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822A - 천장 팬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천장 팬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822A
KR20190140822A KR1020190030051A KR20190030051A KR20190140822A KR 20190140822 A KR20190140822 A KR 20190140822A KR 1020190030051 A KR1020190030051 A KR 1020190030051A KR 20190030051 A KR20190030051 A KR 20190030051A KR 20190140822 A KR20190140822 A KR 20190140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ain
connector
ceiling fan
main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435B1 (ko
Inventor
김태준
디만 압둘
싱 쉬벤드라
박지만
문영철
박원석
오시영
최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9820543.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79204B1/en
Priority to US16/981,928 priority patent/US11506213B2/en
Priority to PCT/KR2019/003882 priority patent/WO2019240360A1/ko
Publication of KR20190140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4Blad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4Blades characterised by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46Mounting or removal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 F04D29/68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 F04D29/68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82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fluid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 F04D29/68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84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fluid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천장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커버; 상기 커버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개방 공간인 블레이드홀이 형성되는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홀에 위치하는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이중(dual)의 블레이드에 의해 기류 정체 지역을 해소하고 풍량 및 유속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천장 팬 및 그 조립방법 {Ceiling fan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장 팬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동 발생장치는 팬을 구동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공기 유동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동 발생장치는 보통 선풍기라 이름한다.
상기 유동 발생장치는 유동 발생 방식, 기능, 설치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유동 발생장치 중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천장 팬(Ceiling fan)이라 한다.
상기 천장 팬은 에어컨이나 일반적인 선풍기 보다 전력소모가 적어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가정, 상점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천장 팬은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천장 팬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천장 팬은 실내 온도를 하강 또는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천장 팬은 지면에 기립 배치되어 국부적인 공간으로 공기 유동을 집중시키는 일반적인 유동 발생장치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장 팬은 사용자보다 높은 위치인 천장에서 상대적으로 큰 용적으로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팬은 실내 전체의 공기를 순환시켜 실내의 온도 분포를 고르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쾌적감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 천장 팬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천장 팬의 연직 하방 지역, 즉,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이 위치하는 지역은 기류가 정체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상대적으로 작은 풍량 및 유속이 제공됨에 따라, 기류의 도달 범위가 작고, 사용자의 실내 위치에 따라 체감하는 온도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의하면, 기류가 도달하지 못하는 국부적인 공간에는 기류가 정체되므로 사용자에게 쾌적감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셋째, 상대적으로 큰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기 때문에 수면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넷째, 다수의 블레이드의 내측 중심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 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 지점(point)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한 진동, 소음, 체결 풀림 현상 등이 발생될 수 있다. 결국, 천장 팬의 회전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섯째, 각각의 구성 간에 결합이 복잡하고, 분리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의하면, 천장 팬의 설치 편의성과 관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여섯째, 공기 유동 관점에서 풍속, 풍량 및 소비전력에 대한 효율적인 블레이드의 형상을 제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일곱째, 블레이드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 박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적 해결 수단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 정보는 아래와 같다.
공개번호 (공개일자):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 2017/0218962 A1 (2017년 08월 03일)
본 발명은 공기 순환 능력을 향상시키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장 팬의 연직 하방에 형성되는 기류 정체지역(red zone)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의 국부적인 공간에서 발생되는 기류의 정체를 해소할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류 도달 범위가 향상된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 공간에 상대적으로 균일한 온도 분포를 형성함으로써 실내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체감하는 온도를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만들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블레이드가 중심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며, 블레이드 서로 결합되는 체결 지점(Point)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천장 팬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회전을 수행할 수 있는 천장 팬 및 그 조립장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는 천장 팬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부압면(negative pressure surface)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 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풍속, 풍량 및 소비전력이 종래 보다 향상된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천장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커버, 상기 커버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개방 공간인 블레이드홀이 형성되는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홀에 위치하는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천장 팬은 이중(dual)의 블레이드에 의해 기류 정체 지역을 해소하고, 풍량 및 유속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내측면으로부터 인입된 형상의 블레이드홀을 형성하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측 절개부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측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 절개부에는, 상기 서브블레이드와 결합하기 위한 메인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상기 메인결합홀에 대응되는 서브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외측을 향하여 시위길이가 작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후단부 길이가 전단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외측 끝 단부가 후방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끝 단부는, 사선 형상(또는 대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외측 끝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윙렛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은 천장 팬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외측(또는 천장 팬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을 향할수록 높아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뿌리 부분(또는 연장 시작 지점)으로부터 선단(또는 외측 끝 단부)을 향해서 올라간 각도인 상반각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곡면이 형성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천장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어퍼커버, 상기 어퍼커버의 하측에 결합되는 로우커버 및 상기 로우커버의 하측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위치하는 하우징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로우커버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커버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삽입부는, 상기 로우커버에 삽입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단부의 직경이 상기 로우커버의 하단부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천장 팬은 듀얼(Dual) 블레이드를 구비함으로써 공기 순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및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도록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일체로 연결되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중심부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수에 대응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데코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코커버는, 상기 내측 공간을 상기 서브블레이드가 위치하는 블레이드홀과 상기 커버가 위치되는 센터홀로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구성 간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한 구조를 제안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실내 천장과 연결되는 모터샤프트,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하우징커버, 내측면으로부터 인입되는 형상의 홀을 형성하기 위한 절개부가 구비되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홀에 위치하는 다수의 서브블레이드가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상호 간에 결합되는 이음부는, 상기 하우징커버와 상기 서브블레이드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부는, 하측에서 삽입되는 상기 하우징커버 및 상측으로 안착되는 상기 서브블레이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 및 상기 서브블레이드의 중심부는, 상기 이음부와 상하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 메인블레이드 및 서브블레이드는, 단일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환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 메인블레이드 및 하우징커버는, 단일 체결 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블레이드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는, 상기 이음부의 하측으로 중심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수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커넥터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내측 전단부로 다수의 블레이드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커넥터가 삽입되며, 내측 후단부로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내측 전단부에 위치하며,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방결합부 및 후측 전단부에 위치하며,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방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결합부 및 상기 후방결합부는, 각각, 상기 하우징커버가 삽입되는 커넥터삽입부 및 상기 커넥터삽입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커넥터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일측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서브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은, 절개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형성된 데코홈으로 삽입되는 데코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코커버는, 상기 절개부가 형성하는 홀을 규정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보다 쉽고 편리한 분해 또는 조립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조립방법은, 실내 천장에 연결되는 하우징커버, 상기 하우징커버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홀에 위치하는 다수의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천장 팬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측면에 형성된 절개부를 따라 함몰되는 데코홈으로 상기 홀을 규정하는 데코커버가 삽입되는 단계, 상기 하우징커버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블레이드커넥터에 상기 메인블레이드를 삽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상면에 상기 서브블레이드가 안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는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에 상기 메인블레이드를 삽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측 전단부에 형성된 전방 커넥터삽입부로 다수의 블레이드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커넥터가 삽입되며,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측 후단부에 형성된 후방 커넥터삽입부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커넥터 중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커넥터와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서브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커넥터는, 중심 부분이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간의 결합 부분으로 정의되는 이음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커넥터 및 상기 블레이드커넥터는, 다수의 불레이드 간의 결합 지점을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커넥터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전방 대응홀 및 후방 대응홀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대응홀은 상기 블레이드커넥터의 전방홀과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후방 대응홀은 상기 블레이드커넥터의 후방홀과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서브결합홀 하방으로 상기 절개부에 형성되는 메인결합홀 및 상기 데코커버에 형성되는 데코체결홀이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의 조립방법은, 상기 메인결합홀 및 상기 데코체결홀은, 단일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공기의 유동 박리 현상을 방지하고,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블레이드 형상을 제안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실내 벽면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커버, 상기 커버에 연결되며,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메인블레이드,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에 위치하여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서브블레이드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부압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이 리딩엣지와 인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기는 반경 방향을 향하여 크기가 상이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기는 반경 방향을 향하여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내측면으로부터 인입되는 형상의 개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절개부의 최외각 위치에서부터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개구가 형성되는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절개부의 최외각 위치에서 그어지는 가상의 접선까지 연장되는 날개고정부, 상기 날개고정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날개조립부 및 상기 날개조립부로부터 끝 단부까지 연장되는 날개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날개조립부 및 상기 날개연장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조립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는, 리딩엣지와 간격이 연장 방향을 향하여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연장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는, 리딩엣지와 간격이 연장 방향을 향하여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반경 방향을 향하여 코드길이(또는 시위길이)가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기의 상단부를 따라 그어지는 가상의 곡선은,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연장 방향을 따라 그어지는 곡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리딩엣지가 형성되는 전단부가 트레일링엣지가 형성되는 후단부보다 짧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풍속과 풍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듀얼(Dual)로 구비되는 두 블레이드의 최적화 구조를 제안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해 회전하는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개구인 블레이드홀에 위치하는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받음각(angle of attack)이 상기 메인블레이드와 상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블레이드홀을 규정하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전단부가 상기 절개부 보다 높게 위치하며, 후단부가 상기 절개부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전단부가 상기 절개부 보다 제 1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 1 거리는, 0mm 이상 26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후단부가 상기 절개부 보다 제 2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 2 거리는, -10 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음의 부호(-)는 상기 절개부의 하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 1 거리는, 상기 서브블레이드와 상기 절개부가 전방에서 이루는 상하 방향으로의 수직 거리로 규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거리는 상기 서브블레이드와 상기 절개부가 후방에서 이루는 상하 방향으로의 수직거리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리딩엣지(leading edge)를 향하는 전방 절개단부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트레일링엣지(trailing edge)를 향하는 후방 절개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전단부가 상기 전방 절개단부 보다 상방으로 위치하며, 후단부가 상기 후방 절개단부 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블레이드 