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416A - 패류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패류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416A
KR20190141416A KR1020180068145A KR20180068145A KR20190141416A KR 20190141416 A KR20190141416 A KR 20190141416A KR 1020180068145 A KR1020180068145 A KR 1020180068145A KR 20180068145 A KR20180068145 A KR 20180068145A KR 20190141416 A KR20190141416 A KR 20190141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tidal
harvester
tidal flat
mud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703B1 (ko
Inventor
한기영
심광석
Original Assignee
한기영
심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영, 심광석 filed Critical 한기영
Priority to KR102018006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703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패류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채취한 채취물을 담는 컨테이너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운전되어 갯벌을 주행하는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의 주행방향 전방에 설치되며, 채취물을 상기 컨테이너 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힌지부를 통해 컨베이어의 하단부에 링크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며, 주행 중 갯벌을 퍼올려 상기 컨베이어로 유도하는 채취기와; 상기 채취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갯벌의 표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운동하며, 채취기에 의한 갯벌의 채취 깊이를 유지시키는 깊이유지부와; 상기 채취기의 전방에 설치되며, 채취기 전방의 갯벌면을 반복적으로 두드려 갯벌 내부의 패류에 진동을 전달하는 두드림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패류 채취장치는, 패류의 채취 직전, 갯벌의 지면을 두드려 패류가 놀라 입을 다물게 함으로써 채취 과정에서 패류에 모래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방향 전방에, 갯벌의 지면을 스치며 수평 주행을 가능케 하는 수평슬라이더를 가지므로, 채취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갯벌을 필요이상 깊게 파헤치지 않아 주행성이 좋다.

Description

패류 채취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shellfish}
본 발명은 패류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채취효율이 뛰어나고, 패류의 채취 직전에 지면에 충격을 가하여 패류가 놀라 입을 다물게 함으로써 모래가 들어가지 않은 상태의 패류를 채취할 수 있는 패류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어촌에서는 호미나 삽 또는 갈퀴 등을 이용해 갯벌의 바지락이나 꼬막 등을 채취하는 일을 해 왔다. 이러한 작업은 그 자체가 매우 고된 일이고, 더욱이 해수면의 높낮이나, 갯벌의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으므로 효율이 떨어지고, 채취 할 수 있는 양이 상당히 한정적 이었다.
이에, 갯벌에서의 어로를 보다 효율적이며 힘들이지 않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계식 채취장치가 개발 되어 있다. 이러한 채취장치는, 대부분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에 갯벌을 파헤쳐 갯벌 속의 패류를 퍼 올리는 방식이다.
가령,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32044호에는 갯벌 썰매에 의한 패류 채취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채취장치는, 동력장치를 이용해 주행하면서 패류를 채취하게 되므로 채취 작업이 수월할 수 있다. 하지만, 채취부가 퍼 올린 패류를 이송수단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뻘이 이송수단으로 유입되므로 패류가 효율적으로 채취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64893호의 패류채취기는 고압수를 갯벌에 분사하여 패류를 채취하는 방식인데, 고압수를 갯벌에 분사시키는 과정에서 패류가 갈고리 밖으로 이탈되어 패류를 효율적으로 채취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패류 채취 장치는, 들어가는 동력에 비해 채취효율이 그다지 높지 않아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갯벌 내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있는 패류를 갑자기 퍼 올리므로, 패류의 대부분이 입을 벌린 상태로 채취되어 패류 내에 뻘이 유입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32044호 (갯벌 썰매에 의한 피류 채취장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58674호 (썰매판형 패류채취기)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59876호 (조개류 채취장비)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764893호 (패류 채취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채취 과정에서 패류에 모래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채취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갯벌을 필요이상 깊게 파헤치지 않아 주행성이 양호한 패류 채취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패류 채취장치는, 채취한 채취물을 담는 컨테이너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운전되어 갯벌을 주행하는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의 주행방향 전방에 설치되며, 채취물을 상기 컨테이너 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힌지부를 통해 컨베이어의 하단부에 링크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며, 주행 중 갯벌을 퍼올려 상기 컨베이어로 유도하는 채취기와; 상기 