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101B1 -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101B1
KR102237101B1 KR1020190012073A KR20190012073A KR102237101B1 KR 102237101 B1 KR102237101 B1 KR 102237101B1 KR 1020190012073 A KR1020190012073 A KR 1020190012073A KR 20190012073 A KR20190012073 A KR 20190012073A KR 102237101 B1 KR102237101 B1 KR 102237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appropriate
distributed power
pv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4503A (ko
Inventor
정원욱
남궁원
원종남
신창훈
조성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12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101B1/ko
Priority to CA3070188A priority patent/CA3070188C/en
Priority to US16/776,676 priority patent/US11404868B2/en
Publication of KR20200094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4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1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tap transformers or tap changing inductors as final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generators; for synchronous capacitors
    • H02H7/06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generators; for synchronous capacitors against excitation fau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 H02H7/2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for wires or cables, e.g. heating wi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PVR(Pole Mounted Automatic Voltage Regulator)의 전압 및 분산전원 연계점에서의 전압을 기초로 송출전압의 범위를 설정하여 해당 범위 내에서 송출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vervoltage prevention of distribution line connected with distributed power source}
본 발명은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현재 PVR(Pole Mounted Automatic Voltage Regulator)의 전압 및 분산전원 연계점에서의 전압을 기초로 송출전압의 범위를 설정하여 해당 범위 내에서 송출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배전계통에서의 전압조정은 부하조건에 따라 송출전압을 제어하여 동일 뱅크에서 공급되는 다수 배전선로 전체의 전압을 일괄 조정하고, 전압강하가 매우 심한 선로의 경우에는 선로전압조정장치(PVR: Pole Mounted Automatic Voltage Regulator)을 설치하여 전압을 보상한다.
그러나, 배전선로에 분산전원이 연계되는 경우 분산전원에 의해 일부 구간에서 적정전압 유지 범위를 초과하여 과전압 발생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그러나, 배전계통에서의 전압조정은 특정 배전선로만 전압을 조정 할 수 없으며, 전압 조정 시 동일 뱅크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기서, 분산전원이 연계되지 않은 선로와 분산전원이 연계된 선로 간에는 부하량의 불평형이 매우 커지게 되는데, 이러한 계통의 경우 분산전원이 연계된 선로에 과전압이 발생하여 선로의 전압이 적정전압이 되도록 전압을 낮추는 경우, 분산전원이 연계되지 않은 선로의 전압이 같이 낮아지면서 분산전원이 연계되지 않은 선로에 저전압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계통의 경우 모든 선로의 전압이 적정전압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송출전압을 찾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PVR(Pole Mounted Automatic Voltage Regulator)의 전압 및 분산전원 연계점에서의 전압을 기초로 송출전압의 범위를 설정하여 해당 범위 내에서 송출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VR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송출전압을 제어하는 과전압 방지 장치에 있어서, PVR 설치점 및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연계점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측정부에서 측정한 PVR 설치점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기초로 조류의 방향을 판단하는 조류 방향 판단부와, 조류 방향 판단부에서 조류의 방향을 판단한 결과, 조류의 방향이 정방향인 경우, PVR 설치점의 전류에 따라 송출전압을 조정하고,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연계점의 전압 및 PVR 설치점의 전압을 기초로 제1적정전압 및 제2적정전압을 계산하여 제1적정전압 및 상기 제2적정전압 범위를 만족하도록 송출전압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VR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송출전압을 제어하는 과전압 방지 방법에 있어서, 측정부에서 PVR 설치점 및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연계점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측정하는 단계와, 조류 방향 판단부에서 측정부에서 측정한 PVR 설치점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기초로 조류의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제어부에서 조류 방향 판단부에서 조류의 방향을 판단한 결과, 조류의 방향이 정방향인 경우, PVR 설치점의 전류에 따라 송출전압을 조정하고,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연계점의 전압 및 PVR 설치점의 전압을 기초로 제1적정전압 및 제2적정전압을 계산하여 제1적정전압 및 제2적정전압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송출전압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은 배전선로의 전압이 과전압이 되지 않도록 하는 송출전압의 범위를 설정하여 해당 범위 내에서 송출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전선로에 과전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분산전원의 연계에 따른 전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종 적정전압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시스템(1000)은 과전압 방지 장치(100), 주변압기(200) 및 PVR(Pole Mounted Automatic Voltage Regulator, 300)을 포함할 수 있고, PVR(300) 설치점의 이하단에는 분산전원이 연계되는 분산전원 연계점(400)이 제공될 수 있다.