플레이트,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일 측에 위치하는 서브안착부 및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타 측에 위치하는 서브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안착부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안착부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와 결합하기 위한 서브결합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상측 단부로부부터 곡선으로 연장되는 서브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커넥터는 상기 서브연장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커넥터는, 다수의 상기 메인블레이드 간에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커넥터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캠버(camber) 보다 긴 캠버(camber)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이중(dual)으로 구비되는 블레이드에 의하여 종래의 천장 팬 보다 향상된 풍량 및 유속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쾌적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향상된 풍량 및 유속을 제공함으로써, 더운 날씨에는 실내 온도를 보다 빠르게 하강시킬 수 있으며, 추운 날씨에는 실내 온도를 보다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불쾌감을 빠르게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 공기의 순환 효과를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류의 도달 범위가 증대되므로 실내의 국부적인 공간에 기류가 정체되는 현상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천장 팬의 중심축 선을 따라 하방으로 형성되는 기류 정체지역(red zone)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 공간에 균등하고 균일한 쾌적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체적인 실내 공간에 균일한 공기 유속 및 온도 분포를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차이 없이 동등한 쾌적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내 공기의 순환 능력이 향상됨으로써, 천장 팬의 작동과 사용자 체감온도 사이의 괴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품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장 팬의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정숙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천장 팬의 조립 또는 분해가 용이하기 때문에, 제품의 설치 편의성, 관리성 및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메인블레이드가 결합되는 지점(또는 접촉 지점)은, 상하 방향에서 서브블레이드 및 하우징커버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메인블레이드에 작용하는 벤딩 모멘트(bending moment)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국, 메인블레이드의 반복적인 회전 및 중력에 의한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어느 두 메인블레이드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은, 서브커넥터 및 블레이드커넥터의 중심부가 상하로 교차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큰 장점이 있다. 결국, 천장 팬의 반복적인 회전 운동에 따른 체결 또는 결합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커버, 메인블레이드 및 서브블레이드는, 서로 연환(chain)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회전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국, 천장 팬의 회전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부압면에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 박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의 유동 박리 현상을 방지하여 소음을 천장 팬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품의 정숙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류가 정체되는 중앙부로 유동을 강제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홀 및 서브블레이드가 구비되기 때문에 제품이 제공하는 최대 풍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블레이드를 기준으로 흡입 유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받음각(angle of attack)을 달리하는 서브블레이드의 최적의 높이, 크기, 형상, 각도 등이 제안됨에 따라, 천장 팬의 풍속 및 풍량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향상된 풍량을 제공하는 동시에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국, 제품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코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를 내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 및 데코커버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 및 하우징커버가 결합된 모습을 상방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 및 서브블레이드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커버에 일부 메인블레이드와 일부 서브블레이드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를 상방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를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를 외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4는, 도 11의 B-B’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과 종래 천장팬의 실내 수직 단면(2D)에 대한 유속 분포를 비교해주는 실험 그래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과 종래 천장 팬의 유속분포를 입체적(3D)으로 비교해주는 실험 그래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블레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블레이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9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블레이드의 높이 변화에 따른 풍량 값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블레이드의 높이 변화에 따른 소비전력 값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를 상방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를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돌기의 유무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비교해주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돌기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은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13,15,30,90) 및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는 다수의 블레이드(100,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00,200)는, 메인블레이드(100)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는 서브블레이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중심축은 상기 커버(13,15,30,90)의 중심축과 동일하다. 또한, 후술할 샤프트(10,20)는 상기 커버(13,15,30,90)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중심축은 천장 팬(1)의 중심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회전 중심축은 “중심축”이라 이름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은 상기 중심축을 향하는 측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외측면은 상기 내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으로서, 반경 방향을 향하는 측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장 팬(1)의 블레이드(100,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회전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하는 전면에 리딩엣지(127)가 형성되며, 후방을 향하는 후면에 트레일링엣지(128)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중심축으로부터 수직한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메인블레이드(100)가 구비된 천장 팬(1)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메인블레이드(100)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는 각각의 내측 단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의 중심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상기 커버(13,15,30,90) 및 서브블레이드(2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상기 서브블레이드(200)가 위치하는 블레이드홀(103)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블레이드홀(103)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을 반경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내측 및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반원 형상의 블레이드홀(103)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홀(103)에는 서브블레이드(2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수에 대응되어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서브블레이드(200)가 구비된 천장 팬(1)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회전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도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회전에 의하면, 상기 천장 팬(1)의 중심 영역에 분포된 공기는, 상기 블레이드홀(103)을 통과하는 유동이 강제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이중(dual)의 블레이드(100,200)가 회전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천장 팬(1)으로부터 제공되는 풍량과 유속이 상대적으로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내의 공기 유속이 매우 느려지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기 순환을 향상시키고, 실내의 공기조화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은,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하는 샤프트(10), 상기 샤프트(10)를 외측에서 커버하는 어퍼커버(13) 및 로우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13) 및 로우커버(15)는 상기 샤프트(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13)는 상단부가 천장 또는 벽면에 접촉되며, 하단부는 상기 로우커버(15)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일례로, 상기 어퍼커버(13)는 깔때기(funne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우커버(15)는 상기 어퍼커버(13)의 하측에 결합된다. 물론 상기 로우커버(15)는 상기 어퍼커버(1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로우커버(15)는 상단부에서 상기 샤프트(1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우커버(15)는 하방을 향할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로우커버(15)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우커버(15)는 후술할 하우징커버(3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우커버(15)는 상기 하우징커버(30)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0)는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샤프트(10)는 실내 천장의 콘크리트 벽면에 구비된 소정의 결합장치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10)의 하방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구성은 단단히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샤프트(10)의 하단에 결합되는 모터샤프트(20) 및 상기 모터샤프트(20)를 외측에서 커버하는 하우징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샤프트(20) 및 상기 샤프트(10)는 일체로 결합되어 천장 팬(1)의 중심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실내 천장에 결합된 상기 샤프트(10)와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모터샤프트(20)에 결합되는 다수의 구성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중심 축선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다수의 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모터어셈블리, 브릿지서포터, 컨트롤어셈블리(60), 브릿지케이스(80) 및 디스플레이커버(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상측에서 중심 축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커버(9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 하면이 개방되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30)는 하방으로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외주면은 하단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메인블레이드(100)에 삽입되는 블레이드커넥터(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하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연결 또는 결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에는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메인블레이드(100)의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3개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상호 결합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블레이드커넥터(35)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3개의 메인블레이드(100)가 형성하는 사이 각도와 동일한 사이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호 연결되는 두 메인블레이드(100)의 결합 지점에 위치되며, 각각의 메인블레이드(1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기 로우커버(15)의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상단부는, 상기 로우커버(15)의 하단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로우커버(15)와 하우징커버(30)는, 외관의 일체감 및 통일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기 로우커버(15)의 하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커버삽입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삽입부(31)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상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삽입부(31)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상단부로부터 위를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삽입부(31)는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삽입부(31)는 보울(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삽입부(31)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상단부가 형성하는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로우커버(15)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블레이드(100,200)와 결합되는 하우징커버(30)는, 실내 천장과 고정된 로우커버(15)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회전에 의한 상호 간의 진동, 간섭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샤프트(20)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깔끔하고 심플(simple)한 천장 팬(1)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삽입부(31)는 상기 모터샤프트(20)가 관통하여 위치하는 샤프트연결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연결부(33)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홀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삽입부(31)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샤프트연결부(313)는 상기 커버삽입부(31)의 일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삽입부(31)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커버삽입부(31)의 중심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중심 축선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블레이드(100,2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미도시), 상기 모터샤프트(20)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정적(static)인 설치 공간을 확장시키는 브릿지서포터(미도시), 상기 브릿지서포터의 하방에 위치하는 컨트롤어셈블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어셈블리 및 브릿지서포터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어셈블리 및 상기 브릿지서포터는, 상기 모터샤프트(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어셈블리는, 아우터로터(outer rotor) 타입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stator)는 상기 모터샤프트(20)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모터의 로터(rotor)는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으로 위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기 로터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서포터(미도시)는 상기 모터샤프트(2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는 케이스 및 메인피시비(PC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될 수 있으며, 천장 팬(1)의 제어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의 하방에 위치하는 브릿지케이스(70) 및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하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커버(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상기 브릿지서포터 및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를 하측에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와 상기 브릿지서포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와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내부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장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천장 팬(1)의 최하단 중심부에 위치하며, 외관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지면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블레이드(100,200)의 회전에 함께 회전하는 것이 아닌, 비 회전 위치로 규정되는 정적(static) 위치에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안티버그 모듈(80),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모듈(85),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8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티버그 모듈(80), 디스플레이 모듈(85) 및 통신 모듈(88)은,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와 상기 브릿지케이스(7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은 빛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LED) 및 상기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피시비(PC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88)은 와이파이(WI-F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메인블레이드(100) 및 서브블레이드(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제 1 메인블레이드(100a), 제 2 메인블레이드(100b) 및 제 3 메인블레이드(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는, 각각의 양측 단부에서 상호 결합 또는 조립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는, 상호 결합되어 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체로 결합된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의 중심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홀(103,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홀(103,105)은, 오뚜기(roly-poly) 형상을 가지질 수 있다.
