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608A -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608A
KR20190139608A KR1020180066281A KR20180066281A KR20190139608A KR 20190139608 A KR20190139608 A KR 20190139608A KR 1020180066281 A KR1020180066281 A KR 1020180066281A KR 20180066281 A KR20180066281 A KR 20180066281A KR 20190139608 A KR20190139608 A KR 20190139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region
output
transmission l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105B1 (ko
Inventor
하용구
곽은섭
권강엽
김태옥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6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10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60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or generators via a high voltage DC link [HV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VDC 시스템에 있어서 주요 송전선로의 고장 시 과부하 또는 수급불균형에 의한 광역정전을 방지하기 위한 HVDC 출력제어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는 제 2 지역으로부터 제 1 지역으로 초 고압 직류 송전하는 제 1 송전선로에 대한 HVDC 출력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제 2 송전선로의 조류 량과 설비 용량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부; 상기 입력 부로부터의 상기 입력 데이터를 근거로, 변동해야 할 출력변동 값과 상기 출력변동 값을 이전의 출력 값에 가산한 새로운 출력 값을 산출하는 연산 부; 및 상기 연산 부가 산출한 새로운 출력 값을 상기 제 1 송전선로에 출력하는 제어 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그 방법{HVDC OUTPUT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초 고압 직류 송전(이하 HVDC로 약칭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KR10-2013-0035739 A
HVDC 시스템에 있어서 주요 송전선로의 고장 시 과부하 또는 수급불균형에 의한 광역정전을 방지하기 위한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지역으로부터 제 2 지역으로 초 고압 직류 송전하는 제 1 송전선로에 대한 HVDC 출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제 2 송전선로의 조류 량과 설비 용량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부;
상기 입력 부로부터의 상기 입력 데이터를 근거로, 변동해야 할 출력변동 값과 상기 출력변동 값을 이전의 출력 값에 가산한 새로운 출력 값을 산출하는 연산 부; 및
상기 연산 부가 산출한 새로운 출력 값을 상기 제 1 송전선로에 출력하는 제어 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지역으로부터 제 2 지역으로 초 고압 직류 송전하는 제 1 송전선로에 대한 HVDC 출력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제 2 송전선로의 조류 량과 설비 용량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한 상기 입력 데이터를 근거로, 변동해야 할 출력변동 값과 상기 출력변동 값을 이전의 출력 값에 가산한 새로운 출력 값을 산출하는 연산단계; 및
상기 연산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새로운 출력 값을 상기 제 1 송전선로에 출력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입력 부는,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 각각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조류 값 및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 각각의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 값을 입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입력 부는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회로차단기에 대한 폐로 또는 개방의 동작 상태 정보를 더 입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연산 부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상기 출력변동 값을 산출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상기 출력변동 값,
Figure pat00003
는 상기 제 1 지역으로 전력이 유입되는 n개의 송전선로 i의 조류 값의 합(단위는 MW),
Figure pat00004
는 이전의 출력 값(단위는 MW),
Figure pat00005
는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x개의 송전선로 k의 조류 값의 합(단위는 MW),
Figure pat00006
는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x개의 송전선로 k의 설비용량 값의 합(단위는 MVA), X와 Y는 보정계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연산 부는,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회로차단기가 폐로 상태인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 값만을 상기 출력변동 값을 연산하는데 적용하고,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회로차단기가 개방 상태인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 값은 상기 출력변동 값의 연산에서 제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연산 부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새로운 출력변동 값을 산출한다. 즉,
Figure pat00007
여기서,
Figure pat00008
는 새로운 출력 값(단위 MW),
Figure pat00009
는 이전의 출력 값,
Figure pat00010
는 상기 출력변동 값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입력단계는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 각각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조류 값 및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 값을 입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입력 단계는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회로차단기에 대한 폐로 또는 개방의 동작 상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연산단계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상기 출력변동 값을 산출한다.
Figure pat00011
여기서,
Figure pat00012
는 상기 출력변동 값,
Figure pat00013
는 상기 제 1 지역으로 전력이 유입되는 n개의 송전선로 i의 조류 값의 합(단위는 MW),
Figure pat00014
는 이전의 출력 값(단위는 MW),
Figure pat00015
는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x개의 송전선로 k의 조류 값의 합(단위는 MW),
Figure pat00016
는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x개의 송전선로 k의 설비용량 값의 합(단위는 MVA), X와 Y는 보정계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연산단계는,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회로차단기가 폐로 상태인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 값만을 상기 출력변동 값을 연산하는데 적용하고,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회로차단기가 개방 상태인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 값은 상기 출력변동 값의 연산에서 제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연산 단계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새로운 출력변동 값을 산출한다.