배전계통에서의 전압조정은 주변압기(200)의 OLTC(On-load Tap changer)를 제어하여 부하조건에 따라 송출전압을 조정함으로써 동일 뱅크에서 공급되는 다수 배전선로 전체의 전압을 일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강하가 심하여 주변압기의 송출전압 조정만으로 저전압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선로에 대해서는 PVR(300)을 설치하여 전압을 보상할 수 있다. 그러나, 배전선로에 분산전원이 연계되는 경우 배전선로 전체의 전압이 상승하게 되고, 분산전원의 용량이 증대될수록 배전선로의 일부 구간에서는 규정전압을 초과하는 과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주변압기(200)의 동일뱅크에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와 분산전원이 연계되지 않은 배전선로가 모두 포함된 경우 모든 선로가 규정전압 범위를 만족하도록 하는 송출전압의 크기를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배전선로에는 부하가 설치될 수 있는데, 분산전원이 연계되지 않은 배전선로의 경우 분산전원 출력량이 부하량에 비해 적으므로, 배전선로의 전압은 감소될 수 있다. 반면,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경우 분산전원 출력량이 부하량에 비해 많아지므로, 배전선로의 전압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와 분산전원이 연계되지 않는 배전선로간의 전압차는 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압 방지 장치(100)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와 분산전원이 연계되지 않는 배전선로의 모든 전압이 규정전압 범위를 만족하도록 하는 전압 범위를 계산하고, 계산한 전압 범위 내에서 송출전압이 출력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분산전원의 연계에 따른 전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a)는 분산전원이 연계되지 않은 배전선로의 전압을 나타내고, (b)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전압을 나타낼 수 있다.
(a)와 같이, 분산전원이 연계되지 않은 경우, 배전선로의 부하량에 따라 배전선로에는 전압강하가 발생하게 되지만, (b)와 같이, 분산전원이 연계된 경우, 분산전원의 발전량에 따라 배전선로에는 전압상승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주변압기 동일뱅크에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와 분산전원이 연계되지 않은 배전선로가 모두 포함된 경우 모든 선로가 규정전압 범위를 만족하도록 하는 송출전압을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a)의 배전선로에 발생되는 저전압을 해결하기 위해 송출전압을 증가시키는 경우, (b)의 배전선로의 전압도 증가하게되어 (b)의 배전선로에는 과전압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b)의 배전선로에 발생되는 과전압을 해결하기 위해 송출전압을 감소시키는 경우, (a)의 배전선로의 전압도 감소하게되어 (a)의 배전선로에는 저전압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실시 예에 따른 과전압 방지 장치(100)는 분산전원(400)의 출력역률을 제어하고, PVR(300) 설치점의 전압 및 분산전원 연계점(400)의 전압을 이용하여 송출전압의 적정 범위를 계산하여 송출전압이 적정 범위 내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송출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100)는 측정부(110), 조류방향 판단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PVR(300) 설치점 및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연계점(400)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분산전원 연계점(400)이 하나 이상인 경우 모든 분산전원 연계점(400)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측정할 수 있다.