상기 홀(103,105)은, 데코커버(190)에 의해 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홀(103,105)은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가 위치되는 센터홀(105)과, 서브블레이드(200)가 위치되는 블레이드홀(1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는, 각각 인접한 메인블레이드와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의 각도는 120°일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서브블레이드(200)와 결합하기 위한 메인결합홀(1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결합홀(115)에는 체결 부재가 결합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결합홀(115)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상면(부압면, negative pressure surface)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결합홀(115)은 상기 블레이드홀(103)을 규정하는 절개부(110)의 일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이 반경 방향으로 인입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개부(11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데코커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코커버(19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커버(19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데코커버(190)는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에 삽입되는 제 1 데코커버(190a), 제 2 메인블레이드(100b)에 삽입되는 제 2 데코커버(190b) 및 제 3 메인블레이드(100c)에 삽입되는 제 3 데코커버(19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데코커버(190)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에 종속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각각 분리된 상태인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가 서로 결합하여 일체를 이룰 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에 각각 삽입된 제 1 내지 제 3 데코커버(190a,190b,190c)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의 결합에 종속되어 일체로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일체로 결합된 데코커버(190)의 중심은, 센터홀(105)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홀(105)의 외측에는 다수의 블레이드홀(103)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데코커버(190)는 상기 메인결합홀(115)에 대응되는 데코체결홀(1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코체결홀(193)은, 상기 메인결합홀(115)의 수직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데코체결홀(193) 및 메인결합홀(115)에는 단일의 체결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블레이드홀(103)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다른 경사 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연장 면을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다른 받음각(angle of attack)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수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 및 데코커버(190)를 결합하기 위한 서브결합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서브블레이드(200)가 메인블레이드(1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메인결합홀(115)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결합홀(230)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는, 상기 데코체결홀(193) 및 메인결합홀(115)을 함께 관통함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메인결합홀(115)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결합시 상기 메인결합홀(115) 및 데코체결홀(193)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간의 결합을 지지하는 서브커넥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와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의 결합 지점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타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두 메인블레이드(100)가 서로 결합되는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와 제 2 메인블레이드(100b)가 결합되는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 대응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커버(30), 서브블레이드(200) 및 메인블레이드(100)가 결합할 때, 상기 서브커넥터(250) 및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의 홀이 연결되도록 정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로 결합되는 두 개의 메인블레이드(100)에는, 상기 하우징커버(30), 서브블레이드(200) 및 메인블레이드(100)가 결합할 때, 상기 서브커넥터(250)의 홀에 연결되도록 정렬되는 전방커넥터홀(146) 및 후방커넥터홀(15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커넥터(250)가 상호 결합되는 두 개의 메인블레이드(100)에 안착된 경우, 체결부재는, 상기 서브커넥터(250)의 홀을 관통하여, 전방커넥터홀(146) 또는 후방커넥터홀(156)을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의 체결홀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수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의 내측에 형성되는 블레이드홀(103)에 위치하는 제 1 서브블레이드, 상기 제 2 메인블레이드(100b)의 내측에 형성되는 블레이드홀(103)에 위치하는 제 2 서브블레이드 및 상기 제 3 메인블레이드(100c)의 내측에 형성되는 블레이드홀(103)에 위치하는 제 3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 브릿지케이스(70), 디스플레이커버(90) 및 다수의 모듈(80,82,88)을 전장부라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장부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천장 팬(1)의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전장부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샤프트(20)의 하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장부는 실내 천장으로부터 전달되는 결합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장 팬(1)은 어퍼커버(13), 로우커버(15), 하우징커버(30), 디스플레이커버(90), 메인블레이드(100) 및 서브블레이드(200)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므로 외관이 심플(simple)하고 통일적이므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코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데코커버(19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데코커버(19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가 3개의 메인블레이드(100)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데코커버(190)는,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에 삽입되는 제 1 데코커버(190a), 제 2 메인블레이드(100b)에 삽입되는 제 2 데코커버(190b) 및 제 3 메인블레이드(100c)에 삽입되는 제 3 데코커버(190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데코커버(190a,190b,190c)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코커버(190)는, 센터홀(105)과 블레이드홀(103)을 구획하도록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구획플레이트(191) 및 상기 블레이드홀(103)을 규정하도록 상기 구획플레이트(191)로부터 연장되는 블레이드삽입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플레이트(191)는 소정의 곡률을 따라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플레이트(191)는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를 향하여 볼록하게 연장될 수 있다.
다수의 데코커버(190)가 일체를 이루도록 서로 결합된 때, 각각의 구획플레이트(191)는 링(ring)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결합된 구획플레이트(191)는 중심 공간인 센터홀(105)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는 상기 구획플레이트(19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구획플레이트(191)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하여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는 상기 구획플레이트(191)의 끝 단부를 고리 형상으로 이어주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는 상기 구획플레이트(191)의 외주면과 함께 둘러싸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구획플레이트(191)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와 구획플레이트(191)가 둘러싸는 공간은 블레이드홀(103)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 및 구획플레이트(191)의 안쪽 둘레를 따라 블레이드홀(103)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는 고리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는 다수 회 절곡되도록 연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는 ‘C’ 형상, ‘ㄷ’ 형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는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 전단부에 장착되는 전방접촉부(195) 및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 후단부에 장착되는 후방접촉부(19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접촉부(195)는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의 전방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접촉부(195)는 상기 구획플레이트(191)의 전단부에 결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접촉부(195)는 상기 구획플레이트(191)의 전단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접촉부(195)는 후술할 전방데코홈(135)의 내면에 형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접촉부(195)의 외면은 상기 전방데코홈(135)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방접촉부(195)는 메인블레이드(100)의 전방데코홈(135)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접촉부(195)는 메인블레이드(100)와 결합하기 위한 전방 스냅장치(19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스냅장치(196)는 전방데코홈(135)에 결합되는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스냅장치(196)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스냅장치(196)는 스냅 핏(snap fit)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 스냅장치(196)는 상기 전방데코홈(135)의 내면에 함몰 형성된 홈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접촉부(197)는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의 후방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접촉부(197)는 상기 구획플레이트(191)의 후단부에 결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접촉부(197)는 상기 구획플레이트(191)의 후단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접촉부(197)는 후술할 후방데코홈(133)의 내면에 형합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접촉부(197)의 외면은 상기 후방데코홈(133)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접촉부(197)는 메인블레이드(100)의 후방데코홈(133)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접촉부(197)는 메인블레이드(100)와 결합하기 위한 후방 스냅장치(19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스냅장치(198)는 후방데코홈(133)에 결합되는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스냅장치(198)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스냅장치(198)는 스냅 핏(snap fit)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 스냅장치(198)는 상기 후방데코홈(133)의 내면에 함몰 형성된 홈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조립되는 경우, 즉, 각각의 메인블레이드(100)에 장착된 데코커버(190)가 조립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데코커버(190)에 구비된 전방접촉부(195)는 다른 하나의 데코커버(190)에 구비된 후방접촉부(197)와 맞닿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접촉부(195) 및 후방접촉부(197)는 상호 맞닿는 면에 결합을 가이드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삽입되어 안정적인 고정 및 결합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블레이드결합홈(19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결함홈(194)은 메인블레이드(100)의 데코홈(130)에 형성된 걸림돌기(미도시)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례로, 블레이드결합홈(194)은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결합홈(194)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데코홈(130)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돌기(미도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결합홈(194)은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거나 끼워지면서 상기 데코커버(190)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데코커버(19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삽입되므로 정압면(121, 도4 참고) 및 부압면(122, 도4 참고)을 형성하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경사 각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는 후방을 향할수록 하방으로 기울어 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는 경사가 형성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에 형합되도록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데코커버(190)는 상기 메인결합홀(115)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데코체결홀(1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코체결홀(193)은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데코체결홀(193)은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의 외측 상단면에 상방으로 개방된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상기 데코커버(190)가 삽입된 경우, 상기 데코체결홀(193)은 상기 메인결합홀(115)의 수직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체결홀(193) 및 메인결합홀(115)은 단일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는 상기 구획플레이트(191)의 일 단부와 타 단부로부터 각각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는 두 연장플레이트 및 상기 두 연장플레이트를 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두 연장플레이트를 이어주는 절곡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플레이트는 상기 구획플레이트(191)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구획플레이트(19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를 내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상면은, 부압면(negative pressure surface, 122)으로 정의하며,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하면은 정압면(positive pressure surface, 121)으로 정의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내측면에 개구를 형성하는 절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을 인입된 형상의 블레이드홀(103)이 형성되도록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는(110)는 각기 다른 메인블레이드(100)가 연결되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양 측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인입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절개부(110)는 ‘C’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0)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상기 데코커버(19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홀(103)은 상기 절개부(110)에 의하여도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0)를 수평 평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가상의 수평선은, 절개부(110)의 중점을 지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0)의 중점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외측 끝단에 위치하는 윙렛(winglet, 160)에 가장 근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0)는 부압면(122)에 형성되는 상측절개부(110a) 및 정압면(121)에 형성되는 하측절개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결합홀(115)은 상기 절개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결합홀(115)은 상측절개부(110a)에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결합홀(115)은 상기 절개부(110)의 중점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내측면을 따라 상기 데코커버(190)가 삽입되는 데코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코홈(130)은 상기 상측절개부(110a)와 상기 하측절개부(110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데코홈(130)은 상기 상측절개부(110a)와 상기 하측절개부(110b) 사이에서 상기 내측면을 반경 방향으로 함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코홈(130)은 트레일링엣지(128)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후방데코홈(133), 상기 절개부(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데코삽입홈(131) 및 상기 리딧엣지(127)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방데코홈(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데코홈(133)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데코홈(135)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리딩엣지(127)가 트레일링엣지(128)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커버(190)의 일 측이 장착되는 상기 후방데코홈(133)은, 상기 데코커버(190)의 타 측이 장착되는 전방 데코홈(135)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코커버(19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종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방데코홈(133)에는 상기 데코커버(19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후방접촉부(197)와 형합되는 홈 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데코홈(133)에는 상기 후방 스냅장치(198)와 결합되는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데코홈(135)에는 상기 데코커버(190)의 타 단부에 형성되는 전방접촉부(195)와 형합되도록 홈 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데코홈(135)에는 상기 전방 스냅장치(196)와 결합되는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삽입홈(131)은 상기 상측절개부(110a)와 하측절개부(11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삽입홈(131)은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반경 방향 또는 메인블레이드(100)의 연장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홈 또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코삽입홈(131)에는 상기 블레이드결함홈(194)과 결합 또는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상기 하우징커버(30) 및 보조블레이드(200)가 장착되는 전방결합부(140) 및 후방결합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결합부(140) 및 상기 후방결합부(150)에는, 각각, 상기 하우징커버(30)가 장착되는 커넥터삽입부(141,151) 및 상기 서브블레이드(200)가 장착되는 커넥터안착부(145,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결합부(140)는 상기 후방데코홈(133)이 형성된 내측면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결합부(150)는 상기 전방데코홈(135)이 형성된 내측면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데코홈(133)이 형성된 내측면 상단 및 상기 전방데코홈(135)이 형성된 내측면 상단은, 동일 높이로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데코홈(133)이 형성된 내측면 상단에서부터 상기 전방데코홈(135)이 형성된 내측면 상단으로 그어지는 가상의 수평선(H)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전방결합부(140) 및 상기 후방결합부(15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방결합부(140)는 상기 부압면(122)의 내측 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방결합부(150)는 상기 부압면(122)의 내측 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결합 또는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전방결합부(140)는, 어느 다른 메인블레이드(100)의 후방결합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결합부(140)의 내측면은, 후방결합부(15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결합부(140) 및 상기 후방결합부(150)는, 상기 수평선(H)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커버(30)는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를 설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더하여, 다수의 서브블레이드(200)와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결합되는 경우, 서브블레이드(200 및 메인블레이드(100)가 이루는 각각의 각도는 동일하게 설정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방결합부(14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블레이드커넥터(35)가 삽입되는 전방 커넥터삽입부(141) 및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서브커넥터(250)가 안착되는 전방 커넥터안착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커넥터삽입부(141)는,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 커넥터삽입부(141)는 상술한 천장 팬(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호를 그리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커넥터삽입부(141)는 절개부(110)가 형성되는 내측면으로부터 인입 또는 함몰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 커넥터삽입부(141)의 내주면은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일체로 결합 또는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전방 커넥터삽입부(141)는 다른 메인블레이드(100)의 후방 커넥터삽입부(151)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연결되는 전방 커넥터삽입부(141) 및 후방 커넥터삽입부(151)는,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커넥터(35)가 삽입되는 홈 또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커넥터삽입부(141) 및 후방 커넥터삽입부(151)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커넥터안착부(145)는 상기 전방 커넥터삽입부(141)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커넥터안착부(145)는 상기 전방 커넥터삽입부(141)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 커넥터안착부(145)는 상기 전방 커넥터삽입부(14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커넥터안착부(145)는 상기 전방 커넥터삽입부(141)의 연장 방향에 대응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커넥터안착부(145)에는 하방으로 타공되는 전방 커넥터홀(146)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커버(30), 메인블레이드(100) 및 서브블레이드(20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전방 커넥터홀(146)은,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에 형성된 홀(36,37) 및 상기 서브커넥터(250)에 형성된 홀(255,256))과 중심 축이 일치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 커넥터홀(146)은, 블레이드커넥터(35)와 서브커넥터(250)에 형성된 홀과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일체로 결합 또는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전방 커넥터안착부(145)는 다른 메인블레이드(100)의 후방 커넥터안착부(155)와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서브커넥터(250)가 안착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결합부(15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블레이드커넥터(35)가 삽입되는 후방 커넥터삽입부(151) 및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서브커넥터(250)가 안착되는 후방 커넥터안착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결합부(150)에 삽입되는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기 전방결합부(140)에 삽입되는 블레이드커넥터(35)로부터 이격 형성된 별개의 블레이드커넥터(35)일 수 있다.