채취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갯벌의 표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운동하며, 채취기에 의한 갯벌의 채취 깊이를 유지시키는 깊이유지부와; 상기 채취기의 전방에 설치되며, 채취기 전방의 갯벌면을 반복적으로 두드려 갯벌 내부의 패류에 진동을 전달하는 두드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채취기는; 그 후단부가 상기 힌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된 사이드패널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받아 축회전 하는 구동샤프트,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상 부재로서 상기 구동샤프트를 그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킨 상태로 구동샤프트에 고정되며 구동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채취물을 퍼올리는 다수의 채취날, 상기 채취날의 사이에 개재되어 채취날을 상호 이격시키며 채취날과 면접하는 다수의 간격유지판을 구비한 채취부와, 상기 채취부에 의해 퍼올려진 채취물을 받아 컨베이어측으로 유도하는 진동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퍼올려진 채취물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갯벌흙을 씻어내는 세척수공급부가 더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사이드패널의 측부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지지빔이 장착되고, 상기 깊이유지부는; 일정폭을 가지며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부재로서, 그 저면이 갯벌면에 접하는 슬라이딩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빔을 상향 통과하는 수나사봉과, 상기 지지빔의 상하부에서, 수나사봉에 결합하며 갯벌면에 대한 지지빔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두드림부는; 상기 구동샤프트의 단부에 고정되며 구동샤프트와 동시에 회전하는 회동유도캠과, 상기 사이드패널에 지지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회동유도캠에 눌려 상향 회동하고, 회동유도캠으로부터 이격될 때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향 회동하는 회동로드와, 상기 회동로드의 단부에 설치되며 지면을 타격하는 타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동로드는; 상기 회동유도캠에 의해 하향 가압되는 캠가압부와,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캠가압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그 단부에 상기 타격부재를 가지고, 캠가압부가 회동유도캠에 의해 하부로 눌리 때 상향 회동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타격부재는, 갯벌면상에서 구름운동 가능한 롤의 형태를 취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채취기와 연결되며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채취기를 들어 올리는 인양수단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패류 채취장치는, 패류의 채취 직전, 갯벌의 지면을 두드려 패류가 놀라 입을 다물게 함으로써 채취 과정에서 패류에 모래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방향 전방에, 갯벌의 지면을 스치며 수평 주행을 가능케 하는 수평슬라이더를 가지므로, 채취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갯벌을 필요이상 깊게 파헤치지 않아 주행성이 좋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채취부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하우징 및 그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하우징 내의 동력 전달 방식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에 도시한 채취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두드림부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a에 도시한 두드림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후술할 본 실시예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10)는, 바닷가의 갯벌을 주행하며, 갯벌에 서식하는 바지락이나 조개 등과 같은 패류를 채취하기 위한 장치이다. 특히 패류를 채취하기 직전에 갯벌면을 두드리는 두드림부를 갖는데, 두드림부는 먹이활동 중의 패류가 놀라 입을 다물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두드림부를 통해 입이 다물어진 상태의 패류를 채취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 채취장치의 경우, 갯벌을 갑자기 무조건적으로 퍼 올리므로, 먹이활동 중의 패류, 즉 입이 벌어진 상태의 패류가 채취된다. 패류가 입이 벌어지면 흙이 유입되어 상품성이 크게 떨어짐은 당연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는, 채취한 채취물을 담는 컨테이너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운전되어 갯벌을 주행하는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의 주행방향 전방에 설치되며, 채취물을 상기 컨테이너 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힌지부를 통해 컨베이어의 하단부에 링크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며, 주행 중 갯벌을 퍼올려 상기 컨베이어로 유도하는 채취기와; 상기 채취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갯벌의 표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운동하며, 채취기에 의한 갯벌의 채취 깊이를 유지시키는 깊이유지부와; 상기 채취기의 전방에 설치되며, 채취기 전방의 갯벌면을 반복적으로 두드려 갯벌 내부의 패류에 진동을 전달하는 두드림부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주행장치(12)는 작업자에 의해 운전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2a)과 채취물컨테이너(13)를 구비한다. 프레임(12a)은 채취물컨테이너(13)를 지지함과 아울러 지지아암(22)을 고정한다. 프레임(12a)의 구체적인 구조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채취물컨테이너(13)는 후술할 컨베이어(20)의 상단부에 대응 배치되며, 컨베이어(20)를 타고 올라온 채취물 즉, 패류를 수용하는 용기이다.