조류 방향 판단부(120)는 측정부(110)에서 측정한 PVR(300) 설치점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기초로 조류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류 방향 판단부(120)는 분산전원의 출력량이 부하량보다 큰 경우 PVR(300) 설치점 기준으로 역방향 조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분산전원의 출력량이 부하량보다 작은 경우 PVR(300) 설치점 기준으로 정방향 조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류 방향 판단부(120)는 조류가 일정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방향을 조류의 방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조류의 방향이 빈번하게 변동됨에 따라 제어 방법이 계속적으로 변경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일 수 있다. 즉, 조류의 방향이 짧은 시간동안 빈번하게 변화되는 경우 조류의 방향에 따라 송출전압 제어 방법 또한 변경되어야 하나, 송출전압 제어 방법을 변경하더라도 조류의 방향이 다시 변화됨에 따라 다시 송출전압 제어 방법을 변경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제어 방법을 통해 송출전압을 제어하기도 전에 제어 방법을 변경하게 될 수 있으며, 이는 매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 시간 이상동안 조류 방향이 유지되는 경우에 송출전압의 조정을 위한 제어를 구동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송출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조류 방향 판단부(120)는 조류의 방향이 정방향으로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된 경우, 조류의 방향을 정방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류 방향 판단부(120)는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으로 일정 시간 유지된 경우, 조류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조류 방향 판단부(120)에서 조류의 방향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송출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조류의 방향이 정방향인 경우에 PVR(300) 설치점의 전류에 따라 송출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30)는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에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연계점(400)의 전압 및 PVR(300) 설치점의 전압을 기초로 제1적정전압 및 제2적정전압을 계산하여 제1적정전압 및 제2적정전압 사이의 범위에서 송출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분산전원의 출력량이 부하량보다 작아 정방향 조류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배전선로의 전압은 하강하게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분산전원의 출력에 의해 전압이 상승할 수 있으나 과전압이 발생할 정도로 상승하지는 않으므로, 제어부(130)는 송출전압을 증가시켜 배전선로의 전압이 규정전압 범위를 만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PVR(300)을 통한 탭 제어를 통해 송출전압을 조정할 수 있으며, 규정전압 범위는 배전선로의 전압이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전압의 범위일 수 있다. 즉, 배전선로의 전압이 규정전압 범위의 상한값을 넘어가는 경우 과전압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배전선로의 전압이 규정전압 범위의 하한값에 못 미치는 경우 저전압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기본적으로 배전선로의 전압이 규정전압 범위 내에 있도록 송출전압을 조정하는 것이다.
반면, 분산전원의 출력량이 부하량보다 커서 역방향 조류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배전선로의 전압이 증가하게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어부(130)는 분산전원 연계점(400)에서의 전압이 과전압이 되지 않도록 송출전압을 조정함에 따라 송출전압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현재 분산전원 출력에 따른 분산전원 연계점(400)에서의 배전선로 전압과 분산전원의 출력 증가 시 추정되는 분산전원 연계점(400)에서의 배전선로 전압을 이용하여 배전선로의 전압이 규정전압 범위를 만족하도록 하기 위한 적정전압 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적정전압 범위의 상한값인 제1적정전압 및 적정전압 범위의 하한값인 제2적정전압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배전선로의 과전압은 송출전압을 제1적정전압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송출전압은 부하에 의해 계속해서 감소될 수 있고, 송출전압이 과도하게 내려간 상태에서 분산전원 출력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PVR(300)의 조류방향이 정방향으로 변경되는 경우 송출전압이 상승하기까지 배전선로에는 저전압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2적정전압을 설정하여 송출전압이 제2적정전압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적정전압 범위를 만족하도록 송출전압을 조정하여 분산전원에 의해 배전선로에 과전압 및 저전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LDC 제어부(132),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 최종 적정전압 제어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LDC 제어부(132)는 LDC(Line voltage drop compensation) 제어를 통해 배전선로의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LDC 제어는 PVR(30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PVR(300)의 2차 전압을 조정하는 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PVR(300)에 흐르는 전류가 특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배전선로의 전압 강하가 커지게 되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 LDC 제어부(132)는 PVR(300)의 2차 전압을 높은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의 전압은 증가될 수 있고, 낮아진 전압을 보상할 수 있다. 