상기 후방 커넥터삽입부(151)는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 커넥터삽입부(151)는 상술한 천장 팬(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호를 그리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커넥터삽입부(151)는 상기 전방 커넥터삽입부(141)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커넥터삽입부(14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 커넥터삽입부(151)도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커넥터삽입부(151)는 절개부(110)가 형성되는 내측면으로부터 인입 또는 함몰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 커넥터삽입부(151)의 내주면은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일체로 결합 또는 조립되는 경우, 상기 후방 커넥터삽입부(151)는, 다른 메인블레이드(100)의 전방 커넥터삽입부(141)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연결되는 후방 커넥터삽입부(151) 및 전방 커넥터삽입부(141)는,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커넥터(35)가 삽입되는 홈 또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커넥터삽입부(141) 및 후방 커넥터삽입부(151)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커넥터안착부(155)는 상기 후방 커넥터삽입부(151)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커넥터안착부(155)는 상기 후방 커넥터삽입부(151)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 커넥터안착부(155)는 상기 후방 커넥터삽입부(15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커넥터안착부(155)는 상기 후방 커넥터삽입부(151)의 연장 방향에 대응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커넥터안착부(155)에는 하방으로 타공되는 후방 커넥터홀(156)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커버(30), 메인블레이드(100) 및 서브블레이드(20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후방 커넥터홀(156)은,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에 형성된 홀(36,37) 및 상기 서브커넥터(250)에 형성된 홀(255,256)과 중심 축이 일치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 커넥터홀(156)은, 블레이드커넥터(35)와 서브커넥터(250)에 형성된 홀과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 및 상기 서브커넥터(250)에는, 상기 후방 커넥터홀(156)과 상기 전방 커넥터홀(146)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일체로 결합 또는 조립되는 경우, 상기 후방 커넥터안착부(155)는 다른 메인블레이드(100)의 전방 커넥터안착부(145)와 연결되어 하나의 서브커넥터(250)가 안착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다른 메인블레이드(100)와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결합가이드(134) 및 가이드홈(136,13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가이드(134)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결합가이드(134)는 상기 후방데코홈(133)의 후방에서 위치할 수 있다.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일체로 결합 또는 조립되는 경우, 상기 결합가이드(134)는 다른 메인블레이드(100)의 가이드홈(136,13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36,137)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홈(136,137)은 상기 전방데코홈(135)의 상면과 하면 측단부가 각각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36,137)은 상기 상면 측단부에 함몰 형성되는 상측 가이드홈(136) 및 상기 하면 측단부에 함몰 형성되는 하측 가이드홈(137)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일체로 결합 또는 조립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홈(136)에는 다른 메인블레이드(100)의 결합가이드(134)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136,137)은 돌출 형성되는 결합가이드(13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홈(136,137) 및 결합가이드(134)는 서로 형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 및 데코커버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데코커버(19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데코홈(130)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방데코홈(135)에는 상기 전방접촉부(195)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데코홈(133)에는 상기 후방접촉부(197)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접촉부(195) 및 상기 후방접촉부(197)는, 각각 상기 전방데코홈(135)과 후방데코홈(133)의 개방 공간을 차폐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 스냅장치(196) 및 후방 스냅장치(198)가 상기 전방데코홈(135)과 후방데코홈(133)에 대응 형성된 홈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코커버(190)는 상기 전방결합부(140) 및 후방결합부(150)에 간섭되지 않도록 메인블레이드(1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커버(190)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결합되어도 하우징커버(30) 및 서브블레이드(200)가 결합되는 공간이 유지되며, 상기 공간을 통하여 사용자는 간편하게 하우징커버(30)와 서브블레이드(2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구획플레이트(191)는 상기 전방접촉부(195)로부터 상기 후방접촉부(197)로 오목하게 연장되어 블레이드홀(103)의 일부를 규정하고 센터홀(105)과 공간적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데코삽입홈(131)에는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가 삽입되어 내측으로 개방된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코체결홀(193)은 상기 메인결합홀(115)과 정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으로 상기 데코커버(190)가 삽입됨으로써 시각적으로 유려한 메인블레이드(100)를 구현할 수 있으며,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 및 하우징커버가 결합된 모습을 상방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기 전방 커넥터삽입부(141) 및 후방 커넥터삽입부(151)로 삽입되는 블레이드커넥터(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외주면에 수직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하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호(arc)를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다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메인블레이드(100)의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와 결합되는 제 1 블레이드커넥터(35a), 제 2 메인블레이드(100b)와 결합되는 제 2 블레이트커넥터(35b) 및 제 3 메인블레이드(100c)와 결합되는 제 3 블레이드커넥터(3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블레이드커넥터(35a,35b,35c)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블레이드커넥터(35a,35b,35c)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120°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블레이드커넥터(35a,35b,35c)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연결 또는 결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에는 하방으로 타공되는 홀(36,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36,37)은 상기 전방 커넥터홀(146)과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후방홀(36) 및 상기 후방 커넥터홀(156)과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전방홀(37)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블레이드커넥터(35a)는, 상기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의 후방 커넥터삽입부(151) 및 상기 후방 커넥터삽입부(151)에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 2 메인블레이드(100b) 또는 제 3 메인블레이드(100c)의 전방 커넥터삽입부(141)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블레이드커넥터(35a)의 전방홀(37)은, 상기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의 후방 커넥터홀(156)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 2 블레이드커넥터(35b)의 후방홀(36)은 상기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의 전방 커넥터홀(146)과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두 메인블레이드(100)가 서로 결합되는 지점에 중심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 커넥터삽입부(141) 및 상기 후방 커넥터삽입부(15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두 메인블레이드(100)의 결합 지점을 서브커넥터(250)와 함께 상하 방향에서 고정 또는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메인블레이드(100b) 및 제 3 메인블레이드(100c)는 상술한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머지 블레이드커넥터(35)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 및 서브블레이드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일 측에 형성되는 서브결합홀(230) 및 타 측에 형성되는 서브커넥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메인결합홀(115)의 상측에 안착되며, 하방으로 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가 상기 블레이드홀(103)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메인결합홀(115)에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결합홀(230), 데코체결홀(193) 및 메인결합홀(115)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상기 전방 커넥터안착부(145) 및 상기 후방 커넥터안착부(155)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결합된 경우,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중심이 어느 하나의 메인블레이드에 구비된 전방 커넥터안착부(145) 및 연결된 다른 메인블레이드에 구비된 후방 커넥터안착부(155)의 접촉 지점에 위치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두 메인블레이드(100)가 서로 결합되는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상기 전방 커넥터안착부(145) 및 후방 커넥터안착부(155)가 연결되는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터안착부(145,155)와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와 함께 두 메인블레이드(100)의 결합 부분을 상하로 가압 및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와 동일한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서브연장부(24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하방으로 타공되는 후방 대응홀(255) 및 전방 대응홀(2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대응홀(255) 및 전방 대응홀(256)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대응홀(255)은 상기 전방커넥터홀(146) 및 상기 후방홀(36)과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대응홀(256)은, 상기 후방커넥터홀(156) 및 상기 전방홀(37)과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하우징커버(30), 서브블레이드(200) 및 메인블레이드(100)와 결합 또는 조립된 경우, 상기 후방 대응홀(255), 상기 전방커넥터홀(146) 및 상기 후방홀(36)은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단일의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방 대응홀(256), 상기 후방커넥터홀(156) 및 상기 전방홀(34)은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단일의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커버에 일부 메인블레이드와 일부 서브블레이드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의 조립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내부 공간에는, 모터샤프트(20), 모터어셈블리 전장부가 미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는 샤프트(10)가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10)의 외측으로 어퍼커버(13) 및 로우커버(15)가 미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상기 데코커버(190)를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데코홈(130)에는 상기 데코커버(19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데코홈(135)과 상기 전방접촉부(195)는 형합되며, 상기 전방 스냅장치(196)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데코홈(133)과 상기 후방접촉부(197)는 형합되며, 상기 후방 스냅장치(19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삽입부(192)가 상기 데코삽입홈(131)으로 삽입되어 상기 데코체결홀(193)이 상기 메인결합홀(115)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결합홈(194)에는 상기 데코삽입홈(131)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데코커버(190a)를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와 상기 제 1 데코커버(190a)를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메인블레이드(100b)와 상기 제 2 데코커버(190b)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 3 메인블레이드(100b)와 상기 제 3 데코커버(190c)를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메인블레이드(100b)와 상기 제 3 메인블레이드(100c)는, 상기 제 1 메인블레이드(100a)를 상기 하우징커버(30)에 장착된 후에 상기 데코커버(190)와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상기 하우징커버(30)를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블레이드커넥터(35)에 상기 메인블레이드(1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전방 커넥터삽입부(141)에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커넥터(35)가 삽입되고, 후방 커넥터삽입부(151)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커넥터(35)가 삽입되도록 하우징커버(30)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전방커넥트홀(146)은 상기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커넥터(35)의 후방홀(36)과 정렬되며,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후방커넥트홀(156)은 상기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커넥터(35)의 전방홀(37)에 정렬된다.