Figure pat00017
여기서,
Figure pat00018
는 새로운 출력 값(단위 MW),
Figure pat00019
는 이전의 출력 값,
Figure pat00020
는 상기 출력변동 값이다.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 또는 HVDC 출력제어 방법은, 제 2 지역으로부터 제 1 지역으로 초 고압 직류 송전하는 제 1 송전선로에 있어서, 2개의 지역을 연계하여 각각으로 유입되는 제 2 송전선로의 조류 량과 제 2 지역의 설비용량을 고려하여 제 1 송전선로에 출력할 HVDC 출력을 제어하게 구성되므로, 제 2 지역의 과부하 해소 및 최적 조류 제어가 성취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 또는 HVDC 출력제어 방법은,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 각각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조류 값 및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 값을 입력하므로, 2개의 지역을 연계하여 각각으로 유입되는 제 2 송전선로의 조류 량과 제 2 지역의 설비용량을 감안하여 제 1 송전선로에 출력할 HVDC 출력을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최적 조류 제어 및 제 2 지역의 과부하 해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 또는 HVDC 출력제어 방법은,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회로차단기에 대한 폐로 또는 개방의 동작 상태 정보를 더 입력하므로,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의 합을 연산할 때 회로차단기가 개방 상태인 상기 제 2 송전선로 즉, 고장상태인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은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 또는 HVDC 출력제어 방법은, 2개의 지역을 연계하여 각각으로 유입되는 제 2 송전선로의 조류 량과 제 2 지역의 설비용량 및 이전의 출력 값을 고려한 연산 식에 의해서 출력 변동 값을 연산하여 결정하므로, 제 2 지역의 과부하 해소 및 최적 조류 제어가 성취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 또는 HVDC 출력제어 방법은, 이전의 출력 값에 연산한 출력 변동 값을 가산하여 새로운 출력 값으로서 최종 출력하게 구성되므로, 최적 조류 제어가 성취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 2 지역으로부터 제 1 지역으로 HVDC 출력 전력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2개의 지역 각각의 유입전력의 합과 유출전력의 합 및 2개의 지역 각각의 전력부하를 고려하여 출력 제어하는 개념을 보여주는 출력제어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HVDC 출력부의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의 동작 및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출력제어 개념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지역을 A지역이라하고 제 2 지역을 B지역이라 할 때, 제 1 지역(이하 A 지역과 혼용하여 기술함)으로 유입되는 전력을 PPA _i{여기서 i는 1부터 n까지의 자연수로서 A지역으로 유입되는 n개의 송전선로(30a)의 각각을 지시한다}, A지역으로부터 유출되는 전력을 PNA_i{여기서 i는 1부터 n까지의 자연수로서 A지역으로부터 유출되는 n개의 송전선로(30b)의 각각을 지시한다}, 또 A지역의 부하를 PA_load, 제 2 지역(이하 B 지역과 혼용하여 기술함)으로 유입되는 전력을 PPB _i{여기서 i는 1부터 n까지의 자연수로서 B지역으로 유입되는 n개의 송전선로(20a)의 각각을 지시한다}, B지역으로부터 유출되는 전력을 PNB _i{여기서 i는 1부터 n까지의 자연수로서 A지역으로부터 유출되는 n개의 송전선로(20b)의 각각을 지시한다} 그리고 B지역의 부하를 PB_load 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제 2 지역으로부터 제 1 지역으로 초 고압 직류 송전하는 송전선로를 제 1 송전선로(도 1의 부호 10 참조)로 칭하기로 하며, 상기 제 1 지역과 제 2 지역에 있어서 각각의 유입 송전선로들과 유출 송전선로들을 제 2 송전선로(도 1의 부호 20a, 20b, 30a, 30b 참조)로 칭하기로 한다.
제 2 지역으로부터 제 1 지역으로 출력되는 HVDC 출력 전력, 일명 HVDC 운전 값을 PHVDC로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방법은 제 2 지역으로부터 제 1 지역으로 HVDC 출력 전력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2개의 지역 각각의 유입전력의 합과 유출전력의 합 및 2개의 지역 각각의 전력부하를 고려하여 출력 제어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HVDC 출력부의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입력데이터 소스(SOURCE)(40),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100) 및 HVDC 전력 송전 부(200)를 포함하게 구성된다.