반면, PVR(300)에 흐르는 전류가 특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배전선로의 전압 강하가 작아지게 되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 LDC 제어부(132)는 PVR(300)의 2차 전압을 낮은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의 전압은 증가될 수 있고, 낮아진 전압을 보상할 수 있다. 이때, LDC 제어부(132)는 PVR(300)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송출전압을 조정하여 전압강하가 많이 발생한 배전선로에는 큰 전압을 통해 전압을 보상해주고, 전압강하가 적게 발생한 배전선로에는 작은 전압을 통해 전압을 보상해줄 수 있다. 즉, LDC 제어부(132)는 PVR(30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송출전압을 조정하여 PVR(300)의 2차측 전압이 높아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 및 최종 적정전압 계산부(138)는 조류 방향 판단부(120)에서 판단한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에 동작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의 연계점(400)의 전압 중 최대전압인 최대분산전압과 규정전압 범위의 상한값인 최대규정전압간의 전압차인 제1전압차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연계점(400)들에서의 전압을 판단하여 그 중 최대전압인 최대분산전압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최대분산전압이 과전압인 경우 최대분산전압이 과전압이 되지 않도록 송출전압을 낮추게 되면 모든 분산전원 연계점들(400)의 전압도 과전압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가 최대분산전압을 기초로 송출전압을 조정함으로써 과전압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최대분산전압과 최대규정전압간의 차이인 제1전압차를 산출함으로써, 최대분산전압이 규정전압 범위를 만족하기 위해서 최소 어느정도의 전압만큼 낮추어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PVR(300) 설치점에서의 전압을 제1전압차만큼 낮추고, PVR(300) 설치점에서의 전압을 제1전압차만큼 낮춘 전압을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PVR(300) 설치점에서의 전압을 제1전압차만큼 낮춘 전압은 최대분산전압이 규정전압 범위를 만족하기 위한 최대 전압값이므로,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 설정하여 송출전압이 이 전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과전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부터 기 설정된 DeadBand를 적용할 수 있다.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부터 기 설정된 DeadBand만큼 낮춘 전압을 제1적정전압의 하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제1 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제1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제1적정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분산전원에 의한 배전선로의 전압상승분을 계산하여 제2적정전압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분산전원을 역률제어 가능한 분산전원과 역률제어가 불가능한 분산전원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경우의 전압상승분을 계산할 수 있다.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역률제어가 불가능한 분산전원의 현재 출력이 100% 증가할 경우 전압상승분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분산전원의 정격전류와 각 분산전원의 현재 출력전류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증가전류를 산출할 수 있다.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분산전원 연계점(400)에서 계통측을 바라보았을때의 임피던스와 분산전원의 운전역률을 이용하여 분산전원의 출력증가에 따른 전압증가량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률제어가 불가능한 분산전원의 최대출력시 운전역률은 1로 설정할 수 있다.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각 분산전원에 의한 전압증가량을 합하여 현재출력이 100% 증가한 경우의 전압상승분을 구할 수 있다.
반면,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역률제어가 가능한 분산전원의 현재 출력이 0%로 감소할 경우의 전압감소분을 계산할 수 있고, 현재 출력이 100%로 증가할 경우의 전압증가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역룰제어가 가능한 분산전원의 출력이 0%에서 100%로 증가할 경우의 전압상승분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역률제어가 가능한 분산전원의 현재 출력이 0%로 감소할 경우의 전압감소분, 현재 출력이 100%로 증가할 경우의 전압증가분 및 분산전원의 출력이 0%에서 100%로 증가할 경우의 전압상승분을 역률제어가 불가능한 분산전원에서 전압증가량을 계산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계산한 전압감소량 및 전압증가량들을 통해 현재 출력에서 100%로 출력이 증가한 경우의 전압상승분을 구할 수 있다. 즉,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분산전원의 연계점(400)의 전압 중 최대전압인 제1최대분산전원과 역률제어가 불가능한 분산전원에서 계산한 전압증가분 및 역률제어가 가능한 분산전원에서 계산한 전압증가분을 합하고, 역률제어가 가능한 분산전원에서 계산한 전압감소분을 뺌으로써 분산전원들의 출력이 100%로 증가한 경우의 최대전압인 최대추정전압을 추정할 수 있다.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추정한 최대추정전압과 규정전압 범위의 상한값인 최대규정전압간의 전압차인 제2전압차를 산출할 수 있고, PVR(300) 설치점에서의 전압을 제2전압차만큼 낮출 수 있다.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PVR(300) 설치점에서의 전압을 제2전압차만큼 낮춘 전압을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대추정전압은 출력을 100%로 할 경우의 전압으로 현재 출력을 나타내는 최대분산전압에 비해 더 큰 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전압차는 제1전압차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PVR(300) 설치점에서의 전압을 제2전압차만큼 낮춘 제2적정전압은 제1적정전압에 비해 낮은 값일 수 있다.