일례로, 사용자는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의 전방 커넥터삽입부(141)에 제 2 블레이드커넥터(35b)의 뒷부분을 삽입시키고,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의 후방 커넥터삽입부(161)에 제 1 블레이드커넥터(35a)의 앞부분을 삽입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2 메인블레이드(100b)의 후방 커넥터삽입부(161)에 상기 제 2 블레이드커넥터(35b)의 앞부분을 삽입시키고, 제 2 메인블레이드(100b)의 전방 커넥터삽입부(141)에 제 3 블레이드커넥터(35c)의 뒷부분을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3 메인블레이드(100c)의 후방 커넥터삽입부(161)에 상기 제 3 블레이드커넥터(35c)의 앞부분을 삽입시키고, 제 3 메인블레이드(100c)의 전방 커넥터삽입부(141)에 상기 제 1 블레이드커넥터(35a)의 뒷부분을 삽입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 1 메인블레이드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는, 상호 원주 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를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체로 조립된 메인블레이드(10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블레이드홀(103)에는, 상기 서브블레이드(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메인결합홀(115)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서브커넥터(350)는 상기 전방 커넥터안착부(145) 및 상기 후방 커넥터안착부(155)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서브결합홀(230), 상기 메인결합홀(115) 및 상기 데코체결홀(193)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정렬된다.
또한, 상기 서브커넥터(350)는 상기 전방 커넥터안착부(145)와 후방 커넥터안착부(155)의 연결 지점에 중심부가 위치하도록 안착된다.
이때, 상기 전방커넥터홀(146), 상기 후방홀(36) 및 상기 후방 대응홀(255)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커넥터홀(156), 상기 전방홀(37) 및 상기 전방 대응홀(256)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정렬된다.
이후, 사용자는 정렬된 다수의 홀에 체결 부재를 삽입하여 단단히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전방커넥터홀(146), 상기 후방홀(36) 및 상기 후방 대응홀(255)에 단일의 체결 부재가 체결되고, 상기 후방커넥터홀(156), 상기 전방홀(37) 및 상기 전방 대응홀(256)에 단일의 체결 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두 불레이드의 연결지점을 상측과 하측에서 압박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결합홀(230), 상기 메인결합홀(115) 및 상기 데코체결홀(193)에 단일의 체결 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를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에 형성된 블레이드홀(103)에는 상기 제 1 서브블레이드(200a)가 위치되며, 상기 제 2 메인블레이드(100b)에 형성된 블레이드홀(103)에는 제 2 서브블레이드(200b)가 위치되며, 상기 제 3 메인블레이드(100c)에 형성된 블레이드홀(103)에는 제 3 서브블레이드(200c)가 위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서브블레이드(200)의 서브커넥터(250)는 상술한 연결된 커넥터안착부(145,155)와 메인결합홀(155)에 안착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후, 최종적으로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된 샤프트(10)와 상기 모터샤프트(20)를 결합하여 천장 팬(1)의 조립 및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의 메인블레이드(100)에는, 내측 중심부에 블레이드홀(10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팬(1)은, 블레이드홀(103)이 형성되지 않는 종래 블레이드처럼, 내측 중심부에서 커버와 결합되어 하나의 체결 지점(Point)을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은 블레이드홀(103)에 의해 이격된 양 단부에 각각의 체결 지점(Point)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 양 단부에 체결 지점이 각각 형성되는 경우, 즉, 두 체결 지점(Point)으로 종래 보다 체결 지점이 늘어나게 되면, 회전에 기인한 체결 지점에서의 진동, 결합 풀림 현상, 소음이 증가하고 결합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은, 어느 하나의 메인블레이드(100)와 다른 하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결합되는 부분을 블레이드커넥터(35) 및 서브커넥터(250)가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가압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상호 간에 결합되는 부분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커버(30)와 상기 서브블레이드(200)가 고정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는, 서브커넥터(250), 메인블레이드(100) 및 블레이드커넥터(35)를 한번에 관통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결합 부분에 위치하는 각각의 체결 지점은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 및 서브커넥터(250)에 의해 하나의 체결 지점으로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팬(1)은 실질적으로 종래 블레이드의 체결 지점 수와 동등하게 구비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천장 팬(1)은 내측 중앙부에 블레이드홀(103)이 형성된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를 보다 단단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어느 두 메인블레이드(100)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이 서브커넥터(250) 및 블레이드커넥터(35)의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서브블레이드(200), 메인블레이드(100) 및 하우징커버(30)는 교차 배치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하우징커버(30), 메인블레이드(100) 및 서브블레이드(200)는, 서로 연환(chain)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 및 서브커넥터(250)는, 메인블레이드(100)의 결합을 상하 방향에서 보강해주므로,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 간에 결합되는 힘(결합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천장 팬(1)의 안정적인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작용하는 벤딩 모멘트(bending moment)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메인블레이드(100)의 반복적인 회전과 중력에 의한 휨 현상이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 상호 간에 원주 방향을 따라 결합 또는 연결되는 지점은, “이음부”라고 이름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음부는, 상기 하우징커버(30) 및 상기 보조블레이드(20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구속된다.
한편, 종래 천장 팬에는, 블레이드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공기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기류 정체지역(red zone)이 천장 팬의 연직 하방에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상세히, 상기 기류 정체지역(red zone)은, 천장 팬의 연직 하방으로 위치하는 국부적인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류 정체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기류가 매우 미약하거나 정체되기 때문에 공기 순환이 더디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실내 공간의 전체적인 온도 분포가 불균일해지므로 실내의 공기 순환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류 정체지역(red zone) 근처는 공기 순환 효과가 떨어지며 온도 변화도 더디게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 기류 정체지역 근처에 위치한 사용자는 불쾌감을 해소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실내 위치가 한정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천장 팬은 풍량 및 유속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기류의 도달 범위가 작은 문제가 있다. 이에 의하면, 종래 천장 팬이 설치된 실내 공간에서는 상술한 기류 정체지역(red zone) 뿐만 아니라 다른 국부적인 공간에서도 기류가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천장 팬은 상대적으로 넓은 실내 공간에서 공기 순환을 발생시키기에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은, 이중(dual)의 블레이드(100,200)가 회전하여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기 때문에 풍량과 유속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류 정체지역(red zone)을 최소화하여 빠른 공기 순환 및 균일한 실내 온도 분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에 구비되는 이중(Dual)의 블레이드(100,200)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를 상방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상기 천장 팬(1)의 블레이드(100,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회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리딩엣지(127)가 향하는 방향을 전방,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트레일링엣지(128)가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전단에는 리딩엣지(127)가 위치하며,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후단에는 트레일링엣지(128)가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외측 단부에는, 전단에 상기 리딩엣지(127)의 단부가 위치하며, 후단에 상기 트레일링엣지(128)의 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딩엣지(127)의 단부는, 상기 트레일링엣지(128)의 단부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상면은, 부압면(negative pressure surface, 122)으로 정의하며,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하면은 정압면(positive pressure surface, 121)으로 정의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절개부(110)는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에 가장 깊게 함몰된 위치로 규정되는 중점으로부터 중심축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결합홀(115)은 상기 절개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결합홀(115)은 상측절개부(110a)에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결합홀(115)은 상기 절개부(110)의 중점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할수록 시위길이(Chord length, CL)가 작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반경 방향을 향할수록 시위길이(CL)가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 시위길이(CL2)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외측면 시위길이(CL1)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위길이(CL)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종단면에서 리딩엣지(127)가 위치하는 전단과 트레일링엣지(128)가 위치하는 후단을 연결하는 직선의 길이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메인블레이드(100)가 연장 방향을 따라 슬림(Slim)하게 형성되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트레일링엣지(128)의 길이가 리딩엣지(127)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후단의 길이가 전단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외측 단부는, 후방을 향할수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부압면(122)의 단부에 위치하는 윙렛(160, wingl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윙렛(160)은 상기 부압면(122)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윙렛(160)은 부압면(122)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윙렛(160)은, 상기 부압면(122)의 외측 단부에서 발생하는 와류의 부작용을 방지하고,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를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를 외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외측을 향하여 높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반경 방향을 향하여 정압면(121) 및 부압면(122)이 점차 높아지도록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상반각(α)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반각(α)은, 메인블레이드(100)가 하우징커버(30)에 연결되는 연장 시작 지점인 내측 단부(또는 “뿌리 부분”이라 이름한다.)로부터 외측 단부(또는 “선단”이라 이름한다.)