입력데이터 소스(40)는 상기 제 1 지역 및 제 2 지역의 모든 송전선로의 각각에 설치되어 송전선로마다의 조류 량(유입 전력 량과 유출 전력 량을 포괄하는 전력 량임)과 설비용량의 값 및 송전선로마다의 회로차단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입력 데이터로서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송전선로를 흐르는 전류 량을 검출하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송전선로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변성기(Potential Transformer)를 포함하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보호 계전기는 각각의 송전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송전선로마다에 설치되는 회로차단기를 차단제어하고. 회로차단기의 개방/폐로(일명 투입) 동작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력 량 및 각종의 계측 및 계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100)는 입력 부(100a), 연산 부(100b) 및 제어 부(100c)를 포함한다.
입력 부(100a)는 통신부와 신호 변환 부 및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입력 부(100a)는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제 2 송전선로(30a, 20a)의 조류 량과 설비 용량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한다.
입력 부(100a)는,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 각각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 2 송전선로(30a, 20a)의 조류 값(유입 전력 량) 및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20a, 20b)의 설비용량 값을 입력한다.
또한 입력 부(100a)는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20a, 20b)의 회로차단기에 대한 폐로 또는 개방의 동작 상태 정보를 더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회로차단기의 폐로 상태는 해당 회로차단기가 설치된 상기 제 2 송전선로(20a, 20b)가 정상 운전중임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회로차단기의 개방 상태는 해당 회로차단기가 설치된 상기 제 2 송전선로(20a, 20b)가 회로상의 과전류 또는 단락사고와 같은 원인으로 고장 상태로서 전력의 수급이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입력 부(100a)가 입력하는 상기 입력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송전선로(20a, 20b)의 각각에 설치되는 상기 디지털 보호 계전기로부터 수신하여 입력할 수 있고, 예컨대 각각의 상기 제 2 송전선로(20a, 20b)의 설비용량 값은 미리 설정되어 입력 부(100a)가 포함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다.
연산 부(100b)는 입력 부(100a)로부터의 상기 입력 데이터를 근거로, 변동해야 할 출력변동 값(후술하는 ΔP참조)과 상기 출력변동 값을 이전의 출력 값(후술하는 PHVDC)에 가산한 새로운 출력 값(후술하는 PHVDC _NEW 참조)을 산출한다.
연산 부(100b)는 다음 수식 1에 의해서 상기 출력변동 값(ΔP)을 산출한다.
Figure pat00021
----수식 1
여기서,
Figure pat00022
는 상기 출력변동 값,
Figure pat00023
는 상기 제 1 지역으로 전력이 유입되는 n개의 송전선로 i의 조류 값의 합(단위는 MW),
Figure pat00024
는 이전의 출력 값(단위는 MW),
Figure pat00025
는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x개의 송전선로 k의 조류 값의 합(단위는 MW),
Figure pat00026
는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x개의 송전선로 k의 설비용량 값의 합(단위는 MVA), X와 Y는 보정계수이다.
연산 부(100b)는 상기 제 2 송전선로(도 1의 부호 20a참조)의 회로차단기가 폐로 상태인 상기 제 2 송전선로(도 1의 부호 20a참조)의 설비용량 값만을 상기 출력변동 값(ΔP)을 연산하는데 적용하고, 상기 제 2 송전선로(도 1의 부호 20a참조)의 회로차단기가 개방 상태인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 값은 상기 출력변동 값(ΔP)의 연산에서 제외한다.
연산 부(100b)는 다음 수식 2에 의해서 새로운 출력변동 값을 산출한다.
Figure pat00027
----수식 2
여기서,
Figure pat00028
는 새로운 출력 값(단위 MW),
Figure pat00029
는 이전의 출력 값,
Figure pat00030
는 상기 출력변동 값이다.
제어 부(100c)는 연산 부(100b)가 산출한 새로운 출력 값(PHVDC _NEW)을 HVDC 전력 송전 부(200)를 통해서 상기 제 1 송전선로(도 1의 부호 10 참조)에 출력한다.
HVDC 전력 송전 부(200)는 제어 부(100c)가 출력하는 상기 새로운 출력 값(PHVDC_NEW)에 따른 전력을 상기 제 1 송전선로(도 1의 부호 10 참조)에 인가하여 전송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변압 부 및 컨버터 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주로 참조하고 도 1 내지 도 2를 보조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HVDC 출력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 단계(ST100)에서, 입력 부(100a)는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 각각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 2 송전선로(30a, 20a)의 조류 값(유입 전력 량),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20a, 20b)의 설비용량 값 및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20a, 20b)의 회로차단기에 대한 폐로 또는 개방의 동작 상태 정보를 입력한다.
다음 연산단계(ST201)에서, 연산 부(100b)는 입력 부(100a)가 제공한 입력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수식 1을 이용하여 출력변동 값(ΔP)을 연산한다.
