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614A - 비상 상황 시 잔류 전원 소진을 위한 연료 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 상황 시 잔류 전원 소진을 위한 연료 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614A
KR20190139614A KR1020180066293A KR20180066293A KR20190139614A KR 20190139614 A KR20190139614 A KR 20190139614A KR 1020180066293 A KR1020180066293 A KR 1020180066293A KR 20180066293 A KR20180066293 A KR 20180066293A KR 20190139614 A KR20190139614 A KR 20190139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relay
stack
pump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657B1 (ko
Inventor
이남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6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657B1/ko
Priority to US16/133,555 priority patent/US10756369B2/en
Priority to DE102018124720.6A priority patent/DE102018124720A1/de
Priority to CN201811170909.6A priority patent/CN110641282B/zh
Publication of KR20190139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07Measures or means for preventing or attenuating colli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fuel cell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5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5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oth fuel cells and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16/003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 H01M16/006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of fuel cells with recharge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47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955Shut-off or shut-down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비상 상황에서 전기 생산을 중단하고 잔류 전기를 소진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연료 전지 시스템은, 수소 및/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반응 기체를 공급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하나 이상의 스택, 상기 스택에 반응 기체를 공급하는 펌프, 상기 스택의 잔류 전원을 방전시키는 저항, 및 상기 저항과 상기 스택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1 릴레이를 포함하는 방전 회로, 상기 펌프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상기 회전축의 구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 및 상기 제1 릴레이를 제어하는 제1 제어기를 포함하고, 비상 상황에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상기 회전축의 구동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공급받고, 및 상기 스택의 잔류 전기를 소진하기 위해, 상기 스택과 상기 저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릴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 상황 시 잔류 전원 소진을 위한 연료 전지 시스템{Fuel cell system for exhausting residual power in emergency situations}
본 발명은 비상 상황 시 잔류 전원 소진을 위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자동차의 하나인 수소 연료 전지 자동차에 적용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연료 전지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연료 전지 스택의 잔류 고전압에 의해 감전이나 화재와 같은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료 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수소와 산소를 차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그러나 수소와 산소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스택에는 고전압의 전류가 잔류하므로 여전히 2차 사고의 우려가 존재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충돌 상황이 발생한 경우, 연료 전지 스택의 잔류 전원에 의한 탑승자의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상 상황에서 전기 생산을 중단하고 잔류 전기를 소진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수소 및/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반응 기체를 공급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하나 이상의 스택, 상기 스택에 반응 기체를 공급하는 펌프, 상기 스택의 잔류 전원을 방전시키는 저항, 및 상기 저항과 상기 스택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1 릴레이를 포함하는 방전 회로, 상기 펌프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상기 회전축의 구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 및 상기 제1 릴레이를 제어하는 제1 제어기를 포함하고, 비상 상황에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상기 회전축의 구동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공급받고, 및 상기 스택의 잔류 전기를 소진하기 위해, 상기 스택과 상기 저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릴레이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택을 포함하는 차량의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택의 전기를 방전시키는 저항과, 상기 스택 및 상기 저항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1 릴레이를 포함하는 방전 회로, 상기 제1 릴레이를 작동시키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제1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부, 및 상기 메인 전원부가 작동 불능 상태일 때 상기 제1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비상 상황에서, 상기 스택의 잔류 전기가 상기 방전 회로의 상기 저항을 