까지의 경사 각도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2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가로축에 해당하는 제 1 수평선(G)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평선(G)은 후술할 제 2 수평선(H)과 동일 평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한 가상의 직선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그어지는 중심선인 날개연장선(L)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상반각(α)은 상기 제 1 수평선(G)과 날개연장선(L)이 이루는 각도로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반각(α)은 예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천장 팬(1)의 무게 중심은 메인블레이드(100) 및 서브블레이드(200)의 위치보다 높은 곳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의 무게 중심이 블레이드(100,200) 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질수록, 고속 회전에세 진동과 소음은 더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상반각(α)이 형성된 메인블레이드(100)에 의하면, 상기 천장 팬(1)의 무게 중심은 상대적으로 블레이드(100,200)의 위치와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고속 회전에서도 진동과 소음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안정적인 회전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도 11의 B-B’ 종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리딩엣지(127)에서 트레일링엣지(128)까지 곡면이 형성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전단부에서부터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곡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정압면(121) 및 부압면(122)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벤딩포인트(BP)에서 연장 방향이 변경되도록 연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 방향은, 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후술할 벤딩각(β)을 이루는 제 2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벤딩포인트(BP)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벤딩포인트(BP)는 리딩엣지(127)에서 부압면(122)과 정압면(121) 사이의 중점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인 제 1 시위선(C1, Chord line)과, 트레일링엣지(128)에서 부압면(122)과 정압면(121)사이의 중점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인 제 2 시위선(C2, Chord line)이 교차하는 지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상기 벤딩포인트(BP)를 기준으로 절곡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포인트(BP)를 기준으로 제 1 시위선(C1)과 제 2 시위선(C2)이 이루는 각도를 벤딩각(β)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벤딩각(β)은 예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벤딩각(β)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캠버선(Mean Camber Line)이 상기 벤딩포인트(BP)에서 이루는 접선(tangent)의 기울기로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상기 벤딩포인트(BP)로부터 벤딩각(β)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정의되는 플랩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랩부(125)가 형성되는 메인블레이드(100)는, 회전하면서 공기를 밀어내기 위한 가이드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풍량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압면(121)과 부압면(122)의 압력 차이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므로 공기 순환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정리하면, 상기 천장 팬(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정회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의해 강제되는 공기의 유동량은 상대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과 종래 천장팬의 실내 수직 단면(2D)에 대한 유속 분포를 비교해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상세히, 도 15(a)는 종래 천장 팬(P)이 실내 공간에 설치된 경우, 회전에 의한 공기의 유동을 속도 분포에 따라 시각화한 도면이며,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이 실내 공간에 설치된 경우, 회전에 의한 공기의 유동을 속도 분포에 따라 시각화한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이중(dual)의 블레이드가 구비되지 않은 종래 천장 팬(P)에서는, 연직 하방으로 공기 유속이 매우 작아 공기 순환이 수행되지 않거나, 공기 순환이 매우 미미해지는 기류 정체 지역(Z1)이 광범위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종래 천장 팬(P)의 직하방 지역은 공기의 유속이 거의 0에 가까운 지역으로 천장 팬(P)의 하단부에 전장 부품이 집중 배치된다면 발열 현상을 해소하기 어려우며, 공기 순환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이 설치된 경우에는, 기류 정체 지역(Z2)이 상기 종래 천장 팬(P)의 기류 정체 지역(Z1)에 비하여 그 지역 범위가 매우 작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이 설치된 경우, 천장 팬(1)의 연직 하방에서 공기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빨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기류가 정체되는 현상이 최소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5(a)의 기류 정체 지역(Z1) 및 도 15(b)의 기류 정체 지역(Z2)은 사용자의 쾌적감을 위해 유의미하지 못한 기류가 형성된 지역으로, 동일 공기 유속을 따라 그어지는 경계선(점선)으로 표시된다. 일례로, 상기 경계선(점선)은 대략 1m/s 이하의 유속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과 종래 천장 팬의 유속분포를 입체적(3D)으로 비교해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보다 상세히, 도 16(a)는 종래 천장 팬(P)이 실내 공간에 작동하는 경우 유속분포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그림이며,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이 동일한 실내 공간에 동일한 회전 속도(RPM)로 작동하는 경우 유속분포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그림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종래 천장 팬(P)은, 본 발명의 천장 팬(1) 보다 풍량 및 유속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종래 천장 팬(P)은 실내 공간에서 기류의 도달 범위가 상대적으로 협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천장 팬(P)의 부족한 풍량 및 유속에 기인하여, 유속이 매우 느리고 기류가 정체되는 부분적 공간이 많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순환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은 상대적으로 유속 및 풍량이 증대되어 기류의 도달범위가 광범위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천장 팬(1)이 설치된 실내 공간은, 유속이 매우 느려 기류가 정체되는 부분적인 공간이 사라지거나 최소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팬(1)은 종래 천장 팬(P) 보다 국부적으로 기류가 정체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풍속 및 유량이 증대되어 공기 순환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팬(1)은 종래 천장 팬(P) 보다 더욱 넓은 실내 공간에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블레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블레이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연장 면인 블레이드 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21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마찬가지로 상면이 부압면(210a)으로 정의되며, 하면이 정압면(210b)으로 정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210)는 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21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210)의 전단면은 리딩엣지(217)로 정의되며,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210)의 후단면은 트레일링엣지(218)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210)의 캠버(camber)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캠버 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캠버(camber)는, 곡면을 형성하는 메인블레이드(100)와 서브블레이드(200)의 종단면(익형, air-foil)에서 블레이드의 상면과 하면의 중점을 연결하는 곡선인 중심선(mean camber line)이 상방으로 휜 정도를 의미한다. 즉, 상기 캠버는 상기 중심선(mean camber line)으로부터 블레이드의 전단과 후단을 이어주는 직선인 시위선(chord line)까지의 거리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과 받음각이 상이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전단(217)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절개부(110)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후단(218)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절개부(110)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전단(217)은 정회전시 공기가 먼저 접촉하는 리딩엣지(leading edge)이므로 서브리딩엣지(217)로 이름한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후단(218)은 서브트레일링엣지(218)로 이름한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메인블레이드(100)에 결합하기 위한 서브안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안착부(220)는,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안착부(220)는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210)의 일 측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안착부(220)는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210)의 상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서브안착부(22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상면(122)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안착부(220)는 상기 메인결합홀(115)이 형성되는 메인블레이드(100)의 절개부(11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서브안착부(220)는 체결 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서브결합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메인결합홀(115)의 상측에 정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서브안착부(220)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메인결합홀(115)에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결합홀(230)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는, 데코커버(190)의 데코체결홀(193) 및 메인결합홀(115)을 함께 관통함으로써 체결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간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서브연장부(240) 및 서브커넥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연장부(240)는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연장부(240)는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210)의 타 측 상단으로부터 곡선을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연장부(240)의 연장 방향은 상기 하우징커버(35)의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이다. 상기 서브연장부(240)는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210)의 상단에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상기 서브연장부(24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 상단, 즉, 커넥터안착부(145,155)에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리딩엣지(127)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트레일링엣지(128) 보다 상하(수직) 방향으로 더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상면은, 부압면(negative pressure surface, 122)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하면은 정압면(positive pressure surface, 12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11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곡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절개부(110)를 기준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0)가 형성하는 공간(103)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210)의 가이드에 의해 하방으로 가이드된다.
상세히,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서브리딩엣지(217)가 상기 절개부(110)보다 높도록, 상기 서브트레일링엣지(218)가 상기 절개부(110) 보다 낮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높이 기준이 되는 전방 절개단부(110a)와 후방 절개단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개단부(110a) 및 상기 후방 절개단부(110b)는 동일한 수직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개단부(110a)는 상기 리딩엣지(127)를 향하는 상단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절개단부(110a)는 상기 서브리딩엣지(217)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상기 후방 절개단부(110b)는 상기 트레일링엣지(128)를 향하는 상단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절개단부(110b)는 상기 서브트레일링엣지(218)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절개단부(110a)를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은 전방 수평기준선(FM)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절개단부(110b)를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은 후방 수평기준선(LM)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전단부, 즉, 상기 서브리딩엣지(217)의 하측 모서리의 일 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은 전방 서브연장선(FS)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후단부, 즉, 상기 서브트레일링엣지(218)의 상측 모서리의 일 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은 후방 서브연장선(LS)으로 정의한다.
상기 전방 수평기준선(FM), 상기 전방 서브연장선(FS), 상기 후방 수평기준선(LM) 및 상기 후방 서브연장선(LS)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한 수직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리딩엣지(217)는 상기 절개부(110)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트레일링엣지(218)는 상기 절개부(110)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리딩엣지(217)는 상기 절개부(110)보다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홀(103)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블레이드(200)가 구비되지 않은 종래 블레이드 보다 상대적으로 흡입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트레일링엣지(218)는 상기 절개부(110)보다 낮게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홀(103)로 유입된 공기는 블레이드 플레이트(210b)의 가이드에 의하여 보다 많이 하방으로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블레이드홀(103) 및 서브블레이드(200)에 의하여 중심부의 공기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커버(35)의 주변 유속은 종래 천장 팬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향상된 풍량을 제공할 수 있고, 동시에 팬 효율은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블레이드의 높이 변화에 따른 풍량 값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상세히, 도 20(a)는 상기 전방 수평기준선(FM)과 상기 전방 서브연장선(FS)의 거리(HL)에 대한 풍량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며. 도 20(b)는 상기 후방 수평기준선(LM)과 상기 후방 서브연장선(LS)의 거리(HT)에 대한 풍량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상기 전방 수평기준선(FM)과 상기 전방 서브연장선(FS)의 거리(HL)는, 서브리딩엣지(217)와 절개부(110)의 높이 차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전방 수평기준선(FM)과 상기 전방 서브연장선(FS)의 거리는 제 1 거리(HL)라고 이름한다.