다음 적정범위 이탈 판단단계(ST202)에서, 연산 부(100b)는 연산한 출력변동 값(ΔP)이 미리 설정된 상한 값(B)과 하한 값(A)의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적정범위 이탈 판단단계(ST202)에서, 상기 출력변동 값(ΔP)이 미리 설정된 상한 값(B)과 하한 값(A)의 범위 내에 있으면, 정상상태인 것으로 간주하여 HVDC 출력을 새로운 출력 값으로 변경 제어하지 않고 종료한다.
상기 적정범위 이탈 판단단계(ST202)에서, 상기 출력변동 값이 미리 설정된 상한 값과 하한 값의 범위를 이탈하면, 다음의 최종 출력 값 연산 단계(ST203)로 진행하여, 연산 부(100b)는 상기 수식 2를 이용하여 새로운 출력 값(PHVDC _NEW)을 최종 출력 값으로 연산한다.
다음 제어단계(ST300)로 진행하여, 제어 부(100c)는 연산 부(100b)가 산출한 새로운 출력 값(PHVDC _NEW)을 HVDC 전력 송전 부(200)를 통해서 상기 제 1 송전선로(도 1의 부호 10 참조)에 출력할 새로운 출력 값으로 변경 제어한다.
이로서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의 동작 및 HVDC 출력제어 방법이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HVDC 출력제어 장치 또는 HVDC 출력제어 방법은, 제 2 지역으로부터 제 1 지역으로 초 고압 직류 송전하는 제 1 송전선로에 있어서, 2개의 지역을 연계하여 각각으로 유입되는 제 2 송전선로의 조류 량과 제 2 지역의 설비용량을 고려하여 제 1 송전선로에 출력할 HVDC 출력을 제어하게 구성되므로, 제 2 지역의 과부하 해소 및 최적 조류 제어가 성취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제 1 송전선로 20a: 제 2 송전선로(제 2 지역 유입 측)
20b: 제 2 송전선로(제 2 지역 유출 측)
30a: 제 2 송전선로(제 1 지역 유입 측)
30b: 제 2 송전선로(제 1 지역 유출 측)
40: 입력데이터 소스
100: HVDC 출력제어 장치 100a: 입력 부
100b: 연산 부 100c: 제어 부
200: HVDC 전력 송전 부

Claims (14)

  1. 제 2 지역으로부터 제 1 지역으로 초 고압 직류 송전하는 제 1 송전선로에 대한 HVDC 출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제 2 송전선로의 조류 량과 설비 용량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부;
    상기 입력 부로부터의 상기 입력 데이터를 근거로, 변동해야 할 출력변동 값과 상기 출력변동 값을 이전의 출력 값에 가산한 새로운 출력 값을 산출하는 연산 부; 및
    상기 연산 부가 산출한 새로운 출력 값을 상기 제 1 송전선로에 출력하는 제어 부를 포함하는 HVDC 출력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부는,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 각각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조류 값 및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 값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출력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부는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회로차단기에 대한 폐로 또는 개방의 동작 상태 정보를 더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출력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부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상기 출력변동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출력제어 장치,
    Figure pat00031

    여기서,
    Figure pat00032
    는 상기 출력변동 값,
    Figure pat00033
    는 상기 제 1 지역으로 전력이 유입되는 n개의 송전선로 i의 조류 값의 합(단위는 MW),
    Figure pat00034
    는 이전의 출력 값(단위는 MW),
    Figure pat00035
    는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x개의 송전선로 k의 조류 값의 합(단위는 MW),
    Figure pat00036
    는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x개의 송전선로 k의 설비용량 값의 합(단위는 MVA), X와 Y는 보정계수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부는,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회로차단기가 폐로 상태인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 값만을 상기 출력변동 값을 연산하는데 적용하고,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회로차단기가 개방 상태인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 값은 상기 출력변동 값의 연산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출력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부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새로운 출력변동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출력제어 장치,
    Figure pat00037

    여기서,
    Figure pat00038
    는 새로운 출력 값(단위 MW),
    Figure pat00039
    는 이전의 출력 값,
    Figure pat00040
    는 상기 출력변동 값이다.
