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205A - Elevator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205A
KR20190142205A KR1020190062309A KR20190062309A KR20190142205A KR 20190142205 A KR20190142205 A KR 20190142205A KR 1020190062309 A KR1020190062309 A KR 1020190062309A KR 20190062309 A KR20190062309 A KR 20190062309A KR 20190142205 A KR20190142205 A KR 20190142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power supply
input
measurement data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3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미노루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42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2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4Power supply or signal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8Cable weight compens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vator system not having novel power source equipment at counter weight and enabling output from a sensor provided at counter weight to an elevator control device comprises: an elevator car installed in hoistway; a counter weight connected to the elevator car through a rope; a sensor provided at the counter weight and measuring the shaking of the counter weight;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at the counter weight, wired to the sensor, and functioning as a master device when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be communicabl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functioning as a slave device.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device, and the power supply device supplies power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Elevator system {ELEVATOR SYSTEM}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14472호(출원일 : 6/15/2018)를 기초로 하여, 이 출원으로부터 우선의 이익을 향수한다. 본 출원은, 이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동 출원의 내용 모두를 포함한다.This application is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114472 (filed date: 6/15/2018), which receives preferential benefit from this application. This application includes all the contents of this application by reference to this application.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 of this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system.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지진 등에 의해 건물이 흔들리면, 지진시 관제 운전 장치에 의해, 탑승카가 가장 가까운 층으로 유도되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승객의 하차를 행한다. 지진시 관제 운전 장치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이나 탑승카의 흔들림을 검출하기 위한 S파 센서나 P파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S파 센서나 P파 센서는, 예를 들어 건물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계실이나 승강로 피트 등에 마련된다.In an elevator system, when a building is shaken by an earthquake or the like, the boarding car is guided to the nearest floor by the earthquake control driving apparatus, the door is opened, and the passengers get off. An elevator system provided with an earthquake control driving apparatus includes an S-wave sensor and a P-wave sensor for detecting shaking of a building or a boarding car. The S-wave sensor and the P-wave sensor are provided, for example, in a machine room, hoistway pit, or the like located above the building.

이러한 종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흔들림이 가라앉으면 필요에 따라서 자동 진단 운전이 행해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기기에 손상이나 문제가 없는지가 진단된다. 자동 진단 운전은, 안전상의 관점에서,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의 S파 센서나 P파 센서로부터의 출력(갈(gal)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였을 때만 행해진다. 이 기준값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기기의 내력 한계에 기초하여 설정되며, S파 센서나 P파 센서로부터의 출력이 한 번이라도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보수원에 의한 점검 작업이 행해진다.In this type of elevator system, when the shaking subsides, an automatic diagnostic operation is performed as needed, and it is diagnosed whether there is no damage or a problem in the various apparatus which comprises an elevator system. From the standpoint of safety, the automatic diagnostic operation is performed only when the output (gal value) from the S-wave sensor or the P-wave sensor when the earthquake occur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is reference value is set on the basis of the strength limit of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elevator system. When the output from the S-wave sensor or the P-wave sensor exceeds the reference value even once, the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by a maintenance worker. .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진시 관제 운전 장치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는, 한층 더한 안전성의 담보를 위해, S파 센서나 P파 센서에 더하여, 가속도 센서가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S파 센서나 P파 센서와 마찬가지로, 건물이나 탑승카의 흔들림을 검출하고, 갈(gal)값의 계측을 행한다. 가속도 센서는, 예를 들어 건물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계실이나 탑승카, 카운터 웨이트 등에 마련된다.In addition, in an elevator system provided with an earthquake control driv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an acceleration sensor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o an S-wave sensor or a P-wave sensor for further security. Similar to the S-wave sensor and the P-wave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detects shaking of a building and a boarding car and measures a gal value. The acceleration sensor is provided in a machine room, a boarding car, a counterweight, etc. which are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a building, for example.

한편,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가속도 센서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신규의 배선 설비가 필요로 된다. 이 때문에, 가속도 센서는, 신규의 배선 설비를 배치 가능한 장소에 설치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기술이 고안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troduce the out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into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 new wiring facility for connecting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is required. For this reason, the acceleration sensor has a problem that it must be provided in the place which can arrange a new wiring install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echnique which transmits the output from an acceleration sensor to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is devised.

그러나, 상기한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 부근에 통신 단말기를 설치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필요로 되게 된다. 특히, 가속도 센서가 카운터 웨이트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카운터 웨이트에는 일반적으로 전원 설비가 없기 때문에, 신규의 전원 설비(전원 코드)를 카운터 웨이트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다대한 비용이 들고, 또한 안전상의 관점에서도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use the above technique, when a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near the acceleration sensor, a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quired. In particular, when an acceleration sensor is provided in the counter weight, since the counter weight generally does not have a power supply devi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new power supply device (power cord) to the counter weight. This has a problem that it is expensive and not so desirable from a safety point of view.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운터 웨이트에 신규의 전원 설비를 마련하지 않고, 카운터 웨이트에 마련된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송신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an output from a sensor provided on the counter weight to an elevator control device without providing a new power supply device on the counter weight.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 내에 설치된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와 로프를 통해 연결되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흔들림을 계측하는 센서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센서에 유선 접속되는 통신 단말기이며,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할 때 자기로서 기능하는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친기로서 기능하는 제2 통신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는, 전원 장치가 마련되고, 당해 전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전원 공급을 행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elevator system includes a boarding car installed in a hoistway, a counter weight connected to the boarding car and a rope, a sensor provided on the counter weight, and a sensor for measuring the shaking of the counter weight, and the counter weight. A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and wired connected to the sensor,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ing as a self when communicating with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func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be communicable, and functioning as a main phone. A terminal is provided, and a power supply device is provi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power supply device.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자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친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운전 제어부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자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친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자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의 사활 감시에 관한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친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의 사활 감시에 관한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동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동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동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which shows schematic structural example of the elevator system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exampl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ing as a magn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exampl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ing as a maste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example of an elevator control 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example of a driv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ing as a magn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ing as a main 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relating to life and death monitoring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ing as a sel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relating to life and death monitoring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ing as a maste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example of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13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example of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14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example of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 third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개시는 어디까지나 일례에 지나지 않고, 이하의 실시 형태에 기재한 내용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도할 수 있는 변형은, 당연히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 있어서, 각 부분의 사이즈, 형상 등을 실제의 실시 양태에 대하여 변경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숫자를 첨부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e disclosure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Modifications which can be easily concei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natural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In order to make the description clearer, in the drawings, the size, shape, and the like of each portion may be changed and schematically shown with respect to the actual embodiment. In the plurality of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corresponding ele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may be omitted.

[시스템 구성][System configuration]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가 상부 기계실에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에는, 엘리베이터 전체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과, 마스터(친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M이 포함된다. 승강로 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카(12) 및 카운터 웨이트(13)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 가이드 레일(14a 내지 14d)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14a, 14b)은 탑승카(12)용 가이드 레일이며, 가이드 레일(14c, 14d)은 카운터 웨이트(13)용 가이드 레일이다. 탑승카(12)는, 탑승카(12)용 가이드 레일(14a, 14b) 사이에 배치되고, 가이드 슈(15)를 통해, 가이드 레일(14a, 14b)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13)는, 가이드 슈(15)를 통해, 카운터 웨이트(13)용 가이드 레일(14c, 14d)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example of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1,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which controls the whole elevator is provided in the upper machine room.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includes an elevator control board 11 for controlling the entire elevator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CM functioning as a master (main phone). In the hoistway, as shown in FIG. 1, the boarding car 12 and the counterweight 13 are provided, and are supported by the guide rails 14a-14d so that a lifting operation is possible. The guide rails 14a and 14b are guide rails for the passenger car 12, and the guide rails 14c and 14d are guide rails for the counterweight 13. The boarding car 12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rails 14a and 14b for the boarding car 12, and is provided so that sliding is possible to the guide rails 14a and 14b via the guide shoe 15. FIG. The counterweight 13 is slidably provided on the guide rails 14c and 14d for the counterweight 13 via the guide shoe 15.

탑승카(12)에는, 탑승카(12)의 흔들림을 검출(계측)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S1과, 슬레이브(자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S1이 마련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 S1과 통신 단말기 CS1은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카운터 웨이트(13)에는, 카운터 웨이트(13)의 흔들림을 검출(계측)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S2와,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S2가 마련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 S2와 통신 단말기 CS2는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통신 단말기 CS1, CS2는 통신 단말기 CM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The boarding car 12 is provided with an acceleration sensor S1 for detecting (measuring) the shaking of the boarding car 12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CS1 functioning as a slave (self). The acceleration sensor S1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1 are connected by wire. Similarly, the counterweight 13 is provided with an acceleration sensor S2 for detecting (measuring) the shaking of the counterweight 13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CS2 functioning as a slave. The acceleration sensor S2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are connected by wire.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S1 and CS2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또한, 지진 발생 시의 흔들림을 검출(계측)하기 위해, 상부 기계실에는 S파 센서 SS가 마련되고, 승강로 피트에는 P파 센서 PS가 마련되어 있다. S파 센서 SS 및 P파 센서 PS는 모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와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detect (measure) shaking during an earthquake occurrence, an S-wave sensor SS is provided in the upper machine room, and a P-wave sensor PS is provided in the hoistway pit. Both the S-wave sensor SS and the P-wave sensor PS are connected to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by wire.

메인 로프(16)의 일단에 탑승카(12)가 연결되고, 메인 로프(16)의 타단에 카운터 웨이트(13)가 연결되어 있다. 메인 로프(16)는, 권상기(17)의 회전축에 설치된 메인 시브(18a)에 권회되어 있다. 참조 부호 18b는 젖힘 시브이다. 권상기(17)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와 함께 상부 기계실에 설치되며, 메인 시브(18a)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9)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로부터의 구동 지시에 의해 권상기(17)의 모터(19)가 구동되면, 메인 시브(18a)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고, 메인 로프(16)를 통해 탑승카(12)가 카운터 웨이트(13)와 함께 두레박식으로 승강 동작한다. 메인 시브(18a)에는 위치 검출기(펄스 제너레이터)(20)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기(20)는 메인 시브(18a)가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회전하였는지를 검출함으로써, 승강 동작에 수반되는 탑승카(12)의 이동량을 검출한다.The boarding car 1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rope 16, and the counter weight 13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rope 16. The main rope 16 is wound by the main sheave 18a provided in the rotating shaft of the hoist 17. Reference numeral 18b is a folding sheave. The hoisting machine 17 is installed in the upper machine room together with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and includes a motor 19 for rotating the main sheave 18a. When the motor 19 of the hoist 17 is driven by the driving instruction from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the main sheave 18a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boarding car 12 is driven through the main rope 16. It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counterweight 13. The position detector (pulse generator) 20 is provided in the main sheave 18a. The position detector 20 detects how much the main sheave 18a has rotated in which direction, thereby detecting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ride car 12 involved in the elevating operation.