통해 방전되도록 상기 제1 릴레이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배터리와 같은 메인 전원 또는 전원 공급 라인이 파손된 상황이거나, 메인 제어기가 기능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펌프 회전축에 연결된 발전기를 이용하여 서브 제어기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여 스택의 내부 잔류 전원을 빠르게 방전시키도록 릴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서브 제어기는 비상시에도 비상 전원을 공급받아 릴레이에 지속적으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택과 방전 회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릴레이는 고가의 노말 클로즈 타입이 아닌 노말 오픈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전기의 전기 생산에 의해 펌프의 RPM이 빠르게 감소하고, 이에 따라 스택으로의 기체 공급이 차단되면서 추가 전기 생산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비상 상황에서 탑승자의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비상 상황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은, 차량의 충돌 사고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스택(10)으로 공급되는 반응 기체를 빠르게 차단하고 스택(10)에 잔류하는 잔류 전원을 빠르게 소진시켜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연료 전지 시스템(1)은 차량 구동부(90)와, 전기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를 차량 구동부(90)에 공급하는 스택(10)과, 스택(10)에 반응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부(50)와, 스택(10)의 잔류 전원을 방전시키는 방전 회로(20)와, 방전 회로(20)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1 제어기(32)와, 제1 제어기(32)를 제어하는 제2 제어기(34)와, 제1 제어기(32) 및 제2 제어기(34)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부(60)와, 비상 상황에서 제1 제어기(32)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 기체는 수소 및/또는 산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택(10)은 기체 공급부(50)로부터 수소 및/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반응 기체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스택(10)은 수소가 공급되는 제1 전극과, 산소가 공급되는 제2 전극과,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막 전극 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막 전극 집합체에서는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전기가 생산될 수 있다. 생산된 전기는 차량 구동부(90)로 공급될 수 있다. 차량 구동부(90)는 하나 이상의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 모터는 공급된 전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체 공급부(50)는 수소 및/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반응 기체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펌프(5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펌프(52)는 에어 컴프레서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52)의 회전축(53)에는 발전기(42)가 연결될 수 있으며, 비상 상황에서 펌프(52)의 회전축(53)의 회전 에너지가 발전기(42)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 제1 제어기(32)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다. 비상 상황에서 펌프(52)의 회전축(53)에 연결된 발전기(42)가 구동되는 경우, 펌프(52)의 회전축(53)의 회전이 점진적으로 느려지며 결국 펌프(52)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응 기체는 더 이상 스택(10)으로 공급될 수 없다.
일 실시 예에서, 방전 회로(20)는 스택(10)의 전기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회로로서, 하나 이상의 저항(22)과 방전 회로(20)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스위치는 하나 이상의 제1 릴레이(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릴레이(24)가 클로즈되는 경우 스택(10)에서 생산된 전기는 저항(22)에 의해 소진될 수 있다. 제1 릴레이(24)가 오픈 상태인 경우 스택(10)에서 생산된 전기는 차량 구동부(90)로 공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릴레이(24)는 노말 오픈 타입(Normal open type)의 릴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말 오픈 타입이란,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릴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릴레이(2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제어 신호(35)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오픈 상태를 유지하며, 제1 제어 신호(35)가 인가되면 클로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제어기(32)는 방전 회로(20)에 포함된 제1 릴레이(24)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1 제어기(32)는 제1 릴레이(24)에 제1 제어 신호(35)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제어기(32)는 제1 릴레이(24)를 오픈시켜 방전 회로(20)를 오픈시키거나, 또는 제1 릴레이(24)를 클로즈시켜 방전 회로(20)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기(32)는 제2 제어기(34)로부터 제1 릴레이(24)에 관한 제어 요청(31)을 수신하고 제1 릴레이(24)의 상태를 제2 제어기(34)로 피드백 응답(33)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어기(32)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제1 제어기(32)는 능동 소자 없이 수동 소자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기(32)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없이 논리 회로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충돌 상황 등 비상 상황에서 제1 제어기(32)를 제어하는 제2 제어기(34)가 파손되거나 제2 제어기(34)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부(60)가 파손된 경우, 스택(10)에 잔류하는 잔류 전원을 빠르게 방전시키기 위해 제1 제어기(32)가 제2 제어기(34)의 제어 명령 없이 제1 