜껑(40)의 내부에 삽입된다. 뚜컹(40)의 손잡이부(42)를 회전시켜서 스커트부(44)를 제거하고 외통(20) 내부에 조직검체(M)를 삽입한 다음, 외부로 노출된 내통(50)의 하부 외면을 가압하여 속캡(30)의 쐐기(36)에 의해서 내통(50)의 실링테이프(51)를 파열시키면 내통(50)의 검체보존액(L)이 외통(20)의 내부로 낙하하여 조직검체(M)를 침지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조직검체 운반용기{Biopsy Container}
본 발명은 조직검체 운반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된 외통의 내부 공간을 다중 분할하고 내통의 실링 테이프를 가압방식으로 편리하게 파열시킬 수 있도록 액상 형태의 검체보존액이 들어 있는 내통과 뚜껑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함과 동시에 쐐기 및 사각형상의 그물망을 구비한 속캡을 외통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여러 조직검체들을 한꺼번에 수용 및 운반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여 빠르고 효과적인 샘플채취 및 회수가 가능하고, 보관 및 운반시에 조직검체를 검체보존액에 의해 항시적으로 침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검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서 검사결과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는 조직검체 운반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직검체 운반용기는 환자의 환부 조직을 담아서 검사실로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전에는 검체 보존액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 밀봉되어야 하고 보관 및 운반시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산성화를 방지하여야 한다.
조직검체를 채취한 후에는 보관 및 운반과정에 있어서 조직검체 운반용기 내로 유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해야하며, 조직검체의 뒤섞임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검사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조직검체가 포르말린과 같은 검체 보존액에 충분히 침지된 상태로 보관 및 운반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6745호(등록일자: 2017년 05월 11일)에는 조직 보존을 위한 검체용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용기는 조직 보존액이 수용된 캡부, 개방된 상부에 캡부가 결합되는 통형의 하우징, 캡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조직 보존액이 하우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슬릿부, 및 하우징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슬릿부의 하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 용기는 검체 보존액을 별도의 공간에 밀봉시키고 있다가 사용시에 검체 보존액을 용기로 주입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 또한, 이 용기는 단일의 조직 검체만을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게다가, 이 용기의 슬릿부는 조직 보존액을 하우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릿을 구비하고 있으나, 슬릿이 장공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밀봉 시트가 파열되어 조직 보존액이 하우징으로 유입된 후에는 검체용기를 뒤집어 사용할 때 조직 보존액이 슬릿을 그대로 통과하여 다시 캡부로 빠져나가게 되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보유된 조직검체가 보관 및 운반과정에 있어서 조직 보존액에 항시적으로 충분히 침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 캡부 및 슬릿부의 결합구조가 복잡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한 새로운 조직검체 운반용기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6745호(등록일자: 2017년 05월 1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4962호(등록일자: 2016년 05월 2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1396호(등록일자: 2012년 09월 04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러 조직검체들을 한꺼번에 수용 및 운반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여 빠르고 효과적인 샘플채취 및 회수가 가능하고, 보관 및 운반시에 조직검체를 검체보존액에 의해 항시적으로 침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검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서 검사결과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는 조직검체 운반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직검체 운반용기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조직검체를 수용할 수 있는 외통;
상기 외통의 내부 상측에 삽입하여 배치되는 속캡 -
상기 속캡이 상기 외통의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통의 개방된 상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중공의 뚜껑; 및
내부에 검체보존액이 충전되어 있고 뒤집어진 상태로 하부가 상기 뚜껑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뚜껑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통 - 상기 내통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제3 몸체부를 포함하며, 검체보존액의 충전이 끝나면 상기 제3 몸체부의 개방된 상부에는 실링테이프가 부착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검체 운반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외통의 제1 몸체부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제1 몸체부 내부에는 막힘구멍 형태의 리세스가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도록 상기 리세스의 바닥에는 제1 격벽이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캡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형 함체형상의 제2 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면 중앙부위에는 일정직경의 원형의 개구부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그물망이 배치되며, 상기 그물망은 검체보존액의 수막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사각형태의 장공으로 형성된 그물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물망 