탑승카(12)에는, 카 제어 장치(21)와 도어 제어 장치(22)가 마련되어 있다. 카 제어 장치(21) 및 도어 제어 장치(22)는 모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와 접속하고, 카 제어 장치(21)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탑승카(12) 내의 조명 기기의 구동 제어나 공조 제어를 행한다. 또한, 카 제어 장치(21)는, 승객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패널에 관한 정보, 구체적으로는, 승객에 의해 압하된 행선층 버튼이나 도어 개폐 버튼에 관한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나 도어 제어 장치(22)에 출력한다. 도어 제어 장치(22)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나 카 제어 장치(2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승강장에 착상하고 있는 탑승카(12)의 도어의 개폐 제어를 행한다. 도어 제어 장치(22)는, 탑승카(12)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모터(23)와 접속하고, 이 모터(23)를 구동함으로써 도어의 개폐 제어를 행한다.The car control apparatus 21 and the door control apparatus 22 are provided in the boarding car 12. Both the car control apparatus 21 and the door control apparatus 22 are connected with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elevator control board 11), and the car control apparatus 21 instruct | indicates from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In accordance with this, the drive control and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of the lighting device in the boarding car 12 are performed. In addition, the car control device 21 provides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panel operated by a passenger, specifically, information about a destination floor button and a door opening / closing button pressed down by the passenger. It outputs to the control apparatus 22. The door control apparatus 22 performs opening / closing control of the door of the boarding car 12 landing on the platform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from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or the car control apparatus 21. The door control device 22 is connected to a motor 2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boarding car 12 and drives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y driving the motor 23.

탑승카(12)가 착상하는 각 층의 승강장에는, 승강장 호출 버튼과 승강장 제어 장치(30)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호출 버튼은, 승객이 탑승카(12)에 승차하는 승강장의 위치와 행선 방향을 등록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 승강장 호출 버튼은, 승강장 제어 장치(30)와 접속하고 있다. 승강장 제어 장치(3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와도 접속하여, 승객에 의해 압하된 승강장 호출 버튼에 관한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The boarding point call button and the boarding point control apparatus 30 are provided in the boarding point of each floor on which the boarding car 12 lands. The boarding point call button is a button for registering the position and destination direction of the boarding point where the passenger boards the boarding car 12. The boarding point call button is connected to the boarding point control device 30. The boarding point control apparatus 30 is also connected to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elevator control board 11), and outputs the information about the boarding point call button pressed down by the passenger to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FIG.

[기능 구성 : 통신 단말기(슬레이브)][Function configu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lave)]

다음에, 도 2의 기능 블록도를 참조하여,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S가 갖고 있는 기능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탑승카(12)에 설치되는 통신 단말기 CS1과, 카운터 웨이트(13)에 설치되는 통신 단말기 CS2는 마찬가지의 기능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통신 단말기 CS2를 대표예로 들어 설명하고, 통신 단말기 CS1의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of FIG. 2, the functional part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which functions as a slave is demonstrated. In addition, si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1 provided in the boarding car 12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provided in the counterweight 13 have the same functional part, 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is demonstrat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nd it demonstrates here. The description of CS1 is omitted.

통신 단말기 CS2는, 예를 들어 유선으로, 카운터 웨이트(13)에 마련된 가속도 센서 S2와 접속된다. 또한, 통신 단말기 CS2는, 안테나 A2를 사용한 무선으로,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M과 접속된다.Communication terminal CS2 is connected to the acceleration sensor S2 provided in the counterweight 13, for example by wir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functioning as a master by radio using the antenna A2.

통신 단말기 CS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제어부(101), 입력부(102), 보존부(103), 검출 주기 전환부(104), 전원 공급 판정부(105), 전원 수명 판정부(106) 및 통신 제어부(107) 등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includes a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an input unit 102, a storage unit 103, a detection cycle switching unit 104, a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105, and a power supply lifetime plate. The government 106, 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107, etc. are provided.

전원 공급 제어부(101)는, 통신 단말기 CS2 독자로 마련된 충전식의 배터리 또는 교환 가능한 전지(이들은 「전원 장치」라 총칭되어도 됨)에 기초한 전원을 각 기능부에 공급한다. 단, 전원 공급 제어부(101)는, 통신 제어부(107)에 대해서는, 전원을 상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전원 공급 판정부(105)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투입 명령을 받은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공급 제어부(101)는, 배터리 또는 전지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정보를 전원 수명 판정부(106)에 정기적으로 출력한다.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supplies power to each functional unit based on a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or a replaceable battery (these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power supply device"). However,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does not always supply power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7, but only supplies power when a power supply instruction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105 is received.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periodically outputs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r the battery to the power supply life determination unit 106.

입력부(102)는, 가속도 센서 S2에 의해 계측된 갈(gal)값을 나타내는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미리 설정된 검출 주기마다 접수한다. 입력된 계측 데이터는 보존부(103)에 보존된다. 보존부(103)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계측 데이터를 시계열에 따라서 보존하는 기억 매체이다.The input unit 102 receives an input of measurement data indicating a gal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S2 for each preset detection period. The input measurement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The storage unit 103 is a storage medium that stores measurement data input to the input unit 102 in time series.

검출 주기 전환부(104)는, 보존부(103)에 계측 데이터가 보존될 때마다, 당해 계측 데이터를 판독하고(취득하고), 당해 판독한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1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검출 주기 전환부(104)는, 판독한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 상기한 검출 주기를 현재보다도 짧은 검출 주기로 변경한다(전환한다). 또한, 제1 역치란,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에 대하여 설정되는 값이며, 상기한 검출 주기를 현재보다도 긴 주기로 변경할지, 짧은 주기로 변경할지를 판정하기 위한 지표이며, 예를 들어 50[Gal] 등으로 설정된다.The detection period switching unit 104 reads (acquires) the measurement data each time the measurement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and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read measurement data is set to zero.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one threshold. The detection period switching unit 104 changes (switches) the detection period to a detection period shorter than the present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read measurement dat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 In addition, a 1st threshold value is a value set with respect to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measurement data, and is an index | index for judging whether to change the said detection period to a longer period than the present, or to a short period, for example. 50 [Gal] or the like.

전원 공급 판정부(105)는, 검출 주기 전환부(104)에 의해 실행된 처리의 결과로서,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1 역치 이상이라는 취지의 결과를 받으면, 전원 공급 제어부(101)에 대하여, 통신 제어부(107)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전원 투입 명령을 출력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전원 공급 판정부(105)가, 검출 주기 전환부(104)에 의해 실행된 처리의 결과를 취득하고, 당해 취득한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전원 투입 명령을 출력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 공급 판정부(105)는, 보존부(103)에 계측 데이터가 보존될 때마다, 당해 계측 데이터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1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스스로 판정하고, 당해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1 역치 이상인 경우에 전원 공급 제어부(101)에 전원 투입 명령을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When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105 receives a result indicating that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measurement dat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detection period switching unit 104,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A power-on command for instructing the control unit 101 to supply power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7 is output. In addition, although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part 105 acquired the result of the process performed by the detection period switch part 104 here, and outputs a power supply instruc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acquired process,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105 reads the measurement data each time the measurement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and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read-out measurement data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determined by yourself whether or not the first threshold value is equal to or higher, and outputs a power-on command to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when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measurement data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전원 수명 판정부(106)는, 전원 공급 제어부(101)로부터 정기적으로 출력되어 오는 잔량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면, 당해 잔량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전원의 잔량이 소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전원 수명 판정부(106)는, 입력된 잔량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전원의 잔량이 소정값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 보수원에 대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 또는 전지의 교환을 재촉하기 위한 전원 교환 요구를 출력하도록 통신 제어부(107)에 지시한다.When the power supply life determination unit 106 receives an input of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regularly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the power supply life determination unit 106 determines whether the remaining amount of power indicated by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addition, when determining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power indicated by the input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power supply life determination unit 106 requests a maintenance source to replace the power source for prompting charging of the battery or replacement of the batter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7 is instructed to output.

통신 제어부(10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가부 판정부(107a), 정주기 발보부(107b) 및 교환 요구 출력부(107c) 등을 포함하고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7 includes a driving permission determination unit 107a, a periodic cycle alarm unit 107b, an exchange request output unit 107c, and the like.

운전 가부 판정부(107a)는, 전원 공급 제어부(101)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보존부(103)에 보존된 다수의 계측 데이터 중 최신의 계측 데이터(환언하면, 검출 주기 전환부(104)에 의해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갈(gal)값을 나타내는 계측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운전 가부 판정부(107a)는, 판독한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2 역치 이상이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 구체적으로는, 당해 갈(gal)값이 제2 역치 이상이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1 신호 또는 당해 갈(gal)값이 제2 역치 미만이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2 신호를, 통신 단말기 CS2의 식별 코드와 함께,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M에 안테나 A2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제2 역치는, 카운터 웨이트(13)용 가이드 레일(14c, 14d)의 내력 한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내진 기준값이며, 예를 들어 600[Gal] 등으로 설정된다.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the operation permission determining unit 107a transmits the latest measurement data (in other words, the detection cycle switching unit 104) among the plurality of measuremen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Measurement data indicating a gal value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read measurement dat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In addition, the operation permission determination part 107a is a signal which shows whether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read-out measurement data was more than 2nd threshold value, Specifically, the gal value is more than 2nd threshold value. The first signal indicating that the signal is transmitted or the second signal indicating that the gal value is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functioning as a master through the antenna A2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do. In addition, the 2nd threshold value is an earthquake-resistant reference value set based on the strength limit of the guide rails 14c and 14d for the counterweight 13, and is set to 600 [Gal] etc., for example.

정주기 발보부(107b)는, 일정 기간마다, 당해 일정 기간 내에 입력을 접수한 다수의 계측 데이터 중, 가장 큰 갈(gal)값을 나타내는 계측 데이터(최대 계측 데이터)를 보존부(103)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최대 계측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 CS2의 식별 코드와 함께, 통신 단말기 CM에 안테나 A2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일정 기간은 다수의 검출 기간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N회분(N은 양의 정수)의 검출 기간이 1회의 일정 기간에 상당한다.The constant period newsletter part 107b stores the measurement data (maximum measurement data) which shows the largest gal value among the many measurement data which received input in the said fixed period every fixed period from the storage part 103. The read-out maximum measurement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via the antenna A2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of communication terminal CS2. In addition, the fixed period includes a plurality of detection periods, for example, a detection period of N times (N is a positive integer) corresponds to one fixed period.

교환 요구 출력부(107c)는, 전원 수명 판정부(106)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전원 교환 요구를, 통신 단말기 CS2의 식별 코드와 함께, 통신 단말기 CM에 안테나 A2를 통해 송신한다.The exchange request output unit 107c transmits the power exchange request along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through the antenna A2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 from the power supply life determination unit 106.

[기능 구성 : 통신 단말기(마스터)][Function Configu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aster)]

계속해서, 도 3의 기능 블록도를 참조하여,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M이 갖고 있는 기능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 단말기 CM은, 안테나 A1을 사용한 무선으로,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S1, CS2와 접속된다. 또한, 통신 단말기 CM은, 유선으로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과 접속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of FIG. 3, the functional part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which functions as a master is demonstrat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is connected to communication terminals CS1 and CS2 functioning as slaves by radio using the antenna A1.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by wire.

