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236A -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 Google Patents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236A
KR20190140236A KR1020180066773A KR20180066773A KR20190140236A KR 20190140236 A KR20190140236 A KR 20190140236A KR 1020180066773 A KR1020180066773 A KR 1020180066773A KR 20180066773 A KR20180066773 A KR 20180066773A KR 20190140236 A KR20190140236 A KR 20190140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container
unit
groove
kn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7898B1 (ko
Inventor
김지은
Original Assignee
김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은 filed Critical 김지은
Priority to KR1020180066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898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5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 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5Controlling; Testing; Meas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죽의 보관시 반죽의 온도조절이 가능하고 숙성시에도 교반을 병행할 수 있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반죽의 재료를 수용하는 반죽용기;와, 일측에 반죽용기가 안착 가능하되 상부 및 일측면이 외부에 개방되는 반죽용기홈;이 일측에 구비되는 하부본체;와, 하부본체의 상부면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되, 반죽용기홈의 반죽을 교반시키는 반죽날;이 하부로 돌출되는 상부본체;와, 상부본체의 타측에 고정되고 하부본체의 타측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본체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리프팅부;와, 상부본체에 내장되어 반죽날을 회전시키는 반죽구동부;와, 하부본체에 내장되어 리프팅부를 이동시키는 리프팅구동부;와,반죽용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반죽용기를 가열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A kneading machine capable of controlling temperature}
본 발명은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반죽의 보관시 반죽의 온도조절이 가능하고 숙성시에도 교반을 병행할 수 있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빵 등의 조리를 위해서 밀가루 등을 반죽하기 위한 반죽기들이 일반에 널리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반죽기들은 본체, 반죽기 날, 모터, 반죽용기 등으로 구성되고, 반죽기의 반죽용기는 반죽기에 탈착이 가능하여 반죽용기에 밀가루 등의 식재료를 투입하고 교반이 완료된 반죽을 꺼내기 쉬운 구조로 형성된다.
제빵 등의 조리를 위한 밀가루 등의 반죽은 최종 조리 결과물에 따라 반죽을 일정한 온도에서 숙성 내지 발효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 교반된 반죽을 반죽용기에서 꺼내서 별도의 용기에 옮겨 담아 냉장고 내지 온장고로 이동시키는 것은 많은 불편을 수반하게 된다.
또한, 반죽의 종류에 따라 지속적으로 교반을 하여 성상을 유지시켜줘야 하는 반죽도 있어서, 냉장고 내지 온장고를 이용한 반죽의 숙성은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3489호'에 냉각기능이 설치된 반죽통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3489호'는 제빵기에 투입되는 밀가루를 냉각시키는 발명으로 교반이 완료된 반죽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발명은 아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348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반죽의 이동없이 장치 내에서 반죽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죽의 숙성시 교반을 병행할 수 있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반죽의 재료를 수용하는 반죽용기;와, 일측에 반죽용기가 안착 가능하되 상부 및 일측면이 외부에 개방되는 반죽용기홈;이 일측에 구비되는 하부본체;와, 하부본체의 상부면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되, 반죽용기홈의 반죽을 교반시키는 반죽날;이 하부로 돌출되는 상부본체;와, 상부본체의 타측에 고정되고 하부본체의 타측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본체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리프팅부;와, 상부본체에 내장되어 반죽날을 회전시키는 반죽구동부;와, 하부본체에 내장되어 리프팅부를 이동시키는 리프팅구동부;와, 반죽용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반죽용기를 가열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냉각부는 펠티에 소자를 포함하고, 가열부는 가열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반죽구동부 및 리프팅구동부 및 냉각부 및 가열부를 제어가능한 제어부;와,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제어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교반용기의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송시키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제어부에 원격으로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반죽용기홈의 개방된 일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반죽용기홈을 외기로부터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측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반죽용기홈의 내부면에 냉각부의 냉기 또는 가열부의 열기를 반죽용기에 전달시키는 열전도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반죽용기홈에 반죽용기의 하부가 안착되는 하부안착홈;과, 반죽용기의 상부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상부안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반죽의 이동없이 장치 내에서 반죽의 온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반죽의 숙성시 교반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의 폐쇄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의 폐쇄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반죽의 재료를 수용하는 반죽용기(100)와, 일측에 반죽용기가 안착 가능하되 상부 및 일측면이 외부에 개방되는 반죽용기홈(210)이 일측에 구비되는 하부본체(200)와, 하부본체의 상부면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되, 반죽용기홈의 반죽을 교반시키는 반죽날(310)이 하부로 돌출되는 상부본체(300)와, 상부본체의 타측에 고정되고 하부본체의 타측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본체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리프팅부(400)와, 상부본체에 내장되어 반죽날을 회전시키는 반죽구동부(미도시)와, 하부본체에 내장되어 리프팅부를 이동시키는 리프팅구동부(미도시)와, 반죽용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미도시)와, 반죽용기를 가열시키는 가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냉각부는 펠티에 소자를 포함하고, 가열부는 가열코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반죽구동부 및 리프팅구동부 및 냉각부 및 가열부를 제어가능한 제어부(미도시)와,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제어반(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교반용기의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송시키는 센서부(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제어부에 원격으로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반죽용기홈의 개방된 일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반죽용기홈을 외기로부터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측면커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반죽용기홈의 내부면에 냉각부의 냉기 또는 가열부의 열기를 반죽용기에 전달시키는 열전도판(213)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반죽용기홈에 반죽용기의 하부가 안착되는 하부안착홈(214)과, 반죽용기의 상부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상부안착홈(215)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하부본체(200)에 반죽용기홈(210)이 구비된다. 반죽용기홈(210)은 하부본체(200) 내부의 일측부에 위치되고 반죽용기홈(210)은 하부본체(200) 내부의 타측부에는 리프팅부(400)가 위치된다.