아울러 지지아암(22)은 프레임(12a)에 장착된 상태로 컨베이어(20)를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한다. 지지아암(22)을 가변식으로 적용하여 컨베이어(20)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컨베이어(20)는, 주행장치(12)의 전방에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되며 후술할 채취기(40)로부터 전달받은 채취물을 채취물컨테이너(13)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컨베이어(20)는 두 개의 이송스프로킷(28)과, 이송스프로킷(28)을 감아도는 순환체인(25)과, 순환체인(25)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이송판(26)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이송스프로킷(28) 중 하나의 이송스프로킷(28)은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나 주행장치(12)의 엔진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순환체인(25)을 회전시킨다. 이송판(26)은 컨베이어(20)의 하단부에 로딩된 채취물을 받쳐 채취물이 원활히 상향 이동하도록 하는 받침대의 역할을 한다.
아울러 컨베이어(20)의 상단부에는 와이어윈치(23)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윈치(23)는 인장와이어(51)를 당기는 인장수단이다. 인장와이어(51)의 단부는 채취기(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와이어걸이부(54)에 연결된다. 따라서 와이어윈치(23)를 작동시켜 인장와이어(51)를 당기면 채취기(40) 자체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들어 올려 진다. 패류 채취장치(10)를 작업장으로 이동시킬 때, 또는 작업장으로부터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와이어윈치(23)를 이용해 채취기(40)를 들어 올림은 물론이다.
또한 컨베이어(20)의 하단부에는 힌지부(27)가 구비된다. 힌지부(27)는 채취기(40)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부(도 4의 42k)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채취기(40)를 지지하여 채취기(40)의 상하방향 회동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채취기(40)는, 하우징(42), 채취부(44), 진동판(48)을 포함한다. 상기 채취기(40)와 관련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채취부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하우징 및 그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하우징 내의 동력 전달 방식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먼저, 상기 하우징(42)은, 그 후단부가 상기 힌지부(27)에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되고 평행하게 이격된 사이드패널(42a)과, 사이드패널(42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의 패널프레임(42b)을 포함한다. 하우징(42)은 강철판을 용접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채취부(44), 커버(45), 세척수분사부(53), 브러시(47), 진동판(48), 진동발생부(49)를 지지한다.
상기 커버(45)는 패널프레임(42b)의 전방에 구비된 판상 부재로서 그 상단부가 회동축(45a)을 통해 사이드패널(42a)에 지지된다. 커버(45)는 사이드패널(42a)의 전방을 커버하여, 채취부(44)의 채취날(44a)이 채취물을 퍼 올릴 때 채취물이 전방으로 밀려 나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퍼올려진 채취물이 앞쪽으로 흩어지지 않고 온전히 간격유지판(44c)의 상부로 이동하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45b는 손잡이이다. 사용자는 손잡이(45b)를 이용해 커버(45)를 들어 올려 내부의 채취부(44)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사이드패널(42a)의 상단부에는 세척수분사부(53)가 구비된다. 세척수분사부(53)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하향 분사하여 퍼올려진 채취물, 즉, 패류로부터 흙(뻘)을 씻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세척수분사수(53)는, 수평으로 연장되며 양단부가 사이드패널(42a)에 고정되는 연장튜브(53a)와, 연장튜브(53a)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53b)을 구비한다. 분사노즐(53b)은 연장튜브(53a)로 압입된 물을 하향 분사한다.