영역의 중간에는 제2 격벽이 배치되고, 원형으로 배치된 상기 그물망의 방사상 외주부를 따라서 상기 실링 테이프를 파열시키기 위한 다수의 쐐기가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쐐기는 상기 실링테이프를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도록 날카로운 산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쐐기의 방사상 외면은 상기 제2 몸체부의 방사상 내면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이에 의해서 상기 쐐기의 방사상 외면과 상기 제2 몸체부의 방사상 내면 사이에는 상기 내통의 측벽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통의 하부 방사상 외면상에는 환형상의 플랜지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류위치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의 상류 위치에서 상기 제3 몸체부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제3 걸림돌기가 방사상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은 손잡이부(handle section)와 스커트부(skirt section)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방사상 내면상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스커트부의 내부에는 상기 내통이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되는 상기 내통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부의 속이 빈 내부 상측 방사상 내면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제2 걸림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내통이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스커트부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2 걸림돌기에 걸쳐지고, 상기 걸림홈내로 상기 제2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내통의 하부가 상기 손잡이부의 상측에 체결되며,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상기 제3 걸림돌기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추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2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직검체 운반용기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조직검체를 수용할 수 있는 외통;
상기 외통의 내부 상측에 삽입하여 배치되는 속캡 -
상기 속캡이 상기 외통의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통의 개방된 상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중공의 뚜껑; 및
내부에 검체보존액이 충전되어 있고 뒤집어진 상태로 하부가 상기 뚜껑의 내측 상부면상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장착되는 내통 - 상기 내통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제3 몸체부를 포함하며, 검체보존액의 충전이 끝나면 상기 제3 몸체부의 개방된 상부에는 실링테이프가 부착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검체 운반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뚜껑의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환형상의 돌출부가 일정 높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부공간내에 상기 내통의 하부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통의 상부 내측에 다중으로 분할된 공간이 마련되어 여러 조직검체들을 한꺼번에 수용 및 운반할 수 있다. 또한, 검체보존액이 충전된 내통을 뒤집어진 상태로 하여 그 하부를 뚜껑의 상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시키고 사용시에는 뚜껑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내통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그 아래에 배치된 속캡의 쐐기에 의해 내통의 실링 테이프를 편리하게 파열시킬 수 있다. 속캡의 쐐기에 의해 내통의 실링 테이프가 파열됨에 따라서 내통의 검체 보존액은 속캡의 사각형상 그물망을 통과하여 외통의 공간에 수용된 조직검체들 쪽으로 낙하하여 조직검체들을 충분히 침지시키게 된다. 또한, 보관 및 운반을 위해 조직검체 운반용기 전체를 거꾸로 드는 경우에도, 사각형상 그물망에 생기는 수막현상으로 인해 검체 보존액이 외통의 공간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직검체 운반용기를 뒤집어진 상태로 운반하는 경우에도 조직검체들이 검체 보존액에 항시적으로 침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개선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직검체 운반용기는 사용이 편리하며 빠르고 효과적인 샘플채취 및 회수가 가능하다. 또한, 외부 물질에 의한 조직검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결과의 신뢰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조직검체 운반용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을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직검체 운반용기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직검체 운반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외통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속캡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직검체 운반용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직검체 운반용기의 결합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조직검체 운반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직검체 운반용기(1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직검체 운반용기(10)는 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조직검체를 수용할 수 있는 외통(20), 상기 외통(20)의 내부 상측에 삽입하여 배치되는 속캡(30), 상기 속캡(30)이 외통(20)의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외통(20)의 개방된 상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중공의 뚜껑(40), 및 내부에 포르말린과 같은 검체보존액(L)이 충전되어 있고 뒤집어진 상태로 하부가 뚜껑(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뚜껑(40)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통(50)을 포함한다.