또한,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부터 기 설정된 DeadBand를 적용할 수 있다.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부터 기 설정된 DeadBand만큼 낮춘 전압을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제2적정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최종 적정전압 제어부(138)는 최종 적정전압을 계산할 수 있다. 최종 적정전압 제어부(138)는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을 최종 적정전압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고,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최종 적정전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종 적정전압의 범위는 최종 적정전압의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최종 적정전압의 범위는 배전선로에 과전압 및 저전압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일 수 있다. 최종 적정전압 제어부(138)는 최종 적정전압 범위내에서 송출전압이 출력되도록 송출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배전선로에 과전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송출전압의 출력 범위를 설정하여 출력 범위내에서 송출전압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종 적정전압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의 연계점(400)의 전압 중 최대전압인 최대분산전압(2)과 규정전압 범위의 상한값인 최대규정전압간(10)의 전압차인 제1전압차(ΔV1)를 산출할 수 있다.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PVR(300) 설치점에서의 전압(1)을 제1전압차(ΔV1)만큼 낮추고, PVR(300) 설치점에서의 전압(1)을 제1전압차(ΔV1)만큼 낮춘 전압을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부터 기 설정된 DeadBand를 적용하여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부터 기 설정된 DeadBand만큼 낮춘 전압을 제1적정전압의 하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제1 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제1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제1적정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이 현재 출력에서 100%로 출력이 증가한 경우의 최대전압인 최대추정전압(3)을 추정하고, 최대추정전압(2)과 규정전압 범위의 상한값인 최대규정전압간(10)의 전압차인 제2전압차(ΔV2)를 산출할 수 있다.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PVR(300) 설치점에서의 전압(1)을 제2전압차(ΔV2)만큼 낮추고, PVR(300) 설치점에서의 전압(1)을 제1전압차(ΔV2)만큼 낮춘 전압을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부터 기 설정된 DeadBand를 적용하여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부터 기 설정된 DeadBand만큼 낮춘 전압을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제2적정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최종 적정전압 제어부(138)는 최종 적정전압에 따라 송출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최종 적정전압 제어부(138)는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을 최종 적정전압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고,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최종 적정전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최종 적정전압 제어부(138)는 최종 적정전압 범위내에서 송출전압이 출력되도록 송출전압을 조정함으로써, 배전선로에 과전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측정부(110)가 PVR(300) 설치점 및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연계점(400)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측정할 수 있다(S10). 측정부(110)는 분산전원 연계점(400)이 하나 이상인 경우 모든 분산전원 연계점(400)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측정할 수 있다.
조류 방향 판단부(120)는 측정부(110)에서 측정한 PVR(300) 설치점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기초로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지 판단할 수 있다(S20). 여기서, 조류 방향 판단부(120)는 분산전원의 출력량이 부하량보다 큰 경우 PVR(300) 설치점 기준으로 역방향 조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분산전원의 출력량이 부하량보다 작은 경우 PVR(300) 설치점 기준으로 정방향 조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류 방향 판단부(120)는 조류의 방향이 빈번하게 변동됨에 따라 제어 방법이 계속적으로 변경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조류가 일정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방향을 조류의 방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조류의 방향이 정방향인 경우, LDC 제어부(132)는 LDC(Line voltage drop compensation) 제어를 통해 배전선로의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S30). 구체적으로, LDC 제어부(132)는 PVR(300)에 흐르는 전류가 특정값 이상인 경우에 PVR(300)의 2차 전압을 높은 값으로 조정하고, 특정값 미만인 경우에 PVR(300)의 2차 전압을 낮은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제1적정전압을 계산할 수 있다(S40).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의 연계점(400)의 전압 중 최대전압인 최대분산전압(2)과 규정전압 범위의 상한값인 최대규정전압간(10)의 전압차인 제1전압차(ΔV1)를 산출할 수 있다.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PVR(300) 설치점에서의 전압(1)을 제1전압차(ΔV1)만큼 낮추고, PVR(300) 설치점에서의 전압(1)을 제1전압차(ΔV1)만큼 낮춘 전압을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부터 기 설정된 DeadBand를 적용하여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부터 기 설정된 DeadBand만큼 낮춘 전압을 제1적정전압의 하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적정전압 계산부(134)는 제1 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제1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제1적정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제2적정전압을 계산할 수 있다(S50).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이 현재 출력에서 100%로 출력이 증가한 경우의 최대전압인 최대추정전압(3)을 추정하고, 최대추정전압(2)과 규정전압 범위의 상한값인 최대규정전압간(10)의 전압차인 제2전압차(ΔV2)를 산출할 수 있다.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PVR(300) 설치점에서의 전압(1)을 제2전압차(ΔV2)만큼 낮추고, PVR(300) 설치점에서의 전압(1)을 제1전압차(ΔV2)만큼 낮춘 전압을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부터 기 설정된 DeadBand를 적용하여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부터 기 설정된 DeadBand만큼 낮춘 전압을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적정전압 계산부(136)는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제2적정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 최종 적정전압 제어부(138)는 최종 적정전압에 따라 송출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S60). 최종 적정전압 제어부(138)는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을 최종 적정전압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고,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최종 적정전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최종 적정전압 제어부(138)는 최종 적정전압 범위내에서 송출전압이 출력되도록 송출전압을 조정함으로써, 배전선로에 과전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현재 PVR의 전압 및 분산전원 연계점에서의 전압을 기초로 송출전압의 범위를 설정하여 해당 범위 내에서 송출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과전압 방지 장치