상기 브러시(47)는 세척수분사부(53)의 후방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로서, 세척수분사부(53)에 의해 물로 세척된 패류를 브러싱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가령, 세척수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브러시(47)는, 브러시본체(47a)와, 브러시본체(47a)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사이드패널(42)의 관통구멍(42d)에 끼워지는 회전축(47b)과, 회전축(47b)의 단부 고정된 종동스프로킷(47c)을 포함한다. 종동스프로킷(47c)은 전동체인(46c)을 통해 다른 종동스프로킷(49c)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브러시(47)를 회전시킨다.
상기 브러시(47)의 후방에는 진동발생부(49)가 설치된다. 진동발생부(49)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양단부가 사이드패널(42a)의 관통구멍(42e)에 끼워지는 축회전로드(49a)와, 축회전로드(49a)의 중앙부위에 고정되는 캠(49b)과, 축회전로드(49a)의 단부에 고정된 종동스프로킷(49c)을 포함한다. 종동스프로킷(49c)은 전동체인(46b)을 통해 이송스프로킷(28)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종동스프로릿(49c)이 회전함에 따라 축회전로드(49a)와 캠(49 b)이 동시에 회전함은 당연하다.
상기한 진동판(48)은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으로서, 그 후단부에 회동축(48a)을 갖는다. 진동판(48)은 회동축(48a)의 양단부가 관통구멍(42f)에 끼워진 상태로 진동발생부(49) 상에 얹힌다. 진동판(48)의 저면이 캠(49b)에 접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축회전로드(49a)가 축회전하면, 캠(49b)의 작용에 의해 진동판(48)이 도 1의 화살표 a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운동은, 진동판(48) 위에 올라온 패류를 컨베이어(20) 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한 양측 사이드패널(42a)의 하단 외측면에는 사각봉 형태의 지지빔(42c)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빔(42c)은 수평으로 연장된 막대형 부재로서 그 선단부에 깊이유지부(43)를 갖는다. 깊이유지부(43)는 갯벌의 표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운동하며, 채취기(40)에 의한 갯벌의 채취 깊이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말하자면 갯벌의 표면에 대한 채취날(44a)의 최대 깊이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깊이유지부(43)를 구비함으로써 채취기(40)는 주행 중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채취장치(10)가 앞으로 주행하는 동안 채취날(44a)의 채취 깊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깊이유지부(43)가 없다면 채취날(44a)이 갯벌을 파고들어 주행이 불가능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깊이유지부(43)는, 수나사봉(43b)을 갖는 슬라이딩플레이트(43a)와 다수의 높이조절너트(43c)를 갖는다. 슬라이딩플레이트(43a)는 일정폭을 가지며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부재이다. 슬라이딩플레이트(43a)의 저면은 지지면(43d)으로서 폭방향 양단부가 상부로 만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만곡 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플레이트(43a)가 전진하더라도 갯벌면의 하부로 파고들 염려가 없다.
상기 수나사봉(43b)은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봉으로서 슬라이더설치구(43h)를 상향 통과한다. 또한 높이조절너트(43c)는 수나사봉(43b)에 나사 결합하되 지지빔(42c)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지지빔(42c)에 대한 슬라이딩플레이트(43a)의 간격을 유지한다. 수나사봉(43b)에 대한 높이조절너트(43c)의 나사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채취날(44a)의 채취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10)는 상기한 깊이유지부(43)를 통해, 채취 깊이를 적절히 결정 및 유지할 수 있어, 그만큼 작업 효율이 뛰어나다.
사실, 패류 채취 작업을 실시함에 있어, 갯벌의 토질에 따라, 또한 채취할 패류의 종류에 따라 채취 깊이가 달라져야 한다. 가령, 갯벌의 상태가 연약한 경우에는 채취 깊이를 얕게 해야 하며, 또한 패각의 강도가 약한 패류를 채취할 때에는 채취 깊이가 너무 얕으면 채취 시 패각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채취 깊이를 다소 깊게 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채취 깊이를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는 본 실시예의 패류 채취장치(10)는 매우 큰 의미를 갖는 것이다.