먼저, 외통(20)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된 제1 몸체부(24)를 구비한다. 제1 몸체부(24)의 외부면에는 조직검체의 검사에 필요한 사항들, 예를 들어 환자의 인적사항, 검사부위, 병명 등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표기부(도시되지 않음)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외통(20)의 제1 몸체부(24) 중간부위, 바람직하게는 제1 몸체부(24)의 바닥으로부터 상부쪽으로 대략적으로 3/4 되는 지점에서 제1 몸체부(24)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플랜지 형태의 걸림턱(21)이 형성된다. 걸림턱(21)을 기준으로 제1 몸체부(24)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1 몸체부(24)의 상부에는 하기에서 설명하게될 뚜껑(40)이 결합하여 위치하게 된다.
걸림턱(21)의 인접위치에서 제1 몸체부(24)의 상부 방사상 외면상에는 대략적으로 직각삼각형 형태의 복수의 제1 걸림돌기(23)가 형성된다. 제1 걸림돌기들(23)은 제1 몸체부(24)의 상부 방사상 외면을 따라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1 걸림돌기들(23)은 하기에서 설명하게될 뚜껑(40)의 스커트부(skirt section)(44)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제1 걸림돌기들(23)의 위쪽 위치에서 제1 몸체부(24)의 상부 방사상 외면상에는 나선형태의 수나사부(26)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수나사부(26)에는 하기에서 설명하게될 뚜껑(40)의 손잡이부(42)가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된다.
도 4에는 외통(20)이 확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20)의 제1 몸체부(24) 내부에는 막힘구멍 형태의 리세스(22)가 형성되는데, 리세스(22)는 제1 몸체부(24)의 최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리세스(22)는 검사를 위해서 채취한 조직검체를 수용하여 보유하기 위한 공간이 된다. 리세스(22)의 바닥에는 제1 격벽(25)이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제1 격벽(25)은 리세스(22)의 내부공간을 4등분으로 분할하도록 리세스(2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하되 전체적으로는 "십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와는 달리, 제1 격벽(25)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을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외통(20)의 내부 상측에 삽입하여 배치되는 속캡(30)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된다. 속캡(30)은 상부가 개방된 원형 함체형상의 제2 몸체부(34)를 구비한다.
도 5에는 속캡(30)이 확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부(34)의 바닥면 중앙부위에는 일정직경의 원형의 개구부(참조부호 생략)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그물망(32)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물망(32)은 검체보존액의 수막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사각형태의 장공으로 형성된 그물눈을 갖는다.
그물망(32) 영역의 중간에는 제2 격벽(35)이 배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제2 격벽(35)은 그물망(32)의 영역을 4등분으로 분할하도록 대략적으로 "십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원형으로 배치된 그물망(32)의 방사상 외주부를 따라서 다수의 쐐기(36)가 제2 몸체부(34)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쐐기(36)는 하기에서 설명하게될 내통(50)의 실링테이프(51)를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도록 날카로운 산모양으로 형성된다. 쐐기(36)와 제2 격벽(35)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하여 형성된다. 즉, 쐐기(36)의 방사상 내면에는 제2 격벽(35)의 방사상 말단부가 일체로 연결된다. 쐐기(36)의 방사상 외면은 제2 몸체부(34)의 방사상 내면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이에 의해서 쐐기(36)의 방사상 외면과 제2 몸체부(34)의 방사상 내면 사이에는 하기에서 설명하게될 내통(50)의 측벽(52)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S)이 조성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외통(2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40)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며, 손잡이부(handle section)(42)와 스커트부(skirt section)(44)로 구분할 수 있다. 손잡이부(42)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조직검체 운반용기(10)를 사용하게될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돌출부들(41)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들(41)은 손잡이부(42)의 방사상 외면상에서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손잡이부(42)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손잡이부(42)와 스커트부(44)의 내부는 속이 비어있다. 손잡이부(42)의 방사상 내면상에는 그 전체에 걸쳐서 암나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중공의 손잡이부(42)와 스커트부(44) 내부에는 하기에서 설명하게될 내통(50)이 삽입되는데, 내통(50)을 지지하기 위해서 손잡이부(42)의 속이빈 내부 상측 방사상 내면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제2 걸림돌기(45)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손잡이부(42)와 그 아래에 배치되는 스커트부(44) 사이에는 복수의 연결편들(46)이 형성 배치된다. 연결편들(46)은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 배치되며, 손잡이부(42)와 스커트부(44) 사이에서 연결편들(46)을 제외한 부위는 이격되어 있다. 연결편들(46)은 조직검체 운반용기(1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부(42)를 손으로 쥐고 회전시키게 되면 쉽게 파열될 수 있도록 제공한 것이다.