반죽용기홈(2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용기홈상부개방부(211)가 형성되는데 용기홈상부개방부(211)를 통해 상부본체(300)의 반죽날(310)이 상부본체(300)의 수직 이동에 의해 반죽용기홈(210)의 내부에 위치되거나 반죽용기홈(210)의 상부로 리프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반죽용기홈(210)에 안착된 반죽용기(100)의 내부에 반죽날(310)을 위치시키거나 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리프팅부(400)의 내부 공간에는 리프팅구동부의 일부와 반죽구동부에 연결되는 전력선과 리프팅부의 안정적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장치가 내장된다. 리프팅부(400)의 내부 공간에 상기 구성들이 내장됨으로써 장치 전체의 미관이 유려해질 수 있게 된다.
반죽용기홈(210)의 측부는 개방되어 용기홈측부개방부(212)가 형성되는데, 용기홈측부개방부(212)는 반죽용기(10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홈측부개방부(212)는 반죽용기(100)를 하부본체(200)의 일측부로 인입 또는 인출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리프팅부(400)는 하부본체(200) 내부의 타측부에는 위치되는데, 하부본체(200) 내부의 타측부에 삽입되거나 리프팅구동부에 의해 상부로 인출되게 된다. 리프팅부(400) 및 리프팅구동부의 작용에 의해 상부본체(300)가 상하부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부본체(300)의 수직이동은 반죽날(310)의 반죽 안으로의 인입 또는 반죽으로부터의 인출을 위한 것이기도 하고, 반죽용기홈(210) 상부의 용기홈상부개방부(211)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한 목적도 있다. 용기홈상부개방부(211)를 개방시키는 것은 반죽의 통기 내지 반죽 상태의 확인을 위한 것이고, 용기홈상부개방부(211)를 폐쇄시키는 것은 반죽의 습기 유지 또는 반죽의 보온을 위한 것이다.
상부본체(300)이 용기홈상부개방부(211)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측면커버(600)는 용기홈측부개방부(212)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측면커버(600)는 용기홈측부개방부(212)의 개방된 측면에 대응되어 용기홈측부개방부(212)를 밀폐시킬 수 있는 커버측판(610)과, 반죽용기홈(210)의 상부안착홈(215)에 연속되되 내측으로 용기테두리(110)에 접촉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고정판(620)를 포함한다. 또한, 측면커버(600)는 하부 또는 측부에 하부본체(200)에 선택적 고정이 가능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수단은 상호 대응되는 돌기와 홈, 또는 측면커버(600)의 외부에 설치된 버튼을 통해 고정 또는 탈락이 가능한 걸림홈과 걸림쇠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측면커버(600)는, 상부본체(300)에 의한 용기홈상부개방부(211)의 개폐와 마찬가지로, 반죽의 습기 유지 또는 반죽의 보온을 위한 것이다.
냉각부와 가열부는 하부본체에 내장될 수도 있고, 반죽용기에 내장될 수도 있다.
냉각부와 가열부가 하부본체에 내장되는 경우, 하부본체(200)에는 열전도판(21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반죽용기(100)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열전도판(213)은 반죽용기홈(210)의 저면에 위치되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1의 예에 열전도판(213)의 설치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냉각부와 가열부가 반죽용기에 내장되는 경우, 반죽용기에는 냉각부와 가열부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전력인가수단이 부설되어야 한다. 전력인가수단은 하부본체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반죽용기홈(210)에는 하부안착홈(214)과 상부안착홈(215)이 구비되는데, 하부안착홈(214)과 상부안착홈(215)은 반죽날(310)의 구동에 의해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반죽용기(100)를 반죽용기홈(2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반죽용기(100)는 상부에 위치되는 용기테두리(110)로부터 돌출되는 용기손잡이(12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반죽용기(100)가 용기손잡이(12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부안착홈(215)의 형상은 용기손잡이(1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용기손잡이(120)의 형상에 대응되어야 한다.