상기 채취부(44)는, 사이드패널(42a)의 사이공간에 설치되며 갯벌을 파내어 위로 올려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구동샤프트(44b), 채취날(44a), 간격유지판(44c), 동력스프로킷(44d)을 포함한다.
구동샤프트(44b)는 그 양단부가 관통구멍(42g)을 통과한 상태로 동력스프로킷(44d)과 결합한다. 동력스프로킷(44d)은 전동체인(46a)을 통해 이송스프로킷(28)과 연결된다. 이송스프로킷(28)의 회전력이 전동체인(46a)과 동력스프로킷(44d)을 통해 구동샤프트(44b)로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채취날(44a)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상 부재로서, 구동샤프트(44b)를 그 중앙부로 통과시키는 허브부(44f)와, 허브부(44f)에 일체를 이루며 상호 대칭을 이루는 세 개의 연장부(44g)를 갖는다. 연장부(44g)는 허브부(44f)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를 취한다. 채취날(44a)은 도 1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채취물을 퍼올린다.
또한, 간격유지판(44c)은, 구동샤프트(44b)에 대해 고정된 일정두께의 판상부재로서 각 채취날(44a)의 사이에 개재되어 채취날(44a)을 상호 이격시킨다. 특히 채취날(44a)과 간격유지판(44c)은 상호 면접하며 서로에 대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다. 즉, 채취날(44a)이 간격유지판(44c)에 면접 지지된 상태로 미끄럼 운동 가능한 것이다. 간격유지판(44c)의 두께는 패류의 사이즈보다 좁다. 즉, 채취한 패류가 간격유지판(44c)의 사이로 들어갈 염려는 없는 것이다.
상기 채취날(44a)에 의해 채취된 채취물은 간격유지판(44c)의 상부로 올려진다. 간격유지판(44c)의 상부에 올려진 채취된 채취물 중 패류를 제외한 흙이나 모래는 간격유지판(44c)의 사이 틈새를 통해 하부로 빠지고, 패류는 경사면(44e)을 타고 내려가며 브러시(47)의 하부를 통과한 후 진동판(48)에 올려진다.
진동판(48)에 올려진 패류는 진동판의 상하 진동운동에 따라 컨베이어(20) 측으로 이동하여 컨베이어(20)에 로딩된 후 채취물컨테이너(13)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두드림부(57)는 갯벌의 채취 직전 갯벌면을 두드림으로써, 갯벌 속에서 먹이 활동을 하는 패류가, 깜짝 놀라 입을 다물게 하는 목적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10)는 두드림부(57)를 가지므로, 채취 직전 패류들이 입을 다물도록 하여 모래가 전혀 유입되지 않은 패류를 채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상기 두드림부(57)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a에 도시한 두드림부의 사시도이다.
상기 두드림부(57)는, 회동유도캠(56), 회동로드(57), 타격부재로서의 구름롤(57c)을 포함한다.
회동유도캠(56)은 상기한 구동샤프트(44b)에, 동력스프로킷(44d)과 함께 고정된 것으로서 구동샤프트(44b)와 함께 회전한다. 회동유도캠(56)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면(56a)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면(56a)은 후술할 캠가압부(57d)를 하부로 눌러 회동로드(57a)를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동로드(57a)는, 양측 사이드패널(42a)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지지축(57b)과, 지지축(57b)을 기준으로 회동유도캠(56)의 하부로 하향 연장된 캠가압부(57d)와, 반대편으로 연장된 연장부(57e)로 이루어진다. 캠가압부(57d)와 연장부(57e)는 지지축(57b)을 중심으로 둔각의 사이각을 갖는다.