손잡이부(42)의 하류에 배치되는 스커트부(44)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스커트부(44)의 하부 방사상 내면상에는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외통(20)의 제1 걸림돌기(23)에 대응하는 복수의 걸림돌기 수용홈(47)이 형성된다. 뚜껑(40)을 외통(2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시키려는 경우, 스커트부(44)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서 외통(20)의 상부가 삽입되는데, 이때 외통(20)의 제1 몸체부(24) 상부 방사상 외면상에서 형성된 제1 걸림돌기(23)가 걸림돌기 수용홈(47) 내로 각각 삽입된다. 제1 걸림돌기(23)가 걸림돌기 수용홈(47) 내로 삽입됨으로써, 스커트부(44)는 이들간의 결합으로 인하여 회전이 억제되는 상태로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직검체 운반용기(1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부(42)를 손으로 쥐고 회전시키게 되면, 스커트부(44)의 회전은 억제된 상태에서 연결편들(46)이 파열되어 결국 손잡이부(42)만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통(50)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제3 몸체부(54)를 포함한다. 제3 몸체부(54)의 내부에는 포르말린과 같은 액상의 검체보존액(L)이 충전되고, 검체보존액(L)의 충전이 끝나면 제3 몸체부(54)의 개방된 상부(도면에서는 사용상태 그대로 뒤집어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에는 실링테이프(51)가 부착된다. 검체보존액(L)은 실링(sealing)의 여유공간 때문에 완전하게 다 충전되지는 못한다.
내통(50)은 뒤집어진 상태로 속이빈 뚜껑(40)의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된다. 이때, 내통(50)의 하부는 뚜껑(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나머지의 중간부 및 상부는 속캡(30)의 내부로 삽입되는데, 제3 몸체부(54)의 상부에 부착된 실링테이프(51)가 쐐기(36)의 최상부와 접촉하기 직전위치까지 삽입되는 것이다.
내통(50)의 하부를 뚜껑(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내통(50)의 하부(= 도 3 도면에서는 뒤집어진 상태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뚜껑(40)의 상부위치에 대응됨) 방사상 외면상에는 환형상의 플랜지(56)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플랜지(56)의 상류위치(= 도 3 도면에서는 뒤집어진 상태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플랜지(56)의 하류위치에 해당함)에는 걸림홈(5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53)의 상류(= 도 3 도면에서는 뒤집어진 상태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걸림홈(53)의 하류위치에 해당함) 위치에서 제3 몸체부(54)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제3 걸림돌기(55)가 방사상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직검체 운반용기(10)의 작용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통(20)의 상측 내부에 막힘구멍의 형태로 제공된 리세스(22) 내에 속캡(30)이 삽입하여 배치되는데, 이때 속캡(30)의 그물망(32)이 아래를 향하고 쐐기(36)가 위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속이 빈 뚜껑(40)을 외통(20)의 상측 외부에 나사결합시키게 되는데, 상세하게는 뚜껑(40)의 손잡이부(42)의 방사상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43)가 외통(20)의 상측 방사상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부(26)와 나사결합함으로써 뚜껑(40)이 외통(20)에 체결된다. 그런데, 이때 뚜껑(40)의 스커트부(44) 하부면이 외통(20)의 걸림턱(21)에 걸리게 되므로, 뚜껑(40)은 더이상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못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뚜껑(40)은 손잡이부(42)의 암나사부(43)와 외통(20)의 수나사부(26)가 일부분만 나사결합하는 방식으로 외통(20)의 상측에 체결된다.