110: 측정부
120: 조류 방향 판단부
130: 측정부
132: LDC 제어부
134: 제1적정전압 계산부
136: 제2적정전압 계산부
138: 최종 적정전압 제어부
200: 주변압기
300: PVR
400: 분산전원

Claims (16)

  1. PVR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송출전압을 제어하는 과전압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PVR 설치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연계점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PVR 설치점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기초로 조류의 방향을 판단하는 조류 방향 판단부; 및
    상기 조류 방향 판단부에서 상기 조류의 방향을 판단한 결과, 상기 조류의 방향이 정방향인 경우, 상기 PVR 설치점의 전류에 따라 상기 송출전압을 조정하고, 상기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연계점의 전압 및 상기 PVR 설치점의 전압을 기초로 제1적정전압 및 제2적정전압을 계산하여 상기 제1적정전압 및 상기 제2적정전압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송출전압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연계점의 전압 중 최대전압인 최대분산전압과 상기 배전선로의 규정전압 범위의 상한값인 최대규정전압간의 전압차인 제1전압차를 산출하고, 상기 PVR 설치점의 전압을 상기 제1전압차만큼 낮춘 전압을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에 기 설정된 DeadBand만큼 낮춘 전압을 제1적정전압의 하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상기 제1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제1적정전압으로 설정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송출전압을 제어하는 과전압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 방향 판단부는 상기 조류가 일정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방향을 상기 조류의 방향으로 판단하는 과전압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류의 방향이 정방향인 경우 상기 PVR 설치점의 전류가 특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출전압이 높아지도록 조정하고, 상기 PVR 설치점의 전류가 특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송출전압이 낮아지도록 조정하는 과전압 방지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이 현재 출력에서 100%로 출력이 증가한 경우에 분산전원의 전압 중 최대전압인 최대추정전압을 추정하고, 상기 최대추정전압과 상기 배전선로의 규정전압 범위의 상한값인 최대규정전압간의 전압차인 제2전압차를 산출하는 과전압 방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VR 설치점의 전압을 상기 제2전압차만큼 낮춘 전압을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에 기 설정된 DeadBand만큼 낮춘 전압을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상기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제2적정전압으로 설정하는 과전압 방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상기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최종 적정전압으로 설정하고, 상기 송출전압이 상기 최종 적정전압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과전압 방지 장치.
  9. PVR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송출전압을 제어하는 과전압 방지 방법에 있어서,
    측정부에서 상기 PVR 설치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연계점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측정하는 단계;
    조류 방향 판단부에서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PVR 설치점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기초로 조류의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에서 상기 조류 방향 판단부에서 상기 조류의 방향을 판단한 결과, 상기 조류의 방향이 정방향인 경우, 상기 PVR 설치점의 전류에 따라 상기 송출전압을 조정하고, 상기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연계점의 전압 및 상기 PVR 설치점의 전압을 기초로 제1적정전압 및 제2적정전압을 계산하여 상기 제1적정전압 및 상기 제2적정전압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송출전압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출전압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연계점의 전압 중 최대전압인 최대분산전압과 상기 배전선로의 규정전압 범위의 상한값인 최대규정전압간의 전압차인 제1전압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PVR 설치점의 전압을 상기 제1전압차만큼 낮춘 전압을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에 기 설정된 DeadBand만큼 낮춘 전압을 제1적정전압의 하한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상기 제1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제1적정전압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송출전압을 제어하는 과전압 방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조류의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조류 방향 판단부가 상기 조류가 일정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방향을 상기 조류의 방향으로 판단하는 과전압 방지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전압을 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류의 방향이 정방향인 경우 상기 PVR 설치점의 전류가 특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출전압이 높아지도록 조정하고, 상기 PVR 설치점의 전류가 특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송출전압이 낮아지도록 조정하는 과전압 방지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전압을 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이 현재 출력에서 100%로 출력이 증가한 경우에 분산전원의 전압 중 최대전압인 최대추정전압을 추정하고, 상기 최대추정전압과 상기 배전선로의 규정전압 범위의 상한값인 최대규정전압간의 전압차인 제2전압차를 산출하는 과전압 방지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전압을 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PVR 설치점의 전압을 상기 제2전압차만큼 낮춘 전압을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에 기 설정된 DeadBand만큼 낮춘 전압을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상기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제2적정전압으로 설정하는 과전압 방지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전압을 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적정전압의 상한값 및 상기 제2적정전압의 하한값의 중간값을 최종 적정전압으로 설정하고, 상기 송출전압이 상기 최종 적정전압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과전압 방지 방법.