하부안착홈(214)과 상부안착홈(215)은 반죽용기(100)를 고정시키는 용기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고정수단은 상호 대응되는 돌기와 홈, 또는 하부본체(200)에 설치된 버튼을 통해 고정 또는 탈락이 가능한 걸림홈과 걸림쇠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는 반죽구동부 및 리프팅구동부 및 냉각부 및 가열부를 제어할 수 있고, 제어반(500)은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반을 조작하여 반죽용기홈(210)의 용기홈상부개방부(211)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고 반죽날(310)의 인입 또는 인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반을 통해 반죽날(310)의 회전 또는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반죽날(3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죽용기(100)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동시에 반죽날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센서부(216)는 반죽용기(100)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측정된 반죽용기(100)의 온도를 통해 냉각부 또는 가열부에 인가되는 전력량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반죽온도를 형성시킬 수 있게 한다.
통신부(미도시)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장치의 구동상태 및 반죽용기의 온도를 송신하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을 제어부가 수신하게 할 수 있다.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는 장치를 무선으로 원격조종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는, 반죽용기홈과 냉각부 및 가열부를 포함하여, 반죽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반죽용기
110...용기테두리
120...용기손잡이
200...하부본체
210...반죽용기홈
211...용기홈상부개방부
212...용기홈측부개방부
213...열전도판
214...하부안착홈
215...상부안착홈
216...센서부
300...상부본체
310...반죽날
400...리프팅부
500...제어반
600...측면커버
610...커버측판
620...커버고정판

Claims (8)

  1. 반죽의 재료를 수용하는 반죽용기;와,
    일측에 상기 반죽용기가 안착 가능하되 상부 및 일측면이 외부에 개방되는 반죽용기홈;이 일측에 구비되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상부면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되, 상기 반죽용기홈의 상기 반죽을 교반시키는 반죽날;이 하부로 돌출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본체의 타측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본체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리프팅부;와,
    상기 상부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반죽날을 회전시키는 반죽구동부;와,
    상기 하부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리프팅부를 이동시키는 리프팅구동부;와,
    상기 반죽용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반죽용기를 가열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펠티에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가열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구동부 및 상기 리프팅구동부 및 상기 냉각부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가능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제어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용기의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시키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원격으로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용기홈의 개방된 일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반죽용기홈을 외기로부터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측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용기홈의 내부면에는,
    상기 냉각부의 냉기 또는 상기 가열부의 열기를 상기 반죽용기에 전달시키는 열전도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용기홈에는,
    상기 반죽용기의 하부가 안착되는 하부안착홈;과,
    상기 반죽용기의 상부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상부안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KR1020180066773A 2018-06-11 2018-06-11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KR102107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773A KR102107898B1 (ko) 2018-06-11 2018-06-11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773A KR102107898B1 (ko) 2018-06-11 2018-06-11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236A true KR20190140236A (ko) 2019-12-19
KR102107898B1 KR102107898B1 (ko) 2020-05-07

Family

ID=6905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773A KR102107898B1 (ko) 2018-06-11 2018-06-11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798B1 (ko) * 2020-06-16 2021-04-08 윤숙현 무기 세라믹 방열 코팅제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088A (ko) * 2004-02-24 2005-08-31 김영식 다기능 도우컨디셔너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13489A (ko) 2008-07-31 2010-02-10 윤해옥 냉각기능과 이물질 걸름망이 설치된 반죽통
JP2011045254A (ja) * 2009-08-25 2011-03-10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食品生地製造方法及び生地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088A (ko) * 2004-02-24 2005-08-31 김영식 다기능 도우컨디셔너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13489A (ko) 2008-07-31 2010-02-10 윤해옥 냉각기능과 이물질 걸름망이 설치된 반죽통
JP2011045254A (ja) * 2009-08-25 2011-03-10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食品生地製造方法及び生地製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798B1 (ko) * 2020-06-16 2021-04-08 윤숙현 무기 세라믹 방열 코팅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898B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36493A (zh) 厨用机器
CN104936494A (zh) 厨用机器
KR20190140236A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 장치
JP2010094419A (ja) 自動製パン器
EP3416490A1 (en) An automatic machine for making flat edibles
EP2051013A1 (en) Cooking device
CN211961818U (zh) 烹饪电器
US20130000493A1 (en) Automatic bread machine
JP6065573B2 (ja) 調理器
US5528979A (en) Bread baking device
CN113551473A (zh) 家电设备和家电设备的控制方法
CN211270213U (zh) 一种高效烤箱
JP2009060932A (ja) 自動製パン器
JP2009125515A (ja) 自動製パン器
EP3183503B1 (en) Heat treatment system
JP5653465B2 (ja) 加熱調理器
JP2017000798A (ja) 調理器およびパンの製造方法
JP3757915B2 (ja) パン製造機
CN115245286A (zh) 用于向待烹饪产品供应热量的方法和系统
CN208887370U (zh) 一种高温熔样炉
JP2016195819A (ja) 調理器
KR100756063B1 (ko) 항아리형 숙성 냉온장고
KR20190000144A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죽용기
CN109114982A (zh) 一种高温熔样炉
US20140273200A1 (en) Apparatus for optimizing temperature for fermentation process inside of a variety of enclos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