다음에는, 이렇게 위치된 뚜껑(40)의 내부로 내통(5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내통(50)을 속캡(30)의 위쪽으로 배치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내통(50)의 상부, 즉 실링테이프(51)가 도면에서 볼 때 아래를 향하도록 내통(50)을 뒤집은 상태로 뚜껑(40)의 내부에 삽입한다. 내통(50)을 뒤집어진 상태로 하여 뚜껑(40)의 손잡이부(42)쪽으로 삽입하게 되면, 내통(50)의 실링테이프(51)가 쐐기(36)의 최상부와 접촉하기 직전위치까지 삽입된다.
이때, 내통(50)의 하부와 뚜껑(40)간의 체결구조에 의해서 내통(50)이 뚜껑(40)의 손잡이부(42) 상측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 지지된다. 상세하게는, 내통(50)의 하부 방사상 외면상에 형성된 플랜지(56)가 손잡이부(42)의 제2 걸림돌기(45)에 걸쳐지고 내통(50)의 플랜지(56) 아래에 형성된 걸림홈(53)내로 제2 걸림돌기(45)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내통(50)의 하부가 손잡이부(42)의 상측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손잡이부(42)의 제2 걸림돌기(45)는 내통(50)의 걸림홈(53) 아랫쪽에서 방사상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제3 걸림돌기(55)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추가 지지된다. 그 결과, 내통(50)의 실링테이프(51)가 쐐기(36)의 최상부에 의해서 터지지 않을 정도로 유격을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조직검체 운반용기(10)의 사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조직검체 운반용기(10)의 사용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검체 운반용기(1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뚜껑(40)의 손잡이부(42)를 쥐고 힘을 가하여 돌리게 되면, 뚜껑(40)의 스커트부(44)는 그 하부 방사상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 수용홈(47)과 외통(20)의 방사상 외부면상에 형성된 제1 걸림돌기(23)간의 결합에 의해서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손잡이부(42)만이 회전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하는 회전력에 의해서 뚜껑(40)의 손잡이부(42)와 스커트부(44) 사이를 연결하고 있던 복수개의 연결편들(46)이 파열된다.
연결편들(46)이 파열되면 사용자는 뚜껑(40)의 손잡이부(42)를 위쪽으로 들어올려서 스커트부(44)를 제거한다. 또한, 뚜껑(40)과 내통(50)의 아랫쪽에 배치되어 있던 속캡(30)을 외통(20)의 외부로 들어올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채취되어 있던 조직검체(M)를 외통(20)의 리세스(22) 내에 삽입하여 위치시킨다. 이때, 리세스(22)는 "십자(╋)" 모양의 제1 격벽(25)에 의해서 4등분으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4개의 조직검체(M)을 위치시킬 수 있다.
조직검체들(M)의 삽입이 끝나게 되면 외통(20)의 리세스(22) 위쪽으로 다시 속캡(30)을 안착시키고 내통(50)이 상측에 고정된 뚜껑(40)을 외통(20)의 상측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하게 된다. 이때, 뚜껑(40)의 손잡이부(42)는 앞서 스커트부(44)가 제거됐기 때문에 스커트부(44)의 높이만큼 외통(20)의 방사상 외면에서 최초위치보다 더 내려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가하는 회전력에 의해서 손잡이부(42)의 암나사부(43)가 외통(20)의 수나사부(26)를 따라서 하방향으로 최초위치보다 더 내려가도록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42)를 외통(20)의 방사상 외면을 따라서 더 내려가도록 회전시킴과 동시에 뚜껑(40)의 상측에 고정 지지되어 있는 내통(50)의 하부면(= 도면에서는 뒤집어진 상태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뚜껑(40)의 상부위치에 대응됨)을 내리 누르게 된다.