아울러 연장부(57e)의 선단부에는 구름롤(57c)이 구비된다. 구름롤(57c)은 갯벌면을 두드리는 타격부재로서 구름운동 할 수 있는 롤의 형태를 취한다. 구름롤(57c)은 연장부(57e)에 지지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한 것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두드림부(57)는 채취부(44)에 연동하여 채취부(44)와 함께 동작한다. 채취부(44)의 채취날(44a)이 회전하는 동안 회동로드(57a)의 회동운동은 계속되는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회동로드(57a)의 구름롤(57c)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처져 갯벌면 상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하는 회동유도캠(56)의 가압면(56a)은 캠가압부(57d)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상태에서 회동유도캠(56)이 계속 회전하여, 도 6b에 도시한 것처럼, 가압면(56a)이 캠가압부(57d)를 내리 누르면 연장부(57e)가 화살표 e방향으로 들어 올려진다. 구름롤(57c)의 위치에너지가 커지는 것이다. 구름롤(57c)의 상승은, 회동유도캠(56)의 회전에 따라 캠가압부(57d)가 가압면(56a)으로부터 벗어날 때 까지 계속된다.
마침내, 가압면(56a)이 캠가압부(57d)로부터 벗어나, 더 이상 캠가압부(57d)를 하향 가압하지 않게 되는 순간, 회동로드(57a)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향 회동하고,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름롤(57c)이 갯벌면을 두드리게 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구름롤(57c)이 갯벌면을 타격함에 따를 진동이나 소음은 갯벌 속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패류에 전달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1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작업자가 주행장치(12)를 이동시켜 채취 장소에 도달하였다면, 상기 와이어윈치(23)를 풀어, 도 2 상태의 채취기(40)를 도 1과 같이 하향 회동시켜 슬라이딩플레이트(43a)가 갯벌면에 놓이게 한다. 이 때 슬라이딩플레이트(43a)에 대한 지지빔(42c)의 간격이 미리 결정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세팅 상태에서, 작업자는 컨베이어(20)를 작동시킨다. 컨베이어(20)가 작동함에 따라, 컨베이어의 이송스프로킷(28)에 이어져 있는 채취부(44), 브러시(47), 진동발생부(49)가 동시에 작동하며, 회동로드(57a)는 제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운동을 반복한다.
이어서 주행장치(12)를 전방으로 주행시키면, 채취날(44a)이 갯벌흙을 계속적으로 상부로 퍼올리고 두드림부(57)는 갯벌면을 일정 간격으로 두드린다. 채취날(44a)에 의해 퍼올려진 채취물은 간격유지판(44c)의 경사면(44e)을 따라 이동하며, 흙이나 모래는 경사면(44e) 사이의 틈새로 빠지고 패류는 걸러진 상태로 진동판(48) 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분사부(53)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고, 브러시(47)가 흙 등을 털어냄은 물론이다.
상기 진동판(48)으로 이동한 패류는, 진동판(48)의 상하 진동작용에 의해 컨베이어(20) 측으로 이동된 후 컨베이어의 이송판(26)에 걸려 상향 이송된 후 채취물컨테이너(13)에 적재된다. 상기한 동작을 유지하며 주행장치(12)를 주행시켜 패류의 채취를 연속적으로 진행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패류 채취장치 12:주행장치 12a:프레임
13:채취물컨테이너 20:컨베이어 22:지지아암
23:와이어윈치 25:순환체인 26:이송판
27:힌지부 28:이송스프로킷 40:채취기
42:하우징 42a:사이드패널 42b:패널프레임
42c:지지빔 42d,42e:관통구멍 42f:42g:관통구멍
42k:연결부 43:깊이유지부 43a:슬라이딩플레이트
43b:수나사봉 43c:높이조절너트 43d:지지면
44:채취부 44a:채취날 44b:구동샤프트
44c:간격유지판 44d:동력스프로킷 44e:경사면
44f:허브부 44g:연장부 45:커버
45a:회동축 45b:손잡이 46a,46b,46c:전동체인
47:브러시 47a:브러시본체 47b:회전축
47c:종동스프로킷 48:진동판 48a:회동축
49:진동발생부 49a:축회전로드 49b:캠
49c:종동스프로킷 51:인장와이어 53:세척수분사부