KR1020190012073A 2019-01-30 2019-01-30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237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073A KR102237101B1 (ko) 2019-01-30 2019-01-30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
CA3070188A CA3070188C (en) 2019-01-30 2020-01-29 Over-voltage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istribution line connected with distributed generator
US16/776,676 US11404868B2 (en) 2019-01-30 2020-01-30 Over-voltage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istribution line connected with distributed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073A KR102237101B1 (ko) 2019-01-30 2019-01-30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503A KR20200094503A (ko) 2020-08-07
KR102237101B1 true KR102237101B1 (ko) 2021-04-08

Family

ID=7173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073A KR102237101B1 (ko) 2019-01-30 2019-01-30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04868B2 (ko)
KR (1) KR102237101B1 (ko)
CA (1) CA307018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244B1 (ko) * 2021-05-12 2023-06-26 윤극영 분산전원 연계형 전압제어장치
KR102555182B1 (ko) * 2021-05-12 2023-07-12 윤극영 분산전원 연계형 전압제어장치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089A (ja) * 2006-08-08 2008-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圧監視装置
JP5933857B1 (ja) * 2015-05-27 2016-06-1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圧制御装置および電圧計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3857B2 (ja) 1975-10-28 1984-08-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ンアツケンシユツカイロ
JP5038159B2 (ja) * 2005-02-02 2012-10-03 マグネティック アプリケ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制御される整流器のためのパルス生成器
US7298601B2 (en) * 2005-08-09 2007-1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ver-voltage protection for voltage regulator modules of a parallel powe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089A (ja) * 2006-08-08 2008-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圧監視装置
JP5933857B1 (ja) * 2015-05-27 2016-06-1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圧制御装置および電圧計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04868B2 (en) 2022-08-02
CA3070188C (en) 2023-09-05
US20200244068A1 (en) 2020-07-30
KR20200094503A (ko) 2020-08-07
CA3070188A1 (en)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8938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generator
US9606554B2 (en) Voltage adjustment device for power distribution system, voltage adjusting method, and power control system
US20150123475A1 (en) Control of Operating Equipment by Influencing a Grid Voltage
KR102237101B1 (ko)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과전압 방지 장치 및 방법
US20220253080A1 (en) Smart voltage reduction and reverse power operating mode determination for load tap charging transformers and voltage regulators
KR100980854B1 (ko) 정지형 보상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6680602B2 (en) Reactive power compensator
JP2018137845A (ja) 電圧調整機器の電圧制御装置およびその電圧制御方法
JP6877295B2 (ja) 電圧調整装置及び電圧調整装置の判定方法
Hiscock et al. Advanced voltage control for networks with distributed generation
JP5457949B2 (ja) 潮流計算機能を備えた無効電力補償装置、およびそのシステムと方法
JP2005117734A (ja) 配電系統の電圧管理装置および電圧管理方法
JP5939894B2 (ja) 配電系統の電圧調整装置、電圧調整方法および電力制御システム
EP30598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energy in electrical installations
KR20190043297A (ko) 전압 계측 기반 전압 조정 제어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20160028751A (ko) 전력 계통의 전압 안정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2325496A (ja) 風力発電出力制限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00009393A (ko) 분산형전원에 의한 전압상승 억제를 위한 배전용리액터 제어장치
JP2017135904A (ja) 電圧無効電力制御システム
JP2014023303A (ja) 配電用自動電圧調整器の電力逆潮流原因判定方法及び装置
CN108808686B (zh) 一种配电馈线自适应调压整定算法
JP2007267440A (ja) 無効電力補償装置
KR200352461Y1 (ko) 자동역률조정 기능이 부가된 전기 절감장치
KR20220012101A (ko) 분산전원이 도입된 배전선로의 전압 제어 장치 및 방법
JP2815284B2 (ja) 電力供給系統の電圧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