그러면, 내통(50)의 측벽(52)은 속캡(30)의 방사상 외면과 외통(20)의 방사상 내면 사이에 조성된 공간(S) 내로 하방향으로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내통(50)의 실링테이프(51)는 속캡(30)의 날카로운 쐐기(36)에 의해서 파열된다. 실링테이프(51)가 쐐기(36)에 의해서 파열되는 순간에 내통(50)에 저장되어 있던 포르말린과 같은 검체 보존액(L)이 속캡(30)의 그물망(32)을 통과하여 하방향으로 쏟아져 내려서 외통(20)의 리세스(22)내로 들어가게 된다. 이에 의해서, 리세스(22) 내에 삽입되어 있던 조직검체들(M)이 검체 보존액(L)에 침지된다. 이와 같이 조직검체들(M)이 검체 보존액(L)에 깊이 침지된 상태로 조직검체 운반용기(10)를 관련 의료기관의 검사실로 보내게 된다.
한편, 조직검체 운반용기(10)의 외통(20)에 마련된 표기부(도시되지 않음)에 기록을 한 후 조직검체 운반용기(10)를 용기 거치대(도시되지 않음)에 거치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조직검체 운반용기(10)를 뒤집어진 상태로 위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32)의 그물눈은 사각형태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막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검체보존액(L)이 하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검체 운반용기(10)를 뒤집어진 상태로 운반하는 경우에도 조직검체들(M)이 검체 보존액(L)에 항시적으로 침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검사결과의 신뢰성 및 확실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직검체 운반용기(10A)의 결합상태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조직검체 운반용기(10A)에 대해 설명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직검체 운반용기(10)와 비교할 때, 제1 실시 예에서는 내통(50)이 거꾸로 뒤집어진 상태에서 그 하부가 뚜껑(40)의 외측 상부로부터 내부로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하여 장착되는 구조인데 반하여, 제2 실시 예에서는 내통(50A)이 뚜껑(40A)의 내측 상부면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장착되는 구조라는 면에서 차이가 난다.
상세히 설명하면, 내통(50A)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제3 몸체부(54A)를 포함한다. 제3 몸체부(54A)의 내부에는 포르말린과 같은 액상의 검체보존액(L)이 충전되고, 검체보존액(L)의 충전이 끝나면 제3 몸체부(54A)의 개방된 상부(도면에서는 사용상태 그대로 뒤집어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에는 실링테이프(51A)가 부착된다.
이렇게 구성된 내통(50A)은 뒤집어진 상태로 속이빈 뚜껑(40A)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내통(50A)의 하부는 뚜껑(40A)의 내측 상부면상에 끼워맞춤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일체로 고정 장착된다. 내통(50A)의 하부를 뚜껑(40A)의 내측 상부면상에 고정 장착시키기 위해서, 뚜껑(40A)의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도 7 도면에서는 뒤집어진 상태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하방향으로) 환형상의 돌출부(60)가 일정 높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돌출부(60)의 내부공간내에 내통(50A)의 하부(= 도 7 도면에서는 뒤집어진 상태로 표현되어 있음)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내통(50A)이 장착된 뚜껑(40A)을 외통(20A)의 상측 외부에 나사결합시키게 되는데, 뚜껑(40A)에 일체로 결합된 내통(50A)은 제3 몸체부(54A)의 상부에 부착된 실링테이프(51A)가 쐐기(36)의 최상부와 접촉하기 직전위치까지 삽입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직검체 운반용기(10A)에서 나머지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작용은 상기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표현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0A : 조직검체 운반용기 20,20A : 외통
21 : 걸림턱 22 : 리세스
23,45,55 : 걸림돌기 24,34,54,54A : 몸체부
25,35 : 격벽 26 : 수나사부
30,30A : 속캡 32 : 그물망
36 : 쐐기 40,40A : 뚜껑
41,60 : 돌출부 42 : 손잡이부
43 : 암나사부 44 : 스커트부
46 : 연결편 47 : 걸림돌기 수용홈
50,50A : 내통 51,51A : 실링 테이프
52 : 측벽 53 : 걸림홈
56 : 플랜지 L : 검체 보존액 M : 조직검체
S : 공간

Claims (9)

  1. 조직검체 운반용기(10)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조직검체(M)를 수용할 수 있는 외통(20);
    상기 외통(20)의 내부 상측에 삽입하여 배치되는 속캡(30) -
    상기 속캡(30)이 상기 외통(20)의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통(20)의 개방된 상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중공의 뚜껑(40); 및