53a:연장튜브 53b:분사노즐 54:와이어걸이부
56:회동유도캠 56a:가압면 57:두드림부
57a:회동로드 57b:지지축 57c:구름롤
57d:캠가압부 57e:연장부

Claims (7)

  1. 채취한 채취물을 담는 컨테이너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운전되어 갯벌을 주행하는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의 주행방향 전방에 설치되며, 채취물을 상기 컨테이너 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힌지부를 통해 컨베이어의 하단부에 링크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며, 주행 중 갯벌을 퍼올려 상기 컨베이어로 유도하는 채취기와;
    상기 채취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갯벌의 표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운동하며, 채취기에 의한 갯벌의 채취 깊이를 유지시키는 깊이유지부와;
    상기 채취기의 전방에 설치되며, 채취기 전방의 갯벌면을 반복적으로 두드려 갯벌 내부의 패류에 진동을 전달하는 두드림부를 구비하는 패류 채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기는;
    그 후단부가 상기 힌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된 사이드패널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받아 축회전 하는 구동샤프트,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상 부재로서 상기 구동샤프트를 그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킨 상태로 구동샤프트에 고정되며 구동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채취물을 퍼올리는 다수의 채취날, 상기 채취날의 사이에 개재되어 채취날을 상호 이격시키며 채취날과 면접하는 다수의 간격유지판을 구비한 채취부와,
    상기 채취부에 의해 퍼올려진 채취물을 받아 컨베이어측으로 유도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패류 채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퍼올려진 채취물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갯벌흙을 씻어내는 세척수공급부가 더 구비된 패류 채취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패널의 측부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지지빔이 장착되고,
    상기 깊이유지부는;
    일정폭을 가지며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부재로서, 그 저면이 갯벌면에 접하는 슬라이딩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빔을 상향 통과하는 수나사봉과,
    상기 지지빔의 상하부에서, 수나사봉에 결합하며 갯벌면에 대한 지지빔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너트를 포함하는 패류 채취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드림부는;
    상기 구동샤프트의 단부에 고정되며 구동샤프트와 동시에 회전하는 회동유도캠과,
    상기 사이드패널에 지지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회동유도캠에 눌려 상향 회동하고, 회동유도캠으로부터 이격될 때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향 회동하는 회동로드와,
    상기 회동로드의 단부에 설치되며 지면을 타격하는 타격부재를 갖는 패류 채취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로드는;
    상기 회동유도캠에 의해 하향 가압되는 캠가압부와,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캠가압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그 단부에 상기 타격부재를 가지고, 캠가압부가 회동유도캠에 의해 하부로 눌리 때 상향 회동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타격부재는, 갯벌면상에서 구름운동 가능한 롤의 형태를 취하는 패류 채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채취기와 연결되며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채취기를 들어 올리는 인양수단이 구비된 패류 채취장치.