상기 후방 수평기준선(LM)과 상기 후방 서브연장선(LS)의 거리(HT)는, 서브트레일링엣지(218)와 절개부(110)의 높이 차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후방 수평기준선(LM)과 상기 후방 서브연장선(LS)의 거리는 제 2 거리(HT)라고 이름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절개단부(110a,110b)를 기준으로, 절개단부(110a,110b) 보다 높은 위치는 (+)부호를 사용하며, 절개단부(110a,110b) 보다 낮은 위치는 (-)부호를 사용한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거리(HL)가 +5mm이고, 상기 제 2 거리(HT)가 -7mm일 때, 상기 천장 팬(1)의 풍량(CMM)을 기준(0%)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거리(HL)가 +8mm이고, 상기 제 2 거리(HT)가 -5mm일 때, 풍량은 기준대비 0.7% 증가한다.
또한, 상기 제 1 거리(HL)가 +15mm이고, 상기 제 2 거리(HT)가 -3mm일 때, 풍량은 기준대비 2% 증가한다.
또한, 상기 제 1 거리(HL)가 +20mm이고, 상기 제 2 거리(HT)가 0mm일 때, 풍량은 기준대비 1.5% 증가한다.
또한, 상기 제 1 거리(HL)가 +25mm이고, 상기 재 2 거리(HT)가 +6mm일 ?, 풍량은 기준대비 1.2% 증가한다.
즉,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제 1 거리(HL)가 15mm이고, 상기 제 2 거리(HT)가 -3mm일 때, 최대의 풍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블레이드의 높이 변화에 따른 소비전력 값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상세히, 도 21(a)는 상기 전방 수평기준선(FM)과 상기 전방 서브연장선(FS)의 거리(HL)에 대한 소비전력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며. 도 21(b)는 상기 후방 수평기준선(LM)과 상기 후방 서브연장선(LS)의 거리(HT)에 대한 소비전력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거리(HL)가 +5mm이고, 상기 제 2 거리(HT)가 -7mm일 때, 상기 천장 팬(1)의 소비전력(W)을 기준(0%)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거리(HL)가 +8mm이고, 상기 제 2 거리(HT)가 -5mm일 때, 소비전력은 기준대비 1.7% 감소한다.
또한, 상기 제 1 거리(HL)가 +15mm이고, 상기 제 2 거리(HT)가 -3mm일 때, 소비전력은 기준대비 4.5% 감소한다.
또한, 상기 제 1 거리(HL)가 +20mm이고, 상기 제 2 거리(HT)가 0mm일 때, 소비전력은 기준대비 3.8% 감소한다.
또한, 상기 제 1 거리(HL)가 +25mm이고, 상기 재 2 거리(HT)가 +6mm일 ?, 소비전력은은 기준대비 2.1% 감소한다.
즉,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제 1 거리(HL)가 15mm이고, 상기 제 2 거리(HT)가 -3mm일 때, 가장 작은 소비전력을 사용하면서도 가장 큰 풍량을 제공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서브리딩엣지(217)가 상기 절개부(110)로부터 제 1 거리(HL)만큼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거리(HL)는 0mm이상 26mm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거리(HL)는 13mm이상 18mm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서브리딩엣지(217)는 상기 절개부(110)보다 13mm ~ 18mm만큼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서브트레일링엣지(218)가 상기 절개부(110)로부터 제 2 거리(HT)만큼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거리(HT)는 -10mm이상 10mm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거리(HT)는 -4mm이상 -1mm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서브트레일링엣지(218)는 상기 절개부(100)보다 1mm ~ 4mm만큼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최소의 소비전력을 사용하여 최적의 풍량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성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한편, 메인블레이드의 부압면에서는, 유동 박리 현상이 발생(도 25의 T참고)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동 박리 현상(flow separation)이란, 공기(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압력이 증가하는 역압력구배(adverse pressure gradient)가 커지게 되면서 블레이드 표면에 붙어있던 공기(유체)입자가 떨어져나가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유동 박리 현상은 팬의 소음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큰 풍량을 발생시키기 위해 팬의 회전 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유동 박리 현상도 커질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은 상기 유동 박리 현상을 방지하도록 다수의 돌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상기 부압면(122)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상기 리딩엣지(127)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30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그어지는 가상의 선과 동일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압면(122)에서 공기는, 리딩엣지(127)로부터 트레일링엣지(128)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부압면(122)에서 리딩엣지(127)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반경 방향을 향하여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상기 부압면(12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돌기(300)은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300)의 상단부는 라운드진 반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상기 부압면(122)을 따라 흐르는 공기에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난류가 발생되면 상기 유동 박리 현상이 방지 또는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천장 팬(1)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를 상방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인블레이드를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절개부(110) 또는 블레이드홀(103)을 전후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절개부(110)의 이등분점(111)을 지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등분점(111)은, 상기 절개부(110)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한 지점으로서 최외각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등분점(111)은 상기 블레이드홀(103)의 최외각 위치로도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3개의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내측 전단부(149) 및 내측 후단부(159)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하여 상기 이등분점(111)의 접선으로 정의되는 제 1 구분선(H1)까지 연장되는 부분을 날개고정부(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고정부(A)는, 리딩엣지(127)로 접촉되는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홀(103) 및 서브블레이드(200)로 유동하는 메인블레이드(100)의 영역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상기 날개고정부(A)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는 날개조립부(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조립부(B)는, 리딩엣지(127)로 접촉되는 공기가 부압면(122)을 따라 흐르게 되는 영역이며, 상기 블레이드홀(103) 및 서브블레이드(200)에 의한 공기 유동의 영향이 반경 방향을 따라 감소되는 영역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날개조립부(B)는 상기 제 1 구분선(P1)으로부터 상기 제 1 구분선(P1)과 평행한 가상의 직선인 제 2 구분선(P2)까지 연장되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날개조립부(B)는 상기 내측전단부(149)로부터 연장되는 메인블레이드(100)의 일부와 상기 후측전단부(159)로부터 연장되는 메인블레이드(100)의 일부가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2 구분선(P2)은 날개연장부(C)의 연장 시작 위치로도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분선(P2)은 리딩엣지(127)로 접촉되는 공기가 서브블레이드(200)의 영향을 벗어나 순전히 부압면(122)을 따라 유동하기 시작하는 선으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상기 날개조립부(B)로부터 부압면(122)의 외측 끝 단부까지 연장되는 날개연장부(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연장부(C)는, 리딩엣지(127)로 접촉되는 공기가 그대로 부압면(122)을 따라 흐르게 되는 영역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상기 날개조립부(B) 및 날개연장부(C)에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날개고정부(A)는 상기 리딩엣지(127)로 접촉되는 공기가 부압면(122) 전단을 통과하여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홀(103)로 강제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날개고정부(A)에서는, 정회전을 기준으로 리딩엣지(127)와 접촉한 공기가 지나가는 상기 부압면(122)의 폭이 상대적으로 매우 짧으며, 상기 공기가 곧장 블레이드홀(103) 및 서브블레이드(200)에 의해 강제되도록 유동되기 때문에, 돌기(300)에 의한 난류 발생 효과가 매우 미미한 영역이다. 즉, 상술한 부압면(122)에 난류를 발생시켜 유동 박리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영역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상기 날개고정부(A)와 대응되는 부압면(122)에 형성되지 않는다.
즉,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상기 절개부(110)의 최외각 위치와 대응되는 부압면(122)의 위치에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상기 이등분점(111)을 지나는 제 1 구분선(P1)으로부터 메인블레이드(100)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상기 반경 방향을 향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날개조립부(B)에서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상기 리딩엣지(127)와 이루는 간격이 반경 방향을 향할수록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기 날개연장부(C)에서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상기 리딩엣지(127)와 이루는 간격이 반경 방향을 향아여 동일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천장 팬(1)의 정회전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리딧엣지(127)와 접촉하는 공기가 다수의 돌기(300)를 통과하면서 상기 날개조립부(B) 및 날개연장부(C) 각각의 유동 환경에 맞춰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돌기(300)에 의해 발생된 난류는 상기 트레일링엣지(127)를 향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돌기의 유무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비교해주는 도면이다. 상세히. 도 25(a)는 상술한 돌기(300)가 형성되지 않은 블레이드의 부압면에서 공기의 유동 흐름을 보여주는 실험 도면이며, 도 25(b)는 상술한 돌기(300)가 구비되는 메인블레이드(100)의 부압면(122)에서 공기의 유동 흐름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a)를 참조하면, 리딩엣지(127)에 접촉하는 공기는 부압면(122)을 따라 흐르면서 유동 박리 현상(T)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유동 박리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압력의 변동을 초래하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박리 현상은 풍량이 늘어날수록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도 25(b)는 도 23의 S-S’ 단면이다.
도 25(b)를 참조하면, 상기 리딩엣지(127)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돌기(300)는 부압면(122)에서의 난류 발생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부압면(122)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돌기(300)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돌기(3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돌기(300)의 후방에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와류가 상기 부압면(122)을 따라 자수의 지점에서 형성되므로, 공기 입자들은 불규칙적이고 곡선으로 유동하게 되는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돌기(300)에 의해 발생된 난류는, 상대적으로 부압면(122)의 전방부에서 발생되어, 상기 트레일링엣지(128)를 향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술한 역압력구배가 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부압면(122)의 트레일링엣지(128)에 근접한 위치에서 발생되는 유동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돌기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반경 방향을 향하여 크기가 상이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메인블레이드(100)의 끝 단부 방향인 외측을 향할수록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반경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300)는 상기 절개부(110)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돌기(300a), 상기 제 1 돌기(300a)보다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돌기(300b) 및 상기 제 2 돌기(300b)보다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3 돌기(30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 돌기(300a)에서부터 상기 제 3 돌기(300c)로 향할수록 반경이 천장 팬(1)의 중심으로부터 반경이 커지게 되므로, 상기 제 3 돌기(300c)에서의 선속도는 상기 제 2 및 제 1 돌기(300a,300b)에서의 선속도 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제 3 돌기(300c)의 크기를 상기 제 2 돌기(300b)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유동 흐름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돌기(300b)의 크기는 상기 제 3 돌기(300c)보다 작고 상기 제 1 돌기(300a)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압면(122)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제 1 돌기(300a)와 제 2 돌기(300b)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제 2 돌기(300b)가 상기 제 1 돌기(300a)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 2 돌기(300b)와 만나는 공기가 상기 제 1 돌기(300a)와 만나는 공기 보다 더욱 많은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결국, 상기 제 2 돌기(300b)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 1 돌기(300a)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 보다 더욱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돌기(300a)와 제 2 돌기(300b) 사이에는 와류(점선)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돌기(300b)와 제 3 돌기(300c) 사이에서도 와류(점선)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300a)와 돌기(300b) 사이에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상기 부압면(122)의 전방부에서는 공기의 흐림이 불규칙해지는 난류가 보다 강하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부압면(340) 후단의 유동 박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1: 천장 팬 10: 샤프트
20: 모터샤프트 30: 하우징커버
60: 컨트롤어셈블리 70: 브릿지케이스
90: 디스플레이커버 100: 메인블레이드
200: 서브블레이드

Claims (26)

  1. 벽면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커버;
    상기 커버에 연결되며, 회전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에 형성되는 개구에 위치하는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천장 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내측면으로부터 인입된 형상의 개구로 규정되는 블레이드홀을 형성하며,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홀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블레이드에 안착되는 천장 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외측을 향하여 시위길이가 작아지도록 연장되는 천장 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외측을 향하여 점차 높아지도록 연장되는 천장 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곡면으로 형성되는 천장 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천장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어퍼커버;
    상기 어퍼커버의 하측에 결합되는 로우커버; 및
    상기 로우커버의 하측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위치하는 하우징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에 삽입되는 천장 팬.