    내부에 검체보존액(L)이 충전되어 있고 뒤집어진 상태로 하부가 상기 뚜껑(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뚜껑(40)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통(50) - 상기 내통(50)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제3 몸체부(54)를 포함하며, 검체보존액(L)의 충전이 끝나면 상기 제3 몸체부(54)의 개방된 상부에는 실링테이프(51)가 부착되고, 상기 내통(50)의 하부 방사상 외면상에는 환형상의 플랜지(56)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56)의 상류위치에는 걸림홈(5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53)의 상류 위치에서 상기 제3 몸체부(54)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제3 걸림돌기(55)가 방사상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검체 운반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20)의 제1 몸체부(24)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제1 몸체부(24) 내부에는 막힘구멍 형태의 리세스(22)가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22)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도록 상기 리세스(22)의 바닥에는 제1 격벽(25)이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검체 운반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캡(30)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형 함체형상의 제2 몸체부(34)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몸체부(34)의 바닥면 중앙부위에는 일정직경의 원형의 개구부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그물망(32)이 배치되며, 상기 그물망(32)은 검체보존액(L)의 수막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사각형태의 장공으로 형성된 그물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검체 운반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32) 영역의 중간에는 제2 격벽(35)이 배치되고, 원형으로 배치된 상기 그물망(32)의 방사상 외주부를 따라서 상기 실링 테이프(51)를 파열시키기 위한 다수의 쐐기(36)가 상기 제2 몸체부(34)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검체 운반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36)는 상기 실링테이프(51)를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도록 날카로운 산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쐐기(36)의 방사상 외면은 상기 제2 몸체부(34)의 방사상 내면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이에 의해서 상기 쐐기(36)의 방사상 외면과 상기 제2 몸체부(34)의 방사상 내면 사이에는 상기 내통(50)의 측벽(52)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S)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검체 운반용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40)은 손잡이부(handle section)(42)와 스커트부(skirt section)(44)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42)의 방사상 내면상에는 암나사부(4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42)와 상기 스커트부(44)의 내부에는 상기 내통(50)이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되는 상기 내통(50)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부(42)의 속이 빈 내부 상측 방사상 내면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제2 걸림돌기(45)가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내통(50)이 상기 손잡이부(42)와 상기 스커트부(44)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플랜지(56)는 상기 제2 걸림돌기(45)에 걸쳐지고, 상기 걸림홈(53)내로 상기 제2 걸림돌기(45)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내통(50)의 하부가 상기 손잡이부(42)의 상측에 체결되며, 상기 제2 걸림돌기(45)는 상기 제3 걸림돌기(55)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추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검체 운반용기.
  8. 조직검체 운반용기(10A)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조직검체(M)를 수용할 수 있는 외통(20A);
    상기 외통(20A)의 내부 상측에 삽입하여 배치되는 속캡(30A) -
    상기 속캡(30A)이 상기 외통(20A)의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통(20A)의 개방된 상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중공의 뚜껑(40A); 및
    내부에 검체보존액(L)이 충전되어 있고 뒤집어진 상태로 하부가 상기 뚜껑(40A)의 내측 상부면상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장착되는 내통(50A) - 상기 내통(50A)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제3 몸체부(54A)를 포함하며, 검체보존액(L)의 충전이 끝나면 상기 제3 몸체부(54A)의 개방된 상부에는 실링테이프(51A)가 부착됨 -;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40A)의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환형상의 돌출부(60)가 일정 높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0)의 내부공간내에 상기 내통(50A)의 하부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검체 운반용기.