통신 단말기 CM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제어부(201), 통신 제어부(202), 회신 제어부(203) 및 출력부(204) 등을 구비하고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includes a power supply control unit 201,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2, a return control unit 203, an output unit 204, and the like.

전원 공급 제어부(201)는,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 내의 전원 공급 제어 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각 기능부에 공급한다. 또한, 전원 공급 제어부(201)는,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으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고 있기 때문에, 통신 단말기 CS1, CS2 내의 전원 공급 제어부(101)와는 달리, 통신 단말기 CM에 포함되는 모든 기능부에 대하여 전원을 상시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201 suppli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in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to each functional unit. In addition, since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201 receives power supply from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unlike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S1 and CS2,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201 receives all the functional unit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Always supply power.

통신 제어부(202)는,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S1, CS2에 의해 송신된 각종 신호나 각종 요구를, 안테나 A1을 통해 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202)는, 통신 단말기 CS1, CS2 내의 운전 가부 판정부(107a)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신호나 제2 신호, 정주기 발보부(107b)에 의해 송신되는 최대 계측 데이터, 교환 요구 출력부(107c)에 의해 송신되는 전원 교환 요구 등을 안테나 A1을 통해 수신한다. 수신된 제1 신호나 제2 신호는, 이들 신호에 부수되어 있던 식별 코드와 함께 회신 제어부(203) 및 출력부(204)에 출력된다. 또한, 수신된 최대 계측 데이터 및 전원 교환 요구는, 이들 정보에 부수되어 있던 식별 코드와 함께 출력부(204)에 출력된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2 receives various signals and various requests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S1 and CS2 functioning as slaves through the antenna A1.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2 is a first measurement signal or a second signal transmitted by the driving permission determination unit 107a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S1 and CS2, and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transmitted by the periodic cycle reporting unit 107b. , Via the antenna A1, receives a power exchange request transmitted by the exchange request output unit 107c. The received first and second signals are output to the reply control unit 203 and the output unit 204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accompanying these signals. In addition, the received maximum measurement data and the power supply replacement request are output to the output unit 204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accompanying the information.

회신 제어부(203)는, 통신 제어부(202)로부터 출력된 제1 또는 제2 신호의 입력을, 식별 코드와 함께 접수하면, 당해 입력을 접수한 제1 또는 제2 신호에 부수되어 있는 식별 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통신 단말기 CS에 대하여, 당해 제1 또는 제2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애크놀리지(긍정 응답)를 통신 제어부(202) 및 안테나 A1을 통해 송신(회신)한다.When the reply control unit 203 receives the input of the first or second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2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the reply control unit 203 attaches to the identification code accompanying the first or second signal that received the input. An acknowledgment (acknowledgment) for notifying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identified by the first or second signal has been normally received is transmitted (reply)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2 and the antenna A1.

출력부(204)는, 일정 기간마다 통신 제어부(202)로부터 출력되어 오는 최대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식별 코드와 함께 접수하면, 당해 입력을 접수한 최대 계측 데이터에 부수되어 있는 식별 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통신 단말기 CS와, 자신의 단말기 CM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사활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에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204)는, 일정 기간마다 통신 제어부(202)로부터 출력되어 오는 최대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식별 코드와 함께 접수하면, 당해 최대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3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당해 판정의 결과에 따라서, 당해 식별 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통신 단말기 CS에 접속된 가속도 센서 S가 동작 중인지, 정지 중인지를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신호(환언하면, 가속도 센서 S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에 출력한다. 또한, 제3 역치는, 가속도 센서 S가 동작 중인지 정지 중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설정되는 값이며, 예를 들어 통상 운전(평상 운전) 시에 검출되는 갈(gal)값이 이것에 상당한다. 구체적으로는, 제3 역치는, 예를 들어 30[Gal] 등으로 설정된다.When the output unit 204 receives an input of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outputted from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2 at regular intervals together with an identification code, the output unit 204 is identified by an identification code accompanying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that receives the input.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and the life and death signal indicating that its own terminal CM is operating normally are output to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In addition, when the output unit 204 receives the input of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2 at regular intervals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is rese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hreshold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ree thresholds,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status signal (in other words, acceleration sensor S) indicating whether the acceleration sensor 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identified by the identification code is in operation or stopped. A status signal indicating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s output to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In addition, a 3rd threshold value is a value set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acceleration sensor S is in operation | movement or stop, and the gal value detected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normal operation) corresponds to this, for example. Specifically, the third threshold value is set to 30 [Gal] or the like, for example.

출력부(204)는,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 전원 교환 요구 등의 입력을 접수하면, 이들 신호나 요구를, 이들에 부수되어 있던 식별 코드와 함께,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에 출력한다.When the output unit 204 receives an input such as a first signal or a second signal, a power supply replacement request, or the like, the output unit 204 outputs these signals or requests to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accompanying them. .

[기능 구성 :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Configuration of function: elevator control board]

다음에, 도 4의 기능 블록도를 참조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이 갖고 있는 기능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은, 유선으로,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M과 접속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은, 유선으로, 카 제어 장치(21), 도어 제어 장치(22) 및 승강장 제어 장치(30)와 접속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of FIG. 4, the functional part which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has is demonstrated.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is wired and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functioning as a master. In addition,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is connected to the car control device 21, the door control device 22, and the boarding point control device 30 by wire.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출력 제어부(11a), 운전 제어부(11b), 위치 제어부(11c), 모터 제어부(11d), 통신 제어부(11e) 및 전원 공급 제어부(11f) 등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includes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1a, the operation control unit 11b, the position control unit 11c, the motor control unit 11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e,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 11f) and the like.

입출력 제어부(11a)는,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M으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각종 신호나 각종 요구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이며, 입력된 각종 신호나 각종 요구를 다른 기능부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1a is an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input of various signals and various requests sent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functioning as a master, and has a function of outputting various input signals and various requests to other functional units. .

운전 제어부(11b)는, 입출력 제어부(11a)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각종 신호나 각종 요구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전체의 운전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The driving control unit 11b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entire elevator based on various signals and various requests sent from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1a.

위치 제어부(11c)는, 위치 검출기(20)에 의해 검출된 탑승카(12)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탑승카(12)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모터 제어부(11d)는, 모터(19)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The position control unit 11c has a function of detec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oarding car 12 based on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boarding car 12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or 20. The motor control unit 11d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19.

통신 제어부(11e)는, 유선 접속된 카 제어 장치(21), 도어 제어 장치(22) 및 승강장 제어 장치(30)와 각종 정보의 수수를 행한다. 전원 공급 제어부(11f)는,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에 포함되는 각 기능부에 전원을 공급함과 함께,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M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e receiv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with the car control device 21, the door control device 22, and the boarding point control device 30 that are connected by wire.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1f supplies power to each functional unit included in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and has a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serving as a master.

[기능 구성 : 운전 제어부][Function Configuration: Operation Control Unit]

또한, 도 5의 기능 블록도를 참조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에 포함되는 운전 제어부(11b)가 갖고 있는 기능부에 대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with reference to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of FIG. 5, the functional part which the operation control part 11b contained in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has is demonstrated.

운전 제어부(11b)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이상 판정부(301), 센서 이상 판정부(302), 관제 운전 제어부(303) 및 전원 교환 알림부(304) 등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riving control unit 11b includes a terminal abnormality determination unit 301, a sensor abnormality determination unit 302, a control operation control unit 303, a power exchange notification unit 304, and the like. .

단말기 이상 판정부(301)는, 일정 기간마다 입출력 제어부(11a)로부터 출력되어 오는 사활 신호의 입력의 유무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 CS1, CS2 및 통신 단말기 CM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통신 단말기 CS1, CS2 및 통신 단말기 CM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가능성이 높다)고 판정된 경우, 단말기 이상 판정부(301)는, 보수원에 대하여 이 취지를 통지함과 함께, 탑승카(12)의 자동 진단 운전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 신호를 관제 운전 제어부(303)에 출력한다.The terminal abnormality determination unit 301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S1, CS2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life and death signal inputted from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1a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S1, CS2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has occurred (possibly high), the terminal abnormality determination unit 301 notifies the maintenance worker of this effect, A prohibition signal for prohibiting automatic diagnosis driving of the boarding car 12 is output to the control driving control unit 303.

센서 이상 판정부(302)는, 일정 기간마다 입출력 제어부(11a)로부터 출력되어 오는 스테이터스 신호에 기초하여, 가속도 센서 S1, S2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 S1, S2 중 적어도 한쪽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가능성이 높다)고 판정된 경우, 센서 이상 판정부(302)는, 보수원에 대하여 이 취지를 통지함과 함께, 탑승카(12)의 자동 진단 운전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 신호를 관제 운전 제어부(303)에 출력한다.The sensor abnormality determination unit 302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acceleration sensors S1 and S2 based on the status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1a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acceleration sensors S1 and S2 has occurred (highly likely), the sensor abnormality determination unit 302 notifies the maintenance worker of this effect, and the boarding car 12 A prohibition signal for prohibiting the automatic diagnosis operation of?) Is output to the control operation control unit 303.

관제 운전 제어부(303)는, 지진 발생 시에 있어서의 탑승카(12)의 관제 운전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관제 운전 제어부(303)는, 입출력 제어부(11a)로부터 출력되어 오는 통신 단말기 CS1에 대응한 제1 또는 제2 신호와, 통신 단말기 CS2에 대응한 제1 또는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 진단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자동 진단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자동 진단 운전을 행한다. 또한, 관제 운전 제어부(303)는, 단말기 이상 판정부(301) 또는 센서 이상 판정부(302)로부터 금지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 자동 진단 운전을 금지한다.The control driving control unit 303 controls the control driving operation of the boarding car 12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Specifically, the control operation control unit 303 is based on the first or seco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1 output from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1a and the first or seco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automatic diagnostic oper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matic diagnostic operation is possible, the automatic diagnostic operation is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operation control part 303 receives the input of the prohibition signal from the terminal abnormality determination part 301 or the sensor abnormality determination part 302, it prohibits automatic diagnostic operation.

전원 교환 알림부(304)는, 입출력 제어부(11a)로부터 출력되어 오는 전원 교환 요구의 입력을 접수하면, 당해 전원 교환 요구에 부수된 식별 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통신 단말기 CS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또는 당해 통신 단말기 CS의 전지의 교환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것을 보수원에 대하여 통보한다.When the power exchange notification unit 304 receives the input of the power exchange request output from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1a, the power exchange notification unit 304 charges or charges the batter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identified by the identification code accompanying the power exchange request. The maintenance staff is notified that the batter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needs to be replaced.

또한,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운전 제어부(11b)에는, 카 제어 장치(21), 도어 제어 장치(22) 및 승강장 제어 장치(30) 등으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카(12)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운전 상태 판정부 등이 더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5, the driving control unit 11b is based on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sent from the car control device 21, the door control device 22, the boarding point control device 30, and the like. A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or the like for determining whether 12) is moving may be further provided.