릴레이(24)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제어기(32)는 비상 전원부(40) 및 메인 전원부(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 주행시 제1 제어기(32)는 메인 전원부(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비상 상황시 제1 제어기(32)는 비상 전원부(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로써, 차량의 충돌 상황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메인 전원이 파손되는 경우, 제1 제어기(32)는 비상 전원을 통해 제1 릴레이(24)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제어기(32)는 차량의 충돌 사고와 같은 비상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제어기(32)는 소정의 시간 동안 제2 제어기(34)로부터 제1 릴레이(24)의 제어에 관련된 제어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비상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 상황은 제2 제어기(34)나 제2 제어기(34)로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부(60)가 기능하지 못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제어기(34)는 제1 제어기(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제어기(34)에 대해 제1 릴레이(24)의 작동에 관한 제어 요청(31)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기(34)는 제1 제어기(32)로부터 제1 릴레이(24)의 상태에 관한 피드백 응답(33)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제어기(34)는 메인 전원부(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기(34)는 차량이 비상 상황이 아닌 경우에 비상 전원부(40)와 제1 제어기(32)의 전기적 연결을 오픈시키도록 제2 제어기(34)를 제어하고, 비상 상황시 메인 전원부(60)가 제1 제어기(32)에 대한 전원 공급이 불가능한 상황일 때, 비상 전원부(40)와 제1 제어기(3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도록 제2 제어기(34)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제어기(34)는 제2 제어 신호(37)를 제2 릴레이(7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전원부(60)는 제1 제어기(32)와 제2 제어기(3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메인 전원부(60)는 차량 주행과 같은 비상 상황이 아닌 일반적인 상황에서 제1 제어기(32)와 제2 제어기(3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상 전원부(40)는 차량 충돌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제1 제어기(3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비상 전원부(40)는 기체 공급부(50)의 펌프(52)의 회전축(53)에 연결된 발전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기(42)는 펌프(52)의 회전하는 회전축(53)의 역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를 제1 제어기(32)에 공급해줄 수 있다. 비상 전원부(40)와 제1 제어기(32)는 제2 릴레이(7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릴레이(70)가 클로즈되면 비상 전원부(40)와 제1 제어기(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상 전원부(40)는 비상 상황에서, 제2 릴레이(70)에 의해 제1 제어기(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펌프(52)의 회전축(53)의 회전에 따라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비상 전원부(40)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제2 릴레이(70)에 의해 제1 제어기(32)와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며, 전기를 생산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릴레이(70)는 비상 전원부(40)와 제1 제어기(32)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릴레이(70)는 제2 제어기(34)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비상 상황에서 제2 릴레이(70)가 클로즈되고 이에 따라 제1 제어기(32)와 비상 전원부(40)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2 릴레이(70)는 노말 클로즈 타입(Normal close type) 릴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말 클로즈 타입 릴레이는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 클로즈 상태를 유지하고, 제어 신호가 인가된 경우 오픈 상태로 변하는 릴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릴레이(70)는 도 1에 도시된 제2 제어 신호(37)이 인가되지 않으면 클로즈 상태를 유지하며, 제2 제어 신호(37)가 인가되면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비상 상황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비상 상황이란, 차량의 충돌 사고와 같이 연료 전지 시스템(1)의 일부가 기능하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비상 상황에서는 도 2에 도시된 A부분 또는 A부분에 포함된 구성 중 일부가 기능하지 못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전원부(60)가 파손된 경우, 제2 제어기(34)에는 전원이 공급될 수 없다.
일 실시 예에서, 충돌 사고와 같이 차량이 비상 상황인 경우, 스택(10)에 잔류하는 고압 전기에 의해 탑승자의 감전 등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택(10)에 잔류하는 전기를 모두 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스택(10)으로 유입되는 수소 및/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반응 기체를 차단하여 더 이상의 전기 생산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상 상황인 경우, 제2 제어기(34)가 파손되거나, 제2 제어기(34)에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A부분 또는 A부분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이 기능하지 못할 수 있다. 이 때, 제2 제어기(34)는 더 이상 제어 신호를 제2 릴레이(70)에 송신할 수 없다. 이 경우, 노말 클로즈 타입의 제2 릴레이(70)는 클로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제어기(32)는 비상 전원부(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기(32)는 노말 오픈 타입의 제1 릴레이(24)를 클로즈시켜, 방전 회로(20)를 스택(1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로써, 스택(10)에 잔류하는 전기는 방전 회로(20)의 저항(22)에 의해 방전될 수 있다.