KR1020180068145A 2018-06-14 2018-06-14 패류 채취장치 KR10210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145A KR102109703B1 (ko) 2018-06-14 2018-06-14 패류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145A KR102109703B1 (ko) 2018-06-14 2018-06-14 패류 채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416A true KR20190141416A (ko) 2019-12-24
KR102109703B1 KR102109703B1 (ko) 2020-05-12

Family

ID=6902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145A KR102109703B1 (ko) 2018-06-14 2018-06-14 패류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7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8682A (zh) * 2020-08-11 2020-10-13 浙江海洋大学 一种贝类采集装置
CN112956458A (zh) * 2021-02-02 2021-06-15 山东省海洋生物研究院 一种提高滩涂贝类产品采捕质量的装置及方法
US11266133B2 (en) * 2018-06-28 2022-03-08 Rodarte Enterprises Mollusc farming machine
CN115413632A (zh) * 2022-09-21 2022-12-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链式海底埋栖型贝类采收船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193A (ja) * 1996-01-11 1997-07-22 Masaru Tsunoguchi 貝類採取機
JPH09233972A (ja) * 1995-12-29 1997-09-09 Shigenori Hamamura 貝類の採集機
KR100764893B1 (ko) 2005-04-26 2007-10-09 김재호 패류채취기
KR100932044B1 (ko) 2008-03-28 2009-12-15 김동헌 갯벌 썰매에 의한 패류 채취장치
KR101258674B1 (ko) 2013-02-13 2013-04-29 대한민국 썰매판형 패류채취기
KR101359876B1 (ko) 2013-06-26 2014-02-13 황원하 조개류 채취장비
KR101761875B1 (ko) * 2017-01-13 2017-07-26 주식회사 죽암기계 패류 채취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972A (ja) * 1995-12-29 1997-09-09 Shigenori Hamamura 貝類の採集機
JPH09187193A (ja) * 1996-01-11 1997-07-22 Masaru Tsunoguchi 貝類採取機
KR100764893B1 (ko) 2005-04-26 2007-10-09 김재호 패류채취기
KR100932044B1 (ko) 2008-03-28 2009-12-15 김동헌 갯벌 썰매에 의한 패류 채취장치
KR101258674B1 (ko) 2013-02-13 2013-04-29 대한민국 썰매판형 패류채취기
KR101359876B1 (ko) 2013-06-26 2014-02-13 황원하 조개류 채취장비
KR101761875B1 (ko) * 2017-01-13 2017-07-26 주식회사 죽암기계 패류 채취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6133B2 (en) * 2018-06-28 2022-03-08 Rodarte Enterprises Mollusc farming machine
CN111758682A (zh) * 2020-08-11 2020-10-13 浙江海洋大学 一种贝类采集装置
CN111758682B (zh) * 2020-08-11 2022-02-08 浙江海洋大学 一种贝类采集装置
CN112956458A (zh) * 2021-02-02 2021-06-15 山东省海洋生物研究院 一种提高滩涂贝类产品采捕质量的装置及方法
CN112956458B (zh) * 2021-02-02 2022-06-03 山东省海洋生物研究院 一种提高滩涂贝类产品采捕质量的装置及方法
CN115413632A (zh) * 2022-09-21 2022-12-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链式海底埋栖型贝类采收船
CN115413632B (zh) * 2022-09-21 2023-10-20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链式海底埋栖型贝类采收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703B1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1416A (ko) 패류 채취장치
US3429378A (en) Turf-aerating apparatus
CN203353056U (zh) 一种梳齿式废膜捡拾机
CN103283327B (zh) 梳齿式废膜捡拾机
KR102268314B1 (ko) 패류 채취장치
CN108834771A (zh) 一种园林绿化用草皮铺设机
CN203872579U (zh) 马铃薯捡拾分选联合收获机
CN110250070A (zh) 一种水产养殖用饲料抛洒机
CN109024395A (zh) 一种园林落叶刺针回收装置及使用方法
KR101195232B1 (ko) 땅속작물 수확을 위한 진동장치를 설치한 농작물 수확기
KR19990085491A (ko) 정선시스템을구비한땅콩수확기
FR2437769A1 (fr) Procede et machine pour recolter les fruits et notamment vendanger
CN203301957U (zh) 梳齿式废膜捡拾机
US2777267A (en) Stalk and root puller and shredder
CN2779825Y (zh) 一种自动培土机
CN203492393U (zh) 自走式大豆脱荚机
JP4939328B2 (ja) 作物収穫機
CN103329766A (zh) 一种梳齿式废膜捡拾机
CN112586164A (zh) 一种单行手扶式大蒜联合收获机
CN109105344B (zh) 一种海瓜子收获机
CN201131155Y (zh) 多功能花生联合收获机
CN109392319B (zh) 一种用于农业的便于调整型松土装置
JP2007330225A (ja) 作物引抜収穫機
CN113243150B (zh) 一种移动式连根除草机器人
CN212534273U (zh) 一种可移动水渠边坡着生藻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