[동작 : 통신 단말기(슬레이브)][Op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lave)]

여기서,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S2의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 2와 마찬가지로, 통신 단말기 CS2를 대표예로 들어 설명하고,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 CS1의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Here,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6, an example of operation | movement of communication terminal CS2 which functions as a slave is demonstrated. In addition, here, like FIG. 2, it demonstrates communication terminal CS2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of communication terminal CS1 which operates similarly.

먼저, 입력부(102)는, 미리 설정된 검출 주기마다, 가속도 센서 S2에 의해 계측된 갈(gal)값을 나타내는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T1). 입력된 계측 데이터는 보존부(103)에 기입/보존된다.First, the input unit 102 receives an input of measurement data indicating a gal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S2 at each preset detection period (step ST1). The input measurement data is written /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계속해서, 검출 주기 전환부(104)는, 보존부(103)에 새로운 계측 데이터가 보존되면, 당해 새로운 계측 데이터를 보존부(103)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1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2). 또한, 앞서 설명하였지만, 제1 역치는, 검출 주기를 현재의 주기보다도 긴 주기로 변경할지, 짧은 주기로 변경할지를 판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설정되는 값이다.Subsequently, when the new measurement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the detection cycle switching unit 104 reads out the new measurement data from the storage unit 103, and indicates that the new measurement data is represented by the read measurement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gal)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step ST2).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hreshold value is a value set as an index for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the detection period to a longer period or a shorter period than the current period.

상기한 스텝 ST2의 처리의 결과,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1 역치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T2의 "아니오"), 검출 주기 전환부(104)는, 금회와 마찬가지로, 제1 역치 미만이라고 판정된 갈(gal)값을 나타내는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과거로부터 현재에 걸쳐 제1 시간만큼, 연속하여 계속해서 받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3). 또한, 이 처리의 결과, 상기한 계측 데이터의 입력이 제1 시간 연속한 것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T3의 "아니오"), 여기에서의 일련의 동작을 종료시키고, 통신 단말기 CS2는, 다음 검출 주기가 올 때까지, 즉, 가속도 센서 S2로부터의 다음 계측 데이터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시간은, 일반적으로, 지진 발생 시에 여진도 포함하여 지진이 가라앉은 것으로 여겨지는 시간(예를 들어 10분)으로 설정된다.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step ST2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measurement data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NO in step ST2), the detection cycle switching unit 104 is similar to the present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nput of measurement data indicating a gal value determined a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has been continuously received for a first tim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step ST3). As a result of this process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of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data is not continuous for the first time (NO in step ST3), the series of operations here is terminated,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detects the next. Until the period comes, that is, until there is an input of the next measurement data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S2, the standby state is reached. In addition, a 1st time is generally set to the time (for example, 10 minutes) in which an earthquake is considered to have subsided including aftershocks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한편, 상기한 스텝 ST3의 처리의 결과, 상기한 계측 데이터의 입력이 제1 시간 연속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3의 "예"), 검출 주기 전환부(104)는, 지진이나, 지진에 수반되는 여진이 검지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가속도 센서 S2로부터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검출 주기를 현재보다도 긴(느린) 검출 주기로 변경하고(스텝 ST4), 여기에서의 일련의 동작을 종료시키고, 통신 단말기 CS2는, 다음 검출 주기가 올 때까지, 즉, 가속도 센서 S2로부터의 다음 계측 데이터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of the measurement data has been continued for the first time 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step ST3 (YES in step ST3), the detection period switching unit 104 is accompanied by an earthquake or an earthquake. It is considered that the aftershock is unlikely to be detected, and the detection period for accepting the input of the measurement data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S2 is changed to a detection period longer than the present time (step ST4), and the series of operations here is terminated and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e terminal CS2 enters the standby state until the next detection period comes, that is, until the next measurement data is in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S2.

상기한 스텝 ST2의 처리의 결과,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T2의 "예"), 검출 주기 전환부(104)는, 지진이나, 지진에 수반되는 여진이 검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가속도 센서 S2로부터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검출 주기를 현재보다도 짧은(빠른) 검출 주기로 변경한다(스텝 ST5).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step ST2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measurement dat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YES in step ST2), the detection period switching unit 104 detects an earthquake, It is considered that the aftershocks associated with the earthquake are likely to be detected, and the detection period for accepting input of measurement data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S2 is changed to a detection period shorter than the present time (step ST5).

다음에, 전원 공급 판정부(105)는, 검출 주기 전환부(104)에 의한 상기한 스텝 ST2의 처리 결과로서,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1 역치 이상이라는 취지의 결과를 받으면, 전원 공급 제어부(101)에 전원 투입 명령을 출력한다. 전원 공급 제어부(101)는, 전원 공급 판정부(105)로부터의 전원 투입 명령에 따라서, 통신 제어부(107)에 전원을 공급하기 시작한다(스텝 ST6).Next,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105 i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the above-described step ST2 by the detection cycle switching unit 104, and the result that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measurement dat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When receiving, outputs a power-up command to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starts to supply power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7 in accordance with a power-on command from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105 (step ST6).

계속해서, 통신 제어부(107)에 포함되는 운전 가부 판정부(107a)는, 보존부(103)에 보존되어 있는 최신의 계측 데이터를 판독하고(환언하면, 스텝 ST2의 처리에서, 제1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갈(gal)값을 나타내는 계측 데이터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2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7). 또한, 앞서 설명하였지만, 제2 역치는, 카운터 웨이트(13)용 가이드 레일(14c, 14d)의 내력 한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내진 기준값이다.Subsequently, the operation permission determination unit 107a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7 reads out the latest measuremen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in other words, the first threshold value or more in the process of Step ST2). The measurement data indicating the gal value determined to be read is rea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read measurement dat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step ST7). In addition, although demonstrated previously, the 2nd threshold value is an earthquake-proof reference value set based on the strength limit of the guide rails 14c and 14d for the counterweight 13.

상기한 스텝 ST7의 처리의 결과,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2 역치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 즉, 당해 갈(gal)값이 제1 역치 이상, 제2 역치 미만이었던 경우(스텝 ST7의 "아니오"), 운전 가부 판정부(107a)는, 카운터 웨이트(13)용 가이드 레일(14c, 14d)에 손상이나 문제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계측된 갈(gal)값이 내진 기준값 미만이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안테나 A2를 통해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M에 송신하고(스텝 ST8), 후술하는 스텝 ST10의 처리로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step ST7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measurement data is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that is, the gal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and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NO in step ST7), the operation permission determination part 107a judges that it is unlikely that the guide rail 14c, 14d for the counterweight 13 had a damage or a problem, and measured the gal value. The second signal indicating that it is less than the earthquake-resistant referenc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functioning as a master via the antenna A2 (step ST8), and the processing proceeds to step ST10 described later.

상기한 스텝 ST7의 처리의 결과,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2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T7의 "예"), 운전 가부 판정부(107a)는, 카운터 웨이트(13)용 가이드 레일(14c, 14d)에 손상이나 문제(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이 굴곡되는 등)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계측된 갈(gal)값이 내진 기준값 이상이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안테나 A2를 통해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M에 송신한다(스텝 ST9).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step ST7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measurement dat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YES in step ST7), the operation permission determination unit 107a determines the counter weight ( 13) The first, which indicates that damage or a problem (for example, the guide rail is bent) has occurred in the guide rails 14c and 14d for use, and that the measured gal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earthquake-resistant reference value.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functioning as a master via the antenna A2 (step ST9).

다음에, 운전 가부 판정부(107a)는, 제1 또는 제2 신호가 통신 단말기 CM에 의해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애크놀리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10). 또한, 이 처리의 결과, 통신 단말기 CM으로부터의 애크놀리지를 수신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10의 "예"), 전원 공급 제어부(101)는, 통신 제어부(107)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정지하고(스텝 ST11), 여기에서의 일련의 동작을 종료시키고, 통신 단말기 CS2는, 다음 검출 주기가 올 때까지, 즉, 가속도 센서 S2로부터의 다음 계측 데이터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Next, the driving permission determination unit 107a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cknowledgment indicating that the first or second signal has been normally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has been received (step ST10). As a result of this process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knowledgment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has been received (YES in step ST10),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stops supplying power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7 ( Step ST11), the series of operations here are terminated,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is in a standby state until the next detection period comes, that is, until the next measurement data is in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S2.

한편, 상기한 스텝 ST10의 처리의 결과, 통신 단말기 CM으로부터의 애크놀리지를 수신하지 않았다(미수신이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T10의 "아니오"), 운전 가부 판정부(107a)는, 제1 또는 제2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12). 또한, 상기한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은, 통신 단말기 CS2에 마련되는 도시하지 않은 내부 클럭 등에 의해 카운트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처리의 결과,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12의 "예"), 상기한 스텝 ST11의 처리가 실행되고, 통신 단말기 CS2는 애크놀리지를 수신하지 않고, 여기에서의 일련의 동작을 종료시킨다. 이후는, 통신 단말기 CS2는, 다음 검출 주기가 올 때까지, 즉, 가속도 센서 S2로부터의 다음 계측 데이터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knowledgment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has not been received (no reception) 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of step ST10 (NO in step ST10), the operation permission determining unit 107a is the first. Or,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signal (step ST12).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elapsed time after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or the second signal is counted by an internal clock (not shown)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As a result of this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YES in step ST12), the process of step ST11 described above is executed,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does not receive the acknowledgment and performs a series of operations here. Quit. Thereaft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enters the standby state until the next detection period comes, that is, until the next measurement data is in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S2.

상기한 스텝 ST12의 처리의 결과,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12의 "아니오"), 운전 가부 판정부(107a)는, 제1 또는 제2 신호를, 안테나 A2를 통해 통신 단말기 CM에 재송신한 후에(스텝 ST13), 상기한 스텝 ST10의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time has not elapsed 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step ST12 (NO in step ST12), the operation permission determination unit 107a sends the first or second signal via the communication terminal A2. After retransmitting to CM (step ST13), the process of said step ST10 is performed again.

이상 설명한 일련의 동작에 의하면, 통신 단말기 CS2는, 가속도 센서 S2에 의해 계측된 갈(gal)값이 제1 역치 이상이었을 때만, 통신 제어부(107)에 대한 전원 공급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이며, 독자적으로 마련된 배터리 또는 전지의 수명을 오래 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신 단말기 CS2는, 가속도 센서 S2에 의해 계측된 갈(gal)값이 제1 시간 연속하여 제1 역치 미만이었던 경우, 검출 주기를 현재보다도 길게 하도록 변경하므로, 가속도 센서 S2로부터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횟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한 스텝 ST1의 처리 및 이것에 부수되는 처리를 실행하는 횟수가 저감되기 때문에, 그만큼 에너지 절약이며, 독자적으로 마련된 배터리 또는 전지의 수명을 오래 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series of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supplies power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7 only when the gal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S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reby saving energy.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prolong the life of a battery or a battery provided independently. In addition, when the gal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S2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continuously for the first tim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changes the detection period to be longer than the present time, so that the measurement data is in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S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times to receive the. That is, since the number of times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of step ST1 and the processing associated with this is reduced, it is energy-saving and it is possible to prolong the life of a battery or a battery provided independently.

[동작 : 통신 단말기(마스터)][Op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aster)]

다음에,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M의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7, an example of operation |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which functions as a master is demonstrated.