한편, 비상 전원부(40)의 발전기(42)는 제1 제어기(32)에 공급되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발전기(42)는 펌프(52) 회전축(53)의 역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체 공급부(50)의 펌프(52)의 작동이 점진적으로 멈출 수 있다. 펌프(52)의 작동이 멈추는 경우, 스택(10)으로 공급되는 수소를 포함하는 반응 기체가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비상 상황에서 메인 전원부(60) 또는 제1 제어기(32)가 기능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방전 회로(20)는 스택(10)과 연결되어 스택(10)의 잔류 전기가 방전되고, 펌프(52)의 역학적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스택(10)으로의 수소 및/또는 산소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충돌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탑승자의 감전 사고나 화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연료 전지 시스템 10: 스택
20: 방전 회로 22: 저항
24: 제1 릴레이 32: 제1 제어기
34: 제2 제어기 40: 비상 전원부
42: 발전기 50: 기체 공급부
52: 펌프 60: 메인 전원부
70: 제2 릴레이 90: 차량 구동부

Claims (10)

  1. 비상 상황에서 전기 생산을 중단하고 잔류 전기를 소진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수소 및/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반응 기체를 공급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하나 이상의 스택;
    상기 스택에 반응 기체를 공급하는 펌프;
    상기 스택의 잔류 전원을 방전시키는 저항, 및 상기 저항과 상기 스택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1 릴레이를 포함하는 방전 회로;
    상기 펌프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상기 회전축의 구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 및
    상기 제1 릴레이를 제어하는 제1 제어기;를 포함하고,
    비상 상황에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상기 회전축의 구동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공급받고, 및
    상기 스택의 잔류 전기를 소진하기 위해, 상기 스택과 상기 저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릴레이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발전기가 상기 제1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반응 기체의 공급량이 감소되도록 구성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는 상기 제1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노말 오픈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와 상기 제1 제어기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2 릴레이, 및 상기 제2 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기는 비상 상황이 아닌 나머지 상황에서, 상기 발전기와 상기 제1 제어기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도록 상기 제2 릴레이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릴레이는 상기 제2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 클로즈 상태를 유지하는 노말 클로즈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시스템.
  6. 스택을 포함하는 차량의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택의 전기를 방전시키는 저항과, 상기 스택 및 상기 저항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1 릴레이를 포함하는 방전 회로;
    상기 제1 릴레이를 작동시키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제1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부, 및 상기 메인 전원부가 작동 불능 상태일 때 상기 제1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비상 상황에서, 상기 스택의 잔류 전기가 상기 방전 회로의 상기 저항을 통해 방전되도록 상기 제1 릴레이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는 노말 오픈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제어기, 및 상기 비상 전원부와 상기 제1 제어기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2 릴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릴레이는 노말 클로즈 타입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전원부가 작동 불능 상태일 때 상기 제1 제어기와 상기 비상 전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 및 상기 제2 제어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기의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릴레이의 상태를 상기 제2 제어기로 회신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택에 반응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 전원부는, 상기 펌프의 회전축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상기 펌프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비상 상황에서, 상기 발전기는 상기 펌프의 남아있는 에너지에 의해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제1 제어기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0180066293A 2018-06-08 2018-06-08 비상 상황 시 잔류 전원 소진을 위한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496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293A KR102496657B1 (ko) 2018-06-08 2018-06-08 비상 상황 시 잔류 전원 소진을 위한 연료 전지 시스템
US16/133,555 US10756369B2 (en) 2018-06-08 2018-09-17 Fuel cell system for exhausting residual power in emergency situation
DE102018124720.6A DE102018124720A1 (de) 2018-06-08 2018-10-08 Brennstoffzellensystem zum aufbrauchen von restleistung in einer notsituation
CN201811170909.6A CN110641282B (zh) 2018-06-08 2018-10-09 在紧急情况下用于耗尽剩余电力的燃料电池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293A KR102496657B1 (ko) 2018-06-08 2018-06-08 비상 상황 시 잔류 전원 소진을 위한 연료 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614A true KR20190139614A (ko) 2019-12-18
KR102496657B1 KR102496657B1 (ko) 2023-02-06

Family

ID=6865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293A KR102496657B1 (ko) 2018-06-08 2018-06-08 비상 상황 시 잔류 전원 소진을 위한 연료 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56369B2 (ko)
KR (1) KR102496657B1 (ko)
CN (1) CN110641282B (ko)