  9. 삭제
KR1020180122711A 2018-10-15 2018-10-15 조직검체 운반용기 KR102069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11A KR102069602B1 (ko) 2018-10-15 2018-10-15 조직검체 운반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11A KR102069602B1 (ko) 2018-10-15 2018-10-15 조직검체 운반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602B1 true KR102069602B1 (ko) 2020-01-23

Family

ID=69368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711A KR102069602B1 (ko) 2018-10-15 2018-10-15 조직검체 운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6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095A (ko) 2020-04-28 2021-11-05 지성일 파열부재를 갖는 검체용기
KR102565657B1 (ko) * 2023-03-06 2023-08-10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
WO2023171888A1 (ko) * 2022-03-07 2023-09-14 아토플렉스 주식회사 등온증폭 및 측방유동분석을 이용한 유전자 증폭 및 검출장치
KR102597772B1 (ko) 2023-07-28 2023-11-03 (주) 메디포유 조직검체 운반용기
KR102664054B1 (ko) * 2023-03-06 2024-05-08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검체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342A (ko) * 2008-12-31 2010-07-08 조영국 고속하강회전 첨가방식의 용기마개
KR101181396B1 (ko) 2012-03-13 2012-09-19 (주)셀트라존 검체 용기
KR101624962B1 (ko) 2014-07-25 2016-05-27 (주)메디포유 조직검체 운반용기
KR101736745B1 (ko) 2016-11-16 2017-05-29 김종민 조직 보존을 위한 검체용기
KR101880052B1 (ko) * 2017-09-18 2018-07-20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342A (ko) * 2008-12-31 2010-07-08 조영국 고속하강회전 첨가방식의 용기마개
KR101181396B1 (ko) 2012-03-13 2012-09-19 (주)셀트라존 검체 용기
KR101624962B1 (ko) 2014-07-25 2016-05-27 (주)메디포유 조직검체 운반용기
KR101736745B1 (ko) 2016-11-16 2017-05-29 김종민 조직 보존을 위한 검체용기
KR101880052B1 (ko) * 2017-09-18 2018-07-20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095A (ko) 2020-04-28 2021-11-05 지성일 파열부재를 갖는 검체용기
WO2023171888A1 (ko) * 2022-03-07 2023-09-14 아토플렉스 주식회사 등온증폭 및 측방유동분석을 이용한 유전자 증폭 및 검출장치
KR102565657B1 (ko) * 2023-03-06 2023-08-10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보존액 밀폐 검체 용기
KR102664054B1 (ko) * 2023-03-06 2024-05-08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검체 용기
KR102597772B1 (ko) 2023-07-28 2023-11-03 (주) 메디포유 조직검체 운반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602B1 (ko) 조직검체 운반용기
EP1450952B1 (en) Apparatus for storing biological samples
KR101624962B1 (ko) 조직검체 운반용기
PT2720617T (pt) Conjunto recipiente e método associado
ES2236643T3 (es) Tubo de extraccion para la obtencion de muestras de heces.
ITMI20090265A1 (it) Provetta perfezionata per la raccolta, il trasporto e l'estrazione di campioni di feci
JP4399492B2 (ja) 試験容器、試験片、試験キットおよび試験方法
KR20200022609A (ko) 검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검체 수송배지 용기
US3923040A (en) Biological specimen collectors and method
US3115460A (en) Centrifuge container
KR102597772B1 (ko) 조직검체 운반용기
JPH0866386A (ja) 採取アセンブリ
CA2625430C (en) Liquid sample collection and transport system
JP2023530940A (ja) 生検材料用容器アセンブリ
NO173225B (no) Sikker, avtagbar laas for lukkbar sentrifugeringsbeholder
US2214202A (en) Photographic developer package
EP4069091B1 (en) Container for biologic samples and method for their preservation
JP2733639B2 (ja) 検体容器
KR200489217Y1 (ko) 조직검체 용기
US6379972B1 (en) Perforating analytical test device
GB2098501A (en) Dehumidifying container
US20080113425A1 (en) Container for samples of organic tissue
CN110035958B (zh) 精液储存容器
JP2005156187A (ja) 検便用採便具
JP2005300164A (ja) 検体試験容器セット及び検体試験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