먼저, 통신 제어부(202)는, 통신 단말기 CS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신호, 구체적으로는, 제1 또는 제2 신호를 식별 코드와 함께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21). 또한, 이 처리의 결과, 통신 단말기 CS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21의 "아니오"), 스텝 ST21의 처리가 다시 실행된다.First, 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202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specifically, the 1st or 2nd signal was receiv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step ST21). As a result of this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no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has been received (NO in step ST21), the process of step ST21 is executed again.

한편, 상기한 스텝 ST21의 처리의 결과, 통신 단말기 CS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21의 "예"), 통신 제어부(202)는, 수신한 신호를 식별 코드와 함께 회신 제어부(203) 및 출력부(204)에 출력한다(스텝 ST22).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has been received 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step ST21 (YES in step ST2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2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to the reply control unit ( 203 and output unit 204 (step ST22).

회신 제어부(203)는, 통신 제어부(202)로부터 출력되어 오는 제1 또는 제2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면, 당해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전달하기 위한 애크놀리지를, 부수되어 있는 식별 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통신 단말기 CS에 회신하도록 통신 제어부(202)에 지시한다. 통신 제어부(202)는, 회신 제어부(20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통신 단말기 CS에 대한 애크놀리지를, 안테나 A1을 통해 송신한다(스텝 ST23).When the reply control unit 203 receives the input of the first or second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2, the acknowledgment for transmitting that the signal has been normally received is identified by the accompanying identification cod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2 is instructed to return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2 transmits the acknowledgment f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through the antenna A1 in accordance with an instruction from the reply control unit 203 (step ST23).

그러한 후, 출력부(204)는, 통신 제어부(202)로부터 출력되어 오는 제1 또는 제2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면, 당해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에 출력하고(스텝 ST24), 여기에서의 일련의 동작을 종료시킨다.Then, when the output part 204 receives the input of the 1st or 2nd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202, it outputs the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step ST24), and here Terminates a series of operations.

[사활 감시에 관한 동작 : 통신 단말기(슬레이브)][Operation regarding life and death monitoring: communication terminal (slave)]

계속해서,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S2의 사활 감시에 관한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 2 및 도 6과 마찬가지로, 통신 단말기 CS2를 대표예로 들어 설명하고,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 CS1의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8, an example of operation | movement regarding the life and death monitoring of communication terminal CS2 which functions as a slave is demonstrated. 2 and 6, communication terminal CS2 is take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nd description of communication terminal CS1 which operates similarly is abbreviate | omitted here.

먼저, 입력부(102)는, 미리 설정된 검출 주기마다, 가속도 센서 S2에 의해 계측된 갈(gal)값을 나타내는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T31). 입력된 계측 데이터는 보존부(103)에 기입/보존된다.First, the input unit 102 receives an input of measurement data indicating a gal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S2 at each preset detection period (step ST31). The input measurement data is written /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계속해서, 입력부(102)는, 입력된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보존부(103)에 보존되어 있는 최대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최댓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32). 또한, 이 처리의 결과, 금회의 갈(gal)값이 최댓값을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32의 "아니오"), 후술하는 스텝 ST34의 처리가 실행된다.Subsequently, the input unit 102 has a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input measurement data that exceeds the gal value (maximum value) indicated by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Step ST32). As a result of this process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gal value has not exceeded the maximum value (NO in step ST32), the processing of step ST34 described later is executed.

한편, 상기한 스텝 ST32의 처리의 결과, 금회의 갈(gal)값이 최댓값을 초과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32의 "예"), 입력부(102)는, 보존부(103)에 보존되어 있는 최대 계측 데이터의 값을 금회의 갈(gal)값으로 갱신한다(스텝 ST33).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gal value exceeds the maximum value 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step ST32 (YES in step ST32), the input unit 102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The value of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is updated to this gal value (step ST33).

다음에, 전원 공급 판정부(105)는, 전회의 일정 기간이 종료되고 나서 제2 시간(단, 「제2 시간」=「일정 기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34). 또한, 전회의 일정 기간이 종료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은, 통신 단말기 CS2에 마련되는 도시하지 않은 내부 클럭 등에 의해 카운트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처리의 결과, 제2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34의 "아니오"), 여기에서의 일련의 동작을 종료시키고, 통신 단말기 CS2는, 다음 검출 주기가 오거나, 제2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Next,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105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cond time ("second time" = "constant period") has elapsed since the last fixed period ends (step ST34). In addition, the elapsed time after the last fixed period ends is assumed to be counted by an internal clock (not shown) provided in communication terminal CS2. As a result of this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time has not elapsed (NO in step ST34), the series of operations here are terminated,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has the next detection period or the second time has elapsed. Until it goes to sleep.

한편, 상기한 스텝 ST34의 처리의 결과, 제2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34의 "예"), 전원 공급 판정부(105)는, 전원 투입 명령을 전원 공급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전원 공급 제어부(101)는, 전원 투입 명령을 받으면, 당해 전원 투입 명령에 따라서 통신 제어부(107)에 전원을 공급하기 시작한다(스텝 ST35).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time has elapsed 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step ST34 (YES in step ST34),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unit 105 outputs a power-on command to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do. When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receives the power-on command,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starts to supply power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7 in accordance with the power-on command (step ST35).

계속해서, 통신 제어부(107)에 포함되는 정주기 발보부(107b)는, 보존부(103)에 보존되어 있는 최대 계측 데이터를 판독하고, 당해 최대 계측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 CS2의 식별 코드와 함께, 안테나 A2를 통해 통신 단말기 CM에 송신한다(스텝 ST36).Subsequently, the periodic period reporting unit 107b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7 reads out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and stores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Transmission is perform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via the antenna A2 (step ST36).

그러한 후, 정주기 발보부(107b)는, 보존부(103)에 보존되어 있는 최대 계측 데이터를 리셋하고(스텝 ST37), 전원 공급 제어부(101)는, 통신 제어부(107)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정지하고(스텝 ST38), 여기에서의 일련의 동작을 종료시키고, 통신 단말기 CS2는, 다음 검출 주기가 오거나, 제2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After that, the periodic cycle reporter 107b resets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step ST37),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1 supplies power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7. It stops (step ST38), and complete | finishes a series of operation | movement here, and communication terminal CS2 becomes a standby state until the next detection period comes or the 2nd time elapses.

[사활 감시에 관한 동작 : 통신 단말기(마스터)][Action regarding life and death monitoring: communication terminal (master)]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M의 사활 감시에 관한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9, an example of operation | movement regarding life and death monitoring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which functions as a master is demonstrated.

먼저, 출력부(204)는, 일정 기간마다 통신 제어부(202)로부터 출력되어 오는 최대 계측 데이터(환언하면, 일정 기간마다 통신 단말기 CS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최대 계측 데이터)의 입력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T41). 또한, 이 처리의 결과, 최대 계측 데이터의 입력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41의 "아니오"), 통신 단말기 CM은 여기에서의 일련의 동작을 종료시킨다.First, the output unit 204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put of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in other words,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every fixed period)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2 every fixed period ( Step ST41). As a result of this process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nput of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NO in step ST41),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ends the series of operations here.

한편, 상기한 스텝 ST41의 처리의 결과, 최대 계측 데이터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41의 "예"), 출력부(204)는, 통신 단말기 CS와 자신의 단말기 CM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사활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에 출력한다(스텝 ST42).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input of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step ST41 described above (YES in step ST41), the output unit 204 operates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and its own terminal CM normally. The life and death signal indicating the output is output to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step ST42).

다음에, 출력부(204)는, 입력을 접수한 최대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3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43). 이 처리의 결과, 최대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3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T43의 "예"), 출력부(204)는, 통신 단말기 CS에 접속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 S에 이상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즉, 가속도 센서 S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한 후에(스텝 ST44), 후술하는 스텝 ST46의 처리가 실행된다.Next, the output unit 204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that has received the inpu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step ST43). As a result of this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YES in step ST43), the output unit 204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After the abnormality has not occurred in the sensor S, that is, the acceleration sensor S is determined to be operating normally (step ST44), the process of step ST46 described later is executed.

한편, 상기한 스텝 ST43의 처리의 결과, 최대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갈(gal)값이 제3 역치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T43의 "아니오"), 출력부(204)는, 통신 단말기 CS에 접속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 S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환언하면, 가속도 센서 S가 정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한 후에(스텝 ST45), 후술하는 스텝 ST46의 처리가 실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al value represented by the maximum measurement data is less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NO in step ST43)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in step ST43 described above, the output unit 204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determining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acceleration sensor S connected to the CS (in other words, the acceleration sensor S is likely to be stopped) (step ST45), the processing of step ST46 described later is executed.

그러한 후, 출력부(204)는, 스텝 ST44 또는 ST45의 처리의 결과를 받아, 가속도 센서 S의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에 출력하고(스텝 ST46), 여기에서의 일련의 동작을 종료시킨다.Then, the output part 204 receives the result of the process of step ST44 or ST45, outputs the status signal which shows the present state of the acceleration sensor S to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step ST46), Terminate the series of actions.

[동작 :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Operation: elevator control device]

또한,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의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10, an example of operation | movement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is demonstrated.

먼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상부 기계실이나 승강로 내에 마련되는 도시하지 않은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고갈(gal), 저갈(gal), 특저갈(gal) 및 P파 중 적어도 하나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51). 또한, 고갈(gal), 저갈(gal), 특저갈(gal) 및 P파는 모두 지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고갈(gal), 저갈(gal) 및 특저갈(gal)은 S파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고갈(gal)은, 예를 들어 높이가 60m 이하인 건물에 있어서 200[Gal] 이상의 지진을 검지하였을 때 검출된다. 저갈(gal)은, 동 건물에 있어서 150[Gal] 이상 200[Gal] 미만의 지진을 검지하였을 때 검출되고, 특저갈(gal)은, 동 건물에 있어서 80[Gal] 이상 150[Gal] 미만의 지진을 검지하였을 때 검출된다. 또한, P파(초기 미동)는 P파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First,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is based on the input from the various sensors which are not shown in the upper machine room or the hoistway, At least one of a gal, gal, gal and gal wave. It is determined whether is detected (step ST51). Further, gal, gal, gal and P waves are all indicators for determining whether an earthquake has occurred. Gal, gal and gal are detected by the S-wave sensor, and gal is detected when an earthquake of 200 [Gal] or more is detected, for example, in a building of 60 m or less in height. Is detected. Gal is detected when an earthquake of 150 [Gal] or more and less than 200 [Gal] is detected in the building, and gale is 80 [Gal] or more and less than 150 [Gal] in the building. It is detected when an earthquake is detected. In addition, P wave (initial fine motion) is detected by a P wave sensor.

상기한 스텝 ST51의 처리의 결과, 고갈(gal), 저갈(gal), 특저갈(gal) 및 P파 중 어느 것도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51의 "아니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후술하는 스텝 ST79의 처리를 실행하고, 여기에서의 일련의 동작을 종료시킨다.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step ST51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none of the depleted gal, degal gal, extra gal and P waves are detected (NO in step ST51),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 Executes the process of step ST79 described later, and ends the series of operations here.