  7.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및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도록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천장 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결합하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가 형성하는 중심 공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천장 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부압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천장 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리딩엣지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외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천장 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외측 방향을 향하여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하는 천장 팬.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상기 중심 공간을 형성하며, 내측면으로부터 인입되는 형상의 개구를 규정하는 절개부;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절개부의 최외각 위치에서 그어지는 가상의 접선까지 연장되는 날개고정부;
    상기 날개고정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날개조립부; 및
    상기 날개조립부로부터 외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날개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날개조립부 및 상기 날개연장부에 형성되는 천장 팬.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받음각(angle of attack)이 상기 메인블레이드와 상이하도록 배치되는 천장 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를 규정하며, 상기 중심 공간을 형성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전단이 상기 절개부 보다 높게 위치하며, 후단이 상기 절개부 보다 낮게 위치하는 천장 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리딩엣지(leading edge)를 향하는 전방 절개단부;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트레일링엣지(trailing edge)를 향하는 후방 절개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전단부가 상기 전방 절개단부 보다 상방으로 위치하며, 후단부가 상기 후방 절개단부 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팬.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블레이드 플레이트;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서브안착부; 및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타 측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서브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커넥터는,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간에 결합을 가이드하는 천장 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캠버(camber) 보다 긴 캠버(camber)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천장 팬.
  17. 실내 천장과 연결되는 모터샤프트와,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하우징커버;
    내측면을 따라 규정되는 블레이드홀이 각각 구비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하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홀에 위치하는 서브블레이드가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가 서로 접촉하는 이음부는,
    상기 하우징커버 및 상기 서브블레이드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는 천장 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 및 상기 서브블레이드의 중심부는, 상기 이음부와 상하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팬.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 메인블레이드 및 서브블레이드는, 단일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환되도록 결합하는 천장 팬.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는,
    하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음부의 아래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에 삽입되는 다수의 블레이드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천장 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내측 전단으로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커넥터가 삽입되며,
    내측 후단으로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커넥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팬.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는, 각각,
    내측 전단에 위치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방결합부; 및
    후측 전단에 위치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방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결합부 및 상기 후방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커버가 삽입되는 커넥터삽입부; 및
    상기 커넥터삽입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서브블레이드가 안착되는 커넥터안착부를 포함하는 천장 팬.
  23. 실내 천장에 연결되는 하우징커버, 상기 하우징커버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블레이드홀에 위치하는 다수의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천장 팬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측면에 형성된 절개부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데코홈으로 상기 서브블레이드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데코커버가 삽입되는 단계;
    상기 하우징커버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블레이드커넥터에 각각의 메인블레이드를 삽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상면에 상기 서브블레이드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장 팬의 조립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에 각각의 메인블레이드를 삽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측 전단에 형성된 전방 커넥터삽입부로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커넥터가 삽입되며,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측 후단에 형성된 후방 커넥터삽입부로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커넥터가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장 팬의 조립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레이드는,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커넥터에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서브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커넥터는,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간의 결합 부분으로 정의되는 이음부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상면에 안착되는 천장 팬의 조립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레이드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서브결합홀 하방으로 상기 절개부에 형성되는 메인결합홀 및 상기 데코커버에 형성되는 데코체결홀이 정렬되어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장 팬의 조립방법.
KR1020190030051A 2018-06-12 2019-03-15 천장 팬 및 그 조립방법 KR102141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820543.7A EP3779204B1 (en) 2018-06-12 2019-04-02 Ceiling fan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16/981,928 US11506213B2 (en) 2018-06-12 2019-04-02 Ceiling fan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PCT/KR2019/003882 WO2019240360A1 (ko) 2018-06-12 2019-04-02 천장 팬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67649 2018-06-12
KR1020180067509 2018-06-12
KR1020180067488 2018-06-12
KR20180067488 2018-06-12
KR1020180067649 2018-06-12
KR20180067509 2018-06-12
KR20180067671 2018-06-12
KR1020180067671 2018-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822A true KR20190140822A (ko) 2019-12-20
KR102141435B1 KR102141435B1 (ko) 2020-08-05

Family

ID=6906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051A KR102141435B1 (ko) 2018-06-12 2019-03-15 천장 팬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06213B2 (ko)
EP (1) EP3779204B1 (ko)
KR (1) KR1021414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304B1 (ko) * 2020-06-19 2020-11-26 서금남 다양한 폭으로 구성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송풍 팬
KR102658037B1 (ko) * 2022-11-09 2024-04-17 뉴모텍(주) 실링 팬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98763S (en) * 2020-04-28 2022-07-07 Gd Midea Env Appliances Mfg Co Ltd Ceiling fa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689A (ja) * 1999-12-22 2001-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風機用羽根車
US20070139884A1 (en) * 2005-12-21 2007-06-21 Foster Jimmy G Sr Dual impeller push-pull axial fan heat sink
WO2013109711A1 (en) * 2012-01-20 2013-07-25 Delta T Corporation Thin airfoil ceiling fan blade
US20170218962A1 (en) 2014-09-29 2017-08-03 Panasonic Manufacturing Malaysia Berhad Ceiling fa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0596A (en) 1953-08-06 1957-04-30 Leo M Stirling Dual fan construction
US5562412A (en) 1994-10-21 1996-10-08 Antonelli; Carl Fan blade with filter
USD400667S (en) * 1998-02-10 1998-11-03 Emerson Electric Co. Combined ceiling fan and light fixture
USD453563S1 (en) * 2001-01-22 2002-02-12 Hunter Fan Company, Inc. Ceiling fan
JP5211813B2 (ja) 2008-04-10 2013-06-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天井扇
US9726192B2 (en) * 2015-03-31 2017-08-08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Fan blades and associated blade tips
USD791928S1 (en) * 2016-06-20 2017-07-11 Youngo Limited Ceiling fan blade
CN106015053A (zh) 2016-07-21 2016-10-12 刘康 一种烫金机散热用吊顶旋转装置
US20190285084A1 (en) * 2018-03-13 2019-09-19 Deka Australia Pty Ltd Reinforced fan blade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689A (ja) * 1999-12-22 2001-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風機用羽根車
US20070139884A1 (en) * 2005-12-21 2007-06-21 Foster Jimmy G Sr Dual impeller push-pull axial fan heat sink
WO2013109711A1 (en) * 2012-01-20 2013-07-25 Delta T Corporation Thin airfoil ceiling fan blade
US20170218962A1 (en) 2014-09-29 2017-08-03 Panasonic Manufacturing Malaysia Berhad Ceiling fa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304B1 (ko) * 2020-06-19 2020-11-26 서금남 다양한 폭으로 구성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송풍 팬
KR102658037B1 (ko) * 2022-11-09 2024-04-17 뉴모텍(주) 실링 팬 모터
WO2024101838A1 (en) * 2022-11-09 2024-05-16 New Motech Co., Ltd. Ceiling fan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40953A1 (en) 2021-02-11
EP3779204A4 (en) 2021-12-15
US11506213B2 (en) 2022-11-22
EP3779204A1 (en) 2021-02-17
EP3779204B1 (en) 2024-02-28
KR102141435B1 (ko)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0822A (ko) 천장 팬 및 그 조립방법
EP3348840B1 (en) Volute fan assembly structure and floor-standing air conditioner
US10995769B2 (en) Ceiling fan blade
US20230144453A1 (en) Ceiling fan blade
EP3348841B1 (en) Volute fan assembly structure and floor-standing air conditioner
WO2019153536A1 (zh) 轴流风轮及空调器
US20080159867A1 (en) Impeller assembly
EP3875771A1 (en) Blower
CN108412808A (zh) 一种蜗壳
GB2568234A (en) Fan
EP3919754A2 (en) Blower with filter
KR20200000331A (ko) 블레이드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팬
CN105782076A (zh) 离心风机和抽油烟机
CN216812271U (zh) 组合式扇叶及组合出风装置
CN210859327U (zh) 一种风扇叶结构
CN208950958U (zh) 一种新型扇叶、尾翼及风扇结构
CN208059101U (zh) 空调器
CN110886690A (zh) 一种对流散热且降噪的空压机箱体
CN219720513U (zh) 一种食物料理机
US6599105B1 (en) Fan motor pressure housing, comprising a motor housing and a motor shroud with an air cooling passage there between
CN220964489U (zh) 一种空调电机散热结构和空调器
CN218151634U (zh) 风叶组件、高速马达及吹风机
CN209391768U (zh) 一种机座及料理机
CN110131204A (zh) 离心扇的扇轮
CN218717617U (zh) 一种基于轴向磁通电机的吊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