DE (1) DE102018124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2124B (zh) * 2020-04-04 2021-09-10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基于两级保护的燃料电池系统泄放电路
CN111483319B (zh) * 2020-04-16 2022-04-29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供氢系统加氢安全唤醒控制装置、系统和方法
WO2022002083A1 (en) * 2020-06-30 2022-01-06 Ceres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imited Parking discharge system, vehicle and parking discharge method
FR3117065B1 (fr) 2020-12-09 2023-05-05 Renault Sas Procede de decharge d’une pile a combustible d’alimentation d’une machine electrique de traction d’un vehicule automob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00855A1 (en) * 2012-02-02 2013-08-08 Robert Bosch Gmbh System and Method for Discharging a Battery in a Vehicle after a Crash
KR20170000913A (ko) * 2015-06-24 2017-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파워넷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179760A1 (en) * 2015-12-22 2017-06-22 Robert Bosch Gmbh Discrete energy reservoir with diagnostic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2356A (en) * 1963-09-11 1969-03-11 Gen Electric Regulated fuel cell system
JP2002313394A (ja) * 2001-04-09 2002-10-25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のガス供給装置
JP3893965B2 (ja) 2001-12-13 2007-03-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式自動車
JP2004127748A (ja) * 2002-10-03 2004-04-22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4281315A (ja) * 2003-03-18 2004-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WO2005078844A1 (ja) * 2004-02-12 2007-08-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残留燃料ガスの除去方法
KR100878661B1 (ko) 2007-07-13 200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슈퍼캡 방전 시스템
DE102008010980A1 (de) * 2008-02-25 2009-08-2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laden eines Hochspannungsnetzes
KR20140110170A (ko) 2013-03-05 2014-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차량의 전기안전시스템
JP6201869B2 (ja) * 2014-04-02 2017-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6073027A (ja) * 2014-09-26 2016-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用燃料電池システムにおける残存水素ガスの処理方法
KR101846687B1 (ko) * 2016-07-21 2018-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재시동 시스템과 제어기 및 재시동 방법
US10069160B2 (en) * 2016-07-27 2018-09-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tack voltage control for recovery mode using boost converter
CN106427651A (zh) * 2016-11-22 2017-02-22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动力控制系统及具有该系统的储能车辆
KR101878664B1 (ko) 2016-12-07 2018-08-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패킷 기반 그룹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8039504B (zh) * 2017-12-06 2020-06-26 浙江高成绿能科技有限公司 一种质子交换膜燃料电池停机控制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00855A1 (en) * 2012-02-02 2013-08-08 Robert Bosch Gmbh System and Method for Discharging a Battery in a Vehicle after a Crash
KR20170000913A (ko) * 2015-06-24 2017-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파워넷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179760A1 (en) * 2015-12-22 2017-06-22 Robert Bosch Gmbh Discrete energy reservoir with diagno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124720A1 (de) 2019-12-12
KR102496657B1 (ko) 2023-02-06
CN110641282A (zh) 2020-01-03
US20190379070A1 (en) 2019-12-12
CN110641282B (zh) 2023-11-17
US10756369B2 (en)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6657B1 (ko) 비상 상황 시 잔류 전원 소진을 위한 연료 전지 시스템
EP3492302B1 (en) Vehicle system
CN101161498B (zh) 混合燃料电池客车的电力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274519B (zh) 燃料电池车辆的电网系统及其控制方法
JP5697451B2 (ja) 少なくとも1つの燃料電池を備えた燃料電池システム
JP7259751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CN107492919B (zh) 电力系统及其控制方法
JP5064368B2 (ja) Dc/dcコンバータシステム
WO2022009639A1 (ja) 配電モジュール
WO2010109688A1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
CN111316530A (zh) 具有一体式电池的致动机构
KR20080054286A (ko)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파워다운 제어방법
JP3732736B2 (ja) 車両用制御システム
KR20220132686A (ko) 연료전지 차량의 저전압 직류변환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967925B2 (e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314163B1 (ko) 무정전 디젤발전기
US20230268878A1 (e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US11967927B2 (e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US11967926B2 (e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US20230353088A1 (e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WO2019049338A1 (ja) 電力制御装置、および、電力制御装置の制御方法
KR20110048602A (ko) 다수의 콘텍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및 구동방법
TW201424110A (zh) 燃料電池供電方法及其燃料電池裝置
KR100778567B1 (ko) 연료전지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및 배기 방법
KR20210066324A (ko) 차량용 멀티 배터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