한편, 상기한 스텝 ST51의 처리의 결과, 고갈(gal), 저갈(gal), 특저갈(gal) 및 P파 중 적어도 하나가 검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51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탑승카(12)는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52). 또한, 탑승카(12)가 이동 중인지 여부의 판정에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 내의 운전 제어부(11b)에 포함되는 도시하지 않은 운전 상태 판정부에 의한 판정의 결과 등이 이용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gal, gal, gal, and P waves has been detected as a result of the above processing of step ST51 (YES in step ST51),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determines whether the boarding car 12 is moving (step ST52).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boarding car 12 is moving is used, for example,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driving state determination part which is not shown in the driving control part 11b in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etc. are used.

상기한 스텝 ST52의 처리의 결과, 탑승카(12)는 이동 중이 아닌, 즉, 정지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T52의 "아니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탑승카(12)를 정지층에 정지시킨 채 그대로(스텝 ST53), 후술하는 스텝 ST68의 처리를 실행한다.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step ST52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arding car 12 is not moving, that is, being stopped (NO in step ST52),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stops the boarding car 12. The process of step ST68 mentioned later is performed as it is, rest | stopping to the layer (step ST53).

한편, 상기한 스텝 ST52의 처리의 결과, 탑승카(12)는 이동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T52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탑승카(12)가 소정 시간 내(예를 들어 10초 이내)에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54). 또한, 탑승카(12)가 소정 시간 내에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 가능한지 여부의 판정에는, 탑승카(12)의 현재의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정보나 탑승카(12)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층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 이용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arding car 12 is in motion (YES in step ST52)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step ST52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determines that the boarding car 12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Yes). For example,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land on the floor closest to 10 seconds) (step ST54). In addition, in determining whether the boarding car 12 is able to land on the nearest flo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moving speed of the boarding car 12,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oarding car 12,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ve of the distance from to the nearest floor is used.

상기한 스텝 ST54의 처리의 결과, 탑승카(12)는 소정 시간 내에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54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탑승카(12)를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시킨 후에(스텝 ST55), 후술하는 스텝 ST68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상기한 스텝 ST54의 처리의 결과, 탑승카(12)는 소정 시간 내에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할 수 없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54의 "아니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탑승카(12)를 즉시 정지시킨다(스텝 ST56).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step ST54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arding car 12 is able to land on the nearest flo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YES in step ST54),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receives the boarding car 12. After implanting to the nearest layer (step ST55), the process of step ST68 mentioned later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arding car 12 cannot land on the nearest flo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step ST54 described above (NO in step ST54),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receives the boarding car ( 12) is immediately stopped (step ST56).

계속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탑승카(12)가 2개의 층 사이(층간)에 정지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57). 또한, 탑승카(12)가 층간에 정지하였는지 여부의 판정에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제어 기판(11) 내의 위치 제어부(11c)에 의해 검출되는 탑승카(12)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 이용된다.Subsequently,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determines whether the boarding car 12 stopped between two floors (floor) (step ST57). In addition, information which show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oarding car 12 detected by the position control part 11c in the elevator control board 11, etc. ar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boarding car 12 was stopped between floors. do.

상기한 스텝 ST57의 처리의 결과, 탑승카(12)가 층간에 정지하지 않은, 즉, 우연히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할 수 있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57의 "아니오"), 후술하는 스텝 ST68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상기한 스텝 ST57의 처리의 결과, 탑승카(12)가 층간에 정지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57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고갈(gal), 저갈(gal), 특저갈(gal) 및 P파 모두가 비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58).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step ST57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arding car 12 has not stopped between floors, that is, it is possible to accidentally land on the nearest floor (NO in step ST57), the process of step ST68 described later Is execute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arding car 12 has stopped between floors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step ST57 described above (YES in step ST57),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is depleted (gal) and depleted (gal).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both the gal and the P wave are not detected (step ST58).

또한, 이 처리의 결과, 고갈(gal), 저갈(gal), 특저갈(gal) 및 P파 중 적어도 하나가 검출된, 즉, 비검출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58의 "아니오"), 고갈(gal), 저갈(gal), 특저갈(gal) 및 P파 모두가 비검출될 때까지, 스텝 ST58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한편, 상기한 스텝 ST58의 처리의 결과, 고갈(gal), 저갈(gal), 특저갈(gal) 및 P파 모두가 비검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58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상기한 스텝 ST51의 처리에 있어서 고갈(gal)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59).In addition, when the result of this processing is that at least one of the depleted gal, the depleted gal, the depleted gal and the P wave has been detected, i.e., determined not to be detected (NO in step ST58), The process of step ST58 is repeatedly executed until all of the depleted gal, the depleted gal, the depleted gal and the P wave are not detecte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ll of the depleted gal, the depressed gal, the depressed gal and the P wave are not detected 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step ST58 (YES in step ST58), the elevator control device ( 10) determines whether depletion gal was detected in the process of step ST51 described above (step ST59).

상기한 스텝 ST59의 처리의 결과, 고갈(gal)은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59의 "아니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기기에 손상이나 문제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탑승카(12)와 카운터 웨이트(13)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탑승카(12)를 이동시키고, 탑승카(12)를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시킨 후에(스텝 ST60), 후술하는 스텝 ST68의 처리를 실행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depletion (gal) has not been detected 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step ST59 (NO in step ST59),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causes damage or problems to the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elevator system. After the boarding car 12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arding car 12 and the counterweight 1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boarding car 12 is placed on the nearest floor (step ST60), The process of step ST68 described later is executed.

한편, 상기한 스텝 ST59의 처리의 결과, 고갈(gal)이 검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59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는 지진시 저속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61). 또한, 지진시 저속 스위치의 유무에 관한 정보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 내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등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pletion (gal) has been detected 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step ST59 described above (YES in step ST59),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checks whether the elevator system is equipped with a low speed switch during the earthquake. It is judged whether or not (step ST61). In addition,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ow speed switch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is preliminarily stored in the memory etc. which are not shown in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FIG.

이 처리의 결과, 지진시 저속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61의 "아니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통신 단말기 CM으로부터 제1 신호가 출력되어 왔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통신 단말기 CS1의 식별 코드가 첨부된 제1 신호 및 통신 단말기 CS2의 식별 코드가 첨부된 제1 신호 중 적어도 한쪽 신호의 입력을, 통신 단말기 CM으로부터 받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62).As a result of this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w speed switch is not attached at the time of the earthquake (NO at step ST61),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signal has been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More specifically,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receives inpu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ignal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1 and the first signal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has been received (step ST62).

상기한 스텝 ST62의 처리의 결과, 통신 단말기 CM으로부터 출력되어 온 적어도 하나의 제1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62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당해 제1 신호에 첨부된 식별 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통신 단말기 CS가 설치된 탑승카(12) 및/또는 카운터 웨이트(13)를 지지하고 있는 가이드 레일(14)에 손상이나 문제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탑승카(12)를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시키는 것을 중지한 후에(스텝 ST63), 후술하는 스텝 ST70의 처리를 실행한다.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step ST62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of at least one first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has been accepted (YES in step ST62),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receives the first The boarding vehicle 12 and / or the guide rail 14 supporting the counterweight 13 installed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identified by the identification code attached to the signal is likely to be damaged or have a problem. After stopping the car 12 from landing on the nearest floor (step ST63), the process of step ST70 described later is executed.

한편, 상기한 스텝 ST62의 처리의 결과, 통신 단말기 CM으로부터의 제1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62의 "아니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기기에 손상이나 문제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탑승카(12)와 카운터 웨이트(13)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탑승카(12)를 이동시키고, 탑승카(12)를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시킨 후에(스텝 ST64), 후술하는 스텝 ST68의 처리를 실행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of the fir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has not been accepted 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step ST62 (NO in step ST62),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constitutes the present elevator system. It is considered that the damage or the problem is unlikely to occur in a variety of devices, move the boarding car 1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arding car 12 and the counter weight 13 is separated, the boarding car 12 to the nearest floor After implantation (step ST64), the process of step ST68 described later is executed.

상기한 스텝 ST61의 처리의 결과, 지진시 저속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61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당해 지진시 저속 스위치와, 탑승카(12) 내의 조작 패널에 배치된 도어 폐쇄 버튼이 동시에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65). 또한, 지진시 저속 스위치와 도어 폐쇄 버튼이 동시에 조작되었는지 여부의 판정에는, 카 제어 장치(21)로부터 출력되는, 승객에 의해 조작된 조작 패널에 관한 정보 등이 이용된다.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step ST61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w speed switch is attached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YES in step ST61),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determines that the low speed switch at the time of the earthquake and the vehicle 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oor closing button arranged on the operation panel has been operated at the same time (step ST65). In addi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panel operated by the passenger, etc. output from the car control apparatus 21 i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low speed switch and the door closing button were operated simultaneously during an earthquake.

또한, 이 처리의 결과, 지진시 저속 스위치와 도어 폐쇄 버튼이 동시에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65의 "아니오"), 지진시 저속 스위치와 도어 폐쇄 버튼이 동시에 조작될 때까지, 스텝 ST65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그때는, 예를 들어 지진시 저속 스위치와 도어 폐쇄 버튼을 동시에 조작해 주길 원한다는 취지의 아나운스를 탑승카(12) 내의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내보내는 것으로 해도 된다.As a result of this process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w speed switch and the door closing button at the time of earthquake are not operated at the same time (NO at step ST65), the step ST65 is operated until the low speed switch and the door closing button at the time of earthquake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is executed repeatedly. In this case, for example, an announce that the low speed switch and the door closing button can be operated simultaneously during an earthquake may be released from a speaker (not shown) in the boarding car 12.

상기한 스텝 ST65의 처리의 결과, 지진시 저속 스위치와 도어 폐쇄 버튼이 동시에 조작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65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지진시 저속 스위치와 도어 폐쇄 버튼이 압하되고 있는 동안, 탑승카(12)와 카운터 웨이트(13)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탑승카(12)를 저속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T66).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탑승카(12)가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67). 또한, 이 처리의 결과, 탑승카(12)가 아직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67의 "아니오"), 상기한 스텝 ST65 및 ST66의 처리가 다시 실행된다.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step ST65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w speed switch and the door closing button at the time of earthquake are operated simultaneously (YES in step ST65),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determines that the low speed switch and the door closing button at the time of earthquake are While being pushed down, the boarding car 12 is moved at a low spe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arding car 12 and the counter weight 13 are separated (step ST66).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determines whether the boarding car 12 has landed on the nearest floor (step ST67). As a result of this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arding car 12 has not yet reached the nearest floor (NO in step ST67),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of steps ST65 and ST66 are executed again.

한편, 상기한 스텝 ST67의 처리의 결과, 탑승카(12)가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67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탑승카(12)의 도어를 소정 시간만큼 도어 개방하고(스텝 ST68), 탑승카(12)에 승객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승객의 하차가 행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arding car 12 has landed on the nearest floor 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step ST67 (YES in step ST67),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opens the door of the boarding car 12. When the door is opened for a predetermined time (step ST68), and the passenger car 12 has a passenger, the passenger gets off.