  7. 제 2 지역으로부터 제 1 지역으로 초고압 직류 송전하는 제 1 송전선로에 대한 HVDC 출력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제 2 송전선로의 조류 량과 설비 용량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한 상기 입력 데이터를 근거로, 변동해야 할 출력변동 값과 상기 출력변동 값을 이전의 출력 값에 가산한 새로운 출력 값을 산출하는 연산단계; 및
    상기 연산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새로운 출력 값을 상기 제 1 송전선로에 출력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HVDC 출력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는
    상기 제 1 지역과 상기 제 2 지역 각각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조류 값 및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 값을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출력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계는 상기 제 2 지역의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회로차단기에 대한 폐로 또는 개방의 동작 상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출력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단계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상기 출력변동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출력제어 방법,
    Figure pat00041

    여기서,
    Figure pat00042
    는 상기 출력변동 값,
    Figure pat00043
    는 상기 제 1 지역으로 전력이 유입되는 n개의 송전선로 i의 조류 값의 합(단위는 MW),
    Figure pat00044
    는 이전의 출력 값(단위는 MW),
    Figure pat00045
    는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x개의 송전선로 k의 조류 값의 합(단위는 MW),
    Figure pat00046
    는 상기 제 2 지역으로 유입되는 x개의 송전선로 k의 설비용량 값의 합(단위는 MVA), X와 Y는 보정계수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단계는,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회로차단기가 폐로 상태인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 값만을 상기 출력변동 값을 연산하는데 적용하고,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회로차단기가 개방 상태인 상기 제 2 송전선로의 설비용량 값은 상기 출력변동 값의 연산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출력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단계는 다음 수식에 의해서 새로운 출력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출력제어 방법,
    Figure pat00047

    여기서,
    Figure pat00048
    는 새로운 출력 값(단위 MW),
    Figure pat00049
    는 이전의 출력 값,
    Figure pat00050
    는 상기 출력변동 값이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단계에서 얻은 상기 출력변동 값이 미리 설정된 상한 값과 하한 값의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는 적정범위 이탈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출력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범위 이탈 판단단계에서,
    상기 출력변동 값이 미리 설정된 상한 값과 하한 값의 범위 내에 있으면, 정상상태인 것으로 간주하여 HVDC 출력을 새로운 출력 값으로 변경 제어하지 않고 종료하며,
    상기 출력변동 값이 미리 설정된 상한 값과 하한 값의 범위를 이탈하면, HVDC 출력을 이전의 출력 값에 상기 출력변동 값을 가산한 새로운 출력 값으로 변경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출력제어 방법.
KR1020180066281A 2018-06-08 2018-06-08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140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281A KR102140105B1 (ko) 2018-06-08 2018-06-08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281A KR102140105B1 (ko) 2018-06-08 2018-06-08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608A true KR20190139608A (ko) 2019-12-18
KR102140105B1 KR102140105B1 (ko) 2020-07-31

Family

ID=6905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281A KR102140105B1 (ko) 2018-06-08 2018-06-08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1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033A (ko) * 2010-05-18 2011-11-24 주식회사 효성 실시간 전력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운영방법
KR20140008768A (ko) * 2012-07-11 2014-01-22 한국전력공사 비상상태 전력 계통에서의 hvdc 계통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033A (ko) * 2010-05-18 2011-11-24 주식회사 효성 실시간 전력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운영방법
KR20140008768A (ko) * 2012-07-11 2014-01-22 한국전력공사 비상상태 전력 계통에서의 hvdc 계통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105B1 (ko)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33995B (zh) 转换器结构
JP2008040733A (ja) 無効電力制御装置及び無効電力補償装置
Jalili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for distribution transformer by using GSM network
JP2017046506A (ja) 電圧無効電力制御システム
US8280660B2 (e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KR20190139608A (ko) Hvdc 출력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9033638A (ja) 電圧調整装置及び電圧調整装置の判定方法
UA119996C2 (uk) Селективний спосіб паралельної експлуатації вимірювально-керувальних пристроїв
JP6596858B2 (ja) 自動電圧調整装置および自動電圧調整方法
JP2012228045A (ja) 電圧調整装置及び電圧調整方法
KR102237101B1 (ko)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7252044A (ja) 配電系統操作装置
JP2014121232A (ja) 電力潮流制御装置
JP2017192276A (ja) 地絡検出装置
KR20160136862A (ko) 전력계통 동적 부하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40168A (ko) 초전도 한류기가 적용된 전력 계통 보호 시스템
WO2014044293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corresponding control system
JP2016208774A (ja) 変圧器逆潮流制御システム
JP2009130952A (ja) 母線電圧調整方法
JP2016214036A (ja) 制御システム、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207562A (ja) 配電用変圧器の制御方法とそれに用いる配電用変圧器制御システム
Thompson et al. Innovative power flow regulating tap-changer control installed on multiple phase-shifting transformers
JP2023111206A (ja) 電力系統監視装置、電力系統監視装置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電力系統監視方法
JPH10290528A (ja) 電圧無効電力監視制御装置
JPH05146075A (ja) 電力潮流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