이상 설명한 스텝 ST51 내지 ST68의 처리는, 지진 발생 시에 탑승카(12)를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시켜, 승객의 하차를 행할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이다. 이후의 처리는, 승객의 하차를 행하고 나서 탑승카(12)를 복구시킬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된다.The processes of steps ST51 to ST68 described above are a series of processes until the boarding car 12 is placed on the nearest floor when an earthquake occurs and the passengers get off. Subsequent processes become a series of processes from when the passenger gets off, until the boarding car 12 is restored.

먼저, 상기한 스텝 ST68의 처리 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가속도 센서 S1, S2에 각각 접속되고, 슬레이브로서 기능하고 있는 통신 단말기 CS1, CS2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에 포함되며,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M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69). 또한, 통신 단말기 CS1, CS2 및 통신 단말기 CM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의 판정은, 단말기 이상 판정부(301)에 의한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판정된다.First, after the process of step ST68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acceleration sensors S1 and S2, respectively, and i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S1 and CS2 and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functioning as slave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functioning as the master (step ST69). In addition, determination of whether abnormality has occurred in communication terminal CS1, CS2, and communication terminal CM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terminal abnormality determination part 301. FIG.

상기한 스텝 ST69의 처리의 결과, 통신 단말기 CM으로부터의 사활 신호의 입력이 없어, 어느 통신 단말기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69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탑승카(12)를 복구시키기 위한 자동 진단 운전을 행하는 것을 금지하고, 탑승카(12)를 운전 휴지 상태로 한 후에(스텝 ST70), 후술하는 스텝 ST78의 처리가 실행된다.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step ST69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no input of the life and death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and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any communication terminal (YES in step ST69),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Prohibits the automatic diagnostic operation for restoring the boarding car 12, and after putting the boarding car 12 in the driving stop state (step ST70), the process of step ST78 described later is executed.

한편, 상기한 스텝 ST69의 처리의 결과, 통신 단말기 CM으로부터의 사활 신호의 입력이 있어, 어느 통신 단말기에도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69의 "아니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가속도 센서 S1, S2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71). 또한, 가속도 센서 S1, S2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의 판정은, 센서 이상 판정부(302)에 의한 판정과 위치 제어부(11C)에 의한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판정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ife and death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has been input 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step ST69 described above and no abnormality has occurred in any communication terminal (NO in step ST69),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acceleration sensors S1 and S2 (step ST71).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acceleration sensors S1 and S2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sensor abnormality determination unit 302 and the detection by the position control unit 11C.

상기한 스텝 ST71의 처리의 결과, 가속도 센서 S1, S2 중 적어도 한쪽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71의 "예"), 상기한 스텝 ST70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상기한 스텝 ST71의 처리의 결과, 가속도 센서 S1, S2에 이상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71의 "아니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통신 단말기 CS1의 식별 코드가 첨부된 제1 신호 및 통신 단말기 CS2의 식별 코드가 첨부된 제1 신호 중 적어도 한쪽의 입력을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72). 또한, 이 처리의 결과, 적어도 하나의 제1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72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당해 제1 신호에 첨부된 식별 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통신 단말기 CS가 설치된 탑승카(12) 및/또는 카운터 웨이트(13)를 지지하고 있는 가이드 레일(14)에 손상이나 문제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상기한 스텝 ST70의 처리를 실행한다.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step ST71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bnormality has occurred in at least one of the acceleration sensors S1 and S2 (YES in step ST71), the process of step ST70 is execute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no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acceleration sensors S1 and S2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the above-described step ST71 (NO in step ST71),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1. It is determined whether at least one of the input of the first signal and the first signal to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has been received has been accepted (step ST72). As a result of this process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of at least one first signal is accepted (YES in step ST72),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identifies by the identification code attached to the first signal.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damage or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guide car 14 supporting the boarding car 12 and / or the counterweight 13 on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is installed, and the process of step ST70 described above is executed.

한편, 상기한 스텝 ST72의 처리의 결과, 제1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았다고, 즉, 통신 단말기 CS1, CS2의 식별 코드가 첨부된 제2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72의 "아니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스텝 ST51의 처리에 있어서, 고갈(gal) 또는 저갈(gal) 중 어느 것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73). 이 처리의 결과, 고갈(gal) 및 저갈(gal) 중 어느 것도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73의 "아니오"), 후술하는 스텝 ST79의 처리가 실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of the first signal has not been received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step ST72 described above, that is, the input of the second signal to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S1 and CS2 has been accepted (" "",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determines whether depletion gal or gal was detected in the process of step ST51 (step ST73). As a result of this process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neither of the gal or the gal is detected (NO in step ST73), the process of step ST79 described later is executed.

상기한 스텝 ST73의 처리의 결과, 고갈(gal) 또는 저갈(gal) 중 어느 것이 검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73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고갈(gal) 또는 저갈(gal)이 검출되고 나서 제3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74). 또한, 제3 시간은, 지진 발생 시에 있어서의 로프의 흔들림이 가라앉은 것으로 여겨지는 시간으로 설정된다. 이 처리의 결과, 제3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74의 "아니오"), 제3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스텝 ST74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step ST73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either depletion gal or gal is detected (YES in step ST73),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depletes gal or depletion (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hird time has elapsed since gal) is detected (step ST74). In addition, 3rd time is set to the time by which the shaking of the rope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is considered to have subsided. As a result of this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time has not elapsed (NO in step ST74), the process of step ST74 is repeatedly executed until the third time elapses.

한편, 상기한 스텝 ST74의 처리의 결과, 제3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74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탑승카(12)의 지진시 자동 진단 운전을 개시한다(스텝 ST75).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time has elapsed 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step ST74 (YES in step ST74),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starts the automatic diagnosis operation during the earthquake of the boarding car 12. (Step ST75).

계속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지진시 자동 진단 운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76). 또한, 지진시 자동 진단 운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진단 운전 종료 시에 출력되는 종료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이 처리의 결과, 지진시 자동 진단 운전이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76의 "아니오"), 지진시 자동 진단 운전이 종료될 때까지, 스텝 ST76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Subsequently,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utomatic diagnosis operation at the time of earthquake is completed (step ST76). Incidentally, whether or not the automatic diagnosis operation at the time of earthquake is finished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input of the end signal output at the end of the diagnostic operation is accepted, for example. As a result of this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arthquake automatic diagnosis operation has not yet finished (NO in step ST76), the process of step ST76 is repeatedly executed until the earthquake automatic diagnosis operation ends.

상기한 스텝 ST76의 처리의 결과, 지진시 자동 진단 운전이 종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76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탑승카(12)를 임시 복구시키고, 이후는, 임시 복구 운전을 행한다(스텝 ST77).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matic diagnosis at the time of earthquake has ended 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step ST76 (YES in step ST76),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temporarily restores the boarding car 12, and after that, The temporary recovery operation is performed (step ST77).

보수원은, 탑승카(12)가 임시 복구 운전을 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현장으로 가서, 점검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보수원에 의한 점검 작업이 개시된다. 보수원에 의한 점검 작업이 개시되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보수원에 의한 점검 작업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78).The maintenance worker needs to go to the spot and perform the inspection work even when the boarding car 12 is performing the temporary recovery operation. For this reason, the inspection work by a maintenance worker is started. When the inspection work by the maintenance worker is started,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determines whether the inspection work by the maintenance worker is complete | finished (step ST78).

이 처리의 결과, 점검 작업이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78의 "아니오"), 보수원에 의한 점검 작업이 종료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스텝 ST78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As a result of this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pection work has not yet finished (NO in step ST78), the process of step ST78 is repeatedly executed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pection work by the maintenance worker is finished.

한편, 점검 작업이 종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T78의 "예"),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탑승카(12)를 완전히 복구시키고, 이후는, 평상 운전을 행하고(스텝 ST79), 여기에서의 일련의 동작을 종료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pection work is finished (YES in step ST78),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 completely recovers the boarding car 12, and then performs normal operation (step ST79). Terminate a series of operations on.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S2를 구비하고, 이 통신 단말기 CS2에는, 독자의 전원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카운터 웨이트(13)에 신규의 전원 설비(전원 코드) 등을 형성하지 않고, 카운터 웨이트(13)에 통신 단말기 CS2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elevator system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which functions as a slave, and this communication terminal CS2 is equipped with the original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is,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communication terminal CS2 in the counter weight 13, without forming a new power supply facility (power supply cord) etc. in the counter weight 13. As shown in FIG.

또한, 통신 단말기 CS2는, 유선 접속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 S2에 의해 계측된 갈(gal)값이 제1 역치 이상이었을 때만, 다른 통신 단말기(구체적으로는 통신 단말기 CM)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제어부(107)에 전원 공급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이며, 독자적으로 마련된 전원 장치의 수명을 오래 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communicates with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only when the gal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S2 connected by wi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Sinc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it is energy-saving and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life of the power supply device that is provided independently.

또한, 통신 단말기 CS2는, 가속도 센서 S2에 의해 계측된 갈(gal)값이 제1 시간 연속하여 제1 역치 미만이었던 경우, 가속도 센서 S2로부터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받는 검출 주기를 현재보다도 길게 하도록 변경하므로, 당해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받는 횟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받을 때 드는 전력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이며, 독자적으로 마련된 전원 장치의 수명을 오래 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gal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S2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continuously for the first tim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is changed to make the detection period for receiving the measurement data in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S2 longer than the present time.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times of receiving input of the said measurement data. That is, since the power consumption at the time of receiving input of measurement data can be reduced, it is energy saving and can extend the lifetime of the power supply device provided independently.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 CS2는 전원 장치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는 각종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보수원이 전원 장치를 교환하는 횟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보수원에게 가해지는 부담을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has various functions for prolonging the life of the power supply de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times a maintenance worker replaces the power supply device, and to reduce the burden on the maintenance worker. It is possible.

이상 설명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운터 웨이트에 신규의 전원 설비를 마련하지 않고, 카운터 웨이트에 마련된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송신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n elevator system which can transmit the output from the sensor provided in the counter weight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without providing a new power supply device in the counter weight.

또한,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각종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지진 발생 시에는, 안전성을 충분히 고려한 후에, 신속히 복구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Moreover, in this elevator system, since the various processes shown in FIG. 10 and FIG. 11 can be performed, when an earthquake occur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 achieve the elevator system which can be restored quickly after fully considering safety.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카(12)에 통신 단말기 CS1이 설치되고, 카운터 웨이트(13)에 통신 단말기 CS2가 설치되며, 상부 기계실에 통신 단말기 CS1, CS2와 통신 가능한 통신 단말기 CM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통신 단말기의 설치 레이아웃, 특히 통신 단말기 CM의 설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도 1과는 상이한 설치 레이아웃에 대하여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1 is provided in the boarding car 12,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2 is provided in the counterweight 13, and it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S1 and CS2 in the upper machine room. Although the case where possible communication terminal CM is provided was illustrated, the installation layout of a communication terminal, especiall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communication terminal CM is not limited to this.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2-14, the installation layout different from FIG. 1 is demonstrated.

[제1 변형예][First Modification]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M을 상부 기계실에 설치하지 않고, 통신 단말기 CS1 대신에 탑승카(12) 상에 설치하고 있는 점에서, 도 1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상이하다. 통신 단말기 CM은, 탑승카(12) 상에 설치되는 가속도 센서 S1과 유선으로 접속된다.FIG. 12: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chematic structural example of the elevator system which concerns on the 1st modified example of this embodiment.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12 does not install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which functions as a master in the upper machine room, but is provided on the boarding car 12 instea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1, and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Different.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is connected by wire with the acceleration sensor S1 provided on the boarding car 12.

이 경우, 통신 단말기 CM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 설비(100)가 신규로 필요로는 되지만,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S의 개수를 하나 저감시킬 수 있어,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이 경우, 통신 단말기 CM에는, 통신 단말기 CS에 포함되는 입력부(102), 보존부(103), 운전 가부 판정부(107a) 및 정주기 발보부(107b)에 상당하는 기능부가 적어도 탑재될 필요가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 CM에는, 검출 주기 전환부(104)에 상당하는 기능부가 더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In this case, although the wiring installation 100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and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is newly needed, the number of communication terminal CSs functioning as slaves can be reduced by one, and the cost can be reduced. It becomes possible. In this case, however, at least the functional units corresponding to the input unit 102, the storage unit 103, the driving permission determination unit 107a, and the periodic cycle reporting unit 107b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are mount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There is a ne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may further be equipped with a functional unit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period switching unit 104.

본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modific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제2 변형예]Second Modification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도 12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M을 상부 기계실에 설치하지 않고, 통신 단말기 CS1 대신에 탑승카(12) 상에 설치하고 있는 점에서, 도 1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상이하다. 또한, 통신 단말기 CM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와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 단말기 CM을, 카 제어 장치(21)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와 간접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점에서, 도 12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과도 상이하다.FIG. 13: is a figure which shows schematic structural example of the elevator system which concerns on the 2nd modified example of this embodiment.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13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FIG. 12 in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serving as a master is provided on the boarding car 12 instea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1 in the upper machine room. It is different from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In addition, si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is not directly connected with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via the car control apparatus 21, FIG. It is also different from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이 경우,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통신 단말기 CS의 개수를 하나 감소시키고, 또한 통신 단말기 CM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를 접속하기 위한 신규의 배선 설비(100)도 필요없기 때문에, 보다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 CM와 카 제어 장치(21)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 설비(200)가 신규로 필요로는 되지만, 상부 기계실까지 연장되는 배선 설비(100)에 비해 간이한 배선 설비로 되기 때문에, 보다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이 경우에 있어서도, 통신 단말기 CM에는, 통신 단말기 CS에 포함되는 입력부(102), 보존부(103), 운전 가부 판정부(107a) 및 정주기 발보부(107b)에 상당하는 기능부가 적어도 탑재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통신 단말기 CM에는, 검출 주기 전환부(104)에 상당하는 기능부가 더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communication terminals CS functioning as slaves is reduced by one, and a new wiring facility 100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and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is also unnecessary. It becomes possible. In more detail, although the wiring installation 200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and the car control apparatus 21 is newly needed, it becomes a simple wiring installation compared with the wiring installation 100 extended to the upper machine room. Therefore, the cost can be reduced. Even in this case, howev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includes at least functional parts corresponding to the input unit 102, the storage unit 103, the driving permission determination unit 107a, and the periodic cycle reporting unit 107b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It needs to be mounted. Also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may further be equipped with a functional unit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period switching unit 104.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1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modification, similar to the first modific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제3 변형예][Third Modification]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 CM의 설치 레이아웃은 도 1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마찬가지이기는 하지만, 상부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 내에 통신 단말기 CM과 유선으로 접속되는 가속도 센서 S3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상이하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example of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 third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14, although the installation layou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is the same as that of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1, the acceleration connected by wire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in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0 provided in the upper machine room. It differs from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1 in that the sensor S3 is provided.

가속도 센서 S3은, 상부 기계실의 흔들림을 검출(계측)하기 위한 센서이다.Acceleration sensor S3 is a sensor for detecting (measuring) the shaking of the upper machine room.

이 경우, 가속도 센서 S3이 신규의 설비로서 증가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비해 비용은 들지만, 가속도 센서 S3에 의해 계측되는 갈(gal)값에 기초하여, 메인 시브(18a), 젖힘 시브(18b) 및 모터(19)에 손상이나 문제가 없는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보다 안전성을 담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통신 단말기 CM에는, 통신 단말기 CS에 포함되는 입력부(102), 보존부(103), 운전 가부 판정부(107a) 및 정주기 발보부(107b)에 상당하는 기능부가 적어도 탑재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통신 단말기 CM에는, 검출 주기 전환부(104)에 상당하는 기능부가 더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acceleration sensor S3 is increased as a new facility, although it costs more compared with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1, based on the gal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S3, the main sheave 18a, Since it become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no damage or a problem with the flipping sheave 18b and the motor 19, it becomes possible to ensure more safety. Also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includes at least functional units corresponding to the input unit 102, the storage unit 103, the driving permission determination unit 107a, and the periodic cycle reporting unit 107b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S. It needs to be mounted. Also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M may further be equipped with a functional unit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period switching unit 104.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임시 복구 운전을 행하기 위한 자동 진단 운전을 행해도 되는지 여부의 판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modification, similarly to the first and second modifications,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obtained, and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automatic diagnostic operation for performing the temporary recovery operation may be performed with higher precision is made. It becomes possible to do it on the road.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통신 단말기 CS1, CS2에 유선 접속되는 센서가 가속도 센서만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통신 단말기 CS1, CS2에는, 예를 들어 음성 센서 등, 다른 센서가 더 유선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sensor connected to communication terminals CS1 and CS2 by wire is only an acceleration sensor was demonstrated, However, other sensors, such as an audio sensor, are further wired connection to communication terminals CS1 and CS2, for example. You may be.

또한,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se embodiments have been presented by way of example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s. These novel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variou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invention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5)

승강로 내에 설치된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와 로프를 통해 연결되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흔들림을 계측하는 센서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센서에 유선 접속되는 통신 단말기이며,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할 때 자기로서 기능하는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친기로서 기능하는 제2 통신 단말기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는,
전원 장치가 마련되고, 당해 전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전원 공급을 행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Boarding car installed in the hoistway,
A counter weight connected to the boarding car and a rope;
A sensor provided in the counter weight and measuring a shake of the counter weight;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counter weight and wired to the sensor,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ing as a self when communicating with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functions as a master;
And
I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 elevator system, comprising: a power supply device, wherein the power supply device supplies power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제1 주기마다, 상기 센서에 의해 계측된 흔들림을 나타내는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을 접수한 계측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각 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는, 전원을 상시 공급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에는, 상기 입력을 접수한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계측값이 제1 역치 이상이었던 경우에 전원을 공급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 input unit which receives an input of measurement data indicative of the shaking measured by the sensor at every first perio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the measurement data receiving the inpu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 power suppl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to each unit from the power supply unit,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Power supply is always supplied to the said input part, The elevator control system supplies power to the said communication control part, when the measured value represented by the measurement data which received the said input was more than 1st threshold valu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는,
상기 전원 장치의 잔량이 소정값 미만이 된 경우, 당해 전원 장치의 교환을 보수원에게 재촉하기 위한 전원 교환 요구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해, 상기 통신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And an elevator system that supplies power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to transmit a power exchange reques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mpting a maintenance worker to replace the power supply devic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ower supply devi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입력을 접수한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계측값이 소정 기간 연속하여 제1 역치 미만이었던 경우, 상기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주기를 상기 제1 주기보다도 긴 주기로 변경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The elevator system which changes the period which receives input of the said measurement data into the period longer than a said 1st period, when the measurement value represented by the measurement data which accepted the said input was below the 1st threshold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입력을 접수한 계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계측값이 상기 제1 역치보다도 큰 제2 역치 이상이었던 경우, 상기 계측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주기를 상기 제1 주기보다도 짧은 주기로 변경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The elevator system which changes the period which receives input of the said measurement data into the period shorter than a said 1st period, when the measured value represented by the measurement data which accepted the said input was more than the 2nd threshold value larger than the said 1st threshold value.
KR1020190062309A 2018-06-15 2019-05-28 Elevator system KR2019014220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4472 2018-06-15
JP2018114472A JP6614591B1 (en) 2018-06-15 2018-06-15 Elevat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205A true KR20190142205A (en) 2019-12-26

Family

ID=6876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309A KR20190142205A (en) 2018-06-15 2019-05-28 Elevator syste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14591B1 (en)
KR (1) KR20190142205A (en)
CN (1) CN11060641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3902B1 (en) * 2019-06-13 2020-11-1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system
JP7143389B2 (en) * 2020-12-18 2022-09-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system
CN114044420B (en) * 2021-10-21 2023-03-14 湖南快杰电梯有限公司 Maintenance method of elevator steel wire rope
CN114634073B (en) * 2022-03-04 2023-12-19 苏州汇川控制技术有限公司 Elevator car control system and elev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1928A (en) * 1975-06-06 1977-03-1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JP2007254039A (en) * 2006-03-20 2007-10-04 Toshiba Elevator Co Ltd Restoration system for elevator
JP5706781B2 (en) * 2011-08-04 2015-04-2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Elevator earthquake recovery diagnosis operation device
JP5775442B2 (en) * 2011-12-22 2015-09-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5814208B2 (en) * 2012-10-19 2015-11-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JP5788543B2 (en) * 2014-01-23 2015-09-3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JP2015224119A (en) * 2014-05-29 2015-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of elevator
JP2016055960A (en) * 2014-09-08 2016-04-2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Earthquake automatic restoration operation device of elevator
JP6324303B2 (en) * 2014-12-01 2018-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emergency rescue operation device at power failure
JP6199429B2 (en) * 2016-03-16 2017-09-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CN207158530U (en) * 2017-08-18 2018-03-30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Elevator intelligent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218149A (en) 2019-12-26
JP6614591B1 (en) 2019-12-04
CN110606418A (en) 2019-12-24
CN110606418B (en)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2205A (en) Elevator system
JP5540090B2 (en) Elevator rescue system
CN102092607B (en) Elevator running control device
CN103010870A (en) Contactless power supply system for elevator
RU2717604C2 (en) Elevator control device
CN106829673B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with emergency rescue device
JP5483708B2 (en) Elevator automatic diagnostic equipment
RU2581283C2 (en) Power-saving elevator installation
US11884512B2 (en) Car and entity safety supervising unit for an elevator
US4011928A (en) Elevator system
JP6545868B1 (en) Elevator system
CN210214440U (en) Control system of traction type building construction elevator
JP7138773B2 (en) elevator system
CN102596781A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CN201737622U (en) One-rope double-machine lifting driving device
JP2017218264A (en)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system
JP2020090386A (en)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group management elevator and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US20220106155A1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wireless power transfer
JP7171837B1 (en) elevator system
JP2008280123A (en) Car position informing system of elevator
CN113677612B (en) Tailless cable elevato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ailless cable elevator apparatus
CN103935854A (en)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13184760A (en) Elevator
JP7143389B2 (en) elevator system
JP7475417B1 (en) Elevator remote inspection system and elevator remote insp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